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075A - 공간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075A
KR20220006075A KR1020217037748A KR20217037748A KR20220006075A KR 20220006075 A KR20220006075 A KR 20220006075A KR 1020217037748 A KR1020217037748 A KR 1020217037748A KR 20217037748 A KR20217037748 A KR 20217037748A KR 20220006075 A KR20220006075 A KR 20220006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radar
sensor
processor
infrar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미 드로이트쿠르
첸얀 송
Original Assignee
에이미 드로이트쿠르
첸얀 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미 드로이트쿠르, 첸얀 송 filed Critical 에이미 드로이트쿠르
Publication of KR2022000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6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with non-radar systems, e.g. sonar, direction f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32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3/34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frequency-modulated waves while heterodyning the received signal, or a signal derived therefrom, with a locally-generated signal related to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01S13/52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 G01S13/56Discriminating between fixed and moving objects or between objects moving at different speeds for presence det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4HVAC, heating, ventillation, climate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1Fork lift, material handling vehic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16Rad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점유 센서는 앉아 있는 사람의 존재를 적절하게 검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점유 검출 시스템의 정확도 및 전력 소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한다. 실시형태는, 전력 소비가 적은 피동적 적외선 센서 및 전력 소비가 큰 레이더 기반 센서를 포함하는 이중 모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레이더 기반 센서는, 시스템이 피동적 센서에 의해 공간이 점유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문턱값 지속시간 후에 새로운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을 때에만 전력이 공급된다.

Description

공간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
본원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간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점유 센서는, 예를 들어 독서를 하거나 타이핑을 하는 앉아 있는 사람의 존재를 적절하게 검출하지 못한다. 이러한 오검출은 공간이 점유되고 있는 동안 조명 및 HVAC 스위칭 시스템을 오프시킬 수 있다. 사람은, 시스템이 그들의 존재를 인식하고 시스템을 다시 켜도록 손을 흔들고 일어서야 한다. 이러한 성가심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종종 점유 센서를 비활성화시키거나 시간을 매우 길게 지연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에너지 절감은 더 정확한 점유 센서를 사용할 때보다 적다.
일부 시스템은 레이더 기반 센서를 이용한다. 그러나, 독립적인 레이더 시스템은 전력 소모가 너무 커서, 공간 점유 검출기가 배터리에 의해서 작동되는 경우에 사용하기에는 비실용적일 수 있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수명은 짧고, 잦은 배터리 교체가 요구될 수 있다.
대상 기술의 일 양태에서,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한 시스템은, 적외선 센서; 레이더 기반 센서; 및 적외선 센서에 연결되고 레이더 기반 센서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된 것을 기초로 레이더 기반 센서의 작동을 트리거(trigger)하고, 그리고 레이더 기반 센서가 공간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서,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한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서,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서,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서,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된 것을 기초로 레이더 기반 센서의 작동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에 의해서, 레이더 기반 센서가 공간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대상 기술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의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대상 기술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대상 기술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구조를 이용하는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대상 기술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대상 기술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대상 기술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대체로, 대상 기술의 실시형태는, 점유 검출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비용 효율적인 에너지의 이용을 제공하면서, 점유 검출의 정확도를 높인다. 일반적으로, 대상 기술은, 점유 또는 비점유를 검증하기 위해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검출기를 이용하기에 적합한 조건이 될 때까지, 저에너지 소비 검출기를 이용하는 이중 모드 시스템을 이용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적외선 센서 및 레이더 기반 센서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는 작동에 있어서 레이더 기반 검출기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공간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적외선 센서는 디폴트 검출 요소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가 문턱값 지속시간(T1) 동안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지 못할 때까지, 작동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가 공간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레이더 기반 센서가 턴 온되도록 트리거될 수 있다. 공간 내에 움직임이 없다는 것을 레이더 기반 센서가 확인하는 경우에, 시스템은 공간이 비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빈 상태의 공간은, 공간에 연결된 자원(resource)(예를 들어, 조명, 가열/공조 등)을 턴 오프시킬 수 있다. 빈 상태에서, 적외선 센서가 작동될 수 있고, 적외선 센서가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에, 시스템은 공간이 점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적외선 센서가 문턱값 지속시간 동안 움직임을 다시 감지하지 못하고 레이더 기반 센서가 공간이 비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까지 공간이 계속 점유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실시형태는, 공간 내의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 격하거나 큰 동작을 나타내는지 또는 앉아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격하거나 큰 동작은, 전신의 움직임(예를 들어, 걷기), 부속 기관의 움직임(예를 들어, 팔 흔들기, 손 올리기, 스트레칭)을 포함하는 신체 움직임을 지칭할 수 있다. 앉아 있거나 움직임이 없는 사람은, 착석해 있거나 서 있으며, 격하거나 큰 동작 활동이 없고 검출 가능한 동작이 주로 호흡인 사람을 지칭할 수 있다. 앉아 있는 활동은 짧은 범위의 활동(예를 들어, 말하기, 타이핑, 머리 움직임, 손가락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적외선 동작 센서는 피동적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이하의 설명에서 PIR 센서(피동적 적외선)으로서 지칭될 수 있으나,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른 적외선, 다른 피동적 센서, 또는 다른 저전력 소비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공간의 작동 요소에 부속될 수 있다. 시스템은 그 자체의 전원, 예를 들어 배터리를 가질 수 있다. 시스템은 적외선 센서 및 레이더 기반 센서에 연결된 프로세서(예를 들어, 마이크로제어기(MCU))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는, 편의상 검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소형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온 칩 모듈(SOC)(도 3 참조)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프로세서는 더 큰 컴퓨팅 장치의 일부이다.
레이더 기반 센서는, 호흡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연속 파동 도플러 유형일 수 있다. 도플러 레이더 기반 센서의 작동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싱글-엔드형 레이더(single-ended RADAR)가 이용될 수 있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직교형 레이더(quadrature RADAR)가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은, 공간 내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 위상 변이를 디지털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신호 컨디셔닝 회로소자가 이러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생리학적 신호(호흡, 심장 박동) 및 이들의 처음 몇 개의 고조파가 존재하는 주파수 범위를 분리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신호 컨디셔닝은 위신호-제거 필터링(anti-aliasing filtering)을 수행하고/하거나 DC 오프셋을 제거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2가지 유형 모두의 신호 컨디셔닝(주파수 범위 분리 및 위신호-제거)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디셔닝된 신호는 디지털화되고 분석을 위해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기반 센서는 특정 양의 시간 동안 작동되고, 이어서 다시 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스템이 나타낼 때가지 비활성화될 수 있다. PIR 검출기가 동작을 감지한 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도플러 레이더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이 비었는지 또는 움직임이 없는 사람에 의해서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이 없는 사람의 존재가 확인되면, 시스템은, PIR이 큰 동작을 검출할 때까지, 앉아 있는 사람에 의해서 공간이 계속 점유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레이더 기반 센서에 의해서 공간이 비었다는 것이 확인되면, 시스템은, PIR 센서가 큰 동작을 검출할 때까지 공간이 계속 비어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공간에 들어오거나 나가기 위해서 큰 동작이 요구된다는 가정을 이용할 때, 레이더 기반 센서가 최소로 사용될 수 있다. 레이더 기반 센서는 PIR 센서보다 훨씬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레이더 기반 센서가 사용되는 빈도수를 최소화하는 것은 시스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그에 따라 배터리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는 방법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방법은 모니터링되는 공간이 점유된 상태인지 또는 빈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적외선 센서가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동작을 체크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가 동작을 검출할 때까지, 공간은 빈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움직임이 검출되면, 프로세스는, 사람이 공간 내에 있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동작을 계속 체크할 수 있다. 이전의(가장 최근의) 움직임이 검출된 후에 동작이 (조정 가능한 설정일 수 있는) 문턱값 시간(T1) 동안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스는 레이더 기반 센서의 활성화를 트리거할 수 있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움직임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 프로세스는, 공간이 비었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턴 오프될 수 있고, 방법은 적외선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모니터링을 재개할 수 있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움직임을 검출한 경우에, 공간은 점유된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공간이 점유될 때 레이더 기반 센서는 턴 오프될 수 있고, 방법은, 레이더 기반 센서로 다시 체크하기 전에, 공간에서의 격한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서 적외선 센서의 이용을 재개할 수 있다.
레이더 기반 센서는,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면서, 사람이 공간 내에서 앉아 있을 때 호흡하는 것과 같은 더 미세한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는 방법이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방법은, 레이더 기반 센서가 점유자를 검출한 후에, 시스템이 레이더 기반 센서를 주기적으로 이용하여 공간이 앉아 있는 점유자에 의해서 여전히 점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4의 방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방법에서, PIR 센서가 마지막으로 동작을 감지한 후에 적어도 T1 분이 경과한 경우에, 그 후에 레이더 기반 센서가 활성화되었고 어떠한 점유자도 감지하지 못했다면, 공간은 빈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빈 상태에서, PIR 센서만이 활성화되고, (예를 들어,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는 저전력의 "슬립 모드"가 되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PIR 센서가 동작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태는 "점유된-PIR"가 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태는 "비어 있음"으로 유지된다.
점유된-PIR 상태에서, PIR 센서는 마지막 기간(T1) 내에 동작을 감지하였다. PIR이 동작을 감지하면, 프로세서가 활성화되어 동작을 로그(log)하고 T1에서 클록을 시작한다. PIR 센서가 동작을 검출할 때마다, T1에서 클록이 리셋될 수 있다. PIR 센서가 마지막으로 동작을 검출한 후에 시간(T1)이 경과되었을 때, 레이더 센서가 활성화된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는 경우에, 상태는 "점유된-레이더"가 된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상태는 "비어 있음"이 된다.
점유된-레이더 상태에서, PIR 센서가 동작을 감지한 후에 적어도 T1 분이 경과하고, 마지막 레이더 기반 센서 측정은 사람의 존재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PIR 센서는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PIR 센서가 동작을 검출하면, 상태는 점유된-PIR 상태로 복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점유된-레이더 상태에 있을 때, 레이더가 점유자를 검출한 후에 T2 분 동안 PIR 센서가 동작을 검출하지 못하면, 레이더 기반 센서가 다시 활성화되어 앉아 있는 사람의 존재를 확인한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존재를 검출하는 경우에(T2>T1), 방법은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고, T2에 대한 타이머가 리셋된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동작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태는 비어 있음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레이더 기반 센서는 동작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레이더 기반 센서측정을 반복할 수 있고, 어느 측정도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상태는 비어 있음으로 변경될 수 있다.
레이더 기반 센서가 활성화될 때, 이는, 다수의 호흡 사이클이 검출될 수 있는 기간(T3) 동안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T3은 30초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T3은 1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T3은 15초일 수 있다. 간격(T3)은 전력 소비 대 검출의 정확도를 최적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를 위한 상태 기계(state machine)의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태가 비어 있음일 때, 프로세서는 PIR 센서로부터의 입력을 기다리는 "슬립 모드"에 있다. "슬립 모드"에서의 전류 소비는 매우 적고, 예를 들어 0.4 uA이다.
시스템이 "점유" 상태에 진입할 때, 점유의 표시가 통신/제어 회로소자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시스템이 "비어 있음" 상태에 진입할 때, 비어 있음의 표시가 통신/제어 회로소자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그러한 상황은 통신하는 유닛과의 "핸드셰이크(handshake)에서 상황 변경이 없이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PIR 센서가 동작을 검출하고 프로세서를 깨울 때, 프로세서는 WiFi를 통해서 새로운 "점유" 상태를 통신하고, 통신 중의 전력 소비는 20 mA가 될 수 있으나, 통신은 약 1초 동안만 필요하다.
통신 후에, 프로세서는 "모니터링"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작업 스케줄러가 활성화된다. 프로세서는, PIR 센서로부터의 가장 최근의 동작 표시 후에 경과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드에서의 전류 소비는 예를 들어 1.3 uA이다.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상태는 가장 최근의 PIR 신호로부터 5분간 지속된다.
가장 최근의 PIR 신호로부터 5분 후에, 시스템은 "PIR 비어 있음"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레이더 및 신호 프로세싱이 활성화될 수 있고, 전류 소비는 약 20 mA이다. 이러한 상태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20초간 지속된다. 프로세서는 레이더 신호를 분석하고, 호흡이 검출된 경우에, 상태는 "모니터링" 상태로 복귀된다. 호흡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상태는 "비어 있음" 상태로 복귀되고, 상태의 변화가 통신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실행 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전술한 프로세스를 작동시킬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 판독 가능 매체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매체는, 비-일시적,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 가능 및 비-분리 가능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가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캐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분리 가능, 비-휘발성 자기 매체 장치로부터의 판독 및 그에 대한 기록을 위한 저장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모듈 세트(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 세트(적어도 하나)를 갖는, 프로그램 제품/유틸리티가 시스템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능 및/또는 방법을 실행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양태는 시스템, 방법 또는 프로세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양태는 전체적으로 하드웨어인 실시형태,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실시형태(펌웨어, 레지던트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태 "시스템"을 조합한 실시형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양태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임베딩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양태를,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기구(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블록도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다. 블록도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내의 블록들의 조합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머신을 생성하기 위해서,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기구의 프로세싱 유닛에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특정된 기능/활동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능적 이점을 취하기 위한 많은 설계 구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매우 다양한 구성 및 배치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해서 좁아지기보다는,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 반영된다.
개시된 발명의 실시형태는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기반 센서; 및
    상기 적외선 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상기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된 것을 기초로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의 작동을 트리거하고, 그리고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가 상기 공간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공간이 비어있다는 것을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를 통해서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공간에 연결된 환경 부하(environmental load)를 제어하여 상기 공간이 비었다는 확인을 기초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에 의해서 상기 공간이 점유 상태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적외선 센서가 큰 동작을 감지하고 이어서 제2 문턱값 지속시간 후에 상기 공간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를 재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6. 공간 내의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프로세서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가 수신된 후에 상기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된 것을 기초로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의 작동을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가 상기 공간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상기 적외선 센서로부터 가장 최근의 신호를 수신한 후에 상기 문턱값 지속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공간이 비어있다는 것을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를 통해서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상기 공간에 연결된 환경 부하를 제어하여 상기 공간이 비었다는 확인을 기초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에 의해서 상기 공간이 점유 상태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가 큰 동작을 감지하고 이어서 제2 문턱값 지속시간 후에 상기 공간 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할 때, 상기 레이더 기반 센서를 재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37748A 2019-04-29 2020-04-29 공간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 KR20220006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40028P 2019-04-29 2019-04-29
US62/840,028 2019-04-29
US16/857,585 US11181878B2 (en) 2019-04-29 2020-04-24 Dual mode system for detecting occupancy of a room
US16/857,585 2020-04-24
PCT/US2020/030366 WO2020223283A1 (en) 2019-04-29 2020-04-29 Dual mode system for detecting occupancy of a 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075A true KR20220006075A (ko) 2022-01-14

Family

ID=7292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748A KR20220006075A (ko) 2019-04-29 2020-04-29 공간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181878B2 (ko)
EP (1) EP3963365A4 (ko)
JP (1) JP2022533909A (ko)
KR (1) KR20220006075A (ko)
CN (1) CN114072693A (ko)
WO (1) WO2020223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1878B2 (en) * 2019-04-29 2021-11-23 Adnoviv Inc. Dual mode system for detecting occupancy of a room
CN112984718A (zh) * 2020-12-18 2021-06-18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人体跟踪的智能空调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3109806A (zh) * 2021-04-09 2021-07-13 青岛易来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低功耗目标监测装置、方法及系统
CN113296163A (zh) * 2021-05-24 2021-08-24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人体检测方法、装置及系统、复合传感器及存储介质
TW202329055A (zh) * 2022-01-06 2023-07-16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用於喚醒電子裝置的喚醒裝置與方法
CN115656999B (zh) * 2022-12-20 2023-03-28 广州鲁邦通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pir和pcr传感器的电梯人员存在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4778A1 (de) * 2000-05-19 2001-11-22 Abb Patent Gmbh Bewegungsmelder
US7869981B2 (en) * 2004-11-19 2011-01-11 Edgenet, Inc.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configuration
US20060149586A1 (en) * 2004-12-30 2006-07-06 Brown Terry M Lodging attribute inventory
WO2007047419A2 (en) * 2005-10-14 2007-04-2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otion detection system using cw radar in combination with additional sensors
US8033686B2 (en) * 2006-03-28 2011-10-11 Wireless Environment, Llc Wireless lighting devices and applications
US20130024029A1 (en) * 2007-05-24 2013-01-24 Bao Tran System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a building
US8743198B2 (en) * 2009-12-30 2014-06-03 Infosy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detection of conference room occupancy
EP2910091A1 (en) * 2012-10-17 2015-08-26 Koninklijke Philips N.V. Occupancy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9766332B2 (en) * 2014-12-11 2017-09-19 Htc Corporation Non-contac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620307B2 (en) * 2015-11-04 2020-04-14 University Of Hawaii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occupancy using radio waves
WO2017125512A1 (en) * 2016-01-20 2017-07-27 Koninklijke Philips N.V. Occupancy sensing system and sensing method
EP3414595A1 (en) * 2016-02-10 2018-12-19 Carrier Corporation Presence detection system
US10460582B2 (en) * 2016-10-04 2019-10-29 Avigilon Corporation Presence detection and uses thereof
US11087610B2 (en) * 2016-10-04 2021-08-10 Avigilon Corporation Presence detection and uses thereof
FR3057994B1 (fr) * 2016-10-24 2019-05-31 Delta Dore Dispositif et procede de detection du passage d’un individu
US10664688B2 (en) * 2017-09-20 2020-05-26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 visitor to a smart home environment
US11181878B2 (en) * 2019-04-29 2021-11-23 Adnoviv Inc. Dual mode system for detecting occupancy of a room
US11709245B2 (en) * 2019-04-29 2023-07-25 Adnoviv Inc. System and methods for radar-based detection of people in a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3365A4 (en) 2023-09-06
US20220043416A1 (en) 2022-02-10
US20230244198A1 (en) 2023-08-03
WO2020223283A1 (en) 2020-11-05
US11181878B2 (en) 2021-11-23
US20200341440A1 (en) 2020-10-29
JP2022533909A (ja) 2022-07-27
US11650560B2 (en) 2023-05-16
CN114072693A (zh) 2022-02-18
EP3963365A1 (en) 202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6075A (ko) 공간 점유를 검출하기 위한 이중 모드 시스템
US8065544B2 (en) Interrupt/wake-up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low power sleep mode when detecting a sensor or frequency source activated frequency change
US4751399A (en) Automatic lighting device
US8698624B2 (en) Occupancy sensing with selective emission
US8115626B2 (en) Occupancy sensing with selective emission
EP4085436A1 (en) A device for monitoring an environment
US7248059B1 (en) Low power sensor
JP2012187349A5 (ko)
US8063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object
JPH09128665A (ja) 検出器
KR20240018497A (ko) 인간 존재 감지
JPH0990055A (ja) 赤外線式人体検知器
CN114578451A (zh) 人体感应检测方法及装置
KR20070060628A (ko) 사용자의 휴대폰 소유 여부에 따라 슬롯 모드를 제어하는장치 및 그 방법
JPH0962967A (ja) 自動異常通報装置
KR20040037010A (ko) 2차 감지용 PIR(Pyroelectric infrared) 센서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