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214A -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 Google Patents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214A
KR20220011214A KR1020227001096A KR20227001096A KR20220011214A KR 20220011214 A KR20220011214 A KR 20220011214A KR 1020227001096 A KR1020227001096 A KR 1020227001096A KR 20227001096 A KR20227001096 A KR 20227001096A KR 20220011214 A KR20220011214 A KR 20220011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
packaging
machine
arm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암 레이시
Original Assignee
이도우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우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filed Critical 이도우 인베스트먼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2001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신규 포장 아암, 적재 아암 및 단일 섀시를 지닌 포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본 발명은 포장기, 특히 예를 들면 3-점 연결(three-point linkage)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예를 들면, 적재기(loader)를 통해 간접적으로 트랙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mounting)하기에 적합한 종류의 가소성 포장 필름(plastics wrapping film)을 사용하여 베일(bale)을 포장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베일-포장기(bale-wrapp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폐기물을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물품(들)도 포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사일리지(silage), 낟알, 건초, 짚, 옥수수, 비트 펄프(beet pulp), 비트 톱(beet top) 등과 같은 농업 물질의 베일을 가소성 필름으로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에 관한 것이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기밀(air tight) 및 수밀(water tight)식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폐 플라스틱 등과 같은 일반적인 농장 및 농업 폐 제품을 압축시켜 포장하고, 세분된 피트 모스(peat moss), 톱밥, 나무 대팻밥, 목재 절단 단편, 양조장 폐기물, 벽돌, 블록, 카툰(carton) 등과 같은 다른 느슨한 물질 및 대상물을 포장하기 위한 기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포장 물질을 뭉쳐서 적용하는 기계는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기계는 베일 포장 및 포장 둘 다를 위한 특수화된 복합기이다. 예를 들면, 이들은 전형적으로 이의 포장을 위해 이미 형성된 베일과 함께 적재될 수 없다.
관련 기술의 설명
후속 포장을 위한 지면(ground)에 남겨진 이미 형성된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기계에서, 다수의 과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기계는 베일을 맞물리고, 지면에서 베일을 들어 올리며 이를 이의 포장을 위한 베일 포장기 위로 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포장한 후에 이는 베일을 지면으로 다시 복귀시켜야 한다. 이들 모두는 베일 및 실제로 이의 포장에 최소의 취급 손상을 주면서 성취되어야 한다. 또한, 이는 기계의 작동자에게 가능한 한 쉬운 방식으로 성취될 필요가 있다.
이들 요건 모두는 또 다른 과제를 제공한다. 즉, 가능한 한 간단하고, 예를 들면, 조립하기 위해 최소한의 수의 부분(part)을 필요로 하는 기계를 제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보단 복잡한 기계와 비교할만한 포장 출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직도 효율적이다.
조립하기 위해 더 적은 수의 부분을 필요로 하는 가능한 한 간단한 기계를 제공하는 것은 기계에 의해 수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는 작용의 복잡성을 간단하게 제공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기계는 지면에서 베일을 들어올리기 위한 기중 메카니즘(lifting mechanism)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이는 포장 메카니즘, 전형적으로 포장을 위한 베일의 주변부에 대하여 회전하는(또는 괘도를 도는) 포장 아암(wrapping arm)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계는 종종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인 포장이 적용되어 포장이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중첩 포장에서 전체 베일에 적용되도록 하는 회전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이 기계는 또한 본원에서 "절단 및 시작" 또는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으로 언급될 것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베일이 포장되어 포장된 베일이 방출될 수 있지만 포장 물질의 절단 말단(cut end)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후에 포장 물질을 절단하게 될 메카니즘이다. 이 메카니즘은, 포장 물질이 충분히 오버레이(overlay)되어 베일로부터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경우 베일에 대하여 다수의 포장을 위한 포장 물질을 유지한 다음 이를 방출시킨다. 이후에, 이의 절단을 반복하고 베일 포장 사이클이 완료되는 경우 기능을 유지한다. 이후에, 사이클을 반복한다.
기계 제조업체 Elho는 슬링 적재 아암(sling loading arm)을 갖는 상표명 "Softliner" 하의 기계를 제공한다. 아암은 기계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된다. 기계가, 예를 들면, 트랙터의 후면 3점 연결부(three-point linkage)에 장착되는 경우, 작동자는 기계를 베일까지 뒤집는다. 작동자는 이후에 슬링 아암을 기계의 후면으로부터 역방향으로 베일을 외부로 및 상부로 가져오는 메카니즘을 작동시킨다. 슬링 아암은 베일을 기계의 후면으로부터 기계 위로 전방으로 끌어당긴다. 기계가, 예를 들면, 트랙터의 3점 연결부에 전방으로 장착되는 경우, 작동자는 기계를 베일까지 구동시킨다. 작동자는 이후에 슬링을 전방으로 베일의 외부로 및 상부로 가져오는 메카니즘을 작동시킨다. 슬링 아암은 베일을 트랙터를 향해 및 기계 위로 후방으로 끌어당긴다.
미국 특허 제5,740,662호는 섀시(chassis)의 프레임 형성 부품을 갖는 베일 포장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프레임은 충분한 수직 및 수평 간격을 가져서 기계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베일을 수집하면서 전방 이동 방향에 있도록 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역 U자 형상을 형성한다. 베일은 섀시의 프레임 부품 하부로 통과하여 기계의 중심 내로 통과하며, 여기서 이는 이의 포장을 위한 롤러에 의해 집어올려질 수 있다. 섀시의 프레임 부품은 또한 포장 아암을 지지하기 위한 타워(tower)를 형성한다. 베일 포장 장치는 트랙터 후면에 견인(trailing)된다. 따라서, 이는 2개의 위치를 갖는다. 이는 "인-라인 위치(in-line position)"를 가지며, 여기서 기계는 도로 등을 운행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트랙터 후면에 위치한다. 이는 또한 "오프셋 위치(offset position)"를 가지며, 여기서 기계는 트랙터의 한쪽 측면에서 오프셋된다. 인-라인 위치에서, 기계는 베일을 전방 이동 방향으로 집어올릴 수 없다(왜냐하면 트랙터가 베일을 가로질러 구동할 수 없기 때문에). 오프된 위치에서, 트랙터는 베일을 따라서 구동하며 기계는 이를 집어올린다. 기계는 트랙터에 대한 기계의 상대적 오프셋을 허용하는 조정가능한 견인 봉(draw bar)을 갖는 것으로 인하여 인-라인 위치와 오프셋 위치 사이로 이동된다.
국제특허공보 제WO 2010/060793호; 대한민국 특허 제KR 20100116487호; 대한민국 특허 제KR 10110777호; 유럽특허공보 제EP 2123145호; 유럽특허공보 제EP 0234 763호 및 국제특허공보 제WO 2006/093374호는, 기계의 주 섀시가(비-단일의) 분리된 부품, 예를 들면, 함께 볼트로 연결된 부품으로 조립되는 베일 포장기를 나타내고 있다.
유럽특허공보 제EP12970419호는 스크류(screw) 또는 웜 드라이브(worm drive)를 사용하여 필름을 파지하는 절단-및-유지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작동시 여전히 다용도로 만들기 용이한 기계의 간단한 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요지
한 가지 국면에서, 본 발명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한 기계를 제공한다. 이는 선행의 구성보다 실질적으로 더 적은 수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더욱이, 이는 매우 다용도이다. 이는 전방 적재기, 후방 적재기 아암, 전방 3점 연결부, 후방 3점 연결부 위에 장착될 수 있고, 이는 견인될 수 있다. 이는 정지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들판에서 고정된 채로 위치할 수 있으며, 베일은 포장을 위해 이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 이는 전형적으로 정지 트랙터, 또는 일부 다른 정지 모터/엔진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트랙터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이러한 표현은 다른 차량을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추진 정렬부(arrangement)를 포함함을 인식한 것임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히 중요한 국면은 매우 간단하고 강하지만 다용도인 섀시이다.
가능한 한 간편한 포장기를 제조하기 위해 시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들 중의 하나는, 포장 작용이 간단하지 않고 매우 복잡한 메카니즘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책은 이러한 포장기에서 발견되는 더 통상적인 부품들 중의 일부에 대한 대체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기용 섀시를 제공하며, 이러한 섀시는
포장 아암을 장착하는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
베일 지지 정렬부의 적어도 일부를 장착하는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부터 하부 부분으로 진행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을 갖는 주 섀시 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주 섀시는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을 형성하는 단일의 부재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용어 "단일의"는, 주 섀시 부재가 단일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섀시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섀시의 상부 부분으로 및 이에 따라 어떠한 기계로의 전체 경로가 섀시를 활용하도록 만드는 구조적 통합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섀시는 물질의 단일의 길이를 취하고 이를, 예를 들면 목적하는 형상으로 구부리도록 작업함으로써 형성된다. 섀시는 금속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주조(casting)하는 것과 같이 물질을 목적하는 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덜 바람직하게는, 주 섀시 부재는 용접에 의한 것과 같이, 서로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부분들로 제조될 수 있다. 구성의 간단성을 목적으로 하여, 용접은 단일의 섀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bolt)에 의한 것과 같이, 함께 유지되는 분리된 부품들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주 섀시 부재 섀시를 형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 및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은 종종 "타워(tower)" 및 "마스트(mast)"로 언급된다.
과거의 포장기에는 타워 프레임 부분에 별도로 볼트로 조여진 토대(base) 또는 하부 섀시 부분이 구성되어 있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서, 타워 및 하부 섀시 프레임 둘 다는 한 가지 구성(즉, 단일의 부재)로 합해지며, 성분 부분의 중량 및 수는 상당히 줄어든다. 동시에, 기계의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섀시는 트랙터의 3점 연결부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특히, 3점 연결부를 위한 장착 지점은 섀시 위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섀시는 또한 본 발명의 적재 아암을 위한 적합한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한다(하기한 바와 같음).
주 섀시 부재는 어떠한 적합한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는 중공 단면 물질(hollow section material)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는 박스 단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이는 관형 부재와 같은 관형 물질로 형성된다.
주 섀시 부재는 당해 주 섀시 부재를 형성하도록 성형된 단일 부분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형상으로 굽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질의 단일 부분은 관형이다.
이는 포장기의 매우 간단하지만 매우 효율적인 구성방법을 생성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섀시를 포함하는 기계는 매우 강한 구조적 특성을 가질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섀시는 매우 다용도이다. 이는 독립형 또는 정지형 기계로서 이용된, 3점 연결부의 전면 또는 후면, 전방 또는 후방 적재기에 장착가능한 기계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트레일러 또는 스탠드 위에 장착된, 이후에 기술할 본 발명의 2부분 정렬부에서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섀시는 원통형 또는 직사각형(정사각형 포함) 베일을 포장할 수 있는 기계용 섀시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정렬에서, 본 발명의 섀시에는 하나 이상의 지면 맞물림 부재,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롤러 또는 휠 또는 이의 조합물이 제공된다. 이는 섀시 및 어느 베일의 중량이 지면 맞물림 부재를 통해 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점 연결부 위에 장착되는 경우 섀시는 3점 연결부에 의해 하강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중량이 지면 맞물림 부재에 의해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 섀시 부재는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 위의 반대편 측면으로부터 진행되는 단일의 부재로부터 형성되어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 및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을 형성한다. 이는 매우 강한 구조적 정렬부를 생성한다. 주 섀시 부재는 수직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이도록 성형될 수 있다.
단일의 섀시는 임의로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을 포함하며, 이중 하나는 다른 것보다 더 길다. 이러한 정렬에서, 더 긴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은 액슬(axle)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일 지지 정렬부의 하나 이상의 롤러 형성 부품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정렬부는 하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적재 아암을 갖는 포장기의 정렬에 특히 적합한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섀시는, 적재 아암이 회전가능한 롤러를 운반하는 정렬에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 회전가능한 롤러에는 더 짧고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과 함께 실질적으로 정렬(수평으로 및 수직으로 둘 다)될 것이다.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이 액슬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정렬이 구성의 간편성을 허용하고 또한 구조적 강도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은 액슬을 형성하며, 여기서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품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가지 정렬에서, 본 발명의 섀시는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액슬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이들 액슬 상의 롤러는 제 위치에 고정될 것이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하나의 롤러는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 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제 위치에 고정된다. 제2의 롤러는, 임의로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재 아암 위에 장착되기 때문에 회전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정된"은 회전에 대하여 고정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롤러는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롤러는 주 섀시 부재에 대하여 달리 운동하지 않는 측면에서 고정된다. 특히, 이는 적재 또는 포장 동안에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렬부를 제공하며, 여기서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은 각각 액슬을 형성하고, 여기서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품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구동된 롤러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 내에서 각각의 롤러는 고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하나는 이동가능하다. 특히, 한 쌍의 반대편 롤러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렬부에서, 반대편 롤러는 베일을 위한 픽-업 메카니즘으로서 작용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으로부터 떨어져서 이동하여 기계가 포장을 위한 베일을 집어 올리도록 한 다음에, 베일을 집어올리도록 다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에 함께, 반대편 롤러는 베일 지지 정렬부를 형성한다.
하나의 정렬부에서, 하나의 롤러는 작동시 고정되지만 적어도 2개의 고정된 위치 사이에 상이한 크기의 베일을 수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러는 약 1 미터 내지 약 1.6 미터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베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특히, 각각의 고정된 위치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및 일반적으로 수직인 위치 둘 다로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일이 롤러 위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베일이 충분히 중앙에 있어서 포장이 베일의 중앙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통형 베일에서, 적용된 포장이 베일의 중앙에 대하여 더 멀리 통과함에 따라 포장이 베일로부터 더 많이 미끄러짐을 인식할 것이다. 상이한 직경의 베일을 사용하고 더 큰 직경의 베일을 조정하지 않으면 더 작은 직경의 베일보다 더 높게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위치를 구성하여 포장 아암(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중앙(수직 및 수평)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섀시에서,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은 액슬을 형성하며, 여기서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품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더 긴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은 본원에 기술된 유형의 스텝-업 부재(step-up member)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의 수평인 부분은 섀시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다른 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연속 단편일 수 있다.
주 섀시 부재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경로를 따르는 2개의 이격된 부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가지 정렬에서, 이는 자체를 따라서 다시 회전되고 상부의 수평 부분에서 다소 발산한다. 이후에, 이는 2개의 이격되지만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을 형성하며, 이는 이후에 하부의 수평 부분 아래의 위치로 다시 회전되어 하부의 수평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섀시에서,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은 액슬을 형성하며, 여기서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품을 형성하는 구동된 롤러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롤러를 위한 구동 모터는 롤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정렬은 구동되는 어떠한 롤러에 대해서도 분명이 유리하다. 다시, 이는 구조의 간편을 위해 여전히 매우 높은 구조적 통합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정렬에서, 롤러의 회전 축은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의 중앙 축으로부터 필요한 정도로 오프셋되어 구동 모터 및 롤러 둘 다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모터가 롤러 내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섀시를 이용하는 기계는 인-라인 위치 또는 오프셋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와 관련하여, 용어 "인-라인" 또는 "인-라인 위치"는 포장을 위한 기계 위의 적소에서 베일의 중심(운행 방향에서)을 통해 수직 평면에 대하여 전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트랙터와 인-라인 상태에 있는 포장기는 트랙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계와 관련하여, 용어 "오프셋" 또는 "오프셋 위치"는 포장을 위한 기계 상의 적소에서 베일의 중앙(운행 방향에서)을 통해 수직 평면에 대하여 전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트랙터에 대하여 오프셋도는 포장기는 전형적으로 트랙터에 부착될 것이며, 여기서 포장을 위한 기계 상의 적소에서 베일의 중앙을 통한 수직 평면이 트랙터의 한쪽 측면으로 향한다.
트랙터의 전면에 장착된 인-라인 포장기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작동기는 베일 및 트랙터를 집어 올리기 위해 전방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포장기 및 집어 올려질 베일은 모두 실질적으로 인-라인 상태에 있을 것이다.
트랙터의 후면에 장착된 인-라인 포장기에 있어서, 작동기는 집어올릴 베일 내로 역전시켜야만 하며, 트랙터, 포장기 및 집어올릴 베일은 실질적으로 인-라인 상태에 있을 것이다.
포장될 베일의 측면에서, 이는 포장기와 인-라인 상태, 즉 실질적으로 인-라인 상태에 있는 위치로부터 집어올려질 수 있거나; 이는 오프셋 상태, 즉 이는 포장기로부터 오프셋되는 위치로부터 집어올려진 다음, 기계와 인-라인 상태에 있는 위치로 될 수 있다. 베일이 오프셋 위치로부터 집어올려지는 경우, 이는 전형적으로 기계의 한쪽 측면으로 향하는 위치로부터 집어올려진다.
본 발명의 섀시는 본원에 기재된 기계의 어떠한 다른 측면과 어떠한 연결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적재 아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재 아암은 본원에 기재된 기계의 어떠한 다른 국면과도 연결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일에 포장을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이의 포장 동안에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 및
베일을 맞물리고 포장될 수 있는 기계 위의 위치에 베일을 가져오기 위한 베일 적재 아암;
기계의 한 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서 베일의 상부, 즉 기계에 대한 오프셋 위치 위로 통과하고, 베일을 이의 먼 측면으로부터 맞물린 다음 폐쇄된 위치로 후퇴시켜 베일이 포장될 수 있는 기계 상의 위치로 이동되는 개방 위치로부터 이동가능한 베일 적재 아암을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한다.
이는 본 발명의 포장기의 적재를 허용하는 매우 단순한 정렬이다. 특히, 이는 작동기가 전방으로 구동되어, 기계가 후방에 장착되고 트랙터와 인-라인 상태로 있는 경우에도 베일을 집어올리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후방에 장착된 기계를 사용하여, 기계가 트랙터와 인-라인으로 장착될 때, 예를 들면, 후방의 3점 연결부 위에 장착될 때 베일 내로 뒤집어질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구동자는 적재/적하(loading/unloading)시 자신의 뒤를 직접 바라볼 필요가 더 이상 필요없다. 본 발명의 기계는 인라인 및 오프셋 위치 둘 다로부터 베일을 적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베일 적재 아암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섀시를 갖는 기계 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일 적재 아암은 본원에 기재된 기계의 어떠한 다른 국면과의 어떠한 연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한 가지 간단한 정렬에서, 적재 아암의 후퇴는 베일이 기계를 향한 지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이는 특히,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환형 베일을 포장하도록 채택된 기계에 적합하다.
임의로, 적재 아암은 베일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서 아암에 의해 지면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기중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특히,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직사각형(정사각형 포함) 베일을 포장하도록 채택된 기계에 적합하다.
아암은 하방으로 및 내측으로 선회(swing)되어, 예를 들면 갈매기-날개형 아암(gull-wing arm)으로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아암은 하방으로 및 내측으로 선회되어, 예를 들면, 갈매기-날개형 아암으로서 폐쇄될 수 있다.
적하 역시 간단한데, 그 이유는 적재 아암이 기계의 한쪽 측면에서 빠져나오도록 운동해서 베일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렬에서, 적재 아암은 베일이 당해 베일 또는 이에 적용된 어떠한 포장에 대해서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 양호한 방식으로 지면 상의 베일을 이탈시킨다.
베일 적재 아암은 구동 수단을 운반하여 베일의 운동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동 수단은 베일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수단은 회전 메카니즘일 수 있다. 한 가지 간단한 정렬에서, 이러한 회전 메카니즘은 이의 포장을 위해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전체 기계의 구성의 간략성을 위해, 베일 적재 아암은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의 적어도 일부를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일 적재 아암이 2가지 기능, 아암을 적재하기 위한 기능, 및 메카니즘의 부품을 형성시켜 이의 포장을 위한 포장기 위에 베일을 회전시키는 두번째 기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이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의 간편성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일 적재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운반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베일을 적재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베일의 포장 동안에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에서, 적재 아암의 부분은 액슬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품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 메카니즘은 2개의 대향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 중의 하나는 베일 적재 아암 위에 임의로 운반된다. 이러한 대향하는 롤러는 벨트가 없을 수 있거나 이를 가로질러 장착되어 베일을 위한 크래들(cradle)을 형성하는, 슬랙 벨트(slack belt)와 같은 벨트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대향하는 롤러는 지지체(support)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일은 이의 포장 동안에 회전가능하며 이러한 롤러 중의 하나는 베일 적재 아암 위에 운반될 수 있다.
특히,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직사각형 베일에 적합한 정렬에서, 2개의 대향?榻? 롤러가 지지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베일은 이의 포장 동안에 회전가능하며 이러한 롤러 둘 다는 베일 적재 아암 위에 운반된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아암이 개방되는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정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타의 경우에는 베일 위로 통과시키기 위해 아암을 개방하는 경우 충분한 간극을 얻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 경사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기계를 경사시켜서 아암이 개방되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렬에서, 기계는 적재 아암이 장착되는 이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경사질 것이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조정 메카니즘은 서로에 대하여 아암의 2개의 부품을 관절로 연결시켜 아암이 개방되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이는 더 큰 간극을 제공한다.
더욱이, 이러한 정렬은 아암이 닫히는 경우 충분한 지면 간격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베일이 경사진 지면 위로 집어올려지는 경우, 아암은 상승되는 지면을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아암은 기타의 경우에 충분한 지면 간격을 지니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조정 메카니즘은 서로에 대하여 아암의 2개의 부분을 관절로 연결시켜 아암이 닫히는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시, 이는 아암이 베일 위의 충분히 낮은 위치에서 맞물리도록 하는데 보조할 수 있다. 특히, 베일을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정은 지면의 높이 수준에서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베일을 비교적 높은 상승 위치, 예를 들면, 이의 중간지점 위에서 맞물리는 적재 아암을 나타내고 예시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더욱이, 적재 아암과 함께 베일의 상부를 맞물릴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기계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압력 완화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포장기에서, 포장 메카니즘은 포장 아암을 포함하며, 베일 적재 아암 및 포장 아암은 베일 포장기 위에 수직(기둥)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새시를 이용하는 경우, 이는 매우 간단하지만 구조적으로 강한 정렬을 제공한다.
베일 적재 아암은 개방 위치에서 기계의 한 쪽 측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로를 따르는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부분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및 기계의 수직 종방향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되는 경로를 따르는 제2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정렬에서, 제2 부분은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품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축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단지 로딩된 위치를 향해 움직이도록 베일을 맞물리는 제2 위치이다.
베일이 원통형 외부 프로파일(profile)을 갖고 이의 측면 위에 놓이는 베일의 "환형" 베일인 경우, 적재의 용이성을 위하여 이는 이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접근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위하여, 아암은 전형적으로 외부신장된 위치에 있고 베일 위로 통과한다. 이후에, 아암은 후퇴된다. 이는 베일에 대하여 제2 부분을(단지 전형적으로) 맞물리며 포장기를 향에 베일을 당기도록 유발할 수 있다. 10회 중에서 베일은 아암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내측으로 회전할 것이다. 실제로, 이는 전형적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재 아암은 항상 베일과 접촉되며 베일의 조절을 갖는다.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및 일반적으로, 회전 메카니즘은 제2 위치에서 운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의 종방향 축 및 제2 부분의 종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적재 아암은, 사용 시, 예를 들면, 베일 상부의 외부신장된 위치에서, 로딩되는 베일 상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지점에서 중추적으로(pivotally) 장착된다.
간단한 구성에서, 적재 아암은 적어도 2개의 지점에서 중추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베일 적재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관절로 연결되는 2개의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경우 아암의 단축 또는 연장을 허용할 수 있다.
관절로 연결된 부분들은 사용시 로딩되는 베일 상부에 존재하는 지점에서 서로에 대하여 관절로 연결될 수 있다.
록킹 메카니즘(rocking mechanism)은 이의 폐쇄된 위치에서 적재 아암을 잠그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록킹 메카니즘은 적재 아암을 섀시의 적어도 일부에 잠글 수 있다. 이는 더 큰 강도를 갖는 정렬부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포장을 위해 베일을 회전시키는 동안 겪는 힘을 견딜 수 있다. 한 가지 간단한 정렬에서, 록킹 메카니즘은 폐쇄된 위치에서 아암을 지지하는 랫치(latch)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랫치는 베일의 포장을 위한 위치에서 적재 아암을 걸쇠로 걸도록 자동적으로 작동된 다음 적재 아암을 방출시켜서 적하되도록 한다.
상이한 크기의 베일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렬에서, 예를 들면, 직경이 약 1미터 내지 약 1.6미터인 베일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적재 아암을 위해, 기계의 작동 동안에 상이한 록킹 위치, 임의로 고정된 위치를 제공하도록 조정가능한 록킹 메카니즘을 갖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보다 특히, 상이한 록킹 위치는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 및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둘 다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일은 충분히 중앙에 있어서 포장이 베일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통형 베일에 있어서 적용된 포장이 베일의 중심에 대하여 더 멀리 통과할수록, 포장이 베일을 미끄러져 나가는 경향이 더 커진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이한 직경의 베일을 사용하고, 조정하지 않는 경우, 대형 베일(즉, 큰 직경을 갖는 베일)은 소형 베일보다 더 높게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이한 록킹 위치를 구성하여 포장 아암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중심화된(수직 및 수평)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가이드(guide)가 섀시 위에 제공되어 아암이 동일한 경로를 따라 폐쇄되고, 예를 들면 더 무겁거나 과중량의 베일로 인하여 위치 밖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한 가지 정렬에서, 강화 굽은 관(reinforcing elbow piece)은 적재 아암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적재 아암을 갖는 본 발명의 기계는 포장기에 대하여 인-라인 및 오프셋 위치 둘다로부터 베일을 집어올릴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계는 트랙터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하여 인-라인 위치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이의 섀시 위에 장착된 휠(wheel)과 같은 휠을 가질 수 있다. 인-라인 위치에서 이용되는 경우, 예를 들면, 장착되는 경우, 이는 기계의 한 쪽 측면에 부착되는 포장을 위한 베일을 맞물릴 수 있고 이를 이후에 포장을 집어올릴 수 있는 기계의 중심을 향해 기계의 한 쪽 측면으로 가져올 수 있다. 이는, 기계가 후방 3점 연결부 위에 장착(트랙터와 인-라인으로)되는 경우와 같이, 트랙터의 후방에 존재하는 위치에서 이용되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선행 기술의 기계에서, 포장될 베일 내로 뒤집어서 이를 집어올리는 것이 필요했는 데, 그 이유는 기계 자체의 섀시 및 트랙터 둘 다가 전방 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 베일을 집어 올리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계는 트랙터에 대하여 오프셋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오프셋되는 방식으로 견인될 수 있다. 더욱이, 트레일러 또는 지지 스탠드와 해제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는 2개의 상이한 구성,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90°이격되는 구성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계는 포장을 위한 베일을 회전시키는 회전 축이 운행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포장을 위한 베일을 회전하는 롤러의 회전 축이 운행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이러한 배향은, 예를 들면, 기계가 예를 들면 전방 또는 후방 3점 연결부 상의 트랙터와 인라인으로 장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이러한 배향은 예를 들면, 기계가 오프셋 위치에서 견인되는 경우 트랙터에 대하여 오프셋 위치에서 장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계가 적재 아암을 포함하는 경우,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재 아암은 따라서 2개의 상이한 구성(configuration),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90°이격된 구성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계는 적재 아암의 중추적인 축이 운행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적재 아암의 중추적인 축이 운행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이러한 배향은, 예를 들면 기계가 예를 들면 전방 또는 후방 3점 연결부 상의 트랙터와 인라인으로 장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이러한 배향은, 예를 들면, 기계가 오프셋 위치에서 끌리는 경우 트랙터에 대하여 오프셋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재 아암의 충추적인 축이 운행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경우, 적재 아암은 운행 방향에서 외측 및 내측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후에 기계는 적재 아암이 베일의 상부로 통과하고 이의 전면에 위치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적재 아암이 이후에 이용되어, 예를 들면, 운행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지면을 따라 및 이후에 기계 상으로 베일을 이동시킴으로써 베일을 적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본원에 기재된 기계의 어떠한 구성에서 이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절단-및-시작 및 절단-및-유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overlaying wrap)을 적용하는 포장기를 위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 물품이 포장된 후에 포장 물질을 절단하고 유지하기 위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 포장 물질을 맞물리기 위해 개방하고 이를 절단하고 유지하기 위해 폐쇄하는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며, 여기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되는 경우, 이는 이의 폐쇄된 길이보다 더 큰 총계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본 발명의 특히 중요한 국면이다. 특히, 이는 전체적인 소형인 구조(compact structure)가 보유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향에서 장착된다. 이는, 기계의 주 섀시에 대하여 상방 및 하방 배향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길이가 소형이기 때문에, 이는 기계의 하부와 포장이 적용되는 최저 점 사이의 비교적 작은 간격이 존재하는 기계에서 이러한 배향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는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정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 단계, 예를 들면 적어도 2 단계을 가지면 폐쇄 위치에서의 소형화 및 개방 위치에서의 추가의 길이를 허용한다.
메카니즘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메카니즘을 이동시키는 이중 작용 정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카니즘을 개방시키고 이를 다시 폐쇄시키기 위해 전력이 인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어떠한 적합한 형상도 이용하여 장치를 개방하고 폐쇄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는 랙(rack) 및 피니언(pinion), 스프링 적재, 및 다른 이러한 기계적 정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이러한 메카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유압 실린더(hydraulic cylinder)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는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다단계 이중 작용 유압 실린더 정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다른 가능한 것보다 더 큰 길이로 개방하고 개방을 위해 전력이 제공되고 폐쇄를 위해 전력이 제공되는 이점을 갖는다.
절단 및 유지 장치는 함께 정렬되어 다단계 유압 실린더 정렬을 형성하여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2개의 단일 작용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단계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및 유지 장치는 함께 정렬되어 다단계 이중 작용 유압 실린더 정렬을 형성하여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2개의 이중 작용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및 유지 장치는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이중 작용 유압 실린더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당해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정렬부는 적어도 2개의 연장가능한 요소,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들 중 하나는 다른 것 위에서 운반된다. 이는 폐쇄 위치에서 소형 정렬 및 개방 위치에서 상당히 연장된 정렬을 허용하는 간단한 구성이다.
절단 및 유지 장치는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정렬부는 적어도 2개의 연장가능한 요소를 포함하여, 이중 하나는 다른 것 위에서 운반되며, 여기서 연장가능한 요소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정렬부는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정렬부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정렬부는 적어도 2개의 연장가능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이중 하나는 다른 것 위에서 운반되며, 여기서 이들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단순화된 정렬부가 존재하는 데, 여기서 절단 및 유지 장치는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정렬부를 포함하여, 여기서 정렬부는 적어도 2개의 연장가능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며, 이주 하나는 다른 것 위에서 이동되며, 여기서 이들은 분리되지만 유압적으로 상호연결되어 동시에 연장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정렬부는, 전력의 공통 공급원, 예를 들면, 이용될 공통적인 유압 라인을 허용한다. 이는 또한 대략 동일한 양에 의해 및 동시에 둘 다 연장되도록 보증하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에는 이의 개방 위치에서 메카니즘을 절단하고 유지하는 비틀림에 내성을 지니기 위한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anti-torsion mechanism)이 제공된다. 이러한 비틀림은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 대한 포장 물질의 인장력으로 인해 경험될 수 있다. 이는, 단일한 메카니즘에 의해 절단되고 유지되는 포장 물질의 다수의 웹(web)이 존재하는 경우에 특히 사실이다.
예를 들면,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은 이동가능한 튜브 및 이를 위한 비틀림 방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은 일련의 스플라인(spline)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틀림에 내성이 있는 방식으로 스플라인을 따라 진행되는 홈이 있는 롤러가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은 서로 미끄러질 수 있게 장착되어 직선 경로를 유지하도록 연장되는 다중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은 이의 외부에 스플라인되는 연장가능한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이러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거나 또는 둘 다이기 때문에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 밖으로 포장 물질의 어떠한 잔사도 제거하는 자체-세정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는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거나 이들 둘 다이기 때문에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 밖으로 포장 물질의 어떠한 잔사도 긁어낼 수 있는 스크레이퍼(scrap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는 작업자가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 포장 물질을 수동으로 위치시키고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을 수동으로 폐쇄시키도록 채택된 수동 폐쇄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당해 메카니즘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수동 해제 메카니즘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는 절단 및 유지 장치 근처에 제공되어 기계의 작동자가 이를 절단 및 유지 장치에서 포장 물질의 웹을 재위치시키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기계가 하나 이상의 포장 아암으로부터 포장 물질 외부로 작동되거나 포장 물질이 부서지는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이는 작동자가 포장 물질을 하나 이상의 포장 아암으로부터 절단 및 유지 장치 내로 재위치시킨 다음 이를 폐쇄시켜 다음 포장 사이클의 시작을 위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한다.
물질에서 깨끗한 절단 및 강한 유지를 수득하기 위하여, 포장 물질의 다수의 웹이 동일한 장치에 의해 절단되고 유지되는 경우에, 장치는 후퇴에 의해 폐쇄하고 후퇴시 포장 물질을 절단하고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기계의 주 섀시 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포장 공정 동안에 폐쇄 상태로 잔류한다. 이는 포장 사이클 또는 사이클들의 말기에 개방되어 필름을 모으고 유지시킨다. 이는 방금 포장된 베일에 부착되는 필름을 절단하며 이러한 베일은 따라서 포장기로부터 이후에 적하할 수 있다. 포장될 새로운 베일이 포장기 위로 적재되는 경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포장이 시작되고 필름을 충분한 포장이 존재하는 시기에 해제시켜서 포장 물질이 베일 위에 자체-고정된 후에 개방된다.
예를 들면, 가위형 개방 및 폐쇄 작용에서 필름을 모으기 위해 상부로 올리는 중추 아암(pivoting arm)을 이용하는 기존의 메카니즘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대안적 구성을 제공한다.
한 가지 간단한 정렬부에는 적어도 2개의 유압 실린더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서로에 대하여 역 정렬로 장착된다. 이는 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다른 것은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유압 실린더가 이의 나란한 정렬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들이 실질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일단 연장되면, 이들은 이들의 각각의 연장 스트로크(stroke)의 길이의 대략 2배로 연장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체 효과는, 2개의 실린더가 하나의 실린더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지만, 각각이 연장되는 경우 전체 연장된 길이는 연장되지 않은 실린더의 길이의 2배 이상 및 대략 3배까지 될 것이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계에 의해 적용되는 포장 물질을 절단 및 유지하기 위한 베일 포장기를 위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며, 여기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당해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예를 들면, 스크레이퍼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거나, 또는 이들 둘 다를 수행하여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거나 이들 둘 다를 수행함에 따라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 밖으로 조장 물질의 어떠한 잔사도 긁어내기 때문에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의 어떠한 잔사도 제거하기 위한 자체-세정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은,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기타의 경우에는 포장 물질로부터의 잔류 물질의 축적에 의해 고장이 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편리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메카니즘이 가열되는 경우, 포장 물질은 더 점성이 되고 절단 및 유지 장치 위에 잔사를 남기기가 더 쉬워진다. 이러한 물질의 축적은 결국 절단 및 유지 장치의 성능의 열화를 일으켜서 궁극적으로 장치를 파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에서 상호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projection) 또는 하나 이상의 함침부(recess)를 제공하여 절단 및 유지 장치에 부착될 수 있는 어떠한 조장 물질을 위한 자체-세정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절단 및 유지 장치의 부분은 윤곽이 있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스플라인화된 튜브일 수 있다. 스플라인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틀림 방지 정렬부의 부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계에 의해 적용되는 포장 물질을 절단 및 유지하기 위한 베일 포장기를 위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며, 여기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사이에 함침부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를 갖는 포장 물질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여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 대해 유지된 포장 물질이 함침부를 가로지르는 돌출부 및 스팬(span)에 인접하도록 한다.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포장 물질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더 적게 존재하여 절단 및 유지 장치에 잔류하는 포장 물질로부터의 잔사의 문제점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i) 포장 물질을 베일에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ii) 베일 지지 정렬부; 및
(iii)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당해 포장기는 연속적인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반복된 작업 사이클에서, 베일을 포장 물질로 공동적으로 회전식으로 포장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격되는 제1 포장 형상을 가지며, 포장 사이클의 시작시에 및 포장 사이클의 말기에 3개의 작동 아암이 서로에 함께 근접해저셔 각각의 아암으로부터의 각각의 포장 물질이 하나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 의해 절단되고 유지될 수 있는 경우에 제2 형상을 갖는다. 절단 및 유지 및 3개의 아암 정렬부는 본원에 기술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는 간단하지만 매우 효과적인 구성이다. 특히, 이러한 정렬은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섀시 및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적재 아암을 지니는 것들을 포함한다.
한 가지 간단한 정렬에서, 하나의 아암은 주요 아암 또는 마스터 아암(master arm)으로서 작용하고 다른 2개의 아암은 보조 또는 슬레이브 아암(slave arm)으로 작용한다. 제1 아암은 다른 2개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국면에서, 본 발명은
베일을 실질적으로 수평 축에 대하여 포장하고 회전시키기 위해 베일을 맞물리는 수단;
베일이 수평 축에 대하여 회전됨에 따라 포장 물질의 제1 단편을 베일에 공급하기 위한 주 회전 아암; 및
베일이 회전 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포장 물질의 제2 및 제3 단편을 공급하기 위한 2개의 보조 포장 아암을 포함하는, 포장 물질을 사용하여 물질의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베일-포장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보조 아암은 주 아암에 대하여 중추적으로 존재하며, 여기서 제1 보조 포장 아암 및 제2 보조 아암은, 모든 아암이 포장 위치와 포장의 절단 및 유지를 위한 연속적 베일의 포장 사이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위치와, 아암이 서로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로 위치하는 포장 위치 사이의 연속적인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연속 포장 사이클에서 이동가능하다. 주요 및 보조 아암 정렬은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보조 포장 아암 둘 다는 동일한 축 상에 중추적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상이한 축 상에 중추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보조 포장 아암 둘 다는 주요 아암의 동일한 측면 위에 중추적으로 장착될 수 있거나 주요 포장 아암의 반대편 측면 위에 중추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포장기는 각각의 보조 포장 아암을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포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질 것이며, 주요 포장 아암에 대하여 제1의 보조 포장 아암을 이동시키는 제1 작동기 및 제1의 보조 포장 아암에 대하여 제2의 보조 포장 아암을 이동시키는 제2 작동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서로에 대하여 중추적인 2개의 링크 아암을 포함하는 연결 메카니즘은 두 개의 보조 아암이 주요 포장 아암에 근접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겹쳐지는 메카니즘의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포장이 완료되는 경우 모든 포장 아암으로부터 필름 단편을 절단하고 유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포장의 회전 방향에서 주요 아암은 보조 아암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암들이 포장 사이클에서의 절단 및 유지 단계를 위해 함께 모아지는 것이 용이하게 만든다.
이러한 베일 포장기에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고정된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향에서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베일에 적용되는 포장 물질의 (수준) 하부에 있는 경우의 위치에서 장착된다. 이는,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 경로에서 안전하게 빠져나오며 베일에 적용되는 포장 물질을 방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본원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는 개방 위치에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의 비틀림을 견디는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이 제공된다.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베일에 적용되는 포장 물질 하부에 있는 위치에서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i) 모든 3개의 포장 아암으로부터 포장 물질을 잡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포장 물질 맞물림 단계;
(ii) 포장 물질을 절단하고 유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방으로 후퇴시켜서 포장된 베일을 방출시키고 다음 포장 사이클을 위해 물질을 유지시키는 절단 및 유지 단계; 및
(iii) 포장 물질이 자체 위에 충분히 포장되어 베일 위에 자체를 유지시키는 포장 시작 단계를 갖는 작동 사이클을 갖는다.
상방으로 연장되는 정도는 포장 물질의 전체 너비가 장치에 의해 포획되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히 크다. 더욱이, 이는 베일의 포장 경로 밖으로 후퇴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일 포장기는 베일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인 포장이 적용되어 포장이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중첩 포장에서 전체 베일에 적용되고 기계가 베일의 회전 및 포장 아암 운동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상대적으로 조정하는 자동화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기계가 1개, 2개 또는 모두 3개의 포장 아암이 포장 물질을 적용하고 있는 지에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질의 연속적인 단편들 사이에 베일의 노출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자동 조절이 각각의 포장이 베일의 전체 둘레에 대하여 최종 포장을 중첩시키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절 없이, 연속적인 포장은 베일의 전체 둘레에 대하여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자동화된 제어부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도 이용될 수 있다.
포장 아암은 공통의 슬레우 환(slew ring)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3개의 정렬에서, 모든 아암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i) 포장 물질을 베일에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ii) 베일 지지 정렬부; 및
(ii) 지면에서 베일을 들어올리기 위한 베일 기중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베일 기중 메카니즘은 기중 가지(lifting tine)가 베일 하부에 맞물리거나 베일 내에 맞물리도록 배열되고 상방으로 경사져서 베일을 충분히 기중하여 적재 아암 위의 롤러가 베일 하부에 맞물리도록 하는 적재 아암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중 가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은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직사각형 베일을 위해 적합하다. 다수의 통이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기중하기 위해 베일 내로 천공하여 베일 하부에 맞물리도록 채택할 수 있다. 베일 기중 메카니즘은 본원에 기술된 어떠한 형태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롤러는 구동 롤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이의 포장 동안에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베일 회전 메카니즘의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의 정렬은 본원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롤러는 상기한 유형의 적재 아암 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계는 직사각형 베일을 집어올리도록 채택되는 쌍 롤러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추가의 안정성을 위하여, 기계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지면-맞물림 지지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면 맞물림 지지체는 베일의 중량의 일부를 취해서 기계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는다. 지면 맞물림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면 맞물림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지지체, 예를 들면, 높이 조정가능한 지지체 및/또는 스위블 휠(swivel wheel), 예를 드면, 족키 휠(jockey wheel)일 수 있다.
직사각형 베일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정렬에서, 이렇게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포장기 및 특히 적재 아암에는 이의 포장을 위해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채택되고 쌍 롤러에 대하여 장착된 무한 벨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 부분으로 제공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한다: 베일 지지 정렬부를 갖는 섀시 및 상부에 지지된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을 갖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제2의 지면 맞물림 부분; 여기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2-부분 구성은 본원에 기술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계가 상호교환가능하게 하는 매우 간단한 정렬이다. 예를 들면, 제2 부분은 제거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기계가 전방 또는 후방의 3점 연결부 또는 전방 또는 후방 적재기와 같은, 트랙터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은 장착 배열부가 트랙터 상의 3점 연결부에 부착하기에 또한 적합한 장착 배열에 의해 제2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는, 기계를 트랙터의 3점 연결부에 부착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동일한 핏팅(fitting)이 제2 부분에 이를 부착시키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적합하게는, 베일 포장기는 2개의 상이한 형상,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90° 이격되는 형상으로 배향되는 경우 작동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부분은 동일한 제2 부분, 또는 2개의 상이한 배향의 2개의 상이한 제2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지면 맞물림 부분은, 예를 들면 돌리(dolly) 또는 트레일러 형태의 하나 이상의 휠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하게는, 이에는 (탈착가능한) 연결봉(drawbar)이 제공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면 맞물림 부분은 하나 이상의 캐스터 휠(caster wheel)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렬에서, 이는 기계 하부에 인-라인 또는 오프셋 위치로 견인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면 맞물림 부분은 하나 이상의 레그(leg)와 함께 스탠드를 형성할 수 있다. 임의로, 이러한 배열 및/또는 어떠한 레그도 탈착할 수 있거나 집어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주 개념은 부품들의 키트(kit)를 제공하여 트랙터(예를 들면, 3점 연결부) 위에 직접 장착되도록 채택되는 포장 베일에 적합한 기계가 견인된 기계 및 바람직하게는 오프셋 견인된 기계 내로 (용이하게) 전환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계는 장착된 위치 및 견인된 위치 둘 다에서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계는, 적재 아암이 운행 방향으로 측면에 대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배향 또는 적재 아암이 운행 방향의 전면에 대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배향으로 작동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는 다음과 같은 3개의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베일 지지 정렬부 및 상부에 지지된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을 갖는 섀시를 갖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제2의 지면 맞물림 부분(여기서, 제1 부분은 (해제가능하게) 제2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및 연결봉인 제3 부분. 이러한 구성은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제2 부분, (지면 맞물림 부분) 및 제3 부분(연결봉)는 각각 제1 부분, 예를 들면, 이의 섀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지면 맞물림 부분 및 제3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지만 대신에 섀시에 각각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지면 맞물림 부분은 부착가능할 수 있어서 섀시의 하부면에 연장되도록 할 수 있고/있거나 연결봉은 끄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한 가지 간단한 정렬에서, 연결봉은 섀시의 수직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될 수 있는 수직 부분은 포장 아암을 지지하는 (타워 또는 기둥의) 수직 부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봉은 트랙터에 대한 기계의 상대적인 오프셋을 허용하는 조정가능한 연결봉이다. 연결봉은 오프셋 메카니즘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유압 램(hydraulic arm)과 같은 오프셋에 영향을 미치는 작동기를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형상에서, 베일 포장기는 2개의 부분을 갖는다: 베일 지지 정렬부 및 상부에 지지된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을 갖는 섀시를 갖는 제1 부분 및 당해 제1 부분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제2의 지면 맞물림 부분(여기서, 제2 부분은 한 쌍의 휠을 포함하고 휠들 사이의 거리(예를 들면, 하나의 휠의 외부면으로부터 운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다른 것의 외부면까지의 거리로서 측정됨)는 휠이 더 멀어지는 (포장을 위한) 작업 형상과 휠이 함께 더 근접해지는 소형 형상 사이로 조정가능하다)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렬은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와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부분은 서로에 대하여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지면 맞물림 부분은 2개 이상의 별도의 부분으로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각각의 부분 위의 휠과 같은 지면 맞물림 지지체와 함께, 2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휠을 갖는 하나의 부분은 고정될 수 있지만, 다른 부분은 (너비) 조정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일 지지 정렬부 및 상부에 지지된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을 갖는 섀시 및 기계가 소형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휠을 갖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소형 형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휠은, 예를 들면 베일 지지 정렬부 상에 위치하는 베일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에서 베일의 포장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베일 지지 메카니즘은 한 쌍의 롤러일 수 있으며 휠은 롤러에 위치하는 베일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에서 롤러 쌍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종방향 축은 운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되며 휠이 회전하는 축(예를 들면, 액슬의 축)은 또한 운행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계는 휠이 추가로 이격 되는 작동 형상(포장용)와 휠이 더 급접해지는 소형 형상 사이에 조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소형 형상에서, 하나의 휠은 베일의 포장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작동 형상에서 이는 베일의 포장을 방해하지 않을 위치로 이동(예들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휠들 사이의 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된다.
한 가지 가능한 배열에서, 휠의 상부는 베일 지지 정렬을 형성하는 롤러의 상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계는 장착된 기계로부터 견인된 기계로, 부분들의 키트를 이용하여, 상호교환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섀시는
포장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
베일 지지 정렬부의 적어도 일부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부터 하부 부분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을 갖는 주 섀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렬에서, 지면 맞물림 부분(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휠을 포함함)은 바람직하게는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에 장착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는 기계의 (너비) 조절을 위해 상부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된다.
섀시가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을 형성하는 단일 부재인 주 섀시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지면 맞물림 부재는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과 접촉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주 섀시 부재가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의 반대편 측면으로부터 진행하여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 및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을 형성하는 단일 부재(unitary member)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지면 맞물림 부분은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과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지면 맞물림 부분 및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은, 예를 들면,(너비) 조정하도록, 망원경 운동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제1 부분은
(i) 포장 아암을 장착하기 위한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
(ii) 베일 지지 정렬부의 적어도 일부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 및
(iii) 상부 부분으로부터 하부 부분으로 진행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을 갖는 주 섀시를 포함하는, 포장기용 섀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일에 포장 물질을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베일 지지 정렬부; 이의 포장을 위한 베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아암; 및 베일에 대한 적재 아암의 압력이 소정의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압력을 자동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한 제어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포장 물질의 연속적이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2개의 결과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적재 아암이 어떠한 실질적인 정도로 베일을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고/하거나 적재 아암에서의 초과의 압력을 방지하여 적재 아암 및/또는 이를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 메카니즘은 안전 밸브, 예를 들면, 유압 안전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일 적재 아암은 개방 위치로부터 이동가능하며, 여기서 이는 기계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고 기계에 대한 오프셋 위치인 베일의 상부 위로 통과하고 베일을 이의 먼 측면으로부터 맞물린 다음 포장될 수 있는 기계 위의 위치로 베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폐쇄 위치로 후퇴시킨다.
예를 들면, 소정의 수준은, 적재 아암이 지면에 대하여 베일을 트랩핑(trapping)하는 베일에 대한 위치로 작동되는 경우 초과될 수 있다. 이는, 아암이 베일 상부의 적재 위치로 개방되어 나오고 이것이 베일의 상부에서 맞물리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합하게는 적재 아암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운반하고 롤러는 제어 메카니즘이 작동되는 동안 회전한다. 예를 들면, 아암이 베일의 상부에 하방으로 밀어지는 경우, 제어 메카니즘은 아암이 베일 상의 예정된 압력 보다 더 많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동시에 롤러는 회전하도록 작동되어서 베일이 아암 하부로부터 빠져나오도록할 수 있다. 이는 아암에 의해 작용된 압력을 감소시킬 것이며 제어 메카니즘은 전형적으로 이후에, 압력이 소정 소준으로 또는 당해 수준 이하로 복귀되는 경우 다시 탈활성화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메카니즘은 베일을 적재 위치를 향해 이동하기에 충분한 적재 아암에서 압력을 유지하며, 임의로 베일이 움직이도록 하는 롤러의 회전은 전형적으로 동시에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포장기용 섀시를 제공하며, 당해 섀시는 전달 기어(transmitting gear)를 통해 구동되는 포장 아암을 장착시키기 위한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을 갖는 주 새시 부재를 포함하여, 여기서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에는 전달 기어를 사용하여 메쉬(meshing)함으로써 포장 아암의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돈된 기어를 위한 적어도 2개의 분명한 장착 위치가 제공되고; 하나의 분명한 장착 위치는 전달 기어의 장착부로부터 이격되어 제1 기어 장치 비(first gearing ratio)를 허용하며 다른 분명한 장착 위치는 전달 기어의 장착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 기어 장치 비를 허용한다. 이러한 2개의 분명한 장착 위치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모터를 이용하여 상이한 회전 포장 속도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는 전달 기어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달 기어는 하나 이상의 포장 아암을 위한 장착부의 일부이며 이는 전달 기어를 변화시킬 필요없이 상이한 기어 장치를 허용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장착 위치는 각각 장착되는 대형 및 소형의 구동 기어를 위한 전달 기어에 대하여 배열될 수 있다. 특히, 구동된 기어의 회전 축과 전달 기어의 회전 축 사이의 직선 거리는 2개의 분명한 장착 위치들 사에서와 같이 상이하다.
전달 기어는 슬루 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개, 2개 또는 3개의 포장 아암은 슬루 환과 연결되며 슬루 환은 또한 포장 아암에서와 같이 회전을 위해 구동된다.
본 발명은 또한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하는 데, 당해 포장기는 베일에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베일 지지 정렬부; 및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분을 형성하고 포장 동안에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베일이 이의 포장 동안에 롤러의 말단에서 벗어나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확대된 헤드를 갖는 말단을 갖는다. 확대된 헤드를 갖는 롤러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는 특정한 형상이어야 하는 베일이 종종 잘못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중용한 국면이다. 예를 들면, 이들은 편평할 수 있으며, 잘못성형된 기타 경우의 이의 길이를 따라 직경이 불일치할 수 있다. 잘못 성형된 베일은 특히 이것이 회전됨에 따라 움직이도록 경사지는 데, 그 이유는 베일에 부여된 회전력이 베일에 병진 운동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베일은 하나 이상의 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데, 이는 포장 동안에 회전을 위해 위치한다.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에서, 베일은 포장 동안에 낙하되지만, 낙하되지 않는 경우에도 이는 중앙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운동하고, 이에 따라 포장 물질의 과도한 신장 또는 파괴를 유발할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이를 포장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확대된 헤드를 갖는 롤러는 구동 롤러일 수 있다. 실제로, 확대된 헤드를 갖는 한 쌍의 구동 롤러는 베일 지지 메카니즘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롤러 중의 하나는 기중 아암 위에 존재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에서, 확대된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롤러의 부분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확대된 헤드는 롤러의 나팔 모양의 말단 또는 롤러의 단계형 말단에 의해 형성되는 데, 예를 들면, 확대된 헤드는 롤러의 실질적으로 원추형 말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일 포장기에는 이의 포장 동안에 베일을 회전시키고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롤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2개의 롤러는 각각 확대된 헤드를 갖는 말단을 지녀서 베일이 포장 동안에 롤러의 말단을 벗어나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트랙터의 3점 연결부를 위한 장착부;
베일에 포장 물질을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베일 지지 배열부; 및
하나 이상의 지면 맞물림 부재,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롤러 또는 휠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로서, 이는 기계의 중량 및 이것 위의 어떠한 베일이 트랙터의 3점 연결부 위에 장착되는 경우 및 기계의 작동적 운행 동안에 지면 맞물림 부재를 통해 지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지면 맞물림 부재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국면이다. 이의 포장을 위해 상부에 장착되는 베일과 함께 포장기는 어떠한 트랙터가 (이의 3점 연결부에서) 지니는 상당한 중량일 수 있다. 기계의 포장 작업 동안에 및 포장 동안에 이동됨에 따라 기계를 지지할 수 있는 지면 맞물림 부재를 제공하면 트랙터의 3점 연결부에 기타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중량의 양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기계는, 더 무거운 중량을 기중하기 위해 더 적은 용량을 갖는 트랙터가 포장 동안에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유지시키기 위한 3점 연결부를 필요로 하는 기계와 비교하여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원에 기재된 베일 지지 정렬은 본원에 기재된 모든 포장기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베일에 포장 물질을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베일 지지 정렬부; 및
베일 지지 정렬부 하부에 위치하고 베일 지지 정렬부 및 지면 상의 포장 위치의 중간에 있는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베일을 상승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계단 승강 부재(step up member)를 포함하는,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한다. 계단 승강 부재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도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중 아암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지면의 베일을 기중하는 데 필요한 힘이 매우 상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계단 승강 부재가 필요한 힘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데, 그 이유는 계단 승강 부재 상으로 베일을 진행시키는 데 더 적은 노력이 필요하고 일단 계단 승강 부재 상에 있으면, 계단 승강 부재는 기계의 베일 지지 부재를 향해 베일을 더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노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원통형 베일의 경우에, 계단 승강 부재는, 베일이 예를 들면 적재 아암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이동될 수 있는, 예를 들면 밀어질 수 있는 상승된 지지체를 제공할 것이다.
하나의 간단한 정렬에서, 계단 승강 부재는, 베일이 범퍼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베일을 상승시키기 위해 베일이 인접하는 고정된 범퍼이다.
필요한 경우, 2개의 계단 승강 부재가 제공되는 데, 각각은 적재 동안에 베일 지지 정렬부 및 지면 상의 포장 위치의 중간에 있는 각각의 단계 각각에서, 베일을 각각의 이격된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계단 승강 부재는 함께 존재할 수 있지만, 이의 적재 동안에 베일을 상승시키는 데 있어서 상이한 단계로서 작용한다.
계단 승강 부재는 포장 위치에 대하여 베일을 상승되도록 하기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도 존재할 것이다. 예를 들면, 계단 승강 부재는 램프 표면(ramp surface)과 같은 경사진 표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한 가지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계단 승강 부재는 또한 베일을 적하 동안에 베일 지지 정렬부 및 지면 상의 포장 위치의 중간에 있는 단계에서 부분적으로 강하된 위치로 베일을 강하시키기 위한 계단 승강 부재로서 작용한다. 다시, 이는 적재 아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계단 승강 부재는 또한 이의 적하 동안에 이의 말단 위로 포장된 베일을 기울이는 데 도움을 주는 말단 팁 부재(end tip member)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계단 승강 부재는 상승된 위치에서 베일의 한쪽 말단을 유지하면서 베일의 나머지는 지면을 향해 강하시켜서 베일이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포장기는 (예를 들면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베일을 경사진 위치로부터 이의 말단 위로 밀어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일은 90°로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 베일의 경우에, 베일은 이의 편평한 말단 위에 경사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베일이 경사진 표면에서 적하되는 경우 베일이 굴러가는 것을 멈추도록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계단 승강 부재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와도 연결해서 이용될 수 있다.
부분들의 키트가 제공되어 트랙터(예를 들면, 3점 연결부) 상에 직접 장착되도록 채택되는 베일을 포장하기에 적합한 기계가 견인된 기계 및 바람직하게는 오프셋 견인된 기계 내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계단 승강 부재는 지면 맞물림 부분,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휠을 갖는 부분 위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후에 어떠한 계단 승강 부재는 정렬부에서 휠과 함께 이동하는 데, 여기에는 (너비) 조정가능한 휠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를 제공하며, 당해 포장기는 포장 물질을 베일에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베일 지지 정렬부; 및 이의 포장 동안에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및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분을 형성하는 전방 말단 및 후방 말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기계 위에 장착되어 기계의 수평한 평면에 대하여 약 3도 내지 약 10도, 예를 들면, 약 3도 내지 약 6도, 예를 들면, 약 4도 내지 약 6도, 예를 들면 약 5도의 각도에서 후방 말단을 향해 전방 말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각이 지도록 한다. 이는 롤러의 말단 밖으로 베일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또한 베일 상의 필름의 분배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면, 베일의 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장 물질, 예를 들면 필름을 베일이 회전하는 증가된 속도로 인하여 후면에서 베일의 중심을 가로질러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더 힘들다. 각이진 롤러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포장 아암의 회전 축은 유사한 각에 의한 포장 동안에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의 수평한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도록 경사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둘 다를 수행하여 유사한 상대적인 각을 성취할 수 있다. 각이 진 회전 축 및/또는 롤러는 본원에 기재된 어떠한 형상의 기계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국면을 포함하는 본원의 구현예의 상기한 모두 및 모든 특징은 어떠한 바람직한 방식으로도 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단지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주 섀시 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섀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분을 형성하는 부착된 롤러를 갖는 도 1의 섀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후면에 장착된 앞선 도면에 나타낸 섀시를 갖는 유형의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간략화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유형의 기계의 형상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적재 아암의 작동을 통한 기계 부분 경로의 형상의 간략화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베일이 기계 위에 적재되는 적재 공정에서의 단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포장 형상에서의 기계의 상부 평면,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적하 형상에서의 기계의 상부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개방(연장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절단 및 유지 장치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9에 상응하는 절단 및 유지 장치의 폐쇄 위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0에 상응하는 절단 및 유지 장치의 폐쇄된 위치를 나타낸다.
도 13은 폐쇄된 위치에서의 절단 및 유지 장치의 대안적 구성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개방된 위치에서의 도 13의 절단 및 유지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앞선 도면에서 나타낸 섀시를 갖고 직사각형 베일을 적재하고 포장하도록 채택된 유형의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간략화된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대안적 적재 아암을 갖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간략화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곡선형 말단 팁 배리어(barrier) 또는 버퍼(buffer)를 갖는 본 발명의 기계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2개의 부분으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제2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함께 짝을 이룬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제1 및 제2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대안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간략화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의 기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대안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간략화된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의 부분의 하부로부터의 간략화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4는 (오프셋) 견인 기계 내로 트랙터(예를 들면, 3점 연결부) 상에 직접 장착되도록 채택되는 베일을 포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를 전환시키기 위한 부분들의 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견인된 기계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계에 장착된 도 24의 부분들의 키트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6은 소형 형상에서 도 24의 기계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연장된 (작업) 형상에서 도 24의 기계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사용시 도 24의 기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포장된 베일을 적하하기 위한 사용시 도 24의 기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4에 나타낸 유형의 부품들의 키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지면 맞물림 정렬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 및 2와 관련하여, 포장기(101)(완전한 포장기는 이후의 도면에서 가장 잘 보인다)를 위한 섀시(102)가 예증되어 있으며, 당해 섀시는 포장 아암(105)(이후의 도면에서 나타냄)을 장착하기 위한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104)을 갖는 주 섀시 부재(103)를 포함한다. 섀시(102)는 베일 지지 정렬부(107)의 적어도 일부를 장착하기 위한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106)을 갖는다. 상부 부분(104)은 하부 부분(106)을 실질적으로 오버라이(overlie)한다. 배향에서 후방 방향의 면 둘 다는 도 1 및 2에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108)은 상부 부분(104)을 하부 부분(106)과 연결시킨다.
주 섀시 부재(103)는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104),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106)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108)을 형성하는 단일 부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단일"은, 주 섀시 부재(103)가 단일의 단편으로서 구성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계의 하부 부분으로부터 상부 부분으로의 구조적 통합성(전체 경로)가 존재한다.
주 섀시 부재(103)는, 물질의 단일의 길이를 취하고 이를 작동시키고, 예를 들면 이를 목적하는 형상으로 굽혀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목적하는 형상으로 주조(casting)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덜 바람직하게는, 주 섀시 부재는 용접과 같은 서로에게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단편들로 제조될 수 있다. 구성의 간략성을 목적으로, 용접은 단일 섀시 부재를 형성시키기 위해 이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에 의한 것과 같은, 함께 유지되는 별도의 부분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단일의 주 섀시 부재 섀시를 형성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108) 및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104)은 함께 종종 "타워" 및 "마스트" 정렬부로서 언급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새시 부재(103)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경로를 따르는 2개의 이격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섀시 부재(103)는 중간 라인(median line)(A)를 통해 진행되는 수직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비대칭이다.
상부의 섀시 부분(104)에서, 섀시 부재(103)는 벤드(110)를 형성하는 자체를 따라 후방으로 회전한 다음 2개의 실질적으로 직선인 아암(111)을 형성한다.(굽힘부(110) 및 아암(111)은 함께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104)을 형성한다,) 이들 아암(111)은 상부 부분(104)에서 다소 발산한다. 이후에, 이는 (각각의) 굽힘부(112)를 통해 하방으로 회전하고 2개의 이격되지만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직부(113)를 형성한다. (수직부(113)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분(108)을 형성한다.) 수직부(113)의 하부 부분 각각에서, 주 섀시 부재(103)는 이후에 (각각의) 벤드(114)를 통해 상부 부분(104) 하부의 위치로 다시 굽혀져서 하부의 수평한 아암(115a) 및 (115b)를 형성한다. (아암(115a) 및 (115b)는 함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부분(106)을 형성한다.) 아암(115a)은, 당해 아암(115a)이 롤러(120)에 대한 액슬(116)을 형성하기 때문에 아암(115b)보다 더 긴 반면, 제2 롤러(121)는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바와 같이 적재 아암(201)에 의해 운반된다.
과거에는, 토대 또는 하부 섀시 부분을 형성하는 포장기의 하부 부분은 타워 프레임 부분에 별도로 볼트로 연결시켰다. 타워와 하부 새시 프레임 둘 다를 주 섀시 부재(103)의 형태로 하나의 신규한 통합 부분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중량 및 성분 부품은 유의적으로 감소된다. 동시에, 기계의 (섀시)의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은 증가한다.
추가의 구조적 통합성에 있어서 및/또는 장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섀시(102)의 반대편을 연결하는 일부 교차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교차 부재는 위치 내로 바람직하게 용접되지만 적소에서 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장착 판(130)은 상부 부분(104)에 제공되고 굽힘부(110) 및 아암(111)의 부분에 연결되어 상부 부분(104) 내의 중앙 장착부를 제공한다. 판(130) 내의 구멍(131)은, 예를 들면 슬루 환 장착부(128), 하나 이상의 포장 아암(402)(이후의 도면 참조)의 회전 지지체를 위한 장착부를 형성한다(도 3 참조). 제2 구멍(132)은 포장 아암의 회전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430)(이후의 도면을 다시 참조)를 위한 장착부를 형성한다.
장착부로서 이용될 수도 있는 구멍(134)을 갖는 추가의 보강 교차 부재(133)가 또한 제공된다.
수직부(113)들 사이에 교차 부재(135)가 제공된다. 이러한 교차 부재(133) 위에는 내부에 한정된 구멍(137)을 갖는 브래킷(bracket; 136)의 쌍이 존재한다. 브래킷(136)은 3점 연결 정렬부의 부분을 형성하며, 예를 들면, 핀이 구멍(137)을 통해 삽입되어 트랙터로부터 기계로의 상부 링크를 맞물린다.
굽힘부(114) 부근의 지점에 있는 수직부(113) 사이에 교자 부재(138)가 제공된다. 이러한 교차 부재(138)의 각각의 말단에는 내부에 한정된 구멍(1140)을 갖는 브래킷(139)의 각각의 쌍이 존재한다. 브래킷(136)은 3점 연결 정렬부의 부분을 형성하고, 예를 들면, 핀은 구멍(140)을 통해 삽입되어 각각의 기중 아암을 트랙터로부터 기계로 맞물린다.
본 발명의 섀시는 따라서 트랙터의 3점 연결부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특히, 3점 연결부를 위한 장착 점들 중의 적어도 2개는 주 섀시 부재(103) 위에 직접 제공된다.
2개의 추가의 교차 부재(141) 및 (142)는 하부 아암(115a) 및 (115b)를 연결한다. 각각은 내부에 형성된 굽힘부(145)를 가져서 각각의 교차 부재는 아암(115a) 및 (115b) 사이에 강화 굽은 관을 형성한다. 이는 하부 부분(106)을 강화하고 이는 베일 지지체 및 결합된 메카니즘을 운반하기에 충분한 강도로 존재한다. 추가의 강화 판(143)은 교차 단편(141, 142) 사이로 연장된다.
추가의 구조적 통합성을 위하여, 강화 굽은 관(144)은 수직부(113)와 하부 아암(115a) 사이로 연장된다. 제2 강화 굽은 관(146)은 섀시(102)의 반대편 측면에 제공된다. 이 경우, 그러나, 이는 수직부(113) 및 하부 아암(115b)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대신에, 적재 아암을 위한 공간을 허용하기 위하여, 이는 교차 부재(138)와 교차 부재(142) 사이로 연장된다. 이는 주 섀시 부재(103)에 너무 근접하지 않아서 이를 위한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한다.
구멍(147)이 전선/도관 등과 같은 선들을 수용하기 위해 주 섀시 부재내에 제공될 수 있다.
구멍(149)을 갖는 이격된 브래킷(148)의 쌍은 유압 램(150)을 위한 장착부를 형성한다(도 2 참조).
액슬(116)을 형성하는 아암(115a)의 부분에는, 롤러(120)가 장착될 수 있는 원형 베어링 판(151)이 제공된다. 베어링 판(151)은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장착됨을 주목할 것이다. 이는 구동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롤러(120)를 위한 구동 모터는 베어링 판(151) 내의 구멍(152)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추가의 베어링 지지체 장착부(153)는 액슬(116)의 말단에 제공될 수 있다.
액슬(116)이 아암(115a)의 부분이기 때문에, 액슬(116)은 섀시(10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는, 롤러(120)가 고정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것이 회전할 수 있고 회전을 위해 구동될 수 있지만, 이는 섀시(102)에 대하여 이동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섀시(102), 특히 주 섀시 부재(103) 및 보다 특히 이의 수직부(113)는 또한 (하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재 아암(201)을 위한 적합한 구조적 지지체를 제공한다. 예증의 목적으로, 적재 아암(201)의 절두된 예시가 포함된다. 그러나, 도 1 및 2는 수직부(113)에 직접 장착되는 하부 지지 브래킷(202)의 쌍을 나타낸다. 이러한 브래킷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적재 아암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101)의 한쪽 측면에 부착되는 적재 아암(201)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기계에 반대편 측면 위의 적재 아암 또는 실제로 이중 적재 아암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아암(115a) 위에 장착되는 롤러(120) 대신에, 아암(115a)은 아암(115b)과 유사한 방식으로 더 단축되거나 절두될 수 있다. 적재 아암은 이후에 롤러(120)를 위한 액슬을 운반할 수 있으며, 롤러(120)는 섀시(120)에 대하여 더 이상 고정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기계는 베일이 기계(101)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집어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2개의 적재 아암이 제공되는 경우, 베일은 기계(101)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적재될 수 있다.
주 섀시 부재(103)는 어떠한 적합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는 중공 단면 물질(hollow section material)로 형성된다. 이는 주 섀시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는 박스 단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증된 바와 같이, 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공) 관형 부재로 형성된다.
예증된 바와 같이, 주 섀시 부재는 성형된 물질의 단일 단편으로 형성되어 주 섀시 부재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이는 형상으로 굽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물질의 단일 단편은 관형이다.
이는 포장기를 위한 섀시의 매우 간단하지만 매우 효율적인 구성 방법 및 따라서 포장기 자체를 생성한다. 더욱이, 이러한 기계는 매우 강한 구조적 특성을 가질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섀시는 매우 다목적이다. 이는 분리형 또는 정지형 기계 및/또는 견인 기계로서 이용된, 전방 또는 후방 3점 연결부, 전방 또는 후방 적재기 상에 장착될 수 있는 기계에서 이용될 수 있다.
2개의 하부 아암(115a) 및 (115b)은 각각 액슬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에서, 이들 축 상의 롤러는 적소에 고정될 것이다.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안적인 구성에서, 하나의 롤러는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덕분에 적소에 고정된다. 제2 롤러는 하기 기술될 바와 같이 임의로 본 발명의 적재 아암 상에 장착되는 덕분에,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내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가 이동가능하지만, 각각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마주하고 있는 롤러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렬에서, 마주하고 있는 롤러는 베일에 대해 픽업 메카니즘(pick-up mechanism)으로서 작용하도록 작동가능한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과 떨어져서 움직여서 기계가 포장용 베일을 집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선형(수평) 방식으로 떨어져서 움직이는 롤러를 가짐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에서, 유압 펌프(150)를 이용하여 롤러(121)를 다른 롤러(120)로부터 떨어져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재 아암(201)은 하나의 롤러를 다른 것으로부터 떨어져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대안적인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유압 펌프(150)는 적재 아암(201)과 함께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후에, 반대쪽 롤러(120), (121)은 베일 지지 정렬부(107)를 형성한다. 기계에 적재된 베일은 베일을 위한 크래들형 정렬부(cradle type arrangement)를 형성하는 롤러(120), (121)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롤러(121)는 구동 모터(235)에 의해 구동된다. 일련의 선택적인 리브(optional rib)(125)는 롤러(121)에 제공되어 포장된 베일에 대해 보다 우수한 그립(grip)을 제공한다. 롤러(120)는 또한 구동된다. 리브는 경우에 따라 또한 롤러(120)에 제공될 수 있다. 모터(236)도 이렇게 하도록 제공된다(참고: 도 4).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배향으로 섀시(102)에 장착된 것은 절단 및 유지 장치(301)이다. 절단 및 유지 장치(301)의 작동은 본원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당해 구현예에서, 절단 및 유지 장치(301)는 교차 부재(141)과 (142)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레이트(143)에 장착된다.
도 3은 트랙터 (160)의 후방에 장착된, 및 특히 이의 (후방) 3점 연결부에 장착된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101)의 간략된 후방 정면도를 나타낸다. 기계 (101)은 도 1 및 2에 예증된 것과 동일한 섀시(102)를 갖는다. 도 3은 일부 추가의 세부사항, 특히 적재 아암(201)의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베일 (240)에 포장을 적용하기 위한 포장기(401)가 또한 나타나 있다. 이는 섀시(102)의 상부 수평 부위(104)에 제공된 슬루 환(128)에 장착되어 있다. 이의 포장 동안 베일(24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메카니즘은 롤러(120), (121)의 형태를 취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의 포장 동안 구동되어 베일을 회전시킨다.
원뿔형 롤러(155)는 섀시(102)의 하방 부위(106)에 제공된다. 원뿔형 롤러는 베일의 포장을 방해하지 않지만 또한 베일이 기계에서 전방으로 너무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가능한 스톱(rotatable stop)을 제공한다. 이는 이의 포장을 위해 베일(240)을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돕는다.
도 3은 수직부(upright)(113)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매우 단순한 부착 정렬이며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구조의 단순성을 다시 허용한다. 도 3은 아암 (201)의 개방 위치를 나타낸다. 당해 위치에서, 아암 (201)은 (기계 (101)의 한쪽 측면에 대해) 측면으로 및 특히 섀시 (102)과 떨어져서 연장한다. 이러한 개방 위치에서, 및 예증된 바와 같이, 이는 베일(240) 위로 통과할 수 있다. 이후에, 적재 아암(201)은 움추려서 베일(240)을 기계(101)에서 포장 위치내로 가져올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서, 아암(201)은 기계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프셋 위치인 베일 (240)의 상부 위로 이동하여 이의 먼 측면(섀시/기계로부터 최대로 먼 측면)으로부터 베일(240)을 맞물리게 한 후 근접한 위치로 움추려서 베일을 이것이 포장될 수 있는 섀시/기계 상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기계의 포장 메카니즘(401)이 트랙터(160)와 함께 및 따라서 이의 후방으로 단지 하나의 위치로 작동가능기 때문에, 작동자가 기계(101) 위치에 대해 전방으로 구동하여 베일을 픽업할 수 있도록 하므로 특히 유리하다. 선행 기술의 기계에서 작동자는 트랙터(160)를 베일로 역전시켜 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예증으로부터 적재 아암(201)은 바깥으로 및 위로 흔들어서 갈매기형 날개 아암(gull-wing arm)의 방식으로 개방함이 명백하다. 또한, 아암 (201)은 아래로 및 안쪽으로 흔들어서 갈매기형 날개 아암의 방식으로 폐쇄된다.
아암(201)은 실질적으로 벤트 L-형인 제1 부위를 가지며 여기서 L-형의 상부 립(limb)은 구부려져서 (섀시 (102)에 대해) 바깥으로 및 아래로 굽는다. L-형의 하부 림은 롤러(121)에 대한 축을 형성한다.(하기 기술된 후자의 구현예에서, L-형의 상부 립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아암(201)의 개방 위치에서, L-형 부위는 기계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및 멀리 작동하는 제1 부위를 가지며 제1 부위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및 기계의 수직 종 방향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작동하는 경로를 따르는 제2 부위를 갖는다.
로드를 펼치기 위해, 아암 (201)은 각각의 핀(204), (205)에 의해 상부(203) 및 하부 브래킷(bracket)(202)에 장착된다. 특히, 및 아암 (201)의 L-형 부위는 상부 및 하부 스테이 아암(stay arm)(215), (216) 각각에 의해 장착된다. 상부 스테이 아암 (215)는 브래킷(203) 사이에서 작동하며 핀(218)에 의해 L-형 부위(210)로 유지된다. 하부 스테이 아암(216)은 상부 스테이 아암(215)을 지닌 연결 점보다 L-형 아암(210)에서 보다 낮은 위치에서 L-형 부분(210)에 연결된다. L-형 부분(210) 및 각각의 연결 아암(215), (216)은 베일 빌딩 아암으로서 작동한다. 특히, 이중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212)는 섀시(102)와 하부 스테이 아암(216) 사이에 장착된다. 특히, 이는 핀 (213)에 의해 브래킷(202)를 통해 섀시에 장착된다. 또한 이는 핀(217)이 이를 통해 삽입되어 있는 브래킷(214)에 의해 스테이 아암(216)에 부착된다. 수압 실린더(212)의 작동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아암을 개방 및 폐쇄한다.
도 4도 3에 나타낸 도면과 유사하게 기계(101)의 정렬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4에서 트랙터(160)는 예증의 명확성을 위해 더 이상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도 4는 베일의 적재 동안 포장 아암(402)의 바람직한 조정을 나타낸다. 당해 형상에서 이들은 섀시(102) 상에 위치하며 여기서 이들은 적재되는 경우 베일(240) 뒤에 존재한다.
도 5는 적재 아암(201)의 작동을 통해 기계 부품 경로 정렬을 나타낸다. 아암(201)의 후퇴는 베일(240)을 맞물려서 L형 부위 (210)의 하부 부분이 베일에 대해 맞물리도록 한다. 특히, 롤러(121)은 베일에 대해 맞물린다. 이는 베일 (240)의 중심점 아래의 위치에서 그렇게 한다. 이는 베일(240)이 기계(101)를 향해 지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한다. 롤러(121)는 적재 아암(201)에서 운반되면서 베일에 대해 맞물리며, 이는 이것이 예를 들면 도 5의 사시도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일어나서 베일(240)이 맞물려 기계에 대해 역으로 역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을 위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베일(240)이 롤러(120)를 때릴 때까지 지속된다. 임의로, 롤러(120)는 또한 당해 공정 동안 회전된다. 이는 베일(240)이 5에 나타낸 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도 6은 적재 공정에서 베일(240)이 롤러(120) 및 (121) 위에 장착되어 이들 사이에서 흔들리는 단계를 나타낸다.(다시 도 6에서 예증의 용이성을 위해 트랙터 (160)은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베일이 당해 위치에 이를 때까지 아암(201)을 안쪽으로 연속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롤러(120) 및 (121)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회전하여 베일 (240)이 도 6에 나타낸 위치로 들어올려지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기계(101)는 록킹 래치(locking latch)(225)의 형태로 록킹 메카니즘과 함께 제공된다(도 3에 가장 잘 나타남). 당해 구현예에서, 록킹 래치 (225)가 하부 아암(115b)에 제공된다. 적재 아암(201)이 도 6에 나타낸 위치에 근접할 때 래치(225)는 폐쇄 위치에서 아암(201)을 유지한다. 특히, 이는 L-형 부위(210)의 하부 부위와 맞물려서 이를 유지한다. 이는 해제가능한 록킹 메카니즘이며 따라서, 기계가 작동하여 아암(201)을 개방하여 다음 베일을 집어올리는 경우, 래치(225)는 개방되어 아암(201)이 해체되도록 한다. 이후에, 롤러(120) 및 (121)는 동시-작동하여 이의 포장 동안 베일(240)을 회전시킨다.
일단 아암(201)이 후퇴되면, 이는 섀시(102)의 나머지에 대해 매우 소형의 구조로 존재한다는 것은 인식될 것이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대향하는 가이드 판(226)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또는 소켓은 섀시(102)에 제공되어 아암(201)을 이의 완전히 폐쇄된 위치로 안내한다.
도 20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대안적인 정렬에서 로킹 메카니즘은 다른 구조와 함께 나타나 있다. 도 20에서 적재 아암(201) 상의 롤러(228)는 정렬되어 채널 섹션(227)의 형태로 수신기와 짝을 이룬다. 아암(201)이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서, 롤러(228)는 이를 따라 롤링하는 채널 섹션(227)과 만나 짝을 이룬다. 롤러(228)와 채널 섹션(227)의 이러한 만남은 적재 아암(201)(폐쇄 작용의 마지막 부분 동안)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래치 후크(latch hook)(229)는 채널(227) 내에 제공된다. 롤러가 따라 이동하면서, 이는 래치 후크(229)를 오고간 후(예를 들면, 중심 위에서) 래치 후크(229)에 의해 잡힌다.
램, 바람직하게는 유압 램은 래치 후크가 롤러(228)를 래치하는 경우 바람직하게 작동된다. 이후에, 이러한 램은 적재 아암(201)의 포장을 위한 이의 완전히 폐쇄 위치로의 이동을 보조한다. 이는 또한 래치를 유지하고 따라서 포장 주기 동안 적재 아암(201)을 보유한다. 이는 베일이 포장되면서 적재 아암(201)의 바람직한 안전성을 제공한다. 이것이 적재되지 않은 베일에 대해 요구되면, 래치(229)는 램의 작동에 의해 개방된다.
이는 적재 아암 및 롤러가 적재 메카니즘의 형태 부분 및 포장 동안에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및 지지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형태 부분을 운반하므로 매우 간단한 구조임이 인식된다.
경우에 따라, 강화 굽은 관을 가하여 적재 아암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의 L-형 부위(210)를 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굽은 부위는 상부 부위와 횡단 하부 부위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기계(101)는 제어 메카니즘을 제공하여 아암(201)이 개방되는 높이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경사 메카니즘(tilting mechanism)을 제공하여 아암 (201)이 개방되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사 메카니즘은 섀시(102)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달리는, 이는 전체 섀시(102)를 경사지도록 하기 위한 메카니즘일 수 있다. 하나의 정렬에서, 경사 메카니즘은 기계를 구동시키는 트랙터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이는 다른 것에 대해 트랙터의 하나의 기중 아암을 상승시키는 메카니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수행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메카니즘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아암의 2개 부분을 관절로 연결하여 아암이 개발되는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은 물론 적재 아암이 베일 위로 지나가면, 아암의 낮은 부분이 적재될 베일의 중심의 적어도 아래이도록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존재할 것이기 때문에, 가역성일 것이다.
예를 들면, 제어 메카니즘은 또한 서로에 대해 아암의 2개 부분을 관절로 연결하여 아암이 폐쇄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직사강형(사각형 포함) 베일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기중 아암(201)은 또한 기중 메카니즘을 포함함으로써 베일이 지면에서 들어올려져서 이것이 아암에 의해 지면에서 떨어져서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정렬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아암(201)의 주요 중심점은 사용시 적재될 베일이 위에 존재하는 약 중심점 핀임에 주목할 것이다. 또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재 아암(201)은 적어도 2개의 점에서 중추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베일 적재 아암(201)은 서로에 대해 설명되고 구현예에서 서로에 대해 설명하는 3개의 부위가 포함된 적어도 2개의 부위를 포함하며, 이들은 아암(215) 및 (216) 및 L-형 아암(210)을 연결한다.
아암의 주요 중첩 작용은 사용시 적재되는 베일의 위에 존재하는 지점에 있다.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101)는 본 발명의 포장 아암 국면인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을 포함한다. 이는 롤러(120) 및 (121)에 의해 형성된 정렬부를 지지하는 베일을 가지며, 이는 본원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메카니즘(301)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국면은 앞서의 도면의 섀시(102), 및 예를 들면, 도 6에서 함께 나타낸 바와 같은 앞서의 도면의 적재 아암을 포함한다.
포장기(401)는 3개의 회전하는 포장 아암(402)을 포함하며, 연속적으로 베일(240)을 포장하기 위한 반복된 작업 주기에서, 이들이 포장 물질로 베일을 협력하게 회전적으로 포장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떨어져서 위치하는 제1의 포장 형상(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음), 및 제2의 형상을 가지며, 여기서, 포장 주기의 출발 시, 및 포장 주기의 말기에, 3개의 작업 아암(402)은 서로에 대해 함께 근접하게 됨으로써(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402)로부터의 각각의 포장 물질이 하나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301)에 의해 절단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포장 작용은 구동 모터(43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각각의 아암은 여기에 포장기의 롤(403)을 갖는다. (필름 예비-신장기(pre-stretcher)(22)를 또한 각각의 아암에서 사용하지만 이후 도면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브래킷(405)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예증의 용이성 및 포장 물질의 제공을 위해 나타나 있지 않다.)
하나의 아암 (402a)은 마스터 또는 주 아암으로 작용하며 다른 2개의 아암(402b) 및 (402c)는 보조 또는 종속 아암으로 작용한다. 이는 도 7의 부분 단면도, 상부 도면으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다. 유압 실린더(410)는 아암(402a)을 아암(402c)에 연결한다. 제2의 유압 실린더(411)는 아암(402a)을 아암(402b)에 연결한다. 유압 축압기(412), (413)는 회전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이동하도록 제공되어 실린더(410) 및 (411)을 폐쇄한다. 압축된 유압액을 사용하여 아암을 포장 위치에 대해 연다.
포장 아암(402)은 공통적인 슬루 링(common slew ring)(128)에 장착된다. 이는 모든 아암에 대해 장착 베어링을 제공하며 외부적으로 톱니가 있어서 구동 모터 상의 구동 기어와 톱니휠가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도 23의 부분(하부) 도면인, 포장기에 대해 포장 아암 섀시(101)를 장착하기 위한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10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기어장치를 허용함으로써 상이한 포장 속도를 허용하는 단순한 정렬이 존재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슬루 링(128)의 형태인 전달 기어가 존재한다.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104)는 각각의 구동 기어(162) 및 (163)이 슬루 링(128)으로 톱니휠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포장 아암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해 장착된 축/구멍인 제1(132) 및 제2(161)의 명백한 장착 위치와 함께 제공된다. 각각의 구동 기어(162) 및 (163)은 크기가 상이하므로 이들 사이의 기어 장치비 및 슬루 링은 상이할 것이다. 특히, 기어(163)는 기어(162)보다 더 작다. 따라서, 기어(163)는 보다 작은 기어 비를 가질 것이므로 보다 큰 기어(162)보다 더 느린 속도에서 슬루 링을 구동시킬 것이다(각각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단지 하나의 구동된 기어가 기계의 작동에 필요할 것이며 2개는 예증의 목적을 위해 동일한 도면에서 나타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이는 동일한 모터(430)(참고: 예를 들면, 도 3-6)이 상이한 위치에 장착시킴으로써 상이한 회전 포장 속도 및 모터(430)에 의해 구동된 상이한 크기의 기어를 제공하도록 이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상이한 포장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전달 기어(또는 추가로 모터)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다.
포장이 완료되면, 유압 실린더(410) 및 (411)을 작동시킨다. 이는 3개의 아암(402a), (402b) 및 (402c)를 함께 8의 상부 평면도에 나타낸 위치로 가져온다. 당해 정렬에서 모든 3개의 아암은 이들의 포장 물질의 각각의 웹을 절단 및 유지 장치(301)(이는 상기 목적을 위해 연장될 것이다)를 가로질러 끈다. 이후에, 필름의 모든 3개의 웹은 절단 및 유지 장치(301)를 후퇴 작용으로 잡아서 유지시킬 수 있다. 포장 물질이 절단 및 유지 장치(301)에 의해 잡혀서 유지되면, 롤러(121) 및 (120)이 예를 들면, 리프팅 아암(201)의 작동화에 의해 떨어져 이동하여 지면 아래로 베일을 내려 놓는다.
절단 및 유지 장치(301)는 이것이 베일에 적용되는 포장 물질 아래의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고정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이의 폐쇄 위치에서, 이는 베일의 포장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국면을 형성하는 하나의 적합한 절단 및 유지 장치 (301)은 도 9의 개방 위치 및 측면도 및 도 10의 후면 사시도로부터 나타나 있다. 각각의 상응하는 폐쇄 위치는 도 11 12에 나타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이는 포장 물질을 절단하여 유지시킨다. 예를 들면, 이는 본 발명의 기계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포장 형상에서 3개의 균일하게 떨어진 포장 아암을 가지며 이후에 이는 이들 포장 아암에 의해 분배된 포장 물질의 3개의 웹을 잡은 후 절단하여 유지시킨다.
장치(301)는 이의 폐쇄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총계에 의해 길이로 연장함이 주목될 것이다. 이의 개방 길이는 이의 폐쇄 길이의 것보다 2배 이상이다. 특히,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장치 (301)을 이의 개방 위치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연장된 스트로크의 길이보다 더 큰 총계에 의해 (전체) 길이에 있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 및 유지 장치(301)는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장착되어 있음에 주목한다.
장치(301)는 다단계 정렬을 포함하여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킴을 포함한다.
특히, 이는 기계(101)의 새시(102)에 대해 견고하에 확보된 외부 고정 프레임(305)을 갖는다. 따라서, 외부 고정된 프레임(305)은 회전을 포함하는 운동에 대해 고정된다.
장치(301)는 이것이 개방된 경우 다단계 작동을 포함한다. 특히 이는 제1의 슬라이딩 프레임(307) 및 제2의 슬라이딩 프레임(308)을 갖는다. 제1의 슬라이딩 프레임은 다른 고정된 프레임(305)으로부터 연장가능하다. 제2의 슬라이딩 프레임 (308)은 제1의 슬라이딩 프레임(307)에 운반되어 이로부터 연장한다. 제2의 슬라이딩 프레임(308)의 상부에서 캐쳐(catcher) 또는 그리퍼(gripper)(310)가 포장 물질을 이의 절단 및 유지를 위해 하방으로 잡아서 끌기 위해 운반된다.
장치(301)는 비틀림 억제 메카니즘을 가져서 이의 개방 위치에서, 및 더욱이 이것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의 꼬임을 견딘다.
비틀림 억제 메카니즘은 일련의 스플라인을 포함한다. 특히, 슬라이딩 프레임(307)은 일련의 외부 스플라인을 갖는다. 이들 스플라인은 외부 고정된 프레임(305)에 장착된 홈이있는 롤러(316) 내에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플라인에서 3개 이상의 롤러 각각이 제공되나, 각각은 상이한 스플라인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 프레임(307)의 비틀림의 방지를 보조한다. 제2의 슬라이딩 프레임(308) 상의 스플라인(318)은 슬라이딩 프레임(307) 상의 스플라인(315)내에서 맞물리며 따라서, 스플라인(318)은 제1의 슬라이딩 프레임(307)에 대해 제2의 슬라이딩 프레임(308)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이러한 뒤틀림 방지 정렬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이는,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에 의해 발휘될 수 있는 뒤틀림력이 매우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힘은 포장 물질의 3개의 필름이 잡힌 후 함께 유지되기 때문에 크다. 서로 미끄러지도록 장착된 다수의 프레임은 이들이 연장되면서 직선 경로를 유지한다.
장치에 견고한 그립 패드(320)(이는 스프링이 적재되어 있다) 및 절단 나이프(325)가 또한 제공된다.
도 10으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메카니즘의 개방 및 폐쇄 작용은 상기 메카니즘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중 작용 정렬에 의해 제공된다. 특히, 2개의 이중 작용 실린더(330) 및 (331)이 제공된다. 이들은 함께 장착됨으로써 이들이 함께 이동하거나 서로 운반하도록 함이 주목될 것이다. 이들은 또한 서로에 대해 역전된 관계로 존재한다. 따라서 폐쇄 위치에서 이들은 연장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서로 일치하며, 이들의 각각의 피스톤(336), (337)의 연장은 반대 방향에 존재한다. 이러한 정렬에서, 유압 실린더(330)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반면 유압 실린더(331)는 하향으로 연장한다. 일부가 외부 프레임과 오버랩되는 것을 허용하며, 이는, 상기 연장 운동이 폐쇄 장치의 길이의 3배까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는 다단계 이중 작용 정렬을 제공한다.
실린더(330) 및 (331)가 분리되는 동안 이들은 유압식으로 상호연결됨으로써 동시에 연장가능함에 주목할 것이다. 특히, 2개의 유압 연결부(333) 및 (334)는 하나의 실린더의 상응하는 말단을 다른 것과 연결시킨다. 이는 이들이 유압에 의해 개방 및 폐쇄 둘 다 가능한 각각의 실린더 상에 이중 작용 정렬이 존재한다고 해도, 제공된 상호연결부는 예를 들면, 단일의 유압 유액원을 사용하여 개방 또는 폐쇄 둘 다를 허용함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면, 포장 물질의 3개의 스트레치된 웹으로부터의 압력 하에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장치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매우 강력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폐쇄 위치는 도 11 12 둘 다에 나타나 있다. 폐쇄된 경우, 블레이드(325)는 포장 물질을 자른다. 또한 포장 물질 그리퍼(310)는 필름을 움켜쥐고 이를 필름 그립 패드(320)에 대해 유지시킨다.
따라서, 포장 물질은 다음의 포장 주기를 위해 유지된다. 포장이 완료되고 포장 물질이 베일에서 충분히 자체-고정되면, 포장 물질은 장치(301)로부터 방출된다.
도 13 14는 절단 및 유지 장치(301)의 대안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회전 억제 메카니즘이 2개의 외부 신축자재 프레임(336), (337)에 의해 제공된다. 이들 플레임 각각은 섀시(102)에 고정되어 이의 회전 운동을 포함하는 이의 운동을 방지한다. 신축자재 프레임(336), (337)이 연장하면서 이들은 앞서의 도들의 스플라인/홈이 있는 롤러 정렬와 유사한 방식으로 비틀림력을 견딘다. 다시, 상기 장치는 역전되어 이중 작용하는 실린더 정렬을 사용하여 연장한다. 또한, 이는 이의 폐쇄 길이보다 더 큰 총계까지 길이를 연장한다.
이중 작용하는 유압 실린더가 본 발명의 절단 및 유지 장치(301)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만, 2개의 단일 작용 유압 실린더가 이용되어 함께 이들이 다단계 유압 실린더 정렬을 형성함으로써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메카니즘을 이동시킬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된 어떠한 절단 및 유지 장치도 신축자재일 수 있다.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301)은 또한 자체-세척 메카니즘과 함께 제공되어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 또는 폐쇄 또는 둘 다 작용하면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으로부터 포장 물질의 어떠한 잔사도 제거한다. 예를 들면, 스크레이퍼가 제공되어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 또는 폐쇄 또는 둘 다 작용하면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으로부터 포장 물질의 어떠한 잔사도 긁어낼 수 있다. 이는 또한 본 발명의 국면이다.
절단 및 유지 장치(301)는 오퍼레이터가 절단 및 유지 메키니즘내 포장 물질을 수동으로 위치시키고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을 수동으로 폐쇄되도록 조정된 수동 폐쇄 메카니즘(close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포장 주기를 개시하기 위하여 포장 물질은 절단 및 유지 장치내에 유지되어야만 한다. 상기 기계에서 포장 물질이 다 떨어지거나 포장 물질이 파괴되는 경우의 예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이후에 절단 및 유지 장치 속에서 포장 물질을 교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포장 주기가 자동화된 기계내에서, 작동자는 또한 장치에 대한 자동화 조절로 돌아가며, 이는 장치를 폐쇄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트랙터의 운전석에 위치한다. 이때까지 포장 물질은 절단 및 출발 장치로부터 다시 느슨해진다. 기계에 제공된 국소의 수동 방출 장치는 작동자가 필름을 한 손으로 적합한 위치에서 유지하고 다른 손으로 상기 메카니즘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기계에 의해 제공된 포장 물질을 절단 및 유지시키기 위한 베일 포장기용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며, 당해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 또는 폐쇄 또는 이러한 작동 둘 다로 작동하면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서 떨어지는 어떠한 포장 물질의 잔사도 제거하는 자체-세정 메카니즘, 예를 들면 스크레이퍼를 포함함으로써,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 또는 폐쇄 또는 이러한 작동 둘 다로 작동하면서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서 떨어지는 어떠한 포장 물질의 잔사도 스크래핑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기계에 의해 적용된 포장 물질을 절단 및 유지하기 위한 베일 포장기용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며, 당해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이들 사이에 함침부(recess)를 가진 적어도 2개이 돌출부를 갖는 포장 물질 맞물림 부위를 포함함으로써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 대해 유지된 포장 물질이 돌출부에 인접하고 함침부를 가로질러 걸쳐지도록 한다. 예를 들면, 포장 물질 맞물림 부위는 일련의 적어도 3개의 스플라인이 형태인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일 포장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이것이 베일에 적용되는 포장기의 아래에 있는 위치에서 장착되고
(i) 실질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여 모든 3개의 포장 아암으로부터 포장 물질을 잡도록 하는 포장 물질 맞물림 단계;
(ii) 이것이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후퇴해서 포장 물질을 절단하여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포장된 베일을 방출하고 다음의 포장 주기를 위한 물질을 유지하는 절단 및 유지 단계; 및
(iii) 포장 물질이 자체로 충분히 포장되어 베일에 자체적으로 유지된 후 포장 물질이 방출되는 포장 개시 단계를 사용하는 작동 주기를 갖는다.
하나 이상의 포장 아암으로부터 포장 물질의 손실/비-분배에 대해 보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계는 또한 베일의 회전 및 포장 아암 운동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상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1개, 2개 또는 모든 3개의 포장 아암이 포장 물질에 적용되는지에 상관없이 상기 기계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조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도 15의 기계(10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베일 기중 메카니즘이다. 당해 기계(101)는 앞서의 메카니즘과 관련된 재료에 있어 동일하며 유사한 섀시(102), 포장 아암(402)를 포함하는 유사한 포장 메카니즘, 및 유사한 기중 아암(210)을 갖는다.
*도 15의 기계(101)과 기계의 앞서의 구현예 사이의 주요 차이는, 당해 기계가 특이적으로 조정되어 직사각형(사각형 포함)의 베일을 처리한다는 것이다. 베일 포장기(101)은 조정되어 포장 물질의 유사한 오버라잉 포장물을 적용한다. 베일 포장기는:
(i) 베일에 포장 물질을 적용시키기 위한 포장기;
(ii) 베일을 지지하는 정렬부; 및
(iii) 베일을 지면에서 들어올리기 위한 베일 기중 메카니즘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베일 기중 메카니즘은:
적재 아암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중 가지를 포함하고, 여기서 당해 기중 가지는 베일안에서 맞물리거나 베일내에서 맞물려서 베일을 상향으로 기울여 충분히 들어올려서 적재 아암의 롤러가 베일 안에서 맞물리도록 한다.
특히, 적재 아암(210)의 하부 말단은 이제 상이한 정렬을 운반함에 주목할 것이다. 특히, 아암(210)은 베일 기중 메카니즘(502)을 포함한다. 상기 메카니즘은 2개의 가지(501)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표현 "가지"는 베일을 침투할 수 있는 어떠한 적합한 포인트 부품이며 어떠한 수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가 존재한다. 적재 아암(210)은 이들이 직사각형 베일(540)의 아래 또는 내부에서 맞물릴 때까지 가지(501)를 이동시킨다. 당해 단계에서 롤러 메카니즘(521)은 또한 베일(540)의 한면과 맞물린다. 이들은 후에 베일 기중 메카니즘(502)이 시계방향(도 15의 투시도로부터 고찰되는 바와 같이)으로 회전하는 것을 추구하며 이것이 롤러 정렬(520)을 향해 운반되도록 한다. 이후에, 아암(210)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 위치에서 잠그며, 롤러 메카니즘(520) 및 (521)은 베일을 흔들어 이의 포장을 위해 베일(5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포장은 아암(402)(이는 전형적으로 적재 위치내에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베일 뒤에 있을 수 있다)에 의해 수행된다.
롤러 메카니즘(521)은 2개의 마주보는 롤러(522) 및 (523)를 포함하고 롤러 메카니즘(520)은 2개의 마주보는 롤러(524) 및 (525)를 포함한다. 이들 마주보는 롤러의 쌍은 때때로 쌍 롤러 또는 심지어 "록 앤 롤(rock and roll)" 롤러로 언급되는데 이는 직사각형 베일이 이들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이들이 움직이거나 진동하기 때문이다.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 이들 롤러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정도까지 운동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 개방 및 폐쇄 작용의 왕복운동과 같은 왕복운동 작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기중 메카니즘(502)은 적어도 하나의 지면-맞물림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특히, 구현예에서 지면 맞물림 지지체는 한쌍의 휠(510)에 의해 제공된다. 휠은 베일(540)이 리프팅 메카니즘(502)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경우 실질적인 중량의 부품을 지닐 수 있다.
더욱이, 베일을 들어올리는데 요구되는 회전력은 휠(510)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은 유압 실린더로 제공되어 이들을 메카니즘의 나머지에 장착하고 있는 브래킷(551)을 통해 이들이 메카니즘의 나머지에서 힘을 발휘하도록 한다. 축압기(552)가 제공되어 바람직한 위치에서 그러나 범프 등으로부터의 쇼크와 같은 외부력에 대한 반응시 실린더의 일부 운동을 일부 허용하는 추가의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큐뮬레이터는 압축 스프링의 방식으로 한계까지 작동한다.
또한, 또는 달리는, 지면 맞물림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가능하고/하거나 회전고리 휠, 예를 들면, 족키 휠(jockey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한 밸트(endless belt)가 쌍 롤러에 대해 장착되어 이의 포장을 위해 베일을 흔들도록 조정된다.
본 발명의 적재 아암(201)의 다른 버젼은 도 16에 나타나 있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재 아암(201)은 단순한 L-형 아암(210)이다. 이는 핀(204)를 사용하여 단일의 장착 점(203)으로 장착된다. 이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 위치 사이에서 앞서 기술된 바와 유사한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며, 여기서 베일(240)은 이후 기계(101)에 적재되고 롤러(121) 및 (120)위에서 회전을 위해 장착된다. 앞서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전형적으로 구동된 롤러(121)은 적재 아암(210)에 의해 운반된다. 이 경우에, 적재 아암(210)은 아주 높은 위치에서 베일(240)과 맞물린다. 특히, 이는 베일과 이의 중점보다 높은 위치에서 맞물린다. 이는 유압 실린더(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이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굽은 관(224)은 재강화를 위해 L-형 아암의 상지와 L-형 아암의 림 사이에서 연장한다. 적재 아암(210)은 또한 위에서 기술된 방식 대신에 잠겨질 수 있다.
기계의 앞서의 구조와 비교하여 일부 다른 작은 변형이 존재한다. 이것이 적용되기 전에 펌(firm)을 예비-신장하는데 사용된 예비-신장기(222)가 포함된다. 이는 또한 2개의 원뿔형 롤러(155)를 포함함으로써 베일이 기계에서 뒤쪽으로 아주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은 앞서 기술된 구현예와 구성면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계(101)을 나타낸다. 곡선 말단 팁 배리어(curved end tip barrier) 또는 버퍼(buffer)(701)는 아암(115b)에 제공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아암(115b)의 방향을 따라 연장한 후 안으로 되돌리는 단순한 단편이다. 이의 기능은 단순하다. 롤러(120)(및 (121)-나타내지 않음)는 떨어져서 움직여서 베일을 적재되지 않으며, 베일은 아래로 움직여서 버퍼(701)에 부딪쳐서 이후 베일이 이동, 예를 들면 기계로부터 이동되도록 한다. 섀시와 함께 바람직하게 통합되는 이러한 버퍼 아암은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을 형성한다. 이는 직사각형 베일을 취급하기 위해 조정된 이들 구현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현예 모두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버퍼(701)는 또한 도 20 내지 22의 기계와 관련하여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은 계단 승강 부재(step up member)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20 내지 22는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를 나타내며, 당해 베일 포장기는:
포장 물질을 베일에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및 롤러(120) 및 (121)에 의해 형성된 정렬부(107)를 지지하는 베일을 포함한다. 계단 승강 부재(702)는 섀시 위에 및 베일 지지 정렬부(107) 아래에 위치하고(이의 포장 구조내) 베일 지지 정렬부 상의 포장 위치 및 지면 상의 위치에 대해 중간 단계에서 부분 상승된 위치로 베일을 상승시키는데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적재 아암 구조(201)과 함께 발생하는 문제들 중 하나는, 지면의 베일을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힘이 매우 클 수 있다는 것이다. 계단 승강 부재(702)를 제공하는 것은 계단 승강 부재 상으로 베일이 진행하도록 하는데 요구되는 노력이 거의 없고, 일단 계단 승강 단계 부재 상에서, 상기 계단 승강 부재는 베일의 중량에 대한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베일을 기계의 베일 지지 부품(107)을 향해 추가로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노력을 감소시키므로 요구되는 힘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원통형 베일의 경우, 계단 승강 부재는 베일이 이동되는, 예를 들면, 적재 아암(201)을 사용하여 밀릴 수 있는 상승된 지지체를 제공할 것이다.
하나의 단순한 정렬에서 상기 계단 승강 부재는 이에 대해 베일이 범퍼에 대해 이동하는 경우 베일을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로 상승시키도록 인접해있는 고정된 u-형 완충재 또는 범퍼(703)이다. 이는 섀시의 연속된 단편으로서 형성된다.
특히 베일이 포장을 위한 위치로 상향 이동하는 기중력은 롤러(120) 및 (121)에 의해 직접 베일에 부여될 수 있는 기중력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에, 베일은 우선 이것이 계단승강 부재(702)를 때리는 경우 지면에 대해 밀려서 상승되며 이후, 기중 아암(201)이 지속적으로 베일을 기중함에 따라, 이후 베일은 롤러(120)을 때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일의 중량의 적어도 일부는 이것이 계단 승강 부재를 말끔히 들어올려 롤러(120) 및 (121) 에서 높이 그대로 유지되기 전에 계단 승강 부재(702)에 의해 취해진다.
2개의 계단 승강 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 베일을 부분적으로 상승된 위치와는 각각 떨어져서 상승하기 위해, 각각 이의 적재 동안 베일을 지니하는 정렬부 및 지면에서 포장 위치에 대해 중간인 각각의 단계에서 제공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계단 승강 부재는 함께 존재할 수 있으나, 이의 적재 동안 베일을 상승시키는데 있어서 상이한(높이) 단계로서 작동할 수 있다.
계단 승강 부재(들)은 어떠한 형재로도 존재할 것이며 베일이 포장 위치를 향해 상승되도록 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계단 승강 부재(들)은 램프 표면과 같은 기울어진 표면의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서 계단 승강 부재(들)(702)는 또한 이의 적하 동안 베일을 지지하는 정렬부 및 지면에서 포장 위치에 대해 중간 단계(높이)에서 베일을 부분적으로 저하된 위치로 낮추기 위한 계단 하강 부재(step down member)들로서 작동한다. 이는 적재 공정에 대해 역 방식으로 작동한다. 적재 아암(201)이 적하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지면에 직접 떨어지는 대신 베일은 우선 이동하여 계단 승강 부재(702)에 잔존하며, 이는 베일을 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그러나 이것이 계단 승강 부재(702)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유지시킨다. 다시, 이는 적재 아암(201)을 적하된 위치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베일이 단계별 방식으로 지면으로 떨어지므로 이것이 지면에 직접 떨어지는 것으로부터 경험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충격이 보다 완화됨을 의미한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정렬에서, 상기 계단 승강 부재(들)(702)는 또한 이의 적재 동안 이의 말단에서 포장된 베일을 티핑(tipping)하는데 보조하기 위한 말단 팁 부재로서 작동한다. 예를 들면, 계단 승강 부재(702)는 상승된 위치로 베일의 하나의 말단을 유지할 수 있지만 베일의 나머지는 지면을 향해 강하함으로써 베일의 경사를 유발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베일은 이의 말단에서 자체로 티핑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포장기가 제거되어(예를 들면, 후면 적하의 경우에 후방으로) 경사진 위치로부터 이의 말단에서 베일을 민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일은 90°를 통해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 베일이 경우에, 베일은 이의 평편한 말단에 걸쳐 티핑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베일이 기울어진 표면에서 적재되지 않는 경우 이것이 베일을 롤링 제거되는 것으로부터 중지시키므로 유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계단 승강 부재는 본원에 기술된 기계의 어떠한 구조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 20 내지 22의 베일 포장기(101)에서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기계를 나타내며, 당해 베일 포장기(101)은:
트랙터의 3점 연결부를 위한 장착부(브래킷(136); (139) 참고);
베일에 포장 물질을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베일 지지 정렬부(107); 및
기계(101)의 중량, 및 트랙터의 3점 연결부에 장착되는 경우 및 기계(101)의 작동 이동 동안 롤러(250)을 통해 지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달될, 기계 위의 어떠한 베일도 허용하는 롤러(250)의 형태의 하나 이상의 지면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기계는 전형적으로 지면을 따라 고정되거나 이동하는 동안 기계를 지면에서 떨어져서 구동되도록 이용되는 3점 연결부에 장착될 수 있다. 기계(101)는 이것이 3점 연결부에 의해 지면에서 떨어져서 유지되는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국면이다. 이의 포장을 위에 이에 장착된 베일과 함께 포장기는 (이의 3점 연결부에서) 어떠한 트랙터에 대해 생성되는 상당한 중량일 수 있다. 트랙터는 기계를 들어올리고 베일을 지면으로부터 떨어뜨리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 있다. 기계의 포장 작동 동안 기계를 지지할 수 있고 이것이 포장 동안 이동하면서, 실질적으로 트랙터의 3점 연결부에 또한 적용될 수 있는 중량의 양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지면 맞물림 부재가 제공된다. 따라서, 당해 구조의 기계는 보다 무거운 중량을 들어올릴 능력이 보다 적은 트랙터가 포장 작동/이동 동안 이를 지면으로부터 떨어뜨려 유지시키기 위한 3점 연결부를 필요로 하는 기계와 비교하여 이용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또한 트랙터가 기계 및 베일을 들어올릴 수 있는 경우 이는 중량 분배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면 휠은 지면에서 떨어져 들어올려진다. 본 발명의 지면 맞물린 부재는 또한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킨다. 롤러(250)는 기계(101)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로지른 종축으로 장착되며 보다 낮은 수평 부위(106)를 형성하는 부재 사이에서 외전을 위해 장착된다. 본원에 기술된 베일 지지 정렬은 본원에 기술된 모든 포장기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20 내지 22의 정렬에서 하나의 롤러(120)는 작동시 고정되지만 적어도 2개의 고정된 위치 사이에서 조절가능하며, 특히 3개의 고정된 위치에서, 상이한 크기의 베일을 수용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롤러(120);(121)가 약 1 미터 내지 약 1.6 미터 범위의 직경을 지닌 베일의 포장을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된 위치는 일반적으로 수평 및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 둘 다로의 조절을 허용한다.
이는 중추 제어 메카니즘(180)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당해 메카니즘(180)은 섀시(102)에 장착된 2개의 떨어진 브래킷(181)을 포함한다. 핀(182)는 롤러(120)을 브래킷(181)에 중추적으로 장착시킨다. 조절은 브래킨(181) 각각에서 3개의 구경(185)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핀(184)에 의해 허용된다. 이러한 조절은 핀(182)에 대한 중추 작용에 의해 롤러(120)의 수직과 수평 이동 둘 다를 허용하는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이는 베일이 결국 롤러(1200, 9121) 상에 앉착되어있을 뿐 아니라 베일이 충분히 중심에 있어서 포장이 상이한 크기의 베일에 대해 베일의 거의 중심이 되도록 함을 의미한다. 원통형 베일의 경우 또한 적용된 포장은 상기 포장이 베일을 풀기 위해 존재하는 경향성으로 베일의 중심에 대해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이루어짐이 인식될 것이다. 상이한 직경의 베일을 사용하고, 조절없이 보다 큰 직경의 베일은 보다 작은 직경의 베일보다 더 높이 놓인다. 따라서, 고정된 위치는 포장 아암(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심(수직 및 수평)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타낸 구조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모든 다른 국면과 같은 당해 국면을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국면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 22의 베일 포장기(101)에서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을 적용하는 기계를 나타내며, 상기 베일 포장기(101)은:
포장 물질을 베일에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베일 지지 정렬부(107); 및
베일 지지 정렬부의 부분을 형성하고 이의 포장 동안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방 말단(122) 및 후방 말단(123)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2)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기계에 장착됨으로써 기계의 수평면에 대해 약 3도 내지 약 10도, 예를 들면, 약 3 내지 약 6도, 예를 들면 약 4 내지 약 6도의 각에서 전방 말단으로부터 후방 말단을 향해 상향으로 각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롤러(120)는 포장 아암(들)의 회전 축에 대해 직각인 평면에 대해 상향으로 각을 이룰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롤러(120) 및 (121) 둘 다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상향으로 각을 이룬다. 롤러(들)을 상향으로 각을 이루는 것은 베일을 롤러의 말단에서 떨어져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데 유리할 수 있따. 이는 또한 베일에서 필름의 분포를 개선시키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면, 베일의 증가된 선회 속도를 사용하여 포장 물질, 예를 들면 필름을 베일이 선회하는 증가된 속도로 인하여 베일의 중심이 뒤에서 통과하는 것을 보다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베일은 이것이 정확한 필름 중첩을 수득하기 위해서 2개의 포장 아암을 사용하는 것보다 3개를 사용하여 더 신속하게 회전하도록 한다.베일의 이러한 보다 신속한 회전은 포장 주기 동안에 포장 물질이 베일의 한쪽 가장자리 주변에 온 후, 베일이 1개 또는 2개의 포장 아암을 지닌 기계에 대해 추가로 고려할만하게 주변을 회전함을 의미한다. 이는 포장 물질이 기울어져서 한쪽 측면에서 베일을 높이 치고(예를 들면 후방 장착된 정렬에서 트랙터로부터 가장 먼 측면) 반대쪽 측면에서 낮게 치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된 바와 같이 롤러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은 포장 동안 포장을 베일의 양쪽 측면의 중심을 가로질러 적용시킴을 의미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또한, 포장 아암의 회전 축은 포장 동안 베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의 수평 면에 대해 수직으로 경사지게 유사한 상대 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내지 22에는 원뿔형 롤러(155)가 섀시(102)의 낮은 부위(106)에 제공된 대안적인 정렬이 나타나 있다. 대신에, 상부 부위(166), 2개의 수직 부위(167) 및 장벽으로부터 함께 베일이 기계를 향해 너무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저 부분(168)을 포함하는 베일 중지 장벽(bale stop barrier)(157)이 제공된다. 이들은 또한 프레임 부분을 형성하며, 여기서 원통형 롤러와 같은 롤러 형태의 회전가능한 중지가 제공될 수 있는 프레임 부분을 형성한다. 이는 이의 포장을 위해 베일의 포장을 방해하지 않지만 이의 포장 동안 베일을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회전가능한 중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국면은 2개의 부분으로 제공되는 베일 포장기이다. 이는 도 18 19에 나타나 있다. 제1 부분은 앞서 기술된 유형의 기계이며 섀시(102)에 장착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섀시(102)는 베일 지지 정렬 및 이에 지지된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을 갖는다.
또한 제1 부분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동하는 제2의 지면 맞물림 부분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대해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제2 부분은 트레일러 또는 돌리(dolly)(601)에 의해 제공된다. 이는 본원에서 트레일러로 언급되지만 이는 휠이 달린 스트랜드를 형성할 수 있거나 휠은 지면에 닿지 않게 이동하거나 탈착하여 휠이 없는 스트랜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성의 단순성으로 본 주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트레일러(601)의 주 프레임은 2개의 아암(602)을 갖는 일반적인 두갈래로 나뉜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면, 구부러진 단일 부재에 의해 형성된다.
교차 부재(603)는 아암(602)을 횡단하는 수직 지지체를 형성한다. 견인봉(604)이 또한 제공된다. 휠(605)는 트레일러(601)의 다른 말단에 제공된다.
휠(605) 및 견인봉(604) 둘 다는 트레일러(601)의 주요 프레임으로부터 탈착됨이 주목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아암(602) 및 수직부(603)에 의해 형성된 나머지 프레임은 기계(101)에 대한 스탠드(stand)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계가 서있는 위치에서 전력이 공급되고 베일이 포장을 위해 이로 이동되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도 19는 기계(101) 및 트레일러(601)가 함께 커플링될 수 있는 방법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9의 구조에서, 기계(101)는 견인된 기계로서 작동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전형적으로 이는 인-라인 위치에서 트랙터 뒤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적재 아암(210)은 이후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베일을 적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필요한 정도로, 아암, 예를 들어, 트레일러(601)의 아암(602)은 베일을 프레임을 가로질러 민다. 따라서, 트레일러(601)는 이후에 적재 아암(210)에 의해 적재될 수 있는 베일을 따라 끌어당겨질 수 있다. 이후에 베일이 포장될 수 있다. 트레일러(601)의 2개로 나뉜 구조로부터 발생하는 트레일러의 개방 말단으로 인하여, 베일은 이이 후방에 용이하게 적재되지 않을 수 있다. 기계(101) 및 트레일러(601)은 나타낸 정렬과 비교하여 90도의 상대적인 회전(기계와 트레일러 사이에)이 존재하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계는 트레일러(601)의 전면으로 개방하도록 위치한 적재 아암과 함께 배향되어 트레일러(601)의 전방으로 베일을 집어올릴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앞서와 같이 적재 아암은 반대쪽 측면에 제공될 수 있거나, 반대쪽 측면에 2개의 적재 아암이 존재할 수 있다. 베일이 다른 수단 예를 들면, 전면 로더 또는 측면 적재 정렬부에 의해 적재되어야만 하는 경우 적재 아암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은 장착 정렬부가 또한 트랙터에서 3점 연결부에 대해 부착하기에 적합한 장착 정렬부에 의해 제2의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임의로 지면 맞물림 부분은 하나 이상의 다리를 지닌 스탠드를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부분은 포장기용 섀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섀시는:
(i) 포장 아암을 장착시키기 위한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
(ii) 베일 지지 정렬부의 적어도 한 부분에 장착하기 위한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 및
(iii) 상부 부위로부터 하부 부위까지 이동하는 실질적으로 상향 부위를 갖는 주요 섀시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주요 섀시 부재는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 및 실질적으로 상부 부위를 형성하는 통합된 부재이다.
도 24는 트랙터(예를 들면, 3점 연결부) 상에서 직접 장착되도록 조정된 베일을 포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를 (오프셋) 견인된 기계로 전환시키기 위한 부분(800)의 키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것이 부착된 기계는 도 1 내지 8; 15 내지 17; 20 내지 23 각각에서 나타낸 기계를 포함하는 기술된 특징 중의 어떠한 조합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는 도 18 19에 나타낸 트레일러/돌리형 정렬부의 대안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기계(101)에 장착되어 트레일된 기계(810)을 형성하는 도 24의 부분(800)의 키트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제 24 내지 29 모두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베일 포장기(810)는 3개의 주요 부분으로 제공된다: 베일 지지 정렬부(107)를 갖는 섀시(102)를 갖는 포장기(101)이 있는 제1 부분 및 이에 지지된 베일(240)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아암(105)를 포함하는 포장 메카니즘. 이는 또한 제1의 부분에 대한 지지체로서 작동하는 (제2의) 지면 맞물림 부분(801)을 갖는다. 제3의 부분은 견인봉(802)이다.
임의로, 지면 맞물림 부분 자체는 2개 이상의 별도의 부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2개의 부분(803) 및 (804)이고, 각각의 부분에 휠(805), (806)과 같은 지면 맞물림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트레일러-유사 조립내에서 상기 부분을 함께 결합시킨 후, 상기 기계를 이러한 조립으로 맞추는 대신에 부분들을 기계에 개별적으로 부착시킴을 의미한다. 이는 견인가능한 조립을 형성한다.
이는 지면 맞물림 부분(801) 및 견인봉(802)이 서로 직접 연결되어서는 안되지만 대신 기계(101)의 섀시(103)에 임의로 각각 연결됨을 의미한다.
도 24의 키트(800)는 기계에 (가역적으로) 부착되고 다시 탈착되어 기계가 예를 들면 트랙터 상에 직접 장착되는 경우 "연결" 기계로서, 또는 달리는 견인 기계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지면 맞물림 부분(801)은 섀시의 하단에서 연장하여 휠(805) 및 (806)이 미계(101)을 지면에 떨어져서 유지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견인봉(802)은 견인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부착된다.
하나의 단순한 정렬에서, 견인봉(802)은 섀시(101)의 상향 부위(108)의 하나에 부착된다. 부착(중추적)은 U-볼트 또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브래킷 및/또는 핀 정렬을 포함하는 어떠한 적합한 정렬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이 부착된 상부 부위(108)는 포장 아암(105)을 지지하는 상부 부위(타워 또는 마스트의)일 수 있다.
지면 맞물림 부분(801)의 구성에서 하나의 휠(806)을 지닌 하나의 부분(804)는 고정될 수 있는 방면, 다른 부분(803)(휠(806)을 지닌)은 (너비) 조절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가능(조절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견인봉(802)은 트랙터에 대한 기계의 상대적인 오프셋을 허용하는 조절가능한 견인봉이다. 이는 견인된 기계가 예를 들면 포장 동안 조절가능한 견인봉을 사용하여 오프셋을 달성하고, 견인봉의 조절을 역전시켜 예를 들면, 길 이동을 위해 오프셋으로 역전시키기 위해 종결하는 경우 트랙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견인봉(802)은 작동기를 포함하는 오프셋 메카니즘(807)의 적어도 일부분을 운반하여 수압 펌프(808)의 형태로 작동기를 작동시킨다. 당해 오프셋은 기계의 나머지 및 견인봉와 기계 사이에서 작동하는 유압 램(808)에 대해 견인봉를 피봇팅함으로써 중추 작용을 하도록 달성된다. 견인봉에는 3점 연결의 연결 아암에 의해 운반되도록 조정되어 기계가 트랙터의 3점 연결의 아암에 의해 견인되도록 교차 단편 또는 견인봉(809)이 제공된다.
휠(805)과 (806) 사이의 거리(예를 들면 하나의 휠의 외부로부터 이동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다른 것의 외부까지의 거리로 측정됨)는 조절가능하다.
휠(805)는 U-형 부재(814)에 의해 형성된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U-형 부재(814)는 신장/보강을 위한 교차 부재(815)를 갖는다. 교차 부재(815)에는 수압 펌프(816)의 형태인 작동기가 장착된다. 당해 램은 기계의 나머지에 대한 휠(80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은 또한 수동 제어 메카니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장착부(814)에는 계단 승강 부재(817)가 제공된다. 이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지면에서 베일을 상승시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작동한다.
고정된 휠 부분(804)의 휠(806)은 장착 브래킷(811)에서 운반된다. 장착 브래킷(811)은 고정된 휠 부분(804)을 기계(101)의 하부로 역전하여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장착 브래킷(811)에서 하기 보다 상세히 기술될 바와 같이 베일 지지 정렬부(107)의 부분을 형성하는 롤러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존재하는 수압 펌프(812) 형태의 작동기가 운반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요 섀시 부재(103)은 상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에서 반대 측면으로부터 이동하여 2개의 실질적으로 수직인 부위(108), 및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115)를 형성하는 통합 부재로부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지면 맞물림 부위(803) 및 2개의 하부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위(115)는 신축 운도에 대해 서로에 대해 미끌어지도록 이동가능하여 (너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U-형 부위(814)의 각각의 아암은 섀시의 부위(115)와 맞추어져서 미끄러져 맞물린다. 또한 램(816)이 섀시(102)에 대해 맞물림으로써 상대적인 미끌어짐 운동이 수압 펌프(816)에 의해 달성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휠(805)가 기계의 나머지에 대해 안쪽과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6 27의 비교에 의해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휠(805)는 휠가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떨어지는 작업 구조(포장을 위한) 및 휠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께 근접하게 되는 보다 소형인 구조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소형의 정렬은 이동, 예를 들면, 길 이동에 보다 적합하다. 연장된 정렬은 이것이 포장하기 위해 작업하는 동안 보다 바람직할 수 있는 기계의 안전성을 증가시킨다.
소형의 구성내에서 휠(805)은 베일(240)의 포장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함이 인식될 것이다.
베일 지지 메카니즘(107)은 2개의 롤러(120) 및 (121)을 포함한다. 롤러(121)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적재 아암(201)에서 운반된다. 베일(240)을 포장하기 위하여, 이는 롤러(120) 및 (121) 상에 교정되어서 이들에 의해 회전되어야 함이 인식될 것이다. 소형의 정렬에서 휠(805)은 베일 지지 정렬에 고정되어있는 베일을 방해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함이 인식될 것이다. 특히, 이는 베일이 롤러(120) 및 (121)에 적절히 고정되어 있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베일의 부분은 휠의 상부에 남아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휠이 더이상 베일 지지 정렬의 말단을 초과하여 연장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소형의 정렬을 생성한다. 필수적이지 않지만, 베일(포장되는)의 부분은 2개의 롤러 사이에 연장되므로, 휠의 상부가 베일 지지 정렬을 형성하는 롤러의 상부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계를 높이 방향으로 또한 매우 조절하도록 하며, 중력의 중심을 낮추고, 따라서 기계의 안전성을 증가시켜 기계 토플링(toppling)의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28은 베일(240)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된 도 24의 기계의 측면 사시도이다. 당해 구성에서 견인봉(802)은 오프셋 위치 내에 존재한다.
29는 포장된 베일(240)을 적하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도 24의 기계의 측면 사시도이다. 유압 펌프(812)가 이용되어 롤러(120)을 후방으로 및 하방으로 이동시켜 지면으로 베일(240)의 티핑을 허용한다. 경우에 따라, 말단 팁 부재를 이용하여 이의 평편한 말단에 베일을 세울 수 있다.
30은 대안적인 지면 맞물린 부위(803)의 투시도이다. 당해 구현예에서, U-형 부위(814)의 각각의 아암은 임의로 브래킷(822)을 사용하여 고정된 정렬로 섀시의 위치(115)와 맞물리면서 짝을 이룬다. 휠(805)의 조절은 기계의 나머지에 대해 축(820)을 미끄러지게 조정함으로써 수동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달성한다. 당해 구현예에서 액슬(820)은 하우징(housing)(821)에 대해 미끌어질 수 있다. 수압 펌프(816) 형태의 작동기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절을 달리는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작동시 휠(805)이 기계의 안 및 밖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단어 "포함하다/포함하는" 및 단어 "갖는/포함하는"은 본 발명을 참고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경우 기술된 특징, 정수, 단계 또는 성분의 존재를 명시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하나 이상의 이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성분 또는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독립된 구현예의 내용에서 기술된 명확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정의 특징은 또한 단일의 구현예에서 함께 제공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역으로, 단일의 구현예의 내용에서 기술된, 간결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독립적으로 또는 어떠한 적합한 부-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5)

  1. a. 포장 물질을 베일에 적용하기 위한 포장 메카니즘;
    b. 베일 지지 장치 (arrangement); 및
    c.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overlying wrap)을 적용하는 베일 포장기로서,
    상기 포장기는 연속적인 베일을 포장하기 위한 반복된 작업 사이클에서, 베일을 포장 물질로 공동적으로 회전식으로 포장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격되는 제1 포장 구성 (configuration)을 가지며, 포장 사이클의 시작시에 및 포장 사이클의 말기에 3개의 작동 아암이 서로에 함께 근접해져서 각각의 아암으로부터의 각각의 포장 물질이 하나의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 의해 절단되고 유지될 수 있는 제2 구성을 갖는, 베일 포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아암이 마스터 아암으로 작용하고 다른 2개의 아암이 슬레이브 아암으로 작용하는, 베일 포장기.
  3. 선행 항들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고정된 배향으로 장착되며, 선택적으로는 베일에 적용되는 포장 물질 하부에 장착되는, 베일 포장기.
  4. 선행 항들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비틀림 방지 메카니즘이 구비되어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의 꼬임을 견디는, 베일 포장기.
  5. 선행 항들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베일에 적용되는 포장 물질 하부에 장착되며, 다음의 작동 사이클을 갖는, 베일 포장기.
    a. 모든 3개의 포장 아암으로부터 포장 물질을 잡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포장 물질 맞물림 단계;
    b. 포장 물질을 절단하고 유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하방으로 후퇴시켜서 포장된 베일을 방출시키고 다음 포장 사이클을 위해 물질을 포장하고 유지시키는 절단 및 유지 단계; 및
    c. 포장 물질이 충분히 포장되어 베일 위에 고정된 후에 포장 물질이 방출되는 포장 시작 단계.
  6. 선행 항들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포장 물질의 연속적인 오버라잉 포장이 전체 베일에 포장되도록, 연속적인 포장이 적용되면서 베일을 회전시키는 회전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포장기가 1개, 2개 또는 모두 3개의 포장 아암이 포장 물질을 적용하고 있는지에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베일의 회전 및 포장 아암 운동의 속도를 자동으로 상대적으로 조정하는 자동화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
  7. 선행 항들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아암이 공통의 슬루 환(slew ring) 위에 장착된, 베일 포장기.
  8. 선행 항들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물품이 포장된 후 포장 물질을 절단 및 유지시키기 위하여, 개방되어 (opening) 포장 물질을 맞물리게 하고, 폐쇄하여 (closing) 포장 물질을 절단하고 유지시키되,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될 때,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은,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폐쇄된 길이 (closed length)보다 더 길게 (by an amount greater) 길이가 연장되는, 베일 포장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장치 (arrangement)을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다단계 이중 작용 (double acting) 장치를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단일 작용 유압 실린더를 가지는 다단계 장치를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및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이중 작용 유압 실린더를 가지는 다단계 장치를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
  13. 선행 항들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거나 또는 둘다 일 때 상기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 밖으로 포장 물질의 어떠한 잔사라도 제거하는 자체-세정 메카니즘, 예컨대 스크레이퍼(scraper)를 추가로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자체-세정 메카니즘은, 절단 및 유지 메카니즘에 대해 유지된 포장 물질이 돌출부에 인접하게 되고 함침부를 가로질러 걸쳐지도록 하나의 함침부(recess)가 사이에 있는 적어도 2개의 돌출부(projection)를 가지는 포장 물질 맞물림 부위를 포함하는, 베일 포장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포장 물질 맞물림 부위가 일련의 적어도 3개의 스플라인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베일 포장기.
KR1020227001096A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KR20220011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410117.4A GB201410117D0 (en) 2014-06-06 2014-06-06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GB1410117.4 2014-06-06
GB1416021.2 2014-09-10
GBGB1416021.2A GB201416021D0 (en) 2014-06-06 2014-09-10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GB201504329A GB201504329D0 (en) 2014-06-06 2015-03-13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GB1504329.2 2015-03-13
KR1020167035888A KR20170016876A (ko)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PCT/EP2015/062596 WO2015185732A1 (en) 2014-06-06 2015-06-05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888A Division KR20170016876A (ko)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214A true KR20220011214A (ko) 2022-01-27

Family

ID=5126684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096A KR20220011214A (ko)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KR1020167035888A KR20170016876A (ko)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KR1020237001346A KR20230014852A (ko)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888A KR20170016876A (ko)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KR1020237001346A KR20230014852A (ko) 2014-06-06 2015-06-05 베일 포장기에서의 개선점 및 이와 관련된 개선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3932178A3 (ko)
KR (3) KR20220011214A (ko)
AU (2) AU2015270452B2 (ko)
ES (1) ES2895549T3 (ko)
GB (3) GB201410117D0 (ko)
NZ (1) NZ764406A (ko)
PL (1) PL3151653T3 (ko)
WO (1) WO2015185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5375B2 (en) 2017-01-10 2021-03-16 Groupe Anderson Inc. Apparatus for collecting,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bales
ES2611962B1 (es) * 2017-03-20 2018-02-14 Condearena, S.L. Rodillo para máquinas envolvedoras de pacas de forraje y máquina que incorpora dicho rodillo
CN110249806A (zh) * 2019-06-21 2019-09-20 平顶山市久久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悬挂和弹齿捡拾机构的圆捆捡拾打捆机
GB2597528B (en) * 2020-07-27 2023-02-08 Idough Invest Company Ltd A bale wrapping machine and offload mechanism
NO347697B1 (en) * 2021-12-09 2024-02-26 Orkel As Foil wrap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59366C (no) 1986-02-05 1988-12-21 Jens Oeiestad Anordning ved pakkemaskin for sylindriske gjenstander.
NO165536C (no) * 1988-10-31 1991-02-27 Underhaug As Automatisk rundball-pakker.
GB8908686D0 (en) * 1989-04-18 1989-06-07 Underhaug As Bale wrapper with tiltable turntable
IE61920B1 (en) * 1989-12-01 1994-11-30 Idough Investment Co A device for gripping and cutting film
JP2660776B2 (ja) * 1991-07-17 1997-10-08 株式会社タカキタ ロールベールのラッピングマシン
GB9302996D0 (en) * 1993-02-15 1993-03-31 Kverneland Underhaug As Bale wrapper apparatus
GB9310613D0 (en) * 1993-05-22 1993-07-07 Parmiter P J & Sons Bale wrapping machine
GB2304670B (en) * 1995-08-25 1999-08-18 Ian Malcolm Cleasby A bale wrapping system
DE19731520C2 (de) * 1997-07-23 1999-08-05 Bernd Biller Vorrichtung zum Pressen und Umwickeln von Rundballen
FR2783131B1 (fr) * 1998-09-15 2000-11-24 Bertrand Viviane Roux Presse a balles rondes avec enrubanneuse integree
EP1386532B1 (de) * 2002-08-03 2006-11-15 Welger Maschinenfabrik GmbH Vorrichtung zum Umhüllen von Körpern
KR100582102B1 (ko) 2005-03-02 2006-05-2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원형베일래퍼
IES20080391A2 (en) 2008-05-19 2009-11-25 Idough Invest Company A bale wrapping machine
EP2149293B1 (en) * 2008-07-31 2011-06-29 Deere & Company Baler and wrapper combination
IES20080942A2 (en) * 2008-11-26 2009-12-09 Idough Invest Company A bale-wrapping machine
KR101019749B1 (ko) 2009-04-22 2011-03-08 주식회사 죽암기계 베일 포장기
KR101107770B1 (ko) 2009-05-26 2012-01-20 일진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백라이트 유닛
PL67639Y1 (pl) * 2012-09-18 2015-02-27 Sipma Spółka Akcyjna Obcinacz do folii
US10980182B2 (en) * 2017-11-14 2021-04-20 Deere & Company Wrap delivery system with pivoting 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04767A1 (en) 2019-07-25
AU2019204767B2 (en) 2020-10-15
ES2895549T3 (es) 2022-02-21
EP3151653B1 (en) 2021-09-08
GB201410117D0 (en) 2014-07-23
GB201416021D0 (en) 2014-10-22
WO2015185732A1 (en) 2015-12-10
AU2015270452B2 (en) 2019-06-20
KR20230014852A (ko) 2023-01-30
NZ764406A (en) 2022-02-25
KR20170016876A (ko) 2017-02-14
EP3151653A1 (en) 2017-04-12
GB201504329D0 (en) 2015-04-29
EP3932178A3 (en) 2022-03-16
EP3932178A2 (en) 2022-01-05
NZ727463A (en) 2021-04-30
PL3151653T3 (pl) 2022-01-10
AU2015270452A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4767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US8347784B2 (en) Standing tree baler
AU678590B2 (en) Apparatus for loading flexible tubing with bales
US6053685A (en) Bale accumulator
US2597220A (en) Bale loading machine
US10252824B2 (en) Compression ring for tying tree branches
US5664923A (en) Bale accumulator
US4396331A (en) Bale feeding attachment for a large round bale handling machine
GB2203119A (en) Trailer
NL9401502A (nl) Landbouwmachine.
US3826070A (en) Press operating mechanism for stack-forming machine
AU766994B2 (en) Beach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4716825A (en) Vehicle mounted compaction implement
NZ727463B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e wrapping machines
ITAN20090024A1 (it) Macchina agricola trainabile
AU2011342278B2 (en) Auger conveyor with extendible swing auger assembly
US2617683A (en) Barge
AU2017101758A4 (en) An improved hay rake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mproving user handleability of said hay rake arrangement
GB2477522A (en) Apparatus for lifting, transporting and tipping a load
IES20130335A2 (en) Farm machinery for handling heavy loads
NZ270031A (en) Round bale trailer with an open bottomed frame having side members that are pivotable from the frame along an axis parallel to the advance direction of the trailer
SI25056A (sl) Večnamenski priključek za delovne stroje
NZ314318A (en) Machine for feeding hay bales into flexible plastic tube: machine rests on skid plate to increase reaction force pushing bales into tube
JPH04248921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着脱装置
IES86449Y1 (en) Machinery for handling heavy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