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408A -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408A
KR20220006408A KR1020200084351A KR20200084351A KR20220006408A KR 20220006408 A KR20220006408 A KR 20220006408A KR 1020200084351 A KR1020200084351 A KR 1020200084351A KR 20200084351 A KR20200084351 A KR 20200084351A KR 20220006408 A KR20220006408 A KR 20220006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olar module
protruding
hous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494B1 (ko
Inventor
손성구
노정훈
홍성철
홍정원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주식회사 국영지앤엠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20008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4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창틀의 내부 공간을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 상기 창틀에 구비되며, 상기 창틀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과 연결되는 제1통전부; 상기 창짝에 구비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는 제2통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전부와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창짝이 닫혔을 때 서로 접촉되면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Window system with solar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제1통전부를 구비하고 창짝에 제2통전부를 구비하며, 창짝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닫혔을 경우에만 제1통전부와 제2통전부가 통전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창틀과 창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창짝이 창틀에 대해 열리고 닫히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실내 환기를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최근에는 석유 에너지의 대체 에너지로 태양광 발전이 주목받고 있으며, 태양광 발전 중 건물과 연계하여 태양광 발전을 하는 BIPV 시스템(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이 주목받고 있다.
BIPV 시스템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을 건축물 외장재로 사용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건축물 외장재에 태양광 모듈을 적용함에 따라 건축물 내부의 에너지 공급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BIPV 시스템은 건출물의 다양한 외장재에 적용되며, 창호에도 태양광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창호에 태양광 모듈을 적용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창호는 창틀과 창짝으로 이루어지면서, 창짝이 창틀에 대해 열리고 닫힐 수 있는 것이다. 태양광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선이 사용되는데, 반복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창짝의 이동에 의해 전선이 마모되어 단선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제1통전부를 구비하고 창짝에 제2통전부를 구비하며, 창짝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닫혔을 경우에만 제1통전부와 제2통전부가 통전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창틀;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창틀의 내부 공간을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 상기 창틀에 구비되며, 상기 창틀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과 연결되는 제1통전부; 상기 창짝에 구비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는 제2통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전부와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창짝이 닫혔을 때 서로 접촉되면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창짝은, 상기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 내측으로 파여진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창틀은, 상기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전부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제1통전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바와, 상기 제1돌출바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통전부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상기 삽입홈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제2돌출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돌출바와 상기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바는, 상기 제2돌출바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고정바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을 감싸는 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판 형상 도체로 이루어진 접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에 제1통전부를 구비하고 창짝에 제2통전부를 구비하여, 창짝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닫혔을 경우에만 제1통전부와 제2통전부가 통전되도록 함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을 사용하여 제2돌출바를 제2통전부의 하우징에 돌출되도록 결합시킴에 따라, 창틀과 창짝이 접촉되지 않아 제1통전부와 제2통전부가 통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면서 창짝이 닫히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창짝이 구비된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통전부가 구비된 창짝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 삽입공과 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에 위치 고정바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결합부에 자석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에 제1통전부를 구비하고 창짝에 제2통전부를 구비하며, 창짝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닫혔을 경우에만 제1통전부와 제2통전부가 통전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는, 창틀(110), 창짝(120), 태양광 모듈(130), 제1통전부(140), 제2통전부(1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는 상기 창틀(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120)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창짝(120)은 상기 창틀(1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창틀(110)의 내부 공간을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창틀(110)과 상기 창짝(12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창짝(120)이 상기 창틀(1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하면서 상기 창틀(110) 내부를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창짝(120)이 상기 창틀(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열리고 닫힐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창틀과 창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태양광 모듈(130)은 상기 창짝(12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창짝(120) 중에서 창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상기 태양광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전부(140)는 상기 창틀(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통전부(140)는 상기 창틀(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142)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창짝(120)에 구비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13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창짝(120)이 닫혔을 때 서로 접촉되면서 통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창짝(120)이 닫혀있지 않을 때는 통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창호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경우나 여름철과 같이 실내가 더운 경우에만 창짝을 열리게 하며, 대부분의 사용 시간 동안에는 창짝을 닫힌 상태로 두게 된다. 따라서,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만 태양광 모듈을 통해 태양광 발전을 하여도 태양광 발전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상기 창짝(120)이 상기 창틀(110)에 대하여 닫혀 있는 경우에 태양광 모듈을 통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창짝(120)이 닫혔을 때 서로 접촉되어 통전되면서 태양광 발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창틀(110)과 상기 창짝(120)은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를 통해서만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창틀(110)에서 상기 창짝(120)으로 연장되는 전선 또는 연결선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창짝(120)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상기 창틀(110)에서 상기 창짝(120)으로 연장되는 전선 또는 연결선이 구비되면, 반복적인 상기 창짝(120)의 열림과 닫힘에 의해 상기 전선 또는 연결선이 단선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이와 같은 전선 또는 연결선의 단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창짝(120)이 닫혔을 때만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를 접촉시켜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창짝(120)은 상기 태양광 모듈(130)이 구비되는 본체부(121)와 상기 본체부(121)의 외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122)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122) 내측으로 파여진 삽입홈(1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1)는 창이 구비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122)는 상기 창을 감싸는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22)에는 상기 삽입홈(1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123)에 후술할 상기 창틀(110)의 결합부(111)가 끼워지면서 상기 창짝(120)이 닫히게 된다.
상기 창틀(110)은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창틀(110)은 상기 창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삽입홈(123)에 끼워지는 상기 결합부(111)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창짝(120)이 슬라이드 이동하다가 상기 삽입홈(123)에 상기 결합부(111)가 끼워지면서 상기 창짝(120)이 닫힐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통전부(140)는 상기 결합부(111)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테두리부(122)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통전부(14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1돌출바(141)와 연결되는 전선(1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바(141)는 후술할 상기 제2통전부(150)의 제2돌출바(151)와 접촉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선(142)은 상기 제1돌출바(141)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1돌출바(141)로부터 상기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또는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선(142)은 상기 창틀(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선(142)은, 상기 창틀(110)에서부터 상기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또는 에너지를 공급받는 다른 장치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바(141)는 상기 결합부(11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가 접촉되어야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또는 에너지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창짝(120)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가 접촉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돌출바(141)는 상기 결합부(111)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부(1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제1돌출바(14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돌출바(141)는 상기 결합부(111)으로부터 일부만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바(141)는 상기 결합부(11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전극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테두리부(122)에 설치되되,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두리부(122) 내부에는 상기 제2통전부(150)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122a)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내부 공간(122a)에 설치되되, 상기 제2통전부(150)의 제2돌출바(151)가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22)의 상기 내부 공간(122a)은 상기 삽입홈(123)과 상기 본체부(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부(122)의 상기 내부 공간(122a)에는 상기 내부 공간(122a)의 내측면을 감싸는 보강부(12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22a)은 상기 제2통전부(150)를 설치하기 위한 빈 공간으로, 상기 테두리부(122)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테두리부(122)의 강도가 약해질 위험이 있다. 상기 보강부(122b)를 상기 테두리부(122)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부(122b)는 상기 내부 공간(122a)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통전부(150)는 상기 테두리부(122)의 내부 공간(122a)에 배치되는 하우징(160)과 상기 하우징(160)에 결합되면서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바(151)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60)은 상기 태양광 모듈(130)과 상기 제2돌출바(151)를 연결시키는 전선 및 연결선이 통과하는 하우징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가 접촉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및 에너지가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태양광 모듈(130)과 상기 제2돌출바(151)를 연결시켜야 하며, 상기 하우징(160)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및 에너지를 상기 제2돌출바(151)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선 및 연결선이 통과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60) 내부에는 상기 제2돌출바(15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16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60)의 외측에는 상기 삽입 공간(161)과 연통되며 상기 제2돌출바(151)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16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바(151)는 상기 삽입공(162)을 통해 상기 삽입 공간(161)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제2돌출바(151)는 상기 하우징(160)의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 공간(161)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돌출바(151)와 상기 하우징(160) 사이에는 스프링(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바(151)는 외부 힘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삽입 공간(161)으로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60)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돌출바(151)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152)에 의해 상기 제2돌출바(151)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60)의 상기 삽입 공간(161)에는 상기 제2돌출바(151)와 상기 스프링(15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돌출바(151)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6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돌출바(151)가 상기 삽입 공간(161)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152)은 상기 삽입 공간(161) 내부에서 상기 제2돌출바(151)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돌출바(151)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면, 상기 스프링(152)은 상기 제2돌출바(151)와 상기 하우징(160) 사이의 다양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52)은 상기 제2돌출바(151)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60)에는 2개의 상기 삽입공(1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60)에는 2개의 상기 제2돌출바(151)와 2개의 상기 스프링(15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음극과 양극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2돌출바(151)와 상기 스프링(152)은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가 접촉되어야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또는 에너지가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창짝(120)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가 접촉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돌출바(151)는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6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를 상기 결합부(111)와 상기 삽입홈(123)에서 돌출되도록 설치하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지만, 돌출된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에 의해 상기 창짝(120)이 닫히지 못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152)을 통해 상기 제2돌출바(151)를 상기 하우징(160)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2돌출바(151)는 외부 힘이 작용하면 상기 하우징(160)의 상기 삽입 공간(161) 내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외부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152)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돌출바(151)가 외부 힘에 의해 상기 삽입 공간(161)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면 돌출된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에 의해 상기 창짝(120)이 닫히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돌출바(151)는 상기 스프링(152)에 의해 다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152)을 통해 상기 제2돌출바(151)를 다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창짝(120)이 닫힐 때, 상기 제2돌출바(151)는 상기 제1돌출바(141)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제1돌출바(141)와 접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돌출바(151)가 눌리면서 발생하는 상기 스프링(152)의 탄성 가압력은, 상기 제2돌출바(151)를 상기 제1돌출바(141)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60)에는, 상기 하우징(160)을 상기 테두리부(12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1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트공(163)에 볼트를 끼우고, 상기 볼트를 상기 테두리부(122)에 고정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60)을 상기 테두리부(122)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공(163)에 끼워지는 것은 볼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60)은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볼트공(163)에는 핀이 끼워질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60)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6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고정바(16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고정바(164)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부(122)의 내부에는 상기 위치 고정바(164)의 형상에 대응되는 위치 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60)은 상기 태양광 모듈(130)과 상기 제2돌출바(151)를 연결하는 전선 및 연결선이 통과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위치 고정바(164)는 상기 하우징(160)을 상기 테두리부(122)의 지정된 지점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60)에 상기 위치 고정바(164)를 구비하고 상기 테두리부(122)에 상기 위치 고정홈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60)을 상기 테두리부(122)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결합부(111) 또는 상기 테두리부(122)에는 자석(17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가 서로 접촉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130)에서 형성된 전력 또는 에너지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111) 또는 상기 테두리부(122)에는 상기 자석(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1) 또는 상기 테두리부(122)에 상기 자석(170)이 구비되면, 상기 자석(17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를 잡아당기면서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는 상기 결합부(111) 내부에 상기 자석(170)이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결합부(111) 내부에 상기 자석(170)을 구비하면, 상기 자석(170)을 통해 상기 제2돌출바(151)를 상기 제1돌출바(14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상기 제1돌출바(141)와 상기 제2돌출바(151)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7과 같이 상기 결합부(111) 내부에 상기 자석(170)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자석(170)은 상기 테두리부(12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결합부(111)의 외측면에는 판 형상 도체로 이루어진 접촉부(17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부(171)는 전기가 통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1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결합부(111)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촉부(171)는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의 통전 면적을 넓힐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111)의 외측면에 상기 접촉부(171)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창틀(110)에 제1통전부(140)를 구비하고 창짝(120)에 제2통전부(150)를 구비하여, 창짝(120)이 이동하여 닫혔을 경우에만 제1통전부(140)와 제2통전부(150)가 통전되도록 함에 따라 태양광 모듈(130)의 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창호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경우나 여름철과 같이 실내가 더운 경우에만 창짝을 열리게 하며, 대부분의 사용 시간 동안에는 창짝을 닫힌 상태로 두게 된다. 따라서, 창짝이 닫힌 상태에서만 태양광 모듈을 통해 태양광 발전을 하여도 태양광 발전의 효율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상기 창틀(110)과 상기 창짝(120)은 상기 창짝(120)이 닫혔을 때만 상기 제1통전부(140)와 상기 제2통전부(150)를 접촉시켜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창틀(110)에서 상기 창짝(120)으로 연장되는 전선 또는 연결선이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전선 또는 연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스프링(152)을 사용하여 제2돌출바(151)를 제2통전부(150)의 하우징(160)에 돌출되도록 결합시킴에 따라, 창틀(110)과 창짝(120)이 접촉되지 않아 제1통전부(140)와 제2통전부(150)가 통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스프링(152)을 사용하여 제2돌출바(151)를 하우징(160)의 삽입 공간(161)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함에 따라 제1돌출바(141)와 제2돌출바(151)에 의해 창짝(120)이 닫히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창틀 111...결합부
120...창짝 121...본체부
122...테두리부 122a...내부 공간
122b...보강부 123...삽입홈
130...태양광 모듈 140...제1통전부
141...제1돌출바 142...전선
150...제2통전부 151...제2돌출바
152...스프링 160...하우징
161...삽입 공간 162...삽입공
163...볼트공 164...위치 고정바
170...자석 171...접촉부

Claims (10)

  1. 창틀과 창짝을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에 있어서,
    창틀;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창틀의 내부 공간을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창짝;
    상기 창틀에 구비되며, 상기 창틀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선과 연결되는 제1통전부;
    상기 창짝에 구비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과 연결되는 제2통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전부와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창짝이 닫혔을 때 서로 접촉되면서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은, 상기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일측에는 상기 테두리부 내측으로 파여진 삽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창틀은, 상기 창틀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전부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삽입홈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전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바와, 상기 제1돌출바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통전부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통전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상기 삽입홈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돌출바와 상기 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바는, 상기 제2돌출바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위치 고정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을 감싸는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는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는 판 형상 도체로 이루어진 접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KR1020200084351A 2020-07-08 2020-07-08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KR10253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51A KR102530494B1 (ko) 2020-07-08 2020-07-08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351A KR102530494B1 (ko) 2020-07-08 2020-07-08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408A true KR20220006408A (ko) 2022-01-17
KR102530494B1 KR102530494B1 (ko) 2023-05-08

Family

ID=8005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351A KR102530494B1 (ko) 2020-07-08 2020-07-08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4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942U (ko) * 2008-12-30 2010-07-08 고문수 밀폐 성능이 우수한 강화유리문
KR20140112650A (ko) * 2013-03-13 2014-09-24 지투산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2056011B1 (ko) * 2018-07-30 2019-12-16 주식회사 뉴마이하우스웍 스마트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942U (ko) * 2008-12-30 2010-07-08 고문수 밀폐 성능이 우수한 강화유리문
KR20140112650A (ko) * 2013-03-13 2014-09-24 지투산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2056011B1 (ko) * 2018-07-30 2019-12-16 주식회사 뉴마이하우스웍 스마트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494B1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25692U (zh) 用于车辆的门闩锁装置
KR20200062670A (ko) 태양광 블라인드 전기 커넥터 연결구조
KR102530494B1 (ko) 태양광 모듈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CN113133239A (zh) 一种防止带电作业的电器柜
US7057484B2 (en) Reed switch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356112B1 (ko)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KR200491312Y1 (ko)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KR20130091433A (ko) 자석부재가 구비된 창호
CN212812336U (zh) 一种自动化电气防潮柜
CN212137013U (zh) 一种开关电源控制装置
CN209994692U (zh) 给水工程施工用电气装置
CN111668070A (zh) 一种大功率继电器
JP3719311B2 (ja) 引戸用通電金具
CN217632048U (zh) 一种推拉门包边框架结构
CN220585091U (zh) 一种机械电气连锁装置
CN210289439U (zh) 一种户外电力集控柜锁控装置
CN215718228U (zh) 一种铝门结构
KR200276129Y1 (ko) 디지털 도어락의 전원 공급장치
CN217269355U (zh) 一种具有缓冲保护功能的电子门禁门
CN212434544U (zh) 一种大功率继电器
CN213271248U (zh) 一种便于安装和维修的阀门电动执行器
CN216218073U (zh) 一种工程机械用电气控制箱
CN215299150U (zh) 一种带有半嵌入式磁屏蔽罩的磁保持继电器
CN216085774U (zh) 锁箱结构
CN218096518U (zh) 电器盖板和空调室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