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870A -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870A
KR20220004870A KR1020200081924A KR20200081924A KR20220004870A KR 20220004870 A KR20220004870 A KR 20220004870A KR 1020200081924 A KR1020200081924 A KR 1020200081924A KR 20200081924 A KR20200081924 A KR 20200081924A KR 20220004870 A KR20220004870 A KR 2022000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information
module
indoor
quality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박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Priority to KR102020008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870A/ko
Publication of KR2022000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소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명기에 공기질 측정 기능을 부가하여 별도의 공기질 측정기를 구매할 필요없이 실내 대기 상태를 확인 가능함과 아울러, 측정된 공기질 정보에 따라 실내에 있는 사람이 취해야 할 행동을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모듈과; 실내환경에서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 측정모듈과; 상기 공기질 측정모듈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 정보에 대응하여 발광모듈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출력제어모듈과;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LIGHTING FIXTURE EQUIPPED WITH AIR QUALITY MEASURING FUNCTION AND ACTION INFORMATION GUIDING SYSTEM USING THIS}
본 발명은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장소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조명기에 공기질 측정 기능을 부가하여 별도의 공기질 측정기를 구매할 필요없이 실내 대기 상태를 확인 가능함과 아울러, 측정된 공기질 정보에 따라 실내에 있는 사람이 취해야 할 행동을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산업화가 고도화되어 가면서 이와 함께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임에 따라 야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공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에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상황이지만, 실내에서 공기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기질 측정기나 고가의 공기 청정기와 같은 기기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상황에 맞물려 실내 공기 오염도를 확인하거나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관리하는데 참고하기 위한 공기질 측정 기술이 발전하면서 관련 가전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으로, 사람이 활동하는 각종 거주시설이나 이용시설에는 실내에 반드시 조명기기가 설치되기 마련인데, 사람이 활동하는 거의 모든 장소에 설치되는 조명기기에 공기질 측정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의 공기 측정기능을 구비한 기기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실내 공기질을 파악할 수 있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98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15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이 활동하는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기에 공기질 측정 기능을 추가함에 따라 별도의 공기질 측정기를 구매할 필요없이 실내 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조명기를 통해 측정된 공기질 정보에 의해 실내에 있는 사람이 취해야 할 행동을 자동으로 안내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모듈과; 실내환경에서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 측정모듈과; 상기 공기질 측정모듈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 정보에 대응하여 발광모듈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제어모듈과;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공기질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필터를 사용한 공기 여과방식과 집진판을 사용한 전기 집진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질 측정모듈은 온도, 습도,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TVO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 가능하며, 상기 발광모듈이 LED를 포함할 경우 상기 출력제어모듈은 공기질 정보에 따라 405~415nm, 416~525nm, 526~590nm, 630~660nm 또는 800~900nm 파장대의 LED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상기 조명기구는 실내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에 마련된 행동 제안정보를 무선 통신모듈을 거쳐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안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로부터 행동 제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행동제안 정보는 실내 환기, 공기청정기 가동, 실내 점검 및 외부 대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은 실외 공기질 측정기 및 온라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신되는 실외 공기질 정보 및 실내 공기질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는 행동 제안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외 공기질 정보, 실내 공기질 정보, 실외 공기질 정보 및 실내 공기질 정보를 비교한 결과,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행동 제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중계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여 빅데이터화 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은 행동 제안정보에 따라 조명기구와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IoT 가전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사람이 활동하는 실내에 매립식, 스탠드식으로 설치되는 조명기에 공기질 측정 기능을 추가함에 따라 별도의 공기질 측정기를 구매할 필요없이 병원, 학교, 극장, 도서관, 사무실, 주택 등 다중 이용시설이나 거주시설 내 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2. 조명기를 통해 측정된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취해야 할 행동을 자동으로 안내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3. 공기질 정보에 대응하여 LED를 적용한 조명기구로부터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파장 대역의 빛을 조사할 수 있음
4. 측정된 공기질 관련된 정보를 빅데이터화 하여 통계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5. 조명기를 통해 측정된 공기질 정보에 따라 근거리의 IoT 가전을 자동 제어할 수 있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의 활용 사례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발광모듈, 공기질 측정모듈, 출력제어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모듈과, 실내환경에서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 측정모듈과, 공기질 측정모듈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 정보에 대응하여 발광모듈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제어모듈과, 실내 공기질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모듈은 유리구 안에 코일 형태의 필라멘트를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빛이 발생하는 백열등, 3가지 빛(청색, 녹색, 적색)의 파장을 혼합하여 고주파로 변환시켜 점등되는 삼파장 전구, 진공 유리관 안에 형광물질을 칠해서 수은 방전으로 빛을 발하는 형광등과 같은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관하고, 특히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매우 길어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LED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밝기를 70럭스 이상으로 하여 일반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장소에서 밤에도 사람이 활동하기에 불편하지 않은 수준의 광량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공기질 측정모듈은 실내 환경에서 온도, 습도,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TVOC 등을 측정하여 공기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미세먼지는 PM10, PM2.5를 기준으로 하여 미세먼지/초미세먼지로 구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한편, 프로필렌옥사이드/벤젠/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TVOC 또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측정되는 상황을 주변 사람이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질 측정모듈에 의해 생성된 공기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기질 정보 표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질 정보 표시모듈은 공기질 정보 중 온도, 습도의 경우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미세먼지 상태, 이산화탄소 농도, TVOC 농도와 같이 수치로 사람이 체감할 수 없는 정보는 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 등과 같이 직관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나쁨이나 매우나쁨 상태에서는 조속한 대응을 위해 알람음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출력제어모듈은 공기질 측정모듈을 통해 측정된 실내 공기질 정보에 따라 발광모듈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간단하게는 양호/보통/불량과 같은 공기질 상태에 따라 밝기를 밝음/보통/어두움과 같이 상이하게 구분하여 발광모듈이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모듈이 LED를 포함할 경우 출력제어모듈이 공기질 정보에 따라 405~415nm, 416~525nm, 526~590nm 또는 800~900nm 파장대의 LED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도록 할 수 있는데, 405~415nm 파장대 광은 블루 라이트를 조사하고, 416~525nm 파장대 광은 그린 라이트를 조사하고, 526~590nm 파장대 광은 옐로우 라이트를 조사하고, 630~660nm 파장대 광은 레드 라이트를 조사하며, 800~900nm 파장대 광은 근적외선 광을 조사하기 때문에 각각의 색상이 다른 파장대 광을 통해 매우양호/양호/보통/불량/매우불량과 같이 공기질 정보를 색상으로도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발광모듈이 LED를 통해 각각의 파장대 광을 출력할 시에 공지된 바와 같이 405~415nm 파장대 광은 여드름 치료 등 염증 유발과 관련된 피부 트러블 해소에 도움을 주고, 416~525nm 파장대 광은 피부 신진 대사를 도와 미세한 피부 주름에 효과를 나타내고, 526~590nm 파장대 광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기미, 주근깨를 개선하고, 630~660nm 파장대 광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개선시키며, 800~900nm 파장대 광은 피부 색소 침착을 방지하고 재생을 촉진하여 피부 관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는 실내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공기질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필터를 사용한 공기 여과방식이나 집진판을 사용한 전기 집진방식 등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공기 여과방식의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하고 필터에 의해 미세한 먼지나 세균류를 집진하며 체취나 담배 냄새를 탈취하도록 기능하고, 입자가 큰 섬유먼지 등을 걸러주는 프리필터, 초극세 섬유를 이용해 강한 정전기로 미립자를 집진하는 HEPA 필터나 ULPA 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주기적인 필터 교체가 요구되는 한편, 전기 집진방식의 경우 집진판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자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조명기구에 유입된 오염물질 입자들이 전하를 띄면서 집진판에 들러붙어 제거되도록 하는 원리에 따른다.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무선 근거리 통신방식에 따라 이하 기술되는 사용자 단말기, 데이터 관리서버, IoT 가전 등과 직간접적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무선 통신모듈을 거쳐 IoT 가전이 공기질 측정모듈에 의해 생성된 실내 공기질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IoT 가전이 공기청정기인 경우, 조명기구가 측정한 실내 공기질 정보가 자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면 이를 무선 통신모듈과 근거리 범위 내에서 통신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수신하여 가동될 수 있으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반대로 가동상태가 중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조명기구가 실내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에 마련된 행동 제안정보를 무선 통신모듈을 거쳐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안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안정보 제공모듈로부터 행동 제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행동제안 정보로는 실내 환기, 공기청정기 가동, 실내 점검, 외부 대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질에 따라 실내 환기가 필요한 경우 실내 환기나 공기 청정기 가동과 같은 행동제안을 사용자 단말기가 확인 가능하게 하여 해당 행동을 취하도록 하거나, 공기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서 지나치게 오염된 상황으로 확인되면 실내 상황을 점검하도록 하거나 밖으로 대피하도록 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의 행동 지령을 통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은 실외 공기질 측정기, 온라인 네트워크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신되는 실외 공기질 정보 및 공기질 측정모듈에 의한 실내 공기질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는 행동 제안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실외 공기질이 실내보다 좋지 못한 경우에 불필요한 환기로 인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기는 종래 공지된 각종 대기 오염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구와 통신할 수 있으며, 여러 포털 사이트를 연계하는 온라인 네트워크에서도 지역별 각종 실외 공기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에 따라 이를 활용하여 실내외 공기질 정보를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실외 공기질 정보, 실내 공기질 정보, 실외 공기질 정보 및 실내 공기질 정보를 비교한 결과,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행동 제안정보 등을 중계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여 빅데이터화 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게 되며, 이러한 데이터 관리서버에 저장된 자료는 지역별 실내외 공기 오염도, 행동 제안정보를 반영한 공기질 개선 효과 등의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은 행동 제안정보에 따라 조명기구와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IoT 가전을 제어할 수 있는데,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거나,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창문을 제어하는 등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의 활용 사례를 나타낸 순서도다.
아래에서는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의 활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1. 조명기구의 공기질 측정모듈이 실내 공기질을 측정함
2. 실내 공기질 정보를 사전에 준비된 기준 공기질 정보와 비교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함(아래 2-1, 2-2, 2-3, 2-4 과정을 동시 또는 택일하여 진행 가능)
2-1. 실내 공기질이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출력제어모듈을 통해 발광모듈이 깜빡거리도록 함 =>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환기해야 할 상황임을 알림
2-2. 실내 공기질이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환기를 시켜야 하거나 공기청정기를 가동해야 할 상황임을 사용자 단말기로 알림
2-3. 실내 공기질이 불량으로 판단될 경우 공기청정기를 자동으로 가동시킴
2-4. 실내외 공기질을 비교하여 실내 환기, 공기청정기 가동, 실내 점검, 외부 대피 등의 행동제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3. 실외 공기질 정보, 실내 공기질 정보, 실외 공기질 정보/실내 공기질 정보를 비교한 결과,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행동 제안정보 등을 데이터 관리서버에 저장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모듈과;
    실내환경에서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 측정모듈과;
    상기 공기질 측정모듈이 측정한 실내 공기질 정보에 대응하여 발광모듈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출력제어모듈과;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공기질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필터를 사용한 공기 여과방식과 집진판을 사용한 전기 집진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측정모듈은 온도, 습도,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TVO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이 LED를 포함할 경우, 상기 출력제어모듈은 공기질 정보에 따라 405~415nm, 416~525nm, 526~590nm, 630~660nm 또는 800~900nm 파장대의 LED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기구를 사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실내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에 마련된 행동 제안정보를 무선 통신모듈을 거쳐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안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로부터 행동 제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행동제안 정보는 실내 환기, 공기청정기 가동, 실내 점검 및 외부 대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은 실외 공기질 측정기 및 온라인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신되는 실외 공기질 정보 및 실내 공기질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는 행동 제안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실외 공기질 정보, 실내 공기질 정보, 실외 공기질 정보 및 실내 공기질 정보를 비교한 결과, 비교한 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행동 제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중계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여 빅데이터화 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안정보 제공모듈은 행동 제안정보에 따라 조명기구와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IoT 가전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KR1020200081924A 2020-07-03 2020-07-03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KR20220004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24A KR20220004870A (ko) 2020-07-03 2020-07-03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924A KR20220004870A (ko) 2020-07-03 2020-07-03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870A true KR20220004870A (ko) 2022-01-12

Family

ID=7933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924A KR20220004870A (ko) 2020-07-03 2020-07-03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87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09B1 (ko) 2017-12-29 2018-07-24 유상열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KR20190119873A (ko)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더밸류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09B1 (ko) 2017-12-29 2018-07-24 유상열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KR20190119873A (ko)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더밸류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633B1 (ko)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KR101704502B1 (ko) 건조·살균·색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형 스마트 led 복합등기구
US11883546B2 (en) Luminaire with disinfection light exposure and dosage limit control protocol and sensor integration
First et al.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upper-room ultraviolet germicidal irradia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airborne contagion-Part I: basic principles
KR101881509B1 (ko) 댁내 공기질 및 조명 제어시스템
US10753792B2 (en) Reconfigurable optical fiber spectrometer in a lighting device
US10281326B2 (en) Fixture that provides light incorporating a reconfigurable spectrometer
CN105402658B (zh) 一种基于光触媒技术的智能空气净化吸顶灯
KR102607881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795442B (zh) 一种智能分布式空气消毒净化系统
WO2016081959A2 (en) Air sterilizer
CN114832138B (zh) 一种uvc紫外线辐射杀菌效果的检测方法及检测装置
KR20190079726A (ko) Led 조명 시스템
KR20220004870A (ko) 공기질 측정 기능을 구비한 조명기구 및 이를 사용한 행동정보 안내 시스템
CN212362279U (zh) 一种空气净化消毒机
CN112365676A (zh) 一种室内环境健康监测与预警系统
TWM608854U (zh) 智慧型全時殺菌照明燈組
RU101635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лучения воздуха и поверхностей в помещении
CN106369736A (zh) 教学区室内新风净化及空气质量监控系统
CN212842078U (zh) 一种吸顶或挂壁式自动消毒仪
KR20180123603A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led 조명 시스템
KR20220071804A (ko) 배터리를 내장하여, 소등 시 자동 작동하는 자외선살균장치를 포함한 조명장치
US202302639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indoor environments
US20240068683A1 (en) Smart air disinfection ventilation system
CN213599536U (zh) Led光催化空气消毒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