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823A -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823A
KR20220010823A KR1020200089409A KR20200089409A KR20220010823A KR 20220010823 A KR20220010823 A KR 20220010823A KR 1020200089409 A KR1020200089409 A KR 1020200089409A KR 20200089409 A KR20200089409 A KR 20200089409A KR 20220010823 A KR20220010823 A KR 2022001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authentication
electronic
electronic contra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용
조영도
고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블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블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블럭
Priority to KR1020200089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823A/ko
Publication of KR2022001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자 계약 시스템은, 계약 필수 요소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필수 요소 처리 모듈; 계약 선택 요소에 대한 항목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부가적으로 더 생성하여 제공하는 선택 요소 처리 모듈; 계약 주체에 대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고, 휴대폰 인증에 따라 인증 서버로부터 고유값을 제공받는 휴대폰 인증 처리 모듈; 상기 고유값을 이용하여 개인키 및 공개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대표값을 전자서명하는 서명 생성 모듈; 및 인증 대표값, 전자서명 및 공개키를 전자 계약서에 첨부하는 전자 계약서 서명 모듈;을 구비하여, 전자 계약서에 전자 서명을 첨부한다.

Description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Electronic contract system using video call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인인증서가 없는 환경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하여 비대면 디지털 계약을 진행할 때 계약 주체들에 대한 본인 인증, 위변조 방지 및 계약 부인 방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계약 주체들이 직접 대면하여 종이 계약서를 작성하거나, 계약 주체들이 각각 작성된 종이 계약서를 개인 증명 자료들과 함께 우편으로 주고 받으면서 계약을 완성하였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 계약 주체들의 생활 반경이 넓어짐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들이 증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비대면 전자 계약서를 통해 계약을 성사시키고자 하는 요구들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을 통해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계약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자 계약 서비스는 전자 계약이 법적 효력을 증명하기 위하여는, 전자 계약서에 대한 계약 주체에 대한 본인 확인, 위변조 방지 및 부인 방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 계약 주체들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주로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공인 인증서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고 누구나 쉽게 발급받기가 어려운 점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공인 인증서를 폐지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공인 인증서가 없는 환경에서도, 계약 주체들 간의 본인 인증, 전자 계약서에 대한 위변조 방지 및 계약 부인 방지를 할 수 있는 비대면 전자 계약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3267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22263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인인증서가 없는 환경에서, 비대면 디지털 계약을 진행할 때 계약 주체들에 대한 본인 인증, 위변조 방지 및 계약 부인 방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은, 계약 필수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필수 요소 처리 모듈; 계약 선택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생체 인증 정보, 계약 장소 정보 및 단말기 정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항목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부가적으로 더 생성하여 제공하는 선택 요소 처리 모듈; 외부의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와 통신하여 계약 주체에 대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고, 휴대폰 인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로부터 고유값(Duplication Information)을 제공받는 휴대폰 인증 처리 모듈; 상기 필수 요소들에 대한 인증 대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휴대폰 인증에 따른 고유값을 이용하여 개인키 및 공개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대표값을 전자서명하는 서명 생성 모듈; 및 상기 인증 대표값, 상기 전자서명 및 상기 공개키를 전자 계약서에 첨부하는 전자 계약서 서명 모듈;을 구비하여, 전자 계약서에 전자 서명을 첨부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수 요소 처리 모듈은,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택 요소 처리 모듈은,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증 사진은 신분증과 대비 판단할 수 있는 전자 계약시의 계약 주체에 대한 사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약 장소 정보는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단말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단말기의 IP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 요소 처리 모듈은,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단말기로부터 GPS 좌표 정보 또는 IP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계약 장소 정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은, (a) 계약 필수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필수 요소 처리 단계; (b) 계약 선택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생체 인증 정보 및 계약 장소 정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항목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하여 제공하는 선택 요소 처리 단계; (c) 외부의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와 통신하여 계약 주체에 대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고, 휴대폰 인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로부터 고유값(Duplication Information)을 제공받는 휴대폰 인증 처리 단계; (d) 상기 필수 요소들 및 선택 요소들에 대한 인증 대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휴대폰 인증에 따른 고유값을 이용하여 개인키 및 공개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대표값을 전자서명하는 서명 생성 단계; 및 (e) 상기 인증 대표값, 상기 전자서명 및 상기 공개키를 전자 계약서에 첨부하는 전자 계약서 서명 단계;를 구비하여, 전자 계약서에 전자 서명을 첨부한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필수 요소 처리 단계는, 계약 필수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진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계약 필수 요소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선택 요소 처리 단계는, 계약 선택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생체 인증 정보, 계약 위치 정보 및 단말기 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진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계약 선택 요소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추가적으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사진은 신분증 사진과 대비 판단할 수 있는 전자 계약시의 계약 주체에 대한 사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약 장소 정보는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GPS 좌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 요소 처리 단계는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GPS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계약 장소 정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은, 계약 주체에 대한 복수 개의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들을 이용하여 전자 계약서를 전자 서명함으로써, 디지털 계약에서도 계약 주체의 부인 방지에 대한 법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은, 휴대폰 본인 인증을 통하여 계약 주체의 본인 인증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은, 필수 요소와 선택 요소들의 조합과 휴대폰 인증 결과를 조합하여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비대칭키와 함께 전자 계약서에 첨부함으로써, 비대면 전자 계약에 대한 부인 방지 및 위변조 방지의 효용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은 계약 주체에 대한 공인 인증서가 없는 경우에도, 다수의 계약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들의 조합과 휴대폰 본인 인증을 통하여 비대면 전자 계약을 생성하고 전자 계약서를 서명함으로써, 본인 인증, 위변조 방지 및 계약 부인 방지와 같이 필요한 조건들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비대면 전자 계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 계약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계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 계약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 계약 시스템(1)은, 필수 요소 처리 모듈(10), 선택 요소 처리 모듈(20), 휴대폰 인증 처리 모듈(30), 서명 생성 모듈(40) 및 전자 계약서 서명 모듈(50)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전자 계약 시스템은, 공인 인증서 등이 없더라도 전자 계약서에 전자 서명을 첨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 계약서에 대한 본인 인증, 위변조 방지 및 계약 부인 방지의 조건을 모두 충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형 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형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 및 실행됨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필수 요소 처리 모듈(10)은 계약 필수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여 상기 휴대폰 인증 처리 모듈(30)로 제공한다. 상기 수기 서명은 이동통신단말기, 태블릿 PC,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계약 주체의 개인 서명에 대한 이미지 파일이다. 상기 신분증 사진은 법적 효력을 갖는 계약 주체의 신분증에 대한 이미지 파일이며, 상기 인증 사진은 신분증과 신원 대조가 가능한 계약 당시의 계약 주체의 얼굴을 포함하는 사진에 대한 이미지 파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신분증 사진과 대조가 가능한 상태의 사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은 선택 요소 처리 모듈(20)을 더 구비하여, 필요한 경우 전술한 필수 요소 외에도 더 구체적이면서도 지협적인 선택 요소를 추가적으로 더 입력받아 부가적인 인증 정보로 사용함으로써, 향후 분쟁 발생시에 보다 강력한 법적 근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요소 처리 모듈(20)은 계약 선택 요소로서 계약 주체의 휴대폰 등의 상황에 따라 계약 주체에 대한 생체 인증 정보, 계약 장소 정보 및 단말기 정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항목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이용하거나 변환하여 인증 대표값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생체 인증 정보는 계약 주체에 대한 지문, 홍채, 안면 인식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장소 정보는 전자 계약서 서명을 진행하고 있는 장소의 GPS 좌표 정보 또는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단말기의 IP 주소 정보로서, 전자 계약서에 서명하는 단말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또는 IP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계약시 사용되는 단말기가 이동형 단말기인 경우 GPS 좌표 정보를 계약 장소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계약시 사용되는 단말기가 고정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IP 주소 또는 GPS 정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말기 정보는 휴대폰의 고유 기기 번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수 요소 처리 모듈(10) 및 상기 선택 요소 처리 모듈(20)은 각각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 및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서명 생성 모듈(40)로 제공한다.
상기 휴대폰 인증 처리 모듈(30)은 외부의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와 통신하여 계약 주체에 대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고, 휴대폰 인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로부터 고유값(Duplication Information)을 제공받고, 상기 고유값을 상기 서명 생성 모듈(40)로 제공한다.
상기 서명 생성 모듈(40)은 상기 계약 필수 요소 모듈 및 상기 계약 선택 요소 모듈로부터 상기 필수 요소들 및 선택 요소들에 대한 인증 대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휴대폰 인증에 따른 고유값을 이용하여 개인키 및 공개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대표값을 전자서명한다.
상기 전자 계약서 서명 모듈(50)은 상기 인증 대표값, 상기 전자서명 및 상기 공개키를 전자 계약서에 첨부함으로써, 전자 계약서를 완성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전자 계약 시스템에서의 전자 계약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 계약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로 계약 주체의 휴대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어 계약 주체의 단말기에서 실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계약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계약 주체로부터 필수 요소값들을 입력받고(단계 200), 필요한 필수 요소들이 모두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202). 여기서, 상기 필수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에 대한 이미지 파일이다.
다음, 필요한 경우 계약 주체로부터 선택 요소값들 입력 받고(단계 210), 필요한 선택 요소들이 모두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212). 여기서, 상기 선택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약 주체의 생체 인증 정보, 단말기 정보 및 계약 장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음, 입력된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들을 조합하거나 인코딩하여 인증 대표값을 획득한다(단계 220). 일예로서,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인증 대표값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계약 주체들에 대하여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고(단계 230), 휴대폰 인증이 성공하면 휴대폰 인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로부터 고유값(Duplication Information)을 제공받는다(단계 240).
다음, 상기 휴대폰 인증에 따른 고유값을 이용하여 개인키 및 공개키 쌍을 생성하고(단계 250),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대표값을 전자서명한다(단계 260).
다음, 상기 인증 대표값, 상기 전자서명 및 상기 공개키를 전자 계약서에 첨부한다(단계 270).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전자 계약서에 인증 대표값, 전자 서명 및 공개키를 첨부함으로써, 전자 계약서를 완성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 개의 필수 요소 및 선택 요소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계약에서도 계약 주체의 부인 방지에 대한 법적 근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폰 본인 인증을 통하여 계약 주체의 본인 인증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수 요소와 선택 요소들의 조합과 휴대폰 인증 결과를 조합하여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비대칭키와 함께 전자 계약서에 첨부함으로써, 부인 방지 및 위변조 방지의 효용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전자 계약 시스템
10 : 필수 요소 처리 모듈
20 : 선택 요소 처리 모듈
30 : 휴대폰 인증 처리 모듈
40 : 서명 생성 모듈
50 : 전자 계약서 서명 모듈

Claims (10)

  1. 계약 필수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변환하거나 인코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필수 요소 처리 모듈;
    외부의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와 통신하여 계약 주체에 대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고, 휴대폰 인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로부터 고유값(Duplication Information)을 제공받는 휴대폰 인증 처리 모듈;
    상기 휴대폰 인증에 따른 고유값을 이용하여 개인키 및 공개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대표값을 전자서명하는 서명 생성 모듈; 및
    상기 인증 대표값, 상기 전자서명 및 상기 공개키를 전자 계약서에 첨부하는 전자 계약서 서명 모듈;
    을 구비하여, 전자 계약서에 전자 서명을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요소 처리 모듈은,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계약 필수 요소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계약 시스템은,
    계약 선택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생체 인증 정보, 계약 장소 정보 및 단말기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항목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변환하거나 인코딩하여 인증 대표값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하여 제공하는 선택 요소 처리 모듈;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사진은 전자 계약시의 계약 주체에 대한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장소 정보는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단말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단말기의 IP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 요소 처리 모듈은,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단말기로부터 GPS 좌표 정보 또는 IP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계약 장소 정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시스템.
  6. (a) 계약 필수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변환하거나 인코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필수 요소 처리 단계;
    (b) 외부의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와 통신하여 계약 주체에 대한 휴대폰 인증을 수행하고, 휴대폰 인증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사의 인증 서버로부터 고유값(Duplication Information)을 제공받는 휴대폰 인증 처리 단계; 및
    (c) 상기 휴대폰 인증에 따른 고유값을 이용하여 개인키 및 공개키 쌍을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대표값을 전자서명하는 서명 생성 단계; 및
    (d) 상기 인증 대표값, 상기 전자서명 및 상기 공개키를 전자 계약서에 첨부하는 전자 계약서 서명 단계;
    를 구비하여, 전자 계약서에 전자 서명을 첨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필수 요소 처리 단계는,
    계약 필수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수기 서명, 신분증 사진 및 인증 사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이미지들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필수 요소들을 이진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진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계약 필수 요소들에 대한 해시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이용하여 인증 대표값을 생성하거나 상기 획득된 해시값들을 배열 형태로 저장하여 인증 대표값으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계약 방법은,
    계약 선택 요소로서 계약 주체에 대한 생체 인증 정보, 계약 장소 정보 및 단말기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항목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계약 선택 요소들을 변환하거나 인코딩하여 인증 대표값을 추가적으로 더 생성하여 제공하는 선택 요소 처리 단계;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사진은 상기 신분증 사진과 대비 판단할 수 있는 전자 계약시의 계약 주체에 대한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장소 정보는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단말기의 GPS 좌표 정보 또는 단말기의 IP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택 요소 처리 단계는,
    전자 계약을 처리하는 단말기로부터 GPS 좌표 정보 또는 IP 주소 정보를 획득하여 계약 장소 정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를 기반으로 한 전자 계약 방법.
KR1020200089409A 2020-07-20 2020-07-20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10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409A KR20220010823A (ko) 2020-07-20 2020-07-20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409A KR20220010823A (ko) 2020-07-20 2020-07-20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823A true KR20220010823A (ko) 2022-01-27

Family

ID=8004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409A KR20220010823A (ko) 2020-07-20 2020-07-20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08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72B1 (ko) 2011-10-14 2012-04-0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자 계약서를 이용한 통합 인증 시스템
KR20170022263A (ko) 2015-08-20 2017-03-02 진성열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계약 체결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72B1 (ko) 2011-10-14 2012-04-0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자 계약서를 이용한 통합 인증 시스템
KR20170022263A (ko) 2015-08-20 2017-03-02 진성열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계약 체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4257B2 (en) Mobile device transaction us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20180309581A1 (en) Decentralized biometric signing of digital contracts
US20210166241A1 (en) Methods, apparatuses, storage mediums and terminal devices for authentication
US20100223663A1 (en) Authenticating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uthenticating system and authenticating method
US91651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images
US20180026790A1 (en) Evidence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whether digital file is forged or falsified by using smart phone and smart phone having certification function of smart phone screen capture image and method thereof
IL257013A (en) A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 writer's identity during an electronic signature activity
CN110598460B (zh) 基于区块链的电子签字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833431B (zh) 一种密码重置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61919A (ko) 안면인식 기반 전자서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60123752A (ko)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폰 화면 캡쳐 이미지 인증 방법
CN111626731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合同签约身份认证和签名系统
CN111681141B (zh) 文件认证方法、文件认证装置及终端设备
TWM569875U (zh) 具有整合介面裝置的影音記錄裝置
JP7112320B2 (ja) 検証装置及び検証方法
KR20220010823A (ko) 화상 통화 기반의 전자 계약 시스템 및 방법
CN114900312B (zh) 一种保护隐私的身份凭证背书生成和验证方法
US20210028944A1 (en) Signature Token System
JP7398463B2 (ja) 汎用認証及び認定契約方法
CN113162770A (zh) 线上签名方法及系统
JP2021190748A (ja) 証拠保全システム及び証拠保全方法
KR20210086035A (ko) 블록체인 기반 원본 증명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545949B1 (ko) 모바일 가변 보안 qr 코드 기반 출입/근태 관리 시스템
TWI673623B (zh) 具有整合介面裝置的影音記錄裝置
KR101235608B1 (ko) 단말 식별 정보와 멀티미디어 신원 정보를 활용한 다중 요소 인증 정보 처리 방법 및 다중 요소 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