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4166A -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4166A
KR20220004166A KR1020217039380A KR20217039380A KR20220004166A KR 20220004166 A KR20220004166 A KR 20220004166A KR 1020217039380 A KR1020217039380 A KR 1020217039380A KR 20217039380 A KR20217039380 A KR 20217039380A KR 20220004166 A KR20220004166 A KR 20220004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witch
filter
antenna
termi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342B1 (ko
Inventor
모리오 타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0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64Filte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725Du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9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low noise amplifier [LN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ceiver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안테나 단자로부터 스위치까지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필터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는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고주파 모듈(1)은, 실장 기판(2)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3) 및 필터(307)를 구비한다. 필터(303)는 출력 단자(204)와, 필터(307)는 출력 단자(208)와 각각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입력 단자(201)와 출력 단자(204)의 접속 및 입력 단자(201)와 출력 단자(208)의 접속을 동시에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거리는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거리보다 짧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3)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3)의 거리보다 길다.

Description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의 신호의 통신을 행하는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파수대가 다른 복수의 통신신호를 송수신 가능한 고주파 모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고주파 모듈은 안테나 단자에 접속되는 스위치 IC와, 복수의 SAW 듀플렉서와, 복수의 SAW 필터를 구비한다. 스위치 IC는 각 SAW 듀플렉서 및 각 SAW 필터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IC는 안테나 접속용 단자와 접속되는 공통 단자와, 복수의 피선택 단자를 갖고 있다. 복수의 피선택 단자의 각각은 각 SAW 듀플렉서 및 각 SAW 필터 중 대응하는 필터 회로에 접속된다.
국제공개 제2015/041125호
그런데, 특허문헌 1의 고주파 모듈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적용할 경우, 예를 들면 2개의 필터에 신호가 흐른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터 중 한쪽의 필터와 스위치 IC(안테나 스위치) 사이의 신호경로, 및 다른쪽의 필터와 안테나 스위치 사이의 신호경로를 신호는 통과한다. 이 때, 신호경로가 길면 필터 특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안테나 단자와 안테나 스위치 사이에서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테나 스위치의 공통 단자(접속 단자)를 안테나 단자의 가까이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며, 안테나 단자로부터 스위치까지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필터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는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은, 실장 기판과, 안테나 단자와, 제 1 안테나 스위치와,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안테나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선택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선택 단자와 접속된다.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에 접속된다.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는 공통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와 접속되는 제 1 선택 단자 및 제 2 선택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상기 제 1 선택 단자와 접속된다.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상기 제 2 선택 단자와 접속된다.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1 선택 단자의 접속, 및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2 선택 단자의 접속을 동시에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실장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 상기 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의 거리는 상기 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거리보다 짧고,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1 필터의 거리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1 필터의 거리보다 길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통신장치는 상기 고주파 모듈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단자로부터 스위치까지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필터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고주파 모듈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회로도이다.
도 2A는 동상의 고주파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X1-X1 단면도이다.
도 3A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따른 고주파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X2-X2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에 따른 고주파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고주파 모듈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회로도이다.
도 6은 동상의 고주파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X3-X3 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 1∼도 7은 모두 모식적인 도면이며, 도면 중의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 각각의 비가 반드시 실제의 치수비를 반영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1) 및 통신장치(500)에 대해서, 도 1∼도 2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1)고주파 모듈의 전체 구성
실시형태에 따른 고주파 모듈(1)은 예를 들면 멀티 모드/멀티 밴드 대응의 통신장치(500)에 사용된다. 통신장치(500)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예를 들면 스마트폰)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웨어러블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 등이어도 좋다.
고주파 모듈(1)은 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멀티 밴드 대응의 통신장치(500)에 설치된다. 고주파 모듈(1)은 통신장치(500)에 설치된 안테나(4)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해서 증폭 처리 등을 실시해서 고주파의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3)에 출력한다.
(2)통신장치의 구성요소
통신장치(50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고주파 모듈(1)과, 안테나(4)와, 신호 처리 회로(3)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고주파 모듈(1)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듯이, 실장 기판(2)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군(30)과, 증폭부(40)를 구비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증폭부(40)가 1칩화됨으로써, 반도체 소자인 스위치 IC(Integrated Circuit)(100)가 구성된다.
실장 기판(2)은 양면 실장 기판이며, 실장 기판(2)의 두께 방향인 제 1 방향(D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2a) 및 제 2 주면(2b)을 갖는다. 제 1 주면(2a) 및 제 2 주면(2b)에는 고주파 모듈(1)을 구성하는 각 부품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 1 주면(2a)에는 필터군(30)에 포함되는 필터(301∼308)가 설치된다. 제 2 주면(2b)에는 스위치 IC(100)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된다. 바꿔 말하면, 제 2 주면(2b)에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 중 적어도 한쪽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주면(2b)에는 스위치 IC(100)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쌍방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안테나(4)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입력 단자(101)가 안테나(4)에 접속된 안테나 단자(T1)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3)는 필터군(30)에 포함되는 필터(308)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신호 처리 회로(3)의 제어에 의해, 수신한 신호에 따라, 출력 단자(102,103)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단자(101)의 접속처로서 선택한다. 또, 입력 단자(101)의 접속처에 따라서는 또한, 정합 회로(110,111)의 적어도 한쪽에도 접속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3)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신호 처리 회로(3)의 RF 신호 처리 회로(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접속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 IC(100)에 포함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입력 단자(201)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복수(도시예에서는 7개)의 출력 단자(202∼208)의 각각은 필터군(30)에 포함되는 복수의 필터(301∼307)(도 1 참조)에 일대일로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3)에 의해 제어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신호 처리 회로(3)의 RF 신호 처리 회로(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접속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필터군(30)에 포함되는 복수의 필터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입력 단자(201)는 출력 단자(202∼208) 중 2개 이상의 출력 단자에 동시 접속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고주파 모듈(1)은 복수의 주파수대에서 동시 통신을 행하는, 즉 다른 통신 밴드의 신호를 동시에 통신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적용 가능하다. 또,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필터군(30)에 포함되는 1개의 필터에 접속해도 좋다.
필터군(30)은 복수의 필터(301∼308)를 갖는다. 복수의 필터(301∼308)는 예를 들면 탄성파 필터이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 및 복수의 병렬암 공진자의 각각이 탄성파 공진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탄성파 필터는 예를 들면 탄성 표면파를 이용하는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이다. 또, 복수의 필터(301∼308)는 SAW 필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필터는 SAW 이외에, 예를 들면 BAW(Bulk Acoustic Wave) 필터이어도 좋다. 또는 복수의 필터(301∼308)는 FBAR(Film Bulk Acoustic Resonator)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필터(301∼308)는 LC 공진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필터(302)는 예를 들면 3개의 필터의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화된 트리플렉서이다. 또한 필터(301,306,308)는 예를 들면 2개의 필터의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화된 듀플렉서이다.
필터(301∼307)의 입력 단자의 각각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복수의 출력 단자(202∼208)에 일대일로 접속된다. 필터(308)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3)에 접속된다.
증폭부(40)는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401∼413)를 갖는다. 각 저잡음 증폭기(401∼413)는 대응하는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한다. 저잡음 증폭기(401∼413)의 각각의 입력 단자는 대응하는 필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저잡음 증폭기(401∼413)의 각각의 출력 단자는 신호 처리 회로(3)에 접속되어 있다.
신호 처리 회로(3)는 예를 들면, RF 신호 처리 회로(5)와,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회로(6)를 포함한다. RF 신호 처리 회로(5)는 예를 들면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며, 고주파의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한다.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회로(6)는 예를 들면 BBIC(Baseband Integrated Circuit)이며,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회로(6)에서 처리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화상 신호로서 화상표시를 위해서, 또는 음성 신호로서 통화를 위해 사용된다. 고주파 모듈(1)은 안테나(4)와 신호 처리 회로(3)의 RF 신호 처리 회로(5) 사이에서 고주파 신호(여기에서는 수신 신호)를 전달한다. 통신장치(500)에서는 베이스 밴드 신호 처리 회로(6)는 필수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다음에 고주파 모듈(1)에 있어서의 제 1 안테나 스위치(10), 제 2 안테나 스위치(20) 및 복수의 필터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복수의 필터로서, 도 1에 나타내는 필터(303,304,305,307)를 사용한다.
도 2A는 고주파 모듈(1)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도 2B는 고주파 모듈(1)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고주파 모듈(1)은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은 고주파 모듈(1)을 신호 처리 회로(3) 등이 실장되어 있는 마더 기판에 접속한다.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은 실장 기판(2)의 제 2 주면(2b) 상에 설치된 기둥형상(예를 들면 원기둥형상)의 전극이다.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의 재료는 예를 들면 금속(예를 들면 구리, 구리 합금 등)이다.
고주파 모듈(1)은 외부 접속 전극(50)를 통해 안테나(4)가 수신한 신호를 수취하고, 별도의 외부 접속 전극(50)을 통해 신호 처리 회로(3)의 RF 신호 처리 회로(5)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 중 외부 접속 전극(51)은 상술한 안테나 단자(T1)에 대응한다. 안테나 단자(T1)로서의 외부 접속 전극(51)은 도체(81)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입력 단자(101)에 접속된다(도 2A, 도 2B 참조).
고주파 모듈(1)은 실장 기판(2)의 제 1 주면(2a)에 있어서, 제 1 주면(2a)에 실장되는 필터군(30) 등의 전자부품을 덮는 제 1 수지층(61)을 더 구비한다. 고주파 모듈(1)은 실장 기판(2)의 제 2 주면(2b)에 있어서, 제 2 주면(2b)에 실장되는 스위치 IC(100), 제 1 안테나 스위치(10) 등의 전자부품을 덮는 제 2 수지층(62)을 더 구비한다. 제 2 수지층(62)의 재료는 제 1 수지층(61)의 재료와 같은 재료이어도 좋고, 다른 재료이어도 좋다. 또, 도 2A에서는 제 1 수지층(61)을 생략하고 있다.
스위치 IC(100)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기판(2)의 제 2 주면(2b)에 배치된다(도 2B 참조). 스위치 IC(100)에 포함되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2A, 도 2B 참조).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도체(80)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입력 단자(201)는 도체(80)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와 접속된다(도 2A 참조).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1)로서의 외부 접속 전극(51)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거리(L1)는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거리(L2)보다 짧다. 안테나 단자(T1)로서의 외부 접속 전극(51)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거리(L1)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 단자(T1)로부터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입력 단자(101)까지의 거리이다.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거리(L2)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 단자(T1)로부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입력 단자(201)까지의 거리이다.
필터(303,304,305,30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기판(2)의 제 1 주면(2a)에 배치된다(도 2B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03)와 필터(307)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동시 접속되고, 필터(304)와 필터(305)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동시 접속된다.
동시 접속되는 2개의 필터(303) 및 필터(307)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2A 참조). 마찬가지로, 동시 접속되는 2개의 필터(304) 및 필터(305)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2A 참조).
필터(307)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71)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도 2B 참조). 필터(303)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72)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도 2B 참조). 필터(304)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도시생략)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 필터(305)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도시생략)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3)의 거리(L3)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3)의 거리(L4)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3)의 거리(L3)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3)의 입력 단자(353)까지의 거리이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3)의 거리(L4)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4)로부터 필터(303)의 입력 단자(353)까지의 거리이다. 마찬가지로,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7)의 입력 단자(357)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8)로부터 필터(307)의 입력 단자(357)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4)의 입력 단자(354)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5)로부터 필터(304)의 입력 단자(354)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5)의 입력 단자(355)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6)로부터 필터(305)의 입력 단자(355)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즉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03) 및 필터(307)의 쌍방 모두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필터(304) 및 필터(30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04) 및 필터(305)의 쌍방 모두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또한,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03)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6)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07)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304) 및 필터(30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04)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7)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05)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8)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또, 여기에서는 안테나(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RF 신호 처리 회로(5)에 출력하는 수신계의 고주파 모듈(1)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모듈은 RF 신호 처리 회로(5)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의 송신 신호를 입력하고, 안테나 등으로 출력하는 송신계의 고주파 모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증폭부(40)는 저잡음 증폭기(401∼413)가 아닌, 예를 들면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 신호는 증폭부(40), 필터군(30), 제 2 안테나 스위치(20)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순서, 또는 증폭부(40), 필터군(30)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순서로 흐른다.
(3)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주파 모듈(1)은 실장 기판(2)과,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제 1 필터(예를 들면 필터(303)) 및 제 2 필터(예를 들면 필터(307))를 구비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안테나 단자(T1)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예를 들면 입력 단자(101)) 및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선택 단자(예를 들면 출력 단자(102))를 포함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선택 단자(출력 단자(102))와 접속된다.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공통 단자(입력 단자(201))와, 공통 단자와 접속되는 제 1 선택 단자(예를 들면 출력 단자(204)) 및 제 2 선택 단자(예를 들면 출력 단자(208))를 포함한다. 제 1 필터는 제 1 선택 단자와 접속되고, 제 2 필터는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제 2 선택 단자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공통 단자(입력 단자(201))와 제 1 선택 단자의 접속, 및 공통 단자와 제 2 선택 단자의 접속을 동시에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거리(L1)는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거리(L2)보다 짧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제 1 필터의 거리(L3)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제 1 필터의 거리(L4)보다 길다.
이 구성에 의해,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 사이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제 1 필터 사이의 필터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1의 고주파 모듈(1)은 안테나 단자(T1)로부터 스위치(제 1 안테나 스위치(10))까지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필터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필터(303)와 저잡음 증폭기(406)의 경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4)변형예
이하에, 변형예에 대해서 열기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상기 실시형태와 적당하게 조합해서 적용 가능하다.
(4.1)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증폭부(40)는 스위치 IC(100)에 포함되는 구성, 즉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증폭부(40)가 1칩화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증폭부(40)가 1칩화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 및 증폭부(40)는 개별적으로 제 2 주면(2b)에 배치되어도 좋다.
(4.2)변형예 2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증폭부(40)가 1칩화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스위치(10) 및 제 2 안테나 스위치(20) 중 적어도 한쪽의 안테나 스위치는 제 1 주면(2a)에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제 1 주면(2a)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고주파 모듈(1A)에 대해서, 도 3A 및 도 3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도 3A는 고주파 모듈(1A)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도 3B는 고주파 모듈(1A)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3A에서는 제 1 수지층(61)을 생략하고 있다.
고주파 모듈(1A)에서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실장 기판(2)의 제 1 주면(2a)에 배치된다. 즉,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제 1 수지층(61)으로 덮여진다.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3A, 도 3B 참조). 제 2 안테나 스위치(20)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75)와 제 1 주면(2a)에 형성된 도체(85)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입력 단자(201)는 비아(75) 및 도체(85)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와 접속된다(도 3A, 도 3B 참조).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1)로서의 외부 접속 전극(51)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거리(L11)는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거리(L12)보다 짧다. 안테나 단자(T1)로서의 외부 접속 전극(51)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거리(L11)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 단자(T1)로부터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입력 단자(101)까지의 거리이다.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거리(L12)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입력 단자(201)까지의 거리이다.
필터(303,304,305,30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기판(2)의 제 1 주면(2a)에 배치된다(도 3B 참조).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터(303)와 필터(307)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동시 접속되고, 필터(304)와 필터(305)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동시 접속된다.
필터(303)는 제 1 주면(2a)에 형성된 도체(91)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도 3A 참조). 필터(307)는 제 1 주면(2a)에 형성된 도체(92)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도 3A 참조). 필터(304)는 제 1 주면(2a)에 형성된 도체(93)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도 3A 참조). 필터(305)는 제 1 주면(2a)에 형성된 도체(94)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에 접속된다(도 3A 참조).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3)의 거리(L13)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3)의 거리(L14)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3)의 거리(L13)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3)의 입력 단자(353)까지의 거리이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3)의 거리(L14)란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4)로부터 필터(303)의 입력 단자(353)까지의 거리이다. 마찬가지로,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7)의 입력 단자(357)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8)로부터 필터(307)의 입력 단자(357)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4)의 입력 단자(354)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5)로부터 필터(304)의 입력 단자(354)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출력 단자(102)로부터 필터(305)의 입력 단자(355)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출력 단자(206)로부터 필터(305)의 입력 단자(355)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즉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필터(304) 및 필터(30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3)의 거리(L14)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3)의 거리(L13)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7)의 거리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7)의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4)의 거리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4)의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와 필터(305)의 거리를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필터(305)의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필터(307)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를 접속하는 도체(92)의 길이, 즉 배선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303)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를 접속하는 도체(91)의 길이, 필터(304)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를 접속하는 도체(93)의 길이, 필터(305)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를 접속하는 도체(94)의 길이를 각각 짧게 하는 것, 즉 각 배선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03)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6)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07)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304) 및 필터(30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04)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7)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05)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8)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결과, 필터(303)와 저잡음 증폭기(406)의 경로길이, 필터(307)와 저잡음 증폭기(411)의 경로길이, 필터(304)와 저잡음 증폭기(407)의 경로길이, 필터(305)와 저잡음 증폭기(408)의 경로길이를 각각 짧게 할 수 있다.
(4.3)변형예 3
실시형태 1에 따른 고주파 모듈(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실장 기판(2)의 제 2 주면(2b)측에 있어서, 제 2 주면(2b) 상에 실장되어 있는 스위치 IC(100)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를 덮도록 제 2 수지층(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주파 모듈(1)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을 구비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에 의해 마더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듯이, 실장 기판(2)의 제 2 주면(2b)측에 있어서 제 2 수지층이 생략되어 있고, 또한,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a)에 의해 마더 기판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외부 접속 전극(50a)의 각각은 예를 들면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볼 범프이다. 볼 범프의 재료는 예를 들면 금, 구리, 땜납 등이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10)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20)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를 고주파 모듈이 구비하는 것이 실시형태 1과는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고주파 모듈(1B)은 HB-DSM(Hight Band Diver Sity Module)과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모듈을 구비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고주파 모듈(1B), 및 통신장치(500B)에 대해서, 실시형태 1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장치(500B)는 도 5에 나타내듯이, 고주파 모듈(1B)과, 안테나(4)와, 신호 처리 회로(3)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고주파 모듈(1B)은 도 5∼도 7에 나타내듯이, 실장 기판(2)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복수(도시예에서는 2개)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A,20B)와, 필터군(30A)과, 증폭부(40A)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 2 안테나 스위치(20A) 및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본 발명의 제 4 안테나 스위치에 대응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 기능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는 다른 기능을 갖는 별도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C)가 1칩화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고주파 모듈(1B)은 서로 다른 안테나 단자(T1,T2)에 접속되는 복수(여기에서는 2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 중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 기능한다. 제 3 안테나 스위치(10B)는 입력 단자(101)와, 출력 단자(102,103)를 포함한다. 제 3 안테나 스위치(10C)는 입력 단자(121)와, 출력 단자(122,103)를 포함한다. 출력 단자(103)는 제 3 안테나 스위치(10C)의 필수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즉, 제 3 안테나 스위치(10C)는 적어도 입력 단자(121)와 출력 단자(122)를 포함한다.
또,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 기능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는 다른 기능을 갖는 별도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C)가 1칩화되는 것은 필수의 요건은 아니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 기능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는 다른 기능을 갖는 별도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C)는 개별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2개의 안테나(4,7)의 각각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입력 단자(101)가 안테나(4)에 접속된 안테나 단자(T1)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입력 단자(121)가 안테나(7)에 접속된 안테나 단자(T2)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02)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입력 단자(201)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03)는 필터군(30)에 포함되는 필터(308)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22)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입력 단자(221)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신호 처리 회로(3)의 제어에 의해, 수신한 신호에 따라, 출력 단자(102,103)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단자(101)의 접속처로서 선택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신호 처리 회로(3)의 제어에 의해, 수신한 신호에 따라, 출력 단자(122,103)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단자(121)의 접속처로서 선택한다. 또, 입력 단자(101) 및 입력 단자(121)의 각각의 접속처에 따라서는 또한, 정합 회로(110,111) 중 적어도 한쪽에도 접속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3)에 의해 제어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신호 처리 회로(3)의 RF 신호 처리 회로(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접속 상태를 스위칭한다.
고주파 모듈(1B)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도시예에서는 2개)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A,20B)를 갖고 있다. 복수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A, 20B)의 각각은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02,122)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고주파 모듈(1B)은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는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제 2 안테나 스위치(20A,20B)를 갖고 있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제 2 안테나 스위치(20)로서 기능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입력 단자(201)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02)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복수(도시예에서는 7개)의 출력 단자(202∼208)의 각각은 필터군(30A)에 포함되는 복수의 필터(301∼307)(도 5 참조)에 일대일로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3)에 의해 제어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신호 처리 회로(3)의 RF 신호 처리 회로(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접속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필터군(30A)에 포함되는 복수의 필터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입력 단자(201)는 출력 단자(202∼208) 중 2개 이상의 출력 단자에 동시 접속 가능하다. 또,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필터군(30A)에 포함되는 1개의 필터에 접속해도 좋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입력 단자(221)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22)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복수(도시예에서는 7개)의 출력 단자(222∼228)의 각각은 필터군(30A)에 포함되는 복수의 필터(321∼327)(도 5 참조)에 일대일로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 회로(3)에 의해 제어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신호 처리 회로(3)의 RF 신호 처리 회로(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접속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필터군(30A)에 포함되는 복수의 필터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입력 단자(221)는 출력 단자(222∼228) 중 2개 이상의 출력 단자에 동시 접속 가능하다. 또,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필터군(30A)에 포함되는 1개의 필터에 접속해도 좋다.
필터군(30A)은 복수의 필터(301∼308,321∼327)를 갖는다. 복수의 필터(301∼308,321∼327)는 예를 들면 탄성파 필터이며, 복수의 직렬암 공진자 및 복수의 병렬암 공진자의 각각이 탄성파 공진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탄성파 필터는 예를 들면 탄성 표면파를 이용하는 SAW 필터이다. 또, 복수의 필터(301∼308,321∼327)는 SAW에 필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필터는 SAW 이외에, 예를 들면 BAW 필터이어도 좋다. 또는 복수의 필터(301∼308,321∼327)는 FBAR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필터(301∼308,321∼327)는 LC 공진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필터(302,322)는 예를 들면 3개의 필터의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화된 트리 플렉서이다. 또한 필터(301,306,308,321,326)는 예를 들면 2개의 필터의 입력 단자가 공통 단자화된 듀플렉서이다.
필터(301∼307)의 입력 단자의 각각은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복수의 출력 단자(202∼208)에 일대일로 접속된다. 필터(308)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03)에 접속된다. 필터(321∼327)의 입력 단자의 각각은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복수의 출력 단자(222∼228)에 일대일로 접속된다.
실시형태 1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로서 기능하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필터(301∼307) 중 적어도 2개의 필터에 동시 접속 가능하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필터(321∼327) 중 적어도 2개의 필터에 동시 접속 가능하다. 즉, 필터군(30A)에서는 동시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필터의 조합이 복수 존재한다. 복수의 조합 중 제 2 안테나 스위치(20A)가 접속 가능한 조합의 필터의 각각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필터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A,20B)(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 중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제 5 안테나 스위치)는 복수의 필터(301∼308,321∼327)(복수의 제 3 필터) 중 필터(303)(제 5 필터)와, 복수의 필터(301∼308,321∼327) 중 필터(307)(제 6 필터)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2 안테나 스위치(20A,20B)(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 중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제 6 안테나 스위치)는 복수의 필터(301∼308,321∼327)(복수의 제 3 필터) 중 필터(323)(제 7 필터)와, 복수의 필터(301∼308,321∼327) 중 필터(327)(제 8 필터)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증폭부(40A)는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401∼413,421∼431)를 갖는다. 각 저잡음 증폭기(401∼413,421∼431)는 대응하는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한다. 저잡음 증폭기(401∼413)의 각각은 예를 들면 저잡음 증폭기이다. 저잡음 증폭기(401∼413,421∼431)의 각각의 입력 단자는 대응하는 필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저잡음 증폭기(401∼413,421∼431)의 각각의 출력 단자는 신호 처리 회로(3)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증폭부(40)에 포함되는 저잡음 증폭기(401∼413)가 1칩화됨으로써, 반도체 소자인 스위치 IC(100A)가 구성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증폭부(40)에 포함되는 저잡음 증폭기(421∼431)가 1칩화됨으로써, 반도체 소자인 스위치 IC(100B)가 구성된다.
다음에 고주파 모듈(1B)에 있어서의 제 1 안테나 스위치(10A), 제 2 안테나 스위치(20A,20B) 및 복수의 필터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복수의 필터로서, 도 5에 나타내는 필터(303,304,305,307,323,324,325,327)를 사용한다.
도 6은 고주파 모듈(1B)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도 7은 고주파 모듈(1B)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6에서는 제 1 수지층(61)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 1 주면(2a)에는 필터군(30A)에 포함되는 필터(301∼308,321∼327)가 설치된다. 제 2 주면(2b)에는 스위치 IC(100A,100B)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A)가 설치된다.
스위치 IC(100A,100B) 및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기판(2)의 제 2 주면(2b)에 배치된다(도 7 참조). 스위치 IC(100A)에 포함되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 및 스위치 IC(100B)에 포함되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A)는 제 2 방향(D2)에 있어서 배치된다(도 6, 도 7 참조).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제 2 주면(2b)에 형성된 도체(80A)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입력 단자(201)는 도체(80A)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02)와 접속된다(도 6 참조).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제 2 주면(2b)에 형성된 도체(80B)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입력 단자(221)는 도체(80B)를 통해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출력 단자(122)와 접속된다(도 6 참조).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1)로서의 외부 접속 전극(51)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거리(L11)는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거리(L12)보다 짧다.
마찬가지로,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2)로서의 외부 접속 전극(50)과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거리(L21)는 안테나 단자(T2)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거리(L22)보다 짧다.
필터(303,304,305,30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기판(2)의 제 1 주면(2a)에 배치된다(도 6, 도 7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03)와 필터(307)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에 동시 접속되고, 필터(304)와 필터(305)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에 동시 접속된다.
필터(323,324,325,3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장 기판(2)의 제 1 주면(2a)에 배치된다(도 6, 도 7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23)와 필터(327)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에 동시 접속되고, 필터(324)와 필터(325)가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에 동시 접속된다.
동시 접속되는 2개의 필터(303) 및 필터(307)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6 참조). 동시 접속되는 2개의 필터(304) 및 필터(305)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6 참조). 동시 접속되는 2개의 필터(323) 및 필터(327)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6 참조). 동시 접속되는 2개의 필터(324) 및 필터(325)는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치된다(도 6 참조).
필터(307)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71A)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에 접속된다(도 7 참조). 필터(303)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72A)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에 접속된다(도 7 참조). 필터(304)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도시생략)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에 접속된다. 필터(305)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도시생략)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에 접속된다.
필터(327)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71B)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에 접속된다(도 7 참조). 필터(323)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72B)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에 접속된다(도 7 참조). 필터(324)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도시생략)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에 접속된다. 필터(325)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도시생략)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에 접속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03)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필터(303)의 거리보다 길다. 마찬가지로,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07)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필터(307)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04)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필터(304)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05)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필터(305)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23)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필터(323)의 거리보다 길다. 마찬가지로,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27)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필터(327)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24)까지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필터(324)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25)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필터(325)의 거리보다 길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즉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03) 및 필터(307)의 쌍방 모두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필터(304) 및 필터(30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04) 및 필터(305)의 쌍방 모두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323) 및 필터(32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즉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23) 및 필터(327)의 쌍방 모두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필터(324) 및 필터(32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24) 및 필터(325)의 쌍방 모두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또한,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03)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6)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07)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필터(304) 및 필터(30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04)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7)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05)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08)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필터(323) 및 필터(32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23)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26)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27)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3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필터(324) 및 필터(32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필터(324)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27)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고, 필터(325)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428)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필터(304) 및 필터(305)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323) 및 필터(32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즉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필터(303)의 거리를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03)의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필터(323)의 거리를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필터(323)의 거리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필터(303) 사이의 배선길이, 및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와 필터(323) 사이의 배선길이를 각각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각 필터 특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1)(외부 접속 전극(5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거리(L11)는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의 거리(L12)보다 짧다. 또한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2)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의 거리(L21)는 안테나 단자(T2)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B)의 거리(L22)보다 짧다. 그 때문에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A) 사이, 및 안테나 단자(T2)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A) 사이, 각각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실시형태 2의 고주파 모듈(1B)은 안테나 단자(T1,T2)의 각각으로부터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필터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3) 및 필터(30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마찬가지로, 필터(323) 및 필터(327)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을 제 1 방향(D1)으로부터 본 경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필터(303)와 저잡음 증폭기(406)의 경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필터(323)와 저잡음 증폭기(406)의 경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고주파 모듈(1B)은 제 1 안테나 스위치(10A), 제 2 안테나 스위치(20A,20B)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통신방식에 따른 모듈, 예를 들면, HB-DSM과 MIMO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고주파 모듈(1B)은 복수의 통신방식에서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A)와 1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는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가 1칩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 중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 기능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1칩화되어도 좋다. 요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A)와, 적어도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 기능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10B)는 1칩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정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은 실장 기판(2)과,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와, 제 1 필터(예를 들면 필터(303)) 및 제 2 필터(예를 들면 필터(307))를 구비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는 안테나 단자(T1)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입력 단자(101)) 및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선택 단자(출력 단자(102))를 포함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는 선택 단자와 접속된다.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에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는 공통 단자(입력 단자(201))와, 공통 단자와 접속되는 제 1 선택 단자(예를 들면 출력 단자(204)) 및 제 2 선택 단자(예를 들면 출력 단자(208))를 포함한다. 제 1 필터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의 제 1 선택 단자와 접속된다. 제 2 필터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의 제 2 선택 단자와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는 공통 단자와 제 1 선택 단자의 접속, 및 공통 단자와 제 2 선택 단자의 접속을 동시에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의 거리는 안테나 단자(T1)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제 1 필터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제 1 필터의 거리보다 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와 제 1 필터 사이의 배선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제 1 필터의 필터 특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안테나 단자(T1) 사이의 배선길이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안테나 단자(T1)와 제 1 안테나 스위치(10) 사이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단자(T1)로부터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필터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에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1 안테나 스위치(10)와 제 2 필터의 거리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와 제 2 필터의 거리보다 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필터의 필터 특정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실장 기판(2)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2a)과 제 2 주면(2b)을 갖는다.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는 제 1 주면(2a)에 배치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 및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 중 적어도 한쪽은 제 2 주면(2b)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안테나 스위치(10) 및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 중 적어도 한쪽은 제 2 주면(2b)에 배치함으로써 실장 기판(2)에 있어서의 전자부품의 실장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주파 모듈(1;1A;1B)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4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에서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스위치(10) 및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의 쌍방은 제 2 주면(2b)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모듈(1;1A;1B)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5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에서는 제 3 또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는 제 2 주면(2b)에 배치된다.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예를 들면 필터(307))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와,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 중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의 일부와 겹치는 필터 사이의 경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6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에서는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필터는 실장 기판(2)에 형성된 비아(예를 들면 비아(71,71A))를 통해,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와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한쪽의 필터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를 비아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필터와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 사이의 경로길이를 확실하게 짧게 할 수 있다.
제 7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은 제 3∼제 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제 1 저잡음 증폭기(예를 들면 저잡음 증폭기(403))와, 제 2 저잡음 증폭기(예를 들면 저잡음 증폭기(411))를 더 구비한다. 제 1 저잡음 증폭기는 제 1 필터와 접속되고, 제 1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한다.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제 2 필터와 접속되고, 제 2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한다.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제 2 주면(2b)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모듈(1;1A;1B)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면서,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8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에서는 제 7 양태에 있어서,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는 제 2 주면(2b)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안테나 스위치(20;20A)와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1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모듈(1;1A;1B)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9 양태의 고주파 모듈(1;1A;1B)에서는 제 7 또는 제 8 양태에 있어서,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제 2 저잡음 증폭기 중 상기 다른쪽의 필터와 접속된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 중 한쪽의 필터와,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제 2 저잡음 증폭기 중 상기 다른쪽의 필터에 접속된 저잡음 증폭기 사이의 경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10 양태의 고주파 모듈(1B)은 제 1∼제 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와,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예를 들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A, 20B))와, 복수의 제 3 필터(예를 들면 필터(301∼308,321∼327)) 및 복수의 제 4 필터(예를 들면 필터(301∼308,321∼327))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는 서로 다른 안테나 단자(예를 들면 안테나 단자(T1), 안테나 단자(T2))에 접속된다.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는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와 접속된다. 복수의 제 3 필터 및 복수의 제 4 필터는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에 각각 접속된다.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 중 제 5 안테나 스위치(예를 들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A))는 복수의 제 3 필터 중 제 5 필터(예를 들면 필터(303))와, 복수의 제 4 필터 중 제 6 필터(예를 들면 필터(307))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 중 제 6 안테나 스위치(예를 들면 제 2 안테나 스위치(20B))는 복수의 제 3 필터 중 제 7 필터(예를 들면 필터(323))와, 복수의 제 4 필터 중 제 8 필터(예를 들면 필터(327))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 중 제 5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는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는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 기능한다. 제 5 안테나 스위치는 제 2 안테나 스위치(20)로서 기능한다. 제 5 필터 및 제 6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로서 각각 기능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통신방식에서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제 11 양태의 고주파 모듈(1B)은 제 10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10C) 중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C)는 1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모듈(1B)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12 양태의 고주파 모듈(1B)은 제 10 또는 제 11 양태에 있어서, 제 5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 1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모듈(1B)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13 양태의 고주파 모듈(1B)은 제 10∼제 1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실장 기판(2)은 실장 기판(2)의 두께 방향(제 1 방향(D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2a)과 제 2 주면(2b)을 갖는다.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는 제 1 주면(2a)에 배치된다. 제 1 안테나 스위치(10)로서의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 제 2 안테나 스위치(20)로서의 제 5 안테나 스위치, 제 6 안테나 스위치, 및 제 6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고, 또한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는 다른 제 3 안테나 스위치(10C)는 제 2 주면(2b)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모듈(1B)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제 14 양태의 고주파 모듈(1B)은 제 10∼제 1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제 3 필터 중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10B)와는 다른 제 3 안테나 스위치(10C)와 접속되는 제 6 안테나 스위치가 접속하는 제 7 필터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6 안테나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또는 복수의 제 4 필터 중 제 6 안테나 스위치가 접속하는 제 8 필터는 실장 기판(2)을 평면에서 본 경우, 제 6 안테나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7 필터와 제 6 안테나 스위치 사이의 경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는 제 8 필터와 제 6 안테나 스위치 사이의 경로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15 양태의 통신장치(500;500B)는 제 1∼제 1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고주파 모듈(1)과, 신호 처리 하는 신호 처리 회로(3)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테나 단자(T1)부터의 배선에 있어서의 신호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을 억제하면서, 필터 특성의 저하도 억제할 수 있다.
1: 고주파 모듈
2: 실장 기판
2a: 제 1 주면
2b: 제 2 주면
3: 신호 처리 회로
4: 안테나
10, 10A: 제 1 안테나 스위치
10B, 10C: 제 3 안테나 스위치
20: 제 2 안테나 스위치
20A: 제 2 안테나 스위치(제 4 안테나 스위치, 제 5 안테나 스위치)
20B: 제 2 안테나 스위치(제 4 안테나 스위치, 제 6 안테나 스위치)
71, 72, 71A, 72A: 비아
101: 입력 단자(접속 단자)
102: 출력 단자(선택 단자)
201: 입력 단자(공통 단자)
204: 출력 단자(제 1 선택 단자)
208: 출력 단자(제 2 선택 단자)
301∼308, 321∼327: 필터
401∼413, 421∼431: 저잡음 증폭기
500: 통신장치
T1: 안테나 단자
T2: 안테나 단자
D1: 제 1 방향

Claims (15)

  1. 실장 기판과,
    안테나 단자와,
    상기 안테나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 및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선택 단자를 포함하는 제 1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선택 단자와 접속되는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에 접속되는 제 1 필터 및 제 2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는 공통 단자와, 상기 공통 단자와 접속되는 제 1 선택 단자 및 제 2 선택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상기 제 1 선택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상기 제 2 선택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1 선택 단자의 접속, 및 상기 공통 단자와 상기 제 2 선택 단자의 접속을 동시에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장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 상기 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의 거리는 상기 안테나 단자와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거리보다 짧고,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1 필터의 거리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1 필터의 거리보다 긴 고주파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2 필터의 거리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2 필터의 거리보다 긴 고주파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판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을 갖고,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1 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 및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는 고주파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 및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쌍방은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는 고주파 모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상기 실장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는 고주파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필터는 상기 실장 기판에 형성된 비아를 통해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어 있는 고주파 모듈.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1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 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 2 필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하는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는 고주파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제 2 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1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주파 모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 중 적어도 한쪽의 필터는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 중 상기 한쪽의 필터와 접속된 저잡음 증폭기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는 고주파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안테나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제 3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는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제 3 필터 및 복수의 제 4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 중 제 5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제 3 필터 중 제 5 필터와, 상기 복수의 제 4 필터 중 제 6 필터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4 안테나 스위치 중 제 6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제 3 필터 중 제 7 필터와, 상기 복수의 제 4 필터 중 제 8 필터와 동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 중 상기 제 5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는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 5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 5 필터 및 상기 제 6 필터는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로서 각각 기능하는 고주파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 중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와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3 안테나 스위치는 1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주파 모듈.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와 1칩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주파 모듈.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기판은 상기 실장 기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과 제 2 주면을 갖고,
    상기 제 1 필터 및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제 1 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안테나 스위치로서의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 상기 제 2 안테나 스위치로서의 상기 제 5 안테나 스위치, 상기 제 6 안테나 스위치, 및 상기 제 6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고, 또한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와는 다른 제 3 안테나 스위치는 상기 제 2 주면에 배치되는 고주파 모듈.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3 필터 중 상기 1개의 제 3 안테나 스위치와는 다른 제 3 안테나 스위치와 접속되는 상기 제 6 안테나 스위치가 접속하는 상기 제 7 필터는 상기 실장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 상기 제 6 안테나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제 4 필터 중 상기 제 6 안테나 스위치가 접속하는 제 8 필터는 상기 실장 기판을 평면에서 본 경우, 상기 제 6 안테나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 있는 고주파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주파 모듈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는 통신장치.
KR1020217039380A 2019-07-02 2020-06-09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KR102543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24047 2019-07-02
JPJP-P-2019-124047 2019-07-02
PCT/JP2020/022675 WO2021002159A1 (ja) 2019-07-02 2020-06-09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166A true KR20220004166A (ko) 2022-01-11
KR102543342B1 KR102543342B1 (ko) 2023-06-14

Family

ID=7410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380A KR102543342B1 (ko) 2019-07-02 2020-06-09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23732A1 (ko)
KR (1) KR102543342B1 (ko)
CN (1) CN114073010B (ko)
WO (1) WO2021002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9742A1 (ja) * 2021-03-31 2022-10-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125A1 (ja) 2013-09-17 2015-03-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KR20180058807A (ko) * 2015-10-26 2018-06-0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스위치 모듈
WO2018168500A1 (ja) * 2017-03-15 2018-09-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KR20190040041A (ko) * 2016-12-14 2019-04-1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스위치 ic, 프론트 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6836A (en) * 1995-02-16 1996-01-23 Motorola, Inc. Method, dual rectangular patch antenna system and radio for providing isolation and diversity
JP2006295530A (ja) * 2005-04-11 2006-10-26 Hitachi Metals Ltd アンテナ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2009094713A (ja) * 2007-10-05 2009-04-30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端末
JP5708804B2 (ja) * 2011-06-28 2015-04-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CN103219977B (zh) * 2012-01-19 2016-08-24 三星电机株式会社 高频半导体开关
US9621327B2 (en) * 2013-09-17 2017-04-11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carrier aggregation front-end module applications
WO2017057567A1 (ja) * 2015-10-02 2017-04-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力増幅モジュール、フロントエンド回路および通信装置
JP6451605B2 (ja) * 2015-11-18 2019-01-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JP6358238B2 (ja) * 2015-11-18 2018-07-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US9998097B2 (en) * 2016-07-15 2018-06-1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Radio-frequency front-end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18064266A (ja) * 2016-10-07 2018-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フィルタおよび高周波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125A1 (ja) 2013-09-17 2015-03-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KR20180058807A (ko) * 2015-10-26 2018-06-01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스위치 모듈
KR20190040041A (ko) * 2016-12-14 2019-04-16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스위치 ic, 프론트 엔드 모듈 및 통신 장치
WO2018168500A1 (ja) * 2017-03-15 2018-09-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73010B (zh) 2022-12-20
KR102543342B1 (ko) 2023-06-14
US20220123732A1 (en) 2022-04-21
CN114073010A (zh) 2022-02-18
WO2021002159A1 (ja)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4172B2 (en) Integrated circuit, front-end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1121733B2 (en) Semiconductor device, radio-frequency circui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419331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CN111164899B (zh) 高频电路以及通信装置
US11777534B2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716099B2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0261819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KR20210060324A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CN114026790B (zh) 高频模块以及通信装置
KR102543342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US11637576B2 (en) Radio-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20173759A1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457443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KR102490284B1 (ko)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US20220321154A1 (en)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