KR20220013772A -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772A
KR20220013772A KR1020200093148A KR20200093148A KR20220013772A KR 20220013772 A KR20220013772 A KR 20220013772A KR 1020200093148 A KR1020200093148 A KR 1020200093148A KR 20200093148 A KR20200093148 A KR 20200093148A KR 20220013772 A KR20220013772 A KR 2022001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trend analysis
keywords
tre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충보
Original Assignee
버즈앤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즈앤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버즈앤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772A/ko
Publication of KR2022001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5Syntactic pre-processing, e.g. stopword elimination, ste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추이 등을 분석할 수 있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부; 및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와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를 근거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trend of keywords}
본 발명은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 키워드에 대해 추이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웹 정보 검색 방식은, 사용자가 정보 검색 포털에 접근하여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찾고자 하는 문서의 제목과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서, 시간정보가 표시되며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검색결과가 여러 페이지로 생성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의 정보 검색 결과를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검색 조건에 원하는 시간을 입력해 주어야만 했으며, 전체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도 없어 전체 트렌드를 보고자 할 경우 어려움이 많았다.
현재, 다음(daum)에서는 검색어를 트렌드(trend)별로 보여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트렌드 즉, 검색어에 대한 월별 검색추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만을 보여주는 방식으로서, 실시간 지원하는 검색내용이 아니며,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실직적인 검색내용에 부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시간 뉴스 이슈들을 시간대별로 보여주는 서비스 및 트렌드에 기반한 정보 검색 방법이 여러 곳에서 서비스되고 있으나, 사용자는 원하는 검색결과를 트렌드로 보여주는 서비스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3097호(웹 환경에서의 트렌드 기반 정보 검색 시스템)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3817호(키워드 검색량 기반 예측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콘텐츠 정보를 기반으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추이 등을 분석할 수 있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는,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부; 및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와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를 근거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는 키워드 그룹명, 매칭 키워드, 제외 키워드, 및 제외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수집부는, 상기 수신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연관 영상과 채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에 대해 상기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가 반영된 트렌드 점수를 매김으로써 트렌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은, 수신부가,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 수집부가,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 및 분석부가,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와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를 근거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정보를 통해 특정 시점에 트렌디한 키워드를 도출해 내고 그 정도를 수치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어느 키워드가 더 트렌디한지 또는 어느 키워드가 장기적으로 유지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커스텀 입력을 통해 그다지 트렌디하지 않은 키워드에 대해서도 얼마나 언급되거나 소비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렌드 키워드의 추이를 확인하여 앞으로 이슈화될 가능성이 높거나 막 뜨기 시작한 키워드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슈의 조기 포착을 통한 선제적 대응 또는 미래 마케팅 전략의 아젠다로 활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에서의 입력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네트워크(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버(300)에 접속하여 희망하는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요청한 이후에는 트렌드 분석 대상이 되는 키워드의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트렌드 분석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세부 파라미터(예컨대, 조회수, 구독수, 댓글(덧글) 수,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등)에 대한 가중치의 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서, 트렌드 분석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세부 파라미터는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제각각의 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해당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결과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화면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는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20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20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키워드 및 가중치를 근거로 해당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소정의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요청(키워드 및 가중치 포함)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콘텐츠(영상 콘텐츠)를 수집한 후에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근거로 해당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콘텐츠 정보를 통해 특정 시점에 트렌디한 키워드를 도출해 내고 그 정도를 수치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어느 키워드가 더 트렌디한지 또는 어느 키워드가 장기적으로 유지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커스텀 입력을 통해 그다지 트렌디하지 않은 키워드에 대해서도 얼마나 언급되거나 소비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해당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결과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부(10), 수신부(12), 제어부(14), 전송부(16), 및 표시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해당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트렌드 분석 대상이 되는 키워드 및 트렌드 분석을 위한 세부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키워드 입력부(10a) 및 가중치 입력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입력부(10a)는 트렌드 분석 대상이 되는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가중치 입력부(10b)는 트렌드 분석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세부 파라미터(예컨대, 조회수, 구독수, 댓글(덧글) 수, 좋아요 수, 싫어요 수 등)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의 가중치는 세부 파라미터별로 저마다 다를 수 있다. 또는, 일부의 세부 파라미터의 가중치가 다른 세부 파라미터의 가중치와는 다른 값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가중치 입력부(10b)를 통해 선택적으로 희망하는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입력부(10)는 키워드 및 가중치만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효율적인 트렌드 분석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0)에서의 입력 동작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수신부(12)는 서버(300)로부터의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입력부(10)로부터의 입력 정보(키워드, 가중치 포함)를 전송부(16)를 통해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부(12)에 수신된 트렌드 분석 결과를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전송부(16)는 입력부(10)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8)는 수신부(12)에 수신된 트렌드 분석 결과를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번에는, 입력부(10)에서의 입력 동작의 일 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300)에 접속하여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서버(300)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은 입력 화면을 사용자 단말(1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300)로부터 다운받은 트렌드 분석 서비스 어플을 활성화함으로써 도 3 또는 도 4의 입력 화면을 표시부(18)에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먼저 키워드 입력부(10a)를 통해 트렌드 분석 대상이 되는 키워드를 키워드 입력창(40)에 입력한다. 이때 입력되는 키워드는 하나 이상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4개의 키워드(예컨대, 콜오브듀티, 하스스톤,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가 입력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키워드 입력창(40)에 입력된 키워드는 키워드 그룹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키워드 입력부(10a)를 통해 각각의 키워드별로 매칭 키워드(즉, 키워드 그룹명에 매칭될 수 있는 키워드), 제외 키워드(즉, 키워드 그룹에 제외될 키워드), 제외 채널(즉, 미리보기 영상에서 제외하고 싶은 채널)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에서와 같이 "스타크래프트"에 대한 매칭 키워드, 제외 키워드, 제외 채널을 입력하기 위해, 키워드 입력창(40)에 입력되어 있는 키워드들중에서 "스타크래프트"를 선택하면 키워드 그룹명 선택창(41)에는 "스타크래프트"가 자동적으로 입력된다. 한편, 도 4는 키워드 입력창(40)에 입력되어 있는 키워드들중에서 "오버위치"가 선택되어 키워드 그룹명 선택창(41)에는 "오버워치"가 자동적으로 입력된 것을 예시한다.
이어,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트렌드 분석을 위해 "스타크래프트"에 연관이 있는 단어(즉, "스타크래프트"라는 키워드 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매칭 키워드)를 키워드 입력부(10a)를 통해 매칭 키워드 입력창(42)에 입력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서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매칭 키워드를 직접 키입력하는 것처럼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서버(300)에서 "스타크래프트"에 연관이 있는 다수의 매칭 키워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몇몇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4는 "오버워치"에 연관이 있는 단어(즉, "오버워치"라는 키워드 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매칭 키워드)가 매칭 키워드 입력창(42)에 입력된 것을 예시한다.
한편, 사용자는 매칭 키워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성시키기 위해,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3에 예시된 미리보기(45)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300)로부터 "스타크래프트"의 미리보기 영상을 수신하여 볼 수 있다. 사용자가 도 4에 예시된 미리보기(45)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300)로부터 "오버워치"의 미리보기 영상을 수신하여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미리보기 영상에서 제외하고 싶은 채널(예컨대, 다수의 유튜브 채널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이 있다면 입력부(10)를 통해 해당 채널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선택된 제외 채널의 정보(예컨대, 제외 채널의 아이콘)가 제외 채널창(44)에 입력된다. 도 3의 경우는 제외시킬 채널이 없기 때문에 아무런 제외 채널이 입력되지 않은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4의 경우는 제외시킬 채널이 있어서 해당 제외 채널의 정보가 제외 채널창(44)에 입력된 것을 예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미리보기 영상을 보고서 해당 키워드 그룹에 포함시키지 않을 키워드(즉, 제외 키워드)가 있다면 도 3 또는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외 키워드를 제외 키워드 입력창(43)에 입력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제외 키워드가 없을 경우에는 제외 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키워드 입력창(40), 키워드 그룹명 선택창(41), 매칭 키워드 입력창(42), 제외 키워드 입력창(43), 제외 채널창(44)을 통해 키워드(즉, 키워드 그룹명)별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한 후에 저장 버튼(46)을 누르게 되면 각각의 창에 입력된 정보가 서버(300)에게로 전송된다.
상술한 도 3 또는 도 4에서는 게임에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키워드는 꼭 게임에 관련된 것이 아니어도 상관이 없다. 예를 들어, 유튜브에서 먹방으로 어떤 메뉴가 화제가 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치킨", "중국집", "햄버거" 등의 키워드를 등록할 수 있다. 또는 "1일1깡" 또는 "첵스 초코" 등과 같이 인터넷 등에서 화제가 되었거나, 화제가 될 것 같은 키워드를 등록할 수도 있다.
한편, 트렌드 분석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세부 파라미터창(50)에 표시된 다수의 세부 파라미터중에서 다른 세부 파라미터에 비해 중요하다고 여기는 하나 이상의 세부 파라미터를 선택하고, 가중치 입력부(10b)를 통해 선택된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댓글(덧글) 수"라는 세부 파라미터가 선택된 것을 예시하였다.
도 5에서, 세부 파라미터창(50)에는 "조회수", "댓글(덧글) 수", "좋아요 수", "싫어요 수"가 세부 파라미터로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세부 파라미터(예컨대, 구독수 등)가 추가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5의 가중치 입력창(51)의 가중치는 해당 세부 파라미터의 중요도에 따라 조정가능하다. 여기서, 중요도는 사용자마다 생각하는 관점이 다르므로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는 사용자별로 다르게 입력될 수 있다. 물론, 도 5에서는 하나의 세부 파라미터(즉, 댓글(덧글) 수)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다른 세부 파라미터에 비해 중요하다고 여기는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희망하는 대로 입력한 후에 저장 버튼(52)을 누르게 되면 가중치가 조정된 해당 세부 파라미터 및 기타 다른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 정보가 서버(300)에게로 전송된다. 여기서, 기타 다른 세부 파라미터의 가중치는 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설정된 값이 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버(300)의 내부구성도이다.
서버(300)는 수신부(30), 콘텐츠 수집부(31), 저장부(32), 분석부(33), 전송부(34), 및 제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수신부(30)는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수집부(32)는 수신부(30)에 수신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영상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수집부(32)는 수신된 키워드중에서 매칭 키워드와 동일한 단어를 포함하는 콘텐츠(영상 콘텐츠)를 다양한 서비스 플래폼에서 수집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수집부(32)는 수신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연관 영상과 채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플랫폼은 예를 들어, Youtube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한편으로, 서비스 플랫폼은 Afreeca TV, Twitch TV, TV 다음팟 등과 같은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한편으로, 서비스 플랫폼은 네이버, 구글, 다음, 야후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한편으로, 서비스 플랫폼은 facebook, Instagram, twitter, cacao story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한편으로, 서비스 플랫폼은 다음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블로그 스팟 등과 같은 블로그 플랫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서비스 플랫폼은 컨텐츠를 수집할 수만 있다면 동영상 플랫폼, 인터넷 방송 플랫폼, 포털 사이트 플랫폼, 소셜 미디어 플랫폼, 블로그 플랫폼 이외의 다른 어떠한 플랫폼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저장부(32)는 수신부(30)에 수신된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콘텐츠 수집부(31)에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예컨대, 키워드에 연관된 영상 및 채널 정보)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분석부(33)에서 분석된 키워드별 트렌드 분석 결과를 사용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
분석부(33)는 수신부(30)에 수신된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와 콘텐츠 수집부(31)에서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를 근거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33)는 콘텐츠 수집부(31)에서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에 대해 수신된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가 반영된 트렌드 점수를 매김으로써 트렌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석부(33)는 기간을 정하고서 키워드별로 액티브 포인트, 채널수, 매칭 영상수, 점유율, 일일 조회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분석부(33)는 기간을 정하고서 유튜브 채널별로 액티브 포인트, 매칭 영상수, 영상비율, 일일 조회수, 영상별 평균 조회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전송부(34)는 분석부(33)에서의 키워드별 트렌드 분석 결과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게로 전송(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서버(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소정의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서버(300)에게로 요청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트렌드 분석 대상이 되는 키워드 및 트렌드 분석에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한다(S10, S20). 여기서, 키워드 및 가중치 입력에 대해서는 이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된 키워드 및 가중치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서버(300)에게로 전송된다.
그에 따라,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특정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키워드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수집한다(S30). 예를 들어, 서버(300)는 수신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연관 영상 및 채널 정보를 다양한 서비스 플래폼에서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는 서버(300) 내부의 저장부(32)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서버(300)는 수신된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와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를 근거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한다(S40). 예를 들어, 서버(300)는 기간을 정하고서 키워드별로 액티브 포인트, 채널수, 매칭 영상수, 점유율, 일일 조회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기간을 정하고서 유튜브 채널별로 액티브 포인트, 매칭 영상수, 영상비율, 일일 조회수, 영상별 평균 조회수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0)는 분석된 키워드별 트렌드 분석 결과를 저장부(32)에 저장시킴과 더불어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게로 전송한다(S50).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표시부(18)를 통해 도 8 또는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은 트렌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렌드 분석 결과는 키워드별 또는 유튜브 채널별로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등록한 키워드와 관련하여 어느 채널이 연관이 깊고, 어느 채널의 영향력이 큰 지를 알 수 있다.
동일 키워드라고 하더라도, 사용자마다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부 파라미터가 다르고 또한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저마다 다르게 입력하였을 수 있으므로, 동일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결과라고 하더라도 사용자별로 그 내용이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별로 트렌드성을 분석(파악)할 수 있는데, 트렌드 분석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세부 파라미터에 대한 가중치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고 이를 근거로 하는 트렌드 분석 결과이므로 사용자는자신에게 보다 적합한 트렌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서버(300)가 프로그램적으로 자동으로 주요 키워드를 검출해서 "최근 가장 핫한 키워드"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게로 보낼 수 있게 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0)이 키워드와 가중치를 입력하고, 서버(300)가 키워드와 가중치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트렌드 분석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사용자 단말(100)의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키워드와 가중치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트렌드 분석까지 행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리라 본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입력부 12, 30 : 수신부
14, 35 : 제어부 16, 34 : 전송부
18 : 표시부 31 : 콘텐츠 수집부
32 : 저장부 33 : 분석부
100 : 사용자 단말 200 : 네트워크
300 : 서버

Claims (10)

  1.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수집하는 콘텐츠 수집부; 및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와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를 근거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되고,
    상기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는 조정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는 키워드 그룹명, 매칭 키워드, 제외 키워드, 및 제외 채널을 포함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집부는,
    상기 수신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연관 영상과 채널 정보를 수집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에 대해 상기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가 반영된 트렌드 점수를 매김으로써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6. 수신부가,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를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 수집부가, 상기 키워드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 및
    분석부가,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와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를 근거로 키워드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 및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되고,
    상기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는 조정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분석에 필요한 키워드는 키워드 그룹명, 매칭 키워드, 제외 키워드, 및 제외 채널을 포함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연관 영상과 채널 정보를 수집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키워드별 콘텐츠에 대해 상기 세부 파라미터별 가중치가 반영된 트렌드 점수를 매김으로써 트렌드 분석을 수행하는,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방법.
KR1020200093148A 2020-07-27 2020-07-27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20013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48A KR20220013772A (ko) 2020-07-27 2020-07-27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48A KR20220013772A (ko) 2020-07-27 2020-07-27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72A true KR20220013772A (ko) 2022-02-04

Family

ID=8026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148A KR20220013772A (ko) 2020-07-27 2020-07-27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3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791B1 (ko) * 2023-01-25 2023-08-03 주식회사 두디스 소셜미디어 데이터 기반 콘텐츠 소재 탐색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097A (ko) 2008-04-25 2009-10-29 (주)아워텍 웹 환경에서의 트렌드 기반 정보 검색 시스템
KR101963817B1 (ko) 2017-04-05 2019-03-29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키워드 검색량 기반 예측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3097A (ko) 2008-04-25 2009-10-29 (주)아워텍 웹 환경에서의 트렌드 기반 정보 검색 시스템
KR101963817B1 (ko) 2017-04-05 2019-03-29 주식회사 이랜드월드 키워드 검색량 기반 예측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791B1 (ko) * 2023-01-25 2023-08-03 주식회사 두디스 소셜미디어 데이터 기반 콘텐츠 소재 탐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8717B2 (ja) ニュース推薦方法及び装置
RU263670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а сетевого ресурса в качестве источника содержимого для системы рекомендаций
US9524714B2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0059255B (zh) 一种浏览器导航方法、装置及介质
WO2017071251A1 (zh) 信息推送方法和装置
US20060059147A1 (en)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 personalization of search results for online dating services
JP6224731B2 (ja) 個人的ユーザ経験を改善するためにソーシャル・メディアを豊富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501276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on mobile terminal
US20150286711A1 (en) Method for web information discovery and user interface
KR20220013772A (ko) 키워드의 트렌드 분석 장치 및 방법
US20180352394A1 (en) Services for messaging application with in-built web search
KR20190036834A (ko) SaaS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의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2200230B1 (ko) 문장과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22583A (ko) 키워드를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39523A (ko)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257385B1 (ko) 위젯 기반의 rss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서버
KR102280495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82143B1 (ko) 자동 완성어의 유형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666485B (zh) 一种信息推荐方法、装置及终端
KR102594914B1 (ko) 숏폼 콘텐츠로 유저간 후기 공유가 가능하며 웨딩 서비스의 적정 비용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웨딩 플랫폼의 운영방법
KR20160008083A (ko) 검색어 기반의 광고 콘텐츠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광고 콘텐츠 오버레이 방법
KR102205793B1 (ko) 요약 뉴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325154B (zh) 应用数据采集方法及电子设备
KR20160107803A (ko)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77935A (ko) 키워드를 기반으로 하는 sns 트렌드 분석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