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805A - 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 - Google Patents

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805A
KR20220007805A KR1020200085315A KR20200085315A KR20220007805A KR 20220007805 A KR20220007805 A KR 20220007805A KR 1020200085315 A KR1020200085315 A KR 1020200085315A KR 20200085315 A KR20200085315 A KR 20200085315A KR 20220007805 A KR20220007805 A KR 20220007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condition
home appliance
care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유술
이헌재
공희원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7805A/en
Publication of KR20220007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8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5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related to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nd an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using multiple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oor home appliances are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n air quality care mode only when an outdoor air state goes bad and the outdoor air state affects indoor air qual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indoor air quality using the multiple home appliances and prevents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s.

Description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공기질 케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using multiple home appliances,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공기질 케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의 대기상태에 따라 실내의 공기질을 케어할 수 있는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공기질 케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us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an air quality care method, and a mobile device. It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n air quality care method, and a mobile device.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대기 중에 떠다니는 대기 오염 물질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과학자들은 크게, 이황산가스나 일산화탄소, 오존 등으로 대표되는 가스상 물질과, 미세먼지나 초 미세먼지, 황사와 같은 입자상 물질로 구분한다.As industry develops, air pollution is becoming more serious. There are several types of air pollutants floating in the atmosphere, but scientists largely divide them into gaseous substances such as disulfate gas, carbon monoxide, and ozone, and particulate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ultra-fine dust, and yellow sand.

대부분의 가스상 물질들이 인간의 일상생활과 산업활동에서 배출되는 데 반하여 입자상 물질은 그 근원이 대단히 복잡하다. 입자상 물질의 상당 부분은 산업단지나 대도시에서의 인간 활동에서 비롯되지만 황사나 화산활동처럼 자연현상에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또는 지표면의 먼지가 바람에 휩쓸려 공기 중으로 들어가기도 한다.While most gaseous substances are emitted from human daily life and industrial activities, the origin of particulate matter is very complex. A significant part of particulate matter originates from human activities in industrial complexes or large cities, but it is also produced by natural phenomena such as yellow dust or volcanic activity. Alternatively, dust on the surface of the earth may be swept away by the wind and enter the air.

먼지로 인한 대기 오염이 심해지면서 실제로 정부는 대기 오염 물질 가운데 먼지를 측정하기 시작했으며, 황사, 미세먼지, 및 초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As air pollution due to dust intensifies, the government has actually started measuring dust among air pollutants, providing information on yellow dus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종래에도 공기 오염도에 대한 날씨 정보 활용 또는 휴대용 먼지 센서의 센싱 결과를 참조하여, 가전기기를 연동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7691호에서는 외부로부터 대기오염도정보를 수신하고, 미세먼지정보, 대기오염도정보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물질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효율적으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청정기 제어방법 및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there was a case in which home appliances were linked with reference to the use of weather information on air pollution or the sensing result of a portable dust sensor. In Korea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77691, air purifier control for receiving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ccurately measuring substances contained in air using fine dust information and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efficiently purifying air A method and an air purifier are disclosed.

그러나, 상기 한곡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포함한 종래 기술들은 특정 가전기기가 대기오염도정보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개별적인 제어 기술에만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techniques including the techniques disclosed in the Hangok Patent Publication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limited to individual control techniques in which a specific home appliance receives air pollution level information and operates.

특히, 집안과 같은 실내의 경우, 현재의 실외의 대기상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실외의 대기상태에 따라 실내의 공기질을 제어한다. 이는 가전기기의 불필요한 동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ndoor such as a house, the indoor air qual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utdoor air condition even though it is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current outdoor air condition. This has a problem of causing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공기질 케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실외의 대기상태가 미세먼지, 초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에 의해 나빠지고,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 조건이 충족할 때 실내 공기질을 케어할 수 있는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공기질 케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n air quality care method, and a mobile device us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wherein the outdoor air condition is deteriorated by fine dust, ultrafine dust, or yellow dust, and the indoor air quality is reduced to the outdoor air qua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n air quality care method, and a mobile device us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that can care for indoor air quality when a condition affected by a state is satisfied.

본 발명은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실내 공기질이 영향을 받을 때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를 포함한 다수의 가전기기가 협업하여 공기질 케어를 비롯한 실내 공기 오염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공기질 케어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that can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indoor air pollution, including air quality care, in collaboration with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cluding air quality care appliances when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outdoor air condition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n air quality care method, and a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영향 감지 모듈,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pact detection module, at least on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and a mobile device.

상기 영향 감지 모듈은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may detect whether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an outdoor atmospheric condition.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로,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is an indoor home appliance and may operate in an air quality care mode.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한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영향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공기질 케어 명령을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가 실외의 대기가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만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The mobile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standby state condition based 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received from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are satisfied. In addition, when the standby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e mobile device may transmit an air quality care command to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Through this,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can operate in the air quality care mode only when the outdoor air affects indoor air quality.

상기 대기상태 정보는 기 등록된 기상 정보 서비스로부터 수신되는 미세먼지 농도, 초 미세먼지 농도, 및 황사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mospheric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fine dust concentration,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yellow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a previously register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상기 대기상태 조건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상기 초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by condition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yellow dust concentr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상기 영향 감지 모듈은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창문, 출입문 등의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가 개방되어 실외의 대기가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may include a door ope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a door such as a window or a door opened to the outside is open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and the outdoor air affects the indoor air quality.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는 에어컨과 공기 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컨 또는 공기 청정기는 공기질 케어 모드로 기 등록된 청정 모드로 동작하여, 실내 공기질을 케어할 수 있다.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purifier. Here, the air conditioner or air purifier may operate in a clean mode previously registered as an air quality care mode to take care of indoor air quality.

상기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실링팬 또는 후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eiling fan and a hood installed indoors.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실링팬 또는 상기 후드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 공기가 순환되어,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의 공기질 케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drive the ceiling fan or the hood when the standby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rough this, indoor air is circulated, and the air quality care efficiency of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can be increased.

상기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실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로, 적어도 하나의 협업 가전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is a home appliance disposed indoors, and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협업 가전기기를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When the standby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e mobile device may operate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in an auxiliary care mode.

상기 협업 가전 기기는 로봇 청소기와 물걸레 청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robot cleaner and a wet mop cleaner.

상기 로봇 청소기와 상기 물걸레 청소기는 상기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때, 실내를 이동하며 바닥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robot cleaner and the wet mop cleaner operate in the auxiliary care mode, they can move indoors and perform floor cleaning.

상기 물걸레 청소기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이동 경로를 추종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닥의 먼지 등이 먼저 상기 로봇 청소기에 의해 흡수된 후, 물걸레 청소가 수행될 수 있다.The wet mop cleaner may move sequentially while foll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cleaner. Through this, after the dust on the floor is first absorbed by the robot cleaner, the wet mop cleaning may be performed.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의류 관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류 관리기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의류 관리 동작을 추천할 수 있다.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othing manager. Here, the clothes manager may recommend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condition.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때, 수분 섭취를 권유하는 권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may include a water purifier. Here, when the water purifier operates in the auxiliary care mode, the water purifier may output a recommendation message for recommending water intake.

상기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김치 냉장고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kimchi refrigerator.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이 기 설정된 기준 일수를 초과하여 유지되면, 상기 김치 냉장고가 유산균 모드로 전환되도록 전환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standby condition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number of days, the mobile device may transmit a switching command to switch the kimchi refrigerator to a lactic acid bacteria mode.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및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nd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실외의 대기상태가 미세먼지, 초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에 의해 나빠지고,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 조건이 충족할 때 실내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시켜, 가전기기의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First, when the condition that the outdoor air condition is deteriorated by fine dust, ultra-fine dust or yellow dust, and the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the outdoor air condition is satisfied, the indoor air quality care mode is operated, An effect capable of preventing the operation is provided.

둘째, 다수의 가전기기들의 협업을 통해 실내의 공기질을 케어하여, 보다 실내 공기 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Second, the effect of improving indoor air cleaning efficiency is provided by taking care of indoor air quality through collaboration of a number of home appliances.

셋째,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 외에, 실링팬과 후드와 같은 공기 순환 기기가 함께 작동하여, 실내 공기 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Third, in addition to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air circulation devices such as a ceiling fan and a hood work together to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indoor air cleaning efficiency.

넷째,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의 작동과 함께, 로봇 청소기, 물걸레 청소기 등이 실내 바닥을 청소하여, 실내를 보다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Fourth,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a robot vacuum cleaner, a wet mop cleaner, etc. can clean the indoor floor to keep the room in a cleaner state.

다섯째, 정수기가 수분 섭취를 유도하고, 김치 냉장고가 유산균 발생을 증가시키는 유산균 모드로 동작하여, 대기상태의 악화에 따른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Fifth, the water purifier induces water intake and the kimchi refrigerator operates in the lactic acid bacteria mode to increase the gen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managing the health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of the atmospheric condition.

여섯째, 대기상태의 상태에 따라 의류 관리기가 의류 관리 모드를 추천하여, 보다 효율적인 의류의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제공된다.Sixth,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andby state, the clothes manager recommends a clothes management mode, so that more efficient clothes can be manag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표시된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의 의류 관리기의 작동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control flowcharts of an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lothing manager of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집안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케어한다.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s care of indoor air quality by us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installed indoors, such as a house.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영향 감지 모듈(500),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pact detection module 500 , at least on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 and a mobile device 600 . have.

영향 감지 모듈(500)은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감지한다.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detects whether the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the outdoor air condition.

본 발명에서는 영향 감지 모듈(500)이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도어'는 실외 측으로 통하는 출입문,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창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emplified that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includes a door ope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a door opened to the outside is opened. Here, the 'door' opened to the outdoor side may include an entrance door leading to the outdoor side and a window opened to the outdoor side.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출입문이나 창문이 개방되면 실외의 대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는 실외의 대기상태가 실내의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 개방 감지 모듈이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게 되면,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When a door or window that opens to the outside is opened, outdoor air may flow into the room. This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outdoor air condition affects the indoor air quality. Accordingly, when the door open detection module detects the door opening, the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the outdoor air condition.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는 가정과 같은 실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로,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s a home appliance disposed indoors, such as at home, and may be operated in an air quality care mode.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가 공기 청정기(110a)와, 에어컨(110b)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외에도, 실내 공기질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가전기기도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가전기기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ncludes an air purifier 110a and an air conditioner 110b as an example. In addition, of course, other types of home appliances for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may also be included in the air quality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와 영향 감지 모듈(500)은 홈 네트워크(70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800)와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600)와 통신한다. 홈 네트워크(700)에는 Wi-Fi 망이 적용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800)는 인터넷 망, 이동통신망,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네트워크(700)는 근거리 통신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Z-wave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and the impact detection module 500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800 through the home network 700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device 600 . A Wi-Fi network may be applied to the home network 700 . The external network 80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rnet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bination thereof. As another example, the home network 7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As a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Zigbee, Z-wave, etc. may be applied.

영향 감지 모듈(500)이 Wi-Fi 망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 감지 결과를 Wi-Fi 망 및 외부 네트워크(8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6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향 감지 모듈(500)이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실내의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감지 모듈의 감지 결과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해당 가전기기로 전송되고, 해당 가전기기가 Wi-Fi 망 및 외부 네트워크(800)를 통해 영향 감지 모듈(500)의 감지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6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communicates through the Wi-Fi network, the detec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600 through the Wi-Fi network and the external network 800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communicates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it may communicate with any one of indoor home appliances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The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mage detec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and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through the Wi-Fi network and the external network 800 to the mobile device 600 ) can be transmitted.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외부로부터 대기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상태 정보는 기 등록된 기상 정보 서비스, 예를 들어, 기상청이 제공하는 기상 정보 서비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대기상태 정보는 대기의 오염 정도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 초 미세먼지 농도, 및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device 600 may receive standby stat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Here,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 pre-registere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for example, a weather inform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atmospheric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an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 yellow dust concentration.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수신된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상태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정보가 미세먼지 농도일 때,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대기상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초 미세먼지 농도 또는 황사 농도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대기상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a standby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received standby stat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i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mobile device 600 may determine that the standby state condition is satisfied i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Similarly, the mobile device 600 may determine that the standby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or the yellow dust concentr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영향 감지 모듈(500)로부터 실내외 영향 조건을 수신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조건 및 영향 감지 조건이 모두 만족하는 경우, 공기질 케어 명령을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600 receives the indoor and outdoor influence conditions from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 In addition, when both the standby state condition and the influence detection condition are satisfied, the mobile device 600 may transmit an air quality care command to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는 모바일 디바이스(600)로부터 공기질 케어 명령이 수신되면, 기 설정된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가 공기 청정기(110a)인 경우, 기 등록된 청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가 에어컨(110b)인 경우, 에어컨(110b)의 청정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When an air quality car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600 ,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operates in a preset air quality care mode. For example, when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s the air purifier 110a, it may operate in a pre-registered cleaning mode. Similarly, when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s the air conditioner 110b, the clea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110b may be execu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실외의 대기가 미세먼지 등으로 나쁜 상태에서 실내의 창문 등이 열려 있는 경우에, 에어컨(110b)이나 공기 청정기(110a)가 청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실내의 공기가 악화된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 실내 공기를 케어함으로써, 에어컨(110b)이나 공기 청정기(110a)의 불필요한 작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110b or an air purifier 110a when an indoor window is opened in a bad state due to fine dust or the like. can operate in clean mode. That is, an effect of reducing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10b or the air purifier 110a may be provided by taking care of the indoor air in a situation in which the indoor air is affected by the deteriorated outdoor atmospheric condition.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의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는 가전 통신 모듈(110), 가전 메인 모듈(120), 가전 제어 프로그램(130) 및 가전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me appliance communication module 110 , a home appliance main module 120 , a home appliance control program 130 , and a home appliance processor 140 . may include

가전 통신 모듈(110)은 홈 네트워크(700)에 연결되어, 상호간 또는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700)가 WiFi 망인 경우, 가전 통신 모듈(110)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홈 네트워크(700)에 접속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7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me network 700 is a WiFi network, the home applianc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access the home network 700 based on the TCP-IP protocol.

여기서, 가전 통신 모듈(110)은 근거리 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는 영향 감지 모듈(500)의 감지 결과를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WiFi 망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600)로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home applianc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on with a local area network. As described above,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may receiv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mpact detection module 500 throug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device 600 through the WiFi network.

가전 메인 모듈(120)은 해당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의 주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가 공기 청정기(110a)인 경우, 가전 메인 모듈(120)은 공기 청정기(110a)의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가 에이컨인 경우, 가전 메인 모듈(120)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드 등의 냉각 사이클을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in module 12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main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 For example, when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s the air purifier 110a, the home appliance main module 120 may include a hardware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the air purifying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110a. As another example, when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s an air conditioner, the home appliance main module 120 may include an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cooling cycle such as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expansion valve.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가 공기 청정기(110a)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가전 메인 모듈(120)은 공기 청정기(110a)의 기능 구현을 위한 팬 구동 모듈(121), 공기 청정 모듈(122) 및 센싱 모듈(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s an air purifier 110a. Accordingly, the home appliance main module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n driving module 121, an air cleaning module 122, and a sensing module 123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110a.

예를 들어, 공기 청정 모듈(122)은 공기 청정 모듈(122)은 공기 청정을 위한 다수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팬 구동 모듈(121)은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고, 다수의 필터를 거쳐 배출되도록 공기를 순환시킨다. 센싱 모듈(123)은 공기 청정기(110a)의 운전 중에 실내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cleaning module 12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for air cleaning. In addition, the fan driving module 121 circulates air so that indoor air is sucked in and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The sensing module 123 may include an air quality sensor that measures indoor air quality while the air purifier 110a is operating.

가전 제어 프로그램(130)은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메인 프로세서와의 연동을 통해 공기 청정기(110a)의 운전을 제어한다. 가전 제어 프로그램(130)은 가전 통신 모듈(110)을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기존에 실내에 비치되어 있던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의 경우에도 가전 제어 프로그램(130)의 업데이트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케어 모드의 등록이 가능하게 된다.The home appliance control program 130 is stored in a data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10a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main processor. The home appliance control program 130 is provided to enable updating through the home appliance communication module 110 . Through this, even in the case of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that has been installed indoors, it is possible to register the air quality car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update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program 130 .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구성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모바일 통신 모듈(610), 다수의 앱이 저장된 앱 저장부(620), 모바일 디스플레이(630), 입력 모듈(640) 및 모바일 프로세서(6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mobile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0 , an app storage unit 620 in which a plurality of apps are stored, a mobile display 630 , and an input module 640 . ) and a mobile processor 650 .

모바일 통신 모듈(610)은 이동 통신망, 예를 들어 5G 망이나 LTE 망에 접속하여 통신한다. 여기서, 모바일 통신 모듈(610)은 WiFi 망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0 connects to and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5G network or an LTE network. Here, of co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accessing the WiFi network.

앱 저장부(620)에는 다수의 앱(APP : Application)이 저장된다. 도 3에서는 앱 저장부(620)에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과, 대기상태 정보 수신 앱이 저장된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운영체계, 예를 들어 애플사의 IOS나 구글사의 크롬 OS가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저장한 다른 앱도 함께 저자오딘다.A plurality of apps (APP: Application) are stored in the app storage unit 620 . In FIG. 3 ,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and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reception app are stored in the app storage unit 620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device 600, for example, Apple's IOS or Google's Chrome OS may be stored, and other apps stored by the user are also stored.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은 모바일 프로세서(650)와 연동하여,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에 등록된 가전기기와 통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를 포함하여, 후술할 협업 가전기기(300), 실링팬(200b), 후드(200a), 김치 냉장고(400) 등이 등록된 것을 예로 한다.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communicates with the home appliance registered in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by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processor 650 .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shown in FIG. 1 , a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300 , a ceiling fan 200b , a hood 200a , and a kimchi refrigerator 400 to be described later are registered as an example. do.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이 대기상태 조건과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은 대기상태 조건과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공기질 케어 명령을 모바일 통신 모듈(610)을 통해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determines whether the standby state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en,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transmits an air quality care comman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0 when the standby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대기 정보 수신 앱(622)은 상술한 기상 정보 서비스에 접속하여 대기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은 대기 정보 수신 앱(622)을 통해 수신된 대기상태 정보를 대기 정보 수신 앱(622)으로부터 전달받아, 대기상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tandby information receiving app 622 receives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above-describe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Here,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may receive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tandby information receiving app 622 from the standby information receiving app 622 to determine whether the standby condition is satisfied.

다른 예로,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이 기상 정보 서비스로 접속하여 대기상태 정보를 직접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의 업데이터를 통해서도 구현 가능한다.As another example,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may be provided to directly receive standby state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This can also be implemented through the updater of the existing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모바일 디스플레이(630)는 스마트 가전 관이 앱이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모바일 디스플레이(63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mobile display 630 displays a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smart home appliance app. The mobile display 630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metho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공기질 케어 명령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600)에서,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이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emplified that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the air quality care comman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provided by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in the mobile devic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대기상태가 나쁘다는 내용과, 창문이 열려있다는 내용 등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공기질 케어 모드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실행” 버튼과 “취소”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exts such as the content that the standby state is bad and the content that the window is open may be displayed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In addition, an “execution” button and a “cancel” butt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execute the air quality care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은 대기상태 조건과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알람창 형태로 모바일 디스플레이(63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행” 버튼을 터치 방식 등의 입력 모듈(640)을 통해 선택하면,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이 공기질 케어 명령을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취소” 버튼을 선택하면, 스마트 가전 관리 앱(621)은 공기질 케어 명령의 전송을 보류하게 된다.Whe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may display the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shown in FIG. 4 in the form of an alarm window on the mobile display 630 . 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execution” button through the input module 640 such as a touch method,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may transmit an air quality care command to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cancel” button,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1 suspends the transmission of the air quality care command.

이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질 케어 모드의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집안에 가족이 있어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whether to execute the air quality care mode,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a case in which other measures can be taken when there is a family in the house.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는 실링팬(200b) 및 후드(200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기 순환 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링팬(200b)은 거실 등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후드(200a)는 주방의 인덕션이나 가스레인지 등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1 ,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irculation device 200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eiling fan 200b and a hood 200a installed indoors. can be configured. The ceiling fan 200b may be installed on a ceiling, such as a living room. The hood 200a may be installed on an induction or gas stove in the kitchen.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 생태 조건과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동작 명령을 실링팬(200b)과 후드(200a)에 전송할 수 있다. 실링팬(200b)과 후드(200a)는 모바일 디바이스(600)로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명령에 따라 구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실링팬(200b)의 회전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순환되어,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의 공기 청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atmospheric ecological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e mobile device 600 may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eiling fan 200b and the hood 200a. The ceiling fan 200b and the hood 200a are driven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600 . Through this, the air in the room is circul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aling fan 200b, so that the air cleaning efficiency of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협업 가전기기(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협업 가전기기(300)는 실내에 배치되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 ,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300 . 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300 is disposed indoors and performs respective functions.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조건과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보조 케어 명령을 협업 가전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협업 가전기기(300)는 모바일 디바이스(600)로부터 수신된 보조 케어 명령에 따라,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standby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e mobile device 600 may transmit an auxiliary care command to 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300 . In addition, 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300 may operate in the auxiliary care mode according to the auxiliary care command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600 .

일 예로, 협업 가전기기(300)는 로봇 청소기(300c) 및 물걸레 청소기(300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300c)나 물걸레 청조기는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때, 실내를 이용하며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 생태 조건이 미세먼지, 초 미세먼지, 또는 황사의 농도가 높은 상태이고, 실내외 영향 조건이 창문 등이 열린 상태로, 외부의 미세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300c)나 물걸레 청소기(300d)가 실내의 바닥에 떨어진 미세먼지 등을 제거해주어,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와의 협업을 통해 실내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As an example,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obot cleaner 300c and a wet mop cleaner 300d. When the robot cleaner 300c or the wet-mop green blue machine operates in the auxiliary care mode, it can clean the floor while using the room. As described above, the atmospheric ecological condition is a state in which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ultrafine dust, or yellow dust is high,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is an open window, etc.,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xternal fine dust may flow into the room.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300c or the wet mop cleaner 300d removes fine dust that has fallen on the floor of the room, and the effect of keeping the room more clean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is provided.

여기서, 로봇 청소기(300c)와 물걸레 청소기(300d)가 함께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때, 로봇 청소기(300c)의 이동 경로를 물걸레 청소기(300d)가 추종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봇 청소기(300c)가 먼저 미세먼지 등을 흡입하여 바닥을 청소한 후, 이후에 물걸레 청소기(300d)가 물걸레 청소를 수행하여, 협업을 통한 효과적인 바닥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Here, when the robot cleaner 300c and the wet-cloth cleaner 300d operate together in the auxiliary care mode, the wet-mop cleaner 300d follows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cleaner 300c and can move sequentially. Through this, the robot cleaner 300c first cleans the floor by sucking fine dust, etc., and then the wet-mop cleaner 300d performs the wet-mop cleaning, thereby enabling effective floor cleaning through collaboration.

다른 예로, 협업 가전기기(300)는 내부에 의류를 보관된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300b)는 내부에 보관된 의류를 미세 진동시켜 의류에 뭍은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300 may include a clothing manager 300b that processes clothes stored therein. The clothes manager 300b may remove dust, etc. attached to the clothes by finely vibrating the clothes stored therein.

본 발명에서는 의류 관리기(300b)의 보조 케어 모드는 대기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의류 관리 동작을 추천하는 추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의류 관리기(300b)에 의류를 넣은 후, 의류 관리기(300b)의 다양한 관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자 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600)로부터 전달받은 대기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관리 모드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제거 모드 등을 추천할 수 있다(도 8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care mode of the clothing manager 300b may include a recommendation mode for recommending a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condition. That is, when the user puts clothes into the clothes manager 300b and wants to select any one of various management modes of the clothes manager 300b, the management mode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condi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600 is performed. can recommend For example, a fine dust removal mode may be recommended (see FIG. 8 ).

또 다른 예로, 협업 가전기기(300)는 정수기(30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기(300a)는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때, 수분 섭취를 권유하는 권유 메시지를 음성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미세먼지가 높을 때에는 많은 수분의 섭취가 권장되므로, 사용자의 귀가시, 또는 집안의 다른 사람에게 수분 섭취를 권유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300 may include a water purifier 300a. In addition, when the water purifier 300a operates in the auxiliary care mode, it may output a recommendation message for recommending water intake through voice or the like. Since it is recommended to drink a lot of water when fine dust is high, it is possible to recommend water intake to the user when he returns home or to other people in the house.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영향 감지 모듈(500)이 도어 개방 감지 모듈인 것을 예로 한다.Hereinafter, an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He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 it is assumed that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is a door open detection module.

먼저, 기상 정보 서비스로부터 대기상태 정보가 수집되어 모바일 디바이스(600)로 전송된다(S60). 모바일 디바이스(600)가 대기상태 정보를 수신하면(S50),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상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대기상태가 기 등록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First, standby stat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600 (S60). When the mobile device 600 receives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S5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by state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by state exceeds a pre-registered reference value (S51).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내의 도어가 오픈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600)가 영향 감지 모듈(500)로 개방 정보를 요청(S61)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영향 감지 모듈(500)이 모바일 디바이스(600)로부터의 개방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개방 정보를 전송(S62)하는 것을 예로 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condition is satisfied, the mobile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an indoor door is open (S5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condition is satisfied, the mobile device 600 requests open information to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 S61 ).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500 transmits the open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opening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mobile device 600 ( S62 ).

이외에도, 영향 감지 모듈(500)이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마다 해당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600)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현재 도어의 개방 여부를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act detection module 500 may be provided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600 whenev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is, the mobile device 600 may recognize whether the door is currently open.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S52),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람창을 모바일 디스플레이(630)에 표시한다(S54).Referring back to FIG. 5 , the mobile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 ( S52 ), and when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displays an alarm window as shown in FIG. 4 on the mobile display 630 . is displayed (S54).

그리고, 사용자가 알람창에 표시된 공기질 케어 모드의 “실행” 버튼을 선택하면(S54),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질 케어 명령을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로 전송하게 된다(S56). 그리고, 공기질 케어 명령을 수신한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S63).Then, when the user selects the “execution” button of the air quality care mode displayed on the alarm window (S54), as described above, the air quality care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S56). Then,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00 that has received the air quality care command operates in the air quality care mode as described above ( S63 ).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S54), 보조 케어 명령 및/또는 동작 명령을 각각 협업 가전기기(300) 및 실링팬(200b)(및/또는 후드(200a))로 전송할 수 있다(S55, S57). 그리고, 보조 케어 명령을 수신한 협업 가전기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한다(S64). 마찬가지로, 동작 명령을 수신한 실링팬(200b) 및/또는 후드(200a)는 회전하게 된다(S65)In addition, when the “execution” button is selected (S54), the mobile device 600 transmits an auxiliary care command and/or an operation command to 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300 and the ceiling fan 200b (and/or the hood 200a), respectively. can be transmitted to (S55, S57). Then,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300 that has received the auxiliary care command operates in the auxiliary care mode as described above (S64). Similarly, the ceiling fan 200b and/or the hood 200a receiving the operation command rotates (S6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 예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과정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7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and processe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600)가 대기상태 정보를 수신하면(S50),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상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대기상태가 기 등록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As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mobile device 600 receives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 S50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by state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by state exceeds a pre-registered reference value (S51).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 개방 여부와 무관하게 보조 케어 명령을 협업 가전기기(300) 중 의류 관리기(300b)에 먼저 전송한다(S51a).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이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의류 관리기(300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 상태에 따른 의류 관리 동작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condition is satisfied, the mobile device 600 first transmits the auxiliary care command to the clothing manager 300b among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s 300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is opened (S51a). Through this, even when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operate in the air quality care mode, the clothes manager 300b can recommend the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standby state as shown in FIG. 8 . do.

도 7의 S52 단계 내지 S57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teps S52 to S57 of FIG. 7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은 실내에 배치되는 김치 냉장고(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9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9 ,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kimchi refrigerator 400 disposed indoors.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기상 정보 서비스로부터 대기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상태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81).Here, whe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service, the mobile device 600 may perform an operation as shown in FIG. 5 .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6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andby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That is,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by stat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S81).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조건이 기 설정된 기준 일수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2). 즉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기준 일수 동안 대기상태가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Then, the mobile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the standby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preset reference number of days (S82). That is, the mobile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the standby state for the reference number of days exceeds the reference value.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대기상태 조건이 기준 일수를 초과하여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환 명령을 김치 냉장고(400)로 전송한다(S83). 모바일 디바이스(600)로부터 전환 명령을 수신한 김치 냉장고(400)는 김치 냉장고(400)에 보관된 김치의 유산균 발생을 증가시키는 유산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condition is maintained beyond the reference number of days, the mobile device 600 transmits a switching command to the kimchi refrigerator 400 (S83). Upon receiving the switching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600 , the kimchi refrigerator 400 may be switched to a lactic acid bacteria mode that increases the gen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kimchi stored in the kimchi refrigerator 400 .

일반적으로, 인체에 축적되는 미세먼지나 초 미세먼지 등의 체외 배출에 유산균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등이 일정 일수 이상 지속되는 경우, 김치 냉장고(400)를 유산균 모드로 전환시켜, 김치의 유산균 발생을 증가시키게 된다.In general,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that lactic acid bacteria are effective in the excretion of fine dust or ultra-fine dust accumulated in the human body. Accordingly, when fine dust or the like continues for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days, the kimchi refrigerator 400 is switched to the lactic acid bacteria mode, thereby increasing the gen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 110a : 공기 청정기
110b : 에이컨 110 : 가전 통신 모듈
120 : 가전 메인 모듈 121 : 팬 구동 모듈
122 : 공기 청정 모듈 123 : 센싱 모듈
130 : 가전 제어 프로그램 140 : 가전 프로세서
200 : 공기 순환 기기 200a : 후드
200b : 실링팬 300 : 협업 가전기기
300a : 정수기 300b : 의류 관리기
300c : 로봇 청소기 300d : 물걸레 청소기
400 : 김치 냉장고 500 : 영향 감지 모듈
600 : 모바일 디바이스 610 : 모바일 통신 모듈
620 : 앱 저장부 621 : 스마트 가전 관리 앱
622 : 대기 정보 수신 앱 630 : 모바일 디스플레이
640 : 입력 모듈 650 : 모바일 프로세서
700 : 홈 네트워크 800 : 외부 네트워크
100: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110a: air purifier
110b: air conditioner 110: home appliance communication module
120: home appliance main module 121: fan drive module
122: air cleaning module 123: sensing module
130: home appliance control program 140: home appliance processor
200: air circulation device 200a: hood
200b: ceiling fan 300: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300a: water purifier 300b: clothes management
300c: robot vacuum cleaner 300d: wet mop cleaner
400: kimchi refrigerator 500: influence detection module
600: mobile device 610: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20: app storage unit 621: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622: waiting information receiving app 630: mobile display
640: input module 650: mobile processor
700: home network 800: external network

Claims (26)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영향 감지 모듈;
실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로,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 가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한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영향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공기질 케어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를 상기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In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us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an influence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an outdoor atmospheric condition;
An indoor home appliance comprising: at least on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operable in an air quality care mode; and
Whe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based 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received from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are satisfied,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n air quality care command to operate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in the air quality care mod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 정보는 기 등록된 기상 정보 서비스로부터 수신되는 미세먼지 농도, 초 미세먼지 농도, 및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상태 조건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상기 초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mospheric st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a previously register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an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 yellow dust concentration;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tmospheric condi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yellow dust concentr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향 감지 모듈은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은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모듈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includes a door open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whether a door opened to the outside is opened;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by the door open detection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는 에어컨과 공기 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질 케어 모드는 상기 에어컨 또는 상기 공기 청정기에 기 등록된 청정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purifier;
The air quality care mode is an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lean mode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air conditioner or the air purifier.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에 설치되는 실링팬 및 후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동작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실링팬 또는 상기 후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ceiling fan and a hood installed indoors;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to drive the ceiling fan or the hood when the standby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되는 가전기기로, 기 등록된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협업 가전기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보조 케어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협업 가전기기를 상기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me appliance disposed indoor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operable in a pre-registered auxiliary care mode;
The mobile device transmits an auxiliary care command to operate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in the auxiliary care mode when the standby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실내를 이동하는 로봇 청소기 및 물걸레 청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 또는 상기 물걸레 청소기의 상기 보조 케어 모드는 실내를 이동하며 바닥 청소를 수행하는 바닥 청소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robot cleaner and a wet mop cleaner that move indoors;
The auxiliary care mode of the robot cleaner or the wet mop cleaner includes a floor cleaning mode in which the floor is cleaned while moving indoor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와 상기 물걸레 청소기가 상기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이동 경로를 상기 물걸레 청소기가 추종하며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robot cleaner and the wet-cloth cleaner operate in the auxiliary care mode,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et-mop cleaner follows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cleaner and sequentially mov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 관리기의 상기 보조 케어 모드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의류 관리 동작의 추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includes a clothing manager that processes clothes stored therein;
The auxiliary care mode of the clothes manager includes a recommended mode of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condi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정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기는 상기 보조 케어 모드도 동작할 때, 수분 섭취를 권유하는 권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includes a water purifier;
The indoor air quality ca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urifier outputs a recommendation message to recommend water intake when the auxiliary care mode is also oper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되는 김치 냉장고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이 기 설정된 기준 일수 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김치 냉장고에 보관된 김치의 유산균 발생을 증가시키는 유산균 모드로 전환되도록 전환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kimchi refrigerator disposed indoors;
The mobile device, when the standby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preset reference number of days, transmits a switching command to switch to a lactic acid bacteria mode that increases the gen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kimchi stored in the kimchi refrigerator.
다수의 가전기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대기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실내에 설치된 영향 감지 모듈에 의해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영향 감지 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대기 영향 조건이 전송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한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대기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대기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실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로 공기질 케어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기질 케어 명령을 수신한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가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In the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us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Receiving standby state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detecting whether the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the outdoor air condition by an influence detecting module installed in the room;
transmitting the atmospheric influence condition from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to the mobile device;
determining, by the mobile device, whether a standby state condition based 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and the standby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ransmitting an air quality care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to at least on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installed indoors whe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and the atmospheric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and
and operating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in an air quality care mode after receiving the air quality care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 정보는 기 등록된 기상 정보 서비스로부터 수신되는 미세먼지 농도, 초 미세먼지 농도, 및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상태 조건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상기 초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tmospheric st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a previously register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an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 yellow dust concentration;
The atmospheric condi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yellow dust concentr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청구항 12에 있어서,
실외의 대기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는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은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it is affected by the outdoor atmospheric condition includes detecting whether or not a door opened to the outside is opened;
The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the door opening is sens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케어 가전기기는 에어컨과 공기 청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질 케어 모드는 상기 에어컨 또는 상기 공기 청정기에 기 등록된 청정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ir quality care home applian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ir conditioner and an air purifier;
The air quality care mode includes a clean mode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air conditioner or the air purifi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실내에 설치되는 실링팬 및 후드 중 적어도 하나로 동작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명령을 수신한 상기 실링팬 및 상기 후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ransmitting an operation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to at least one of a ceiling fan and a hood installed indoors whe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and
The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riving at least one of the ceiling fan and the hood receiving the operation comman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실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협업 가전기기로 보조 케어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케어 명령을 수신한 상기 협업 가전기기가 기 등록된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ransmitting an auxiliary care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to at least on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installed indoors whe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and
The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the cooperative home appliance, which has received the auxiliary care command, in a pre-registered auxiliary care mode.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실내를 이동하는 로봇 청소기 및 물걸레 청소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청소기 또는 상기 물걸레 청소기의 상기 보조 케어 모드는 실내를 이동하며 바닥 청소를 수행하는 바닥 청소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robot cleaner and a wet mop cleaner that move indoors;
The auxiliary care mode of the robot cleaner or the wet mop cleaner includes a floor cleaning mode in which the floor is cleaned while moving indoors.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로봇 청소기와 상기 물걸레 청소기가 상기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할 때,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이동 경로를 상기 물걸레 청소기가 추종하며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n the robot cleaner and the wet-cloth cleaner operate in the auxiliary care mode, the wet-mop cleaner follows the movement path of the robot cleaner and sequentially moves.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를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 관리기의 상기 보조 케어 모드는 상기 대기상태 조건에 대응하는 의류 관리 동작의 추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includes a clothing manager that processes clothes stored therein;
The auxiliary care mode of the clothing manager includes a recommended mode of a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condition.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협업 가전기기는 정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기는 상기 보조 케어 모드도 동작할 때, 수분 섭취를 권유하는 권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llaboration home appliance includes a water purifier;
The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urifier outputs a recommendation message to recommend water intake when the auxiliary care mode also operate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대기상태 조건이 기 설정된 기준 일수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되는 단계;
상기 대기상태 조건이 상기 기준 일수 동안 유지된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실내에 설치된 김치 냉장고로 전환 명령이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전환 명령을 수신한 상기 김치 냉장고가 김치의 유산균 발생을 증가시키는 유산균 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케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determining, by the mobile device, whether the standby condition is maintained for a preset reference number of days;
transmitting a switching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to a kimchi refrigerator installed indoors when the standby condition is maintained for the reference number of days; a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switching the kimchi refrigerator receiving the switching command to a lactic acid bacteria mode that increases the gen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모바일 통신 모듈, 및
상기 모바일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대기상태 정보에 기초한 대기상태 조건과, 실내에 설치된 영향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실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질 케이 가전기기가 공기질 케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모바일 통신 모듈을 통해 공기질 케어 명령을 전송하는 스마트 가전 관리 앱을 포함하며;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은 실내의 공기질이 실외의 대기상태에 영향을 받는 경우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communicates over the network, and
Whe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based on the standby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received from the influence detection module installed in the room are satisfied, at least one air quality K household appliance disposed indoors a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that transmits an air quality care comman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o operate in a care mode;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indoor air quality is affected by the outdoor air condition.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 정보는 기 등록된 기상 정보 서비스로부터 수신되는 미세먼지 농도, 초 미세먼지 농도, 및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상태 조건은 상기 미세먼지 농도, 상기 초 미세먼지 농도 및 상기 황사 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atmospheric st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received from a previously registered meteo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an ultr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a yellow dust concentration;
The standby condi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the ultra-fine dust concentration, and the yellow dust concentration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은 실외 측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includes a state in which an opening of a door opened to an outdoor side is sensed.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가전 관리 앱은 상기 대기상태 조건과 상기 실내외 영향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실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협업 가전기기가 기 등록된 보조 케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모바일 통신 모듈을 통해 보조 케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n the standby state condition and the indoor/outdoor influence condition are satisfied, the smart home appliance management app provides an auxiliary care comman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at least one collaborative home appliance placed in the room operates in a pre-registered auxiliary care mod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KR1020200085315A 2020-07-10 2020-07-10 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 KR202200078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15A KR20220007805A (en) 2020-07-10 2020-07-10 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15A KR20220007805A (en) 2020-07-10 2020-07-10 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805A true KR20220007805A (en) 2022-01-19

Family

ID=8005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315A KR20220007805A (en) 2020-07-10 2020-07-10 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780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137A1 (en) * 2022-02-16 2023-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Shoe care apparatus for controlling cleaning operation of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4080562A1 (en) * 2022-10-11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137A1 (en) * 2022-02-16 2023-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Shoe care apparatus for controlling cleaning operation of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4080562A1 (en) * 2022-10-11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51153A1 (en)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US9874873B2 (e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mobile robots and methods using same
AU2017200992B2 (en)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CN103125096B (e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of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the method for control device
KR20220007805A (en) Indoor air quality care sysem, indoor air quality care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appliances
CN105737289A (en) Intelligent air purifier
KR101590343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home-care management based on atmosphere environment and in-home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US11995107B2 (en)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system
US20220374456A1 (en)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system
KR202400154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tatus of external device
JP2022147374A (en) Vacuum cleaner oper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KR20070090360A (en) Air conditioner and a method for displaying weather information by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