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594A - 냉장고의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594A
KR20220008594A KR1020200086905A KR20200086905A KR20220008594A KR 20220008594 A KR20220008594 A KR 20220008594A KR 1020200086905 A KR1020200086905 A KR 1020200086905A KR 20200086905 A KR20200086905 A KR 20200086905A KR 20220008594 A KR20220008594 A KR 20220008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ece
door
sid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20008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594A/ko
Publication of KR2022000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의 상측데코부를 별물로 하여 양산성이 개선된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Refrigerator do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케이스와 상측데코부를 별물로 하여 양산성이 개선된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한다.
상기 도어에 관한 종래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7862호(특허문헌 1)(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에 공지된 기술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한 번에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전면에 조립되는 전면패널, 상기 메인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어 전면은 전면패널과 함께 발포공간을 형성하고 후면은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바스켓이나 선반 등이 설치될 수 있는 후면패널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케이스는 좌우측면, 상면, 하면 및 후면에 배치되는 상하측데코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측데코부는 형상이 하측데코부에 비해 크고 복잡하다. 따라서 이러한 메인케이스를 일체형으로 한 번에 사출하기에는 금형구조가 복잡해 양산성이 좋지 않고, 메인케이스의 크기가 커질 경우 상기 상측데코부의 형상때문에 메인케이스를 하나의 금형으로 구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다.
한편, 도어에 관한 다른 종래 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8707호(특허문헌 2)(냉장고 도어)에 공지된 기술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도어가 전측케이스, 양측케이스, 하측케이스, 후측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들을 모두 별물로 형성해야 했으므로 생산과 조립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7862호(2013.09.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8707호(2016.10.1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산성이 개선된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와 상측데코부를 다양한 형상 내지 사이즈로 구현하는 것이 용이한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와 상측데코부의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는, 일체로 이루어진 전측케이스와 양측케이스와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를 포함하는 메인케이스; 상기 상측케이스의 후측에 조립되는 상측데코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는, 상기 상측케이스에 형성되는 후크; 상기 상측데코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는, 상기 상측데코부는 상기 걸림편보다 상측에 형성된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지지편이 접촉되는 피지지편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는, 상기 메인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양측케이스와 상기 피지지편 및 후크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에 상기 상측데코부의 양측판이 삽입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도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측데코부를 메인케이스와 별물로 제조한다. 따라서 금형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도어의 양산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측데코부와 메인케이스를 크기나 형상 등의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와 상측데코부를 후크와 구멍을 이용해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상측 부분 사시도
도 3b와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도어의 부분 확대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후면도
도 4b와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도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를 전측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를 후측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의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의 측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상측 부분 사시도, 도 3b와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도어의 부분 확대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후면도, 도 4b와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도어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50)를 전측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50)를 후측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50)의 후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측데코부(50)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의 도어는, 한 번의 사출로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전측케이스(100)와 양측케이스(300)와 상측케이스(200)와 하측케이스를 포함하는 메인케이스(10); 상기 상측케이스(200)와 양측케이스(300)의 후측에 결합되는 상측데코부(50); 상기 상측케이스(200)에 형성되는 제1조립부; 상기 상측데코부(50)에 형성되어 상기 제1조립부와 조립되는 제2조립부; 메인케이스(10)와 조립되는 전면패널과 상측데코부(50)와 후면패널(미도시)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측데코부(50)를 메인케이스(10)와 별물로 제조한다. 따라서 금형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도어의 양산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측데코부(50)와 메인케이스(10)를 크기나 형상 등의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조립부는 후크(230)이다.
상기 제2조립부는 상기 후크(230)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편(900)이다.
걸림편(900)에는 후크(230)가 삽입되도록 구멍(92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10)와 상측데코부(50)를 후크(230)와 구멍(921)을 이용해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한편, 전면패널은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측데코부(50)는 도어의 후측 상부의 외관을 형성하고, 하측케이스는 도어의 후측 하부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후면패널은 도어의 후측 나머지의 외관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상측데코부(50)는 상기 걸림편(900)보다 상측에 형성된 지지편(6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케이스(10)는 상면에 상기 지지편(600)이 접촉되는 피지지편(220)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측데코부(50)가 메인케이스(10)의 조립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후크(230)가 걸림편(900)에 걸리기 전에 지지편(600)이 피지지편(220)에 접촉되면 상측데코부(50)가 메인케이스(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상측데코부(50)와 메인케이스(10)의 조립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양측에는 상기 양측케이스(300)와 상기 피지지편(220) 및 후크(230)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 상기 상측데코부(50)의 양측케이스(300)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측데코부(50)는 좌우측이 메인케이스(10)에 걸리므로 메인케이스(10)와의 조립이 안정적이다.
---------- 상측데코부(50) ----------
상측데코부(50)는 메인케이스(10)의 상측 일부의 후방을 가려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부후판(500)과, 데코부후판(500)의 상하좌우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지지편(600), 데코부하판(700), 데코부좌측판(810), 데코부우측판(820)과, 데코부후판(500)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걸림편(900)과, 데코부하판(700)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측데코부(50)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똑바로 볼 때, 지지편(600), 데코부하판(700), 데코부좌측판(810), 데코부우측판(820)의 형상은 데코부후판(500)의 둘레 형상과 대응된다.
데코부후판(500)은 크게 제1데코부후판(510)과 제2데코부후판(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데코부후판(520)의 상하폭이 제1데코부후판(510)의 상하폭보다 크다.
한편, 도 5, 도 7 등의 도시와 같이 지지편(600)의 양단(601)은 데코부양측판(810, 820)보다 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편(600)의 양단(601)은 양측케이스(300)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4b, 4c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케이스(300)의 상면에 상기 지지편(600)의 양단(601)이 수용되는 수용홈(330), 상기 수용홈(330)을 형성하는 상면(340)과 내측면이 있고, 지지편(600)의 양단(601)은 상기 상면(340)에 접촉되어 측부가 상기 내측면과 마주보게 된다. 이로 인해 상측데코부(50)가 좌우측 내지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메인케이스(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600)은 제1지지편(610), 제2지지편(620), 제3지지편(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지지편(610)은 양측이 후술될 제1데코부우측판(820)과 제2지지편(620)에 연결되고, 후측이 제1데코부후판(510)에 연결된다.
제2지지편(620)은 양측이 제1지지편(610)과 제3지지편(630)에 연결되고, 후측이 제2데코부후판(520)에 연결된다.
제2지지편(620)은 좌우폭에 비해 상하폭이 크다. 즉 제2지지편(620)은 제1지지편(610) 제3지지편(630)과 반대로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제3지지편(630)은 양측이 제2지지편(620)과 후술될 제1데코부좌측판(811a)에 연결되고, 후측이 제2데코부후판(520)과 연결된다.
제3지지편(630)은 제1지지편(61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걸림편(900)은 좌우측이 각각 후술될 제2데코부좌측판(811b)과 제2데코부우측판(821b)에 연결된다.
걸림편(900)은 지지편(600)과 데코부하판(700) 사이에 위치되되, 데코부하판(700)보다 지지편(60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걸림편(900)의 형상과 지지편(600)의 형상은 서로 대응된다.
걸림편(900) 또한 지지편(600)처럼 제1걸림편(910) 내지 제3걸림편(9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걸림편(910)은 양측이 후술될 제2데코부우측판(821b)과 제2걸림편(920)에 연결되고, 후측이 제1데코부후판(510)에 연결된다.
제2걸림편(920)은 양측이 제1걸림편(910)과 제3걸림편(930)에 연결되고, 후측이 제2데코부후판(520)에 연결된다.
제2걸림편(920)은 좌우폭에 비해 상하폭이 크다. 즉 제2걸림편(920)은 제1걸림편(910) 제3걸림편(930)과 반대로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제3걸림편(930)은 양측이 제2걸림편(920)과 후술될 제2데코부좌측판(811b)에 연결되고, 후측이 제2데코부후판(520)과 연결된다.
제3걸림편(930)은 제1지지편(61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구멍(921)은 걸림편(90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구멍(921)은 복수개이며 각각이 좌우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구멍(921)은 제2걸림편(920)에는 형성되지 않고 제1걸림편(910) 및 제3걸림편(930)에만 형성된다.
구멍(921)의 수평단면은 사각형이다. 즉 구멍(921)은 4 개의 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4 개의 면 중 전측에 위치되는 면인 제1걸림면(923)에는 후크(230)의 후술될 제2걸림면(243)이 접촉된다. 따라서 제2걸림면(243)과 제1걸림면(923)끼리 접촉됨으로써 상측데코부(50)가 걸림편(900)에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구멍(921)에 삽입되는 돌기(240)의 수평단면 또한 구멍(921)의 수평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인 사각형이다. 따라서 구멍(921) 내에서 돌기(240)의 이동이 최소화되므로 상측데코부(50)와 메인케이스(10)간에 조립이 견고하다.
한편, 상기 데코부좌측판(810)과 데코부우측판(820)은 서로 동일한 형상이다.
데코부좌측판(810) 및 데코부우측판(820)을 통틀어 데코부양측판(810, 820)이라 한다.
데코부양측판(810, 820)은 데코부후판(500)의 양측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즉 데코부좌측판(810)과 데코부우측판(820)간에 이격된 폭은 데코부후판(500)의 좌우폭보다 작다. 이때 데코부양측판(810, 820)보다 측부로 돌출된 데코부후판(500)의 일부분(530)은 양측케이스(300)의 후면과 마주보거나 접촉된다.
데코부좌측판(810)은 상측 일부분인 제1데코부좌측판(811a)과, 하측의 나머지 부분인 제2데코부좌측판(811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데코부우측판(820)은 상측 일부분인 제1데코부우측판(820)과, 하측의 나머지 부분인 제2데코부우측판(821b)으로 이루어진다.
제1데코부좌측판(811a)과 제1데코부우측판(820)을 통틀어 제1데코부양측판(810, 820) 이라 한다. 또한 제2데코부좌측판(811b)과 제2데코부우측판(821b)을 통틀어 제2데코부양측판(821a, 821b)이라 한다.
도 2,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1데코부양측판(811a, 811b)의 전후폭은 제2데코부양측판(821a, 821b)의 전후폭보다 작다.
또한 제1데코부양측판(811a, 811b)의 전후폭은 지지편(600)의 전후폭과 같다.
한편,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양측에는 상기 양측케이스(300)와 상기 피지지편(220) 및 후크(230)에 둘러싸인 공간(311, 321)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311, 321)에 상측데코부(50)의 양측케이스(300), 즉 데코부양측판(810, 820)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상측데코부(50)는 메인케이스(10)에 걸려 메인케이스(10)와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제2데코부양측판(821a, 821b)은 메인케이스(10)의 후술될 제2공간(321)에 삽입된다. 이때 제2데코부양측판(821a, 821b)의 전후폭은 지지편(600)의 전후폭보다 크므로, 제2데코부양측판(821a, 821b)은 지지편(600)보다 돌출된 부분이 상측케이스(200)의 후판(210)에 걸린다. 따라서 상측데코부(50)가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메인케이스(10)와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공간(311, 321)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7 등의 도시와 같이 돌출부(70)의 좌우폭은 데코부하판(700)의 좌우폭보다 작다. 따라서 도 1의 도시와 같이 돌출부(70)는 메인케이스(10)의 양측케이스(300)와 이격된다.
돌출부(70)는 좌우 양측편(71), 양측편(71) 사이에 연결된 중앙편(73), 양측편(71)과 중앙편(73)을 연결하는 연결편(75)을 포함한다.
중앙편(73)은 양측편(71)보다 후측에 위치된다.
연결편(75)은 양측편(71)과 중앙편(73)에 대략 수직으로 연결된다.
---------- 메인케이스(10) ----------
상기 양측케이스(300)는 좌측케이스(310)와 우측케이스(320)로 이루어진다.
메인케이스(10)는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개방된 후방의 상측에 상측데코부(50)가 위치된다.
상측케이스(200)의 후판(210)에는 상기 피지지편(220)과 후크(230)가 형성된다.
도 4a의 도시와 같이 상측케이스(200)를 후측에서 똑바로 볼 때, 상측케이스(200)의 후판(210), 피지지편(220)의 형상은 각각 데코부후판(500), 지지편(600)의 형상과 대응된다.
피지지편(220)은 상측케이스(200)의 후판(210)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피지지편(220)의 상면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크(230)는 상측케이스(200)의 후판(210) 하단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후크(230)는 구멍(921)에 삽입되어 걸림편(900)에 걸리는 돌기(240)를 포함한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돌기(240)는 양측면(도면부호 미도시)과, 상기 양측면에 연결되는 가이드면(241)과, 가이드면(241)의 전방에 연결되는 제2걸림면(243)을 포함한다.
가이드면(241)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면이다. 이로 인해 상측데코부(50)를 메인케이스(10)에 조립시킬 때, 걸림편(900)이 가이드면(241)을 타고 점차 전측케이스(100)와 가까워지다가 돌기(240)가 구멍(921)에 삽입되면 제1걸림면(923)과 제2걸림면(243)끼리 접촉되어 돌기(240)가 걸림편(900)에 걸린다. 따라서 상측데코부(50)와 메인케이스(10)가 조립된다.
상측데코부(50)와 메인케이스(10)가 조립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후크(230)의 하면과 지지편(600)의 상면끼리 접촉된다. 따라서 상측데코부(50)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아 조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도시와 같이 후크(230)의 전후폭은 걸림편(900)의 전후폭보다 작다.
한편, 도 3b, 3c, 4b, 4c의 도시와 같이 피지지편(220)과 후크(230)는 양측이 양측케이스(300)와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피지지편(220)과 양측케이스(300)와 상측케이스(200)의 후판(210)에 둘러싸인 제1공간(311)이 형성된다. 제1공간(311)은 제1데코부양측판(811a, 811b)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또한, 후크(230)와 양측케이스(300) 사이에는 제2데코부양측판(821a, 821b)의일부가 수용된다.
또한, 도 3b, 3c, 4b, 4c의 도시와 같이 상기 후판(210)의 양측 하부에는 오목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목부는 제1공간(311)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오목부에 의해 후판(210)의 양측 하부가 전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된다.
상기 오목부는 양측케이스(300)와 함께 전술한 제2데코부양측판(821a, 821b)이 삽입되는 제2공간(321)을 형성한다.
상기 제1공간(311)과 제2공간(321)에 데코부양측판(810, 820)이 삽입되는 상측데코부(50)는 좌우측과 상측이 메인케이스(10)에 걸리므로 메인케이스(10)와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걸림편(900)에 후크(230)가 걸리기 전까지의 조립이 가이드된다.
한편, 후크(230)는 돌기(240)가 구멍(921)에 삽입되기만 하면 걸림편(900)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실시 예와 달리 구멍(921)이 상부만 개방되게 형성되어도 된다.
한편, 메인케이스(10)의 후측에 상기 후면패널(미도시)이 조립됨으로써 전면패널, 상측데코부(50), 후면패널(미도시)에 둘러싸인 메인케이스(10)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은 일반 냉장고나 김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메인케이스 50 : 상측데코부
200 : 상측케이스 210 : 상측케이스의 후판
220 : 피지지편 230 : 후크
240 : 돌기 241 : 가이드면
243 : 제2걸림면 300 : 양측케이스
311 : 제1공간 321 : 제2공간
330 : 수용홈 500 : 데코부후판
600 : 지지편 601 : 지지편의 양단
700 : 데코부하판 810 : 데코부좌측판
820 : 데코부좌측판 900 : 걸림편
921 : 구멍 923 : 제1걸림면

Claims (4)

  1. 일체로 이루어진 전측케이스와 양측케이스와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를 포함하는 메인케이스;
    상기 상측케이스의 후측에 조립되는 상측데코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케이스에 형성되는 후크;
    상기 상측데코부에 형성되되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측데코부는 상기 걸림편보다 상측에 형성된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지지편이 접촉되는 피지지편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양측케이스와 상기 피지지편 및 후크에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에 상기 상측데코부의 양측판이 삽입되는 냉장고의 도어

KR1020200086905A 2020-07-14 2020-07-14 냉장고의 도어 KR20220008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05A KR20220008594A (ko) 2020-07-14 2020-07-14 냉장고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905A KR20220008594A (ko) 2020-07-14 2020-07-14 냉장고의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94A true KR20220008594A (ko) 2022-01-21

Family

ID=8005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905A KR20220008594A (ko) 2020-07-14 2020-07-14 냉장고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85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50A1 (ko) 2022-01-20 2023-07-27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연마패드용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연마패드용 윈도우
WO2024010132A1 (ko) 2022-07-06 2024-01-11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윈도우가 장착된 연마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62B1 (ko) 2008-08-05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KR101668707B1 (ko) 2015-03-06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62B1 (ko) 2008-08-05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KR101668707B1 (ko) 2015-03-06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50A1 (ko) 2022-01-20 2023-07-27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연마패드용 윈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연마패드용 윈도우
WO2024010132A1 (ko) 2022-07-06 2024-01-11 케이피엑스케미칼 주식회사 윈도우가 장착된 연마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203B2 (en) Refrigerator
US20190301788A1 (en) Refrigerator
US9677807B2 (en) Refrigerator
KR20220008594A (ko) 냉장고의 도어
US11779113B2 (en) Trim assembly for an appliance shelf
US7293846B2 (en) Storage bin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8721014B2 (en) Refrigerator
US20160282035A1 (en) Refrigerator
KR102285845B1 (ko) 냉장고
US11650002B2 (en) Refrigerator
KR20080057471A (ko) 냉장고의 도어
US20230221062A1 (en) Refrigerator
US11815305B2 (en) Refrigerator
US11692761B2 (en) Refrigerator
KR200254215Y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KR100789714B1 (ko) 김치냉장고용 도어
JP2002350044A (ja) 冷蔵庫
KR200254214Y1 (ko) 김치저장고의 전면부 조립구조
KR101902247B1 (ko) 분리바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10001165A (ko) 냉장고의 선반
JP6189621B2 (ja) 冷却貯蔵庫
KR101273850B1 (ko) 냉장고용 선반 장착구조
KR20220022976A (ko) 냉장고
KR200165783Y1 (ko) 냉장고용 가드의 커버부재 삽입구조
KR100512731B1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