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986A -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986A
KR20220011986A KR1020200090943A KR20200090943A KR20220011986A KR 20220011986 A KR20220011986 A KR 20220011986A KR 1020200090943 A KR1020200090943 A KR 1020200090943A KR 20200090943 A KR20200090943 A KR 20200090943A KR 20220011986 A KR20220011986 A KR 20220011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racket
coupling
coupl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경
김도준
Original Assignee
커넥서스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넥서스원(주) filed Critical 커넥서스원(주)
Priority to KR1020200090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986A/ko
Publication of KR2022001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Abstract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는, 일면이 안테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고정 브라켓의 타면 상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 고정 브라켓의 타면 하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 일측이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 및 일단이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APPARATUS FOR FIXING ANTENNA OF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테나 고정 장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 기기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지역에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기지국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안테나를 고정하여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안테나와 설치면이 이루는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9200호(2006.10.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는, 일면이 안테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면 상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면 하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 조절부는, 상기 일단이 결합되는 지점인 제1 결합 포인트와 상기 타단이 결합되는 지점인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안테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조절부는, 상기 제1 결합 포인트와 상기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안테나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결합 포인트와 상기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안테나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틸팅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바디와 상기 제1 결합 바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 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나사 바디를 포함하는 제1 틸팅 조절 바디; 상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바디와 상기 제2 결합 바디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 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 나사 바디를 포함하는 제2 틸팅 조절 바디; 및 상기 제1 틸팅 조절 바디 및 상기 제2 틸팅 조절 바디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나사 바디 및 상기 제2 나사 바디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나사 바디 및 상기 제2 나사 바디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상기 제1 결합 바디와 상기 길이 조절부의 상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나사 바디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결합 바디와 상기 길이 조절부의 하단 사이에서 상기 제2 나사 바디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결합시키는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안테나와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안테나와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1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1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안테나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1 보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 보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1-2 보조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는 제1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1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안테나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1 보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2-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는 제2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안테나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2 보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 돌출 결합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 상기 상부 연장부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틸팅 조절부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돌출 결합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상부 연장부의 배면에 마련되는 제1 파이프 결속부; 및 상기 제1 파이프 결속부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파이프 결속부와의 사이 공간에 지지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2 파이프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돌출 결합부의 양 측면이 일정 두께로 절개되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의 내면이 밀착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테나의 기울임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에 마련되며, 내부에 일정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각도 표시 가이드부; 및 상기 각도 표시 가이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에 표시된 각도 눈금자를 통해 상기 안테나의 기울김 각도를 가르키는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브라켓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틸팅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안테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틸팅 조절부가 고정 브라켓과 결합되는 제1 결합 포인트 및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는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의 전방 및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에서 보조 브라켓이 안테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안테나 고정 장치에서 고정 브라켓이 보조 브라켓을 통해 안테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에서 안테나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에서 보조 브라켓이 안테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안테나 고정 장치에서 고정 브라켓이 보조 브라켓을 통해 안테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고정 장치(100)는 고정 브라켓(102), 연결 브라켓(104), 틸팅 조절부(106), 및 각도 표시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은 안테나(5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은 안테나(5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안테나(50)는 이동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4G 또는 5G 통신 등)을 위한 기지국 안테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브라켓(102)은 안테나(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브라켓(102)은 안테나(50)의 길이 방향의 중심 축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은 안테나(50)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은 안테나(50)의 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브라켓(102)은 보조 브라켓(110)을 통해 안테나(5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의 일면은 보조 브라켓(110)과 대면할 수 있다. 보조 브라켓(110)은 제1 보조 브라켓(110-1) 및 제2 보조 브라켓(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110-1)은 고정 브라켓(102)의 상단에서 고정 브라켓(102)을 안테나(5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110-1)은 안테나(5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110-1)은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 및 제1 보조 장착부(1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는 안테나(50)의 일면에서 안테나(50)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는 안테나(5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는 폭 방향의 중심부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는 고정 브라켓(102)의 상단에서 체결 부재(112)를 통해 고정 브라켓(10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의 돌출된 중심부가 고정 브라켓(102)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조 장착부(110-1b)는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의 양측에서 안테나(50)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장착부(110-1b)는 안테나(50)의 양 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장착부(110-1b)는 체결 부재(112)를 통해 안테나(50)의 양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110-2)은 고정 브라켓(102)의 하단에서 고정 브라켓(102)을 안테나(5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110-2)은 안테나(50)의 일면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110-2)은 안테나(50)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110-2)은 안테나(50)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110-2)은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 및 제2 보조 장착부(1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는 안테나(50)의 일면에서 안테나(50)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는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와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는 고정 브라켓(102)의 하단에서 체결 부재(112)를 통해 고정 브라켓(102)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보조 장착부(110-2b)는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장착부(110-2b)는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 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장착부(110-2b)는 체결 부재(112)를 통해 안테나(5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의 타면에는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14) 및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14)는 고정 브라켓(102)의 타면 상단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14)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14)는 제1 힌지(118)를 통해 틸팅 조절부(106)의 상단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는 고정 브라켓(102)의 타면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는 제2 힌지(120)를 통해 연결 브라켓(104)의 일측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04)은 고정 브라켓(102)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04)은 베이스부(121), 상부 연장부(123), 제1 파이프 결속부(125), 및 제2 파이프 결속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21)는 고정 브라켓(102)의 타면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베이스부(121)의 일측은 고정 브라켓(102)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21)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21)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단과 하단의 간격이 넓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121)의 일측에는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 사이로 돌출되는 제1 돌출 결합부(12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출 결합부(121a)는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 사이로 삽입되고 제2 힌지(120)를 통해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와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돌출 결합부(121a)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돌출 결합부(121a)의 양 측면에는 절개부(121b)가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121b)는 제1 돌출 결합부(121a)의 양 측면이 일정 두께로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절개부(121b)는 베이스부(121)와의 경계에서 단차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출 결합부(121a)가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의 내면은 절개부(121b)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부 연장부(123)는 베이스부(121)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연장부(123)의 상단에는 제2 돌출 결합부(123a)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돌출 결합부(123a)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연장부(123)는 고정 브라켓(102)의 길이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일정 각도(θ)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결속부(125)는 베이스부(121) 및 상부 연장부(123)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결속부(125)는 베이스부(121) 및 상부 연장부(123)의 배면에서 양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결속부(125)는 반원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결속부(125)의 내면에는 제1 미세 요철부(125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결속부(127)는 제1 파이프 결속부(125)와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결속부(127)의 내면에는 제2 미세 요철부(127a)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결속부(127)는 제2-1 파이프 결속부(127-1) 및 제2-2 파이프 결속부(1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파이프 결속부(127-1)는 제1 파이프 결속부(125)의 상단에서 체결 부재(112)를 통해 제1 파이프 결속부(125)와 결합될 수 있다. 제2-1 파이프 결속부(127-1)는 반원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2 파이프 결속부(127-2)는 제1 파이프 결속부(125)의 하단에서 체결 부재(112)를 통해 제1 파이프 결속부(125)와 결합될 수 있다. 제2-2 파이프 결속부(127-2)는 반원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결속부(125)와 제2 파이프 결속부(127) 간의 결합에 따라 제1 파이프 결속부(125)와 제2 파이프 결속부(127) 사이에는 지지 파이프(150)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지지 파이프(150)는 제1 파이프 결속부(125) 및 제2 파이프 결속부(127)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결속되게 된다. 이때, 제1 미세 요철부(125a) 및 제2 미세 요철부(127a)는 지지 파이프(15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파이프(150)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연결 브라켓(104)이 지지 파이프(150)와 결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브라켓(104)이 지지 파이프(150) 없이 직접 설치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틸팅 조절부(106)는 안테나(5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틸팅 조절부(106)의 상단은 고정 브라켓(102)과 결합되고, 틸팅 조절부(106)의 하단은 연결 브라켓(104)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틸팅 조절부(106)의 상단이 고정 브라켓(102)과 결합되는 지점을 제1 결합 포인트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틸팅 조절부(106)의 하단이 연결 브라켓(104)과 결합되는 지점을 제2 결합 포인트라 지칭할 수 있다.
틸팅 조절부(106)는 제1 결합 포인트와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5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틸팅 조절부(106)는 제1 결합 포인트와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게 함으로써, 안테나(50)가 후방으로 점점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틸팅 조절부(106)는 제1 결합 포인트와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점점 멀어지게 함으로써, 안테나(50)가 전방으로 점점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틸팅 조절부(106)의 상단은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14)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틸팅 조절부(106)의 하단은 제2 돌출 결합부(123a)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틸팅 조절부(106)는 제1 틸팅 조절 바디(131), 제2 틸팅 조절 바디(133), 길이 조절부(135), 제1 스토퍼(137), 및 제2 스토퍼(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틸팅 조절 바디(131)는 틸팅 조절부(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틸팅 조절 바디(131)는 제1 결합 바디(131a) 및 제1 나사 바디(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바디(131a)는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14)의 사이에서 제1 힌지(118)에 의해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114)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나사 바디(131b)는 제1 결합 바디(131a)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나사 바디(131b)는 틸팅 조절부(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나사 바디(131b)의 외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나사 바디(131b)는 나사 결합에 의해 길이 조절부(135)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길이 조절부(135)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2 틸팅 조절 바디(133)는 틸팅 조절부(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틸팅 조절 바디(133)는 제1 틸팅 조절 바디(131)와 동일한 직선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틸팅 조절 바디(133)는 제2 결합 바디(133a) 및 제2 나사 바디(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바디(133a)는 제2 돌출 결합부(123a)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돌출 결합부(123a)가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 결합 바디(133a)는 제2 돌출 결합부(123a) 사이에서 제3 힌지(141)에 의해 제2 돌출 결합부(123a)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나사 바디(133b)는 제2 결합 바디(133a)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나사 바디(133b)는 틸팅 조절부(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나사 바디(133b)의 외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나사 바디(133b)는 나사 결합에 의해 길이 조절부(135)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길이 조절부(135)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135)는 제1 틸팅 조절 바디(131) 및 제2 틸팅 조절 바디(13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135)는 제1 틸팅 조절 바디(131) 및 제2 틸팅 조절 바디(133)와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조절부(135)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135)의 중공(中空)의 내면에는 제1 틸팅 조절 바디(131) 및 제2 틸팅 조절 바디(133)와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조절부(135)를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나사 바디(131b) 및 제2 나사 바디(133b)가 각각 길이 조절부(135) 밖으로 인출되면서 제1 결합 포인트와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안테나(5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반면, 길이 조절부(135)를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나사 바디(131b) 및 제2 나사 바디(133b)가 각각 길이 조절부(135) 안으로 인입되면서 제1 결합 포인트와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고, 그로 인해 안테나(5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제1 스토퍼(137)는 제1 틸팅 조절 바디(1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37)는 제1 나사 바디(131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37)는 길이 조절부(135)의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37)는 제1 나사 바디(131b)에서 제1 결합 바디(131a)와 길이 조절부(135)의 상단 사이에 마련되고, 길이 조절부(135)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제2 스토퍼(139)는 제2 틸팅 조절 바디(13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토퍼(139)는 제2 나사 바디(133b)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토퍼(139)는 길이 조절부(135)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스토퍼(139)는 제2 나사 바디(133b)에서 제2 결합 바디(133a)와 길이 조절부(135)의 하단 사이에 마련되고, 길이 조절부(135)가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각도 표시부(108)는 고정 브라켓(102)에 결합될 수 있다. 각도 표시부(108)는 고정 브라켓(102)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각도 표시부(108)는 안테나(50)가 어느 정도 기울어졌는지 기울임 각도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도 표시부(108)는 결합 플레이트(108a), 안착부(108b), 및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 및 표시자(108d)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08a)는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의 외면에 체결 부재(11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안착부(108b)는 결합 플레이트(108a)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08b)는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116)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는 안착부(108b)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는 연결 브라켓(104)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는 반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에는 일정 곡률을 가지며 가이드 홀(108c-1)이 마련될 수 있다.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는 가이드 홀(108c-1)에서 체결 부재(112)를 통해 연결 브라켓(104)과 결합될 수 있다.
표시자(108d)는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표시자(108d)는 각도 표시 가이드부(108c)의 테두리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04)의 측면에는 각도 눈금자(143)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에서 안테나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안테나(50)가 지면과 수직한 상태에 있는 경우, 길이 조절부(135)를 제1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나사 바디(131b) 및 제2 나사 바디(133b)가 각각 길이 조절부(135) 밖으로 인출되면서 제1 결합 포인트(P1)와 제2 결합 포인트(P2)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그러면, 연결 브라켓(104)이 제2 힌지(120)를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하면서 안테나(5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도 7의 (b)). 이때, 연결 브라켓(104)의 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가이드 홀(108c-1) 내에서 체결된 체결 부재(112)는 가이드 홀(108c-1)을 따라 상대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체결 부재(112)의 위치 자체는 변하지 않으나, 가이드 홀(108c-1)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자(108d)는 연결 브라켓(104)의 회전된 각도를 각도 눈금자(143)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틸팅 조절부(106)가 제1 틸팅 조절 바디(131) 및 제2 틸팅 조절 바디(133)와 길이 조절부(135)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1 결합 포인트와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안테나(50)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틸팅 조절부(106)는 유압 실린더 또는 기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제1 결합 포인트와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안테나(50) 각도를 원격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안테나 고정 장치(100)에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이 수신한 사용자 제어 신호에 따라 틸팅 조절부(106)를 제어하여 안테나(5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모듈에는 안테나(50)의 틸팅 각도를 센싱하는 센서(예를 들어, IoT 센서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안테나(50)의 틸팅 각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은 안테나(50)의 기울기를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102)은 보조 브라켓(110)을 통해 안테나(50)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브라켓(110)은 제1 보조 브라켓(110-1) 및 제2 보조 브라켓(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110-1)은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 및 제1 보조 장착부(1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은 안테나(50)의 일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1) 및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1)와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1-2 보조 브라켓 바디(110-1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보조 브라켓 바디(110-1a-2)는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1)의 상단에서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의 상단 하부에는 제1 결합 보조부(14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 보조부(145)는 제1-2 보조 브라켓 바디(110-1a-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조 장착부(110-1b)는 제1 보조 브라켓 바디(110-1a)의 양측에서 안테나(50)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장착부(110-1b)는 안테나(50)의 양 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보조 장착부(110-1b)는 체결 부재(112)를 통해 안테나(50)의 양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110-2)은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 및 제2 보조 장착부(1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은 안테나(50)의 일면 하단에 마련되는 제2-1 보조 브라켓 바디(110-2a-1) 및 제2-1 보조 브라켓 바디(110-2a-1)와 수직하게 마련되는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2)는 상호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2)는 안테나(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02)의 하단 하부에는 제2 결합 보조부(147)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보조부(14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2)에 삽입되어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보조 장착부(110-2b)는 제2 보조 브라켓 바디(110-2a)의 양측에서 안테나(50)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장착부(110-2b)는 안테나(50)의 양 측면에 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보조 장착부(110-2b)는 체결 부재(112)를 통해 안테나(50)의 양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안테나 고정 장치
102 : 고정 브라켓
104 : 연결 브라켓
106 : 틸팅 조절부
108 : 각도 표시부
108a : 결합 플레이트
108b : 안착부
108c : 각도 표시 가이드부
108c-1 : 가이드 홀
108d : 표시자
110 : 보조 브라켓
110-1 : 제1 보조 브라켓
110-1a : 제1 보조 브라켓 바디
110-1a-1 :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
110-1a-2 : 제1-2 보조 브라켓 바디
110-1b : 제1 보조 장착부
110-2 : 제2 보조 브라켓
110-2a : 제2 보조 브라켓 바디
110-2a-1 : 제2-1 보조 브라켓 바디
110-2a-2 :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
110-2b : 제2 보조 장착부
112 : 체결 부재
114 :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
116 :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
118 : 제1 힌지
120 : 제2 힌지
121 : 베이스부
121a : 제1 돌출 결합부
121b : 절개부
123 : 상부 연장부
123a : 제2 돌출 결합부
125 : 제1 파이프 결속부
125a : 제1 미세 요철부
127 : 제2 파이프 결속부
127-1 : 제2-1 파이프 결속부
127-2 : 제2-2 파이프 결속부
127a : 제2 미세 요철부
131 : 제1 틸팅 조절 바디
131a : 제1 결합 바디
131b : 제1 나사 바디
133 : 제2 틸팅 조절 바디
133a : 제2 결합 바디
133b : 제2 나사 바디
135 : 길이 조절부
137 : 제1 스토퍼
139 : 제2 스토퍼
141 : 제3 힌지
143 : 각도 눈금자
145 : 제1 결합 보조부
147 : 제2 결합 보조부
150 : 지지 파이프

Claims (16)

  1. 일면이 안테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면 상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면 하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조절부는,
    상기 일단이 결합되는 지점인 제1 결합 포인트와 상기 타단이 결합되는 지점인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안테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 고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 조절부는,
    상기 제1 결합 포인트와 상기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안테나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결합 포인트와 상기 제2 결합 포인트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안테나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바디와 상기 제1 결합 바디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 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나사 바디를 포함하는 제1 틸팅 조절 바디;
    상기 상기 연결 브라켓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바디와 상기 제2 결합 바디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 조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 나사 바디를 포함하는 제2 틸팅 조절 바디; 및
    상기 제1 틸팅 조절 바디 및 상기 제2 틸팅 조절 바디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나사 바디 및 상기 제2 나사 바디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나사 바디 및 상기 제2 나사 바디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상기 제1 결합 바디와 상기 길이 조절부의 상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나사 바디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결합 바디와 상기 길이 조절부의 하단 사이에서 상기 제2 나사 바디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하측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결합시키는 보조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안테나와 결합시키는 제1 보조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을 상기 안테나와 결합시키는 제2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1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1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안테나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1 보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 보조 장착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1-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1-2 보조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는 제1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1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안테나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1 보조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브라켓은,
    상기 안테나의 일면에서 상기 안테나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2-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2-1 보조 브라켓 바디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2 보조 브라켓 바디를 포함하는 제2 보조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2 보조 브라켓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안테나 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안테나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제2 보조 장착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 돌출 결합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부;
    상기 상부 연장부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틸팅 조절부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2 돌출 결합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상부 연장부의 배면에 마련되는 제1 파이프 결속부; 및
    상기 제1 파이프 결속부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파이프 결속부와의 사이 공간에 지지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2 파이프 결속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제1 돌출 결합부의 양 측면이 일정 두께로 절개되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의 내면이 밀착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장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되는, 안테나 고정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테나의 기울임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힌지 결합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에 마련되며, 내부에 일정 곡률을 가지는 가이드 홀을 구비하는 각도 표시 가이드부; 및
    상기 각도 표시 가이드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에 표시된 각도 눈금자를 통해 상기 안테나의 기울김 각도를 가르키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각도 표시부는,
    상기 가이드 홀 내에서 체결 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브라켓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상기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사용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틸팅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안테나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 고정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상기 안테나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0200090943A 2020-07-22 2020-07-22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KR20220011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43A KR20220011986A (ko) 2020-07-22 2020-07-22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43A KR20220011986A (ko) 2020-07-22 2020-07-22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986A true KR20220011986A (ko) 2022-02-03

Family

ID=8026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943A KR20220011986A (ko) 2020-07-22 2020-07-22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9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200Y1 (ko) 2006-06-30 2006-10-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용 기지국 안테나 시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200Y1 (ko) 2006-06-30 2006-10-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용 기지국 안테나 시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7942B1 (ja) 端末保持装置
US7207537B2 (en) Support apparatus for suspending a display
JP4010944B2 (ja) アンテナのマストとアンテナの方向づけ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EP2001207B1 (en) Desktop charger holder
US20010032857A1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ounting apparatus therein
US5977922A (en) Satellite antenna alignment device
DK1067626T3 (da) Antennesystem med fjernbetjening af strålehældningen
US78562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adjustable directional antenna
KR20220011986A (ko)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IL182133A (en) System for adjusting a position ofa sensor package
US20110068989A1 (en) Antenna System with Three Degrees of Freedom
KR20160079421A (ko) 안테나 장치
US20040184171A1 (en) Hand adjustable vehicle mirror mechanism
US200600520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directional antenna
EP0810419B1 (en) Navigation unit
US20040169607A1 (en) Antenna for an automobile
CN1532991B (zh) 天线装置
CN210111039U (zh) 单通道全向玻璃钢天线
KR20190055388A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WO2006029307A9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adjustable directional antenna
KR102158567B1 (ko) 안테나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KR102346301B1 (ko) 차량용 모바일 마운팅 디바이스
CN209358197U (zh) 一种计算机网线走线装置
CN109390697B (zh) 带摆动修正功能的天线装置
JP6623374B2 (ja) 支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