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443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443A
KR20220012443A KR1020200090816A KR20200090816A KR20220012443A KR 20220012443 A KR20220012443 A KR 20220012443A KR 1020200090816 A KR1020200090816 A KR 1020200090816A KR 20200090816 A KR20200090816 A KR 20200090816A KR 20220012443 A KR20220012443 A KR 20220012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time
determine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호
박승원
김성태
김용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443A/ko
Priority to US17/115,509 priority patent/US11660962B2/en
Priority to CN202011503554.5A priority patent/CN113968166A/zh
Publication of KR2022001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by batteries charg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4Preventing excessive dis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7Vehicle dynamics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9Remaining operating distance or charge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방전상태 또는 성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개시된 일 실시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일 실시예는 차량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하고, 적절한 충전 모드를 판단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배터리 충전 방법은 단순히 배터리의 방전 유무만 판단하고, 암전류로 인한 방전 Flag 발생 시 일괄적 고정 전압, 고정 시간 충전을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배터리 방전 이력을 판단할 수 없어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배터리가 방전되었는지 알 수 없고, 적절한 배터리 충전모드를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된 일 실시예는 배터리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고, 방전 원인에 따른 적절한 충전 모드를 제안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다른 실시예는, 배터리의 방전 이력을 판단하고, 배터리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방전상태 또는 성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 시간 또는 평균 방전 전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을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전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 및 방전 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1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1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2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2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2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 충전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모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강제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방전 경고 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사외 전장품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성능 상태 수치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에서의 성능상태 수치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배터리의 성능상태 수치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 수치의 1%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3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3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3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와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이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4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4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4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방전상태 또는 성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 시간 또는 평균 방전 전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을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전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 및 방전 량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1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1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1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2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2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2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충전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충전모드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강제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방전 경고 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사외 전장품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성능 상태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에서의 성능상태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배터리의 성능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의 1%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3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3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3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와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이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4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4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4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원인을 판단하고, 적절한 충전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개시된 일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배터리 방전 내역을 저장하고, 서비스 센터와 저장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차량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개시된 일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적절한 충전 모드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차량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가 배터리 충전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가 배터리 충전모드의 세부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가 배터리 방전 이력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배터리 방전 정보를 표시하고, 경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개시하는 차량은 하이브리드 차량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및 도 2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차량(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배터리(2), 감지부(100), 제어부(200), 표시부(300) 또는 저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배터리(2)로부터 전력을 차량(1)에 마련된 복수 개의 장치에 전달하게 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2)는 차량(1)에 마련된 복수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배터리(2)는 고잔압 배터리 또는 저전압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의 구동에 적용되는 배터리일 수 있고, 저전압 배터리는 라디오, 에어컨,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차량의 액세서리에 적용될 수 있는 배터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00)는 배터리(2)의 충전상태(SOC), 성능상태(SOH) 또는 방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00)는 배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2)의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 시간 또는 평균 방전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0)는 배터리(2)의 방전 이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감지부(100)가 포함하는 센서는 배터리 센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2)의 충전상태, 성능상태 또는 방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감지부(10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배터리(2)의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 시간 또는 평균 방전 전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충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배터리(2)의 방전 이력을 판단하고, 방전 이력에 기초하여 배터리(2)의 방전 시간 및 방전 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판단된 배터리(2)의 방전 시간 및 방전 량에 기초하여 충전 시간,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가 충전 시간,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과정은 도 3및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차량(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00)는 배터리(2)의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배터리(2) 충전 또는 교체를 경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300)는 배터리(2)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400)는 제어부(200)가 판단한 배터리(2) 충전 모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차량(1) 서비스 센터와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00)는 배터리(2)의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 시간 또는 평균 방전 전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배터리(2)의 방전 이력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00)는 배터리(2)의 실시간 성능상태(SOH), 충전상태(SOC) 및 방전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량(1)에 마련된 구성끼리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미도시)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및 2에 도시된 차량(1)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및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이하는 제어부(200)가 배터리(2) 충전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200)가 배터리(2) 충전 모드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차량(1)에 시동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101).
차량(1)에 시동이 걸린 것으로 판단되면, 감지부(100)는 배터리(2) 충전상태, 방전상태 또는 성능상태(SOH)를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감지 결과를 감지부(100)로부터 수신한다(2102).
구체적으로, 배터리(2) 충전상태(SOC), 방전상태 또는 성능상태(SOH)는 배터리(2)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시간 또는 평균 방전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2) 충전상태(SOC), 방전상태 또는 성능상태(SOH)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00)는 수신된 배터리(2) 충전상태(SOC), 방전상태 또는 성능상태(SOH)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2)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시간 또는 평균 방전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2103).
배터리(2) 배터리(2) 충전상태(SOC), 방전상태 또는 성능상태(SOH) 정보가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배터리(2)에 방전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104).
배터리(2) 방전이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배터리 충전 모드를 판단하고, 결정한다(2105, 2106). 그러나 배터리(2) 방전 이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판단과정을 종료한다.
구체적인 배터리(2) 충전모드 판단 과정은 도 4를 설명하면서 후술한다.
도 4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200)가 배터리(2) 충전모드의 세부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배터리(2) 충전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2201).
제어부(200)는 배터리의 성능상태(SOH)를 수치화 하고, 현재 배터리(2) 성능상태(SOH) 수치와 배터리(2)가 만충 된 경우의 성능상태(SOH) 수치를 비교할 수 있다(2202).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배터리(2) 성능상태(SOH) 수치가 배터리(2)가 만충 된 경우의 성능상태(SOH) 수치의 1%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현재 배터리(2)의 내부저항과 초기 배터리(2)의 내부저항을 비교한다(2203).
그러나, 현재 배터리(2) 성능상태(SOH) 수치가 배터리(2)가 만충 된 경우의 성능상태(SOH) 수치의 1%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배터리(2) 충전 모드를 결정한다(2206).
이 경우, 제어부(200)는 충전 전압을 제3 충전 전압, 충전 전류를 제3 충전 전류 및 충전 시간을 제3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는 제3 충전 전압을 14.8V, 제3 충전 전류를 50A 및 제3 충전 시간을 배터리(2)의 만충전 상태의 85%가 되는 시점까지 충전하도록 충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충전 모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2)의 상태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현재 배터리(2) 내부 저항 값이 초기 배터리(2) 내부 저항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현재 배터리(2)가 노후 된 것으로 판단하고, 배터리(2) 충전 모드를 결정한다. 그러나, 현재 배터리(2) 내부 저항 값이 초기 배터리(2) 내부 저항 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배터리(2)의 방전 시간과 미리 설정된 방전 기준 시간을 비교하고, 배터리 충전 모드를 결정한다(2204, 2206).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배터리(2) 내부 저항 값이 초기 배터리(2) 내부 저항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충전 전압을 제4 충전 전압, 충전 전류를 제4 충전 전류 및 충전 시간을 제4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4의 의미는 배터리(2) 내부 저항 값이 초기 배터리(2) 내부 저항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설정되는 값을 의미하고, 사용자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배터리(2)의 과전류 방전 또는 전류 수입성 과충전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시간이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배터리(2)의 종류, 용량, 수명, 상태 또는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터리(2)의 방전 시간과 미리 설정된 방전 기준 시간을 비교한 결과 배터리(2)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 경우, 제어부(200)는 충전 전압을 제1 충전 전압, 충전 전류를 제1 충전전류 및 충전 시간을 제1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제1 충전 전압을 14.8V, 제1 충전 전류를 50A및 상기 제1 충전 시간을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의 1.1배가 될 때까지 충전하도록 충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충전 모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2)의 상태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2206).
다만, 충전 모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2)의 상태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2)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2)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충전 전압을 제2 충전 전압, 충전 전류를 제2 충전전류 및 충전 시간을 제2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는 제2 충전 전압을 14.5V 내지 14.8V, 제2 충전 전류를 30A 내지 50A 및 제2 충전 시간을 1.5내지 2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충전 모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2)의 상태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의 1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2배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충전 전압을 14.5V, 충전 전류를 30A 및 충전 시간을 1.5 시간으로 하여 충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충전 모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2)의 상태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2)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의 2배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충전 전압을 14.8V, 충전 전류를 50A 및 충전 시간을 1.5 시간으로 하여 충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충전 모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2)의 상태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2)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의 1배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차량(1)의 엔진 가동을 종료하고, 제어과정을 종료한다(2205).
도 5는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가 배터리 방전 이력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배터리(2) 충전 모드를 판단하고, 결정한다(2301, 2302).
배터리(2) 충전 모드가 결정되면, 제어부(200)는 결정된 충전 모드의 판단과정에 사용된 배터리(2) 방전 이력을 저장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가 배터리(2) 방전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개시된 일 실시예는 배터리(2) 방전에 대한 고객 알림으로 상품성 향상 및 서비스 센터의 방전 이력 및 원인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6은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배터리 방전 정보를 표시하고, 경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배터리(2) 충전 모드를 판단하고, 결정한다(2401, 2402).
배터리(2) 충전 모드가 결정되면, 제어부(200)는 결정된 충전 모드를 분석하고, 배터리(2) 방전원인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표시부(3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배터리(2)의 충전, 교체 또는 강제 방전 경고신호를 알리도록 표시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배터리(2) 방전 시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1)의 방전 경고 또는 차량(1)에 마련된 사외 전장품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표시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또는 경고 방식은 차량(1)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HUD 또는 HMI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알림 또는 경고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에게 배터리(2) 관련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2: 배터리
100: 감지부
200: 제어부
300 : 표시부
400: 저장부

Claims (20)

  1.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방전상태 또는 성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 시간 또는 평균 방전 전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을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전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 및 방전 량을 판단하는 차량.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1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1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2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2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2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모드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게 하는 차량.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강제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방전 경고 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사외 전장품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성능 상태 수치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에서의 성능상태 수치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배터리의 성능상태 수치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 수치의 1%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3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3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3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와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이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4 충전 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4 충전 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4 충전시간으로 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11.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방전상태 또는 성능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표시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원인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또는 충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내부저항, 방전 적산량, 방전 순서, 방전 시간 또는 평균 방전 전류를 계산하고, 계산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모드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을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의 방전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전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 및 방전 량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1 충전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1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1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이루어 졌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배터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내 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2 충전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2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2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충전모드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전원부의 강제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방전 경고 또는 상기 차량에 마련된 사외 전장품 방전 경고 신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성능 상태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에서의 성능상태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배터리의 성능상태가 상기 배터리의 만충전 상태의 1%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3 충전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3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3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와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상기 내부저항의 현재 값이 상기 내부저항의 초기 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 전압을 제4 충전전압, 상기 충전 전류를 제4 충전전류 및 상기 충전 시간을 제4 충전시간으로하여 충전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충전모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200090816A 2020-07-22 2020-07-2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20012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16A KR20220012443A (ko) 2020-07-22 2020-07-2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7/115,509 US11660962B2 (en) 2020-07-22 2020-12-08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011503554.5A CN113968166A (zh) 2020-07-22 2020-12-18 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816A KR20220012443A (ko) 2020-07-22 2020-07-2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443A true KR20220012443A (ko) 2022-02-04

Family

ID=7958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816A KR20220012443A (ko) 2020-07-22 2020-07-2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0962B2 (ko)
KR (1) KR20220012443A (ko)
CN (1) CN113968166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7335B2 (en) * 2003-07-22 2007-06-05 Makit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the condition of a rechargeable battery
JP5821899B2 (ja) * 2013-06-04 2015-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劣化検出装置
KR20150018734A (ko) * 2013-08-09 2015-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8029430A (ja) * 2016-08-17 2018-0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EP3968486A4 (en) * 2019-05-06 2022-06-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RGING METHOD AND 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60962B2 (en) 2023-05-30
US20220024311A1 (en) 2022-01-27
CN113968166A (zh)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847B2 (en)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on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state detection method
AU625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ttery type and modify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US20180080995A1 (e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maining running time of a battery
KR101635924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US201400950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of battery
KR10251539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3361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US20130314054A1 (en) Context Aware Battery Charging
KR101672314B1 (ko)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
US11721998B2 (en) Backup battery control module and backup battery control system
KR20150054464A (ko) 배터리 충전 방법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
US201400819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with a Battery Charger
US20180178664A1 (en) Method for prolonging endurance of electric vehicle and associated module
KR20130130949A (ko) 배터리팩의 배터리 유닛 교체 시스템 및 방법
CN107317061A (zh) 动力电池管理方法、系统及汽车
JP2016067144A (ja) 車両用漏電検出装置
JP2008056050A (ja) 電池状態判定方法、電池状態判定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12443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8798945B2 (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reliability of rechargable battery
US20220198843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00191873A1 (en) Battery capacity display device and battery capacity display method
KR102512995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3606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679874B1 (ko) 차량 램프의 잔여 수명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748918B1 (ko) 배터리 밸런싱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