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085A - 식도 협착 억제제 - Google Patents

식도 협착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7085A
KR20220007085A KR1020217039364A KR20217039364A KR20220007085A KR 20220007085 A KR20220007085 A KR 20220007085A KR 1020217039364 A KR1020217039364 A KR 1020217039364A KR 20217039364 A KR20217039364 A KR 20217039364A KR 20220007085 A KR20220007085 A KR 20220007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osis
leu
esophageal
ser
ph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요네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엠이 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엠이 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엠이 테라퓨틱스
Publication of KR2022000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7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3Double-stranded nucleic acids or oligo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HST15 siRNA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규 식도 협착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도 협착 억제제
본 발명은, CHST15 siRNA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신규 식도 협착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식도암이나 바렛 식도에 대한 저침습 또한 식도 기능 온존 유지를 가능하게 한 식도암 내시경 치료는, 식도 표재암이나 바렛 식도에 대한 근치적 치료로서 근년 정착해 왔다(문헌 1-5). 특히 내시경적 점막 하층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의 기술의 진보는 놀랍고, 광범위한 병변에 있어서도 근치 요법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확립되어 왔다. 그러나 ESD 후에 반흔 협착이 고율로 발생하기 때문에, 환자는 협착에 의한 연하 장해뿐만 아니라, 협착에 의한 외과 수술에 이르기도 하고, 애써 암을 근절했음에도 그 후의 QOL이 현저하게 저해된다. 그 때문에, ESD 후의 협착 억제(예방·치료)는, 내시경 치료 기술의 진보에 수반하여, 반대로 새롭게 발생해 온 임상 과제로 되어 있다(문헌 1-6). 협착 발증에 관해서는, 식도 점막 절제 범위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명확해지고 있고, 특히 절제 범위가 3/4주, 즉 75% 이상인지 그 이하인지가 매우 크리티컬한 포인트라는 에비던스가 축적되어 왔다(문헌 2, 4). 즉, 3/4주 이상의 범위에서 ESD를 실시한 경우, 수술 후의 식도 협착이 필발인 점에서, 3/4주 이상·이하에서 따로따로의 임상 처치가 요구되는 것도 명확하게 되어 있다.
식도 ESD 후의 협착 억제 전략으로서는, 위산 역류에 대한 식도 점막의 보호, 항염증, 항섬유화, 점막 재생 촉진, 기계적 확장이 고려되어 있고, 플로톤펌프 저해제(식도 점막 보호), 스테로이드 제제(항염증), 세포 시트(재생 촉진), 내시경적 벌룬 확장술(기계적 확장), 식도 스텐트(기계적 확장) 등의 시도가 이루어져 있지만, 아직도 병상 제어가 곤란하다(문헌 5, 6). 벌룬 확장술은 고통과 식도 파열의 위험을 수반하기는 하지만 실시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 상황이지만, 고율로 재협착, 여러번 협착을 일으키기 때문에, 확장술을 반복해서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고, 수개월에 걸쳐서 난치성이고, QOL은 현저하게 저해된다.
그래서, 근년 스테로이드의 국주가 행해지고 있다(문헌 6, 7). 이것은 ESD 시행 직후에 국주 침으로 ESD 후 궤양의 부분에 스테로이드 용액을 내시경 아래에 주입하는 것이고, 벌룬 확장과 비교하면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는 농양 형성을 포함하는 감염 리스크가 있을뿐만 아니라, 국소 투여에 의해 지연성의 식도 천공을 유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문헌 2-6, 8). 근층을 상해하는 것이 그 원인이기 때문에, ESD 후에 근층을 피해 신중하게 투여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광범 ESD에 수반하는 거대한 인공 궤양 부분에 대한 주사 시에, 해부학적으로 근층을 피해 투여하는 것은 곤란하여, 상시 천공 리스크가 수반된다. 또한 결정적으로는, 3/4주 이하의 비교적 작은 범위의 ESD 후의 협착에는 일정한 효과를 갖는다는 보고도 있지만, 3/4주 이상의 광범위한 ESD 후의 협착에는 전혀 효과가 없는 것이 명확하게 되어 있다(문헌 2-6). 따라서, 3/4주 이상의 ESD 후의 협착에 관해서는, 스테로이드를 포함하여 약물 요법이 전무하고, 벌룬 확장이나 스텐트 등의 기계적 확장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 상황이다. 한편, 식도암뿐만 아니라, 특히 근년 증가하고 있는 바렛 식도에 있어서는 3/4주 이상의 광범위 내지는 전주성에 병변을 나타내는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3/4주 이상의 광범위한 내시경 치료·ESD 치료가 요구된다.
또한, ESD 후의 식도 협착은, 암성 협착과는 전혀 다르고, 암을 근치시킨 후의 양성 협착이라는 사실은, 실제 임상적으로는 매우 중요하다. 절제할 수 없어 증대되는 암에 의한 진행성의 식도 협착을 임시 방편으로 방지하는 스텐트나, 더구나 근층 파괴에 의한 천공이나 종격농양을 유발하는 의원성 리스크는 최대한 회피해야만 하는 것이 양성 협착이다. 즉, 협착 억제 효과와 동시에, 높은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매우 허들이 높은 치료가 실제 임상에서는 요구된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은 광범위 ESD 후에 필발하는 식도 협착을 어떻게 안전하게 억제할지가, 신규 약제의 개발도 포함하여 긴요한 임상 과제로 되어 있다.
당황 산전이 효소인 CHST15(Carbohydratesulfotransferase(탄수화물 술포트랜스퍼라제)15)는 콘드로이틴 황산 A(CS-A)의 GalNAc(4SO4) 잔기의 6위에 황산기를 전이하고, 고도로 황산화된 콘드로이틴 황산 E(CS-E)를 합성하는 II형의 막 관통형 골지 단백질이다(문헌 9, 10). 정상적인 인간 조직에서는 거의 발현되어 있지 않지만, 염증·섬유화나, 암에 있어서 그 발현이 증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CS-E는, 콜라겐 섬유(피브릴) 형성을 촉진하는 것(문헌 11)이 보고되어 있고, CS-E는 국소 섬유화 병변의 유지와 증강에 관여되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고도로 황산화된 CS는, 섬유아세포의 접착에 관계되는 분자 CD44, 섬유아세포의 유주에 관계되는 케모카인 MCP-1, SDF-1,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관계되는 PDGF, TGF-β와 결합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고(문헌 12, 13), 병변 국소에 있어서의 이들 분자의 농축을 통해서도 섬유아세포의 정착과 활성화에 관계되어 있는 것이 시사된다.
식도에 있어서는, 돼지의 반주성(50%)의 ESD 모델에서, ESD 후의 협착 식도 조직에 있어서 CHST15의 mRNA가 증가하고 있고, CHST15 siRNA에 의해 mRNA의 발현을 억제하면 섬유화가 억제된다고 보고되어 있다(문헌 14)는 점에서, 스테로이드와 마찬가지로 3/4주 이하의 ESD 후의 협착 억제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시사되어 있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14에도 리미테이션(limitation)으로서 명기되어 있는 바와 같이, 3/4주 이상 또한 전주성 ESD 후의 협착을 억제할 수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스테로이드가 3/4주 이상인 협착에 대해서는 무효인 것과 마찬가지로, 3/4주 이상이나 전주성의 협착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현저하게 허들이 높기 때문에, 예측은 곤란하다. 또한, 비특허문헌 14에서는, 동일 개체에 있어서 ESD를 2개소 작성하여, 1개소에 CHST15 siRNA를, 다른 1개소에 음성 대조 siRNA를 투여하고 있고, 음성 대조 siRNA 투여 부분이 나타내는 협소화 병변이 임상 증상에 끼치는 영향이 혼재하고 있던 점에서, CHST15 siRNA가 임상 증상(연하 장해에 수반하는 체중 감소 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것인지도 전혀 불분명했다.
Siersema PD. Treatment option for esophageal strictures. Nature Gastroenterol Hepatol 5: 142-152, 2008. 일본 식도 학회 식도암 진료 가이드 라인 2017년판. Sami SS, Haboubi N, Ang Y et al. UK guidelines on esophageal dilatation in clinical practice. Gut 67: 1000-1023, 2018. Draganov PV, Wang AY, Othman MO et al. AGA institute clinical practice updat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the united states. Clin Gastroenterol Hepatol 17: 16-25, 2019. Barret M<Beye S, Leblanc S et al. Systematic review: the prevention of oesophageal stricture after endoscopic resection. Aliment Pharmacol Ther 42: 20-39, 2015. Jain D, Singhal S. Esophageal stricture prevention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Clin Endosc 49: 241-256, 2016. Hashimoto S, Kobayashi M, Takeuchi M, et al. The efficacy of endoscopic triamcinolone injection for the prevention of esophageal stricture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Gastrointest Endosc 74: 1389-1393, 2011. Yamashita S, Kato M, Fujimoto A, et al. Inadequate steroid injection after esophageal ESD might cause mural necrosis. Endosc int Open 7: E115-E121. 2019. Ohtake S, Kondo S, Morisaki T, et al. Expression of sulfotransferas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chondroitin sulfate E in the bone marrow derived mast cells. Biochemical Biophysica Acta 1780: 687-95, 2008. Habuchi O, Moroi R, Ohtake S,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chondroitin sulfate E by N-acetylgalactosamine 4-sulfate 6-O-sulfotransferase purified from squid cartilage. Anal Biochem 310: 129-36, 2002. Kvist AJ, Hohnson AE, Morgelin M et al. Chondroitin sulfate perlecan enhances collagen fibril formation. JBC 281: 33127-33139, 2006. Yamada S and Sugahara K.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 of chondroitin sulfate/dermatan sulfate. Current Drug Discovery Technologies 5: 289-301, 2008. Mizumoto S and Sugahara K. Glycosaminoglycans are functional ligands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in tumors. FEBS Journal 280: 2462-2470, 2013. Sato H, Sagara S, Nakajima N, et al. Prevention of esophageal stricture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using RNA-based silencing of carbohydrate sulfotransferse 15 in a pig model. Endoscopy 49: 1-9, 2017.
본 발명은, 양성 식도 협착에 대한, 안전한 신규 협착 억제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전주성(100%) ESD 모델을 사용하여, CHST15 siRNA의 국소 투여의 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의한 치료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었던 협착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그 효과는 CHST15 siRNA의 항섬유화 효과에만 기초하는 것은 아니고, 성숙 상피의 출현과 근층의 거의 완벽한 보호라는, 전혀 이질적인 효과에 의한 것이 명확해졌다. 현저하게 곤란했던 전주성 ESD에 대하여 협착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약제이고, 또한 근층 파괴에 수반하는 천공이나 종격농양의 리스크가 없고, 실제 임상의 안전성의 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약제인 것이 판명되고, 광범 내시경 치료에 수반하는 양성 식도 협착 치료에 대한 응용이 기대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공지의 약물 요법에서는 유효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레벨인 돼지 식도 전주성(100%) ESD 후의 식도 협착에 있어서, CHST15 siRNA를 단독으로 투여함으로써, 현저한 협착 억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는, 그 효과는 근층 보호 작용을 수반하고 있는 것을 알아내고, 공지의 스테로이드 제제나 기계적 확장에 수반하는 근층 파괴의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것도 발견했다. 종래는 기계적 확장 이외에 대증 방법이 없었던 전주성 ESD 후의 양성 식도 협착에 있어서, CHST15 siRNA는 높은 안전성과 현저한 협착 억제 효과를 동시에 갖는 것을 실증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8〕을 제공하는 것이다.
〔1〕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양성 식도 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2〕 식도 협착이, 이완 불능증에 의한 협착, 소화성 협착, 샤츠키·링, 내시경 치료에 의한 협착, 호산구성 식도염에 의한 협착, 외과 수술 후 협착, 방사선 요법에 수반하는 협착, 부식성 협착 및 난치성 협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협착인, 〔1〕의 의약 조성물.
〔3〕 식도 협착이, 식도의 3/4주 이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1〕 또는 〔2〕의 의약 조성물.
〔4〕 식도의 근층 상해를 수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5〕 스테로이드를 병용하지 않는,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6〕 내시경적 벌룬 확장술을 병용하지 않거나 또는 내시경적 벌룬 확장술의 병용 횟수를 줄인,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7〕 siRNA가, 100 내지 10,000nM으로 포함되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8〕단회 투여 또는 1주간 간격으로 투여되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이하에 관한 것이다.
[A-1]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도 협착을 치료하는 방법.
[B-1] 식도 협착의 치료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C-1] 식도 협착 억제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의 사용.
[D-1]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사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식도 협착 억제제의 제조 방법.
식도의 3/4주성 이상 특히 전주성 ESD 후는 매우 강력한 협착을 나타내는 점에서, 그것을 억제하는 약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놀랍게도, CHST15 siRNA를 국소 투여함으로써, 협착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명확해졌다. 또한, CHST15 siRNA는, 지금까지는 점막 하층에 한정된 항섬유화 작용밖에 알려져 있지 않고, 금회 섬유화와는 다른 근층(고유 근층) 보호의 용도를 갖는 것도,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명확해졌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약물요법에서는 치료 불가능했던 식도 협착에 대해서도 유효하고 또한 안전한 신규 치료법이 제공되었다.
도 1은 돼지 전주성 ESD 모델에 있어서의 식도 협착을 나타내는 식도 적출 표본 전체의 육안상 및 마송 염색상이다. ESD 실시 직후에, 생리 식염수(상단), 스테로이드 제제·케나코트(중단), CHST15 siRNA(하단)를 국소 주사 후, 14일째(Day14)에 도살했다.
도 2는 도 1의 상단과 마찬가지로, 생리 식염수가 전주성 ESD 후 식도 협착에 끼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마송 염색상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중단과 마찬가지로, 스테로이드 제제(케나코트)가 전주성 ESD 후 식도 협착에 끼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마송 염색상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단과 마찬가지로, CHST15 siRNA가 전주성 ESD 후 식도 협착에 끼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마송 염색상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CHST15(Carbohydrate sulfotransferase 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식도 전주성 ESD 후의 식도 협착에 대한 억제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알아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자는,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RNAi(RNA interferance; RNA 간섭) 효과에 의해 억제함으로써, 식도 협착이 억제되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 제제에서는 유의한 치료 효과가 인정되지 않는 레벨의 전주성 ESD 후의 식도 협착에 대해서도,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에 의해 현저하게 협착이 억제되고, 또한 근층 보호 작용에 의해 안전하게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CHST15 유전자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동물 유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 유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이다. 또한, 본 발명의 CHST15는, 별칭으로서, GalNAc4S-6ST(N-아세틸갈락토사민 4-술페이트 6-0 술포트랜스퍼라제)(N-acetylgalactosamine 4-sulfate 6-0 sulfotransferase)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CHST15(GalNAc4S-6ST)의 서열은, 예를 들어 액세션 번호 NM_015892에 기초하여 취득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CHST15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서열 번호: 3에, 해당 유전자에 의해 코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 번호: 4에 기재한다. 상기 이외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라도, 예를 들어 서열 번호: 4에 기재된 서열과 높은 동일성(통상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을 갖고, 또한 상기 단백질이 갖는 기능을 갖는 단백질은, 본 발명의 CHST15 단백질에 포함된다. 상기 단백질이란, 예를 들어 서열 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1 이상의 아미노산이 부가, 결실, 치환, 삽입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며, 통상 변화되는 아미노산 수가 30아미노산 이내, 바람직하게는 10아미노산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5아미노산 이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3아미노산 이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유전자에는, 예를 들어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DNA에 대응하는 다른 생물에 있어서의 내재성의 유전자(인간의 상기 유전자의 호몰로그 등)가 포함된다. 또한,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DNA에 대응하는 다른 생물의 내재성의 DNA는, 일반적으로, 각각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DNA와 높은 동일성(상동성)을 갖는다. 높은 동일성이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예를 들어, 95% 이상, 나아가 96%, 97%, 98%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을 의미한다. 이 상동성은, mBLAST 알고리즘(Altschul et al.(1990) Proc. Natl. Acad. Sci. USA 87: 2264-8; Karlin and Altschul(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 5873-7)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DNA는, 생체 내로부터 단리한 경우, 각각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DNA와 엄격한 조건 하에서 하이브리다이즈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엄격한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2×SSC, 0.1% SDS, 50℃」, 「2×SSC, 0.1% SDS, 42℃」, 「1×SSC, 0.1% SDS, 37℃」, 보다 엄격한 조건으로서 「2×SSC, 0.1% SDS, 65℃」, 「0.5×SSC, 0.1% SDS, 42℃」 및 「0.2×SSC, 0.1% SDS, 65℃」의 조건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는, 「CHST15 siRNA」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5'-ggagcagagc aagaugaaua caaucag-3') 및 서열 번호 2(5'-gauuguauuc aucuugcucu gcuccau-3')에 기재된 RNA가 하이브리다이즈한 구조의 siRNA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siRNA는, 반드시 모든 뉴클레오티드가 리보뉴클레오티드(RNA)가 아니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siRNA를 구성하는 1 혹은 복수의 리보뉴클레오티드는, 분자 자체로서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대응하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여도 된다. 이 「대응한다」란, 당 부분의 구조는 다르기는 하지만, 동일한 염기종(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우라실))인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아데닌을 갖는 리보뉴클레오티드에 대응하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란, 아데닌을 갖는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의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복수」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 정도의 소수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siRNA는,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시판되고 있는 핵산 합성기를 사용하여 적절히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하는 RNA의 합성에 대해서는, 일반의 합성 수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CHST15 siRNA는, 단제이고 양성 식도 협착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갖는 점에서, 본 발명은, CHST15 siRNA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도 협착 억제제(양성 식도 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를 제공한다. 혹은, 본 발명은, CHST15 siRNA를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양성 식도 협착을 치료하는 방법, 양성 식도 협착의 치료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CHST15 siRNA, 식도 협착 억제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CHST15 siRNA의 사용 및 CHST15 siRNA를 사용하는(제제화하거나 및/또는 약학적 혹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함) 공정을 포함하는 식도 협착 억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 또는 예방의 대상이 되는 식도 협착은, 본 발명의 항CHST15 siRNA가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양성 식도 협착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완 불능증에 의한 협착, 소화성 협착, 샤츠키·링, 내시경 치료에 의한 협착, 호산구성 식도염에 의한 협착, 외과 수술 후 협착, 방사선 요법에 수반하는 협착, 부식성 협착 및 난치성 협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협착이고, 바람직하게는 3/4주 이상의 광범위 식도 ESD 후의 식도 협착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치료」에는, 반드시 완전한 치료 효과를 갖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부분적인 효과를 갖는 경우여도 된다.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은, 약학적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혹은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경구, 혹은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제로서는, 과립제, 산제, 정제, 캡슐제, 용제, 유제, 혹은 현탁제 등의 제형으로 할 수 있다. 비경구제로서는, 주사제, 점적제, 외용약제, 흡입제(네블라이저) 혹은 좌제 등의 제형을 선택할 수 있다. 주사제에는, 피하 주사제, 근육 주사제, 복강내 주사제, 두개내 투여 주사제, 혹은 비강내 투여 주사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외용약제에는, 경비 투여제, 혹은 연고제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주성분인 본 발명의 항암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상기한 제형으로 하는 제제 기술은 공지이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용의 정제는,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에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및 활택제 등을 더하여 혼합하고, 압축 정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부형제에는, 유당, 전분, 혹은 만니톨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붕괴제로서는, 탄산칼슘이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결합제에는, 아라비아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혹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사용된다. 활택제로서는, 탈크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이 공지이다.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정제는, 마스킹이나, 장용성 제제로 하기 위해, 공지의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코팅제에는, 에틸셀룰로오스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사제는, 주성분인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적당한 분산제와 함께 용해, 분산매에 용해, 혹은 분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분산매의 선택에 의해, 수성 용제와 유성 용제의 어느 제형으로 할 수도 있다. 수성 용제로 하기 위해서는, 증류수, 생리 식염수, 혹은 링거액 등을 분산매로 한다. 유성 용제에서는, 각종 식물유나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분산매에 이용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파라벤 등의 보존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주사제 중에는, 염화나트륨이나 포도당 등의 공지의 등장화제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염화벤잘코늄이나 염산프로카인과 같은 무통화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고형, 액상, 혹은 반고 형상의 조성물로 함으로써 외용제로 할 수 있다. 고형, 혹은 액상의 조성물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것과 동일한 조성물로 함으로써 외용제로 할 수 있다. 반고 형상의 조성물은, 적당한 용제에 필요에 따라 증점제를 더하여 조제할 수 있다. 용제에는, 물, 에틸알코올, 혹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에는, 일반적으로 벤토나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혹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사용된다. 이 조성물에는, 염화벤잘코늄 등의 보존제를 더할 수 있다. 또한, 담체로서 카카오 버터와 같은 유성 기재, 혹은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같은 수성 겔 기재를 조합함으로써, 좌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유전자 치료제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주사에 의해 직접 투여하는 방법 외에, 핵산이 내장된 벡터를 투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벡터로서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아데노 수반 바이러스 벡터, 헤르페스 바이러스 벡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렌티바이러스 벡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리포솜 등의 인지질 소포체에 도입하고, 그 소포체를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siRNA를 유지시킨 소포체를 리포펙션법에 의해 소정의 세포에 도입한다. 그리고, 얻어지는 세포를, 예를 들어 정맥내, 동맥내 등에 전신 투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을 개체(예를 들어, 환자) 또는 그 식도 조직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대상에 있어서의 식도 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의 대상이 되는 개체는, 식도 협착을 발증할 수 있는 생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인간이다. 대상에 대한 투여는, 예를 들어 경구 투여, 피내 투여, 혹은 피하 투여 또는 정맥내 주사 등 당업자에게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전신 투여 또는 식도 조직 내에 대한 직접적인 국소 투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siRNA를 목적의 조직 또는 기관에 도입하기 위해, 시판되고 있는 유전자 도입 키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은, 안전하게 되어 있는 투여량의 범위 내에 있어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 대상에 대하여, 필요량(유효량)이 투여된다. 본 발명의 식도 협착 억제제 또는 의약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형의 종류, 투여 방법, 대상의 연령이나 체중, 대상의 증상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는 당업자(의사 또는 수의사)의 판단에 의해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일례를 나타내면, 연령, 성별, 증상, 투여 경로, 투여 횟수, 제형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CHST15 siRNA의 국소 투여에서의 투여량은 1일 1회 100 내지 10,000nM 정도이고, 단회 투여 또는 1주간 간격 내지 1개월 간격(예를 들어, 1주간 간격, 2주간 간격 또는 1개월 간격) 투여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용된 모든 선행기술문헌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CHST15 siRNA」는, 서열 번호: 1 및 2에 기재된 RNA가 하이브리다이즈한 구조의 siRNA이다.
<실시예 1>
식도 전주성(100%) ESD 모델의 제작에 대해서는, 실험용 미니 돼지를 사용했다. 실험동물로서 범용되는 마우스·래트에 있어서는, 해부학적으로 인간과 같은 중층 편평 상피가 없고, 생리적으로 역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인간 식도 질환의 중요한 병태에 관여하는 요소를 반영하기 어렵다. 한편, 체중 40㎏ 정도의 미니 돼지의 식도는 전체 길이 30㎝ 정도이고, 인간 성인의 식도 길이 약 40㎝에 비교해도 손색 없고, 인간과 마찬가지로 중층 편평 상피를 갖고, 생리적 역류도 일어나는 데다가, 인간의 상부 소화관 내시경 세트를 사용한 ESD 실험을 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미니 돼지는, 생리 식염수 투여군, 스테로이드 제제(케나코트) 투여군, CHST15 siRNA(홋카이도 시스템 사이언스사제, 로트 번호 40481638) 투여군의 3군을 사용했다(n=1/군). 각 군의 미니 돼지를 전신 마취 호흡기 관리 하에, 상부 소화관 내시경을 경구 삽입하고, 앞니열로부터 15㎝ 내지 25㎝ 사이에, 듀얼 나이프를 사용하여 전체 길이 5㎝의 전주성(100%) ESD를 시행했다. ESD 실시 직후의 전주성 인공 궤양에 대하여, 궤양저로부터 주위의 전체에 균등하게 덮도록 합계 20개소에, 내시경용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투여 용액(생리 식염수, 스테로이드 제제, CHST15 siRNA, 250nM 용액)을 합계 2mL 주입했다.
ESD 후 무처치이면 2주간 이내에 식도 협착이 발현되어, 음식물도 통과하지 않게 되므로, 그 이후 4주 이내에 미니 돼지가 사망하는 점에서, 단회 투여 후의 관찰 기간을 2주간으로 설정하고, 2주간 후(Day14)에 전군 도살하고, 육안 소견, 그리고 병리 조직학적 해석(마송 염색)에 의해, 식도 협착의 정도를 검토했다.
결과:
생리 식염수 투여군:
<육안 소견>
식도 길이의 단축과 완전 폐색을 인정했다. 섭식 불가의 상태였다.
<병리 소견>
일부 미숙한 재생 상피의 출현을 인정하기는 하지만, ESD에 의한 인구 궤양이 잔존하여, 궤양저 이심의 광범위한 섬유화와 근층의 으스러짐을 인정했다.
스테로이드 제제(케나코트) 투여군:
<육안 소견>
식도 길이의 단축의 정도는 생리 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경도였지만, 완전 폐색을 인정했다. 섭식 불가의 상태였다.
<병리 소견>
ESD에 의한 인구 궤양이 잔존하기는 지만, 생리 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하면, 비교적 성숙한 재생 상피에 의한 수복 소견을 인정했다. 그러나, 이심은 전층성에 광범위한 섬유화를 인정하고, 그 정도는 생리 식염수 투여군보다도 강도였다. 또한, 결손을 수반하는 광범위한 근층의 파괴를 인정했고, 장막층까지 섬유화가 미치고 있었다.
CHST15 siRNA 투여군:
<육안 소견>
식도 길이의 단축은 거의 인정되지 않고, 일부 내강의 협소화는 인정되기는 하지만, 협착·폐색은 없고, 섭식 가능의 상태였다.
<병리 소견>
ESD에 의한 인구 궤양은 거의 재생 상피에 피복되어, 스테로이드 투여군과 비교해도 중층 편평 상피가 규칙적으로 구축된, 더 성숙한 재생 상피이었다. 이심은 병적 섬유화는 없고, 상피를 지지하는 거의 생리적인 레벨의 섬유였다. 또한, 근층의 장해를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
고찰:
스테로이드 제제 투여군에 있어서는 전주성 ESD 후의 식도 협착 억제 효과는 없고, 이것은 임상 치험과 동일한 결과라고 생각되었다. 생리 식염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재생 상피를 수반하는 궤양저의 축소 경향은 인정되기는 했지만, 근층의 광범위한 상해를 드러내고 있었다. 이것은 스테로이드가 갖는 단백 이화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고, 임상에서 인정되는 지발성 천공의 원인으로 되는 것이 시사되었다.
한편, CHST15 siRNA 투여군에 있어서 인정된 협착 억제 효과는, 근층을 거의 정상 상태로 유지한 채 획득할 수 있는 효과였다. 그것은 식도의 연동 운동, 즉 연하 기능을 거의 정상적으로 유지한 채 협착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나타냄과 함께, 실제 임상적으로도 매우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시사되었다.
실제 임상에 있어서의 ESD 후 식도 협착에 있어서는, 벌룬 확장을 반복해서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고, 근층에 대한 대미지는 최대한 회피해야 하기 때문에, 스테로이드의 복수회 투여는 회피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식도암에 있어서는 재발이 있고, 그 재발 식도암에 대해서도 ESD 치료를 안전하게 설비할 수 있도록 해 두기 위해서는, 근층의 보호는 절대적 조건으로 된다. 반복되는 내시경 치료를 실시하기 위해서라도, 스테로이드 제제에 비교하여 CHST15 siRNA의 임상적 유용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되었다.
본 발명의 CHST15 siRNA는, 기존 요법에서는 전혀 효과가 나오지 않는 돼지 식도 전주성(100%) ESD 후의 식도 협착 모델을 이용한 시험에 있어서, 현저한 협착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근층 보호 효과를 갖는 점에서, 높은 안전성(기존 치료와 같은 천공의 리스크가 없음)과 함께, 근층의 기능(연하 기능)의 유지, 혹은 반복하는 내시경 치료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는 종래에 전혀 그려지지 않았던 임상 현장의 모습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 생각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CHST15 siRNA는 신규 식도 협착 억제제로서 유용한 것이 나타났다.
SEQUENCE LISTING <110> TME therapeutics Inc. <120> Agent for inhibiting esophageal stricture <130> FP4429PCT <160> 4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400> 1 ggagcagagc aagaugaaua caaucag 27 <210> 2 <211> 2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400> 2 gauuguauuc aucuugcucu gcuccau 27 <210> 3 <211> 4713 <212> DNA <213> Homo sapiens <220> <221> CDS <222> (514)..(2199) <400> 3 ggaaatctgg cattttttaa agtttgcgcc ccacaaagag gaaatattcc aaaggtactc 60 aggatgtaaa aggggagatc ttcacagatg cctccgtgga tggcatggca atccatccat 120 caatgagaag accatgattt cttttaattt tctgtgtgtt tccacattcc ccagtgagaa 180 ttcttccacc tttttttgtg ccatgggaaa aacctgaagg gcaggcagag ctgctcccga 240 acttgtgacc ttctctgagg ttgcagcggc tcttgtagaa catgactctg ggacatcact 300 tccttttgtt ttctttcgga gctgaaccaa agaatgtgca ccctctttct ctagtgctgt 360 ggtgtctgct tatttttgta tttgtgcttt ccatccatct tctgtgatca caaggcattc 420 ttaaggtttt ctagcacgac ttgcggacat ccagactcgt ggggggccca cccatggctc 480 ggtaagccag cagcccaggg cactggcact acc atg agg cac tgc att aat tgc 534 Met Arg His Cys Ile Asn Cys 1 5 tgc ata cag ctg tta ccc gac ggc gca cac aag cag cag gtc aac tgc 582 Cys Ile Gln Leu Leu Pro Asp Gly Ala His Lys Gln Gln Val Asn Cys 10 15 20 caa ggg ggc ccc cat cac ggt cac cag gcg tgc ccc acg tgc aaa gga 630 Gln Gly Gly Pro His His Gly His Gln Ala Cys Pro Thr Cys Lys Gly 25 30 35 gaa aac aaa att ctg ttt cgt gtg gac agt aag cag atg aac ttg ctt 678 Glu Asn Lys Ile Leu Phe Arg Val Asp Ser Lys Gln Met Asn Leu Leu 40 45 50 55 gct gtt ctc gaa gtg agg act gaa ggg aac gaa aac tgg ggt ggg ttt 726 Ala Val Leu Glu Val Arg Thr Glu Gly Asn Glu Asn Trp Gly Gly Phe 60 65 70 ttg cgc ttc aaa aag ggg aag cga tgt agc ctc gtt ttt gga ctg ata 774 Leu Arg Phe Lys Lys Gly Lys Arg Cys Ser Leu Val Phe Gly Leu Ile 75 80 85 ata atg acc ttg gta atg gct tct tac atc ctt tct ggg gcc cac caa 822 Ile Met Thr Leu Val Met Ala Ser Tyr Ile Leu Ser Gly Ala His Gln 90 95 100 gag ctt ctg atc tca tca cct ttc cat tac gga ggc ttc ccc agc aac 870 Glu Leu Leu Ile Ser Ser Pro Phe His Tyr Gly Gly Phe Pro Ser Asn 105 110 115 ccc agc ttg atg gac agc gaa aac cca agt gac aca aag gag cat cac 918 Pro Ser Leu Met Asp Ser Glu Asn Pro Ser Asp Thr Lys Glu His His 120 125 130 135 cac caa tcc tct gta aat aat att tca tac atg aag gac tat cca agc 966 His Gln Ser Ser Val Asn Asn Ile Ser Tyr Met Lys Asp Tyr Pro Ser 140 145 150 att aaa tta att atc aac agc atc aca act agg att gag ttc acg acc 1014 Ile Lys Leu Ile Ile Asn Ser Ile Thr Thr Arg Ile Glu Phe Thr Thr 155 160 165 aga cag ctc cca gac tta gaa gac ctt aag aag cag gag ttg cat atg 1062 Arg Gln Leu Pro Asp Leu Glu Asp Leu Lys Lys Gln Glu Leu His Met 170 175 180 ttt tca gtc atc ccc aac aaa ttc ctt cca aac agt aag agc ccc tgt 1110 Phe Ser Val Ile Pro Asn Lys Phe Leu Pro Asn Ser Lys Ser Pro Cys 185 190 195 tgg tac gag gag ttc tcg ggg cag aac acc acc gac ccc tac ctc acc 1158 Trp Tyr Glu Glu Phe Ser Gly Gln Asn Thr Thr Asp Pro Tyr Leu Thr 200 205 210 215 aac tcc tac gtg ctc tac tcc aag cgc ttc cgc tcc acc ttc gac gcc 1206 Asn Ser Tyr Val Leu Tyr Ser Lys Arg Phe Arg Ser Thr Phe Asp Ala 220 225 230 ctg cgc aag gcc ttc tgg ggc cac ctg gcg cac gcg cac ggg aag cac 1254 Leu Arg Lys Ala Phe Trp Gly His Leu Ala His Ala His Gly Lys His 235 240 245 ttc cgc ctg cgc tgc ctg ccg cac ttc tac atc ata ggg cag ccc aag 1302 Phe Arg Leu Arg Cys Leu Pro His Phe Tyr Ile Ile Gly Gln Pro Lys 250 255 260 tgc ggg acc aca gac ctc tat gac cgc ctg cgg ctg cac cct gag gtc 1350 Cys Gly Thr Thr Asp Leu Tyr Asp Arg Leu Arg Leu His Pro Glu Val 265 270 275 aag ttc tcc gcc atc aag gag cca cac tgg tgg acc cgg aag cgc ttt 1398 Lys Phe Ser Ala Ile Lys Glu Pro His Trp Trp Thr Arg Lys Arg Phe 280 285 290 295 gga atc gtc cgc cta aga gat ggg ctg cga gac cgc tat ccc gtg gaa 1446 Gly Ile Val Arg Leu Arg Asp Gly Leu Arg Asp Arg Tyr Pro Val Glu 300 305 310 gat tat ctg gac ctc ttt gac ctg gcc gca cac cag atc cat caa gga 1494 Asp Tyr Leu Asp Leu Phe Asp Leu Ala Ala His Gln Ile His Gln Gly 315 320 325 ctg cag gcc agc tct gca aag gag cag agc aag atg aat aca atc att 1542 Leu Gln Ala Ser Ser Ala Lys Glu Gln Ser Lys Met Asn Thr Ile Ile 330 335 340 atc ggg gag gcc agt gcc tcc acg atg tgg gat aat aat gcc tgg acg 1590 Ile Gly Glu Ala Ser Ala Ser Thr Met Trp Asp Asn Asn Ala Trp Thr 345 350 355 ttc ttc tac gac aac agc acg gat ggc gag cca ccg ttt ctg acg cag 1638 Phe Phe Tyr Asp Asn Ser Thr Asp Gly Glu Pro Pro Phe Leu Thr Gln 360 365 370 375 gac ttc atc cac gcc ttt cag cca aat gcc aga ctg att gtc atg ctc 1686 Asp Phe Ile His Ala Phe Gln Pro Asn Ala Arg Leu Ile Val Met Leu 380 385 390 agg gac cct gtg gag agg ttg tac tca gac tat ctc tac ttt gca agt 1734 Arg Asp Pro Val Glu Arg Leu Tyr Ser Asp Tyr Leu Tyr Phe Ala Ser 395 400 405 tcg aat aaa tcc gcg gac gac ttc cat gag aaa gtg aca gaa gca ctg 1782 Ser Asn Lys Ser Ala Asp Asp Phe His Glu Lys Val Thr Glu Ala Leu 410 415 420 cag ctg ttt gaa aat tgc atg ctt gat tat tca ctg cgc gcc tgc gtc 1830 Gln Leu Phe Glu Asn Cys Met Leu Asp Tyr Ser Leu Arg Ala Cys Val 425 430 435 tac aac aac acc ctc aac aac gcc atg cct gtg agg ctc cag gtt ggg 1878 Tyr Asn Asn Thr Leu Asn Asn Ala Met Pro Val Arg Leu Gln Val Gly 440 445 450 455 ctc tat gct gtg tac ctt ctg gac tgg ctc agc gtt ttt gac aag caa 1926 Leu Tyr Ala Val Tyr Leu Leu Asp Trp Leu Ser Val Phe Asp Lys Gln 460 465 470 cag ttt ctc att ctt cgc ctg gaa gat cat gca tcc aac gtc aag tac 1974 Gln Phe Leu Ile Leu Arg Leu Glu Asp His Ala Ser Asn Val Lys Tyr 475 480 485 acc atg cac aag gtc ttc cag ttt ctg aac cta ggg ccc tta agt gag 2022 Thr Met His Lys Val Phe Gln Phe Leu Asn Leu Gly Pro Leu Ser Glu 490 495 500 aag cag gag gct ttg atg acc aag agc ccc gca tcc aat gca cgg cgt 2070 Lys Gln Glu Ala Leu Met Thr Lys Ser Pro Ala Ser Asn Ala Arg Arg 505 510 515 ccc gag gac cgg aac ctg ggg ccc atg tgg ccc atc aca cag aag att 2118 Pro Glu Asp Arg Asn Leu Gly Pro Met Trp Pro Ile Thr Gln Lys Ile 520 525 530 535 ctg cgg gat ttc tac agg ccc ttc aac gct agg ctg gcg cag gtc ctc 2166 Leu Arg Asp Phe Tyr Arg Pro Phe Asn Ala Arg Leu Ala Gln Val Leu 540 545 550 gcg gat gag gcg ttt gcg tgg aag acg acg tga gagctgaatt gttgctgcac 2219 Ala Asp Glu Ala Phe Ala Trp Lys Thr Thr 555 560 gtgctgggcc cgccaatgcc gtcatcatca ggattttaca aatctctttg cggggaactg 2279 tttcactcat ggtatggaaa accccaggac tctgccactc taggcacaca tgaattataa 2339 ccattttgga atttccttcg tgatgttcga gagctcagca atggacccct cacagagctc 2399 ctctatccga ggccattgga gaccccagtt tctcaagaat tcagctctgc tctgagcgtc 2459 ctggagcttg gggatgcagc cagctggcct gcactgggtg tggagagaac acctagggaa 2519 ggcagcctgg ccctgcccgc ctccgccttc tggagagcct ctgggttctg agtcagcaag 2579 ccagaggtca tgccacaggc ctggctggaa cttacacttc acgttccctt tttttccccc 2639 tagagatggg gtctcgccgt gttgcacaga ctgtctgtat tcaatggcta tcttcacagg 2699 tgtgatcata ccacattcac ttctgaaaca ctcttgttgc gatcgctaac ctcactggga 2759 cagagaaccg cagtctttcg agaatggagg ctcttcattt tttttttctc ctttactcca 2819 aactcagccc tccagtttct tcagatgtaa accctgttaa cgtcactgtt tccaaaagga 2879 aaaaaataag tcagtttttg gcagcacctt catctttctg acctcctcct attctgtcct 2939 tgtggactta tgtttaacat agaaaatgaa tgcgtttaaa acaaaaccac tttctgcatt 2999 taaccagtcc tggctctctc tctgctgcct cttcatacgt tttctcaaga acttcagttt 3059 ataattggaa gagaaatttt tgctgttaat gccagaatga gcaacctcaa ggaattgaac 3119 acttcttgga aaatctaggt aattcaagcc ctcatcaggt ttacaagatc atcagagaaa 3179 cagaggattt taatttttag ttctggccgg ctacaggctc catttctctg ccttcccatt 3239 ggaaatagtt tatttccaca ttctccactg cgtgtggtca aagttcctca cccagcaagg 3299 gactatagat actcgtgtcc caattccaaa acacaatgca caagctgaac ttgggctgaa 3359 cgtggcgtgt tgagatttgg aatgaggttt ctaagagccg tgttcttcat ggaattttcc 3419 aggccacttg gcagcttggt ttaccgatgg atgggctaga gatcttgtcg tttcttggaa 3479 gtcacaggga agattgaaga gaacgcttga gcatccttgg caacagccca ggtgggacct 3539 ggatgaagct ttgcactcaa gtattgtcaa gggaagcttc ctgtgaacca aagttctcag 3599 gccaaggtct cgcccaccaa agccagaaag tgcaagcacc cgtctaccca gctctaactt 3659 gtatgtgtga gacagaccag gcttcggggg taggaggatc tgcagttgtt cagccgtctt 3719 tctgctggtg ttgtctttct gccatcagag aagggacaca cagcccgttc gaaggtgtgc 3779 agagggctct gagcgccagg atggccaggg ctgtttttgc tactgaagga gcgtgtgtcc 3839 tgaactccca cttgcaggga cagtccccac cttctctata gccggcactg ggagcagccg 3899 ccagcaggga aatctggcct gagcacaagg atgctttagg gagagatcac ttcagtgtgt 3959 gtgtatattt atttgcagta cagtgcgcgc gtgtgtgtgt gtgtacgcgc acgtgtgggt 4019 gagtgcgtct tctgagtggg ttctgttcag ttgctaatga ggctcctccg ctctggacac 4079 aaccctttta tagattaatt tctctgccaa ttaacttgtc attttcagta catattttac 4139 tattccacac caaccataat tacaacaagg gatttttctt atgcactcct atgcatgtga 4199 ataacatgtg gtgtaattct gcttcttaca gaagtattac tgaaggtatt atttccaata 4259 ttatttggtt tattatgcgg atctttttta tatatgcagt cccatccctt ctgtgccact 4319 caatgccatc cagacatggt ttttccctcc aggggccttt ctctccagag ggcacttcgg 4379 ctgcctctgc ttcctctcat tcgaggcccg gctcttgctg acagaatagg ttccgttctg 4439 ggcggtggtt ctcgagcctg ccattcaaaa ccaaagcaaa ttggagcatt tctcacaaca 4499 tggtattgaa gttccttttt gttctcaaaa gttgtgaccg tgttaaattg tactccctta 4559 gtcctgtaag gtatgttaag tgaatcgcag ttacgctgta cttttattaa tatttaacat 4619 aattaaagat ggacccataa gagtgacgcc tgtggagcgc gtgctcttcc tctgcagcca 4679 aaaaaaaaaa aaaaaaaaaa aaaaaaaaaa aaaa 4713 <210> 4 <211> 56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4 Met Arg His Cys Ile Asn Cys Cys Ile Gln Leu Leu Pro Asp Gly Ala 1 5 10 15 His Lys Gln Gln Val Asn Cys Gln Gly Gly Pro His His Gly His Gln 20 25 30 Ala Cys Pro Thr Cys Lys Gly Glu Asn Lys Ile Leu Phe Arg Val Asp 35 40 45 Ser Lys Gln Met Asn Leu Leu Ala Val Leu Glu Val Arg Thr Glu Gly 50 55 60 Asn Glu Asn Trp Gly Gly Phe Leu Arg Phe Lys Lys Gly Lys Arg Cys 65 70 75 80 Ser Leu Val Phe Gly Leu Ile Ile Met Thr Leu Val Met Ala Ser Tyr 85 90 95 Ile Leu Ser Gly Ala His Gln Glu Leu Leu Ile Ser Ser Pro Phe His 100 105 110 Tyr Gly Gly Phe Pro Ser Asn Pro Ser Leu Met Asp Ser Glu Asn Pro 115 120 125 Ser Asp Thr Lys Glu His His His Gln Ser Ser Val Asn Asn Ile Ser 130 135 140 Tyr Met Lys Asp Tyr Pro Ser Ile Lys Leu Ile Ile Asn Ser Ile Thr 145 150 155 160 Thr Arg Ile Glu Phe Thr Thr Arg Gln Leu Pro Asp Leu Glu Asp Leu 165 170 175 Lys Lys Gln Glu Leu His Met Phe Ser Val Ile Pro Asn Lys Phe Leu 180 185 190 Pro Asn Ser Lys Ser Pro Cys Trp Tyr Glu Glu Phe Ser Gly Gln Asn 195 200 205 Thr Thr Asp Pro Tyr Leu Thr Asn Ser Tyr Val Leu Tyr Ser Lys Arg 210 215 220 Phe Arg Ser Thr Phe Asp Ala Leu Arg Lys Ala Phe Trp Gly His Leu 225 230 235 240 Ala His Ala His Gly Lys His Phe Arg Leu Arg Cys Leu Pro His Phe 245 250 255 Tyr Ile Ile Gly Gln Pro Lys Cys Gly Thr Thr Asp Leu Tyr Asp Arg 260 265 270 Leu Arg Leu His Pro Glu Val Lys Phe Ser Ala Ile Lys Glu Pro His 275 280 285 Trp Trp Thr Arg Lys Arg Phe Gly Ile Val Arg Leu Arg Asp Gly Leu 290 295 300 Arg Asp Arg Tyr Pro Val Glu Asp Tyr Leu Asp Leu Phe Asp Leu Ala 305 310 315 320 Ala His Gln Ile His Gln Gly Leu Gln Ala Ser Ser Ala Lys Glu Gln 325 330 335 Ser Lys Met Asn Thr Ile Ile Ile Gly Glu Ala Ser Ala Ser Thr Met 340 345 350 Trp Asp Asn Asn Ala Trp Thr Phe Phe Tyr Asp Asn Ser Thr Asp Gly 355 360 365 Glu Pro Pro Phe Leu Thr Gln Asp Phe Ile His Ala Phe Gln Pro Asn 370 375 380 Ala Arg Leu Ile Val Met Leu Arg Asp Pro Val Glu Arg Leu Tyr Ser 385 390 395 400 Asp Tyr Leu Tyr Phe Ala Ser Ser Asn Lys Ser Ala Asp Asp Phe His 405 410 415 Glu Lys Val Thr Glu Ala Leu Gln Leu Phe Glu Asn Cys Met Leu Asp 420 425 430 Tyr Ser Leu Arg Ala Cys Val Tyr Asn Asn Thr Leu Asn Asn Ala Met 435 440 445 Pro Val Arg Leu Gln Val Gly Leu Tyr Ala Val Tyr Leu Leu Asp Trp 450 455 460 Leu Ser Val Phe Asp Lys Gln Gln Phe Leu Ile Leu Arg Leu Glu Asp 465 470 475 480 His Ala Ser Asn Val Lys Tyr Thr Met His Lys Val Phe Gln Phe Leu 485 490 495 Asn Leu Gly Pro Leu Ser Glu Lys Gln Glu Ala Leu Met Thr Lys Ser 500 505 510 Pro Ala Ser Asn Ala Arg Arg Pro Glu Asp Arg Asn Leu Gly Pro Met 515 520 525 Trp Pro Ile Thr Gln Lys Ile Leu Arg Asp Phe Tyr Arg Pro Phe Asn 530 535 540 Ala Arg Leu Ala Gln Val Leu Ala Asp Glu Ala Phe Ala Trp Lys Thr 545 550 555 560 Thr

Claims (8)

  1. CHST15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식도 협착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식도 협착이, 이완 불능증에 의한 협착, 소화성 협착, 샤츠키·링, 내시경 치료에 의한 협착, 호산구성 식도염에 의한 협착, 외과 수술 후 협착, 방사선 요법에 수반하는 협착, 부식성 협착 및 난치성 협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협착인 의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도 협착이, 식도의 3/4주 이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의약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도의 근층 상해를 수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를 병용하지 않는 의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시경적 벌룬 확장술을 병용하지 않거나 또는 내시경적 벌룬 확장술의 병용 횟수를 줄인 의약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iRNA가, 100 내지 10,000nM으로 포함되는 의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회 투여 또는 1주간 간격으로 투여되는 의약 조성물.
KR1020217039364A 2019-05-08 2019-05-08 식도 협착 억제제 KR202200070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18365 WO2020225871A1 (ja) 2019-05-08 2019-05-08 食道狭窄抑制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7085A true KR20220007085A (ko) 2022-01-18

Family

ID=7305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364A KR20220007085A (ko) 2019-05-08 2019-05-08 식도 협착 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84110A1 (ko)
EP (1) EP3967313A4 (ko)
JP (2) JPWO2020225871A1 (ko)
KR (1) KR20220007085A (ko)
CN (1) CN113811313A (ko)
WO (1) WO2020225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1996A1 (ja) * 2021-08-30 2023-03-09 株式会社Tme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癌の浸潤を抑制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及び癌の浸潤を抑制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3910B1 (en) * 2007-12-27 2023-11-22 Stelic Institute & Co., Inc. Sugar chain-related gene and use thereof
EP3878962A1 (en) * 2012-07-17 2021-09-15 Stelic Institute & Co. Mucosal healing promoter
JPWO2017078054A1 (ja) * 2015-11-04 2018-08-30 株式会社ステリック再生医科学研究所 RNAi分子とN−アセチル化キトサンとを含む複合体
EP3552632B1 (en) * 2016-12-07 2023-07-12 Stelic Institute & Co., Inc.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Non-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rret M<Beye S, Leblanc S et al. Systematic review: the prevention of oesophageal stricture after endoscopic resection. Aliment Pharmacol Ther 42: 20-39, 2015.
Draganov PV, Wang AY, Othman MO et al. AGA institute clinical practice update: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in the united states. Clin Gastroenterol Hepatol 17: 16-25, 2019.
Habuchi O, Moroi R, Ohtake S,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chondroitin sulfate E by N-acetylgalactosamine 4-sulfate 6-O-sulfotransferase purified from squid cartilage. Anal Biochem 310: 129-36, 2002.
Hashimoto S, Kobayashi M, Takeuchi M, et al. The efficacy of endoscopic triamcinolone injection for the prevention of esophageal stricture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Gastrointest Endosc 74: 1389-1393, 2011.
Jain D, Singhal S. Esophageal stricture prevention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Clin Endosc 49: 241-256, 2016.
Kvist AJ, Hohnson AE, Morgelin M et al. Chondroitin sulfate perlecan enhances collagen fibril formation. JBC 281: 33127-33139, 2006.
Mizumoto S and Sugahara K. Glycosaminoglycans are functional ligands for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in tumors. FEBS Journal 280: 2462-2470, 2013.
Ohtake S, Kondo S, Morisaki T, et al. Expression of sulfotransferase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chondroitin sulfate E in the bone marrow derived mast cells. Biochemical Biophysica Acta 1780: 687-95, 2008.
Sami SS, Haboubi N, Ang Y et al. UK guidelines on esophageal dilatation in clinical practice. Gut 67: 1000-1023, 2018.
Sato H, Sagara S, Nakajima N, et al. Prevention of esophageal stricture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using RNA-based silencing of carbohydrate sulfotransferse 15 in a pig model. Endoscopy 49: 1-9, 2017.
Siersema PD. Treatment option for esophageal strictures. Nature Gastroenterol Hepatol 5: 142-152, 2008.
Yamada S and Sugahara K. Potential therapeutic Application of chondroitin sulfate/dermatan sulfate. Current Drug Discovery Technologies 5: 289-301, 2008.
Yamashita S, Kato M, Fujimoto A, et al. Inadequate steroid injection after esophageal ESD might cause mural necrosis. Endosc int Open 7: E115-E121. 2019.
일본 식도 학회 식도암 진료 가이드 라인 2017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84110A1 (en) 2022-06-16
WO2020225871A1 (ja) 2020-11-12
EP3967313A1 (en) 2022-03-16
JP2024012436A (ja) 2024-01-30
EP3967313A4 (en) 2022-11-16
JPWO2020225871A1 (ko) 2020-11-12
CN113811313A (zh)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4164C (en) Mir-204 and mir-211 and uses thereof
EP3718561A1 (en) Therapeutic ag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JP7382437B2 (ja) 眼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脱メチル化
JP2010031051A (ja) オリゴヌクレオチドの使用によって細胞増殖を阻止する方法
JPWO2003099339A1 (ja) 炎症性疾患を処置および予防するためのデコイ組成物
US2005015299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moting axon regeneration and cell replacement therapy
JP2024012436A (ja) 食道狭窄抑制剤
AU2008309063B2 (en)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orders using the cell differentiation signaling protein Nell1
US20030032611A1 (en) Method to inhibit cell growth using oligonucleotides
MX2014003256A (es) Uso de hidroxamatos de indolilo e indolinilo para tratar insuficiencia cardiaca o lesion neuronal.
JP2020514305A (ja) ファーバー病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2011148828A (ja) 非ウィルス性上皮損傷の治療および/または予防
TW202039531A (zh) 用於治療平滑肌功能不良之組成物及方法
Ji et al. Decitabine improves MMS-induced retinal photoreceptor cell damage by targeting DNMT3A and DNMT3B
RU2804300C2 (ru) Деметилирование для лечения глазн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KR20240050416A (ko) 암의 침윤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및 암의 침윤을 억제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