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740A -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740A
KR20220003740A KR1020200081330A KR20200081330A KR20220003740A KR 20220003740 A KR20220003740 A KR 20220003740A KR 1020200081330 A KR1020200081330 A KR 1020200081330A KR 20200081330 A KR20200081330 A KR 20200081330A KR 20220003740 A KR20220003740 A KR 2022000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congestion level
scaffolding
congestion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825B1 (ko
Inventor
김재원
신승권
김형철
류준형
오용국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8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8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는, 승객의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를 전송하는 발판유닛; 및 발판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를 바탕으로, 발판 보정값을 고려하여, 발판혼잡도를 연산하는 주제어반을 포함한다. 여기서, 주제어반은, 출구별 혼잡도 기준 정보로서 승객이동 속도, 발판간 거리 및 출구유도금지 혼잡도 기준 설정값을 제공받는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 발판별로 증폭되어 입력되는 전류량을 확인하는 출구별 전류량 확인부;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에서 제공되는 발판간 거리를 승객이동 속도로 나누어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각 출구별 혼잡도를 연산하는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 및 출구별 혼잡도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출구별 혼잡도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이나 지하역사 내에서 재해나 사고로 인해 비상대피를 해야 하는 경우 출구혼잡도 정보 기반으로 혼잡한 출구로 대피인원이 모이지 않게 하고 혼잡도가 낮은 출구로 구출대원 진입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비상상황에서의 대피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CONGESTION BY EXIT TO INDUCE EMERGENCY EVACUATION}
본 발명은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의 발생시 출구의 혼잡도를 연산하여 이를 바탕으로 해당 출구의 혼잡도를 연산할 수 있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의 환승역 혹은 고층건물의 경우 복잡한 형태의 구조가 많아 실제 비상시에는 다양한 경우의 수가 존재함에 따라 비상조명기능뿐만 아니라 탈출방향 표현이 가능한 인디케이터, 음성을 통한 탈출 안내방송 등 다양한 비상대피 유도장치들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비상대피 유도장치들 중 일부는 실시간으로 최적 대피경로를 연산하여 승객들에게 방향 표시 조명, 방송 등으로 해당 경로를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사고현장에서 실시간 최적 대피경로 산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출구별로 대피인원이 집중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특히 구출대원의 진입경로를 확보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함에 따라 출구별 혼잡도는 이러한 최적 대피경로 산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4114호(2012. 02. 28., 등록)(건설 구조물 화재에서 개인별 대피 행동 및 사상자를 시뮬레이션하는 화재 위험 평가 시스템, 평가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일본등록특허 제4595462호(2010. 10. 01., 등록)(피난 안전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일본공개특허 제2013-73300호(2013. 04. 22., 공개)(긴급 주차 유도 시스템, 긴급 주차 유도 방법, 주차유도 장치 및 프로그램) 일본공개특허 제2017-21692호(2017. 01. 26., 공개)(피난 지원 시스템 및 순차 피난 계획 책정 방법)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이나 지하역사 내에서 재해나 사고로 인해 비상대피를 해야 하는 경우 출구혼잡도 정보 기반으로 혼잡한 출구에는 대피인원이 모이지 않게 하고 혼잡도가 낮은 출구로 구출대원 진입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비상상황에서의 대피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를 이용한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는, 승객의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를 전송하는 발판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를 바탕으로, 발판 보정값을 고려하여, 발판혼잡도를 연산하는 주제어반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발판유닛은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1번 발판과 2번 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는 상기 1번 발판과 상기 2번 발판을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주제어반은, 발판 순간혼잡도, 발판 적산혼잡도, 발판 보정값, 및 발판 보정혼잡도를 바탕으로, 발판 최종혼잡도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n번 출구 혼잡도(n은 자연수)를 연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발판 순간혼잡도, 상기 발판 적산혼잡도, 상기 발판 보정값, 상기 발판 보정혼잡도, 상기 발판 최종혼잡도 및 상기 N번 출구 혼잡도 각각은,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및
Figure pat00006
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주제어반은, 출구별 혼잡도 기준 정보로서 승객이동 속도, 발판간 거리 및 설정된 출구유도금지 혼잡도 기준을 제공받는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 발판별로 증폭되어 입력되는 전류량을 확인하는 출구별 전류량 확인부; 상기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에서 제공되는 발판간 거리를 승객이동 속도로 나누어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각 출구별 혼잡도를 연산하는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 및 출구별 혼잡도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출구별 혼잡도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은, 연산이 시작되어 진행시간(t)이 경과함에 따라 승객의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를 전송하는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합산하여 출구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진행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하고, 발판간거리를 승객이동속도로 제산하여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진행시간(t)에 1초를 더하고, 더해진 1초 동안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적산전류량을 산출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1번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현재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t=1부터 상기 연산블록시간까지 산출된 발판 적산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블록시간만큼 이전 순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순간혼잡도에 (-1)을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와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1번 발판에 대응하여 연산된 발판 보정 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진행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하고, 발판간거리를 승객이동속도로 제산하여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진행시간(t)에 1초를 더하고, 더해진 1초 동안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적산전류량을 산출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2번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현재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t=1부터 상기 연산블록시간까지 산출된 발판 적산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블록시간만큼 이전 순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순간혼잡도에 (-1)을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와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2번 발판에 대응하여 연산된 발판 보정 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건물이나 지하역사 내에서 재해나 사고로 인해 비상대피를 해야 하는 경우 출구혼잡도 정보 기반으로 혼잡한 출구로 대피인원이 모이지 않게 하고 혼잡도가 낮은 출구로 구출대원에게 진입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비상상황에서의 대피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혼잡도에 따라 가장 낮은 혼잡도를 가진 탈출구를 소방대원 등에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여 이용객 구출 및 사고장소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출구별 혼잡도의 데이터베이스화로 시간, 요일, 연간 등 출구별 이용객 수를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용객이 많은 출구에 대하여 비상상황을 고려하여 출구를 확장하거나 추가적인 안정장치를 실시하는 등의 예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재난 발생으로 인한 일부 출구 폐쇄시 비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혼잡도 산출을 위해 설치된 발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제어반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1번 발판 혼잡도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2번 발판 혼잡도 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연산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재난 발생으로 인한 일부 출구 폐쇄시 비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진과 같은 재난발생이라는 최악의 상황에서 1번 출구 폐쇄시 지하역사 속 시민은 탈출구를 찾기 힘들며 극도의 혼란 속에서 압사와 같은 이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2번 출구로 유도할 수 있는 능동형 인디케이트식 조명 및 2중 방송 기능(예를 들어, 대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하라는 자동 방송과, 역무원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동방법)의 비상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2는 혼잡도 산출을 위해 설치된 발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판유닛을 출구 인근의 바닥에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판유닛은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1번 발판(90)과 2번 발판(92)을 포함한다. 출구 이용인원의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는 증폭기(도면부호 미부여)를 통해 일정한 비율로 증폭되어 주제어반(100)의 출구별 전류량 확인부로 입력된다.
출구별로 1번 발판(90)과 2번 발판(92)을 각각 설치하고, 각 발판은 역사 이용객이 의도적으로 넘지 않는 한 1회는 무조건 밟을 수 밖에 없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인 보폭보다 조금 크게 만든다.
각 출구별로 있는 1번 발판(90)과 2번 발판(92) 사이에 있는 역사 이용객 인원을 대상으로 혼잡도를 연산하므로 1번 발판(90)과 2번 발판(92) 사이 간격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출구와 가까운 곳의 2번 발판(92)과 이와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1번 발판(90)을 설치하면, 대략 출구에서 100m 이내의 혼잡도를 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구의 혼잡도 산정 범위를 발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주제어반(100)의 입력부에 구비될 수 있는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를 통해 승객이동속도와 발판간 거리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승객이동속도가 0.5m/s이고 발판간 거리가 20m이면, 연산블록시간(=발판간 거리/승객이동속도)은 40초가 되고, 발판간 거리가 5m이면 연산되는 연산블록시간은 10초가 된다.
이러한 연산블록시간을 이용하는 이유는 각 발판간 거리 내 들어오거나 나가는 이용객들을 각 발판 별로 추정하여 혼잡도를 산출하기 위해서이다. 즉, 1번 발판(90)의 경우, 2번 발판(92)을 거쳐 혼잡도 산정 범위에 들어온 승객이 연산블록시간만큼 후 2번 발판(92)을 거쳐 혼잡도 산정 범위에서 제외된다는 것을 고려하기 위해서이다.
2번 발판(92)의 경우도 동일하므로 각 발판에서의 혼잡도를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합산하여 혼잡도 산정 범위 내 최종혼잡도를 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발판간 거리가 짧을 때 보다 거리가 길 때 더 효용성이 높다.
이상에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판유닛(즉, 1번 발판(90)과 2번 발판(92))을 이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열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통과 인원을 감지하여 혼잡도 알고리즘에 반영할 수도 있다. 즉, 1초 동안 해당 발판 전류량 입력값 대신 1초 동안 통과 인원으로 혼잡도 알고리즘에 반영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제어반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제어반(100)은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110), 출구별 전류량 확인부(120),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 및 출구별 혼잡도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110)는 출구별 혼잡도 기준 정보로서 승객이동 속도, 발판간 거리 및 출구유도금지 혼잡도 기준 설정값을 제공받아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에 제공한다. 주제어반(100)의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110)의 출구유도금지 혼잡도 기준 설정에 따라 특정 혼잡도 이상이 되면 최적 대피경로를 연산할 때 혼잡도가 높은 출구를 제외하도록 하여 그 출구로 대피인원들이 유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혼잡도 이하의 출구로 구성된 진입경로 정보를 구출대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출구별 전류량 확인부(120)는 발판별로 증폭되어 입력되는 전류량을 확인하여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1번 출구의 1번 발판 전류량, 1번 출구의 2번 발판 전류량, 2번 출구의 1번 발판 전류량, 2번 출구의 2번 발판 전류량, …, N번 출구의 1번 발판 전류량(여기서, N은 자연수), N번 출구의 2번 발판 전류량을 입력받아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에 제공한다.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110)에서 제공되는 발판간 거리를 승객이동 속도로 나누어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각 출구별 혼잡도를 연산한다.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에 의한 출구별 혼잡도를 연산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출구별 혼잡도 출력부(140)는 출구별 혼잡도 연산 결과를 역사 내에서 승객비상대피를 관제하는 관제측 설비나 소방대원 혹은 119 대원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 등에 출력한다.
최초 연산이 시작되어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커지기 전까지는 발판 보정값을 이용하지 않는다. 이는 아직 어느 쪽 발판이든 혼잡도 산정 범위에 들어온 승객이 아직 반대편 발판에 도달하지 못해 여전히 혼잡도 산정 범위에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커지면 혼잡도 산정 범위를 벗어난 승객을 고려하기 위해 발판보정값을 이용한다. 또한 연산블록시간 내 일정 시간마다(예를 들어, 1초 마다) 연산한 발판의 혼잡도 값들 중 최대값을 고려하여 발판의 혼잡도를 산정한다.
진행시간은 1초씩 증가함에 따라 연산블록시간의 크기는 유지되지만 1초씩 슬라이딩된다. 즉, 연산블록시간1는 0~10초로 변동되고, 연산블록시간2는 1초~11초로 변동되고, 연산블록시간3은 2초~12초로 변동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를 이용한 1번 발판과 2번 발판 사이의 출구 혼잡도는 다음과 같이 연산된다.
먼저,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수식 1과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7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발판 순간혼잡도를 근거로 수식 2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다.
[수식 2]
Figure pat00008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발판 보정값을 수식 3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다.
[수식 3]
Figure pat00009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발판 보정 혼잡도를 수식 4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다.
[수식 4]
Figure pat00010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발판 최종혼잡도를 수식 5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다.
[수식 5]
Figure pat00011
즉, 발판 최종혼잡도는 연산블록시간 내 발판 혼잡도들 중 최대값으로 산출된다. 하나의 출구에는 1번 발판과 2번 발판이 부착되므로 발판 최종혼잡도는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 각각이 산출된다.
마지막으로,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N번 출구 혼잡도를 수식 6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다.
[수식 6]
Figure pat00012
즉, N번 출구 혼잡도는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합산한 값의 절대값으로 산출된다.
그러면, 이하에서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의 연산 알고리즘을 플로우차트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산이 시작되어 진행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1번 발판 최종혼잡도(1fc_t)를 산출한다(단계 S100).
또한 연산이 시작되어 진행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2번 발판 최종혼잡도(2fc_t)를 산출한다(단계 S200).
이어, 단계 S100에서 산출된 1번 발판 최종혼잡도(1fc_t)와 단계 S200에서 산출된 2번 발판 최종혼잡도(2fc_t)를 합산하여 출구 혼잡도를 산출한다(단계 S300).
본 실시예에서, 1번 발판 최종혼잡도(1fc_t)를 산출하는 단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2fc_t)를 산출하는 단계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1번 발판 최종혼잡도(1fc_t)를 산출한 후 2번 발판 최종혼잡도(2fc_t)를 산출할 수도 있고, 2번 발판 최종혼잡도(2fc_t)를 산출한 후 1번 발판 최종혼잡도(1fc_t)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1번 발판 혼잡도 단계(S1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도 3,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1번 발판 혼잡도를 산출하기 위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진행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하고, 발판간 거리를 승객이동속도로 제산하여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102). 여기서, 진행시간(t)을 포함하는 변수는 해당 시간에서 연산된 결과를 저장한 행렬값이다. 예를 들어, 3초 때 1번 발판 순간혼잡도는 1mc_3이고, 이전 발판 적산혼잡도는 1cc_2와 같은 방식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2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진행시간(t)에 1초를 더하고, 더해진 1초 동안의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적산전류량(i)을 산출한다(단계 S104).
단계 S104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단계 S104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6).
단계 S106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i)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1번 발판 순간혼잡도(1mc_t)를 산출한다(단계 S108).
단계 S108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이전의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1)에 현재의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1mc_t)를 합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를 산출한다(단계 S110). 여기서, 이전의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의 값이 없으면 0으로 처리한다.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단계 S110에서 산출된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를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1fc_t)로 산출한다(단계 S112).
단계 S106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i)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1mc_t)를 산출한다(단계 S122).
단계 S122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이전의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1)에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1mc_t)를 합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를 산출한다(단계 S124).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t=1부터 연산블록시간까지 산출된 발판 적산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1fc_t)로 산출한다(단계 S126).
단계 S120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i)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1mc_t)를 산출한다(단계 S128).
단계 S128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이전의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1)에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1mc_t)를 합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를 산출한다(단계 S130).
단계 S130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연산블록시간만큼 이전 순간의 다른 발판, 즉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순간혼잡도(2mc_t-연산블록시간)에 (-1)을 승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1cr_t)을 산출한다(단계 S132).
단계 S132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1cc_t)와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1cr_t)을 합산하여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 혼잡도(1coc_t)를 산출한다(단계 S134).
단계 S134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번 발판(90)에 대응하여 연산된 발판 보정 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1fc_t)로 산출한다(단계 S136).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2번 발판 혼잡도 단계(S2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도 3, 도 4,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2번 발판 혼잡도를 산출하기 위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진행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하고, 발판간거리를 승객이동속도로 제산하여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한다(단계 S202). 여기서, 진행시간(t)을 포함하는 변수는 해당 시간에서 연산된 결과를 저장한 행렬값이다. 예를 들어, 3초 때 2번 발판 순간혼잡도는 2mc_3이고, 이전 발판 적산혼잡도는 2cc_2와 같은 방식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2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진행시간(t)에 1초를 더하고, 더해진 1초 동안의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적산전류량(i)을 산출한다(단계 S204).
단계 S204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단계 S204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06).
단계 S206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i)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2번 발판 순간혼잡도(2mc_t)를 산출한다(단계 S208).
단계 S208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이전의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1)에 현재의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2mc_t)를 합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를 산출한다(단계 S210). 여기서, 이전의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의 값이 없으면 0으로 처리한다.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단계 S210에서 산출된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를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2fc_t)로 산출한다(단계 S212).
단계 S206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0).
단계 S220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i)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2mc_t)를 산출한다(단계 S222).
단계 S222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이전의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1)에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2mc_t)를 합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를 산출한다(단계 S224).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t=1부터 연산블록시간까지 산출된 발판 적산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2fc_t)로 산출한다(단계 S226).
단계 S220에서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이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i)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2mc_t)를 산출한다(단계 S228).
단계 S228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이전의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1)에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2mc_t)를 합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를 산출한다(단계 S230).
단계 S230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연산블록시간만큼 이전 순간의 다른 발판, 즉 1번 발판(90)에 대응하는 순간혼잡도(1mc_t-연산블록시간)에 (-1)을 승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2cr_t)을 산출한다(단계 S232).
단계 S232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2cc_t)와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2cr_t)을 합산하여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 혼잡도(2coc_t)를 산출한다(단계 S234).
단계 S234에 이어,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130)는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연산된 발판 보정 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2번 발판(92)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2fc_t)로 산출한다(단계 S236).
그러면, 이하에서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일련의 연산 과정을 후술하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연산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7에서, 가중치=1, 승객이동속도=0.5m/s, 발판간 거리=5m, 연산블록시간=10초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전류량과 가중치의 승산치로 산출되는 발판 순간혼잡도의 연산을 설명한다. 1번 발판의 전류량(단위생략)을 1초는 1, 2초는 3, 3초는 2, 10초는 1, 11초는 2, 12초는 1과 같이 가정할 때, 가중치가 1 이므로
1번 발판 순간혼잡도는 1초는 1, 2초는 3, 3초는 2와 같이 연산되고, 10초는 1, 11초는 2, 12초는 1과 같이 연산된다.
한편, 2번 발판의 전류량(단위생략)을 1초는 0, 2초는 2, 3초는 1, 10초는 1, 11초는 2, 12초는 3과 같이 가정할 때, 가중치가 1 이므로
2번 발판 순간혼잡도는 1초는 0, 2초는 2, 3초는 1과 같이 연산되고, 10초는 1, 11초는 2, 12초는 3과 같이 연산된다.
이어, 발판 적산혼잡도의 연산을 설명한다.
1번 발판 적산혼잡도는 1초는 1, 2초는 4(즉, 1+3), 3초는 6(즉, 4+2)와 같이 연산되고, 10초는 18(즉, 17+1), 11초는 20(즉, 18+2), 12초는 21(즉, 20+1) 등과 같이 연산된다. 한편, 2번 발판 적산혼잡도는 1초는 0, 2초는 2(즉, 0+2), 3초는 3(즉, 2+1)과 같이 연산되고, 10초는 17(즉, 16+1), 11초는 19(즉, 17+2), 12초는 22(즉, 19+3) 등과 같이 연산된다.
이어, 발판 보정값의 연산을 설명한다.
1초부터 10초까지 총 10초 구간인 연산블록 1인 경우, 1번 발판 보정값은 0으로 연산된다. 2초부터 11초까지 총 10초 구간인 연산블록 2인 경우, 1번 발판 보정값은 11초에 대응하는 0(즉, 2번 발판(92)의 1초 순간혼잡도 ⅹ (-1))으로 연산된다. 3초부터 12초까지 총 10초 구간인 연산블록 3인 경우, 1번 발판 보정값은 11초에 대응하여 0, 12초에 대응하여 -2(즉, 2번 발판(92)의 2초 순간혼잡도 ⅹ (-1))로 연산된다.
한편, 1초부터 10초까지 총 10초 구간인 연산블록 1인 경우, 2번 발판 보정값은 0으로 연산된다. 2초부터 11초까지 총 10초 구간인 연산블록 2인 경우, 2번 발판 보정값은 11초에 대응하는 -1(즉, 1번 발판(90)의 1초 순간혼잡도 ⅹ (-1))로 연산된다. 3초부터 12초까지 총 10초 구간인 연산블록 3인 경우, 2번 발판 보정값은 11초에 대응하는 -1, 12초에 대응하여 -3(즉, 1번 발판(90)의 2초 순간혼잡도 ⅹ (-1))으로 연산된다.
이어, 발판 보정혼잡도의 연산을 설명한다.
1번 발판 보정혼잡도는 1초는 1, 2초는 4, ..., 11초는 20, 12초는 19 등과 같이 연산된다. 한편, 2번 발판 보정혼잡도는 1초는 0, 2초는 2, ..., 11초는 18, 12초는 19 등과 같이 연산된다.
이어, 발판 최종혼잡도의 연산을 설명한다.
1번 발판 최종혼잡도는 다음과 같다. 연산블록 1인 경우, 1 내지 9초에서 적산혼잡도가 최종혼잡도로 연산된다. 10초에서 연산블록시간 내 발판 보정혼잡도 중 최대값인 18이 최종혼잡도로 연산된다. 연산블록 2인 경우, 연산블록시간 내 발판 보정혼잡도 중 최대값인 20으로 연산된다. 연산블록 3인 경우, 연산블록시간 내 발판 보정혼잡도 중 최대값인 20으로 연산된다.
한편, 2번 발판 최종혼잡도는 다음과 같다. 연산블록 1인 경우, 1 내지 9초에서 보정혼잡도가 최종혼잡도로 연산된다. 10초에서 연산블록시간 내 발판 보정혼잡도 중 최대값인 17이 최종혼잡도로 연산된다. 연산블록 2인 경우, 연산블록시간 내 발판 보정혼잡도 중 최대값인 18로 연산된다. 연산블록 3인 경우, 연산블록시간 내 발판 보정혼잡도 중 최대값인 19로 연산된다.
이어, N번 출구 혼잡도의 연산을 설명한다.
연산블록 1인 경우, N번 출구 혼잡도는,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의 합산값의 절대값으로서, 18 + 17 = 35와 같이 연산된다. 연산블록 2인 경우, N번 출구 혼잡도는,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의 합산값의 절대값으로서, 20 + 18 = 38와 같이 연산된다. 연산블록 3인 경우, N번 출구 혼잡도는,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의 합산값의 절대값으로서, 20+ 19 = 39와 같이 연산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혼잡도가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탈출구로는 대피인원들이 가지 않도록 유도하고, 혼잡도가 낮은 탈출구를 소방대원 혹은 119 대원에게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이용객 구출 및 사고장소 접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출구별 혼잡도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시간별, 요일별, 연간 등 출구별 이용객 수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용객이 많은 출구에 대해 향후 비상상황을 고려하여 출구를 넓히거나 추가적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등과 같은 사전대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90 : 1번 발판 92 : 2번 발판
100 : 주제어반 110 :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
120 : 출구별 전류량 확인부 130 :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
140 : 출구별 혼잡도 출력부

Claims (13)

  1. 승객의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를 전송하는 발판유닛; 및
    상기 발판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를 바탕으로, 발판 보정값을 고려하여, 발판혼잡도를 연산하는 주제어반을 포함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유닛은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1번 발판과 2번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번 발판과 상기 2번 발판을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반은, 발판 순간혼잡도, 발판 적산혼잡도, 발판 보정값, 및 발판 보정혼잡도를 바탕으로, 발판 최종혼잡도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n번 출구 혼잡도(n은 자연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순간혼잡도, 상기 발판 적산혼잡도, 상기 발판 보정값, 상기 발판 보정혼잡도, 상기 발판 최종혼잡도 및 상기 N번 출구 혼잡도 각각은,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및
    Figure pat00018
    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반은,
    출구별 혼잡도 기준 정보로서 승객이동 속도, 발판간 거리 및 출구유도금지 혼잡도 기준 설정값을 제공받는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
    발판별로 증폭되어 입력되는 전류량을 확인하는 출구별 전류량 확인부;
    상기 출구별 혼잡도 기준 설정부에서 제공되는 발판간 거리를 승객이동 속도로 나누어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각 출구별 혼잡도를 연산하는 출구별 혼잡도 연산부; 및
    출구별 혼잡도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출구별 혼잡도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7. 연산이 시작되어 진행시간(t)이 경과함에 따라 승객의 밟는 횟수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를 전송하는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와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합산하여 출구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진행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하고, 발판간거리를 승객이동속도로 제산하여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진행시간(t)에 1초를 더하고, 더해진 1초 동안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적산전류량을 산출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1번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현재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t=1부터 상기 연산블록시간까지 산출된 발판 적산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블록시간만큼 이전 순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순간혼잡도에 (-1)을 승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와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합산하여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1번 발판에 대응하여 연산된 발판 보정 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1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진행시간(t)을 0으로 초기화하고, 발판간거리를 승객이동속도로 제산하여 연산블록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진행시간(t)에 1초를 더하고, 더해진 1초 동안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적산전류량을 산출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2번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현재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보다 작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한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t=1부터 상기 연산블록시간까지 산출된 발판 적산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번 발판 최종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1초가 더해진 진행시간(t)이 상기 연산블록시간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1초 동안 전류량 입력값에 가중치를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이전의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에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순간혼잡도를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블록시간만큼 이전 순간의 1번 발판에 대응하는 순간혼잡도에 (-1)을 승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적산혼잡도와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값을 합산하여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보정 혼잡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2번 발판에 대응하여 연산된 발판 보정 혼잡도들 중에서 최대값을 2번 발판에 대응하는 발판 최종혼잡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방법.
KR1020200081330A 2020-07-02 2020-07-02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KR10239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30A KR102399825B1 (ko) 2020-07-02 2020-07-02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330A KR102399825B1 (ko) 2020-07-02 2020-07-02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740A true KR20220003740A (ko) 2022-01-11
KR102399825B1 KR102399825B1 (ko) 2022-05-20

Family

ID=7935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330A KR102399825B1 (ko) 2020-07-02 2020-07-02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8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955A (ja) * 1992-05-27 1993-12-10 Kazuo Nakazawa 人数計数装置
JP2003296869A (ja) * 2002-03-29 2003-10-17 Railway Technical Res Inst 混雑状況監視システム
JP4595462B2 (ja) 2004-09-17 2010-12-08 株式会社大林組 避難安全性能を評価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124114B1 (ko) 2010-06-04 2012-03-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설 구조물 화재에서 개인별 대피 행동 및 사상자를 시뮬레이션하는 화재 위험 평가 시스템, 화재 위험 평가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JP2013073300A (ja) 2011-09-27 2013-04-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緊急避難誘導システム、緊急避難誘導方法、避難誘導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1692A (ja) 2015-07-14 2017-01-26 能美防災株式会社 避難支援システムおよび順次避難計画策定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955A (ja) * 1992-05-27 1993-12-10 Kazuo Nakazawa 人数計数装置
JP2003296869A (ja) * 2002-03-29 2003-10-17 Railway Technical Res Inst 混雑状況監視システム
JP4595462B2 (ja) 2004-09-17 2010-12-08 株式会社大林組 避難安全性能を評価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124114B1 (ko) 2010-06-04 2012-03-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설 구조물 화재에서 개인별 대피 행동 및 사상자를 시뮬레이션하는 화재 위험 평가 시스템, 화재 위험 평가 방법 및 그 기록 매체
JP2013073300A (ja) 2011-09-27 2013-04-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緊急避難誘導システム、緊急避難誘導方法、避難誘導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1692A (ja) 2015-07-14 2017-01-26 能美防災株式会社 避難支援システムおよび順次避難計画策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825B1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lippoupolitis et al. A distribut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building evacuation
Kodur et al. Egress parameters influencing emergency evacuation in high-rise buildings
US20080314681A1 (en) Dynamic resource assignment and exit information for emergency responders
US2008015798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edict Fire And Smoke Propagation
US20160083219A1 (en) Elevator evacuation system
KR20190061974A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JP431163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insey Vertical transport evacuation modelling
Tinaburri Principles for Monte Carlo agent-based evacuation simulations including occupants who need assistance. From RSET to RiSET
Kendik Methods of design for means of egress: towards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national code requirements
CN112504262A (zh) 建筑物楼层内人员导航方法、多层建筑内人员导航方法、系统
KR102399825B1 (ko) 비상대피 유도용 출구별 혼잡도 연산 장치 및 그 방법
Gerges et al. Multi-storey residential buildings and occupant’s behaviour during fire evacuation in the UK: Factors relevant to the development of evacuation strategies
Hingorani et al. Risk‐informed requirements for design and assessment of structures under temporary use
JP6469824B1 (ja) 災害情報支援システム及び災害情報支援方法
Chen et al. An agent-based simulation framework for developing the optimal rescue plan for older adults during the emergency evacuation
Akashah et al. Factors affecting adoption of emergency evacuation strategies in high-rise office buildings
Yung et al. A description of the probabilistic and deterministic modelling used in FiRECAM™
KR101981744B1 (ko) Gis 정보를 활용한 피난 시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Sabapathy et al.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of life safety for a six-storey commercial building with an open stair interconnecting four storeys: A case study
Salankar et al. Need for better high-rise building evacuation practices
Kady et al. The impact of exit route designs on evacuation time for crawling occupants
Shen Building egress analysis
Jodi et al. City-Wide Fire Vulnerability Map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Kim et al. Evacuation Safety Evaluation in the Event of a Fire in a Shopping Center with a Connected Passageway in Ko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