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149A -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149A
KR20220013149A KR1020200092303A KR20200092303A KR20220013149A KR 20220013149 A KR20220013149 A KR 20220013149A KR 1020200092303 A KR1020200092303 A KR 1020200092303A KR 20200092303 A KR20200092303 A KR 20200092303A KR 20220013149 A KR20220013149 A KR 20220013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sub
fuse
pressur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162B1 (ko
Inventor
김한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92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149A/ko
Priority to KR1020220099660A priority patent/KR102496982B1/ko
Priority to KR1020220099659A priority patent/KR102496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2Two-phase, three-phase or polyphase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지상 변압기 고장시 단기간 복구가 가능한 무정전 교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는, 저압으로부터 이상 저압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부, 상기 저압을 고압으로 변압하는 변압부, 및 상기 고압으로부터 이상 고압을 차단하는 제 2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차단부, 상기 변압부, 및 상기 제 2 차단부는 모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transformer without no interruption}
본 발명은 무정전 교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 변압기를 모듈식으로 구성하여, 특정 부분 고장시 해당 모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변압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외관점검, 고압단자간 권선저항 측정, 고압-저압단자간 권선저항 측정, 저압단자간 권선저항 측정 후 불량 판정시 변압기 기기를 교체한다. 특히, 변압기 일부개소 불량 발생시 변압기 전체를 교체한다. 또한, 배전 운영실 또는 지중부서 기기 점검 후, 교체 필요시 협력회사에 인계한다. 특히, 교체중 해당 변압기의 공급 전체에 대해 고객과 휴전 협의가 필요하다.이 경우, 정상 송전중인 단상 고객을 포함한다.
또한, 지상 변압기 교체시(노후, 과부하, 기타 교체사유 발생시), 해당 변압기의 공급 고객과 휴전 협의 후 변압기 기기를 교체해야 한다. 또한, 교체 중 해당 변압기의 공급 전체 고객과 반드시 휴전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체 방식으로 인해, 지상 변압기 고장시 가공 변압기와 대비하여 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상 변압기 고장시 가공 변압기와 대비하여 과다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상 변압기 고장으로 인한 긴급 교체시 단상 고객 휴전으로 인한 민원 발생 및 복구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무정전 교체 제한적 시공이 가능하나, 시공 전 신기술 보유업체와 일정 협의가 필요하며, 변압기 단자 양쪽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경우만 시공 가능하여, 대부분의 공사를 휴전 협의 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전 협의에 따른 주말 또는 야간 교체시 임금 할증이 발생하여 비용상으로 불리하다. 또한, 가공 변압기와 대비하여, 보관 및/또는 운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상 변압기 교체시 전체 공사비 대비 자재비의 비중이 높으나(지중 68∼78%, 가공 17∼37%), 부분교체 불가로 자재비용이 과다 지출되는 경향이 높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54948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지상 변압기 고장시 단기간 복구가 가능한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 변압기 고장시 고객과의 휴전 협의없이도 저비용으로 교체가 가능한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 고장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지상 변압기 고장시 단기간 복구가 가능한 무정전 교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는,
저압으로부터 이상 저압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부;
상기 저압을 고압으로 변압하는 변압부; 및
상기 고압으로부터 이상 고압을 차단하는 제 2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차단부, 상기 변압부, 및 상기 제 2 차단부는 모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는, 상기 변압부와 상기 제 2 차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상 고압 중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을 넘는 고압이 발생하면 융단되는 휴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부, 상기 변압부, 제 2 차단부, 및 상기 휴즈부는 각각 상(A,B,C)별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부는 제 1-1 내지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압부는 제 1 내지 제 3 변압 서브 모듈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차단부는 제 2-1 내지 2-3 차단 서브 모듈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즈부는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1 내지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은 전력용 파워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은 1차 휴즈 및 2차 휴즈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휴즈 및 2차 휴즈는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휴즈는 바요넷(Bayonet) 휴즈이고, 상기 2차 휴즈는 CL(Current Limiting) 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는, 상기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저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는, 상기 제 2-1 내지 2-3 차단 서브 모듈 블록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은 고압 인입 부스바(HA) 및 고압 인출 부스바(H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위에서 기술된 무정전 교체 장치를 이용하여 고장난 변압기를 교체하는 무정전 교체 방법으로서, (a) 바이패스 변압기 및 공사용 개폐기가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바이패스 변압기가 제 1 내지 제 3 변압 서브 모듈 블록 중 교체되는 어느 하나와 함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어느 하나의 변압 서브 모듈 블록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변압 서브 모듈 블록으로 교체되는 단계; 및 (d) 상기 바이패스 변압기 및 공사용 개폐기를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이전에 상기 교체되는 어느 하나이외의 나머지 두개의 상기 변압 서브 모듈 블록에 연결되는 저압 부스부, 고압 부스부, 저압 차단부, 및 고압 차단부중 해당되는 모듈 블록은 방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형 지상 변압기는 교체가 필요한 부위만 교체함으로써, 기자재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무정전 교체 공법 활용으로, 야간 및 주말 작업 최소화하여, 노임 할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기존 지상변압기 기자재에 비해, 각 모듈별 차지 면적과 무게가 가벼우므로, 운반비용 및 보관 장소 면적이 절감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기존 제한된 조건하에 가능했던 무정전 교체를, 기존 가공 무정전 변압기 공법에서 사용하던 공구들을 활용하여, 더욱더 다양하게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휴전 안내 최소화를 통한 휴전 민원 예방 및 고객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교체 장치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교체 장치를 이용하는 무정전 교체 공법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 장치(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정전 교체 장치(100)는, 제 1 차단부(110), 변압부(120), 휴즈부(130), 제 2 차단부(140), 고압 부스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차단부(110)는 이상 저압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220V인 저압보다 큰 저압이 인가되면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압부(120)는 승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저압(예를 들면, 220V)을 고압(예를 들면, 22.9kV)으로 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휴즈부(130)는 일정 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끊어지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휴즈는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주는 안전장치이다. 따라서, 휴즈부(130)는 변압부(120)로부터 출력되는 고압에 이상 고압이 발생하면 융단된다. 따라서, 개방됨으로 이상 고압이 차단된다.
제 2 차단부(140)는 이상 고압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22.9kV보다 큰 고압이 인가되면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차단부(140)는 휴즈부(130)를 통과한 고압 중 일정한 고압 이상이면 작동한다. 예를 들면, 휴즈부(130)에서는 30.0kV이상의 고압일 경우 동작하고, 제 2 차단부(140)는 22.9kV이상의 고압일 경우 동작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고압 부스부(150)는 고압 인입 부스바(HA), 고압 인출 부스바(HB)로 구성된다. HA, HB는 고압 상단자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교체 장치(100)의 세부 구성 블럭도이다. 즉, 도 2는 상별(A,B,C)로 모듈화된 구조이다. 즉, 제 1 차단부(110)는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압부(120)는 제 1 내지 제 3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1,222,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즈부(130)는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231,232,2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차단부(140)는 제 2-1 내지 2-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41,242,243)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1 차단부(110)는 저압(220V)의 전원을 공급받는 저압 부스부(200)가 구성된다. 저압 부스부(200)는 제 1 내지 제 3 저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01,202,203)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3 저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01,202,203)은 저압 입력선과 저압 중성선(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저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01)은 저압 A와 연결되고, 제 2 저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02)은 저압 B와 연결되고, 제 3 저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03)은 저압 C와 연결된다.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은 각각 C상, B상, C상에 연결된다. 즉, 제 1-1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은 C상에 연결되고, 제 1-2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2)은 B상에 연결되고,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3)은 A상에 연결된다.
제 1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1)은 C상에 연결되고, 제 2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2)은 B상에 연결되고, 제 3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은 A상에 연결된다.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에는 전력용 파워 스위치(211-1)가 구성된다. 전력용 파워 스위치는 파워 릴레이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FET(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ET),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파워 정류 다이오드 등과 같은 반도체 스위칭 소자, 사이리스터, GTO(Gate Turn-Off) 사이리스터, TRIAC(Triode for alternating current),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I.C(Integrated Circuit) 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소자의 경우 바이폴라, 전력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MOSFET 소자는 고전압 고전류 동작으로 일반 MOSFET와 달리 DMOS(Double-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의 입력측(즉 1차 권선)은 각각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에 연결되고,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의 출력측(즉 2차 권선)중 하나는 각각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231,232,233)에 연결된다. 또한, 제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의 출력측(즉 2차 권선)중 나머지 하나는 접지선(21)에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231,232,233)은 1차 휴즈(233-1) 및 2차 휴즈(233-2)로 구성된다. 1차 휴즈(233-1)는 바요넷(Bayonet) 휴즈이고, 2차 휴즈(233-2)는 CL(Current Limiting) 휴즈이다. 바요넷 휴즈는 과부하와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고장전류가 일정시간 지속되었을 때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CL 휴즈는 큰 고장전류를 순간적으로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한류 퓨즈는 융단되었을 경우 교체가 불가능하지만, 바요넷 퓨즈는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 2-1 내지 2-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41,242,243)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231,232,233)에 연결되며, 제 2-1 내지 2-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41,242,243)은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단로기(DS: Disconnecting switch) 등이 될 수 있다.
고압 부스부(150)는 제 1 내지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51,252,253)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51,252,253)은 고압 인입 부스바(HA), 고압 인출 부스바(HB)로 구성된다.
모듈화된 구조는 모듈 블록들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어 볼팅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말한다. 부연하면, 모듈 블록들에는 사각형 박스로 외관이 형성되고, 이 외관에는 톱니형처럼 철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블록 외관에는 이러한 철부(미도시)와 정합되는 요홈(미도시)이 가로 또는 세로로 형성된다.
이러한 철부와 요홈이 정합되는 부위에 볼팅을 통해 체결 고정한다. 물론, 이러한 볼팅을 위해 철부와 요홈의 양말단에 관통홀이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구조는 널리 공지되어 있음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교체 장치를 이용하는 무정전 교체 공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A상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을 정전없이 교체하기 위해, 바이패스 변압기(320) 및 공사용 개폐기(310)를 준비하여 연결한다. 부연하면, 연결 케이블(331,332)를 통해 바이패스 변압기(320)의 입력측을 저압 중성선(20)과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3)에 연결하고, 바이패스 변압기(320)의 출력측에 연결된 공사용 개폐기(310)를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53)에 설치된 출력단(301)에 연결한다. 이후, A상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에 연결되는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3)과 제 2-3 고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43)의 스위치(211-1,241-1)가 개방된다.
따라서, 굵은 사각 블럭(300)에 해당하는 A상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을 분리하고, 새로운 정상의 A상 변압 서브 모듈 블록을 조립한다. 이후, 바이패스 변압기(320) 및 공사용 개폐기(310)를 철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특히 도 4는 도 3를 기반으로 A상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을 정전없이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변압기(320) 및 공사용 개폐기(310)를 준비하여 연결한다.
이후, 나머지 B상 및 C상 버스 및 고압 차단부, B상 및 C상 저압 차단부을 방호한다(단계 S410).
이후, 공사용 개폐기(310)의 오프상태에서 연결 케이블(331,332)를 통해 바이패스 변압기(320)의 입력측을 저압 중성선(20)과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3)에 연결하고, 바이패스 변압기(320)의 출력측에 연결된 공사용 개폐기(310)를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53)에 설치된 출력단(301)에 연결한다(단계 S411,S412).
이후, 공사용 개폐기(310) 및 바이패스 변압기(320)를 저압 차단기(즉,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3))에 투입한다(단계 S421). 즉, 바이패스 변압기(320) 및 A상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에 전입이 병렬 공급된다.
이후, A상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에 연결되는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3)과 제 2-3 고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43)의 스위치(211-1,241-1)가 개방(OFF)된다(단계 S422).
이후 교체 대상 변압기인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3)의 접지 단자를 분리하고, 바요넷 휴즈로부터 분리하고, 교체 대상 변압기를 새로운 대상 변압기로 바꾼다(단계 S423).
이후, 새로운 대상 변압기로 교체된 이후, 접지 단자를 연결하고, 바요넷 휴즈를 투입한다(단계 S430). 이를 위해, 바요넷 휴즈는 착탈 분리식으로 구성된다.
이후, 저압 차단부 및 고압 차단부를 모두 ON하고, 바이패스 변압기(320)의 저압 차단기를 개방하여 병렬 공급을 종료한다(단계 S431). 이와 함께, 공사용 개폐기(310)도 개방한다(단계 S440).
이후, 바이패스 변압기(320)의 2차측과 저압 단자간 연결 케이블(331)을 분리하고, 공사용 개폐기(310) 및 A상 버스 바이패스를 분리한다(단계 S450,S451).
이후, B상, C상 방호부를 철거한다(단계 S452). 이러한 방호부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방호 덮개이다.
100: 무정전 교체 장치
110: 제 1 차단부
120: 변압부
130: 휴즈부
140: 제 2 차단부
150: 부스부

Claims (12)

  1. 저압으로부터 이상 저압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부(110);
    상기 저압을 고압으로 변압하는 변압부(120); 및
    상기 고압으로부터 이상 고압을 차단하는 제 2 차단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차단부(110), 상기 변압부(120), 및 상기 제 2 차단부(140)는 모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부(120)와 상기 제 2 차단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상 고압 중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을 넘는 고압이 발생하면 융단되는 휴즈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부(110), 상기 변압부(120), 제 2 차단부(140), 및 상기 휴즈부(130)는 각각 상(A,B,C)별 모듈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부(110)는 제 1-1 내지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압부(120)는 제 1 내지 제 3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1,222,2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차단부(140)는 제 2-1 내지 2-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41,242,2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휴즈부(130)는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231,232,2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내지 제 1-3 저압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은 전력용 파워 스위치(2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휴즈 서브 모듈 블록(231,232,233)은 1차 휴즈(233-1) 및 2차 휴즈(233-2)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휴즈(233-1) 및 2차 휴즈(233-2)는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휴즈(233-1)는 바요넷(Bayonet) 휴즈이고, 상기 2차 휴즈(233-2)는 CL(Current Limiting) 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내지 제 1-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11,212,213)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저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01,202,2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내지 2-3 차단 서브 모듈 블록(241,242,243)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51,252,2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고압 부스 서브 모듈 블록(251,252,253)은 고압 인입 부스바(HA) 및 고압 인출 부스바(H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장치.
  11. 제 1 항에 따른 무정전 교체 장치를 이용하여 고장난 변압기를 교체하는 무정전 교체 방법에 있어서,
    (a) 바이패스 변압기(320) 및 공사용 개폐기(310)가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에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바이패스 변압기(320)가 제 1 내지 제 3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1,222,223) 중 교체되는 어느 하나와 함께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어느 하나의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3)이 오프된 상태에서 다른 변압 서브 모듈 블록으로 교체되는 단계; 및
    (d) 상기 바이패스 변압기(320) 및 공사용 개폐기(310)를 상기 무정전 교체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이전에 상기 교체되는 어느 하나이외의 나머지 두개의 상기 변압 서브 모듈 블록(222,223)에 연결되는 저압 부스부, 고압 부스부, 저압 차단부, 및 고압 차단부중 해당되는 모듈 블록은 방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방법.
KR1020200092303A 2020-07-24 2020-07-24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43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03A KR102433162B1 (ko) 2020-07-24 2020-07-24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9660A KR102496982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9659A KR102496981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03A KR102433162B1 (ko) 2020-07-24 2020-07-24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660A Division KR102496982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9659A Division KR102496981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49A true KR20220013149A (ko) 2022-02-04
KR102433162B1 KR102433162B1 (ko) 2022-08-18

Family

ID=8026779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303A KR102433162B1 (ko) 2020-07-24 2020-07-24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9659A KR102496981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9660A KR102496982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659A KR102496981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9660A KR102496982B1 (ko) 2020-07-24 2022-08-10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31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948A (ko)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20110045837A (ko) * 2009-10-28 2011-05-04 세종전기주식회사 변압기 무정전 교체 공법
JP2017011811A (ja) * 2015-06-18 2017-01-12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変圧器の無停電切替装置及び無停電切替方法
KR20200041535A (ko) * 2018-10-12 2020-04-22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102105812B1 (ko) * 2019-10-08 2020-04-29 조덕승 무정전 변압기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변압기 교체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948A (ko)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20110045837A (ko) * 2009-10-28 2011-05-04 세종전기주식회사 변압기 무정전 교체 공법
JP2017011811A (ja) * 2015-06-18 2017-01-12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変圧器の無停電切替装置及び無停電切替方法
KR20200041535A (ko) * 2018-10-12 2020-04-22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102105812B1 (ko) * 2019-10-08 2020-04-29 조덕승 무정전 변압기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변압기 교체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119A (ko) 2022-08-22
KR102433162B1 (ko) 2022-08-18
KR102496981B1 (ko) 2023-02-08
KR102496982B1 (ko) 2023-02-08
KR20220116118A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0435B2 (en) Transmission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 thereof
Meyer et al. Solid-state circuit breakers and current limiters for medium-voltage systems having distributed power systems
Li et al. Transformerless dynamic voltage restorer
US7830679B2 (en) Transmission system
US8014178B2 (en) Converter station
US9917443B2 (en)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photovoltaic system for feeding electrical power into a medium-voltage network
US20150131189A1 (en) Composite high voltage dc circuit breaker
US94790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dual conversio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20130271888A1 (en) Photovoltaic System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hotovoltaic System
Xiao et al. Components sharing based integrated HVDC circuit breaker for meshed HVDC grids
EP2471164B1 (en) Converter cell module with autotransformer bypass, voltage source converter system comprising such a modu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system
US6178077B1 (en) Electronic branch switching device
Vanteddu et al. Protection design and coordination of DC distributed power systems architectures
US9660439B2 (en) Direct current power distribution and protection system
US8081497B2 (en) Converter station
US7405496B2 (en) Transfer circuit topology for redundant power generator regulators and inverting DC drives
WO2018041338A1 (en) Short-circuit protection of a converter cell auxiliary power supply in a modular multi-cell converter
KR102433162B1 (ko)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CN203722250U (zh) 光伏装置
KR101802509B1 (ko) 캐스케이드 하프 브리지 sscb
US4200907A (en) Method of taking a pole of a high-voltage d-c transmission station out of service
WO2017167744A1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switchgear
Pontt et al. Mitigation of sympathetic interaction between power transformers fed by long Over Head Lines caused by inrush transient currents
Cairoli et al. Ultra-fast utility disconnect switch for high efficiency medium voltage UPS
US20210313799A1 (en) Star point grounding with overvoltage limitation for a polyphase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