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655A -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655A
KR20220011655A KR1020217040060A KR20217040060A KR20220011655A KR 20220011655 A KR20220011655 A KR 20220011655A KR 1020217040060 A KR1020217040060 A KR 1020217040060A KR 20217040060 A KR20217040060 A KR 20217040060A KR 20220011655 A KR20220011655 A KR 2022001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device
message
servi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 쑤
지엔화 리우
닝 양
슈쿤 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는 바, 단말 기기에 SIM 카드를 전환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단말 기기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은 2019년 5월 24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PCT/CN2019/088434이고, 발명의 명칭이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인 PCT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이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듀얼 카드 듀얼 스탠바이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가 갈수록 많아지고 있으나, 현재 단말 기기는 모두 순수한 이중 통과를 지원하지 않는다. 즉 단말 기기는 2 개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카드를 통해 2 개의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는 바, 이는 단말 기기가 특정 시각에 하나의 USIM 카드의 서비스만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USIM-1 카드 및 USIM-2 카드가 동시에 장착된 단말 기기의 경우, 단말 기기가 USIM-1 카드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 중이고 또한 USIM-2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요청을 수신하면, USIM-2 카드로의 전환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 기기가 USIM-2 카드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수행할지 아니면 USIM-1 카드에 체류하여 계속 현재 서비스를 수행할지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여 단말 기기에 SIM 카드를 전환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네트워크가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양태, 제2 양태 또는 이들의 각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술한 제1 양태, 제2 양태 또는 이들의 각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3 양태, 제4 양태 또는 이들의 각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제3 양태, 제4 양태 또는 이들의 각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술한 제1 양태, 제2 양태 또는 이들의 각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8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술한 제3 양태, 제4 양태 또는 이들의 각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임의의 양태 또는 이들의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기기가 상술한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임의의 양태 또는 이들의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술한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임의의 양태 또는 이들의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상술한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임의의 양태 또는 이들의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술한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임의의 양태 또는 이들의 실시형태 중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헤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수단에 따르면,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메시지 중의 서비스 정보 또는 제1 네트워크의 지시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 방식은 단말 기기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의 모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단말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네트워크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기기의 모식적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의 모식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100)의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110)는 제1 통신 시스템의 제1 네트워크 기기(130) 및 제2 통신 시스템의 제2 네트워크 기기(120)에 연결되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130)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의 네트워크 기기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120)는 엔알(New Radio, NR)의 네트워크 기기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130)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120)는 복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점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 및/또는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은 제1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메인 네트워크 기기 및 제2 통신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보조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조 네트워크 기기는 각각 상기 하나의 메인 네트워크 기기에 연결되어 다중 연결을 구성하고, 각각 단말 기기(110)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110)는 메인 네트워크 기기 및 보조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동시에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110)와 메인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축된 연결은 메인 연결이고, 단말 기기(110)와 보조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축된 연결은 보조 연결이다. 단말 기기(110)의 제어 시그널링은 메인 연결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단말 기기(110)의 데이터는 메인 연결 및 보조 연결을 통해 동시에 전송되거나, 보조 연결을 통해서만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제1 통신 시스템 및 제2 통신 시스템은 상이하나, 제1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등일 수 있다.
상기 메인 네트워크 기기 및 상기 보조 네트워크 기기는 임의의 접속망 기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이동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또는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이거나,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이거나,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중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는 또한 차세대 무선 접속망(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 RAN), 또는 NR 시스템 중의 기지국(gN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컨트롤러이거나, 또는 상기 접속망 기기는 중계국, 접속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또는 미래 진화할 공중 육상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130)를 메인 네트워크 기기로,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120)를 보조 네트워크 기기로 예로 든다.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130)는 LTE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120)는 NR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130)는 NR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기기(120)는 LTE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130)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120)는 모두 NR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130)는 GSM 네트워크 기기, CDMA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 기기(120)도 마찬가지로 GSM 네트워크 기기, CDMA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또는 제1 네트워크 기기(130)는 매크로셀(Macrocell)일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기기(120)는 마이크로셀(Microcell), 피코셀(Picocell) 또는 펨토셀(Femtocell)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110)는 임의의 단말 기기일 수 있는 바, 상기 단말 기기(110) 는 공중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및/또는 다른 단말 기기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장치; 및/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된 단말 기기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또는 "모바일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예는, 위성 또는 셀룰러 폰;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Web 브라우저, 메모 패드, 달력 및/또는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기존 랩톱 및/또는 팜탑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에볼루션 PLMN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점은, 본문에서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자주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다.
듀얼 SIM 카드 단말기는 미래의 발전 추세이나 현재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순수한 이중 통과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중 통과는 이중 전송 및 이중 수신, 즉 2 개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2 개의 SIM 카드를 통해 2 개의 네트워크에서 업링크(uplink, UL) 및 다운링크(downlink, UL)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현재 대부분의 단말 기기는 모두 단일 업링크/다운링크(Single UL/DL), 또는 단일 업링크/이중 다운링크(Single UL/Dual DL)만 지원하는 바, 이는 단말 기기가 특정 시각에 하나의 SIM 카드에서만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Single UL/DL은 단말 기기가 특정 시각에 하나의 SIM 카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비스만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Single UL/Dual DL은 단말 기기가 특정 시각에 동시에 2 개의 SIM 카드의 서비스를 수행하고, 하나의 SIM 카드의 업링크 서비스만 수행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단말 기기에 SIM-1 카드 및 SIM-2 카드가 동시에 장착된 경우, 단말 기기가 Single UL/DL 또는 Single UL/Dual DL만 지원할때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황 1, 단말 기기가 Single UL/DL만 지원하고, 또한 단말 기기가 SIM-1 및 SIM-2 모두에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유휴 상태 또는 RRC 비연결 상태인 경우, 충돌 상황을 페이징한다.
상황 2, 단말 기기가 Single UL/DL만 지원하고, 또한 단말 기기가 SIM-1에서 RRC 유휴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에 있며, SIM-2에서 RRC 연결 상태인 경우, SIM-1의 낮은 우선 순위 서비스가 SIM-2의 높은 우선 순위 서비스를 중단하는 현상, 또는 단말 기기가 특정 이벤트 내에서 SIM-1의 서비스 페이징을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상황 3, 단말 기기가 Single UL/Dual DL만 지원하고, 또한 단말 기기가 SIM-1에서 RRC 유휴 상태 또는 비연결 상태에 있며, SIM-2에서 RRC 연결 상태인 경우, 단말 기기는 SIM-1 카드에서의 페이징에 대한 회신(예를 들어, RRC 연결 구축)으로 인해 SIM-2의 서비스를 중단하게 된다.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에는 2 개의 SIM 카드, 즉 USIM-1 및 USIM-2가 장착되고, 단말 기기의 USIM-1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1이며, 단말 기기의 USIM-2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2이다. 네트워크 1은 접속망1(radio access network 1, RAN-1) 및 핵심망1(core network 1, CN-1)을 포함하고, 네트워크 2는 RAN-2 및 CN-2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2와 연결 상태에 있고, 네트워크 1과 비연결 상태에 있다.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2(RAN-2+CN-2)에서 USIM-2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한다.
단계 S220에서, 제1 네트워크에서 서비스의 트리거로 인해 CN-1은 RAN-1에 페이징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한다.
단계 S230에서, RAN-1은 CN-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요청을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페이징 요청을 송신한다.
단말 기기는 RAN-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요청을 수신한 후, USIM-2로 전환해야 하는지 여부,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페이징 요청을 수신할 경우,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수행 중일 때 단말 기기가 USIM-1로 전환해야 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1에서 서비스를 중지하고 SIM-2로 전환해야 할지, 아니면 네트워크 1의 페이징을 무시하고 네트워크 1과의 연결을 유지하여 현재 서비스를 계속 수행해야 하는지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여 다중 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에 SIM 카드 전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S310~S320을 포함한다.
단계 S310에서,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제1 정보가 포함되고, 제1 메시지는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단계 S320에서, 단말 기기가 제1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기기를 지칭할 수 있고,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핵심망 기기를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핵심망 기기는 전술한 CN-1을 지칭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접속망 기기를 지칭할 수 있고,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전술한 RAN-1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는 비연결 상태에 있는 바, 예를 들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는 RRC 유휴(idle) 상태에 있거나,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는 RRC 비활성화(inactive)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단말 기기는 다중 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일 수 있고, 단말 기기에 장착된 SIM 카드가 USIM-1 및 USIM-2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USIM-1은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고,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단말 기기는 현재 제2 네트워크와는 연결 상태에 있고, 제2 네트워크와는 비연결 상태에 있다.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와 연결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USIM-2 상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간의 연결 상태는 단말 기기와 제2 네트워크 간의 RRC 연결 상태 및/또는 연결 관리(connection management, CM) 연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일 수 있고, 제1 네트워크는 페이징을 트리거할 서비스가 있음을 감지한 경우, 단말 기기가 상기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이 존재하거나 제3자에 의해 트리거된 요청 메시지를 감지한 경우,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도록, 제1 정보에는 서비스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상기 서비스가 중요하거나 긴급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정보에 지진 및 쓰나미 경보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로 전환하여 상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상기 서비스가 중요하지 않거나 긴급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스팸 페시지 또는 광고 등인 경우, 단말 기기는 상기 메시지를 무시하고 현재 네트워크에 계속 머무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1 네트워크를 트리거하는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식별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식별자(identity, ID), 서비스(Service) ID,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 미디어 접속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주소, 가상 근거리 통신망(Virtual Local Area Network, VLAN) ID,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e network name, DNN) 및 접속 포인트 이름(Access Point Name, APN)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식별자는 또한 예를 들어 긴급 호출, 음성 서비스, 단문 서비스, IP 멀티미디어 하위 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유형을 특성화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제1 정보는 제1 정보 중 제1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서비스 및 이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와 같이 서비스 식별자 및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제1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제1 메시지에는 복수의 서비스 식별자 및 이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각 서비스 식별자는 모두 이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구비하며, 상이한 서비스의 우선 순위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정보는 또한 트리거 이벤트와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트리거 이벤트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서비스 정보와 같은 제1 정보의 내용에 따라 자체로 제1 네트워크로 전환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바, 이는 다중 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에 네트워크 전환 정책을 제공하여 단말 기기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2 정보는 정책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상이한 지점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동일한 서비스의 우선 순위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 제2 정보에 포함된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는 상이하다.
서비스 우선 순위는 상이한 서비스 및 이에 대응되는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 1에는 서비스 우선 순위를 표시하는 방식이 도시된다.
서비스 우선 순위(1-9)
서비스-1 1
서비스-2 3
서비스-3 6
서비스-4 4
표 1은 4가지 서비스 및 이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도시하는 바, 즉 서비스-1의 우선 순위는 1이고, 서비스-2의 우선 순위는 3이며, 서비스-3의 우선 순위는 6이고, 서비스-4의 우선 순위는 4이다. 표 1에서, 우선 순위의 번호가 작을 수록 제한도가 높아지는데, 즉 서비스-1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고, 서비스 3의 우선 순위가 가장 낮으며, 서비스-2의 우선 순위는 서비스-4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서비스 우선 순위는 특정 시간의 서비스 우선 순위 및/또는 특정 지점의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동일한 서비스의 경우, 표 2 및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시간 및/또는 지점에서의 이들의 우선 순위는 상이하다.
서비스 시간 우선 순위(1-9)
서비스 1 시간 1 1
시간 2 3
서비스 2 시간 1 4
시간 2 2
서비스 3 시간 1 6
시간 2 7
서비스 4 시간 1 8
시간 2 5
표 2는2 개의 상이한 시간에서의 동일한 서비스의 서비스 우선 순위 상황을 도시한다. 서비스 1의 경우, 시간 1에서 우선 순위는 1이나, 시간 2에서 우선 순위는 3이고; 서비스 2의 경우, 시간 1에서 우선 순위는 4이나, 시간 2에서 우선 순위는 2이며; 서비스 3의 경우, 시간 1에서 우선 순위는 6이나, 시간 2에서 우선 순위는 7이고; 서비스 4의 경우, 시간 1에서 우선 순위는 8이나, 시간 2에서 우선 순위는 5이다. 표 2를 참조하면, 시간 1에서, 서비스 1의 우선 순위는 서비스 2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나, 시간 2에서, 서비스 2의 우선 순위는 서비스 1의 우선 순위보다 높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판단할 경우, 먼저 현재 시간을 판단한 후, 상기 시간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서비스의 우선 순위로 사용할 수 있다.
시간 1과 시간 2는 각각 낮과 밤을 표시하거나 각각 주중과 주말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 많은 시간 포인트, 예를 들어 출근 시간, 퇴근 시간, 식사 시간, 취침 시간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서비스 지점 우선 순위(1-9)
서비스 1 지점 1 4
지점 2 2
서비스 2 지점 1 1
지점 2 6
서비스 3 지점 1 3
지점 2 5
서비스 4 지점 1 7
지점 2 8
표 3은 2 개의 상이한 지점에서의 동일한 서비스의 우선 순위 상황을 도시한다. 서비스 1의 경우, 지점 1에서 우선 순위는 4이나, 지점 2에서 우선 순위는 2이고; 서비스 2의 경우, 지점 1에서 우선 순위는 1이나, 지점 2에서 우선 순위는 6이며; 서비스 3의 경우, 지점 1에서 우선 순위는 3이나, 지점 2에서 우선 순위는 5이고; 서비스 4의 경우, 지점 1에서 우선 순위는 7이나, 지점 2에서 우선 순위는 8이다. 표 3을 참조하면, 지점 1에서, 서비스 1의 우선 순위는 서비스 2의 우선 순위보다 낮으나, 지점 2에서, 서비스 2의 우선 순위는 서비스 1의 우선 순위보다 낮다. 따라서, 단말 기기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경우, 먼저 단말 기기가 위치한 지점을 결정한 후, 상기 지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서비스의 우선 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지점 1과 지점 2는 각각 집과 직장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고속철도, 비행기와 같은 더 많은 지점으로 분할될 수 있다.
표 1, 표 2 및 표 3은 예시일 뿐이고, 1~9 범위 내의 우선 순위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비스의 우선 순위는 1~20까지 총 20개 레벨과 같이 보다 세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서비스 우선 순위는 또한 특정 시간과 특정 지점의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서비스의 우선 순위는 시간 및 지점 모두와 관련이 있으며, 서비스 우선 순위는 2 개 차원에서 우선 순위임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우선 순위는 표 2와 표 3의 공통 결과인 바, 표 2는 특정 지점에서의 서비스 우선 순위를 표시하고, 표 3은 특정 시간에서의 서비스 우선 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동일한 서비스의 경우, 시간은 동일하나 지점이 상이하면 우선 순위도 상이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 단말 기기가 처한 시간뿐만 아니라 단말 기기가 처한 지점도 판단하여 단말 기기의 시간 및 지점 정보에 따라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비스의 구별 입도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비스는,
IP 멀티미디어 하위 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 및 non-IMS를 기반으로 한 음성 서비스;
IMS 및 non-IMS를 기반으로 한 단문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와 비정형 부가 서비스 데이터(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e, USSD);
음성 및 SMS 이외의 IMS 서비스; 및
상기에 나열된 비디오와 같은 다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로 분할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를 제1 서비스 그룹으로 지칭하고,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 그룹으로 지칭한다. 제2 정보는 제1 서비스 그룹을 포함하거나 제2 서비스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2 정보는 제1 서비스 그룹과 제2 서비스 그룹을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단말 기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정보가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제1 정보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 및 서비스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정보가 제1 서비스 그룹을 포함하고 또한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제1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제2 정보가 제1 서비스 그룹을 포함하고 또한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제1 서비스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정보가 제2 서비스 그룹을 포함하고 또한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제2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정보가 제2 서비스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속하는 서비스 그룹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간단한 바,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속하는 서비스 그룹에 대한 판단만으로 바로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 및 서비스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서비스 우선 순위에서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순서 또는 순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우선 순위에서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순서가 중간 이상과 같이 상위인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서비스 우선 순위에서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순서가 중간 아래와 같이 하위인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및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정보 중의 서비스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정보 중의 서비스가 더 중요한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가 더 중요한 경우,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는 통화 서비스이고, 제1 정보 중의 서비스는 단지 광고 단문인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또한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및 서비스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 및 단말 기기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와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 순위가 동일한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거나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 기기는 2 개의 SIM 카드 중의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어느 SIM 카드의 전환 방식이 원활한지를 결정하고, USIM-2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와 USIM-1에서 요청한 서비스를 비교하여 중요하거나 긴급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처리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데이터 처리 정책을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정보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되거나, 제1 네트워크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되거나, 또는 출고 시 단말 기기에 미리 구성되는 등 단말 기기에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제2 정보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등록 프로세스, 세션 구축 프로세스 및/또는 UE 구성 업데이트(UE Configuration Update, UCU) 프로세스에서 제2 정보를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등록 수락(Registration Accept)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 구축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수정 수락 메시지 및 UCU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어링될 수 있다.
상기 UCU 프로세스는 접속 및 이동성 관리(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에 의해 트리거되는 UCU 프로세스이거나,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트리거되는 UCU 프로세스일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되거나, 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될 수 있다. PCF 네트워크 요소가 제2 정보를 단말 기기에 송신하는 것은 PCF 네트워크 요소가 콘테이너(Container)를 사용하여 제2 정보를 AMF 네트워크 요소를 통해 단말 기기에 투명하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또한 제1 메시지를 통해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 제2 정보를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전술한 임의의 방식을 통해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경우,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및/또는 CM 연결과 같은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거나,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현재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현재 제2 네트워크와의 CM 연결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제2 네트워크와의 CM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제1 네트워크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기기는 SIM-1을 통해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물론, 단말 기기가 2 개의 SIM 카드에서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것은 단말 기기가 제1 핵심망과의 연결 및/또는 단말 기기가 제1 접속망과의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또는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가 RRC 유휴 상태에 있면,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가 RRC 비연결 상태,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RRC 연결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제1 요청 메시지에 원인 값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원인 값은 단말 기기가 RRC 연결 구축 또는 복구를 요청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원인 값은 예를 들어 SIM 카드 전환 및/또는 특정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SIM 카드 전환은 단말 기기가 현재 SIM 카드를 사용하여 RRC 연결을 개시하고, 이전 SIM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특정 서비스 식별자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서비스 식별자는 특정 서비스의 도착으로 인한 단말 기기의 RRC 연결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또한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제1 네트워크에 비접속 계층(non-access stratum, NAS)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단말 기기는 CM 연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CM 연결 상태에 진입한 후, 정상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바, 즉 단말 기기는 SIM-1의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헤 제공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S410~480을 포함한다. 도 4 중의 해당 기술적 특징은 상기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단말 기기의 SIM-1은 제1 네트워크에서 등록 또는 부착을 완료하고, 단말 기기의 SIM-2는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 또는 부착을 완료한다. 단말 기기는 현재 제2 네트워크와 CM 연결 상태에 있고, 제1 네트워크와 비연결 상태에 있다.
제1 네트워크는 RAN-1 및 CN-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는 RAN-2 및 CN-2를 포함한다.
단계 S420에서, CN-1은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가 있음을 감지하면, CN-1은 RAN-1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방식에는 1,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 2, 제3자 서버에 의해 트리거된 요청 메시지와 같은 두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단말 기기가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는 서비스 정보가 구비될 수 있고,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유형 및/또는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RAN-1은 CN-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 및 제2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2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USIM-1을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단말 기기는 RAN-1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일 수 있거나,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 기기와 RAN-1이 RRC idle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RAN-1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와 RAN-1이 RRC 비활성화(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RAN-1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단말 기기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원인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인 값은 SIM 카드 전환 및/또는 특정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RAN-1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RRC 구축(setup)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RAN-1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RRC 복구(resum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단말 기기는 RRC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후, RAN-1에 RRC 구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RAN-1에 의해 송신된 RRC Resume 메시지를 수신한 후, RAN-1에 RRC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단말 기기는 CN-1에 NAS메시지를 개시하는 바,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CM 연결 상태에 진입하도록 CN-1에 서비스 요청 메시지 또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다른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여 다중 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에 SIM 카드 전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계 S510~S53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상이한 점은,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SIM 카드 전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한 후,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측의 결정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거나 구축하지 않아 단말 기기의 복잡성을 최대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 중의 해당 기술적 특징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510에서,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 기기를 지칭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기기는 핵심망 기기 또는 접속망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다중 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일 수 있고, 단말 기기는 현재 제1 네트워크와 비연결 상태에 있며, 상기 제1 네트워크는 복수의 SIM 카드 중의 하나의 SIM 카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USIM-1 및 USIM-2를 지원할 수 있으며, 여기서, USIM-1은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고,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된다. 단말 기기는 현재 제1 네트워크와 비연결 상태에 있으나, 제2 네트워크와 연결 상태에 있는 바, 다시 말하면, 단말 기기는 제2 네트워크에서 USIM-2와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나, 제1 네트워크에서 USIM-1와 관련된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다.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계 S520 또는 단계 S530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구체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의 전환 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제1 메시지는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비스가 트리거된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에 다른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서비스가 트리거된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는 제1 정책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제1 네트워크는 제1 정책 및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전송할 서비스는 제1 네트워크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는 전송할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네트워크는 전송할 서비스가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가 추가된 서비스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서비스 우선 순위는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또는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제1 서비스 리스트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비스 그룹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서비스(예를 들어, 단말기가 유휴 상태 또는 RRC-Inactive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리턴해야 함)이고, 전송할 서비스가 제1 서비스 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전송할 서비스가 제1 서비스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제2 서비스 그룹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서비스 그룹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없는 서비스이고, 전송할 서비스가 제2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전송할 서비스가 제1 서비스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제1 서비스 그룹 및 제2 서비스 그룹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비스 그룹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서비스이고, 상기 제2 서비스 그룹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연결될 필요가 없는 서비스이며, 전송할 서비스가 제1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전송할 서비스가 제2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정책은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제1 정책은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의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동일한 서비스의 우선 순위는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제2 정보에 포함된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는 상이하다.
서비스 우선 순위는 특정 지점의 서비스 우선 순위 및/또는 특정 시간의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상황은 상기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서비스는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전송할 서비스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식별자는 IPv4/IPv6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헤더의 차별화된 서비스 코드 포인트(differentiated services code point, DSCP) 필드에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와 상기 제1 정책의 서비스 식별자가 일치한 경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정책을 사용하여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책이 복수의 서비스 식별자 및 이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포함하면, 제1 네트워크는 제1 정책에서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네트워크가 제1 정책을 획득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제1 정책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단말 기기, 가입 정보 및 정책 및 과금 제어(policy charging control, PCC) 정책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된다.
일 예로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제1 정책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NAS 메시지를 통해 제1 네트워크에 제1 정책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등록 과정 및/또는 PDU 세션 구축 과정 및/또는 PDU 세션 수정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에 제1 정책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를 송신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e management, UDM)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에 가입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가입 정보에는 제1 정책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가 구비될 수 있다. UDM 네트워크 요소는 단말 기기의 등록 과정 및/또는 PDU 세션 구축 과정 및/또는 PDU 세션 수정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에 제1 정책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를 송신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네트워크 요소는 제1 네트워크에 PCC 정책을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PCC 정책에는 제1 정책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가 구비될 수 있다. PCF 네트워크 요소는 단말 기기의 등록 과정 및/또는 PDU 세션 구축 과정 및/또는 PDU 세션 수정 과정에서 제1 네트워크에 제1 정책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정보를 송신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한다.
이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만 단말 기기에 제1 정보를 송신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단계 S530에서, 단말 기기가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지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거나 구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시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지시 정보가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지시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으며, 단말 기기는 현재 연결 상태에 있는 네트워크에 계속 머무를 수 있다.
상기 지시 정보는 비트 단위로 지시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하나의 비트 단위로 상기 지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비트 단위 값이 0이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하고; 상기 비트 단위 값이 1이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면,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고;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지 않으면,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지시는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된다.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를 구비하고;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를 구비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먼저 상기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지 않으면,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지시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시는 제1 네트워크가 제1 정책 및/또는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를 수신한 후, 전술한 방식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CM-IDLE 상태 또는 RRC-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로 송신되 데이터 패킷을 감지하고, 특정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이 페이징을 트리거하는 경우(예를 들어, 서비스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됨), 제1 네트워크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예를 들어, 도 6의 단계 S603-1)하거나,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를 구비(예를 들어, 도 6의 단계 S603-2)하거나, 페이징 메시지에 서비스 정보를 구비(예를 들어, 도 4의 단계 S420)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며, 예를 들어 RRC-Inactive 상태에 있는 U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방식과 결합하여 실행될 것이다.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 기기로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감지하지 않으며, 서비스가 페이징을 트리거하는 한, 제1 네트워크는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 기기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2 지시는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를 떠나거나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시작하여 제2 네트워크로 전환한 후, 다시 제2 네트워크로부터 제1 네트워크로의 전환 과정을 예로 들면, 단말 기기는 처음 USIM-1을 사용하여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하는데, USIM-2를 사용하여 제2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서비스-1(예를 들어, 음성 서비스)을 수행해야 하므로, 단말기 기능의 제한(하나의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으로 인해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해야 한다. 이 경우,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에 제2 지시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네트워크는 제2 지시에 따라 전술한 방법으로 판단을 시작하고, 제1 네트워크에 전송되어야 할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판단하여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네트워크는 전술한 방법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판단할 필요 없이 페이징 메시지를 직접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서비스-1을 완료한 후, 상기 USIM-2에서 다시 USIM-1로 전환되면, USIM-2와 제2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바로 해제하고 USIM-1을 통해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예를 들어, RRC 연결)을 구축하며, 단말기는 제1 네트워크에 제3 지시를 송신(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음)할 수 있고, 제3 지시는 제1 네트워크가 제1 정책 및/또는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는 제3 지시를 수신하면, 제3 지시에 따라 전술한 방법을 중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제2 지시 또는 제3 지시는 단말 기기에 의해 NAS메시지 또는 RRC메시지를 통해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될 수 있다. RRC메시지를 통해 송신되는 경우, RAN 노드는 “제2 지시” 또는 “제3 지시”를 수신한 후, 핵심망 노드(예를 들어, AMF, SMF)에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결부하여 제1 메시지가 페이징 메시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단계 S601~S10을 포함한다.
단계 S601에서, 단말 기기의 USIM-1은 제1 네트워크에서 등록 또는 부착을 완료하고,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서 등록 또는 부착을 완료한다. 단말 기기는 현재 제2 네트워크와 CM 연결 상태에 있고, 제1 네트워크와 비연결 상태에 있다.
제1 네트워크는 RAN-1 및 CN-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는 RAN-2 및 CN-2를 포함한다.
단계 S602에서, CN-1 은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가 있음을 감지한다.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하는 방식에는 1,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 2, 제3자 서버에 의해 트리거된 요청 메시지와 같은 두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CN-1은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한 서비스가 어떤 서비스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CN-1은 페이징 메시지를 트리거한 서비스가 서비스-1인 것으로 결정한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에 의해 트리거된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CN-1은 흐름 감지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서비스-1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CN-1 중의 사용자 평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3자 서버에 의해 트리거된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상기 과정은 제3자 서버가 제어 평면을 통해 제어 평면 네트워크 요소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CN-1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 평면 네트워크 요소는 예를 들어 PCF 네트워크 요소일 수 있다.
CN-1은 서비스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참조하면, CN-1은 서비스 정보 및 제2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정책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CN-1서비스 정보 및 제2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단말 기기가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과 유사한 바,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N-1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는데, 각각 단계 S603-1 및 단계 S603-2에 설명된 방식이다.
S603-1, CN-1은 판단 결과에 따라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CN-1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CN-1은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CN-1은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CN-1은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CN-1이 페이징 메시지를 적용하여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직접 지시하는 경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한,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는다.
단계 S603-2에서, CN-1은 판단 결과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를 추가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CN-1은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되, 제1 지시를 통해 판단 결과를 단말 기기에 지시한다.
CN-1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CN-1은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를 추가할 수 있고; CN-1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CN-1은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를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CN-1이 제1 지시 방식을 적용하여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면,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가 포함되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하며;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지 않으면,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CN-1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은 CN-1이 RAN-1을 통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CN-1은 RAN-1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RAN-1은 CN-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에 따라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CN-1은 단계 S603-1 또는 단계 S603-1의 판단 결과에 따라 RAN-1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를 구비한다.
단계 S605에서, RAN-1은 CN-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RAN-1은 CN-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 기기에 투명하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단말 기기는 RAN-1에 의해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페이징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거나 구축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평소와 같이 지정된 시점에 SIM-1의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바, 즉 RAN-1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단계 S603-1의 정책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단계 S603-2의 정책에 따라 페이징 메시지가 송신된 경우,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먼저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면,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지 않으면, 단말 기기는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는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면, 단말 기기는 단계 S67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단말 기기는 RAN-1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일 수 있거나,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 기기와 RAN-1이 RRC idle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RAN-1에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와 RAN-1이 RRC 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는 RAN-1에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단말 기기가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원인을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인 값은 SIM 카드 전환 및/또는 특정 서비스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RAN-1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RRC 구축(setup)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RAN-1은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RRC 복구(resum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단말 기기는 RRC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후, RAN-1에 RRC 구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RAN-1에 의해 송신된 RRC Resume 메시지를 수신한 후, RAN-1에 RRC 복구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단말 기기는 CN-1에 NAS메시지를 개시하는 바, 예를 들어 단말 기기는 CM 연결 상태에 진입하도록 CN-1에 서비스 요청 메시지 또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전술한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제1 네트워크는 서비스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기기는 서비스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는 서비스 정보 및 제2 정보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패킷 또는 제3자 서버에 의해 트리거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네트워크는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접속망 기기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핵심망 기기는 사용자 평면 기기 또는 제어 평면 기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제3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메시지는 제1 지시 및/또는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말 기기에 의해 정책이 수행되는 경우, 서비스가 핵심망 기기를 통해 제3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면, 핵심망 기기는 접속망 기기에 제3 메시지를 직접 송신하고, 서비스 식별자를 제3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정책이 수행되는 경우, 서비스가 핵심망 기기를 통해 제3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면, 핵심망 기기는 상기 서비스 및 제1 정책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핵심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제1 지시를 추가하고, 제1 지시가 추가된 제3 메시지를 접속망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M-1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는 RAN-1 및 CN-1을 포함하고, SIM-2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는 RAN-2 및 CN-2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SIM-1을 통해 RAN-1 및/또는 CN-1과 통신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SIM-2를 통해 RAN-2 및/또는 CN-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단계 S710 및 S720을 포함한다.
단계 S710에서, CN-1은 접속망 기기에 제3 메시지를 송신한다. 서비스가 제1 네트워크에 도착하면, CN-1은 접속망 기기에 제3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RAN-1은 CN-1에 의해 송신된 제3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전술한 제1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거나 GPRS 터널 프로토콜(GPRS tunnelling protocol, GTP-U)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접속망 기기로 송신된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접속망 기기로 송신된 제3 메시지는 GTP-U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가 CM-idle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와 접속망 기기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및 접속망 기기와 핵심망 기기 간의 N2 인터페이스는 모두 해제 상태에 있는데, 이 경우 핵심망에 의해 접속망으로 송신된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고, 접속망 기기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된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 평면 기기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가 RRC-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단말 기기와 접속망 기기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해제되나 접속망 기기와 핵심망 기기 간의 N2 인터페이스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핵심망 기기가 접속망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되지 않는다. 서비스가 도착하면, 핵심망 기기는 사용자 평면 기기를 통해 접속망 기기에 GTP-U 메시지를 송신하고, 접속망 기기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수신한 후 단말 기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가 제1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핵심망 기기에 의해 접속망 기기로 송신된 제3 메시지가 페이징 메시지인지 GTP-U 메시지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페이징 메시지 또는 GTP-U 메시지는 모두 제1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제1 정보 및/또는 제1 지시는 UE ID를 입도로서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UE ID는 하나의 USIM에 대응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하나의 UE ID는 하나의 가입 영구 식별자(SUbscription Permanent Identifier, SUPI) 또는 전역적으로 고유한 임시 UE 식별자(Globally Unique Temporary UE Identity, GUTI)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메시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각 서비스 정보에는 모두 하나의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가 구비되고,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자체 UE 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를 검색하고, 다음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두 단계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제1 정보 및 제1 지시의 추가 위치가 각각 설명된다. 제1 정보 및 제1 지시의 의미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정보 및 제1 지시는 기존 페이징 메시지 중의 필드를 이용하여 지시되거나 기존 페이징 메시지에 하나의 필드를 재추가하여 지시될 수 있다.
단계 S710 중의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CN-1에 의해 RAN-1로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의 포맷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IE/그룹 이름 범위 임계 지정된 임계
메시지 유형 무시
UE 페이징 식별자 무시
페이징의 불연속 수신 무시
옵션 2:"제1 정보"
옵션 2:"제1 지시"
페이징의 TAI표 1 무시
>페이징 메뉴의 TAI표 1..<maxnoofTAIforPaging> -
>>TAI -
페이징 우선 순위 (옵션 1:"제1 지시") 무시
페이징을 위한 UE의 무선 기능 무시
페이징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옵션 1: 제1 정보) 무시
페이징 소스 무시
여기서, TAI는 UE의 추적 영역 식별자(tracking area identity, TAI)를 표시하고, IE는 정보 유닛(information element, IE)을 표시한다. 제1 정보는 표 4에 도시된 옵션 1과 같이 페이징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Assistance Data for Paging)의 필드에 추가될 수 있고; 제1 정보는 표 4에 도시된 옵션 2와 같이 하나의 새로운 파라미터에 추가될 수도 있으며, 표 4에 도시된 페이징 메시지에서, 제1 정보를 지시하기 위해 하나의 필드가 새로 추가된다.
제1 지시는 표 4에 도시된 옵션 1과 같이 페이징 우선 순위(Paging Priority)의 필드에 추가될 수 있고; 제1 지시는 표 4에 도시된 옵션 2와 같이 하나의 새로운 파라미터에 추가될 수도 있으며, 표 4에 도시된 페이징 메시지에서, 제1 지시를 지시하기 위해 하나의 필드가 새로 추가된다.
CN-1에 의해 RAN-1로 송신된 페이징 메시지는 UE ID를 입도로 할 수 있으며, 하나의 페이징 메시지는 복수의 단말 기기를 동시에 페이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N-1이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제1 정보 및/또는 제1 지시를 구비하는 경우, UE ID를 통해 상이한 단말 기기로 송신된 제1 정보 및/또는 제1 지시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720 중의 페이징 메시지의 경우, RAN-1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의 포맷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Paging ::= SEQUENCE {
pagingRecordList PagingRecordList OPTIONAL, -- Need N
lateNonCriticalExtension OCTET STRING OPTIONAL,
nonCriticalExtension SEQUENCE{} OPTIONAL
}
PagingRecordList ::= SEQUENCE(SIZE(1.maxNrofPageRec)) OF PagingRecord
PagingRecord ::= SEQUENCE {
ue-Identity PagingUE-Identity,
accessType ENUMERATED {non3GPP} OPTIONAL, -- Need N
“서비스 정보” 또는 “제1 지시”
..
}
PagingUE-Identity ::= CHOICE {
ng-5G-S-TMSI NG-5G-S-TMSI,
fullI-RNTI I-RNTI-Value,
..
}
-- TAG-PAGING-STOP
-- ASN1STOP
제1 정보는 페이징 레코드(Paging Record)의 필드에 추가될 수 있고, 상기 페이징 레코드에는 복수의 단말 기기의 제1 정보가 포함되어 UE-ID를 통해 상이한 단말 기기의 제1 정보를 구별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UE-ID는 모두 하나의 대응되는 제1 정보를 갖는다.
제1 지시 역시 “Paging Record"의 필드에 추가될 수 있고, Paging Record에서 하나의 새로운 값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제1 지시는 페이징 메시지에 하나의 파라미터를 재추가하여 지시될 수도 있다.
RAN-1에 의해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의 페이징 메시지는 복수의 단말 기기를 동시에 페이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정보 및 제1 지시는 UE-ID를 입도로서 송신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자체 UE-ID에 대응되는 서비스 식별자 및/또는 제1 지시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 프로세스를 재사용하여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전송하고, 기존 페이징 메시지 중의 필드를 재사용하여 제1 정보 및/또는 제1 지시를 전송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추가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단말 기기는 다중 SIM 카드를 지원하는데, 이는 단말 기기가 2 개 이상의 SIM 카드를 지원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는 일반 SIM 카드 또는 USIM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6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되, 방법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특징은 아래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위에서 설명한 임의의 단말 기기일 수 있다. 도 10의 단말 기기(800)는 통신 유닛(810) 및 처리 유닛(820)을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유닛(810)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820)은,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또는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에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820)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및/또는 CM 연결을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 및/또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응용 프로그램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주소, 가상 근거리 통신망 식별자,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 및 접속 포인트 이름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810)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820)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820)은, 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820)은, 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등록 수락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구축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수정 수락 메시지, UCU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810)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또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또는 특정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810)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AS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또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중의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정보는 사용자 기기 식별자(UE ID)를 입도로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고, 상기 단말 기기는 위에서 설명한 임의의 단말 기기일 수 있다. 도 11의 단말 기기(900)는 통신 유닛(910) 및 처리 유닛(920)을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유닛(910)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한다.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고; 또는,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1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1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제1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또는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에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제1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책은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는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정책 및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할 서비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책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가입 정보, 정책 및 과금 제어(PCC) 정책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및/또는 CM 연결을 해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910)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또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또는 특정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920)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AS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또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지시 및/또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위에서 설명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도 12의 네트워크 기기(1000)는 통신 유닛(1010)을 포함하고, 여기서:
통신 유닛(1010)은,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또는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에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 및/또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응용 프로그램 식별자, 서비스 식별자,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주소, 가상 근거리 통신망 식별자,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 및 접속 포인트 이름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010)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또는 상이한 지점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등록 수락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구축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수정 수락 메시지, 사용자 기기 구성 업데이트(UCU)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베어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010)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또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또는 특정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010)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NAS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NAS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또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중의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정보는 사용자 기기 식별자(UE ID)를 입도로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접속망 기기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모식적인 블록도이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위에서 설명한 임의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도 13의 네트워크 기기(1100)는 처리 유닛(1110)을 포함하고, 여기서:
처리 유닛(1110)은,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 유닛(11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유닛(1120)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제1 지시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고,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또는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에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상기 전송할 서비스 및 제2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특정 시간의 서비스 우선 순위 및/또는 특정 지점의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상기 전송할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유닛(1110)은, 상기 전송할 서비스가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11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또는 RRC 복구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또는 특정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1120)을 더 포함하되, 상기 NAS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NAS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또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접속망 기기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된다.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제1 지시 및/또는 상기 서비스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기기(1200)의 모식적인 구조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통신 기기(1200)는 프로세서(12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200)는 메모리(1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12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10)와 독립된 하나의 별도의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12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1200)는 트랜시버(12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10)는 상기 트랜시버(1230)가 다른 기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12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230) 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12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신 기기(1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12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통신 기기(1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1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제1 단말 기기 및/또는 제2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의 모식적인 구조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장치(1300)는 프로세서(131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300)는 메모리(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메모리(13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20)는 프로세서(1310)와 독립된 하나의 별도의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13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300)는 입력 인터페이스(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330)가 다른 기기 또는 장치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300)는 출력 인터페이스(1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1340)가 다른 기기 또는 장치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장치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통신 장치는 칩일 수 있고,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1400)의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시스템(1400)은 단말 기기(1410) 및 네트워크 기기(1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1410)는 상술한 방법 중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1420)는 상술한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을 통하여 완료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볼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실행하여 완료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료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메모리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태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유의해야 할 점은, 본문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메모리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메모리는 또한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이동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프로세스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당업자들은 본문에 개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적 해결수단의 특정의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가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개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다른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구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하거나 토론한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은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해결수단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가 있는 부분 또는 상기 기술적 해결수단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가 포함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228)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및 CM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등록 수락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구축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수정 수락 메시지, 사용자 기기 구성 업데이트(UCU)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중의 상기 제1 정보 및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기기 식별자(UE ID)를 입도로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및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가 구비된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2. 제2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및 CM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28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제1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은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정책 및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2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시작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를 떠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3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또는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4. 제39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할 서비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5. 제35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가입 정보, 정책 및 과금 제어(PCC) 정책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6. 제2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0. 제2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2. 제2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지시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6.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가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9. 제56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0. 제5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2.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등록 수락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구축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수정 수락 메시지, 사용자 기기 구성 업데이트(UCU)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3.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4. 제60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5. 제56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9. 제56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NAS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1. 제56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중의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기기 식별자(UE ID)를 입도로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3.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접속망 기기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1 지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7.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가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제1 지시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0. 제78항 또는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1. 제77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3. 제77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전송할 서비스 및 제1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5. 제83항 또는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시작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6.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를 떠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7. 제83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8. 제85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또는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은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0.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1. 제88항 내지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가입 정보, 정책 및 과금 제어(PCC) 정책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2. 제77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할 서비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3. 제88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전송할 서비스 및 제1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전송할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4. 제88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전송할 서비스 및 제1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전송할 서비스가 상기 제1 정책 중의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5. 제77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7. 제95항 또는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8. 제97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9. 제77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NAS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접속망 기기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지시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4.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5. 단말 기기로서,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 -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제1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8. 제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및 CM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09. 제105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0. 제105항 내지 제10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2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1.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2. 제110항 또는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의 우선 순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수행 중인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4.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가 상기 제2 정보 중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5. 제110항 내지 제1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등록 수락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구축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수정 수락 메시지, 사용자 기기 구성 업데이트(UCU)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6. 제110항 내지 제1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7. 제110항 내지 제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8. 제105항 내지 제1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19.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0. 제118항 또는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1.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2. 제105항 내지 제1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3. 제122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4. 제105항 내지 제1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5.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중의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기기 식별자(UE ID)를 입도로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6. 제124항 또는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7.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8.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29.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0. 단말 기기로서,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 및
    상기 제1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거나, 상기 제1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1.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2. 제130항 또는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3. 제130항 또는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메시지에 제1 지시가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5. 제133항 또는 제1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6. 제130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7. 제13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8. 제132항 또는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제1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39. 제13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0. 제138항 또는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은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1. 제138항 내지 제1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2. 제138항 내지 제1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정책 및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3. 제14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제2 지시를 송신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시작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4.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를 떠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5. 제138항 내지 제1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3 지시를 송신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6. 제143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또는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7. 제14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할 서비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8. 제138항 내지 제1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가입 정보, 정책 및 과금 제어(PCC) 정책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49. 제136항 또는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및 CM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0. 제130항 내지 제1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1. 제1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2. 제150항 또는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3. 제152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4. 제130항 내지 제1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5. 제154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6.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7. 제15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지시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8.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59.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160. 네트워크 기기로서,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1.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2.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3. 제160항 내지 제1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서비스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에 대응되는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4. 제160항 내지 제1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정보는 서비스 우선 순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5.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6.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등록 수락 메시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구축 수락 메시지, PDU 세션 수정 수락 메시지, 사용자 기기 구성 업데이트(UCU)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7.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메시지에 베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8. 제164항 내지 제1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세션 관리 기능(SMF) 네트워크 요소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69. 제160항 내지 제1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0. 제16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1. 제169항 또는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2.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3. 제160항 내지 제1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NAS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4.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5. 제160항 내지 제1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6. 제17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 중의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기기 식별자(UE ID)를 입도로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7. 제175항 또는 제17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접속망 기기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8. 제17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79.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0.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1. 네트워크 기기로서,
    전송할 서비스에 따라 단말 기기와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2. 제18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3. 제18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되, 상기 제1 메시지에는 제1 지시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4. 제182항 또는 제1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5. 제181항 내지 제1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복수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카드를 지원하는 단말 기기이고, 상기 단말 기기의 USIM-1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기기의 USIM-2는 제2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6. 제18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무선 자원 제어(RRC) 연결 상태 및 연결 관리(CM) 연결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7. 제181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전송할 서비스 및 제1 정책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8.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우선 순위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연결할 필요가 없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89. 제187항 또는 제18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시작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0. 제18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를 떠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해제하기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1. 제187항 내지 제1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3 지시를 수신하되,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제1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정책 및 상기 전송할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2. 제189항 내지 제1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또는 상기 제3 지시는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3.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은 상이한 시간 및 상이한 지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상이한 정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4. 제192항 또는 제19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는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5. 제192항 내지 제1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 가입 정보, 정책 및 과금 제어(PCC) 정책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6. 제181항 내지 제19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할 서비스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평면 데이터 패킷 중의 서비스 식별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7. 제192항 내지 제1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책은 서비스 우선 순위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전송할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8. 제192항 내지 제1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전송할 서비스가 상기 제1 정책 중의 페이징 메시지에 상기 제1 지시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와 상기 제1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9. 제181항 내지 제1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1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구축을 요청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0. 제19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는 RRC 연결 구축 요청 메시지 및 RRC 복구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1. 제199항 또는 제20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청 메시지에는 원인 값이 포함되고, 상기 원인 값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제1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트리거하는 원인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2. 제201항에 있어서,
    상기 원인 값은 USIM 전환 및 특정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3. 제181항 내지 제2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비접속 계층(NAS)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NAS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NAS 연결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4. 제203항에 있어서,
    상기 NAS 메시지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및 등록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5. 제18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접속망 기기이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접속망 기기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기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6. 제20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망 기기는 제3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3 메시지는 핵심망의 제어 평면 기기 또는 사용자 평면 기기로부터 유래되며,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지시 및 상기 서비스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7.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페이징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8.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기기에 의해 상기 접속망 기기로 송신되는 상기 제3 메시지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 터널링 프로토콜(GTP-U)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9.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0.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26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11.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56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2.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7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3. 장치로서,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기기가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4. 장치로서,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기기가 제26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5. 장치로서,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기기가 제56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6. 장치로서,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상기 장치가 장착된 기기가 제7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7.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18.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26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19.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56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20.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7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2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제26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제56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제7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2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6.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26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7.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56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8.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77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40060A 2019-05-24 2019-11-04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KR20220011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8434 WO2020237447A1 (zh) 2019-05-24 2019-05-24 无线通信方法及设备
CNPCT/CN2019/088434 2019-05-24
PCT/CN2019/115428 WO2020238018A1 (zh) 2019-05-24 2019-11-04 无线通信方法及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655A true KR20220011655A (ko) 2022-01-28

Family

ID=73553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0060A KR20220011655A (ko) 2019-05-24 2019-11-04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86926A1 (ko)
EP (2) EP4271064A3 (ko)
JP (2) JP7348309B2 (ko)
KR (1) KR20220011655A (ko)
CN (2) CN113748747A (ko)
WO (2) WO2020237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3943A1 (en) * 2019-06-06 2020-12-10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priority information for multi-sim user equipment paging
CN112449378A (zh) * 2019-09-05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3473453B (zh) * 2020-03-31 2022-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建立网络连接的方法和装置
WO2022147313A1 (en) * 2020-12-30 2022-07-07 Convida Wireless, Llc Efficient application-layer sim management on multi-sim ue
CN114765824A (zh) * 2021-01-15 2022-07-19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ue、第一接入网设备
WO2022204232A1 (en) * 2021-03-25 2022-09-29 Parsa Wireless Communic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ing multi-sim devices performance and operation
EP4075840A1 (en) * 2021-04-13 2022-10-1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CN116390203A (zh) * 2021-12-30 2023-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网络的方法和装置
CN117998585A (zh) * 2022-10-31 202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4096690A1 (en) * 2022-11-04 2024-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sing data associated with ai/ml
CN116996497A (zh) * 2023-07-12 2023-11-03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上网系统、方法及可穿戴设备
CN117156503B (zh) * 2023-08-18 2024-03-01 联芯云(北京)科技有限公司 数据卡网络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9930B2 (en) * 2004-05-28 2009-02-10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ode terminals
CN100518369C (zh) * 2005-09-23 2009-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双模/多模终端的业务实现方法和系统
KR100678522B1 (ko) * 2005-09-23 2007-0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16115A (zh) * 2008-12-23 2009-08-26 同济大学 基于需求预测和优先级的群组业务自适应优化切换方法
CN101621865A (zh) * 2009-07-31 2010-01-0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通讯方法及对应的终端
US20120028657A1 (en) * 2010-07-27 2012-02-02 Tom Chin Efficient Paging for Multip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Equipment in TD-SCDMA Systems
CN102026374A (zh) * 2010-12-03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对单芯片双卡cdma终端无线业务进行管理方法及cdma终端
CN102547921A (zh) * 2010-12-22 2012-07-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通信控制方法、装置及系统、以及多模终端
CN102448150A (zh) * 2011-12-30 2012-05-09 上海顶竹通讯技术有限公司 多模终端的业务处理系统及方法
CN103428673B (zh) * 2012-05-24 2018-05-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业务调度方法和装置
CN103428674A (zh) * 2012-05-24 2013-12-0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业务调度方法和装置
US9974010B2 (en) * 2014-01-23 2018-05-15 Nanchang Coolpad Intelligent Technology Compan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connection and terminal having the system
CN104113937B (zh) * 2014-07-30 2018-06-0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中射频资源时分复用的方法、装置及终端
CN112188596A (zh) 2015-11-10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服务网络的方法、网络设备和管理设备
CN105554884A (zh) * 2015-12-10 2016-05-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寻呼响应方法及装置
KR102005754B1 (ko) * 2016-06-08 2019-07-31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페이징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6535331B (zh) * 2016-12-26 2020-07-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双卡双待手机的通信方法及系统
EP3591948B1 (en) * 2017-03-24 2021-11-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for realizing dual-sim, dual-standby, and dual-active communication
KR102486257B1 (ko) * 2017-03-25 2023-01-0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중 sim 이중 활성을 구현하는 통신 방법, 및 단말
US20220240213A1 (en) * 2019-06-07 2022-07-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ellular system enhancements for the support of multi-sim user equipments
WO2021015598A1 (ko) * 2019-07-25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sim에 기초한 통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1064A3 (en) 2023-12-13
EP3972384A1 (en) 2022-03-23
JP2023164979A (ja) 2023-11-14
CN114430547B (zh) 2023-10-13
EP3972384A4 (en) 2022-07-20
JP2022534084A (ja) 2022-07-27
WO2020237447A1 (zh) 2020-12-03
CN114430547A (zh) 2022-05-03
WO2020238018A1 (zh) 2020-12-03
CN113748747A (zh) 2021-12-03
JP7348309B2 (ja) 2023-09-20
EP3972384B1 (en) 2023-08-30
EP4271064A2 (en) 2023-11-01
US20220086926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1655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US20190021064A1 (en) 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EP38465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d sending policy
KR20210031973A (ko) 세션 관리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04244453B (zh) 处理无线资源控制连结建立的方法及其通信装置
US20220078698A1 (en) Communication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60227597A1 (en) Radio node communicating with terminal in communication environment supporting plurality of radio network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8773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20124500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201245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JPWO2020238018A5 (ko)
EP38557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capability change of terminal apparatus
JP7213950B2 (ja) 情報構成方法および装置、端末、ネットワーク機器
EP372689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3020950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1022428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3879874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CN112313979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CN115706645A (zh) Ul定位参考信号的激活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0034125A1 (zh) 一种恢复rrc连接的方法及装置、终端
KR20210048500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
US20230199715A1 (en) Paging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0258182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和通信设备
CN117769031A (zh) 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885557A (zh) 数据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节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