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713A - die head - Google Patents

die 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713A
KR20220011713A KR1020217042187A KR20217042187A KR20220011713A KR 20220011713 A KR20220011713 A KR 20220011713A KR 1020217042187 A KR1020217042187 A KR 1020217042187A KR 20217042187 A KR20217042187 A KR 20217042187A KR 20220011713 A KR20220011713 A KR 2022001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ie head
fastening surface
bolt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3078B1 (en
Inventor
사토시 구니야스
가즈야 고지마
류 겐모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7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다이 헤드는, 대좌 블록과, 대좌 블록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선단 블록을 포함하고, 선단 블록의 선단으로부터 도포액을 토출하는 다이 헤드이며, 선단 블록은, 대좌 블록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의 각각에 있어서 볼트에 의하여 대좌 블록에 체결되어 있다.The die head includes a pedestal block and a distal end block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block, the die head discharging a coating liquid from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block, wherein the distal end block is a first fasten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edestal block, respectively and bolts on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surfaces to the pedestal block.

Description

다이 헤드die head

본 개시는, 다이 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e head.

종래, 웨브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고(高)기능성 적층막을 제조하는 경우에, 균일한 박막 도공이 가능한 익스트루젼형의 다이 헤드가 이용되고 있다. 도포액이 토출되는 선단(先端) 블록과, 선단 블록의 대좌(臺座)가 되는 대좌 블록이 분리 가능한 다이 헤드에 관한 기술로서, 이하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highly functional laminated film by applying a coating liquid to a web, an extrusion-type die head capable of uniform thin film coating is used. As a technique related to a die head in which a distal end block from which a coating liquid is discharged and a pedestal block serving as a pedestal for the distal end block are separable, the following techniques are known.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12511호(이하, "문헌 1"이라고 한다)에는, 측면의 선단 측에 한 단 후퇴한 오목부가 형성된 헤드 부재와, 그 오목부에 장착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블레이드를, 헤드 부재의 선단 측으로부터 압입되는 클램프 나사에 의하여, 오목부가 측면에 대하여 후퇴하는 후퇴 방향 측과 헤드 부재의 후단 측에 압압하여 장착하는 도포 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문헌 1에 관한 도포 공구에 의하면, 도포액이 유통되는 슬롯을 구획형성하는 헤드 부재의 측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125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a head member in which a recessed portion retracted by one step is formed on the tip side of the side surface, and a blade attached to the recessed portion, , an application tool in which a blade is press-fitted by a clamp screw press-fitted from the tip side of the head member to the side in the retraction direction where the recess is retracted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an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head membe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ool according to Document 1, it is described that a ga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member that partitions the slot through which the coating liquid flows.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5659호에는, 다이 헤드 선단 부분이 다이 헤드 본체에 볼트로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다이 헤드에 있어서, 다이 헤드 선단 부분과 다이 헤드 본체의 접합부가, 볼트의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이고 또한 중심선에 대한 각도가 예각인 2개의 접합면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점으로 접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 헤드가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5659, in a die head in which the tip end of the die head is fixed to the die head body with bolts, the junction between the die head tip and the die head body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bolt. Also, there is described a die hea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wo joining surfaces whos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is an acute angle and does not have a portion in contact with a point.

그런데, 선단 블록은, 도포액 중의 안료 등에 의한 날끝의 열화, 날끝의 손상, 및 형상이 상이한 날끝으로의 변경 등을 위하여, 대좌 블록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재차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tip block is required to be able to be reattach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pedestal block in order to deteriorate the edge due to pigments in the coating liquid, damage to the edge, change to a blade having a different shape, and the like.

그러나, 문헌 1에 관한 도포 공구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헤드 부재의 선단 측으로부터 압입되는 클램프 나사에 의하여, 헤드 부재의 후단 측에 압압하여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 부재와 블레이드가 접촉하는 면은, 클램프 나사가 압입되는 선단 측의 면, 및 헤드 부재의 후단 측의 면의 2개의 면에서 응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 블레이드 및 헤드 부재는, 블레이드를 헤드 부재로부터 분리한 후에도, 잔류 응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블레이드 및 헤드 부재 중 적어도 일방이 변형되면, 블레이드를 헤드 부재로부터 분리한 후에, 양호한 정밀도로 재차 블레이드를 헤드 부재에 장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블레이드의 분리 전후에서, 도포 공구의 상태가 변화될 우려가 있다. 도포 공구의 상태가 변화되면, 도공 정밀도가 저하되어, 원하는 막두께를 갖는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문헌 1에 기재된 도포 공구에 의하면, 헤드 부재로부터 분리한 블레이드를 재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ool according to Document 1, the blade is mounted by pressing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ead member with a clamp screw press-fitted from the front end side of the head member. Accordingly, stress is generated on two surfaces of the surface where the head member and the blade are in contact: a surface on the tip side to which the clamp screw is press-fitted, and a surface on the rear end side of the head member. In this case, the blade and the head member may be deformed due to residual stress even after the blade is separated from the head member. If at least one of the blade and the head member is deformed, after the blade is removed from the head member, it becomes difficult to mount the blade to the head member again with high accuracy. That is, there is a fear that the state of the application tool changes before and after separation of the blade. When the state of an application tool changes, coating precision will fall and it will become difficult to form the coating film which has a desired film thickness. Therefo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ool described in Document 1, it is difficult to reuse the blade removed from the head member.

본 개시는,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대좌 블록 및 선단 블록의 변형을 회피할 수 있는 다이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ie head capable of avoiding deformation of a pedestal block and a front end block.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대좌 블록과, 대좌 블록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선단 블록을 포함하고, 선단 블록의 선단으로부터 도포액을 토출하는 다이 헤드이며, 선단 블록은, 대좌 블록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의 각각에 있어서 볼트에 의하여 대좌 블록에 체결되어 있다.The die head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ie head including a pedestal block and a distal end block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block, the die head discharging a coating liquid from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block, wherein the distal end block is a first block in contact with the pedestal block,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with bolts.

또한,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선단 블록이,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 이외의 모든 면이, 대좌 블록에 대하여 비접촉이어도 된다.In the die head of the present disclosure, all surfaces other tha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of the front end block may be non-contact with the pedestal block.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선단 블록이, 제1 체결면에 있어서, 제1 체결면에 대하여 수직인 축을 갖는 제1 볼트에 의하여 대좌 블록에 체결되고, 제2 체결면에 있어서, 제2 체결면에 대하여 수직인 축을 갖는 제2 볼트에 의하여 대좌 블록에 체결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in the die head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ront end block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a first bolt havi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fastening surface o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o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the second It may be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a second bolt havi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surface.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제1 체결면과 제2 체결면이 이루는 각도가, 90° 이상 120° 이하여도 된다.Moreover, in the die head of this indication, the angle formed between a 1st fastening surface and a 2nd fastening surface may be 9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제1 체결면과 제2 체결면이 이루는 각도가, 90°여도 된다.Further, in the die head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may be 90°.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제1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제2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2의 비 P1/P2가, 3/7 이상 7/3 이하여도 된다.Moreover, in the die head of this indication, the ratio P1/P2 of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1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2nd fastening surface may be 3/7 or more and 7/3 or less.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제1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제2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2가 동일해도 된다.Moreover, in the die head of this indication,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1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2nd fastening surface may be the same.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선단 블록이, 제1 체결면에 있어서,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의 쌍방에 평행한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볼트에 의하여 대좌 블록에 체결되고, 제2 체결면에 있어서,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볼트에 의하여 대좌 블록에 체결되며, 제1 볼트의 수 N1과, 제2 볼트의 수 N2의 비 N1/N2가, 3/7 이상 7/3 이하여도 된다.Further, in the die head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ront end block is a pedestal block by means of a plurality of first bol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both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o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and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a plurality of second bol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and the ratio N1/N2 of the number N1 of the first bolt to the number N2 of the second bolt A, 3/7 or more and 7/3 or less may be sufficient.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제1 볼트의 수 N1과, 제2 볼트의 수 N2가 동일해도 된다.In the die head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umber N1 of the first bolts and the number N2 of the second bolts may be the same.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제1 볼트 및 제2 볼트는, 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한 수씩 반복 출현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in the die head of this indication, the 1st bolt and the 2nd bolt may be arrange|position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ame number appears repeate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제1 볼트 및 제2 볼트는,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in the die head of this indication, the 1st bolt and the 2nd bolt may be alternately arrange|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 본 개시의 다이 헤드는, 2개의 선단 블록이, 서로의 긴 길이 방향이 평행한 자세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2개의 선단 블록의 사이에, 도포액이 토출되는 슬릿을 갖고 있어도 된다.Moreover, in the die head of this indication, two front-end|tip blocks are arrange|positioned in the attitude|position parallel to mutual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have a slit through which a coating liquid is discharged between two front-end|tip blocks.

본 개시에 의하면, 선단 블록 및 대좌 블록의 변형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deformation of the front end block and the pedestal block can be avoided.

도 1은 다이 헤드를 이용한 도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1-1에 관한 다이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 1-1에 관한 다이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 1-2에 관한 다이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2-1에 관한 다이 헤드의 볼트의 배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2-2에 관한 다이 헤드의 볼트의 배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2-3에 관한 다이 헤드의 볼트의 배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2-4에 관한 다이 헤드의 볼트의 배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관한 다이 헤드의 상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schematic which shows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application|coating apparatus using a die head.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e head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e head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top view of the die head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e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 head according to Modification 1-1.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 head according to Modification 1-1.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e hea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2.
11 is a top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bolts of a die hea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1.
12 is a top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bolts of a die hea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2.
Fig. 13 is a top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bolts of the die hea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3;
14 is a top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bolts of the die hea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4.
Fig. 15 is a top view of the die hea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form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technique of this indica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를 이용한 도포 장치(90)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장치(90)는, 도포액을 저류하는 탱크(92)와, 송액 펌프(94)와, 다이 헤드(80)와, 백업 롤러(96)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도포 장치(90)에 의하면, 탱크(92) 내의 도포액을 송액 펌프(94)가 다이 헤드(80)로 송액하고, 백업 롤러(96)에 지지되어 연속 주행하는 웨브(98)에 대하여, 다이 헤드(80)가 도포액을 토출하여 도포함으로써, 웨브(98) 상에 도포층을 형성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application|coating apparatus 90 using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1 , the coating device 90 includes a tank 92 that stores a coating liquid, a liquid feed pump 94 , a die head 80 , and a backup roller 96 . According to the coating apparatus 9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liquid feeding pump 94 liquid-feeds the coating liquid in the tank 92 to the die head 80, is supported by the backup roller 96, and the web 98 which travels continuously ),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web 98 by discharging and applying the coating liquid by the die head 80 .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를 부재별로 분해한 사시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2 and FIG.3, the structure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3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die head 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disassembled for each member.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 헤드(80)는, 대좌 블록(10)과, 대좌 블록(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선단 블록(20)을 포함하고, 선단 블록(20)의 선단으로부터 도포액을 토출한다. 또,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다이 헤드(80)는, 도포액을 토출하는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대좌 블록(10)의 면(18) 및 선단 블록(20)의 면(28)은 단차가 없이 한 면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또,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은, 백업 롤러(96)의 회전축과 평행한 도포폭 방향을 긴 길이 방향으로 하는 장척(長尺)인 블록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 the die head 80 includes a pedestal block 10 and a distal end block 20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block 10 , and is applied from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block 20 . discharge the liquid Further, the die head 80 in which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distal end block 20 are integrated is formed so as to have a tapered shape toward the distal end for discharging the coating liquid, and the face 18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surface 28 of the front end block 20 is formed so as to be one surface without a step difference. Moreover,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end|tip block 20 are formed from the elongate block which makes the application width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ackup roller 96 a long longitudinal direction.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 헤드(80)는, 서로의 긴 길이 방향이 평행한 자세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대좌 블록(10)(이하, 서로를 구별하는 경우는, 대좌 블록(10A, 10B)이라고 한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개의 대좌 블록(10A, 10B)이 대향하는 각각의 면(12A, 12B)은, 도포액을 저류하는 공간인 포켓(82)과, 포켓(82)으로부터 웨브(98)로의 도포액의 유로인 슬릿(8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대좌 블록(10A, 10B)을, 면(12A)과 면(12B)이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2개의 대좌 블록(10A, 10B)의 사이에, 포켓(82) 및 슬릿(84)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die head 80 is two pedestal blocks 10 (hereinafter, when distinguishing from each other, pedestal block)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a postur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ther. (referred to as 10A, 10B)) is included. Each of the surfaces 12A and 12B on which the two pedestal blocks 10A and 10B face each other is a pocket 82 that is a space for storing the coating liquid, and a flow path of the coating liquid from the pocket 82 to the web 98 . It is formed so that the slit 84 may be comprised. That is, by arranging the two pedestal blocks 10A and 10B so that the faces 12A and 12B face each other, the pocket 82 and the slit 84 are located between the two pedestal blocks 10A and 10B. this is formed

또, 다이 헤드(80)는, 서로의 긴 길이 방향이 평행한 자세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선단 블록(20)(이하, 서로를 구별하는 경우는, 선단 블록(20A, 20B)이라고 한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개의 선단 블록(20A, 20B)이 대향하는 각각의 면(22A, 22B)은, 슬릿(84)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선단 블록(20A, 20B)을, 면(22A)과 면(22B)이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2개의 선단 블록(20A, 20B)의 사이에, 슬릿(84)이 형성된다.Moreover, the die head 80 is two front-end|tip blocks 20 (Hereinafter, when mutually distinguishing, it is called front-end|tip block 20A, 20B) arrange|positioned to each other in the attitude|posi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mprised of The respective surfaces 22A and 22B on which the two tip blocks 20A and 20B oppose are formed so as to constitute a slit 84 . That is, the slit 84 is formed between the two tip blocks 20A and 20B by arranging the two tip blocks 20A and 20B so that the surfaces 22A and 22B face each other.

포켓(82)은,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원형이다. 또한, 포켓(82)은, 도포액을 저류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얻어지는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면, 2개의 대좌 블록(10)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반원형 등이어도 된다.The pocket 82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in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ocket 82 should just be a shape in which the function as a space which stores a coating liquid can be acquired, for example, the semicircular shape etc. formed in either one of the two pedestal blocks 10 may be sufficient.

슬릿(84)은, 면(12A)의 포켓(82)으로부터 선단 측의 면 및 면(22A)이 단차가 없이 한 면으로 형성된 면과, 면(12B)의 포켓(82)으로부터 선단 측의 면 및 면(22B)이 단차가 없이 한 면으로 형성된 면이 서로 이간하여 배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The slit 84 has a surface formed from the pocket 82 of the surface 12A on the tip side and the surface 22A as one surface without a step difference, and a surface on the tip side from the pocket 82 of the surface 12B. And the surface 22B is formed by arranging the surfaces formed as a single surf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a step difference.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 블록(10)은, 선단 블록(20)을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기 위하여, 선단부에 2개의 면(14, 16)에 의하여 획정(劃定)되는 오목부(15)를 갖는다. 선단 블록(20)은, 그 오목부(15)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대좌 블록(10)의 2개의 면(14, 16)의 각각에 접촉하는 제1 체결면(24), 제2 체결면(26)을 갖는다. 제1 체결면(24)은, 일례로서, 2개의 선단 블록(20)이 대향하는 면(22A, 22B)에 수직인 면이며, 제2 체결면(26)은, 일례로서, 2개의 선단 블록(20)이 대향하는 면(22A, 22B)에 평행한 면이다. 즉, 제1 체결면(24)과 제2 체결면(26)이 이루는 각도는, 일례로서 90°이다.As shown in FIG. 3 , the pedestal block 10 has a concave portion 15 defined at the distal end by two surfaces 14 and 16 in order to provide the distal end block 20 in a detachable manner. has The distal end block 20 has a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a second fastening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two surfaces 14 and 16 of the pedestal block 10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15 thereof. has a face 26 .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is, as an example,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s 22A and 22B where the two tip blocks 20 oppos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is, as an example, two tip blocks. (20) is a plane parallel to the opposing surfaces 22A, 22B.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is, for example, 90°.

또한, 대좌 블록(10)의 면(14)과 면(16)이 이루는 각과, 선단 블록(20)의 제1 체결면(24)과 제2 체결면(26)이 이루는 각의 차는,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대좌 블록(10)과 선단 블록(20)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에 착탈한 경우에,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between the face 14 and the face 16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face 26 of the tip block 20 is ±0.1 It is preferable to be within °. By setting it as such a structure, since the clearance gap 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end|tip block 20 can be made small, when the front-end|tip block 20 is attached/detached to the pedestal block 10, the pedestal block 10 ) and deformation of the front end block 20 can be suppressed.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에는, 상세를 후술하는 제1 볼트(30)가 삽통(揷通)되는 볼트 구멍(32, 3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대좌 블록(10)을 선단 블록(20)에 대하여 정규의 위치에 위치맞춤한 경우에, 볼트 구멍(32) 및 볼트 구멍(34)은, 이들이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에는, 상세를 후술하는 제2 볼트(40)가 삽통되는 볼트 구멍(42, 4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대좌 블록(10)을 선단 블록(20)에 대하여 정규의 위치에 위치맞춤한 경우에, 볼트 구멍(42) 및 볼트 구멍(44)은, 이들이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에는, 나사산이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 구멍(32, 34, 42 및 44)의 벽면에는,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의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 end block 20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bolt holes 32 and 34 through which a first bolt 3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s inserted. When the pedestal block 10 is positioned at a regula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ip block 20, the bolt hole 32 and the bolt hole 34 are arranged so that they are continuous. Further, in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 end block 20, bolt holes 42 and 44 into which a second bolt 4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s inserted, are respectively formed. When the pedestal block 10 is positioned at a regula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block 20, the bolt hole 42 and the bolt hole 44 are arranged so that they are continuous. The first bolt 30 and the second bolt 40 have threads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the wall surfaces of the bolt holes 32 , 34 , 42 and 44 have the first bolt 30 and the second bolt 40 . ), a screw groove for screwing is formed.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다이 헤드(80)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B-B 단면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4-7,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end|tip block 20 which concern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FIG. 4 is a top view of the die head 80 shown in FIG. 2 . 5 : is sectional drawing of the surfac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shown i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5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5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블록(20)은, 대좌 블록(10)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의 각각에 있어서 볼트(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에 의하여 대좌 블록(10)에 체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체결"이란, 2개의 부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각 부재의 접촉면을 관통하는 볼트를 이용하여, 볼트의 나사의 작용에 의하여 각 부재의 접촉면끼리를 압접(壓接)하는 방향으로 조임으로써, 2개의 부재를 고정하는 것이다. 즉,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의 2개의 면에 있어서, 대좌 블록(10)과 압접되어, 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front-end|tip block 20 is a bolt (1st bolt 30) in each of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which contact the pedestal block 1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bolt 40 )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 Here, "fasten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wo members are in contact, using a bolt passing through the contact surface of each memb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ntact surfaces of each member are pressed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screw of the bolt. By tightening, the two members are fixed. That is, the front-end|tip block 20 is press-contacted and closely_contact|adhered to the pedestal block 10 in two surfaces of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As shown in FIG.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 이외의 모든 면이, 대좌 블록(10)에 대하여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비접촉"이란, 완전히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잔류 응력에 의하여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면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접촉하는 경우도 포함한다.Moreover, as shown in FIG. 5, as for the front-end|tip block 20, it is preferable that all surfaces other than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are non-contact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block 10. As shown in FIG. Here, "non-contact"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it is not in complete contact, and after the distal end block 20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distal end block 20 are caused by residual stress. This includes the case of contact with the surface pressure applied to the extent that this deformation does not occur.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에 있어서, 제1 체결면(24)에 대하여 수직인 축을 갖는 제1 볼트(30)에 의하여 대좌 블록(10)에 체결되고, 제2 체결면(26)에 있어서, 제2 체결면(26)에 대하여 수직인 축을 갖는 제2 볼트(40)에 의하여 대좌 블록(10)에 체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직"이란, 90°에 한정하지 않고, 축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적정한 각도이면 된다. 예를 들면, 90°±0.5° 정도이면, 볼트의 축력을 면압으로 하여 낭비없이 전달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5, the front-end|tip block 20 in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is a base block ( 10) and, i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by a second bolt 40 havi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Here, "vertical" is not limited to 90 degrees, What is necessary is just an appropriate angle which can transmit an axial force efficiently. For example, if it is about 90°±0.5°, the axial force of the bolt can be used as the surface pressure and can be transmitted without waste.

선단 블록(20)의 제1 체결면(24)과, 대좌 블록(10)의 면(14)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들 면을 관통하는 제1 볼트(30)를 이용하여, 이들 면을 접합함으로써, 제1 볼트(30)의 나사의 작용에 의하여, 이들 면끼리가 압접하는 방향으로 조여진다. 동일하게, 선단 블록(20)의 제2 체결면(26)과, 대좌 블록(10)의 면(16)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들 면을 관통하는 제2 볼트(40)를 이용하여, 이들 면을 접합함으로써, 제2 볼트(40)의 나사의 작용에 의하여, 이들 면끼리가 압접하는 방향으로 조여진다. 이로써,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의 2개의 면에 있어서, 대좌 블록(10)과 압접되어, 밀착된다.In a state where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of the front end block 20 and the surface 14 of the pedestal block 10 are in contact, these surfaces are joined by using the first bolt 30 penetrating these surfaces. By doing so, by the action of the screw of the 1st bolt 30, these surfaces are tight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press-contact. Similarl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of the front end block 20 and the surface 16 of the pedestal block 10 are in contact, using the second bolt 40 penetrating these surfaces, these By joining the surfaces, they are tight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se surfaces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screw of the second bolt 40 . Thereby, in the two surfaces of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the front-end|tip block 20 is press-contacted and closely_contact|adhered to the pedestal block 10. As shown in FIG.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에 있어서,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볼트(30)에 의하여 대좌 블록(10)에 체결되고, 제2 체결면(26)에 있어서,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볼트(40)에 의하여 대좌 블록(10)에 체결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볼트(30)와, 복수의 제2 볼트(40)는, 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4 to 7 , the front end block 20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irst bolts 30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o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 It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and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by a plurality of second bolts 40 arranged along the long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o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 . 4, 6, and 7, the plurality of first bolts 3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bolts 40 are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체결면(24)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제2 체결면(26)에 있어서의 면압 P2가 동일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도 4,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볼트(30)의 사용 갯수 N1과, 제2 볼트(40)의 사용 갯수 N2가 동일하고,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는,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제1 볼트(30) 및 복수의 제2 볼트(40)는,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become the same. Therefore, as shown in FIG.4, FIG.6, and FIG.7, the used number N1 of the 1st bolt 30 and the used number N2 of the 2nd bolt 40 are the same, and the 1st bolt 30 and the The two bolts 40 are preferably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ome 1st bolt 30 and the some 2nd bolt 40 are respectively arrange|positioned at equal intervals.

또,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블록(20)은, 슬릿(84)을 형성하는 면(22)에 평행이고, 또한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볼트(30)에 의하여 대좌 블록(10)에 체결되며, 슬릿(84)을 형성하는 면(22)에 수직이고, 또한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볼트(40)에 의하여 대좌 블록(1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슬릿(84)의 왜곡이나 단차를 억제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S. 4 to 7 , the front end block 20 is parallel to the surface 22 forming the slit 84 , and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 A plurality of second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by the first bolt 30 ,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22 forming the slit 84 , and arranged along the long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 It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by means of bolts 40 .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distortion and step difference of the slit 84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의 2개의 면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면압으로 대좌 블록(10)에 체결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에 의하면,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의 2개의 면에서 균등하게 면압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잔류 응력에 의하여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이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환언하면, 선단 블록(20)의 분리 전후에서의 다이 헤드(80)의 상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에 의하면, 대좌 블록(10)으로부터 분리한 선단 블록(20)을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 block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by the same surface pressure on the two surfaces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 do. Thereby, according to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pressure can be disperse|distributed equally in the two surfaces of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deformation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 end block 20 due to residual stress after the distal end block 20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die head 80 before and after the distal end block 20 is separa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front-end|tip block 20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can be reused.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에 의하면, 대좌 블록(10)에 마련된 2개의 면(14, 16)에 의하여 획정되는 오목부(15)에, 선단 블록(20)의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을 맞추어 수용한다. 따라서,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에 체결하는 경우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또한 양호한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즉,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에 양호한 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1st fastening of the front-end|tip block 20 to the recessed part 15 defined by the two surfaces 14 and 16 provided in the pedestal block 10. The 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face 26 are accommodated together. Accordingly, alignment when the tip block 20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ed. That is, the tip block 20 can be mounted to the pedestal block 10 with high precision.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구성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8-10, the mod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변형예 1-1][Modified Example 1-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변형예 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 이외에,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잔류 응력에 의하여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면압이 가해진 상태에서 대좌 블록(10)에 접촉하는 접촉면(29)을 갖고 있어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8 and FIG.9, the modification 1-1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After the front end block 2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in addition to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the pedestal is formed by residual stress. The block 10 and the front end block 20 may have a contact surface 29 which contacts the pedestal block 10 in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pressur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eform|transform is applied.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블록(20)이, 면(22)과 제1 체결면(24)의 사이에, 접촉면(29)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체결면(24)과 제2 체결면(26)의 사이에, 접촉면(29)을 갖고 있어도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front-end|tip block 20 may have the contact surface 29 between the surface 22 and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s shown in FIG. Moreover, as shown in FIG. 9, you may have the contact surface 29 between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for example.

또한,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선단 블록(20)이, 접촉면(29)에 있어서 대좌 블록(10)에 접촉하지 않고, 대좌 블록(10)과 선단 블록(20)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 경우는, 도포액이 간극으로 들어가 버려, 도포액을 양호한 정밀도로 토출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도포액의 토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 블록(20)은,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 이외의 모든 면이, 대좌 블록(10)에 대하여 비접촉인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for example, in the case shown in FIG. 8, the front-end|tip block 20 does not contact the pedestal block 10 in the contact surface 29, but between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end|tip block 20. When a gap is generated, the coating liquid enters the gap, and it becomes difficult to accurately discharge the coating liqui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discharging the coating liquid while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tip block 20, as shown in FIG. 5 , the tip block 20 has a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a second fastening. It is preferable that all surfaces other than the surface 26 are non-contact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block 10 .

[변형예 1-2][Modification 1-2]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변형예 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체결면(24)과 제2 체결면(26)이 이루는 각도(θ)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보다 커도 된다. 제1 체결면(24)과 제2 체결면(26)이 이루는 각도(θ)는, 예를 들면, 90° 이상 120° 이하여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10, the modification 1-2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ngle θ betwee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may be larger than 90°, as shown in FIG. 10 . The angle θ betwee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may be, for example, 90° or more and 120° or less.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볼트의 배열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있어서, 볼트 구멍(34)에는 제1 볼트(30)가 삽통되고, 볼트 구멍(42)에는 제2 볼트(40)가 삽통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볼트의 배열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 블록(10A) 및 선단 블록(20A)에 있어서의 볼트의 배열과, 대좌 블록(10B) 및 선단 블록(20B)에 있어서의 볼트의 배열이 좌우 대칭이었다. 또,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가,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는 것이었다. 또, 제1 볼트(30)의 수 N1과, 제2 볼트(40)의 수 N2가 동일한 것이었다. 또, 제1 체결면(24)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제2 체결면(26)에 있어서의 면압 P2가 동일한 것이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14, the modified example of the bolt arrangement|sequence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11 to 14 , the first bolt 30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34 , and the second bolt 40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42 . The arrangement of bolts in the above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 4, the arrangement of bolts in the pedestal block 10A and the tip block 20A, and the arrangement of the bolts in the pedestal block 10B and the tip block 20B. The arrangement of the bolts was symmetrical. Moreover, the 1st bolt 30 and the 2nd bolt 40 were alternately arrange|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number N1 of the 1st bolts 30 and the number N2 of the 2nd bolts 40 were the same. Moreover,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were the same thing.

[변형예 2-1][Modified Example 2-1]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볼트의 배열에 대한 변형예 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좌 블록(10A) 및 선단 블록(20A)에 있어서의 볼트의 배열과, 대좌 블록(10B) 및 선단 블록(20B)에 있어서의 볼트의 배열은 좌우 비대칭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 블록(10A) 및 선단 블록(20A)에 있어서의 볼트의 배열과, 대좌 블록(10B) 및 선단 블록(20B)에 있어서의 볼트의 배열이 좌우 비대칭이어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11, the modification 2-1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bolts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bolts in the pedestal block 10A and the tip block 20A and the arrangement of the bolts in the pedestal block 10B and the tip block 20B may be asymmetri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the arrangement of bolts in the pedestal block 10A and the tip block 20A and the bolt arrangement in the pedestal block 10B and the tip block 20B are left-right asymmetrical. may be

[변형예 2-2][Modified Example 2-2]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볼트의 배열에 대한 변형예 2-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는, 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한 수씩 반복 출현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는,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2씩 반복 출현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12, the modification 2-2 with respect to the bolt arrangement|sequence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the 1st bolt 30 and the 2nd bolt 40 may be arrange|positioned in the aspect which appears repeatedly by the same number respecti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1st bolt 30 and the 2nd bolt 40 may be arrange|positioned in the aspect which appears repeatedly 2 by eac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변형예 2-3][Modified Example 2-3]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볼트의 배열에 대한 변형예 2-3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체결면(24) 전체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제2 체결면(26) 전체에 있어서의 면압 P2가 동일하면,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의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의 배치가 치우쳐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볼트(30)가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볼트(40)가 다이 헤드(80)의 긴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양태여도 된다.With reference to FIG. 13, the modification 2-3 with respect to the bolt arrangement|sequence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if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whole of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whole of the 2nd fastening surface 26 are the same, the 1s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80 is the same. The arrangement of the bolt 30 and the second bolt 40 may be bia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a plurality of first bolts 30 are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e head 8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s 40 are mounted on the die head 80 . The aspect arrange|positioned at the both ends of a long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sufficient.

[변형예 2-4][Modified Example 2-4]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볼트의 배열에 대한 변형예 2-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체결면(24) 전체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제2 체결면(26) 전체에 있어서의 면압 P2의 비 P1/P2가, 3/7 이상 7/3 이하여도 된다. 또, 제1 볼트(30)의 수 N1과, 제2 볼트(40)의 수 N2의 비 N1/N2가, 3/7 이상 7/3 이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볼트(30)의 수 N1이 5이며, 제2 볼트(40)의 수 N2가 8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체결면(24) 전체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제2 체결면(26) 전체에 있어서의 면압 P2의 비 P1/P2는, 5/8이므로, 3/7 이상 7/3 이하이다.With reference to FIG. 14, the modification 2-4 with respect to the bolt arrangement|sequence of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e sai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said embodiment, even if ratio P1/P2 of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whole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whole 2nd fastening surface 26 is 3/7 or more and 7/3 or less, do. Moreover, the ratio N1/N2 of the number N1 of the 1st bolts 30 and the number N2 of the 2nd bolts 40 may be 3/7 or more and 7/3 or les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 the number N1 of the first bolts 30 may be 5, and the number N2 of the second bolts 40 may be eight. In this case, since ratio P1/P2 of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1st fastening surface 24 whole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whole 2nd fastening surface 26 is 5/8, 3/7 or more 7/3 is below.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변형예에 관한 다이 헤드(80)에 의하면,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의 2개의 면에서 면압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잔류 응력에 의하여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이 변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환언하면, 선단 블록(20)의 분리 전후에서의 다이 헤드(80)의 상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에 의하면, 대좌 블록(10)으로부터 분리한 선단 블록(20)을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e head 80 according to each modified example, the surface pressure can be distributed on the two surfaces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deformation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 end block 20 due to residual stress after the distal end block 20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die head 80 before and after the distal end block 20 is separa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e head 8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the front-end|tip block 20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can be reused.

[실시예][Example]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다이 헤드(80)의 실시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술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각 조건은, 주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die head 80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given, and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addition, each condition shown in a following example can be changed suitably, unless it deviates from a well-known fact.

이하의 조건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다이 헤드(80)를 제작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이 헤드(80)의 편방의 단부로부터 25mm의 위치를 기점으로 60mm 간격으로 26개의 제1 볼트(30)를 이용하고, 다이 헤드(80)의 편방의 단부로부터 55mm의 위치를 기점으로 60mm 간격으로 25개의 제2 볼트(40)를 이용하여, 대좌 블록(10)과 선단 블록(20)을 체결했다. 이하의 조건에 있어서는,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도,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이 변형되지 않고,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에 양호한 정밀도로 착탈할 수 있었다.The die head 80 shown in FIG. 15 was produc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s shown in FIG. 15 , in the present embodiment, 26 first bolts 30 are used at intervals of 60 mm from a position of 25 mm from one end of the die head 80 as a starting point,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 end block 20 were fastened using 25 second bolts 40 at intervals of 60 mm from a position of 55 mm from the end of the room as a starting poin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even after the distal end block 20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distal end block 20 do not deform, and the distal end block 20 is attached to the pedestal block 10. It was able to attach and detach with good precision.

<대좌 블록(10)><Pedestal block (10)>

·재질: 스테인리스강(SUS630)·Material: stainless steel (SUS630)

·면(14) 및 면(16)의 표면 조도 Rz: 0.8μm 이하Surface roughness Rz of the face 14 and face 16: 0.8 μm or less

<선단 블록(20)><End block (20)>

·재질: 탄화 텅스텐(WC)Material: Tungsten Carbide (WC)

·로크웰 경도: 50HRC 이상Rockwell hardness: 50HRC or more

·제1 체결면(24) 및 제2 체결면(26)의 표면 조도 Rz: 0.8μm 이하Surface roughness Rz of the first fastening surface 24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26: 0.8 μm or less

·긴 길이 방향의 길이: 1550mm・Length in the long longitudinal direction: 1550mm

<제1 볼트(30)><First bolt 30>

·사용 갯수 N1: 26개・Number of use N1: 26

·볼트의 체결 위치의 간격: 60mm· Spacing between bolted positions: 60mm

·재질: SUS304 상당·Material: SUS304 equivalent

·종류: 육각 구멍 장착 볼트・Type: Hexagon socket head mounting bolt

·나사의 공칭: M4, M5, M6Nominal thread: M4, M5, M6

·조임 토크: 최대 조임 토크의 50~90%Tightening torque: 50 to 90% of the maximum tightening torque

<제2 볼트(40)><Second bolt (40)>

·사용 갯수 N2: 25개・Number of use N2: 25

·볼트의 체결 위치의 간격: 60mm· Spacing between bolted positions: 60mm

·재질: SUS304 상당·Material: SUS304 equivalent

·종류: 육각 구멍 장착 볼트・Type: Hexagon socket head mounting bolt

·나사의 공칭: M4, M5, M6Nominal thread: M4, M5, M6

·조임 토크: 최대 조임 토크의 50~90%Tightening torque: 50 to 90% of the maximum tightening torque

선단 블록(20)의 로크웰 경도를 50HRC 이상으로 함으로써, 대좌 블록(10)으로부터 선단 블록(20)을 분리한 경우에, 잔류 응력에 의한 선단 블록(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었다.By setting the Rockwell hardness of the tip block 20 to 50 HRC or more, when the tip block 20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block 10, deformation of the tip block 20 due to residual stress can be suppressed.

대좌 블록(10)의 면(14) 및 면(16)의 표면 조도 Rz, 및 선단 블록(20)의 체결면(24) 및 체결면(26)의 표면 조도 Rz를, 각각 0.8μm 이하로 함으로써, 대좌 블록(10)과 선단 블록(20)의 접촉면에 있어서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고, 대좌 블록(10) 및 선단 블록(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었다.By making the surface roughness Rz of the face 14 and face 16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surface roughness Rz of the fastening face 24 and the fastening face 26 of the front end block 20 into 0.8 µm or less, respectively , the gap i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tip block 20 can be reduced, and deformation of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tip block 20 can be suppressed.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의 사이즈를 M4 이상 M6 이하로 함으로써,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에 체결하면서, 선단 블록(20) 및 대좌 블록(10)의 변형을 억제하는 적정한 축력을 얻을 수 있었다.By setting the sizes of the first bolt 30 and the second bolt 40 to M4 or more and M6 or less, the front end block 20 and the pedestal block 10 are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while the An appropriate axial force to suppress deformation was obtained.

제1 볼트(30) 및 제2 볼트(40)의 조임 토크를 최대 조임 토크의 50% 이상 90% 이하로 함으로써, 선단 블록(20)을 대좌 블록(10)에 체결하면서, 선단 블록(20) 및 대좌 블록(10)의 변형을 억제하는 적정한 축력을 얻을 수 있었다.By setting the tightening torque of the first bolt 30 and the second bolt 40 to 50% or more and 90% or less of the maximum tightening torque, the front end block 20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10, and the front end block 20 and an appropriate axial force for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pedestal block 10 was obtained.

또한, 2019년 6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9-117630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하여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된다.In addition, as for the indication of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117630 for which it applied on June 25, 2019, the whole is taken in into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In addition, all documents, patent applications, and technical standard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to the same extent as if each document, patent application, and technical standard were specifically and individually recorded. is invoked by

Claims (12)

대좌 블록과, 상기 대좌 블록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선단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 블록의 선단으로부터 도포액을 토출하는 다이 헤드로서,
상기 선단 블록은, 상기 대좌 블록에 각각 접촉하는 제1 체결면 및 제2 체결면의 각각에 있어서 볼트에 의하여 상기 대좌 블록에 체결되어 있는 다이 헤드.
A die head comprising a pedestal block and a distal end block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block, the die head discharging a coating liquid from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block,
The front end block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bolts on each of a first fastening surface and a second fastening surface that respectively contact the pedestal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면 및 상기 제2 체결면 이외의 모든 면이, 상기 대좌 블록에 대하여 비접촉인 다이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ront end block, all surfaces other tha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are non-contact with the pedestal block.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에 대하여 수직인 축을 갖는 제1 볼트에 의하여 상기 대좌 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면에 대하여 수직인 축을 갖는 제2 볼트에 의하여 상기 대좌 블록에 체결되어 있는 다이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ront end block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a first bolt havi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fastening surface i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i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to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The die head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a second bolt having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edestal block.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과 상기 제2 체결면이 이루는 각도는, 90° 이상 120° 이하인 다이 헤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ngl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is 90° or more and 120° or less of the die hea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과 상기 제2 체결면이 이루는 각도는, 90°인 다이 헤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 angl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is 9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상기 제2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2의 비 P1/P2가, 3/7 이상 7/3 이하인 다이 헤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e head whose ratio P1/P2 of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said 1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said 2nd fastening surface is 3/7 or more and 7/3 or les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1과, 상기 제2 체결면에 있어서의 면압 P2가 동일한 다이 헤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ie head in which the surface pressure P1 in the said 1st fastening surface and the surface pressure P2 in the said 2nd fastening surface are the sam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면 및 상기 제2 체결면의 쌍방에 평행한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볼트에 의하여 상기 대좌 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체결면에 있어서, 상기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볼트에 의하여 상기 대좌 블록에 체결되며,
상기 제1 볼트의 수 N1과, 상기 제2 볼트의 수 N2의 비 N1/N2가, 3/7 이상 7/3 이하인 다이 헤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front end block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a plurality of first bolts arrang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both of the first fastening 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face on the first fastening surface, In the second fastening surface, it is fastened to the pedestal block by a plurality of second bolt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e head whose ratio N1/N2 of the number N1 of said 1st bolts and the number N2 of said 2nd bolts is 3/7 or more and 7/3 or les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의 수 N1과, 상기 제2 볼트의 수 N2가 동일한 다이 헤드.
9. The method of claim 8,
A die head in which the number N1 of the first bolts and the number N2 of the second bolts are the same.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 및 상기 제2 볼트는, 상기 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한 수씩 반복 출현하는 양태로 배치되어 있는 다이 헤드.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die head is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first bolt and the second bolt repeatedly appear by the same nu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 및 상기 제2 볼트는, 상기 긴 길이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다이 헤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first bolt and the second bolt are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e hea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선단 블록이, 서로의 긴 길이 방향이 평행한 자세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2개의 상기 선단 블록의 사이에, 상기 도포액이 토출되는 슬릿을 갖는 다이 헤드.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 die head having a slit in which the two front end block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coating liquid is discharged between the two front end blocks.
KR1020217042187A 2019-06-25 2020-06-12 die head KR1025930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7630 2019-06-25
JPJP-P-2019-117630 2019-06-25
PCT/JP2020/023272 WO2020262046A1 (en) 2019-06-25 2020-06-12 Die he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713A true KR20220011713A (en) 2022-01-28
KR102593078B1 KR102593078B1 (en) 2023-10-23

Family

ID=7406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187A KR102593078B1 (en) 2019-06-25 2020-06-12 die hea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34363B2 (en)
KR (1) KR102593078B1 (en)
CN (1) CN114025886A (en)
TW (1) TW202103802A (en)
WO (1) WO202026204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415A (en) * 2000-04-11 2001-10-23 Dainippon Printing Co Ltd Die head
JP2004216202A (en) * 2003-01-09 2004-08-05 Mitsubishi Materials Corp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64U (en) * 1992-09-21 1994-04-19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Coating equipment
JPH0985149A (en) * 1995-09-25 1997-03-31 Sony Corp Coating applicator
JP3739134B2 (en) * 1996-06-21 2006-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ie head
JP4191283B2 (en) * 1998-07-08 2008-12-03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Multi-layer coating equipment
JP3899485B2 (en) * 2002-03-22 2007-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Ap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965312B2 (en) * 2002-03-20 2007-08-29 アドバンスト・カラーテック株式会社 Single substrate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5270878A (en) * 2004-03-25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JP4358010B2 (en) * 2004-03-25 2009-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JP4606156B2 (en) * 2004-12-27 2011-0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ie head
JP5092261B2 (en) * 2006-03-30 2012-1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ie head and coating device
JP6094145B2 (en) * 2012-10-26 2017-03-1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Application tool
JP2018143965A (en) * 2017-03-06 2018-09-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Coating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415A (en) * 2000-04-11 2001-10-23 Dainippon Printing Co Ltd Die head
JP2004216202A (en) * 2003-01-09 2004-08-05 Mitsubishi Materials Corp Appl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262046A1 (en) 2020-12-30
CN114025886A (en) 2022-02-08
KR102593078B1 (en) 2023-10-23
TW202103802A (en) 2021-02-01
WO2020262046A1 (en) 2020-12-30
JP7234363B2 (en)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694B2 (en) Thread-milling cutter and thread-milling insert
US20130236651A1 (en) Shim member, die coater, and method for producing coating film
SE511928C2 (en) Device and method of clamping inserts
EP3025813B1 (en) A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nd a cutting insert
WO2012002474A1 (en) Extrusion die device
US10207337B2 (en) Front-loaded, side-activated modular drill
US20170197258A1 (en) Rotary cutting tool with internal balancing feature
EP2750998B1 (en) Modular web-handling machine
MXPA04010988A (en) Clamping apparatus.
JP4826320B2 (en) Die head
KR20220011713A (en) die head
KR20180008750A (en) Replaceable tool edge cutting tool
EP3425111B1 (en) Doctor blade holder system
US8690491B2 (en) Rotary cutting tool
US6352424B1 (en) Extrusion die membrane assembly
US8167496B2 (en) Slide bearing
JP6094145B2 (en) Application tool
US20030124214A1 (en) Extrusion die for hollow member, mandrel for said extrusion die and male die for said extrusion die
JP4500669B2 (en) Application head
JP2013184106A (en) Coating tool
JP5796477B2 (en) Rolling roll
KR100985321B1 (en) Screw and boss having improved clamping force and enhanced reusability
JP2020131119A (en) Die coater
US20180291962A1 (en) Modular shaft
JP2018126772A (en) Female bla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