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331A -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331A
KR20220004331A KR1020200082030A KR20200082030A KR20220004331A KR 20220004331 A KR20220004331 A KR 20220004331A KR 1020200082030 A KR1020200082030 A KR 1020200082030A KR 20200082030 A KR20200082030 A KR 20200082030A KR 20220004331 A KR20220004331 A KR 2022000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rehouse
terminal device
product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08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4331A/ko
Publication of KR2022000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판매자 단말장치, 창고센터 단말장치, 서비스 제공장치, 구매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장치가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창고센터 단말장치는 창고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정보를 서비스 제공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 및 창고센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물류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물류정보를 처리하여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에 각각 등록된 상품 이미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매칭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품 이미지정보 분석을 통해 풀필먼트 상품 정보에 매칭을 완료한 후, 포장 방식 매칭부와 입출고 창고 매칭부를 통해 상품에 대한 포장방식과 입출고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여 풀필먼트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풀필먼트 프로세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풀필먼트 프로세스 매칭 정보에 따라 상품 입출고 물류정보를 창고센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창고센터 단말장치가 상품 입출고 물류정보를 수신받아 상품에 대한 입출고를 처리하며, 입출고 처리된 상품을 종합하고 물류정보를 갱신하여 서비스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창고센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갱신 물류정보를 저장부에서 처리하여 창고 관리정보로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품과 관련된 물류정보를 판매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판매자가 상품이 보관되는 창고 관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 및 구매자 단말장치를 통해 상품 구매결정정보가 서비스 제공장치로 접수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장치가 구매주문을 처리하고 구매 처리 내역을 판매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상품정보 연계와 맞춤형 패킹 및 맞춤형 입출고 창고를 연동하여 최적화된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커머스(e커머스)로 표현되는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는 온라인 상에 개설된 가상 시장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상품과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사고 파는 거래를 의미하는, 이는 ICT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스마트폰의 활용을 통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근래에는 비대면 생활을 지향하는 사회적 환경 변수가 발생됨에 따라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비대면 형식의 상품 구매 방법인 이커머스의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커머스를 통해서는 판매자에 있어서 판매에 대한 시간적 제약이 사라지고 구매자에게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상품정보를 탐색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 같은 이커머스 실행을 위해 온라인 상에 개설되는 가상 시장인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이하, 판매자)는 상품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가격을 제시함으로써 구매자들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1939호와 같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는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카메라 및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판매자 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판매자 정보를 획득하고, 촬영 대상인 판매 상품에 부착된 태그(tag)나 코드(code)로부터 상기 판매 상품의 식별자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식별자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상기 판매 상품의 사진이나 동영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게시되도록 하는 판매 상품 게시 요청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되, 상기 전자상거래 사이트는 상기 판매자 별로 판매 상품이 표시되도록 화면이 구성되는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을 통해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이는 이커머스 산업에서 판매자가 상품 판매를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의 일부분으로 한정되는 기술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는 상품에 대해 특정 인물과 관련된 상품들을 구매하고자 할 시 적용될 수 있는 상품 검색부문의 기술로 활용될 수는 있다. 하지만, 이커머스 산업의 활성화를 이루는 소규모 판매자들의 증가 추세와 다품종 소량 주문에 대한 현 시대 구매자들의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처리 기술과 방법으로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018-0009194호(2018.01.2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것으로,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커머스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판매자에게는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창고주에게는 공실률을 최소화하여 정확한 상품을 구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을 통한 상품정보 연계와 맞춤형 패킹 및 맞춤형 입출고 창고 연동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판매자 단말장치, 창고센터 단말장치, 서비스 제공장치, 구매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장치가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창고센터 단말장치는 창고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정보를 서비스 제공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 및 창고센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물류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물류정보를 처리하여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에 각각 등록된 상품 이미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매칭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품 이미지정보 분석을 통해 풀필먼트 상품 정보에 매칭을 완료한 후, 포장 방식 매칭부와 입출고 창고 매칭부를 통해 상품에 대한 포장방식과 입출고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여 풀필먼트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풀필먼트 프로세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풀필먼트 프로세스 매칭 정보에 따라 상품 입출고 물류정보를 창고센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창고센터 단말장치가 상품 입출고 물류정보를 수신받아 상품에 대한 입출고를 처리하며, 입출고 처리된 상품을 종합하고 물류정보를 갱신하여 서비스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창고센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갱신 물류정보를 저장부에서 처리하여 창고 관리정보로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품과 관련된 물류정보를 판매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판매자가 상품이 보관되는 창고 관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 및 구매자 단말장치를 통해 상품 구매결정정보가 서비스 제공장치로 접수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장치가 구매주문을 처리하고 구매 처리 내역을 판매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판매자에게는 물류처리에 대한 업무 부담과 관련 비용을 경감시킴으로써 상품에 대한 제조 또는 소싱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고 창고주에게는 기본적인 창고 정보 제공을 통해 보유 창고의 공실률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보관 물량 수주를 유지할 수 있고 추가적인 인건비와 광고비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계화 된 시스템을 통한 업무처리와 관리를 통해 구매자에게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정확한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판매자와 구매자의 신뢰도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거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커머스 시장의 안정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의 처리 단계별 프로세스 도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프로세스의 이미지 매칭 프로세스를 통한 상품 이미지정보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판매자 단말장치(200), 창고센터 단말장치(300), 구매자 단말장치(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 판매자 단말장치(200), 창고센터 단말장치(300), 구매자 단말장치(400)는 공중망(Public network)과의 연결을 통해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중망은 국가 혹은 통신 기간 사업자가 구축 및 관리하는 통신망으로, 일반적으로 전화망, 데이터망, CATV망 및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의 일반인이 타 통신망이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도록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중망을 네트워크로 대체하여 표기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 판매자 단말장치(200), 창고센터 단말장치(300), 구매자 단말장치(400)는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판매자, 창고센터, 구매자 단말장치(200, 300, 400)에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고 웹 브라우징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웹애플리케이션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서버는 각각의 단말장치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구동 또는 웹 사이트로의 접속을 시도할 시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웹서버를 통해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웹 사이트는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 또는 그래픽 환경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상품정보와 창고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물류정보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로는 판매자가 판매를 위해 제조 또는 소싱한 상품정보와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창고주가 보유한 창고센터의 주소, 보관면적, 보관온도, 보관비용, 지역별 운송비용, 부대비용, 물동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정보의 구분에 따라 판매자정보 데이터베이스와 판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판매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창고주정보 데이터베이스, 창고 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창고입출고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세분화하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상호 연결 및 결합될 수 있고 조합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웹애플리케이션서버는 웹서버를 통해 수신한 판매자 단말장치(200), 창고센터 단말장치(300), 구매자 단말장치(400)의 요청 정보 중 데이터베이스의 연동과 로직에 의한 연산 처리가 필요한 요청에 대해 규칙에 따라 트랜잭션을 수행하고 결과 정보를 웹서버나 관련 구성장치로 반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커머스 처리 단계별 프로세스 도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커머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과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제품입고, 보관, 주문, 피킹과 패킹, 배송, 재고관리와 반품처리, 정산, 유통지원 그리고 다시 제품입고로 이루어지는 연결 과정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행위의 주체는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와 상품의 운송을 담당하는 택배사 또는 3PL(Third Party Logistics; 제 3자 물류)이 포함되는 물류서비스 제공업체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물류서비스 제공업체가 자체적으로 창고를 보유하여 상품 보관 및 입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될 수 있지만 독립적인 서비스로 상품 보관과 입출고를 위한 장소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창고주가 행위 주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커머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과정은 판매자가 제품입고와 마케팅, 물류, 재고관리와 정산 등 전 과정에 참여하고 직접 진행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사업의 확장과 성장이 이루어질 때 업무 처리 능력과 비용면에서 한계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종합 프로세스의 참여로 인해 제공하고자 하는 상품 품질 검증과 소싱에 대한 업무 집중도가 분산되어 구매자의 만족도를 저해 시킬 수 있는 인자로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판매자에게는 상품 제조 또는 소싱 업무 집중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상품의 입고와 보관, 구매자 주문에 대한 출고 및 배송, 반품, 정산, 재고관리의 전방위적인 물류 서비스를 담당하는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건이 필요한 중소형 창고센터를 소유하고 있는 창고주에게도 창고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판매자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같은 판매자와 창고주의 업무와 비용 경감을 가능하게 하는 전문적 물류서비스를 대행함으로써 구매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여 높은 신뢰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도4(a),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10), 등록부(120), 저장부(130), 매칭부(140), 처리부(150), API 연동부(160), 이력 관리부(170), 표시부(180), 통신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매칭부(140)는 이미지 매칭부(141), 포장방식 매칭부(142), 입출고 창고 매칭부(143), 이력제안 매칭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처리부(150)는 포장 처리부(151)와 창고 입출고 처리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등록부(120)는 판매자 단말장치(200) 또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 구매자 단말장치(400)에서 수신한 물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200)에서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를 포함한 물류정보를 입력하고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품정보는 판매자가 제조하거나 소싱을 통해 확보한 상품에 대하여 세부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품명과 확보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정보는 품목별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세부적인 품목별 구분은 의류, 구두와 신발, 가방, 패션잡화, 침구류와 커튼, 가구, 영상가전, 가정용 전기제품, 계절가전, 사무용기기, 광학기기, 소형전자, 휴대폰, 내비게이션, 자동차용품, 의료기기, 주방용품, 화장품, 귀금속과 보석, 시계류, 농수산물,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영유아용품, 악기, 스포츠용품, 서적, 호텔이나 펜션 예약 상품, 여행 패키지, 항공권, 자동차 대여 서비스, 물품대여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상품권, 쿠폰, 모바일 쿠폰, 영화나 공연, 기타 용역, 기타 재화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품목별 상세 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고시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상품 등의 정보제공에 관한 행정규칙'에 따라 품목별로 포함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품목의 상세 정보는 제품 소재, 색상, 치수, 제조자, 제조국, 세탁방법 및 취급 시 주의사항, 제조연월, 품질보증기준, A/S 책임자와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식품의 상세 정보는 포장단위 별 용량(중량), 수량, 크기, 생산자, 수입품의 경우 수입자, 원산지, 제조연원일, 포장일, 생산연도, 유통기한 또는 품질유지기한, 관련법상 표시사항, 상품구성, 보관방법, 취급방법, 소비자상담 관련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단말장치(200) 또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는 상기 상품정보에 상품 이미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제조사 또는 제조자가 제공하는 상품 이미지정보를 획득하여 등록할 수 있다. 판매자 또는 창고관리자가 직접 상품을 촬영하여 제공하는 상품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이미지정보는 사시도, 정면도, 상면도, 저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평면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자 단말장치(200) 또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는 상기 상품정보에 단위상품의 부피 값을 포함하거나 상기 부피 값을 산출할 수 있는 부피산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피산출정보로는 가로, 세로, 높이에 대한 기본정보를 포함하며 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상기 부피산출정보에 따라 부피 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는 창고의 주소, 보관면적, 보관온도, 보관비용, 지역별 운송비용, 부대비용, 물동량 등의 창고 운용정보를 포함하여 물류정보를 입력 및 전송할 수 있다. 보관면적은 면적단위인 평(PY) 단위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송단위인 PLT(pallet)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보관온도는 상온과 저온 또는 냉장, 냉동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보관과 입출고에 따라 발생되는 부대비용은 창고별로 세분화하여 책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판매자 단말장치(200)에서도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보관 및 입출고를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창고 조건을 물류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고 조건은 상기 창고 운용정보에 포함되는 창고의 주소, 보관가능면적, 보관온도, 보관비용, 지역별 운송비용, 부대비용, 물동량 등에 대하여 판매자가 요구하는 조건값으로 입력하고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200) 또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수신되어 등록된 물류정보를 처리하여 이를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로 저장한다. 상기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로의 구분은 정확하게 풀필먼트 상품으로 연동될 수 있는 정보로 관리되며 이후 풀필먼트 프로세스 매칭과 검증에 따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어 통합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매칭부(140)는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창고 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풀필먼트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는 이미지 매칭 프로세스와 포장 최적화 프로세스, 창고 최적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140)는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에 따라, 이미지 매칭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이미지 매칭부(141), 포장 최적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포장방식 매칭부(142), 창고 최적화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입출고 창고 매칭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장치(200) 또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입력하는 물류정보는 상품명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명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200)와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입력하는 상품명은 일반적으로 제조사 또는 제조자가 그 상품을 대표할 수 있도록 명명한 정보를 키값으로 비교될 수 있다. 하지만 판매자 단말장치(200)에서의 상품명은 잠재 구매자들에게 상품을 각인시키고 구매를 자극하기 위하여 홍보 마케팅 문구와 함께 기입될 수 있고 또한 상품명에 대한 오타가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주의 화산암반층과 화산송이를 이용한 천연 필터링을 통해 청정함을 담은 제주OO수'라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여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등록할 시, 상기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등록한 상품정보 중 '제주 화산송이***** 모공팩', '제주삼다 화산송이 ~~~ 소금', '제주OO수' 등 일정 단어가 일치하였을 시, 판매자가 의도하는 상품명인 '제주OO수'와 정확한 연동을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 관리자의 수동 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제주OO수'의 상품명을 '재주OO수'로 잘못 입력하였을 시, 상기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등록한 상품정보에서 검색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같은 오류는 오주문, 오배송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구매자와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같은 한계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매칭부(141)를 통해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상품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텍스트 기반의 상품명의 비교 분석과 함께, 판매자 단말장치(200)와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등록한 상품 이미지정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텍스트 기반에 더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한 상품명의 매핑은 관리자의 수동 작업 없이 정확한 '제주OO수' 라는 상품명을 정확하게 매칭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품이 창고에 입고 되었을 시 창고센터에서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시스템을 통해 실제 상품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상품 이미지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이 같은 상품 이미지정보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여 등록부(120)에 등록하고 저장부(130)에서 창고 관리정보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200) 또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를 통해 등록한 상품 이미지정보는 상품의 형태뿐만 아니라 상품 겉면 또는 내면에 텍스트로 표현되는 상품관련정보, 예를 들면, 상품명, 상품관련 홍보 문구, 용량, 텍스트 스타일, 텍스트 및 그림 색채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매칭부(141)는 이 같은 정보를 종합하여 비교함으로써 상품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품명을 일치시킴으로써 풀필먼트 상품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매칭부(141)에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과 이미지 인식 기술, 이미지 분석 기술, 이미지 유사도 판단 기술, 이미지 매칭 기술 등으로 공지된 기술 또는 관련 분야로 개발되는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이 같은 공지 기술 또는 개발 기술은 본 발명의 구성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고도화된 풀필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매칭부(140)는 포장방식 매칭부(142)를 포함하여 포장 최적화 프로세스로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포장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포장방식은 낱포장, 중포장, 외부포장 등의 포장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낱포장은 상품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1차적인 포장으로 구분할 수 있고 중포장은 상품의 온도, 습도, 충격 등을 고려하여 완충재로 사용되는 에어캡, 드라이아이스, 아이스팩 등의 부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포장은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 시 겉포장을 이루는 포장박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의 품목과 단위상품의 부피 값 등의 상품정보 기반하여 상기 포장구성에 따라 포장재료와 포장크기,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등을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에 최적화되도록 매칭할 수 있다.
특히 포장공간비율과 포장횟수에 대해서는 환경부의 '제품의 포장재질과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제시하는 제품의 종류별 포장방법에 관한 기준을 준수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 포장공간비율과 최대 포장횟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료품류 내 가공식품의 포장공간비율은 15% 이하에서 결정될 수 있고 포장횟수는 2차 이내로 정해진다. 또한 전자제품류 내 300g 이하의 휴대용 제품은 포장공간비율이 35%이하, 포장횟수는 2차 이내로 가이드 된다(2020.01.29 기준). 세부적으로 상품은 1회 이상 포장한 최소 판매단위의 제품인 단위제품과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최소 판매단위의 제품을 2개 이상 함께 포장한 제품인 종합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제품은 음식료품류, 화장품류, 세제류, 잡화류, 의약외품류, 의류, 전자제품류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종합제품은 1차식품, 가공식품, 음료, 주류, 제과류, 건강기능식품, 화장품류, 세제류, 완구, 인형류, 문구류, 신변잡화류, 의약외품류, 와이셔츠류, 내의류로 구분할 수 있다. 포장공간비율의 측정방법은 산업표준화법 또는 환경부장관이 고시하는 간이측정방법에 따를 수 있다.
또한 포장재료는 캔, 유리, 플라스틱, 나무등의 강성포장과 골판지상자, 플라스틱 보틀(bottle) 등의 반강성포장 그리고 종이,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의 유연포장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포장형태는 박스포장, 진공포장, 가스치환포장, 상온유통포장, 스킨포장, 수축포장, 레토르트포장, 변조방지포장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장방식 매칭부(142)를 통해 포장공간비율과 포장횟수 기준과 포장재료, 포장형태의 구분을 참조하여 판매 관리정보 또는 창고 관리정보에 최적화 매칭이 되도록 풀필먼트 포장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풀필먼트 포장방식은 상품 품목에 대한 보호성과 수송 편리성, 상품 판촉성, 판매자의 요구조건 등을 고려할 수 있고 낱포장, 중포장, 외부포장 등의 포장구성에 따라 포장재료와 포장형태, 포장크기,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등을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상품은 단위상품 구성으로의 포장방식을 기반으로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상품의 구성, 복합상품의 구성 등을 포함한 시뮬레이션을 거쳐 상황별 포장방식 예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 관리정보에 따라 상품이 냉동 가공식품류이고, 단위상품의 부피가 1000 , 제공되는 상품 낱포장이 플라스틱 필름일 시 상기 단위상품에 대한 낱포장은 선택되지 않고, 중포장으로는 드라이아이스 또는 아이스팩 등의 부자재가 선택될 수 있다. 포장재료는 골판지상자, 포장형태는 박스포장, 포장크기는 상기 부자재를 포함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의 포장박스로 부피가 2250 로 선정되고, 이에 따른 포장재료의 사용량을 산정한다. 또한 상기 단위상품을 위한 상기 포장박스의 크기에 따라 포장박스의 제공 수량은 1ea로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장박스의 포장공간비율은 관련 기준 최대 15%를 넘지 않도록 참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포장크기는 단위상품의 부피에 대해 특정 계수를 곱한 값을 기준으로 박스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도록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날씨, 습도, 배송 수단, 배송 관련 등의 환경 변수를 적용하여 풀필먼트 포장방식을 매칭, 추천, 예측할 수 있다. 이 같은 단위상품에 대한 포장방식을 매칭하고 매칭 정보를 저장, 관리함으로써 구매주문이 요청될 시 구매주문에 따라 단일상품의 복수개 구성을 위한 복수포장, 합배송의 구성을 위한 복합포장 등의 추가적인 조건을 반영하여 조합함으로써 최적화된 풀필먼트 포장방식을 매칭, 추천,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같은 풀필먼트 포장방식에 대해서는 판매자가 상품에 특화된 포장방식을 지정하는 방식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장치(200)를 통해 포장 지정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포장 지정정보로 포장방식을 매칭하거나 매칭된 포장방식에 대해 부분적으로 수정 또는 재매칭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창고센터에서는 다품종이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구매주문이 요청되는 경우, 담당자의 경험을 통해 적절한 포장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닌 상기 포장방식 매칭부(142)를 통해 최적의 풀필먼트 포장방식을 매칭하여 추천하거나 적정 포장 박스를 예측하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추천 정보나 예측 정보는 실제 포장을 실시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에 전달되어 포장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매칭부(140)는 창고의 주소, 보관면적, 보관온도, 보관비용, 지역별운송비용, 부대비용, 물동량 등을 포함하는 창고 운용정보에 기반하여 상품별 입출고 창고를 매칭할 수 있는 입출고 창고 매칭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방식은 비용이 발생되는 항목을 고려하여 비용적 측면에서 최적의 창고를 선정할 수 있다. 창고 이용 시 발생되는 비용은 입고 운송비용, 입고비용, 보관비용, 포장비용, 출고비용(B2B 또는 B2C), 수출입통관비용 등을 포함하여 최적의 입출고 창고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적 물량의 최소 비용으로의 관리가 가능하고 사전 예측을 통해 풀필먼트 서비스 시장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에게 최종적으로 전달되는 라스트마일 당일 배송 기반의 서비스에도 상품의 특성과 운송비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비용으로 상품을 분산 보관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상품을 지역 거점별 창고로 분배하여 발생될 수 있는 비용을 산정하는 시뮬레이션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보관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추가하여 창고를 매칭할 수 있다. 이 같은 매칭을 위한 조건정보로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통계, 비용 시뮬레이션, 판매자의 요구조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매칭부(140)는 이력제안 매칭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력제안 매칭부(144)를 통해서는 과거 구매자의 주문에 대해 판매자 정보, 구매 지역, 창고센터 위치 등의 이력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의 창고별 분배 및 적정 재고량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창고 사용이 될 수 있도록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입출고 창고가 매칭된 후, 판매자 관리정보 또는 창고 관리정보의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추적 관리하여 별도의 요청이나 입력 조건 없이 상기 입출고 창고 매칭부(143)의 재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chedule; 운송관리시스템)을 통해 상품이 관리될 수 있다.
처리부(150)는 상기 풀필먼트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장치(400)로부터 요청된 구매주문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150)는 상기 풀필먼트 매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주문에 대응하는 상품의 포장처리를 요청하는 포장 처리부(1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풀필먼트 매칭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주문에 대응하는 상품의 입출고를 처리하는 창고 입출고 처리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 처리부(151)는 상기 포장방식 매칭부(142)를 통해 획득한 단위상품의 포장구성별 포장재료, 포장크기, 포장형태,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등을 구매 단일상품 수량, 복합상품 구성 등에 대응하여 상품의 포장 처리를 요청한다. 단위상품에 대한 포장방식이 결정되고 이에 대한 수량이 계산되어 최종적인 포장방식이 적용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매자는 품목이 상이한 상품을 추가적으로 구매할 수 있고 이에 대해 합배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같은 경우에도, 상기 포장방식 매칭부(142)를 통해 관리되는 풀필먼트 포장방식에 기초하여 상품 수량에 따른 부피값을 산출하고 합배송 등의 여부를 판단하여 최종 포장방식을 보정할 수 있다. 이 같이 결정되는 포장방식은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 전달되어 패키징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고 입출고 처리부(152)는 상기 입출고 창고 매칭부(143)를 통해 획득한 상품의 보관 창고 정보를 확인하여 구매자에게 배송될 수 있는 창고를 선정하여 출고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재고 물량 소진 시에는 출고를 위해 상품을 입고처리와 출고처리를 병행할 수 있다.
상기 API 연동부(160)는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상품 이미지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특정 온라인 사이트와 API를 연동한다. 이는 상품 제조사 또는 제조자가 제공하는 대표 이미지와 다양한 관련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판매상품과 창고 보관 상품 연동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력 관리부(170)는 과거 구매주문 처리 내역 정보로 확인 가능한 판매자 정보와 상품정보, 구매 지역, 입출고 창고센터 등의 이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이력정보를 통해서는 상기 매칭부(140)에서 물류방식을 매칭하는 조건 인자로 반영되어 활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풀필먼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품정보와 창고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정보를 판매자 단말장치(200) 또는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여 등록부(120)에 등록한다(S101). 판매자 단말장치(200)는 제조 또는 소싱한 상품정보를 포함한 물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품정보에는 상품 이미지정보가 포함되고 물류서비스를 위해 판매자가 원하는 물류서비스 조건을 물류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는 창고의 주소, 보관면적, 보관온도, 보관비용, 지역별운송비용, 부대비용, 물동량 등을 포함한 물류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창고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품정보를 등록하고 보관현황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상품정보에는 이미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류정보를 처리하여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로 구분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130)에 저장한다(S103). 이는 판매자 단말장치(200)와 창고센터 단말장치(300)에서 각각 입력하는 상품정보가 매칭될 수 있도록 구분되어 관리되고 특정 조건에 따라 상품정보가 매칭되어 연동될 시에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통합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창고 관리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풀필먼트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S105).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풀필먼트 프로세스가 이미지 매칭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상품 정보에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풀필먼트 프로세스가 포장 최적화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포장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필먼트 포장방식은 낱포장, 중포장, 외부포장 중 적어도 하나의 포장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포장구성에 따라 포장재료와, 포장형태, 포장크기,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등을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에 최적화되도록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풀필먼트 프로세스가 창고 최적화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물류정보로부터, 창고의 주소, 보관면적, 보관온도, 보관비용, 지역별운송비용, 부대비용, 물동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창고 운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창고 운용정보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상품별 입출고 창고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풀필먼트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를통해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장치로부터 요청된 구매주문을 처리한다(S107). 상기 구매주문을 처리하는 단계는,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주문에 대응하는 상품의 포장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주문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상기 구매주문에 대응하는 상품의 입출고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풀필먼트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상품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특정 온라인 사이트와 API를 연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주문에 따라, 판매자 정보와 상품정보, 구매 지역, 창고센터 위치 등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고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이력정보를 조건정보로 하여, 최적화된 물류방식을 매칭하는 딘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판매자 단말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한다(S1101).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는 창고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한다(S1103). 전송된 상기 물류정보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등록이 완료되면(S1105),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130)는 상기 물류정보를 처리하여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한다(S1107).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이미지 매칭부(141)를 통해 상기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에 각각 등록된 상품 이미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매칭한다(S1109). 이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과 창고에 보관 또는 입고되는 상품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상품 이미지정보 분석을 통해 풀필먼트 상품 정보에 매칭이 완료된 후, 포장방식 매칭부(142)와 입출고 창고 매칭부(143)를 통해 상품에 대한 포장방식과 입출고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여 풀필먼트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S1111). 이 때, 이력제안 매칭부(144)가 추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과거 구매주문을 처리한 이력정보를 이용하여 풀필먼트 프로세스 매칭방식을 보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풀필먼트 프로세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상기 풀필먼트 프로세스 매칭 정보에 따라 상품 입출고 물류정보를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S1113). 이를 통해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는 상품에 대한 입출고를 처리하고(S1115), 입출고 처리된 상품을 종합하여 물류정보를 갱신한다(S1117).
갱신한 물류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고(S1119), 전송된 갱신 물류정보는 저장부(130)에서 처리하여 창고 관리정보로 저장 및 관리한다(S1121).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품과 관련 된 물류정보를 판매자 단말장치(200)로 전송하여(S1123) 판매자가 상품이 보관되는 창고 관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S1125).
구매자 단말장치(400)를 통해 상품 구매결정정보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접수되는 경우(S1127),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처리를 승인(S1129)하고 구매처리 내역을 판매자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S1131).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매주문 내역에 따라,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로 상품의 포장처리를 요청(S1133)하고 이와 함께 상품 입출고 처리를 요청(S1135)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창고센터 단말장치(300)는 포장상품의 출고 및 배송 처리를 진행하고 관련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한다(S1137).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배송 처리되는 정보를 구매자 단말장치(400)에 제공하여 최종 수령까지의 처리 단계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록 한다(S1139).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필먼트 프로세스의 이미지 매칭 프로세스를 통한 상품 이미지정보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온라인 상에서 특정상품(ex. '제주삼다수')을 판매하는 하는 판매자는 쇼핑몰 플랫폼을 통해 소싱 상품정보를 등록하여 홍보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소싱한 특정상품의 보관을 위해 창고센터를 선정하여 입고하였을 시 판매자가 관리하는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센터에서 관리하는 창고 관리정보는 각각 상품 이미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가 제공하는 상품 이미지정보는 도7(a)와 같이 표현되고, 창고센터에서 제공하는 상품 이미지정보는 도7(b)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지의 매칭을 위해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과 이미지 인식 기술, 이미지 분석 기술, 이미지 유사도 판단 기술, 이미지 매칭 기술 등으로 공지된 기술 또는 관련 분야로 개발되는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상품 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도7(c)와 같이 풀필먼트 상품 정보를 매칭하여 최종적으로는 '제주삼다수'의 상품명과 상기 상품명에 더하여 정확한 상품을 표현할 수 있는 용량인 '2L'의 상품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이 판매자가 소싱하여 입고시킨 판매 관리정보의 상품명인 '[쎈딜] 제주삼다수 2L * 24'는 창고 관리정보에 '제주삼다수', '2L'의 상품명과 키워드로 일치되어 보관 및 관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판매자 단말장치, 창고센터 단말장치, 서비스 제공장치, 구매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판매자 단말장치가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창고센터 단말장치는 창고 운용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정보를 서비스 제공장치에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 및 창고센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물류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물류정보를 처리하여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판매 관리정보와 창고 관리정보에 각각 등록된 상품 이미지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매칭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품 이미지정보 분석을 통해 풀필먼트 상품 정보에 매칭을 완료한 후, 포장 방식 매칭부와 입출고 창고 매칭부를 통해 상품에 대한 포장방식과 입출고 창고정보를 포함하는 풀필먼트 프로세스를 매칭하여 풀필먼트 매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장치가 풀필먼트 프로세스의 매칭이 완료되면 풀필먼트 프로세스 매칭 정보에 따라 상품 입출고 물류정보를 창고센터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창고센터 단말장치가 상품 입출고 물류정보를 수신받아 상품에 대한 입출고를 처리하며, 입출고 처리된 상품을 종합하고 물류정보를 갱신하여 서비스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창고센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갱신 물류정보를 저장부에서 처리하여 창고 관리정보로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하는 기능;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품과 관련된 물류정보를 판매자 단말장치로 전송하여 판매자가 상품이 보관되는 창고 관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 및
    구매자 단말장치를 통해 상품 구매결정정보가 서비스 제공장치로 접수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장치가 구매주문을 처리하고 구매 처리 내역을 판매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풀필먼트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말장치는,
    상기 매칭된 풀필먼트 프로세스가 이미지 매칭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에 포함된 상품 이미지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상품 정보에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말장치는,
    상기 매칭된 풀필먼트 프로세스가 포장 최적화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응하는 풀필먼트 포장방식을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풀필먼트 포장방식은 낱포장, 중포장, 외부포장 중 적어도 하나의 포장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단말장치는,
    상기 포장구성에 따라 포장재료와, 포장형태, 포장크기, 포장공간비율, 포장횟수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판매 관리정보 또는 상기 창고 관리정보에 최적화되도록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말장치는,
    상기 매칭된 풀필먼트 프로세스가 창고 최적화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물류정보로부터, 창고의 주소, 보관면적, 보관온도, 보관비용, 지역별운송비용, 부대비용, 물동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창고 운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창고 운용정보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상품별 입출고 창고를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말장치는,
    상기 풀필먼트 매칭 정보에 기반하여 창고센터 단말장치로 상기 구매주문에 대응하는 상품의 포장 처리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단말장치는,
    상기 풀필먼트 매칭 정보에 기반하여 창고센터 단말장치로 상기 구매주문에 대응하는 상품의 입출고를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8. 제 6항 및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창고센터 단말장치는,
    상기 서비스 단말장치로부터 상품의 포장 처리 및 입출고를 요청받은 경우 포장상품의 출고 및 배송 처리를 진행하고 관련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창고센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배송 처리되는 정보를 구매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여 최종 수령까지의 처리 단계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상품 이미지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특정 온라인 사이트와 API를 연동하는 API 연동기능을 더 포함하는
    기록매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구매주문에 따라, 판매자 정보와 상품정보, 구매 지역, 창고센터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이력정보를 조건정보로 하여, 최적화된 물류방식을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200082030A 2020-07-03 2020-07-03 기록매체 KR20220004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30A KR20220004331A (ko) 2020-07-03 2020-07-03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030A KR20220004331A (ko) 2020-07-03 2020-07-03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331A true KR20220004331A (ko) 2022-01-11

Family

ID=7935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030A KR20220004331A (ko) 2020-07-03 2020-07-03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43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194A (ko) 2016-07-18 2018-01-26 (주)에이프럴스튜디오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9194A (ko) 2016-07-18 2018-01-26 (주)에이프럴스튜디오 판매자 중심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서비스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of fulfillment services
US91897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lfillment services
US11727458B2 (en) Produce comparison system
KR20220004338A (ko) 풀필먼트 최적화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KR20220004336A (ko) 풀필먼트 최적화 서비스 시스템
US20170076359A1 (en) Single Order Method For Independent Sales Representative As Used In The Party Plan Direct Marketing Method Of Selling Products
Skiver et al. Crowdserving: A last mile delivery method for brick-and-mortar retailers
KR20220004331A (ko) 기록매체
KR20220004344A (ko) 풀필먼트 최적화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20004349A (ko) 풀필먼트 최적화 서비스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KR20220004325A (ko) 기록매체
KR20220004342A (ko) 풀필먼트 최적화 서비스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04340A (ko) 풀필먼트 최적화 서비스 장치
KR20220004329A (ko) 기록매체
KR20220004353A (ko) 풀필먼트 최적화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Martasari Impact of Industrial Technology 4.0 In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Experience on E-Commerce Platforms: Literature Review
Turban et al. Order Fulfillment Along the Supply Chain
US11935109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training a machine learning model to generate user embeddings and recipe embeddings in a common latent space for recommending one or more recipes to a user
WO2022004960A1 (ko) 풀필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40177212A1 (en) Determining search results for an online shopping concierge platform
US20240070750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ve bundling of industrial items
US20240185324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training a machine learning model to generate user embeddings and recipe embeddings in a common latent space for recommending one or more recipes to a user
US20230147670A1 (en) Replacing one or more generic item descriptions in a recipe to accommodate user preferences for items based on determined relationships between generic item descriptions
KR20130142542A (ko) 일회용 포장용기 쇼핑몰 가맹점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230186361A1 (en) Domain-adaptive content suggestion for an online concierg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