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320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320A
KR20220009320A KR1020210052592A KR20210052592A KR20220009320A KR 20220009320 A KR20220009320 A KR 20220009320A KR 1020210052592 A KR1020210052592 A KR 1020210052592A KR 20210052592 A KR20210052592 A KR 20210052592A KR 20220009320 A KR20220009320 A KR 2022000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sentence
verb
learn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장혁
Original Assignee
서장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장혁 filed Critical 서장혁
Publication of KR2022000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3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for finding and arranging a subjects and a verb of a sentence. Provided ar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wherein the system comprises: a verb selector that selects a verb vocabulary from the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Hangul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 subject selector for selecting a subject vocabulary from a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Hangul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 subject-verb input unit that displays the selected subject and verb vocabulary parts as blanks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Hangul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nd receives English word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and an English sentence generator that generates English sentences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wherein an English word or phrase corresponding to a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is presented, the word order of the English word or phrase is arrange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and English sentences are generated.

Description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s}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using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본 발명은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장의 주어, 동사를 구분하여 찾고 배치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nd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for distinguishing and arranging subject and verb of a sentence.

일반적으로 영어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서, 국제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국내의 영어 학습에 관한 관심은 매우 높으나, 다양한 영어 학습 방식에도 불구하고 영어에 대한 학습 능률은 기대만큼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English is a widely used language around the world, and as we enter an internationalized society,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in Korea is very high. the current situation.

특히, 영어를 학습하는 사람들에 있어서 영어문장을 독해하거나 듣고 해석하는 데에 비해 영어문장을 완성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즉, 많은 한국인들이 영어 학습에 적지 않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만, 정작 하고 싶은 말을 영어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In particular, for people learning English, there are many people who find it difficult to complete English sentences compared to reading, listening, and interpreting English sentences. In other words, although many Koreans inves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learning English, they are having difficulty expressing what they want to say in English.

일반적으로 영어를 학습하는 방법으로는 문장의 기본구성을 분별하여 학습하는 방법과, 읽고 듣는 등 회화를 주In general, the method of learning English is to learn by distinguishing the basic structure of sentences, and to focus on conversation such as reading and listening.

로 하여 학습하는 방법과, 전문기술분야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습득하기 위하여 전문단어를 위주로 학습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영어교육 학습방법은 일반적으로 단기간에 습득하여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하는 학습 정도를 가질 수도 있으며, 꾸준히 계속적으로 학습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하거나 새로운 문화에 대한 영어분야의 지식을 습득하도록 학습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re are two methods: the method of learning as a linguist, and the method of learning specialized words in order to acquire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the relevant field in the field of specialized technology. In general, this method of learning English education can have a degree of learning that reaches a certain level by acquiring it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might be

그러나 영어에 대한 학습방법을 영어문장 유형별, 회화 중심 또는 용어 중심으로 한다 하여도 그 어느 것 하나 필요하지 않는 것이 없다. 이에 과거에는 영어문장에 대한 다수의 문장 형식별로 학습하고, 또한 이를 더욱 세분화하여 수년 동안 학습하여도 정작 일상생활에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However, even if the learning method for English is focused on each type of English sentence, conversation or terminology, there is no need for any of them. Therefore, in the pa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English sentences cannot be used in daily life even after learning for each type of sentence and further subdividing them for many years.

또한 회화 또는 전문용어를 위주로 학습한다 하여도, 영어문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게 되면 회화를 통하여 일상생활에 적용하거나 전문분야의 지식을 습득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you study mainly conversational or technical terms, if you do not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English sentences, there is a limit to applying to daily life or acquiring knowledge in specialized fields through conversation.

특히 어느 정도의 기본 문장에 대한 지식이 있다 하여도 순식간에 말하고 듣게 되는 회화의 경우, 많은 양의 영작 및 영문해석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기존의 문장 분류 형식으로는 한계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nversations that can be spoken and heard in an instant even if there is some knowledge of basic sentences, there is a limit to the existing complex sentence classification format in order to apply it to a large amount of English writing and English interpretation.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1108호에서 디 패턴 정의를 이용한 영어교육 학습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디 패턴 정의를 이용한 영어교육 학습방법은 디 패턴에 대한 정의가 복잡하고 유아 또는 초등학생이 장문의 영어문장을 학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1108 proposes an English education learning method using the D-pattern definition. However, the English education learning method using the D-pattern definition has a complicated definition of the D-pattern, and is difficult for infants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blem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learn long English sentences.

KRKR 10-090110810-0901108 B1B1 KRKR 10-2013-004385210-2013-0043852 A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학습자가 영어를 학습함에 있어 문제에 대한 훈련과 해답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단계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such a technical background, and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that provides step-by-step learning content so that learners can train themselves and find answers to problems in learning English.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영어식 사고를 통해 하고자 하는 말을 영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연습하고, 국어와 영어의 문장 어순이 다른것에 대한 연습을 통해 그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영어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by practic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what you want to say in English through English thinking, and practicing the sentence order of the Korean language and English, it can help improve English learning ability to reduce the burde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장치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 동사 선택부,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주어 어휘를 선택받는 주어 선택부,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상기 선택받은 주어, 동사 어휘 부분을 공백으로 표시하고,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 주어 동사 입력부 및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 또는 구를 제시하고, 영어 단어 또는 구의 어순을 배치하여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영어 문장 생성부를 포함한다.That is,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b selector that selects a verb vocabulary from a learner for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the learning mission A subject selector that receives a subject vocabulary selected from the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nd a subject-verb input unit that receives an English word corresponding to a subject and a verb vocabulary, and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presents an English word or phrase corresponding to a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and verb and an English sentenc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English sentence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by arranging the word order of an English word or phrase.

한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은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주어 어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상기 선택받은 주어, 동사 어휘 부분을 공백으로 표시하고,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 또는 구를 제시하고, 영어 단어 또는 구의 어순을 배치하여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the sentence structure and the part-of-speech performed i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the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is to receive a verb vocabulary selected from the learner for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Step, receiving a selected subject vocabulary from the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the selected subject and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a blank part, receiving an input of an English word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and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n English word or phrase corresponding to a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and generating an English sentence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by arranging the word order of an English word or phrase.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가 영어를 학습함에 있어 문제에 대한 훈련과 해답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단계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that provides step-by-step learning content so that learners can train themselves and find answers to problems in learning English. .

또한, 영어식 사고를 통해 하고자 하는 말을 영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연습하고, 국어와 영어의 문장 어순이 다른것에 대한 연습을 통해 그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영어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actic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what you want to say in English through English thinking, and practicing the sentence order of the Korean language and English, it can help improve English learning ability to reduce the burde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미션 제시 화면의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동사찾기 화면의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주어 찾기 화면의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문장 구조 파악을 위한 학습 화면의 예시도,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문장 다듬기 학습 화면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미션 완료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of a mission presentation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exemplary views of a verb search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of a subject search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learning screen for understand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E are exemplary views of a sentence trimming learning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ission completion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in the meaning of a human be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10)는 1단계로 내가 말하고 싶은 문장에서의 동사찾기 기능을 수행한다. 모든 문장의 핵심은 동사인데, 내가 하고 싶은 말 내에서 동사를 찾는 과정을 연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동사를 찾아야 더 중요한 주어를 찾을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영어에서는 주어와 동사는 갯수가 같다. The apparatus 10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a function of finding a verb in a sentence I want to say in a first step. The core of every sentence is a verb, and I practice the process of finding a verb within the words I want to say. This is because finding a verb can help you find a more important subject. In general, in English, the subject and verb have the same number.

그리고 2단계로 내가 말하고 싶은 문장에서의 주어찾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국말은 주어 없이 말해도 되지만, 영어는 일반적으로 주어가 있어야 문장이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 다수의 학습자가 영어학습에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영어로 하고 싶은 말을 떠올림과 동시에 주어 그리고 동사가 머릿속에 정렬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주어를 찾는 연습 단계를 거쳐 이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 And in the second step, I perform the subject search function in the sentence I want to say. In Korean, you can speak without a subject, but in general, English requires a subject to form a sentence. At this stage, many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learn English. Therefore, the subject and verb must be aligned in the mind at the same time as you think of the words you want to say in English. You can learn this process through the practice of finding the subject.

3단계로 문장 구조 파악하기 기능을 수행한다. 즉, 주어와 동사를 찾았으면 그 다음 단계는 문장앞에 '주어+동사'를 넣고 전체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 과정을 연습 할 수 있다. It performs the function of grasping the sentence structure in three steps. That is, after finding the subject and verb, the next step is to put 'subject + verb' in front of the sentence and practice the process of grasping the entire sentence structure.

마지막 단계로 문장다듬기 기능을 수행한다. 즉, 3단계에서 만들어진 문장 구조를 바탕으로 한국어 → 영어로 단어로 바꾸는 과정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즉, 배운 영단어 어휘를 어떤 뉘앙스로 어떤 단어로 대체하는지 학습 내용을 제시함과 동시에 학습자가 적절한 어휘의 습득이 가능하도록 연습할 수 있다. As the last step, the sentence trimming function is performed. In other words, based on the sentence structure created in step 3, you can learn the process of converting Korean → English into word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learning contents on how to replace the learned English word vocabulary with which word, and at the same time to practice so that the learner can acquire an appropriate vocabulary.

도 1 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장치(10)는 통신부(110), 동사 선택부(120), 주어 선택부(130), 주어 동사 입력부(140), 영어 문장 생성부(150), 정답 확인부(160), 영어 문단 표시부(170) 및 미션 처리부(18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apparatus 10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 verb selection unit 120 , a subject selection unit 130 , and a subject verb input unit 140 . , an English sentence generation unit 150 , a correct answer confirmation unit 160 , an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170 , and a mission processing unit 180 .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학습자 단말(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ny internal component or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the external arbitrary terminal may include the learner terminal 20 and the like. Here,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Wi-Fi Direct (Wi-Fi Direct), etc.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 and the like.

학습자 단말(20)은 영어 학습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영어 학습자가 소지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 (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20 includes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foldable terminal, and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possessed by an English learner who wants to use English learning content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computer, Slate PC, Tablet PC ), ultrabooks, wearable devices, for example, watch-type terminals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s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Wibro (Wibro) terminal,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smart TV,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 A/V (Audio/Video) system, flexible terminal, digital signage device, etc.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have.

동사 선택부(120)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다.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은 샘플로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한 것일 수도 있고,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20)의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를 통해 직접 작성한 것일 수도 있다. The verb selector 120 receives a selection of a verb vocabulary from a learner for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may be based on pre-stored data as a sample, or may be directly written by the learner through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the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of the learner terminal 20 .

동사 선택부(120)는 한글 문단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들을 구분하여 나열하고, 학습자가 각 문장에 포함된 동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블록 표시 기능 또는 밑줄 기능으로 동사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문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사를 선택받을 수 있다. The verb selector 120 classifies and lists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and may select a verb by a block display function or an underline function so that a learner can select a verb included in each sentence. Also, at least one verb may be selected in the sentence.

주어 선택부(130)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주어 어휘를 선택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어 선택부(130)는 한글 문단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들을 구분하여 나열하고, 학습자가 각 문장에 포함된 주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블록 표시 기능 또는 밑줄 기능으로 동사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문장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어를 선택받을 수 있다. The subject selector 130 receives a subject vocabulary selected from the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In an embodiment, the subject selector 130 divides and lists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and a verb is selected by a block display function or an underline function so that the learner can select a subject included in each sentence. can In addition, at least one subject may be selected in the sentence.

특히, 주어 선택부(130)는 주어가 생략된 문장에서는 학습자가 의미상 숨은 주어를 찾아서 입력할 수 있도록 숨은 주어 삽입 표시 기능이나, 직접 학습자가 숨은 주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보드 자판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subject selector 130 provides a hidden subject insertion display function so that the learner can find and input a semantically hidden subject in a sentence in which the subject is omitted, or a user interface such as a keyboard so that the learner can directly input the hidden subject. provides more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선택받은 주어, 동사 어휘 부분을 공백으로 표시하고,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다. 주어, 동사 어휘 부분을 공백으로 표시하여 문장의 기본이 되는 주어, 동사를 기준으로 문장 구조를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ubject-verb input unit 140 displays the selected subject and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nd receives English word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By displaying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parts as blan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ntence structure can be learned based on the subject and verb, which are the basis of the sentence.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공백으로 표시된 주어, 동사 어휘를 보기로 제시하고, 제시된 보기들 중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받는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presents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displayed as blanks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nd among the presented examples, the subject and verb Select and input English words corresponding to the vocabulary.

이때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주어의 기본형에 기반하여 그에서 파생된 시제나 주어(인칭)에 따른 변형, 조동사의 활용등에 필요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비교학습 내용을 더 표시해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may further display comparative learning contents to enable learning necessary for the tense or subject (person) derived from the basic form of the subject,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 (person), and the use of auxiliary verbs.

일예로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동사 위치 공백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터치를 하는 등 동사 위치의 공백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추가 팝업창이 출력되면서, 동사 기본형에서 파생된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 수동태나 to부정사와 같은 동사 형태를 포함하는 2차 선택보기 화면을 출력한다. As an example,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outputs an additional pop-up window when a selection signal for a space of a verb is input, such as placing a cursor in the space of a verb or making a touch, present tense, past tense, future tense, Displays the secondary selection view screen including verb forms such as passive voice and to-infinitive.

이때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학습자 또는 학습 관리자 설정에 의해 문법적 학습 단계나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동사 변형 예시를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학습 진도를 '시제'로 설정할 경우에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동사 위치 공백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터치를 하는등 동사 위치의 공백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추가 팝업창이 출력되면서 동사의 다양한 시제 형태를 2차 선택 보기 화면으로 제공한다.In this case,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may output various examples of verb variations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learning stage or the learner's level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learner or the learning manager. For example, when the learner's learning progress is set to 'tense',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outputs an additional pop-up window when a selection signal for the space of the verb is input, such as placing the cursor in the space of the verb or making a touch. It provides various tense forms of verbs as a secondary selection view screen.

그리고 학습 진도를 '부정사'로 설정할 경우에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동사 위치 공백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터치를 하면 추가 팝업창이 출력되면서 원형부정사, to 부정사, 동명사 형태를 2차 선택 보기 화면으로 제공한다.And when the learning progress is set to 'infinitive',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displays an additional pop-up window when the cursor is positioned in the blank of the verb position or touched, and the circular infinitive, to infinitive, and gerund form are displayed as a secondary selection view screen. to provide.

이때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학습자가 오답을 선택할 경우에는 해당 오답에 대한 문법적인 추가 설명을 더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learner selects an incorrect answer,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may further output a grammatical additional explanation for the incorrect answer.

문법적인 추가 설명이나, 학습 진도에 따른 추가 팝업창에 표시되는 선택보기 화면의 설정은 학습 관리자에 의해 입력, 저장된 데이터들에 기반할 수 있고, 입력, 저장된 데이터들은 학습 관리자에 의해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주어 동사 입력부(140)는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들을 기계 학습하고, 학습자의 약점을 반영하여 인공지능 기술에 기반한 2차 선택 보기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grammatical additional explanation or the setting of the selection view screen displayed in the additional pop-up window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can be based on the data input and stored by the learning manager, and the input and stored data can be updated at any time by the learning manager . In addition,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machine-learns the contents learned by the learn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nd provide a secondary selection view scree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y reflecting the learner's weaknesses.

이에 따라 문장 구조에 기반한 영어 학습 뿐 아니라 동사의 확장 어휘 및 파생 변형내용까지의 학습이 가능하여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earn not only English learning based on sentence structure, but also extended vocabulary of verbs and derived modified contents, resulting in an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주어 동사 입력부(140)에서 전체 문장 구조에 따라 주어,동사가 삽입되는 위치를 선별되게 표시하여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국어와 영어의 문장 구조 차이를 인지하며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장 전체에서 주어 동사를 기준으로 이외의 품사 어휘를 확장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영어 문장 구도 학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The subject-verb input unit 140 selectively displays and grasps positions at which subjects and verbs are inserted according to the entire sentence structure, thereby recognizing and lear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tence structures of Korean and English.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effective learning of English sentence structure by expanding parts-of-speech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verb based on the entire sentence.

영어 문장 생성부(150)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 또는 구를 제시하고, 영어단어 또는 구의 어순을 배치하여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생성한다.The English sentence generation unit 150 presents an English word or phrase corresponding to a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nd arranges the word order of the English word or phrase in the Korean paragraph. An English sentence is generated for each included at least one sentence.

영어 문장 생성부(150)는 미션으로 제시된 한글 문단에 포함된 모든 한글 문장에 대해서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해서도 학습자로부터 직접 단어 또는 구를 퀴즈 형태로 입력받아 적절성을 검토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미리 제시되는 소정 개의 보기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어휘 학습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English sentence generating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reviewing adequacy by directly inputting words or phrases from the learner in the form of a quiz even for vocabulary other than subject verbs for all Korean sentences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esented as a mission, or It may also be implemented to perform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presented predetermined example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영어 문장 생성부(150)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제시한 영어 단어 또는 구마다 학습 내용을 더 표시한다. 즉, 영어 단어 구마다 관련 의미나 문법 보충 설명을 제시하여 다양한 관점에서의 학습이 가능하여 학습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lish sentence generating unit 150 further displays the learning content for each English word or phrase presented for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learn from various viewpoints by presenting relevant meanings or grammatical supplementary explanations for each English word phrase, thereby increasing learning efficiency.

정답 확인부(160)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동사 선택부(120) 및 주어 선택부(130)에서 학습자가 선택한 동사 어휘가 기 저장된 동사 어휘와 일치하는지, 주어 어휘가 기 저장된 주어 어휘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 확인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기 저장된 동사 어휘 및 주어 어휘를 표시하여 정답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correct answer checking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verb vocabulary selected by the learner by the verb selection unit 120 and the subject selection unit 130 matches the pre-stored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the subject The correct answer confirmation screen is provided by checking whether the vocabulary is the pre-stored subject vocabulary. In addition, a screen for correct answers may be provided by displaying pre-stored verb vocabulary and subject vocabulary.

이때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이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20)의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를 통해 직접 작성한 것일 경우에 정답 확인부(160)는 기계학습된 내용에 기반하여 입력된 한글 문단에서 동사 어휘 및 주어 어휘를 추출해낼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is directly written by the learner through the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the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of the learner terminal 20, the correct answer checking unit 160 determines the Korean input based on the machine-learned content. Verb vocabulary and subject vocabulary can be extracted from paragraphs.

정답 확인부(160)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추출해낸 동사 어휘 및 주어 어휘와 동사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동사 어휘 및 주어 선택부(130)에서 입력된 주어 어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The correct answer confirmation unit 160 confirms the correct answer by confirming whether the verb vocabulary and subject vocabulary extract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atch the verb vocabulary selected by the verb selection unit 120 and the subject vocabulary input by the subject selection unit 130 . display the screen.

정답 확인부(160)는 학습자가 학습 미션에 따라 기재한 동사 어휘 및 주어 어휘의 정답과 일치여부에 따라 미션 수행율을 산출하여 제시해줌으로써 학습자의 경쟁 심리를 자극하여 학습 의지를 고조시킬 수 있고, 미션 수행 및 그에 따른 보상 수단을 학습자 연령에 맞게 도입하여 학습 흥미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The correct answer confirmation unit 160 calculates and presents the mission performance rate according to the correct answer of the verb vocabulary and the subject vocabulary written by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learning mission, thereby stimulating the competitive psychology of the learner and enhancing the will to lear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terest in learning is derived by introducing the means of mission performance and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learner's age.

그리고, 영어 문단 표시부(170)는 상기 영어 문장 생성부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과 매칭되게 영어 문단을 생성하여 화면 표시한다. 영어 문단 표시부(170)는 학습자가 주어 동사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한 내용을 반영하여 영어 문단을 생성하여 화면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170 generates and displays an English paragraph to match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by using an English sentence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generated by the English sentence generation unit. The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170 reflects the content input by the learner through the subject verb input unit 140 to generate an English paragraph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미션 처리부(180)는 일정 시간 이내에 영어 문단 표시부(170)에 화면 표시된 영어 문단 전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미션 클리어 처리한다. 즉, 영어 문단 표시부(170)에서 생성된 영어 문단 전체를 얼마나 빠른 속도로 읽을 수 있는지를 미션으로 제안하여 평가함으로써 속도 및 정확도를 포함하는 읽기 능력을 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English paragraph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170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mission processing unit 180 processes the mission clear. That is, by suggesting and evaluating how fast the entire English paragraph generated by the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170 can be read as a miss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ading ability including speed and accuracy can be directed.

추가적으로 미션 처리부(180)는 영어 문단 표시부(170)에 표시된 영어 문단 전체를 원어민 발음으로 선제시후 따르도록 미션 기능을 제시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mission processing unit 180 may present a mission function so that the entire English paragraph displayed on the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170 is followed by a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그리고 미션 처리부(180)는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발음의 정확도를 체크하여 정확도에 따른 미션 수행률을 상이하게 제시함으로써 읽는 속도 뿐 아니라 정확한 발음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ission processing unit 180 may improve the reading ability with accurate pronunciation as well as the reading speed by checking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based on the input voice data and presenting different mission performance rates according to the accurac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미션 제시 화면의 예시도이다.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ission presentation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와 같이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은 샘플로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한 것일 수도 있고,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의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를 통해 직접 작성한 것일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s shown in FIG. 2 may be based on data stored in advance as a sample, or may be directly written by the learner through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the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of the learner's terminal.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동사찾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3A and 3B are exemplary views of a verb search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영어 학습 컨텐츠는 도 3a와 같이 도 2의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각 문장들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각 문장마다 동사를 밑줄로 표시하거나, 블록으로 선택하여 동사를 선택받는다. In the English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3A , each sentence included in the Hangul paragraph of FIG. 2 is displayed separately, and a verb is marked with an underline for each sentence or a verb is selected by selecting it as a block.

이때 하나의 문장안에 포함된 동사의 개수를 힌트로 제공해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verbs included in one sentence can be provided as a hint.

그리고 표시된 문장에서 동사 선택을 완료하면, 도 3b와 같이 정답 화면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이 수행한 동사 선택 사항이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nd when the verb selection is completed in the displayed sentence, the correct answer screen is provided as shown in FIG. 3B so that the learner can check in real time whether the selected verb is the correct answer.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주어 찾기 화면의 예시도이다.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of a subject search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같이 먼저 선택한 동사 어휘는 밑줄등으로 구분되게 표시한 상태에서 주어 어휘를 찾아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의미상 숨어있는 주어를 모두 기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4A , a screen for finding and selecting a subject vocabulary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viously selected verb vocabulary is marked with an underscore or the like.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induce the description of all the subjects hidden in meaning.

그리고 도 4b와 같이 정답화면을 통하여 가주어 및 숨은 주어까지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반복 할습을 통해 가주어나 의미상 기재되지 않은 숨은 주어까지 확장시켜서 생각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다. And, by presenting the false subject and the hidden subject through the correct answer screen as shown in FIG. 4B, the learner can be trained to think by expanding to the false subject or the hidden subject that is not described in the meaning through repeated pluralism.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문장 구조 파악을 위한 학습 화면의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learning screen for grasping a sentence structure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와 같이 주어와 동사 자리를 공백으로 표시해줌으로써 문장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화면을 제시한다. 이때, 공백 자리에 매칭되는 주어 및 동사에 대한 영어 단어를 보기로 제시하여 학습자가 공백을 채워넣으면서 주어 동사 어휘 및 문장 구조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 a screen on which a sentence structure can be grasped is presented by displaying the subject and verb positions as blanks. In this case, by presenting the English words for the subject and the verb matching the blanks as examples,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learner can learn about the subject-verb vocabulary and sentence structure while filling in the blanks.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도 5의 문장 구조 파악화면에서 동사 위치 공백에 위치시키거나 터치를 하면 추가 팝업창이 출력되면서, 동사의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 수동태나 to 부정사와 같은 동사 변형 목록이 2차보기로 더 출력될 수 있다. 학습자는 해당 위치에 적합한 동사 형태를 선택하는 것으로 문장 구조 학습에서 나아가 문법적인 학습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In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pop-up window is output when placing or touching a verb position blank on the sentence structure grasping screen of FIG. It can be further printed as a secondary view. The learner selects the appropriate verb form for the location, which has the effect that grammatical learning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as well as sentence structure learning.

도 6a 내지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문장 다듬기 학습 화면의 예시도이다. 6A to 6E are exemplary diagrams of a sentence trimming learning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e와 같이 미션으로 제시된 한글 문단에 포함된 모든 한글 문장에 대해서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를 제시해주고 추가적으로 제시된 어휘인 단어 또는 구에 대해 면밀히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더 제공해준다. As shown in FIGS. 6A to 6E , for all Korean sentences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esented as a mission,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is presented, and additionally, it provides the content for closely learning the word or phrase, which is the presented vocabulary.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6a 내지 도 6e와 같이 미션으로 제시된 한글 문단에 포함된 모든 한글 문장에 대해서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해서도 학습자로부터 직접 단어 또는 구를 입력받아 적절성을 검토하거나, 미리 제시되는 소정 개의 보기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거쳐서 어휘 학습을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for all Korean sentences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esented as a mission as shown in FIGS. 6A to 6E , words or phrases are directly input from the learner for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and the appropriateness is reviewed, or a predetermined It can also be implemented to learn vocabulary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one from the dog's view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의 미션 완료 화면의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ission completion screen of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는 도 7과 같이 한글 문단 전체를 영어 문단으로 표시하여 화면 제공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제시된 영어 문단을 음성으로 읽어들이는 미션을 더 제시할 수 있다.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발음의 정확도를 체크하여 정확도에 따른 미션 수행률을 상이하게 제시함으로써 읽는 속도 뿐 아니라 정확한 발음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The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the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screen by displaying the entire Korean paragraph as an English paragraph as shown in FIG. have. By checking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based on the input voice data and presenting different mission performance rates according to the accuracy, it is possible to improve reading ability with accurate pronunciation as well as reading spe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은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다(S800). In the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performed in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a verb vocabulary is selected by a learner for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S800) ).

그리고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상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 단계에서 학습자가 선택한 동사 어휘가 기 저장된 동사 어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 확인 화면을 제공한다(S810).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verb vocabulary selected by the learner matches the pre-stored verb vocabulary, and a correct answer confirmation screen is provided (S810).

이후에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주어 어휘를 선택받는다(S820). Thereafter, a subject vocabulary is selected from the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S820).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가 선택한 주어 어휘가 기 저장된 주어 어휘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 확인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기 저장된 주어 어휘를 표시하여 정답화면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The correct answer confirmation screen is provided by checking whether the subject vocabulary selected by the learner is the pre-stored subject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In addition, a pre-stored subject vocabulary may be displayed to further provide a correct answer screen.

이때 의미상 숨어있는 주어를 모두 기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답화면을 통하여 가주어 및 숨은 주어까지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반복 할습을 통해 가주어나 의미상 기재되지 않은 숨은 주어까지 확장시켜서 생각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induce the description of all the subjects hidden in meaning. In addition, by presenting false subjects and hidden subjects through the correct answer screen, learners can be trained to think by expanding to false subjects or hidden su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in meaning through repetition.

그리고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선택받은 주어, 동사 어휘 부분을 공백으로 표시하고,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다(S830). In addition, the selected subject and verb vocabulary parts are blanked out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nd an English word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is input (S830).

이때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공백으로 표시된 주어, 동사 어휘를 보기로 제시하고, 제시된 보기들 중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받는다.At this time, the step of receiving the English word is to present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marked blank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nd to select the English word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among the presented examples. Select and enter.

그리고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 또는 구를 제시하고(S840), 영어 단어 또는 구의 어순을 배치하여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생성한다(S850).An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n English word or phrase corresponding to a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is presented (S840), and the word order of the English word or phrase is arranged to at least on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An English sentence is generated for each sentence of (S85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제시한 영어 단어 또는 구마다 학습 내용을 더 표시해준다(S860). 한글 문단에 포함된 모든 한글 문장에 대해서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를 제시해주고 추가적으로 제시된 어휘인 단어 또는 구에 대해 면밀히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을 더 제공해준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generating an English sentence further displays the learning contents for each English word or phrase presented for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S860). It provides vocabulary other than subject verbs for all Korean sentences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and provides additional content to learn more closely about the additionally suggested vocabulary words or phrases.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과 매칭되게 영어 문단을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고(S870),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면 표시된 영어 문단 전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미션 클리어 처리한다(S880).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발음의 정확도를 체크하여 정확도에 따른 미션 수행률을 상이하게 제시함으로써 읽는 속도 뿐 아니라 정확한 발음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In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glish paragraph is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o match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by using an English sentence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generated in the step of generating an English sentence (S870), If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English paragraph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mission is cleared (S880). By checking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based on the input voice data and presenting different mission performance rates according to the accuracy, it is possible to improve reading ability with accurate pronunciation as well as reading speed.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able

10 :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장치 20 : 학습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동사 선택부
130 : 주어 선택부 140 : 주어 동사 입력부
150 : 영어 문장 생성부 160 : 정답 확인부
170 : 영어 문단 표시부 180 : 미션 처리부
10: English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20: learner terminal
110: communication unit 120: verb selection unit
130: subject selection unit 140: subject verb input unit
150: English sentence generation unit 160: correct answer confirmation unit
170: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180: mission processing unit

Claims (10)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 동사 선택부;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주어 어휘를 선택받는 주어 선택부;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상기 선택받은 주어, 동사 어휘 부분을 공백으로 표시하고,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 주어 동사 입력부; 및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 또는 구를 제시하고, 영어단어 또는 구의 어순을 배치하여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영어 문장 생성부;를 포함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장치.
a verb selector for selecting a verb vocabulary from a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a subject selector for selecting a subject vocabulary from a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Hangul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 subject-verb input unit for displaying the selected subject and verb vocabulary parts as blanks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nd receiving English word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an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n English word or phrase corresponding to a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is presented, and the word order of the English word or phrase is arrange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English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including; an English sentenc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nglish sentence.
제 1 항에 있어서,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상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 단계에서 학습자가 선택한 동사 어휘가 기 저장된 동사 어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 확인 화면을 제공하는 정답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the correct answer confirmation unit provides a correct answer confirmation screen by checking whether the verb vocabulary selected by the learner matches the pre-stored verb vocabulary;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further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문장 생성부는,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제시한 영어 단어 또는 구마다 학습 내용을 더 표시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nglish sentence generation unit,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furthe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for each English word or phrase presente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문장 생성부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과 매칭되게 영어 문단을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영어 문단 표시부; 및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영어 문단 표시부에 화면 표시된 영어 문단 전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미션 클리어 처리하는 미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English paragraph on the screen to match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by using an English sentence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generated by the English sentence generation unit; and
When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English paragraph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put to the English paragraph display uni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mission processing unit processes the mission cle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어 동사 입력부는,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공백으로 표시된 주어, 동사 어휘를 보기로 제시하고, 제시된 보기들 중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ject verb input unit,
Sentence structure, which presents blank subject and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s examples, and selects and receives an English word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from among the presented examples and an English learning content providing device using part-of-speech.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학습자로부터 주어 어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상기 선택받은 주어, 동사 어휘 부분을 공백으로 표시하고,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주어 동사 이외의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 또는 구를 제시하고, 영어 단어 또는 구의 어순을 배치하여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performed in an apparatus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lection of a verb vocabulary from a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a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receiving a subject vocabulary selected from a learner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Hangul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displaying the selected subject and verb vocabulary parts as blanks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nd receiving English words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an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n English word or phrase corresponding to a vocabulary other than the subject verb is presented, and the word order of the English word or phrase is arrange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A method of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including; generating an English sentence.
제 6 항에 있어서,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상기 동사 어휘를 선택받는 단계에서 학습자가 선택한 동사 어휘가 기 저장된 동사 어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답 확인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paragraph provided as a learning mission, checking whether the verb vocabulary selected by the learner matches the pre-stored verb vocabulary to provide a correct answer confirmation screen; further comprising How to provide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제 6 항에 있어서,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제시한 영어 단어 또는 구마다 학습 내용을 더 표시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s to create an English sentence are:
A method of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further displaying the learning content for each English word or phrase presented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영어 문장을 이용하여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과 매칭되게 영어 문단을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 및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화면 표시된 영어 문단 전체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미션 클리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generating an English paragraph to match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by using an English sentence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sentence generated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English sentence, and displaying a screen; and
When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English paragraph displayed on the screen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clearing the mission; A method of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a sentence structure and part-of-speech,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학습 미션으로 제공되는 한글 문단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마다 공백으로 표시된 주어, 동사 어휘를 보기로 제시하고, 제시된 보기들 중 주어, 동사 어휘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받는, 문장 구조 및 품사를 이용한 영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receiving the input of the English word is,
Sentence structure, which presents blank subject and verb vocabulary for each at least one sentence included in the Korean paragraph provided as the learning mission as examples, and selects and receives an English word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and verb vocabulary from among the presented examples and a method of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 using part-of-speech.
KR1020210052592A 2020-07-15 2021-04-2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KR202200093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7545 2020-07-15
KR1020200087545 2020-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320A true KR20220009320A (en) 2022-01-24

Family

ID=8005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592A KR20220009320A (en) 2020-07-15 2021-04-2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32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08B1 (en) 2007-10-31 2009-06-08 데빗 국준 임 Method of english study applying d-pattern
KR20130043852A (en) 2011-10-21 2013-05-02 주식회사 뮤엠교육 Method for english study and english study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08B1 (en) 2007-10-31 2009-06-08 데빗 국준 임 Method of english study applying d-pattern
KR20130043852A (en) 2011-10-21 2013-05-02 주식회사 뮤엠교육 Method for english study and english stud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 et al. The role of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ley et al. MyGrammarLab: Intermediate B1/B2
KR101845304B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CN110796911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test questions and language learning method thereof
KR100593589B1 (en) Multilingual Interpretation / Learning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KR20190130774A (en) Subtitle processing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and apparatus thereof
Kim et al.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ranslanguaging for emergent bilinguals in US multilingual classrooms
KR202200093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KR102416041B1 (en) Multilingual simultaneous learning system
KR101911735B1 (en) Method for providing english education serivce based on korean language
Harris Issues related to the presence of Japanese loanwords of English origin on vocabulary size tests
Divekar et al. Building human-scale intelligent immersive space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KR20190002927A (en) Language-based game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gnitive abilities data
KR102098377B1 (en)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rvice learning grammar using puzzle game
KR20180011438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with dialogue
Jayakody et al. Mobile application for vision impaired people to facilitate to learn the English language
Dewi An Analysis of Speech Acts Used in The Witches Novel by Roald
Genc-Ersoy et al. Technology enhanced language learning: A review and assessment of the literature
KR201901292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grammar diagram for language learning
Ovchinnikova et al. Metaplan-based development of speaking skills
Isanova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Pragmatics In Teaching A Foreign Language
KR102453876B1 (e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training foreign language speaking
KR102312798B1 (en) Apparatus for Lecture Interpretated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700348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binary principle
Bernardo Analysis of Core Claims, Assumptions, and Silences: A Basis for Re-designing the Enacted K-12 English Curriculum and Reconceptualizing Communicative Compet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