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116A -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 Google Patents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116A
KR20220009116A KR1020200087431A KR20200087431A KR20220009116A KR 20220009116 A KR20220009116 A KR 20220009116A KR 1020200087431 A KR1020200087431 A KR 1020200087431A KR 20200087431 A KR20200087431 A KR 20200087431A KR 20220009116 A KR20220009116 A KR 20220009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ttern
attachable
bluetooth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예은
Original Assignee
이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은 filed Critical 이예은
Priority to KR102020008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9116A/en
Publication of KR20220009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1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related to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various types of biometr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ference pattern is determine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on a user measured with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the pattern generation function of an application module for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the pattern is compared to the user's pattern changing in real time, an abnormal pattern is detected as a result, and thus an active and quick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can be carried out even without a direct rescue request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ergency rescue can be carried out even without the user's smart terminal and the user's complex situation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and predicted using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Th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in which a user runs an app and then signs up; a step of registering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on the user's smart device; a step in which the smart device receives and collects biometric data on the user from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 step of generating a situation-specific pattern by combining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a step of identifying the user's emergency by comparing real-time biometric data to the pattern; and a step in which an administrator grasps the user's situation by notification message UX and secondary confirmation.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본 발명은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를 이용해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전송하고, 기존에 형성된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 자발적으로 ‘이상 패턴’을 감지함으로써 범죄 및 응급상황을 예방하고 실시간으로 신속히 대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and more specifically, measures and transmits biometric data in real time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It relates to a method to prevent crime and emergency situations by spontaneously detecting 'abnormal patterns' through comparison with patterns and to respond quickly in real time.

우리 사회에는 범죄 및 응급상황으로부터 여성, 노인, 아동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이 충분히 갖춰져 있지 않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 혐오 범죄 등이 여전히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를 예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노인은 사회적 약자 중 위급한 상황에 놓일 확률이 가장 높지만, 관심과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아동은 정신적·신체적으로 미숙하므로 돌발 상황이나 범죄에 대해 스스로 어떠한 대처도 할 수 없다.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 아동을 보호할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Our society does not have enough systems to protect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women, the elderly and children from crimes and emergencies. Sexual crimes and hate crimes against women still occur frequently,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preventing them in practice. The elderly are most likely to be in an emergency situation amo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but often do not receive attention and protection. Because children are mentally and physically immature, they cannot take any action on their own for unexpected situations or crimes. There is no effective way to protect children from this uncertain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이 이용되었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터치, 클릭, 일정값 이상의 압력 등을 웨어러블 기기에 입력해서 구조 요청을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가 의식이 있을 때만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어도 직접 행동을 취할 수 없는 상황일 때는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체 신호 측정 모듈이 내재된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 응급상황 감지 시스템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항시 소지해야 하며 생체 신호 측정 모듈이 스마트폰에 내재되어 있으므로 생체 데이터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기술들은 생체 정보를 단편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응급상황에 대한 정밀한 판단과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is conventionally used. This is a method in which the user directly inputs a touch, click, or pressure over a certain value into the wearable device to request a rescue. However, since this is only possible when the user is conscio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thod cannot be used when the user is unconscious or in a situation in which direct action cannot be taken even if the user is conscious. In addition, there is an automatic emergency detection system using a smartphone with a built-in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However,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always have a smart device, and since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is embedded in the smartphone, the accuracy of biometric data is deteriorated. Finally, since these technologies use biometric information fragmentari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judge and predict emergency situat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351호(생체 신호 변화 측정 및 복수의 패스워드 설정을 통하여 위험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및 전송 방법”, 이용인, 2017. 12. 06)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08351 (Method for automatic emergency detection and transmission using a smart device that controls transmission of dangerous signals through measurement of changes in biological signals and setting of multiple passwords”, Lee Yong-in, 2017. 12. 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6937호(“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2019. 12. 11)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56937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a Ring, 2019. 12. 11)

본 발명은 범죄 및 위급 상황 발생 후 수습하는 수동적인 대처가 아닌 미리 가능성을 파악해 이를 예방하고 상황 발생 후에도 신속하게 대처하는 ‘능동적 대처’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심박수, 혈압, 심전도, 체온 등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조합해 복합적인 상황에 대한 예측과 대처를 실현하려 함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take passive measures to deal with crimes and emergencies after they occur, but to 'active coping' that detects the possibility in advance, prevents it, and responds quickly even after a situation occurs. Specifically, it aims to realize prediction and response to complex situations by combining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and body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의 생체 인식 센서를 활용해 스마트 기기에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의 소지 여부와 관계없이 작동할 수 있는 응급 구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n emergency rescue system that can operate regardless of whether a user has a smart device by transmitting biometric data to a smart device in real time using a Bluetooth-based biometric sensor.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기존 패턴과 새로운 패턴을 비교하고, ‘이상 패턴’이 감지되면 즉시 관리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어도 행동을 취할 수 없는 ‘취약한 상태’에 있을 때도 사용자를 구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an existing pattern with a new pattern in real time, and when an 'abnormal pattern' is detected, a message is immediately sent to the manager, so that the user is in a 'vulnerable state' in which no action can be taken even if the user is unconscious or conscious. It also aims to provide a way to rescue user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a smart device,

(1) 사용자가 앱 실행 후 ‘사용자’ 회원 가입을 하는 단계;(1) a step in which the user registers as a ‘user’ after running the app;

(2) 상기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를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등록하는 단계;(2) registering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to the user's smart device;

(3) 상기 스마트 기기가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수집하는 단계;(3) collecting, by the smart device, receiving the user's biometric data from an attachable biometric sensor;

(4) 수집한 상기 생체 데이터를 조합해 상황별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4) generating a pattern for each situation by combining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5) 상기 패턴과 실시간 생체 데이터를 비교해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식별하는 단계;(5) identifying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by comparing the pattern with real-time biometric data;

(6)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알림 메시지 UX 및 2차 확인으로 관리자가 파악하는 단계;(6) the step of the administrator identifying the user's situation as a notification message UX and secondary confirmation;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s comprised of

상기 (1) 단계는 실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본인 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생체 데이터 제공에 동의 또는 미동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에만 관리자가 회원 가입을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The step (1) is an identity verification step based on your real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mobile phone number; Agreeing or not agreeing to the provision of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biometric data; approving membership registration by an administrator only when the user agrees; includes

상기 (2) 단계는 하나의 스마트 기기당 하나의 센서만을 등록함을 원칙으로 해서 실질적으로 해당 사용자와 관리자 외 다른 사람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2), in principle, only one sensor is registered per one smart devic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of persons other than the user and the administrator is substantially prevented.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심박수, 호흡, 심전도, 체온, 혈압 등 그리고 각 사용자의 신체적 결함이나 특징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생물학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포함한다.The user's biometric data basically includes a heart rate, respiration,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etc., and additionally necessary biolog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defect or characteristic of each user.

상기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는, 상기 생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 된 각 센서를 포괄하며 개개인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기저 질환 및 결함)을 고려한 맞춤형을 특징으로 한다.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includes each senso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biometric data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customized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underlying diseases and defects) of individual users.

상기 (4) 단계에서 패턴 생성은, 상기 사용자의 일상을 ‘상황’으로 카테고리화 하는 단계;The pattern generation in step (4) includes the steps of categorizing the user's daily life into 'situations';

상기 사용자 개개인의 일상적인 생체 데이터 양상, 생체 데이터 변화폭, 생활 반경 등을 취합해 여러 경우의 수로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 경우의 수 중 반복적이고 가장 실효성 있는 조합을 선택해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패턴을 ‘상황’의 기준으로 삼는 단계; 상기 기준의 오차 범위를 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Collecting the daily biometric data aspect of each user, biometric data change range, life radius, etc. and combining them into a number of cases; selecting a repetitive and most effective combination among the number of combinations and storing the selected combination in a pre-classified category; using the stored pattern as a criterion for 'situation'; determining an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includes

이때, ‘상황’을 카테고리화 하는 단계는, 객관적으로 반복 가능성이 큰 상황을 관리자가 설정하는 단계; 주관적인 상황을 상기 사용자가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step of categorizing the 'situation' includes: objectively setting a situation with high repeatability by an administrator; adding a subjective situation by the user; includes

‘이상 패턴’은, 상기 (4) 단계에서 생성된 기준 패턴과의 오차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양상이 크게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normal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ut of an error range or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pattern generated in step (4).

상기 (5) 단계는, 실시간 패턴이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면 카테고리에 추가하는 단계;The step (5) may include adding a real-time pattern to a category if it exists within an error range;

실시간 패턴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스마트 기기가 자동으로 ‘이상 패턴’을 인지하고 관리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패턴과 GPS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When the real-time pattern is out of the error range, the smart device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abnormal pattern' and transmits the user's pattern and GPS to an administrator; includes

상기 (6) 단계는, 관리자가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이상 패턴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관리자가 알림 메시지 UX를 활성화시켜 상황 확인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 정해진 시간 초과 후 응답 없을 시에 전화 및 문자 등 2차 확인하는 단계; 2차 확인 후 응답 없을 시 경찰 및 119 출동, 사용자 본인 응답 확인될 시 신고 무효 처리 단계; 를 포함한다.The step (6) may include: judging the user's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abnormal pattern received by the administrator; Step by which the administrator activates the notification message UX to send a status confirmation message; Secondary checking, such as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when there is no response after a predetermined time limit; After the second check, if there is no response, the police and 911 are dispatched, and when the user's own response is confirmed, the report is invalidated; includes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범죄 및 응급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능동적, 즉각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으로, 복합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신속하게 대처해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사회적인 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패턴을 활용해 돌발 상황을 사전에 예측하거나 사건 발생 후에 구체적으로 그려낼 수 있다.It is a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smart device to actively and immediately protect users from unexpected crimes and emergencies. It is effective in protect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reducing social damage by accurately judging complex crimes and emergency situations and responding quickly. Furthermore, by using patterns, unexpected situations can be predicted in advance or drawn concretely after an event occurs.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2는 본 발명에서 활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3은 본 발명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의 한 부분인 생체 데이터 측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의 블루투스 식별부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의 내부 구성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 6은 본 발명에 따른 범죄 및 응급상황 실시간 대처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 7은 본 발명에 따른 범죄 및 응급상황 실시간 대처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 8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
도면 9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흐름도.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implementing an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ttachable biometric sensor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iometric data measuring unit that is a part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the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module of the user smart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ping with crimes and emergency situation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ping with crimes and emergency situation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application screen of a use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unctional flow diagram of an application executable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방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2는 본 발명에서 활용하기에 적합한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은 본 발명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의 한 부분인 생체 데이터 측정부(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shows the interior of the biometric data measuring unit 110 which is a part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도면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의 블루투스 식별부(140)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140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시스템은 사용자(10)를 중심으로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300), 범죄 및 응급상황 해결 센터(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a user's smart terminal 200, a manager's smart terminal 300, a crime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mergency resolution center (400).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는 개개인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의 형태로 부착되는 사용자(10)의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도면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는 생체 데이터 측정부(110), GPS 수신부(120), 데이터 종합 및 전달부(130), 블루투스 식별부(140), 블루투스 통신부(150), 전원 스위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 4를 참고하면, 블루투스 식별부(140)는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식별 제어 모듈(141), 블루투스 사용자 식별 코드(142), 블루투스 관리자 식별 코드(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biometric data of the user 10 attached in a customized form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 user's physical characteristics. Referring to FIG. 2 ,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metric data measuring unit 110 , a GPS receiving unit 120 , a data synthesis and transmission unit 130 , a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140 ,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50 , and a power switch 160 . Referring to FIG. 4 , the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140 specifically includes a Bluetooth identification control module 141 , a Bluetooth user identification code 142 , and a Bluetooth manager identification code 143 .

도면 3을 참조하면, 생체 데이터 측정부(110)는 생체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 된 각 센서, 심박수 측정 센서(111), 심전도 측정 센서(112), 호흡 측정 센서(113), 혈압 측정 센서(114), 체온 측정 센서(115)를 포함한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생체 데이터 측정부 구성의 한 예시이며, 더 많은 생체 데이터가 추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biometric data measuring unit 110 includes each senso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biometric information,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111 , an electrocardiographic measuring sensor 112 , a respiration measuring sensor 113 , and a blood pressure measuring sensor ( 114 ), and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 115 . However, this is an example of a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biometric data measurement unit, and more biometric data may be added.

GPS 수신부(120)는 사용자(10)의 위치 정보 값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GPS receiver 120 is a device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value of the user 10 .

데이터 종합 및 전달부(130)는 생체 데이터 측정부(110)에서 받은 생체 정보와 GPS 수신부(120)에서 받은 사용자(10)의 위치 정보를 취합해 블루투스 통신부(150)로 전달한다.The data aggregation and delivery unit 130 collects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ometric data measurement unit 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10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120 and transmits it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50 .

블루투스 식별부(14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할 때 스마트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이다. 블루투스 사용자 식별 코드(142)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200)의 고유 정보이며, 블루투스 관리자 식별 코드(143)는 관리자 스마트 단말(300)의 고유 정보이다. 블루투스 사용자 식별 코드(142)는 처음 사용자 스마트 단말(200)에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를 등록할 때 저장된다. 블루투스 관리자 식별 코드(143)는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마다 내장되어 있다. 블루투스 식별 제어 모듈(141)은 블루투스 통신부(150)로부터 스마트 단말의 식별 코드를 받고, 페어링의 여부를 결정해 블루투스 통신부(150)로 다시 전달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 스마트 단말(200)과의 페어링만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지만, 미리 정해진 특별 상황에 따라 관리자 스마트 단말(300)과의 페어링이 가능하다. 이는 제 2 실시예의 설명에서 보도록 하자.The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140 is a module for identifying a smart terminal when performing Bluetooth pairing. The Bluetooth user identification code 142 is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smart terminal 200 , and the Bluetooth manager identification code 143 is unique information of the manager smart terminal 300 . The Bluetooth user identification code 142 is stored when registering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in the user smart terminal 200 for the first time. The Bluetooth manager identification code 143 is embedded in each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 The Bluetooth identification control module 141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smart terminal from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50 , determines whether to pair, and transmits it back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50 . Basically, it is set so that only pairing with the user smart terminal 200 is possible, but pairing with the manager smart terminal 300 is possib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pecial situation. Let us see this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블루투스 통신부(150)는 사용자 및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200, 300)과의 블루투스 페어링 및 블루투스 식별부(14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50 is a device for performing Bluetooth pairing with the smart terminals 200 and 300 of the user and the manager and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140 .

전원 스위치(160)는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의 전원을 키거나 끌 수 있게 조절하는 장치이다.The power switch 16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to be turned on or off.

도면 5를 참고하면, 사용자 스마트 단말(200)은 사용자(10)가 소지하는 스마트 기기이며, 관리자 스마트 단말(300)은 본 발명의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플랫폼의 관리자(20)가 소지하는 스마트 기기이다. 본 발명과 관련 있는 사용자 스마트 단말(200)의 시스템은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어플리케이션 모듈(210), 사용자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식별부(220), 사용자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통신부(230)이다.Referring to FIG. 5 , the user smart terminal 200 is a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10 , and the manager smart terminal 300 is a smart device possessed by the manager 20 of th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The system of the user smart terminal 2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module 210 , a user smart terminal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220 , and a user smart terminal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230 .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어플리케이션 모듈(210)에서 제 1 실시예의 구현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데이터 수신부(211), 패턴 생성부(212), 데이터 송신부(213)이다.In th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module 210 , essential components for implementing the first embodiment are a data receiver 211 , a pattern generator 212 , and a data transmitter 213 .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통신부(230)는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의 블루투스 통신부(150)와 차이가 없다. 반면,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식별부(220)는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의 블루투스 식별부(140)와 다르게 식별을 제어 모듈(141)이 따로 없다.The smart terminal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230 is not different from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50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 On the other hand, the smart terminal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220 does not have a separate identification control module 141 unlike the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140 of the attachable biometric recognition sensor 100 .

범죄 및 응급상황 해결 센터(400)는 경찰, 119, 병원 응급 센터 등 상황 해결 기관을 지칭한다.The crime and emergency resolution center 400 refers to situation resolution organizations such as police, 119, and hospital emergency centers.

도면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실시간 대처 방법에 대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방법은, 사용자가 앱 실행 후 ‘사용자’ 회원 가입을 하는 단계(S100), 상기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를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등록하는 단계(S200), 상기 스마트 기기가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수집하는 단계(S300), 수집한 상기 생체 데이터를 조합해 상황별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S400), 상기 패턴과 실시간 생체 데이터를 비교해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식별하는 단계(S500),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알림 메시지 UX 및 2차 확인으로 관리자가 파악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ctiv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method for dealing with crimes and emergency situation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user registering as a 'user' after running the app (S100), Registering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to the user's smart device (S200), the smart device receiving and collecting the user's biometric data from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S300),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Creating a pattern for each situation by combining (S400), comparing the pattern and real-time biometric data to identify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S500), the user's situation through a notification message UX and secondary confirmation It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the step of identifying (S600).

단계 S100에서는, 사용자(10)가 본인 확인을 하는 단계(S110)를 통해 실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전화번호를 필수적으로 입력한다. 사용자(10)는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생체 데이터 제공에 동의 또는 미동의하는 단계(S120)를 거치는데, 이때 동의한 경우에만 관리자(20)가 회원 가입을 승인한다(S130).In step S100, the user 10 necessarily inputs his or her real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mobile phone number through the step S110 of performing identity verification. The user 10 goes through a step (S120) of agreeing or not agreeing to the provision of his or her location information and biometric data, and only when he or she agrees, the manager 20 approves the membership registration (S130).

단계 S200에서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단말(200)당 하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만을 등록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해당 사용자(10)와 관리자(20) 외 다른 사람의 접근을 방지해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때 사용자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식별부(220)가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를 인지하고 사용자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통신부(230)를 통해 블루투스 페어링이 완료된다.In principle, only one attachable biometric recognition sensor 100 per one user smart terminal 200 is registered in step S200. This i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by preventing access by anyone other than the user 10 and the administrator 20 . At this time, the user smart terminal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220 recognizes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 and Bluetooth pairing is completed through the user smart terminal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230 .

단계 S300에서 데이터 수신부(211)가 사용자의 생체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다.In step S300, the data receiving unit 211 receives the user's biometric and location information.

단계 S400는 패턴 생성부(212)에서 일어나는데, 이는 사용자의 일상을 ‘상황’으로 카테고리화 하는 단계(S410), 사용자 개개인의 일상적인 생체 정보 양상, 생체 데이터 변화폭, 생활 반경 등을 취합해 여러 경우의 수로 조합하는 단계(S420), S420에서 조합된 경우의 수 중 가장 실효성 있는 조합을 선택해 미리 분류된 ‘상황’에 저장하는 단계(S430), 저장된 패턴을 ‘상황’의 기준으로 삼는 단계(S440), 기준의 오차 범위를 정하는 단계(S450)로 구성된다. 패턴은 사용자(10)가 본 발명의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이용할 때 관리자(20)에 의해 저장된다. 객관적으로 반복 가능성이 큰 상황을 관리자(20)가 설정한다. 이후 사용자(10)는 주관적인 상황을 추가할 수 있다.Step S400 occurs in the pattern generator 212, which categorizes the user's daily life into 'situation' (S410), collects each user's daily biometric information aspect, biometric data change range, life radius, etc. A step of combining a number (S420), a step of selecting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among the numbers combined in S420 and storing it in a pre-classified 'situation' (S430), a step of using the stored pattern as a standard of the 'situation' (S440) , is configur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S450). The pattern is stored by the administrator 20 when the user 10 first uses th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r 20 sets a situation with a high objective repeatability. Thereafter, the user 10 may add a subjective situation.

단계 S500는, 실시간 패턴이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면 카테고리에 추가되지만(S510), 실시간 패턴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210)이 자동으로 ‘이상 패턴’을 인지하고 관리자(20)에게 사용자(10)의 그 시점에서의 패턴과 GPS 정보를 데이터 송신부(213)를 통해 전송한다(S520). 여기서 ‘이상 패턴’이란 S400에서 생성된 기준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 오차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양상이 크게 다른 패턴을 의미한다.In step S500, if the real-time pattern exists within the error range, it is added to the category (S510), but if the real-time pattern is out of the error range, the application module 210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abnormal pattern' and sends the user (S510) to the manager 20 ( The pattern and GPS information at that point in step 10)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transmitter 213 (S520). Here, the 'abnormal pattern' means a pattern that is out of the error range or has a significantly different aspect through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pattern generated in S400.

단계 S600에서 우선 관리자(20)는, 전송받은 사용자의 이상 패턴으로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한다(S610). 만약 사용자(10)가 응급상황에 처했다고 판단될 시에는, 어플리케이션 모듈(210)의 알림 메시지 UX를 활성화시켜 상황 확인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S620)를 거친다. 정해진 시간 초과 후 응답이 없을 시에 전화 및 문자 등 2차 확인을 한다(S630). 2차 확인 후 응답 없을 시 범죄 및 응급상황 해결 센터(400)에 바로 신고가 접수되지만, 사용자(10) 본인의 응답이 확인될 시 신고를 무효처리한다(S640). 이때 2차 확인 방법을 전화 및 문자로만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In step S600, the manager 20 first determines the user's situa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s abnormal pattern (S6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10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notification message UX of the application module 210 is activated to send a status confirmation message (S620). If there is no respons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 secondary confirmation such as a call or text message is performed (S630). If there is no response after the second check, the report is immediately received to the crime and emergency resolution center 400, but when the user 10's own response is confirmed, the report is invalidated (S640). In this case, the secondary confirm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도면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실시간 대처 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 7은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의 블루투스 기능 혹은 기기 자체에 문제가 생겨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본 발명의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플랫폼의 구현 방법이다.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의 전원 스위치(160)를 끄지 않았음에도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200)에 생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모듈(210)을 통해 관리자(20)에게 메시지가 전송된다(단계 S700). 이때, 관리자(20)는 관리자의 권한으로 블루투스 관리자 식별 코드(143)를 이용해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100)와 블루투스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단계 S800). 만약 오류가 지속되어 사용자(10)의 상황이 확인할 수 없으면, 관리자(20)는 메시지 UX를 통해 사용자(10)에게 연락을 취하거나 사용자 스마트 단말(200) 자체의 GPS를 추적할 수 있다(단계 S900). 이후에도 사용자(10)의 상황을 알 수 없으면 관리자(20)는 범죄 및 응급상황 해결 센터(400)에 신고한다(단계 S1000).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ctiv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a sma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luetooth function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or the device itself does not work properly due to a problem. If biometric data is not transmitted to the user's smart terminal 2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though the power switch 160 of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is not turned off, a message is sent to the manager 20 through the application module 210 is transmitted (step S700). In this case, the manager 20 may attempt a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00 using the Bluetooth manager identification code 143 with the authority of the manager (step S800 ). If the error persists and the situation of the user 10 cannot be confirmed, the manager 20 may contact the user 10 through the message UX or track the GPS of the user smart terminal 200 itself (step S900). If the situation of the user 10 is not known even after that, the manager 20 reports it to the crime and emergency solution center 400 (step S1000).

10: 사용자
20: 관리자
100: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
110: 생체 데이터 측정부
111: 심박수 측정 센서
112: 심전도 측정 센서
113: 호흡 측정 센서
114: 혈압 측정 센서
115: 체온 측정 센서
120: GPS 수신부
130: 데이터 전달부
140: 블루투스 식별부
141: 블루투스 식별 제어 모듈
142: 블루투스 사용자 식별 코드
143: 블루투스 관리자 식별 코드
150: 블루투스 통신부
160: 전원 스위치
200: 사용자의 단말
210: 범죄 및 응급상황 대처 어플리케이션 모듈
211: 데이터 수신부
212: 패턴 생성부
213: 데이터 송신부
220: 사용자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식별부
230: 사용자 스마트 단말 블루투스 통신부
300: 관리자의 단말
400: 범죄 및 응급상황 해결 센터
10: user
20: Manager
100: attachable biometric sensor
110: biometric data measurement unit
111: heart rate sensor
112: electrocardiogram sensor
113: respiration measurement sensor
114: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115: body temperature sensor
120: GPS receiver
130: data transfer unit
140: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141: Bluetooth identification control module
142: Bluetooth user identification code
143: Bluetooth manager identification code
150: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160: power switch
200: user's terminal
210: Crime and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 module
211: data receiving unit
212: pattern generator
213: data transmitter
220: user smart terminal Bluetooth identification unit
230: user smart terminal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300: administrator's terminal
400: Crime and Emergency Resolution Center

Claims (10)

원격 블루투스 시스템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면서,
(1) 사용자가 앱 실행 후 ‘사용자’ 회원 가입을 하는 단계;
(2) 상기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를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등록하는 단계;
(3) 상기 스마트 기기가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아 수집하는 단계;
(4) 수집한 상기 생체 데이터를 조합해 상황별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5) 상기 패턴과 실시간 생체 데이터를 비교해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식별하는 단계;
(6)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알림 메시지 UX 및 2차 확인으로 관리자가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While using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smart device based on the remote Bluetooth system,
(1) a step of registering as a 'user' member after the user runs the app;
(2) registering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to the user's smart device;
(3) collecting, by the smart device, receiving the user's biometric data from an attachable biometric sensor;
(4) generating a pattern for each situation by combining the collected biometric data;
(5) identifying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by comparing the pattern with real-time biometric data;
(6) the step of the administrator identifying the user's situation as a notification message UX and secondary confirmation;
An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a smart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실명,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본인 확인 단계;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생체 데이터 제공에 동의 또는 미동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동의한 경우에만 관리자가 회원 가입을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1),
Identification step based on real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mobile phone number;
Agreeing or not agreeing to the provision of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biometric data;
approving membership registration by an administrator only when the user agrees;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하나의 스마트기기당 하나의 센서만 등록함을 원칙으로 해서 실질적으로 해당 사용자와 관리자 외 다른 사람의 접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2) is,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biometric sensor and smart devic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n principle, only one sensor is registered per smart device, and access by anyone other than the user and the administrator is prevented.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bnormal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심박수, 호흡, 심전도, 체온, 혈압 등 그리고 각 사용자의 신체적 결함이나 특징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생물학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s biometric data,
Basically, 'abnormality'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smart device, which comprehensively includes heart rate, respiration, electrocardiogram,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etc. and additional biological information required according to each user's physical defects or characteristics.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는,
상기 생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세분화 된 각 센서를 포괄하는,
개개인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기저 질환 및 결함)을 고려한 맞춤형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ttachable biometric sensor is
Covering each sensor segm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biometric data,
Characterized by customiz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sers (underlying diseases and defects),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smar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 패턴 생성은,
상기 사용자의 일상을 ‘상황’으로 카테고리화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개개인의 일상적인 생체 데이터 양상, 생체 데이터 변화폭, 생활 반경 등을 취합해 여러 경우의 수로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 경우의 수 중 반복적이고 가장 실효성 있는 조합을 선택해 미리 분류된 카테고리에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패턴을 ‘상황’의 기준으로 삼는 단계;
상기 기준의 오차 범위를 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attern generation in step (4) is,
categorizing the user's daily life into 'situations';
combining each user's daily biometric data aspect, biometric data change range, life radius, etc. into a number of cases;
selecting a repetitive and most effective combination among the number of combinations and storing the selected combination in a pre-classified category;
using the stored pattern as a standard of 'situation';
determining an error range of the reference;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including
제6항에 있어서,
‘상황’을 카테고리화 하는 단계에서,
객관적으로 반복 가능성이 큰 상황을 관리자가 설정하는 단계;
주관적인 상황을 상기 사용자가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At the stage of categorizing 'situation',
objectively setting a situation with high repeatability by the manager;
adding a subjective situation by the user;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이상 패턴’은,
상기 (4) 단계에서 생성된 기준 패턴과의 오차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양상이 크게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bnormal pattern' is,
Active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and a sma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ut of the error range or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pattern generated in step (4) How to prevent crime and emergencies and respond in real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
실시간 패턴이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면 카테고리에 추가하는 단계;
실시간 패턴이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스마트 기기가 자동으로 ‘이상 패턴’을 인지하고 관리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패턴과 GPS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5),
adding the real-time pattern to a category if it is within the error range;
When the real-time pattern is out of the error range, the smart device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abnormal pattern' and transmits the user's pattern and GPS to an administrator;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에서,
관리자가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이상 패턴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관리자가 알림 메시지 UX를 활성화시켜 상황 확인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
정해진 시간 초과 후 응답 없을 시에 전화 및 문자 등 2차 확인하는 단계;
2차 확인 후 응답 없을 시 경찰 및 119 출동, 사용자 본인 응답 확인될 시 신고 무효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부착형 생체 인식 센서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감지된 ‘이상 패턴’을 활용한 능동적인 범죄 및 응급상황 예방과 실시간 대처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6),
determining the user's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abnormal pattern received by the administrator;
Step by which the administrator activates the notification message UX to send a status confirmation message;
Secondary checking, such as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when there is no response after a predetermined time limit;
After the second check, if there is no response, the police and 911 are dispatched, and when the user's own response is confirmed, the report is invalidated;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response method using an '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able biometric sensor including
KR1020200087431A 2020-07-15 2020-07-15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KR202200091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31A KR20220009116A (en) 2020-07-15 2020-07-15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31A KR20220009116A (en) 2020-07-15 2020-07-15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116A true KR20220009116A (en) 2022-01-24

Family

ID=8004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431A KR20220009116A (en) 2020-07-15 2020-07-15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11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351B1 (en) 2012-07-26 2018-01-18 이용인 Method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 device that control danger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physiological signal and plural password
KR102056937B1 (en) 2017-08-29 2019-12-17 (주)오투원스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351B1 (en) 2012-07-26 2018-01-18 이용인 Method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 device that control danger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physiological signal and plural password
KR102056937B1 (en) 2017-08-29 2019-12-17 (주)오투원스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2300362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14704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and providing emergency support
US7212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etermining location
AU2014256055B2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assistance in distress situations
US20160094953A1 (en) Mobile help buttons with multiple location technologies
US2014032754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TW20121434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hysical, 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animal, object and/or surrounding environment
US107410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and providing emergency support
US200602269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ersons needing care
KR102010022B1 (en) Emergency Rescue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Wearab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1174909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arm and sensor data to emergency networks
JP4082623B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management program
US10643456B2 (en) Alarm system
US10049420B1 (en) Digital assistant response tailored based on pan devices present
US20130065640A1 (en) Intelligent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JP2002314715A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response
KR20080109371A (en) Emergency rescue system
KR102494866B1 (en) Infectious Disease Self-Isol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CT
JP2017191548A (en) Emergency arrangement system and emergency arrangement program
KR101808351B1 (en) Method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 device that control danger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physiological signal and plural password
KR20140030848A (en) Method for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by cooperation between users using smart device
JP4058501B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program
KR20220009116A (en) Active crime and emergency prevention and real-time countermeasures using a Bluetooth-based attached biometric sensor and a'abnormal pattern' detected using a smart device
KR102368158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