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75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750A
KR20220007750A KR1020200084581A KR20200084581A KR20220007750A KR 20220007750 A KR20220007750 A KR 20220007750A KR 1020200084581 A KR1020200084581 A KR 1020200084581A KR 20200084581 A KR20200084581 A KR 20200084581A KR 20220007750 A KR20220007750 A KR 2022000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mpa
window
display devic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다솜
히로츠구 키시모토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7750A/ko
Priority to US17/212,308 priority patent/US20220009200A1/en
Priority to CN202110760396.XA priority patent/CN113920860A/zh
Publication of KR2022000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제1 점착층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은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점착층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개선된 내충격 특성 및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표시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할당된 화면 내에서 정보를 표시한다. 최근 폴딩 또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리지드 표시 장치와 달리, 접거나 말거나 휠 수 있다.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기존의 화면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점착층은 반복되는 폴딩, 또는 벤딩에도 신뢰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내충격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복적인 폴딩 및 언폴딩에도 신뢰성이 유지되며, 내충격 특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점착층은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이고,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Tanδ)의 극댓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50000Hz에서의 값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50000Hz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6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30000Hz에서의 값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30000Hz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편광 필름; 및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이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점착층;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층은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의 극댓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점착층은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0.8MPa 이상 2.0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10000Hz에서 상기 제2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점착층은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40000Hz에서 상기 제2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층의 두께는 75㎛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두께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1mm 이상 5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이며,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0.8MPa 이상 2.0MPa 이하, 또는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은 각각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이고,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의 극댓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30000Hz에서의 값이고, 상기 제2 점착층의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은 0.8MPa 이상 2.0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50000Hz에서의 값이고, 상기 제2 점착층의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은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여, 반복적인 폴딩 및 언폴딩에도 신뢰성이 유지되고, 내충격 특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주파수에 따른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주파수에 따른 손실 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주파수에 따른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b는 주파수에 따른 손실 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표시 장치(DD)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표시 장치(DD)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폴딩 또는 벤딩되거나 폴딩 상태 또는 벤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개인 디지털 단말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표시 장치(DD)가 휴대용 전자 기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표시 장치(DD)는 액티브 영역(EA)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EA)은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및 폴딩 영역(F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2 방향축(DR2)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 DD-a)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윈도우(WD)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시 패널(DP)은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D)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1 mm 이상 5 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D)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표시 장치(DD)가 폴딩되면,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액티브 영역(EA)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인-폴딩(in-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장치(DD)의 동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동작만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DD)의 동일한 영역,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이 인-폴딩 및 아웃-폴딩될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DD)의 일부 영역은 인-폴딩되고, 다른 일부 영역은 아웃-폴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의 표시 장치(DD)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셋 이상의 비폴딩 영역들 및 서로 인접한 비폴딩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둘 이상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폴딩축(FX)이 표시 장치(DD)의 단축, 제2 방향축(DR2)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딩축은 표시 장치(DD)의 장축, 즉 제1 방향축(DR1)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것일 수도 있다.
표시 장치(DD)는 액티브 영역(EA)에 둘러싸인 센싱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영역(SA)은 카메라 모듈과 중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센싱 영역(SA)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센싱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케이스(HU)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HU)는 후술하는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D)를 수납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가 폴더블 표시 장치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 또는 벤딩되거나 폴딩 상태 또는 벤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휘어져서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 나노미터(nm)의 수준으로 휘어있는 구조까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표시 장치(DD-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과 비교하여, 제1 점착층(AL1) 하측에 배치된 편광 필름(PO), 및 편광 필름(PO) 하측에 배치된 제2 점착층(AL2)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 DD-a)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AL1), 및 제1 점착층(AL1) 상에 배치된 윈도우(W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a)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필름(PO), 및 편광 필름(PO)과 윈도우(WD)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A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층(AL1), 및 제2 점착층(AL2)은 각각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제1 점착층(AL1), 및 제2 점착층(AL2)은 각각 점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WD)는 고분자 필름, 또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D)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D)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en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페닐렌에테르(modified polyphenylene ether, m-PPO),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설폰(Polysulfone, PSU),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이미드(Poluimide, PI),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 imide, PAI),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itc poly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D)는 나열한 고분자 수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WD)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윈도우(WD)의 두께(T0)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윈도우(WD)의 두께(T0)는 제3 방향축(DR3)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윈도우(WD)는 기능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D)는 기능층으로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또는 비산방지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D) 하측에는 제1 점착층(AL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은 윈도우(WD)와 윈도우(WD) 하측에 배치된 부재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1 점착층(AL1)은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D)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1 점착층(AL1)은 편광 필름(PO)과 윈도우(WD)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의 두께(T1)는 75㎛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의 두께(T1)는 제3 방향축(DR3)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제1 점착층(AL1)을 단층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점착층(AL1)은 다층일 수 있고, 제1 점착층(AL1)을 이루는 다층은 모두 동일한 물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점착층(AL1)을 이루는 다층은 서로 상이한 물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을 이루는 다층이 서로 상이한 물성을 갖는 경우, 상이한 물성의 평균값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AL1)의 물성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을 이루는 다층이 서로 상이한 저장 탄성률을 갖는 경우, 상이한 저장 탄성률의 평균값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층(AL1)을 이루는 다층이 서로 상이한 손실 계수를 갖는 경우, 상이한 손실 계수의 평균값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AL1)의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은 -20℃에서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점착층(AL1)은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Tanδ)의 극댓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손실 계수는 손실 탄성률을 저장 탄성률로 나눈 값이다. 주파수가 커질수록,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증가하다가, 특정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의 극댓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극댓값을 나타낸 이후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점착층(AL1)의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은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은 30000Hz에서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은 50000Hz에서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 범위가 만족되는 주파수는 윈도우(WD)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와,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 범위가 만족되는 주파수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 DD-a)에 사용되는 윈도우(WD)의 종류에 따라, 저장 탄성률이 상이한 점착층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이 갖는 상술한 소정의 저장 탄성률 범위가 만족되는 주파수는,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이 갖는 상술한 소정의 저장 탄성률 범위가 만족되는 주파수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은 30000Hz에서 2.0MPa 이상 3.5MPa 이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은 50000Hz에서 2.0MPa 이상 3.0MPa 이하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점착층(AL1)은 30000Hz에서 손실 계수가 1.5 이상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은 30000Hz에서 손실 계수가 1.5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WD) 하측에 배치된 제1 점착층(AL1)은, 30000Hz에서 손실 계수가 1.7 이상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점착층(AL1)은 50000Hz에서 손실 계수가 1.6 이상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은 50000Hz에서 손실 계수가 1.6 이상일 수 있다.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윈도우(WD) 하측에 배치된 제1 점착층(AL1)은 50000Hz에서 손실 계수가 1.7 이상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WD)의 종류에 따라, 윈도우(WD) 하측에 배치된 제1 점착층(AL1)의 손실 계수 범위가 만족되는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외부에서 표시 장치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에서는 진동 및 열이 발생하며, 점착층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점착층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와 윈도우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에, 표시 장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점착층의 충격 흡수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동일한 크기의 충격이 표시 장치에 가해지는 경우,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보다 표시 장치 내부로 더 큰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과 제2 점착층(AL2)의 진동 주파수는 1000Hz 내지 30000Hz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과 제2 점착층(AL2)의 진동 주파수는 30000Hz 내지 50000Hz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 DD-a)에 포함된 윈도우(WD)에 동일한 크기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1 점착층(AL1) 상에 유리 기판이 배치된 경우와 제1 점착층(AL1) 상에 고분자 필름이 배치된 경우, 제1 점착층(AL1)에 전달되는 충격의 크기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보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점착층(AL1)에 전달되는 외력의 크기가 더 큰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 상에 유리 기판이 배치된 경우, 제1 점착층(AL1) 상에 고분자 필름이 배치된 경우보다, 제1 점착층(AL1)에 더 큰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제1 점착층(AL1) 상에 배치된 윈도우(WD)의 종류에 따라, 전술한 제1 점착층(AL1)의 진동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 범위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한 물성 범위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 DD-a)는 윈도우(WD)의 종류에 따라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이 만족되는 주파수, 및 제1 점착층(AL1)의 손실 계수가 만족되는 주파수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개선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점착층(AL1) 하측에는 편광 필름(PO)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은 편광 필름(PO)과 윈도우(WD)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a)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필름(PO)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PO) 하측에는 제2 점착층(AL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a)는 편광 필름(PO)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A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점착층(AL2)은 편광 필름(PO)과 표시 패널(DP)을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점착층(AL2)은 -20℃에서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AL2)은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Tanδ)의 극댓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L2)의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은 0.8MPa 이상 2.0MPa 이하, 또는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L2)의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은 0.8MPa 이상 2.0MPa 이하일 수 있다. 또는, 제2 점착층(AL2)의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은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각각의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 범위를 만족하는 주파수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점착층(AL2)은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0.8MPa 이상 2.0MPa 이하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점착층(AL2)은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점착층(AL2)은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 1.5MPa 이하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점착층(AL2)은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2.0MPa 이상 4.0MPa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0000Hz에서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는 1.6 이상일 수 있다. 또는, 40000Hz에서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10000Hz에서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는 1.6 이상일 수 있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40000Hz에서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윈도우(WD) 하측에 배치된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는, 10000Hz에서 1.7 이상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 범위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와,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는 윈도우(WD) 종류에 따라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 범위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는,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 범위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는, 윈도우(WD)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윈도우(WD)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더 높은 것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의 종류에 따라, 표시 장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점착층의 충격 흡수 정도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점착층(AL2) 상에 배치된 윈도우(WD)의 종류에 따라, 제2 점착층(AL2)의 진동 주파수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 범위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한 물성 범위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a)는 윈도우(WD)의 종류에 따라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이 만족되는 주파수, 및 제2 점착층(AL2)의 손실 계수가 만족되는 주파수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개선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는,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와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은 제2 점착층(AL2)보다 윈도우(WD)에 더 가깝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a) 외부에서 표시 장치(DD-a)에 포함된 윈도우(WD)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윈도우에 더 가깝게 배치된 제1 점착층(AL1)은, 표시 패널(DP)에 가깝게 배치된 제2 점착층(AL2)에 비해 큰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는,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가 만족되어야 하는 주파수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WD) 종류에 따라, 윈도우(WD) 하측에 배치된 제1 점착층(AL1)의 물성, 및 제2 점착층(AL2)의 물성이 달라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 및 손실 계수의 범위가 달라지는 것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L2)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 및 손실 계수의 범위가 달라지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WD)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AL1), 및 제2 점착층(AL2)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 DD-a)는 개선된 내충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 및 제2 점착층(AL2)은 각각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L1)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L2)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제1 점착층(AL1)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1 점착층(AL1), 및 제2 점착층(AL2)은 각각 상술한 저장 탄성률,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물성을 갖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점착층(AL1), 및 제2 점착층(AL2)은 각각 점착력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력 조절제는 표면 개질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력 조절제는 저분자 물질 수 있으며, 점착력 조절제는 실리콘 함유 물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명세서에서 제1 점착층(AL1)의 물성, 및 제2 점착층(AL2)의 물성(저장 탄성률, 및 손실 계수 등)은 레오미터(Rheometer, TA instrument사)로 측정된 값에 해당한다. 물성 측정을 위한 시료는 제1 점착층(AL1), 및 제2 점착층(AL2)을 각각 두께 500㎛의 원기둥 형태로 가공하여 준비하였다. 레오미터에서 1%의 변형률(strain)으로 주파수, 또는 온도 값을 변화시키며 제1 점착층(AL1)의 저장 탄성률, 및 손실 계수와, 제2 점착층(AL2)의 저장 탄성률, 및 손실 계수를 측정하였다.
도 5a와 도 6a는 각각 주파수에 따른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와 도 6b는 각각 주파수에 따른 손실 계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윈도우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윈도우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점착층의 손실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윈도우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윈도우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주파수에 따른 점착층의 손실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 및 실시예 2-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AL1)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다. 실시예 1-2, 및 실시예 2-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점착층(AL2)의 물성을 만족하는 것이다. 비교예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PSA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 또는 손실 계수의 범위와 상이한 저장 탄성률, 및 손실 계수를 갖는 것이다. 비교예 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OCA(optically clear adhesive)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30000Hz에서 1.805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비교예 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30000Hz에서 8.75MPa의 저장 탄성률을 갖는다. 실시예 1-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1 점착층은 3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것이다. 30000Hz에서 실시예 1-1의 제1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는, 30000Hz에서 비교예 1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과 30000Hz에서 비교예 2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 사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의 점착층은 10000Hz에서 0.846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비교예 2의 점착층은 10000Hz에서 3.40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실시예 1-2의 제2 점착층은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0.8MPa 이상 2.0MPa 이하인 것이다. 10000Hz에서 실시예 1-2의 제2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는 10000Hz에서 비교예 1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과 10000Hz에서 비교예 2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 사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표 1, 및 표 2에서 비교예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는 각각 윈도우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다. 표 1은 비교예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10000Hz와 30000Hz에서 각각 저장 탄성률, 및 손실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일 실시예의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 각각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다. 비교예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의 두께는 각각 100㎛ 이다. 비교예 X1의 표시 장치는 비교예 1의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며, 비교예 1의 점착층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비교예 X2의 표시 장치는 비교예 2의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며, 비교예 2의 점착층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A1, 및 실험예 B1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고, 제1 점착층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며, 편광 필름과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A1의 제1 점착층, 및 실험예 B1의 제1 점착층은 각각 3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이고, 30000Hz에서 손실 계수는 1.5 이상이다. 실험예 A2, 및 실험예 B2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고, 제2 점착층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며, 편광 필름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A2의 제2 점착층, 및 실험예 B2의 제2 점착층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다. 실험예 A2의 점착층, 및 실험예 B2의 점착층은 각각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0.8MPa 이상 2.0MPa 이하이고, 10000Hz에서 손실 계수는 1.6 이상이다.
표 2는 표 1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내충격 특성과 폴딩 신뢰성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Pen drop"과 "Ball drop"은 내충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pen, 또는 동일한 ball을 표시 장치에 낙하시킨 경우 표시 장치의 불량이 발생하는 높이를 측정한 것이다. 또한, 표시 장치의 폴딩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온도, 또는 습도를 다르게 하여 표시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을 10만회 반복하였다. -20℃의 저온 조건과 60℃, 93%의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폴딩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표 2에서 "NG"는 폴딩 신뢰성 평가에서 점착층의 탈착, 또는 변형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OK"는 폴딩 신뢰성 평가에서 점착층의 탈착,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점착층이 유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구 분 비교예 X1 비교예 X2 실험예 A1 실험예 B1 실험예 A2 실험예 B2
10000Hz
저장 탄성률
0.8403 3.4055 - - 1.3749 1.1996
10000Hz
손실 계수
1.6858 1.9212 - - 1.7967 1.7750
30000Hz
저장 탄성률
1.7856 8.1264 2.6045 3.4382 - -
30000Hz
손실 계수
1.6754 1.5926 1.7434 1.5665 - -
구 분 비교예 X1 비교예 X2 실험예 A1 실험예 B1 실험예 A2 실험예 B2
Pen drop 3cm 4cm 5cm 6cm 5cm 6cm
Ball drop 4 cm 6cm 9cm 10cm 9cm 9cm
-20℃ OK NG OK OK OK OK
60℃, 93% OK OK OK OK OK OK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은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에 비해 개선된 Pen drop 높이, ball drop 높이를 나타내고 양호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Pen drop 높이와 ball drop 높이는 비교예 X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에 비해 비교예 X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과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에서는 개선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온 조건과 고온다습 조건에서 폴딩 신뢰성을 보면 비교예 X1의 표시 장치와 실험예의 표시 장치들은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X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비교예 X1,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에 비해 큰 저장 탄성률을 갖는 것으로, 큰 저장 탄성률으로 인해 폴딩 신뢰성 평가에서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 및 제2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를 만족하는 점착층이 포함된 표시 장치는 개선된 내충격 특성과 양호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 6a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50000Hz에서 1.805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비교예 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50000Hz에서 12.38MPa의 저장 탄성률을 갖는다. 실시예 2-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제1 점착층은 5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것이다. 50000Hz에서 실시예 1-1의 제1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는, 50000Hz에서 비교예 1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과 50000Hz에서 비교예 2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 사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의 점착층은 40000Hz에서 0.84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비교예 2의 점착층은 40000Hz에서 8.75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낸다. 실시예 1-2의 제2 점착층은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것이다. 40000Hz에서 실시예 1-2의 제2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는 40000Hz에서 비교예 1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과 40000Hz에서 비교예 2의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 사이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표 3, 및 표 4에서 비교예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는 각각 윈도우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표 3은 비교예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과 손실 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40000Hz와 50000Hz에서 각각 저장 탄성률, 및 손실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일 실시예의 제1 점착층, 및 제2 점착층 각각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다. 비교예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의 두께는 각각 100㎛ 이다. 비교예 Y1의 표시 장치는 비교예 1의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며, 비교예 1의 점착층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비교예 Y2의 표시 장치는 비교예 2의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며, 비교예 2의 점착층과 유사한 물성을 갖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C1, 및 실험예 D1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고, 제1 점착층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며, 편광 필름과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C1의 제1 점착층, 및 실험예 D1의 제1 점착층은 각각 5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이고, 손실 계수는 1.6 이상이다. 실험예 C2의 표시 장치, 및 실험예 D2의 표시 장치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이고, 제2 점착층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며, 제1 점착층은 폴더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험예 C2의 제2 점착층, 및 실험예 D2의 제2 점착층은 각각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이고, 손실 계수는 1.5 이상이다.
표 4는 표 3의 비교예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내충격 특성과 폴딩 신뢰성을 평가하여 나타낸 것이다. "Pen drop"과 "Ball drop"은 내충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pen, 또는 동일한 ball을 표시 장치에 낙하시킨 경우 표시 장치의 불량이 발생하는 높이를 측정한 것이다. 또한, 표시 장치의 폴딩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온도, 또는 습도를 다르게 하여 표시 장치의 폴딩 및 언폴딩을 10만회 반복하였다. -20℃의 저온 조건과 60℃, 93%의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폴딩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표 3에서 "NG"는 폴딩 신뢰성 평가에서 점착층의 탈착, 또는 변형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OK"는 폴딩 신뢰성 평가에서 점착층의 탈착,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점착층이 유지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구 분 비교예 Y1 비교예 Y2 실험예 C1 실험예 D1 실험예 C2 실험예 D2
40000Hz
저장 탄성률
3.4382 8.1264 - - 3.9432 2.1642
40000Hz
손실 계수
1.5665 1.5926 - - 1.5701 1.6450
50000Hz
저장 탄성률
4.5880 12.3764 2.5610 2.3725 - -
50000Hz
손실 계수
1.5283 1.3719 1.6164 1.71 - -
구 분 비교예 Y1 비교예 Y2 실험예 C1 실험예 D1 실험예 C2 실험예 D2
Pen drop 4cm 7cm 13cm 12cm 10cm 10cm
Ball drop 6cm 10cm 19cm 18cm 19cm 18cm
-20℃ OK NG OK OK OK OK
60℃, 93% OK OK OK OK OK OK
표 3 및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은 비교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에 비해 개선된 Pen drop 높이, ball drop 높이를 나타내고 양호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Pen drop 높이와 ball drop 높이는 비교예 Y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에 비해 비교예 Y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과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에서 개선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온 조건과 고온다습 조건에서 폴딩 신뢰성을 보면 비교예 Y1의 표시 장치와 실험예의 표시 장치들은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Y2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은 비교예 Y1, 및 실험예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점착층들에 비해 큰 저장 탄성률을 갖는 것으로, 큰 저장 탄성률으로 인해 폴딩 신뢰성 평가에서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 및 제2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를 만족하는 점착층이 포함된 표시 장치는 개선된 내충격 특성과 양호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윈도우와 표시 패널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점착층을 포함하며, 점착층의 저장 탄성률 범위와 손실 계수 범위는 윈도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윈도우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주파수는 30000Hz, 또는 10000Hz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윈도우가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의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만족하는 주파수는 50000Hz, 또는 40000Hz일 수 있다. 윈도우에 종류에 따라,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가 다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윈도우의 종류에 따라, 점착층이 갖는 저장 탄성률 범위, 및 손실 계수 범위를 달리하여, 개선된 내충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반복되는 폴딩 및 언폴딩에도, 양호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DD, DD-a: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WD: 윈도우 AL1: 제1 점착층
AL2: 제2 점착층 PO: 편광 필름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이고,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Tanδ)의 극댓값을 갖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50000Hz에서의 값인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50000Hz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6 이상인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30000Hz에서의 값인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30000Hz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인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편광 필름; 및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이고, 상기 편광 필름 상에 배치된 제2 점착층;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의 극댓값을 갖는 표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점착층은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0.8MPa 이상 2.0MPa 이하인 표시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고,
    10000Hz에서 상기 제2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인 표시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점착층은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표시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40000Hz에서 상기 제2 점착층의 손실 계수는 1.5 이상인 표시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의 두께는 75㎛ 이상 150㎛ 이하인 표시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두께는 100㎛ 이하인 표시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1mm 이상 5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폴딩되는 표시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 상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층;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편광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제2 점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1.8MPa 이상 4.0MPa 이하이며,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상온에서 저장 탄성률이 0.8MPa 이상 2.0MPa 이하, 또는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표시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은 각각 -2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2MPa 이하이고, 1000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손실 계수의 극댓값을 갖는 표시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고분자 필름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30000Hz에서의 값이고,
    상기 제2 점착층의 1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은 0.8MPa 이상 2.0MPa 이하인 표시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유리 기판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50000Hz에서의 값이고,
    상기 제2 점착층의 40000Hz에서 저장 탄성률은 1.8MPa 이상 4.0MPa 이하인 표시 장치.
KR1020200084581A 2020-07-09 2020-07-09 표시 장치 KR20220007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81A KR20220007750A (ko) 2020-07-09 2020-07-09 표시 장치
US17/212,308 US20220009200A1 (en) 2020-07-09 2021-03-25 Display device
CN202110760396.XA CN113920860A (zh) 2020-07-09 2021-07-06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81A KR20220007750A (ko) 2020-07-09 2020-07-0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750A true KR20220007750A (ko) 2022-01-19

Family

ID=7917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81A KR20220007750A (ko) 2020-07-09 2020-07-0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09200A1 (ko)
KR (1) KR20220007750A (ko)
CN (1) CN1139208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5969A (ko) * 2020-08-24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2040B2 (en) * 2003-11-05 2010-03-02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s, and materials for use therein
KR102129543B1 (ko) * 2013-07-03 2020-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상기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302828B2 (en) * 2015-07-27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JP6633366B2 (ja) * 2015-11-27 2020-01-22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494986B1 (ko) * 2016-01-11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JPWO2018203537A1 (ja) * 2017-05-02 2020-03-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シート及び両面粘着シート
KR102318145B1 (ko) * 2017-09-15 2021-10-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6124A (ko) * 2019-07-31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0860A (zh) 2022-01-11
US20220009200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4100A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956910B2 (en) Display device
US11691383B2 (en) Display device
KR20220007750A (ko) 표시 장치
CN114141149B (zh) 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1199689A (zh) 保护膜、具有其的电子装置和用于附着保护膜的方法
US11548260B2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19066346U (zh) 显示装置
CN115148096A (zh) 显示装置
CN110634396B (zh) 一种显示面板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CN114913769A (zh) 显示装置
CN114067678A (zh) 显示设备
CN114944106A (zh) 电子装置
US20230184998A1 (en)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132392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238837A1 (en) Display device
US20240149560A1 (en) Window,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046978A1 (en) Display device
KR20220075110A (ko) 표시장치
CN219800393U (zh) 用于显示屏的盖板、显示屏以及电子设备
US20240107696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099100A1 (en) Display device
CN219800391U (zh) 窗和显示装置
US20230180405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