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550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550A
KR20220008550A KR1020200086769A KR20200086769A KR20220008550A KR 20220008550 A KR20220008550 A KR 20220008550A KR 1020200086769 A KR1020200086769 A KR 1020200086769A KR 20200086769 A KR20200086769 A KR 20200086769A KR 20220008550 A KR20220008550 A KR 2022000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filter
scrubber
pipe
membran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8550A/ko
Publication of KR2022000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26Filtr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xic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와, 선체에 탑재되며, 연소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기액 접촉시키는 스크러버와, 스크러버 내부의 세정수를 배출하여 스크러버로 순환시키는 세정수순환관과, 세정수순환관 상에 연결되어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된 세정수가 경유하여 다시 스크러버로 순환되는 경로가 되는 세정수순환탱크, 및 세정수순환탱크 전단의 세정수순환관에 설치되며, 외여과막필터, 나노여과막필터, 역삼투막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필터와 제1 활성탄을 포함하여 세정수순환탱크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정화하는 제1 세정수처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수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각종 엔진은 화석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하며,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미세분진(PM)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를 대기 중에 그대로 배출할 경우 대기오염을 초래하므로, 선박의 대기오염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기오염에 관한 환경규제 중 해양 배기가스 배출통제지역(ECA; Emission Control Area)의 운항 및 정박 시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을 0.1% 이하로 규정하는 규제가 발효되어 있으며, 황산화물의 제거를 위한 방법으로 통상, 해수, 청수 또는 알칼리 용액과 배기가스를 기액 접촉하여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습식 스크러버가 적용되고 있다.
한편, 습식 스크러버에서 배기가스와 기액 접촉하여 황산화물, 미세분진 등이 용해된 세정수는 오염된 상태이므로, 배출통제지역의 방류 기준에 맞추어 해상에 배출해야 한다. 그러나, 선박에 설치된 각종 엔진은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료를 연소하고, 이에 따라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세정수가 계속 생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방류 기준에 맞추어 세정수 중 일부를 해상에 배출하고, 나머지를 수처리 장치(water cleaning unit)에서 정화한 후 스크러버로 순환시켜 재사용하였다.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원심분리 방식 또는 멤브레인막 방식 또는 가압부상 방식 또는 경사판침강 방식을 사용하므로, 입자 직경이 1㎛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제거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미세분진 입자 크기를 크게 하는 응집제와 같은 별도의 화학물질이 주입된다. 유해한 화학물질이 주입됨에 따라 또 다른 환경 오염이 유발될 수 있고,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응집제가 주입되더라도 0.05㎛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는 제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처리 장치는 고가이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므로, 비용 절감 및 선박 내 공간 활용도 증대를 위해 최대한 작은 용량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순환되는 세정수의 탁도가 높게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별도의 화학물질을 주입하지 않고도 세정수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고가이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수처리 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선박 내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선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34547호 (2020. 03. 3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정수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연소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기액 접촉시키는 스크러버와, 상기 스크러버 내부의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여 상기 스크러버로 순환시키는 세정수순환관과, 상기 세정수순환관 상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된 상기 세정수가 경유하여 다시 상기 스크러버로 순환되는 경로가 되는 세정수순환탱크, 및 상기 세정수순환탱크 전단의 상기 세정수순환관에 설치되며,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필터와 제1 활성탄을 포함하여 상기 세정수순환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를 정화하는 제1 세정수처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선박은, 상기 세정수순환탱크 내부를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위치한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스크러버로 상기 세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위치한 제2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상부를 연통하는 분리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결되며,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필터와 제2 활성탄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저장된 상기 세정수 중 적어도 일부를 정화하는 제2 세정수처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세정수처리유닛과 상기 제2 세정수처리유닛은 각각, 상기 세정수의 유동 경로 상에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를 권출하는 권출드럼과, 상기 세정수와 접촉한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를 권취하는 권취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선체를 이루는 선체구조물에 의해 생긴 공간이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무방류탱크(zero discharge tank)와, 상기 제2 세정수처리유닛에서 정화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무방류탱크로 공급하는 유출관과, 상기 유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세정수순환탱크의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연결되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 전단의 상기 유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세정수의 탁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세정수가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분리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리벽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세정수를 여과하는 제3 세정수처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세정수처리유닛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벽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다단으로 중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리벽을 넘어서 흐르는 상기 세정수를 여과하는 다공성 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여과부재와, 상기 복수의 여과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는 제3 활성탄, 및 상기 제3 활성탄이 안착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복수의 여과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며,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인 제3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정수처리유닛이 활성탄과 막필터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화학물질을 주입하지 않고도 세정수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으로 선박을 운용할 수 있으며, 고가이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종래의 수처리 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은 물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수처리유닛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다양한 위치에 중복 설치할 수 있어 세정수의 탁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세정수처리유닛과 제2 세정수처리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3 세정수처리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세정수처리유닛이 활성탄과 막필터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화학물질을 주입하지 않고도 세정수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으로 선박을 운용할 수 있으며, 고가이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종래의 수처리 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은 물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수처리유닛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다양한 위치에 중복 설치할 수 있어 세정수의 탁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선박(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1 세정수처리유닛과 제2 세정수처리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제3 세정수처리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1)은 선체(10)와, 스크러버(20)와, 세정수순환관(30)과, 세정수순환탱크(40), 및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을 포함한다.
선체(10)는 선박(1)의 본체로, 외판(外板, 도시되지 않음)과, 외판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내용골(도시되지 않음)과 늑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판이라 함은, 외부로 노출되어 선박(1)의 외곽을 이루는 측판과 밑판을 의미하고, 내용골이라 함은, 선저 내부에서 외판이 옆으로 눕혀지지 않고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용골(keel, 龍骨)의 강도를 보충하는 종강도 부재(longitudinal strength member)를 의미하며, 늑골이라 함은, 외판에 가해지는 수압과 화물의 내압을 견디는 동시에 갑판(deck)에서의 하중에 대해서 기둥으로서 작용하도록 만들어진 횡강도 보강 부재를 의미한다. 선체(10)는 연속적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외판에 의해 외측면이 유선형(流線型)을 이루며, 각각의 외판은 내용골과 늑골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선체(10)에는 스크러버(20)가 탑재된다.
스크러버(20)는 선체(10)에 설치된 연소기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기액 접촉시키는 것으로, 일 측에 배기관(110)과 세정수공급관(90)이 각각 연결된다.
배기관(110)은 선체(10)에 설치된 연소기관(100) 또는 보일러(도시되지 않음)의 배기가스를 공급하는 관으로, 단부가 스크러버(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연소기관(100)이라 함은, 연료를 연소하여 선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메인 엔진, 발전기 엔진일 수 있다. 연소기관(100)이 선박의 추진에 필요한 추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엔진인 경우, 연소기관(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와 근접한 선미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연소기관(100)은 통상, 화석 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므로, 화석 연료의 연소에 따른 배기가스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배기가스는 다량의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유기물질, 미세분진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소기관(100)의 일 측에 연결된 배기관(110)을 통해 스크러버(20)로 공급된다. 배기관(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관(100)의 배기구에 직접 연결되어 고온의 배기가스를 직접 스크러버(20)로 공급하거나, 보일러 또는 각종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배기열의 대부분을 재활용하고 남은 폐가스를 스크러버(20)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정수공급관(90)은 해수 또는 청수 또는 해수와 청수의 혼합수 중 적어도 하나인 세정수를 스크러버(20)로 공급하는 관으로, 일단부가 해수유입구(도시되지 않음)와 청수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스크러버(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즉, 세정수공급관(90)은 해수와 청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스크러버(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세정수공급관(90)의 일단부가 해수유입구에 연결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스크러버(20)는 배기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세정수공급관(90)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를 분사하여 기액 접촉시킨다. 도면 상에는 스크러버(20)가 U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스크러버(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러버(20)는 I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크러버(20)는 내부에 세정수를 미립자 형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21)이 설치되며, 분사노즐(21)은 복수 개가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사노즐(21)이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배기가스와 세정수의 접촉 면적, 접촉 횟수가 증대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유기물질, 입자 직경이 큰 미세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유기물질, 입자 직경이 큰 미세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스크러버(2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스크러버(20)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오염물질이 배기기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제거된 상태이므로, 대기 중에 그대로 방출할 수 있다.
스크러버(20) 내부의 세정수는 세정수순환관(30)을 통해 배출된다. 세정수순환관(30)은 스크러버(20) 내부의 세정수를 배출하여 스크러버(20)로 순환시키는 것으로, 일단부가 스크러버(20)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스크러버(20) 상단 또는 세정수공급관(90)에 연결될 수 있다. 세정수순환관(30)의 타단부가 스크러버(20) 상단에 연결되는 경우, 세정수공급관(90)은 타단부가 후술할 열교환기(33) 후단의 세정수순환관(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세정수순환관(30)의 타단부가 세정수공급관(90)에 연결되는 경우, 세정수공급관(90)은 타단부가 스크러버(20)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세정수순환관(30)의 타단부가 스크러버(20) 상단에 연결되고, 세정수공급관(90)의 타단부가 세정수순환관(30)에 연결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세정수순환관(30)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스크러버(20) 하단과 상단에 연결되고, 세정수공급관(90)은 타단부가 이러한 세정수순환관(30)에 연결되어 스크러버(20)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스크러버(20) 내부의 세정수는 세정수순환관(30)을 통해 스크러버(20)로 순환될 수 있으며, 세정수공급관(90)으로 유입된 세정수는 가압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세정수순환관(30)을 통해 스크러버(20)로 공급될 수 있다. 세정수공급관(90)과 세정수순환관(30)의 연결 지점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가 설치되므로, 세정수공급관(90) 측 유동과 세정수순환관(30) 측 유동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스크러버(20) 하단에 연결된 세정수순환관(30) 상에는 해수유출구(도시되지 않음)로 연장되어 세정수를 해상에 방류하는 세정수배출관(31)이 분기되며, 세정수배출관(31)의 분기 지점에도 삼방밸브가 설치되어 세정수순환관(30) 측 유동과 세정수배출관(31) 측 유동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세정수배출관(31) 상에는 세정수의 수소이온농도지수(pH)와 탁도(turbidity), 및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를 측정하는 센서(S1)가 설치되므로, 배출통제지역의 방류 기준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세정수를 방류할 수 있다. 세정수공급관(90) 상에는 세정수배출관(31)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희석관(92)이 분기되어 세정수가 일부 희석된 후 방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세정수공급관(90) 상에도 세정수의 수소이온농도와 탁도, 및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측정하는 센서(S2)를 설치하여, 선박(1)으로 유입되는 세정수와, 선박(1)에서 유출되는 세정수의 수소이온농도지수, 탁도, 및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를 비교하면서 방류할 수 있다.
세정수순환관(30) 상에는 세정수순환탱크(40)가 연결된다. 세정수순환탱크(40)는 스크러버(20)로부터 배출된 세정수가 경유하여 다시 스크러버(20)로 순환되는 경로가 되는 것으로, 세정수를 임시 저장하는 일종의 버퍼 탱크(buffer tank) 역할을 할 수 있다. 세정수순환탱크(40)는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유입구(40a)와 유출구(40b)가 관통 형성되며, 세정수순환관(30)은 스크러버(20) 하단과 유입구(40a)를 연결하는 제1 세정수순환관(30a)과, 유출구(40b)와 스크러버(20) 상단을 연결하는 제2 세정수순환관(30b)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스크러버(20) 내부의 세정수는 제1 세정수순환관(30a)과 유입구(40a)를 통해 세정수순환탱크(40)로 유입되고, 세정수순환탱크(40) 내부의 세정수는 유출구(40b)와 제2 세정수순환관(30b)을 통해 스크러버(20)로 순환된다. 도면 상에는 유입구(40a)가 세정수순환탱크(40)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유출구(40b)가 세정수순환탱크(4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입구(40a)와 유출구(40b)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유입구(40a)와 유출구(40b)는 분리벽(43)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분리벽(43)은 세정수순환탱크(40) 내부를 스크러버(20)로부터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0a)가 위치한 제1 수용공간(41)과, 스크러버(20)로 세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40b)가 위치한 제2 수용공간(42)으로 분리하는 판 상의 부재로, 세정수순환탱크(40)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공간(41)과 제2 수용공간(42)은 하부 공간이 분리벽(43)에 의해 분리되고, 상부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세정수순환탱크(40) 내부가 분리벽(43)에 의해 유입구(40a)가 위치한 제1 수용공간(41)과, 유출구(40b)가 위치한 제2 수용공간(42)으로 분리됨으로써, 스크러버(20)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된 세정수가 다시 스크러버(20)로 재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후술할 중화제주입유닛(32)에서 주입된 중화제가 세정수에 혼합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가 제1 수용공간(41)에 채워진 후 분리벽(43)을 넘어 제2 수용공간(42)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세정수의 유동 거리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일정한 유속을 만들어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리벽(43)은 상단면보다 아래 쪽에 제1 수용공간(41)과 제2 수용공간(42)을 연통하는 만입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만입홈은 v자,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벽(43)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리벽(43)의 상단면보다 아래 쪽에 만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제1 수용공간(41)에 채워진 세정수가 분리벽(43)을 넘어가기 전에 만입홈으로 먼저 통과하게 되어, 롤링(rolling), 피칭(pitching)과 같은 선박(1)의 흔들림(motion)에 대응하여 세정수가 요동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순환탱크(40)에는 세정수보충관(44)이 연결될 수 있다. 세정수보충관(44)은 세정수를 보충하는 것으로, 유입구(40a)와 근접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온의 배기가스와 기액 접촉한 세정수를 순환시켜 사용하다 보면, 세정수가 증발하여 유량이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세정수보충관(44)은 일단부가 해수유입구와 청수저장탱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수용공간(41)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보충하여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세정수순환탱크(40) 전단의 세정수순환관(30), 보다 구체적으로, 세정수배출관(31)이 분기되는 지점 전단의 제1 세정수순환관(30a)에는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은 세정수순환탱크(40)로 공급되는 세정수를 정화하는 것으로, 정밀여과막 필터(MF, Micro Filtration), 한외여과막 필터(UF, Ultra Filtration), 나노여과막 필터(NF, Nano Filtration), 역삼투막 필터(RO, Reverse Osmosis)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필터(51)와, 제1 활성탄(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필터(51)가 한외여과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5㎛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51)가 나노여과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1㎛ 보다 크고 0.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51)가 역삼투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제1 필터(51)는 제1 세정수순환관(30a)에 세정수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된 제1 지지프레임(51a)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프레임(51a)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제1 필터(51)가 안착되는 면이 다공성 망체로 형성되어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된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51)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1 권출드럼(5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권취드럼(54)에 연결되어 제1 권출드럼(53)과 제1 권취드럼(54)에 의해 자동으로 권출 및 권취될 수 있다. 제1 권출드럼(53)은 제1 세정수순환관(30a)의 일 측 외측에 설치되어 세정수의 유동 경로에 제1 필터(51)를 권출하며, 제1 권취드럼(54)은 제1 권출드럼(53)과 대향된 제1 세정수순환관(30a)의 타 측 외측에 설치되어 세정수와 접촉한 제1 필터(51)를 권취할 수 있다. 즉, 제1 필터(51)는 양단이 각각 제1 권출드럼(53)과 제1 권취드럼(54)에 연결되어 제1 세정수순환관(30a)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제1 권출드럼(53)과 제1 권취드럼(54)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으며, 간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권출드럼(53)과 제1 권취드럼(54)이 각각 제1 세정수순환관(30a)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권출드럼(53)과 제1 권취드럼(54)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권출드럼(53)과 제1 권취드럼(54)은 제1 세정수순환관(30a)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필터(51)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권출드럼(53)과 제1 권취드럼(54)에 의해 자동으로 권출 및 권취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필터(51)는 플리티드(pleated) 형태 또는 스파이럴 운드(spiral wound) 형태 또는 할로우 피버(hollow fibe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필터(51)가 플리티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패널(panel) 구조에 적용되어 제1 세정수순환관(30a)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미세분진 입자 제거 효과가 저하되면, 새 제품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51)가 스파이럴 운드(spiral wound) 형태 또는 할로우 피버(hollow fiber)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세정수순환관(30a) 내부에 제1 세정수순환관(3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미세분진 입자 제거 효과가 저하되면, 백 플러시(back flush)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활성탄(52)은 카본(carbon)을 열처리해 얻은 다공성 탄소화합물로, 알갱이 또는 펠렛(pellet) 형태로 형성되어 카트리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활성탄(52)은 표면에 불규칙한 기공(氣孔)이 복수 개 형성되므로, 세정수에 포함된 미세분진 입자가 기공에 흡착되면서 걸러질 수 있다. 제1 활성탄(52)은 복수 개가 제1 지지프레임(51a)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제1 세정수순환관(30a)에 세정수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된 제1 고정프레임(52a)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고정프레임(52a)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제1 활성탄(52)이 안착되는 면이 다공성 망체로 형성되어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된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1 활성탄(52)의 미세분진 입자 제거 효과가 저하되면, 새 카트리지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활성탄(52)이 알갱이 또는 펠렛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활성탄(52)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활성탄(52)은 직물 소재의 탄소 펠트(carbon felt) 형태, 탄소 파이버(carbon fiber) 형태, 탄소 천(carbon cloth) 형태,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이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저가인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필터(51)와, 제1 활성탄(52)을 이용하여 세정수를 정화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화학물질을 주입하지 않고도 세정수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비용도 절감할 수 있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세정수순환관(30a)에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이 설치됨으로써, 미세분진에 의한 배관 및 세정수순환탱크(40) 내부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후술할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세정수배출관(31)이 분기되는 지점 후단의 제1 세정수순환관(30a)에는 중화제주입유닛(32)이 연결된다. 중화제주입유닛(32)은 배기가스와 기액 접촉하여 산성화된 세정수에 중화제,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NaOH)을 주입하여 수소이온농도지수(pH)를 적정 범위 내로 중화시킬 수 있다.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을 통과하며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되고 중화제주입유닛(32)에서 주입되는 중화제에 의해 중화된 세정수는 제1 수용공간(41)에 저장된다. 제1 수용공간(41)에 저장된 세정수는 일부가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으로 이동하여 2차로 정화되며, 나머지 일부가 분리벽(43)을 넘어 제2 수용공간(4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은 제1 수용공간(41)에 저장된 세정수 중 적어도 일부를 정화하는 것으로, 정밀여과막 필터(MF), 한외여과막 필터(UF), 나노여과막 필터(NF), 역삼투막 필터(RO)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필터(61)와, 제2 활성탄(6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61)가 한외여과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5㎛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61)가 나노여과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1㎛ 보다 크고 0.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61)가 역삼투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제2 필터(61)는 제1 수용공간(41)에 저장된 세정수를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으로 이동시키는 배관(60a)에 세정수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된 제2 지지프레임(61a)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2 지지프레임(61a)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제2 필터(61)가 안착되는 면이 다공성 망체로 형성되어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된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필터(61)는 일단이 제2 권출드럼(6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권취드럼(64)에 연결되어 제2 권출드럼(63)과 제2 권취드럼(64)에 의해 자동으로 권출 및 권취될 수 있다. 제2 권출드럼(63)은 배관(60a)의 일 측 외측에 설치되어 세정수의 유동 경로에 제2 필터(61)를 권출하며, 제2 권취드럼(64)은 제2 권출드럼(63)과 대향된 배관(60a)의 타 측 외측에 설치되어 세정수와 접촉한 제2 필터(61)를 권취할 수 있다. 즉, 제2 필터(61)는 양단이 각각 제2 권출드럼(63)과 제2 권취드럼(64)에 연결되어 배관(60a)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제2 권출드럼(63)과 제2 권취드럼(64)은 동시에 회전할 수 있으며, 간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권출드럼(63)과 제2 권취드럼(64)이 각각 배관(60a)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권출드럼(63)과 제2 권취드럼(64)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권출드럼(63)과 제2 권취드럼(64)은 배관(60a)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필터(61)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권출드럼(63)과 제2 권취드럼(64)에 의해 자동으로 권출 및 권취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필터(61)는 플리티드(pleated) 형태 또는 스파이럴 운드(spiral wound) 형태 또는 할로우 피버(hollow fibe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필터(61)가 플리티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패널(panel) 구조에 적용되어 배관(60a)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미세분진 입자 제거 효과가 저하되면, 새 제품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61)가 스파이럴 운드(spiral wound) 형태 또는 할로우 피버(hollow fiber)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배관(60a) 내부에 배관(6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미세분진 입자 제거 효과가 저하되면, 백 플러시(back flush)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활성탄(62)은 카본을 열처리해 얻은 다공성 탄소화합물로, 알갱이 또는 펠렛(pellet) 형태로 형성되어 카트리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활성탄(62)은 표면에 불규칙한 기공이 복수 개 형성되므로, 세정수에 포함된 미세분진 입자가 기공에 흡착되면서 걸러질 수 있다. 제2 활성탄(62)은 복수 개가 제2 지지프레임(61a)의 전방 또는 후방의 배관(60a)에 세정수의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된 제2 고정프레임(62a)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프레임(62a)은 금속재로 형성되되 제2 활성탄(62)이 안착되는 면이 다공성 망체로 형성되어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된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2 활성탄(62)의 미세분진 입자 제거 효과가 저하되면, 새 카트리지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활성탄(62)이 알갱이 또는 펠렛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2 활성탄(62)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활성탄(62)은 직물 소재의 탄소 펠트(carbon felt) 형태, 탄소 파이버(carbon fiber) 형태, 탄소 천(carbon cloth) 형태,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이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필터(61)와, 제2 활성탄(62)을 이용하여 세정수를 정화함으로써, 미세분진 입자 제거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에서 미세분진 입자가 추가로 제거된 세정수는 유출관(71)을 통해 무방류탱크(70)로 이동하거나 분기관(72)을 통해 제1 수용공간(4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방류탱크(70)는 선체(10)를 이루는 선체구조물, 예를 들어, 세로 거더(stringer), 가로 거더(floor beam) 등에 의해 생긴 공간이 격벽으로 구획되어 내부에 저장공간(7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무방류탱크(70)는 제작되어 판매되는 독립 탱크가 아닌, 선체(10) 내 사용되지 않고 비어 있는 공간에 격벽을 세워 만든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무방류탱크(70)는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에서 정화된 세정수를 임시 저장하며, 선박(1)이 배출통제지역을 벗어난 경우 배출관(76)을 통해 세정수를 방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에서 정화된 세정수는 유출관(71)을 통해 무방류탱크(70)로 공급되며, 유출관(71)에는 탈수장치(74)와 센서부(73)가 설치되고 분기관(72)이 분기될 수 있다. 탈수장치(74)는 세정수에 포함된 슬러지(sludge)와 같은 고체상 입자를 분리한다. 세정수에 포함된 고체상 입자는 배기가스의 오염물질을 포함하여 점도(viscosity)가 높아 끈적거릴 수 있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유출관(71)을 비롯하여 무방류탱크(70), 후술할 분기관(72) 등 장치 내부에 쌓이게 되어 배관의 막힘, 부식,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탈수장치(74)를 설치하여 세정수에 포함된 고체상 입자를 제거하며, 탈수장치(74)에서 분리된 고체상 입자는 슬러지탱크(75)에 저장된 후 선박(1)이 항구에 정박할 때 육상으로 옮겨 폐기물로 처리할 수 있다.
분기관(72)은 유출관(71)에서 분기되어 세정수순환탱크(40)의 제1 수용공간(41)에 연결되고, 분기관(72) 전단의 유출관(71)에는 세정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7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서부(73)에서 측정된 세정수의 탁도가 기준치, 예를 들어, 26 NTU 이상이면, 분기관(72)이 개방되고 분기관(72) 후단의 유출관(71)이 폐쇄되어 세정수가 분기관(72)을 통해 제1 수용공간(41)으로 순환될 수 있다. 반대로, 센서부(73)에서 측정된 세정수의 탁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분기관(72)이 폐쇄되고 유출관(71)이 개방되어 세정수가 유출관(71)을 통해 무방류탱크(70)로 이동할 수 있다. 유출관(71)으로부터 분기관(72)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삼방밸브가 설치되어 유출관(71) 측 유동과 분기관(72) 측 유동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리벽(43)을 넘어 제2 수용공간(42)으로 이동하는 세정수는 분리벽(43)에 설치된 제3 세정수처리유닛(80)에 의해 추가로 정화될 수 있다. 제3 세정수처리유닛(80)은 분리벽(43)을 경유하여 제1 수용공간(41)에서 제2 수용공간(42)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것으로, 분리벽(4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세정수처리유닛(80)은 다공성 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여과부재(81)와, 제3 활성탄(82), 및 제3 필터(83)를 포함한다.
여과부재(81)는 세정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을 걸러내어 세정수로부터 분리하고 고형물질이 제거된 세정수만 제2 수용공간(42)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제2 수용공간(42)에 위치하며 분리벽(43)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설치되어 분리벽(43)을 넘어서 흐르는 세정수를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부재(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분리벽(43)에 고정되는 고리 또는 클립 형태의 고정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고,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프레임(도면부호 미도시) 사이가 다공성 망체에 의해 밀폐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부재(81)는 복수 개가 분리벽(43)에 다단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분리벽(43)에 2개의 여과부재(81)가 중첩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여과부재(8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복수의 여과부재(8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활성탄(82)이 안착될 수 있다. 제3 활성탄(82)은 카본을 열처리해 얻은 다공성 탄소화합물로, 알갱이 또는 펠렛(pelle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활성탄(82)은 표면에 불규칙한 기공이 복수 개 형성되므로, 세정수에 포함된 미세분진 입자가 기공에 흡착되면서 걸러질 수 있다. 제3 활성탄(82)은 복수 개가 여과부재(8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부재(81)는 프레임 사이가 다공성 망체에 의해 밀폐되므로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된 세정수가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활성탄(82)이 알갱이 또는 펠렛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3 활성탄(82)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활성탄(82)은 직물 소재의 탄소 펠트(carbon felt) 형태, 탄소 파이버(carbon fiber) 형태, 탄소 천(carbon cloth) 형태,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활성탄(82)이 안착되지 않은 나머지 여과부재(81)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정밀여과막 필터(MF), 한외여과막 필터(UF), 나노여과막 필터(NF), 역삼투막 필터(RO) 중 적어도 하나인 제3 필터(83)가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필터(83)가 외여과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5㎛ 보다 크고 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83)가 나노여과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1㎛ 보다 크고 0.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또한, 제3 필터(83)가 역삼투막 필터로 형성되는 경우, 입자 직경이 0.001㎛ 보다 작은 미세분진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여과부재(81)와 제3 활성탄(82), 및 제3 필터(83)를 포함하는 제3 세정수처리유닛(80)이 분리벽(43)에 설치됨으로써, 스크러버(20)로 순환되는 세정수에 포함된 고형물질과 미세분진 입자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정수를 순환하여 사용하더라도 스크러버(20)에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제3 세정수처리유닛(80)이 분리벽(4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세척이 용이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 세정수처리유닛(80)에 정화된 세정수는 제2 수용공간(42)에 저장되며, 제2 세정수순환관(30b)을 통해 열교환기(33)를 경유하여 스크러버(20)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러버(20)에서 고온의 배기가스와 기액 접촉한 세정수는 온도가 증가하여 장치의 변형이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열교환기(33)는 통상의 수냉식 열교환기로 형성되어 해수와 세정수를 열교환하여 세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개루프(open loop) 방식과 폐루프(closed loop) 방식을 구별하여 사용하기 위해, 세정수공급관(90)에는 열교환관(91)이 분기될 수 있다. 열교환관(91)은 세정수공급관(90)으로부터 분기되어 열교환기(33)를 통과하며, 열교환기(33) 통과 후 해상에 방류되거나 필요처에 공급될 수 있다. 세정수공급관(90)으로부터 열교환관(91)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삼방밸브가 설치되어 세정수공급관(90) 측 유동과 열교환관(91) 측 유동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으며, 열교환관(91) 상에는 가압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관(91)이 세정수공급관(90)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열교환관(91)은 세정수공급관(90)과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선박(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1)은 세정수처리유닛(50, 60, 80)이 활성탄과 막필터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화학물질을 주입하지 않고도 세정수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미세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으로 선박을 운용할 수 있으며, 고가이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종래의 수처리 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은 물론, 선박 내 공간 활용도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수처리유닛(50, 60, 80)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다양한 위치에 중복 설치할 수 있어 세정수의 탁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4는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를 해상에 방류하는 개루프(open loop) 방식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연소기관(10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배기관(110)을 통해 스크러버(20)로 유입되며, 세정수는 세정수공급관(90)과 제2 세정수순환관(30b)을 통해 스크러버(20)로 공급된다. 스크러버(20) 내부에서 배기가스와 세정수가 기액 접촉함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유기물질, 입자 직경이 큰 미세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스크러버(2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가스와 접촉하여 오염물질이 용해된 세정수는 제1 세정수순환관(30a)을 통해 배출되며,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에서 입자 직경이 작은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된 후 제1 세정수순환관(30a)에서 분기된 세정수배출관(31)을 통해 배출통제지역의 방류 기준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방류될 수 있다. 또는, 스크러버(20)를 통과한 세정수는 제1세정수처리유닛(50)을 바이패스하여 선박 외부로 방류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세정수공급관(90)에서 분기된 세정수희석관(92)이 개방되어, 세정수가 일부 희석된 후 방류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를 스크러버로 다시 순환하는 폐루프(closed loop) 방식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스크러버(20) 내부에서 세정수와 기액 접촉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스크러버(20)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오염물질이 용해된 세정수는 제1 세정수순환관(30a)을 통해 배출되어 세정수순환탱크(40)로 이동한다. 이 때, 세정수는 제1 세정수처리유닛(50)을 통과하면서 입자 직경이 작은 미세분진 입자가 1차로 제거되며, 중화제주입유닛(32)에서 주입하는 중화제에 의해 적정 수소이온농도지수로 중화된다. 입자 직경이 작은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되고 중화된 세정수는 세정수순환탱크(40)의 제1 수용공간(41)으로 공급되어 일부가 배관(60a)을 통해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으로 이동한다. 세정수는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을 통과하면서 입자 직경이 작은 미세분진 입자가 2차로 제거되며, 탈수장치(74)에서 탈수되어 고체상 입자가 분리된다. 세정수로부터 분리된 고체상 입자는 슬러지탱크(75)에 저장되고, 고체상 입자가 제거된 세정수는 유출관(71)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센서부(73)에서 측정된 세정수의 탁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72)이 개방되고 분기관(72) 후단의 유출관(71)이 폐쇄되어 세정수가 분기관(72)을 통해 제1 수용공간(41)으로 순환된다. 제1 수용공간(41)으로 순환된 세정수는 일부가 다시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을 통과하게 된다. 반대로, 센서부(73)에서 측정된 세정수의 탁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72)이 폐쇄되고 유출관(71)이 개방되어 세정수가 유출관(71)을 통해 무방류탱크(70)로 이동한다. 무방류탱크(70)에 저장된 세정수는 선박(1)이 배출통제지역을 벗어난 경우 배출관(76)을 통해 방류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공간(41)으로 공급된 세정수 중 제2 세정수처리유닛(60)으로 이동하지 않은 나머지는 세정수보충관(44)을 통해 보충되는 세정수와 함께 분리벽(43)을 넘어 제2 수용공간(42)으로 이동한다. 분리벽(43)에는 제3 세정수처리유닛(80)이 설치되므로, 세정수는 고형물질과 미세분진 입자가 제거된 후 제2 수용공간(4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42)으로 이동한 세정수는 제2 세정수순환관(30b)을 통해 열교환기(33)로 이동하며, 열교환기(33)에서 해수 또는 청수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후 제2 세정수순환관(30b)을 통해 스크러버(20)로 순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선박
10: 선체 20: 스크러버
21: 분사노즐 30: 세정수순환관
30a: 제1 세정수순환관 30b: 제2 세정수순환관
31: 세정수배출관 32: 중화제주입유닛
33: 열교환기 40: 세정수순환탱크
40a: 유입구 40b: 유출구
41: 제1 수용공간 42: 제2 수용공간
43: 분리벽 44: 세정수보충관
50: 제1 세정수처리유닛 51: 제1 필터
51a: 제1 지지프레임 52: 제1 활성탄
52a: 제1 고정프레임 53: 제1 권출드럼
54: 제1 권취드럼 60: 제2 세정수처리유닛
60a: 배관 61: 제2 필터
61a: 제2 지지프레임 62: 제2 활성탄
62a: 제2 고정프레임 63: 제2 권출드럼
64: 제2 권취드럼 70: 무방류탱크
70a: 저장공간 71: 유출관
72: 분기관 73: 센서부
74: 탈수장치 75: 슬러지탱크
76: 배출관 80: 제3 세정수처리유닛
81: 여과부재 82: 제3 활성탄
83: 제3 필터 90: 세정수공급관
91: 열교환관 92: 세정수희석관
100: 연소기관 110: 배기관

Claims (7)

  1. 선체;
    상기 선체에 탑재되며, 연소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기액 접촉시키는 스크러버;
    상기 스크러버 내부의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여 상기 스크러버로 순환시키는 세정수순환관;
    상기 세정수순환관 상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된 상기 세정수가 경유하여 다시 상기 스크러버로 순환되는 경로가 되는 세정수순환탱크, 및
    상기 세정수순환탱크 전단의 상기 세정수순환관에 설치되며,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필터와 제1 활성탄을 포함하여 상기 세정수순환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를 정화하는 제1 세정수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순환탱크 내부를 상기 스크러버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위치한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스크러버로 상기 세정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위치한 제2 수용공간으로 분리하며,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천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상부를 연통하는 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선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결되며,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필터와 제2 활성탄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저장된 상기 세정수 중 적어도 일부를 정화하는 제2 세정수처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정수처리유닛과 상기 제2 세정수처리유닛은 각각,
    상기 세정수의 유동 경로 상에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를 권출하는 권출드럼과,
    상기 세정수와 접촉한 상기 제1 필터 또는 상기 제2 필터를 권취하는 권취드럼을 포함하는 선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를 이루는 선체구조물에 의해 생긴 공간이 격벽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무방류탱크(zero discharge tank);
    상기 제2 세정수처리유닛에서 정화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무방류탱크로 공급하는 유출관;
    상기 유출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세정수순환탱크의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연결되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 전단의 상기 유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세정수의 탁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세정수가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제1 수용공간으로 순환되는 선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리벽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세정수를 여과하는 제3 세정수처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선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정수처리유닛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분리벽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다단으로 중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리벽을 넘어서 흐르는 상기 세정수를 여과하는 다공성 망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여과부재와,
    상기 복수의 여과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는 제3 활성탄, 및
    상기 제3 활성탄이 안착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복수의 여과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며, 정밀여과막 필터, 한외여과막 필터, 나노여과막 필터, 역삼투막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인 제3 필터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00086769A 2020-07-14 2020-07-14 선박 KR20220008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769A KR20220008550A (ko) 2020-07-14 2020-07-14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769A KR20220008550A (ko) 2020-07-14 2020-07-14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50A true KR20220008550A (ko) 2022-01-21

Family

ID=8005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769A KR20220008550A (ko) 2020-07-14 2020-07-14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85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547A (ko) 2018-09-21 2020-03-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547A (ko) 2018-09-21 2020-03-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8500C (en) Method for treating impurities contained in exhaust gases of ships, ship with exhaust gas scrubber, and purification unit
US9291083B2 (en) Membrane-based exhaust gas scrubbing method and system
US20160312676A1 (en) Membrane-based exhaust gas scrubbing method and system
KR102611937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WO2017004712A1 (en) Improved membrane-based exhaust gas scrubbing method and system
KR20210005893A (ko) 스크러버 배수의 정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염분 농도차 발전 시스템
JP7413517B2 (ja) 排気ガス処理装置
KR102039717B1 (ko) 배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2357371B1 (ko) 선박
KR20220008550A (ko) 선박
KR20220005736A (ko) 선박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27537B1 (ko) 오염수 처리 시스템
KR102306296B1 (ko) 선박
CN113694696A (zh) 一种船舶尾气脱硫装置及脱硫方法
KR102039719B1 (ko) 배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220008978A (ko) 선박
KR102306295B1 (ko) 선박
KR20210142339A (ko) 선박
CN216106356U (zh) 一种船舶尾气脱硫装置
KR20230105667A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240028318A (ko) 배기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