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699A -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699A
KR20220004699A KR1020217038540A KR20217038540A KR20220004699A KR 20220004699 A KR20220004699 A KR 20220004699A KR 1020217038540 A KR1020217038540 A KR 1020217038540A KR 20217038540 A KR20217038540 A KR 20217038540A KR 20220004699 A KR20220004699 A KR 20220004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yscale
display
voltage
display area
fingerprint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취안 천
샤오바오 장
정 왕
웨이 딩
Original Assignee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Image Input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 기기에 있어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 발광하게끔 구동하는 표시 구동 칩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구동 칩은,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며, 다수의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제2 계조 생성 모듈;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계조 구동 모듈; 및 상기 계조 구동 모듈이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게끔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제1 표시 영역의 계조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
본 출원은 표시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광학적 스크린 지문 인식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종래의 표시 기기는, 지문 인식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학적 지문 웨이크업을 수행할 때, 스크린의 지문 인식 영역을 최고 휘도로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 지문 인식 영역에서 쉽게 깜박거림과 휘도 돌변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종래기술의 비 지문 인식 영역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은 표시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기기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 발광하게끔 구동하는 표시 구동 칩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구동 칩은,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며, 다수의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제2 계조 생성 모듈;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 및 상기 제2 계조 생성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계조 구동 모듈; 및 상기 계조 구동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계조 구동 모듈이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게끔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방법은,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며, 다수의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측면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는,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을 통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제1 제어 모듈을 통해 계조 구동 모듈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도록 제어하여,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이 제1 기설정 계조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의 계조가 단독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제2 표시 영역과의 연관을 감소시켜 제2 표시 영역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에서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이 감마 유닛에 집적된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9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표시 기기에는, 광학적 지문 웨이크업을 수행할 때에 비 지문 인식 영역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쉽게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가 존재한다. 발명자는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종래의 표시 기기가 지문 인식 영역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크린의 모든 영역을 모두 최고 휘도로 작동시킨 후, 비 지문 인식 영역의 휘도를 저감시키며, 지문 인식 영역의 휘도를 단독으로 제어하지 않으며, 이 과정에서 비 지문 인식 영역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임을 발견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자는 연구를 통해,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의 계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비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의 계조 제어와의 연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비 지문 인식 영역의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수단을 명확하고도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님이 명백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토대로,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의적 노동을 하지 않고 얻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기기는, 제1 표시 영역(11)과 제2 표시 영역(1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 및 디스플레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1)가 표시 발광하게끔 구동하는 표시 구동 칩(2)을 포함한다. 표시 구동 칩(2)은,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21);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제2 표시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며, 다수의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제2 계조 생성 모듈(22);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21) 및 제2 계조 생성 모듈(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계조 구동 모듈(23); 및 계조 구동 모듈(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제1 표시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게끔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24)을 포함한다.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21)을 통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제1 제어 모듈(24)을 통해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제1 표시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도록 제어하여, 제1 표시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으로 하여금 제1 기설정 계조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1 표시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의 계조가 단독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제2 표시 영역(12)과의 연관을 감소시킴으로써, 제2 표시 영역(12)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플레이(1)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의 표시 스크린일 수 있으며,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는 스크린이면 되며, 본 출원은 스크린의 구체적인 화상 표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21)은 표시 칩 내부의 독립적인 회로 구조일 수도 있고, 다른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21)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계조 전압의 전압값이 작을수록 계조가 더 높고 휘도가 더 밝다.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을 수도 있고, 또는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클 수도 있다. 제1 표시 영역(11)은 지문 인식 영역일 수도 있고, 또는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표시 영역일 수도 있다. 제1 표시 영역(11)이 지문 인식 영역인 경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으며, 이로써 제1 표시 영역(12)의 계조는 제2 표시 영역(11)의 계조보다 높아, 지문 인식 영역의 정확성을 확보한다. 제1 표시 영역(11)이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표시 영역인 경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크며, 이로써 제1 표시 영역(11)의 계조는 제2 표시 영역(12)의 계조보다 낮아,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낮은 휘도를 보장하여 높은 휘도가 촬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구체적인 적용 시나리오일 뿐이며 상기 적용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제어 모듈(24)은 칩 내부의 독립적인 회로 구조일 수도 있고, 표시 칩 내부에 마이크로 집적된 회로 모듈일 수도 있다. 제1 제어 모듈(24)은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제1 표시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면 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제어 모듈(24)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11)은 지문 인식 영역(11')을 포함하고, 제2 표시 영역(12)은 비 지문 인식 영역(12')을 포함한다.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다.
제1 제어 모듈(24)을 통해,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도록 제어하되,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도록 하여,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의 계조가 비 지문 인식 영역(12')의 계조보다 높도록 한다. 이로써, 지문 인식 영역(11')의 휘도가 충분히 높도록 하여 지문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 제어 모듈(24)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독립적으로 할당하므로, 비 지문 인식 영역(12')과의 연관을 감소시켜, 비 지문 인식 영역(12')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플레이(1)가 4bit 화상 표시 디스플레이(4bit 디스플레이라고도 칭함)인 경우, 계조 전압 구간은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15 계조 전압을 포함하고,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은 제16 계조 전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가 8bit 화상 표시 디스플레이(8bit 디스플레이라고도 칭함)인 경우, 계조 전압 구간은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을 포함하고,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은 제256 계조 전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가 10bit 화상 표시 디스플레이(10bit 디스플레이라고도 칭함)인 경우, 계조 전압 구간은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1023 계조 전압을 포함하고,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은 제1024 계조 전압일 수 있다.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으면 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구체적인 계조 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계조 전압 구간은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을 포함하고,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은 제256 계조 전압이다.
8bit 디스플레이는 현재 가장 흔하고 표시 효과가 선명한 디스플레이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도 흔한 것이다. 제2 계조 생성 모듈(22)은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비 지문 인식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고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을 생성하며, 계조 구동 모듈(23)을 통해,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으로부터 비 지문 인식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한다.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21)은 독립적인 제256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제1 제어 모듈(24)을 통해,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는,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의 계조가 비 지문 인식 영역(12')의 계조보다 높도록 하여 지문 인식 영역(11')의 휘도를 충분히 높여 지문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문 인식 영역(11')과 비 지문 인식 영역(12') 사이의 연관을 감소시켜 비 지문 인식 영역(12')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기기는 제1 제어 모듈(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3)를 더 포함한다. 센서(3)는, 디스플레이(1)가 지문 인식 대기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인식 시동 신호를 제1 제어 모듈(24)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1 제어 모듈(24)은 나아가,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하면,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인식 시동 신호는, 표시 기기가 지문 인식 영역(11')을 시동하여 지문 인식을 수행할 것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센서(3)는, 디스플레이(1)가 지문 인식 대기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인식 시동 신호를 제1 제어 모듈(24)에 송신한다. 제1 제어 모듈(24)은,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하면,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게끔 제어함으로써, 지문 인식 영역(11')의 계조를 단독으로 제어하는 것을 구현한다.
센서(3)는 압전식 센서(3), 감광 센서(3) 또는 적외선 센서(3)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센서(3)의 구체적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표시 기기는, 센서(3)와 제1 제어 모듈(24) 사이에 설치된 AP(Application Processor, 응용 프로세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3)는 디스플레이(1)가 지문 인식 대기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에 인식 시동 신호를 AP 모듈에 송신하고, AP 모듈은 인식 시동 신호를 제1 제어 모듈(24)에 전송하고, 제1 제어 모듈(24)은,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하면,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게끔 제어함으로써, 지문 인식 영역(11')의 계조를 단독으로 제어하는 것을 구현한다.
AP 모듈은 인식 시동 신호 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를 제1 제어 모듈(24)에 전달할 수도 있다. AP 모듈은 제1 제어 모듈(24)에 인식 시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면 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AP 모듈의 다른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4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구동 칩(2)은 제1 제어 모듈(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레지스터 모듈(4)을 더 포함한다. 제1 레지스터 모듈(4)는, 제1 제어 모듈(24)이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 시, 지문 인식 영역(11')의 레지스터 정보를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레지스터 정보는 지문 인식 영역(11')의 미리 저장된 정보를 가리키며, 지문 인식 모드에 있는 지문 인식 영역(11')의 화상 형상, 화상 위치 및 화상 컬러 등을 포함한다.
제1 제어 모듈(24)이 인식 시동 정보를 수신하면, 제1 레지스터 모듈(4)은 지문 인식 영역(11')의 레지스터 정보를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1)에 지문 인식 영역(11')의 광학적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제1 레지스터 모듈(4)은 제1 제어 모듈(24)에 집적된다. 제1 레지스터 모듈(4)은 제1 제어 모듈(24)에 집적됨으로써, 제1 제어 모듈(24)이 인식 시동 정보를 수신 시, 제1 레지스터 모듈은 지문 인식 영역(11')의 레지스터 정보를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1)에 지문 인식 영역(11')의 광학적 화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제어 유닛은 계조 구동 모듈(23)을 제어하여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도록 하여, 지문 인식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또한 비 지문 인식 영역(12')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5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계조 생성 모듈(22)은,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제2 표시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는 계조 산출 유닛(221); 및 계조 산출 유닛(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감마 유닛(222)을 포함한다. 비 지문 인식 영역(12')의 화소 유닛은 다양한 계조를 이용하여 화상의 다양한 휘도 표시를 구현할 필요가 있으며, 계조 산출 유닛(221)은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비 지문 인식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한다. 감마 유닛(222)은 필요한 전체 계조 수를 토대로, 계조와 계조 전압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고, 차동 연산을 통해 최고 전압값과 최저 전압값 사이에서 각 레벨의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산출한다.
계조 산출 유닛(221)과 감마 유닛(222)은 모두 표시 칩 내부의 독립적인 회로 구조일 수도 있고, 또는 모두 표시 칩 내부에 미형으로 집적된 회로 유닛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계조 산출 유닛(221)과 감마 유닛(222)의 회로 구조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표시 기기는, 센서(3)와 제1 계조 산출 유닛(221) 사이에 설치된 AP(Application Processor, 응용 프로세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P 모듈은 제1 제어 모듈(24) 및 계조 산출 유닛(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AP 모듈은 나아가, 제1 제어 모듈(24)에 인식 시동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계조 산출 유닛(221)에 화상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3)는 디스플레이(1)가 지문 인식 대기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에 인식 시동 신호를 AP 모듈에 송신하며, AP 모듈은 인식 시동 신호를 제1 제어 모듈(24)에 전송하며, 그리고 AP 모듈은 계조 산출 유닛(221)에 화상 데이터를 전달한다. 제1 제어 모듈(24)은 계조 구동 모듈(23)을 제어하여 계조 구동 모듈(23)이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11')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도록 한다. 계조 산출 유닛(221)은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제2 표시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한다.
도 6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에서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이 감마 유닛에 집적된 원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21)은 감마 유닛(222)에 집적된다. 그 집적 방식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마 유닛(222)의 아키텍처를 토대로, 제256 계조 전압을 단독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bit 제어 비트(도면에 node256으로 나타냄)가 새로 추가된다. 기존의 감마 유닛(222)을 토대로 bit 제어 비트 하나를 새로 추가함으로써, 제256 계조 전압의 단독 생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선 공간을 절감할 수도 있다.
제256 계조 전압의 메인 전압 소스는 감마 유닛(222)의 최저 전압단의 전압일 수도 있고, 감마 유닛(222)의 최저 전압단과 동일 레벨인 그밖의 다른 독립적인 조절 가능한 전압일 수도 있다. 제256 계조 전압은 전압값이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낮으면 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56 계조 전압의 메인 전압 소스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 구동 모듈(23)은 소스 구동 유닛(231)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32)을 포함한다. 소스 구동 유닛(231)은, 디지털 명령을 산출하고 디지털 명령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32)에 송신하며, 디지털 명령은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32)은, 디지털 명령을 변환하여,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구현한다.
계조 구동 모듈(23)은 제2 계조 생성 모듈(22)에 의해 생성된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비 지문 인식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해야 한다. 소스 구동 유닛(231)은 선출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명령을 산출하고 디지털 명령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232)에 송신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모듈은 디지털 명령을 변환하여,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비 지문 인식 영역(12')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동작을 구현한다.
도 8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01: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한다.
단계 802: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며, 다수의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한다.
단계 803: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한다.
단계 804: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한다.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여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으로 하여금 제1 기설정 계조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과의 연관을 감소시켜 제2 표시 영역의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을 방지한다.
계조 전압의 전압값이 작을수록 계조가 더 높고 휘도가 더 밝다.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을 수도 있고, 또는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클 수도 있다. 제2 표시 영역은 지문 인식 영역일 수도 있고, 또는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표시 영역일 수도 있다. 제2 표시 영역이 지문 인식 영역인 경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이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도록 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의 계조가 제1 표시 영역의 계조보다 높도록 하여, 지문 인식 영역의 인식 정확성을 보장된다. 제2 표시 영역이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표시 영역인 경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이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크도록 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의 계조가 제1 표시 영역의 계조보다 낮도록 하여, 언더스크린 카메라의 표시 영역의 낮은 휘도를 보장하여 높은 휘도로 인해 촬영 효과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비록 당해 방법은 도 8에 나타낸 단계의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도 8에 나타낸 단계의 순서로만 당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당해 방법의 수행 순서는 단계 801, 단계 804, 단계 802와 단계 803의 순서, 또는 단계 801, 단계 802, 단계 804와 단계 803 등의 순서일 수 있다. 단계 801가 단계 804 이전에 수행되고, 단계 802가 단계 803 이전에 수행되면 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계 801, 단계 802, 단계 803과 단계 804의 순서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표시 영역은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제2 표시 영역은 비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한다.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다.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이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으므로,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의 계조가 비 지문 인식 영역의 계조보다 높으며, 이에 따라 지문 인식 영역의 휘도가 충분히 높아 지문 인식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단독으로 할당함으로써, 지문 인식 영역과 비 지문 인식 영역 사이의 연관을 감소시켜 비 지문 인식 영역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적으로, 계조 전압 구간은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을 포함하고,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은 제256 계조 전압이다.
8bit 디스플레이가 현재 가장 흔하고 표시 효과가 선명한 디스플레이이므로, 이와 대응하게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도 흔한 것이다.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비 지문 인식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여,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으로부터 비 지문 인식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산출한다. 독립적인 제256 계조 전압을 생성하고,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한다. 이로써,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의 계조가 비 지문 인식 영역의 계조보다 높도록 하여, 지문 인식 영역의 휘도를 충분히 높여 지문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 지문 인식 영역과의 연관을 감소시켜, 비 지문 인식 영역에서 깜박거림 또는 휘도 돌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는 단계 804 이전에, 표시 방법은,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80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인식 시동 신호는, 표시 기기가 지문 인식 영역을 시동하여 지문 인식을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인식 시동 신호는, 표시 기기가 지문 인식 영역을 시동하여 지문 인식을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한 후, 제256 계조 전압을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여, 지문 인식 영역의 계조를 단독으로 제어하는 것을 구현한다.
도 10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805 이후에, 표시 방법은, 지문 인식 영역의 레지스터 정보를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제공하는 단계 806을 더 포함한다.
레지스터 정보는 지문 인식 모드에 있는 지문 인식 영역의 화상 형상, 화상 위치 및 화상 컬러 등의 지문 인식 영역의 미리 저장된 정보를 가리킨다.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한 후, 지문 인식 영역의 레지스터 정보를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에 지문 인식 영역의 광학적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비록 당해 방법은 도 10에 나타낸 단계의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도 10에 나타낸 단계의 순서로만 당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단계 806은 단계 804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단계 806은 단계 804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806이 단계 805 이후이기만 하면 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계 804와 단계 806의 수행 순서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1에 나타낸 것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의 개략적 흐름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단계 803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031: 디지털 명령을 산출하고 디지털 명령을 송신한다. 디지털 명령은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8032: 디지털 명령을 변환하여,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구현한다.
모듈 간에 전달되는 것은 모두 디지털 신호이며, 먼저 디지털 명령을 산출한 후, 다음으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통해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구현한다.
본 출원은,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을 수행한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균등 교체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6)

  1. 표시 기기에 있어서,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표시 발광하게끔 구동하는 표시 구동 칩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구동 칩은,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며, 다수의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제2 계조 생성 모듈;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 및 상기 제2 계조 생성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계조 구동 모듈; 및
    상기 계조 구동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계조 구동 모듈이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게끔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상기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전압 구간은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은 제256 계조 전압안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지문 인식 대기 상태임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인식 시동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추가로, 상기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계조 구동 모듈이 상기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상기 제256 계조 전압을 할당하게끔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 칩은,
    상기 제1 제어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레지스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지스터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모듈이 상기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지문 인식 영역의 레지스터 정보를 상기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지스터 모듈은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조 생성 모듈은,
    상기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는 계조 산출 유닛; 및
    상기 계조 산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감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생성 모듈은 상기 감마 유닛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구동 모듈은 소스 구동 유닛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구동 유닛은, 디지털 명령을 산출하고 상기 디지털 명령을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에 송신하며, 상기 디지털 명령은,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유닛은, 상기 디지털 명령을 변환하여,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기.
  10. 디스플레이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방법은,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며, 다수의 계조 전압을 포함하는 계조 전압 구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 지문 인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의 전압값은 상기 계조 전압 구간 중의 어느 하나의 계조 전압의 전압값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전압 구간은 제로 계조 전압 내지 제255 계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은 제256 계조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설정 계조 전압을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할당하는 상기 단계의 전에,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 시동 신호는 상기 표시 기기가 상기 지문 인식 영역을 시동하여 지문 인식을 진행할 것이 필요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인식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의 후에,
    상기 지문 인식 영역의 레지스터 정보를 상기 지문 인식 영역 중의 모든 화소 유닛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명령을 산출하고, 상기 디지털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명령을 변환하여, 상기 계조 전압 구간으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의 각각의 화소 유닛에 필요한 계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출하는 것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방법.
  16.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제10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217038540A 2019-06-27 2020-01-10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 KR202200046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567740.6 2019-06-27
CN201910567740.6A CN110276326B (zh) 2019-06-27 2019-06-27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PCT/CN2020/071327 WO2020258844A1 (zh) 2019-06-27 2020-01-10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699A true KR20220004699A (ko) 2022-01-11

Family

ID=6796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540A KR20220004699A (ko) 2019-06-27 2020-01-10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22067B2 (ko)
EP (1) EP3961488A4 (ko)
JP (1) JP7330300B2 (ko)
KR (1) KR20220004699A (ko)
CN (1) CN110276326B (ko)
TW (1) TWI740351B (ko)
WO (1) WO2020258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6326B (zh) 2019-06-27 2021-07-1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CN110310597A (zh) * 2019-06-27 2019-10-0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CN113257189A (zh) * 2020-02-10 2021-08-13 敦泰电子股份有限公司 光学式屏下指纹行动装置的解锁方法
CN111653249B (zh) * 2020-06-01 2021-03-1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681592B (zh) * 2020-06-30 2022-10-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亮度调节方法、显示装置
CN115565208A (zh) * 2021-06-30 2023-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3327538B (zh) * 2021-08-04 2021-12-17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公共电压最优值的获取方法及显示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253A (ko) * 2008-05-19 2009-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및 그디밍 방법
TWI506609B (zh) * 2013-02-08 2015-11-01 Hung Ta Liu 伽碼曲線調整方法與其伽碼電壓產生器和顯示控制系統
CN104795037A (zh) * 2015-04-29 2015-07-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及其驱动方法
CN107153448B (zh) * 2017-05-27 2021-0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33235A (ko) * 2017-09-21 2019-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적 지문 인식을 위한 감마 회로,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학적 지문 인식 방법
KR102510460B1 (ko) * 2017-12-18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8257544B (zh) * 2018-02-13 2021-05-1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异形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异形显示装置
CN108766975B (zh) * 2018-04-28 2021-02-02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电子设备
CN108830190A (zh) * 2018-05-30 2018-11-1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N108766347A (zh) * 2018-06-13 2018-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其显示方法及显示装置
TWM569880U (zh) * 2018-08-17 2018-11-11 奕力科技股份有限公司 觸控顯示模組及其顯示驅動器
CN109256090B (zh) * 2018-11-16 2020-05-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画面的调节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545132A (zh) * 2018-11-26 2019-03-2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屏体显示方法、显示屏及电子设备
CN109714532A (zh) * 2018-12-29 2019-05-03 联想(北京)有限公司 图像采集方法、处理方法和装置
CN109712593B (zh) * 2019-02-25 2021-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亮度控制方法和终端设备
CN109801605B (zh) * 2019-02-27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亮度调整方法、电子设备、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276326B (zh) * 2019-06-27 2021-07-1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CN110310597A (zh) * 2019-06-27 2019-10-0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76326A (zh) 2019-09-24
TWI740351B (zh) 2021-09-21
US20210327329A1 (en) 2021-10-21
US11322067B2 (en) 2022-05-03
WO2020258844A1 (zh) 2020-12-30
JP7330300B2 (ja) 2023-08-21
EP3961488A4 (en) 2022-06-22
CN110276326B (zh) 2021-07-16
JP2022534317A (ja) 2022-07-28
EP3961488A1 (en) 2022-03-02
TW202101419A (zh) 202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4699A (ko) 표시 기기 및 표시 방법
CN108257560B (zh) 有机发光显示装置、数据驱动器及驱动数据驱动器的方法
KR102412107B1 (ko) 휘도 제어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5428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5307527B2 (ja)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
US20150097764A1 (en) Driving method for dimm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JP2010286840A (ja) 有機発光平板表示装置および有機発光平板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20258845A1 (zh)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KR20150078980A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82631B1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07550B2 (en) Digital control driving method and driving display device
KR1024168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076363A (ko) 휘도조절방법, 휘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0272B1 (ko) 유기전계 발광장치
KR102470064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9599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5997874B2 (ja) 光源装置
KR102132200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85768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0060650A (ja) 表示ドライバ、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方法
KR101349783B1 (ko) 액정표시장치용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81200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1354318B (zh) 减少背光源消耗的电力的图像数据处理装置及其显示装置
KR100646987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4809A (ko) 시간분할 구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