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158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158A
KR20220006158A KR1020200083649A KR20200083649A KR20220006158A KR 20220006158 A KR20220006158 A KR 20220006158A KR 1020200083649 A KR1020200083649 A KR 1020200083649A KR 20200083649 A KR20200083649 A KR 20200083649A KR 20220006158 A KR20220006158 A KR 20220006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vehicle
regenerative braking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158A/ko
Priority to US17/099,284 priority patent/US20220009355A1/en
Publication of KR2022000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60L7/18Controlling the brak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27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4Road conditions
    • B60L2240/642Slope of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25Regenerative br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 상황에 최적화된 회생 제동 제어를 결정하여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충전 시킬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 및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결정하고,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의 경사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생 제동을 실시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련된 기술이다.
차량의 주행에 있어 연비를 향상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가속과 제동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모터가 있기 때문에 제동 시 에너지 회생이 가능하다.
전기 자동차는 제동 시 모터를 발전기로 활용하여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감속을 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는 액셀페달을 떼고 코스팅하는 경우 회생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감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회생하는 정도를 회생 제동 레벨이라고 한다.
전기 자동차는 제동 시 운동에너지를 회생하기 때문에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높지만, 그렇더라도 구동과 회생을 불필요하게 반복하게 되면 인버터, 모터, 배터리 효율로 인해 전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 상황에 최적화된 회생 제동 제어를 결정하여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충전 시킬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 및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결정하고,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의 경사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동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경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의 경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회생 제동 레벨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 및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결정하고,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의 경사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서버와 통신하고, 제동 명령을 입력 받고,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것은, 사용자의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상기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것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경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의 경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결정된 상기 회생 제동 레벨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이 주행하는 주행 상황에 최적화된 회생 제동 제어를 결정하여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충전 시킬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블럭도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정보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경사 정보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 제동 레벨이 표시부에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블럭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통신부(160), 제동부(110), 모터(130), 전원부(150), 입력부, 센서부(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GPS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동부(110)는 차량을 제동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스크와, 디스크의 내/외측면에 압착되도록 차체에 결합되는 캐리어(미도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디스크 패드 및 캘리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동부(110)는 차량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구성이면 그 제한은 없다.
모터(130)는 전원부(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을 구동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는 ESS(Energy Storage System)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의 제동부(110)를 통하여 상기 모터(130)를 제동하는 제동 명령을 입력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차량에 마련된 브레이크 페달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동 명령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20)는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 자체에 관련된 정보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의 온도 정보,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 및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로 정보든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와 관련된 정보로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의 경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기초로 모터(130)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모터(130)를 충전 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로 상황 정보, 사용자의 운전 히스토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60)는 사용자의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는 차량을 주행하는 운전자의 성향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운전자의 운전 성향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초로 모터(130)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서버로부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도로 상황 정보 및 모터(130)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로 상황 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교통 체증 등의 교통 상황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원부(150)의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130)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서버로부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경사 정보를 획득하고, 도로의 경사 정보를 기초로 모터(130)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원부(150)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온도 정보를 기초로 모터(130)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전원부(15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전원부(150)의 온도 정보는 상술한 배터리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부(170)는 차량에 마련된 클러스터를 의미할 수도 있고 AVN(Audio Video Navigation)장치에 마련된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결정된 상기 회생 제동 레벨을 표시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회생 제동 동작을 최적화 할지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차량과 서버는 통신하여 평소 사용자의 운전 성향을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시스템이 활성화 되었을 운전성향이 포함된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운전성향을 브레이크 페달 빈도 수에 따라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도2에서는 F2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회생 제동 레벨이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를 참고하면 X축은 차속을 의미하고 Y축은 회생 제동을 위해 가해지는 토크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F11내지 F16는 사용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 빈도에 대응하는 차속과 토크의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F2방향으로 갈수록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조작 빈도가 빈번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운전성향이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빈도가 낮은 경우 운전자가 타행을 자주하는 성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타행을 자주하는 것은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에 있어 관성에 의존하여 주행하는 것으로 타행을 자주하는 것은 운전자의 운전 명령 입력 빈도가 낮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 빈도가 높을수록 회생 제동 레벨을 높혀, 원페달 드라이빙이 가능할 정도의 감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브레이크 페달 조작 빈도가 낮은 경우, 제어부(140)는 운전자가 타행으로 주행하는 성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회생 제동 레벨을 낮은 수치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브레이크 페달 조작 빈도가 낮을수록 회생 제동 레벨을 낮춰, 회생 제동 레벨이 0에 가까운 정도의 감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기초로 타행을 자주하는 운전성향의 운전자는 불필요한 감속이 적어져, 감속 후 재 가속에 의한 효율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 조작을 자주하는 운전성향의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도 충분한 감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 조작으로 인한 유압제동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2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운전자의 성향을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에는 제한이 없다.
도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정보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로 상황 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종류 및 도로의 교통 체증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GPS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서버는 GPS신호를 기초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서버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고속도로인지 시내 도로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주행하는 해당 도로의 교통량이 많은지 적은지 여부도 서버가 판단할 수 있다.
도3를 참고하면 X축은 차속을 의미하고 Y축은 회생 제동을 위해 가해지는 토크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토크의 절대 값이 큰 것은 회생 제동 레벨이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L31은 차량이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교통체증 없는 경우의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L31을 참고하면 제어부(140)는 v3이상고속 영역에서 불필요한 감속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고속영역의 회생 제동 레벨은 0에 가깝게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는 v3이하 속도에서는, 저속영역으로 제어부는 회생 제동 레벨은 낮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L32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교통체증 있는 경우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L32를 참고하면 제어부(140)는 고속도로를 주행하고 교통체증 있는 경우 v3이하 속도에 대응되는교통체증 구간에선 저속 주행을 하기 때문에 원 페달만으로 운전이 가능할 정도로 회생 제동 레벨이 크고, 교통체증이 풀리는 v3이상 속도에서 순간 가속을 하기 쉽도록 고속구간에서는 회생 제동 레벨이 급격히 작게 제어할 수 있다.
L33에서는 차량이 시내를 도로를 주행하고 시내 교통체증 없는 경우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차량이 시내를 도로를 주행하고 시내 교통체증 없는 경우(L33) v3이하 속도에서 제어부(140)는 시내에서의 평균 차속, 중 저속 차속에서는 일반적인 회생 제동 레벨 정도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v3이상 속도인, 고속영역에서는 시내 주행의 안전성을 고려해 회생 제동 레벨을 크게 하여 감속을 유도할 수 있다.
L34에서는 차량이 시내를 도로를 주행하고 시내 교통체증 있는 경우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차량이 시내 교통체증 있는 경우(L34) 제어부(140)는 대부분 영역에서 회생 제동 레벨이 매우 커, 원 페달만으로도 운전이 가능하게 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3에서 설명한 것은 도로 정보에 도로 종류 및 교통 체증 여부를 포함하여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제시하였으나 도로 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라면 그 제한은 없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의 경사 정보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4를 참고하면 X축은 차속을 의미하고 Y축은 회생 제동을 위해 가해지는 토크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토크의 절대 값이 큰 것은 회생 제동 레벨이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차량은 서버로부터 도로 경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로 경사 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경사도를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은 도로 경사 정보를 이용하여는차량이 주행하는 도로가 오르막길인지 내리막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로 판단된 다면 해당하는 도로의 각도까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원부(150)의 전원부(150)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전원부(150)의 충전 상태 정보는 전원부(150)에 마련된 배터리가 완충 상태인지 방전상태인지 여부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전원부(150)가 공급가능한 전력을 구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L41은 차량이 오르막길을 주행하고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 출력 전압 보다 높은 경우의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미리 결정된 기준 출력 전압은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임의의 값이며 이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차량이 오르막길을 주행하고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높은 경우(L41) 제어부(140)는 회생을 최소화 해야 하기 때문에 회생 제동 레벨을 작게 유지하여 충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L42는 차량이 오르막길을 주행하고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 출력 전압 보다 낮은 경우의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충전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회생에너지는 확보해야하고, 불필요한 회생/구동 반복은 없어야 하기 때문에 v4의 속도를 기준으로 저속에서는 회생 제동 레벨을 크게, 고속에서는 작게 유지할 수 있다.
L43는 차량이 내리막길을 주행하고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 출력 전압 보다 높은 경우의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이 경우 제어부는 최대한 회생 제동 레벨을 적게 하여 유압제동을 유도하고, v4이상의 고속 영역에서는 회생 제동 레벨을 적게 설정하면 차량이 미끌어지는 주행을 수행하여 주행 자체의 안정감이 저하되어 회생 제동 레벨을 크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v4이상의 고속 영역에서는 회생 제동 레벨을 저속구간에 비하여 크게 결정할 수 있다.
.
L44는 차량이 내리막길에서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 출력 전압 보다 높은 상태인 경우의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내리막길 안정성 및 최대한 회생에너지를 확보해야 하므로 전 영역에서 회생 제동 레벨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4에서 설명한 도로의 경사 및 전원부(150)의 용량을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의 제한은 없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50)의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130)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면 X축은 차속을 의미하고 Y축은 회생 제동을 위해 가해지는 토크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토크의 절대 값이 큰 것은 회생 제동 레벨이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원부(150)의 온도 정보는 전원부(150)가 포함하는 배터리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L51은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온도가 높은 경우(L51)의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온도가 높은 경우(L51) 회생을 자주함으로써 배터리 온도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없다. 제어부(140)는 회생 제동 레벨을 최소화하여 최대한 유압제동을 유도하고, 회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L52은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온도가 낮은 경우(L52)의 차속에 대응되는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차량에 포함된 배터리온도가 낮은 경우(L52) 제어부(140)는 배터리 온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승온을 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회생 제동 레벨을 최대화하여 회생을 자주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의 제어를 기초로 회생을 자주하게 되면 배터리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승온효과를 볼 수 있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생 제동 레벨(M6)이 표시부(170) 에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동작을 기초로 제어부(140)는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회생 제동 레벨 연산 결과 설정된 회생 제동 레벨(M6)을 표시부(170)(170)에 출력할 수 있다.
도6에서는 회생 제동 레벨(M6)을 차량의 클러스터에 마련된 표시부(170) 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회생 제동 레벨은 속도에 따른 토크로 표현된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토크는 주행 중 제동 수행시 차량의 진행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토크량이 입력되는 크립토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6에서는 회생 제동 레벨 자체와 앞으로 변화되는 회생 제동 레벨 모두를 표시부(17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회생 제동 수치를 표시부(17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현재 어느 정도의 회생 제동 레벨이 적용되고 있는지 표시해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40)는 저장된 운전 성향과 다르게 운전을 하는 경우 현재 성향에 따라 다시 회생 제동 레벨 수치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한다.
한편 도6에서 나타난 표시부(170)에서 회생 제동 레벨을 제공하는 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회생 제동 레벨은 다양한 형태로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7을 참고하면, 차량은 운전자의 운전 성향을 반영하여 제동 회생 레벨을 결정하는 활성화 명령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1).
또한 사용자의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002).
한편 서버가 수신하는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의 경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제동 명령 입력 빈도를 획득할 수 있다(1003).
제어부(140)는 서버가 획득한 데이터와 획득한 제동 명령 입력 빈도를 기초로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1004).
상술한 동작을 기초로 제어부(140)는 결정된 회생 제동 레벨을 기초로 회생 제동 제어 수행 및 회생 제동 레벨을 출력할 수 있다(1005).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10 : 제동부
120 : 센서부
130 : 모터
140 : 제어부
150 : 전원부
160 : 통신부
170 : 표시부

Claims (16)

  1.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 및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결정하고,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의 경사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제동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경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의 경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회생 제동 레벨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차량.
  9.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 및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결정하고,
    도로 상황 정보 및 도로의 경사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차량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하고,
    제동 명령을 입력 받고,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상시 제동 명령의 입력 빈도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것은,
    사용자의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상기 운전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것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경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로의 경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터의 회생 제동 레벨을 결정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결정된 상기 회생 제동 레벨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KR1020200083649A 2020-07-07 2020-07-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06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49A KR20220006158A (ko) 2020-07-07 2020-07-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7/099,284 US20220009355A1 (en) 2020-07-07 2020-11-16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649A KR20220006158A (ko) 2020-07-07 2020-07-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158A true KR20220006158A (ko) 2022-01-17

Family

ID=7917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649A KR20220006158A (ko) 2020-07-07 2020-07-07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09355A1 (ko)
KR (1) KR202200061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8429B2 (en) * 2020-09-28 2022-1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ggregating braking torque during one-pedal drive mode
US20220105925A1 (en) * 2020-10-01 2022-04-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ne pedal drivi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2650B2 (en) * 2005-11-17 2014-04-29 Invent.Ly, Llc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designs
JP2008184077A (ja) * 2007-01-31 2008-08-14 Hitachi Ltd ハイブリッド走行制御システム
CN103930296B (zh) * 2011-01-06 2016-06-15 福特全球技术公司 再生制动反馈显示系统和方法
US10457271B2 (en) * 2016-12-13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hanced engine and battery operation
US10106040B2 (en) * 2017-01-30 2018-10-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generative braking system and method
US10288439B2 (en) * 2017-02-22 2019-05-14 Robert D. Peders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routing electric vehicles
KR102335632B1 (ko) * 2017-09-07 202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6758B1 (ko) * 2017-12-08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동에너지 회생단계 가변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9355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0076A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mode for the same
JP501037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WO2020023746A2 (en) Driver behavior learning and driving coach strateg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JP432562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運行制御システム
JP536637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回生制動制御装置
US11912166B2 (en) Methods and system for operating a fuel cell vehicle
KR20220006158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EP3421280B1 (en)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driving mode therefor
JP602024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制御装置
WO2011152128A1 (ja) 車両用電動モータのトルク応答制御装置
US9469299B2 (en) Deceleration setting system, deceleration setting method, and deceleration setting program
KR2020006815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0549859A (zh) 车辆控制系统、车辆控制系统的控制方法及制动装置
JPH11164402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200070518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402479A1 (en) Traction-battery control in hybrid powertrain
CN113619560A (zh) 汽车输出扭矩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2758080A (zh) 车辆的干涉扭矩控制方法、装置、控制器及存储介质
JP540310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回生制動制御装置
JPH09242579A (ja) 原動機制御装置
US1176033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longitudinal dynamics of a vehicle
US11623642B2 (en) Travel controller
CN114987476A (zh) 一种自适应巡航工况下的减速度控制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445364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力源切替制御装置
US10654485B2 (en) Controller for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