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431A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431A
KR20220011431A KR1020200090331A KR20200090331A KR20220011431A KR 20220011431 A KR20220011431 A KR 20220011431A KR 1020200090331 A KR1020200090331 A KR 1020200090331A KR 20200090331 A KR20200090331 A KR 20200090331A KR 20220011431 A KR20220011431 A KR 2022001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s bar
module
battery
rear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택
김성대
윤영선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9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1431A/en
Publication of KR2022001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4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bus bar frame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an insulating cover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and a module frame comprising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to accommodate the bus bar frame to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insulating cover are coupled, wherein the insulating cover has a locking unit, and the locking unit is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화된 모듈 구조를 가지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having a simplified module structur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및 전기 자동차 등의 다양한 제품군에서 에너지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제품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에너지 자원으로서, 에너지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in various product groups such as mobile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Such a secondary battery is a powerful energy resource that can replace the use of conventional products using fossil fuels, and is in the spotlight as an eco-friendly energy source because by-products due to energy use do not occur.

최근 이차 전지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이차 전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병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the need for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structure, including the use of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torage source, increases, the demand for a battery pack having a multi-modu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assembled in series/parallel connected battery pack is increasing. .

한편, 복수개의 전지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when configuring a battery pack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parallel, a battery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configured, and other components are added us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to form a battery pack. The general way to configure

이러한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한다.Such a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module frame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도 1은 종래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 형성된 전지셀 적층체(10), 전지셀 적층체(10)를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20), 전지셀 적층체(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30), 전지셀 적층체(10)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절연 커버(40) 및 절연 커버(40)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엔드 플레이트(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10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module frame 20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stack 10 , and a battery cell stack 10 . It includes an upper plate 3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 , an insulating cover 40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 , and an end plate 50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sulating cover 40 .

이때, 전지 모듈의 구성으로서 엔드 플레이트(50)가 존재함에 따라, 엔드 플레이트(50)와 절연 커버(40)를 조립하는 공정 및 엔드 플레이트(50)와 모듈 프레임(20)의 전후측 모서리를 결합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는 전지 모듈 부품 중 비용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부품으로, 비용 절감 및 구조 단순화를 위해 엔드 플레이트가 삭제된 전지 모듈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At this time, as the end plate 50 is present as a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odule,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end plate 50 and the insulating cover 40 and the front and rear edges of the end plate 50 and the module frame 20 are combined An additional process may be required. The end plate is a part that accounts for about 20% of the cost of the battery module parts, and the need for a battery module structure in which the end plate is removed for cost reduction and structural simplifi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엔드 플레이트가 삭제된 보다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having a more simplified structure in which an end plate is deleted,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버스바 프레임;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에 형성된 절연 커버; 및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절연 커버가 결합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과 걸림 결합한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bus bar frame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an insulating cover formed on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and a module frame formed of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to accommodate the bus bar frame to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insulating cover are coupled, wherein the insulating cover has a catching part, and the catching part is the bus bar It engages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절연 커버의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양측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 커버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s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ver, and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bus bar frame, and the engaging portions may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so that the insulating cover may be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상기 모듈 프레임의 바닥면과 전후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상기 모듈 프레임의 개방된 상측면을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좌우면 상단 모서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and an upper plate that covers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and upper edges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late by welding.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과 좌우면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may be coupled by welding.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 양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은 상기 단차부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Step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may be coupled to the step portions by welding.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 양단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 내측으로 휘어진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바깥면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 내측면과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may be formed with bent portions bent inside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s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by welding.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은 내측으로 굴곡진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 양단은 상기 굴곡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내측면과 상기 굴곡부의 외측면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are formed with bent portions curved inward, and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are formed with bent portions bent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can be joined by welding.

상기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버스바 프레임을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과 결합시키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과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에 형성된 전극 리드들을 용접하는 단계; 절연 커버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에 결합시키는 단계;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된 모듈 프레임에 상기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절연 커버가 결합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부 플레이트를 상기 모듈 프레임의 개방된 상측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bus bar frame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a battery cell stack, and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and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cell stack welding electrode leads formed on the surface; coupling an insulating cover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inserting the bus bar frame to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insulating cover are combined into a module frame formed of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and coupling the upper plate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module frame.

상기 절연 커버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에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절연 커버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양측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림 결합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oupling the insulating cover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engaging porti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ver may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bus bar frame.

상기 모듈 프레임에 상기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절연 커버가 결합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 전, 상기 모듈 프레임 바닥면에 열전도성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frame before inserting the bus bar frame to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insulating cover are coupled to the module frame.

상기 전지 모듈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에 포함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may b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은, 종래 엔드 플레이트 대신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된 모듈 프레임 구조를 채용하여 전지 모듈의 구조가 단순화 됨으로써, 그에 따른 전지셀 부피 증가로 인한 전지 모듈의 에너지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 a module frame structure formed of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instead of a conventional end plate,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thereby increasing the battery cell volume Due to this,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module may be improv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과 A' 부분이 결합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성들이 조립된 모습을 용접 라인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 및 모듈 프레임의 용접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어셈블리가 전지셀 적층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커버가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적층체 및 상부 플레이트가 모듈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and A′ of FIG. 2 are combined.
4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components of FIG. 2 together with a welding line.
5 is a view showing a module frame and a welding line of the modul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part B of FIG. 5 .
7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the battery cell stack.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 the module frame.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mponen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etaile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nsists of"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one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further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과 A' 부분이 결합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성들이 조립된 모습을 용접 라인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 및 모듈 프레임의 용접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A and A′ of FIG. 2 are combined. 4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components of FIG. 2 together with a welding line. 5 is a view showing a module frame and a welding line of the modul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100),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버스바 프레임(310), 버스바 프레임(310)의 전후면에 형성된 절연 커버(400) 및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되어 전지셀 적층체(100) 및 절연 커버(400)가 결합된 버스바 프레임(310)을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200)을 포함한다.2 to 5 ,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the battery cell stack 100 . The bus bar frame 310, the bus bar frame 310, the insulating cover 400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are formed to combine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the insulating cover 400. and a module frame 200 accommodating the bar frame 310 .

전지셀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지셀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전지셀은 각각 전극 조립체, 전지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로부터 양단으로 돌출 형성된 전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cell is a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configured as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The battery cells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stacked to each oth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battery cell stack 100 .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include an electrode assembly, a battery case, and electrode leads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레임(200)은, 바닥면 및 전후좌우면의 보울(Bowl)타입으로 형성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전지셀 적층체의 상하좌우면을 커버하는 모노 프레임 또는 전지셀 적층체의 바닥면 및 양측면을 커버하는 U자형 프레임 에,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결합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였다.The module fram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bowl type of the bottom surface and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In the prior art, in a mono frame covering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shown in FIG. 1 or a U-shaped frame that covers the bottom and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stack, an end plate that cover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included a combined frame structure.

그러나 종래에 엔드 플레이트가 별도로 존재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를 모노 프레임 또는 U자형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공정 및 엔드 플레이트와 절연 커버를 조립하는 공정이 별도로 필요하였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를 다이 캐스팅 공법으로 제조시, 기공 터짐 현상 발생에 따라 제조된 엔드 플레이트에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end plate exists separately in the prior art, a process of coupling the end plate to a mono frame or a U-shaped frame and a process of assembling the end plate and the insulating cover were separately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end plate is manufactured by the die casting method, there is a fear that defects may occur in the manufactured end plate due to the occurrence of pore bursting.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엔드 플레이트 대신 엔드 플레이트가 위치한 부분에 모듈 프레임(200)의 전후면이 위치하도록 모듈 프레임(200)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엔드 플레이트 제조 공정 및 조립 공정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전지 모듈의 구조가 단순화 됨에 따라 전지셀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지 모듈의 에너지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frame 200 is form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200 are positioned at the portion where the end plate is located instead of the end plate, so that a separate en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nd assembly process are no longer required. was no longer needed. In addition, as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is simplified, the volume of the battery cell may increase, and thus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module may be improved.

또한 엔드 플레이트가 삭제됨에 따라 다이 캐스팅 주조시 기공 터짐에 의한 엔드 플레이트의 불량 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엔드 플레이트의 제조 공정 및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end plate is deleted, the cause of defects in the end plate due to pore burst during die casting can be fundamentally eliminated, and the cost of the end plate manufacturing process and assembly process can be reduc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모듈 프레임(200)은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전후면(220) 및 전지셀 적층체(100)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좌우면(230)으로 형성될 수 있다.4 and 5 , the module frame 200 has front and rear surfaces 220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left and right surfaces 230 covering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can be formed.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모듈 프레임(200)의 전후면(220)과 좌우면(230)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모듈 프레임(200)의 전후면(220)과 좌우면(230)이 용접 결합됨으로써 보울(Bowl) 형상의 모듈 프레임(200)을 형성하며, 전지셀 적층체(100)는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된 모듈 프레임(200) 내부에 안착되어 모듈 프레임(200)을 통해 물리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5 ,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of the module frame 200 may be coupled by weld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and left and right surfaces 230 of the module frame 200 are welded to form a bowl-shaped module frame 200, and the battery cell stack 100 has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It is seated inside the module frame 200 formed of , and can receive physical protection through the module frame 20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프레임(200)의 바닥면(210)과 전후면(220) 사이에는 복수개의 홀(200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200a)을 통해 모듈 프레임(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분 및 전해액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지셀로부터 발화 현상이 일어날 경우 발생되는 가스를 복수개의 홀(200a)을 통해 전지 모듈의 전후방 하단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 and 5 , a plurality of holes 200a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21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of the module frame 200 . Moisture and electrolyte generated inside the module frame 2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a. In addition, gas generated when an ignition phenomenon occurs from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ay be discharged in the front and rear lower directions of the battery modul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a.

도 5에 도시된 상부 플레이트(500)는 모듈 프레임(200)의 개방된 상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모듈 프레임(200)의 전후좌우면 상단 모서리는 상부 플레이트(500)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500 shown in FIG. 5 may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module frame 200 . In this case, the upper edg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2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late 500 by welding.

버스바 프레임(310)은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버스바 프레임(310)에는 복수의 버스바가 부착되어, 복수개의 전지셀에 형성될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bus bar frame 310 may c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A plurality of bus bars may be attached to the bus bar frame 310 to electrically connect electrode leads to be formed i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도 2를 참조하면,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버스바 프레임(310)을 상단에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는 버스바 프레임(310)의 상단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전지셀 적층체(1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의 내부에는 연성회로기판이 실장되어 두 버스바 프레임에 장착된 버스바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내할 수 있다. 버스바 프레임 어셈블리(300)는 상술한 연결 플레이트(320) 및 두 버스바 프레임(31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connection plate 320 connecting the bus bar frame 310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from the upper end may be further included. The connection plate 320 may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bus bar frame 310 and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A flexible circuit board is mounted inside the connection plate 320 to guid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s mounted on the two bus bar frames. The bus bar frame assembly 300 may be formed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plate 320 and two bus bar frames 310 .

절연 커버(400)는 버스바 프레임(310)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버스바 프레임(310)과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다. 절연 커버(400)는 모듈 프레임 전후면(220)과 버스바 프레임(3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over 4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310 to block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us bar frame 310 and the outside. The insulating cover 400 may be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of the module frame and the bus bar frame 310 .

종래에는, 절연 커버는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로 버스바 프레임의 외측면에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별도의 엔드 플레이트를 제조하고, 제조된 엔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절연 커버를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킨 후 엔드 플레이트-절연 커버 결합체를 버스바 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시키는 복잡한 조립 공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엔드 플레이트의 제조 공정이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절연 커버(400)를 버스바 프레임(310)에 결합시키는 공정 만으로 절연 커버(400)를 전지 모듈에 장착할 수 있어 절연 커버의 장착 구조가 단순화되고 전지 모듈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insulating cover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assemb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end plate, but a separate end plate is manufactured and the insulating cover is heat-sea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nufactured end plate. After bonding by this method, a complicated assembly process of bonding the end plate-insulation cover assemb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us bar frame was perform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nd plate is no longer required, the insulating cover 400 can be mounted on the battery module only by the process of coupling the insulating cover 400 to the bus bar frame 310, thereby providing insulatio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ver may be simplified and the energy density of the battery module may be improv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커버(400)에는 걸림부(410)가 형성되고, 걸림부(410)는 버스바 프레임(310)의 전후면과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부(410)는 절연 커버(400)의 양측단에 형성되고, 버스바 프레임(310)의 양측단에는 돌출부(310a)가 형성되며, 걸림부(410)는 돌출부(310a)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절연 커버(400)가 버스바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 a locking part 410 is formed on the insulating cover 400 , and the locking part 410 may be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310 . . In more detail, the locking part 41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ver 400 , and the protrusion 310a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s bar frame 310 , and the locking part 410 is the protrusion 310a. ), the insulating cover 400 may be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310 by being engaged.

이때 돌출부(310a)와 걸림부(410)는 각각 버스바 프레임(310) 및 절연 커버(40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두 부품의 상호작용 만으로 체결력이 형성되는 바, 이러한 결합을 스냅-핏(snap-fit) 결합으로 부를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손쉽게 두 부품간의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10a)와 걸림부(410)의 스냅-핏 결합을 통해 절연 커버(400)와 버스바 프레임(310)을 손쉽게 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310a and the locking portion 41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us bar frame 310 and the insulating cover 400, respectively, and a fastening force is formed only by the interaction of the two parts. -fit) can be called a combination. This coupling method can easily secur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two parts, and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fastening. In this embodiment, the insulating cover 400 and the bus bar frame 310 can be easily coupled through the snap-fit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 310a and the locking part 410 .

열전도성 수지층(600)은 모듈 프레임 바닥면(210)에 형성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층(600)을 통해 복수의 전지셀로부터 발생한 열은 모듈 프레임 바닥면(210)을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열전도성 수지층(600)은 써말레진(Thermal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60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0 of the module frame.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rough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layer 600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dule frame bottom surface 210 .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600 may include a thermal resin.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of a module fr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B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5 . 7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프레임 전후면(220) 양단에는 단차부(220a)가 형성되고, 모듈 프레임 좌우면(230) 양단은 단차부(220a)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step portions 220a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of the module frame, an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230 have stepped portions 220a and It can be joined by welding.

단차부(220a)를 통해 전후면(220)과 좌우면(230)이 결합됨으로써, 용접되는 표면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용접된 전후면(220)과 좌우면(230)의 접촉면이 단차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서리부에 여러 방향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그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By combin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through the step portion 220a, the welded surface area is increased a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welded front and rear surfaces 220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are formed to be stepped. , when external forces in various directions act on the corner portion, durability may be strengthened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프레임 전후면(220) 양단은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230) 양단 내측으로 휘어진 휨부(220c)가 형성되고, 휨부(220c)의 바깥면은 모듈 프레임(200)의 좌우면 양단 내측면과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of the module frame are formed with bent portions 220c bent inwar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of the module frame, and the bent portions ( The outer surface of 220c)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200 by welding.

휨부(220c)와 좌우면(230)이 결합됨으로써, 휨부(220c)가 외측을 향해 펴지려는 반발력을 통해 휨부(220c)와 좌우면(230) 사이의 결합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As the bent portion 220c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are couple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ent portion 220c and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may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repulsive force that the bent portion 220c is stretched outwar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프레임 좌우면(230) 양단은 내측으로 굴곡진 굴곡부(230a)가 형성되고, 모듈 프레임 전후면(220) 양단은 굴곡부(230a)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휨부(220c)가 형성되고, 휨부(220c)의 내측면과 굴곡부(230a)의 외측면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both ends of the module fram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are formed with curved portions 230a curved inward,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of the module frame are formed with curved portions ( The bent portion 220c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30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20c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30a may be welded to each other.

굴곡부(230a)의 외측면과 휨부(220c)의 내측면이 결합됨으로써, 좌우면(230)과 전후면(22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용접 면적도 증가하여 좌우면(230)과 전후면(220)의 용접에 따른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By combi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30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220c,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220 increases, and thus the welding area also increases, so that the left and right surfaces 23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increased. The bonding force according to the welding of the surface 220 may increase.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어셈블리가 전지셀 적층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 커버가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적층체 및 상부 플레이트가 모듈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o the battery cell stack.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 the module frame.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 프레임(310)을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과 결합시키고 버스바 프레임(310)의 전후면과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에 형성된 전극 리드들을 용접하는 단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커버(400)를 버스바 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결합시키는 단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된 모듈 프레임(200)에 전지셀 적층체(100) 및 절연 커버(400)가 결합된 버스바 프레임(310)을 삽입하는 단계(S1) 및 상부 플레이트(500)를 모듈 프레임(200)의 개방된 상측부에 결합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한다.9 to 11 ,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 a bus bar frame 310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and the bus Welding electrode lead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r frame 31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1, a bus bar frame 310 in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the insulating cover 400 are coupled to the module frame 200 formed of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It includes a step of inserting (S1) and coupling the upper plate 500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module frame 200 (S2).

버스바 프레임(310)을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과 결합시키는 단계 전, 버스바 프레임(310)을 연결 플레이트(320)와 결합시켜 버스바 프레임 어셈블리(30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320)와 버스바 프레임(31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320)를 전지셀 적층체(10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연결 플레이트(320)의 전후단에 힌지 결합된 버스바 프레임(310)을 회전을 통해 전지셀 적층체(100)의 전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Before the step of coupling the bus bar frame 310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the step of coupling the bus bar frame 310 with the connecting plate 320 to form the bus bar frame assembly 300 . may include more. The connection plate 320 and the bus bar frame 310 may be hinge-coupled around a rotation axis. Accordingly, after the connection plate 3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tack 100 , the bus bar frame 310 hing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nnection plate 320 is rotated to rotate the battery cell stack 100 . )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커버(400)를 버스바 프레임(310)의 전후면에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절연 커버(400)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부(410)가 버스바 프레임(310)의 양측단에 형성된 돌출부(310a)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tep of coupling the insulating cover 400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310 , the engaging portions 410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ver 400 are disposed on the bus bar frame 310 . It may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310a formed at both end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프레임(200)에 전지셀 적층체(100) 및 절연 커버(400)가 결합된 버스바 프레임(310)을 삽입하는 단계 전, 모듈 프레임(200) 바닥면에 열전도성 수지층(600)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 before the step of inserting the bus bar frame 310 in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100 and the insulating cover 400 are coupled to the module frame 200 , the modu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pplying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60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200 .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은 전지팩에 포함될 수 있다. 전지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하나 이상 모아서 전지의 온도나 전압 등을 관리해 주는 전지 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과 냉각 장치 등을 추가하여 패킹한 구조일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The battery pack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llected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hat manages the temperature, voltage, etc. of the battery and a cooling device are added and packed.

상기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battery pack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 device may be applied to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a battery module, which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모듈 프레임
200a: 홀
210: 바닥면
220: 전후면
220a: 단차부
220b: 휨부
220c: 휨부
230: 좌우면
230a: 굴곡부
310: 버스바 프레임
320: 연결 플레이트
310: 돌출부
400: 절연 커버
410: 걸림부
500: 상부 플레이트
600: 열전도성 수지층
200: module frame
200a: Hall
210: bottom surface
220: front and back
220a: step part
220b: bent part
220c: bent part
230: left and right
230a: bend
310: bus bar frame
320: connection plate
310: protrusion
400: insulation cover
410: catching part
500: top plate
600: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Claims (12)

복수의 전지셀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적층체;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버스바 프레임;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에 형성된 절연 커버; 및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절연 커버가 결합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수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과 걸림 결합하는 전지 모듈.
a battery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 bus bar frame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an insulating cover formed on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and
It is formed of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and includes a module frame for accommodating the bus bar frame to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insulating cover are coupled,
A locking part is formed on the insulating cover, and the locking part is engaged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and the battery module.
제1항에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절연 커버의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양측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돌출부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절연 커버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1,
The lock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ver,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s bar frame,
A battery module in which the insulating cover is coupled to the bus bar frame by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protrusion.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바닥면과 전후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1,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개방된 상측면을 커버하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좌우면 상단 모서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용접으로 결합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1,
and an upper plate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module frame,
The upper edg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are coupled to the upper plate by welding.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과 좌우면은 용접으로 결합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1,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are coupled by welding.
제5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 양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은 상기 단차부와 용접으로 결합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5,
Step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are coupled to the step portion by welding.
제5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 양단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 내측으로 휘어진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바깥면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 내측면과 용접으로 결합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5,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are formed with bent portions bent inwar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The outer surface of the bending part is a battery modul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by welding.
제5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의 좌우면 양단은 내측으로 굴곡진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후면 양단은 상기 굴곡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휘어진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내측면과 상기 굴곡부의 외측면은 용접으로 결합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5,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dule frame are formed with curved portions curved inward,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are formed with bent portions bent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s,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are coupled by welding.
버스바 프레임을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과 결합시키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과 상기 전지셀 적층체의 전후면에 형성된 전극 리드들을 용접하는 단계;
절연 커버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에 결합시키는 단계;
전후좌우면 및 바닥면으로 형성된 모듈 프레임에 상기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절연 커버가 결합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부 플레이트를 상기 모듈 프레임의 개방된 상측부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bonding the bus bar frame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and welding electrode lead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stack;
coupling an insulating cover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inserting the bus bar frame to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insulating cover are combined into a module frame formed of front, rear, left, right, and bottom surfa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tep of coupling the upper plate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odule frame.
제9항에서,
상기 절연 커버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전후면에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절연 커버의 양측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양측단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림 결합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In claim 9,
In the step of coupling the insulating cover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engaging porti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insulating cover ar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bus bar frame.
제9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에 상기 전지셀 적층체 및 상기 절연 커버가 결합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 전, 상기 모듈 프레임 바닥면에 열전도성 수지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In claim 9,
Before inserting the bus bar frame to which the battery cell stack and the insulating cover are coupled to the module frame, applying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dule frame.
제1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 .
KR1020200090331A 2020-07-21 2020-07-21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200114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31A KR20220011431A (en) 2020-07-21 2020-07-21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331A KR20220011431A (en) 2020-07-21 2020-07-21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431A true KR20220011431A (en) 2022-01-28

Family

ID=8005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331A KR20220011431A (en) 2020-07-21 2020-07-21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14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405A1 (en) * 2022-07-08 2024-0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venting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405A1 (en) * 2022-07-08 2024-0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vent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7758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11990638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37454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80132338A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20181733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220011431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60243A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39213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20393322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JP7206000B2 (en)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containing the same
KR102464825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20011432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20039302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113049A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92563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48329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71552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36132A (e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95231B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10143570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113754A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51709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69426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92564A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25418A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