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202A - Coupler for electric wire - Google Patents
Coupler for electric w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6202A KR20220006202A KR1020200083869A KR20200083869A KR20220006202A KR 20220006202 A KR20220006202 A KR 20220006202A KR 1020200083869 A KR1020200083869 A KR 1020200083869A KR 20200083869 A KR20200083869 A KR 20200083869A KR 20220006202 A KR20220006202 A KR 20220006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pair
- terminal
- contact
- coup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선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러와 전선의 연결구조를 통해 커플러 측의 단자와 전선과의 접촉효율을 개선하고 전선이 커플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upler, and to a structure for improving contact efficiency between a terminal on the coupler side and an electric wire through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upler and the electric wire and preventing the electric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일반적으로 배선작업이 요구되는 배전판에는 다수의 전선이 배열된다. 그 중에 일부의 배선은 서로 연결되기도 한다. 전선 간의 연결에 있어서 커플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커플러는 전선 간의 연결을 위해 연결단자와의 결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연결단자와 전선 간의 결합은 보통 피복을 가압하면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접촉상태를 개선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배전판에 전선간 연결에 있어 전선의 고정력은 물론, 접촉상태를 개선하여 저항을 낮추고 보다 전력효율의 증대에 도모할 수 있는 배전판을 구성하기 위한 커플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전선을 외주면에서 압박하며 결합이 되는 방식이 채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두 개 이상의 전선이 배열되는 구조를 수용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In general,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on a distribution board requiring wiring work. Some of these wires a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A coupler is generally used for connection between wires, and coupling with a connection terminal is essential for a coupler connection between wires.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connecting terminals and wires is usually applied in a way that maintains the state while pressing the sheath, so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and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ontact state.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coupler for configuring a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improving the contact state as well as the fixing force of the wires in connection between wires to the distribution board, thereby lowering resistance and further increasing power efficiency. In order to meet this demand, a method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pr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mbined is sometimes employed, but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to accommodate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electric wires are arr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선이 커플러와 접촉할 때 접촉면적을 넓게 확보하고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지닌 연결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structure that secures a wide contact area and increases fixing force when an electric wire contacts a coup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플러에 전도성 코어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는 커플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upler assembly in which a conductive core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coupler.
본 발명은 전선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러와 전선의 연결구조를 통해 커플러 측의 단자와 전선과의 접촉효율을 개선하고 전선이 커플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피복 내에 한 쌍의 전도성 코어가 각각 마련된 제1전선 및 제2전선의 일부가 인입되는 제1조립체; 제1조립체와 조립되고, 제1전선이 배열되는 제1배열로 및 제1배열로와 연결되고 제2전선이 배열되는 제2배열로가 마련되는 제2조립체; 및 제2조립체 내에서 제1배열로와 제2배열로를 경유하며 연장배치되고, 일단이 제1배열로 내에서 제1전선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2배열로 내에서 제2전선과 결합되어 제1전선 및 제2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제1배열로 내에서 서로 병렬배치되는 한 쌍의 전도성 코어 각각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교호(交互)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전선커플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oupler, and to a structure for improving contact efficiency between a terminal on a coupler side and a wire through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oupler and a wire and preventing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er, wherein a pair of conductive a first assembly into which a portion of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each having a core is introduced; a second assembly assembled with the first assembly and provided with a first arrangement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electric wire is arranged and a second arrangement path connected to the first arrangement path and arranged with a second electric line; and extend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rrays in the second assembly, one end coupled with the first wire in the first array,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the second wire in the second array, A pair of connecting terminals alternately arranged so that the first electric wir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f a pair of conductive cor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array furnace; A wire coupler is provided.
그리고, 연결단자는, 제1전선 및 제2전선과 각각 대응결합이 되는 한 쌍의 단자 및 한 쌍의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전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may include a pair of terminals and a pair of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respectively, and a circuit connecting the pair of terminals.
또한, 한 쌍의 단자에 대응결합이 되는 제1전선 및 제2전선이 한 쌍의 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단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that are coupled to the pair of terminals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terminal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pair of terminals.
또한, 고정부는, 대응결합 시에, 피복에 비관통 삽입되어 대응결합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단자로부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s not penetrated into the coating and deformed in the corresponding coupling direction during corresponding coupling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electric wire from the terminal.
또한, 고정부는, 대응결합 시에, 피복의 표면 일부를 절개시키는 절개부, 절개부로부터 대응결합이 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확장부, 한 쌍의 확장부의 각 단부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한 쌍의 이탈방지부 사이에 절개부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단자의 일면과 예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long as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at each end of a cutout that cuts off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vering during corresponding coupling, a pair of extensions extending from the cutou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and a pair of extensions It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formed concavely toward the cut-out portion between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and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and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one surface of the terminal.
또한, 제2조립체는, 대응결합 시에 피복을 이분시킴으로써, 한 쌍의 코어를 분리시키는 예부 형태의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assembly may include a separation part in the form of a pre-part that separates the pair of cores by bisecting the coating at the time of mating.
또한,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전도성 코어와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접촉부는, 피복이 절개되도록 하는 예단부 및 전도성 코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terminals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core, and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ront end portion for cutting the coating and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onductive core.
또한,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전도성 코어와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접촉부는 서로 돌출된 길이가 다르고,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접촉부의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air of terminals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protrud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core,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ay have different protruding lengths, and the contact portions may have a lower height from the edge toward the inside.
또한, 전도성 코어는 다수 개의 세선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전도성 코어와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접촉부는, 피복을 절개하는 첨단부; 첨단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절개된 피복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안내부; 및 복수 개의 안내부 사이 및 안내부와 첨단부 사이에서 다수 개의 세선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수용부의 폭은 세선의 지름 1.5배 내지 3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co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wires, each of the pair of terminals includes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to contact the conductive core, and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tip portion for cutting the coating; A plurality of guides for guiding the incised coating on both sides around the tip; and an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hin wires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parts and between the guide part and the tip part, and the width of 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1.5 to 3 times the diameter of the thin wire.
또한, 연결단자는 제1전선 또는 제2전선과 연결되고,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제1전선 또는 제2전선과 평면상에서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or the second wire and intersects the remaining first wire or the second wire that is not connected on a pla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이 연결단자의 고정부 및 접촉부의 구조를 통해 연결단자가 전선과 접촉될 때 접촉면적을 넓게 확보하고 고정력의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contact area and provide an increase in fixing forc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ic wire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and the contact part of the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러 조립체에 전선이 배열되는 배열로의 확보 및 전선의 병렬배치가 가능한 조립체를 통해 커플러에 전도성 코어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는 전선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coupler in which a conductive core can be disposed in parallel to the coupler through an assembly in which wires are arranged in a coupler assembly and parallel arrangement of wires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플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플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 연결된 제2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에 형성된 절연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연결단자가 배치된 제2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자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자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자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고정부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1a는 고정부를 사시측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고정부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assembly to which an electric wire is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a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assembly in which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are dispos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7 is a view showing that a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8 is a view showing that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9 is a view showing that a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e;
11 is a view showing a fixing par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from a perspective side, and FIG. 11B is a view showing the fixing part from the fro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커플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선, 전선이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300, 300A), 한 쌍의 연결단자(300, 300A)가 배치되는 제2조립체(200) 및 제2조립체(200)와 결합되는 제1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전선(10, 20)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는 제2조립체(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선은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의 결합에 의해 제1-1개구(101)와 제2-1개구(201)로부터 형성된 개구 및 제1-2개구(102)와 제2-2개구(202)로부터 형성된 개구를 통해 조립체 내로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wire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a
상기 연결단자(300, 300A)는 전선(10, 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로(電路)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로는 상기 제2조립체(200) 내에 형성된 제1배열로(110) 및 제2배열로(120)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단자(300, 300A)는 제1배열로(110) 및 제2배열로(120)를 경유하며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단자(300, 300A)는 제1배열로(110) 및 제2배열로(120)를 경유하며 연장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단자(300, 300A)는 한 쌍으로, 제1연결단자(300) 및 제2연결단자(300A)를 포함하고, 제2배열로(120) 내에서는 제1연결단자(300) 및 제2연결단자(300A)가 나란히 배치되는 형상이나, 제1배열로(110) 내에서는 서로 교호(交互)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전선(10, 20)이 병렬배치되어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The
그리고, 전선(10, 20)은 연결단자(300, 300A)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을 포함한다. 물론, 변형실시를 통해 그 이상의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는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 간의 연결을 예시로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연결단자는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을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제1연결단자(300) 및 제2연결단자(300A))으로 구성되며, 연결단자 각각은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의 전도성 코어(12)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한다. 즉, 연결단자는 제1연결단자(300) 및 제2연결단자(300A)를 포함하고, 제1연결단자(300)는 제1전선(10)과 연결되는 제1-1단자(310), 제2전선(20)과 연결되는 제1-2단자(320) 및 제1-1단자(310)와 제1-2단자(320)를 연결하는 제1전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연결단자(300A)도 제1연결단자(300)와 대응되는 구성인 제1전선(10)과 연결되는 제2-1단자(310A), 제2전선(20)과 연결되는 제2-2단자(320A) 및 제2-1단자(310A)와 제2-2단자(320A)를 연결하는 제2전로(33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은 각각의 전도성 코어(12)가 대응되는 제1연결단자(300) 또는 제2연결단자(300A)와 연결되기 위해 제2조립체(200) 측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mposed of a pair (the
상기 전선과 연결단자 간의 연결상태에서 제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조립체(100)는 제2조립체(200)와 결합돌기(230) 및 결합공(105) 간의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230)는 제2조립체(200)의 일측에 형성되고, 결합공(105)은 제1조립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예를 들면 제1조립체(100) 및 제2조립체(200)가 절연성의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된 경우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이 되는 과정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betwe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이 연결된 연결단자 및 제2조립체(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선은 제1배열로(110) 및 제2배열로(120)가 연장된 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제1전선(10)의 경우 제1배열로(110) 전체를 통과할 수 있고, 제2전선(20)의 경우 제2배열로(120)의 일측에 단부의 일부가 중첩되는 방식으로 인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된 배치방식은 아니고, 제1연결단자(300) 및 제2연결단자(300A)의 배치방식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n electric wire is connected and the
상기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이 연결단자(300, 300A)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전기연결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전선(10)이 포함한 하나의 전도성 코어(12)는 제1-1단자(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1단자(310)는 제2전선(20)이 포함한 하나의 전도성 코어(12)와 연결된 제1-2단자(320)와 제1전로(3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은 각각의 전도성 코어(12)에 흐르는 전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에 의한 전기연결방향이 제1전기연결방향(W1)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도시된 제1전로(330) 상에서의 흐름을 의미하며 일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양방향이나 배전구조에 따른 선택적 결정이 될 수 있다.As the
이와 같이, 제1전선(10)이 포함한 나머지 전도성 코어(12)는 제2-1단자(3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1단자(310A)는 제2전선(20)이 포함한 나머지 전도성 코어(12)와 연결된 제2-2단자(320A)와 제2전로(330A)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은 전도성코어(12)에 흐르는 전기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제2전로(330A) 상에서의 흐름을 의미하며 일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양방향이나 배전구조에 따른 선택적 결정이 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remaining
나아가, 제1전로(330) 또는 제2전로(330A)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절연층(IL)은 제1전로(3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300)에 형성된 절연층(IL)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전기연결방향(W1)과 제2전기연결방향(W2)이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예시에서의 절연층(IL)은, 예시의 구조상 전기전달 매개체가 서로 다르고 전선은 피복을 포함하므로 직접적인 전도체의 접촉은 발생하지 않으나, 보조적인 절연수단으로서 기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층(IL)은 서로 전기연결방향이 교차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4를 통해 설명한 위치인 제1전로(330)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Furthermore,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연결단자가 배치된 제2조립체(2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조립체(200)는 분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상기 분리부(240)는 한 쌍의 전도성 코어를 각각 포함하는 제1전선(10) 및 제2전선(20)을 한 쌍의 코어를 서로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선(10, 20)은 연결단자(300, 300A)와 연결되는데 이때 하나의 코어와 하나의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성을 위해 하나의 피복에 한 쌍의 전도성 코어가 포함된 전선은 피복을 둘로 분리하여 각각의 코어가 대응되는 각 단자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여기서 분리를 위해, 제2조립체(200)는 돌출된 구조의 분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240)는 돌출된 예부 형태의 모서리를 통해 한 쌍의 코어를 모서리 양측으로 각각 분리시킬 수 있고, 분리된 두 피복은 각각 대응되는 단자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이는 단자를 향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for separation, the
예를 들어, 제2전선(20)의 경우, 한 쌍의 전도성 코어가 각각 제1-2단자(320)와 제2-2단자(320A)에 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을 위해 전선은 제1-2단자(320) 및 제2-2단자(320A) 측으로 가압될 수 있는데, 가압과정에서 분리부(240)는 피복을 절개시킬 수 있다. 절개된 피복의 일측은 제1-2단자(320) 측으로, 타측은 제2-2단자(320A) 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고, 제1조립체(100)를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제1조립체(100)를 통해 전선으로 전달되는 가압일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전술한 전선이 연결단자에 결합되는 과정에 이어 전선이 단자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전선(10, 20)에 포함된 한 쌍의 전도성 코어(12)는 피복(11)이 분리되면서 이격된 상태임을 전제한다. 전선(10, 20)과 단자(310, 320, 310A, 320A) 간 결합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전선(10)과 제1-1단자(310)의 결합, 제1전선(10)과 제2-1단자(310A)의 결합, 제2전선(20)과 제1-2단자(320)의 결합 및 제2전선(20)과 제2-2단자(320A)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 중 이하에서는 제1전선(10)과 제1-1단자(310)와의 결합을 예시로 후술하기로 하며, 후술된 결합구조는 제1-2단자(320), 제2-1단자(310A) 및 제2-2단자(320A)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실시예는 구조상의 간섭이 없으면 선택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 structure in which the wire is coupled to the terminal following the process in which the above-described wir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the pair of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1단자(310)가 제1전선(10)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전선(10)은 복수 개의 세선(13)으로 구성된 코어(12)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12)는 피복(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피복(11)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절연 및 완충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피복(11)은 기 결정된 탄성 및 연성을 가진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무소재를 포함하고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피복(11)에 의해 전선은 연성에 의해 유연하고 탄성에 의해 변형 후에는 탄성복원이 가능할 수 있다.6 is a view showing that the
여기서, 제1전선(10)은 제1-1단자(310)로 삽입되면서 코어(12)가 제1-1단자(310)의 접촉부(321)와 접촉될 수 있다. 제1-1단자(310)의 폭은 제1전선(10)의 지름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름과 폭의 차이에 의해 전선이 제1-1단자(310)로부터 압박되어 제1전선(10)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Here, as the
한편, 제1전선(10)의 삽입 시에 피복(11)의 일부는 제1-1단자(310)에 마련된 사전절개부(311)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이는 피복(11)의 일부를 절개하면서 제1전선(10)의 길이방향으로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제1전선(10)의 삽입시 가압방향(P)으로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나아가, 제1-1단자(310)는 삽입되는 제1전선(10)의 피복(11)을 향해 가압방향(P)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우상방 또는 좌상방을 향해 돌출형성된 고정부(315)가 각각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15)의 돌출단부는 첨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압방향(P)으로 제1전선(10)이 삽입될 때 고정부(315)가 피복(11)으로 보다 효율적인 삽입이 되도록 한다.Furthermore, the 1-1
상기 고정부(315)의 돌출형상은 상기 우상방 또는 좌상방을 향해 고정된 것은 아니고, 제1전선(10)이 가압방향(P)으로 삽입되면서 피복(11)에 삽입된 후, 가압방향(P)으로 가압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좌하방 및 우하방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는 좌하방 또는 우하방으로 변형된 고정부(315)가 가압방향(P)의 반대방향으로 전선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shape of the fixing
이 때 피복(11)은 가압방향(P)으로의 가압에 의해 다소 탄성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은 피복(11) 내부에 위치된 코어(12)의 단면형상에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방향(P)으로 삽입 중에 접촉부(321)와 피복(11)이 하방에서 접촉되면서 가로방향으로 길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이 상기 탄성변형이 될 수 있고, 상기 탄성변형에 의해 측면의 고정부(315)에 코어(12)가 접촉될 수 있다. 적어도 세선(13)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피복(11)은 하방에 위치한 접촉부(321)에 의해 관통되어 코어(12)와 접촉부(321)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제1전선(10) 및 제1-1단자(3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ing 11 may be in a somewhat elastically deformed state by pressing in the pressing direction (P). The elastic deformation may cause a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e 12 located inside the
이러한 전기적 접촉은 전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된 조건(접촉면적 증가)에 도달하기 위해 접촉부(321)와 코어(12) 간 접촉면(321a)이 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가압방향(P)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개선된 조건에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 접촉부(321)에서 상방으로 노출된 면적이 넓게 형성되거나 가압방향(P)으로의 가압력이 보다 강하게 이루어지는 방법이 있다.This electrical contact can be pressed in the pressing direction P so that the
상기 개선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구조적인 변형 실시가 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자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코어(12)가 다수의 세선(13)으로 형성된 것을 전제할 수 있다. 가압방향(P)으로 제1전선(10)이 가압되고, 사전절개부(311)에 의해 피복(11)의 일부가 절개될 수 있다. 절개된 피복(11)은 제1전선(10)이 가압방향(P)으로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다.Structural mod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a means for satisfying the improved condi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Referring to FIG. 7 , it may be assumed that the
가압방향(P)으로 가압되는 제1전선(10)은 제1-1단자(310)의 하방에 위치한, 상방으로 첨단이 노출된 다수 개의 접촉부(331)에 도달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첨단을 포함하는 접촉부(331)는, 상기 첨단에 의해 제1전선(10)의 피복(11)이 관통됨으로써 세선(13)과의 접촉이 발생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첨단을 포함하는 접촉부(331)의 형상에 의해 접촉부(331)와 세선(13)과의 접촉면(331a)은 첨부와 골부 사이를 잇는 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접촉면(331a)을 따라 상대적으로 중앙부의 골부 측에 다수의 세선(13)이 우선적으로 수용되고, 가압에 의해 다수의 세선(13)들은 순차적으로 측면에 위치한 골부 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골부측에 수용된 세선(13)의 일 예는 도 7과 같다. 나아가, 다수의 첨단은 상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The plurality of
즉, 접촉부(332) 간에는 길이차(D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로부터 측면으로 멀어질수록 접촉부(331)는 상방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제1-1단자(310)에서 세선(13)의 접촉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접촉면(331a)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로 유도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That is, a length difference D1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332 . For example,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side increases, the
구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만큼의 접촉면(331a)이 노출되는 경우, 접촉면(331a)이 수직인 경우보다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접촉면(331a)을 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적용에 의해 중앙부로부터 우선적으로 세선(13)이 접촉되되, 점차 측면에 위치한 골부측에 세선(13)이 수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측면에 위치한 제1-1단자(310)의 수직면에는 접촉을 회피하여 세선(13)은 보다 넓은 접촉면(331a)과의 접촉을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따라서, 골부측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용량은 세선(13)의 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세선(13)의 지름이 동일할 경우 세선(13)의 수에 따라 경사면의 각도 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높이 등의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선(13)이 30 가닥인 경우와 50 가닥인 경우는 세선(13)의 수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따라 수용량을 결정하는 상기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orage capacity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valley side may correspond to the volume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단자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하나의 예단(銳單)부 및 두 개의 수용부(342)를 포함하는 접촉부(341)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수용부(342)는 각각 예단부(341b)로부터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예단부(341b) 및 수용부(342)는 제1배열로(110)를 따라 기 결정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1단자(310)가 제1배열로(110)방향으로 형성된 폭만큼 연장될 수 있다.8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8 shows a cross-section of the
한편, 가압방향(P)으로 가압에 의해 이동되는 제1전선(10)은 접촉부(341)의 예단부(341b)에 도달할 수 있다. 예단부(341b)는 피복(11)을 가르고 세선(13)과 접촉이 될 수 있다. 이때 지속적으로 가압되는 제1전선(10)은 피복(11)이 수용부(342)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피복(11)에 이어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세선(13)들은 중심에 위치된 예단부(341b)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위치된 수용부(34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피복(11) 외주면의 일부가 사전절개부(311)에 의해 절개된 후 가압방향(P)으로 가압되어 접촉부(341)에 도달하면 접촉지점을 기준으로 측방으로 벌어지지만, 다수 개의 세선(13)은 수용부(342)의 단면적보다 작은 독립개체인 각 세선(13)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세선(13)은 수용부(342)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341)가 제1배열로(110)를 따라 연장되는만큼 접촉면(341a)의 접촉면적은 증가될 수 있다. 전기전달과정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로써 채용이 가능하다. 제1전선(10)의 일부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으므로 제2전선(20) 측에도 동일한 구조를 갖추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en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ing 11 is cut by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단자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촉부(351)는 첨단부(351b), 안내부(352) 및 수용부(35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351a)는 세선(13)이 수용되어 세선(13)이 접촉되는 접촉면(351a)이 서로 대향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9 is a view showing that a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ic wire. Referring to FIG. 9 , the
구체적으로, 가압방향(P)으로 제1전선(10)이 가압되면, 피복(11)은 첨단부(351b)에 도달된다. 피복(11)은 첨단부(351b)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첨단부(351b)는 제1-1단자(310)의 중앙에 위치되고, 첨단부(351b)에 의해 절개된 피복(11)은 양측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다. 피복(11)의 절개된 측이 이동되는 방향은 첨단부(351b)를 기준으로 양측인 좌하방 및 우하방이 될 수 있다. 양측으로 이동되는 피복(11)은 상기 좌하방 및 우하방의 연장선 상으로 안내하는 안내부(352)에 의해 가압에 따른 이동이 진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이 때 피복(11)에 이러 가압방향(P)으로 이동되는 세선(13)은 첨단부(351b)에 의해 상기 양측으로 이동동선이 나뉘고, 양방향인 상기 좌하방 및 우하방의 연장선 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용부(353)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연장선 상에서 가압방향(P)과 평행한 방향으로 접촉부(351)에 형성되는 수용부(351a)는 폭이 세선(13)의 지름을 기준으로 1.5배 내지 3배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폭 번위의 결정은 세선(13)의 유입은 유도하되 피복(11)의 유입은 차단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안내부(352)는 세선(13)을 수용부(351a)로 유도하기 위한 상기 연장선 상에서의 경사면이 마련된다. 상기 경사면은 우하방의 연장선 상에서는 좌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되고, 좌하방의 연장선 상에서는 우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에 의해 상기 연장선 상으로 이동되는 세선(13)은 수용부(353)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30 가닥의 세선(13)을 포함하는 코어(12)일 경우에, 수용부(351a)는 첨단부(351b)를 기준으로 좌하방 측에 3개 우하방 측에 3개 포함되어 하나의 수용부(351a)에 세선(13)이 5개씩 수용되면 30가닥의 세선(13)이 모두 수용되어 제1-1단자(310)와 모든 세선(13)이 접촉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이상적인 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351a)의 수용가능공간 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접촉부(351)는 세선(13)의 양보다 양적으로 수용량이 초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15)가 전선과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15)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의 도 11a는 고정부(315)를 사시측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고정부(315)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부(315)는 가압방향(P)으로 제1전선(10)이 이동되는 경로상에 위치될 수 있다.FIG.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xing
구체적으로 고정부(315)는 절개부(325a), 확장부(325b), 이탈방지부(325c) 및 수용부(325d)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제1전선(10)은 가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311a)에 의한 측면방향으로의 사전가압이 될 수 있다. 절개부(325a)는 제1전선(10)을 가압방향(P)으로 제1전선(1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피복(11)의 표면 일부를 비관통 절개하는 구성이다. 확장부(325b)는 절개된 피복(11)이 가압방향(P)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절개선(11a)을 절개부(325a)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가압방향(P)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탈방지부(325c)는 제1전선(10)을 통해 이탈방향(B)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방향(P)으로 반작용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수용부(325d)는 이탈방지부(325c)에 의해 가압된 피복(11)의 가압부(11b)로부터 제1-1단자(310)의 표면측으로 밀착시켜 이탈방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시키는 구성이다.Specifically, the fixing
즉, 피복(11)은 탄성을 지닌 소재이므로 절개부(325a)에 의해 절개되면 절개선(11a)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확장부(325b)에 의해 탄성적인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가압방향(P)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피복(11)이 고정부(315)를 통과하고 나면 피복(11)은 탄성복원되어, 확장되는 과정에서 이격된 절개선(11a)이 접하게 된다. 기 결정된 형상의 접촉부(312)와 세선(13)이 접촉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탈방향(B)으로 제1전선(10)이 이동되는 요인이 발생하면, 이탈방지부(325c)는 피복(11)과 접촉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overing 11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when it is cut by the
이때 접촉되는 이탈방지부(325c)는 만곡면의 표면일 수 있다. 모서리 형태인 경우에는 피복(11)을 절개시켜 피복(11)을 가압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탈방지부(325c)에 의해 가압된 가압부(11b)는 탄성변형되며 절개선(11a) 측으로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고정부(315)에서 양측에 위치된 이탈방지부(325c)는 가운데 위치한 절개선(11a) 측으로 압력을 가하며 절개선(11a)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나아가, 수용부(325d)는 이탈방향(B)으로 제1전선(10)이 이동될 때 이탈방지부(325c)에 의해 가압된 피복(11)이 탄성변형되어 수용부(325d) 측으로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되는 피복(11)을 수용함으로써, 절개부(325a)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a를 참조하면 수용부(325d)는 고정부(315)가 돌출된 제1-1단자(310)의 표면으로부터 예각(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이 가압방향(P)과 평행한 방향일 때 상기 예각(A)은 이탈방향(B)으로 제1전선(10)이 이탈하는 것을 상기 표면 측으로 피복(11)을 유도하여 이탈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315)는 하나의 상기 표면에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 the receiving
전술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1단자(310)에 형성된 고정부(315) 및 접촉부(312)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제1-1단자(310)에 단수 또는 복수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제1-1단자(31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한 쌍의 연결단자에 마련되는 제1-1단자(310), 제1-2단자(320), 제2-1단자(310A) 및 제2-2단자(320A)에 모두 각각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fix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 제1전선
11 : 피복
11a : 절개선
11b : 가압부
12 : 코어
13 : 세선
20 : 제2전선
100 : 제1조립체
101 : 제1-1개구
102 : 제1-2개구
105 : 결합공
110 : 제1배열로
120 : 제2배열로
200 : 제2조립체
201 : 제2-1개구
202 : 제2-2개구
230 : 결합돌기
240 : 분리부
300 : 제1연결단자
300A : 제2연결단자
310 : 제1-1단자
310A : 제2-1단자
311 : 사전절개부
311a : 가이드
321, 331, 341, 351 : 접촉부
312a, 321a, 331a, 341a, 351a : 접촉면
351b : 첨단부
315, 315a, 315b, 325 : 고정부
320 : 제1-2단자
320A : 제2-2단자
325a : 절개부
325b : 확장부
325c : 이탈방지부
330 : 제1전로
330A : 제2전로
341b : 예단부
342, 353, 325d : 수용부
352 : 안내부
W1 : 제1전기연결방향
W2 : 제2전기연결방향
D1 : 길이차
A : 예각
B : 이탈방향
P : 가압방향
IL : 절연층10: first wire
11: cloth
11a: incision line
11b: pressurized part
12 : core
13 : thin line
20: second wire
100: first assembly
101: opening 1-1
102: opening 1-2
105: coupling hole
110: to the first array
120: second array
200: second assembly
201 : No. 2-1 opening
202: 2nd-2 opening
230: coupling protrusion
240: separation unit
300: first connection terminal
300A: second connection terminal
310: terminal 1-1
310A: Terminal 2-1
311: pre-incision part
311a: Guide
321, 331, 341, 351: contact part
312a, 321a, 331a, 341a, 351a: contact surface
351b: tip
315, 315a, 315b, 325: fixed part
320: terminal 1-2
320A: Terminal 2-2
325a: cutout
325b: extension
325c: escape prevention part
330: first circuit
330A: second converter
341b: fore-end
342, 353, 325d: receptacle
352: guide
W1: first electrical connection direction
W2: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direction
D1: length difference
A: acute angle
B: Departure direction
P : pressurization direction
IL: insulating layer
Claims (10)
상기 제1조립체와 조립되고, 상기 제1전선이 배열되는 제1배열로 및 상기 제1배열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전선이 배열되는 제2배열로가 마련되는 제2조립체; 및
상기 제2조립체 내에서 상기 제1배열로와 상기 제2배열로를 경유하며 연장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제1배열로 내에서 상기 제1전선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2배열로 내에서 상기 제2전선과 결합되어 상기 제1전선 및 상기 제2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1배열로 내에서 서로 병렬배치되는 상기 한 쌍의 전도성 코어 각각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교호(交互)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전선커플러.
a first assembly in which a pair of conductive cores are provided in the covering, respectively, and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ires are introduced;
a second assembly assembled with the first assembly and provided with a first arrangement path in which the first wires are arranged and a second arrangement path connected to the first arrangement path and in which the second wires are arranged; and
It is arranged to extend through the first arrangement path and the second arrangement path in the second assembly,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wire in the first arrangement path, and the other end is the second end in the second arrangement path It is coupled with two wires so tha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s long as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conductive core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array path A pair of connecting terminals; including, a wire coupler.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제1전선 및 상기 제2전선과 각각 대응결합이 되는 한 쌍의 단자 및 상기 한 쌍의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전로를 포함하는, 전선커플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terminal is
A wire coupler comprising a pair of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respectively, and a circuit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terminals.
상기 한 쌍의 단자에 대응결합이 되는 상기 제1전선 및 상기 제2전선이 상기 한 쌍의 단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단자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커플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wire coupler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that are coupled to the pair of terminals are not separated from the pair of terminals.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응결합 시에, 상기 피복에 비관통 삽입되어 상기 대응결합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전선커플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xing part,
During the corresponding coupling, the wire coupler is inserted non-penetrating into the sheath and deformed in the corresponding coupling direction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wire from the terminal.
상기 고정부는,
상기 대응결합 시에, 상기 피복의 표면 일부를 절개시키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로부터 상기 대응결합이 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쌍의 확장부, 상기 한 쌍의 확장부의 각 단부에 곡면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부 사이에 상기 절개부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단자의 상기 일면과 예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선커플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xing part,
In the case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a cutout for cutting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vering, a pair of extensions extending from the cutout in a direction to become the corresponding coupling, and a curved surface at each end of the pair of extensions A wire coupler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concavely toward the cut-out portion between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and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and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one surface of the terminal.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대응결합 시에 상기 피복을 이분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코어를 분리시키는 예부 형태의 분리부를 포함하는, 전선커플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assembly,
A wire coupler comprising a separation part in the form of an example for separating the pair of cores by dividing the coating in half at the time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상기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상기 전도성 코어와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피복이 절개되도록 하는 예단부 및 상기 전도성 코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전선커플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pair of terminals includes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core,
The contact portion, the wire coupler,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conductive core so that the sheath is cut.
상기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상기 전도성 코어와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접촉부는 서로 돌출된 길이가 다르고,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접촉부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전선커플러.
8. The method of claim 7,
Each of the pair of terminals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protrud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core,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have different lengths protruding from each other, and the height of the contact portions is formed to be lower toward the inside from the edge.
상기 전도성 코어는 다수 개의 세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는 각각 상기 전도성 코어와 접촉되도록 돌출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피복을 절개하는 첨단부;
상기 첨단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절개된 피복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안내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안내부 사이 및 상기 안내부와 상기 첨단부 사이에서 상기 다수 개의 세선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폭은 상기 세선의 지름 1.5배 내지 3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전선커플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ductive cor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wires,
Each of the pair of terminals includes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core,
The contact part,
a tip for cutting the covering;
a plurality of guides for guiding the cut-out covering on both sides around the tip; and
Containing; and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thin wires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parts and between the guide part and the tip part;
The wid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1.5 to 3 times the diameter of the thin wire, the wire coupler.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제1전선 또는 상기 제2전선과 연결되고,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상기 제1전선 또는 상기 제2전선과 평면상에서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전선커플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 or the second wire, the wire coupler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in a portion that intersects with the remaining first wire or the second wire that is not connected on a pla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869A KR102378378B1 (en) | 2020-07-08 | 2020-07-08 | Coupler for electric wi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869A KR102378378B1 (en) | 2020-07-08 | 2020-07-08 | Coupler for electric wi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6202A true KR20220006202A (en) | 2022-01-17 |
KR102378378B1 KR102378378B1 (en) | 2022-03-24 |
Family
ID=8005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3869A KR102378378B1 (en) | 2020-07-08 | 2020-07-08 | Coupler for electric wi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837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9657A1 (en) * | 2022-08-29 | 2024-03-07 |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 Insulating piercing contact with wire retention fea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4729A (en) | 1996-09-19 | 1998-07-06 | 로더리히 네테부쉬, 롤프 옴케 | Electrical connector coupler |
KR200142801Y1 (en) * | 1996-02-16 | 1999-06-01 | 이의근 | Cable connector |
JP2001135368A (en) * | 1999-10-29 | 2001-05-18 | Fujikura Ltd | Housing for pressure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using the same |
KR20090073814A (en) * | 2007-12-31 | 2009-07-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
KR20100059629A (en) * | 2008-11-26 | 2010-06-0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nector for wire connection |
-
2020
- 2020-07-08 KR KR1020200083869A patent/KR1023783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2801Y1 (en) * | 1996-02-16 | 1999-06-01 | 이의근 | Cable connector |
KR19980024729A (en) | 1996-09-19 | 1998-07-06 | 로더리히 네테부쉬, 롤프 옴케 | Electrical connector coupler |
JP2001135368A (en) * | 1999-10-29 | 2001-05-18 | Fujikura Ltd | Housing for pressure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using the same |
KR20090073814A (en) * | 2007-12-31 | 2009-07-0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ulti-directional joint apparatus |
KR20100059629A (en) * | 2008-11-26 | 2010-06-0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nector for wire connec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49657A1 (en) * | 2022-08-29 | 2024-03-07 |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 Insulating piercing contact with wire retention fea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8378B1 (en) | 2022-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724020U (en) | Cable-assembly and the circuit board assemblies for high-speed cable adapter | |
JP5014341B2 (en) |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bent contacts | |
CN101626121B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
CN108306126B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9633775B2 (en) |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 |
CN100470964C (en) | Electric connector | |
US20120135642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CN108023236B (en) | Plug connector assembly | |
JPH09204943A (en) | Guide plate for modular plug | |
CN104253326A (en) | Single element wire to board connector | |
EP2665128B1 (en) | IDC contact element for an electrical plug | |
CN201029125Y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
KR102378378B1 (en) | Coupler for electric wire | |
CN108987967A (en) | Electric connector | |
CN109935997B (en) |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cable retention | |
CN208062296U (en) | The ground structure of the respective independent start in position is connected in electric connector contact | |
CN201639020U (en) | Electric connector | |
CN210073372U (en) | Flexible flat bisection slitting cable | |
CN204927572U (en) | Electric connector with flat cable | |
CN209487763U (en) | The reinforced structure of electric connector | |
CN209912526U (en) | Flexible flat cable | |
CN208062264U (en) | The ground structure of the respective independent start in position is connected in electric connector contact | |
CN2519455Y (en) | Socket connector | |
CN203574208U (en) | Connector combination of telecommunication transmission element and electronic system | |
CN203218497U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