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985A - 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 Google Patents

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985A
KR20220007985A KR1020200085971A KR20200085971A KR20220007985A KR 20220007985 A KR20220007985 A KR 20220007985A KR 1020200085971 A KR1020200085971 A KR 1020200085971A KR 20200085971 A KR20200085971 A KR 20200085971A KR 20220007985 A KR20220007985 A KR 20220007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module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62855B1 (en
Inventor
조인찬
Original Assignee
조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찬 filed Critical 조인찬
Priority to KR102020008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55B1/en
Publication of KR20220007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a user's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a screen of a user terminal are provided to a manager terminal in real-time,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enables a manager to check the user's learning status from anywhere. Subjects to be studi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nline lecture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and textbook information are registered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 progress can be checked, and thus learn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he system allows registration of learning information and other activities and living information and provides such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and thus the users' learning and activities can be effectively managed.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user terminal, a manager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Description

독학 관리 시스템{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본 발명은 독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학습진행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이 관리자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기간 동안 학습해야할 과목과, 각 과목에 따른 온라인 강의정보, 교재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학습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 생활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the user's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to the manager terminal, so that the user's learning status can be checked anywhere, a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registering the subjects to be studied during the course, online lecture information and textbook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so that the progress can be grasped, the learning progress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and information about other activities and life It relates to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a user's learning and activities by enabling registration and providing such information together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일반적으로 독학은 도서관이나 독서실에서 주로 이루어지는데, 도서관이나 독서실에서는 별도의 통제가 관리 없이 학생이 자율적으로 공부하여야 하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 나태해지는 경우 학습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In general, self-study is mainly carried out in a library or reading room. In the library or reading room, since the student has to study autonomously without managemen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learning effect cannot be achieved if the student is idle.

따라서, 독학 관리 학원과 같이 학생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학습 공간과 환경을 제공하고 관리해주는 학원도 생기고 있다. Therefore, there are academies that provide and manage a learning space and environment so that students can study on their own, such as self-study management academies.

그러나 이러한 독학 관리 학원도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해주고 있지 못하며, 이에 불안함을 느끼는 부모들은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학생관찰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생들을 감시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However, these self-education management academies do not provide systematic management of students, and parents who feel anxious about this are increasingly monitoring students using the student observation system as shown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도 여전히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해주고 있지는 못하며, 특히 학생들이 도서관이나 독서실, 집 등에서 혼자 공부를 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관리를 전혀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is system still does not provide systematic management of student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particular, when students study alone in a library, a reading room, or at home, they cannot manage it at all.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0104호(2006. 01. 06. 공개)"학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한 학생관찰시스템"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00104 (published on Jan. 06, 2006) "Student observa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private institut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학습진행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이 관리자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the user's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be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s learning status can be checked anywhere.

본 발명은 일정기간 동안 학습해야할 과목과, 각 과목에 따른 온라인 강의정보, 교재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efficient learning progress by registering subjects to be studied for a certain period, online lecture information, and textbook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so that progress can be grasped. there is a purpose to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고, 교재에 대한 학업정보도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여 누적 저장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진행율을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과목 비중에 따른 학습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lecture information taken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the academic information about the textbook is also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it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percentage of the course is calculated and provi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can check the progress of learning according to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교재정보의 경우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완료시간을 고려하여 스케줄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재 학습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effective teaching of teaching materials by adjusting the schedule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completion time for the corresponding teaching materials of other users in the case of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a us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check learn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학습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 생활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study that enables the registration of learning information as well as other activities and l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such information together to the manager terminal, so that the management of the user's learning and activities can be made more effectively It aims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생활과정이 자동으로 일일보고서 형태로 출력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정을 일별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the user's learning and living process to be automatically outputted and stored in the form of a daily report, so that the user's learning process can be checked on a daily basis.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과정, 생활과정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도록 하고, 이를 합산하여 포인트에 따른 보상과 벌점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motivation for the user's learning and life by granting penalty points or points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process and life process, and summing them up to compensate for the points and disciplinary against the penalty points. It aims to provide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진행되는 학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through which a user learns; a manager terminal for monitoring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stores information on learning condu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manag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정기간 동안의 학습계획을 설정하는 계획설정부와, 상기 계획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계획에 대한 학습진행과정을 등록하는 학습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설정부는 학습 진행기간을 설정하는 기간설정모듈과, 학습 진행기간동안 수행되어야 할 과목과 각 과목의 비중을 설정하는 과목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한 온라인 강의 정보를 등록하는 인강정보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해 학습해야 할 교재정보를 등록하는 교재정보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기록부는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강의의 시청에 따라 자동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정보가 등록되는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과, 각 과목의 교재에 대한 학습학습정보가 입력되어 등록되는 교재정보입력모듈과,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누적저장모듈과, 각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 누적 정보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비율을 산출하는 학습비율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plan setting unit that sets a learning plan for a certain period, and a learning process for the plan set by the plan setting unit. and a study record for registering the plan, wherein the plan setting unit includes a period setting module for setting a learning progress period, a subject setting module for setting subjects to be performed during the learning progress period and a weight of each subject, and online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It includes a lecture information setting module for registering lecture information, and a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setting module for registering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to be studied for each subject, wherein the learning record automatically provides online lectures according to the viewing of online lectures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A course information automatic registration module for registering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a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entering and registering learning and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and a cumulative storage module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learning information for online lectures and textbooks and a learning rat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learning rate of each subject according to accumulated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online lecture and textboo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록부는 등록된 교재에 대한 성취율을 산출하여 학습 계획을 점검하도록 하는 성취율산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성취율산출모듈은 성취율을 산출할 교재정보를 입력하는 교재정보입력모듈과, 입력된 교재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학습완료 시간정보를 불러오는 성취시간로딩모듈과, 교재의 현재 잔여 범위와 타 사용자들의 학습완료 시간을 고려하여 교재의 달성 가능 정도를 산출하는 가능도산출모듈과, 산출된 가능도에 따른 학습계획 수정을 요청하는 수정요청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record includes an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to check the learning plan by calculating the achievement rate for the registered textbook, and the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Considers the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inputting the textbook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achievement rate, the achievement time loading module for calling the learning completion time information of other users for the input textbook, and the current remaining range of the textbook and the learning completion time of other use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achievability of the textbook and a revision request module for requesting revision of the learning pla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likelihoo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기록부는 교재에 대한 학습효율을 평가하는 학습효율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효율평가모듈은 학습중인 교재정보를 불러오는 교재정보로딩모듈과, 불러온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정보를 산출하는 학습시간산출모듈과, 학습이 진행된 해당 교재의 분량에 대한 학습시간을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과 비교하는 학습시간비교모듈과, 동일한 분량에 대한 학습시간을 비교하여 학습효율을 산출하는 학습효율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record unit includes a learning efficiency evaluation module for evaluating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teaching material, and the learning efficiency evaluation modul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eaching material being studied. A textbook information loading module that calls ,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arning efficiency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learning efficiency by comparing the learning time for the same amou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를 등록하는 상태기록부와,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기록부는 모의고사의 진행 정보와 시간정보를 등록하는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 식사 중인 정보와 식사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식사정보등록모듈, 휴식 정보와 휴식시간정보를 등록하는 휴식정보등록모듈, 외출 정보와 외출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외출정보등록모듈, 조퇴정보와 조퇴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조퇴정보등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표시부는 사용자의 학업상태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표시하고, 학습의 진행 및 상태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종합정보표시모듈과; 사용자가 현재 진행중인 학습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학습정보표시모듈과;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활동정보표시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연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tatus recorder for registering a user's status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It includes a status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wherein the status recording unit is a mock exam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for registering progress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mock exam, a meal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for registering information during meals and meal time information, rest information and A break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for registering break time information, an out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for registering outing information and outing time information, and an early departure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for registering early departure information and early departure time information, wherein the status display unit includes a user's academic status a comprehensive information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and providing a screen for learning progress and state information input to a user terminal; a learning information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user's current learning on a user terminal; an activity information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tivity on the user terminal; and a display interlocking module that transmit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o the manager terminal to be display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일일 활동에 관한 보고서를 등록하는 일일보고서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는 상기 학습기록부 및 상태기록부에 의해 기록되는 학습 및 활동정보를 불러오는 입력정보연동모듈과, 불러온 학습 및 활동정보를 시간순으로 배열하는 순차배열모듈과, 학습 및 활동정보에 관한 상세정보를 시간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단말기 화면에 출력하는 리스트출력모듈과, 출력된 일일보고서 정보를 저장하는 보고서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daily report register for registering a report on a user's daily activity, and the daily report register includes the learning record and An input information interlocking module that calls learning and activity information recorded by the status recorder, a sequential arrangement module that arranges the called learning and activity information in chronological order, and lists detailed information on learning and activity information in chronological order to display the user terminal scre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st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o the, and a report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output daily report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의 학습, 활동 상태에 따라 상벌을 부여하는 상벌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벌제공부는 사용자의 활동이 설정기준을 벗어나는 경우 벌점을 부여하는 생활벌점부여모듈과, 사용자의 학습이 설정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벌점을 부여하는 학습벌점부여모듈과,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계획에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포인트를 부여하는 학습포인트부여모듈과, 일정주기별로 벌점 및 포인트를 합산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주기보상제공모듈과, 벌점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패널티를 부여하는 벌점징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reward/punishment providing unit that grants rewards and punishments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and activity status, and the reward/punishment providing unit determines the user's activity. A living penalization module that grants penalty points when deviating from the set standards; a learning penalty point granting module that grants penalty points when the user's learning does not meet the set standards; and a point award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user's learning achievement conforms to the pl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arning point granting module, a periodic reward providing module that provides a reward by adding up the penalty points and points for each period, and a penalty point disciplinary module that grants a penalty when the penalty poi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학습진행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이 관리자단말기로 실시간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어디서나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s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nd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be provided in real time to the manager termi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user's learning status can be checked anywhere.

본 발명은 일정기간 동안 학습해야할 과목과, 각 과목에 따른 온라인 강의정보, 교재정보를 등록하도록 하여 이에 대한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진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conducting learning by registering subjects to be studied for a certain period, online lecture information and textbook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so that the progress thereof can be grasped.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고, 교재에 대한 학업정보도 관리서버에 등록되도록 하여 누적 저장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진행율을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과목 비중에 따른 학습진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lecture information taken through the user terminal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the academic information about the textbook is also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it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percentage of the course is calculated and provide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heck the learning progress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교재정보의 경우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완료시간을 고려하여 스케줄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재 학습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effective teaching of teaching materials by adjusting the schedule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completion time for the corresponding teaching materials of other users in the case of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the us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효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learn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학습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 생활정보의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함께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관리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ore effectively managing the user's learning and activities by allowing the registration of learning information as well as other activities and l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such information together to the manager terminal hav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생활과정이 자동으로 일일보고서 형태로 출력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정을 일별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s learning process to be checked on a daily basis by automatically outputting and storing the user's learning and living process in the form of a daily repor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과정, 생활과정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도록 하고, 이를 합산하여 포인트에 따른 보상과 벌점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과 생활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motivation for the user's learning and life by granting penalty points or points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process and life process, and summing them up to compensate for the points and disciplinary against the penalty points. has the effect of mak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학습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3의 계획설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계획설정을 위해 사용자단말가에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도 3의 학습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의 성취율산출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의 도 6의 학습효율평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3의 상태기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3의 상태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종합정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학습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3은 활동정보표시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4는 도 3의 일일보고서등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일일보고서의 출력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6은 도 3의 상벌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관리서버의 구성도
도 19는 도 18의 생활관리부에 따른 출결 및 생활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0은 도 18의 진학관리부에 의해 수행되는 관리진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ure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management unit of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 setting unit of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price for plan settin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recording unit of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of FIG.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rning efficiency evaluation module of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e recording unit of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us display unit of FIG.
1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a learning information display module;
13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an activity information display module;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ily report registration unit of FIG.
1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utput of a daily report;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ward and punishment providing unit of FIG.
17 is a block diagram of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1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ttendance and living manag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living management unit of FIG. 18
2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management process performed by the admission management unit of FIG. 18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단말기(2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단말기(3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진행되는 학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와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하는 관리서버(100);를 포함한다.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200 for a user to learn; a manager terminal 300 for monitoring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 management server 100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learning condu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s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manager terminal 300 );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에 대해 장소에 관계없이 학습 및 생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은 학원이나 독서실, 도서관 등에도 제대로 갈 수 없는 코로나 상황에서도 학업을 진행하는 학생, 수험생들에 데해 원격에서의 관리가 가능하며, 학습, 생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학업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ables monitoring of learning and living conditions regardless of location for a user who is learn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Therefore,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enables remote management for students and examinees who are studying even in a corona situation that cannot properly go to a private academy, reading room, or library, and provides efficient study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of learning and life to enable the progress of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학습을 진행하는 학생, 수험생 등이 소지한 단말기로 네트워크와 연결된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학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관리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정보와 수강하는 강의정보, 생활정보 등을 관리서버(10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들이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되어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에 대한 정보도 관리서버(10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학습상태, 생활상태에 대한 실시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는 본 시스템의 이용을 위한 웹, 앱 등이 설치되어 학습, 생활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The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possessed by students, examinees, etc. who are conducting learning, and various devices capable of taking online lectures and inputting learning information such as a desktop, laptop, or tablet PC connected to a network, smart phone, etc. are applied. can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to store learn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lecture information, life information, etc.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such information is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o enable monitoring of the user.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00, thereby enabling real-time management of the user's current learning state and living state. In the user terminal 200, a web, an app, etc. for use of the present system are installed so that learning and living information can be input.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어 관리서버(100)에 저장되는 학습정보, 생활정보 등을 전달받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학부모, 학원관리자, 선생님 등이 소지하는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생 등의 학습, 생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anager terminal 30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learning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etc. that are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are desktops owned by parents,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etc. , a laptop, or a tablet PC, various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may be applied. In particular, the manager terminal 300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learning and living information of the stud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to display th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in conjunction with it, and through this, the user It allows you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terminal in real time.

상기 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 생활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and stores learning information and l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r terminal 300 . To this end, the management server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 control unit 120 , and a storage unit 130 .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학습, 생활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들을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300 by accessing the wired/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related to learning and life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학습, 생활에 관한 정보들을 기록하고 저장하며, 학습에 대한 계획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며 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일일학습과정을 보고서 형태로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학습, 생활과정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20)는 계획설정부(122a), 학습기록부(122b), 상태기록부(122c), 상태표시부(122d), 일일보고서등록부(122e), 상벌제공부(122f)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records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learning and lif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sets a plan for learning, displays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on the screen, and displays it on the manager terminal 300 to be transmitted to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nd stores the user's daily learning process in the form of a report, and grants penalty points or points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and life process so that compensation can be mad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plan setting unit 122a, a learning record unit 122b, a state record unit 122c, a status display unit 122d, a daily report register unit 122e, and a reward/punishment providing unit 122f. can

상기 계획설정부(122a)는 일정기간 동안의 학습계획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입력에 따라 학습계획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계획설정부(12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기별로 학습할 과목, 과목에 대한 강의, 교재 등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간설정모듈(122a-1), 과목설정모듈(122a-2), 인강정보설정모듈(122a-3), 교재정보설정모듈(122a-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an setting unit 122a is configured to set a learning plan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may set the learning plan according to a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As shown in FIG. 5 , the plan setting unit 122a may set information on subjects to be studied for each semester, lectures on subjects, textbooks, etc. For this purpose, the period setting module 122a-1, subjects It may include a setting module 122a-2, a lecture information setting module 122a-3, and a textbook information setting module 122a-4.

상기 기간설정모듈(122a-1)은 학습기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기간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한 학기의 기간기 학습기간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간설정모듈(122a-1)에 의해 설정된 기간을 이용하여 각 과목, 인강, 교재 등에 대한 성취율이 계산되고 이를 통해 정해진 시간 안에 학습계획을 완료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The period setting module 122a-1 is configured to set the learning period, and the user can set the period arbitrarily, for example, to set the period period learning period of one semester. The achievement rate for each subject, lecture, textbook, etc. is calculated using the period set by the period setting module 122a-1, and through this, the learning plan is induced to be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과목설정모듈(122a-2)은 학습기간 중에 수행될 과목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과목에 대한 강의, 교재 정보 등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과목설정모듈(122a-2)은 설정되는 각 과목별로 그 시간 비율을 설정하여 비율에 맞추어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ubject setting module 122a-2 is configured to set subject information to be perform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and allows lectures and textbook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to be registered. In addition, the subject setting module 122a-2 sets a time ratio for each subject to be set so that learning can proceed according to the ratio.

상기 인강정보설정모듈(122a-3)은 학습기간 중에 수강할 온라인 강의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과목별로 온라인 강의의 종류와 범위,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ecture information setting module 122a-3 is configured to set online lecture information to be taken during the learning period,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type, range, time, and the like of the online lecture for each subject.

상기 교재정보설정모듈(122a-4)은 학습기간 중에 학습할 교재 정보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각 과목별로 교재의 종류와 범위, 교재를 학습할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The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setting module 122a-4 is a configuration for setting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to be learn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and may set information regarding the type and range of the teaching material for each subject, the time to learn the teaching material, and the like.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시청하는 온라인 강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교재학습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이러한 정보들이 누적저장되어 학습기간동안 수행중인 학습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과목의 학습 비중 및 교재에 대한 현재의 성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각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다른 사용자들과 비교하여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학습기록부(122b)는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 누적저장모듈(122b-3), 학습비율산출모듈(122b-4), 성취율산출모듈(122b-5), 학습효율평가모듈(122b-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arning record unit 122b is configured to register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to store online lectures viewed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teaching materials learn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do. In addition, the learning record unit 122b accumulates such information so that the progress of the learning being perform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can be grasped, and the learning weight of the subject and the current degree of achievement with respect to the textbook can be grasped. In addition, the learning record unit 122b compares the learning efficiency of each user with other users so that evaluation can be made. To this end, the learning record unit 122b includes a lecture information automatic registration module 122b-1, a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2, an accumulation storage module 122b-3, a learning rate calculation module 122b-4, It may include an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122b-5) and a learning efficiency evaluation module (122b-6).

상기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수강한 온라인 강의 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100)에 등록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온라인 강의의 종류, 수강시간, 범위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은 사용자의 온라인 강의 수강과 함께 수강정보가 자동으로 관리서버(100)에 등록되고, 이에 관한 정보가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되므로 수강 진행 상태에 대한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online lecture information automatic registration module 122b-1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register online lecture information taken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relates to the type of online lecture, course time, range, etc. information to be stored. Accordingly, in the course information automatic registration module 122b-1, the course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00 along with the user's online lecture taking,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so the course progress status can be managed effectively.

상기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은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교재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교재의 상세정보와 범위 등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합정보 화면에서 교재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은 해당 교재의 학습중으로 입력되도록 하고, 교재의 종류와 학습시간이 기록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The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2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that the user has studied, and information such as detailed information and range of the teaching material is register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make it possible When the user selects a teaching material on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screen as shown in FIG. 11, the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2 allows the corresponding teaching material to be input while learning, and the type and learning time of the teaching material are recorded and stored. .

상기 누적저장모듈(122b-3)은 사용자의 학습시간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122b-1), 교재정보입력모듈(122b-2)에 의해 등록되는 온라인 강의, 교재 학습의 진행시간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적저장모듈(122b-3)은 각 과목의 강의, 교재에 관한 학습시간을 누적하여 저장함으로써, 각 과목에 대한 학습비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umulative storage module (122b-3) is a configuration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the user's learning time, and the online lecture registered by the self-registration information automatic registration module (122b-1) and the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2); Accumulate and store the progress time information of textbook learning. Accordingly, the cumulative storage module 122b-3 accumulates and stores learning time for lectures and textbooks of each subject, so that the learning weight for each subject can be adjusted.

상기 학습비율산출모듈(122b-4)은 각 온라인 강의,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비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상기 누적저장모듈(122b-3)에 의해 저장되는 학습시간 정보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시간비중을 파악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학습비율산출모듈(122b-4)은 각 과목의 누적 학습비중을 파악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합정보 화면에 현시점의 각 과목에 대한 학습비중을 표시하도록 하며, 미리 설정된 각 과목의 학습비중과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계획한 과목간의 학습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The learning rate calculation module (122b-4)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learning rate of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learning time for each online lecture and textbook, and is based on the learning time information stored by the cumulative storage module (122b-3). The proportion of learning time for each subject should be grasped accordingly. Therefore, the learning rate calculation module 122b-4 determines the cumulative learning weight of each subject and displays the learning weight for each subject at the present time on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screen as shown in FIG. 11, and each subject preset By making a comparison with the learning weight of the students, it is possible to balance the learning between the planned subjects.

상기 성취율산출모듈(122b-5)은 교재의 학습에 대한 성취정도를 파악하는 구성으로, 각 교재의 잔여범위와 각 과목의 학습비중을 고려한 잔여시간에 따라 교재의 학습이 성취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취율산출모듈(122b-5)은 동일한 교재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도록 하며, 타 사용자들이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을 완료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이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기간 내에 학습 완료가 가능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성취율산출모듈(122b-5)은 교재정보입력모듈(122b-51),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 가능도산출모듈(122b-53), 수정요청모듈(122b-5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122b-5) is a configuration for grasping the degree of achievement for the learning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earning of the teaching materials is achievable according to the remaining time considering the remaining range of each teaching material and the learning weight of each subject. let it be The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122b-5 uses the learning data of other users for the same textbook, collects information on which other users have completed learning on the textbook, and compares it to see if learning is completed within the corresponding perio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this end, the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122b-5 includes a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51, an achievement time loading module 122b-52, a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3, and a correction request module 122b-54. ) may be included.

상기 교재정보입력모듈(122b-51)을 성취율을 산출하고자 하는 교재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교재의 과목, 종류정보와 함께 학습기간에 완료되도록 설정된 시간, 범위, 현재까지 학습한 범위 등의 정보를 저장부(130)에서 불러와 입력하도록 한다. The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51) is configured to input the textbook information for which the achievement rate is to be calculated, and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set to be completed in the learning period along with the subject and type information of the textbook, the range, and the range learned so far is called from the storage unit 130 and inputted.

상기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은 입력된 교재와 동일한 교재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불러오는 구성으로,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130)에는 타 사용자들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정보도 저장되므로, 이러한 정보들을 축적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은 축적된 정보들로부터 교재의 학습시간에 관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The achievement time loading module 122b-52 is configured to retrieve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same teaching material as the input teaching material from the storage unit 130, and to retrieve learning tim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teaching material of other users. Since learning information of other user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s also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such information is accumulated to form big data, and the achievement time loading module 122b-52 collects the accumulated information. Let the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time of the textbook be retrieved from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입력된 교재에 대해 정해진 학습기간 내에 학습을 완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당 교재에 대해 남아있는 범위를 남아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학습 완료 가능성을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상기 성취시간로딩모듈(122b-52)에 의해 불러온 타 사용자들의 해당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고, 산출된 평균값에 대해 현재 남아있는 교재의 학습범위를 고려하여 그 비율에 따라 타 사용자들의 평균적으로 해당 범위를 학습 완료한 시간을 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현재 남아있는 학습기간에서 해당 과목의 비중을 고려하여 학습가능시간을 산출하고, 평균 학습 완료시간에 대한 학습가능시간의 비율에 의해 학습완료 가능성이 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에 의해 산출되는 가능도가 높을수록 학습 완료 가능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은 각 과목에서 남아있는 온라인 강의의 시간의 제외하고 학습가능시간을 산출하도록 한다. The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3 is a configuration that calculates the possibility of completing learning within a predetermined learning period for the input textbook, and the learning completion po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remaining time for the remaining range for the corresponding textbook to calculate The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3)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average of the learning time for the corresponding textbook of other users called by the achievement time loading module (122b-52), and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is currently Considering the learning range of the remaining textbooks, calculate the average time that other users completed learning the corresponding range according to the ratio. And the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3) calculates the available learning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subject in the remaining learning period, and calculates the learning completion probability by the ratio of the available learning time to the average learning completion time make it possible Therefore, the higher the likelihood calculated by the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3, the higher the learning completion probability. At this time, the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3 calculates the available learning time excluding the remaining online lecture time in each subject.

상기 수정요청모듈(122b-54)은 상기 가능도산출모듈(122b-53)에 의해 산출되는 가능도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 학습계획의 수정을 요청하는 구성으로, 해당 과목에 대한 학습비중을 늘려 해당 교재의 학습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vision request module (122b-54) is a configuration that requests revision of the learning plan when the likelihood calculated by the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3)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increases the learning weight for the subject Allow the study of the textbook to be completed.

상기 학습효율평가모듈(122b-6)은 교재에 대한 학습을 진행중인 사용자의 현재 학습 효율을 평가하는 구성으로, 현재 학습의 진행분량 및 학습시간과 다른 사용자들의 해당 분량에 대한 학습 진행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학습효율을 평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학습효율평가모듈(122b-6)은 교재정보로딩모듈(122b-61), 학습시간산출모듈(122b-62), 학습시간비교모듈(122b-63), 학습효율산출모듈(122b-6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earning efficiency evaluation module (122b-6) is a configuration that evaluates the current learning efficiency of a user who is learning about the textbook, and compares the learning progress time for the corresponding amount of other users with the current learning progress amount and learning time. Evaluate the user's learning efficiency. To this end, the learning efficiency evaluation module 122b-6 includes a textbook information loading module 122b-61, a learning time calculation module 122b-62, a learning time comparison module 122b-63, and a learning efficiency calculation module 122b. -64) may be included.

상기 교재정보로딩모듈(122b-61)은 학습효율을 평가하고자 하는 교재의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학습기간 동안 진행되는 각 과목들의 교재들에 대한 정보를 일정주기별로 불러오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재 진행된 해당 교재의 학습시간과 학습범위에 대한 정보를 불러오도록 한다. The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loading module (122b-61) is configured to input the inform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for which learning efficiency is to be evaluated, and information on the teaching materials of each subject conduct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can be loaded at regular intervals. Let the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time and learning scope of the proceeded textbook be called up.

상기 학습시간산출모듈(122b-62)은 불러온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해당 교재에 대해 현재 학습기간에서 누적된 학습시간 정보를 산출하도록 한다. The learning time calculation module (122b-62)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learning time for the called textbook, and calculates the learning time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current learning period for the corresponding textbook.

상기 학습시간비교모듈(122b-63)은 현재 사용자의 학습시간과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현재 사용자의 학습시간에 대한 학습범위에 대해 동일한 학습범위를 갖는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를 불러와 비교하도록 한다. 이때,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정보는 다른 사용자들의 학습시간에 대한 평균값을 구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earning time comparison module (122b-63) is configured to compare the learning time of the current user with the learning time of other users, and the learning time information of other users having the same learning range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range of the current user's learning time call and compare. In this case, the learning time information of other users may be used by obtaining an average value of the learning times of other users.

상기 학습효율산출모듈(122b-64)은 동일한 범위에 대한 학습시간의 비교에 따라 학습효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타 사용자의 학습시간에 대한 현재 사용자의 학습시간의 비율에 의해 학습효율을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학습효율산출모듈(122b-64)은 사용자가 현재 얼마나 효율적으로 해당 교재를 학습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며, 추후의 학습속도를 결정하는데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earning efficiency calculation module (122b-64)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learn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the learning time for the same range, and to calculate the learning efficiency by the ratio of the current user's learning time to the learning time of other users can do. Therefore, the learning efficiency calculation module (122b-64) can know how efficiently the user is currently learning the corresponding textbook, and can be reflected in determining the learning speed in the future.

상기 상태기록부(122c)는 사용자의 현태 활동에 대한 상태를 기록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입력에 따라 현재 상태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기록부(122c)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의 현재 상태는 상기 상태표시부(122d)에 의해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되며,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은 관리자단말기(300)로 그대로 전달되어 학부모, 선생님 등의 관리자가 학생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상태기록부(122c)는 모의고사가 진행중인 정보를 등록하는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122c-1), 식사중임을 등록하는 식사정보등록모듈(122c-2), 휴기중임을 등록하는 휴식정보등록모듈(122c-3), 외출중임을 등록하는 외출정보등록모듈(122c-4), 조퇴함을 등록하는 조퇴정보등록모듈(122c-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기록부(122c)의 각각은 소요되는 시간정보도 함께 등록하도록 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활동을 마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정보도 함께 관리자단말기(300)로 제공되어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알도록 할 수 있다. The status recording unit 122c is configured to record the status of the user's current activity, and may register the current status according to a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registered by the state recording unit 122c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200 by the state display unit 122d, and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transferr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as it is. This allows administrators such as parents and teacher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s in real time. As an example, the state recording unit 122c includes a mock tes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1 for registering information that a mock test is in progress, a meal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2 for registering that you are eating, and rest information registration for registering that you are on vacation. It may include a module 122c-3, an out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4 for registering that you are going out, and an early leav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5 for registering an early leaving box. At this time, each of the status recording unit 122c registers the required time information as well, so that the activity can be comple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is information is also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to allow the manager to further monitor the user's status. can tell you exactly.

상기 상태표시부(122d)는 사용자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종합적인 학습 계획과 진행상태, 사용자의 활동에 대한 상태를 사용자단말기(200)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은 관리자단말기(300)에도 연동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태표시부(122d)는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 학습정보표시모듈(122d-2), 활동정보표시모듈(122d-3), 표시연동모듈(122d-4) 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us display unit 122d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user's status on the screen, and to display the user's comprehensive learning plan and progress status, and the status of the user's activit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 to be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the manager terminal 300 . To this end, the status display unit 122d includes a comprehensive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1, a learning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2, an activity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3, and a display interlocking module 122d-4. can do.

상기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은 사용자가 현재 진행중인 학습과정의 전체적인 상태를 사용자단말기(200)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기간, 진행률, 각 과목 비중에 따른 진행률, 각 과목의 강의, 교재에 대한 학습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은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등록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하며, 일일보고서의 제출 또한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1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overall state of the current learning process by the user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as shown in FIG. 11,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iod, progress rate, and weight of each subject. Information such as progress rate, lectures for each subject, and learning time for textbooks should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1 provides an area in which the user can register his or her status, and also enables the submission of daily reports by selecting them.

상기 학습정보표시모듈(122d-2)은 사용자가 진행중인 학습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강의, 교재, 특강 등에 대한 수업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화면은 관리자단말기(300)에 표시되어 관리자가 사용자의 강의 수강 상태를 한번에 알 수 있도록 한다. The learning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2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learning in progress by the user, and as shown in FIG. 12, class information for online lectures, textbooks, special lectures, etc.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particular, such a screen is displayed on the manager terminal 300 so that the manager can know the user's lecture attendance status at once.

상기 활동정보표시모듈(122d-3)은 사용자의 현재 활동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종합정보표시모듈(122d-1)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에서 모의고사, 식사, 휴식, 외출 등의 정보를 선택하여 시간과 함께 등록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활동의 잔여시간 정보도 함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activity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3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user's current activity state, and the user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 mock test, meal, rest, and going out on the screen displayed by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1. By selecting it, the registered information is displayed along with the time, and as shown in FIG. 13 ,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each activity is also displayed.

상기 표시연동모듈(122d-4)은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0)에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종합상태, 각 활동 및 학습의 상태가 모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쉽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interworking module 122d-4 is configured to link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manager terminal 300, and displays the user's overall state, each activity, and learning state to display the user's state. Make it easy to understand in real time.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122e)는 사용자의 일일 학습 및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의 활동들이 자동으로 순차배열되어 보고서 작성이 완료되도록 한다.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122e)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루 동안의 각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세부정보와 시간이 함께 저장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학습과 활동을 점검할 수 있고, 관리자는 사용자에 대한 실시간 관리를 하지 못한 경우에도 추후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일일보고서등록부(122e)는 입력정보연동모듈(122e-1), 순차배열모듈(122e-2), 리스트출력모듈(122e-3), 보고서저장모듈(122e-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ily report registration unit 122e is configured to create and store a report on the user's daily learning and activity, and the user's activities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re automatically sequentially arranged so that the report crea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5, the daily report registration unit 122e stores detailed information and time for each learning and activity during the day, through which the user can check his/her learning and activity, and the administrator Even if real-time management of the user is not perform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user's learning and activitie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daily report registration unit 122e may include an input information interworking module 122e-1, a sequential arrangement module 122e-2, a list output module 122e-3, and a report storage module 122e-4. can

상기 입력정보연동모듈(122e-1)은 상기 학습기록부(122b) 및 상태기록부(122c)에 의해 등록되는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정보들을 자동으로 불러오도록 하는 구성으로, 당일에 대한 기록들을 불러와 일일보고서의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input information interworking module 122e-1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all information on learning and activities registered by the learning record unit 122b and the state record unit 122c, and retrieves records for the day A report should be prepared.

상기 순차배열모듈(122e-2)은 상기 입력정보연동모듈(122e-1)에 의해 불려진 학습 및 활동정보들을 시간순으로 배열하는 구성으로, 각 기록에 함께 저장된 시간정보에 따라 순차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sequential arrangement module 122e-2 is configured to arrange the learning and activity information called by the input information interworking module 122e-1 in chronological order, so that the sequential arrangement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stored together in each record. do.

상기 리스트출력모듈(122e-3)은 순차 배열된 학습 및 활동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단말기(200) 화면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학습 및 활동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ist output module 122e-3 is configured to output a list of sequentially arranged learning and activities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detailed information on learning and activities can be checked.

상기 보고서저장모듈(122e-4)은 상기 리스트출력모듈(122e-3)에 의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되는 일일보고서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일일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eport storage module 122e-4 is configured to store the daily report output in the form of a list by the list output module 122e-3, an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r terminal 300, Make the daily report available at any time.

상기 상벌제공부(122f)는 사용자의 활동 및 학습에 대한 벌점, 포인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보상 및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생활벌점부여모듈(122f-1), 학습벌점부여모듈(122f-2), 학습포인트부여모듈(122f-3), 주기보상제공모듈(122f-4), 벌점징계모듈(122f-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ward/punishment providing unit 122f is configured to grant a penalty and points for the user's activities and learning so that compensation and disciplinary action are made. 2), a learning point granting module 122f-3, a periodic compensation providing module 122f-4, and a penalty disciplinary module 122f-5 may be included.

상기 생활벌점부여모듈(122f-1)은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벌점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설정된 기준에 어긋나는 활동을 하는 경우 이에 대한 벌점이 주어지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생활벌점부여모듈(122f-1)은 외출시간, 식사시간 등의 기준을 지키지 않거나 학습시간을 지키지 않는 경우 그 위반정도에 따라 벌점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iving penalty point granting module 122f-1 is configured to give a penalty point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and provides a penalty point for an activity that violates a set standard. As an example, the living penalty point granting module 122f-1 may assign penalty poin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violation when standards such as going out time, meal time, or the like, or learning time is not observed.

상기 학습벌점부여모듈(122f-2) 및 학습포인트부여모듈(122f-3)은 사용자의 학습 상태에 따라 벌점 또는 포인트를 부여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학습시간이 계획된 시간의 일정범위에서 지켜지는 경우 포인트를 부여하고 학습시간이 일정범위를 벗어나 지켜지지 않는 경우 포인트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earning penalty point granting module 122f-2 and the learning point granting module 122f-3 are configured to grant penalty points or points according to the user's learning state. Points may be given and if the learning time is not kept outside a certain range, points may be given.

상기 주기보상제공모듈(122f-4)은 일정주기로 포인트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포인트와 벌점을 합산하여 포인트가 일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보상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학원 수강권, 할인권 등을 보상으로 제공하여 학습 및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eriodic compensation providing module 122f-4 is configured to provide compensation according to points at a certain period, and may provide compensation when the point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value by adding up points and penalty points, for example, a school ticket, Discount coupons may be provided as a reward to provide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ctivities.

상기 벌점징계모듈(122f-5)은 누적되는 벌점이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각 징계조치를 실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학원 수강을 제한하거나 포인트를 삭감하는 등의 방식으로 징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penalty point disciplinary module 122f-5 is configured to promptly take disciplinary action when the accumulated penalty points exceed a certain value, and the disciplinary action can be made in a manner such as limiting the course attendance at the academy or reducing the points. .

상기 저장부(130)는 독학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학습계획, 학습기록, 활동기록, 일일보고서, 상벌 등에 관한 정보가 모두 저장되도록 하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정보가 누적 저장되어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이에 대한 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is configured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self-study management, so that all information on learning plans, learning records, activity records, daily reports, rewards and punishments, etc. are stored, and information of various users is accumulated and stored You can form data and make use of 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독학 관리 시스템을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은 학생들을 촬영하는 CCTV(400)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은 일 실시예와 같은 시스템을 그대로 이용하도록 하면서도 독학 관리 시스템이 독학 관리 학원 등 일정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학생 등의 사용자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독학 관리 시스템에서는 독학 관리 학원 등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학습을 통해 학부모, 학원 관리자 등을 통한 사용자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독학 관리 학원에 등원하는 학생 등의 사용자에 대해 CCTV(400)를 통한 추가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학생들의 학원 내에서의 생활, 출석여부, 성적 및 진학에 대한 관리 또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When a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may additionally include a CCTV 400 for photographing students.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llows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to be used as it i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mbodiment, but allows users such as students to be photographed and managed in real time whe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is performed at a certain place such as a self-study management academy. Therefore, in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manage users through parents, school administrators, etc. through learn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in self-study management institutes, etc. It enables additional management through the CCTV 400 for users such as students, and enables management of students' living, attendance, grades, and progress in the academy.

이를 위해, 상기 독학 관리 시스템의 학습관리부(122)는 영상관리부(122g)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20)는 생활관리부(124) 및 진학관리부(126)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learning management unit 122 of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may additionally include an image management unit 122g, and the control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living management unit 124 and a higher education management unit 126 .

상기 CCTV(400)는 학생의 학습 상황 및 생활 관리를 위하여 건물이나 개인 지정석, 자습실, 생활관, 식당 등 학생의 활동을 감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폐쇄회로 카메라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촬영 영상이 관리서버(100)로 전달되며, 관리자단말기(300)로도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CTV 400 is a plurality of closed-circuit cameras installed to monitor student activities such as buildings, private reserved seats, self-study rooms, dormitories, and restaurants for student learning situation and life management, and captured images are managed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and to be provided to the manager terminal 300 as well.

상기 영상관리부(122g)는 상기 CCTV(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하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관리자단말기(300)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로딩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mage management unit (122g) is configured to manage the image captured by the CCTV (400), and transmit it to the manager terminal (300) while being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so that it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It can be loaded and output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manager terminal 300 later.

상기 생활관리부(124)는 학생의 학원에 대한 출결 및 생활과정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출결관리모듈(124a) 및 생활관리모듈(124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fe management unit 124 is a configuration that manages the attendance and life process for the student's academy, and may include an attendance management module 124a and a life management module 124b.

상기 출결관리모듈(124a)은 출결사항과, 조퇴, 외출 등에 관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단말기(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생활관리부(124)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되어 상태기록부(122c)에 의 의해 등록되는 것과는 별개로 학원 내의 출입장치, 별도 학원관리장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ttendance management module 124a registers and manages attendance information, early departure, outing, and the lik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300 . The life management unit 124 is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and separately from being registered by the state recording unit 122c, it can receive and register information on the access device in the school and the separate school management device. .

상기 생활관리모듈(124b)은 학생이 현재 어디에서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개인지정석, 스터디 카페, 자습실, 생활관, 학생 식당 및 매점 등에 각각 형성된 CCTV(400)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을 전달받아 후술할 생활영상DB(134)에 저장하고, 추후 관리자단말기(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생활관리모듈(124b)은 사용자의 학원 내에서의 활동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life management module (124b)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confirmation of where and what activities the student is currently doing, and the user through the CCTV 400 formed in individual reserved seats, study cafes, self-study rooms, dormitories, student cafeterias, and canteens,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image of , store it in the living image DB 134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 it in real time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manager terminal 300 later. Accordingly, the life management module 124b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user's activities in the school.

상기 진학관리부(126)는 성적관리모듈(126a)과 컨설팅관리모듈(126b)을 포함할 수 있다. 성적 관리모듈(126a)은 학생의 수능 및 모의고사 성적을 성적자료The academic progress management unit 126 may include a grade management module 126a and a consulting management module 126b. The grade management module (126a) records the student's SAT and mock test scores as grade data.

DB(135)에 저장하고 관리자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이를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그리고, 컨설팅 관리모듈(126b)은 학생의 성적을 기초로 학기계획을 수립하고 대학It is stored in the DB 135 and shar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manager terminal 300 . And, the consulting management module (126b) establishes a semester plan based on the student's grades and

진학 전략에 대한 컨설팅 내역을 컨설팅내역DB(136)에 저장하고, 관리자단말기Storing the consulting details for the admission strategy in the consulting history DB (136), and the manager terminal

(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학부모와 공유한다. 이에 따If there is a request from (300), it is provided in real time and shared with parents. Accordingly

라, 학생의 성적에 따른 맞춤형 학습 계획 수립과 진학 컨설팅이 가능하며, 학부모D.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customized learning plan according to the student's grades and provide consulting for further education, and

는 해당 학습 계획과 컨설팅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can check and manage the relevant learning plan and consulting details in real time.

상기 진학관리부(126)에 의한 학생 관리 과정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이 새롭게 입학하게 되면 관리서버(100)의 성적 관리모듈(126a)에서 입학생의 지난 연도 수능성적을 입력받아 성적자료DB(135)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지난 연도 수능 성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과목별로 입력 저장되며, 점수와 등급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지난연도 지원 대학 및 합격 여부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student management process by the progress management unit 126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0, as shown in FIG. 20(a), when a student enters a new school, the grade management module 126a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It receives the entrance exam scores of the last year and stores it in the grade data DB 135 and manages it. As shown in the figure, last year's CSAT scores are input and stored for each subject, and can be displayed by being divided into scores and grades. In addition, last year's application colleges and admission status may be stored together.

한편,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적자료DB(135)에는 동급 성적의 과거 수강생의 입학전 연도 수능 성적과 대학 지원 정보 및 합격 여부, 그리고 입학후 수능 성적과 학습 전략, 지원 대학 및 합격 여부 등의 정보가 저장되며, 관리자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동급 성적 과거 수강생의 성적 및 진학 정보를 참고로 하여,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과 학원이 함께 1학기 계획을 수립하고, 이러한 수립 계획에 의해 상기 계획설정부(122a)에 의해 학습계획이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0 (b), in the transcript data DB 135, the CSAT scores and colleg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pass status of previous students with the same grades in the previous year, and the CSAT scores and learning strategies after admission, the university to which they apply And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pass or not is stored, it can be shar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manager terminal (300). Referring to the grades and progression information of past students with the same grades as a reference, as shown in FIG. 20(c), the student and the academy establish a plan for the first semester together, and by the plan setting unit 122a according to this establishment plan A study plan can be developed.

또한, 학기가 시작되고 일정 기간 학습후 1차 모의고사를 치르고 나면, 관Also, after the semester starts and after study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aking the first mock test,

리서버(100)의 성적 관리모듈(126a)에서는, 도 20(d)와 같이, 입력된 1차 모의In the grade management module 126a of the server 100, as shown in FIG. 20(d), the input primary simulation

고사 성적을 성적자료DB(135)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단말기(300)와 공유한다. 이The test scores are stored in the grade data DB (135) and shared with the manager terminal (300). this

와 함께, 1차 모의고사 후 성적을 바탕으로 한 컨설팅 수행 내역, 장학금 지급 내Along with, the history of consulting based on the results after the 1st mock test, within the scholarship payment

역, 특강수강 변경 사항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20(e), (f), (g)와 같이, 1차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2학기 계획이 수립되어 저장Changes to stations and special lectures can be saved together. In the same way, as shown in FIGS. 20(e), (f), (g), a plan for the second semester is established and sa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mock test

되고, 2차 모의고사 성적을 바탕으로 3학기 계획이 수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ond mock test, a plan for the third semester can be established. Finally,

해당 연도 수능 성적이 발표되면, 관리서버(100)의 성적 관리모듈(126a)에서는 입When the SAT score for the year is announced, the grade management module 126a of the management server 100 enters

력된 수능 성적을 성적자료DB(135)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단말기(300)와 공유한다. 상기 수능 성적을 기초 컨설팅 관리모듈(126b)에서는, 도 20(h)에 도시된바와 같이, 수시 또는 정시 등 지원 전략, 지원 대학 및 지원 학과 등을 제안하는 컨설팅 내역을 컨설팅내역DB(136)에 저장하고, 이를 관리자단말기(300)와 공유한다. 이에 따라, 학부모는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하여 학생의 수능 성적과 지원The recorded CSAT scores are stored in the grade data DB (135) and shared with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In the basic consulting management module 126b of the CSAT scores, as shown in FIG. 20(h), consulting details suggesting support strategies, support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to be supported, such as on-time or on-time, etc. are stored in the consulting history DB 136. It is stored and shared with the manager terminal 300 . Accordingly, the parents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to support the student's SAT scores and support

전략 등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You will be able to check and manage strategies, etc.

상기 저장부(130)는 일 실시예와 같이 독학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학습영상DB(131), 계획서/보고서DB(132), 출결자료DB(133), 생활영상DB(134), 성적자료DB(135), 컨설팅내역DB(13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self-study management as in an embodiment, and more specifically, a learning image DB 131, a plan/report DB 132, an attendance data DB 133, and a daily life image. It may include a DB 134 , a grade data DB 135 , and a consulting history DB 136 .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only one embodiment that imple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not allowed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00: 관리서버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22: 학습관리부
122a: 계획설정부 122a-1: 기간설정모듈 122a-2: 과목설정모듈
122a-3: 인강정보설정모듈 122a-4: 교재정보설정모듈
122b: 학습기록부 122b-1: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
122b-2: 교재정보입력모듈 122b-3: 누적저장모듈
122b-4: 학습비율산출모듈 122b-5: 성취율산출모듈
122b-51: 교재정보입력모듈 122b-52: 성취시간로딩모듈
122b-53: 가능도산출모듈 122b-54: 수정요청모듈
122b-6: 학습효율평가모듈 122b-61: 교재정보로딩모듈
122b-62: 학습시간산출모듈 122b-63: 학습시간비교모듈
122b-64: 학습효율산출모듈 122c: 상태기록부
122c-1: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 122c-2: 식사정보등록모듈
122c-3: 휴식정보등록모듈 122c-4: 외출정보등록모듈
122c-5: 조퇴정보등록모듈 122d: 상태표시부
122d-1: 종합정보표시모듈 122d-2: 학습정보표시모듈
122d-3: 활동정보표시모듈 122d-4: 표시연동모듈
122e: 일일보고서등록부 122e-1: 입력정보연동모듈
122e-2: 순차배열모듈 122e-3: 리스트출력모듈
122e-4: 보고서저장모듈 122f: 상벌제공부 122f-1: 생활벌점부여모듈
122f-2: 학습벌점부여모듈 122f-3: 학습포인트부여모듈
122f-4: 주기보상제공모듈 122f-5: 벌점징계모듈 122g: 영상관리부
124: 생활관리부 126: 진학관리부 130: 저장부
200: 사용자단말기 300: 관리자단말기 400: CCTV
100: management server
110: communication unit 120: control unit 122: learning management unit
122a: plan setting unit 122a-1: period setting module 122a-2: subject setting module
122a-3: Ingang information setting module 122a-4: Textbook information setting module
122b: learning record 122b-1: Ingang information automatic registration module
122b-2: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3: Cumulative storage module
122b-4: learning rate calculation module 122b-5: achievement rate calculation module
122b-51: textbook information input module 122b-52: achievement time loading module
122b-53: likelihood calculation module 122b-54: modification request module
122b-6: learning efficiency evaluation module 122b-61: textbook information loading module
122b-62: learning time calculation module 122b-63: learning time comparison module
122b-64: learning efficiency calculation module 122c: state recording unit
122c-1: Mock tes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2: Meal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3: break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4: out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c-5: Early departure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122d: Status display unit
122d-1: general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2: learning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3: activity information display module 122d-4: display interlocking module
122e: Daily report register 122e-1: Input information interlocking module
122e-2: sequential arrangement module 122e-3: list output module
122e-4: report storage module 122f: reward/punishment provision unit 122f-1: life penalty point grant module
122f-2: learning point granting module 122f-3: learning point granting module
122f-4: Periodic compensation providing module 122f-5: Penalty disciplinary module 122g: Video management unit
124: Living Management Department 126: Academic Admissions Management Department 130: Storage Department
200: user terminal 300: administrator terminal 400: CCTV

Claims (3)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관리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진행되는 학습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한 학습정보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 a user terminal through which the user conducts learning; a manager terminal for monitoring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a management server that stores information on learning being condu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manag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일정기간 동안의 학습계획을 설정하는 계획설정부와, 상기 계획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계획에 대한 학습진행과정을 등록하는 학습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설정부는,
학습 진행기간을 설정하는 기간설정모듈과, 학습 진행기간동안 수행되어야 할 과목과 각 과목의 비중을 설정하는 과목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한 온라인 강의 정보를 등록하는 인강정보설정모듈과, 각 과목에 대해 학습해야 할 교재정보를 등록하는 교재정보설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기록부는,
상기 학습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강의의 시청에 따라 자동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습정보가 등록되는 인강정보자동등록모듈과, 각 과목의 교재에 대한 학습학습정보가 입력되어 등록되는 교재정보입력모듈과,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누적저장모듈과, 각 온라인 강의 및 교재에 대한 학습 누적 정보에 따라 각 과목의 학습비율을 산출하는 학습비율산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A plan setting unit for setting a learning plan for a certain period, and a learning record unit for registering the learning progress process for the plan set by the plan setting unit,
The plan setting unit,
A period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learning progress period, a subject setting module for setting subjects to be performed during the learning period and the weight of each subject, a lecture information setting module for registering online lecture information for each subject, and each subject Includes a textbook information setting module that registers textbook information to learn about
The learning record is
A lecture information automatic registr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learning information for an online lecture according to the viewing of an online lecture through the learning terminal, a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entering and registering learning and learning information for the teaching material of each subject; Self-study management, comprising: a cumulative storage module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learning information for lectures and textbooks; and a learning ratio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learning rate of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learning cumulative information for each online lecture and textbook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를 등록하는 상태기록부와, 사용자의 학습 및 활동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기록부는,
모의고사의 진행 정보와 시간정보를 등록하는 모의고사정보등록모듈, 식사 중인 정보와 식사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식사정보등록모듈, 휴식 정보와 휴식시간정보를 등록하는 휴식정보등록모듈, 외출 정보와 외출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외출정보등록모듈, 조퇴정보와 조퇴시간정보를 등록하는 조퇴정보등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태표시부는,
사용자의 학업상태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표시하고, 학습의 진행 및 상태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사용자단말기로 제공하는 종합정보표시모듈과; 사용자가 현재 진행중인 학습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학습정보표시모듈과;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활동정보표시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연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학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A state record unit for registering the user's stat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 stat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earning and activity on the screen,
The status record unit,
Mock test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to register progress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mock test, meal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to register meal information and meal time information, break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to register break information and break time information, outing information and outing time information It includes an outing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to register, and an early departure information registration module to register early departure information and early departure time information,
The status display unit,
a comprehensive information display module that displays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ademic status and provides a screen for learning progress and status information input to a user terminal; a learning information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user's current learning on a user terminal; an activity information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ctivity on the user terminal; The self-study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a display interlocking module that transmit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o the manager terminal to be displayed.
KR1020200085971A 2020-07-13 2020-07-13 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KR102462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71A KR102462855B1 (en) 2020-07-13 2020-07-13 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971A KR102462855B1 (en) 2020-07-13 2020-07-13 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985A true KR20220007985A (en) 2022-01-20
KR102462855B1 KR102462855B1 (en) 2022-11-02

Family

ID=8005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971A KR102462855B1 (en) 2020-07-13 2020-07-13 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8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0191A (en) * 2022-04-18 2022-07-22 高途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867A (en) * 2006-06-13 2007-12-18 주식회사 케이티 Study management system for on-line education and study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120001987A (en) * 2010-06-30 2012-01-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48232B1 (en) * 2012-07-20 2014-10-08 (주)아이티언 Smart study of method and system based on N-Screen service
KR20160020820A (en) * 2014-08-14 2016-02-24 김용섭 Method for managing service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8867A (en) * 2006-06-13 2007-12-18 주식회사 케이티 Study management system for on-line education and study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120001987A (en) * 2010-06-30 2012-01-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earning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448232B1 (en) * 2012-07-20 2014-10-08 (주)아이티언 Smart study of method and system based on N-Screen service
KR20160020820A (en) * 2014-08-14 2016-02-24 김용섭 Method for managing service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0191A (en) * 2022-04-18 2022-07-22 高途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855B1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plee et al. Fostering a smooth transition to the faculty role
Jette et al. How do we improve quality in clinical education? Examination of structures, processes, and outcomes
Mills et al. Survey of mathematics tutoring centres in the USA
Laliberté et al. An in-depth analysis of ethics teaching in Canadian physio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US20170103665A1 (en) Educational Institution Tutoring Method
KR102462855B1 (en) A Management System for Self-Study
Cooksey-Campbell et al. Supervision during child welfare system reform: Qualitativ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case manager implementation of a new practice model
KR20210028338A (en) Academic affair management sysytem for self-study institues
Beachy-Quick et al. SafeCare Colorado program evaluation report 2014–2017
Wintermeyer A study of dual enrollment and community college persistence
JP6627068B1 (en) Learning management system
Robinson et al. Building connections in aged care: developing support structures for student nurses on placement in residential care
Ruddy et al. Managing talent in global organizations
Kumm et al. Teacher preparation
Cole et al. Evaluating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dissemination of a multisite card study in the WWAMI Region Practice and Research Network
Sebastian et al. The academic nursing practice dean: An emerging role
Gast Student Readiness in an Asynchronous Online Environment: A Correlational Study on Student Success
Shires et al. Barriers to provision of external clinical psychology student placements
Yarrow et al. Learning from local practices: Improving student performance in West Bank and Gaza
Knott et al. Outcomes assessment in a capstone management course: engaging multiple stakeholders
Beach et al. Surviving OR computerization
Pendry et al. Five guiding principles to help to improve diversity training assessment
JP2003345909A (en) Study guidance method and study guidance system
Lijewski Assessing elements of employee retention in child welfare dependency case managers
Sasser et al. College of Nursing–Sponsored Research Forum to Promote Student Scholarship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