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222A -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 Google Patents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222A
KR20220013222A KR1020200092522A KR20200092522A KR20220013222A KR 20220013222 A KR20220013222 A KR 20220013222A KR 1020200092522 A KR1020200092522 A KR 1020200092522A KR 20200092522 A KR20200092522 A KR 20200092522A KR 20220013222 A KR20220013222 A KR 20220013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nector
signal
taps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539B1 (ko
Inventor
정연행
김남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09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04M11/062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speech and oth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8Subscriber network interfac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과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전화 신호는 인터넷 신호 전송을 위한 트랜스포머의 센터 탭에 연결되어 인터넷 신호와 함께 전송됨으로써 기존 4페어의 전송선로를 사용하는 시설에 추가의 전송선로 매입 없이 4페어의 전송선로를 모두 인터넷 신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가급 인터넷을 전화신호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SPLITTER FOR TRANSMITTING INTERNET SIGNALS AND TELEPHONE SIGNALS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인터넷 신호 또는 전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이제 단순한 통신 수단을 넘어서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환경이 되었다. 웹페이지 접속뿐 아니라 TV, 전화는 물론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까지 인터넷이 사용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이다.
이렇게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그 접속속도도 점점 빨라질 것을 요구하는 것이 현실이다. 처음 전화선을 이용하던 인터넷 접속속도는 수십~수백kbps에 불과했지만 광통신망을 이용하는 인터넷은 100Mbps를 거처 1Gbps까지 늘어났다.
1Gbps의 기가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4페어의 인터넷 전송 라인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인 건물이나 아파트의 전송선로는 4페어의 UTP 라인이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4페어의 라인을 사용하여 기가급 인터넷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반 전화선이 1pair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4페어 라인으로는 기가급 인터넷을 지원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인터넷 전송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 노력해 왔다. 종래의 4페어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기가급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분배기를 완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 전송선로의 매설 없이 기존의 4페어 전송선로만으로 기가급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는,
제1 내지 제8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제11 내지 제18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제21 내지 제26 핀을 포함하는 제3 커넥터; 및 제1 내지 제6 입력 탭과 제1 내지 제6 출력 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탭들과 상기 출력 탭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트랜스포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내지 제3 핀 및 제6 핀은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제3, 제4 및 제6 입력 탭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제3, 제4 및 제6 입력 탭의 신호는 제1, 제3, 제4 및 제6 출력 탭에 각각 전달되며,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제3, 제4 및 제6 출력 탭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1 내지 제13 핀 및 제16 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3 커넥터의 제22 및 제23 핀은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2 출력 탭과 제5 출력 탭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2 출력 탭의 신호는 제1 출력 탭 및 제3 출력 탭에 전달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5 출력 탭의 신호는 제4 및 제6 출력 탭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4페어의 UTP 케이블 연결을 위한 RJ-45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제3 커넥터는 전화 신호 연결을 위한 RJ-11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2 출력 탭 및 제5 출력 탭은 각각 트랜스포머의 센터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및 제3 출력 탭의 신호와 제2 출력 탭에 입력되는 신호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전원을 가지는 신호이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4 및 제6 출력 탭의 신호와 제5 출력 탭에 입력되는 신호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전원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내지 제16 입력 탭과 제11 내지 제16 출력 탭을 가지고, 상기 입력 탭들과 상기 출력 탭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제2 트랜스포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제4, 제5, 제7 및 제8 핀은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입력 탭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입력 탭의 신호는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출력 탭에 각각 전달되며,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출력 탭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4, 제15, 제17 및 제18 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커넥터의 제21 및 제24 핀은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2 및 제15 출력 탭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전송선로의 매설공사 없이도 기존의 4페어 전송선로만으로 기가급 인터넷과 전화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전화 연결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를 사용한 시스템의 연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보다 자세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 사용된 트랜스포머의 보다 자세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를 사용한 시스템의 연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보다 자세한 구조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전화 연결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전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인터넷 스위치 장비(1)와 전화 교환기(2)가 4페어(Pair)의 선을 가지는 UTP(Unshielded Twisted-Pair) 케이블(3)을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의 PC(5)와 전화(6)로 연결된다.
4페어의 UTP 케이블은 최대 1Gbps의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지만 전화(6) 서비스를 위해 1페어가 사용되면 나머지 3페어로는 1G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전화(6)를 사용하면서 1Gbps 속도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추가 선로 작업이 불가피한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건물 공사 당시 매설된 통신 케이블을 추가로 매설하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송 선로의 추가 없이 기존 4페어의 전송선로만으로 1Gbps 속도의 인터넷과 전화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분배기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를 사용한 시스템의 연결도이다.
인터넷 스위치(1)와 전화 교환기(2)는 본 발명의 분배기(100)에 연결되고 4페어의 전송선로(3)를 따라 가정 또는 사무실의 분배기(200)에 연결되어 PC(5) 및 전화(6)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분배기(100)는 제1 내지 제3 커넥터(110, 120, 130)를 포함한다. 인터넷 스위치(1)은 제1 커넥터(110)에 연결되고, 전화 교환기(2)는 제3 커넥터(130)에 연결되며, 제1 커넥터(110)와 제3 커넥터(130)는 제2 커넥터(120)에 연결된다. 제2 커넥터(120)는 4페어의 UTP 케이블(3)에 연결되어 또 다른 분배기(200)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분배기(100)에 의해 전화 신호와 인터넷 신호가 함께 4페어의 UTP 케이블(3)을 통해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분배기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나타낸다.
전화(10)의 두 신호인 팁 신호(Tip signal)와 링 신호(Ring signal)는 서로 다른 트랜스포머(11, 12)의 출력 측 센터 탭(21, 22)에 연결된다.
제1 트랜스포머(11)의 입력단에는 이더넷의 전송(Tx)신호가 연결되고, 제2 트랜스포머(12)의 입력단에는 이더넷의 수신(Rx)신호가 연결된다. 출력측 센터 탭(21, 22)에 연결된 전화 신호는 이더넷 신호와 함께 전송 선로(24, 25, 26, 27)를 통해 전송된다.
2페어의 전송 선로(24, 25, 26, 27)중 제1 전송선로(24)에는 이더넷 전송 신호의 플러스(+)신호와 전화신호 중 팁 신호가 전달되고, 제2 전송선로(25)에는 이더넷 전송 신호의 마이너스(-)신호와 팁 신호가 함께 전달된다. 동일한 팁 신호가 제1 전송선로(24)와 제2 전송선로(25)에 인가되므로 제1 전송선로(24)와 제2 전송선로(25) 사이의 전위차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전화 신호와 이더넷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전송선로(26)에는 이더넷 수신 신호의 플러스 신호와 전화신호 중 링 신호가 전달되고, 제4 전송선로(27)에는 이더넷 수신 신호의 마이너스 신호와 링 신호가 전달된다. 전화의 링 신호는 일반적으로 80V, 16Hz의 신호인데 이더넷 신호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더넷 신호와 전화 신호는 각각 독립된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호 간섭을 주지 않는다.
수신측의 제3 트랜스포머(13)와 제4 트랜스포머(14)는 전송선로의 이더넷 신호와 전화 신호를 각각 PC(17)와 전화(15)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의 보다 자세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100)는 제1 커넥터(110), 제2 커넥터(120), 제3 커넥터(130) 및 트랜스포머부(14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120)는 4페어의 UTP 케이블 연결을 위한 커넥터이고, 제3 커넥터(130)는 전화선 연결을 위한 커넥터이다.
제1 커넥터(110)는 제1 내지 제8 핀(111~118)을 포함하며 4페어의 UTP케이블 신호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10)는 RJ-45 등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20)는 제11 내지 제18 핀(121~128)을 포함하며 4페어의 UTP케이블 신호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120)는 RJ-45 등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커넥터(130)는 제21 내지 제26 핀(131~136)을 포함하며 전화 신호를 위한 링 신호선 및 팁 신호선이 연결된다. 제3 커넥터(130)는 RJ-11 등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부(140)는 제1 커넥터(110)측과 제2 커넥터측(120)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스포머부(140)는 임피던스 매칭 또는 신호의 결합이나 회로의 분리(isolation)를 위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에 사용된 트랜스포머의 보다 자세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트랜스포머부(140)는 1:1의 권선비를 가진다. 따라서 두 페어의 입력신호(141, 143, 144, 145)는 동일한 전압의 출력신호(151, 153, 154, 156)로 전달된다.
입력측의 센터 탭(142, 145)에는 신호선이 연결되지 않지만 출력측의 센터탭(152, 155)에는 전화신호의 링 신호와 팁 신호가 연결된다. 출력측의 센터탭인 제2 출력 탭(152)의 링 신호는 제1 출력 탭(151) 및 제2 출력 탭(152)으로 전달되고, 제5 출력 탭(155)의 팁 신호는 제4 출력 탭(154) 및 제6 출력 탭(156)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오면, 1페어의 전화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2페어의 이더넷 신호가 필요하다.
제1 커넥터(110)의 제1 핀(111) 및 제2 핀(112)은 트랜스포머부(140)의 제1 입력 탭(141) 및 제3 입력 탭(143)에 각각 연결되고, 제3 핀(113) 및 제6 핀(116)은 트랜스포머부(140)의 제4 입력 탭(144) 및 제6 입력 탭(146)에 각각 연결된다.
도 5의 트랜스포머부(140) 구조에서 살펴 보았듯이 트랜스포머부(140)의 제1, 제3, 제4 및 제5 입력 탭(141, 143, 144, 146)의 신호들은 제1, 제3, 제4 및 제5 출력 탭(151, 153, 154, 156)으로 연결된다.
트랜스포머부(140)의 제1, 제3, 제4 및 제5 출력 탭(151, 153, 154, 156)은 제2 커넥터(120)의 제11, 제12, 제13 및 제16 핀(121, 122, 123, 126)으로 연결된다.
제3 커넥터의 제22 핀(132) 및 제23 핀(133)은 트랜스포머부(140)의 제2 출력 탭(152)과 제5 출력 탭(155)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트랜스포머부(140)의 출력 측 센터탭인 제2 출력 탭(152)과 제5 출력 탭(155)에 연결된 전화신호의 링 신호와 팁 신호는 제2 커넥터(120)의 핀들을 통해 4페어 UTP 전송선로에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를 사용한 시스템의 연결도이다.
도 6의 예에서는 두 대의 전화(6, 7)를 위해 4페어의 전송선로(3)가 사용되는 예를 보여준다.
전화 교환기(2)의 두 대의 전화를 위한 두 페어의 신호는 분배기(300)의 제3 커넥터(330)를 통해 제2 커넥터(320)에 연결되고, 제1 커넥터(310)에 연결된 인터넷 스위치(1)의 이더넷 신호와 함께 가정 또는 사무실의 분배기(400)에 전달된다.
가정 또는 사무실의 분배기(400)에 전달된 이더넷 신호와 전화 신호는 분배기(400)에 의해 분리되어 PC(5)와 두 대의 전화(6, 7)에 각각 전달된다.
도 7은 이렇게 두 대의 전화선을 동시에 연결하기 위한 분배기의 보다 자세한 구조도이다.
분배기(300)는 제1 커넥터(310), 제2 커넥터(320), 제3 커넥터(330)와 함께 두 개의 트랜스포머부(340, 360)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전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4페어의 신호선이 필요하고, 따라서 두 개의 트랜스포머부(340, 360)가 필요하다.
제1 커텍터(310)의 제1, 제2, 제3 및 제6 핀(311, 312, 313, 316)은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1, 제3, 제4 및 제6 입력 탭(341, 343, 344, 346)에 연결되고, 제1 커넥터(310)의 제4, 제5, 제7 및 제8 핀(314, 315, 317, 318) 은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입력 탭(361, 363, 364, 366)에 연결된다.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1, 제3, 제4 및 제6 입력 탭(341, 343, 344, 346)의 신호는 제1, 제3, 제4 및 제6 출력 탭(351, 353, 354, 356)에 전달되고, 제2 트랜스포머부(360)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입력 탭(361, 363, 364, 366)의 신호는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출력 탭(371, 373, 374, 376)에 전달된다.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1, 제3, 제4 및 제6 출력 탭(351, 353, 354, 356)은 제2 커넥터(320)의 제11, 제12, 제13 및 제16 핀(321, 322, 323, 326)에 연결되고, 제2 트랜스포머부(360)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출력 탭(371, 373, 374, 376)은 제2 커넥터(320)의 제14, 제15, 제17 및 제18 핀(324, 325, 327, 328)에 연결된다.
두 개의 전화 연결을 위한 두 페어의 전화선은 두 트랜스포머부(340, 360)의 센터 탭들에 연결된다.
제3 커넥터(330)의 제22 및 제23 핀(332, 333)은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2 출력 탭(352) 및 제5 출력 탭(355)에 각각 연결되고, 제3 커넥터(330)의 제21 및 제24 핀(331, 334)은 제2 트랜스포머부(360)의 제12 출력 탭(372) 및 제15 출력 탭(375)에 각각 연결된다.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2 출력 탭(352)으로 입력된 전화 신호는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1 및 제3 출력 탭(351, 353)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제2 커넥터(320)에 전달되고,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5 출력 탭(355)으로 입력된 신호는 제1 트랜스포머부(340)의 제4 및 제6 출력 탭(354, 356)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제2 커넥터(320)에 전달된다.
제2 트랜스포머부(360)의 제12 출력 탭(372)으로 입력된 전화 신호는 제2 트랜스포머부(360)의 제11 및 제13 출력 탭(371, 373)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제2 커넥터(320)에 전달되고, 제2 트랜스포머부(360)의 제15 출력 탭(375)으로 입력된 신호는 제2 트랜스포머부(360)의 제14 및 제16 출력 탭(374, 376)을 통해 이더넷 신호와 함께 제2 커넥터(320)에 전달된다.
사무실이나 가정의 분배기(400)에서는 4페어 UTP 케이블(3)을 통해 전송된 신호가 제2 커넥터(420)에 전달되고, 전송된 신호 중 이더넷 신호는 제1 커넥터(410)를 통해 PC(5)로 전달되고, 전화 신호는 제3 커넥터(430)를 통해 두 대의 전화(6, 7)로 각각 전달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분배기에 의하면 기존 4페어의 전송선로를 활용하여 전화신호를 위해 따로 전송선로를 할당하지 않고서도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4페어의 전송선로를 모두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송선로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4페어 전송선로만으로 1Gbps 속도의 인터넷과 전화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제1 내지 제8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제11 내지 제18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제21 내지 제26 핀을 포함하는 제3 커넥터; 및
    제1 내지 제6 입력 탭과 제1 내지 제6 출력 탭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탭들과 상기 출력 탭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트랜스포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내지 제3 핀 및 제6 핀은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제3, 제4 및 제6 입력 탭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제3, 제4 및 제6 입력 탭의 신호는 제1, 제3, 제4 및 제6 출력 탭에 각각 전달되며,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제3, 제4 및 제6 출력 탭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1 내지 제13 핀 및 제16 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3 커넥터의 제22 및 제23 핀은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2 출력 탭과 제5 출력 탭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2 출력 탭의 신호는 제1 출력 탭 및 제3 출력 탭에 전달되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5 출력 탭의 신호는 제4 및 제6 출력 탭에 전달되는 것인,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4페어의 UTP 케이블 연결을 위한 RJ-45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전화 신호 연결을 위한 RJ-11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2 출력 탭 및 제5 출력 탭은 각각 트랜스포머의 센터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1 및 제3 출력 탭의 신호와 제2 출력 탭에 입력되는 신호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전원을 가지는 신호이고, 상기 트랜스포머부의 제4 및 제6 출력 탭의 신호와 제5 출력 탭에 입력되는 신호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전원을 가지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제11 내지 제16 입력 탭과 제11 내지 제16 출력 탭을 가지고, 상기 입력 탭들과 상기 출력 탭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제2 트랜스포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의 제4, 제5, 제7 및 제8 핀은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입력 탭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입력 탭의 신호는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출력 탭에 각각 전달되며,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1, 제13, 제14 및 제16 출력 탭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14, 제15, 제17 및 제18 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커넥터의 제21 및 제24 핀은 상기 제2 트랜스포머부의 제12 및 제15 출력 탭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KR1020200092522A 2020-07-24 2020-07-24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KR102473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22A KR102473539B1 (ko) 2020-07-24 2020-07-24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22A KR102473539B1 (ko) 2020-07-24 2020-07-24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22A true KR20220013222A (ko) 2022-02-04
KR102473539B1 KR102473539B1 (ko) 2022-12-01

Family

ID=8026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522A KR102473539B1 (ko) 2020-07-24 2020-07-24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911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네트워크 및 음성 서비스를 위한 통합 배선방법
KR20070011964A (ko) * 2005-07-22 2007-01-25 오윤석 음성 및 데이터 신호 동시 전송 장치 및 시스템
KR20080057612A (ko) * 2006-12-20 2008-06-25 대은전자 주식회사 사무실용 아웃렛 허브
KR20100022538A (ko) * 2000-03-20 2010-03-02 모사이드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전화선 상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538A (ko) * 2000-03-20 2010-03-02 모사이드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전화선 상에서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장치
KR20020021911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네트워크 및 음성 서비스를 위한 통합 배선방법
KR20070011964A (ko) * 2005-07-22 2007-01-25 오윤석 음성 및 데이터 신호 동시 전송 장치 및 시스템
KR20080057612A (ko) * 2006-12-20 2008-06-25 대은전자 주식회사 사무실용 아웃렛 허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539B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5747A (en) Broadband and baseband LAN
US5391095A (en) Enhancement of 10 base T networks
CA2423326A1 (en)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ver local area network wiring
CN106375010B (zh) 一种光纤局域网can总线控制装置及组网
CN104041001B (zh) 一种数字用户线局端装置、终端装置和反向供电系统
CN102082714B (zh) 一种含有电力载波模块的以太网无源光网络装置及其信号传输方法
KR102473539B1 (ko) 인터넷 신호 및 전화 신호 동시 전송을 위한 분배기
KR100756244B1 (ko) 파워오버이더넷 기반의 랜 중계장치 및 파워오버이더넷하이브리드 중계장치
CN203618007U (zh) 一种带光口的多通道以太网电缆延长器主端
CN204031181U (zh) 一种光模块
CN106685481A (zh) 一种基于光纤和电力线的通讯编码系统及方法
KR101499894B1 (ko) 이더넷 통신망에서의 단방향 데이터 전송 장치
CN205545320U (zh) 一种具有一光一电双路由自动保护功能的pcm装置
CN201114065Y (zh) 一种带测试口的尾纤
KR100709617B1 (ko) 음성 및 데이터 신호 동시 전송 장치 및 시스템
CN109039659A (zh) G.fast反向供电系统、终端设备以及局端设备
US20080037930A1 (en) Tappable cable segment for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CN203457166U (zh) 新型电力线和电话线网桥装置
KR100955335B1 (ko) 이더넷 서지 보호 회로, tlc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통신 시스템
CN215007697U (zh) 一种光电混合网络架构
CN112953595A (zh) 一种传输数据信号、电源信号及语音信号的设备
CN106533867A (zh) 一种实现多种传输信号相互转换的通信系统
TWM589800U (zh) 供電型超高速網路光電轉換器
KR20020006145A (ko) 초고속전력선 통신모뎀
EP2741428A1 (en) Network access device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