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385A -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385A
KR20220011385A KR1020200090221A KR20200090221A KR20220011385A KR 20220011385 A KR20220011385 A KR 20220011385A KR 1020200090221 A KR1020200090221 A KR 1020200090221A KR 20200090221 A KR20200090221 A KR 20200090221A KR 20220011385 A KR20220011385 A KR 20220011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thes
user
inform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338B1 (ko
Inventor
정혜경
김나희
이지윤
정가휘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33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상기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LOTHING SALES SERVI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원은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온라인 쇼핑 시장은 인터넷의 발달과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은 오프라인 매장을 유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관 및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어 오프라인 매장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고객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양한 제품 정보를 시간 및 공간에 제약 없이 많은 고객에게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잠재적 고객을 실제 고객으로 유치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다양한 제품의 정보를 주로 시각적 정보로 제공하고 있는데, 실제로 착용한 상태에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온라인 쇼핑의 한계를 고려하면, 의류와 같이 상품은 상품 형상에 대한 설명정보, 사이즈 정보, 사용자와 무관한 모델이 상품을 착용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해당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용자(고객)의 체형에 적합한지 여부, 사용자(고객)의 선호 경향에 부합하는지 여부 등 구매 결정을 위한 다각도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들어 가상현실/증강현실 등을 활용하여 보다 실제에 가까운 의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212756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강현실 기능을 이용해 의상을 가상으로 피팅하는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 등의 해당 의상이 어울리는지에 대한 판단을 보조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시공간 제약 없이 보다 편리한 의상 착용 및 의상 구매를 지원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상기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인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확보된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추천 스코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추천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상품 구매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의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아바타의 외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패션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패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패션 속성에 기초하여 미리 수집된 의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패션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의상 데이터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가상 피팅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상기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 피팅부 및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확보된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추천 스코어를 도출하는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천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상품 구매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패션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패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션 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션 속성에 기초하여 미리 수집된 의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패션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의상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시스템은, 상기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증강현실 기능을 이용해 의상을 가상으로 피팅하는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 등의 해당 의상이 어울리는지에 대한 판단을 보조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시공간 제약 없이 보다 편리한 의상 착용 및 의상 구매를 지원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입력된 패션 이미지에 대응되는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아바타를 생성 및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데이터베이스(3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의상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소정의 의상에 대한 유형 정보, 형상 정보, 브랜드 정보, 상품 식별정보, 규격 정보, 가격 정보 등 해당 의상과 연계된 다양한 정보를 폭넓게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을 통해 제공된 복수의 의상 목록에서 선택된 의상에 대응하는 의상 데이터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에 탑재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촬영되어 소정의 인물의 신체 영역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과 구분되는 별개의 촬영 디바이스에 의해 촬영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것이거나,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별도의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인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서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분지어지는 가상의 경계 영역(A)을 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인식 결과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란, 획득된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거나, 정보를 획득할 목적으로 선택된 의상 등)의 유형 정보 및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의상을 실제로 착용할 경우 해당 의상이 착용 또는 착장되는 신체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상 데이터가 신발에 대한 것인 경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은 사용자의 발 부위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의상 데이터의 유형 정보가 원피스 등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에 전체적으로 착용되는 것이거나 상의 및 하의가 모두 의상 데이터로 선택된 경우(달리 말해, 사용자가 상의인 제1의상과 하의인 제2의상을 모두 가상 피팅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 영역을 모두 커버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인식된 결과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영상 데이터에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데이터의 갱신을 사용자 단말(200)로 요청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의상 데이터가 신발에 대응되는 것이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사용자의 발 부위가 드러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인 발 부위가 포함되도록 갱신된 영상 데이터를 재차 제공해줄 것을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의 형식을 통해 요구하는 안내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에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영상 데이터에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의 가상 피팅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가상으로 피팅하려는 의상의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해당 의상의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형상과 인식된 신체 부위의 형상을 정합하여 증강된 화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신발에 해당하는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발 부위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발 부위의 형상(제1형상 정보) 및 해당 신발의 형상(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해당 신발을 실제로 신고 있는 듯한 모습을 반영하는 화상인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하되, 가상 피팅 데이터가 표출되는 영역 외의 배경 영역에 가상 피팅 데이터의 생성에 활용된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아이템에 대한 객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아이템은 활용된 의상 데이터에 어울리는 것으로 추천될 수 있는 장신구, 액세서리 등의 패션 아이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미리 저장된 의상 데이터와 패션 아이템 간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의 생성에 활용된 의상 데이터와 매칭되는 패션 아이템을 나타내는 객체를 배경 영역을 활용하여 표시하되, 표시된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표시된 객체를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 등)이 인가되면, 해당 객체에 대응하는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제3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가상 피팅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선택한 의상에 대한 형상인 제2형상 정보와 해당 의상에 대응하도록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의 형상인 제1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되, 배경 영역을 통해 해당 의상과 어울리는 별도의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패션 아이템까지 추가적으로 가상 피팅하려는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면, 해당 패션 아이템에 대한 제3형상 정보를 추가 반영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가상 피팅 데이터가 출력된 이후, 가상 피팅 데이터에 활용된 의상에 대한 사이즈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제2형상 정보를 사이즈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가상 피팅 데이터가 출력된 이후, 가상 피팅 데이터에 활용된 의상에 대한 색상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제2형상 정보를 색상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이즈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확보된 해당 의상에 대한 사이즈 체계에 기초하여 제2형상 정보를 변경하되, 의상 브랜드, 의상 구매처 등에 따라 동일한 사이즈라도 실측치가 상이하여 실제로는 사용자의 신체에 맞지 않는 가상 피팅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300)에 미리 수집된 의상별 수치형 사이즈 정보 및 실제로 해당 의상을 착용해본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집된 사이즈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제2형상 정보가 가상 피팅 데이터 상에서 변경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즈 피드백 정보는 의상의 실제 착용자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집된 후기 정보 등에 반영된 해당 의상의 수치형 사이즈 정보와 실제 체감되는 사이즈 수준에 대한 비교 결과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상에 대한 구매 링크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의상 구입이 이루어진 후, 구입한 의상을 실제로 착용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치형 사이즈 정보 대비 실제 의상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체감되는지, 큰 것으로 체감되는지, 딱맞게 체감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이즈 피드백 정보로서 수신하고, 해당 의상에 대하여 수집된 사이즈 피드백 정보를 종합하여 해당 의상과 연계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사이즈 변경 요청에 대응하는 제2형상 정보 변경시 가상 피팅 데이터에 반영되는 의상의 증강 화상이 변경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이즈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제1체형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한계 범위를 벗어나도록 인가되면, 인가된 사이즈 변경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서는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고, 한계 범위를 이탈하였다는 안내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형상을 나타내는 제1형상 정보에 비추어 보았을 때, 사용자가 과도하게 작은 사이즈로의 변경을 요청하면, 해당 요청에 대응하여서는 가상 피팅 데이터를 미제공하고 사이즈 변경 요청이 적절하지 않다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한 사이즈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확보된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및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활용된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추천 스코어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형 정보는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팔길이, 다리길이, 허리둘레, 가슴둘레, 발크기, 어깨넓이 등 사용자의 신체의 외형 상의 특징이나 신체 조성(body composition)과 연계된 정보로서 사용자의 체격을 구성하는 요소 각각의 규격 특성, 근육 발달 정도 등을 폭넓게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 정보는 사용자 입력 또는 사용자에 대해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별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도출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형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카테고리는 세장형, 역사형(근육형), 비만형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는 패션 분야와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는 복수의 스타일 중 미리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 스타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복수의 스타일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된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선호 스타일을 선택하도록 사용자 단말(200)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미리 보유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복수의 스타일은 자연스러움(natural), 복고(retro), 락(rock), 스트릿(street), 걸리시(girlish) 등의 범주로 구분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는 의상 데이터를 보유한 의상 각각에 대한 스타일 매칭 결과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데이터베이스(300)는 복수의 스타일 각각에 대한 연관 정도에 대한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활용된 의상 데이터에 대하여 매칭된 스타일이 사용자의 선호 스타일과 일치하지 않더라고, 서로 다른 두 스타일 간의 연관 정도를 고려하여 추천 스코어를 도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보유 의상에 대한 정보를 미리 보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구매 이력 등을 보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보유 의상에 대한 의상 데이터와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활용된 의상 데이터의 스타일 간의 연관 정도 등에 기초하여 추천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는 구체적으로 영상 데이터에서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활용되지 않은 영역에 등장하는 신체 부위에 착용된 의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가상 피팅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의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해당 인식 결과를 고려하여 인식된 신체 부위 이외의 영역에서 착용된 의상을 추가로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지된 착용 의상 정보에 부합하는 의상 데이터와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활용된 의상 데이터의 스타일 간의 연관 정도 등에 기초하여 추천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스코어에 기초하여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상품 구매 링크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산출된 추천 스코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가상 피팅 데이터에 생성에 활용된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에 대한 상품 구매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구매 링크란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별개로 운용되되 해당 의상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등의 구매 채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경로 정보(예를 들면, URL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품 구매 링크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운용 주체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쇼핑몰 등의 구매 채널에서 해당 의상에 대한 상품 구매가 가능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미리 구축된 결제/배송정보 입력 페이지, 장바구니 페이지, 관심 품목(위시리스트) 페이지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광고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전까지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도 사용자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해당 소요 시간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인 의상 정보에 접근하도록 하거나 다른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될 때까지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는 전술한 사용자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등)에 기초하여 맞춤형으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의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가상 아바타의 외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외형이 변경된 가상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아바타는 사용자의 체형, 얼굴형 및 피부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미리 확보되거나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된 사용자 외형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3차원 아바타일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해 활용되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는 전술한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별도의 시점에 확보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아바타를 미리 생성하여 보유하되, 사용자가 소정의 의상에 대한 의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제공받는 가상 피팅 콘텐츠를 실행할 때마다 미리 생성된 가상 아바타의 외형을 가상 피팅 데이터의 생성에 활용된 의상 데이터를 반영하여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택된 의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와 병렬적으로 미리 생성된 가상 아바타의 외형을 해당 의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동작하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하는 프로세스가 종료되고 나서 외형이 변경된 가상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패션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패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패션 이미지란 사용자가 인터넷 검색 등의 루트를 통해 획득한 유명인 이미지, 패션쇼 이미지 등 사용자가 아닌 인물이 특정한 의상을 착용한 상태로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패션 속성은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의상의 지배적인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 속성, 의상 유형 속성, 부분 속성, 질감 속성, 옷감 패턴 속성, 장식 속성, 마감 처리 속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패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패션 속성에 기초하여 미리 수집된 의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패션 이미지에 대응하는 의상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제공한 패션 이미지에 등장하는 의상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00)를 통한 검색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입력된 패션 이미지에 대응되는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패션 이미지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도 3의 (b)는 입력된 패션 이미지로부터 패션 속성을 추출하고, 패션 이미지에 포함된 의상에 대한 의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탐색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도중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이고, 도 3의 (c)는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과 관련하여, 도 3의 (c)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색된 의상에 대하여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0) 내의 의상 상세 정보(예시적으로, 도 3의 (c) 를 참조하면, 브랜드 정보, 상품 번호(품번) 정보, 구매링크 정보(URL 등), 사이즈 정보, 구매링크와 연계된 재고정보,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에 의해 의상 탐색 프로세스가 진행된 횟수(분석횟수) 정보, 추천 점수 정보 등)를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탐색된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패션 이미지로부터 의상 데이터가 탐색되면 해당 의상 데이터가 반영된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영역이 포함되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영상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탐색된 의상을 가상 피팅하시겠습니까? 상체가 포함되도록 촬영해주세요.'와 같은 안내 텍스트, 음성 등을 사용자 단말(200)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패션 이미지 기반의 가상 피팅 콘텐츠를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획득되는 이후의 가상 피팅 콘텐츠 제공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의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와 동등하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영상 분석부(110), 가상 피팅부(120), 출력부(130) 및 추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10)는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10)는 획득된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10)는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데이터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10)는 패션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패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션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석부(110)는 추출된 패션 속성에 기초하여 미리 수집된 의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수집된 패션 이미지에 대응하는 의상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
가상 피팅부(120)는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추천부(140)는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확보된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및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추천 스코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출력부(130)는 도출된 추천 스코어에 기초하여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상품 구매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패션 이미지에 대응하도록 탐색된 의상 데이터와 관련하여,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영상 분석부(110)는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영상 분석부(110)는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2의 판단 결과,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영상 데이터에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21에서 영상 분석부(110)는 영상 데이터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30)는 영상 분석부(110)의 갱신 요청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포함되도록 갱신된 영상 데이터를 재차 제공해줄 것을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의 방식을 통해 요구하는 안내 정보가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단계 S12의 판단 결과,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3에서 가상 피팅부(120)는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로부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출력부(130)는 생성된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추천부(140)는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확보된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및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추천 스코어를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서 출력부(130)는 단계 S15에서 도출된 추천 스코어에 기초하여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상품 구매 링크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6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아바타를 생성 및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아바타를 생성 및 표시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EH 6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 가상 피팅부(12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2에서 가상 피팅부(120)는 획득된 의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상 아바타의 외형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3에서 출력부(130)는 가상 아바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1 내지 S2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시스템
100: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영상 분석부
120: 가상 피팅부
130: 출력부
140: 추천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데이터베이스
20: 네트워크

Claims (13)

  1.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상기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확보된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추천 스코어를 도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상품 구매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가상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의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아바타의 외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 아바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패션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패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션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패션 속성에 기초하여 미리 수집된 의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패션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의상 데이터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가상 피팅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의상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을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인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인식된 신체 부위 영역에 대한 제1형상 정보 및 상기 의상 데이터에 기초한 제2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의상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영역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되는 증강현실 기반의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 피팅부; 및
    상기 가상 피팅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여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상기 의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영역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미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갱신을 요청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확보된 체형 정보, 선호도 정보, 보유 의상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악되는 착용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추천 스코어를 도출하는 추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추천 스코어에 기초하여 상기 의상 데이터와 연계된 상품 구매 링크를 제공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패션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패션 이미지로부터 미리 설정된 패션 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션 속성에 기초하여 미리 수집된 의상 데이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패션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의상 데이터를 탐색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탐색된 의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13.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의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사용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상 피팅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의류 판매 시스템.
KR1020200090221A 2020-07-21 2020-07-21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1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21A KR102415338B1 (ko) 2020-07-21 2020-07-21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21A KR102415338B1 (ko) 2020-07-21 2020-07-21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85A true KR20220011385A (ko) 2022-01-28
KR102415338B1 KR102415338B1 (ko) 2022-06-29

Family

ID=8005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21A KR102415338B1 (ko) 2020-07-21 2020-07-21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3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580B1 (ko) * 2022-11-11 2023-02-24 김상희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된 스타일링 정보 추천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2713B1 (ko) * 2022-02-23 2023-08-02 주식회사 퍼스트솔루션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들에 대한 가상 피팅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230120973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대체 불가능 토큰 콘텐츠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230120972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대체 불가능 토큰 콘텐츠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602659B1 (ko) * 2023-05-26 2023-11-15 주식회사 손손컴퍼니 증강현실에 기초한 핏팅 시스템
KR20230157862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대체 불가능 토큰 콘텐츠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865A (ko) * 2014-04-04 2016-12-13 이베이 인크. 이미지 평가 기법
KR20190070452A (ko) * 2017-12-13 2019-06-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200023970A (ko) * 2018-08-27 2020-03-06 전호윤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KR20200050095A (ko) * 2018-10-31 2020-05-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865A (ko) * 2014-04-04 2016-12-13 이베이 인크. 이미지 평가 기법
KR20190070452A (ko) * 2017-12-13 2019-06-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200023970A (ko) * 2018-08-27 2020-03-06 전호윤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KR20200050095A (ko) * 2018-10-31 2020-05-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증강현실을 이용한 착용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973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대체 불가능 토큰 콘텐츠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20230120972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대체 불가능 토큰 콘텐츠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62713B1 (ko) * 2022-02-23 2023-08-02 주식회사 퍼스트솔루션 사용자가 보유한 의류들에 대한 가상 피팅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230157862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이매지니어스 대체 불가능 토큰 콘텐츠를 이용한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503580B1 (ko) * 2022-11-11 2023-02-24 김상희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된 스타일링 정보 추천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02659B1 (ko) * 2023-05-26 2023-11-15 주식회사 손손컴퍼니 증강현실에 기초한 핏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338B1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338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의류 판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202154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fitting rooms or hybrid stores
KR102189394B1 (ko) 패션 선호도 분석 기법
KR101418372B1 (ko) 가상피팅을 이용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US2017003962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279289A1 (en)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for Virtual Dressing Room Visualization
CN111681070B (zh) 线上商品的购买方法、购买装置、存储装置及购买设备
KR101623946B1 (ko) 가상 피팅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027801A (ko)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 스타일매칭용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스타일매칭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374057A (zh) 虚拟试穿装置及虚拟试穿方法
KR20200023970A (ko) 가상 피팅 지원 시스템
KR20170006604A (ko) 서버 장치 및 이에 의한 의류 추천 방법
CN105374058A (zh) 虚拟试穿装置、虚拟试穿系统及虚拟试穿方法
US20210160018A1 (en) Automated customization with compatible objects
KR102506356B1 (ko) 코디 추천 장치 및 방법
JP202309590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81566B1 (ko) 패션 스타일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064653B1 (ko)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102365896B1 (ko) 의류 추천 장치 및 방법
Pei The effective communication system using 3D scanning for mass customized design
KR2023015646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의류 판매방법
JP745920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9116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80402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dressing room and a virtual stylist
JP202405242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