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901A -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5901A KR20220005901A KR1020200083641A KR20200083641A KR20220005901A KR 20220005901 A KR20220005901 A KR 20220005901A KR 1020200083641 A KR1020200083641 A KR 1020200083641A KR 20200083641 A KR20200083641 A KR 20200083641A KR 20220005901 A KR20220005901 A KR 202200059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brand
- providing
- evaluation
-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6—Query execution using probabilistic mod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 브랜드에 대한 경험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경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브랜드 경험을 반영하는 브랜드 정보를 새로이 창출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의 10년은 과거의 100년과 비교될 만큼 빠르게 변하고 있다. 정보화의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이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의 출현과 발전으로 기존의 경험이나 법칙은 이미 많은 부분에서 작동되지 않는 낡은 사고의 틀이 되었으며,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딥체인지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이는 브랜드의 가치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데, 기존에는 단순히 기업에서 광고, 홍보 등을 통해 전달한 정보만으로 그 브랜드 가치가 결정되었지만, 최근에는 소비자 인식 체계에 작용하는 커뮤니케이션적 가치로 해당 브랜드를 직접 경험한 소비자의 경험이 반영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브랜드 가치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브랜드의 가치는 소비자들이 그 브랜드에 대해 얼마나 우호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가를 통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는 제품의 사용 가치를 넘어서는 이미지 가치를 지닌다. 그리고 이 이미지는 결국 브랜드를 통한 소비자 상대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가 된다.
다만, 이러한 소비자의 인식, 경험 등으로 만들어지는 브랜드의 가치, 즉, 브랜드 정보는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각종 매체에 혼재되어 있거나 파편화 되어있어, 이러한 새로운 브랜드 정보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 이외에 스스로 체험한 브랜드 경험을 공유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브랜드의 의미를 확인하고 검증함으로써 브랜드 정보를 새로이 만들어가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소비자들이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 이외에 스스로 체험한 브랜드 경험을 공유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브랜드의 의미를 확인하고 검증함으로써 브랜드 정보를 새로이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이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브랜드의 의미나 가치를 제고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랜드의 가치에 대한 빠른 관리 및 컨설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 브랜드에 대한 경험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경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은 판매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브랜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저장부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분석부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저장된 경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생성부가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들이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 이외에 스스로 체험한 브랜드 경험을 공유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브랜드의 의미를 확인하고 검증함으로써 브랜드 정보를 새로이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이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브랜드의 의미나 가치를 제고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랜드의 가치에 대한 빠른 관리 및 컨설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브랜드 구축 전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른 브랜드 구축 전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브랜드 정보 분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른 브랜드 구축 전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브랜드 정보 분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브랜드 구축 전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존에는 브랜드에 대한 정보는 오로지 기업이 전달하는 것에 의존을 해왔다. 다시 말해, 브랜드에 대한 정보는 기업의 광고, 홍보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었기 때문에 기업 중심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이 폐쇄적이며, 질서적일 수밖에 없었다.
최근에는 다양한 SNS 활동 등을 통해 소비자 경험 정보들이 공유되고 있고, 소비자들 스스로 상호작용에 의해 그 정보들이 가공 및 확대 재생산되기 때문에, 단순히 광고, 홍보 등의 활동을 하는 정도로는 더이상 소비자의 마음을 살 수 없다.
따라서, 각계 각층의 소비자들의 브랜드 및/또는 제품에 대한 경험 정보들을 반영하여 그 브랜드에 대한 새로운 브랜드 정보를 창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는 유용한 브랜드 정보의 공유와 재생산의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에게는 개별 브랜드의 브랜드 의미나 가치를 제고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브랜드 정보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의 브랜드 정보는 브랜드에 대한 요약 정보일 수도 있고, 해시 태그(Hash Tag)에 사용할 수 있는 용어, 즉, 브랜드 꼬리표, 또는 브랜드의 의미, 가치 등을 담는 문구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른 브랜드 구축 전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최근 시장은 무질서(비선형적)해 보이는 복잡한 현상들이 존재하는 열린 시스템으로,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른 브랜드 구축 전략은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며 진화하는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소비자를 브랜드 정보를 생산 및 공유하는 브랜드 주체로 보고 새로운 브랜드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20), 제품에 대한 경험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경험 정보를 확인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10)를 포함한다. 즉,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각계 각층의 다양한 소비자가 제공하는 경험 정보를 반영하여 그 브랜드의 이미지, 가치 등을 새로이 정의한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기업은 물론,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는 웹페이지,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판매자 단말(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랜드를 갖는 기업에서 출시하는 제품에 대한 다양한 광고 및 홍보 활동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활동으로 판매자 단말(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업로드하여 제공한다.
소비자 단말(30)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브랜드를 이용한 각계 각층의 소비자가 각종 브랜드 또는 그 브랜드에서 출시한 제품(이하, 제품)에 대한 다양한 평가 활동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활동으로 소비자 단말(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랜드에 대한 경험 정보를 업로드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경험 정보는 해당 소비자가 이용한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정보인 제1 평가 정보 및 상기 제1 평가 정보에 대한 다른 소비자의 공감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평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평가 정보는 소비자 브랜드 또는 제품을 직접 이용하고 제공하는 그 제품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 즉, 제품 정보, 구매 이유 및 사용 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평가 정보는 게시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평가 정보는 그 제1 평가 정보를 본 소비자들의 공감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그 게시글을 읽은 소비자들의 공감 또는 비공감 여부를 카운팅 한 정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공감 정도를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소비자 단말(3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랜드에 대한 경험 정보를 확인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새로이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때, 경험 정보에 대한 수집 및 분석하기 위해, 인공지능(AI)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10)는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30)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즉, 제1 평가 정보 전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순위(이하,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10)는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각각에 대한 제2 평가 정보들을 통해 공감 순위를 확인하고, 그 공감 순위에서 상위에 위치한 제1 평가 정보들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순위(이하,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한다. 이때, 공감 순위는 제1 평가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감 또는 비공감 여부를 카운팅한 공감 정도를 통해 정해지는 순위이다.
이후, 서비스 서버(10)는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 존재하는 키워드와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 존재하는 키워드 간 통계적 연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통계적 연관성은 회귀 분석을 기반으로 확인한다.
이때,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 및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되는 키워드의 누적 횟수는 변경하여 설정될 수 있는 수치로서, 그 설정된 누적 횟수 이상 사용된 키워드만을 검출하도록 하는 기준값이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와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도 상위에 위치한 몇개의 키워드만을 선택하여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상위 10개의 키워드와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상위 3개의 키워드 간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도록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상위 5개의 키워드와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상위 5개의 키워드 간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도록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10)는 연관성이 존재하는 키워드를 복수개 선택하여 평가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연관성이 존재하는 키워드가 총 2개인 경우, 투표 또는 평가 방식을 통해 그 2개의 키워드에 대한 선호도를 소비자들로부터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게시된 2개의 키워드에 대해 ‘좋아요’를 클릭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선호도를 조사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연관성이 존재하는 키워드가 총 5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연관성이 높은 일부 키워드에 대해서만 선호도를 조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서버(10)는 수집부(11), 데이터베이스부(13), 분석부(15) 및 생성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집부(11)는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30)로부터 제공된 브랜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수집한다.
데이터베이스부(13)는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30)로부터 제공되는 브랜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저장한다.
분석부(15)는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분석부(15)는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30)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전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한다. 또한,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각각에 대한 제2 평가 정보들을 통해 공감 순위를 확인하고, 그 공감 순위에서 상위에 위치한 제1 평가 정보들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한다.
이후, 분석부(15)는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상위에 위치한 키워드와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상위에 위치한 키워드 간 통계적 연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생성부(17)는 분석부(15)의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복수개의 키워드 중 소비자에 의해 선택된, 즉, 더 높은 선호도를 갖는 키워드를 기반으로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정보 플랫폼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S101단계에서 수집부(11)가 판매자 단말(20)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30)로부터 제공된 브랜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수집한다.
S103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부(13)가 수집부(11)에 의해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S105단계에서 분석부(15)가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저장된 경험 정보를 분석한다.
S107단계에서 생성부(17)가 그 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복수개의 키워드 중 소비자에 의해 높은 선호도로 선택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브랜드 정보는 판매자 또는 소비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브랜드 정보 분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브랜드 정보 분석은 ITSES라는 새로운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데, 이 ITSES는 확인(Identify), 수정(Translate), 공유(Share), 정교화(Elaborate) 및 확산(Spread)의 과정을 포함하는 전략 모델이다.
여기서, 소비자 상호작용의 핵심인 수정과 정교화 과정을 분석하여 브랜드 의미(꼬리표)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비선형적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브랜드 꼬리표는 전통적인 브랜드 전략의 브랜드 정체성이나 슬로건, 포지셔닝 등과는 다른 개념이며, 제품에 더해져 소비자들이 만드는 의미나 가치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업에서 제공하는 정보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경험 정보까지도 반영하여 새로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보다 의미있는 브랜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20)을 하나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판매자 단말(20)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이로써 각각의 판매자, 즉, 각각의 기업에 대해 개별적으로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20)을 통해 판매자로부터 되는제공 브랜드 또는 제품에 대한 정보는 선택적인 것으로, 오로지 소비자 단말(30)을 통해 각각의 소비자들로부터 제공되는 경험 정보만을 활용하여 브랜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없이 소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브랜드의 의미, 가치 또는 꼬리표와 같은 브랜드 정보를 새로이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서비스 서버(10)는 판매자 단말(20) 및 소비자 단말(30)을 통해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각종 정보들을 직접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지만,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하여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서비스 서버 11: 수집부
13: 데이터베이스부 15: 분석부
17: 생성부 20: 판매자 단말
30: 소비자 단말
13: 데이터베이스부 15: 분석부
17: 생성부 20: 판매자 단말
30: 소비자 단말
Claims (11)
-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
브랜드에 대한 경험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경험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험 정보는,
해당 소비자가 이용한 제품에 대한 제1 평가 정보 및 상기 제1 평가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감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평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평가 정보는 제품 컨텐츠에 대한 제품 정보, 구매 이유 및 사용 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평가 정보는 상기 제1 평가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감 또는 비공감 여부를 카운팅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전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각각에 대한 제2 평가 정보들을 통해 공감 순위를 확인한 후, 확인된 공감 순위에서 상위에 위치한 제1 평가 정보들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하며,
상기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사용된 키워드 및 상기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사용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회귀 분석을 기반으로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통계적 연관성을 갖는 키워드 중 상위 2개 선택하여 소비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아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브랜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수집부가 판매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브랜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저장부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분석부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정보 및 광고 정보와, 상기 저장된 경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생성부가 그 분석 결과를 통해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험 정보는,
해당 소비자가 이용한 제품에 대한 제1 평가 정보 및 상기 제1 평가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공감 정도를 나타내는 제2 평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평가 정보는 제품 컨텐츠에 대한 제품 정보, 구매 이유 및 사용 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제2 평가 정보는 상기 제1평가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감 또는 비공감 여부를 카운팅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전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제1 평가 정보 각각에 대한 제2 평가 정보들을 통해 공감 순위를 확인한 후, 확인된 공감 순위에서 상위에 위치한 제1 평가 정보들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누적된 키워드를 검출하여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사용된 키워드 및 상기 제2 누적 키워드 사용 순위에서 사용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회귀 분석을 기반으로 통계적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계적 연관성을 갖는 키워드 중 상위 2개 선택하여 소비자로부터 선호도를 입력받아 브랜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641A KR20220005901A (ko) | 2020-07-07 | 2020-07-07 |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641A KR20220005901A (ko) | 2020-07-07 | 2020-07-07 |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901A true KR20220005901A (ko) | 2022-01-14 |
Family
ID=7934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3641A KR20220005901A (ko) | 2020-07-07 | 2020-07-07 |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590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3169B1 (ko) * | 2022-12-06 | 2023-07-10 | 주식회사 엘레멘트컴퍼니 | 브랜드의 개선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711523B1 (ko) * | 2023-09-20 | 2024-09-27 | 김혜림 | 제품의 친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라벨링 시스템 및 방법 |
-
2020
- 2020-07-07 KR KR1020200083641A patent/KR2022000590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3169B1 (ko) * | 2022-12-06 | 2023-07-10 | 주식회사 엘레멘트컴퍼니 | 브랜드의 개선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711523B1 (ko) * | 2023-09-20 | 2024-09-27 | 김혜림 | 제품의 친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라벨링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uang et al. | Managing social responsibility in multitier supply chains | |
Hennig-Thurau et al. | Does Twitter matter? The impact of microblogging word of mouth on consumers’ adoption of new movies | |
Gadiraju et al. | A taxonomy of microtasks on the web | |
US7593928B2 (en) | Dynamically altering search result page layout to increase user response | |
Chaffey et al. | From web analytics to digital marketing optimization: Increasing the commercial value of digital analytics | |
US9070086B2 (en) | Data driven component reputation | |
JP5021663B2 (ja) | 複数キャンペーンにわたるキーワードの分類と管理 | |
US20080052140A1 (en) | Distributed media planning and advertising campaign management | |
Kumar et al. | Web analytics and metrics: a survey | |
JP2011526705A (ja) | スマートテキスト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US20120022916A1 (en) | Digital analytics platform | |
US20140214847A1 (en) |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message content | |
Widjaja et al. |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dashboard visualization with power BI as platform | |
Schultz et al. | Consumer-driven media planning and buying | |
KR20220005901A (ko) | 브랜드 정보 생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US2011009330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categorization of risk | |
JP2007041869A (ja) | 投資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 |
US2010013135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and content interactions | |
Tandoc | Follow The Click?: Journalistic autonomy and web analytics | |
Tekin et al. | Big data concept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ow big data effects productivity | |
US1095694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ople-based audience planning | |
KR20090124488A (ko) | 웹 로그 정보를 활용한 자료 분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자료 분석방법 | |
US20100114945A1 (en)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ssociating a Network User with a Commercial Entity Associated with a Predetermined Profile and for Associating a Network User with a Commercial Entity Based on a Search Query | |
US1178337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ople-based audience planning | |
US9128978B2 (en) | Method of identifying and selecting ev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