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519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519A
KR20220007519A KR1020210084936A KR20210084936A KR20220007519A KR 20220007519 A KR20220007519 A KR 20220007519A KR 1020210084936 A KR1020210084936 A KR 1020210084936A KR 20210084936 A KR20210084936 A KR 20210084936A KR 20220007519 A KR20220007519 A KR 2022000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ameter
protrusion
cap plat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희정
김기정
박용진
우병철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7519A/ko
Publication of KR2022000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4Lid or cover comprising an axial bore for receiving a central current col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81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절연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기재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최근,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헤드폰, 이어폰, 스마트워치(smartwatch), 신체 부착형 의료 기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초소형 이차 전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초소형 이차 전지는 양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며 전극 조립체의 일 전극과 연결된 케이스, 및 케이스와 함께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며 전극 조립체의 타 전극과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케이스와 함께 전극 조립체를 견고하게 밀봉하는 동시에 전극 조립체의 일 전극과 견고하게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절연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에 대비한 상기 돌출부의 직경의 비는 1/10 내지 1/3인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절연 접합하는 열융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융착층은 설정된 온도에서 녹을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와 용접되는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용접되는 제2 전극 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돌출부 대비 더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돌출부 대비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은 상기 케이스의 직경 대비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와 함께 전극 조립체를 견고하게 밀봉하는 동시에 전극 조립체의 일 전극과 견고하게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예들을 나타낸 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초소형 이차 전지로서, 코인형 전지(coin cell) 또는 버튼형 전지(button cel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또는 핀(pin)형 전지일 수 있다.
여기서, 코인형 전지 또는 버튼형 전지는 얇은 동전 또는 단추 형태의 전지로서, 직경에 대한 높이(높이/직경)의 비율이 1 이하인 전지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인형 전지 또는 버튼형 전지는 주로 원통형이므로 수평 방향의 단면이 원형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방향의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형태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직경은 전지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 거리를 의미할 수 있고, 높이는 전지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 거리(편평한 바닥면에서 편평한 최상단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전극 조립체(100), 케이스(200),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열융착층(500)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0)는 케이스(200)에 수납된다. 전극 조립체(100)의 하부는 케이스(200)의 저부와 대향하며,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는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를 커버하는 캡 플레이트(300) 및 단자 플레이트(400)와 대향한다.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 및 하부는 서로 평행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세퍼레이터(130), 제1 전극 탭(140), 제2 전극 탭(150)을 포함한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에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30)가 위치한다. 제1 전극(110)은 음극(anode)이고, 제2 전극(120)은 양극(catho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110)이 양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120)이 음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형태를 가지며, 금속박(일례로, Cu 포일)의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영역인 음극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음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음극 무지부는 제1 전극(110)의 연장 방향으로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세퍼레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10)과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형태를 가지며, 금속박(일례로, Al 포일)의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영역인 양극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양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양극 무지부는 제2 전극(120)의 연장 방향으로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3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제1 전극(110), 세퍼레이터(130), 제2 전극(12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감겨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세퍼레이터(130) 각각은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탭(140)은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으로부터 케이스(200)로 연장된다. 제1 전극 탭(140)은 케이스(200)의 저부와 결합되어 제1 전극(110)과 케이스(200) 사이를 연결한다. 제1 전극 탭(140)은 제1 전극(110) 및 케이스(200)와 접촉한다. 제1 전극 탭(140)은 케이스(200)의 저부와 용접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전극 탭(140)에 의해 케이스(200)는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제2 전극 탭(150)은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120)으로부터 단자 플레이트(400)로 연장된다. 제2 전극 탭(150)은 단자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20)와 결합되어 제2 전극(120)과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연결한다. 제2 전극 탭(150)은 제2 전극(120) 및 단자 플레이트(400)와 접촉한다. 제2 전극 탭(150)은 단자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20)의 표면과 용접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전극 탭(150)에 의해 단자 플레이트(400)는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한편, 전극 조립체(100)의 중앙 부분에는 전극 조립체(100)의 중심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센터 핀이 위치할 수 있고, 이 센터 핀이 제1 전극 탭(140) 및 제2 전극 탭(150)을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과 연결되어 전극 조립체(100)를 수납한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를 노출하는 개구부(210)를 포함한다. 케이스(200)의 저부가 제1 전극 탭(140)과 용접되어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과 연결됨으로써, 케이스(200)는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케이스(200)는 젤리 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100)를 수납하는 원통 형태의 캔(can)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와 함께 공지된 다양한 전해액을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외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1 전극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단자 플레이트(400)의 외부 표면인 플랜지부(410)의 상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2 전극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케이스(200)의 외부 표면에는 도금층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코팅층이 케이스(200)의 외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는 캡 플레이트(300) 및 단자 플레이트(400)에 의해 커버된다.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와 결합하여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한다. 캡 플레이트(300)는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310)을 포함한다.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케이스(200)의 측벽과 용접 공정 등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한다. 캡 플레이트(300)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310)에 의해 고리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와 결합되어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캡 플레이트(30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또는 니켈 및 구리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300)의 외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1 전극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캡 플레이트(300)의 외부 표면에는 도금층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코팅층이 캡 플레이트(300)의 외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제2 전극(120)과 연결되어 캡 플레이트(300)에 절연 접합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캡 플레이트(300)의 관통홀(310)을 커버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캡 플레이트(300) 상에 위치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캡 플레이트(300)의 관통홀(310)이 노출하는 케이스(200)의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을 커버한다. 단자 플레이트(400)가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을 커버하고 캡 플레이트(300)가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함으로써,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는 단자 플레이트(400) 및 캡 플레이트(30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케이스(200), 캡 플레이트(300), 및 열융착층(500)과 함께 전극 조립체(100)를 견고하게 밀봉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 탭(150)과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120)과 연결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플랜지부(410) 및 돌출부(420)를 포함한다.
플랜지부(410)는 캡 플레이트(300) 상에 위치하며, 캡 플레이트(300)와 중첩하여 관통홀(310)을 커버한다. 플랜지부(410)는 돌출부(420) 대비 더 넓은 면적을 가진다. 플랜지부(410)는 돌출부(420) 대비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410)의 상부 표면은 케이스(200)의 외경인 제1 직경(D1) 대비 작으며 돌출부(420)의 하부 표면의 외경인 제3 직경(D3) 대비 큰 외경인 제2 직경(D2)을 가진다. 플랜지부(410)는 돌출부(420) 대비 더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랜지부(410)의 하부 표면은 열융착층(500)과 접촉하며, 플랜지부(410)는 열융착층(500)에 의해 캡 플레이트(300)에 절연 접합된다. 플랜지부(410)의 상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2 전극 단자일 수 있다.
돌출부(420)는 플랜지부(410)로부터 돌출되어 관통홀(310)을 관통한다. 돌출부(420)는 플랜지부(410)로부터 관통홀(310)을 관통하여 제2 전극(120)과 연결된다. 돌출부(420)의 하부 표면은 제2 전극 탭(150)과 결합한다. 돌출부(420)의 하부 표면은 제2 전극 탭(150)과 용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돌출부(420)가 제2 전극 탭(150)과 결합됨으로써, 단자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20) 및 플랜지부(410)가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제2 전극 탭(150)과 결합된 돌출부(420)의 하부 표면은 전극 단자일 수 있는 플랜지부(410)의 상부 표면 대비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420)의 하부 표면은 케이스(200)의 외경인 제1 직경(D1) 및 플랜지부(410)의 상부 표면의 외경인 제2 직경(D2) 대비 작은 외경인 제3 직경(D3)을 가진다. 플랜지부(410)의 상부 표면의 제2 직경(D2)에 대비한 돌출부(420)의 하부 표면의 제3 직경(D3)의 비는 1/10 내지 1/3이다. 즉,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은 1/10 내지 1/3이다.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에 대비한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의 비에 따라 돌출부(420)와 용접되는 제2 전극 탭(150)의 용접 면적이 결정된다. 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에 대비한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의 비가 1/10 내지 1/3을 가짐으로써, 돌출부(420)에 제2 전극 탭(150)의 견고하게 결합된다.
돌출부(420) 및 플랜지부(4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재료가 결합되어 단자 플레이트(400)를 형성할 수 있다.
단자 플레이트(400)의 외부 표면에는 도금층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코팅층이 단자 플레이트(400)의 외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열융착층(500)은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 사이에 위치하며,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 사이를 절연 접합한다. 열융착층(500)은 절연 재료를 포함하며,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절연한다. 열융착층(500)은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 사이에서 열 또는 레이저 빔 등을 이용하여 열융착된다. 열융착층(500)은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절연 접합하는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열융착층(500)이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접합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가 수납된 케이스(200)의 개구부(210)가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열융착층(500)에 의해 완전히 밀봉된다.
열융착층(500)은 열에 의해 경화된 상태이나, 설정된 온도에서 녹을 수 있다. 여기서, 열융착층(500)이 녹는 설정된 온도는 열융착층(500)을 경화시키는 열의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열융착층(500)은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융착층(500)의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열융착층(500)의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된 상태이며,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등의 공지된 다양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열융착층(500)의 열가소성 수지는 설정된 온도에서 녹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공지된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에 대비한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의 비에 따라 플랜지부(410)와 캡 플레이트(300) 사이를 접합하는 열융착층(500)의 접합 면적이 결정된다. 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에 대비한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의 비가 1/10 내지 1/3을 가짐으로써, 플랜지부(410)와 캡 플레이트(300)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에 대비한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의 비에 따라 돌출부(420)와 용접되는 제2 전극 탭(150)의 용접 면적 및 플랜지부(410)와 캡 플레이트(300) 사이를 접합하는 열융착층(500)의 접합 면적이 결정되는데, 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에 대비한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의 비가 1/10 내지 1/3을 가짐으로써, 돌출부(420)에 제2 전극 탭(150)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410)와 캡 플레이트(300)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이 1/10 내지 1/3이기 때문에, 케이스(200), 캡 플레이트(300), 및 열융착층(500)과 함께 전극 조립체(100)를 견고하게 밀봉하는 동시에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 탭(150)과 견고하게 연결된 단자 플레이트(40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예들을 나타낸 표이다.
도 3에서 CELL SIZE는 코인 형태의 이차 전지의 외경을 나타내며, Case 사양은 이차 전지의 케이스의 사양을 나타내며, TERMINAL PLATE 사양은 단자 플레이트의 사양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Case 직경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200)의 제1 직경(D1)을 의미하며, Flange 직경은 도 2에 도시된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의 제2 직경(D2)을 의미하며, Bump 직경은 도 2에 도시된 단자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20)의 제3 직경(D3)을 의미하며, Leak test 결과는 도 2에 도시된 열융착층(500)에 의한 플랜지부(410)와 캡 플레이트(300) 사이의 접합 신뢰성 확인 결과를 의미하며, Welding test 결과는 도 2에 도시된 제2 전극 탭(150)과 돌출부(420) 사이의 용접 신뢰성 확인 결과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수치 한정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1 내지 실험예32(1 내지 32)를 수행하였다.
실험예1(1) 내지 실험예4(4)에서, 케이스의 제1 직경(Case 직경)은 8mm이며, 단자 플레이트의 플랜지부의 제2 직경(Flange 직경)은 6.8mm이며, 단자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제3 직경(Bump 직경)은 0.5mm 내지 2.5mm이다.
실험예1(1)에서, 단자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제3 직경(Bump 직경)은 돌출부의 제3 직경/플랜지부의 제2 직경이 1/10 미만인 0.5mm이며, 이 경우 접합 신뢰성 확인 결과(Leak test 결과)는 이상이 없었으나(OK), 용접 신뢰성 확인 결과(Welding test 결과)는 이상이 발생하였다(NG).
실험예2(2)에서, 단자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제3 직경(Bump 직경)은 돌출부의 제3 직경/플랜지부의 제2 직경이 실질적으로 1/10인 0.7mm이며, 이 경우 접합 신뢰성 확인 결과(Leak test 결과) 및 용접 신뢰성 확인 결과(Welding test 결과)는 이상이 없었다(OK).
실험예3(3)에서, 단자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제3 직경(Bump 직경)은 돌출부의 제3 직경/플랜지부의 제2 직경이 실질적으로 1/3인 2.3mm이며, 이 경우 접합 신뢰성 확인 결과(Leak test 결과) 및 용접 신뢰성 확인 결과(Welding test 결과)는 이상이 없었다(OK).
실험예4(4)에서, 단자 플레이트의 돌출부의 제3 직경(Bump 직경)은 돌출부의 제3 직경/플랜지부의 제2 직경이 1/3 초과인 2.5mm이며, 이 경우 용접 신뢰성 확인 결과(Welding test 결과)는 이상이 없었으나(OK), 접합 신뢰성 확인 결과(Leak test 결과)는 이상이 발생하였다(NG).
실험예2(2) 및 실험예3(3)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의 제2 직경에 대비한 돌출부의 제3 직경의 비가 1/10 내지 1/3을 가지는 경우, 돌출부에 제2 전극 탭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와 캡 플레이트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1(1) 및 실험예4(4)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의 제2 직경에 대비한 돌출부의 제3 직경의 비가 1/10 미만 또는 1/3 초과인 경우, 돌출부에 제2 전극 탭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플랜지부와 캡 플레이트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험예1(1) 내지 실험예4(4)를 통해 확인한 결과, 플랜지부의 제2 직경에 대비한 돌출부의 제3 직경의 비가 1/10 내지 1/3인 수치 한정이 돌출부에 제2 전극 탭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와 캡 플레이트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되는 효과가 구현되는 임계 범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5(5) 내지 실험예32(3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의 제2 직경에 대비한 돌출부의 제3 직경의 비가 1/10 내지 1/3을 가지는 경우 돌출부에 제2 전극 탭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와 캡 플레이트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플랜지부의 제2 직경에 대비한 돌출부의 제3 직경의 비가 1/10 미만 또는 1/3 초과인 경우 돌출부에 제2 전극 탭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플랜지부와 캡 플레이트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험예5(5) 내지 실험예32(32)를 통해 확인한 결과, 플랜지부의 제2 직경에 대비한 돌출부의 제3 직경의 비가 1/10 내지 1/3인 수치 한정이 돌출부에 제2 전극 탭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와 캡 플레이트 사이가 견고하게 접합되는 효과를 구현되는 임계 범위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극 조립체(100), 케이스(200),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플랜지부(410), 돌출부(420)

Claims (13)

  1.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절연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단자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에 대비한 상기 돌출부의 직경의 비는 1/10 내지 1/3인 이차 전지.
  2. 제1항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절연 접합하는 열융착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3. 제2항에서,
    상기 열융착층은 설정된 온도에서 녹는 이차 전지.
  4.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전극과 연결되는 이차 전지.
  5. 제4항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와 용접되는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용접되는 제2 전극 탭
    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6.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돌출부 대비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이차 전지.
  7.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돌출부 대비 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이차 전지.
  8.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돌출부는 일체로 형성된 이차 전지.
  9.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
  10. 제1항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은 상기 케이스의 직경 대비 작은 이차 전지.
  11. 제1항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절연 접합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2. 제1항에서,
    상기 이차 전지는 코인형 전지(coin cell) 또는 버튼형 전지(button cell)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3. 제12항에서,
    상기 코인형 전지(coin cell) 또는 상기 버튼형 전지(button cell)의 직경에 대한 높이(높이/직경)의 비율은 1 이하인 이차 전지.
KR1020210084936A 2020-07-10 2021-06-29 이차 전지 KR20220007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936A KR20220007519A (ko) 2020-07-10 2021-06-29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350 2020-07-10
KR1020210084936A KR20220007519A (ko) 2020-07-10 2021-06-29 이차 전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350 Division 2020-07-10 2020-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519A true KR20220007519A (ko) 2022-01-18

Family

ID=764831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936A KR20220007519A (ko) 2020-07-10 2021-06-29 이차 전지
KR1020210088082A KR20220007528A (ko) 2020-07-10 2021-07-05 이차 전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082A KR20220007528A (ko) 2020-07-10 2021-07-05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13872A1 (ko)
EP (1) EP3937298A1 (ko)
KR (2) KR20220007519A (ko)
CN (1) CN1139220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8764B (zh) * 2022-03-15 2022-10-21 贵州大学 一种微型无极耳软包电池制备方法及在柔性设备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7666A1 (en) * 2008-08-25 2010-02-2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Shaped Catalytic Electrode Casing
JP5767115B2 (ja) * 2009-02-09 2015-08-19 ファルタ マイクロバッテリ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ボタン電池とそれを製造する方法
CN204596910U (zh) * 2015-04-27 2015-08-26 深圳金山电池有限公司 一种纽扣型锂离子二次电池
CN210379128U (zh) * 2020-02-27 2020-04-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纽扣电池
JP7355235B2 (ja) * 2020-05-13 2023-10-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1229847A1 (ko) * 2020-05-14 2021-11-18
US11862806B2 (en) * 2020-06-03 2024-01-02 Zhuhai Cosmx Battery Co., Ltd. Button cell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2006A (zh) 2022-01-11
US20220013872A1 (en) 2022-01-13
KR20220007528A (ko) 2022-01-18
EP3937298A1 (en)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870B1 (ko)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0998303B1 (ko)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US20210167455A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926743A1 (en) Rechargeable battery
US20230170593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220007519A (ko) 이차 전지
KR20210158162A (ko) 이차 전지
KR20210156607A (ko) 이차 전지
KR20220000672A (ko) 이차 전지
EP4030538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210158163A (ko) 이차 전지
KR20220118834A (ko) 이차 전지
KR20240076285A (ko) 버튼 전지
US12002971B2 (en) Button cell
EP4142039A1 (en) Secondary battery
US20240170775A1 (en) Button cell
EP4376144A1 (en) Button cell
US20240113370A1 (en) Button cell
EP3940878A1 (en) Rechargeable battery
EP3944387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240076284A (ko) 버튼 전지
KR20220000671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