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604A -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 Google Patents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604A
KR20220012604A KR1020200091582A KR20200091582A KR20220012604A KR 20220012604 A KR20220012604 A KR 20220012604A KR 1020200091582 A KR1020200091582 A KR 1020200091582A KR 20200091582 A KR20200091582 A KR 20200091582A KR 20220012604 A KR20220012604 A KR 20220012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detergent container
detergent
protrusion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8934B1 (en
Inventor
홍민
Original Assignee
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민 filed Critical 홍민
Priority to KR102020009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934B1/en
Publication of KR2022001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6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9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6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06Antimicrobial, disinfectant bristles, handle, bristle-carrier or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Abstra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ing tool which comprises: a scrapper; a detergent container formed by being extended from the scrapper; and a detergent outl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a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craper and the detergent container has an irregular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ntamination can be effectively removed.

Description

세제 용기 일체형 세척 도구{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본 발명은 세척 도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상의 표면에 생성된 각종 오염, 예를 들어, 물때, 찌든때, 곰팡이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척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tool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various types of contamination generated on the surface of an object, for example, scale, dirt, mold,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그릇이나 컵과 같은 식기나,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된 세면대, 변기, 욕조 또는 타일 등은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재질의 질감으로부터 나오는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강도를 가지는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된다.In general, high-strength metal or ceramic materials are used for tableware such as bowls or cups, washbasins, toilet bowls, bathtubs, or tiles installed in bathrooms or toilets to improve ease of maintenance and appearance quality derived from the texture of the material. is produced by

이러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은 수분이 흡수되거나 표면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질의 소재로 된 유약을 얇게 피복하기 때문에 각종 세제나 세척 도구의 사용에 의해 부식되거나 표면이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항상 수분에 노출되는 사용 환경적 특성상 수분이 건조하면서 표면에 물때가 쉽게 생성될 수 있다.These dishes or washbasin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are not easily corroded or damaged by the use of various detergents or cleaning tools because they are coated with a thin glaze made of glassy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absorption or surface contamination. , Scale can easily form on the surface as moisture dries due to the nature of the environment of use, which is always exposed to moisture.

물때는 수돗물에 포함된 미량의 미네랄 성분이 각종 오염물질이나 세제와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발생한 침전물이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달라붙어 쌓이면서 생성되며, 일반적인 세제와 세척 도구로는 쉽게 제거할 수 없어 스크래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제거하게 된다.Scale is formed when trace minerals contained in tap water react with various pollutants or detergents, and deposits ar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dishes or washbasins, and cannot be easily removed with general detergents and washing tools. It is removed using a tool such as a scraper.

스크래퍼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블레이드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블레이드에 압력을 가하여 블레이드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통해 물때 등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도구로, 이러한 스크래퍼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1244호와 같이 블레이드가 형성된 스크래퍼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The scraper is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a blade made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and a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blade to scrape foreign substances such as scale through the sharp edge of the blade. It consists of a scraper body with blades formed like an arc, 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body.

물때를 이루는 성분은 일반적인 세제로는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스크래퍼로는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생성된 물때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스크래퍼를 사용하여 물때 등을 제거하면 세라믹 재질의 마감 표면층 유약이 함께 제거되면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미세한 홈이 발생하게 되는데, 마감층 표면에 홈이 발생하면 홈에 물때가 쉽게 끼게 되고, 외관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scale are not easily decomposed with general detergents,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scal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dishes or washbasins with a conventional scraper. In addition, if scale is removed using a plastic or metal scraper, the glaze of the finished surface layer made of ceramic is removed together, and fine groove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dishes or washbasins. There was a problem that scale easily gets stuck and the appearance quality is greatly deteriorated.

이에 대해, 한국등록특허 제10-2049702호는 스크래퍼, 스크래퍼가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와 연결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그립으로 이루어지는 세척 도구의 스크래퍼가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가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스크래퍼 끝단의 블레이드 양측면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물때 제거 효과를 향상시킨 식기 또는 세면대 등 세라믹 재질 표면 물때 제거용 세척 도구를 개시한다.On the other hand, Korea Patent No. 10-2049702 discloses that the scraper of a cleaning tool consisting of a scraper, a fixing part to which the scraper is fixed, and a grip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to act as a handle is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of polyethylene and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Disclosed is a cleaning tool for removing scale from the surface of a ceramic material such as a tableware or a washbasin, in which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at the end of the scraper to improve the effect of removing scale.

다만, 이러한 세척 도구를 세제와 함께 적용하는 경우, 별도의 세제 용기에 담지된 세제를 세척 도구 및/또는 세척 부위에 적용한 다음 세척 도구를 사용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 이러한 과정이 수차례 반복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의 대상과 목적에 따라 세제 및 세척 도구가 독립적으로 적절히 조합되지 않으면 세척 부위의 위생 상태가 오히려 더 악화될 수 있다.However, if such a cleaning tool is applied together with a detergent, the detergent contained in a separate detergent container must be applied to the cleaning tool and/or the cleaning area, and then the cleaning tool must be used, and in some cases, this process must be repeated several tim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tigue of the aggravat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object and purpose of washing, if the detergent and the washing tool are not independently properly combined,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washing area may be rather deteriorat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의 세척 도구를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세제를 적용할 수 있고, 세제가 담지된 용기가 손잡이로 작용하도록 하여 대상의 표면에 생성된 각종 오염, 예를 들어, 물때, 찌든때, 곰팡이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척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detergent as needed while using a single washing tool, and to make the container in which the detergent is loaded act as a hand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ing tool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various contaminations generated on the surface, for example, scale, dirt, mold,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로부터 연장 형성된 세제 용기; 및 상기 세제 용기의 일 단에 구비된 세제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세제 용기 중 적어도 하나 의 표면은 요철을 포함하는 세척 도구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aper; a detergent container extending from the scraper; and a detergent outl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wherei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craper and the detergent container includes irregulariti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세제 용기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craper and the detergent container may be integrally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세제 용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요철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craper and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unevenness may be integrally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은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측벽이 열-압착된 상기 비투습성 소재의 적층 구조를 통해 상기 세제 용기의 타 단을 밀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de 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made of a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and the scraper may seal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a laminate structure of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to which the side wall is heat-pres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의 두께는 0.1~10mm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scraper may be 0.1 ~ 10m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된 2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돌기는 0.1~10mm의 제1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nevenness may include two or more protrusion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two or more protrus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interval of 0.1 to 10 m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는 0.1~200mm의 제2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nevenness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cond interval of 0.1 to 200 mm, and the second interval is different from the first interval. direction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nevenness may include two or more linear protrusion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높이는 0.1~10mm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unevenness may be 0.1 to 10 mm.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 및 상기 스크래퍼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제, 방향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scraper may include an antibacterial agent, an air freshener,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척 도구는,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로부터 연장 형성된 세제 용기, 및 상기 세제 용기의 일 단에 구비된 세제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의 표면은 요철을 포함함으로써, 단일의 세척 도구를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세제를 적용할 수 있고, 세제가 담지된 용기가 손잡이로 작용하도록 하여 대상의 표면에 생성된 각종 오염, 예를 들어, 물때, 찌든때, 곰팡이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aper, a detergent container extending from the scraper, and a detergent outl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surface of the scraper includes irregularities, so that a single cleaning Detergent can be applied as needed while using the tool, and by allowing the container with the detergent to act as a handle, various contaminations, such as scale, dirt, mold, etc.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can be effectively removed.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A 또는 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표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의 패턴(평면도)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A 또는 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표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의 패턴(평면도)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의 패턴(평면도)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의 측벽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ross-section of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surface of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or B of FIG. 1 .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even pattern (pla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surface of a scr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or B of FIG. 1 .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even pattern (plan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even pattern (plan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ross-section of a side wall of a det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도구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ross-section of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척 도구는, 스크래퍼(100); 상기 스크래퍼(100)로부터 연장 형성된 세제 용기(200); 및 상기 세제 용기(200)의 일 단에 구비된 세제 토출구(30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100) 및 상기 세제 용기(200) 중 적어도 하나 의 표면은 요철(14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aper 100; a detergent container 200 extending from the scraper 100; and a detergent outlet 300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wherei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craper 10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200 may include an unevenness 140 .

상기 스크래퍼(100)는 세척 부위가 접촉하여 세척 부위에 생성된 오염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스크래퍼(100)의 표면에 포함된 요철(140)은 세척 부위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세척 부위로부터 오염을 박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접촉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사용자가 오염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The scraper 100 can remove the contamination generated in the cleaning area by contacting the cleaning area, and the unevenness 140 included in the surface of the scraper 100 not only increase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cleaning area but also the cleaning area. The force required to peel the contamination from the site is distributed substantially uniformly on the contact surface, allowing the user to more easily and effectively remove the contamination.

상기 세제 용기(200)는 상기 스크래퍼(100)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스크래퍼(100) 및 상기 세제 용기(20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래퍼(100) 및 상기 세제 용기(200)는 동종 및/또는 동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있거나 그 사이에 임의의 이격없이 접착, 실링, 절곡과 같은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 용기(200)의 표면은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된 요철(1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세제 용기(200)의 표면에 포함된 요철(140)은 세척 부위와의 접촉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세척 부위로부터 오염을 박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접촉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사용자가 오염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tergent container 200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scraper 100 , and accordingly, the scraper 10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Specifically, the scraper 10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200 may be made of the same and/or homogeneous material and/or may be interconnected by a method such as bonding, sealing, or bending without any gap therebetween. .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may include irregularities 140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irregularities 140 included in the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washing part. In addition, the force required to peel the contamination from the cleaning site is substantially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contact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remove the contamination more easily and effectively.

특히, 상기 스크래퍼(100)의 표면과 상기 세제 용기(200)의 표면이 모두 요철(140)을 포함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세척 도구의 전(全) 영역이 세척 부위에 생성된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스크래퍼(100) 및 상기 세제 용기(200)의 표면 중 일부 영역에 포함된 요철(140)이 마모되어 세척력이 저하된 경우 다른 영역에 포함된 요철(140)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 도구의 내구성과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both the surface of the scraper 100 and the surf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include the irregularities 140 , substantially the entire area of the cleaning tool is capable of removing contamination generated in the cleaning area. When the irregularities 140 included in some areas of the surface of the scraper 10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200 are worn and the cleaning power is reduced, the irregularities 140 included in other areas are removed. Because it can be washed by using it, the durability and lifespan of the cleaning tool can be exten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스크래퍼(100)는 그 표면에 포함된 요철에 상응하는 패턴을 가지는 롤, 스탬프,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로 상기 세제 용기(200)의 타 단,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 용기(200)의 측벽의 타 단을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러한 가압 시 상기 부재 및/또는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을 가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세제 용기의 타 단"은 상기 세제 용기(200) 중 상기 세제 토출구(300)가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단부를 의미한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scraper 100 is a roll, stamp, or similar member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rregularities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specifically, the detergent container ( 200)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other end of the sidewall, and if necessary, the member and/or the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may be heated during such pressing. As used herein, the term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refers to an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excluding the portion to which the detergent outlet 300 is coupled.

상기 스크래퍼(100) 및 상기 세제 용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요철(14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래퍼(100) 및 상기 세제 용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요철(140)은 동종 및/또는 동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있거나 그 사이에 임의의 이격없이 접착, 실링, 절곡과 같은 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craper 10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200 and the unevenness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scraper 10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200, and the unevenness 140 may be made of the same and/or homogeneous material, and/or adhesive, sealing, They can be interconnected in such a way as by bending.

또한, 상기 요철(140)은 이에 상응하는 패턴을 가지는 롤, 스탬프,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로 상기 스크래퍼(100) 및/또는 상기 세제 용기(200)를 가압하여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러한 가압 시 상기 부재 및/또는 상기 스크래퍼(100) 및/또는 상기 세제 용기(200)를 가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nevenness 140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scraper 100 and/or the detergent container 200 with a roll having a corresponding pattern, a stamp, or a member similar thereto, and if necessary, When pressing, the member and/or the scraper 100 and/or the detergent container 200 may be heated.

또한, 상기 스크래퍼(100), 상기 세제 용기(200) 및 상기 요철(14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상기 스크래퍼(100)의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요철에 상응하는 패턴을 가지는 롤, 스탬프, 또는 이와 유사한 부재로 상기 세제 용기(200)의 타 단, 구체적으로, 상기 세제 용기(200)의 측벽의 타 단을 가압하는 방식의 단일 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aper 100, the detergent container 200, and the unevenness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which includes a roll having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unevenness to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raper 100, a stamp,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process of pressing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specifically, the oth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with a similar member.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 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는 유리질의 소재로 된 유약을 얇게 피복하여 수분이 흡수되거나 표면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품질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일반적인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된 스크래퍼 및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세라믹 재질로 된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물때를 제거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유약 표면층이 손상되기 쉽고, 블레이드와의 접촉부에 마찰이 발생하여 세척 도구를 사용하는데 큰 힘이 들어가며, 블레이드가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물때를 쉽게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스크래퍼(100) 및 이와 일체로 이루어진 상기 요철(140)은 세척 대상의 표면에 밀착, 접촉하여 물때를 제거할 수 있다.A thin layer of glaze made of glassy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metal or ceramic tableware or washbasin to prevent moisture absorption or surface contamination, and to improve the appearance quality. When using a scraper or blade to remove scale from ceramic dishes or washbasins, the sharp edge of the blade can easily damage the glaze surface layer, and friction occurs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blade, so it takes a lot of force to use the cleaning tool. As the blade does not completel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or washbasin, scale cannot be easily removed. In contrast, the scraper 100 and the irregularities 140 formed integrally therewith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to remove scale.

또한, 상기 세척 도구의 경우, 단일의 세척 도구를 사용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세제를 적용할 수 있고, 세제가 담지된 용기가 손잡이로 작용하도록 하여 대상의 표면에 생성된 각종 오염, 예를 들어, 물때, 찌든때, 곰팡이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leaning tool, a detergent can be applied as needed while using a single cleaning tool, and various contamination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for example, scale, by allowing the container in which the detergent is loaded to act as a handle , dirt, mold, etc. can be effectively removed.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은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측벽이 열-압착된 상기 비투습성 소재의 적층 구조를 통해 상기 세제 용기의 타 단을 밀봉할 수 있다.2 and 3 , the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may be made of a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and the scraper seals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to which the sidewall is heat-pressed. can do.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200)은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200)의 타 단이 열-압착되어 상기 세제 용기의 타 단을 밀봉하도록 형성된 상기 스크래퍼(100) 또한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비투습성"은 물, 수분, 습기가 실질적으로 통과, 투과하지 않도록 하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투습성 소재는 비다공질 및/또는 다공질일 수 있다. 상기 비투습성 소재가 다공질인 경우, 기공의 최소 크기는 세척, 청소 시 발생하는 물, 수분, 습기의 액적(droplet)의 최소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투습성 소재는 유연성을 가지는 연질 소재일 수 있고, 상기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스크래퍼(100) 및 상기 세제 용기(100) 또한 연질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side wall 200 of the detergent container may be made of a moisture-permeable material, and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side wall 200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heat-pressed to seal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 may also be made of a non-moisture-permeable material. As used herein, the term "moisture impermeability" refers to a property that does not substantially pass or permeate water, moisture, and moisture, and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may be non-porous and/or porous. When the moisture-permeable material is porous, the minimum size of the pores may be smaller than the minimum size of water, moisture, and moisture droplets generated during washing and cleaning. In addition,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may be a soft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the scraper 100 and the detergent container 100 made of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may also have soft properties.

예를 들어,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200)은 에틸렌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스킨층을 포함하는 PBL(Plastic Barrier Lami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200)은 알루미늄 필름이 상기 코어층과 상기 스킨층의 사이에 개재되거나, 상기 코어층 및/또는 상기 스킨층으로 대체된 ABL(Aluminum Barrier Lami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idewall 200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made of a plastic barrier laminate (PBL) material including a core 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 alcohol, and a skin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containing polyethylene. can be done In addition, the sidewall 200 of the detergent container may be made of an aluminum barrier laminate (ABL) material in which an aluminum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core layer and the skin layer, or replaced with the core layer and/or the skin layer. .

상기 PBL 및/또는 ABL은 연질 소재로, 내식성이 강하여 상기 세척 도구를 사용하여 물때를 제거할 때 물때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나 각종 오염물질이 상기 스크래퍼(100)의 표면에 쉽게 전이,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PBL 및/또는 ABL은 주로 치약 또는 화장품 등의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데, 치약 또는 화장품을 소진한 후 폐기되는 용기를 그대로 재사용하거나, 적절한 후처리를 거쳐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세척 도구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The PBL and/or ABL is a soft material and has strong corrosion resistance so that when removing scale using the cleaning tool, mineral components or various contaminants included in scale are not easily transferred o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scraper 100. do. The PBL and/or ABL are mainly used in containers such as toothpaste or cosmetics, and since the container discarded after the toothpaste or cosmetics is exhausted can be reused as it is, or it can be reused after appropriate post-treatment, it is not only eco-friendly but also of cleaning tool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기 스크래퍼(100)는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200)이 열-압착된 상기 비투습성 소재의 이중층(bilayer) 구조, 바람직하게는, 제1 비투습층(110) 및 제2 비투습층(120)이 접합면(130)에서 결합된 이중층 구조를 통해 상기 세제 용기(200)의 타 단을 밀봉함과 동시에, 물때, 찌든때, 곰팡이류 등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수준의 강도, 경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scraper 100 has a bilayer structure of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to which the sidewall 200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heat-compressed, preferably, the first moisture impermeable layer 110 and the second moisture impermeable layer 120 . ) seals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through the double-layer structure combined at the bonding surface 130, and at the same time, ha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hardness necessary to remove scale, dirt, mold, etc. can be obtained

상기 PBL 및/또는 ABL로 이루어진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상기 스크래퍼(100)은 세척 대상과의 마찰력을 경감시킬 수 있고, 단단한 표면을 가지면서도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세척 도구를 사용하여 식기 또는 세면대 등의 곡면에 밀착시켜 표면에 생성된 물때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100)은 세척 대상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 후 손상된 표면에 물때가 재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scraper 100 having a double-layer structure made of the PBL and/or ABL can reduc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has a hard surface and has a property of being easily deformed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user You can easily remove the scale created on the surface by attaching it to a curved surface such as a tableware or washbasin using a cleaning tool without much effort. In addition, the scraper 100 can prevent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from being damag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regeneration of scale on the damaged surface after cleaning.

상기 스크래퍼(100)의 두께는 0.1~10mm일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100)의 두께는, 예를 들어, PBL을 구성하는 코어층 및/또는 스킨층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100)의 두께가 0.1mm 미만이면 물때, 찌든때, 곰팡이류 등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수준의 강도, 경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mm 초과이면 유연성, 사용감, 세제와의 상용성 및 그에 따른 세척력이 저하될 수 있다.The scraper 100 may have a thickness of 0.1 to 10 mm. The thickness of the scraper 1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for example, the number of core layers and/or skin layers constituting the PBL. If the thickness of the scraper 100 is less than 0.1 mm,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hardness at a level necessary to remove scale, dirt, mold, etc. may not be secured, and durability may be reduced, and if it exceeds 10 mm, flexibility , the feeling of use, compatibility with detergents, and thus cleaning power may be reduced.

도 4는 도 1의 A 또는 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표면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의 패턴(평면도)을 도식화한 것이다.4 is a schematic view of the surface of a scr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or B of FIG. 1 ,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pattern (plan view) of irregular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요철(140)은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된 2 이상의 돌기(141)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돌기는 0.1~10mm의 제1 간격(142)으로 이격될 수 있다.4 and 5 , the unevenness 140 may include two or more protrusions 141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nd the two or more protrusions may be spaced apart by a first interval 142 of 0.1 to 10 mm. .

상기 제1 간격(142)은, 상기 요철(140)에 포함된 2 이상의 돌기(141) 중 상호 인접한 돌기 간의 간격, 및/또는 후술할 제2 돌기부(151)에 포함된 2 이상의 돌기 중 상호 인접한 돌기 간의 간격을 의미한다. 상기 제1 간격(142)이 0.1mm 미만이면 물때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표면 조도(roughness)를 확보할 수 없고, 세척 대상의 표면에서 물에 의한 저항이 증가하여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돌기 간에 간격을 부여하기 위한 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제1 간격(142)이 10mm 초과이면 단위 면적당 돌기의 수와 그에 따른 돌기의 표면적이 작아져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The first gap 142 is a space between adjacent protrusions among the two or more protrusions 141 included in the unevenness 140 , and/or i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wo or more protrusions included in the second protrusion 151 to be described later. It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projections. If the first gap 142 is less than 0.1 mm,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minimum surface roughness required to remove scale, and the resistance by water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washed is increased, so that scale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Ra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molding is difficult to provide a gap between the projections.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gap 142 is greater than 10 mm, the number of protrusions per unit area and the resulting surface area of the protrusions are small, so that scale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상기 돌기의 하단 단면적은 상단 단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의 상단은 라운드 처리되거나(도 4(b)), 침상체 형태로 성형될 수 있고(도 4(c)), 이들이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기(141)의 하단 단면적이 상단 단면적에 비해 큰 경우, 세척 시 상기 돌기(141)의 하단이 지지력,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중단 및 상단이 상기 돌기(141)에 유연성과 그에 따른 세척력을 제공할 수 있다.A cross-sectional area of a lower end of the protrusion may be greater than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end.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may be round-treated (FIG. 4(b)) or may be molded into a needle shape (FIG. 4(c)), and may have a combin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41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e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41 provides support and fixing force during washing, while the middle and upper ends of the protrusion 141 provide flexibility and cleaning power accordingly. can provide

도 6은 도 1의 A 또는 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퍼의 표면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의 패턴(평면도)을 도식화한 것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urface of a scr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or B of FIG. .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요철(140)은 제1 돌기부(141) 및 제2 돌기부(1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는 0.1~200mm의 제2 간격(160)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간격(160)은 상기 제1 간격(142)과 상이한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unevenness 14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41 and a second protrusion 151 , and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by a second interval 160 of 0.1 to 200 mm, and , the second gap 16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gap 142 , preferably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141, 151)는 0.1~200mm의 제2 간격(160)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160)은, 상기 요철(140)의 평면도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141) 및 이에 인접한 상기 제2 돌기부(151)를 구획하는 분할선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41 and 15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cond interval 160 of 0.1 to 200 mm. The second gap 160 may be defined as a thickness of a dividing line dividing the first protrusion 141 and the second protrusion 151 adjacent thereto in a plan view of the irregularities 140 .

상기 제2 간격(160)의 크기는 상기 세척 도구의 적용 대상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110)의 크기에 따라 0.1~200mm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100mm, 더 바람직하게는, 0.1~50mm일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160)이 0.1mm 미만이면 물때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표면 조도(roughness)를 확보할 수 없고, 세척 대상의 표면에서 물에 의한 저항이 증가하여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돌기 간에 간격을 부여하기 위한 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제2 간격(160)이 200mm 초과이면 단위 면적당 돌기의 수와 그에 따른 돌기의 표면적이 작아져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The size of the second gap 160 may be adjusted in the range of 0.1 to 200 mm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craper 110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arget of the cleaning tool, preferably, 0.1 to 100 mm, more preferably , may be 0.1 to 50 mm. If the second gap 160 is less than 0.1 mm,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the minimum surface roughness required to remove scale, and the resistance by water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washed is increased, so that scale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Rath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molding is difficult to provide a gap between the projectio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gap 160 is greater than 200 mm, the number of protrusions per unit area and the resulting surface area of the protrusions become small, so that scale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 돌기부(141) 및 상기 제2 돌기부(151)는 상호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부(141)에 포함된 돌기는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이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기부(151)에 포함된 돌기는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protrusion 141 and the second protrusion 151 may have the same pattern as each other, or may have different pattern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protrusions included in the first protrusion 141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or may be formed in different pattern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protrusions included in the second protrusion part 151 may have the same pattern or, if necessary, may have different patterns.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141, 151)는 상기 제2 간격(160)에 의해 이격되어 필요에 따라, 1회 이상 교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는 이러한 제1 및 제2 돌기부(141, 151)가 2회 교차 형성된 패턴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상기 제1 돌기부(141)는 직선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평행 배열되고, 상기 제2 돌기부(151)는 상기 제1 돌기부(141)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거나(도 7(a)), 상기 제1 돌기부(141)와 어긋난 직선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평행 배열되거나(도 7(b)), 곡선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평행 배열되거나(도 7(c)), 동심원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7(d)).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41 and 151 are spaced apart by the second gap 160 and, if necessary, may be formed to cross one or more times, and FIG. 4 shows thes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 141 and 151) indicate a pattern that is crossed twice. In FIG. 4, the first protrusion 141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straight line pattern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second protrusion 151 has the same pattern as the first protrusion 141 (Fig. 7(a)). )),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straight pattern displaced from the first protrusion 141 are arranged in parallel (Fig. 7(b)),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curved pattern are arranged in parallel (Fig. 7(c)), I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concentric circle pattern (FIG. 7(d)).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제2 돌기부(151)는 직선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평행 배열되고, 상기 제1 돌기부(141)는 상기 제2 돌기부(151)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거나, 상기 제2 돌기부(151)와 어긋난 직선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평행 배열되거나, 곡선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평행 배열되거나, 동심원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protrusion 151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straight pattern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first protrusion 141 has the same pattern as the second protrusion 151 or the second protrus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straight pattern displaced from (151)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curved pattern may be arranged in parallel,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a concentric circle pattern may be 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요철의 패턴(평면도)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요철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선형 돌기"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선형 패턴을 가지는 돌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형 패턴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even pattern (plan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 the unevenness may include two or more linear protrusion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s used herein, the term “linear protrusion” refers to a protrusion having a linear pattern mad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linear pattern may be continuous or discontinuous.

일반적으로, 세척 도구에서 이러한 요철은 일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때 제거 시 세척 도구를 특정 방향으로 적용할 수 밖에 없는, 즉, 세척 도구의 적용 방향이 요철의 방향에 의해 제한되어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상기 요철(140)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방향에 따른 제약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se irregularities are formed in only one direction in a cleaning tool,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cleaning tool because the cleaning tool has no choice but to be applied in a specific direction when removing scale, that is,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cleaning tool is limited by the uneven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In contrast, since the unevenness 140 includes two or more linear protrusion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restric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cale can be effectively removed.

상기 선형 돌기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상이한 방향"은, (1) 2 이상의 직선형 돌기가 상호 평행이 아닌 경우(도 8(a) 및 8(b)), (2) 1 이상의 직선형 돌기가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는 경우(도 8(c)), (3) 1 이상의 곡선형 돌기의 임의의 2개의 지점에서의 접선이 상호 평행이 아닌 경우(도 8(d))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linear protrusion may be formed of two or more linear protrusion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s used herein, the term "different directions" refers to (1) when two or more straight projections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FIGS. 8(a) and 8(b)), (2) when one or more straight projections have a zigzag shape It can be interpreted as including cases (FIG. 8(c)) and (3) cases in which tangents at any two points of one or more curved projections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FIG. 8(d)).

상기 요철(140)의 높이, 구체적으로, 상기 요철(140)에 포함된 돌기(141, 151)의 높이는 0.1~10mm일 수 있다. 상기 요철(140)의 높이는, 예를 들어, PBL을 구성하는 코어층 및/또는 스킨층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요철(140)의 높이가 0.1mm 미만이면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10mm 초과이면 상기 스크래퍼(100)를 손으로 직접 쥐고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unevenness 140 ,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projections 141 and 151 included in the unevenness 140 may be 0.1 to 10 mm. The height of the irregularities 14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for example, the number of core layers and/or skin layers constituting the PBL. If the height of the irregularities 140 is less than 0.1 mm, scale cannot be effectively removed, and if it exceeds 10 mm, the feeling of use may be reduced when the scraper 100 is directly held and used by hand.

한편,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 및 상기 스크래퍼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제, 방향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sidewall and the scraper of the detergent container may include an antibacterial agent, a perfume,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항균제 및/또는 상기 방향제는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 및/또는 상기 스크래퍼의 내부에 적절히 분산되거나,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 및/또는 상기 스크래퍼의 표면에 적절히 도포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agent and/or the fragrance agent may be suitably dispersed on the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or inside the scraper, or may be suitably applied to the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or the surface of the scraper.

또한, 상기 항균제 및/또는 상기 방향제를 미리 정해진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혼합하여 필름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러한 필름을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 및/또는 상기 스크래퍼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의 측벽의 단면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200)은 비투습층(210) 및 기능층(30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필름이 상기 기능층(300)에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bacterial agent and/or the perfume is mixed with a predetermined resin,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o prepare a film form, and then this film is attached to the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or the surface of the scraper can do it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ross-section of a side wall of a detergen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 the sidewall 200 of the detergent container may include a moisture-permeable layer 210 and a functional layer 300 , and the film prepa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functional layer 300 . .

상기 항균제는 무기계 항균제, 유기계 항균제, 금속계 항균제, 암모늄염계 항균제, 구아니딘계 항균제, 구리 화합물계 항균제, 서방성 고분자 항균제, 천연물계 항균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ntibacterial agen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s, organic antibacterial agents, metal antibacterial agents, ammonium salt antibacterial agents, guanidine antibacterial agents, copper compound antibacterial agents, sustained release polymer antibacterial agents, natural antibacterial agents,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It is not limited.

상기 유기계 항균제는 주로 액상 상태로 되어 있고, 살균보다는 세균의 군락(colony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즉각적인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장점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항균력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다만, 항균력의 지속성이 일시적이고, 고온 조건에서는 상기 유기계 항균제가 열분해될 수 있어 적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내성균을 발생시킬 수 있고, 급성독성이 높기 때문에 인체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항균제는 치아벤다졸계, 이소치아졸계, 징크 피리치온계, 이미다졸계, 카벤다졸계, 트리콜론산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rganic antibacterial agent is mainly in a liquid state, and has the advantage of exhibiting an immediate antibacterial effect 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colony of bacteria rather than sterilization, so it can be added to products requiring antibacterial activity in a short time. The durability of antibacterial activity is temporary, and the organic antibacterial agent can be thermally decompos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o it cannot be applied.In addition, it can generate resistant bacteria and threaten human safety because of its high acute toxicity.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iabendazole, isothiazole, zinc pyrithione, imidazole, carbendazole, tricholonic acid,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천연물계 항균제는 일상 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물질로, 사용자에게 친근감을 유발함은 물론 인체 안전성이 가장 우수하나, 내열성 및 광 안정성이 낮아 적용범위가 극히 제한적이고, 사용량 대비 항균 효능이 떨어져, 항균제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천연물계 항균제의 종류가 목단피, 자몽종자, 대나무, 무화과, 쑥, 알로에, 단삼, 피톤치드, 녹차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s a substance frequently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it induces user friendliness and has the best human safety. Efficiency may be reduced. The type of th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ulberry bark, grapefruit seed, bamboo, fig, mugwort, aloe, ginseng, phytoncide, green tea,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초기 항균력이 낮으나 상기 유기계 항균제와 달리 인체 안전성 및 열 안정성이 높고, 내성균이 발생되지 않으며, 항균 지속성이 거의 반영구적이므로, 그 사용범위가 상기 유기계 항균제에 비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올라이트, 인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등과 같은 무기 담체에 은(Ag), 아연(Zn), 구리(Cu), 망간(Mn) 등과 같이 항균 활성이 우수한 금속 이온을 치환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계 항균제는 미세한 기공을 가진 3차원의 골격 구조를 가지므로 비표면적이 크고 내열성이 우수하다. 특히, 제올라이트계 항균제는 상기 금속 이온의 담지율이 높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계 항균제는 기타 항균제에 비해 변색 문제가 없고, 높은 항균력, 높은 안전성, 낮은 입자 경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인산칼슘계 항균제는 치환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가 낮아 항균력이 상기 제올라이트계 항균제에 비해 치환되는 금속 이온의 농도가 낮아 항균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The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 has a low initial antibacterial activity, but unlike the organic antibacterial agent, human safety and thermal stability are high, resistant bacteria do not occur, and antibacterial durability is almost semi-permanent, so its use range can be broadly applied compared to the organic antibacterial agent. The inorganic antibacterial agent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eolite, calcium phosphate, zirconium phosphate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and preferably, silver (Ag), zinc ( Zn), copper (Cu), manganese (Mn), such as a metal ion having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may be substituted. Since the inorganic antimicrobial agent has a three-dimensional skeleton structure with fine pores, it has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In particular, the zeolite-based antibacterial agent is the most widely used because of the high metal ion support. In addition, the zeolite-based antibacterial agent does not have a discoloration problem compared to other antibacterial agents, and has advantages such as high antibacterial power, high safety, and low particle hardness. On the other hand, the calcium phosphate-based antibacterial ag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ion to be substituted is low, and thus the antibacterial activity is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metal ion to be substituted is low compared to the zeolite-based antibacterial agent.

상기 금속 이온은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은(Ag)일 수 있다. 상기 은(Ag)은 항균 활성이 뛰어나고 인체에 무독성, 무자극성이며 화학적으로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은 이온이 방출될 수 있어 항균 지속성이 우수하다.The metal ion may be selected as needed, but preferably silver (Ag). The silver (Ag) has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is non-toxic and non-irritating to the human body, and has excellent chemical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silver ions can be relea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tibacterial durability is excellent.

상기 방향제는 천연 방향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방향성 식물의 꽃, 꽃망울, 과실, 잎, 가지, 줄기, 뿌리 및 천연수지 등에서 얻어질 수 있는 휘발성 유상물질로 물보다 가볍고, 정유(essential oil)라 하여 유지와 구별된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추출부위에 1 : 1~100의 중량비로 물을 가하여 가열하거나, 가압 수증기를 통과시켜서 수증기와 함께 정유를 유출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fragrance may be a natural fragrance, preferably, a vegetable oil. The vegetable oil is a volatile oily substance that can be obtained from flowers, buds, fruits, leaves, branches, stems, roots and natural resins of aromatic plants, and is lighter than water, and is called essential oil and is distinguished from oils and fats. In general, the vegetable oil may be prepared by heating by adding water in a weight ratio of 1:1 to 100 to the extraction part of the plant, or by passing pressurized steam to drain the essential oil together with the steam.

이러한 식물성 오일의 제조방법으로는, 정유를 실제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출시키는 수증기 증류법, 과피를 압착해서 제조하는 압착법, 지방과 같은 불휘발성 용매에 흡수시켜 채취하는 흡착법,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용매추출법, 식물의 줄기 또는 뿌리에 상처를 내어 침출하는 수액을 수집하는 침출법, 초임계 가스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각 성분에 따라 특유의 향을 발산하고, 인공 합성 성분에 비해 살균력, 소독력,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방향제는 파인(pine), 쟈스민(jasmin), 레몬(lemon), 라벤더(lavender), 민트(mint)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 method for producing such vegetable oil, steam distillation method in which essential oil is discharg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actual boiling point, compression method in which the skin is pressed, adsorption method in which it is absorbed in a nonvolatile solvent such as fat, and a volatile solvent is used. A solvent extraction method for extracting a fragrance component, a leaching method for collecting a sap that is leached by making a wound on the stem or root of a plant, and a supercritical gas extraction method may be mention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vegetable oil emits a unique fragrance according to each component, and has excellent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tibacterial and antiviral effects compared to artificial synthetic components. The fragrance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ine, jasmin, lemon, lavender, mint, and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세제 용기(200)의 일 단에 구비된 세제 토출구(300)를 통해 상기 세제 용기(200)에 담지된 세제를 필요 시 세척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제 토출구(300)는 상기 세제 용기(2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프레이를 구비한 캡, 절두된 원추상의 캡과 같은 별도의 토출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ergent carried in the detergent container 200 through the detergent outlet 300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200 can be applied to the washing area if necessary. The detergent discharge port 3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etergent container 200, and, if necessary,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ischarge means such as a cap having a spray or a truncated cone-shaped cap.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크래퍼
110: 제1 비투습층
120: 제2 비투습층
130: 접합면
140: 요철
141: 돌기(제1 돌기부)
142: 제1 간격
151: 제2 돌기부
160: 제2 간격
200: 세제 용기 또는 세제 용기의 측벽
210: 비투습층
220: 기능층
300: 세제 토출구
100: scraper
110: first moisture-permeable layer
120: second moisture-permeable layer
130: joint surface
140: irregularities
141: protrusion (first protrusion)
142: first interval
151: second protrusion
160: second interval
200: detergent container or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210: non-moisture-permeable layer
220: functional layer
300: detergent outlet

Claims (10)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로부터 연장 형성된 세제 용기; 및
상기 세제 용기의 일 단에 구비된 세제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세제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요철을 포함하는,
세척 도구.
scraper;
a detergent container extending from the scraper; and
Including; detergent outl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e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scraper and the detergent container comprises irregularities,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세제 용기는 일체로 이루어진,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scraper and the detergent container are integrally formed,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세제 용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요철은 일체로 이루어진,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scraper and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unevenness are integrally formed,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은 비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측벽이 열-압착된 상기 비투습성 소재의 적층 구조를 통해 상기 세제 용기의 타 단을 밀봉하는,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is made of a moisture-permeable material,
The scraper seals the other end of the detergent container through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moisture impermeable material to which the sidewall is heat-pressed,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의 두께는 0.1~10mm인,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craper is 0.1 ~ 10mm,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형성된 2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2 이상의 돌기는 0.1~10mm의 제1 간격으로 이격된,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irregularities include two or more protrusion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 two or mor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by a first interval of 0.1 to 10 mm,
washing too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는 0.1~200mm의 제2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간격은 상기 제1 간격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세척 도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irregularities include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at a second interval of 0.1 ~ 200mm,
The second gap is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gap,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2 이상의 선형 돌기를 포함하는,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irregularities include two or more linear protrusion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높이는 0.1~10mm인,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of the unevenness is 0.1 to 10 mm,
washing too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용기의 측벽 및 상기 스크래퍼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제, 방향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세척 도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idewall of the detergent container and the scraper comprises an antibacterial agent, a fragrance agent, or a combination thereof.
washing tools.
KR1020200091582A 2020-07-23 2020-07-23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KR1023789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82A KR102378934B1 (en) 2020-07-23 2020-07-23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582A KR102378934B1 (en) 2020-07-23 2020-07-23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604A true KR20220012604A (en) 2022-02-04
KR102378934B1 KR102378934B1 (en) 2022-03-24

Family

ID=8026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582A KR102378934B1 (en) 2020-07-23 2020-07-23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93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738A (en) * 2001-10-16 2003-04-23 양두영 Window washer
JP2018171191A (en) * 2017-03-31 2018-11-08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Cleaning tool
KR102049702B1 (en) * 2019-10-24 2019-11-28 홍민 Descal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738A (en) * 2001-10-16 2003-04-23 양두영 Window washer
JP2018171191A (en) * 2017-03-31 2018-11-08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Cleaning tool
KR102049702B1 (en) * 2019-10-24 2019-11-28 홍민 Descal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934B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9150B2 (en) Perfume compositions
CN101766831B (en) Deodorant
FI92012B (en) scrubber
CA2607093A1 (en) Domestic appliance with insert for releasing an antibiotic agent
KR101513739B1 (en) - delivery of an odor control agent through the use of a premoistened wipe
KR102378934B1 (en)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CN113329674A (en) Multilayer substrate comprising an interlayer and polyethylene
KR102398287B1 (en) A cleaning tool with integrated detergent container
EP090733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the brush heads of toothbrushes
JP5919289B2 (en) Antibacterial holder for cleaning tools
EA025459B1 (en) Microbicidal composition
DE10258272A1 (en) Device for dispensing disinfectants and cleaning agents, especially for hands
WO2014039356A1 (en) Dissolvable unit dose applicator for cleaning substances
JP2015504850A (en) Disinfectant composition
KR102339622B1 (en) A cleaning tool
KR102255867B1 (en) Disposable Sanitary Cover for Toilet Bowl
DE19836293B4 (en) Use of a flat layer of adhering wood particles to absorb and kill bacteria
KR20190040394A (en) A disposable sheet for removing mold
JP6040257B2 (en) Disinfectant composition
KR200402611Y1 (en) Sanitary toothbrush cup
KR102613274B1 (en) Four-ply sheets comprising leaf mustard extract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432640A (en) Water-free bacteriostatic hand-washing agent
CN208454665U (en) The device of natural crystal washing degreasing
KR200378920Y1 (en) Phytoncide Spinning Photocatalyst Flooring
CN1429745A (en) Food packaging material of lotus leaf sprayed Chinese medicine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