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875A -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875A
KR20220011875A KR1020200090669A KR20200090669A KR20220011875A KR 20220011875 A KR20220011875 A KR 20220011875A KR 1020200090669 A KR1020200090669 A KR 1020200090669A KR 20200090669 A KR20200090669 A KR 20200090669A KR 20220011875 A KR20220011875 A KR 2022001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nterference
beamforming
signal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875A/ko
Publication of KR2022001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Power distribution using best eigenmode, e.g. beam forming or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소자의 집합인 안테나어레이를 포함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소자 각각에 대응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소자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와,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자 기지국과 상기 자 기지국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타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하면, 상기 안테나부 혹은 상기 신호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되도록 빔 포밍의 스위핑 범위(Sweeping Range)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optimizing beamforming in a coverage overlap region between neighboring cells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echnology}
본 발명은 빔 포밍 최적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을 중심으로 고정적인 서비스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당 커버리지 내의 이동국인 사용자의 단말로 양호한 전파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진화되고 있으며, 2G, 3G, 4G 그리고 5G 이동통신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왔다.
또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빔포밍(beamforming), 대규모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차원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빔포밍 기술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술 중에 하나로 무선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파의 도달 영역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키거나 특정 방향에 대한 수신감도의 지향성(directivity)를 증대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빔포밍 기술이란 안테나에서 방사된 에너지를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켜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술로서,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다 세기가 강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원치 않는 방향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받지 않는 데에 이용되는 안테나 기술이다. 이에 따라, 고주파 대역에서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켜 커버리지 이슈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파를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하는 빔포밍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946218호, 2019년 1월 30일 공개 (명칭: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셀간 간섭 완화를 위한 MIMO-OFDM 기반의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
현재 5G 네트워크는 빔 포밍(Beamforming) 기술을 적용하여 단말마다 보다 나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샤프(Sharp)한 빔을 제공하여 성능을 올리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의 기술은 각 기지국에서 방사하는 빔들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은 미비하여, 셀 엣지(Edge)에서의 셀 간 간섭은 피할 수 없으며, 기지국이 촘촘하게 치국 되어 있는 도심지에서는 기지국이 늘어남에 따라 간섭에 의한 역효과 역시 늘어날 수 밖에 없다. 또한 TDD 방식을 사용하는 5G의 경우 셀 간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는 더욱 치명적일 수 있어, 이에 대한 극복 방안이 필요하다.
상술한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간섭이 발생할 경우, 셀 간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소자의 집합인 안테나어레이를 포함하는 안테나부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소자 각각에 대응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소자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와,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자 기지국과 상기 자 기지국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타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하면, 상기 안테나부 혹은 상기 신호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되도록 빔 포밍의 스위핑 범위(Sweeping Range)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간섭판단부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자 기지국과 상기 타 기지국의 중첩되는 빔에 의한 서비스의 양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주체가 상기 타 기지국인지 혹은 자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와, 상기 판단 결과,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주체가 자 기지국이면,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되도록 상기 자 기지국의 빔 포밍의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빔포밍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빔포밍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소자가 방사하는 빔 폭을 줄여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하도록 상기 스위핑 범위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포밍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소자가 방사하는 빔 패턴의 수를 줄여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하도록 상기 스위핑 범위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자 기지국 및 상기 타 기지국의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은 기지국을 스위핑 범위를 축소할 기지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판단부는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의 거리가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의 셀 반경의 합 보다 작고,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의 방위각의 차가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이면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판단부는 수학식 S < r1 + r2 및 수학식 θ1 - θ2 ≥ θThes를 모두 만족하면,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S는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의 거리이고, 상기 r1은 자 기지국의 셀 반경이고, 상기 r2는 타 기지국의 셀 반경이고, 상기 θ1은 상기 자 기지국의 방위각이고, 상기 θ2는 상기 타 기지국의 방위각이고, 상기 θThes는 임계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소자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송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시키는 다운컨버터(Down converter),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시키는 업컨버터(UP converter),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 혹은 수신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제어하는 위상제어기,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PA: Power Amplifier),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안테나소자와의 연결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안테나소자와의 연결 경로를 스위칭하는 디플렉서(Diplex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중첩되는 셀 커버리지를 가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위치 및 방위각 정보를 기초로 서로 이웃하는 기지국 각각에서 방사하는 빔의 커버리지를 구하여 중첩 영역을 파악하고, 이웃하는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의 빔의 범위를 조정하여 상호 간의 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여 셀간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 단말의 데이터 율(Data Rate)을 비롯한 성능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서로 이웃하는 기지국 간 간섭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제공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10: 11, 12)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20)을 포함한다.
기지국(10, BS: Base Station)은 단말(20, Terminal)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10)을 중심으로 빔포밍 제어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구현 방식에 따라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본 발명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지국(10)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으며, 단말(20)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빔포밍 기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이며, 이러한 네트워크는 초고주파 광대역의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빔포밍 기술을 이용한다. 5G 이동통신 시스템(200)의 대표적인 기술인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은 피드(parallel feed) 구조의 복수개의 안테나소자(Antenna Element)를 통해 출력되는 복수 개의 빔 패턴의 수 및 빔 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기지국(10: 11, 12)은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기술을 가지며, 단말(20)이 캠핑하여 단말(20)이 무선 구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셀(Cell A)을 관장하는 기지국(10)과 서빙 셀(Cell A)과 중첩 영역이 발생하는 인접 셀(Cell B)을 관장하는 기지국(10)이 존재하는 상황을 상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빙 셀(Cell A)을 관장하는 기지국(10)을 자 기지국(11)이라고 칭하며, 자 기지국(11)의 서빙 셀(Cell A)에 이웃하는 인접 셀(Cell B)을 관장하는 기지국(10)을 타 기지국(12)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을 포함하는 기지국(10)은 복수의 빔을 스위핑(Sweeping)하여 단말(20)이 위치한 곳에서 가장 무선 환경이 좋은 빔(Beam)을 선택하고, 해당 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빔 포밍 기술을 제공한다. 빔 패턴의 수나 방사 범위 등은 기지국 제조사 마다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빔 중 단말(20)을 향해 지향된 빔을 통해 서비스한다.
서로 이웃하는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이 존재할 때, 단말(20)의 위치에 따라 자 기지국(11)의 빔의 신호뿐만 아니라 타 기지국(12)의 신호도 받게 되며, 이 경우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 간 빔 간섭으로 인해 해당 단말(20)의 성능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서빙 셀(Cell A)에서 서비스 받고 있는 단말(20) 중 많은 수의 단말(20)이 경계지역에 분포할 경우에는 서빙 셀(Cell A)을 관장하는 자 기지국(11)의 전체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10)의 스위핑 범위(Sweeping Range) 혹은 빔 범위(Beam Range)라고 하는 방사 영역을 조정하여 중첩 영역을 줄여 빔 간 간섭을 억제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는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이 존재할 때,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상호 빔이 겹치는 중첩 영역을 축소시켜 이를 통해 간섭 최소화하여 무선 통신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방사 영역을 조정하여 중첩 영역을 줄이기 위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서로 이웃하는 기지국 간 간섭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은 안테나부(100), 신호처리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테나부(100), 신호처리부(200) 및 제어부(300)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부(100)는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MIMO 기술은 대규모 단위의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로,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는, 하나의 전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단일 안테나 경로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 대신 다중 안테나 기술에서는 여러 안테나에서 수신된 데이터 조각(fragment)을 한데 모아 병합함으로써 데이터를 완성한다. 다중 안테나 기술을 사용하면, 특정된 크기의 셀 영역 내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특정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하면서 시스템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부(100)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의 복수의 안테나 소자(AE: Antenna Element)로 이루어진 안테나 어레이(AA: Antenna Array)를 포함한다. 예컨대, 안테나부(100)는 6GHz 이하에서는 32Tx32Rx 또는 64Tx64Rx의 구조를 가지며, 6GHz 이상에서는 512Tx512Rx, 1024Tx1024Rx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신호처리부(200)는 송신되는 신호 및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신호처리부(200)는 안테나부(100)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0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신호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할 빔을 생성하거나, 빔의 특성, 즉, 빔 폭 및 빔 패턴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신호처리부(210) 및 고주파신호처리부(210)를 포함한다.
디지털신호처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뎀(MODEM)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상위 계층에서 내려 받은 송신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여 고주파신호처리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뎀(MODEM)은 고주파신호처리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한 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고주파신호처리부(220)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처리를 위한 복수의 무선소자(RE: RF Element)를 포함한다. 복수의 무선소자(RE)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송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시키는 다운컨버터(Down converter),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향 변환 시키는 업컨버터(UP converter), 복수의 안테나 소자(AE) 각각에 대응하는 송신 혹은 수신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조절하는 위상조절기(221: P1, P2, ...),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증폭기(PA: Power Amplifier), 시간분할이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서 안테나 소자(AE)와의 연결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Switch), 및 주파수분할이중화(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에서 안테나 소자(AE)와의 연결 경로를 선택하는 디플렉서(Diplexer)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지국(10)이 신호를 송수신할 때의 디지털신호처리부(210) 및 고주파신호처리부(2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10)이 단말(20)에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디지털신호처리부(210)는 단말(20)로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 즉, 송신 신호를 변복조기(MODEM)를 통해 변조하여 고주파신호처리부(220)로 전달한다. 그러면, 고주파신호처리부(220)의 DAC는 송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업컨버터(UP-converter)는 송신 신호를 상승 변환(Up-conversion)을 거쳐 전송매체의 통과 대역(Pass Band)의 주파수대로 변환한다. 그리고, 전력증폭기(PA)는 송신 신호에 대해 최종단에서 충분한 전력을 가진 신호로 송출할 수 있도록 전력을 증폭한다. 이후, 시간분할이중화(TDD) 방식의 경우 스위치(Switch)를 또는 주파수분할이중화(FDD) 방식의 경우, 디플렉서(Diplexer)를 거쳐 안테나부(100)를 통해 단말(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신호처리부(200)는 미리 설정된 섹터 영역으로 지정된 안테나를 통해 빔이 각각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예컨대 최초 전송되는 빔은 복수의 안테나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송출될 수 있으며, 이후, 안테나 수를 줄이거나, 늘려가며 빔을 방사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10)이 단말(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20)로부터 안테나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수신 신호는 스위치(Switch) 또는 디플렉서(Diplexer)를 통해 전달되고 고주파신호처리부(220)에 입력된다. 그러면, 고주파신호처리부(220)의 저잡음증폭기(LNA)는 공기 중의 잡음이 묻어온 수신 신호를 증폭할 때 잡음은 최대한 억제하면서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 즉, 저잡음 증폭을 수행한다. 그러면 다운컨버터(Down-Converter)는 수신 신호의 주파수, 즉, 고주파를 하강 변환(down-conversion)하여 기저대역(baseband)으로 변환한다. 이어서, ADC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신호처리부(210)에 제공한다. 그러면, 디지털신호처리부(210)의 변복조기(MODEM)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수신 신호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부(100)의 안테나어레이(AA)의 안테나 소자(AE)는 최종적으로 도선상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공기중의 전자기파로 복사하여 방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각각의 안테나 요소들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 되어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각 안테나 소자(AE)는 수신 신호의 파장 크기를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저잡음증폭기(LNA)와 다운컨버터(Down-Converter) 혹은 업컨버터(UP-converter)와 전력증폭기(PA) 사이에 게재되는 위상조절기(221: P1, P2, ...)가 각 안테나 소자(AE)에 대응하는 수신 혹은 송신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지국(10)의 안테나부(100)는 위상조절기(221)를 통해 빔포밍(beamforming)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빔포밍 기법은 각 안테나 요소 별로 위상 및 크기 값을 변화시켜 빔을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때, 본 발명의 위상조절기(221)는 복수 개 존재하며, 서로 간의 영향이 없는 독립적인 위상 조절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독립적인 위상 조절기는 하나의 아날로그 신호에 위상 변화를 가해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공간적으로 구분 가능한 N개의 독립적인 빔(beam)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위상조절기(221)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자 기지국(11)과 자 기지국(11)의 이웃하는 타 기지국(12) 간 간섭이 발생하면, 안테나부(100) 혹은 신호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 간의 간섭이 감소되도록 빔 포밍의 스위핑 범위(Sweeping Range)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00)는 간섭판단부(310), 비교부(320) 및 빔포밍제어부(330)를 포함한다.
간섭판단부(310)는 자 기지국(11)과 자 기지국(11)의 이웃하는 타 기지국(12) 간 간섭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간섭판단부(310)는 자 기지국(11)과 자 기지국(11)의 이웃하는 타 기지국(12)의 위치 정보(즉, 위도, 경도 및 고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 기지국(11)과 타 기지국(12) 간의 거리 S를 산출할 수 있다.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의 셀 반경을 각각 r1, r2 라 할 때, 도 4의 (a)는 중첩 영역(OV)이 생기는 경우를 보이며, 도 4의 (b)는 중첩 영역(OV)이 생기지 않는 경우를 보인다. 두 기지국(11, 12) 간 간격이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다면, 간섭의 영향이 미미할 것이기 때문에 두 기지국(11, 12)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로 두 기지국(11, 12)이 거리가 가까운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즉, 간섭판단부(310)는 두 기지국(11, 12) 간의 거리가 두 기지국(11, 12) 각각의 셀 반경의 합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하여 두 기지국(11, 12) 간의 거리가 두 기지국(11, 12)의 셀 반경의 합보다 작으면, 간섭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두 기지국(11, 12) 간의 거리가 두 기지국의 셀 반경의 합 보다 작은 경우에도, 기지국의 두 기지국(11, 12)의 전파 방사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경우, 셀 커버리지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두 기지국(11, 12)의 방위각에 대한 확인이 요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기지국(11, 12) 간의 거리 S를 직경으로 하는 원에 내접하는 삼각형의 두 변을 각각 r1, r2라 하면, 두 기지국(11, 12)의 방위각 차이는 90°가 된다. 두 기지국(11, 12)의 방위각의 차이가 90° 보다 크게 되면 삼각형은 원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간섭의 정도는 더 심해지게 된다. 즉, 두 기지국(11, 12)의 방위각의 차가 특정 임계각(예컨대, 90°) 이상이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간섭판단부(310)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 간의 거리가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의 셀 반경의 합 보다 작은지 여부를 확인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S는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 간의 거리를 나타내며, r1은 자 기지국(11)의 셀 반경이고, r2는 타 기지국(12)의 셀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간섭판단부(310)는 수학식 2에 따라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의 방위각의 차가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θ1는 자 기지국(11)의 방위각이고, θ2는 타 기지국(12)의 방위각이며, θThes는 임계각을 나타낸다.
정리하면, 간섭판단부(310)는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 간의 거리 S가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의 셀 반경의 합(r1+r2) 보다 작고,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의 방위각의 차(θ1-θ2)가 기 설정된 임계각(θThes) 이상이면 타 기지국(12) 및 자 기지국(11)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셀간 거리(S) 및 방위각(θ)은 기지국(10: 11, 12)의 구축 위경도 정보를 통해 계산할 수도 있으며, 운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다. 셀 반경(r) 역시 기지국 출력 세기와 전파의 전파 경로 손실(Propagation Path Loss) 모델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고, 건물 등 지형 조건을 고려하여 운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도 있다. 특히, 방위각의 임계 각도는 통신 시스템의 운영 상의 요구 조건에 따라 운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비교부(320)는 간섭판단부(310)에 의해 자 기지국(11)과 타 기지국(12)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자 기지국(11)과 타 기지국(12)의 중첩되는 빔에 의한 서비스의 양을 비교하여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주체를 자 기지국(11) 혹은 타 기지국(12)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 비교부(320)는 먼저, 자 기지국(11)의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20)의 수 및 자 기지국(11)의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한다. 그리고 비교부(320)는 타 기지국(12)에 요청하여 타 기지국(12)의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20)의 수 및 타 기지국(12)의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비교부(320)는 자 기지국(11) 및 타 기지국(12)의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20)의 수 및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20)의 수 및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은 기지국을 스위핑 범위를 축소할 기지국으로 선택한다.
만약, 상대적으로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20)의 수 및 자 기지국(11)의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은 기지국이 자 기지국이면, 비교부(320)는 자 기지국(11) 자신이 스위핑 범위를 축소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빔포밍제어부(330)에 지시한다. 반면, 상대적으로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20)의 수 및 자 기지국(11)의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은 기지국이 타 기지국(12)이면, 타 기지국(12)에 스위핑 범위를 축소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요청한다.
빔포밍제어부(330)는 비교부(320)에 의해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주체가 자 기지국(11)인 것으로 결정되면, 자 기지국(11)과 타 기지국(12) 간의 간섭이 감소되도록 자 기지국(11)의 빔 포밍의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빔포밍제어부(330)는 안테나부(100) 및 신호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복수의 안테나소자(AE)가 방사하는 빔 폭(beam width)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핑 범위가 축소되어 타 기지국(12)과의 간섭이 감소된다. 이 방법은 스위핑 범위가 축소되지만, 스위핑 범위가 축소되기 전과 빔 패턴의 수는 동일하기 때문에 단말(20)은 보다 최적화된 빔을 선택할 수 있고, 스위핑 범위의 조정에 대한 자유도가 높다. 예컨대, 안테나어레이(AA)의 빔 폭은 안테나어레이(AA)의 전체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빔포밍제어부(330)는 안테나어레이(AA)의 복수의 안테나소자(AE) 간 간격이 줄어들도록 안테나부(100)를 제어하여 빔 폭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빔포밍제어부(330)는 안테나부(100) 및 신호처리부(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복수의 안테나소자(AE)가 방사하는 빔 패턴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핑 범위가 축소되어 타 기지국(12)과의 간섭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MIMO가 적용되어 빔 포밍을 사용하는 5G 네트워크에서 이웃하는 기지국 간 셀 커버리지의 중첩되는 영역을 대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셀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이웃하는 기지국 간 빔의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기지국이 상호 간섭 여부를 인지하고 판단하여 상호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빔 포밍을 최적화한다. 즉, 일반적인 빔 포밍(Beam forming)의 경우, 단일 셀에서 해당 셀 내의 단말에게 최상의 조건을 갖는 빔을 제공하기 위해 빔 포밍을 최적화하지만, 셀간 간섭을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셀 간 간섭을 고려하여 빔 포밍을 최적화함으로써 셀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서 셀 간 간섭을 줄일 수 있어, 단말의 데이터 율(Data Rate)을 비롯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에서 나온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는 기지국 간 셀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여 상호 간에 빔에 의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 커버리지의 중첩 영역에서 단말의 성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11, 12: 기지국 20: 단말
100: 안테나부 200: 신호처리부
210: 디지털신호처리부 220: 고주파신호처리부
300: 제어부 310: 간섭판단부
320: 비교부 330: 빔포밍제어부

Claims (8)

  1. 복수의 안테나소자의 집합인 안테나어레이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상기 복수의 안테나소자 각각에 대응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무선소자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 및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자 기지국과 상기 자 기지국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타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하면, 상기 안테나부 혹은 상기 신호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되도록 빔 포밍의 스위핑 범위(Sweeping Range)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간섭판단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자 기지국과 상기 타 기지국의 중첩되는 빔에 의한 서비스의 양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주체가 상기 타 기지국인지 혹은 자 기지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주체가 자 기지국이면,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되도록 상기 자 기지국의 빔 포밍의 스위핑 범위를 제어하는 빔포밍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소자가 방사하는 빔 폭을 줄여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하도록 상기 스위핑 범위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소자가 방사하는 빔 패턴의 수를 줄여 상기 타 기지국과의 간섭이 감소하도록 상기 스위핑 범위를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자 기지국 및 상기 타 기지국의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중첩되는 빔을 사용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중첩되는 빔에 의해 서비스 중인 데이터 트래픽의 양 중 적어도 하나가 작은 기지국을 스위핑 범위를 축소할 기지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판단부는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의 거리가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의 셀 반경의 합 보다 작고,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의 방위각의 차가
    기 설정된 임계각 이상이면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판단부는 수학식 S < r1 + r2 및 수학식 θ1 - θ2 ≥ θThes를 모두 만족하면,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S는 상기 타 기지국 및 상기 자 기지국 간의 거리이고,
    상기 r1은 자 기지국의 셀 반경이고,
    상기 r2는 타 기지국의 셀 반경이고,
    상기 θ1은 상기 자 기지국의 방위각이고,
    상기 θ2는 상기 타 기지국의 방위각이고,
    상기 θThes는 임계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소자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송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시키는 다운컨버터(Down converter),
    송신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시키는 업컨버터(UP converter),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 혹은 수신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제어하는 위상제어기,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PA: Power Amplifier),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안테나소자와의 연결 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의 안테나소자와의 연결 경로를 스위칭하는 디플렉서(Diplex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KR1020200090669A 2020-07-22 2020-07-22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KR20220011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69A KR20220011875A (ko) 2020-07-22 2020-07-22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669A KR20220011875A (ko) 2020-07-22 2020-07-22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75A true KR20220011875A (ko) 2022-02-03

Family

ID=80268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669A KR20220011875A (ko) 2020-07-22 2020-07-22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439A (zh) * 2023-01-20 2023-04-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重叠覆盖的改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218B1 (ko) 2018-11-30 2019-04-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셀간 간섭 완화를 위한 mimo-ofdm 기반의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218B1 (ko) 2018-11-30 2019-04-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셀간 간섭 완화를 위한 mimo-ofdm 기반의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439A (zh) * 2023-01-20 2023-04-2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重叠覆盖的改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6033439B (zh) * 2023-01-20 2024-03-2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重叠覆盖的改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857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with beamforming antennas
US5649287A (en) Orthogonalizing methods for antenna pattern nullfilling
KR1018398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 기지국 컨트롤 장치 및 그 컨트롤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다중 협력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8718541B2 (en)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US10038480B2 (e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multiple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79976B2 (en) Antenna system having adaptive polarization control
US1019433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hybrid beamforming and apparatus therefore
US11509375B2 (en) Multi-band beam codebook design and operations
US10498427B2 (en) Methods for radio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1350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123911B1 (en) Method and system of wireless signal repeating
Inoue et al. Field experiments on 5G mmW radio access with beam tracking in small cell environments
Mahmoud Mohamed Joint users selection and beamforming in downlink millimetre‐wave NOMA based on users positioning
KR20220011875A (ko) 다중입력다중출력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하는 셀 간 커버리지 중첩 영역에서 빔 포밍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CN101897130A (zh) 改进的广播信道
Zhou et al. Throughput and robustness guaranteed beam tracking for mmWave wireless networks
CN101335552A (zh) 一种带状覆盖的智能天线实现方法与装置
US8571499B1 (en) Wireless terrestrial communications systems using a line-of-sight frequency for inbound data and a non-line-of-sight frequency for outbound data
KR101861270B1 (ko) 빔포밍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hen et al. Analysis on the protection distance for spectrum sharing between IMT-2020 (5G) and EESS systems in 25.5–27GHz band
US841212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transmit diversity designs
Johannsen et al. Base station antenna systems for mm-waves
KR102347898B1 (ko)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빔 패턴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21125779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Black et al. Software defined apertures for 5G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