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033A - 타우 백신의 이종 투여 - Google Patents

타우 백신의 이종 투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033A
KR20220005033A KR1020217038109A KR20217038109A KR20220005033A KR 20220005033 A KR20220005033 A KR 20220005033A KR 1020217038109 A KR1020217038109 A KR 1020217038109A KR 20217038109 A KR20217038109 A KR 20217038109A KR 20220005033 A KR20220005033 A KR 20220005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tau
liposome
subjec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자베스 엔 램스버그
도나타 드 마르코
아니쉬 차크쿰칼
샬럿 사다카
얍 고즈미트
안드레아스 무스
마리아 필그렌 보쉬
마리야 부키체비치 버힐레
데이비드 힉맨
니콜라스 피오트
사로지 라즈 기미르
Original Assignee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씨 이뮨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에이씨 이뮨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얀센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07Nervous system antigens; Pr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11Alzheimer's disease; Amyloid plaque core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15Toxins or lectins, e.g. clostridial toxins or Pseudomonas exotox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46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the entire peptide or protein drug conjugate elicits an immune response, e.g. conjugate vac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 A61K47/691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the form being a lipos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16Proteins;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55Liposomes; Vesicles, e.g. nanoparticles; Spheres, e.g. nanospheres;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61CpG containing adjuvants; Oligonucleotide containing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72Lipopolysaccharides; Lipid A; Monophosphoryl lipid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 A61K2039/57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humoral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18Lipids, e.g. in lipo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31Proteins
    • A61K2039/6068Other bacterial proteins, e.g. O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link between antigen and carrier
    • A61K2039/62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link between antigen and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linker

Abstract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타우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를 함유하는 리포솜 프라이밍 조성물, 및 면역원성 담체에 접합된 타우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를 함유하는 접합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우 백신의 이종 투여
본 발명은 의약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타우 펩티드를 함유하는 리포솜 프라이밍(liposomal priming) 조성물 및 면역원성 담체에 접합된 타우 펩티드를 포함하는 접합 부스팅(conjugate boosting) 조성물을 사용하여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AD)은 전 세계적으로 어림잡아 약 4천 4백만 명에 영향을 끼치는 진행성 쇠약성 신경변성 질환이다(Alzheimers.net). 현재 임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AD 요법은 임상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질환 기저를 이루는 병원성 과정을 목표로 하지는 않는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치료법은 최소 효과만 있으므로 추가적인 예방 및 치료 대책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것이 시급하다.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특징적인 병리는 응집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포함하는 세포 외 플라크의 축적 및 과인산화된 타우 단백질의 세포 내 "매듭" 또는 응집이다. 이들 단백질의 축적을 초래하는 분자 사건은 잘 특성화되어 있지 않다. 아밀로이드의 경우,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비정상적 절단이 아미노산 1-42를 포함하는 응집되기 쉬운 단편의 축적을 초래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타우의 경우, 키나제, 포스파타제 또는 둘 다의 조절 장애가 타우의 비정상적인 인산화를 유발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일단 타우가 과인산화되면, 미세소관을 효과적으로 결합하고 안정화시키는 능력을 상실하고, 대신 영향받은 뉴런의 세포질에 축적된다. 결합되지 않은 과인산화된 타우는 1차 올리고머 및 이어서 고차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의 존재는 아마도 정상적인 축색 돌기 수송의 중단을 통해 이들이 형성하는 뉴런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선진국에서, 알츠하이머병 또는 다른 치매성 타우병증으로 진단된 개인들은 일반적으로 콜린에스테라제 억제제(예를 들어, Aricept®) 또는 메만틴(예를 들어, Namenda™)으로 치료된다. 이들 약물은 내약성이 상당히 좋지만 효능은 대단치 않다. 예를 들어, Aricept®는 치료받은 개인의 약 50%에서 6-12 개월 동안 증상 악화를 지연시킨다. 나머지 치료법은 비약리학적이며, 인지 능력이 떨어졌을때 환자가 일상 업무를 보다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몇몇 공개된 연구(Asuni AA et al,. J Neurosci. 2007 Aug 22;27(34):9115-29., Theunis C et al., PLoS One. 2013; 8(8): e72301., Kontsekova E et al., Alzheimers Res Ther. 2014 Aug 1;6(4):44)는 타우 펩티드를 함유하는 활성 백신이 마우스 또는 래트에서 항-타우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입증하고; 설치류의 뇌에서 병적인 타우 응집체의 축적을 줄이며; 알츠하이머병의 동물 모델에서 인지 기능 저하의 진행 속도를 줄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병리적 타우 단백질에 대한 활성 백신은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인간 환자에서 면역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Novak P et al., Lancet Neurology 2017, 16:123-134). WO2010/115843 및 WO2019/084118호는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타우병증의 치료에서 치료 및 진단 용도를 위해 단백질 타우의 주요 병리학적 포스포-에피토프 및 관련 조성물을 모방하는 항원성 포스포펩티드를 기술한다.
그러나, 현재 타우 매개 질환의 발병을 예방하도록 승인된 효과적인 백신은 아직 없다. 일단 시작되면 질환의 진행을 중단하거나 늦추는 효과적인 약물도 시장에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예방 대책(예를 들어, 백신)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
발명의 요약
놀랍게도 본 발명에서 각각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 및 접합체 조성물을 사용한 이종 백신접종이 타우 포스포펩티드-특이적 항체의 에피토프 커버리지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추가로, 리포솜 프라이밍 조성물을 사용한 이종 백신접종은 접합체 프라이밍 조성물을 사용한 것보다 더 강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나의 일반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 바람직하게는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 a.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b. 헬퍼 T-세포 에피토프;
c.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d.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를 함유하는 아주번트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됨;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의 구조 또는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x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의 정수이고;
n은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의 정수이고;
타우 펩티드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내고;
담체는 열쇠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KLH), 파상풍 톡소이드, CRM197 및 N. meningitidis로부터의 외막 단백질 혼합물(OM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담체 또는 그의 유도체를 나타내고;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 및 서열 번호 5 내지 서열 번호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b.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c.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여기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간 연결을 포함하고,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됨); 및
d.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
접합체는 링커를 통해 CRM197에 접합된 서열 27 내지 서열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i) a.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b.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c.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여기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간 연결을 포함하고,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됨); 및
d.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됨;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가짐: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i) (1)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2)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을 포함하는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
(3) 서열 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헬퍼 T-세포 에피토프;
(4) 서열 번호 1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5)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릴-3'-rac-글리세롤(DMPG)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질을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됨;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고: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제1 부스팅 조성물의 첫 투여 후 대상에게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적어도 1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부스팅 조성물은 제1 부스팅 조성물의 첫 투여 전 또는 후에 투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제2 부스팅 조성물의 첫 투여 후 대상에게 제2 부스팅 조성물을 적어도 1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i) (1)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2)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을 포함하는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
(3) 서열 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헬퍼 T-세포 에피토프;
(4) 서열 번호 1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5)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릴-3'-rac-글리세롤(DMPG)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질을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됨;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고: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임; 및
(iii)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 또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특정 실시양태에서, 단계 (ii)는 단계 (iii) 전에 수행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단계 (ii)는 단계 (iii) 후에 수행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면역 반응을 부스팅하기 위해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적어도 2회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면역 반응을 부스팅하기 위해 제2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적어도 1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에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에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재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임의로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에 제2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에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에 제2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에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재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용량당 약 25 nmole 내지 약 750 nmole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예컨대 용량당 약 29.7 nmoles 내지 약 742.5 nmoles,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71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89.1 nmoles 내지 약 712.8 nmoles, 또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53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89.1 nmoles 내지 약 534.6 nmoles, 또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27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89.1 nmoles 내지 약 267.3 nmoles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하고,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용량당 약 265 내지 약 275 nmole의 양, 예를 들어, 용량당 약 265, 약 266, 약 267, 약 268, 약 269, 약 270, 약 271, 약 272, 약 273, 약 274 또는 약 275 nmoles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 예컨대 용량당 약 267.3 nmole의 양으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용량당 약 530 내지 약 540 nmole의 양, 예를 들어 용량당 약 530, 약 531, 약 532, 약 533, 약 534, 약 535, 약 536, 약 537, 약 538, 약 539 또는 약 540 nmoles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 예컨대 용량당 약 534.6 nmoles의 양으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용량당 약 710 내지 약 720 nmoles의 양, 예를 들어 용량당 약 710, 약 711, 약 712, 약 713, 약 714, 약 715, 약 716, 약 717, 약 718, 약 719 또는 약 720 nmoles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 예컨대 용량당 약 712.8 nmoles의 양으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양태에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은 서열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테트라팔미토일화된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하고, 여기서 테트라팔미토일화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되고, 용량당 약 100 ㎍ 내지 약 2500 ㎍(용량당 약 29.7 nmoles 내지 약 742.5 nmoles에 해당),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300 ㎍ 내지 약 2400 ㎍(용량당 약 89.1 nmoles 내지 약 712.8 nmols에 해당), 예컨대 용량당 약 300 ㎍, 약 900 ㎍, 약 1800 ㎍ 또는 약 2400 ㎍(용량당 약 89.1 nmoles, 약 267.3 nmoles, 약 534.6 nmoles 또는 약 712.8 nmoles에 해당)의 양으로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용량당 약 2 nmoles 내지 약 110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4.02 nmoles 내지 약 100.44 nmoles, 또는 용량당 약 4 nmoles 내지 약 7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4.02 nmoles 내지 약 72.32 nmoles, 또는 용량당 약 10 nmoles 내지 약 10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12.06 nmoles 내지 약 100.44 nmoles, 또는 용량당 약 70 내지 약 10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72.32 nmoles 내지 약 100.44 nmoles의 양으로 헬퍼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약 2 nmoles 내지 약 110 nmoles, 예컨대 약 12.06 nmoles 내지 약 100.44 nmoles의 양으로 헬퍼 T-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T50 헬퍼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 사용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포솜 및 접합체의 백신 조합, 예컨대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거나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 발명의 리포솜 및 접합체의 백신 조합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 범위를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요약 및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실시양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A 내지 1C는 포스포펩티드 서열 번호 2 및 펩티드 서열 번호 4를 포함하는 짧은 8-mer 중첩 펩티드에 대해 에피토프 맵핑 ELISA에 의해 결정된, 상동 A-A(도 1A) 또는 B-B(도 1B) 백신접종 또는 이종 AB(도 1C) 백신접종에 의해 유도된 항체의 에피토프 인식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2는 포스포펩티드 서열 번호 2 및 서열 번호 4를 포함하는 짧은 8-mer 중첩 펩티드에 대해 에피토프 매핑 ELISA에 의해 결정된, 이종 A-B-B 백신접종(162일) 후에 유도된 항체의 에피토프 인식 프로파일을 이종 A-B-B-A 백신접종(190일) 후 유도된 것과 비교하여 나타내고, 여기서 A는 아주번트로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TLR4 리간드, 서열 번호 28에 상응하는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용량, 및 캡슐화된 T50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리포솜 백신이고, B는 링커를 통해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접합된 CRM197을 15 ug/용량으로 함유하는 접합 백신이며, 접합 백신은 명반(alum) 및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공동 주입된다;
도 3은 이종 백신접종(A-B-B-A, A-A-B-B 또는 B-B-A-A)(여기서 A는 아주번트로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TLR4 리간드,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용량, 및 캡슐화된 T50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리포솜 백신이고, B는 링커를 통해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접합된 CRM197을 15 ug/용량으로 함유하는 접합 백신이며, 접합 백신은 명반 및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공동 주입됨) 또는 상동 백신접종(A-A-A-A) 후 190일째에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사후 뇌로부터 단리된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에 특이적인 IgG 역가를 나타내며, A-A-A-A에 대한 배수 변화가 플롯팅되었다;
도 4A는 ELISA에 의해 측정된, 상동(A-A-A) 및 이종(A-A-B 및 A-B-B) 면역 요법 후 106일째에 붉은털원숭이에서 서열 번호 2(T3.5)의 서열을 갖는 포스포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역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는 종점 역가(EPT)로 표시되고, 도 4B는 상동(A-A-A) 및 이종(A-A-B 및 A-B-B) 면역 요법 후 106일째 붉은털원숭이에서 ePHF에 특이적인 IgG 역가를 나타내며, 임의 단위(AU)/mL로 표시된다;
도 5는 제한된 코팅 조건에서 ePHF에 대한 결합에 의해 측정되고(ePHF-특이적 IgG 역가(AU/m로 표현됨), ePHF의 제한된 코팅에 대해 MSD로 측정된 것이 플롯팅됨), 이종 요법 A-B-B-A(도 5A) 및 A-A-B-B(도 5B)에 의해 유도된 ePHF-특이적 IgG 항체의 정성성을 상동 A-A-A-A 요법에 의해 유도된 것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6은 이종 백신접종(A-B-B-A, A-A-B-B 또는 B-B-A-A)에 따른 1차 면역화 후 183일째에 붉은털원숭이의 뇌척수액(CSF)에서 N-말단에서 비오티닐화된 서열 번호 2의 서열을 갖는 포스포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역가를 나타내고, 여기서 A는 아주번트로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TLR4 리간드,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용량, 및 캡슐화된 T50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리포솜 백신이고, B는 링커를 통해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접합된 CRM197을 15 ug/용량으로 함유하는 접합 백신이며, 명반 및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공동 주입되고, 동종 백신접종 A-A-A-A에 대한 배수 변화가 플롯팅되었다;
도 7은 ELISA에 의해 측정된, 동종(A-A-A-A) 및 이종(A-A-B-B 및 A-B-B-A) 면역화에 따른 1차 면역화 후 190일째에 붉은털원숭이에서 T50 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역가에 대한 서열 번호 2(T3.5)의 서열을 갖는 포스포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역가의 비율을 나타내고, 통계 분석은 만 휘트니(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p<0.001).
발명의 상세한 설명
다양한 간행물, 논문, 및 특허가 배경기술과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인용 또는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참고문헌은 각각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문헌, 문서, 자료, 디바이스, 물품 등에 대한 논의는 본 발명에 대한 상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논의는 이들 대상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든 것이 개시되거나 청구된 임의의 발명에 대하여 종래 기술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그렇지 않으면, 본원에서 사용된 특정 용어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본원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지시 대상을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농도 또는 농도 범위와 같은 임의의 수치 값은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치 값은 전형적으로 인용된 값의 ±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1 mg/mL의 농도는 0.9 mg/mL 내지 1.1 mg/mL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1% 내지 10%(w/v)의 농도 범위는 0.9%(w/v) 내지 11%(w/v)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문맥이 명백히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수치 범위의 사용은 모든 가능한 하위범위, 그 범위 내의 모든 개별 수치 값, 예를 들어 그러한 범위 내의 정수 및 값의 분율을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일련의 요소 앞에 있는 "적어도"라는 용어는 시리즈의 모든 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대한 많은 등가물을 일상적인 실험을 사용하여 인식하거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포함한", "가지고 있다", "갖는", "함유한다" 또는 "함유하는" 또는 그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언급된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을 포함하지만 다른 정수 또는 정수 그룹을 배제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비배타적이거나 개방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요소 목록을 포함하는 조성물, 혼합물,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이들 요소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러한 조성물, 혼합물,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열거 또는 고유하지 않은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은 포괄적이고/거나 배타적이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건 1 또는 2는 다음 중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1이 사실 (또는 존재)이고 2는 사실이 아니고 (또는 존재하지 않고), 1이 사실이 아니고(또는 존재하지 않고) 2는 사실이며 (또는 존재하며), 또는 1과 2가 모두 사실 (또는 존재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의 치수 또는 특성을 언급할 때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 "대략",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및 유사한 용어는 기술된 치수/특성이 엄격한 경계 또는 파라미터가 아니며,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기능상 동일하거나 유사한 작은 변형을 배제하지 않음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최소한, 수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러한 참조는 당 업계에서 허용되는 수학적 및 산업적 원리(예를 들어, 반올림, 측정 또는 다른 체계적 오차, 제조 공차 등)를 사용하여 최소 유효 자릿수를 변화시키지 않는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유효량의 리포솜은 용량당 약 25 nmoles 내지 약 750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29.7 nmoles 내지 약 742.5 nmoles,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71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89.1 nmoles 내지 약 712.8 nmoles, 또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53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89.1 nmoles 내지 약 534.6 nmoles, 또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27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89.1 nmoles 내지 약 267.3 nmoles의 양으로 타우 포스포펩티드, 예컨대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38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 및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테트라팔미토일화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약 100 ㎍ 내지 약 2500 ㎍, 바람직하게는 약 300 ㎍ 내지 약 2400 ㎍의 양으로 포함하며, 이는 약 29.7 nmoles 내지 약 742.5 nmoles, 바람직하게는 약 89.1 nmoles 내지 약 712.8 nmols에 상응한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유효량의 리포솜은 타우 포스포펩티드, 예컨대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타우 포스포펩티드,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38 중 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용량당 약 100 ㎍ 내지 약 2500 ㎍, 약 300 ㎍ 내지 약 2400 ㎍, 약 300 ㎍ 내지 약 1800 ㎍, 또는 약 300 ㎍ 내지 약 900 ㎍, 예컨대 약 100 ㎍, 약 150 ㎍, 약 200 ㎍, 약 250 ㎍, 약 300 ㎍, 약 400 ㎍, 약 500 ㎍, 약 600 ㎍, 약 700 ㎍, 약 800 ㎍, 약 900 ㎍, 약 1000 ㎍, 약 1100 ㎍, 약 1200 ㎍, 약 1300 ㎍, 약 1400 ㎍, 약 1500 ㎍, 약 1600 ㎍, 약 1700 ㎍, 약 1800 ㎍, 약 1900 ㎍, 약 2000 ㎍, 약 2100 ㎍, 약 2200 ㎍, 약 2300 ㎍, 약 2400 ㎍, 또는 약 2500 ㎍,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값의 양으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용량당 약 30 ㎍ 내지 약 900 ㎍, 바람직하게는 약 100 ㎍ 내지 약 585 ㎍의 양으로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용량당 약 30 ㎍, 약 50 ㎍, 약 100 ㎍, 약 150 ㎍, 약 200 ㎍, 약 250 ㎍, 약 300 ㎍, 약 330 ㎍, 약 360 ㎍, 약 390 ㎍, 약 420 ㎍, 약 450 ㎍, 약 480 ㎍, 약 500 ㎍, 약 520 ㎍, 약 540 ㎍, 약 560 ㎍, 약 580 ㎍, 약 600 ㎍, 약 700 ㎍, 약 800 ㎍ 또는 약 900 ㎍의 양으로 톨-유사 수용체 작용제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용량당 약 50 ㎍ 내지 약 1250 ㎍, 바람직하게는 약 150 ㎍ 내지 약 800 ㎍의 양으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리포솜의 유효량은 용량당 약 50 ㎍, 약 100 ㎍, 약 150 ㎍, 약 200 ㎍, 약 250 ㎍, 약 300 ㎍, 약 350 ㎍, 약 400 ㎍, 약 450 ㎍, 약 500 ㎍, 약 550 ㎍, 약 600 ㎍, 약 650 ㎍, 약 700 ㎍, 약 750 ㎍, 약 800 ㎍, 약 850 ㎍, 약 900 ㎍, 약 950 ㎍, 약 1000 ㎍, 약 1050 ㎍, 약 1100 ㎍, 약 1200 ㎍, 또는 약 1250 ㎍의 양으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의 유효량은 용량당 약 50 ㎍ 내지 약 1250 ㎍, 바람직하게는 약 150 ㎍ 내지 약 800 ㎍의 양으로 서열 번호 1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접합체에서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의 양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15 ㎍ 접합체는 타우 포스포펩티드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 15 ㎍를 함유하는 접합체 조성물을 지칭한다. 하나 이상의 타우 포스포펩티드가 하나의 면역원성 담체에 접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접합체의 유효량은 본 개시 내용의 관점에서 임상 실험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리포솜에 존재하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포솜에 존재하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접합체에 존재하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타우" 또는 "타우 단백질"(미세소관 관련 단백질 타우, MAPT, 신경원섬유 매듭 단백질, 쌍 나선형 필라멘트-타우, PHF-타우, MAPTL, MTBT1이라고도 함)은 다수의 이소형(isotype)을 갖는 풍부한 중추 및 말초 신경계 단백질을 지칭한다. 인간 중추 신경계(CNS)에는, 선택적 스플라이싱으로 인해 크기가 352 내지 441 아미노산 길이의 범위인 6개의 주요 타우 이소형이 존재한다(Hanger et al., Trends Mol Med. 15:112-9, 2009). 타우의 예는 CNS에서의 타우 이소형, 예를 들어 4개의 반복체 및 2개의 삽입체를 갖는 441-아미노산 최장 타우 이소형(4R2N) 및 3개의 반복체 및 삽입체를 갖지 않는 352-아미노산 길이 최단(태아) 타우 이소형(3R0N)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타우의 예는 또한 300개의 추가 잔기(엑손 4a)를 함유하는 말초 신경에서 발현된 "빅 타우" 이소형을 포함한다. Friedhoff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502 (2000) 122-132. 타우의 예는 mRNA 전사체 6762 뉴클레오티드 길이(NM_016835.4)에 의해 코딩된 758 아미노산-길이 단백질인 인간 빅 타우, 또는 그의 이소형을 포함한다. 예시된 인간 빅 타우의 아미노산 서열은 유전자 은행 수탁 번호 NP_058519.3에 제시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타우"는 인간 이외의 종, 예컨대 게잡이원숭이(Macaca Fascicularis)(사이노몰거스 원숭이) 또는 Pan troglodytes(침팬지)으로부터의 타우 상동체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타우"는 돌연변이, 예를 들어, 전장 야생형 타우의 점 돌연변이, 단편, 삽입, 결실, 및 스플라이스 변이체를 포함하는 단백질을 포함한다. 용어 "타우"는 또한, 타우 아미노산 서열의 번역후 변형을 포함한다. 번역후 변형은 인산화를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인산화된 타우"는 적어도 하나의 인산화된 잔기를 함유하는 타우 단백질, 또는 그의 단편 또는 펩티드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 또는 "ePHF"는 쌍 나선 필라멘트에서 타우 단백질이 강화된 제제를 지칭한다. PHF는 알츠하이머병 신경섬유 매듭의 중요 성분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 잔기, 관련 자연 발생 구조 변이체 및 펩티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그의 합성 비자연 발생 유사체로 구성된 중합체를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임의의 크기, 구조 또는 기능의 펩티드를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펩티드는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길이를 가진다. 펩티드는 자연 발생, 재조합 또는 합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합성 펩티드는 예를 들어 자동 폴리펩티드 합성기를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타우 펩티드의 예는 약 5 내지 약 30개 아미노산 길이,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5개 아미노산 길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 내지 약 21개 아미노산 길이의 타우 단백질의 임의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에서, 펩티드는 표준 3 또는 1 문자 아미노산 약어를 사용하여 N에서 C 말단으로 열거되며, 여기서 포스포 잔기는 "p"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타우 펩티드의 예는 서열 번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타우 펩티드,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80%, 85%, 90% 또는 95%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타우 펩티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스포펩티드" 또는 "포스포-에피토프"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에서 인산화되는 펩티드를 지칭한다. 타우 포스포펩티드의 예는 하나 이상의 인산화된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우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타우 포스포펩티드의 예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타우 포스포펩티드,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80%, 85%, 90% 또는 95%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타우 펩티드는 고상 펩티드 합성 또는 재조합 발현 시스템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자동 펩티드 합성기는 Applied Biosystems(캘리포니아 포스터 시티 소재)와 같은 수많은 공급업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재조합 발현 시스템은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 효모, 곤충 세포 또는 포유동물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재조합 발현 절차는 문헌[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C.S.H.P. Press, NY 2d ed., 1989)]에 의해 설명된다.
타우는 인간 "자기" 단백질이다. 이는 원칙적으로, 타우에 특이적인 수용체를 갖는 모든 림프구가 발달하는 동안 결실되거나(중추 관용), 말초 관용 메커니즘에 의해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는 자기 또는 "변경된 자기" 단백질(예를 들어, 종양 항원)에 대한 백신 개발에 중요한 장애물로 판명되었다.
항원(자기 또는 감염성)에 대한 고정성화 항체를 생성하는 것은 항체를 생성하는 B 림프구뿐만 아니라 CD4+ T "헬퍼" 림프구의 작용을 필요로 한다. CD4+ T-세포는 B 림프구에 결정적인 생존 및 성숙 신호를 제공하고, CD4+ T-세포 결핍 동물은 상당히 면역억제된다. CD4+ T-세포는 또한 관용 메카니즘의 적용을 받으며, 강력한 항-자기(예를 들어, 항-타우) 항체 반응을 생성하는 데 있어 추가 장애는 타우 반응성 CD4+ T-세포가 인간/동물 레퍼토리에 희귀 내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피해갈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일 실시양태에서, 대부분 또는 모든 HLA DR(인간 백혈구 항원-항원 D 관련) 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T-세포 에피토프를 또한 포함하는 타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좀이 생성된다. 이어서 T-세포 에피토프는 CD4+ T-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타우-특이적 B-세포에 필수적인 성숙 및 생존 신호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타우 펩티드와 담체 단백질의 접합체가 생성되고, 강력한 헬퍼 T-세포 반응을 생성한다. 이 실시양태에서, 담체-특이적 T-세포가 생존 및 성숙 신호를 자기 반응성 B-세포에 제공하는 "비-연결 인식"이 사용된다. 따라서, 타우-특이적 B-세포는 친화도 성숙, 면역글로불린 클래스 스위칭을 유발하고 장기 기억 풀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신호를 수신한다. 타우 리포좀 및 타우 접합체는 동종 또는 이종 면역 체계에서 타우 항원에 대한 고정성화 항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리포좀 또는 접합체는 프라임 및/또는 부스트에 사용된다.
리포솜
리포솜은 본 출원에서 프라이밍 조성물, 및 임의로 부스팅 조성물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리포솜은
타우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헬퍼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고,
여기서 타우 펩티드는 리포좀의 표면상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리포좀은 또한 본원에서 "개선된 리포좀", "개선된 리포좀 백신"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리포좀 백신" 또는 "타우 리포좀" 또는 "2 세대 리포좀"의 "최적화된 리포좀 백신"으로 지칭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리포좀"은 일반적으로 지질 함량이 높은 물질, 예를 들어 인지질, 콜레스테롤로 만들어진 지질 소포를 지칭한다. 이들 소포의 지질은 일반적으로 지질 이중층 형태로 조직된다. 지질 이중층은 일반적으로 지질 이중층의 다수의 양파-유사 쉘 사이에 산재되어 다중 라멜라 지질 소포(MLV)를 형성하거나 무정형 중앙 공동 내에 함유된 부피를 캡슐화한다. 무정형 중심 공동을 갖는 지질 소포는 단일라멜라 지질 소포, 즉 공동을 둘러싸는 단일 말초 이중층을 갖는 것이다. 큰 단일 라멜라 소포(LUV)는 일반적으로 100 nm 내지 수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100 내지 200 nm 이상의 직경을 갖는 반면, 작은 단일 라멜라소포(SUV)는 일반적으로 100 nm 미만, 예를 들어 20 내지 100 nm, 전형적으로 15 내지 30 mm의 직경을 갖는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리포좀은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리포좀내 타우 펩티드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타우 펩티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80%, 85%, 90% 또는 95%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여기서 아미노산 잔기 중 어느 것도 인산화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인산화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는 타우 포스포펩티드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80%, 85%, 90% 또는 95%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시된 아미노산 잔기 중 하나 이상은 인산화된다.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1 내지 3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타우 펩티드는 아미드화된 C-말단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타우 펩티드는 리포좀의 표면상에 제시된다. 타우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리포좀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647,631호 및 9,687,447호의 관련 개시 내용을 참조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는 타우 펩티드가 리포좀의 표면상에 제시될 수 있도록 팔미토일화 또는 도데실 변형과 같은 하나 이상의 변형을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 아미노산 잔기, 예컨대 Lys, Cys 또는 때로는 Ser 또는 Thr이 용이한 변형을 위해 타우 펩티드에 첨가될 수 있다. 지질 앵커의 위치는 상이한 형태의 펩티드 서열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ickman et al., J. Biol. Chem. vol. 286, NO. 16, pp. 13966-13976, April 22, 2011).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양쪽 말단에 소수성 부분을 첨가하면 타우 펩티드의 병리학적 베타-시트 형태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는 양쪽 말단에 소수성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변형된 타우 펩티드는 아미드화된 C-말단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포좀의 표면상에 제시된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38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펩티드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또는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타우 포스포펩티드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헬퍼 T-세포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지칭한다. 헬퍼 T-세포 에피토프의 예는 파상풍 톡소이드(예를 들어, P2 및 P30 에피토프, 또한 각각 T2 및 T30으로도 지칭됨), B 형 간염 표면 항원, 콜레라 독소 B, 톡소이드,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홍역 바이러스 F 단백질,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주요 외막 단백질, 열대열말라리아원충(Plasmodium falciparum) circumsporozite T, 열대열말라리아원충 CS 항원, 만손주혈흡충(Schistosoma mansoni) 트리오스 포스페이트 이소머라제, 백일해(Bordetella pertussis), 파상풍(Clostridium tetani), 퍼투사리아 트라키탈리나(Pertusaria trachythallina), 대장균(Escherichia coli) TraT,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헤마글루티닌(HA)을 포함하나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헬퍼 T-세포 에피토프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예를 들어 Val(V), Ala(A), Arg(R), Gly(G), Ser(S), Lys(K)을 포함하는 펩티드 링커와 같은 링커를 통해 함께 융합된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의 2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링커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1-5 아미노산으로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VVR, GS, RR, R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링커를 통해 함께 융합된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의 3개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아미드화된 C-말단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예를 들어 공유 결합된 소수성 모이어티에 의해 고정된 리포좀 표면에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소수성 모이어티는 알킬기,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스테로이드, 스핑고지 질, 당지질 또는 인지질, 특히 적어도 3개의 탄소 원자, 특히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 특히 적어도 6개의 탄소 원자, 특히 적어도 8개의 탄소 원자, 특히 적어도 12개의 탄소 원자, 특히 적어도 16개의 탄소 원자의 탄소 백본을 갖는 알킬기 또는 지방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소수성 부분은 팔미트산이다. 대안적으로,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좀에 캡슐화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좀에 캡슐화된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리포좀에서 그의 원하는 위치에서 변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유용한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리포좀은 타우 펩티드 및 헬퍼 T-세포 에피토프를 1:1, 2:1, 3:1, 4:1, 5:1 또는 6:1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리포좀은 톨-유사 수용체 리간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주번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또 다른 일반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타우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
헬퍼 T-세포 에피토프; 및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 및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포좀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톨-유사 수용체" 또는 "TLR"은 선천적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패턴 인식 수용체(PRR) 부류를 지칭한다. TLR은 박테리아, 진균, 기생충 및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 병원체로부터 병원체 관련 분자 패턴(PAMP)을 인식하는데, 이는 숙주 분자와 구별될 수 있다. TLR은 전형적으로 이량 체로서 기능하고 항원-제시 수지상 세포 및 식세포 대식세포를 비롯한 선천적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막-스패닝 단백질이다. 적어도 10 종의 인간 TLR 패밀리 구성원, TLR1 내지 TLR10 및 적어도 12 종의 뮤린 TLR 패밀리 구성원, TLR1 내지 TLR9 및 TLR11 내지 TLR13이 있으며, 이들이 인식하는 항원의 유형은 상이하다. 예를 들어, TLR4는 다수의 그램 음성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성 단백질, 다당류 및 저밀도 지단백질, 베타-데펜신 및 열 충격 단백질과 같은 내인성 단백질을 인식하며; TLR9는 원핵 생물 게놈에는 풍부하지만 척추 동물 게놈에는 드문 메틸화되지 않은 시토신-포스페이트-구아닌(CpG)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 디뉴클레오티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뉴클레오티드-감지 TLR이다. TLR의 활성화는 I 형 인터페론(IFN),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생성 및 면역 반응의 유도를 야기하는 일련의 신호 전달 사건을 초래한다. 결국, 이 염증은 또한 적응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침입하는 병원체와 감염된 세포를 제거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리간드"는 생물학적 목적을 제공하기 위해 생체 분자(예를 들어, 수용체)와 복합체를 형성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톨-유사 수용체 리간드가 톨-유사 수용체 작용제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작용제"는 하나 이상의 TLR에 결합하고 수용체 매개 반응을 유도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작용제는 수용체의 활성을 유도, 자극, 증가, 활성화, 촉진, 향상 또는 상향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을 "작용적 활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TLR4 또는 TLR9 작용제는 결합된 수용체를 통해 세포 신호 전달을 활성화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작용제는 핵산, 소분자,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또는 수용체와 결합하거나 상호 작용하는 임의의 다른 분자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작용제는 천연 수용체 리간드의 활성을 모방할 수 있다. 작용제는 서열, 입체 형태, 전하 또는 수용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다른 특성과 관련하여 이들 천연 수용체 리간드와 상동성일 수 있다. 이러한 인식으로 세포 내에서 생리학적 및/또는 생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천연 수용체 리간드가 존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세포가 작용제의 존재에 반응하도록 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톨-유사 수용체 작용제는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 및 톨-유사 수용체 9 작용제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는 TLR4의 작용제로서 작용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의 예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TLR4 작용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또는 MPLA"는 그램 음성 박테리아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내독소의 생물학적 활성 부분인 변형된 형태의 지질 A를 지칭한다. MPLA는 면역 자극 활성을 유지하면서 LPS보다 독성이 적다. 백신 아주번트로서, MPLA는 백신 항원에 대한 세포성 및 체액성 반응을 모두 자극한다. MPLA의 예는 3-O-데사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 모노포스포릴 3-데아실 지질 A 및 이들의 구조적으로 관련된 변이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유용한 MPLA는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거나, 또는 Avanti Polar Lipids(미국 앨라배마 앨러배스터 소재) 제의 3D-(6-아실) PHAD®, PHAD®, PHAD®-504, 3D-PHAD® 또는 다양한 상업적 공급처로부터의 MPLTM과 같이 상업적 공급처로부터 얻을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는 MPLA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톨-유사 수용체 9 작용제"는 TLR9의 작용제로서 작용하는 임의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톨-유사 수용체 9 작용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의 예는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TLR9 작용제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CpG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또는 "CpG ODN"은 적어도 하나의 CpG 모티프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또는 "ODN"은 복수의 연결된 뉴클레오티드 단위로부터 형성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지칭한다. 이러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기존의 핵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거나 합성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CpG 모티프"는 포스페이트 결합 또는 포스포디에스테르 골격 또는 다른 뉴클레오티드 간 연결에 의해 연결된 메틸화되지 않은 시토신-포스페이트-구아닌(CpG) 디뉴클레오티드(즉, 시토신(C)에 이어 구아닌(G))를 함유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지질화, 즉 지질 모이어티에 접합(공유 결합)된다.
본원에 사용된 "지질 모이어티"는 친유성 구조를 함유하는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알킬기,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스테로이드, 스핑고지질, 당지질 또는 인지질, 특히 콜레스테롤과 같은 스테롤 또는 지방산 등의 지질 잔기가 핵산과 같은 고도로 친수성인 분자에 부착되는 경우, 친수성 분자의 혈장 단백질 결합 및 결과적으로 순환 반감기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단백질과 같은 특정 혈장 단백질에 대한 결합은 상응하는 지단백질 수용체(예를 들어, LDL-수용체 HDL-수용체 또는 스캐빈저 수용체 SR-B1)를 발현하는 특정 조직에서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스포펩티드 및/또는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에 접합된 지질 모이어티는 상기 펩티드 및/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소수성 모이어티를 통해 리포좀의 막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관점에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임의의 적합한 뉴클레오티드 간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뉴클레오티드 연결"은 인 원자 및 인접한 뉴클레오시드 사이의 하전 또는 중성 그룹으로 구성된 그들의 당을 통해 두 뉴클레오티드를 연결하는 화학적 연결을 지칭한다. 뉴클레오티드 간 연결의 예는 포스포디에스테르(po), 포스포로티오에이트(ps),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ps2), 메틸포스포네이트(mp) 및 메틸포스포로티오에이트(rp)를 포함한다.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메틸포스포네이트 및 메틸포스포로티오에이트는 뉴클레오티드 간 결합을 안정화시키는 반면, 포스포디에스테르는 자연 발생 뉴클레오티드 간 결합이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는 전형적으로 Rp 및 Sp 포스포로티오에이트 연결의 랜덤 라세미 혼합물로서 합성된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예는 CpG2006(CpG 7909로도 알려짐), CpG 1018, CpG2395, CpG2216, CpG1826 또는 CpG2336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지질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3' 말단은 포스페이트 결합을 통해, 임의로 PEG 링커를 통해 콜레스테롤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친유성 모이어티가 또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3' 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리포좀으로부터 인지질과 동일한 길이의 지질 앵커에 공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임의로 PEG 링커를 통해 하나의 팔미트산 사슬(Pal-OH 또는 유사물 사용, 커플링을 위해 활성화됨) 또는 2개의 팔미트산(예를 들어,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N-(숙시닐) 또는 유사물 사용, 커플링을 위해 활성화됨).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741,297호의 관련 내용을 참조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PEG의 길이는 예를 들어 1 내지 5개의 PEG 단위로 변할 수 있다.
다른 링커는 또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친유성 모이어티(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분자)에 공유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의 예는 3 내지 12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 스페이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미노디올로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화학물질과 상용성인 짧은 링커가 필요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유 결합에는 링커가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Ries et al., "Convenient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versatile nucleic acid lipid membrane anchors in the assembly and fusion of liposomes, Org. Biomol. Chem., 2015, 13, 9673]을 참조하며, 그의 관련 개시는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유용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 간 연결을 포함하고, 뉴클레오티드 서열은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된다.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콜레스테롤 분자에 공유 결합시키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링커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커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리포좀은
타우 포스포펩티드;
헬퍼 T-세포 에피토프;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를 포함하고;
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좀의 표면상에 제시되고, 헬퍼 T-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좀에 캡슐화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리포솜은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또는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타우 펩티드;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여기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 간 연결을 포함하고,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됨); 및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리포좀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릴-3'-rac-글리세롤(DMPG)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리포좀은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완충제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리포좀은 포스페이트-완충 염수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완충제는 히스티딘 및 수크로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리포좀은 DMPC, DMPG, 콜레스테롤,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헬퍼 T-세포 에피토프를 9:1:7:0.07:0.04의 몰비로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본 발명의 리포좀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예시적인 리포솜은 타우 펩티드의 각 말단에서 2개의 팔미트산을 통해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공된 타우 테트라팔미토일화 포스포펩티드(pTau 펩티드 T3, 서열 번호 28); 공유 결합된 콜레스테롤을 통해 리포솜 막 내로 통합된 지질화된 CpG(아주번트 CpG7909-Chol)를 포함하는 TLR-9 리간드; 막에 통합된 TLR-4 리간드(아주번트 3D-(6-아실) PHAD®); 및 캡슐화된 헬퍼 T-세포 에피토프(PAN-DR 바인더 T50)를 포함한다.
접합체
접합체가 본 출원의 조성물을 부스팅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접합체는 타우 펩티드,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한다.
특정 측면에 따르면, 접합체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007
또는 화학식 II의 구조를 가지며: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x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1의 정수이고;
담체는 면역원성 담체를 나타내고;
타우 펩티드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x는 1 내지 10, 2 내지 9, 2 내지 8, 2 내지 7, 2 내지 6, 2 내지 5, 2 내지 4, 또는 2 내지 3의 정수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x는 3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n은 2 내지 15, 3 내지 11, 3 내지 9, 3 내지 8, 또는 3 내지 7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접합체는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접합체의 타우 펩티드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본 개시 내용의 관점에서, 임의의 적합한 타우 펩티드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가 서열 번호 1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80%, 85%, 90% 또는 95%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는 인산화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타우 펩티드는 타우 포스포펩티드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80%, 85%, 90% 또는 95%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제시된 아미노산 잔기 중 하나 이상은 인산화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1 내지 3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면역원성 담체"는 타우 펩티드에 커플링될 수 있는 면역원성 물질을 지칭한다. 타우 펩티드에 커플링된 면역원성 모이어티는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타우 펩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의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면역원성 모이어티는 단백질, 폴리펩티드, 당단백질, 복합 다당류, 입자, 핵산, 폴리뉴클레오티드 등을 포함하는 작동 모이어티로, 외래로 인식되어 숙주로부터 면역학적 반응을 이끌어낸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면역원성 담체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면역원성 담체는 열쇠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KLH), 파상풍 톡소이드, CRM197(비독성 형태의 디프테리아 독소), N. meningitidis로부터의 외막 단백질 혼합물(OMP) 또는 그의 유도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면역원성 담체는 KLH 또는 CRM197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타우 펩티드는 링커를 통해 담체에 접합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링커"는 면역원성 담체를 타우 펩티드에 연결하는 화학적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링커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링커는 예를 들어 단일 공유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알킬 모이어티,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링커, 펩티드 링커, 당-기반 링커 또는 절단 가능한 링커, 예컨대 이황화 결합 또는 프로테아제 절단 부위, 또는 아미노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링커의 예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숙신이미딜 3-(브로모아세트아미도)프로피오네이트(SBAP), m-말레이미도벤조일-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MBS), 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예컨대 Cys, Lys, 또는 때때로 Ser 또는 Thr 또는 이들의 조합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링커는 (C2H4O)x-시스테인-아세트아미도프로피온아미드 또는 m-말레이미도벤조일-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 시스테인 - (C2H4O)x를 포함하고, 여기서 x는 0 내지 10의 정수, 예컨대 0, 1, 2, 3, 4, 5, 6, 7, 8, 9 또는 10이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담체는 링커를 통해 타우 펩티드의 N-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담체는 링커를 통해 타우 펩티드의 C-말단에 공유적으로 연결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접합체는 다음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n은 2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1,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접합체는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합체는 숙신이미딜-3-(브로모아세트아미도)프로피오네이트(SBAP)를 CRM197의 아미노기와 반응시켜 아미드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이 CRM197 전구체는 N-말단 또는 C-말단에서 유리 친핵성 티올기를 갖는 PEG-시스테인 링커에 접합된 타우 펩티드(예를 들어,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와 후속 반응하여 타우 포스포펩티드 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접합체는 담체 단백질 CRM197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다중 타우 포스포펩티드(pTau 펩티드 T3.76)를 포함한다.
약학적 조성물
리포솜 및 접합체는 약학적 조성물로 대상에게 투여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치료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부형제 및/또는 담체를 포함한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15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0 참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제형은 의도된 투여 방식 및 치료적 적용에 의존한다.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비독성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 또는 인간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히클로 정의된다. 희석제는 조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희석제의 예는 증류수, 생리적 인산 완충 염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및 행크액이다. 또, 약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은 또한 다른 담체, 아주번트, 또는 비독성, 비치료성, 비면역원성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특성은 특정 적용을 위한 투여 경로, 예를 들어 근육내, 피하, 경구, 피내, 피부, 점막내(예를 들어, 소화관), 비강내 또는 복강내 경로에 의존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근육내 투여에 적합하다.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프라이밍 조성물 또는 부스팅 조성물과 같은 백신("면역원성 조성물"로도 지칭됨)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동일한 면역원성 타우 펩티드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이한 면역원성 타우 펩티드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신경 질환에 대한 백신과 관련된 또 다른 문제점은 효능을 보장하기 위해 예외적으로 높은 항체 역가가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백신의 표적 항원이 뇌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뇌는 혈액 뇌 장벽(BBB)이라는 특수한 세포 구조에 의해 순환으로부터 분리된다. BBB는 순환계에서 뇌로 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것은 독소, 미생물 등이 중추 신경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BBB는 또한 면역 매개체(예를 들어, 항체)가 뇌를 둘러싸는 간질액 및 뇌척수액으로 효율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재적으로 덜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전신 순환에 존재하는 항체의 대략 0.1%가 BBB를 가로질러 뇌로 들어간다. 이는 CNS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백신에 의해 유도된 전신 역가가 뇌에서 효과적이 도록 최소 유효 역가보다 적어도 1000 배 더 커야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아주번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에 따라, 리포좀 또는 접합체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타우 펩티드는 대상에서 원하는 면역 반응을 달성하기 위해 적합한 아주번트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아주번트는 본 발명의 리포좀 또는 접합체의 투여 전, 후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아주번트는 정성적 형태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면역원의 형태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면역원에 대한 고유한 반응을 증강시킨다. 아주번트의 예는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및 황산알루미늄과 같은 알루미늄염(명반)이다. 아주번트의 다른 예는 CpG, 예컨대 CpG2006(CpG 7909로도 알려짐), CpG 1018, CpG2395, CpG2216, CpG1826 또는 CpG2336을 포함한다. 이러한 아주번트는 MPLA 류(3 De-O-아실화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TM),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 합성(3D-(6-아실) PHAD®), PHAD™, PHAD®-504, 3D-PHAD®) 지질 A, 폴리글루탐산 또는 폴리리신과 같은 중합체 또는 단량체 아미노산와 같은 다른 특정 면역자극제와 함께 또는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주번트는 다른 특정 면역자극제, 예컨대 뮤라밀 펩티드(예를 들어, N-아세틸뮤라밀-L-트레오닐-D-이소글루타민(thr-MDP), N-아세틸-노르뮤라밀-L-알라닐-D-이소글루타민(nor-MDP), N-아세틸뮤라밀-L-알라닐-D-이소글루타미닐-L-알라닌-2-(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하이드록시포스포릴옥시)-에틸아민(MTP-PE), N-아세틸글루코사미닐-N-아세틸뮤라밀-L-Al-D-이소글루-L-Ala-디팔미톡시 프로필아미드(DTP-DPP) Theramide™), 또는 다른 박테리아 세포벽 성분과 함께 또는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수중유 에멀젼은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서브미크론 입자로 제형화된 5% 스쿠알렌, 0.5% Tween 80 및 0.5% Span 85(임의로 다양한 양의 MTP-PE를 함유함)를 함유하는 MF59(WO 90/14837 참조); 서브마이크론 에멀젼으로 미세유동화되거나 더 큰 입자 크기의 에멀젼을 생성하기 위해 와동된 10% 스쿠알렌, 0.4% Tween 80, 5% 플루로닉-차단 중합체 L121 및 thr-MDP를 함유하는 SAF; 및 0.2% Tween 80, 및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TM), 트레할로스 디마이콜레이트(TDM) 및 세포벽 골격(CW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균 세포벽 성분을 함유하는 Ribi™ 아주번트 시스템(RAS)(Ribi ImmunoChem, Hamilton, Mont.), 바람직하게는 MPLTM + CWS(Detox™)를 포함한다. 다른 아주번트는 CFA(완전 프로인트 아주번트(Complete Freund's Adjuvant)) 및 인터루킨(IL-1, IL-2 및 IL-12)과 같은 사이토카인,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M-CSF) 및 종양 괴사 인자(TNF)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대상에서 원하는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활성 성분 또는 구성분분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명시된 목적과 관련하여 경험적으로, 그리고 일상적인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의 투여량 범위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시험관 내 분석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유효 용량의 선택은 치료 또는 예방할 질환, 관련 증상, 환자의 체질량, 환자의 면역 상태 및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알려진 기타 요인을 포함한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예를 들어, 임상 시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제형에 사용되는 정확한 용량 역시 투여 경로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달라지며, 의사의 판단과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유효 용량은 시험관 내 또는 동물 모델 시험 시스템에서 파생된 용량-반응 곡선에서 외삽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치료적 유효량"은 "면역학적 유효량"이며, 이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원하는 면역 효과 또는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면역학적 유효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면역학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병태에 대한 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대상에서 면역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면역학적 유효량은 대상의 신체 상태, 연령, 체중, 건강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면역학적 유효량은 본 개시 내용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면역원성 조성물은 부스팅 조성물의 투여 전에 투여되는, 면역 반응을 프라이밍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라이밍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프라이밍 조성물은 면역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리포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면역원성 조성물은 부스팅 조성물의 투여 후에 투여되는, 면역 반응을 부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스팅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부스팅 조성물은 면역학적 유효량의 본원에 기재된 접합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스솜을 포함하는 면역원성 조성물은 면역 반응을 프라이밍하기 위한 프라이밍 조성물 및 면역 반응을 부스팅하기 위한 부스팅 조성물 둘 모두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밍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부스팅 조성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부스팅 조성물은 복수회 투여될 수 있다.
대상에게 2 이상의 요법을 투여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원에 사용된 용어 "조합하여"는 복수의 요법의 사용을 지칭한다. "조합하여"라는 용어의 사용은 요법이 대상에게 투여되는 순서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요법(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리포좀 조성물)은 대상에게 제2 요법(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접합체 조성물)의 투여 전(예를 들어, 5분, 15분, 30분, 45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16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8주, 12주 또는 그 이상의 주 수전), 동시 또는 이후(예를 들어, 5분, 15분, 30분, 45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16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8주, 또는 12주 또는 그 이상의 주 수후)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조성물 중 각 성분의 최적 비율은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리포솜 및 히스티딘 또는 글리신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및/또는 글루코스 또는 수크로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완충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예컨대 히스티딘 또는 글리신, 하나 이상의 탄수화물, 예컨대 글루코스 또는 수크로스, 및/또는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20 등을 포함하는 완충제를 포함한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은 타우 펩티드를 포함하는 리포솜 백신 및 면역원성 담체에 접합된 타우 펩티드를 포함하는 접합 백신을 사용하여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프라이밍하고 부스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일반적인 측면에서,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헬퍼 T-세포 에피토프;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를 함유하는 아주번트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
을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되고, 프라이밍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함); 및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의 구조 또는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갖고: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x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의 정수이고;
n은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의 정수이고;
타우 펩티드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내고;
담체는 열쇠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KLH), 파상풍 톡소이드, CRM197 및 N. meningitidis로부터의 외막 단백질 혼합물(OM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담체 또는 그의 유도체를 나타내고;
타우 펩티드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내고;
제1 부스팅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 및 서열 번호 5 내지 서열 번호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함).
특정 실시양태에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본원에 기재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아주번트와 함께 투여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및 황산알루미늄과 같은 알루미늄 염(명반) 중 하나 이상 및/또는 CpG2006(또한 CpG 7909이라고도 함), CpG 1018, CpG2395, CpG2216, CpG1826 또는 CpG2336 중 하나 이상과 함께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동일하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상이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에피토프를 공유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면역원성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측면에 따르면, 면역 반응은 인산화된 타우 단백질, 바람직하게는 ePHF에 대한 유도된 항체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 예컨대 약 27, 28, 29, 30, 21 또는 32일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 예컨대 약 82, 83, 84, 85, 86 또는 87일에 재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면역원성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 예컨대 약 167, 168, 169, 170, 171 또는 172일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 예컨대 약 82, 83, 84, 85, 86 또는 87일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2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 예컨대 약 27, 28, 29, 30, 21 또는 32일에 투여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 예컨대 약 167, 168, 169, 170, 171 또는 172일에 재투여된다.
당업자는 본원의 교시 및 임상 경험에 기초하여 프라이밍 및 부스팅 조성물의 정확한 시기, 그의 투여 빈도, 그의 투여량 등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프라이머 및 부스팅 조성물은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프라이밍 조성물; 부스팅 조성물; 리포솜; 및/또는 접합체 등의 실시양태는 상기 및 하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세히 논의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도한다" 및 "자극한다" 및 그의 변형은 세포 활성의 임의의 측정 가능한 증가를 지칭한다. 면역 반응의 유도는 예를 들어 면역 세포 집단의 활성화, 증식 또는 성숙, 사이토카인의 생성 증가 및/또는 증가된 면역 기능의 다른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면역 반응의 유도는 B 세포의 증식 증가, 항원-특이적 항체 생성, 항원-특이적 T 세포의 증식 증가, 수지상 세포 항원 제시 개선 및/또는 특정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및 공동-자극 마커의 발현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
동물 또는 인간 유기체에 투여시 항-타우 면역 반응을 유도 또는 자극하는 능력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표준인 다양한 분석법을 사용하여 시험관 내 또는 생체 내에서 평가될 수 있다. 면역 반응의 개시 및 활성화를 평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예를 들어 [Coligan et al. (1992 and 1994,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ed. J Wiley & Sons Inc, National Institute of Health)]를 참조한다. 세포 면역의 측정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CD4+ 및 CD8+ T-세포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하는 활성화된 이펙터 세포에 의해 분비된 사이토카인 프로파일의 측정, (예를 들어, ELISPOT에 의한 IL-4 또는 IFN 감마-생산 세포의 정량화), 면역 이펙터 세포의 활성화 상태 결정(예를 들어, 고전적인 [3H] 티미딘 흡수에 의한 T-세포 증식 분석), 감작된 대상에서 항원-특이적 T 림프구의 분석(예를 들어, 세포 독성 분석에서 펩티드 특이적 용해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세포 및/또는 체액성 반응을 자극하는 능력은 대상으로부터의 생물학적 샘플(예를 들어, 혈액, 혈장, 혈청, PBMC, 소변, 타액, 대변, CSF 또는 림프액)에 대해 약학적 조성물로 투여된 면역원성 타우 펩티드(들)에 대한 항체의 존재를 검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Harlow, 1989, Antibodies, Cold Spring Harbor Press 참조). 예를 들어, 면역원을 제공하는 조성물의 투여에 반응하여 생성된 항체의 역가는 효소-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 메조 스케일 디스커버리(MSD), 도트 블롯, SDS-PAGE 겔, ELISPOT 또는 항체-의존성 세포성 식세포 작용(ADCP) 분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우 펩티드를 함유하는 리포솜 백신 및 면역원성 담체에 접합된 타우 펩티드를 포함하는 접합 백신을 사용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본원의 교시 및 임상 경험에 기초하여 부스팅 조성물, 프라이밍 및 부스팅 조성물의 정확한 시기, 투여 빈도, 투여량 등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프라이머 및 부스팅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프라이밍 조성물; 부스팅 조성물; 리포솜; 및/또는 접합체 등의 실시양태는 상기 및 하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세히 논의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은 동물을 지칭한다. 특정 구체예에 따라, 대상은 비영장류(예를 들어, 낙타, 당나귀, 얼룩말, 소, 돼지, 말, 염소, 양, 고양이, 개, 래트, 토끼, 기니피그 또는 마우스) 또는 영장류(예를 들어, 원숭이, 침팬지 또는 인간)를 포함하는 포유동물이다. 특정 구체예에 따라, 대상은 인간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한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모두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가능한 물리적 파라미터의 개선 또는 역전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는 대상에서 반드시 식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상에서 식별가능할 수는 있다. 용어 "치료한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또한, 퇴행을 야기하거나, 진행을 예방하거나, 적어도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진행을 둔화시키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치료한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발생 또는 발병의 예방, 또는 지속기간의 감소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치료한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재발 방지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치료한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의 생존율 증가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치료한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대상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제거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치료적 유효량은 하기 효과 중 1, 2, 3, 4, 또는 그 이상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요법의 양을 지칭한다: (i)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의 중증도를 감소 또는 개선함; (ii)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의 지속기간을 감소시킴; (iii)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의 진행을 예방함; (iv)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의 퇴행을 야기함; (v)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의 발생 또는 발병을 예방함; (vi)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의 재발을 방지함; (vii)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갖는 대상의 입원을 감소시킴; (viii)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갖는 대상의 입원 기간을 감소시킴; (ix)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갖는 대상의 생존율을 증가시킴; (x) 대상에서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킴; 및/또는 (xi) 다른 요법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효과(들)를 향상시키거나 개선함.
본원에 사용된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본 개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포함한다.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예는 신경원섬유 병변의 형성에 의해 유발되거나 이와 관련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타우병증으로 지칭되는 타우 관련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권투선수 치매, 다운 증후군, 게르스트만 슈트로이슬러 샤잉커(Gerstmann-Straeussler-Scheinker) 병, 봉입체 근염, 프리온 단백질 뇌 아밀로이드 맥관장애, 외상성 뇌 손상,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괌의 파킨슨증-치매 복합체(parkinsonism-dementia complex of Guam), 신경원섬유 매듭을 동반하는 비-괌(non-Guamanian) 운동 신경세포병, 은친화성 과립성 치매(argyrophilic grain dementia), 피질기저핵변성, 루이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석회화가 있는 확산성 신경원섬유 매듭, 전측두엽 치매, 바람직하게는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증을 동반하는 전측두엽 치매(FTDP-17), 이마관자엽 치매, 할러포르텐-스파츠병(Hallervorden-Spatz disease), 다계통위축, C형 니만-픽병(Niemann-Pick disease type C), 픽병, 진행성 피질하 신경교증, 진행성 핵상 마비(PSP),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매듭 단독 치매, 뇌염 후 파킨슨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 뇌혈관병증 또는 루이소체 치매(LBD)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타우 및 아밀로이드 병리의 공존을 나타내는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알츠하이머병 또는 다른 타우병증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임상 경과는 인지 및 기능 장애의 진행 패턴과 함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단계는 예를 들어 NIA-AA 연구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등급 척도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IA-AA Research Framework를 포함한 당업계에 공지된 등급화 스케일을 사용하여 단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ubois et al., Alzheimer's & Dementia 12 (2016) 292-323, Dubois et al., Lancet Neurol 2014; 13: 614-29, Jack et al., Alzheimer's & Dementia 14 (2018) 535-562 (각각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참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병태는 초기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도 인지 장애(MCI), 경도 알츠하이머병, 또는 경도 내지 중등도 알츠하이머병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은 뇌에서 아밀로이드 양성이지만 아직 유의한 인지 장애를 나타내지 않는다. 뇌에서의 아밀로이드 침착은 PET 스캔, 면역침전 질량 분석법 또는 기타 방법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의 뇌로부터 타우 응집체의 제거를 촉진하기에 효과적인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의 뇌로부터 타우 응집체의 제거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라, 타우 응집체는 신경원섬유 매듭 또는 그의 병리적 타우 전구체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에서 타우 병리 관련 행동 표현형의 진행을 늦추는데 효과적인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에서 타우-병리 관련 행동 표현형의 진행을 늦추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를 통한 타우 펩티드의 투여는 대상에서 타우 펩티드 및 병리학적 타우 형태에 대한 활성 면역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관련 타우 응집체의 제거를 촉진시키고, 타우-병리 관련 행동의 진행을 늦추고/거나 기저 타우병증을 치료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면역 반응은 타우 펩티드에 대한 유익한 체액성(항체 매개성) 반응 및 T-세포 에피토프 또는 면역원성 담체에 대한 세포(항원성-특이적 T 세포 또는 이들의 분비 산물에 의해 매개됨) 반응의 발달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타우 병리 관련 행동 표현형은 인지 장애, 초기 성격 변화 및 탈억제, 무관심, 무의지, 무언증, 운동불능, 고집증, 정형화 움직임/행동, 과탐식, 무체계, 순차적 작업의 계획 또는 조직화 불능, 이기심/냉담, 반사회적 특성, 공감 부족, 주저함, 빈번한 착어증 오류가 있지만 이해력은 있는 비문법적 말투, 이해력 장애 및 단어 찾기 결손, 서서히 진행되는 걸음걸이 불안정, 후방돌진, 쌀쌀맞음, 빈번한 낙상, 비-레보도파 반응성 축 경직, 핵상 응시 마비, 사각파 떨림, 느린 단속적 운동, 가성구마비, 사지 실행증, 긴장 이상, 피질 감각 상실 및 떨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면역원성 펩티드 또는 항체를 투여하기 전에 알츠하이머병 또는 다른 타우병증을 앓고 있거나 걸릴 위험이 있는 대상, 뇌에 타우 응집체를 갖는 대상, 또는 매듭 관련 행동 표현형을 나타내는 대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가 가능한 대상은 현재 증상을 보이는 환자뿐만 아니라 질환의 위험이 있지만 증상을 보이지 않는 개체를 포함한다.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사실상 거의 모든 사람이 알츠하이머병으로 고통받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방법은 대상 환자의 위험을 평가할 필요없이 일반 집단에게 예방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위험이 알려진 개인에게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개체에는 질환을 경험한 친척이 있고 유전 또는 생화학적 마커의 분석에 의해 위험이 결정된 개체가 포함된다.
무증상 환자에서, 치료는 임의의 연령(예를 들어, 10, 20, 30 대 연령)에서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환자는 40, 50, 60 또는 70 세가 될 때까지 치료를 시작할 필요는 없다. 치료는 전형적으로 일정 기간에 걸쳐 다중 투여량을 수반한다. 치료는 경시적으로 치료제에 대한 항체, 또는 활성화된 T-세포 또는 B-세포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모니터링될 수 있다. 반응이 감소하면 부스터 용량이 제시된다.
예방적 적용에서, 타우 펩티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생화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행동 증상, 질환의 전개 중에 나타나는 그의 합병증 및 중간 병리학적 표현형을 포함하여, 알츠하이머병 또는 다른 타우병증에 걸리기 쉽거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위험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거나, 중증도를 경감시키거나 질환 발생을 지연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된다. 치료적 응용에서, 타우 펩티드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전개 중에 그의 합병증 및 중간 병리학적 표현형을 포함하여, 질환의 증상(생화학적, 조직학적, 및/또는 행동)을 치유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지시키거나, 지연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이러한 질환이 의심되거나 이러한 질환을 이미 앓고 있는 환자에게 투여된다.
신경변성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 용량은 투여 방식, 표적 부위, 환자의 생리학적 상태, 투여되는 다른 약물, 및 치료가 예방 또는 치료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의 양은 아주번트가 또한 투여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아주번트가 없는 경우 더 높은 투여량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대상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적어도 1회 투여되고 부스팅 조성물은 적어도 1회 투여된다. 각각의 프라이밍 및 부스팅 조성물의 항원은 많은 부스팅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 동일할 필요는 없더라도 항원 결정기를 공유하거나 서로 실질적으로 유사해야 한다.
프라이밍 및 부스팅 투여를 위한 요법은 투여 후 측정된 면역 반응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한다. 예를 들어, 부스팅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프라이밍 조성물의 투여 후 수 주 또는 수 개월, 예를 들어 프라이밍 조성물의 투여 후, 약 2주, 또는 약 3주 또는 약 4주, 또는 약 8주, 또는 약 12주, 또는 약 16주, 또는 약 20주, 또는 약 24주, 또는 약 26주, 또는 약 28주, 또는 약 30주 또는 약 32주 또는 약 36주 또는 약 1 내지 2년에 투여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비경구, 국소, 정맥 내, 경구, 피하, 동맥 내, 두개 내, 복강 내, 피내, 비강 내 또는 근육 내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면역원제의 가장 전형적인 투여 경로는 피하 또는 근육 내 주사이다. 후자의 주사 유형은 팔 또는 다리 근육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조성물은 원하는 경우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단위 투여 형태를 함유할 수 있는 키트, 팩 또는 디스펜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는 블리스터 팩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호일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 팩 또는 디스펜서는 투여 지침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키트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리포솜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접합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양태를 제공한다.
실시양태 1은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바람직하게는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또는 ePHF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b. 헬퍼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됨 -; 및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의 구조 또는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갖고: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상기 식에서,
x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의 정수이고;
n은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의 정수이고;
담체는 면역원성 담체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면역원성 담체는 열쇠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KLH), 파상풍 톡소이드, CRM197 및 N. meningitidis로부터의 외막 단백질 혼합물(OMP) 또는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타우 펩티드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낸다.
실시양태 2는 실시양태 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타우 포스포펩티드이다.
실시양태 3은 실시양태 1 또는 2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톨-유사 수용체 리간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4는 실시양태 3의 방법으로서, 톨-유사 수용체 리간드는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 및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5는 실시양태 3 또는 4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톨-유사 수용체 리간드는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이다.
실시양태 6은 실시양태 5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7은 실시양태 3 또는 4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톨-유사 수용체 리간드는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이다.
실시양태 8은 실시양태 7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9는 실시양태 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프라이밍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한다:
a. 타우 펩티드;
b.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및
c. i.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 및
ii. 톨 유사 수용체 4 리간드 중 적어도 하나.
실시양태 10은 실시양태 9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타우 펩티드는 타우 포스포펩티드이다.
실시양태 11은 실시양태 9 또는 10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다.
실시양태 12는 실시양태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 및 톨-유사 수용체 9 리간드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13은 실시양태 12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14는 실시양태 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프라이밍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타우 포스포펩티드;
헬퍼 T-세포 에피토프;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를 함유하는 아주번트;
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된다.
실시양태 15는 실시양태 14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는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16은 실시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솜에 캡슐화된다.
실시양태 16a는 실시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솜의 막에 통합된다.
실시양태 16b는 실시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된다.
실시양태 17은 실시양태 1 내지 16b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프라이밍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타우 포스포펩티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
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되고,
T 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솜에 캡슐화된다.
실시양태 17a는 실시양태 17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MPLA는 3-O-데사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바람직하게는 MPL™이다.
실시양태 17b는 실시양태 17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MPLA는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 바람직하게는 3D-(6-아실) PHAD®)이다.
실시양태 17c는 실시양태 17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MPLA는 모노포스포릴 3-데아실 지질 A, 바람직하게는 3D-PHAD®이다.
실시양태 18은 실시양태 1 내지 17c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프라이밍 조성물의 리포솜 조성물은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릴-3'-rac-글리세롤(DMPG)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19는 실시양태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12, 또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85%, 90% 또는 95%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실시양태 19-1은 실시양태 19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및 5 내지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포스포펩티드이다.
실시양태 19-2는 실시양태 19-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19-3은 실시양태 19-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19-4는 실시양태 19-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19a는 실시양태 19, 19-1, 19-2, 19-3 및 19-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아미노산 서열은 리포솜 표면상에 타우 펩티드가 제시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변형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19b는 실시양태 19a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변형은 팔미토일화 및 도데실 변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19c는 실시양태 19a 또는 19b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그의 N-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다.
실시양태 19d는 실시양태 19a 내지 19c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그의 C-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변형에 의해 변형된다.
실시양태 19e는 실시양태 19d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N-말단과 C-말단 모두에서 팔미토일화된다.
실시양태 19f는 실시양태 19a 내지 19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변형을 촉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 아미노산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19g는 실시양태 19f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하나 이상의 추가 아미노산은 Lys, Cys, Ser 및 Th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양태 19h는 실시양태 19 내지 19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그의 C-말단에서 아미드화된다.
실시양태 19i는 실시양태 19 내지 19h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19j는 실시양태 19 내지 19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19k는 실시양태 19 내지 19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19l은 실시양태 19 내지 19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20은 실시양태 1 내지 19l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20a는 실시양태 20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20b는 실시양태 20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20c는 실시양태 20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의 4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20d는 실시양태 20a 내지 20c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서열 번호 23 내지 서열 번호 2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은 링커에 의해 공유적으로 연결된다.
실시양태 20e는 실시양태 20d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링커는 Val(V), Ala(A), Arg(R), Gly(G), Ser(S), Lys(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20f는 실시양태 20e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링커는 VVR, GS, RR 및 RK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20g는 실시양태 20 내지 20f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그의 C-말단에서 아미드화된다.
실시양태 20h는 실시양태 20 내지 20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의 의도된 위치에 따라 리포좀의 막 내로의 삽입, 리포좀의 표면상의 제시 또는 리포좀 내의 캡슐화를 위해 변형된다.
실시양태 20i는 실시양태 20 내지 20h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20j는 실시양태 1 내지 20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6:1의 중량비로 타우 펩티드 및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0k는 실시양태 1 내지 20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5:1의 중량비로 타우 펩티드 및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0l은 실시양태 1 내지 20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4:1의 중량비로 타우 펩티드 및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0m은 실시양태 1 내지 20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3:1의 중량비로 타우 펩티드 및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0n은 실시양태 1 내지 20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2:1의 중량비로 타우 펩티드 및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0o는 실시양태 1 내지 20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1:1의 중량비로 타우 펩티드 및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1은 실시양태 1 내지 20o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21a는 실시양태 2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타이드간 연결을 갖는다.
실시양태 21b는 실시양태 21a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모든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타이드간 연결을 갖는다.
실시양태 21c는 실시양태 21 내지 21b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링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친유성 기에 공유 연결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1d는 실시양태 21c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링커는 (C2H4O)n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다.
실시양태 21e는 실시양태 21c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링커는 3 내지 12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21f는 실시양태 21 내지 21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친유성 기는 콜레스테롤이다.
실시양태 21g는 실시양태 21 내지 21f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C2H4O)n을 포함하는 링커를 통해 콜레스테롤 분자에 공유 연결된 서열 번호 18 또는 서열 번호 1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3 내지 5의 정수이다.
실시양태 22는 신경변성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에서 타우 단백질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여기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간 연결을 포함하고,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됨); 및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에게 링커를 통해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와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 및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상기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의 구조 또는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갖고: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상기 식에서,
x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의 정수이고;
n은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의 정수이고;
담체는 면역원성 담체를 나타내고;
타우 펩티드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낸다).
실시양태 22a는 실시양태 22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서열 번호 27, 서열 번호 28 또는 서열 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b. 서열 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c. (C2H4O)n을 포함하는 링커를 통해 콜레스테롤에 공유 연결된 서열 번호 18 또는 서열 번호 19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이루어진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여기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임); 및
d.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
실시양태 22b는 실시양태 22 또는 22a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MPLA는 3-O-데사실-4'-모노포스포릴 지질 A, 바람직하게는 MPL™이다.
실시양태 22c는 실시양태 22 또는 22a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MPLA는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 바람직하게는 3D-(6-아실) PHAD®)이다.
실시양태 22d는 실시양태 22 또는 22a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MPLA는 모노포스포릴 3-데아실 지질 A, 바람직하게는 3D-PHAD®이다.
실시양태 23은 실시양태 22 내지 22d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헬퍼 T 세포 에피토프는 리포솜에 캡슐화된다.
실시양태 24는 실시양태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x는 2 내지 6의 정수이다.
실시양태 25는 실시양태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x는 3이다.
실시양태 26은 실시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n은 3 내지 7이다.
실시양태 27은 실시양태 1 내지 2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담체는 열쇠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KLH), 파상풍 톡소이드, CRM197, 및 N. meningitidis로부터의 외막 단백질 혼합물(OMP), 또는 그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담체이다.
실시양태 28은 실시양태 1 내지 2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접합체의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 및 서열 번호 5 내지 서열 번호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28a는 실시양태 28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와 접합체의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동일하다.
실시양태 28b는 실시양태 28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와 접합체의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상이하다.
실시양태 28c는 실시양태 28b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접합체의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에피토프를 공유한다.
실시양태 29는 실시양태 28 내지 28c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서열 번호 2 또는 서열 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0은 실시예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담체는 CRM197이다.
실시양태 31은 실시양태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17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이다.
실시양태 32는 실시양태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접합체로서,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18
상기 식에서,
타우 펩티드는 서열 번호 1, 서열 번호 2 또는 서열 번호 3으로 이루어지고;
x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15의 정수이고;
타우 펩티드는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내고;
KLH는 열쇠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을 나타낸다.
실시양태 33은 실시양태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면역원성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33a는 실시양태 33의 방법으로서, 프라이밍 조성물, 제1 부스팅 조성물 및/또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은 아주번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33b는 실시양태 33a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아주번트는 TLR-4 리간드 및 TLR-9 리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양태 34는 실시양태 1 내지 33b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 바람직하게는 약 29일에 투여된다.
실시양태 35는 실시양태 34의 방법으로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 바람직하게는 약 85일에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재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36은 실시양태 35의 방법으로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 바람직하게는 약 169일에 제2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37은 실시양태 1 내지 33b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에, 바람직하게는 약 85일에 투여된다.
실시양태 38은 실시양태 37의 방법으로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 바람직하게는 약 29일에 제2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39는 실시양태 35의 방법으로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 바람직하게는 약 169일에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재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40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다: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여기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간 연결을 포함하고,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는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됨); 및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됨);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링커를 통해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와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가지며:
Figure pct00019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실시양태 41은 실시양태 40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 바람직하게는 약 29일에 투여된다.
실시양태 42는 실시양태 41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 바람직하게는 약 85일에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재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43은 실시양태 42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 바람직하게는 약 169일에 면역원성 유효량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44는 실시양태 40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은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82 내지 87일, 바람직하게는 약 85일에 투여된다.
실시양태 45는 실시양태 44의 방법으로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27 내지 32일, 바람직하게는 약 29일에 면역원성 유효량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46은 실시양태 45의 방법으로서, 프라이밍 조성물이 첫 투여된 후 약 167 내지 172일, 바람직하게는 약 169일에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재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양태 46a는 실시양태 1 내지 4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하나 이상의 아주번트와 함께 투여된다.
실시양태 46b는 실시양태 46a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아주번트는 알루미늄 염, 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및 황산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46c는 실시양태 46a 또는 46b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아주번트는 CpG, 예를 들어 CpG2006(CpG 7909로도 알려짐), CpG 1018, CpG2395, CpG2216, CpG1826 또는 CpG1826을 포함한다.
실시양태 46d는 실시양태 46c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알루미늄 염, 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알루미늄, 및 황산알루미늄, 및 CpG, 예컨대 CpG2006(또한 공지됨 CpG 7909), CpG 1018, CpG2395, CpG2216, CpG1826 또는 CpG2336과 같은 알루미늄 염과 함께 투여된다.
실시양태 46e는 실시양태 46d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인산알루미늄 및 CpG 1018과 함께 투여된다.
실시형태 46f는 실시양태 46d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수산화알루미늄 및 CpG 7909와 함께 투여된다.
실시양태 46g는 실시양태 46d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황산알루미늄 및 CpG 2395와 함께 투여된다.
실시양태 46h는 실시양태 46d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는 수산화알루미늄 및 CpG1826과 함께 투여된다.
실시양태 47은 실시양태 1 내지 46h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는 신경원섬유 병변의 형성에 의해 야기되거나 그와 연관된다.
실시양태 48은 실시양태 1 내지 4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권투선수 치매, 다운 증후군, 게르스트만 슈트로이슬러 샤잉커(Gerstmann-Straeussler-Scheinker) 병, 봉입체 근염, 프리온 단백질 뇌 아밀로이드 맥관장애, 외상성 뇌 손상,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괌의 파킨슨증-치매 복합체(parkinsonism-dementia complex of Guam), 신경원섬유 매듭을 동반하는 비-괌(non-Guamanian) 운동 신경세포병, 은친화성 과립성 치매(argyrophilic grain dementia), 피질기저핵변성, 루이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석회화가 있는 확산성 신경원섬유 매듭, 전측두엽 치매, 바람직하게는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증을 동반하는 전측두엽 치매(FTDP-17), 이마관자엽 치매, 할러포르텐-스파츠병(Hallervorden-Spatz disease), 다계통위축, C형 니만-픽병(Niemann-Pick disease type C), 픽병, 진행성 피질하 신경교증, 진행성 핵상 마비,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매듭 단독 치매, 뇌염 후 파킨슨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 뇌혈관병증 또는 루이소체 치매(LBD)이다.
실시양태 49는 실시양태 1 내지 4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운 증후군, 진행성 핵상 마비(PSP), 전측두엽 치매 및 염색체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병(FTDP- 17), 픽병 및 PART(일차 연령 관련 타우병증), 피질기저핵변성, 루이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근긴장성 실어증,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 뇌혈관병증, 또는 루이소체 치매(LBD)이다.
실시양태 50은 실시양태 1 내지 4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는 알츠하이머병, 진행성 핵상 마비(PSP), 전측두엽 치매 및 염색체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병(FTDP-17), 또는 픽병 및 PART(일차 연령 관련 타우병증)이다.
실시양태 51은 실시양태 1 내지 5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다운 증후군, 전측두엽 치매 및 염색체 17과 연결된 파킨슨병(FTDP-17), 피질기저핵변성, 루이소체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근긴장성 발기부전,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 뇌혈관병증 또는 루이소체 치매(LBD)이다.
실시양태 51a는 실시양태 1 내지 5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는 초기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도 인지 장애(MCI), 경도 알츠하이머병 또는 경도 내지 중등도 알츠하이머병이다.
실시양태 52는 실시양태 1 내지 51a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된 프라이밍 조성물 및 제1 부스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합, 예컨대 키트이다.
실시양태 53은 실시양태 1 내지 51a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의 방법 또는 실시양태 52의 조합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용량당 약 25 nmoles 내지 약 750 nmoles,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715 nmoles 또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535 nmoles, 예컨대 용량당 약 25 nmoles, 약 30 nmoles, 약 35 nmoles, 약 40 nmoles, 약 45 nmoles, 약 50 nmoles, 약 55 nmoles, 약 60 nmoles, 약 65 nmoles, 약 70 nmoles, 약 75 nmoles, 약 80 nmoles, 약 85 nmoles, 약 90 nmoles, 약 95 nmoles, 약 100 nmoles, 약 125 nmoles, 약 150 nmoles, 약 175 nmoles, 약 200 nmoles, 약 225 nmoles, 약 250 nmoles, 약 275 nmoles, 약 300 nmoles, 약 325 nmoles, 약 350 nmoles, 약 375 nmoles, 약 400 nmoles, 약 425 nmoles, 약 450 nmoles, 약 475 nmoles, 약 500 nmoles, 약 525 nmoles, 약 550 nmoles, 약 575 nmoles, 약 600 nmoles, 약 625 nmoles, 약 650 nmoles, 약 675 nmoles, 약 700 nmoles, 약 725 nmoles, 약 750 nmoles, 또는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한다.
실시양태 53a는 실시양태 1 내지 51a 중 어느 하나 또는 실시양태 52의 조합의 방법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용량당 약 25 nmoles 내지 약 750 nmoles, 예컨대 약 29.7 nmoles 내지 약 742.5 nmoles, 바람직하게는 약 90 nmoles 내지 약 715 nmoles, 예컨대 약 89.1 nmoles 내지 약 712.8 nmoles, 또는 약 90 nmoles 내지 약 535 nmoles, 예컨대 약 89.1 nmoles 내지 약 534.6 nmoles, 또는 약 90 nmoles 내지 약 268 nmoles, 예컨대 약 89.1 nmoles 내지 약 267.3 nmoles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한다.
실시형태 53b는 실시형태 53 또는 53a의 방법 또는 조합으로서, 여기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약 100 ㎍ 내지 약 2500 ㎍, 바람직하게는 약 300 ㎍ 내지 약 2400 ㎍, 예컨대 약 100 ㎍, 약 150 ㎍, 약 200 ㎍, 약 250 ㎍, 약 300 ㎍, 약 400 ㎍, 약 500 ㎍, 약 600 ㎍, 약 700 ㎍, 약 800 ㎍, 약 900 ㎍, 약 1000 ㎍, 약 1100 ㎍, 약 1200 ㎍, 약 1300 ㎍, 약 1400 ㎍, 약 1500 ㎍, 약 1600 ㎍, 약 1700 ㎍, 약 1800 ㎍, 약 1900 ㎍, 약 2000 ㎍, 약 2100 ㎍, 약 2200 ㎍, 약 2300 ㎍, 약 2400 ㎍, 약 2500 ㎍, 또는 이들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의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함유한다.
실시양태 53c는 실시양태 53 내지 53b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조합으로서,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38 중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53d는 실시양태 53c의 방법 또는 조합으로서,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54는 실시양태 53 내지 53d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조합으로서, 여기서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양태 54a는 실시양태 54의 방법 또는 조합으로서, 여기서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서열 번호 1, 2 또는 3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실시예 1
리포솜 백신의 제조
대조 리포좀 백신의 제조(에탄올 주입 기술)
에탄올(EtOH) 주입 기술에 이어 압출에 의해 대조 리포좀 백신을 제조하였다. 먼저, DMPC(Lipoid GmbH,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DMPG(Lipoid GmbH,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콜레스테롤(Dishman, 네덜란드 소재) 및 MPLA(Avanti Polar Lipids, 미국 앨라바마 소재)를 60 ℃에서 EtOH와 tert-부탄올(t-BuOH)의 20:1(V/V) 혼합물 중에 9:1:7:0.05의 몰비로 용해시켰다. 지질/에탄올 용액을 60 ℃에서 인산염 완충 염수(PBS) pH 7.4로 희석하여 10% EtOH 농도를 유지하고 다중 라멜라 리포좀 소포(MLV)를 형성시켰다. 이어서, MLV를 Emulsiflex-C5(Avestin, 캐나다 소재)를 사용하여 일련의 기공 크기 0.08 ㎛의 세 폴리카보네이트 필터(Whatman)를 통해 5회 연속 압출 통과시켰다. 생성된 리포좀을 PBS pH 7.4에서 희석하고 60 ℃로 가열하여 타우 펩티드 첨가 전에 리포좀 용액을 수득하였다.
본원에서 활성 약학 성분(API)으로 지칭되는 서열 번호 28에 상응하는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Bachem AG, 스위스 소재)를 1 mg/mL 농도로 2.0% 옥틸 β-D-글루코피라노시드(Sigma-Aldrich, 미국 소재)와 함께 pH 11.4 PBS에 용해시키고, 펩티드 용액을 60 ℃에서 리포좀 용액에 주입한 다음 6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한외 여과를 통해 최종 목표 부피까지 농축시키고, 정용 여과 동안 PBS pH 7.4로 10회 완충액 교환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리포좀의 표면에 API가 제시된 생성된 리포좀을 직렬의 두 0.2 ㎛ 폴리카보네이트 주사기 필터에 통과시켜 멸균 여과하고, 최종 생성물을 5 ℃에서 저장하였다.
리포좀 Z 및 Z+ 백신의 제조
최종 API 농도가 1200 ㎍/ml이고 최종 T50 농도가 1200 ㎍/ml인 리포좀 Z+ 백신을 에탄올 주입 기술에 이어 압출에 의해 생성한 다음, 지질 박막 기술에 이어 균질화 및 압출에 의해 최종 API 농도가 400 ㎍/ml이고 최종 T50 농도가 100 ㎍/ml인 리포좀 Z 백신을 생성하였다.
지질 박막 기술에 의한 리포좀 Z 백신의 제조
지질 박막 기술에 이어 균질화 및 압출에 의해 리포좀 Z 백신을 제조하였다. 먼저, DMPC(Lipoid GmbH,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DMPG(Lipoid GmbH,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콜레스테롤(Dishman, 네덜란드 소재) 및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리피드 A 3-데아실 합성(3D-(6-아실) PHAD®)(Avanti Polar Lipids, 미국 앨라바마 소재)를 60 ℃에서 EtOH 중에 9:1:7:0.05의 몰비로 용해시켰다(3D-(6-아실). 진공 회전 증발기에서 에탄올을 증발시켜 지질 박막을 수득하였다.
지질막을 PBS pH 7.4, 0.15 mg/mL T50 펩티드(Peptides & Elephants, 독일 소재)를 함유하는 5% DMSO(모두 Sigma-Aldrich 제품)로 재수화시켰다. 샘플을 15 분 동안 온화하게 교반하고 추가로 강하게 와동시켜 지질 박막을 용해시켰다. 생성된 다중 라멜라 소포를 10회 동결-해동 사이클(액체 N2 및 37 ℃ 수조)에 적용하고 균질화한 다음, 기공 크기 0.08 um의 폴리카보네이트 막(Whatman, 영국 소재)을 통해 순차적 압출을 수행하였다. 균질화 및 압출 단계는 모두 EmulsiFlex-C5(Avestin, 캐나다 소재)에서 수행되었다. 캡슐화된 T50 펩티드를 갖는 압출된 리포좀을 한외 여과에 의해 농축시키고, 완충액을 정용 여과에 의해 PBS pH 7.4로 교환하였다. 생성된 리포좀을 PBS pH 7.4에서 희석하고 60 ℃로 가열하여 타우 펩티드 및 아주번트 첨가 전에 리포좀 용액을 수득하였다.
CpG2006-콜레스테롤(CpG2006-Chol)(Microsynth, 스위스 소재)은 PEG 스페이서에 의한 포스페이트 결합을 통해 콜레스테롤 분자로 5' 말단에서 변형된 티오 포스페이트로서 모든 뉴클레오티드 간 연결을 갖는 DNA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CpG2006-콜레스테롤(CpG2006-Chol)(Microsynth, 스위스 소재)을 1 mg/mL로 PBS pH 7.4에 용해시키고 리포좀 용액에 주입한 후 API 삽입 전에 15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API(Bachem AG, 스위스 소재)를 2% 옥틸 ß-D-글루코피라노시드(Sigma-Aldrich, 미국 소재)와 함께 1 mg/mL의 농도로 PBS pH 11.4에 용해시키고, 펩티드 용액을 60 ℃에서 리포좀 용액에 주입한 다음, 6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한외 여과를 통해 농축하여 목표 값(리포좀 Z에 대해 400 ㎍/ml API 및 100 ㎍/ml T50)을 얻고, 정용 여과 동안 PBS pH 7.4로 10회 완충액 교환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리포좀의 표면상에 제시된 API를 갖는 생성된 리포좀을 0.2 um 폴리카보네이트 주사기 필터에 통과시켜 멸균 여과하고, 최종 생성물을 5 ℃에서 저장하였다.
에탄올 주입에 의한 리포솜 Z+ 백신의 제조
에탄올(EtOH) 주입 기술에 이어 압출에 의해 리포솜 Z+ 백신을 제조하였다. 먼저, DMPC(Lipoid GmbH,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DMPG(Lipoid GmbH,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콜레스테롤(Dishman, 네덜란드 소재) 및 3D-(6-아실) PHAD®(Avanti Polar Lipids, 미국 앨라바마 소재)를 60 ℃에서 EtOH에 약 9:1:7:0.04의 몰비로 용해시켰다. T50 펩티드(Bachem AG, 스위스 소재)를 10 mM His/270 mM 수크로스(pH 5.8-6.0)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지질 에탄올 용액을 T50 펩티드가 포함된 용액에 주입하고 15분 동안 부드럽게 교반하여 다중 라멜라 소포(MLV)를 형성시켰다. MLV를 균질화(리포솜 Z+의 경우 6회)한 다음 기공 크기가 0.08 μm인 폴리카보네이트 멤브레인(Whatman, 영국 소재)을 통해 연속 압출시켰다(리포솜 Z+의 경우 5회 통과). 균질화 및 압출 단계는 모두 Liposome Z+용 EmulsiFlex-C5(Avestin, 캐나다 소재)에서 수행되었다. 압출된 리포솜을 한외여과에 의해 농축하고, 완충액을 정용여과에 의해 20 mM His/145 mM NaCL pH 7.4로 교환하였다. 캡슐화된 T50 펩티드를 포함하는 생성된 리포솜을 20 mM His/145 mM NaCL pH 7.4에 희석하고 60 ℃로 가열하여 API 및 아주번트를 첨가하기 전에 리포솜 용액을 수득하였다.
CpG2006-Chol(리포좀 Z+의 경우, Microsynth, 스위스 소재)을 20 mM His/145 mM NaCl pH 7.4에서 1 mg/mL로 용해시키고 리포솜 용액에 주입한 다음 API를 삽입하기 전에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API(Bachem AG, 스위스 소재)를 1% 옥틸 ß-D-글루코피라노시드(Sigma-Aldrich, 미국 소재)와 함께 1 mg/mL의 농도로 탄산염 완충액 pH 10.2에 용해시키고, 펩티드 용액을 60 ℃에서 리포좀 Z+ 용액에 주입한 다음, 60 ℃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펩티드 용액을 60 ℃에서 T-Line Mixing을 사용하여 리포솜 Z+ 용액에 혼합한 다음 6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한외여과를 통해 농축하여 목표값(Liposome Z+의 경우 1200 ㎍/ml API 및 1200 ㎍/ml T50)을 얻고, 정용여과 동안 완충액 교환을 10 mM His/270 mM 수크로스 pH 6.5로 10회 수행하였다. API가 리포솜 표면에 존재하는 생성된 Z+ 리포솜을 0.2 μm 폴리카보네이트 주사기/캡슐 필터를 통해 멸균 여과하고 최종 생성물을 5 ℃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접합체 백신의 제조
펩티드 및 아주번트
본 연구에 사용된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서열 번호 2)를 합성 동안 첨가된 포스포-잔기로 합성적으로 생산되었다(Pepscan, NL). 링커를 통해 CRM 담체에 공유 연결된 서열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를 포함하는 접합체는 본원에서 접합체 X로 지칭된다.
백신 펩티드를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시스테인-아세트아미도프로피온아미드 링커를 통해 담체 단백질 CRM197에 접합시켰다. 서열 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는 합성 동안 첨가된 포스포-잔기 및 PEG3 스페이서와 함께 합성적으로 생산되었다(Polypeptide Laboratories SAS). 접합체 X는 숙신이미딜 3-(브로모아세트아미드)프로피오네이트(SBAP) 링커를 통해 담체 단백질 CRM197을 펩티드의 N-말단상의 시스테인에 접합시켜 제조하였다. SBAP를 NHS 에스테르 반응 화학을 통해 CRM197 단백질 1차 아민(-NH2)에 연결하였다. 한외여과 및 정용여과(UF/DF)를 사용하여 과잉 SBAP 링커를 제거하였다. CRM197-SBAP 중간체를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접합시키고, 반응이 완료되면 과량의 L-시스틴을 첨가하여 반응을 퀀칭하여 접합 반응을 종결시켰다. 조 CRM197-펩티드 접합 산물을 Capto Q ImpRes(GE Healthcare)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염 등용매 방법을 사용하여 용리시켰다. 이어서, 정제된 CRM197-펩티드 산물을 UF/DF를 사용하여 pH 8.1에서 20 mM 트리스, 250 mM 수크로스와 같은 트리스 및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완충액에서 제형화하였다. 0.01% PS80의 최종 농도에 도달하도록 10% PS80 스톡 완충액과 같은 폴리소르베이트 80(PS80) 스톡 완충액을 첨가하여 CRM197-타우 펩티드 약물 물질(DS) 스톡 용액을 생성하였다. 용액을 여과하기 전에 완전히 혼합하였다. 주입 전에, 스톡 용액을 PBS 및 CpG/Alum으로, 예를 들어, 0.8 mg/mL CRM197-타우 펩티드의 제1 농도로 희석한 다음, PBS 및 CpG/Alum으로 최종 농도 30 ug/mL의 주입용 CRM197-타우 펩티드로 추가 희석하였다. 실시예 3 내지 7의 경우, CRM197-타우 펩티드 스톡 용액을 10 mM PBS(pH 7.3)에 3.1 mg/mL의 농도로 유지하고 PBS에서 추가 희석하여 원하는 작업 농도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명반 및 PBS를 CRM197-타우 펩티드에 기초하여 30 ug/mL의 최종 농도에 도달하도록 첨가하고 최종 제제를 주입 전에 완전히 혼합하였다.
활성 백신으로 CNS 항원을 표적화할 때 한 가지 우려는 비특이적 또는 표적을 벗어난 염증이 원치 않는 신경병리학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접합체 조성물로 면역화된 마우스의 전체 뇌를 수집하고 염색하여 혈관주위 또는 기타 세포 침윤물을 시각화하였다. 면역화된 동물 중 어느 것도 신경염증, 세포 침윤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신경병리학적 변화의 징후가 없었다(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 이것은 백신 유도 항체와 백신접종에 대한 선천적 면역 반응이 마우스에서 신경병리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기 실시예는 상이한 백신 요법에 의해 유도된 면역 반응의 상이한 측면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이종 백신접종은 붉은털원숭이에서 타우 포스포펩티드 특이적 항체의 에피토프 범위를 증가시킨다
모든 동물 실험은 동물 실험에 대한 현지 법률에 따라 승인 및 수행되었다. 붉은털원숭이(Macaca mulatta)는 중국 Kunming Biomed International Ltd, 중국 Yunnan Yinmore Bio-Tech Co. LTD 및 중국 Yunnan Laboratory Primates Inc.에서 입수하였다. 동물은 면역화 시작 시 2 내지 5연령이었으며 최소 체중은 2.5 kg이었다. 자세한 임상 검사는 치료 시작 전과 그 후 매주 수행하였다. 또한 하루에 두 번 원숭이를 관찰하고 임상 징후를 기록하였다.
리포솜 백신, 예를 들어 리포솜 Z 또는 리포솜 Z+(둘 모두 서열 번호 2의 테트라팔미토일화된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 3D-(6-아실) PHAD®,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CpG 2006 및 T-세포 펩티드 T50 함유)은 출원 전체에 걸쳐 "A"로 지칭되고, 반면에 접합체 백신, 예를 들어 접합체 X(CRM197에 연결된 서열 번호 2의 인산화 타우 펩티드)는 출원 전체에서 "B"로 지칭된다.
붉은털원숭이 그룹(그룹당 n=3 마리 수컷 및 3마리 암컷)을 1일 및 29일에 i)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A); ii) 용량당 접합체 X 백신 15 ug(요법 B-B); 또는 iii) 1일째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1800 ug의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에 이어 29일째에 접합체 X 백신 용량당 15 ug(요법 A-B)로 피하로 면역화하였다. 하나의 아미노산에 의해 이동되고 서열 번호 2의 포스포 타우 펩티드, 뿐만 아니라 서열 번호 4의 서열(VYKSPVVSGDTSPRHL,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되지 않은 펩티드)의 전체 서열에 걸친 N-말단이 비오티닐화된 8-mer 펩티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2차 면역화 후 3주째(50일째)에 에피토프 매핑 ELISA에 의해 항체의 에피토프 인식 프로파일을 결정하였다.
도 1A 내지 1C는 리포솜 백신(리포솜 Z)으로 면역화된 원숭이가 펩티드의 N-말단 부분에 대부분 결합하는 IgG 항체를 생성한 반면(A-A 요법, 도 1A), 접합체 백신(접합체 X)으로 면역화된 원숭이는 리포솜 백신 및 접합체 백신이 서열 번호 2의 동일한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를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펩티드의 C-말단 부분에 대부분 결합하는 IgG 항체를 생성하였다(B-B 요법, 도 1B). 이종 요법은 펩티드의 N- 및 C-말단 부분 모두에 결합된 항체를 유도하였고(A-B 요법, 도 1C), 따라서, 유도된 항체의 에피토프 적용 범위를 증가시킨다. 또한, 리포솜 백신(리포좀 Z)으로 면역화된 원숭이에서 유도된 IgG 항체는 비인산화 라이브러리에 결합하지 않은 반면, 접합체 백신(접합체 X)으로 면역화된 원숭이에서 유도된 IgG 항체 또한 비인산화된 8-mer 펩티드를 인식하였다. 이종 요법(A-B)으로 면역화된 원숭이에서 유도된 IgG 항체는 인산화되지 않은 라이브러리에 대해 중간 결합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4
리포솜 백신의 부스트는 붉은털원숭이에서 "리포솜 유사" 에피토프 프로필로의 전환을 유도하였다(A-B-B-A 요법).
붉은털원숭이(Rhesus macaques) 그룹(그룹당 n=3마리 수컷 및 3마리 암컷)를 1일째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1800 ug의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로 피하 면역화시키고, 29일 및 85일째에 접합체 X 백신의 용량당 15 ug으로, 및 169일째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으로 다시 면역화를 수행하였다(요법 A-B-B-A). 리포솜 백신으로 마지막 부스트 1주 전(162일, A-B-B 요법) 및 3주 후(190일, A-B-B-A 요법), 에피토프 매핑 ELISA에 의해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도된 항체의 에피토프 인식 프로파일을 결정하였다. 도 2는 리포솜으로 프라이밍하고 접합 백신으로 부스팅하면 N-말단 및 C-말단 IgG 항체의 조합(A-B-B 요법)을 유도하는 반면, 리포솜 백신으로의 마지막 부스팅은 붉은털원숭이에서 "리포솜-유사" 에피토프 프로파일로의 전환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A-B-B-A 요법). 데이터는 본원에 기술된 신규 항-타우 백신의 이종 백신화 전략을 사용하여 항-타우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높은 유연성을 보여준다.
요약하면, 붉은털원숭이에 대한 연구는 백신, 리포솜 Z 및 접합체 X를 사용한 순차적 면역화 스케줄에 의한 이종 백신접종이 AD 환자의 뇌로부터 추출된 pTau 및 병리학적 타우에 대한 항체 역가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두 2세대 백신에 사용된 항원 서열 내에서 유도된 항체의 에피토프 적용 범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5
리포솜 및 접합 백신을 사용한 이종 백신접종은 붉은털원숭이의 뇌척수액(CSF)에서 혈청의 ePHF-특이적 IgG 역가 및 타우 포스포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항체를 유도하였다.
성체 붉은털원숭이(그룹당 n=3마리 수컷 및 3마리 암컷)를 1일, 29, 85 및 16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A-A-A); ii) 1, 29, 85 및 16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A-A-A); iii) 1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 29일 및 85일에 명반 및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CpG 2006과 공동 주입된 접합체 X 백신 용량당 15 ug, 및 16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A-B-B-A 요법); iv) 1일 및 2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 및 85일 및 169일에 접합체 X 백신 용량당 15 ug(요법 A-A-B-B); 또는 v) 1일 및 29일에 접합체 X 백신 용량당 15 ug 및 89일 및 16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B-B-A-A)으로 피하 또는 근육내 면역화시켰다. 190일에 채혈하고 혈청을 단리하였다.
그린버그(Greenberg) 및 데이비스(Davies)(Greenberg and Davies, 1991, Proc Natl Acad Sci U S A, 87(15):5827-31)의 수정된 방법을 사용하여 불용성 타우의 사르코실 추출에 의해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AD 대상의 사후 뇌 조직으로부터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제제를 얻었다. Mesoscale Discovery(MSD) 플랫폼과 코팅 항원으로 ePHF를 사용하여 ePHF에 특이적인 항체 역가를 평가하였다. 면역화된 원숭이로부터의 혈청을 분석 완충액(PBS, 0.05% Tween20, 1% 탈지유)에서 연속 희석하고 96웰 MSD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2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샘플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PBST(PBS, 0.05% Tween20)에서 세척하였다. SulfoTag-표지된 항-인간/원숭이 IgG 항체를 사용하여 항체를 검출한 후 판독 완충액 T를 추가하기 전에 1% 파라포름알데히드(PFA)에서 고정 단계를 수행하였다. 플레이트를 섹터 이미저(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각 플레이트에 포함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샘플과 함께 8개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실행되었다. mL당 임의 단위(AU)로 표현된 항체 역가를 각 개별 원숭이에 대해 계산하였다. 그룹당 기하 평균뿐만 아니라 각각의 리포솜 조성물에 대해 각각 A-A-A-A로 얻은 역가의 기하 평균과 관련된 배수-변화를 각 원숭이에 대해 표시하였다.
MSD 플랫폼을 사용하여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특이적인 항체 역가를 평가하였다. PBS 중 1% 차단제 A로 미리 포화시킨 골드 스몰 스폿 스트렙타비딘 96-웰 플레이트(MSD)를 서열의 N-말단에서 비오티닐화된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로 코팅하였다. 면역화된 원숭이로부터의 CSF를 분석 완충액(PBS, 0.05% Tween 20, 1% 차단제 A)에서 연속 희석하고, 96-웰 MSD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2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샘플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PBST(PBS, 0.05% Tween 20)로 세척하였다. 항체를 판독 완충액 T를 추가하기 전에 SulfoTag-표지된 항-인간/원숭이 IgG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플레이트를 섹터 이미저(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각 플레이트에 포함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샘플과 함께 8개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실행되었다. AU/mL로 표현된 항체 역가를 각 개별 원숭이에 대해 계산하였다. 그룹당 기하 평균뿐만 아니라 각각의 리포솜 조성물에 대해 각각 A-A-A-A로 얻은 역가의 기하 평균과 관련된 배수 변화를 각 원숭이에 대해 표시하였다. 혈액 오염으로 인한 항체 역가의 편향을 피하기 위해 적혈구 수가 많은 샘플은 분석에서 제거되었다.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이종 요법 A-B-B-A 및 A-A-B-B(A는 캡슐화된 T50, TLR4 리간드 및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갖는 리포솜 백신(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포함)이고, B는 명반 및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공동 주입된 접합 백신(CRM197에 연결된 포스포펩티드 서열 번호 2)임)를 투여받은 원숭이는 190일(4차 주입 후 3주)에 ePHF-특이적 역가가 상동 치료(A-A-A-A)가 투여된 원숭이와 비슷하거나 높았다(배수 변화 ≥1).
그러나, 이종 요법 B-B-A-A로 주입된 모든 원숭이는 동종 치료(A-A-A-A)가 투여된 원숭이에 대한 것보다 더 낮은 ePHF-특이적 역가를 나타내었다(배수-변화 ≤1).
도 6은 183일(4차 주사 후 2주)에 이들 원숭이의 뇌척수액에서 IgG 항체 반응을 모니터링할 때 유사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종 요법 A-B-B-A 및 A-A-B-B(A는 리포솜 백신(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캡슐화된 T50(TLR4 리간드) 및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포함)이고, B는 명반 및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공동 주입된 접합 백신(CRM197에 연결된 포스포펩티드 서열 번호 2)임)를 투여받은 원숭이는 상동 처리(A-A-A-A)가 투여된 원숭이에 대한 것보다 전반적으로 더 높은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역가를 나타내었다(배수 변화 ≥1). 그러나, 이종 요법 B-B-A-A를 주사한 모든 원숭이는 동종 처리(A-A-A-A)를 투여한 원숭이보다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특이적인 더 낮은 IgG 역가를 나타내었다(배수 변화 ≤1).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프라이밍 조성물로서 리포솜 백신을 사용한 이종 요법이 전신 및 국소(CSF에서) 항체 반응에 대한 프라이밍 조성물로서 접합체 백신을 사용한 요법과 비교하여 더 높은 ptau 특이적 IgG 역가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6
프라이머 리포솜 백신을 사용한 이종 백신접종은 동종 요법보다 붉은털원숭이에서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ePHF에 특이적인 더 높은 IgG 역가를 유도하였다
성체 붉은털원숭이(그룹당 n=3마리 수컷 및 3마리 암컷)를 1일, 29 및 85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A-A); ii)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A-A); iii) 1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 및 29일 및 85일에 접합체 X 백신 용량당 15 ㎍(요법 A-B-B); 또는 iv) 1일 및 29일에 리포솜 Z+ 백신의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 1800 ug 및 85일에 접합체 X 백신의 용량당 15 ug(요법 A-A-B)으로 피하 또는 근육내 면역화시켰다. 106일째에 채혈하고 혈청을 단리하였다.
포스포타우 펩티드-특이적 IgG 항체 역가를 코팅 항원으로서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결정하였다. 면역화된 원숭이로부터의 혈청을 분석 완충액(PBS, 0.05% Tween 20, 1% BSA)에서 연속 희석하고 관련 펩티드로 사전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2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샘플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PBST(PBS, 0.05% Tween 20)에서 세척하였다. 항체를 HRP-접합 항-원숭이 IgG에 이어 ABTS 기질(Roche)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모든 샘플은 각 플레이트에 포함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샘플과 함께 8개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실행되었다. ata는 그룹당 기하 평균과 함께 개별 종점 역가(양성 반응을 유도하는 마지막 혈청 희석)로 표현되었다. 터키(Tukey) 다중 비교를 사용한 일원 ANOVA 검정을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ePHF에 특이적인 항체 역가를 MSD 플랫폼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사전에 PBS에서 1% BSA로 포화된 골드 스몰 스폿 스트렙타비딘 96-웰 플레이트(MSD)를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에서 단리한 ePHF와 인큐베이션하기 전에 비오틴화된 항-타우 포획 항체(HT7-비오틴, ThermoScientific)로 코팅하였다. 1시간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PBST로 세척하고, 혈청의 연속 희석액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결합된 항체를 SulfoTag-표지된 항-인간/원숭이 IgG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한 후, 판독 완충액 T를 추가하기 전에 1% PFA에서 고정 단계를 수행하였다. 플레이트를 섹터 이미저(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각 플레이트에 포함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샘플과 함께 8개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실행되었다. 결과를 그룹당 기하 평균과 함께 각 개별 원숭이에 대해 AU/mL로 표시하였다. 106일째에 ePHF에 특이적인 항체 역가를 표시하였다. 터키 다중 비교를 사용한 일원 ANOVA 검정을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도 4A는 이종 요법 A-A-B 및 A-B-B가 붉은털원숭이에서 상동 요법 A-A-A보다 포스포 타우 펩티드에 특이적인 IgG 항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수준으로 유도했음을 보여준다.
도 4B는 이종 요법 A-A-B가 붉은털원숭이에서 상동 요법 A-A-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수준의 ePHF-특이적 IgG 항체를 유도한 반면, A-B-B는 붉은털 원숭이에서 상동 A-A-A 요법보다 더 높은 수준의 ePHF-특이적 IgG 역가에 대한 경향을 나타내었음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데이터는 프라이밍 조성물로서 리포솜 백신(A)을 사용한 이종 면역화 요법이 상동 요법 A-A-A보다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 및 ePHF에 대해 더 높은 역가의 항체를 유도함을 보여준다.
실시예 7
이종 요법에 의해 유도된 ePHF-특이적 IgG 항체의 정성성은 붉은털원숭이에서 동종 요법에 의해 유도된 것과 유사하거나 더 우수하다.
성체 붉은털원숭이(그룹당 n=3마리 수컷 및 3마리 암컷)를 피하로 i) 1일, 29일, 85일 및 16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A-A-A) 또는 ii) 1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 29일 및 85일에 접합체 X 백신 용량당 15 ug 및 16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B-B-A), 또는 iii) 근육내로 1일, 29일, 85일 및 16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요법 A-A-A-A) 또는 iv) 1일 및 29일에 리포솜 Z+ 백신 용량당 서열 번호 2의 아세테이트 테트라팔미토일화 인산화 타우 펩티드 1800 ug 및 85일 및 169일에 접합체 X 용량당 15 ug(A-A-B-B 요법)으로 면역화시켰다. 190일에 채출하고 혈청을 단리하였다.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에 특이적인 항체의 정성성을 MSD 플랫폼을 사용하여 저 코팅 농도의 ePHF(본원에서 제한된 코팅 조건하로도 언급됨)에 대한 결합으로 평가하였다. 면역화된 원숭이의 혈청을 분석 완충액(PBS, 0.05% Tween20, 1% 탈지유)에서 연속 희석하고 96-웰 MSD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2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샘플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PBST(PBS, 0.05% Tween20)로 세척하였다. 항체를 SulfoTag-표지된 항-인간/원숭이 IgG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한 후 판독 완충액 T를 추가하기 전에 1% PFA에서 고정 단계를 수행하였다. 플레이트를 섹터 이미저(MS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각 플레이트에 포함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샘플과 함께 8개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실행되었다. AU/mL로 표현된 항체 역가를 각 개별 원숭이에 대해 계산하였다.
포스포타우 펩티드-특이적 IgG 항체 역가를 코팅 항원으로서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결정하였다. 면역화된 원숭이의 혈청을 분석 완충액(PBS, 0.05% Tween 20, 1% BSA)에서 연속 희석하고 관련 펩티드로 사전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2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샘플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PBST(PBS, 0.05% Tween 20)에서 세척하였다. 항체를 HRP-접합 항-원숭이 IgG에 이어 ABTS 기질(Roche)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모든 샘플은 각 플레이트에 포함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샘플과 함께 8개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실행되었다. 데이터를 그룹당 기하 평균과 함께 개별 종점 역가(양성 반응을 유도하는 마지막 혈청 희석)로 표현하였다.
보편적 T-세포 에피토프(T50)-특이적 IgG 항체 역가를 코팅 항원으로서 T50 펩티드를 사용하여 ELISA에 의해 결정하였다. 면역화된 원숭이로부타의 혈청을 분석 완충액(PBS, 0.05% Tween 20, 1% 탈지유)에서 연속 희석하고 관련 펩티드로 사전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적용하였다. 2시간의 인큐베이션 후, 샘플을 제거하고 플레이트를 PBST(PBS, 0.05% Tween 20)에서 세척하였다. 항체를 HRP-접합 항-원숭이 IgG에 이어 ABTS 기질(Roche)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모든 샘플은 각 플레이트에 포함된 양성 및 음성 대조군 샘플과 함께 8개의 2배 연속 희석액으로 실행되었다. 데이터를 그룹당 기하 평균과 함께 개별 종점 역가(양성 반응을 유도하는 마지막 혈청 희석)로 표현하였다.
그룹당 기하 평균뿐만 아니라 포스포타우 펩티드-특이적 IgG 항체 역가와 보편적 T-세포 에피토프(T50)-특이적 IgG 항체 역가 사이의 배수 변화를 각 원숭이에 대해 표시하였다. 만-휘트니(Mann-Whitney) 검정을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도 5A 및 5B는 제한된 코팅 조건 하에서 ePHF-특이적 IgG 역가를 나타내며, 높은 결합 능력을 갖는 항체를 반영한다. 도 5A는 A-B-B-A 요법이 A-A-A-A 요법보다 약간 더 높은 항체 역가를 유도한 반면 A-A-B-B는 유사한 IgG 역가를 유도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종 요법 A-B-B-A 및 A-A-B-B는 리포솜 백신 단독의 상동 요법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유사하거나 더 높은 ePHF 특이적 항체 역가를 유도하였다(A-A-A-A 요법, 배수 변화 ≥1). 종합적으로, 데이터는 이종 백신접종에 의해 유도된 ePHF 특이적 항체의 정성성이 붉은털원숭이에서 상동 A-A-A-A 백신접종 요법에 의해 유도된 항체의 정성성이 유사하거나 더 우수함을 시사한다.
이론에 구애됨이 없이, 본 출원에 따른 이종 요법은 CD4 T 세포 반응을 다양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배 중심(germinal center)의 제한된 공간으로 인해 동일한 CD4 헬퍼 에피토프/단백질(예: 파상풍)로 면역화를 유지하면 파상풍 특이적 B 및 T 세포가 배 중심에서 타우 특이적 B 세포를 밀어낸다. 반면에, CD4 자극을 교대하면 타우 특이적 B 세포(파상풍이나 디프테리아 특이적 T 세포의 도움도 받음)가 더 잘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A-A-A 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T50 헬퍼 펩티드에 대한 항체의 역가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A와 B의 이종 요법이 사용된 경우, T50 헬퍼 펩티드에 대한 항체의 역가는 훨씬 더 낮았다. 도 7은 서열 번호 2의 인산화된 타우 펩티드에 대한 IgG 항체 역가와 T50 펩티드에 대한 IgG 항체 역가 간의 비율이 각각의 상동 요법(A-A-A-A)과 비교하여 이종 요법(A-B-B-A 및 A-A-B-B)에서 더 높음을 보여준다. 이는 CD4 T 세포 반응의 다양성을 반영하며 또한 T50 특이적 B 세포 반응이 항-pTau 반응을 완전히 지배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 및 실시양태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광의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고 이어지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SEQUENCE LISTING <110> Janssen Pharmaceuticals, Inc. AC Immune S.A. <120> Heterologous Administration of Tau Vaccines <130> 065794-4WO1 <150> US62/837,987 <151> 2019-04-24 <160> 44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7.1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8)..(8)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1)..(11)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4)..(14) <400> 1 Gly Asp Arg Ser Gly Tyr Ser Ser Pro Gly Ser Pro Gly Thr Pro Gly 1 5 10 15 Ser Arg Ser Arg Thr 20 <210> 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T3.5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4)..(4)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2)..(12) <400> 2 Val Tyr Lys Ser Pro Val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1 5 10 15 <210> 3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1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1)..(11)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6)..(16) <400> 3 Ser Ser Thr Gly Ser Ile Asp Met Val Asp Ser Pro Gln Leu Ala Thr 1 5 10 15 Leu Ala <210> 4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u peptide <400> 4 Val Tyr Lys Ser Pro Val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1 5 10 15 <210> 5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8)..(18)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26)..(26) <400> 5 Arg Glu Asn Ala Lys Ala Lys Thr Asp His Gly Ala Glu Ile Val Tyr 1 5 10 15 Lys Ser Pro Val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20 25 30 <210> 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tyrosine <222> (14)..(14) <400> 6 Arg Gln Glu Phe Glu Val Met Glu Asp His Ala Gly Thr Tyr Gly Leu 1 5 10 15 <210> 7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7)..(7)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9)..(9) <400> 7 Pro Gly Ser Arg Ser Arg Thr Pro Ser Leu Pro Thr Pro Pro Thr Arg 1 5 10 15 <210> 8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7)..(7)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0)..(10) <400> 8 Gly Tyr Ser Ser Pro Gly Ser Pro Gly Thr Pro Gly Ser Arg Ser Arg 1 5 10 15 <210> 9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4)..(4)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9)..(9) <400> 9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Ser Asn Val Ser Ser Thr Gly Ser 1 5 10 15 Ile Asp <210> 10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3)..(3)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6)..(6)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3)..(13)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5)..(15) <400> 10 Pro Gly Ser Pro Gly Thr Pro Gly Ser Arg Ser Arg Thr Pro Ser Leu 1 5 10 15 Pro <210> 1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3)..(3) <400> 11 His Leu Ser Asn Val Ser Ser Thr Gly Ser Ile Asp 1 5 10 <210> 1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hospho-tau peptide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6)..(6) <400> 12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1 5 10 <210> 13 <211> 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50 T cell epitope <220> <221> C-terminal amide <222> (55)..(55) <400> 13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Val Val Arg 1 5 10 15 Gln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Val 20 25 30 Val Arg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35 40 45 Val Ser Ala Ser His Leu Glu 50 55 <210> 14 <211> 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46 T cell epitop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54)..(54)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55)..(55) <220> <221> C-terminal amide <222> (55)..(55) <400> 14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Gly Ser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Gly Ser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Lys Lys 50 55 <210> 15 <211> 7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48 helper T cell epitope <220> <221> C-terminal amide <222> (75)..(75) <400> 15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Gly Ser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Gly Ser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Gly Ser Leu Ile Asn Ser Thr Lys Ile Tyr Ser 50 55 60 Tyr Phe Pro Ser Val Ile Ser Lys Val Asn Gln 65 70 75 <210> 16 <211> 5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51 helper T cell epitope <220> <221> C-terminal amide <222> (53)..(53) <400> 16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Arg Arg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Arg Arg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50 <210> 17 <211> 5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52 helper T cell epitope <220> <221> C-terminal amide <222> (53)..(53) <400> 17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Arg Lys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Arg Lys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50 <210> 1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G 2006 <220> <221> phosphorothioate (ps)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1)..(24) <400> 18 tcgtcgtttt gtcgttttgt cgtt 24 <210> 19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G 1018 <220> <221> phosphorothioate (ps)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1)..(22) <400> 19 tgactgtgaa cgttcgagat ga 22 <210> 2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G 2395 <220> <221> phosphorothioate (ps)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1)..(22) <400> 20 tcgtcgtttt cggcgcgcgc cg 22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G 2216 <220> <221> phosphorothioate (ps)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1)..(3) <220> <221> phosphodiester (po)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3)..(14) <220> <221> phosphorothioate (ps)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14)..(20) <400> 21 gggggacgat cgtcgggggg 20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G 2336 <220> <221> phosphorothioate (ps)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1)..(4) <220> <221> phosphodiester (po)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4)..(15) <220> <221> phosphorothioate (ps) internucleotide linkages <222> (15)..(21) <400> 22 ggggacgacg tcgtgggggg g 21 <210> 2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n DR epitope (PADRE) peptide <400> 23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1 5 10 <210> 2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 <400> 24 Gln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1 5 10 15 <210> 25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30 <400> 25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1 5 10 15 Ala Ser His Leu Glu 20 <210> 26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T586-605 <400> 26 Leu Ile Asn Ser Thr Lys Ile Tyr Ser Tyr Phe Pro Ser Val Ile Ser 1 5 10 15 Lys Val Asn Gln 20 <210> 27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palmitoylated 7.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0)..(10)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3)..(13)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6)..(16)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4)..(24)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5)..(25) <400> 27 Lys Lys Gly Asp Arg Ser Gly Tyr Ser Ser Pro Gly Ser Pro Gly Thr 1 5 10 15 Pro Gly Ser Arg Ser Arg Thr Lys Lys 20 25 <210> 28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T3, palmitoylated T3.5)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6)..(6)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4)..(14)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9)..(19)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0)..(20) <400> 28 Lys Lys Val Tyr Lys Ser Pro Val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1 5 10 15 His Leu Lys Lys 20 <210> 29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palmitoylated 22.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3)..(13)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8)..(18)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1)..(2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22) <400> 29 Lys Lys Ser Ser Thr Gly Ser Ile Asp Met Val Asp Ser Pro Gln Leu 1 5 10 15 Ala Thr Leu Ala Lys Lys 20 <210> 30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9)..(19)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0)..(20) <400> 30 Lys Lys Val Tyr Lys Ser Pro Val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1 5 10 15 His Leu Lys Lys 20 <210> 31 <211> 3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20)..(20)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28)..(28)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33)..(33)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34)..(34) <400> 31 Lys Lys Arg Glu Asn Ala Lys Ala Lys Thr Asp His Gly Ala Glu Ile 1 5 10 15 Val Tyr Lys Ser Pro Val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20 25 30 Lys Lys <210> 32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tyrosine <222> (16)..(16)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9)..(19)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0)..(20) <400> 32 Lys Lys Arg Gln Glu Phe Glu Val Met Glu Asp His Ala Gly Thr Tyr 1 5 10 15 Gly Leu Lys Lys 20 <210> 33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9)..(9)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1)..(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9)..(19)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0)..(20) <400> 33 Lys Lys Pro Gly Ser Arg Ser Arg Thr Pro Ser Leu Pro Thr Pro Pro 1 5 10 15 Thr Arg Lys Lys 20 <210> 34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9)..(9)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2)..(12)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9)..(19)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0)..(20) <400> 34 Lys Lys Gly Tyr Ser Ser Pro Gly Ser Pro Gly Thr Pro Gly Ser Arg 1 5 10 15 Ser Arg Lys Lys 20 <210> 35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6)..(6)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1)..(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1)..(2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22) <400> 35 Lys Lys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Ser Asn Val Ser Ser Thr 1 5 10 15 Gly Ser Ile Asp Lys Lys 20 <210> 36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5)..(5)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8)..(8) <220> <221> phosphorylated threonine <222> (15)..(15)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17)..(17)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0)..(20)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1)..(21) <400> 36 Lys Lys Pro Gly Ser Pro Gly Thr Pro Gly Ser Arg Ser Arg Thr Pro 1 5 10 15 Ser Leu Pro Lys Lys 20 <210> 37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5)..(5)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5)..(15)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6)..(16) <400> 37 Lys Lys His Leu Ser Asn Val Ser Ser Thr Gly Ser Ile Asp Lys Lys 1 5 10 15 <210> 38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almitoylated phospho-tau peptide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1)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2)..(2) <220> <221> phosphorylated serine <222> (8)..(8)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3)..(13)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14)..(14) <400> 38 Lys Lys Val Ser Gly Asp Thr Ser Pro Arg His Leu Lys Lys 1 5 10 <210> 39 <211> 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50 without the C-terminal amide <400> 39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Val Val Arg 1 5 10 15 Gln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Val 20 25 30 Val Arg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35 40 45 Val Ser Ala Ser His Leu Glu 50 55 <210> 40 <211> 5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46 without the palmitoylated lysines and C-terminal amide <400> 40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Gly Ser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Gly Ser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50 <210> 41 <211> 7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48 without the C-terminal amide <400> 41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Gly Ser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Gly Ser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Gly Ser Leu Ile Asn Ser Thr Lys Ile Tyr Ser 50 55 60 Tyr Phe Pro Ser Val Ile Ser Lys Val Asn Gln 65 70 75 <210> 42 <211> 5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51 without the C-terminal amide <400> 42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Arg Arg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Arg Arg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50 <210> 43 <211> 5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52 without the C-terminal amide <400> 43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Arg Lys Gln 1 5 10 15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Arg Lys 20 25 30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Val Ser 35 40 45 Ala Ser His Leu Glu 50 <210> 44 <211> 5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57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56)..(56) <220> <221> palmitoylated lysine <222> (57)..(57) <220> <221> C-terminal amide <222> (57)..(57) <400> 44 Ala Lys Phe Val Ala Ala Trp Thr Leu Lys Ala Ala Ala Val Val Arg 1 5 10 15 Gln Tyr Ile Lys Ala Asn Ser Lys Phe Ile Gly Ile Thr Glu Leu Val 20 25 30 Val Arg Phe Asn Asn Phe Thr Val Ser Phe Trp Leu Arg Val Pro Lys 35 40 45 Val Ser Ala Ser His Leu Glu Lys Lys 50 55

Claims (18)

  1.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i) a.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b. 헬퍼 T-세포 에피토프;
    c.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d. 톨-유사 수용체 4 리간드를 함유하는 아주번트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되는 단계;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화학식 (I)의 구조 또는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를 갖는 방법: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상기 식에서,
    x는 0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3의 정수이고;
    n은 3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의 정수이고;
    타우 펩티드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나타내고;
    담체는 열쇠구멍삿갓조개 헤모시아닌(keyhole limpet hemocyanin(KLH)), 파상풍 톡소이드, CRM197 및 N. meningitidis로부터의 외막 단백질 혼합물(OM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면역원성 담체 또는 그의 유도체를 나타내고;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 및 서열 번호 5 내지 서열 번호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리포솜은,
    a.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및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b.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c.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고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간 연결을 포함하며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d.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하고;
    접합체는 링커를 통해 CRM197에 접합된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 또는 서열 번호 5 내지 서열 번호 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 방법:
    Figure pct00028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4.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i) a. 서열 번호 27 내지 서열 번호 29 또는 서열 번호 31 내지 서열 번호 3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b. 서열 번호 39 내지 서열 번호 4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바람직하게는 서열 번호 13 내지 서열 번호 1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헬퍼 T 세포 에피토프;
    c. 서열 번호 18 내지 서열 번호 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갖고 하나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뉴클레오티드간 연결을 포함하며 링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콜레스테롤에 공유적으로 연결된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d. 모노포스포릴 지질 A(MPLA)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되는 단계;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 방법:
    Figure pct00029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5.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i) (1)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2)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을 포함하는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
    (3) 서열 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헬퍼 T-세포 에피토프;
    (4) 서열 번호 1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5)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릴-3'-rac-글리세롤(DMPG)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질을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되는 단계;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접합체는 하기 구조를 갖는 방법:
    Figure pct00030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이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의 첫 투여 후 대상에게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적어도 1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2 부스팅 조성물의 첫 투여 후 대상에게 제2 부스팅 조성물을 적어도 1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인산화된 타우 및 농축 쌍 나선 필라멘트(ePHF)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항체를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i) (1) 서열 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
    (2) 모노포스포릴 헥사-아실 지질 A, 3-데아실을 포함하는 톨-유사 수용체 4 작용제;
    (3) 서열 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헬퍼 T-세포 에피토프;
    (4) 서열 번호 18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지질화된 CpG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5)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DMPC),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릴-3'-rac-글리세롤(DMPG)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지질;을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을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라이밍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는 리포솜의 표면상에 제시되는 단계; 및
    (ii) 제2 타우 포스포펩티드 및 링커를 통해 이에 접합된 면역원성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학적 유효량의 하기 구조를 갖는 접합체를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
    Figure pct00031

    (상기 식에서 n은 3 내지 7의 정수임); 및
    (iii) 면역학적 유효량의 리포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1 부스팅 조성물 또는 제2 부스팅 조성물을 상기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iii) 전에 (ii)가 수행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iii) 후에 (ii)가 수행되는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스팅 조성물의 첫 투여 후 대상에게 제1 부스팅 조성물을 적어도 1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스팅 조성물을 대상에게 적어도 1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은 신경원섬유 병변의 형성에 의해 야기되거나 이와 관련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장애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권투선수 치매(Dementia pugilistica), 다운 증후군, 게르스트만 슈트로이슬러 샤잉커(Gerstmann-Straeussler-Scheinker) 병, 봉입체 근염, 프리온 단백질 뇌 아밀로이드 맥관장애(prion protein cerebral amyloid angiopathy), 외상성 뇌 손상,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괌의 파킨슨증-치매 복합체(parkinsonism-dementia complex of Guam), 신경원섬유 매듭을 동반하는 비-괌 운동 신경세포병(Non-Guamanian motor neuron disease with neurofibrillary tangles), 은친화성 과립성 치매(argyrophilic grain dementia), 피질기저핵변성, 루이 치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석회화가 있는 확산성 신경원섬유 매듭(diffuse neurofibrillary tangles with calcification), 17번 염색체와 연관된 파킨슨증을 동반하는 전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with parkinsonism linked to chromosome 17)(FTDP-17), 할러포르텐-스파츠병(Hallervorden-Spatz disease), 다계통위축, C형 니만-픽병(Niemann-Pick disease, type C), 픽병, 진행성 피질하 신경교증, 진행성 핵상 마비,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 매듭 단독 치매(Tangle only dementia), 뇌염 후 파킨슨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 뇌혈관병증 또는 루이소체 치매(LBD)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대상은 알츠하이머병, 바람직하게는 초기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경도 인지 장애(MCI), 또는 경도 내지 중등도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용량당 약 25 nmoles 내지 약 750 nmoles, 바람직하게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715 nmoles 또는 용량당 약 90 nmoles 내지 약 535 nmoles의 양으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포솜의 면역학적 유효량은 용량당 약 100 ㎍ 내지 약 2500 ㎍, 바람직하게는 약 300 ㎍ 내지 약 2400 ㎍, 예컨대 약 100 ㎍, 약 150 ㎍, 약 200 ㎍, 약 250 ㎍, 약 300 ㎍, 약 400 ㎍, 약 500 ㎍, 약 600 ㎍, 약 700 ㎍, 약 800 ㎍, 약 900 ㎍, 약 1000 ㎍, 약 1100 ㎍, 약 1200 ㎍, 약 1300 ㎍, 약 1400 ㎍, 약 1500 ㎍, 약 1600 ㎍, 약 1700 ㎍, 약 1800 ㎍, 약 1900 ㎍, 약 2000 ㎍, 약 2100 ㎍, 약 2200 ㎍, 약 2300 ㎍, 약 2400 ㎍, 약 2500 ㎍, 또는 상기 값 사이의 임의의 값의 양으로 제1 타우 포스포펩티드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38109A 2019-04-24 2020-04-23 타우 백신의 이종 투여 KR202200050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37987P 2019-04-24 2019-04-24
US62/837,987 2019-04-24
PCT/US2020/029477 WO2020219646A1 (en) 2019-04-24 2020-04-23 Heterologous administration of tau vacc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033A true KR20220005033A (ko) 2022-01-12

Family

ID=7292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109A KR20220005033A (ko) 2019-04-24 2020-04-23 타우 백신의 이종 투여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1591377B2 (ko)
EP (1) EP3965817A4 (ko)
JP (1) JP2022529529A (ko)
KR (1) KR20220005033A (ko)
CN (1) CN114173812A (ko)
AU (1) AU2020262899A1 (ko)
BR (1) BR112021021213A2 (ko)
CA (1) CA3137884A1 (ko)
EA (1) EA202192891A1 (ko)
IL (1) IL287486A (ko)
JO (1) JOP20210284A1 (ko)
MA (1) MA55902A (ko)
MX (1) MX2021012994A (ko)
SG (1) SG11202111770RA (ko)
TW (1) TW202110478A (ko)
WO (1) WO2020219646A1 (ko)
ZA (1) ZA2021081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13792A1 (es) 2017-10-25 2020-06-10 Janssen Pharmaceuticals Inc Composiciones de péptidos tau fosforilados y sus usos
AU2020219804A1 (en) 2019-02-08 2021-08-19 Ac Immune S.A. Method of safe administration of phosphorylated Tau peptide vaccine
CA3228878A1 (en) * 2021-08-12 2023-02-16 Andrea Pfeifer Liposomes containing phosphorylated tau peptides for inducing sustained immune responses
AU2022356435A1 (en) * 2021-09-29 2024-03-28 Ac Immune Sa Method of safe administration of tau phosphopeptide conjugat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1310A (en) 1986-09-30 1998-09-22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Of Yeshiva Univ. The Alz-50 monoclonal antibody and diagnostic assay for alzheimer's disease
CA2017507C (en) 1989-05-25 1996-11-12 Gary Van Nest Adjuvant formulation comprising a submicron oil droplet emulsion
US7408027B1 (en) 1991-12-06 2008-08-05 Max-Planck-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Wissenchaften Tool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DE69318420T2 (de) 1992-12-14 1999-01-28 Innogenetics Nv Monoklonale antikörper gegen das mikrotubulusassoziierte tauprotein,hybridomen, die diese antikörper sezernieren, antigenerkennung durch diese monoklonalen antikörper und deren verwendung
US7427392B1 (en) 1994-11-14 2008-09-23 Ela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aiding in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y measuring amyloid-β peptide (x-≧41) and tau
WO1997034145A1 (fr) 1996-03-13 1997-09-1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nticorps a proteine tau antiphosphorylee et procede de detection de la maladie d'alzheimer l'utilisant
WO1998022120A1 (en) 1996-11-19 1998-05-28 The Wistar Institute Of Anatomy & Biology Diagnostic and therapeutic reagents for alzheimer's disease
EP1301531A2 (en) 2000-07-11 2003-04-16 Molecular Geriatrics Corporation Reagent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binding agents
WO2003066649A1 (en) 2002-02-04 2003-08-14 Biomira Inc. Immunostimulatory, covalently lipidated oligonucleotides
PL209696B1 (pl) 2002-04-19 2011-10-31 Univ Toronto Peptyd, kompozycja peptydowa, kompozycja immunogenna, zastosowania kompozycji immunogennej oraz sposób określania czy związek stanowi inhbitor odkładania się i tworzenia włókienek amyloidu
US8663650B2 (en) 2003-02-21 2014-03-04 Ac Immune Sa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upramolecular constructs
US20050261475A1 (en) 2004-02-13 2005-11-24 Harvard Medical School Solid-phase capture-release-tag methods for phosphoproteomic analyses
US7238788B2 (en) 2004-02-18 2007-07-03 University Of Iowa Foundation Antibodies to phosphorylated tau,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e
KR101152557B1 (ko) 2005-12-12 2012-09-07 에이씨 이뮨 에스.에이. 치료 백신
WO2007068105A1 (en) 2005-12-12 2007-06-21 Robart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diagnosing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8012936B2 (en) 2006-03-29 2011-09-06 New York University Tau fragments for immunotherapy
WO2008140639A2 (en) 2007-02-08 2008-11-20 Oligomerix, Inc. Biomarkers and assays for alzheimer's disease
JPWO2009051220A1 (ja) 2007-10-19 2011-03-03 イムナス・ファーマ株式会社 Aβオリゴマーに特異的に結合する抗体およびその利用
MX2011009654A (es) 2009-03-18 2011-10-12 Ac Immune Sa Metodo para uso terapeutico.
UA107571C2 (xx) 2009-04-03 2015-01-26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EP2440234A4 (en) 2009-06-10 2013-11-06 Univ New York IMMUNOLOGICAL TARGETING OF PATHOLOGICAL TAU PROTEINS
IN2012DN00446A (ko) 2009-07-30 2015-05-15 Pfizer Vaccines Llc
EP3527220A1 (en) 2010-08-12 2019-08-21 AC Immune S.A. Vaccine engineering
US9687447B2 (en) 2010-10-26 2017-06-27 Ac Immune S.A. Method for preparing liposome-based constructs
WO2015122922A1 (en) * 2014-02-14 2015-08-20 Ipierian, Inc. Tau peptides, anti-tau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NZ727020A (en) 2014-06-26 2022-02-25 Janssen Vaccines & Prevention Bv Antibodies and antigen-binding fragments that specifically bind to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tau
TWI827405B (zh) 2015-06-05 2023-12-21 美商建南德克公司 抗-tau抗體及使用方法
JP7193457B2 (ja) 2016-12-07 2022-12-20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tau抗体及び使用方法
AR113792A1 (es) 2017-10-25 2020-06-10 Janssen Pharmaceuticals Inc Composiciones de péptidos tau fosforilados y sus usos
US11591385B2 (en) 2017-11-09 2023-02-28 Pinteon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generation and use of humanized conformation-specific phosphorylated tau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0478A (zh) 2021-03-16
EP3965817A1 (en) 2022-03-16
EA202192891A1 (ru) 2022-02-04
CN114173812A (zh) 2022-03-11
EP3965817A4 (en) 2023-11-22
MA55902A (fr) 2022-03-16
US11591377B2 (en) 2023-02-28
CA3137884A1 (en) 2020-10-29
ZA202108168B (en) 2022-09-28
JOP20210284A1 (ar) 2023-01-30
AU2020262899A1 (en) 2021-11-18
MX2021012994A (es) 2022-03-04
JP2022529529A (ja) 2022-06-22
IL287486A (en) 2021-12-01
BR112021021213A2 (pt) 2021-12-21
US20230257433A1 (en) 2023-08-17
WO2020219646A1 (en) 2020-10-29
SG11202111770RA (en) 2021-11-29
US20200339643A1 (en)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8889B2 (en) Compositions of phosphorylated tau peptides and uses thereof
US11591377B2 (en) Heterologous administration of tau vaccines
US11684576B2 (en) Method of safe administration of phosphorylated tau peptide vaccine
US20230338535A1 (en) Liposomes Containing Phosphorylated Tau Peptides for Inducing Sustained Immune Responses
EA044254B1 (ru) Композиции фосфорилированных тау-пептид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я
EA045311B1 (ru) Способ безопасного введения вакцины фосфорилированного пептида t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