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314A -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314A
KR20220006314A KR1020200084121A KR20200084121A KR20220006314A KR 20220006314 A KR20220006314 A KR 20220006314A KR 1020200084121 A KR1020200084121 A KR 1020200084121A KR 20200084121 A KR20200084121 A KR 20200084121A KR 20220006314 A KR20220006314 A KR 20220006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unit
lamp unit
sterilization lamp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402B1 (ko
Inventor
이경찬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20008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4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주변 감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시로 자외선을 투사하여 살균하는 살균 램프부; 상기 살균 램프부에서 자외선이 투사되는지 여부와 자외선 강도를 감지하는 UV(Ultra Violet) 센서부; 상기 살균 램프부의 온도와 자외선 투사에 관련된 정상 및 고장 상태를 인디케이팅하는 인디케이터부; 및 상기 주변 감지부 및 UV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의 상태에 관련된 인디케이팅 제어, 상기 살균 램프부의 자외선 투사 강도 조절, 상기 살균 램프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나 자외선 LED에 대한 개별적인 온오프 제어,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 내부에서 돌출시키거나 커버 내부로 삽입시키는 제어, 및 상기 살균 램프부의 회전 제어를 통해 상시 살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FOR INTELLIGENT STERILIZATION AT ALL TIM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지노, 은행, 백화점, 및 점포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는 게임기나 키오스크와 같은 터치 방식 무인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상시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장치로서 컴퓨터 등의 대표적인 출력장치 중 하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CRT(Cathode Ray Tube), LED(Light Emitting Diode), TFT-LCD(Thin Film Transister -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최근에는 키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건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터치스크린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여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일반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에 터치패널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중들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 즉, 지하철, 백화점, 은행 등의 장소에서 안내용 디스플레이에 많이 이용되며, 각종 점포에서 판매용 단말기에도 많이 응용될 뿐만 아니라, 카지노의 게임기, 휴대폰 패널 또는 일반 업무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터치스크린은 하루에도 수백 번씩 수시로 접촉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살균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세균 감염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살균장치를 설치한 제품도 있으나, 대부분의 종래의 표면 살균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를 닫거나 스캔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살균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자외선을 투사(또는 조사)하여 일시적으로 살균하는 장치가 제안 되었다.
그러나 공용으로 사용되는 게임기나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용으로 사용하는 사람(사용자)이 많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살균을 실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살균을 실시한다고 하더라도 살균을 위한 최소 필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상기 최소 필요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에 사용자가 바뀌는 경우에는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상시 살균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주변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지정된 물체(예 : 디스플레이 장치, 조작 장치 등)를 무조건 상시 살균하는 장치는 에너지 소비가 많고, 상시 살균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정된 물체(예 : 디스플레이 장치, 조작 장치 등)의 상시 살균을 기본으로 하되,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상시 살균 장치의 동작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고, 상시 살균 장치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정된 물체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 범위를 능동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13077호(2017.12.21. 등록, 자외선 표면 살균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카지노, 은행, 백화점, 및 점포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는 게임기나 키오스크와 같은 터치 방식 무인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상시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는, 인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주변 감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시로 자외선을 투사하여 살균하는 살균 램프부; 상기 살균 램프부에서 자외선이 투사되는지 여부와 자외선 강도를 감지하는 UV(Ultra Violet) 센서부; 상기 살균 램프부의 온도와 자외선 투사에 관련된 정상 및 고장 상태를 인디케이팅하는 인디케이터부; 및 상기 주변 감지부 및 UV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의 상태에 관련된 인디케이팅 제어, 상기 살균 램프부의 자외선 투사 강도 조절, 상기 살균 램프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나 자외선 LED에 대한 개별적인 온오프 제어,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 내부에서 돌출시키거나 커버 내부로 삽입시키는 제어, 및 상기 살균 램프부의 회전 제어를 통해 상시 살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는, 자외선을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나 램프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부재와; 상기 살균 램프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자외선(UV)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는, 인체의 피부나 눈 등에 무해하면서 살균력을 가진 Far UVC 파장을 투사하는 자외선 LED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램프부의 돌출과 삽입 제어 및 회전 제어를 통해 자외선 투사 범위와 투사 각도를 조정하여, 평상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시 살균하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까지 자외선을 투사하여 사용자의 피부나 옷, 또는 사용자의 소지품까지도 상시 살균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부가 살균 램프부를 상시 구동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외선 투사 범위를 사용자가 있는 영역까지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의 외부로 지정된 거리로 돌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투사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돌출되는 상기 살균 램프부의 돌출 거리에 대응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의 얼굴이나 얼굴에 포함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얼굴 방향으로 자외선(UV)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의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가 접근하지 않거나 접근했던 인체가 멀어지는 경우, 자외선 투사 범위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영역으로 한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를 지정된 기본 상태로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램프부가 커버 내부로 삽입되어 자외선 투사 범위가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의 투사 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의 외부로 지정된 거리로 돌출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살균 램프부를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커버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자외선 LED들을 온 시키고, 미리 설정된 기본 상태 이상 돌출된 자외선 LED들 중 미리 지정된 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측 자외선 LED들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를 지정된 기본 상태로 삽입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살균 램프부를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버 내부로 삽입되는 자외선 LED들은 오프시키고, 아직 커버 외부로 기본 상태 이상 돌출된 자외선 LED들 중 미리 지정된 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측 자외선 LED들은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부가 살균 램프부를 상시 구동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외선 투사 범위를 사용자가 있는 영역까지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의 외부로 지정된 거리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인체가 있는 방향의 각도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작부가 있는 방향의 각도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는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가 접근하지 않거나 접근했던 인체가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시 살균 범위 중 사용자의 접촉이 많은 부분 및 조작부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를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보다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를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로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부가 살균 램프부를 상시 구동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UV 센서부를 통해 체크한 상기 살균 램프부의 자외선 투사 강도가 정상적이면, 인디케이터부를 통해 상기 살균 램프부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UV 센서부를 통해 체크한 자외선 투사 강도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인디케이터부를 통해 살균 램프부가 고장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가 고장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새로 커버 외부로 돌출된 자외선 LED들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지노, 은행, 백화점, 및 점포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는 게임기나 키오스크와 같은 터치 방식 무인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상시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살균 램프부의 램프 돌출과 삽입 구동 및 램프 회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살균 램프부의 램프 돌출과 삽입 구동 및 UV LED의 개별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는, 주변 감지부(110), UV 센서부(120), 인디케이터부(130), 제어부(140), 램프 회전 구동부(150), 살균 램프부(160), UV LED(or UV Lamp)(161), 및 램프 돌출/삽입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 감지부(110)는 인체(예 : 사람, 어른, 아이 등)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것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주변 감지부(110)는 인체의 접근 검출 및 오염물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예 :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자기 센서 등)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변 감지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예 : 비말, 지문, 먼지 등)을 검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사용자의 접촉이 많은 부분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UV 센서부(120)는 상기 살균 램프부(160)에서 투사되는 자외선(UV : Ultra Violet)의 대응 방향에서 상기 자외선(UV)이 투사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예컨대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상부에서 자외선(UV)을 투사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UV 센서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하부에서 자외선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UV 센서부(120)는 자외선의 강도(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살균 램프부(160)의 자외선 투사에 대한 작동 상태(예 : 정상, 고장)를 인디케이팅 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130)는 상기 살균 램프부(160)의 온도(발열)에 대한 작동 상태(예 : 정상, 고장)를 인디케이팅 한다.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오염물 살균을 위해 자외선을 투사한다.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부재와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커버는 물리적인 견고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이나 철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자체적인 살균을 위하여 투명한 재질(또는 UV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다(도 2, 도 3 참조).
예컨대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자외선을 투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램프(Lamp)를 포함하고, 이때 투사되는 자외선은 인체의 피부나 눈 등에 무해하면서 살균력을 가진 Far UVC 파장(207nm ~ 222n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인체)와 직접적으로 대면하지 않는 부분에는 다른 파장의 자외선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Far UVC 파장의 자외선이 비록 인체에 무해하다고 하지만, 자외선에 민감한 사람이나 자외선 노출 시간에 따라 인체에 해로울 수도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와 같이, 가능한 한 자외선이 인체에 투사되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살균 램프부(160)에서 투사되는 자외선은 사용자의 눈에 잘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자외선 살균이 실시되고 있는 것을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LED(UV LED)들의 사이에 알림용 LED(Indicator LED)(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자외선의 투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LED(or UV Lamp)(16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LED(or UV Lamp)(161)를 개별적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정된 방향으로 자외선을 상시 투사하되,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램프 회전 구동부(150)를 통해 전동 방식으로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회전시킴으로써 자외선 투사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도 2 참조).
이 때 도 2 및 도 3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자외선 램프(UV Lamp)는 자외선 LED(UV LED)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클 수 있기 때문에 하나(단일)의 자외선 램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만약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하나(단일)의 자외선 램프로 구현될 경우, 투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별도의 UV 가림막을 어느 일 측에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UV 가림막은 인체가 있는 방향(또는 인체의 얼굴 방향)으로 자외선(UV)이 투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살균 램프부(160)의 돌출 정도(또는 돌출 길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UV 가림막의 위치 제어와 돌출 길이 제어를 통해 투사 각도(또는 자외선이 투사되는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외선 램프가 상기 자외선 LED와 같은 소형 사이즈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로 구현될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자외선 LED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상기 자외선 램프의 개별 제어를 통해 자외선 투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살균이 불필요한 방향으로 자외선을 투사하는 자외선 램프들을 오프시킴으로써 에너지의 절감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램프 돌출/삽입 구동부(170)를 통해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전동 방식으로 커버 내부에서 돌출시키거나 커버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커버 내부에서 돌출될 경우 커버 내부에 숨겨져 있던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추가로 온(ON)시켜 더 넓은 범위와 각도로 자외선을 투사할 수 있다(도 2, 도 3 참조).
또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커버 내부에서 회전하여 커버 내부에 자외선을 투사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커버가 투명 재질(또는 UV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되어 있을 경우 커버 외부에서 자외선을 투사하여 자체적으로 살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살균 램프부의 램프 돌출과 삽입 구동 및 램프 회전 구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살균 램프부의 램프 돌출과 삽입 구동 및 UV LED의 개별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커버를 포함하여 지정된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커버에서 돌출되는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사 각도에서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기본 상태로 돌출되어 있을 때 투사 범위가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해당된다고 가정한다.
이 때 만약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더 돌출될 경우 자외선 투사 범위가 더 확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까지 불필요하게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투사 각도를 외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측)으로 조정하여 자외선 투사 범위의 일측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면서 자외선 투사 범위의 타측은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좀 더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추가로 더 돌출될 경우 자외선 투사 범위가 더욱 확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까지 불필요하게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투사 각도를 외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측)으로 더 조정하여 자외선 투사 범위의 일측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면서 자외선 투사 범위의 타측은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더욱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살균 램프부(160)는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이 커버 내부에서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외선 살균 범위와 살균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각기 온오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사 각도에서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기본 상태로 돌출되어 있을 때 투사 범위가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해당된다고 가정한다.
이 때 만약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더 돌출될 경우 자외선 투사 범위가 더 확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까지 불필요하게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투사 각도는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내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측)의 미리 지정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오프(OFF)시켜 자외선 투사 범위의 일측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면서 자외선 투사 범위의 타측은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좀 더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더 돌출될 경우 자외선 투사 범위가 더 확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까지 불필요하게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투사 각도는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내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측)의 미리 지정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추가로 오프(OFF) 시켜 자외선 투사 범위의 일 측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면서 자외선 투사 범위의 타 측은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더욱 더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투사 범위와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이유는, 평상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를 상시 살균하고 있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에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까지 자외선을 투사하여 사용자의 피부나 옷, 또는 사용자의 소지품까지도 살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살균 램프부(160)를 상시 구동하며(S101),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S102의 예), 자외선 투사 범위를 사용자가 있는 영역까지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커버의 외부로 돌출시킨다(S103).
이 때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돌출시키는 거리는, 인체(사용자)의 인원수, 체격,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인체까지의 거리에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에 접근한 인체(사용자)의 인원수, 체격,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인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확장시켜야 할 자외선 투사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며,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돌출되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자외선 투사 범위도 확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돌출시켜 자외선 투사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외선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 불필요하게 투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40)는 투사 각도를 외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앞측)으로 회전시킨다(S104).
이에 따라 자외선 투사 범위의 일측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면서 자외선 투사 범위의 타측은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는 물론 사용자에게까지 자외선이 상시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가 접근하지 않거나 접근했던 인체가 멀어지는 경우(S1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자외선 투사 범위를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가 있는 영역으로 한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커버 내부에 기본 상태로(즉, 기본 상태로 설정된 돌출 거리가 되도록) 삽입시킨다(S105).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커버 내부로 삽입되어 자외선 투사 범위가 좁아짐으로써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살균 램프부(160)의 투사 각도를 내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측)으로 회전시킨다(S106).
이에 따라 상기 살균 램프부(160)의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에 상시 자외선이 투사되어 살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살균 램프부(160)를 상시 구동하며(S201),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S202의 예), 자외선 투사 범위를 사용자가 있는 영역까지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커버의 외부로 돌출시킨다(S203).
이에 따라,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커버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온(ON) 시키고, 미리 설정된 기본 상태(즉, 기본 상태로 설정된 돌출 거리) 이상 돌출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 중 미리 지정된 각도의 내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측) 자외선 LED들을 오프(OFF) 시킨다(S204).
즉,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돌출됨에 따라 자외선 투사 범위가 확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까지 불필요하게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40)는 살균 램프부(160)가 돌출되더라도 투사 각도는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내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측)의 미리 지정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오프(OFF) 시켜 자외선 투사 범위의 일측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를 넘어서지 않도록 하면서 자외선 투사 범위의 타측은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좀 더 자외선이 투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는 물론 사용자에게까지 자외선이 상시 투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가 접근하지 않거나 접근했던 인체가 멀어지는 경우(S2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자외선 투사 범위를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가 있는 영역으로 한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커버 내부에 기본 상태로(즉, 기본 상태로 설정된 돌출 거리가 되도록) 삽입시킨다(S205).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160)가 커버 내부로 삽입되어 자외선 투사 범위가 좁아짐으로써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커버 내부로 삽입되는 자외선 LED(or UV Lamp)(161)를 오프시키고, 아직 커버 외부로 기본 상태(즉, 기본 상태로 설정된 돌출 거리) 이상 돌출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 중 미리 지정된 각도의 내측(즉, 디스플레이 패널측) 자외선 LED들은 오프(OFF) 시킨다(S206).
이에 따라 상기 살균 램프부(160)의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에 상시 자외선이 투사되어 살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살균 램프부(160)를 상시 구동하며(S301),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S302의 예),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가 자외선 투사 범위를 사용자가 있는 영역까지 확장시킨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어부(140)는 인체가 있는 방향의 각도(또는 영역)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세기)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한다(S303).
이에 따라 자외선이 인체의 피부에 장시간 노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작부(미도시)가 있는 방향의 각도(또는 영역)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세기)를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한다(S304).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가 접근하지 않거나 접근했던 인체가 멀어지는 경우(S3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살균 범위(또는 영역) 중 사용자의 접촉이 많은 부분 및 조작부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세기)를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보다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한다(S305).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세기)를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로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한다(S306).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평상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를 상시 살균하던 중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에게까지 살균 범위를 확장해서 사용자의 자외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투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는 감소시키고, 사용자가 멀어지면 사용자가 접촉했던 부분은 지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의 강도를 증가시켜 살균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살균 램프부(160)를 상시 구동하며(S401), UV 센서부(120)를 통해 체크한 자외선(UV) 투사 강도(또는 세기)가 정상적이면(S402의 예), 인디케이터부(130)를 통해 살균 램프부(160)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한다(S403).
한편 UV 센서부(120)를 통해 체크한 자외선(UV) 투사 강도(또는 세기)가 정상적이지 않으면(S4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인디케이터부(130)를 통해 살균 램프부(160)가 고장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한다(S404).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S405의 예)(예 :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면),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커버 외부로 돌출시키고(S406),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새로 돌출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온 시킨다(S407).
이는 기본 상태(즉, 기본 상태로 설정된 돌출 거리)로 돌출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에서 투사되는 자외선의 강도(또는 세기)가 기준 이하로 약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통해 자외선이 투사되게 하여 약해진 자외선 강도(또는 세기)를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 게임기, 키오스크 등)의 앞으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S405의 아니오)(예 :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면), 이후에 사용자의 접근이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킨다(S408).
이는 자외선의 강도(세기)가 약해서 살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한 사용자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살균 램프부(160)를 상시 구동하며(S501), 주변 감지부(110)를 통해 체크한 살균 램프부(16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 상승할 경우(S502의 예), 상기 제어부(140)는 인디케이터부(130)를 살균 램프부(160)가 온도 이상 상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한다(S503).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커버 외부로 돌출시키고(S504),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새로 돌출된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은 온 시키며 기존에 기본 상태로 계속 돌출되어 있던(즉, 상시 온 되어 있던)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은 오프 시킨다(S505).
즉, 상기 살균 램프부(160)에 온도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는 기존에 상시 온 되어 있던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의 고장에 의해 온도 이상이 발생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비상 대책으로서 기존에 커버 내부에서 오프되어 있던 자외선 LED(or UV Lamp)(161)들을 돌출시켜 온 시킴으로써 상시 살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감지부(110)를 통해 체크한 살균 램프부(16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 상승하지 않을 경우(S502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디케이터부(130)를 통해 살균 램프부(160)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한다(S506).
도 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살균 램프부(160)를 상시 구동하며(S601), 상기 살균 램프부(160)의 미리 지정된 자체 살균 주기가 되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자체 살균 모드(또는 버튼)가 입력될 경우(S602),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커버 내부에 자외선을 투사하도록 회전시킨다(S603).
이 때 상기 커버는 투명 재질(또는 UV가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되어 커버 외부까지 자외선이 투과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살균 램프부(160)를 다시 역 회전시켜 정상 방향(즉, 커버 외부 방향이나 커버의 하부 방향)으로 자외선을 투사하도록 복귀시킨다(S604).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카지노, 은행, 백화점, 및 점포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는 게임기나 키오스크와 같은 터치 방식 무인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지능적으로 상시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10 : 주변 감지부
120 : UV 센서부
130 : 인디케이터부
140 : 제어부
150 : 램프 회전 구동부
160 : 살균 램프부
161 : UV LED(or UV Lamp)
170 : 램프 돌출/삽입 구동부

Claims (13)

  1. 인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주변 감지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시로 자외선을 투사하여 살균하는 살균 램프부;
    상기 살균 램프부에서 자외선이 투사되는지 여부와 자외선 강도를 감지하는 UV(Ultra Violet) 센서부;
    상기 살균 램프부의 온도와 자외선 투사에 관련된 정상 및 고장 상태를 인디케이팅하는 인디케이터부; 및
    상기 주변 감지부 및 UV 센서부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의 상태에 관련된 인디케이팅 제어, 상기 살균 램프부의 자외선 투사 강도 조절, 상기 살균 램프부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나 자외선 LED에 대한 개별적인 온오프 제어,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 내부에서 돌출시키거나 커버 내부로 삽입시키는 제어, 및 상기 살균 램프부의 회전 제어를 통해 상시 살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는,
    자외선을 투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나 램프(Lamp)로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부재와; 상기 살균 램프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자외선(UV)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는,
    인체의 피부나 눈 등에 무해하면서 살균력을 가진 Far UVC 파장을 투사하는 자외선 LED나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램프부의 돌출과 삽입 제어 및 회전 제어를 통해 자외선 투사 범위와 투사 각도를 조정하여,
    평상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시 살균하다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까지 자외선을 투사하여 사용자의 피부나 옷, 또는 사용자의 소지품까지도 상시 살균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5.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부가 살균 램프부를 상시 구동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외선 투사 범위를 사용자가 있는 영역까지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의 외부로 지정된 거리로 돌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투사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돌출되는 상기 살균 램프부의 돌출 거리에 대응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의 얼굴이나 얼굴에 포함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얼굴 방향으로 자외선(UV)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의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가 접근하지 않거나 접근했던 인체가 멀어지는 경우,
    자외선 투사 범위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영역으로 한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를 지정된 기본 상태로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균 램프부가 커버 내부로 삽입되어 자외선 투사 범위가 좁아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의 투사 각도를 디스플레이 패널측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의 외부로 지정된 거리로 돌출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살균 램프부를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커버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자외선 LED들을 온 시키고, 미리 설정된 기본 상태 이상 돌출된 자외선 LED들 중 미리 지정된 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측 자외선 LED들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를 지정된 기본 상태로 삽입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살균 램프부를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버 내부로 삽입되는 자외선 LED들은 오프시키고, 아직 커버 외부로 기본 상태 이상 돌출된 자외선 LED들 중 미리 지정된 각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측 자외선 LED들은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0.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부가 살균 램프부를 상시 구동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외선 투사 범위를 사용자가 있는 영역까지 확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의 외부로 지정된 거리로 돌출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인체가 있는 방향의 각도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조작부가 있는 방향의 각도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는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체가 접근하지 않거나 접근했던 인체가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시 살균 범위 중 사용자의 접촉이 많은 부분 및 조작부에 대응하는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를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보다 증가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외선 LED들의 자외선 출력 강도를 미리 설정된 기본 강도로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부가 살균 램프부를 상시 구동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UV 센서부를 통해 체크한 상기 살균 램프부의 자외선 투사 강도가 정상적이면, 인디케이터부를 통해 상기 살균 램프부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UV 센서부를 통해 체크한 자외선 투사 강도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가 인디케이터부를 통해 살균 램프부가 고장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부가 고장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팅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램프부를 커버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커버 내부에서 새로 커버 외부로 돌출된 자외선 LED들을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이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84121A 2020-07-08 2020-07-08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0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21A KR102360402B1 (ko) 2020-07-08 2020-07-08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121A KR102360402B1 (ko) 2020-07-08 2020-07-08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314A true KR20220006314A (ko) 2022-01-17
KR102360402B1 KR102360402B1 (ko) 2022-02-10

Family

ID=8005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121A KR102360402B1 (ko) 2020-07-08 2020-07-08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4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482A (ko) * 2003-09-23 2005-03-28 (주)에스와이하이테크 살균효과 검출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살균장치
KR101724447B1 (ko) * 2015-11-13 2017-04-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로봇
KR101910606B1 (ko) * 2017-05-30 2018-10-23 김성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인출식 싱크대 살균장치
KR102131593B1 (ko) * 2019-05-15 2020-07-09 김현석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482A (ko) * 2003-09-23 2005-03-28 (주)에스와이하이테크 살균효과 검출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살균장치
KR101724447B1 (ko) * 2015-11-13 2017-04-11 주식회사 파나시아 자외선 살균로봇
KR101910606B1 (ko) * 2017-05-30 2018-10-23 김성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인출식 싱크대 살균장치
KR102131593B1 (ko) * 2019-05-15 2020-07-09 김현석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키오스크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한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402B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3244B1 (en) Device with a self-sterilizing touch screen
KR101831625B1 (ko) 터치스크린 표면 살균시스템 및 살균방법
WO2017147433A1 (en) Disinfecting an occupied area using germicidal radiation based on eye protection worn by persons in the area
US8597569B2 (en) Self-sterilizing user input device
US20180154029A1 (en) Steriliz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terilizing device
US8097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rmicidal sanitizing of an elevator or other enclosed structure
CN113589586A (zh) 具紫外线消毒功能的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1071797B2 (en) Mobile devices having disinfection light sources
KR20080005157U (ko) 버튼 살균 장치
KR102360402B1 (ko) 지능형 상시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89385A (ko) 터치스크린 살균 장치
BR102020006852A2 (pt) Sistema de desinfecção para terminais de auto atendimento
US20230248868A1 (en) Self decontaminating touch detection surface
CN113713130B (zh) 具有消毒光源的移动设备
CN211981914U (zh) 移动终端
KR20090075156A (ko) 살균장치를 갖는 모니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JP2010067218A (ja) 情報処理装置
KR20210156039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자동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47893B1 (en) Pathogen-rich surface sanitizing system and method
KR102602560B1 (ko) 접촉식 조작 패널용 자외선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40058495A1 (en) Applying a safety algorithm in a system comprising a radiation body and at least one radiation source
KR102500862B1 (ko)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40058489A1 (en) Use of polarized radiation for detecting touch on a radiation exit window
CN213284538U (zh) 一种触摸体杀菌装置
KR20220073168A (ko) 자외선 표면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