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587A - 치열 교정 기기 - Google Patents

치열 교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587A
KR20220003587A KR1020217038969A KR20217038969A KR20220003587A KR 20220003587 A KR20220003587 A KR 20220003587A KR 1020217038969 A KR1020217038969 A KR 1020217038969A KR 20217038969 A KR20217038969 A KR 20217038969A KR 20220003587 A KR20220003587 A KR 2022000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nnector
patient
teeth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카르 세이에드 메흐디 로에인
제임스 실베스터 라텐
Original Assignee
브리우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우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리우스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열 교정 기기 및 관련 시스템과 방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와,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비스듬히 뻗어 나온 제2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병진이동 및/또는 회전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열 교정 기기
본 출원은 2019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842,391호와, 2020년 1월 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956,290호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이며, 상기 문헌들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아래의 출원들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 출원의 각각은 전체적으로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발명의 명칭이 치과 기기, 시스템 및 방법(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865,323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기기, 시스템 및 방법(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제PCT/US20/31211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기기와 관련 시스템 및 사용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929,443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기기와 관련 시스템 및 사용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929,444호; 발명의 명칭이 치과 기기와 관련 제조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929,442호; 그리고 발명의 명칭이 치과 기기와 관련 제조 방법(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이고 2020년 5월 2일자로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제PCT/US20/70016호.
본 기술은 치열 교정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치아에 치열 교정 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열 교정술에 있어서 공통의 목표는 환자의 치아를 치아가 최적으로 그리고 심미적으로 기능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치열 교정 전문의는 치아의 초기 위치와 원하는 종결 위치 사이의 일련의 교정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의 복수의 스캔 및/또는 의치 틀(impression)을 얻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치열 교정 전문의는 두 가지 주요 기기 유형: 즉, 교정기 또는 정렬기 중의 하나에 환자를 맞춘다.
종래의 치아 교정기는 브래킷과 치아의 전면을 가로질러서 배치된 치열궁선(archwire)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 타이 또는 결찰 와이어로 치열궁선을 브래킷에 고정시킨다. 몇몇 경우에는, 타이나 와이어 대신에 자가 결찰 브래킷을 사용할 수 있다. 치열궁선의 형상과 강성(stiffness)뿐만아니라 치열궁선-브래킷 상호작용이 치아에 가해지는 힘과 이로 인한 치아 이동의 방향과 정도를 결정한다. 치아에 원하는 힘을 가하기 위해, 치열 교정 전문의는 종종 손으로 치열궁선을 구부린다. 치열 교정 전문의는 정기적인 치료 예약을 통하여 환자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그동안 치열 교정 전문의는 치료의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평가하고 치열궁선(예를 들면, 새로운 만곡부)을 손으로 조정하고 및/또는 브래킷을 교체하거나 위치조정한다. 조정 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환자에게 지루하며 치료 예약 후 며칠 동안 환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더욱이, 교정기는 심미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으며 칫솔질, 치실질 및 다른 치과 위생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정렬기는 최종 치아 배열을 만들어내기 위해 치아를 수용하고 위치조정하도록 형상화된 공동을 가진 투명하고 제거가능한 폴리머 쉘을 포함한다. "인비저블 교정기"라고 불리는 정렬기는 환자들에게 교정기보다 크게 향상된 심미성을 제공한다. 정렬기는 치열 교정 전문의가 와이어를 구부리거나 브래킷을 위치조정할 것을 요하지 않으며 대체로 교정기보다 더 편안하다. 하지만, 교정기와 달리, 정렬기는 모든 부정교합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는 없다. 밀어내기(extrusion), 병진이동 및 특정 회전과 같은 특정 치아 위치조정 단계는 정렬기로 달성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정렬기는 제거가능하기 때문에, 치료의 성공은 환자의 순응도(compliance)에 크게 좌우되며, 이는 예측할 수 없고 일관성이 없을 수 있다.
설측 교정기(lingual brace)는 정렬기 및 종래의(협측(buccal)) 교정기의 대안이며 최근에 인기를 얻고 있다. 기존 설측 교정기의 두 가지 예는 IncognitoTM Appliance System(쓰리엠(3M), 미국)과 INBRACE®(스위프트 헬스 시스템즈(Swift Health Systems),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이며, 이들의 각각은 치아의 설측, 즉 혀측에 배치된 치열궁선과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치아 교정기와 대비하여, 설측 교정기는 거의 눈에 보이지 않으며, 그리고 정렬기와 달리, 설측 교정기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어 순응을 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설측 장비에도 몇 가지 단점이 있다. 가장 주목할만한 단점은, 종래의 설측 기기가 여전히 브래킷-치열궁선 시스템에 의존하여 치아를 움직이기 때문에 진료실을 여러 번 방문해야 하고 고통스러운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설측 장비는 브래킷 간 거리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대체로 치열궁선의 순응도(compliance)가 더 뻣뻣해진다. 결과적으로, 전체 설측 기기는 치열궁선 조정에 더 민감하고 환자에게 더 많은 통증을 유발한다. 또한, 설측 기기의 설측 표면은 혀를 자극하여 언어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설측 기기를 청소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치열 교정 기기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면, 도 1a 내지 도 134를 참조하는 것을 포함하여, 아래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되어 있다. 본 기술의 실시형태의 다양한 예는 편의를 위해 번호가 매겨진 항목(clause)(1, 2, 3 등)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들은 예시로서 제공되며 본 기술을 제한하지 않는다.
1. 환자의 치아에 설치하는 기기로서, 상기 기기가:
길이 크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와, 길이 크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와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각각은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에 있는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적어도 하나의 아암;
상기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 그리고
환자의 치아들 중의 각각의 치아에 고정될 수 있는 브래킷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래킷 연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한다.
2. 항목 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와 제2 강성 세그먼트가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에 있는 동일한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도록 구성되어 있다.
3. 항목 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는,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가 따라가면서 뻗도록 구성되어 있는 치아에 대하여 환자의 턱에 있는 다른 세트의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도록 구성되어 있다.
4. 항목 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아치 형상 또는 부분적인 아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의 턱에 있는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도록 구성되어 있는 아치형 부재를 포함한다.
5. 항목 4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1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2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가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1 브래킷 연결기로부터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2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다.
6. 항목 5의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래킷 연결기가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1 브래킷 연결기와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2 브래킷 연결기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를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제2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하고 있다,
7. 항목 6의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래킷 연결기가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 상에 하나 이상의 추가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한다.
8. 항목 4의 기기에 있어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의 각각이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9. 항목 4의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가 제1 강성 세그먼트의 아치형 부재의 한 단부로부터 뻗어 나온 길이 크기를 가지고 있다.
10. 항목 9의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복수의 아암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래킷 연결기가 상기 복수의 아암 상에 복수의 제1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래킷 연결기가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한다.
11. 항목 9의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가 제1 강성 세그먼트의 아치형 부재의 제2 단부로부터 뻗어 나온 길이 크기를 가지고 있다.
12. 항목 11의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복수의 아암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래킷 연결기가 상기 복수의 아암 상에 복수의 제1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브래킷 연결기가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각각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한다.
13. 항목 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1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는 제1 아암과,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2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는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가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1 브래킷 연결기로부터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2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다.
14. 항목 13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 사이에서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의 길이를 따라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아암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추가 아암은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1 브래킷 연결기와 상기 제2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제2 브래킷 연결기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각각의 추가의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다.
15. 항목 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성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아치 형상 또는 부분적인 아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환자의 턱에 있는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도록 구성되어 있는 아치형 부재를 포함한다.
16. 항목 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한 장의 재료로 만들어진 한 개의 단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17. 환자의 치아에 설치하는 기기로서, 상기 기기가:
길이 크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와, 길이 크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제2 강성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성 세그먼트와 제2 강성 세그먼트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에 있는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적어도 하나의 아암;
상기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 그리고
환자의 치아들 중의 각각의 치아에 고정될 수 있는 브래킷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연결기는 상기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킷 연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한다.
18. 항목 17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암이 연결되는 브래킷 연결기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19. 항목 17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두 개 이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상기 아암들 중의 두 개 이상에 연결된다.
20. 항목 18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 중의 두 개 이상의 각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와 상기 아암이 연결되는 브래킷 연결기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21.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제1 구역과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비스듬히 뻗어 나온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a) 상기 제2 구역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mesial-distal direction)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아암과 인접하고, (b)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과 인접하여,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22. 항목 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occlusal-gingival direction)으로 뻗어 있다.
2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아암 아래로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다.
2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병진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2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에 더 가까운 제3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결합 아암의 제1 부분이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3 구역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보다 환자의 치경에 더 가까운 상기 결합 아암의 제2 부분과 인접해 있다.
2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이 제1 결합 아암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제2 결합 아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이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근심과 원심(mesial and distal)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에 저항하도록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인접하고 상기 제1 구역의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2 결합 아암과 인접해 있다.
2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에 더 가까운 제3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아암이 제1 결합 아암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제2 결합 아암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는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의 각각의 구역보다 환자의 치아의 뿌리에 더 가까운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의 구역에 인접해 있다.
28. 항목 26 또는 항목 27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제2 구역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 아래로 뻗어 있다.
2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결합 아암의 제1 부분이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상기 제2 구역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쪽으로 뻗어 있는 제3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역은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3 구역의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상기 제1 부분보다 환자의 치아의 뿌리에 더 가까운 상기 결합 아암의 제2 부분과 인접해 있다.
30. 항목 29의 기기에 있어서,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에 뻗어 있는 제4 구역을 더 포함하고,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제2 구역, 그리고 제4 구역이 함께 개구를 형성한다.
3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제2 구역으로부터 뻗어 나온 제3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결합 아암의 제1 측면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3 구역은 상기 결합 아암의 제2 반대 측면에 인접해 있다.
32. 항목 3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3 구역의 각각이 상기 제2 구역에 대하여, 90˚보다 큰 각도로 뻗어 있다
33. 항목 31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3 구역 사이에 뻗어 있는 제4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 상기 제2 구역, 상기 제3 구역, 그리고 상기 제4 구역이 함께 개구를 형성한다.
34. 항목 33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결합 아암의 제1 부분이고,
상기 기기가 상기 제2 구역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쪽으로 뻗어 있는 제5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구역은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5 구역의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상기 제1 부분보다 환자의 치아의 뿌리에 더 가까운 상기 결합 아암의 제2 부분과 인접해 있다.
35. 항목 34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제1 개구이고,
상기 기기가 상기 제5 구역의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 사이에 뻗어 있는 제6 구역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구역, 상기 제5 구역, 그리고 상기 제6 구역이 함께 제2 개구를 형성한다.
3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환자의 치아의 설측 측면(lingual side)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3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환자의 치아의 협측 측면(buccal side)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3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복수의 아암 중의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아암의 각각은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가진 각각의 제2 단부 부분을 가지고 있다.
3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한 개의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4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서로 통합되어 있다.
4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연속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4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70°내지 110°이다.
4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아치형이다.
4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초탄성 물질(superelastic material)로 형성되어 있다.
4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탄성가압 구역(biasing region)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 구역은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될 때 환자의 치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 및/또는 세로힘(longitudinal force)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6. 항목 45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 구역이 구불구불한 형상을 포함한다.
47. 항목 45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 구역이 제1 변곡점을 가진 제1 부분과 제2 변곡점을 가진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다.
48. 항목 45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 구역이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오목한 구역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오목한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한 구역은 상기 제2 오목한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다.
4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2D® 설측 브래킷(lingual bracket)이다.
5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또는 상기 고정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5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결합 아암이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에 걸쳐서 만곡된다.
5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결합 아암이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에 걸쳐서 소성 변형된다.
53.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연장부(extension) 및 상기 연장부와 인접한 제1 쇼울더 구역과 제2 쇼울더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a) 상기 연장부는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mesial-distal direction)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수단과 인접하고, (b) 상기 제1 쇼울더 구역 및 상기 제2 쇼울더 구역은 상기 결합 수단의 근심 측면(mesial side) 및 원심 측면(distal side)과 각각 인접하여,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54. 항목 53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occlusal-gingival direction)으로 뻗어 있다.
5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환자의 치아의 설측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5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환자의 치아의 협측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5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복수의 아암 중의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아암의 각각은 각각의 제1 쇼울더 구역과 제2 쇼울더 구역을 가진 각각의 제2 단부 부분을 가지고 있다.
5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한 개의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5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서로 통합되어 있다.
6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연속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6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아치형이다.
6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은 초탄성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6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또는 상기 고정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6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탄성가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 구역은 원위 부분(distal portion)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될 때 환자의 치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 및/또는 세로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6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2D® 설측 브래킷이다.
6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결합 아암이 원위 부분의 제2 구역에 걸쳐서 만곡된다.
6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결합 아암이 원위 부분의 제2 구역에 걸쳐서 소성 변형된다.
68. 치열 교정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심어지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아암으로서, 상기 복수의 아암은 제1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i) 단부 부분, (ii) 상기 단부 부분에 있으며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부재, 그리고 (iii) 상기 단부 부분에 있으며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비스듬히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부재로부터 뻗어 나온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기 복수의 아암; 그리고
환자의 치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고정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는 제1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대한 상기 단부 부분의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이 결합 아암을 통하여 저지되도록 상기 제1 아암의 단부 부분을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결합 아암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고정 부재;
를 포함한다.
69. 항목 66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제1 아암의 단부 부분이 환자의 치아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측 면(lingual face)과 병치되도록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다.
7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은 상기 제2 부재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아암을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7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 아암에 부착되어 있으며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의 설측 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포함한다.
72. 항목 71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이 만곡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만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7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은 제1 결합 아암이고, 상기 시스템이 제2 결합 아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제1 결합 아암은 상기 제1 아암의 단부 부분의 베이스 구역을 통하여 제2 결합 아암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74. 항목 73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아암은 상기 제1 부재의 제1 측면과 인접하고 상기 제2 결합 아암은 상기 제1 부재의 제2 측면과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2 측면의 반대쪽에 있다.
7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은 개구를 한정하고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이 상기 제1 고정 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7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70°내지 110°의 범위 내에 있다.
77. 치열 교정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탄성가압 부분, 그리고
상기 탄성가압 부분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으며, (i)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부재 및 (ii)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비스듬히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부착 부분
을 포함하는, 상기 아암; 그리고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고정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한 상기 부착 부분의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부착 부분을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결합 아암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 부재;
를 포함한다.
78. 항목 77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다.
7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가 아치 형상을 포함하고 환자의 치아의 설측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8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또는 상기 고정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8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8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이 상기 고정 부재의 베이스에 부착되고 결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부착 부분을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결합 부분이 상기 부착 부분의 제2 부재 위에 배치되어 있다.
8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개구를 형성하고 제2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8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부착 부분의 제1 부재가 상기 결합 아암과 병치하거나 상기 결합 아암과 인접해 있다.
8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제2 부재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제3 부재가 상기 결합 아암의 단부 부분과 인접해 있다.
8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제2 부재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제3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부재는 제1 부재로부터 제3 부재로 뻗어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결합 아암이 제1 부재와 제3 부재의 사이에 있다.
87. 항목 86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제1 부재로부터 제3 부재로 뻗어 있는 제4 부재를 포함하고, 제4 부재는 제2 부재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고, 제1 부재, 제2 부재, 제3 부재 및 제4 부재가 함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이 상기 개구 내에 배치되어 있다.
88. 치열 교정 기기를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상기 제1 단부 부분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제1 구역과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비스듬히 뻗어 있는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는 치열 교정 기기를 제공하는 단계;
고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에 결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기를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켜서,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89. 항목 88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를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이: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이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결합 아암 아래로 뻗도록 상기 기기의 상기 제2 단부 부분을 상기 고정 부재와 병치되게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90. 항목 89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를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이:
상기 제2 단부 부분을 위치시키기 전에, 일시적으로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2 구역이 상기 결합 아암 아래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9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쪽으로 뻗어 있는 베이스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가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1 결합 아암으로부터 이격된 제2 결합 아암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기를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이:
(i)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이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의 각각의 아래로 뻗어 있고, 그리고 (ii) 상기 베이스 구역이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 사이에 있도록 상기 기기의 상기 제2 단부 부분을 상기 고정 부재와 병치되게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9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이다.
93.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를 탄력 있게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의 제1 부분과,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브래킷을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부재(position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브래킷의 결합 아암을 수용하도록 배치된 채널을 형성한다.
94. 항목 93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이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다른 방향 또는 상기 제1 구역에 대하여 비스듬한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채널을 형성한다.
9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되면, 상기 제1 방향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다.
9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되면, 상기 제2 방향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다.
9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두 개의 채널 중의 하나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두 개의 채널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구역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두 개의 채널을 형성한다.
9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제1 채널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채널로부터 이격된 제2 채널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의 각각은 상기 브래킷의 결합 아암을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9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의 주변에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3 구역을 더 포함한다.
10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제1 채널이고, 상기 기기가 (i) 제2 채널과, (ii) 상기 제1 구역의 주변에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4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3 구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4 구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10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채널에 배치된 브래킷 수용 부분을 더 포함한다.
10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수용 부분은 상기 브래킷의 상기 결합 아암 또는 상기 결합 아암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한다.
10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수용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뻗어 있고, 상기 제2 부분의 최외측 표면은 상기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만큼 뻗어 있다.
10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체로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수용 부분은 상기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있거나 및/또는 상기 제1 측면을 향하고 있다.
105. 상기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체로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측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측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협측 방향을 향한다.
106. 상기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브래킷의 베이스 부분을 수용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아암은 상기 베이스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107. 상기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측면이 상기 브래킷의 베이스를 수용하는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환자의 치아의 설측 표면에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10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최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10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통합되어 있다.
11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한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11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단일 형성 구조로 이루어진다.
11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연속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11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폴리머, 플라스틱, 또는 복합 물질로 이루어진다.
11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가요성 물질, 탄성 물질 및/또는 비-강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11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정렬기(aligner)이다.
11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브래킷의 간접적인 결합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1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1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될 때, 대체로 교합-치경 축(occlusal-gingival axis)에 상응하는 배향(orientation)을 가지고 있다.
11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되면, 상기 제2 부분은 대체로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의 설측 표면에 인접하거나 설측에 위치된다.
12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은 복수의 제2 부분 중의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제2 부분의 각각은 환자의 치아들 중의 다른 치아들에 상응한다.
12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이다.
12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될 공동을 포함한다.
12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 위에 배치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개별 공동을 포함한다.
124.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를 탄력 있게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의 제1 부분(portion)과,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에 부착될 브래킷을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구역(region)과,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결합 아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영역(area)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125. 항목 124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구역의 제1 측면 상의 제1 영역이고 상기 결합 아암은 제1 결합 아암이고, 그리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제2 결합 아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구역의 제2 측면 상의 제2 영역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12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T"자 형상을 형성한다.
127. 치열 교정 기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아에 하나 이상의 브래킷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i) 환자의 치아를 탄력 있게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의 제1 부분과, (ii)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에 부착될 브래킷을 수용하도록 하는 형상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이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위치결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128. 항목 127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위치결정 부재를 포함한다.
12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위치결정 부재의 상기 제2 부분의 브래킷이 환자의 치아의 설측 표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13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브래킷을 광원에 노출시켜서 상기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시키는 단게를 더 포함한다.
13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브래킷을 광원에 노출시켜서 상기 브래킷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노출시킨 후에, 상기 브래킷이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채로 있도록 상기 위치결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13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브래킷의 결합 아암이 상기 제2 부분의 채널에 수용되도록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으로 미끄럼이동(sliding)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13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브래킷의 결합 아암이 (i) 상기 제2 부분의 채널에 수용되고, 그리고 (ii) 상기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으로 미끄럼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13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브래킷의 결합 아암을 상기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13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오목부를 가진 브래킷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브래킷의 결합 아암을 상기 오목부에 스냅결합(snap)시킴으로써 상기 브래킷을 상기 위치결정 부재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13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대체로 편평한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배치된 결합 아암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합 아암이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부분의 채널에 수용되도록 상기 브래킷을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13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은 대체로 편평한 베이스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배치된 결합 아암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브래킷을 상기 제2 부분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부분이 상기 위치결정 부재의 제2 측면에 수용되도록 상기 브래킷을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138.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비스듬히 뻗어 나온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상기 제2 단부 부분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개구를 포함한다.
139. 항목 138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a) 상기 제2 구역이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아암과 인접해 있으며, 그리고 (b)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과 인접하여,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14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개구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기다란 개구이다.
14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구역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기다란 개구이다.
14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개구가 치열 교정 공구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도록 제1 크기를 가지고 있다.
14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개구가 치열 교정 공구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도록 제1 크기와 제2 크기를 가지고 있다.
14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아암의 위치로부터 뻗어 나온 노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위치에서 상기 아암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 있다.
14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위치에서 상기 아암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이다.
14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60도 내지 120도 이다.
14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노치이고, 상기 아암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아암의 상기 위치로부터 뻗어 나온 제2 노치를 더 포함한다.
14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대체로 반대 방향이다.
14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노치 또는 상기 제2 노치 중의 적어도 하나는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다.
150.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비스듬히 뻗어 나온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아암의 위치로부터 뻗어 나온 노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위치에서 상기 아암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 있다.
151. 항목 150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노치이고, 상기 아암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상기 아암의 상기 위치로부터 뻗어 나온 제2 노치를 더 포함한다.
15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대체로 반대 방향이다.
15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노치 또는 상기 제2 노치 중의 적어도 하나는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다.
154.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단부 부분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공통 지점으로부터 뻗어 나온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각각은 (i) 제1 구역 및 (ii)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이격된 제2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제1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다.
155. 항목 93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연장부는 근심 방향(mesial direction)으로 탄성가압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원심 방향(distal direction)으로 탄성가압된다.
15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다.
15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장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연장부로부터 멀어지게 탄성가압된다.
15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1 구역보다 상기 공통 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있다.
15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축에 대하여 상기 제2 연장부의 대체로 거울상(reflection)이다.
16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은 각각의 연장부의 말단부 부분(terminal end portion)에 있다.
16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그리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이 3면 개구(three-sided opening)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역은 각각의 제2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16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그리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이 U자 형상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역은 각각의 제2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16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근위 부분과 원위 부분 사이에 탄성가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 구역은 상기 원위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환자의 치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 및/또는 세로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6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또는 상기 고정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16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각각의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상기 고정 부재의 각각의 돌출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6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연장부는 교합 방향(occlusal direction)으로 탄성가압된다.
16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연장부는 치경 방향(gingival direction)으로 탄성가압된다.
16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또는 상기 제2 연장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연장부로부터 멀어지게 탄성가압된다.
16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탄성가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탄성가압 구역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교합-치경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7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제1 구역과 제2 구역보다 상기 공통 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있다.
17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각각의 연장부의 말단부 부분에 있다.
17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그리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이 3면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역은 각각의 제2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17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그리고 각각의 연장부의 일부분이 U자 형상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구역은 각각의 제2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17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탄성가압 구역을 포함하여,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탄성가압 구역이 환자의 치아를 교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7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상기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탄성가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 구역은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환자의 치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 및/또는 병진이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7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각각의 제1 구역과 제2 구역은 상기 고정 부재의 각각의 돌출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7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또는 상기 고정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178.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단부 부분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제1 구역,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뻗어 나온 제2 구역, 그리고 상기 제2 구역으로부터 뻗어 나온 제3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3 구역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반대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게 가압되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한다.
179. 항목 177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3 구역을 통하여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18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 또는 상기 제3 구역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된 제2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부의 서로 반대쪽에 있는 양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18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대체로 근심 원심 방향(mesial distal direction)으로 뻗어 있다.
18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은 만곡 표면 및/또는 반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18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 상기 제2 구역, 그리고 상기 제3 구역은 한 개의 구성요소 및/또는 연속 표면으로 이루어진다.
184. 치열 교정 고정 부재로서,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구역; 그리고
상기 베이스 구역 위에 배치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로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베이스 구역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구역의 중심 영역쪽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를 포함한다.
185. 항목 184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각각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치열 교정 기기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개구를 형성한다.
18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역이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제1 부분은 환자의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대체로 협측 방향으로 뻗어 있다.
18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역이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제2 부분은 대체로 근심 방향 또는 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다.
18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역이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어 있을 때, (i)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제2 부분은 대체로 근심 방향으로 뻗어 있고, (ii)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제1 부분은 대체로 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다.
18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역의 상부 부분 위에 배치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상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구역의 상기 중심 영역쪽으로 뻗어 있다.
19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중심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중심 영역쪽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19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의 말단부 부분은 상기 베이스 구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19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측방향(lateral direction)으로 뻗어 있고, 상기 기기는 상기 베이스 구역의 상부 부분 위에 배치된 제3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구역을 가로질러서 측방향으로 뻗어 있다.
19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쪽으로 향하는 표면을 형성한다.
19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역 위에 배치된 제3 돌출부와 제4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돌출부와 제4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베이스 구역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구역의 중심 영역쪽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195.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제1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2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제2 개구를 형성한다.
19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가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제2 부분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다.
19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역이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어 있을 때, (i)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제2 부분은 대체로 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고, (ii)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제1 부분은 대체로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다.
198. 치열 교정 고정 부재로서,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슬롯을 포함하는 본체 구역; 그리고
상기 본체 구역에 결합된 클립 부분으로서, 상기 클립 부분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상기 본체 구역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클립 부분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롯이 치열 교정 기기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클립 부분;
을 포함한다.
199. 항목 198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롯은 치열 교정 기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20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분을 폐쇄 위치쪽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 요소를 더 포함한다.
20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역이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클립 부분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02. 항목 191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 요소는 상기 본체 구역과 상기 클립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20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본체 구역은 상기 클립 부분 주변에 가장자리 부분(lip port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구역이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어 있을 때, 상기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클립 부분의 설측 방향 또는 협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204. 치열 교정 시스템으로서,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 그리고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
를 포함한다.
205. 치열 교정 고정 부재로서,
환자의 치아에 직접 부착되도록 구성된 경화된 구조(cured structure)로서, 상기 경화된 구조는 적어도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치열 교정 기기의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연속 공극(gap)을 형성하는, 상기 경화된 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된 구조는 상기 부착 부분을 치아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206. 항목 205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환자가 치열 교정 기기를 제거할 수 없도록 상기 부착 부분을 치아에 고정시킨다.
20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경화된 구조만 포함한다.
20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지 않는다.
20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구조는 경화된 복합 레진(cured composite resin) 또는 합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210.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구조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그리고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공극을 형성한다.
21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구조는 제3 부분과 제4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제3 부분, 그리고 상기 제4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공극을 형성한다.
21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구조는 제3 부분과 제4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제3 부분, 그리고 상기 제4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치경을 향하는 표면(gingival-facing surface)과 근심을 향하는 표면(mesial-facing surface)을 포함하는 제1 인접 부분(abutting portion)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부분은 치경을 향하는 표면과 원심을 향하는 표면(distal-facing surface)을 포함하는 제2 인접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3 부분은 교합쪽을 향하는 표면(occlusal-facing surface)과 근심을 향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제3 인접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4 부분은 교합쪽을 향하는 표면과 원심을 향하는 표면을 포함하는 제4 인접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경화된 구조와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인접 부분, 제2 인접 부분, 제3 인접 부분, 그리고 제4 인접 부분은 상기 부착 부분의 인접한 구역과 인접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한 상기 부착 부분의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에 저항한다.
21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고정 부재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공극에 의해 수용될 치열 교정 기기의 일부분과 상호보완적인 모양을 형성한다.
214. 치열 교정 고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지지체의 경화가능한 물질이 환자의 치아와 결합하도록 경화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체를 위치시킨 후,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을 경화시켜서,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이 경화된 구조를 얻게 하거나 및/또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게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지체를 상기 경화된 구조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215. 항목 213의 방법에 있어서, 치열 교정 기기를 상기 경화된 구조에 의해서 형성된 만입부(indentation) 또는 개구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216. 항목 215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열 교정 기기를 결합시킨 후, 상기 치열 교정 기기를 성형가능한 물질을 통하여 상기 경화된 구조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217. 항목 216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가능한 물질은 복합 레진 또는 합성 물질을 포함한다.
21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은 복합 레진 또는 합성 물질이다.
219.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은 광개시제(photoinitiator)를 포함한다.
220. 환자의 치아에 설치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기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에 있는 두 개 이상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도록 구성된 길이 크기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강성 세그먼트;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성 세그먼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치아 브래킷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연결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 연결기가
경계면에서 서로 연결되고 각각 자유 단(free end)을 가지는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을 가지고 있으며, 충분한 압착력이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에 가해지면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의 자유 단이 서로를 향해 압축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압착력이 제거되면 압착 상태로부터 압축되지 않은 상태 또는 부분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고 탄력적인 본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폭 크기와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의 제2 폭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폭 크기는 상기 제1 폭 크기보다 더 크다.
221. 항목 220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은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브래킷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수용되어 있는 상기 브래킷에 잠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2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서로 연결되는 상기 경계면은 U자 형상의 경계면이다.
223.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의 각각은 자유 단과 상기 자유 단이나 상기 자유 단의 근처에 상기 아암 섹션으로부터 뻗어 나온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224.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의 각각은 자유 단과 상기 자유 단이나 상기 자유 단의 근처에 상기 아암 섹션으로부터 뻗어 나온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225. 항목 224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치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뻗어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극은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상기 브래킷 연결기의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아암 섹션으로부터 뻗어 나온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상기 공극에 수용되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중의 하나의 돌출부의 두 개의 각각의 측면에 뻗어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22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치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뻗어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227. 항목 226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상기 본체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본체 부분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브래킷에 잠금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228. 항목 226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의 각각은 상기 공극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다.
229. 항목 226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는 상기 공극의 제1 측면에 있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공극의 제2 측면에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230. 항목 229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제1 측면에 있는 복수의 돌출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아암 섹션 또는 상기 제2 아암 섹션으로부터 뻗어 나온 돌출부의 폭 크기만큼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한다.
231.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적어도 하나의 아암, (b) 상기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 또는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강성 세그먼트로부터 뻗어 나온 적어도 하나의 아암과 상기 제2 강성 세그먼트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을 더 포함한다.
232.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기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한 장의 재료로 만들어진 한 개의 단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233. 치과 기기용 브래킷 연결기로서,
경계면에서 서로 연결되고 각각 자유 단(free end)을 가지는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을 가지고 있으며, 충분한 압착력이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에 가해지면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의 자유 단이 서로를 향해 압축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압착력이 제거되면 압착 상태로부터 압축되지 않은 상태 또는 부분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서로 멀어지게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고 탄력적인 본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의 제1 폭 크기와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의 제2 폭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폭 크기는 상기 제1 폭 크기보다 더 크다.
234. 항목 233의 브래킷 연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분은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 브래킷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수용되어 있는 상기 브래킷에 잠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35. 항목 233 또는 항목 234의 브래킷 연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서로 연결되는 상기 경계면은 U자 형상의 경계면이다.
236.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브래킷 연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의 각각은 자유 단과 상기 자유 단이나 상기 자유 단의 근처에 상기 아암 섹션으로부터 뻗어 나온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237.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브래킷 연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의 각각은 자유 단과 상기 자유 단이나 상기 자유 단의 근처에 상기 아암 섹션으로부터 뻗어 나온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238. 본 명세서의 항목들 중의 임의의 하나의 항목의 브래킷 연결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연결기는 한 장의 재료로 만들어진 한 개의 단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239. 치과 기기용 브래킷으로서,
치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뻗어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공극은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압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상기 브래킷 연결기의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아암 섹션으로부터 뻗어 나온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상기 제2 아암 섹션이 상기 공극에 수용되어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중의 하나의 돌출부의 두 개의 각각의 측면에 뻗어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240.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나온 연결기로서, 상기 연결기는 부착 부분 및 상기 연결기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부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분은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열 교정 브래킷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은 (a) 상기 기기가 환자의 입에 설치될 때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occlusogingiv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는 베이스, (b) 상기 베이스로부터 비스듬히 멀어지게 뻗어 있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베이스의 길이를 따라서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중간 위치에 가까운 근위 구역과 상기 중간 위치에서 먼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결기;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a) 상기 아암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아암과 인접하고, 그리고 (b) 상기 근위 구역과 상기 원위 구역의 각각은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과 인접하여, 상기 연결기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아래의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많은 실시형태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도면의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동일한 비율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도 1a 및 도 1b는 환자의 치열에 대한 방향 기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환자의 치열에 인접하게 환자의 입에 설치된 본 기술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연결 구성 선택사항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기기의 일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환자의 치아가 원래의 치아 배열 상태와 최종 치아 배열 상태에 각각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입의 위 턱과 아래 턱에 설치된 본 기술의 몇 가지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니티놀과 강에 대한 응력-변형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기술에 따른 치열 교정 기기를 제작하는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6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7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8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9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3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4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5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6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7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8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9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0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1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2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3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4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5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6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7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8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29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0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1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2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3은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4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5는 본 기술의 예에 따른 연결 구성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36은 본 기술의 여러 예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아암을 나타내고 있다.
도 37 내지 도 73은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와 함께 사용하는 다양한 아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4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75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76은 환자의 입에 설치된 도 75의 치열 교정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77 내지 도 85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6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아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7 및 도 88은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와 함께 사용하는 다른 아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9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아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0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기기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1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아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2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아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3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평면판(planar version)의 평면도이다.
도 93b는 도 93a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기의 치료 구성(treatment configuration)이다.
도 94는 환자의 입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된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95는 본 기술에 따른 치열 교정 기기의 하나의 예시적인 아암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6 및 도 97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98a, 도 98b, 도 98c 및 도 98d는 각각,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도 95에 도시된 부착 부분과 도 96에 도시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9 내지 도 104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부착 부분과 고정 부재의 다양한 실시례의 정면도이다.
도 105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될 치열 교정 기구(orthodontic device)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6a 내지 도 106e는 도 105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구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7a 내지 도 107c는 고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8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예시적인 치열 교정 기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9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예시적인 치열 교정 기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9b는 도 109a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구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0 내지 도 113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예시적인 아암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4 및 도 115는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와 함께 사용될 치열 교정 공구(orthodontic tool)의 정면도이다.
도 116은 도 114 및 도 115에 도시된 치열 교정 공구의 확대도이다.
도 117 및 도 118은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와 함께 사용될 치열 교정 공구의 개략도이다.
도 119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9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9c는 도 119a에 도시된 고정 부재와 도 119b에 도시된 부착 부분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0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0b는 도 120a에 도시된 고정 부재와 도 119b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1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1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1c는 도 121a에 도시된 고정 부재와 도 121b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2 및 도 123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다양한 실시례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4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4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4c는 도 124a에 도시된 고정 부재와 도 124b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5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5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5c는 도 125a에 도시된 고정 부재와 도 125b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6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경화가능한 물질로 형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6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도 126a에 도시된 고정 부재와 치열 교정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127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경화가능한 물질로 형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7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8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8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도 128a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기와 패드(pad)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9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30a 및 도 130b는 각각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의 정면 등각투영도 및 배면 등각투영도이다.
도 130c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고정 부재와 치열 교정 기기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31는 환자의 입에 배치된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2 내지 도 134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몇 가지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Ⅰ. 정의
도 1a 및 도 1b는 환자의 치열과 관련된 여러가지 방향 용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해부학적 방향 또는 배향(ori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설명하고 있는 구조가 도면에서 입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환자의 입에 설치된 기기의 다른 배향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근심측(mesial)"은 환자의 만곡된 치열궁(dental arch)을 따라 환자 얼굴의 정중선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심측(distal)"은 환자의 만곡된 치열궁을 따라 환자 얼굴의 정중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교합측(occlusal)"은 환자의 치아의 씹는 표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치경측(gingival)"은 환자의 잇몸 또는 치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안면측(facial)"은 환자의 입술 또는 뺨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본 명세서에서는 "협측(buccal)" 및 "순측(labial)"과 서로 바꾸어 사용됨); 그리고 "설측(lingual)"은 환자의 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근위(proximal)"와 "원위(distal)"라는 용어는 주어진 기준점으로부터 각각 더 가깝고 더 먼 위치를 지칭한다. 많은 경우에, 기준점은 고정기구(anchor)와 같은 특정 연결기이며, "근위"와 "원위"는 기준 연결기에서 분기된 기기의 일부분의 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따라서 기준 연결기로부터 각각 더 가깝고 더 먼 위치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대체로", "실질적으로", "약"이라는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정도의 용어가 아니라 근사치의 용어로 사용되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가 인식할 수 있는 측정되거나 계산된 값에 있어서의 내재하는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오퍼레이터"라는 용어는 치열 교정 기기 또는 치열 교정 기기의 일부를 설계 및/또는 제조하거나, 및/또는 치열 교정 기기 또는 치열 교정 기기의 일부의 설계 및/또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임상의, 개업의, 기술자 또는 임의의 사람 또는 기계, 및/또는 상기 기기를 환자의 입에 설치하는 것 및/또는 상기 기기와 관련된 환자의 후속 치료와 관련된 임의의 사람 또는 기계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힘"이라는 용어는 힘, 토크, 또는 이들의 조합의 크기 및/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Ⅱ.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의 개요
도 2a는 환자의 치아에 인접한 환자의 입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된,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100)(또는 "기기(100)")의 개략도이다. 도 2b는 상기 기기(100)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상기 기기(100)는 치아 전부 또는 치아의 일부를 위치조정하기 위해서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에 힘을 가하기 위해 환자의 입 속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몇몇 경우에는, 상기 기기(100)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아의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고정 부재(160)를 통하여 치아 표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각각 구성된, 하나 이상의 부착 부분(140)(각각 상자 모양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포함하는 변형가능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는 각각 부착 부분(140)들 사이에 직접 뻗어 있거나("제1 연결기(104)"), 부착 부분(140)과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거나("제2 연결기(106)"), 두 개 이상의 다른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다("제3 연결기(108)"). 도시의 편의상 도 2a에는 단지 두 개의 부착 부분(140)과 두 개의 연결기(102)가 나타내져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기(102)와 부착 부분(140)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상기 기기(100)가 설치될 때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에 원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연결기(102)의 다른 구성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35와 관련하여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이동될 치아들 중의 하나의 표면에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16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착 부분(140)들 중의 하나 이상이 치아에 고정 부재 또는 다른 연결 접속부(connection interface)없이 상응하는 치아에 직접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본 명세서에서 "브래킷 연결기" 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주어진 기기(100)의 서로 다른 부착 부분(140)들이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 동일하거나 다른 크기, 및/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부착 부분들(비제한적인 예로서, 부착 부분(9540, 9940, 10040, 10140, 10240, 10340, 10440, 11040, 11140, 11240, 11340, 11940, 12140, 12440, 12540, 12640, 12740, 12840, 12940, 13040)을 포함한다)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 본 명세서에 개시된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들 중의 임의의 하나뿐만 아니라,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그 전체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2016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부착 부분,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100)는 원하는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기기(100)를 환자의 치아 또는 치아들에 단단히 부착시키기에 적합한 임의의 갯수의 부착 부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복수의 부착 부분(140)이 한 개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기기(100)는 모든 치아에 대한 부착 부분, 치아보다 적은 수의 부착 부분, 또는 치아보다 많은 수의 부착 부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와 상기 부착 부분(140)들 중의 하나 이상이 한 개의, 두 개의, 세 개의, 네 개의, 다섯 개의 또는 그 이상의 연결기(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기(102)는 부착 부분(140)들 사이에 직접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근원심 크기(mesiodist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occlusogingival dimension) 및/또는 협설측 크기(buccolingu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가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기(102)가 하나 이상의 부착 부분(140)과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106)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근원심 크기 및/또는 협설측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가 제2 연결기(106)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부착 부분(140)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만 포함한다. 제2 연결기(106)와 제2 연결기(106)가 부착되는 부착 부분(140)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아암(arm)"(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의 아암(130))을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제2 연결기(106)가 상기 기기(100)를 따라서 동일한 위치로부터 동일한 부착 부분(140)까지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복수의 제2 연결기(106)와 부착 부분(140)이 함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아암"을 구성한다. 상기 기기(100)의 두 지점을 연결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연결기를 사용하면 각각의 연결기에 대한 변형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동일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한 개의 연결기에 비해)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고정 변위 치료(fixed displacement treatment)의 공간적 제약을 고려할 때 특히 유리하다. 별개의 연결부(discrete connection)(예를 들면, 아암)를 위한 복수의 연결기의 사용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예를 들면, 도 36 내지 도 57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연결기(102)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연결기(102)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근원심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 및/또는 협설측 크기를 따라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가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3 연결기(108)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1 연결기(104)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치경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제2 연결기(106)에 대해 공통 부착부를 제공하는 한 개의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각각 뻗어 있는 복수의 비-인접(non-contiguous)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 속에 설치되면 상기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의 일부분 또는 전부가 환자의 치경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는, 하나 이상의 제3 연결기(108)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환자의 잇몸 라인(gum line) 아래에 위치되고 치경(gingiva)에 가까이 있지만 치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제3 연결기(108)(또는 상기 기기(100)의 임의의 부분)와 치경간의 접촉은 자극과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3 연결기(108)와 환자의 치경 사이에 작은 공극(예를 들면, 0.5mm 이하)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 내에 배치되면 제3 연결기(108)의 전부 또는 일부는 치경과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1 연결기(104) 및/또는 제2 연결기(106)의 전부 또는 일부가 치경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가 부착 부분(140) 또는 연결기(102)와 (a)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 (b) 두 개 이상의 부착 부분(140),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분(140)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102)를 포함하는 연결부위(joint)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연결기(102)가 (a)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 (b) 두 개 이상의 부착 부분(140),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102)를 포함하는 제1 연결부위와, (a)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 (b) 두 개 이상의 부착 부분(140), 또는 (c)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분(140)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기(102)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위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a) 제2 연결기(106)와 제3 연결기(108) 사이의 연결부위와, (b) 제2 연결기(106)와 부착 부분(140) 사이의 연결부위 사이에 뻗어 있는 연결기(102)의 한 예가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참고번호 109로 표시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기(102)는 각각의 연결기(102) 또는 연결기(102)의 조합이 하나 이상의 치아에 원하는 힘을 가하도록 원하는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주어진 연결기(102)에 의해서 가해지는 힘은 후크의 법칙, 즉 F = κ× x 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식에서 F는 연결기(102)에 의해서 발휘되는 복원력이고, κ는 연결기(102)의 강성 계수이고, 그리고 x는 변위이다. 가장 기본적인 예로서, 연결기(102)가 상기 기기(100)의 두 지점 사이에 존재하지 않으면, 그 경로를 따르는 강성 계수는 0이고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 본 기술의 각각의 연결기(102)는 0이 아닌 다양한 강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이상은 연결기(102)가 두 단부 지점 사이에서 휘어지거나 만곡되지 않도록 뻣뻣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강성 계수가 무한대이다). 몇몇 실시례에서,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이상은 연결기(102)가 관련된 하나의 치아 또는 복수의 치아 또는 다른 연결기(102)에 힘을 가하기 위해(또는 흡수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할 수 있다(다시 말해서, 강성 계수가 0이 아닌 양수이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두 개 이상의 치아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기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강성 연결기(102)는 본 명세서에서 종종 "강성 바" 또는 "고정기구"라고 칭해질 수 있다. 각각의 강성 연결기(102)는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고 구부러짐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기(102)의 강성은 특정 형상, 폭, 길이, 두께, 및/또는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비교적 뻣뻣하게 구성된 연결기(102)는, 예를 들면, 연결기(102) 또는 아암에 연결될 치아가 이동되지 않고(또는 제한된 양만큼 이동되고)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금니는 어금니가 대부분의 치아보다 더 큰 뿌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금니를 이동시키는 데 더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수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1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복수의 치아에 고정하는 것이 한 개의 치아에 고정하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아에 대하여 치아 집단을 이동시킬 때 강성 연결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가 한 개의 치아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분리된 다섯 개의 치아를 가지고 있고, 치료 계획이 상기 간격을 메우는 것인 경우를 생각해 보라. 가장 좋은 치료 과정은 통상적으로 한 개의 치아를 다섯 개의 치아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그 반대, 즉, 다섯 개의 치아를 한 개의 치아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다섯 개의 치아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기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모든 이유와 많은 다른 이유로, 상기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강성 제1 연결기(104), 하나 이상의 강성 제2 연결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강성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1 연결기(104),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2 연결기(106),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가요성 연결기(102)는 원하는 정도의 가요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형상, 폭, 두께, 길이, 재료, 및/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본 기술의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주어진 연결기(102)의 강성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탄성가압(biasing) 부분(150)을 포함시키는 것을 통해서 조정될 수 있다.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스프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가압 부분(150) 각각은 자신이 부착되는 치아에 특정한 맞춤형 힘(customized force)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c에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연결기(102)의 길이방향의 축(L1)(도 2c에는 제2 연결기(106)에 대한 길이방향의 축(L1)과 제3 연결기(108)에 대한 길이방향의 축(L2)만 표시되어 있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에 의해서 치아에 가해지는 힘과 토크의 방향과 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형상, 폭, 두께, 길이, 재료, 형상 고정 조건(shape set conditions), 그리고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하나 이상의 양상(aspect)(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한다)은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상응하는 아암(130),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원하는 치아 이동을 만들어내도록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하나 이상의 치아를 한 개의 병진이동 방향, 두 개의 병진이동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병진이동 방향(다시 말해서, 근원심(mesiodistal) 방향, 협설측(buccolingual) 방향, 그리고 교합치경(occlusogingival) 방향)으로 및/또는 한 개의 회전 방향, 두 개의 회전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회전 방향(다시 말해서, 협설측 치근 토크(buccolingual root torque) 방향, 근원심 경사(mesiodistal angulation) 방향 및 근심 아웃-인 회전(mesial out-in rotation)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쪽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임의의 길이, 폭,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기(102)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쪽으로 뻗기 전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히도록 구불구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 연결기(106)가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두 번 접혀서, 서로에 대해 대체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오목한 구역 및 제2 오목한 구역을 형성한다(하나의 예로서, 도 13 참고).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에 상응하는 연결기(102)의 개방 고리 또는 중첩 부분은,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의 여분의 길이가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에 대해 중앙의 및/또는 먼쪽의 공간에 의해 수용되도록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의 전체 폭(W)(도 2c)을 이등분하는 평면(P)(도 2c)의 어느 한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임의의 관련된 제3 연결기(108)와 상기 아암(130)이 치아에 부착되는 위치 사이의 교합-치경 크기 또는 수직 크기의 제한된 공간에도 불구하고, 상기 아암(130) 및/또는 연결기(102)가 더 긴 길이(선형 암과 비교하여)를 가질 수 있어서 더 많은 치아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이 다른 형상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을 향해 지그재그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형 구간 또는 구역만 가질 수 있거나, 만곡 구역과 선형 구역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기(102)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만곡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몇몇 예에 따르면, 한 개의 연결기(102)가 각각의 연결기(102)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연속하여 복수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연결기(102)가 동일하거나 다른 경로를 따라서 두 지점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는, 서로 다른 연결기(102)가 동일한 강성 또는 다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후자의 실시례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예를 들면, 도 36 내지 도 57과 관련하여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기기(100)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연결기(102)를 가지고 있는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기(102)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하거나 다른 길이, 동일하거나 다른 폭,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다른 특성 중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연결기(102)들 중의 일부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이 없는 연결기(102)는, 예를 들면, 강성 제3 연결기(108)와 상기 부착 부분(14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의 연결기(102)의 어느 것도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지 않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2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한 개의 연속적이고 실질적으로 강성인 제3 연결기("고정기구(120)"라고 한다)와 상기 고정기구(120)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나온 복수의 가요성 아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상기 아암(130)의 각각은 이동될 치아들 중의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치아에 특정 힘을 가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각각의 치아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모든 치아가 한 개의 치열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종래의 치아 교정기에 비해 눈에 띄는 개선을 제공하여, 한 개의 치아의 이동이 하나 이상의 인근의 치아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기술의 상기 기기에 의해 가능하게 된 독립적이고 맞춤화된 치아 이동으로 인해 오퍼레이터가 치아를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주기적인 조정을 피하고, 진료실 방문 횟수를 줄이며, 환자의 불편함을 줄이거나 없애고, 전체 치료 시간(다시 말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는 기간)을 종래의 치아 교정기의 전체 치료 시간에 비해 적어도 50%만큼 줄인다.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입 내에 편안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 임의의 형상과 크기의 임의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암(130)의 하나 이상에 대한 공통 지지체를 제공할 수 있다. 많은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 속에 설치되면,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치경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는 환자의 입에 설치될 때 상기 고정기구(1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환자의 잇몸 라인 아래에 위치되고 치경에 인접하지만 치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상기 고정기구(120)와 치경간의 접촉이 자극과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기구(120)(또는 기기(100)의 임의의 부분)와 환자의 치경 사이에 작은 공극(예를 들면, 0.5mm 이하)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1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안에 배치될 때 치경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기구(120)는, 각각의 치아에 힘을 가할 때 상기 아암(130)의 각각이 받는 동일한 반대 방향의 힘이 상기 고정기구(120)의 강성과 다른 아암(130)에 의해서 가해진 힘에 의해 상쇄되어, 다른 치아에 가해지는 힘에 유효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아암(130)보다 훨씬 더 강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기구(120)는 각각의 아암(130)이 받는 힘을 나머지 아암(130)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켜서, 독립적인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2a 및 도 2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고정기구(120)는 길이방향의 축(L2)(도 2c 참조)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기기(100)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을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된 아치 형상을 형성하는 기다란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입에 위치될 때 환자의 치아들 중의 두 개 이상에 걸쳐 있는 형상과 크기로 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상기 고정기구(120)가 강성의 선형 바를 포함하거나, 선형 세그먼트와 만곡 세그먼트 양자 모두를 가지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120)는 환자의 입 전체 또는 일부를 가로질러서(예를 들면, 입천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로질러서, 아래 턱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로질러서, 등) 측방향으로 및/또는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100)는 한 개의 고정기구 또는 복수의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100)는 복수의 별개의 이격된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기구는 각각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두 개 이상의 아암(130)을 가지고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인접한 아암(130)들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기구(120)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모든 특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제3 연결기(108)에 적용된다.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아암(130)의 각각은 근위 또는 제1 단부 부분(130a)과 원위 또는 제2 단부 부분(130b)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고, 제1 단부 부분(130a)과 제2 단부 부분(130b) 사이에 뻗어 있는 길이방향의 축(L)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암(13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의 제1 단부 부분(130a)은 상기 고정기구(120)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의 제1 단부 부분(130a)이 상기 고정기구(120)와 연속으로 되도록 상기 아암(13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고정기구(120)와 통합되어 있다. 상기 아암(130)은,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고정기구(120)의 길이방향의 축(L2)을 따라서 이격된 간격으로 상기 고정기구(120)로부터 뻗어 나올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은 상기 고정기구(1)의 길이방향 축(L2)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 균일한 간격으로, 또는 서로에 대해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아암(13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제2 단부 부분(130b)에 또는 그 근처에 부착 부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예를 들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아암(130)의 하나 이상은 상기 고정기구(120)로부터 캔틸레버식으로 뻗어 있어서 캔틸레버식 아암(130)의 제2 단부 부분(130b)은 자유 원위 단부 부분(130b)을 가지고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부착 부분(140)의 원위 말단은 아암(130)의 원위 말단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은 각각의 아암(130)을 이동될 치아들 중의 하나의 표면에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 부재(예를 들면, 브래킷)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부착 부분(140)이 치아에 고정 부재 또는 다른 연결 접속부없이 상응하는 치아에 직접 접착되거나, 부착되거나 또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전히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아암(13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는 스프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탄성적으로 유연한 탄성가압 부분(150) 각각은 자신이 부착되는 치아에 특정한 맞춤형 힘(customized force), 토크 또는 힘과 토크의 결합형태를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상기 고정기구(120)와 상기 부착 부분(140) 사이에서 각각의 아암(130)의 길이방향의 축(L1)의 전부 또는 일부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에 의해서 치아에 가해지는 힘과 토크의 방향과 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형상, 폭, 두께, 길이, 재료, 형상 고정 조건(shape set conditions), 그리고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의 하나 이상의 양상(aspect)(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한다)은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원하는 치아 이동을 만들어내도록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하나 이상의 치아를 한 개의 병진이동 방향, 두 개의 병진이동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병진이동 방향(다시 말해서, 근원심 방향, 협설측 방향, 그리고 교합치경 방향)으로 및/또는 한 개의 회전 방향, 두 개의 회전 방향, 또는 세 개 모두의 회전 방향(다시 말해서, 협설측 치근 토크 방향, 근원심 경사 방향 및 근심 아웃-인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치아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임의의 길이, 폭,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각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은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쪽으로 뻗기 전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히도록 구불구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b에서는, 상기 아암(130)이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을 따라서 두 번 접혀서, 서로에 대해 대체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제1 오목한 구역 및 제2 오목한 구역을 형성한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에 상응하는 상기 아암(130)의 개방 고리 또는 중첩 부분은, 상기 아암(130)의 여분의 길이가 상기 아암(130)에 대해 중앙의 및/또는 먼쪽의 공간에 의해 수용되도록 상기 아암(130)의 전체 폭(W)을 이등분하는 평면(P)의 어느 한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기구(120)와 상기 아암(130)이 치아에 부착되는 위치 사이의 교합-치경 크기 또는 수직 크기의 제한된 공간에도 불구하고, 상기 아암(130)이 더 긴 길이(선형 아암과 비교하여)를 가질 수 있어서 더 많은 치아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이 다른 형상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이 상기 부착 부분(140)을 향해 지그재그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선형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형 구간 또는 구역만 가질 수 있거나, 만곡 구역과 선형 구역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150)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만곡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몇몇 예에 따르면, 한 개의 아암(130)이 복수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가압 부분(150)은 각각의 아암(120)의 길이방향의 축(L1)을 따라서 연속으로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아암(130)이 동일한 경로를 따르거나 다른 경로를 따라서 두 지점 사이에 평행하게 뻗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는, 서로 다른 아암(130)이 동일한 강성 또는 다른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기(100)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진 두 개 이상의 아암(130)을 가지고 있는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하거나 다른 길이, 동일하거나 다른 폭, 동일하거나 다른 두께,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다른 특성 중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아암(130)들 중의 일부가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이 없는 아암(130)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120)와 상기 부착 부분(14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강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100)의 아암(130)의 어느 것도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환자의 편안함을 고려하면서 환자의 치아를 위치조정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갯수의 아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수의 아암으로 명시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한 개의 아암, 두 개의 아암, 세 개의 아암, 다섯 개의 아암, 열 개의 아암, 열 여섯 개의 아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에서는, 상기 기기의 상기 아암(130)들 중의 하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나보다 많은 치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다시 말해서, 한 개의 아암(130)이 동시에 두 개의 치아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동일한 치아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두 개 이상의 아암(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상기 기기의 임의의 부분은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의 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상기 탄성가압 부분, 상기 부착 부분, 상기 링크, 등)이 하나 이상의 초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가압 부분(150) 또는 보다 대체로 아암(130)을 통하여 가해지는 각각의 방향력(directional force)과 관련된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이며, 2019년 8월 20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10,383,707호에 설명되어 있고, 상기 문헌의 전체 개시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기기 및/또는 그것의 임의의 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상기 탄성가압 부분, 상기 부착 부분, 상기 링크, 등)은 하나 이상의 초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기기 및/또는 그것의 임의의 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상기 탄성가압 부분, 상기 부착 부분, 상기 링크, 등)은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MP35N, 35N LT, 하나 이상의 금속 합금,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하나 이상의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치아의 설측 표면(lingual surface)에 부착된 고정 부재(160)에 아암(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환자의 입(M)의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에 설치된 기기(100)의 정면도이다. 상기 상부 아치와 하부 아치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상기 기기(100)는 환자의 치아의 협측 측면(buccal side)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고정 요소(160) 및/또는 아암(130)은 대안적으로 치아의 협측 표면(buccal surface)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상기 아암(130)이 변형되거나 부하를 받은 상태에서의 원래의 치아 배열(OTA) 상태의 치아를 나타내고, 도 3b는 상기 아암(130)이 실질적으로 무부하 상태에서의 최종 치아 배열(FTA) 상태의 치아를 나타내고 있다. 치아가 원래의 치아 배열(OTA)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아암(130)이 처음에 고정 부재(160)에 고정되면, 상기 아암(130)은 "설계된 대로"의 구성과 다른 형상 또는 경로를 취하도록 강요받는다. 탄성가압 부분(150)의 고유 복원력(inherent memory)으로 인해, 상기 아암(130)은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이 설계된 대로의 구성 또는 무부하 구성으로 있는 최종 치아 배열(FTA)을 향해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치아에 연속적인 교정력(corrective force)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본 기술의 상기 기기를 사용하는 치아 위치조정은 한 개의 기기를 사용하여 단일 단계로 달성될 수 있다. 보다 적은 횟수의 진료실 방문 및 보다 짧은 치료 시간을 가능하게 하는 것 외에도,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치아 교정기에 비해 치아 이동의 결과로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을 크게 줄이거나 없앤다. 종래의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면, 치열 교정 전문의가 조정(예를 들면, 새로운 치열궁선 설치, 기존의 치열궁선 구부리기, 브래킷 위치조정, 등)을 할 때마다, 영향을 받은 치아는 큰 힘을 받으며 이로 인해 환자는 심한 통증을 느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해진 힘은 종국적으로 새 와이어가 필요할 때까지 약해진다. 그러나,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상기 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동안 치아에 지속적으로 이동 발생력(movement-generating force)을 가하고, 이로 인해 치아는 환자에게 (고통이 있다 하더라도) 훨씬 덜 고통스러운 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기기가 치아에 보다 약하고 덜 고통스러운 힘을 가하더라도, 가해지는 힘이 연속적이고 치아가 독립적으로(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종래의 치아 교정기나 정렬기보다 최종 치아 배열(FTA)에 더 빨리 도달하는데, 종래의 치아 교정기나 정렬기는 모두 중간 조정을 요하기 때문이다.
많은 실시례에서, 상기 이동 발생력은 종래의 치아 교정기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약하다. 상기 기기가 초탄성 물질(예를 들면, 니티놀)로 이루어지는 실시례에서, 초탄성 물질은 특정 범위의 변형에 대해 일정 힘 스프링(constant force spring)처럼 거동하므로, 가해진 힘은 치아가 이동함에 따라 눈에 띄게 약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c의 니티놀과 철의 응력-변형 곡선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니티놀에 대한 곡선은 강에 대한 곡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평하다. 따라서, 본 기술의 초탄성 연결기,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아암은 많은 다른 수준의 변형(예를 들면, 휨)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응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주어진 치아에 가해지는 힘은 치료하는 동안, 적어도 치아가 최종 배열에 매우 가깝거나 최종 배열 상태로 될 때까지 치아가 이동할 때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상기 기기가 치아가 이동하는 동안 항상 치아(또는 복수의 치아)에 최대의 비통증 힘(maximum non-painful force)을 가하도록 통증 역치 바로 아래의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통증 없이 가장 효율적인(다시 말해서, 가장 빠른) 치아 이동이 이루어진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치아 위치조정이 복수의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수행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계(또는 복수의 기기,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례는 원래의 치아 배열(OTA)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치아 배열(ITAs)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기기는 첫번째 또는 그 다음 사용 기기가 치아를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중간 치아 배열(ITA)로(또는 하나의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다른 중간 치아 배열(ITA)로) 이동시키고 그 뒤에 제거된 후 설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치아를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또는 다른 중간 치아 배열(ITA)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기기는 치아를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중간 치아 배열(I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기기를 바꾸지 않고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상기 기기는, 환자의 치아에 일단 설치되면, 상기 기기가 환자에 의해 제거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가 환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기기 또는 기기 부분 중의 임의의 것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니티놀(NiTi),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또는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또는 세라믹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구조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구조로 함께 연결된 복수의 따로따로 형성된 구성요소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예에서는, 상기 예에서 설명한 강성 바, 브래킷 연결기 및 기기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또는 기기의 일부)이, 2016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공정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에 따라, 2차원(2D) 박판 재료로부터 상기 기기의 2차원 형태를 절단하고 이 2차원 형태를 상기 기기의 원하는 3차원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제작 방법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열 교정 기기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프로세스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원하는 결과(예를 들면, 상기 기기에 의해 각각의 치아에 가해지는 원하는 힘, 상기 기기의 원하는 재료 특성, 등)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례에서, 치열 교정 기기를 제작하기 위해 다른 적절한 방법 또는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단계의 순서를 언급하더라도, 다양한 실시례에서 상기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단계가 함께 결합될 수 있고, 특정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은 추가 단계가 원하는 대로 상기 프로세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치열 교정 기기는 치아가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 있는 동안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상기 기기의 요소들은 각각의 치아에 맞춤형 부하(customized load)를 가하여 각각의 치아를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밀어낸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100)의 아암(130)은 치아에 결합될 수 있고, 최종 치아 배열(FTA)을 향해 원하는 방향으로 치아를 밀어내기 위해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기기(100)의 아암(130)은 안면-설측 축(facial-lingual axis)을 따라 설측으로 치아를 몰아대는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130)의 적절한 크기, 형상, 형상 고정(shape set), 재료 특성 및 다른 측면을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치아를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맞춤형 부하가 각각의 치아에 가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은 상기 아암(130)이 결합되는 치아가 자신의 최종 치아 배열(FTA)을 달성하면 힘이 거의 또는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기기(100)는 최종 치아 배열(FTA) 상태에서 상기 아암(130)이 자신의 작용을 멈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환자의 원래의 치아 배열(OTA)을 특징짓는 데이터(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를 얻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오퍼레이터는 환자의 치아가 원래 상태 또는 치료 전 상태에 있는 동안 환자의 치아, 치경 및 선택적으로 다른 인접한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예를 들면, 광스캐닝, 콘 빔형 컴퓨터 단층촬영(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환자의 의치 틀(patient impressions)의 스캐닝, 또는 다른 적절한 영상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의 원래의 치아 배열(OTA)의 디지털 표현(400)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환자의 의도한 또는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을 특징짓는 데이터(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그리고 많은 경우에 환자의 최종 치아 배열(FTA)의 디지털 표현을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치아 배열(FTA)을 특징짓는 데이터는 환자의 치아와 치경의 각각에 대한 좌표(예를 들면, X, Y, Z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데이터는 환자의 치아의 각각을 환자의 치아 및/또는 치경의 다른 것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세그먼트화 소프트웨어(segmentation software)(예를 들면, iROK Digital Dentistry Studio)를 사용하여 원래의 치아 배열(OTA)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가상 치아 및 치경을 생성할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가상 치아를 그들의 최종 치아 배열(FTA)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경우에는 고정 부재(404)의 디지털 모델이 원래의 치아 배열(OTA) 디지털 모델(400)에 추가될 수 있다(예를 들면, 고정 부재(404)를 치아 표면에 배치하기 위해 치아 표면 상의 위치를 선택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고정 부재(404)가 부착된 가상 치아를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원하는 최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상의 고정 부재 모델(404)이 부착된 디지털 최종 치아 배열(FTA) 모델의 한 예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는 열처리 설비 디지털 모델(408)이 얻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열처리 설비 디지털 모델(408)이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예를 들면, 도 4c의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에 상응할 수 있고 및/또는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은 열처리 설비 제조에 적합한 모델을 렌더링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예를 들면, MeshMixer 또는 다른 적절한 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하여). 몇몇 실시례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은 상기 고정 부재(404)(이 고정 부재는 기기(100)의 아암(1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a))를 부재(410)(이 부재는 형상-고정(shape-setting)을 위해 상기 기기에 열처리 설비의 일시적인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로 대체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은 치경을 확대 또는 두껍게 하고, 하나 이상의 치아를 제거하고, 및/또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조적 구성요소를 추가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에 부분적으로 기반을 둔 제작된 기기의 일부분(예를 들면, 상기 고정기구)이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환자의 치경과 맞물리거나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치경을 확대하거나 두껍게 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에게 덜 고통스러운 치아 위치조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을 수정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기 디지털 모델을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디지털 모델" 및 "모델"이라는 용어는 대상 또는 대상의 집합의 가상 표현을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기 디지털 모델"이라는 용어는 상기 기기의 개별 구성요소(예를 들면, 고정기구, 아암, 탄성가압 부분, 부착 부분, 등)를 포함하는 상기 기기의 구조 및 기하학적 구조(geometry)의 가상 표현을 지칭한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기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디지털 모델은 열처리 설비 디지털 모델(및/또는 최종 치아 배열(FTA) 디지털 모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생성된다. 몇몇 예에 따르면, 열처리 설비 디지털 모델의 표면 및 부착 특징에 부합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에 대체로 상응하는 윤곽을 따라 형성된(contoured) 기기 디지털 모델 즉 3D 기기 디지털 모델이 먼저 생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3D 기기 디지털 모델은 특정 환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한정되는 상기 아암의 특정 기하학적 구조, 크기 또는 다른 특징 없이, 일반적인 아암 부분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3D 기기 디지털 모델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기기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편평해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의 특정 구성(예를 들면, 탄성가압 부분(150)의 기하학적 구조, 상기 고정기구(120)를 따르는 방향의 위치(도 2a), 등)은 상응하는 치아(상기 아암(130)이 부착되어 있는 치아)를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밀어내기 위해 원하는 힘을 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은 최종 치아 배열(FTA) 상태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휴지상태(rest)에 있거나 실질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에 선택된 아암 구성이 교체되거나 평면 기기 디지털 모델에 통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물리적 기구가 치료 동안 어떻게 작동될 것인지를 평가하기 위해 의도한 기기 설계에 기초하여 물리적 기기를 제작하기 전에 의도한 기기 설계를 평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의 사전 설치 형태가 원하는 최종 치아 배열(FT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기 때문에, 일단 물리적 기기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예를 들면, 환자의 치아가 원래의 치아 배열(OTA)인 상태에서) 상기 기기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위치가 치경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물리적 기구의 하나 이상의 이동된 위치가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치료 순응도 및/또는 만족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유한 요소 분석법(또는 다른 적절한 컴퓨터를 이용한 기법(computational techniques))은 3D 기기 디지털 모델을 조작하여 제작 전에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e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3D 기기 디지털 모델(414)은 원래의 치아 배열(OTA)의 환자의 치아와 맞물리는 위치로 가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예를 들면, 유한 요소 분석법을 사용하여). 도 4e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결과적인 가상 모델(resulting virtual model)(412)은 원래의 치아 배열(OTA)의 환자의 치아와 맞물릴 위치로 변형된 후 기기 디지털 모델(414)을 나타낸다. 가상 변형의 출력을 평가하여 상기 물리적 기기가 의도한 대로 작동할 것인지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출력의 평가에 기초하여, 의도한 기기 설계를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거나, 최종 기기 설계를 얻을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예에서는, 기기 디지털 모델(414)의 일부가 치경 디지털 모델(gingiva digital model)에 영향을 준다. 그 결과, 상기 기기의 설계가 수정될 수 있고, 기기 디지털 모델(414)이 더 이상 치경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까지 상기 평가가 반복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만족스러운 기기 설계가 달성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처리 설비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처리 설비 디지털 모델을 이용하여, 열처리 설비가 그 위에 기기의 형상 고정을 위해 가열을 견디도록 구성된 적절한 재료를 사용하여 주조되거나, 성형되거나, 3D 프린팅되거나 또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를 제작하는 것은 먼저 평면 기기 디지털 모델에 기초하여 평면 구성으로 상기 기기를 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f 및 도 4g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최종 기구의 평면 형태의 패턴(424)이 박판 재료(424)로부터 잘라내져 평면 부재(426)를 얻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는 레이저 절단, 워터 제트, 스탬핑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니티놀 또는 다른 금속 박판(sheet)으로부터 잘라내진다. 재료의 두께는, 예를 들면, 원하는 재료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기기의 재료를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 에칭, 증착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기 전체에 걸쳐서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치료용 3D 기기를 형성하기 위해 평면 부재(426)(예를 들면, 3D 프링팅된 것 또는 재료 박판으로부터 잘라낸 것)가 원하는 배열(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최종 치아 배열(FTA)에 상응하는 배열)로 구부러지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평면 부재(426)는, 도 4h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평면 부재(426)를 열처리 설비(432)에 결합시킴으로써 제위치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설비(432)는, 예를 들면, 이전에 획득한 열처리 설비 디지털 모델(408)의 물리적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면 부재(426)의 아암은 상기 열처리 설비의 후크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결찰 와이어 또는 다른 임시 고정구를 사용하여 상기 기기의 아암 또는 다른 부분을 열처리 설비(432)에 고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결과적인 조립체(resulting assembly)(다시 말해서, 상기 열처리 설비에 고정된 상기 기기)를 가열하여 상기 기기를 최종 치아 배열(FTA)에 상응하거나 실질적으로 상응할 수 있는 최종 형태로 형상 고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기는 최종 치아 배열(FTA)에서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에 형상 고정된 기기가 열처리 설비(43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작동시에, 상기 기기는 환자의 입에 설치될 수 있다(예를 들면,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 있는 동안 환자의 치아의 브래킷에 결합되도록 상기 기기의 아암을 구부리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기기의 형상 고정과 상기 아암과 고정기구의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상기 아암은 각각의 치아를 원래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쪽으로 밀어내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Ⅲ. 치열 교정 기기 구성의 선택된 예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제1 치아(또는 치아들)를 제2 치아(또는 치아들) 및/또는 구강 내 또는 구강에 근접한 다른 해부학적 구조 또는 위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구조적 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성은 가요성, 탄성가압력(bias force)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원하는 기능적 특성을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34는 본 기술의 상기 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성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구성은 두 개의 부착 부분(140)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본 기술의 기기는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부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은 제1 연결기(104)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의 세 개 모두가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의 각각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주어진 연결 구성에서 활용되는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은 동일하거나 다른 형상, 크기 및/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부착 부분,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male connector element) 중의 임의의 것 뿐만 아니라,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2016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제10,383,707호에 개시된 부착 부분, 브래킷 연결기 및/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을 가지고 있는 상기 기기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기기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16년 12월 6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제10,383,707호에 개시된 임의의 기기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기와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은 제1 연결기(104)에 의해 연결되지 않는다. 도 6에서, 제2 연결기(106a, 106b)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2 연결기(106a, 106b)의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하지만, 제1 연결기(104)는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보다 작은 폭과 두 개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제1 연결기(104)는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각각은, 상기 탄성가압 부분(150)의 각각이 치경 방향으로 향하는 오목한 부분을 가지도록 대체로 교합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의 개방 고리/U자형 부분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연결기(104)가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도록 탄성가압 부분(50)을 가지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연결기(104)는 상대적으로 가요성이며 제1 치아(T1)와 제2 치아(T2) 사이의 이동을 허용한다. 도 7의 연결 구성은 제2 연결기 또는 제3 연결기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부착 부분(140a, 140b)(및 관련 치아)은 제1 연결기(104)에 의해서만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대체로 강성인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기(104)는 탄성가압 부분을 가지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을 가지고 있다. 도 7의 구성과 대비하여. 도 8의 제1 연결기(104)는 치아들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두 개 이상의 치아를 집단으로 이동시킬 때, 또는 두 개 이상의 치아가 원래의 치아 배열(OTA)와 최종 치아 배열(FTA) 사이에서 어떠한 이동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유용할 수 있으므로, 고정기구를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 그리고 제1 부착 부분(140a)과 제2 부착 부분(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제2 연결기(106a), 제2 연결기(106b) 및 제3 연결기(108)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탄성가압 부분(50)을 포함하므로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제2 연결기(106a), 제2 연결기(106b) 및 제3 연결기(108)에 의해 제공되는 압도적인(overwhelming) 강성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가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을 것임을 결정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 그리고 제1 부착 부분(140a)과 제2 부착 부분(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제2 연결기(106a) 및 제2 연결기(106b)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탄성가압 부분(50)을 포함하므로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제3 연결기(108)는 연속으로 두 개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므로 또한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1 부착 부분(140a)과 상기 제2 부착 부분(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 104) 전부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108, 104) 각각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1 부착 부분(140a)과 상기 제2 부착 부분(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제2 연결기(106a), 제2 연결기(106b), 및 제1 연결기(104)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상기 연결기(106a, 106b, 104)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제3 연결기(108)는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폭 및 연속으로 두 개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가지므로, 0이 아닌 양의 강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제2 연결기(106a), 제2 연결기(106b), 및 제1 연결기(104)에 의해 제공되는 압도적인 강성은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지 않을 것임을 결정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3에서, 제2 연결기(106a) 및 제2 연결기(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한 개의 S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는 반면에, 제3 연결기(108)는 대체로 선형이고, 상대적으로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3 연결기(108)는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는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4에서, 제2 연결기(106a) 및 제2 연결기(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 한 개의 S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는 반면에, 제3 연결기(108)는 두 개의 U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연속으로 포함한다. 그 결과, 제1 치아 및 제2 치아(T1, T2)는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제2 연결기(106a) 및 제2 연결기(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U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3 연결기(108)는 대체로 선형이고, 상대적으로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3 연결기(108)는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서, 제2 연결기(106a) 및 제2 연결기(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U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3 연결기(108)는 연속으로 두 개의 U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1 연결기(104)의 U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은 교합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는 반면에, 제3 연결기(108)의 U자 형상의 탄성가압 부분(150)의 양자 모두는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서, 제2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에, 제1 연결기(104) 및 제3 연결기(108)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연결기 및 제3 연결기(104, 108)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서, 제2 연결기(106a) 및 제2 연결기(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3 연결기(108)는 연속으로 두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3 연결기(108)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은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제1 연결기(104)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연결기(104)는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부착 부분(140a)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서, 제2 연결기(106b)는 각각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2 연결기(106a) 및 제3 연결기(108)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2 연결기(106a) 및 제3 연결기(108) 각각은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부착 부분(140a)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 제2 연결기(106b)는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1 연결기(104)는 한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3 연결기(108)는 연속으로 두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1 연결기(104)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은 교합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는 반면에, 제3 연결기(108)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 양자 모두는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제2 연결기(106a)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2 연결기(106a)는 강성 연결기로 이루어진다(다시 말해서, 무한 강성 계수 k를 가진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a)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구성은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지 않으며, 어떠한 강성 연결기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연결기(108a)는 연속으로 두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 양자 모두는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3 연결기(108a)의 탄성가압 부분(15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교합 방향으로 오목하다. 도 21에 도시된 연결 구성은 제2 연결기(106)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c), 제2 연결기(106b)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d), 그리고 상기 제3 연결기(108c, 108d)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b)를 더 포함한다. 제3 연결기(108b)의 전체 길이가 제3 연결기(108a)의 전체 길이보다 치경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b)는 제3 연결기(108b)가 교합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대체로 선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각각 근심 방향과 원심 방향으로 향하는 대향 오목부(opposing concavities)를 가진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디. 제3 연결기(108a-108d)는 함께 셀(cell)을 둘러싼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은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a)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구성은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지 않고, 어떠한 강성 연결기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연결기(108a)는 연속으로 두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 양자 모두는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3 연결기(108a)의 탄성가압 부분(15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교합 방향으로 오목하다. 도 22에 도시된 연결 구성은 제2 연결기(106)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c), 제2 연결기(106b)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d), 그리고 상기 제3 연결기(108c, 108d)의 치경 단부 부분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b)를 더 포함한다. 제3 연결기(108b)의 전체 길이가 제3 연결기(108a)의 전체 길이보다 치경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b)는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서로 대체로 정렬되는 두 개의 대체로 선형인 부분이 양 측에 있는 한 개의 수직으로 배향된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108d)는 함께 셀을 둘러싼다.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a), 그리고 상기 제1 부착부분과 제2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강성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하고, 제3 연결기(108a)는 연속으로 두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한다. 제3 연결기(108)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 양자 모두는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은 교합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제1 연결기(104)는 대체로 선형일 수 있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23에 도시된 연결 구성은 제2 연결기(106a)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c), 제2 연결기(106b)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d), 그리고 제3 연결기(108c, 108d)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b)를 더 포함한다. 제3 연결기(108b)의 전체 길이가 제3 연결기(108a)의 전체 길이보다 치경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b)는 제3 연결기(108b)가 교합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대체로 선형인 부분을 포함하도록 각각 근심 방향과 원심 방향으로 향하는 대향 오목부를 가진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108d)는 함께 셀을 둘러싼다.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은으로 뻗어 있는 가요성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가요성 제2 연결기(106b),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가요성 제3 연결기(108a), 그리고 상기 제1 부착 부분과 제2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강성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각각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한 개의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연결기(108a)는 연속으로 두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 양자 모두는 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3 연결기(108a)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교합 방향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제1 연결기(104)는 대체로 선형이고, 비교적 큰 폭(w)을 가지며, 어떠한 탄성가압 부분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24에 도시된 연결 구성은 제2 연결기(106a)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c), 제2 연결기(106b)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d), 그리고 제3 연결기(108c, 108d)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b)를 더 포함한다. 제3 연결기(108b)는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서로 대체로 정렬되어 있는 두 개의 대체로 선형인 부분이 양 측에 있는 한 개의 수직으로 배향된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b)의 전체 길이가 제3 연결기(108a)의 전체 길이보다 치경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108d)는 함께 셀을 둘러싼다.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100)는 제1 부착 부분(140a)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a), 제2 부착 부분(140b)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2 연결기(106b), 그리고 상기 제2 연결기(106a, 106b)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a)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구성은 상기 부착 부분(140a, 140b) 사이에 뻗어 있는 제1 연결기(104)를 포함하지 않고, 어떠한 강성 연결기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연결기(106a, 106b) 각각은 비교적 짧은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는 치경 방향으로 오목한 한 개의 U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3 연결기(108a)의 탄성가압 부분(150)은 교합 방향으로 오목하다. 도 25에 도시된 연결 구성은 제2 연결기(106a)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c), 제2 연결기(106b)의 치경 단부 부분으로부터 치경으로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d), 그리고 상기 제3 연결기(108c, 108d)의 치경 단부 부분들 사이에 뻗어 있는 제3 연결기(108b)를 더 포함한다. 도 24에 도시된 구성과 대비하여, 예를 들면, 제3 연결기(108b)의 길이의 일부만이 제3 연결기(108a)의 전체 길이보다 치경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b)는 교합치경 크기를 따라서 서로 대체로 정렬되어 있는 두 개의 대체로 선형인 부분이 양 측에 있는 한 개의 수직으로 배향된 S자형 탄성가압 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108a-108d)는 함께 셀을 둘러싼다.
도 25 내지 도 33은 본 기술에 따른 몇 가지 추가적인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는 한 개의 가요성 제3 연결기(3402)가 고정기구(120)(또는 더 강성인 다른 제3 연결기(108))로부터 뻗어 나와서 각각 대응하는 부착 부분(140a, 140b)에서 종단되는 두 개의 가요성 제2 연결기(3406, 3400)로 분할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연결기(3402) 및 제2 연결기(3406, 3400)의 각각은 탄성가압 부분(도시된 것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3 연결기(3402) 및/또는 제2 연결기(3406, 300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 및/또는 강성이다.
제1 연결기(104), 제2 연결기(106), 제3 연결기(108), 및 본 기술의 다른 연결기가 영 개(zero), 세 개, 네 개, 다섯 개, 여섯 개, 또는 그 이상의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특정 연결기가 특정 유형의 탄성가압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지만, 상기 연결기가 임의의 유형의 형상 또는 탄성가압 부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100)의 아암 중의 하나 이상은 더 강성인 다른 연결기로부터 동일한 부착 부분(140)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제2 연결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100) 상의 두 개의 지점을 연결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연결기(예를 들면, 고정기구와 부착 부분)를 사용하면 각각의 연결기에 대한 변형을 증가시키지 않고 더 큰 힘(동일한 지점을 연결하는 한 개의 연결기에 비해)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고정 변위 치료(fixed displacement treatment)의 공간적 제약을 고려할 때 특히 유리하다. 별개의 연결부(discrete connection)(예를 들면, 아암)를 위한 복수의 연결기의 사용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도 36은 고정기구(120)와 부착 부분(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뻗어 있는 두 개의 제2 연결기(150a, 150b)를 포함하는 아암(130)을 가지는 기기의 일부분의 분리된 도면이다. 상기 연결기(150a, 150b) 각각은 고정기구(120)에 있는 제1 단부(130a) 및 부착 부분에 있는 제2 단부(130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기(150a, 150b)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130a, 130b) 사이의 공극(172)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기(150a, 150b) 각각은 또한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130)이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두 개의 구불구불한 연결기(150a, 150b)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은 두 개보다 많은 수의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각각의 연결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로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고 및/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130)은 상기 공극(172)을 가로질러 뻗어 있고 상기 제2 연결기(150a, 150b)의 길이를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 상기 제2 연결기(150a, 150b)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브리지(17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브리지(170)를 포함하는 것이 상기 아암의 전체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암(130a)은 아암(130b)보다 더 많은 브리지(170)를 가지고 있고 아암(130b)보다 강성이 더 크고, 아암(130b)은 아암(130c)보다 더 많은 브리지를 가지고 있고 아암(130c)보다 강성이 더 크다. 하나보다 많은 수의 브리지를 가진 실시례의 경우, 복수의 브리지(17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연결기(150a, 150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폭은 각각의 연결기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증가될 수 있거나, 각각의 연결기의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상이한 연결기(150a, 150b)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브릿지(170)는 아암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거나, 무작위 또는 불균일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아암(130)은 고정기구에 더 가까운 제1 브리지 및 부착 부분(140)에 더 가까운 제2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3은 복수의 연결기-아암 구성의 추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의 임의의 부착 부분이 복수의 연결기를 통하여 고정기구(또는 다른 연결기)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연결기(150a, 150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폭은 각각의 연결기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증가될 수 있거나, 각각의 연결기의 강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소될 수 있다. 상이한 연결기(150a, 150b)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45는 복수의 연결기(150a-150c)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아암(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4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연결기의 전부보다 적은 수의 연결기가 고정기구(120)와 부착 부분(140) 사이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뻗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기(150a, 150b) 및 다른 연결기(표시되어 있지 않음)는 모두 고정기구(120)에서 시작하지만, 연결기(150b)만이 아암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부착 부분(140)으로 이동한다. 도 4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아암은 세 개 이상의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부착 부분 사이에서 상기 아암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뻗어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연결기가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선형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부착 부분(140)과 고정기구(120) 사이에 경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선형인 세그먼트는 교합치경 방향 또는 근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49 내지 도 5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연결기가 고정기구(120)와 부착 부분(140) 사이에 복수의 방향전환부(turn)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전환부는 근원심 방향으로 겹쳐 놓일 수 있거나 교합치경 방향으로 겹쳐 놓일 수 있다. 순차적인 방향전환부의 마루(peak)(보다 교합측)들은 교합치경 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순차적인 방향전환부의 골(valley)(보다 치경측)들은 교합치경 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도 58은 본 기술의 두 개의 아암(130a, 130b)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아암(130a, 130b)은 각각 자신의 길이를 따라서 복수의 개구(5800)를 가진 가요성 연결기(150)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개구(5800)의 측벽(5802)의 두께는 상기 아암의 가요성에 영향을 미치도록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도 59 내지 도 7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개의 가요성 연결기가 고정기구(120)와 부착 부분(140) 사이에 복수의 방향전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암은 두 개 이상의 방향전환부(5900a, 5900b) 더미(stack)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방향전환부는 교합치경 방향으로 겹쳐 놓여 있다. 상기 두 개 이상의 방향 전환부 더미들은 아암의 대체로 선형인 부분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은 방향전환부가 근심 방향으로 겹쳐 놓여 있는 두 개 이상의 방향전환부 더미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아암은 근원심 방향의 방향 전환부 더미와 교합치경 방향의 방향 전환부 더미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순차적인 방향전환부의 마루(보다 교합측 또는 보다 근심측)들은 교합치경 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순차적인 방향전환부의 골(보다 치경측 또는 보다 근심측)들은 교합치경 축을 따라 정렬될 수 있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도 74에 도시된 예시적인 기기(7400)는 고정기구(7412) 및 상기 고정기구(7412)로부터 뻗어 있는 복수의 아암(741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기구(7412)는 아치 형상(대체로 아치형 구성을 가지는 아치형 부재)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기구(7412)는,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7400)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 중의 하나에서 두 개 이상(또는 복수)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기구(7412)는 절치(incisor teeth), 측절치(lateral incisor teeth), 및 견치(cuspid teeth)(송곳니)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부분(7412a)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기구(7412)의 길이 방향의 크기는 소구치(bicuspid teeth)와 대구치(molar teeth)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된 제2 부분(7412b) 및 제3 부분(7412c)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례에서, 고정기구(7412)는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부분(7412a)(또는 제1 부분(7412a)의 일부분)은 포함할 수 있지만, 제2 부분(7412b) 또는 제3 부분(7412c)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고정기구(7412)는 제1 부분(7412a) 그리고 제2 부분 및 제3 부분(7412b, 7412c) 중의 하나 또는 각각의 길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의) 하나 이상의 제2 부분 및 제3 부분(7412b, 7412c)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부분(7412a)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의) 하나 이상의 고정기구 제2 부분 및 제3 부분(7412b, 7412c) 그리고 (고정기구 부분 대신에) 제2 부분(7412b)과 제3 부분(7412c)을 연결하는 제1 부분(7412a)의 위치에 Z 실시례 기기 특징부(appliance features) 또는 다른 기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암(7414)은 고정기구(7412)의 길이방향 축(L2)을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고정기구(7412)로부터 뻗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아암(7414)은 고정기구(7412)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서로에 대해 균일한 간격으로, 또는 서로에 대해 불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상기 아암(7414)은, 상기 기기를 설치할 때, 상기 아암이 연결되는 치아의 위치에(또는, 다른 특정 예에서, 각각의 치아의 최종 치아 배열(FTA)에) 대응하거나 상기 치아의 위치와 관련된 고정기구(7412)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존재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각각의 아암(7414)은 스프링 부분(또는 스프링 부재)(7414a) 및 브래킷 연결기 요소(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7414b)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7400)의 각각의 스프링 부재(7414a)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아암의 스프링 부분 또는 스프링 부분 중의 임의의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기기(7400)의 각각의 브래킷 연결기 요소(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7414b)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4의 예에서, 상기 기기(7400)는 상기 기기의 우측에 있는 다섯 개의 아암과 좌측에 있는 다섯 개의 아암을 포함하여 고정기구(7412)로부터 뻗어 있는 열 개의 아암(74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아암(7414) 각각은 고정기구(7412)의 각각의 말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기(7400)의 우측에 있는 다섯 개의 아암은 길이 섹션(7412b)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기(7400)의 좌측에 있는 다섯 개의 암은 고정기구(7412)의 길이 섹션(7412c)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7400)는 상기 길이 섹션(7412b, 7412c)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따라서 더 적거나 더 많은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예 또는 다른 예에서, 아암(7414)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고정기구(7412)의 섹션(7412a)으로부터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74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기기의 우측에 있는 섹션(7412a)에 가장 가까운 아암(7414)과 상기 기기의 좌측에 있는 섹션(7412a)에 가장 가까운 아암(7414)은 추가 강성 물질로 된 추가 강성 섹션(또는 제2 강성 바)(7416)의 각각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결합되거나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추가 강성 섹션(7416)은 고정기구(7412)의 상기 섹션(7412a)을 따라서 상기 섹션(7412a)에 인접하게 뻗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추가 강성 섹션(7416)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기구(7412)의 상기 섹션(7412b) 또는 상기 섹션(7412c)(또는 상기 섹션(7412b)과 상기 섹션(7412c)의 양자 모두)의 길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이에 인접하게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74의 상기 기기(7400)는 하나의 추가 강성 섹션(7416)을 포함하지만, 다른 예는 추가 강성 물질로 된 두 개 이상의 추가 강성 섹션(7416)(예를 들면, 상기 섹션(7412a, 7412b, 7412c)들 중의 두 개 이상, 또는 상기 섹션들의 일부분 위에 인접하여 배열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강성 섹션(7416)은 자신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7417)를 가지고 있다. 상기 추가 강성 섹션(7416)은 또한 자신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브래킷 연결기(7417)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들 중의 임의의 것에 해당하는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브래킷 연결기(7417)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다른 적절한 브래킷 연결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4의 예에서, 브래킷 연결기(7417)는 미국 특허출원 제16/865,323호의 도 29와 관련하여 개시된 브래킷 연결기(266, 267, 268 또는 269)에 해당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74의 예에서, 네 개의 브래킷 연결기(7417)는 추가 강성 섹션(7416)으로부터 뻗어 있다. 상기 브래킷 연결기(7417)는 상기 추가 강성 섹션(7416)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결과적으로 고정기구(7412)의 섹션(7412a)의 상응하는 길이 크기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10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브래킷 연결기(7417)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브래킷 연결기(7417)는, 상기 기기를 설치할 때, 브래킷 연결기(7417)가 연결되는 치아의 위치에 상응하거나 관련되어 있는 추가 강성 섹션(7416)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존재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추가 강성 섹션(7416)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 중의 하나 이상(또는 각각)은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의 형상, 재료 및 구성에 부분적으로 기초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가요성 또는 탄성가압력 즉 스프링력(또는 양자 모두), 힘 크기,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도 7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7400)는 추가 강성 섹션(7416)의 길이를 따라서 다섯 개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정 예에서, 도 7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개의 브래킷 연결기(7417)는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의 각각의 인접한 쌍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은 추가 강성 섹션(7416)의 좌측 단부에 배치된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a)과, 추가 강성 섹션(7416)의 우측 단부에 배치된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추가 강성 섹션(7416)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a 및 7418b)을 통하여 고정기구(7412)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7414)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a 또는 7418b) 중의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상기 고정기구(7412) 및 상기 추가 강성 섹션(7416)으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의 경계면(interface)에서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4의 예에서, 추가 강성 섹션(7416) 상의 모든 브래킷 연결기(7417)는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a 및 7418b)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브래킷 연결기(7417) 중의 하나 이상은 추가 강성 섹션(7416)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아암(7414)과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a 또는 741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추가 강성 섹션(7416)의 길이를 따라서 다섯 개보다 많거나 적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의 각각의 인접한 쌍 사이에 한 개보다 많거나 적은 브래킷 연결기(7417), 또는 두 개의 인접한 브래킷 연결기(7417) 사이에 한 개보다 많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연결기(7417) 및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가 설치된 경우) 치아에 대한 원하는 힘과 원하는 치아 연결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기기(7400)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브래킷 연결기(7417) 및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 또는 다른 중간 치아 배열(ITA)로 이동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기(7400)는 브래킷 연결기 요소(7414b) 및 브래킷 연결기(7417)를 환자의 턱 중의 하나의 턱의 환자의 치아에 (또는 선택된 갯수의 치아에) 고정되어 있는 대응하는 브래킷(또는 암형 연결기 요소)에 결합함으로써 환자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 또는 암형 연결기 요소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서 참고 번호 700, 1300, 1501, 1601, 1706, 2600, 및 2610으로 표시된 브래킷 또는 암형 연결기 요소와 관련하여 개시된 구성 및 고정 방식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환자의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기(7400) 및 관련 브래킷(또는 암형 연결기 요소)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몰딩, 캐스팅, 기계가공, 3D 프린팅, 스탬핑, 압출 등을 포함하여,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임의의 기기 또는 브래킷(또는 암형 연결기 요소)을 제작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예에서, 상기 기기(7400) 또는 암형 연결기 요소(또는 양자 모두)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공정 또는 다른 적절한 공정에 따라, 2차원(2D) 박판 재료로부터 상기 기기의 2차원 형태를 절단하고 이 2차원 형태를 상기 기기의 원하는 3차원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이들 예 또는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100)는 한 장의 박판(또는 한 종류의) 재료로부터 한 개의 단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7400)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용접, 땜납, 접착제, 압입 끼워맞춤 또는 마찰 끼워맞춤, 기계적 연결기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4와 관련하여 설명한 예에서, 상기 기기(7400)는 (실시례 Z에 따른 하나 이상의 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실시례 X에 따른 하나 이상의 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 포함하는) X 특징과 Z 특징의 조합을 포함한다. 실시례 X에 따른 특징과 관련하여, 상기 기기(7400)는 하나 이상의 강성 바(7412)로부터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별개의 아암(7414)을 포함한다. 실시례 Z에 따른 예의 특징과 관련하여, 상기 기기(74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강성 바(7416)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바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연결기(7417) 및 상기 강성 바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힘 작용 부분)을 가지고 있다.
X 특징 및 Z 특징의 조합을 가지는 기기(7500)의 다른 예가 도 75 및 도 76에 도시되어 있다. 도 75에서 상기 기기(7500)는 (환자에 설치되지 않은) 미설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76에서 상기 기기(7500)는 (환자의 치아에 설치된) 설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기(7500)는 기기(7400)의 고정기구(7412)에 해당하는 고정기구(7522)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기구(7522)는 절치,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섹션(7522a)과,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소구치 또는 대구치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된 추가 섹션(7522b 및 7522c)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7522)는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섹션(7522a)(또는 섹션(7522a)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섹션(7522b) 또는 섹션(7522c)의 일부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기구(7522)는 섹션(7522a)과,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상기 고정기구(7522)의 한 측의 대구치까지 뻗어 있는 보다 긴 섹션(7522b) 또는 보다 긴 섹션(75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7522)는, 상기 기기(7500)가 설치될 때, 환자의 턱 중의 하나의 턱의 두 개 이상의(또는 복수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아치 형상(대체로 아치형 구성을 가지는 아치형 부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아암(7530)이 고정기구(7522)로부터 뻗어 있다. 상기 기기(7500)의 아암(7530)은 구조 및 기능이 상기 기기(7400)의 아암(7414)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암(7530)은 상기 기기(7400)의 아암(7414)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및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7530)은 상기 고정기구(7412)의 아암(7414)과 관련하여 설명한 간격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기구(7522)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이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기(7500)에서, 아암(75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절치,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기구 섹션(7522a)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7500)는, 고정기구 섹션(7522a)을 따라서(또는 섹션(7522b) 또는 섹션(7522c)을 따라서) 배치된 아암(7530)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로, 고정기구 섹션(7522a)을 따라서, 또는 고정기구 섹션(7522b) 또는 고정기구 섹션(7522c)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뻗어 있는 추가 강성 섹션(예를 들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기기(7400)의 추가 강성 섹션(74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5의 예에서, 상기 기기(7500)는 고정기구 섹션(7522a)으로부터 뻗어 있는 여섯 개의 아암, 고정기구 섹션(7522b)으로부터 뻗어 있는 두 개의 아암 및 고정기구 섹션(7522c)으로부터 뻗어 있는 두 개의 아암을 포함하여, 고정기구(7522)로부터 뻗어 있는 열 개의 아암(7530)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7500)는 길이 섹션(7522a, 7522b, 7522c) 중의 하나 이상을 따라서 더 적거나 더 많은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7500)는 또한 고정기구(7522)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로부터 각각 뻗어 있는 추가 강성 섹션(또는 제2 강성 바)(7526, 7527)을 포함하고 있다. 추가 강성 섹션(7526, 7527)은 각각 고정기구(7522)의 한 단부로부터 말단부(7526a, 7527a)까지 각각 뻗어 있는 길이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7500)는 추가 강성 섹션(7526 또는 7527)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추가 강성 섹션(7527 또는 7526)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예 또는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7500)는, 고정기구 섹션(7522a) 대신에, 고정기구 섹션(7522a)의 길이의 일부(또는 전체)를 따라서 배치된 (추가 강성 섹션(7526 및 7527)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추가 강성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5의 예에서, 추가 강성 섹션(7526)은 추가 강성 섹션(7527)의 형상에 대응하는(또는 거울상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추가 강성 섹션(7526)은 추가 강성 섹션(7527)의 형상 및 구성과 상이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추가 강성 섹션(7526, 7527)은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7528) 및 그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추가 강성 섹션(7526, 7527)의 원위 단부는 브래킷 연결기(7528a)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연결기(7528) 및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의 각각은 구조, 배열 및 기능이 상기 기기(7400)의 브래킷 연결기(7417) 및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들 중의 임의의 것과 일치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브래킷 연결기(7528) 또는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 중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이 다른 적절한 구조, 구성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7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특정 예에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은 추가 강성 섹션(7526)이 고정기구(7522)로부터 뻗어 있는 위치에 있거나 이에 인접한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a)과, 추가 강성 섹션(7527)이 고정기구(7522)로부터 뻗어 있는 위치에 있거나 이에 인접한 추가적인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추가 강성 섹션(7526 및 7527)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a 또는 7529b)을 통하여 고정기구(7522)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예에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a 및 7529b)은 고정기구(7522)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예를 들면, 아암(30)과 유사함) 상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a 또는 7529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고정기구(7522)와 추가 강성 섹션(7526 및 7527)의 경계면에서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5의 예에서, 상기 기기(7500)의 좌측에 있는 모든 브래킷 연결기(7528)는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a)과 추가 강성 섹션(7526)의 원위 단부(7526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기(7500)의 우측에 있는 모든 브래킷 연결기(7528)는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b)과 추가 강성 섹션(7527)의 원위 단부(7527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는, 브래킷 연결기(7528)들 중의 하나 이상이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a 또는 7529b)과 고정기구 원위 단부(7526a 또는 7527a)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기(7400)와 유사하게, 상기 아암(7530), 상기 브래킷 연결기(7528) 및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기기가 설치된 경우) 치아에 대한 원하는 힘과 원하는 치아 연결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기기(7500)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암, 상기 브래킷 연결기 및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 또는 다른 중간 치아 배열(ITA)로 이동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실시례 X에 따른 특징과 관련하여, 상기 기기(7500)는 하나 이상의 강성 바(7522)로부터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별개의 아암(30)을 포함한다. 실시례 Z에 따른 예의 특징과 관련하여, 상기 기기(75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강성 바(7526 또는 7527)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강성 바(7526 또는 7527)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연결기(7528) 및 그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529)(힘 작용 부분)을 가지고 있다.
X 특징과 Z 특징의 조합을 가지는 기기의 다른 예가, 도 7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기를 형성하기 위한 2D 부재(7700)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도 77의 2D 기기 부재(7700)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3D 기기로 구부러지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 77의 예와 관련하여 개시된 특징을 가지는 기기가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7의 예에 따른 기기는 상기 기기(7400 및 7500)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식과 유사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될 수 있다. 도 77의 예에 따른 기기는 구조 또는 기능(또는 양자 모두)에 있어서 상기 기기(7400) 또는 상기 기기(7500)의 특징들 중의 일부에 상응하는 특정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 부재(7700)는 상기 기기(7400)의 고정기구(7412)에 해당하는 고정기구(774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기구(7742)는 절치,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섹션(7742a)과, 상기 기기 부재(7700)로부터 형성된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소구치 또는 대구치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된 추가 섹션(7742b 및 7742c)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고정기구(7742)는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섹션(7742a)(또는 섹션(7742a)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섹션(7742b) 또는 섹션(7742c)의 일부분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고정기구(7742)는 섹션(7742a)과,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상기 기기의 한 측의 대구치까지 뻗어 있는 보다 긴 섹션(7742b) 또는 보다 긴 섹션(774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제2 강성 바(또는 추가 강성 바 섹션)가 Z 실시례 특징(예를 들면, 상기 기기(7500)의 제2 강성 바(7526 또는 7527)에 해당하는 특징)을 가지는, 길이 크기를 가진 고정기구(77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7742)는,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환자의 턱 중의 하나의 턱에서 두 개 이상의(또는 복수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아치 형상(대체로 아치형 구성을 가지는 아치형 부재)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아암(7744)이 고정기구(7742)로부터 뻗어 있다. 상기 아암(7744)은 구조 및 기능이 상기 기기(7400 또는 7500)의 아암(7414 또는 7530)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암(7744)은 아암(7414 및 7530)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와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7744)은 고정기구(7412)의 아암(7414)과 관련하여 설명한 간격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기구(7742)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이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기기 부재(7700)에서, 상기 아암(7744) 중의 적어도 일부는 절치,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기구 섹션(7742a)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 부재(7700)는, 고정기구 섹션(7742a)을 따라서(또는 섹션(7742b) 또는 섹션(7742c)을 따라서) 배치된 아암(7744) 중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 대신에, 고정기구 섹션(7742a)을 따라서, 또는 고정기구 섹션(7742b 또는 7742c)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뻗어 있는 추가 강성 섹션(예를 들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기기(7400)의 추가 강성 섹션(74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7의 예에서, 상기 기기 부재(7700)는 고정기구(7742)로부터 열 네 개의 브래킷 연결기(7745a-7745n)까지 뻗어 있는 열 여섯 개의 아암(7744)을 포함하고 있다.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은, 상기 브래킷 연결기(7745a, 7745b)와 관련하여 도 7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두 개의 개별 아암(7744) 또는 두 개의 개별 아암(7744)의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은, 상기 브래킷 연결기(7745c-7745n)와 관련하여 도 7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나의 아암(7744) 또는 그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기기 부재(7700)는 길이 섹션(7742a, 7742b, 7742c) 중의 하나 이상을 따라서 더 적거나 더 많은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의 상기 기기 부재(770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7의 예에 따른 기기 부재는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두 개 이상 사이에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강성 바아를 포함한다. 도 77의 예에서, 상기 기기 부재(7700)는 브래킷 연결기(7745b, 7745c, 7745d 및 7745e) 사이에 뻗어 있는 세그먼트(7746a, 7746b 및 7746c)를 가진 제2 강성 바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기(7740)는 브래킷 연결기(7745j, 7745k, 7745l, 7745m 및 7745n) 사이에 뻗어 있는 세그먼트(7746d, 7746e, 7746f 및 7746g)를 가진 다른 제2 강성 바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강성 바 및 세그먼트(7746a-g)의 갯수와 구성, 그리고 제2 강성 바 세그먼트가 뻗어 있는 브래킷 연결기(7745a-7745n)의 갯수와 위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하는 가요성이나 힘, 또는 원하는 가요성과 힘 양자 모두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제2 강성 바 세그먼트(7746a-7746g)는 자신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748)를 가질 수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7748)과 브래킷 연결기(7745a-7745n)의 각각은 구조, 배열 및 기능이 상기 기기(7400)의 브래킷 연결기(7417) 및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들 중의 임의의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브래킷 연결기(7745a-7745n) 중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 또는 고리 또는 만곡 부분(7748)은 다른 적절한 구조, 구성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7748) 중의 하나 이상은 브래킷 연결기(7745a-7745n) 중의 두 개 이상 사이의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세기, 탄성가압력 방향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특정 예에서, 상기 기기 부재(또는 기기)는 상기 기기를 환자의 입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 홀더(anchor hold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7의 예에서, 기기 부재(7700)는 고정기구 홀더(7749) 또는 Nance를 포함한다. 고정기구 홀더(7749)는 고정기구(7742)에(결합되거나 통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된다. 도 77의 예에서, 고정기구 홀더(7749)는 좁은 목 부분(7749b)을 통하여 고정기구(7742)에 연결된 둥근 판형상 헤드 부분(head portion)(7749a)을 가지고 있다. 고정기구 홀더(7749)의 헤드 부분(7749a)과 목 부분(7749b)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상기 기기를 환자의 입천장에 고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임시 고정 기구 TAD(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 기구)가 고정기구 홀더(7749)의 하나 이상의 구멍을 통하여 환자의 입천장(연조직과 경조직)으로 뻗을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고정기구 홀더(7749)는 연조직(soft tissue) 고정을 위한 것이며, 이 경우 연조직은 상기 기기를 고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몇몇 예에서, 상기 고정기구 홀더를 포함하는 기기 부재(또는 기기)는 기기가 설치될 때 TAD(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입천장의 연조직에 기대어 놓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TAD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기구 홀더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기구 홀더(예를 들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고정기구 홀더(774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례들 중의 임의의 실시례에 포함될 수 있다.
X 특징과 Z 특징의 조합을 가지는 기기의 다른 예가, 도 7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구를 형성하기 위한 2D 부재(7800)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도 78의 2D 기기 부재(7800)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3D 기기로 구부러지거나 이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 78의 예와 관련하여 개시된 특징을 가지는 기기가 다른 적절한 프로세스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8의 예에 따른 기기는 상기 기기(7400 또는 7500) 또는 상기 기기 부재(7700)에 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식과 유사하거나 이와 상응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될 수 있다. 도 78의 예에 따른 기기는 구조 또는 기능(또는 양자 모두)에 있어서 상기 기기(7400) 또는 상기 기기(7500), 또는 상기 기기 부재(7700)의 특징들 중의 일부에 해당하는 특정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 부재(7800)는 상기 기기(7400)의 고정기구(7412), 또는 상기 기기(7500)의 고정기구(7522), 또는 상기 기기 부재(7700)의 고정기구(7742)에 해당하는 고정기구(785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기구(7852)는,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절치,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추가 강성 바 또는 바 섹션(7853 및 7854)은, 상기 기기 부재(7850)로부터 형성된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소구치 또는 대구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고정기구(7852)에 연결된다(고정기구(7852)에 결합되거나 고정기구(7852)로부터 뻗어 있다). 다른 예에서, 고정기구(7852)는 도 78에 도시된 것보다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절치,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의 일부(전부는 아님)를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고정기구(7852)는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바 또는 바 섹션(7853 및 7854)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소구치 또는 대구치를 따라서 더 뻗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섹션(7853 및 7854)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도 78에 도시된 것보다 더 작거나 생략될 수 있다.
고정기구(7852)는,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환자의 턱 중의 하나의 턱에서 두 개 이상의(또는 복수의) 인접한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아치 형상(대체로 아치형 구성을 가지는 아치형 부재)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아암(7856)이 상기 고정기구(7852)로부터 뻗어 있다. 상기 아암(7856)은 구조 및 기능이 상기 기기 부재(7700) 또는 상기 기기(7400 또는 7500)의 아암(7414, 7530 또는 7744)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암(7856)은 아암(7414, 7530 또는 7744)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한 스프링 부재 및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7856)은 도 74의 고정기구(7412)의 아암(7414), 또는 도 77의 고정기구(7742)의 아암(7744)과 관련하여 설명한 간격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기구(7852)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이격될 수 있다. 기기 부재(7800)에서, 모든 아암(7856)은 절치, 측절치 및 견치(송곳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기구(7852)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도 78의 예에서, 기기 부재(7800)는 고정기구(7852)로부터 여섯 개의 대응하는 브래킷 연결기(7857)로 뻗어 있는 여섯 개의 아암(7856)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브래킷 연결기(7857)는, 도 7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개의 각각의 아암(7856) 또는 그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브래킷 연결기들 중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은 두 개의 각각의 아암 또는 그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면, 브래킷 연결기(7745a 및 7745b)와 관련하여 도 77에 도시된 방식과 유사하게). 다른 예에서, 기기 부재(7800)는 강성 바(7852)의 길이를 따라서 더 적거나 더 많은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의 기기 부재(780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8의 예에 따른 기기 부재는 고정기구(785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추가 강성 바 또는 바 섹션(7853 및 7854)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추가 강성 바(7853 및 7854)는 자신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 및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 78의 예에서, 고정기구(7853 및 7854)는 총 여덟 개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a-7858h) 및 여덟 개의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7859a-7859h)를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각각의 강성 바(7853, 7854)는 도 78의 예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 또는 브래킷 연결기를 가질 수 있다.
브래킷 연결기(7859) 및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 각각은 구조, 배열 및 기능에 있어서 상기 기기(7400)의 브래킷 연결기(7417) 및 고리 또는 만곡 부분(7418)과 관련하여, 또는 상기 기기 부재(7700)의 브래킷 연결기(7745a-7745n) 및 고리 또는 만곡 부분(7748)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양한 예들 중의 임의의 예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브래킷 연결기(7859) 또는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 중의 하나 이상(또는 모두)은 다른 적절한 구조, 구성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58) 중의 하나 이상은 브래킷 연결기(7859) 중의 두개 이상 사이의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세기, 탄성가압력 방향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특정 예에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은 추가 강성 바(7853)가 고정기구(7852)로부터 뻗어 있는 위치에 또는 이에 인접한 곳에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a)과, 추가 강성 바(7854)가 고정기구(7852)로부터 뻗어 있는 위치에 또는 이에 인접한 곳에 추가적인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추가 강성 바(7853, 7854)는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a 또는 7858e)을 통하여 고정기구(785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858a 또는 7858e)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고정기구(7852)와 추가 강성 바(7853, 7854)의 경계면에서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X 특징과 Z 특징의 조합을 가지는 다른 예시적인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 8000, 8100 및 8200)가 도 79 내지 도 82에 각각 도시되어 있고, 상기 기기(7400 또는 7500), 또는 상기 기기 부재(7700 또는 7800)에 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식과 유사하거나 상응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될 수 있다. 도 79 내지 도 82의 예들 중의 임의의 예에 따른 기기는 구조나 기능(또는 양자 모두)에 있어서 상기 기기(7400 또는 7500) 또는 상기 기기 부재(7700 또는 7800)의 특징들 중의 일부에 해당하는 특정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 8000, 8100 및 8200)는 각각,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X 실시례 특징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강성 바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강성 바로부터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별개의 암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는 두 개의 강성 바(7962, 796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기(8000)(또는 기기 부재)는 고정기구(807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기(8100)는 고정기구(818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기(8200)(또는 기기 부재)는 고정기구(829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기구(7962, 8182, 8292) 각각은,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두 개 이상의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기구(7963, 8072) 각각은, 상기 기기가 형성되어 설치될 때, 한 개의 치아를 따라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길이 방향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기구(7962, 7963, 8072, 8183, 8292)는 각각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기(7400)의 고정기구(7412), 상기 기기(7500)의 고정기구(7522), 상기 기기 부재(7700)의 고정기구(7742) 또는 상기 기기 부재(7800)의 고정기구(7852)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는 강성 바의 임의의 적절한 갯수, 크기 및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 8000, 8100 및 82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강성 바로부터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는 고정기구(7962)로부터 뻗어 있는 두 개의 아암(7964a, 7964b)과, 고정기구(7963)로부터 뻗어 있는 제3 아암(7964c)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000)는 고정기구(8072)로부터 뻗어 있는 한 개의 아암(8074)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100)는 고정기구(8182)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8184a 및 8184b)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8200)(또는 기기 부재)는 고정기구(8292)로부터 뻗어 있는 한 개의 아암(8294)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의 각각은 각각의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로 뻗어 있다.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 8000, 8100 및 8200)는 각각 Z 실시례 특징을 가지고 있고, 하나 이상의 아암을 통하여 고정기구(7962, 7963, 8072, 8183 또는 8292)에 (결합되거나 통합되는 것에 의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강성 섹션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는 아암(7964a, 7964b)을 통하여 고정기구(7962)에 연결되고, 아암(7964c)을 통하여 고정기구(7963)에 연결된 추가 강성 섹션(7966)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000)는 아암(8074)을 통하여 고정기구(8072)에 연결되는 추가 강성 섹션(8076)을 포함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100)는 아암(8184b)을 통하여 고정기구(8182)에 연결되는 추가 강성 섹션(8186)을 포함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200)는 아암(8294)을 통하여 고정기구(8292)에 연결되는 추가 강성 섹션(8296)을 포함한다.
상기 추가 강성 섹션(7966, 8076, 8186 및 8296) 각각은 대체로 아치형 구성으로 뻗어 있는 길이 크기를 가지고 있다. 하나 이상의 브래킷 연결기 및 하나 이상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힘 작용 부분)이 하나 이상의 추가 강성 섹션(7966, 8076, 8186 및 8296)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7900)의 강성 섹션(7966)은 여덟 개의 브래킷 연결기(7968)와 일곱 개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7969)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000)의 강성 섹션(8076)은 여덟 개의 브래킷 연결기(8078)와 일곱 개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8079, 강성 섹션)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180)의 강성 섹션(8186)은 여덟 개의 브래킷 연결기(8188)와 일곱 개의 고리 또는 곡선 부분(8189)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8290)의 강성 섹션(8296)은 여덟 개의 브래킷 연결기(8298)와 일곱 개의 고리 또는 곡선 부분(8299)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예들 중의 임의의 예는 고정기구에는 연결되지만, 도 81의 기기(또는 기기 부재)(8100)에서 아암(8184a)의 원위 단부에 있는 브래킷 연결기와 같은, 추가 강성 섹션에는 연결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추가 브래킷 연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9 내지 도 82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7969, 8079, 8189 또는 8299) 각각은 추가 강성 섹션(7966, 8076, 8186 또는 8296) 각각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한 쌍의 인접한 브래킷 연결기(7968, 8078, 8188 또는 829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추가 강성 섹션은 임의의 인접한 브래킷 연결기 쌍 사이에 고리 또는 만곡 부분(또는 두 개 이상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강성 바(7966, 8076, 8186 또는 8296) 상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원하는 치아 연결 위치 및 치아에 대한 원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각각 복수의 추가 강성 섹션을 포함하며, 각각 Z 실시례 특징을 가지는, 기기(또는 기기 부재)의 추가 예가 도 83 내지 도 85에 도시되어 있다. 도 83의 예시적인 기기(또는 기기 부재)(8300)는 T자형 중앙 강성 바(8356)로부터 뻗어 있는 네 개의 추가 강성 섹션(8352, 8353, 8354 및 835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중앙 강성 바(8356)는 대체로 T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84의 예시적인 기기(또는 기기 부재)(8400)는 중앙 강성 입천장 플레이트(8466)로부터 뻗어 있는 네 개의 추가 강성 섹션(8462, 8463, 8464 및 846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중앙 강성 입천장 플레이트(8466)는 환자의 입천장에 맞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85의 예시적인 기기(또는 기기 부재)(8500)는 중앙 환형 강성 바(8576)로부터 뻗어 있는 네 개의 추가 강성 섹션(8572, 8573, 8574 및 8575)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기기에서, 아암이나,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이나, 브래킷 연결기 요소 중의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향상된 고정을 위해, 최소의 가요성을 가지거나 가요성이 전혀 없게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는 추가 강성 섹션 또는 고정기구의 일부로 교체될 수 있다.
도 74 내지 도 85의 예의 각각에서, 상기 기기(또는 기기 부재)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또는 복수의) 아암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X 실시례 특징(하나 이상의 Z 실시례 특징과 함께)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의 하나 이상(또는 각각)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4 내지 도 85의 아암, 스프링 부재 및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것은 도 74 내지 도 85의 각각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기 또는 다른 기기(또는 기기 부재) 중의 임의의 하나의 아암, 스프링 부재, 또는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아암, 스프링 부재, 또는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 중의 임의의 하나에 따른 다른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기기 예들, 또는 또 다른 기기 예들 중의 임의의 예에서 하나 이상의 아암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아암의 추가 예가 도 86 내지 도 90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각각의 예시적인 아암은 고정기구로부터 관련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까지 뻗어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도 74 내지 도 85의 예들 중의 임의의 예의 고정기구,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다른 예의 고정기구, 또는 또 다른 기기 또는 기기 부재 예의 고정기구에 해당할 수 있다.
아암(8600-8608, 8909-8930, 9031, 9032) 각각은 스프링 부재(8600b-8608b, 8909b-8930b, 9031b, 9032b)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아암은 하나보다 많은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각각의 스프링 부재는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구성(형상, 재료 및 크기 포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상기 기기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로 설치될 때, 상기 기기의 브래킷 연결기가 연결되는 치아에 원하는 힘을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프링 부재의 갯수, 구성 및 위치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원래 치아 배열(O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에서 최종 치아 배열(FTA) 또는 다른 중간 치아 배열(ITA)로 이동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아암(8600)은 수평 방향(고정기구(8633)의 길이 크기와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을 가져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놓여 있는 "S"자 형상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스프링 부재(8600b)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한 개의 개방 고리 또는 두 개보다 많은 개방 고리를 가질 수 있다. 도 86의 예에서, 상기 아암(8600)의 브래킷 연결기(8600a)는 상기 아암이 고정기구(8633)에 결합되거나 고정기구(8633)로부터 뻗어 있는 위치 위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그리고 상기 아암(8600)이 고정기구(8633)에 연결되는 위치에서 고정기구(8633)의 길이 크기에 수직인 축(A)을 따라서 중심에 놓여 있다). 다른 예에서, 브래킷 연결기(8600a)는 축(A)으로부터 측방향으로(예를 들면, 축(A)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86의 예의 아암(8600)은 스프링 부재(8600b)로부터 브래킷 연결기(8600a)까지 뻗어 있는 선형 아암 섹션(8600c)을 포함하고 있다. 몇몇 예에서, 상기 선형 아암 섹션(8600c)은 도 8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축(A)을 따라서 뻗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선형 아암 섹션(8600c)은 축(A)에 평행하게 축(A)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거나, 축(A)에 대해 비스듬히 가로지르게(비-평행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아암 섹션(8600c)은 비선형(만곡 형상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으로 될 수 있거나 생략될 수 있다(스프링 부재(8600b)가 브래킷 연결기(8600a)까지 뻗어 있도록). 특정 예에서, 상기 아암 섹션(8600c)(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아암의 대응하는 아암 섹션)은 오퍼레이터, 의사 또는 다른 숙련된 직원이 브래킷 연결기(8600a)가 브래킷과 맞물리도록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기기를 설치하는 동안 (예를 들면,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와인가르트 공구(Weingart tool)와 같은 공구로) 파지하기에 충분한 길이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아암(8600)의 스프링 부재(8600b)의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은 둥근 모서리에서 만나는 하나 이상의 직선 가장자리(예를 들면, 도 86의 스프링 부재(8600b)의 수평 가장자리 및 수직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의 개방 고리 부분은 만곡된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거나 수직 방향(축(A) 방향) 또는 수평 방향(축(A)에 수직 방향)으로, 또는 축(A)에 대해 둔각인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6의 아암(8601)은 상기 아암(8600)의 스프링 부재(8600b) 및 아암 섹션(8600c)과 형상 및 구성이 유사한 스프링 부재(8601b) 및 아암 섹션(8601c)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암(8601)의 스프링 부재(8601b)의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은 둥근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8601b)의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은 수평 방향(축(A)의 방향에 수직 방향)보다 수직 방향(축(A)의 방향)으로 더 길다. 다른 예에서, 스프링 부재(8601b)의 개방 고리 부분은 수직 방향보다 수평 방향으로, 또는 축(A)에 대해 둔각인 방향으로 더 길게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아암(8600)의 스프링 부재(8600b)의 다른 예는 축(A)에 대해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또는 둔각 방향으로 더 길쭉한 고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86은 수평 방향(고정기구(8633)의 길이 크기와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을 가져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놓여 있는 "S"자 형상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진 스프링 부재(8602b)를 포함하는 아암(8602)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아암(8602)의 브래킷 연결기(8602a)의 중심은 축(A)로부터 측방향으로 치우쳐 있어서, 브래킷 연결기(8602a)는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축(A)의 한 측(도 86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는, 브래킷 연결기(8602a)가 축(A)의 다른 측(도 86의 우측)에 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배치되도록 스프링 부재(8602b)는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아암(8602)에서, 스프링 부재(8602b)는 전체 스프링 부재(8602b)(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스프링 부재(8602b))가 브래킷 연결기(8602a)의 아래(브래킷 연결기(8602a)와 고정기구(8633)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스프링 부재(8602b)의 일부 또는 전부는 브래킷 연결기(8602a)로부터 측방향으로(축(A)에 수직인 방향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6의 아암(8603)은 상기 아암(8602)의 스프링 부재(8602b) 및 아암 섹션(8602c)과 형상 및 구성이 유사한 스프링 부재(8603b) 및 아암 섹션(8603c)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스프링 부재(8603b)의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은 스프링 부재(8602b)의 개방 고리 부분보다 더 측방향으로 벌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스프링 부재(8603b)의 상당한 부분(예를 들면, 고리 부분 중의 하나)이 축(A)에 수직인 방향으로 브래킷 연결기(8603a)로부터 측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아암(8604)은 상기 아암(8603)의 스프링 부재(8603b) 및 아암 섹션(8603c)과 형상 및 구성이 유사한 스프링 부재(8604b) 및 아암 섹션(8604c)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스프링 부재(8604b)의 두 개의 고리 부분은 상기 고리 부분(8603b)과 형상이 다르다. 특히, 스프링 부재(8604b)의 개방 고리 부분들 중의 하나는 "U"자 형상을 가지며, "U"자 형상 고리의 측면들 또는 아암들 중의 하나는 브래킷 연결기(8604a)로 뻗어 있으며 "U"자 형상 고리의 다른 측면 또는 아암은 스프링 부재(8604b)의 다른 고리로부터 뻗어 있다. 또한, 아암 섹션(8604c)의 길이는 아암 섹션(8603c)의 길이보다 짧다. 특정 예에서, 아암 섹션(8600c-8630c)의 길이는 브래킷 연결기(8600a-8630a)와 고정기구(8633) 사이에 원하는 거리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아암 섹션 길이는 원하는 또는 특정 환자 치아 배열에 적합하거나 맞게 선택될 수 있다.
도 86은 수평 방향(고정기구(8633)의 길이 크기와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두 개 이상의 개방 고리 부분을 가져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놓여 있는 "S"자 형상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진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아암(8605, 8605', 8606, 8607 및 8608)을 나타내고 있다.
도 86의 아암(8605, 8605')은 브래킷 연결기(8605a)가 두 개의 아암(8605 및 8605')을 통하여 고정기구(8633)에 연결되도록 동일한(공통) 브래킷 연결기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아암(8605)은 스프링 부재(8603b)와 형상이 유사하지만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스프링 부재(8605b)를 가지고 있다. 아암(8605')은 스프링 부재(8602b)와 형상이 유사한 스프링 부재(8605b')를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아암(8605, 8605')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스프링 부재의 다른 예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구성, 형상 및 크기를 가진 스프링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도 86의 아암(8606)은 두 개보다 많은(다시 말해서, 네 개) 개방 고리 부분을 가진 스프링 부재(8606b)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스프링 부재 또는 다른 스프링 부재의 다른 예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고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6의 아암(8607)의 스프링 부재(8607b)는 축(A)에 대해 둔각인 방향으로 기다란 고리 부분을 가지고 있다. 도 86의 아암(8608)은 스프링 부재(8603b)와 형상이 유사한 스프링 부재(8608b)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암(8608)은 아암(8608)의 다른 섹션보다 더 넓은(수평 크기에서) 아암 섹션(8608c)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임의의 아암 부재의 다른 예는 상기 아암의 다른 섹션보다 더 넓은 아암 섹션(아암 섹션(8608c)과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7 및 도 88은 부착 부분이 한 개의 연결기에 의해, 또는 복수의 연결기를 통하여 직접 고정기구(도 87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결합되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9는 수평 방향(고정기구(8933)의 길이 크기와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을 가져서, 상기 수평 방향으로 놓여 있는 "S"자 형상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진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아암(8909, 8914, 8915 및 8922-8930)의 추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9는 또한 수직 방향(고정기구(8933)의 길이 크기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개방 고리 부분을 가져서, 상기 수직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S"자 형상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진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아암(8910, 8912 및 8917-8921)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9는 "U"자형 스프링 부재(8911b)를 가진 아암(8911)의 추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9의 아암(8913)의 추가 예는 아암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두 개의 직각 만곡부로 형성된 스프링 부재(8913b)를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들 중의 임의의 예에서, 아암 또는 아암의 하나 이상의 선택된 부분의 폭 크기는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암(8915, 8916)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아암(8915)의 폭 크기가 아암(8916)의 폭보다 더 크다. 다른 예로서, 도 98에서 아암(8922, 8923, 8924)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아암(8924)의 폭 크기가 아암(8923)의 폭보다 더 크다. 마찬가지로, 아암(8923)의 폭 크기가 아암(8922)의 폭보다 더 크다. 다른 예에서, 다앙한 폭 크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또는 이에 더하여, 아암(또는 아암의 선택된 부분) 중의 하나 이상이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또는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을 위해 다양한 두께 크기(도 89의 페이지의 평면의 법선 방향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고정기구(8933)가 보다 단단한 고정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아암이 원하는 가요성 및 탄력성을 제공하도록 아암은 자신들이 뻗어나와 있는 고정기구(8933)에 비해 폭 또는 두께 크기(또는 둘 다)가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폭 또는 두께 크기 변화는, 박판(sheet)으로부터 절단된 기기 부재의 부분들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기계가공, 몰딩, 레이저 절단, 3D 프린팅 또는 싱커(sinker) EDM(전자 방전 가공)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폭 또는 두께 크기를 선택하거나 변화시키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이에 추가하여, 아암 길이가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또는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하거나 이에 기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89의 아암(8925, 8926, 8927)은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아암(8927)의 폭 크기는 아암(8925)의 폭보다 큰 아암(8926)의 폭보다 더 크다. 또 다른 예로서, 도 89의 아암(8928, 8929 및 8930)은 서로 유사한 형상을 가지지만, 아암(8930)의 폭 크기는 아암(8928)의 폭보다 큰 아암(8929)의 폭보다 더 크다. 도 89에 도시된 예시적인 아암(8909-8930) 각각은 전체 아암에 걸쳐서 일정한 균일한 폭 크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아암(8900-8932) 중의 임의의 것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폭 크기는 동일한 아암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의 폭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90은 기기, 기기 부재(또는 기기 또는 기기 부재의 일부)의 고정기구(9033)로부터 뻗어 있는 두 개의 인접한 아암(9031, 9032)의 추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아암(9031, 9032) 각각은 관련된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9031a 또는 9031b)로 뻗어 있다. 상기 아암(9031, 9032) 각각은 스프링 부재(9031b, 9032b)와, 상기 스프링 부재로부터 브래킷 연결기(9031a, 9032a)까지 뻗어 있는 아암 섹션(9031c, 9032c)을 포함하고 있다.
브래킷 연결기(9031a)는 환자 턱의 제1 치아(9034)에 고정된 브래킷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브래킷 연결기(9032a)는 환자 턱의 제2 치아(9035)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치아(9034)와 제2 치아(9035)는 환자의 턱의 인접한 치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치아(또는 발치된 치아 위치)가 제1 치아(9034)와 제2 치아(90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제1 치아(9034)는 견치일 수 있고, 제2 치아(9035)는 제2 소구치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치아(9034, 9035)는 환자의 턱(위턱 또는 아래턱)의 다른 치아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아암 구성은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크기, 탄성가압력 방향,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 8600과 예 8601에 따라 구성된 아암은, 상기 기기가 설치될 때, 교합치경 방향 또는 협설측 방향으로 약간이지만, 제한된 이동량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힘(크기 및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예 8602, 예 8603 및 예 8604에 따라 구성된 아암은 돌출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교합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충분한 힘(크기 및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단단하게 되도록 구성된 아암은 아암에 연결될 치아가 움직이지 않을 때(또는 제한된 양만큼 움직일 때) 사용될 수 있으며 고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예 8606, 예 8607 및 예 8608에 따라 구성된 아암은 상기 아암이 파워 아암(power arm)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예들의 아암 섹션(8606c, 8607c, 8608c)이 상기 아암의 다른 부분보다 더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치아의 저항 중심에 더 가깝게 힘을 가하고 치아가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치 케이스(extraction cases)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도 86, 도 89 또는 도 90의 아암들 중의 임의의 아암(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아암)은 아암의 길이를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결과적으로 환자의 치아 구조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탄성가압력 방향 및 크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0에 도시된 아암은 (브라켓 연결기(9031a, 9032a)가 치아(9034, 9035) 상의 각각의 브래킷에 연결되면) 치아(9034, 9035) 중의 하나 또는 둘다에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치아에 작용하는 힘은 인접한 치아로 인도된다. 특정 예에서, 아암(9031, 9032)은 저항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각각의 치아의 길이 크기를 따라서 존재하는 위치에서 치아(9034, 9035) 중의 하나 또는 둘다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0에서, 치아(9034, 9035)는 각각의 아암(9031, 9032)에 측방향으로 인접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브래킷 연결기(9031a 및 9032a)가 각각의 치아(9034 및 9035) 상의 브래킷에 연결되면, 브래킷 연결기(9031a 및 9032a) 각각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브래킷(도 90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고정되는 각각의 치아(9034 및 9035)의 표면에 또는 상기 표면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90의 예에서, 아암(9031)은 아암 섹션(9031c)이 축(A1)(아암(9031)이 고정기구(9033)에 연결되는 위치에서 고정기구(9033)의 길이 크기에 수직인 축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지만, 축(A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치우쳐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아암(9032)은 아암 섹션(9032c)이 대체로 축(A2)(아암(9031)이 고정기구(9033)에 연결되는 위치에서 고정기구(9033)의 길이 크기에 수직인 축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지만, 축(A2)로부터 측방향으로 치우쳐서 뻗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암 섹션(9031c)은 아암(9031)의 스프링 부재(9031b) 및 축(A1)이 아암 섹션(9031c)과 아암(9032) 사이에 배치되도록 축(A1)의 왼쪽 방향으로 축(A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마찬가지로, 아암 섹션(9032c)은 아암(9032)의 스프링 부재(9032b) 및 축(A2)이 아암 섹션(9032c)과 아암(9031) 사이에 배치되도록 축(A2)의 오른쪽 방향으로 축(A2)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또한, 아암(9031, 9032)의 스프링 부재(9031b, 9032b)는 (아암(9031, 9032)이 각각의 치아(9034, 9035)에 연결되면) 아암(9031)이 아암(9032)을 향하는 방향으로 치아(9034)에 힘(F1)을 부여하고 아암(9032)이 아암(9033)을 향한 방향으로 치아(9035)에 힘(F2)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힘(F1, F2)의 크기는 아암(9031, 9032)(스프링 부재(9031b, 9032b)를 포함함)의 형상과 구성, 아암(9031)과 아암(9033) 사이의 측방향 간격, 아암(9031, 9032)의 두께 및 재료 중의 하나 이상(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다.
도 90의 예에서, 아암(9031 및 9032)의 스프링 부재(9031b 및 9032b)는 고정기구(9033)에 인접하여(또는 비교적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 섹션(9031c 및 9032c)의 길이는 고정기구(9033)를 각각의 치아(9034, 9035)의 저항 중심(9034a, 9035a)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9031b, 9032b)는 각각의 치아(9034, 9035)의 저항 중심(9034a, 9035a)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치아(9034 또는 9035)의 저항(9034a 또는 9035a)의 중심 또는 그 근처에서, 치아(9034 또는 9035)에 힘(F1 또는 F2)힘을 부여하기 위해서). 다른 예에서, 아암(9031 및 9032)은 치아 (9034 또는 9035)의 저항 중심(9034a 또는 9035a)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예를 들면, 도 90의 배향에서 수직으로 치우져 있는) 위치에서 힘(F1 또는 F2)을 치아(9034 또는 9035)에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예에서, 힘(F1 또는 F2)은 치아(9034 또는 9035)에 지렛대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항 중심은 지렛목(fulcrum)으로 작용한다. 치아의 저항 중심은 치아 뿌리의 깊이와 각도, 치아 유형 또는 다른 요인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예에서, 기기(또는 방법)는 하나 이상의 치아에 하나 이상의 힘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힘 또는 힘들의 방향 및 크기가 선택될 수 있고, (치아의 저항 중심에 대한) 힘의 위치는 부분적으로 아암의 구성(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9031b, 9032b)의 구성, 고정기구(9033)에 대한 스프링 부재의 거리와 위치, 그리고 아암 섹션(9031c, 9032c)의 길이를 포함)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86의 예시적인 아암(8600-8608)과 도 90의 아암(9031, 9032) 각각은 (브래킷 연결기(100a-108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브래킷 연결기(100a-108a)에 결합되어) 고리 또는 링 형상, 특히, 정사각형 고리 형상(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의 외주와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가진 형상)을 가진 브래킷 연결기(100a-108a)로 뻗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고리 또는 링 형상 브래킷 연결기는 대체로 원형 또는 둥근 형상, 타원형 형상(원형 또는 타원형 외주와 원형 또는 타원형 개구를 가진 형상)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9의 예시적인 아암(8909-8930) 각각은 T자형 구성을 가지는 브래킷 연결기(8900a-8908a)로 뻗어 있다. 특정 예에서, 이러한 T자형 브래킷 연결기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T자형 수형 연결기 요소(예를 들면, 상기 공개공보에서 참조 번호 1802, 1822, 또는 2500으로 표시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도 86 및 도 90과 관련하여 설명한 임의의 아암들 중의 임의의 아암은 브래킷 연결기(8600a-8608a) 대신에, 도 89의 T자형 브래킷 연결기, 또는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다른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들 중의 임의의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을 수 있다(상기 브래킷 연결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브래킷 연결기에 결합되어). 마찬가지로, 다른 예들에서, 도 89와 관련하여 설명한 아암들 중의 임의의 아암은 브래킷 연결기(8909a-8930a) 대신에, 도 86의 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환형 또는 링 형상 브래킷 연결기, 또는 본 명세서 또는 미국 특허출원 제15/370,704호(공개공보 제2017/0156823호)에 개시된 다른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들 중의 임의의 브래킷 연결기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91 및 도 92는 브래킷 연결기(또는 수형 연결기 요소)들의 관련 쌍 사이에 다양한 예에 따른 고리 또는 만곡 부분(도 91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9138) 및 도 92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9248))을 가진 강성 바(도 91의 강성 바(9130) 및 도 92의 강성 바(9240))를 포함하는 Z 실시례 특징의 특정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1 및 도 92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9138 및 9241-9248) 각각은 하나 이상의 만곡 섹션에 의해 결합된 한 쌍의 선형 아암 섹션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91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은 강성 바(913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만곡 섹션(9131c)으로 뻗어 있는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1a, 9131b)을 포함하고 있다. 도 91 및 도 92의 예의 각각에서,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의 제1 아암 섹션와 제2 아암 섹션 모두는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의 만곡 섹션의 해당 크기(corresponding dimension)보다 적어도 하나의 크기에서 더 크다(예를 들면, 더 넓다). 예를 들면, 도 91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선형 아암 섹션(9131a, 9131b) 각각은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만곡 섹션(9131c)의 해당 크기(폭)보다 더 큰(예를 들면, 더 넓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다른 예에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9138 또는 9241-9248) 중의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 중의 하나(둘 모두는 아님)는 상기 만곡 섹션의 해당 크기보다 적어도 하나의 크기에서 더 크게(예를 들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9138 또는 9241-9248) 중의 어느 하나의 만곡 섹션은 아암 섹션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해당 크기보다 적어도 하나의 크기에서 더 크게(예를 들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기기는 치아의 저항 중심(또는 더 크거나 더 넓은 섹션의 위치에 기초하여 치아 길이를 따라서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더 가깝게 힘을 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9138 또는 9241-9248) 중의 임의의 것의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과 만곡 섹션은 균일하거나 일정한 해당 크기(예를 들면, 폭)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은 대체로 U자형 부분(9131d)(도 91의 배향에서 역 U자)과 (U자형 부분(9131d)의 두 개의 각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측방향으로 뻗은 만곡된 고리 부분(9131e 및 9131f)을 가지는 만곡 섹션(9131c)을 포함하고 있다. U자형 부분(9131d)은 제1 아암 섹션 및 제2 아암 섹션(9131a, 9131b)을 따라 그리고 제1 아암 섹션(9131a)과 제2 아암 섹션(9131b) 사이에서 뻗어 있다. 만곡된 고리 부분(9131e)은 U자형 부분(9131d)의 한 단부를 제1 아암 섹션(9131a)에 연결하고, 만곡된 고리 부분(9131f)은 U자형 부분(9131d)의 다른 단부를 제2 아암 섹션(9131b)에 연결한다. 만곡된 고리 부분(9131e 및 9131f) 각각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만곡된 고리 부분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넓은(도 91의 수평 크기에서) 둥근 폐쇄 단부를 가지고 있다. 더 넓은 둥근 단부(9131e' 및 9131f')는 파손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2)은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과 관련하여 설명한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2)은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상기 섹션(9131a, 9131b 및 9132c) 및 상기 부분(9131d, 9131e 및 9131f)에 대응하는)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2a 및 9132b)과, U자형 부분(9132d) 및 만곡된 고리 부분(9132e 및 9132f)을 가지는 만곡 섹션(9132c)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2)의 U자형 부분(9132d)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U자형 부분(9131d)보다 작다. 도 91의 예에서, U자형 부분(9131d)은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9131a, 9131b)의 길이의 약 75%를 따라서 뻗어 있는 반면에, U자형 부분(9132d)은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9132e, 9132f)의 길이의 약 25%를 따라서 뻗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U자형 부분(9131d 또는 9132d)은 제1 아암 섹션과 제2 아암 섹션의 길이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긴 U자형 부분(예를 들면, 9131d로 표시된 것)은 보다 짧은 U자형 부분(예를 들면, 9132d로 표시된 것)보다 더 유연할 수 있다.
다른 예인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3)도 (예를 들면,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상기 아암 섹션(9131a 및 9131b)과 상기 만곡 섹션(9131c)에 대응하는)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3a 및 9133b)과 만곡 섹션(9133c)을 포함한다. 하지만, 선형 아암 섹션(9133a 및 9133b)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선형 아암 섹션(9131a 및 9131b)보다 길이가 더 짧다. 상기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9138 또는 9241-9248) 중의 임의의 것의 선형 아암 섹션은 임의의 적절한 길이로 일 수 있다(또는 제1 아암 섹션 및 제2 아암 섹션에 대해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의 선형 아암 섹션의 길이는 인접한 치아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3)의 만곡 섹션(9133c)은 대체로 U자형 부분(9133d)(도 91의 배향에서 역 U자)과, (U자형 부분(9133d)의 두 개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두 개의 측방향으로 뻗은 만곡된 고리 부분(9133e 및 9133f)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체로 U자형 부분(9133d)은 만곡된 고리 부분(9133e, 9133f)이 대체로 U자형 부분(9133d)에 연결되는 곳에 인접해 있는 확대된 섹션(9133d')을 가지고 있다. 상기 확대된 섹션(9133d')은 대체로 U자형 부분(9133d)의 나머지 부분보다 적어도 하나의 크기(도 91의 배향에서 수평 크기)에서 더 크다(예를 들면, 더 넓다). 만곡된 고리 부분(9133e 및 9133f)은 대체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만곡된 고리 부분(9131e 및 9131f)에 대응한다. 하지만, 만곡된 고리 부분(9131e, 9131f)의 측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만곡된 고리 부분(9133e)은 제1 아암 섹션(9133a)의 왼쪽을 넘어서 측방향으로 뻗어 있지 않고, 만곡된 고리 부분(9133f)은 제2 아암 섹션(9133b)의 오른쪽을 넘어서(또는 훨씬 넘어서) 측방향으로 뻗어 있지 않다. 만곡된 고리 부분(9133e 및 9133f)에 의해 제공된 보다 좁은 외형(만곡된 고리 부분(9131e 또는 9131f)에 비해)은 브래킷 연결기들이 서로 더 가까운 상황(예를 들면, 전치(anterior teeth) 또는 근원심 크기 또는 측방향 폭 크기의 공간이 제한되는 상황에서)에서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예인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5)도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5a, 9135b)과 만곡 섹션(9135c)을 포함하고 있다. 선형 아암 섹션(9135a 및 9135b)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3)의 선형 아암 섹션(9133a 및 9133b)과 유사하다. 하지만, 만곡 섹션(9135c)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3)에 대해서 설명한 U자 형상 대신에, C자 형상 또는 개방된 원 형상 부분(9135d)(개방된 가장자리가 있는 원의 형상을 가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만곡 섹션(9135c)도 C자 형상 부분(9135d)의 두 개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3)의 만곡된 고리 부분(9133e, 9133f)에 해당하는) 두 개의 측방향으로 뻗은 만곡된 고리 부분(9135e, 9135f)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인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4)도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4a, 9134b)과 만곡 섹션(9134c)을 포함하고 있다. 선형 아암 섹션(9134a 및 9134b)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3)의 선형 아암 섹션(9133a 및 9133b)과 유사하다. 하지만, 만곡 섹션(9134c)은 C자 형상 또는 개방 원 형상(개방된 가장자리를 가진 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만곡 섹션(9134c)의 원 형상의 반경은 원하는 성능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6, 9137, 9138) 각각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4)과 유사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지지만, 상이한 직경을 가진 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6)은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6a, 9136b)과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4)의 만곡 섹션(9134c)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만곡 섹션(9136c)을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7)은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7a, 9137b)과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6)의 만곡 섹션(9136c)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만곡 섹션(9137c)을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8)은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138a 및 9138b)과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7)의 만곡 섹션(9137c)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만곡 섹션(9138c)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작은 직경은 특정 상황에서, 예를 들면, 특정 유형의 치아에 대해 또는 측방향 폭 크기의 공간이 제한된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예인 도 92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은 도 91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구성과 일부 유사성을 가진 구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은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241a, 9241b)과 만곡 섹션(9241c)을 포함하고 있다. 선형 아암 섹션(9241a 및 9241b)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선형 아암 섹션(9131a 및 9131b)과 유사하다. 또한, 만곡 섹션(9241c)은 대체로 U자형 부분(9241d)(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대체로 U자형 부분(9131d)과 유사한)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0)의 만곡 섹션(9241c)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만곡된 고리 형상 대신에, C자 형상 또는 개방 원 형상(개방된 가장자리를 가진 원 형상)을 각각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측방향으로 뻗은 만곡된 고리 부분(9241e, 9241f)을 가지고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8)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인 도 92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5)은 도 91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구성과 일부 유사성을 가진 구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5)은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9245a, 9245b)과 만곡 섹션(9245c)을 포함하고 있다. 선형 아암 섹션(9245a 및 9245b)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선형 아암 섹션(9131a 및 9131b)과 유사하다. 또한, 만곡 섹션(9245c)은 대체로 U자형 부분(9245d)(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대체로 U자형 부분(9131d)에 해당하는)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체로 U자형 부분(9245d)은 U자형 부분(9245d)의 폐쇄 단부에 확대된 섹션(9245d')을 가지고 있고, 만곡된 고리 부분(9245e 및 9245f)이 대체로 U자형 부분(9245d)에 연결되는 곳에 제2 확대된 섹션(9245d'')을 가지고 있다. 상기 확대된 섹션(9245d' 및 9245d'')은 각각 대체로 U자형 부분(9245d)의 다른 섹션보다 적어도 하나의 크기(도 92의 배향에서 수평 크기)에서 더 크다(예를 들면, 더 넓다). 만곡된 고리 부분(9245e 및 9245f)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131)의 만곡된 고리 부분(9131e 및 9131f)과 대체로 일치한다.
다른 예인 도 92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6)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5)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5)의 대응하는 부분들과 유사한 제1 아암 섹션 및 제2 아암 섹션(9246a, 9246b)과 대체로 U자형 부분(9246d)을 가지는 만곡 섹션(9246c)을 포함한다). 하지만,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6)은 형상에 있어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의 만곡된 고리 부분(9241e 및 9241f)과 일치하는 만곡된 고리 부분(9246e 및 9246f)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인 도 92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7)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의 구성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제1 아암 섹션 및 제2 아암 섹션(9247a, 9247b)과 형상에 있어서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의 만곡된 고리 부분(9241e 및 9241f)과 일치하는 만곡된 고리 부분(9247e 및 9247f)을 가진 만곡 섹션(9247c)을 포함한다). 하지만,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7)의 만곡 섹션(9247c)은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1d)에 대해 설명한 대체로 U자 형상 대신에, C자 형상 또는 개방 원 형상 부분(9247d)(개방된 가장자리를 가진 원 형상을 가짐)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인 도 92의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2, 9243, 9244)도 제1 선형 아암 섹션 및 제2 선형 아암 섹션과 만곡 섹션을 포함하고 있다. 고리 또는 만곡 부분(9242, 9243, 9244) 각각의 만곡 섹션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원하는 가요성, 탄성가압력 즉 스프링력(또는 둘 다), 힘의 크기, 내구성 또는 다른 특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대체로 U자형 부분과 C자형 또는 개방 원 형상 부분의 다양한 결합 형태를 포함한다.
도 93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평면판의 평면도이고, 도 93b는 도 93a에 도시된 상기 기기의 치료 구성이다.
도 94는 환자의 입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된,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를 나타내고 있다.
IV. 치아 부착을 위해 선택된 기구, 시스템 및 방법
본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열 교정 기기 및/또는 고정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분은 (예를 들면, 협설측 방향, 근원심 방향 및/또는 교합치경 방향을 포함하여, 치아로부터 멀어지게 뻗은 크기에 있어서) 로우 프로파일(low profile)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우 프로파일로 인해 상기 기기 및/또는 고정 부재가 대체로 환자에게 덜 지각되고 주변 조직을 동요하게 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로우 프로파일은 환자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5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로우 프로파일 부착 부분(9540)을 나타내고 있다. 도 95에서, 상기 부착 부분(9540)은, 상기 부착 부분(9540)과 함께, 고정기구(9520)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9530)을 구성하는 구불구불한 탄성가압 부분(955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착 부분(954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아암 구성 중의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연결기 중의 임의의 것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9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9540)은 베이스(9551)와 베이스(9551)에 결합되어 있으며 베이스(9551)로부터 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아암 및 제2 아암(9556a, 9556b)(총칭하여 "아암(9556)")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551)는 아암(9556)이 베이스(9551)에 연결되는 곳에 가까운 근위 구역(9552)과 아암(9556)이 베이스(9551)에 연결되는 곳에서 먼(또한 근위 구역(9552)에서 먼) 원위 구역(95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9556a)은 베이스(9551)에 대해 제1 각도(θ1)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아암(9556b)은 베이스(9551)에 대해 제2 각도(θ2)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9551)는 제1 방향(A1)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아암(9556)은 제1 방향(A1)에 대해 각을 이루는 제2 방향(A2)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아암(955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베이스(9551)로부터 뻗어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아암(9556)은 베이스(9551)로부터 다른 길이방향 위치 및/또는 다른 각도로 뻗어 있다.
제1 각도 및 제2 각도(θ1, θ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각도(θ1)는 (i) 적어도 30도, (ii) 120도 이하, 또는 (iii) 30도 내지 120도 범위 내, 또는 이들 범위 중의 하나 사이의 임의의 증분 값(예를 들면, 35도, 90도, 110도 등)이다. 이들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서, 제2 각도(θ2)는 (i) 적어도 30도, (ii) 120도 이하, 또는 (iii) 30도 내지 120도 범위 내, 또는 이들 범위 중의 하나 사이의 임의의 증분 값(예를 들면, 35도, 90도, 110도 등)이다. 범위. 몇몇 실시례에서, 제1 구역(9554)은 제2 구역(9556)과 대체로 직교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부착 부분(9540)은 환자의 치아에 배치된 고정 부재에 아암(9530)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 부분(9540)은 대응하는 고정 부재에 대한 부착 부분(9540)의 길이방향의 운동(예를 들면, 병진운동) 및/또는 회전 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고정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상기 아암(예를 들면, 아암(9530))에 의해 제공된 힘의 전부 또는 실질적으로 전부를 대응하는 고정 부재를 통하여 치아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대응하는 고정 부재에 대한 부착 부분(954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억제함으로써, 본 기술의 상기 기기는 종래의 치아 교정기에 필요한 것보다 적은 힘으로 치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6 및 도 97은 본 기술의 상기 기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고정 부재(9600, 9700)의 등각투영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기 아암 및/또는 부착 부분은 치료하는 동안 환자의 치열에 상기 기기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부재(9600, 970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9600)는 베이스(9610) 및 베이스(9610)에 결합된 결합 아암(9680a, 98680b)(총칭하여 "결합 아암(968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610)는 결합 아암(9680)이 배치되는 제1 측면(9612)과, 예를 들면, 복합 레진(composite resin)과 같은 접착제를 통하여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측면(96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610)는 결합 아암(9680)이 대체로 수직 배향(예를 들면,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환자의 치아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베이스(9610)는 결합 아암(9680)이 수평 배향(예를 들면, 근심-원심 방향) 또는 대각선 배향(예를 들면, 부분적인 근심-원심 방향 또는 부분적인 교합-치경 방향)과 같은 다른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환자의 치아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결합 아암(9680)은 서로 동일한 각도 및/또는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9614)의 표면은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한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체로 편평하게 및/또는 울퉁불퉁하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제2 측면(9614)의 표면은 베이스(961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표면, 예를 들면, 환자의 치아들 중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설측 면(lingual face)을 대체로 보완하는(complement) 형상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9610)는 경계면 또는 주변부(9616)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결합 아암(9680)이 대체로 이 경계면 또는 주변부(9616) 내에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 부재(9600)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2D® Lingual bracket(베른하르트 포에르슈터 게엠베하(Bernhard Foerster GmbH))일 수 있다.
각각의 결합 아암(9680a, 9680b)은 (예를 들면, 접착제, 용접, 땜납 등을 통하여) 베이스(9610)에 고정된 베이스 부분(9622a, 9622b)(총칭하여 "베이스 부분(9622)")과, 베이스 부분(9622)으로부터 뻗어 있는 결합 부분(9624a, 9624b)(총칭하여 "결합 부분(9624)")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입 속에 배치되면, 결합 부분(9624)은 베이스 부분(9622)보다 환자의 치경으로부터 더 멀 수 있다. 각각의 결합 부분(9624)은 베이스(9610)의 제1 측면(961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곡면, 또는 갈고리(hook)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과 대체로 비슷한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결합 부분(9624)은, 결합 부분(9624)이 폐쇄 상태에서 부착 부분(예를 들면, 부착 부분(9540))이 결합 부분(9624) 아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개방 상태로 일시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게, 가소성이 좋게 및/또는 변형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9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9700)는 도 96에 도시된 고정 부재(9600)와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9700)는 제1 측면(9712), 제2 측면(9714), 및 주변부(9716)를 가진 베이스(97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9722)과 결합 부분(9724)을 포함하는 결합 아암(9780)이 베이스(9710)의 제1 측면(97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6 및 도 9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9600, 9700)는 두 개의 결합 아암(9680) 또는 한 개의 결합 아암(978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본 기술의 고정 부재는 두 개보다 많은 결합 아암(예를 들면, 세 개의 결합 아암, 네 개의 결합 아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8a 내지 도 98d는 각각,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도 95에 도시된 부착 부분과 도 96에 도시된 고정 부재의 등각투영도,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먼저 도 98a를 참조하면, 결합 부분(9624)과 결합 아암(9680)은 부착 부분(9540)의 제2 구역(9556) 위에 배치되어 있고, 결합 아암(9680) 중의 하나는 제1 구역(9554)의 제1 측면에서 제2 구역(9556) 위에 배치되어 있고 결합 아암(9680) 중의 다른 하나는 원위 구역(9554)의 대향하는 제2 측면에서 아암(9556) 위에 배치되어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착 부분(9540)이 상기 고정 부재(9600)에 고정되면, (i) 아암(9556)은 결합 아암(9680) 아래에서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고, (ii) 원위 구역(9554)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결합 아암(9680)의 일부분에 인접해 있다(예를 들면, 근접해 있다). 그렇게 하면, 고정 부재(9600)와 부착 부분(9540)의 구성은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9540)의, 예를 들면, 교합-치경 방향(축 A1으로 표시됨), 근심-원심 방향(축 A2로 표시됨) 및/또는 설측-안면 방향(축 A3으로 표시됨)으로의 또는 이들 방향에 대한 길이방향의 운동 및/또는 회전 운동을 방지하거나 억제한다. 그 결과, 기기가 고정 부재(9600)를 통하여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면, 상기 아암(9530)의 각각을 통하여 제공된 특정 크기와 방향의 힘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각각의 치아로 옮겨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아암(9530)의 각각을 통하여 제공된 특정 크기와 방향의 힘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각각의 치아로 옮겨질 수 있기 때문에, 원래의 치아 배열로부터 최종 치아 배열로의 치아의 이동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요구될 수 있는 것보다 더 작은 크기로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 아암(9680)은 상기 결합 아암(9680)이 부착 부분(9540)의 원위 구역(9554) 및/또는 근위 구역(9552)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부착 부분(9540)의 원위 구역(9554) 및/또는 근위 구역(9552)에 병치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측면(9625a, 9625b)(총칭하여 "측면(96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8b 및 도 98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9540)이 고정 부재(9600)에 결합되면, 결합 아암(9680)의 측면(9625)은 부착 부분(9540)과 병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부착 부분(9640)에 대한 고정 부재(9600)의 길이방향의 이동 및/또는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부착 부분(9540)이 결합 아암(968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직접 접촉할 수 있거나, 결합 아암(9680)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하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이 충분히 억제된다.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는, 예를 들면, 약 0.01 밀리미터(mm), 약 0.1mm, 약 1mm, 약 2mm, 또는 약 3mm 미만, 또는 약 0.01mm 내지 3mm 사이의 임의의 증분 값일 수 있다. 부착 부분(9540)과 결합 아암(9680)의 병치는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끼워지고 고정 부재(9600)에 결합되어 있을 때 아암(9530)을 통하여 제공된(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심-원심 축을 따라 또는 그 둘레로 및/또는 교합-치경 축 둘레로 제공된) 특정 크기와 방향의 힘이 각각의 치아로 실질적으로 옮겨지는 것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98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9540)의 원위 구역(9554)과 아암(9556) 각각의 두께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원위 구역(9554)과 아암(9556)의 두께는, 예를 들면, 원위 구역(9554)이 아암(9556)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거나, 그 반대의 경우와 같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고정 부재(9600)의 베이스(9610)의 두께는 부착 부분(9540) 및/또는 결합 아암(9680)의 두께보다 대체로 더 얇을 수 있다. 도 98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위 구역(9554) 및 아암(9556)은 베이스(9610)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이는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9540)의 설측-안면 방향으로 및/또는 근심-원심 축 둘레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8d는 도 98a 내지 도 98c에 도시된 부착 부분(9540) 및 고정 부재(9600)의 측면도이다. 도 98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결합 아암(9680)은 베이스(9610)의 제1 측면(9612)과 병치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9610)에 인접한 한 단부(예를 들면, 교합 단부(occlusal end))에 있는 결합 아암(9680)의 표면(9625c), 및/또는 베이스(9610)에 인접한 다른 단부(예를 들면, 치경 단부)에 있는 결합 아암(9680)의 표면(9625d)은 각각 베이스(9610)의 제1 표면(9612)과 인접할 수 있다. 또한 도 98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결합 아암(9680)은 부착 부분(9540)의 아암(9556)의 일부분과 병치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결합 아암(9680)의 결합 부분(9624)의 최내측 표면(9625e)이 부착 부분(9540)의 아암(9556)과 인접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아암(9556) 주위에 결합 아암(9680)을 위치시키는 것은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9540)의, 예를 들면, 교합-치경 방향으로 및/또는 근심-원심 축 둘레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여전히 도 98d를 참조하면, 베이스(9610)의 제2 측면(9614)은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해 위치 및/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 제2 측면(9614)은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의 설측면 또는 협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9610), 보다 일반적으로 고정 부재(9600) 및 부착 부분(9540)은, 부착 부분(9540)이 고정 부재(9600)에 고정되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합-치경 방향(예를 들면, 수직 배향으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9600) 및 부착 부분(9540), 또는 그 일부분은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의 설측 표면 또는 협측 표면에 대체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9 내지 도 104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부착 부분 및 고정 부재의 다양한 실시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부착 부분은, 예를 들면, 복수의 결합 아암(9680)을 가진 고정 부재(9600), 한 개의 결합 아암(9780)을 가진 고정 부재(9700), 또는 다른 적절한 결합 구성과 같은 고정 요소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9 내지 도 10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부착 부분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기기의 각각의 아암(예를 들면, 아암(9530))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도 99 내지 도 10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각각의 부착 부분은, 부착 부분을 통하여 가해진 부하 및/또는 방향이 대응하는 고정 부재를 통하여 환자의 치아로 실질적으로 옮겨지도록 대응하는 고정 부재에 대한 부착 부분의 길이방향의 이동 및/또는 회전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9 내지 도 104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부착 부분은 대응하는 고정 부재(9600 또는 9700)의 표면과의 부착 부분의 접촉 구역에 인접하게 하거나 배치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를 달성한다.
도 99에 도시된 부착 부분(9940)은 고정 부재(9600)와 같은 대응하는 고정 부재에 대한 부착 부분(9940)의 병진 이동 및/또는 회전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9940)은 함께 직사각형 형상의 폭을 한정하는 내측 둘레부(9902)와 외측 둘레부(9904)에 의해서 형성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착 부분(9940)은 원위 구역(9956a), 측방향 구역(9956b, 9956c), 및/또는 근위 구역(9956d)(총칭하여 "구역(9956)")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9940)은 상기 구역(9956a, 9956b, 9956c, 및 9956d) 사이에 프레임 부분(9970)을 가질 수 있다. 원위 아암(9954)은 원위 구역(9956a)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결합 아암(9680)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위 아암(9954)은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9940)의 과도한 측면 병진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결합 아암(9680)의 내부 표면(9625a 및/또는 9625b)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방향 구역(9956b 및/또는 9956c)은 부착 부분(9940)의 과도한 측면 병진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아암(9680)의 외부 표면(9662)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방향 구역(9956b 및/또는 9956c)은 부착 부분(9940)의 근위 및/또는 원위 병진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쇼울더 구역(shoulder region)을 형성하도록 원위 아암(9954)과 만난다. 몇몇 실시례에서, 근위 아암(9964)은 근위 구역(9956d)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결합 아암(9680)은 도 9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994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9940)의 하나 이상의 구역은 고정 부재(9600)의 하나 이상의 구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 부분(9940)의 측방향 구역(9956b, 9956c)의 내측 둘레부(9902)의 일부분은 부착 부분(9940)이 고정 부재(9600)에 결합되면 고정 부재(9600)의 대응하는 외부 표면(9962a, 9962b)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0은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10040)의 측방향 병진이동을 더욱 제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원위 아암(10054)을 가진 부착 부분(10040)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0040)은 도 99와 관련하여 설명한 구역(9956)과 같은 원위 구역, 측방향 구역 및 근위 구역(10056a, 10056b, 10056c, 10064)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0040)은 도 10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두 개의 원위 아암(10054)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0040)은 두 개보다 많은 원위 아암(1005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10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위 아암(10054)은 결합 아암(9680)의 외부 표면(9662)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상기 외부 표면(9662)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아암(10054), 원위 구역(10056a), 및/또는 측방향 구역(10056b, 10056c)은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10040)의 병진이동 및/또는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 부재(9600)의 결합 아암(9680)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10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0140)은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10140)의 근위 및/또는 원위 병진 이동을 더욱 제한하기 위해서 고정 부재(9600)의 결합 아암(9680)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복수의 프레임 부분(10170, 101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1에 도시된 부착 부분(10140)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원위 구역(10156a), 측방향 구역(10156b, 10156c) 및 근위 구역(10156d)(총칭하여 "구역(10156)")을 포함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부착 부분(10140)은 측방향 구역(10156b, 10156c) 사이에 뻗어 있으며 원위 구역(10156a)과 근위 구역(10156d) 사이에 위치된 중간 구역(10156e)을 가지고 있다. 중간 구역(10156e)은 고정 부재(9600)의 결합 아암(9680)의 결합 구역(9624)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9 및 도 100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역(10156)은 원하는 결합의 보장(security)에 기초하여 결합 아암(9680)과 접촉하거나 이에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역(10156)을 결합 아암(9680)의 각각의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부착 부분(10140)은 고정 부재(9600)에 대한 부착 부분(10140)의 병진이동 및/또는 회전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위 아암(10164)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아암을 형성하기 위해서 근위 구역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본 기술의 연결기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2 내지 도 104에 도시된 본 기술의 실시례는 한 개의 결합 아암(9780)을 가진 고정 부재(9700)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도 102를 참고하면, 부착 부분(10240)은 원위 구역(10256a), 측방향 구역(10256b, 10256c) 및 근위 구역(10256d)(총칭하여 "구역(10256)")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분(10240)은 근위 돌출부(10264)를 통하여 아암을 형성하기 위해 본 기술의 연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부분(10240)은 원위 구역(10256a)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위 아암(10254a, 10254b)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아암(10254a, 10254b)은 고정 부재(9700)에 대한 부착 부분(10240)의 측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결합 아암(9780)의 표면(9756a, 9756b)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부착 부분(10240)이 결합 아암(9780)으로부터 이격된 구역(10256)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몇몇 실시례에서 하나 이상의 구역(10256)이 결합 아암(9780)과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개의 결합 아암(9700)을 가진 고정 부재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부착 부분, 예를 들면 도 103에 도시된 부착 부분(10340)은, 부착 부분(10340)이 고정 부재(9700)에 결합될 때, 부착 부분(10340)의 병진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9700)의 결합 아암(9780)의 각각의 표면이 부착 부분(10340)의 한 구역과 인접하도록 복수의 프레임 구역(977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부분(10340)은 원위 구역(10356a), 근위 구역(10356d), 및 원위 구역(10356a)과 근위 구역(10356d) 사이에 위치된 중간 구역(10356e)(총칭하여 "구역(10356)")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구역, 근위 구역 및 중간 구역(10356a, 10356d, 10356e) 각각은 도 10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측방향 구역(10256b, 10256c) 사이에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0340)의 각각의 구역은 부착 부분(10340)의 병진이동에 대한 한계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 아암(9780)의 대응하는 표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위 구역(10356a) 및 근위 구역(10356d)은 부착 부분(10340)의 근위 및/또는 원위 병진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결합 아암(9780)의 원위 표면(9756c)과 근위 표면(9756d)에 각각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방향 구역(10356b, 10356c)은 부착 부분(10340)의 중앙 및/또는 측방향 병진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결합 아암(9780)의 측방향 표면(9756a, 9756b)과 인접할 수 있다. 중간 구역(10356e)은, 예를 들면 도 98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0340)의 근위 및/또는 원위 병진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결합 아암(9780)의 내부 표면(9756e)과 인접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프레임 부분(9770, 9772)의 크기는 고정 부재(9700)에 결합될 때 상기 구역(10356)이 결합 아암(978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구역(10356)과 결합 아암(9780)의 표면 사이의 간격 또는 그것의 부족은 부착 부분(10340)과 고정 부재(9700) 사이의 의도된 결합의 보장에 기초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도 104에 도시된 부착 부분(10440)과 같은 부착 부분은 연결의 보장을 높이기 위해 고정 부재(예를 들면, 고정 부재(10400))의 보다 넓은 영역(area)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10400)는 도 10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대체로 둥근 형상과 한 개의 결합 아암(10480)을 가질 수 있다. 부착 부분(10440)은 도 102에 도시된 부착 부분(10240)과 대체로 유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 부분(10440)은 원위 구역(10456a), 측방향 구역(10456b, 10456c), 및 근위 구역(10456d)(총칭하여 "구역(104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역(10456)은 함께 프레임 구역(10470)을 한정할 수 있다. 부착 부분(10440)은 근위 구역(10456d)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뻗어 있는 근위 아암(10464) 및/또는 원위 구역(10456a)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원위 아암(10454a, 1045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위 아암(10454a, 10454b)은 원위 구역(10456a)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각도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예를 들면, 95도, 100도, 105도, 110도 등). 상기 각도는 부착 부분(10440)이 고정 부재(10400)에 결합될 때, 부착 부분(10440)의 병진이동을 더욱 억제하고, 결합의 보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부착 부분(10440)이 고정 부재(10400)의 보다 넓은 영역과 맞물리도록 부착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증가될 수 있다.
도 105는 본 기술의 실시례들에 따라 구성된 위치결정 기구(positioning device)(10500)의 등각투영도이다. 위치결정 기구(10500)는 환자의 치아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유지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환자의 치아에 대한 고정 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10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위치결정 기구(10500)는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 이상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제1 부분(10505)과, 제1 부분(10505)에 결합된, 각각 고정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2 부분(1051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 기구(10500)는 환자의 치아의 전체 또는 일부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는 대체로 꼭 맞는 끼워맞춤(snug fit)을 제공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 윤곽(dental topography)에 대체로 부합한다. 몇몇 실시례에서, 위치결정 기구(10500)는 치경에 가장 가깝고 환자의 치아(T)의 설측 표면에 인접한 위치결정 기구(10500)의 표면이 환자의 치아(T)의 중간 부분(예를 들면, 환자의 치경 또는 그 아래가 아님)에 위치되도록 환자의 치아(T)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9600)는 도 96 및 도 98a 내지 도 98d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된 것에 해당한다. 하지만,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9600)는 도 97에 도시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 부재(960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고정 부재들 중의 임의의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제2 부분(10510)은 그러한 고정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치결정 기구(10500)는 실리콘, 플라스틱, 폴리머, 및/또는 다른 유연한 비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10505, 10510)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0505)은 제1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부분(10510)은 제1 재료와 다른 제2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10505, 10510)은 한 개의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부분(10510)은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T) 위에 배치될 때 제2 부분(10510)이 대체로 설측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부분(10505)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및/또는 제1 부분(10505)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10505)은 각각이 환자의 치아(T) 중의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위치결정 기구(10500)는 특정 환자의 치아(T)에 맞게 맞춤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0505)의 각각의 구역의 교합쪽을 향하는 표면(occlusal-facing surface)은 위치결정 기구(10500)가 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치아의 각각의 교합면(S)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위치결정 기구(10500)는, 예를 들면, 제2 부분(10510)에 의해 수용된 고정 부재(9600)가 적절하게, 예를 들면 환자의 치아(T)의 설측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T) 위에 단단히 끼워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일단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T) 위에 위치되고 및/또는 고정 부재(9600)가 적절하게, 예를 들면, 환자의 치아(T)의 설측 표면 위에 위치되면, 고정 부재(9600)는 환자의 치아(T) 중의 각각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고(예를 들면, 고정 부재(9600)를 에너지 또는 자외선(UV) 광에 노출시킴으로써), 그 후 고정 부재(9600)가 환자의 치아(9600)에 남아 있도록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T)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고정 부재(9600)를 환자의 치아(T)에 위치시키고 및/또는 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이러한 프로세스는 종종 "간접 접합(indirect bonding)" 또는 IDB로 지칭된다. 고정 부재(9600)를 환자의 치아(T)에 부착한 후, 치열 교정 기기(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기술된 임의의 기기(100))가 고정 부재(9600)에 결합되어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배열(예를 들면, 최종 치아 배열)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위치결정 기구(10500) 자체는 주로 환자의 치아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도 106a는 도 105에 도시된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예시를 위해, 고정 부재(9600)는 도 105에서 제거되어 있다. 도 106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위치결정 기구(10500),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1 부분(10505)은 하나 이상의 공동(10515a, 10515b, 10515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공동(10515a-c)은 각각의 공동(10515a-c)이 위에 배치될 환자의 각각의 치아에 대응할 수 있다. 각각의 공동(10515a-c)은 함께 위턱 또는 아래턱을 따라 환자의 치아를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 개의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6b는 도 105에 도시된 제2 부분(10510)의 확대 등각 투영도이다. 예시를 위해 제1 부분(10505)은 도 106b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06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9600)는 제2 부분(10510)에 결합되어 제2 부분(10510)에 의해 수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9600)는 베이스(9610)와, 베이스(96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결합 아암(968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예를 들면, 도 106c-106e와 관련하여), 베이스(9610)는 제2 부분(10510)의 한쪽에 있는 공동 내에 수용되고, 각각의 결합 아암(9680)은 제2 부분(10510)의 반대쪽에 있는 제2 부분의 각각의 채널에 배치된다.
도 106c 및 도 106d는 고정 부재(9600)가 없는 상태의 도 105에 도시된 제2 부분(1051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6c는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1 측면(10512a)을 나타내고 있고 도 106d는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2 측면(10512b)을 나타내고 있다.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되면,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1 측면(10512a)은 대체로 설측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2 측면(10512b)은 대체로 협측(또는 안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먼저 도 106c를 참조하면, 제2 부분(10510)은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구역(10516)(예를 들면, 중간 구역 또는 부재)과, 제1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구역(10520)(예를 들면, 측방향 구역 또는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구역(10516)은 제2 구역(10520)과 대체로 직교하거나 약 60도 내지 120도 사이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될 수 있다. 제2 부분(10510)은 제1 구역(10516)의 둘레에 있으며 대체로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3 구역(10518a, 10518b)(예를 들면, 둘레 구역 또는 부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예를 들면,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될 때, 제1 구역(10516) 및 제3 구역(10518a-b)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제2 구역(10520)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제1 구역(10516)과 제2 구역(10520), 그리고 몇몇 실시례에서 제3 구역(10518a-b)은 대체로 하나 이상의 채널(10522a, 10522b)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6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구역(10516), 제3 구역(10518a) 및 제2 구역(10520)의 일부는 제1 채널(10522a)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구역(10516), 제3 구역(10518b) 및 제2 구역(10520)의 일부는 제2 채널(1052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10522b)은 제1 채널(10522a)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1 채널 및 제2 채널(10522a-b) 각각은 고정 부재(예를 들면, 도 106b의 고정 부재(9600))의 각각의 부분(예를 들면, 도 106b의 결합 아암(968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6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부분(10510)은 상기 채널(10522a-b)의 각각 내에 배치된 브래킷 수용 부분(1053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수용 부분(10530)은 고정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고 및/또는 고정 부재를 제2 부분(10510)에 (그리고 그 안에서 위치결정 기구(1050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오목부(1053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브래킷 수용 부분(10530)은 또한 오목부(10532)에 인접해 있고 채널(10522a-b)의 입구에 더 가까운 곡면(10534)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수용 부분(10530)의 최외측 표면은 제2 부분(10510)의 베이스 표면(10514a)으로부터 거리 D2만큼 이격될 수 있으며, 거리 D2는 베이스 표면(10514a)과 제1 구역(10516) 또는 제3 구역(10518a-b)의 최외측 표면 사이에 걸쳐 있는 거리 D1보다 작을 수 있다.
작동시에, 브래킷 수용 부분(10530)은 고정 부재(9600)의 각각의 결합 아암(9680)(도 106b)이 각각의 채널(10522a-b)에 의해 수용되어 각각의 브래킷 수용 부분(10530)과 맞물리도록 고정 부재(9600)(도 106b)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결합 아암(9680)이 각각의 오목부(10532)에 접근함에 따라, 곡면(10534)은 각각의 결합 아암(9680)이 각각의 오목부(10532)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결합 아암(9680)을 고정 부재(9600)의 베이스(9610)(도 106b)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키고, 각각의 결합 아암(9680)이 각각의 오목부(10532)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각각의 결합 아암(9680)은 오목부(10532)에 스냅결합되고 및/또는 오목부(10532)를 통하여 제2 부분(10510)에 (그리고 그 안에서 위치결정 기구(10500)에) 고정된다. 각각의 결합 아암(9680)이 오목부(10532)에 스냅결합되고 및/또는 오목부(10532)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 아암은 자신의 디폴트 휴지 위치(default, at-rest position)에 대해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06d는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2 부분(10510)의 제2 측면(10512b)을 나타내고 있다. 제2 측면(10512b)은 베이스(9610)(도 106b)가 베이스 표면(10514a)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고정 부재(9600)(도 106b)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사 말해서, 제2 부분(10510)은 베이스(9610)가 베이스 표면(10514a)에 의해 한정된 평면의 한 쪽에 배치되고, 결합 아암(9680)이 상기 평면의 반대쪽에 배치되도록 고정 부재(96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6e는 제2 부분(10510)의 제2 측면(10512b)의 다른 도면이고,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1 부분(10505)과 통합된 제2 부분(10510)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6e는 또한 제1 구역(10516), 제3 구역(10518a-b), 채널(10522a-b) 및 브래킷 수용 부분(10530)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1 측면(10512a)의 부분들을 나타내고 있다. 제2 부분(10510)의 제2 측면(10512b)은 베이스 표면(10514a)으로부터 뻗어 있고 고정 부재(96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동(10540)을 포함하고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2 측면(10512b) 및/또는 공동(10540)의 최외측 표면은 베이스 표면(10514a)으로부터 거리 D3만큼 이격될 수 있고, 채널(10522a-b)의 입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거리 D3는 고정 부재(9600)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거나, 몇몇 실시례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될 고정 부재(9600)의 배면이 예를 들면 제2 측면(10512b)의 최외측 표면을 넘어서 공동(10540)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고정 부재(9600)의 베이스(961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거리 D3 및/또는 최외측 표면의 테이퍼링(tapering)으로 인해 고정 부재(9600)가 제2 부분(10510)에 의해 수용되고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 위에 위치될 때, 고정 부재의 배면이 환자의 치아의 각각에 보다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다(예를 들면, 직접 맞물릴 수 있다).
도 107a 내지 도 107c는 고정 부재(9600)를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7a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은, 위치결정 기구(1050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07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위치결정 기구(10500)는 제1 부분(10505) 및 제2 부분(1051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 부재(9600)는 제2 부분(10510) 내에 위치되고 및/또는 제2 부분(10510)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고정 부재(9600)는, 고정 부재(9600)의 결합 아암(9680)이 제2 부분(10510)의 제1 측면(예를 들면, 설측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고 고정 부재(9600)의 베이스(9610)가 제2 부분(10510)의 제2 측면(예를 들면, 협측 또는 순측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도록 각각의 제2 부분(10510)에 의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9600)는 복수의 결합 아암 또는 부분(예를 들면, 도 107a에 도시되어 있는 것) 또는 한 개의 결합 아암 또는 부분(예를 들면, 도 97에 도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7b는 환자의 치아 또는 치열(T) 위에 배치된 위치결정 기구(10500)의 등각투영도이다. 예를 들면,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1 부분(10505)은 환자의 치아(T) 위에 배치되고 위치결정 기구(10500)의 제2 부분(10510)은 대체로 환자의 치아(T)의 설측 표면 위에 또는 환자의 치아(T)의 설측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 부분(10510) 내에 배치된 고정 부재(9600)는 각각의 고정 부재(9600)의 배면이 고정 부재가 부착되어야 하는 곳의 환자의 치아(T) 각각의 부분에 맞물리도록(예를 들면, 직접 맞물리도록) 환자의 치아(T)의 설측 표면 위에 위치되거나 배치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T) 위에 배치되면, 제2 부분(10510) 및/또는 고정 부재(9600)는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배향된다. 일단 위치결정 기구(10500)가 환자의 치아(T) 위에 배치되면, 고정 부재(9600)는, 예를 들면 각각의 고정 부재(9600)의 배면에 배치된 접착제 및/또는 경화가능한 물질을 통하여 환자의 치아(T)에 부착(예를 들면,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은 복합 레진, 세라믹, 및/또는 다른 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이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dimethacrylate monomers), 충전재(예를 들면, 실리카), 및/또는 UV 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예를 들면, 접합을 위한)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9600)를 환자의 치아(T)에 부착하는 것은 고정 부재(9600) 상에 배치된 경화가능한 물질을 포함하여 고정 부재(9600)를 에너지원(예를 들면, UV 광)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9600)를 환자의 치아(T)에 부착한 후, 위치결정 기구(10500)는 고정 부재(9600)가 환자의 치아(T)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환자의 치아(T)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07c는 위치결정 기구(10500)가 제거된 후 부착된 고정 부재를 가진 환자의 치아(T)의 등각투영도이다.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9600)가 환자의 치아(T)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위치결정 기구(10500)를 제거하는 것은 환자의 치경 및/또는 환자의 치아(T)에 부착된 고정 부재(9600)로부터 멀어지는 일반적인 교합 방향으로 위치결정 기구(10500)를 이동시키거나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부재(9600)로부터 위치결정 기구(10500)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위치결정 기구(10500)를 고정 부재(9600)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전에, 결합 아암의 단부 부분(예를 들면, 환자의 치경에 더 가까운 결합 아암의 단부 부분)을 아래로 눌러서, 결합 아암의 반대쪽 단부가 제2 부분(10510)으로부터 분리되게(예를 들면, 제2 부분(10510)의 오목부(10532)(도 106c)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각각의 고정 부재(9600)가 각각의 제2 부분(10510) 및/또는 위치결정 기구(10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 부재(9600)가 환자의 치아(T)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위치결정 기구(10500)가 제거되면, 치열 교정 기기(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음)가 고정 부재(9600)에 결합되어 환자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위치조정할 수 있다.
도 108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예시적인 치열 교정 기구(10800)의 등각투영도이다. 치열 교정 기구(10800)는 도 105 내지 도 107c와 관련하여 기술한 위치결정 기구(10500)의 특징과 대체로 유사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치열 교정 기구(10800)는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10510)을 포함하는 쉘(shell), 캡(cap) 또는 쉘형 정렬기(shell-type aligner)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치열 교정 기구(10800)는 앞에서 설명한 제1 부분(10505)과 대체로 유사한 제1 부분(10805)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도 10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인접한 제2 부분(10510a, 10510b) 사이의 제1 부분(10805)의 영역(10810)이 제거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치열 교정 기구(10800)의 인접한 제2 부분(10510a-b) 사이의 영역(10810)은 제2 부분(10510)에 인접한 대응하는 치아 또는 치아들이 위치결정 기구(10500) 및/또는 제1 부분(10505)(앞에 설명되어 있음)에 의해 덮인 치아에 비해 더 많이 노출되도록 실질적으로 재료가 없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의 후면은 위치결정 기구(10500)에 비해 치열 교정 기구(10800)에 더 많이 노출된다. 이와 같이, 치열 교정 기구(10800)의 경우, 고정 부재를 UV 광 또는 에너지원에 노출시킴으로써 환자의 각각의 치아에 고정 부재를 부착할 때, 의사가 고정 부재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거나 고정 부재를 UV 광 또는 에너지에 보다 쉽게 노출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정 부재가 환자의 치아에 적절하게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도 109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구(10900)의 등각 투영도이다. 치열 교정 기구(10900)는 도 105 내지 도 107c와 관련하여 설명한 위치결정 기구(10500)의 특징과 대체로 유사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치열 교정 기구(10900)는 환자의 치아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10505)(또는 제1 부분(10805))을 포함하는 쉘(shell), 캡(cap) 또는 쉘형 정렬기(shell-type aligner)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치열 교정 기구(10900)는 앞에서 설명한 제2 부분(10510)과 대체로 유사한 제2 부분(10910)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도 109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부분(10910)은 제2 부분(10510)의 일정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9a에 도시된 치열 교정 기구(10900)의 일부분의 확대도인 도 109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치열 교정 기구(10900)의 제2 부분(10910)은 제1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구역(10516)(예를 들면, 중간 구역 또는 부재)과, 제1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예를 들면, 60도 내지 120도)로 제2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구역(10520)(예를 들면, 측방향 구역 또는 부재)을 포함하고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몇몇 실시례에서 제1 구역(10516)은 제2 구역(10520)과 대체로 직교할 수 있다. 도 105 내지 도 107c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2 부분(10910)에 대해, 도 109b의 제2 부분(10910)은 제3 구역(10518a-b)을 생략하고 있다. 도 109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2 부분(10910)은 또한 제1 구역 및 제2 구역(10516, 10520)에 인접한, 예를 들면, 제1 구역(10516)과 제2 구역(10520)의 교차점에 근접한 브래킷 수용 부분(105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제2 부분(10910)은 고정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의 배면을 더 잘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를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는 것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위치결정 기구(10500)에 비해, 치열 교정 기구(10900)를 사용하는 의사에게 더 쉬울 수 있다.
도 110 내지 도 113은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100)의 예시적인 아암(130)의 등각투영도이다. 먼저 도 110을 참조하면, 아암(130)은 도 95와 관련하여 앞에 기술되어 있는 것 및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대체로 유사한 많은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아암(130)은 고정기구(120)에 결합되고, 고정기구(120)로부터 뻗어 있는 탄성가압 부분(150) 및 탄성가압 부분(150)으로부터 뻗어 있는 부착 부분(11040)을 포함하고 있다. 아암(130),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부착 부분(11040)은 개구 또는 슬롯(110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090)는 부착 부분(11040) 및/또는 부착 부분(11040)의 베이스 구역(9652)을 관통하여 뻗어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구(11090)는 부착 부분(11040)의 제2 구역(1105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개구(11090)는,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 내에 설치될 때, 개구(11090)가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기다란 개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개구(11090)는 오퍼레이터가 상기 기기(100) 및/또는 각각의 아암(130)을 환자의 치아에 대하여 위치시키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치열 교정 공구의 일부분(예를 들면, 단부 부분)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1은 도 110의 아암(130)과 유사하지만 돌출부 또는 돌출 부재(11194)를 더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아암(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11194)는 고정기구(120)와 부착 부분(11040) 사이의 아암(130)에 위치되어 있다. 돌출부(11194)는 아암(130)에서 돌출부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각도(예를 들면, 약 90도 또는 60도 내지 도 120도)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1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11194)는 기다란 직선 아암일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돌출부(11194)는 굴곡부 또는 만곡부, 및/또는 "L"자 또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돌출부(11194)는 대체로 근심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11194)는 치열 교정 공구(예를 들면, 개구(11090)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동일한 치열 교정 공구)가 돌출부(11194)를 통하여 상기 기기(100) 및/또는 각각의 아암(13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12는 도 111의 아암(130)과 유사하지만 다른 돌출부(11294)를 더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아암(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11294) 각각은 아암(130)의 양 측에 위치되어 있고 부착 부분(11040) 및/또는 탄성가압 부분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돌출부(11294) 각각(예를 들면, 하나 또는 둘 다)은 아암(130)에서 각각의 돌출부(11294)가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일정 각도(예를 들면, 약 90도 또는 60도 내지 120도)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1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11294)는 각각 기다란 직선 아암일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돌출부(11294) 각각은 굴곡부 또는 만곡부, 및/또는 "L"자 또는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에 설치되면, 돌출부(11294)는 대체로 근심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돌출부(11294)는 치열 교정 공구(예를 들면, 개구(11090)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동일한 치열 교정 공구)가 돌출부(11294)를 통하여 상기 기기(100) 및/또는 각각의 아암(13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체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13은 도 112의 아암(130)과 유사하지만 개구(11090)가 없는 다른 예시적인 아암(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4 및 도 115는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와 함께 사용될 치열 교정 공구(11400, 11500)의 정면도이다. 도 11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치열 교정 공구(11400)는 손잡이(11410) 및 손잡이(11410)로부터 뻗어 있는 원위 구역(11420)을 포함하고 있다. 원위 구역(11420)은 단부 부분(1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치열 교정 공구(11500)는 손잡이(11410) 및 손잡이(11410)로부터 뻗어 있는 원위 구역(11520)을 포함하고 있다. 원위 구역(11520)은, 예를 들면, 의사로 하여 치열 교정 기기를 더 잘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위치시킬 수 있게 하거나 및/또는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만곡부 또는 회전 조인트(swivel)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만곡부 또는 회전 조인트는 원위 구역(11520)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원위 구역(11520)은 또한 단부 부분(11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6의 단부 부분(11430/11530)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단부 부분(11430/11530)은 상기 공구의 오목한 단부 표면(11650)에 의해 형성된 노치(1160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11602)는 상기 공구의 두께(또는 깊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고 측벽(11645a, 11645b)에 의해 제한된 폭을 가질 수 있다. 단부 부분(11430/11530)은 최외측 폭(W1) 및 깊이(D1)를 포함할 수 있고, 노치(11602)는 폭(W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폭(W1)은 아암(130)의 개구(11090)의 크기와 대략 동일할 수 있고(예를 들면, 도 11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에 의해 상기 공구(11400 또는 11500)의 단부 부분(11430/11530)이 상기 기기(100)의 아암(130)을 조작하거나, 위치시키거나 및/또는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몇몇 실시례에서, 폭(W2)은 돌출부 또는 돌출부들이 위치되어 있는 곳의 원위 또는 근위에 있는 아암(130)(예를 들면, 도 110 내지 도 113에 도시된 아암(130)) 부분의 단면 크기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해당 공구의 단부 부분(11430/11530)이 상기 기기(100)의 아암(130)을 조작하거나, 위치시키거나 및/또는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17 및 도 118은 본 기술의 치열 교정 기기와 함께 사용되는 치열 교정 공구(11700)(예를 들면, 치열 교정 공구(11400 또는 11500))의 도면이다. 도 11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치열 교정 공구(11700)의 단부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기(100)의 아암(130)의 개구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치열 교정 공구(11700)의 단부 부분은 대응하는 부착 부분 및/또는 아암의 돌출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의사는 치열 교정 공구(11700)를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아암(130)을 가압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본 기술의 부착 부분은 환자의 치아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특히 적합한 고정 부재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9a는 환자의 치아를 교합-치경 방향 및/또는 협측-설측 방향에 대해 근심-원심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시키도록 만들어진 고정 부재(11900)를 나타내고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선호하는 방향은 교합-치경 방향, 협측-설측 방향, 및/또는 근심-원심 축, 교합-치경 축 및/또는 협측-설측 축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일 수 있다. 도 119b에 도시된 부착 부분(11940)과 같은 본 기술의 부착 부분은, 도 119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11900)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1900) 및/또는 부착 부분(11940)의 일부분은 근심-원심 방향으로 치아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1 강성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고정 부재(11900) 및/또는 부착 부분(11940)의 다른 부분은 교합-치경 방향 및/또는 협측-설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더 큰 제2 강성을 가진다.
도 119a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심-원심 방향으로 치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고정 부재(11900)의 등각투영도이다. 고정 부재(11900)는 제1 측면(11907) 및 제2 측면(11909)을 가진 베이스 구역(11905)과, 베이스 구역(11905)의 제1 측면(11907) 위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구역(11905)의 제1 측면(11907)과 결합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1910a, 11910b)(총칭하여 "돌출부(11910)")를 포함하고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베이스 구역(11905)과 돌출부(11910)는 연속 표면을 가지는 단일 구조(예를 들면, 한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측면(11909)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접착제를 통하여 환자의 치아에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910a)는 베이스 구역(11905)의 제1 측면(11907)으로부터 멀어지게(예를 들면, 순측-안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부분(11912a)과, 제1 부분(11912a)으로부터 베이스 구역(11905)의 중심 영역쪽으로(예를 들면, 근심-원심 방향으로) 및/또는 제2 돌출부(11910b)쪽으로 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1191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11910b)는 베이스 구역(11905)으로부터 멀어지게(예를 들면, 순측-안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부분(11912b)과, 제1 부분(11912b)으로부터 베이스 구역(11905)의 중심 영역쪽으로(예를 들면, 근심-원심 방향으로) 및/또는 제1 돌출부(11910a) 쪽으로 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11914b)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11912a), 제2 부분(11914a) 및 제1 측면(11907a)은 제1 개구 또는 공극(11916a)을 형성하고, 제1 부분(11912b), 제2 부분(11914b) 및 제1 측면(11907)은 제2 개구 또는 공극(11916b)을 형성한다. 제1 개구 및 제2 개구(11916a, 11916b)(총칭하여 "개구(1191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치열 교정 기기의 부착 부분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9b는 도 119a에 도시된 고정 부재(11900)와 같은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착 부분(1194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9b에서, 부착 부분(11940)은, 부착 부분(11940)과 함께, 고정기구(11920)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11930)을 구성하는 구불구불한 탄성가압 부분(1195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분(1194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아암 구성 중의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연결기 중의 임의의 것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19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1940)은 공통 지점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그리고 대체로 탄성가압 부분(11950) 및/또는 고정기구(11920)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기구(11920), 탄성가압 부분(11950) 및 부착 부분(11940)은 연속 표면을 가지는 단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9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연장부(11970a)는 제1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기다란 부재, 근위 아암(11972a), 근위 아암(11972a)으로부터 이격된 원위 아암(11974a) 및 근위 아암(11972a)과 원위 아암(11974a) 사이의 개구(1197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위 아암 및 원위 아암(11972a, 11974a)은 제1 방향에 대해 각을 이루거나 및/또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제2 연장부(11970b)는 제3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다란 부재뿐만 아니라, 근위 아암(11972b), 근위 아암(11972b)으로부터 이격된 원위 아암(11974b) 및 근위 아암(11972b)과 원위 아암(11974b) 사이의 개구(11976b)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아암 및 원위 아암(11972b, 11974b)은 제3 방향에 대해 각을 이루거나 및/또는 제3 방향과 직교하는 제4 방향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2 방향과 제4 방향은 대체로 근심-원위 방향이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연장부(11970a)는 축(A1)에 대한 제2 연장부(11970b)의 대체로 거울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방향 및 제3 방향의 적어도 일부는 축(A1)과 대체로 평행할 수 있다. 도 119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가 뻗어 있는 제1 방향과 제3 방향의 일부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가 서로 대체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가압되도록 축(A1)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장부(11970a)는 근심 방향으로 탄성가압될 수 있고 제2 연장부(11970b)는 원심 방향으로 탄성가압될 수 있다. 제1 연장부 및/또는 제2 연장부(11970a, 11970b)의 탄성가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11900)에 부착 부분(119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9c는 선호하는 근심-원심 방향으로 치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부착 부분(11940) 및 고정 부재(1190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19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1940)은 고정 부재(119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분(11940)의 제1 연장부(11970a)의 개구(11976a)(도 119b)는 근위 아암 및 원위 아암(11972a, 11974a)이 제1 돌출부(11910a)의 양 측면에 제1 돌출부(11910a)와 병치되어 위치되게 구성되도록 고정 부재(11900)의 제1 돌출부(11910a)의 개구(11916a)(도 119a)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분(11940)의 제2 연장부(11970b)의 개구(11976b)(도 119b)는 근위 아암 및 원위 아암(11972b, 11974b)이 제2 돌출부(11910b)의 양 측면에 제2 돌출부(11910b)와 병치되어 위치되게 구성되도록 고정 부재(11900)의 제2 돌출부(11910b)의 개구(11916b)(도 119a)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11900)의 제1 돌출부(11910a)와 제2 돌출부(11910b) 사이의 측방향 거리는, 부착 부분(11940)이 고정 부재(11900)에 결합될 때 부착 부분(11940)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가 압축되게 구성되도록 부착 부분(11940)의 개구(11976a, 11976b) 사이의 측방향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는 고정 부재(11900)에 부착 부분(11940)의 결합을 보장하고 근심-원심 축, 교합-치경 축, 및/또는 설측-안면 축을 따라 또는 그 둘레로 고정 부재(11900)에 대한 부착 부분(11940)의 병진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11910a, 11910b)에 근심-원심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와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1910a, 11910b)의 맞물림은 또한 기기로부터 환자의 치아로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20a는 치아를 선호하는 근심-원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고정 부재(12000)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12000)는 앞에서 설명한 고정 부재(11900)의 특징과 대체로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12000)는 베이스 구역(12005), 제1 돌출부(12010a), 제2 돌출부(12010b), 제3 돌출부(12010c) 및/또는 제4 돌출부(12010d)(총칭하여 "돌출부(120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0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3 돌출부(12010c)는 제1 돌출부(12010a)로부터 이격되어 개구(12015a)를 형성할 수 있고 및/또는 제4 돌출부(12010d)는 제2 돌출부(12010b)로부터 이격되어 개구(12015b)(총칭하여 "개구(12015)")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개구(12015)는 부착 부분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12015a)는 부착 부분(11940)의 원위 아암(11974a)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10)는 도 119a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1910a, 11910b)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돌출부(12010) 중의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 구역(12005)으로부터 멀어지게(예를 들면, 순측-안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으로부터 베이스 구역(12005)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측방향으로(예를 들면, 근심-원위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여 제2 부분과 베이스 구역(12005) 사이에 개구(12035)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12035)는 부착 부분(11940)과 같은 부착 부분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20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도 119b에 도시된 부착 부분(11940)은 고정 부재(120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고정 부재(12000)는 고정 부재(11900)와 비교하여 다른 고정 부재(예를 들면, 고정 부재(11900))보다 더 큰 정도로 부착 부분의 병진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분(11940)의 제1 연장부(11970a)의 근위 아암(11972a)은 고정 부재(12000)의 개구(12035)(도 120a)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970a)의 원위 구역(11974a)은 고정 부재(12000)의 제1 돌출부(12010a)에 대해 원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착 부분(11940)의 제2 연장부(11970b)의 근위 구역(11972b)은 고정 부재(12000)의 개구(12025)(도 120a)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고정 부재(12000) 및/또는 개구(12025)(도 120a)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11970b)의 원위 구역(11974b)은 제2 돌출부(12010b)에 대해 원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근위 구역(11972a, 11972b) 및/또는 원위 구역(11974a, 11974b)은 부착 부분(11940)이 고정 부재(12000)에 결합될 때 고정 부재(12000)의 인접한 돌출부(120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부착 부분(11940)과 고정 부재(12000) 사이의 결합의 정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의 탄성가압(biasing) 및/또는 돌출부(12010)에 의해 근위 구역(11972a, 11972b) 및/또는 원위 구역(11974a, 11974b)에 부여된 힘에 기초할 수 있다. 부착 부분(11940)은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를 압축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근위 구역(11972a, 11972b) 및/또는 원위 구역(11974a, 11974b)을 돌출부(12010)에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1970a, 11970b)로부터 압축력을 제거함으로써 대응하는 고정 부재(120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고정 부재(12000)의 제3 돌출부 및 제4 돌출부(12010c, 12010d)는 근심-원심 축, 교합-치경 축, 및/또는 설측-안면 축을 따라 또는 그 둘레로 고정 부재(12000)에 대한 부착 부분(11940)의 병진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21a 내지 도 121c는 본 기술에 따른 고정 부재 및 부착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1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12100)는 대체로 타원형 형상을 가진 베이스 구역(12105), 제1 측면(12107) 및 제2 측면(12109)을 가질 수 있다. 도 119a와 관련하여 기술한 고정 부재(11900)와 비교하여, 고정 부재(12100)의 타원형 베이스 구역(12105)은 기기로부터 환자의 치아로의 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환자의 치아의 더 큰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100)는 베이스 구역(12105)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2110a, 12110b)(총칭하여 "돌출부(12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베이스 구역(12105), 제1 돌출부(12110) 및 제2 돌출부(12120)는 일체식 구조(monolithic structure)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및/또는 접착제, 접합, 용접 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 방법에 의해 연결된 별개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구역(12105)의 제2 측면(12109)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환자의 치아에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돌출부(12110a)는 베이스 구역(12105)으로부터 멀어지게(예를 들면, 순측-안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부분(12112a)과 제1 부분(12112a)으로부터 베이스 구역(12105)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측방향으로(예를 들면,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12114a)을 포함하여 제2 부분(12114a)과 베이스 구역(12005) 사이에 개구(12035)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돌출부(12110b)는 베이스 구역(12105)으로부터 멀어지게(예를 들면, 순측-안면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부분(12112b)과 제1 부분(12112b)으로부터 베이스 구역(12105)의 중심 영역을 향하여 측방향으로(예를 들면,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부분(12114b)을 포함하여 제2 부분(12114b)과 베이스 구역(12005) 사이에 개구(1203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12035)는 부착 구역의 일부(예를 들면, 제1 연장부(11970a), 제2 연장부(1197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1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부착 부분(1214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1b에서, 부착 부분(12140)은, 부착 부분(12140)과 함께, 고정기구(12120)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12130)을 구성하는 구불구불한 탄성가압 부분(1215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분(1214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아암 구성 중의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연결기 중의 임의의 것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부착 부분은 증가된 결합 보장(coupling security) 및/또는 치아에 대한 효율적인 힘 전달을 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21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2140)은 중간 부분(12174a, 12174b)에 의해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에 연결된 원위 구역(1216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121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근위 구역(12170a)의 근위 단부는 탄성가압 부분(1215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아암 및 제2 아암(12172a, 12172b)은 대응하는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아암 및 제2 아암(12172a, 12172b)은 부착 부분(12140)의 정중선(midline)으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있다. 개구(예를 들면, 제1 개구(12176a), 제2 개구(12176b))는 아암과 대응하는 중간 부분을 분리하는 거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개구(12176a, 12176b)는 고정 부재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1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위 구역(12165)은 고정 부재의 베이스 구역(예를 들면, 고정 부재(12100)의 베이스 구역(12107))의 형상과 대체로 상응할 수 있는 반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관계에 기초하여, 부착 부분(12140)은 향상된 결합을 위해 그리고 고정 부재(12100)에 대한 부착 부분(12140)의 병진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 부재(12100)의 더 큰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부착 부분(12140)의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은,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의 원위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의 근위 단부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도록 탄성가압될 수 있다.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의 탄성가압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12100)에 대한 부착 부분(121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1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2140)은 고정 부재(12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분(12140)의 각각의 개구(12176a, 12176b)는 고정 부재(12100)의 대응하는 돌출부(121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의 탄성가압은 제1 근위 구역 및 제2 근위 구역(12170a, 12170b)이 돌출부(12110)에 측방향 외측 힘(laterally-outward force)을 가하도록 하여 고정 부재(12100)에 대한 부착 부분(121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부재의 돌출부는 고정 부재에 대한 부착 부분의 특정 방향의 병진이동 및/또는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2210a, 12210b)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12200)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재(12200)는 고정 부재(12200)의 베이스 구역(12205)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3 돌출부(122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부(12210c)는 제1 단부(12212)로부터 대체로 원위 방향으로 그리고 베이스 구역(12205)으로부터 정점 구역(apex region)(12214)쪽으로(예를 들면, 순측-안면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제3 돌출부(12210c)는 정점 구역(12214)으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베이스 구역으로부터 제2 단부(12216)쪽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제3 돌출부(12210c)의 제2 단부(12216)와 고정 부재의 베이스 구역(12205) 사이에 개구(122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2236)는 부착 부분의 한 구역, 예를 들면 부착 부분(12140)의 원위 구역(12165)((도 121b 참조)을 수용하여, 부착 부분(12140)을 고정 부재(1220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돌출부(12230),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고정 부재(12200)는 고정 부재(12200)에 대한 부착 부분의 병진이동 및/또는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3 돌출부(12230)는 교합-치경 축 및/또는 설측-안면 축을 따라 부착 부분(12140)의 병진이동을 제한하고 및/또는 근심-원심 축 및/또는 설측-안면 축에 대한 부착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12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12300)는 고정 부재(12300)에 대한 부착 부분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큰 면적을 가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300)는 앞에서 설명한 고정 부재(12100)의 특징과 대체로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12300)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2310a, 12310b) 외에, 베이스 구역(12305)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 제3 돌출부(12310c)(예를 들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부(12310c)는, 제3 돌출부(12310c)가 베이스 구역(12305)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로질러서 측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2310a, 12310b)와 유사한 방향으로 베이스 구역(12305)으로부터 대체로 멀어지게 뻗어 있을 수 있다. 제3 돌출부(12310c)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12310a, 12310b)쪽으로 향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및 제3 돌출부(12310a, 12310b, 12310c)는 그들 사이에 개구(12336)를 형성한다. 개구(12336)는 부착 부분(예를 들면, 부착 부분(11940))의 한 구역(예를 들면, 원위 구역(11974a, 11974b)(도 119b))을 수용하여, 그 구역을 고정 부재(12300)에 보다 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3 돌출부(12310c),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고정 부재(12300)는 고정 부재(12300)에 대한 부착 부분의 이동 및/또는 회전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고정 부재 및/또는 부착 부분은 환자의 치아를 적어도 교합-치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4a에 도시된 고정 부재(12400)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례의 고정 부재의 길이(L) 대 폭(W) 비율보다 큰 길이(L) 대 폭(W) 비율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12400)는 베이스 구역(12405)과 베이스 구역(12405)에 부착되어 있으며 베이스 구역(12405)으로부터 멀어지는 설측-안면 축을 따라 뻗어 있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2410a, 12410b)(총칭하여 "돌출부(12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부착 부분의 한 구역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1243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4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개구(12435)는, 도 119a, 도 120a, 도 121a, 도 122 및 도 123의 교합-치경 축을 따라서 뻗어 있는 개구와 대조적으로, 돌출부(12410)를 통하여 근심-원심 축을 따라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124b는 도 124a에 도시된 고정 부재(12400)와 같은 고정 부재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부착 부분(12440)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4b에서, 부착 부분(12440)은, 부착 부분(12440)과 함께, 고정기구(12420)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12430)을 구성하는 구불구불한 탄성가압 부분(1245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분(1244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아암 구성 중의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연결기 중의 임의의 것에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착 부분(12440)은 탄성가압 부분(12450) 및/또는 고정기구(12420)로부터 대체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공통 근위 지점으로부터 뻗어 있는 제1 연장부(12460) 및/또는 제2 연장부(12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2460)는 원위 구역(12462), 제1 원위 아암(12464a) 및 제2 원위 아암(12464b)(총칭하여 "원위 아암(12464)")을 포함하는 기다란 부재일 수 있다. 제1 원위 아암 및 제2 원위 아암(12464a, 12464b)은 원위 구역(12462)으로부터 원위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및/또는 개구(12466)를 형성하기 위해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2460)는 또한 원위 아암(12464)을 교합 방향 및/또는 치경 방향으로 탄성가압하고 및/또는 원위 아암(12464)을 교합-치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원위 탄성가압 구역(124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12470)는 측방향 구역(12474a, 12474b)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2460, 12470)는, 예를 들면, 교합-치경 방향으로 서로 다가가게 및/또는 서로 멀어지게 이동가능하고, 대체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탄성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장부(12460)는 치경 방향으로 탄성가압될 수 있고 제2 연장부(12470)는 교합 방향으로 탄성가압될 수 있다.
도 124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2440)은 고정 부재(1240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분(12440)의 제1 연장부(12460)의 개구(12466)(도 124b)는 원위 아암(12464)이 제1 돌출부(12410a)의 양 측면에 병치되어 위치되게 구성되도록 고정 부재(12400)의 돌출부(12410a)의 개구(12435)(도 124a)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분(12440)의 제2 연장부(12470)의 개구(12476)(도 124b)는 측방향 구역(12474a, 12474b)이 제2 돌출부(12410b)의 양 측면에 병치되어 위치되게 구성되도록 고정 부재(12400)의 제2 돌출부(12410b)의 개구(12435)(도 124a)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시에, 부착 부분(12440)은 고정 부재(124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2400)는 제1 연장부(12460)를 제2 연장부(12470)쪽으로(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킨 다음, 제1 연장부(12460)(또는 제2 연장부(12470))를 놓아 주어 제1 돌출부(12410a)의 개구(12435)(도 124a) 내에(또는 제2 돌출부(12410b)의 개구(12435) 내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중의 하나에 접합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2460, 12470)와 각각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2410a, 12410b)의 결합이 고정 부재(12400)를 통하여 원하는 힘이 환자의 치아에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도와준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12460, 12470)와 각각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2410a, 12410b)의 결합이 근원심 축, 교합치경 축 및/또는 설측-안면 축을 따라 또는 그 둘레로 고정 부재(12440)에 대한 부착 부분(12440)의 병진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 부재(12400) 및/또는 부착 부분(12440)의 실시례들 중의 몇몇 실시례는 환자의 치아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12400) 및/또는 부착 부분(12440)은 교합 방향, 근심-원심 방향 및/또는 협측-설측 방향에 대해 치경 방향으로 환자의 치아를 보다 쉽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 부재(12400) 및/또는 부착 부분(12440)의 일부는 치경 방향으로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강성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고정 부재(12400) 및/또는 부착 부분(12440)의 다른 부분은 교합 방향 및/또는 협측-설측 방향과 같은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보다 큰 제2 강성을 가진다.
도 125a는 본 기술의 실시례들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12500)의 등각투영도이다. 고정 부재(12500)는, 예를 들면, 스피드 어플라이언스(SPEED Appliance)(스피드 시스템 오소돈틱스(SPEED System Orthodontics), 캐나다, 온타리오)일 수 있다. 고정 부재(12500)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배면(12510)을 가진 본체 구역(12505), 부착 부분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12512), 가장자리(lip) 부분(12514), 및/또는 본체 구역(12505)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본체 구역(1250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클립 부분(1252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부분(12520)은 클립 및 탄성가압 요소(예를 들면,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 요소는 상기 클립을 탄성가압하여 (도 125a에 도시되어 있는)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힘이 가해지면(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에 의해) 상기 탄성가압 요소는 상기 클립이 폐쇄 위치로부터 본체 구역(12505), 슬롯(12512) 및/또는 가장자리 부분(12514)에서 멀어지게 개방 위치쪽으로(예를 들면, 교합-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 있는 클립 부분(12520)은 부착 부분의 일부가 슬롯(12512)에 삽입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슬롯(12512)은 클립 부분(12520)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어, 부착 부분의 일부가 슬롯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폐쇄 위치에서, 가장자리 부분(12514)은 클립 부분(12520)이 폐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및/또는 부착 부분이 슬롯(12512)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25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부착 부분(1254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5에서, 부착 부분(12540)은, 부착 부분(12540)과 함께, 고정기구(9520)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12530)을 구성하는 구불구불한 탄성가압 부분(1255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분(1254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아암 구성 중의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연결기 중의 임의의 것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착 부분(12540)은 고정 부재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구역(1257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125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이스 구역(12570)은 베이스 구역(12570)을 관통하는 개구(12580)를 가진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은 고정 부재에 대한 부착 부분(12540)의 회전 방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2540)은 다른 적절한 형상(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삼각형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125c는 도 125a에 도시된 고정 부재(12500)와 도 125b에 도시된 부착 부분(1254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25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2540)은 고정 부재(125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부재(12500)의 가장자리 부분(12514)은 부착 부분(12540)의 개구(12580)를 통하여 뻗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베이스 구역(12570)의 제1 부분(12572)은 고정 부재(12500)의 슬롯(12512)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5c는 클립 부분(12520)이 폐쇄 위치에 있으며 베이스 구역(12570)의 제1 부분(12572) 위에 배치되어, 제1 부분(12572)을 슬롯(12512) 내에 보다 일반적으로 부착 부분(12540)을 고정 부재(12500)에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도 126a에 도시된 고정 부재(12600)와 같은 고정 부재는 경화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600)는 경화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경화된 하나 이상의 별개의 부분(12610a-d)을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부분(12610a-d)은 만입부(indentation)(12680)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26a에 도시된 고정 부재(12600)는 네 개의 부분(12610a-d)을 가지고 있지만,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12600)는 네 개보다 많은 부분 또는 네 개 미만의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126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만입부(12680)는 대체로 십자형 또는 "+"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만입부(12680)의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 부재(126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부착 부분의 형상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6a에 도시된 십자형 만입부(12680)는 십자형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600)는 고정 부재(12600)가, 예를 들면. 추가 재료 또는 접합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환자의 치아에 직접 접합되게 구성될 수 있도록 경화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은 대체로 경화되기 전에 성형될 수 있고, 복합 레진, 세라믹, 및/또는 다른 합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이 디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충전재(예를 들면, 실리카), 및/또는 접합을 위해 UV 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은 환자의 치아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경화가능한 물질은 고정 부재(12600)의 유일한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12600)의 실시례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함께 제작하는 것 및/또는 종래의 고정 부재의 복수의 구성요소를 환자의 치아에 결합하는 것과 관련된 비용과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26b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치열 교정 기기의 부착 부분(12640) 및 고정 부재(12600)의 정면도이다. 부착 부분(1264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부착 부분들 중의 임의의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26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2640)은 상기 부분(12610a-d)에 의해 형성된 만입부(12680)(도 126a)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입부(12680)에 대한 부착 부분(12640)의 형상의 상보적인 특성은 근심-원심 축, 교합-치경 축 및/또는 설측-안면 축을 따라 및/또는 그 둘레로의 만입부(12680)에 대한 부착 부분(12640)의 이동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고정 부재(12600)는 제작됨과 동시에 환자의 치아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고정 부재(12600)는 제작된 다음에 환자의 치아에 결합된다. 고정 부재(12600)를 제작하는 것은 도 126a에 도시된 부분(12610a-d)과 상보적인 만입부를 가진 지지체(예를 들면,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만입부는 경화가능한 또는 성형가능한 재료로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나중에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경화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예를 들면, UV 광)가 상기 지지체 및 경화가능한 물질에 가해진다. 몇몇 실시례에서, 가해진 에너지는 또한 경화가능한 물질이 환자의 치아에 접합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는, 경화하는 데 UV 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화 후, 경화된 물질(다시 말해서, 고정 부재(12600))이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상태로 있는 동안 상기 지지체를 환자의 입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단 고정 부재(12600)가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면, 고정 부재에 의해 형성된 만입부 내에 아암의 부착 부분을 위치시킴으로써 기기 또는 기기의 아암이 고정 부재(126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은 만입부 내의 상기 부착 부분 위에 접착제, 복합 레진 또는 다른 합성 물질을 배치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600)에 상기 부착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복합 레진 또는 합성 물질은 UV 광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은 UV 광 없이 고정 부재(12600)에 고정된다.
도 127a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경화가능한 물질로 형성된 고정 부재(12700)의 등각투영도이다. 고정 부재(12700) 및 고정 부재의 제작 방법은 도 126a 및 도 126b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고정 부재(12600)의 경우와 대체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27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 부재(12700)는 경화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경화되어 있고 만입부(12780)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별개의 부분(12710a-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7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만입부(12780)는 대체로 복수의 연장부를 가진 하트 형상을 형성하고, 유사한 형상을 가진 아암 또는 치열 교정 기기의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만입부(12780)는 특정 용도에 필요하거나 환자가 원하는 다른 형상(예를 들면, 원, 삼각형, 다각형, 구름 형상, 사과 형상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7b는 고정 부재(1270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부착 부분(12740)의 등각 투영도이다. 부착 부분(12740)은 상기 부분(12710a-c)에 의해 형성된 만입부(12780)(도 127a)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입부(12780)에 대한 부착 부분(12740)의 형상의 상보적인 특성은 근심-원심 축, 교합-치경 축, 및/또는 설측-안면 축을 따라 또는 그 둘레로의 만입부(12780)에 대한 부착 부분(12740)의 이동 및/또는 회전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부착 부분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기 위해 성형가능한 및/또는 경화가능한 물질을 수용 및/또는 유지하도록 구성된 개구를 가진 부착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28a는 대체로 평면인 표면을 가지고 있고 베이스 구역(12855)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12880a-c)(총칭하여 "개구(12880)")를 포함하는 베이스 구역(12855)을 포함하는 부착 부분(12840)을 나타내고 있다. 몇몇 실시례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128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2840)은 패드(1218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드(12810)는 환자의 치아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패드(12810)는 망상 물질(mesh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패드(12810)는 개구(12880)를 통하여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패드(12810)를 통하여 뻗어 있는 결합 요소(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부착 부분(128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28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패드(12810)는 부착 부분(12840)의 베이스 구역(12855)의 표면적보다 더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부착 부분(12840)에 결합될 때, 패드(12810)는 환자의 치아와 부착 부분(12840) 사이의 결합면을 증가시켜서 이들 사이에 더 강한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 128a 및 도 128b는 부착 부분(12840)의 베이스 구역(12855)에 있는 개구(12880) 중 세 개의 개구를 나타내고 있지만,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2840)은 세 개 초과 또는 세 개 미만의 개구(128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9는 베이스 구역(12955)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18개의 개구(12980)를 가진 베이스 구역(12955)을 포함하는 부착 부분(12940)을 나타내고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부착 부분(12940)은 환자의 치아에 직접 접합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례에서, 개구(12980)는 부착 부분(12940)을 환자의 치아에 부착하는 성형가능한 및/또는 경화가능한 물질을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성형가능한 및/또는 경화가능한 물질은 (예를 들면, 도 126a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 기재된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성형가능한 및/또는 경화가능한 물질은 일단 개구(12980) 내에 배치되면 (예를 들면, UV 광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부착 부분(12940)의 실시례는 별도의 고정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환자의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기술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예를 들면,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오목부 전체에 걸쳐서 다양한 깊이의 오목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0a 및 도 130b는 각각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고정 부재(13000)의 전방 등각투영도 및 후방 등각투영도이다. 먼저 도 130a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3000)는 서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별개의 부분(13010a-c)을 포함할 수 있다. 별개의 부분(13010a-c)은 함께 오목부(13080)를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13080)는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고정 부재(13000)의 베이스 표면(13025)을 포함하는 제1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2 별개의 부분(13015a-c)은 베이스 표면(13025)으로부터 설측-안면 축을 따라 이격된 제2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은 제1 영역 내에 배치될 부착 부분의 형상과 대체로 비슷하거나 상기 형상을 보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은 (앞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경화가능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부착 부분이 제1 영역 내에 배치된 후에 경화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화가능한 물질은 부착 부분을 고정 부재(13000)에 고정하거나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제2 영역은 제2 영역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제2 영역에서 제2 영역과 제2 영역에 배치된 경화가능한 물질 사이의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거칠게 될 수 있다.
도 130b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13000)는 환자의 치아에 접합되도록 구성된 배면(13005)을 가질 수 있다. 배면(13005)은 환자의 치아에 고정 부재(13000)를 결합하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화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거나 경화가능한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배면(13005)은 배면(13005)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배면(13005)에서 배면(13005)과 배면(13005)에 배치된 경화가능한 물질 사이의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거칠게 될 수 있다.
도 130c는 본 기술의 실시례에 따라 구성된 도 130a 및 도 130b에 도시된 고정 부재(13000) 및 부착 부분(13040)의 등각투영도이다. 도 130c에서, 부착 부분(13040)은, 부착 부분(13040)과 함께, 고정기구(13020)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13030)을 구성하는 구불구불한 탄성가압 부분(13050)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부분(1304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아암 구성 중의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탄성가압 부분 및/또는 연결기 중의 임의의 것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30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3040)은 오목부(13080)(도 130a)의 제1 영역의 형상과 대체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0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부착 부분(13040)은 고정 부재(13000)로부터 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부분(130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100)가 환자의 입 속에 배치되거나 설치되어 고정 부재(13000)에 고정되면, 상기 부분(13070)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부분(13070)은 환자의 치아들 중의 인접한 치아 및/또는 상기 기기의 인접한 아암(130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 부분(13040)과 고정 부재(13000)의 상보적인 특성은 고정 부재(13000)에 대한 부착 부분(13040)의 이동 및/또는 회전을 더욱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31은 본 기술의 실시례들에 따라 구성된 치아고정장치(retainer)(13100)를 나타내고 있다. 몇몇 실시례에서, 예를 들면, 도 13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치아고정장치(13100)는 일련의 교호하는 만곡 세그먼트(13102) 및 곧은(또는 근원심) 세그먼트(13104)를 가진 기다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고정장치(13100)는 환자가 치아고정장치를 제거할 수 없도록 환자의 치아에 직접(다시 말해서,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고정장치는 만곡된 U자형 부분이 인접한 치아의 근심 표면 및 원심 표면과 정렬되고, 보다 많은 선형 세그먼트가 만곡 세그먼트(1302) 사이의 치아의 표면을 따라 대체로 근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 세그먼트를 치아 사이에 배치하면 환자가 치실질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례에서, 상기 만곡 세그먼트는 가요성인 반면에 보다 많은 선형 세그먼트는 강성이다.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기구 및 연결기 구성은 환자의 치아에 영구적으로(다시 말해서, 환자가 상기 기기를 제거할 수 없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132는 상기 치아고정장치가 치아에 결합되는 동안 치아 표면의 정확한 위치에 상기 치아고정장치를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그(jig)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2 내지 도 134는 치아고정장치를 만들고 배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IDB를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들 또는 다른 예들 중의 임의의 예에 따른 시스템 및 프로세스는 환자가 상기 기기를 입안에 가지고 있는 동안 환자가 착용하도록 구성된 컴포트 커버(comfort cover) 또는 치아고정장치 기구(retainer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또는 치아고정장치는 치료하는 동안 브래킷 및 상기 기기를 덮고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가지는 컴포트 커버일 수 있다. 몇몇 예에서, 상기 컴포트 커버 또는 치아고정장치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기 및 브래킷 위에 끼워져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컴포트 커버 또는 치아고정장치는 다른 유형의 치과 기기, 종래의 치아 교정기 등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상기 컴포트 커버 또는 치아고정장치는 환자의 턱(위턱 또는 아래턱)에 있는 치아의 일부 또는 전부 위에 끼워져서 덮는 형상을 가진 치아고정장치 본체(retainer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는 환자의 치아에 치아고정장치 본체를 유지하면서, 환자가 환자의 치아로부터 치아고정장치를 선택적으로 제거(미끄럼이동식 제거(slide off))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환자의 치아들 중의 적어도 일부 위에 끼워지고 환자의 치아에 충분히 단단히 꼭 맞는 끼워맞춤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몇몇 예에서, 상기 컴포트 커버 또는 치아고정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정렬기 본체와 유사하게 (그리고 유사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지만, 치료하는 동안 상기 기기 및 브래킷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기기는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컴포트 커버 또는 치아고정장치는 다른 적절한 재료 또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환자의 치아에서 얻은 의치 틀(impression)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는 환자의 치아에 (기기 및 브래킷 위에) 유지되기에 충분히 단단한 끼워맞춤을 제공하면서, 또한 하나 이상의 치아가 원래의 치아 배열(OTA)과 최종 치아 배열(FTA) 사이에서, 또는 원래의 치아 배열(OTA)과 중간 치아 배열(ITA) 사이에서, 또는 두 개의 중간 치아 배열(ITA)들 사이에서, 또는 중간 치아 배열(ITA)과 최종 치아 배열(FTA) 사이에서 방해를 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는, 치아고정장치를 치아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에 의해 덮인 치아들 중의 적어도 일부에 충분히 단단히 끼워지는 부분에 의해, 환자의 현재 치아 배열(기기 및 브래킷에 의한)에 상응하고 그에 맞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면서, 또한 치아가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로부터의 방해 또는 마찰 없이 (기기의 작용으로 인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치아에 인접한 충분한 간격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틈새 또는 간격이 하나 이상의 치아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간격은 치아고정장치 본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서 균일할 수 있거나, 다른 치아 위치에 대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치아고정장치 본체를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0.2mm의 틈새 또는 간격은 밑에 있는 기기에 의해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치아에 인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틈새 또는 간격의 범위가 약 0.1mm에서 약 0.3mm까지 이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다른 적절한 틈새 또는 간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는 환자의 혀 또는 볼과 상기 기기 또는 브래킷의 날카롭거나 돌출된 부분 사이의 접촉을 피하거나 최소화하는 비교적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컴포트 커버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턱관절(TMJ) 상태와 같은 특정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부목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컴포트 커버는, 예를 들면, 스포츠 마우스 가드(sports mouth guard)와 유사한 스포츠 또는 다른 활동에서 환자의 치아 또는 환자의 치아에 고정된 기기의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물질, 고무, 금속, 복합 재료 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아고정장치 본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성형, 변형 또는 흡입 기계(suck down machine), 3D 프린팅, 기계가공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제작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결론
위에서 많은 실시례를 환자의 치아의 설측(lingual side)에 위치된 치열 교정 기기에 대한 시스템, 기기 및 방법과 관련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환자의 치아의 안면측(facial side)에 위치된 치열 교정 기기와 같은 다른 응용 및/또는 다른 접근 방식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 이외에 다른 실시례가 본 기술의 범위 내에 있다. 추가적으로, 본 기술의 몇몇 다른 실시례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과 다른 구성, 구성요소 또는 절차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기술이 추가 요소를 가진 다른 실시례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본 기술이 도 1a 내지 도 134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특징들 중의 몇 가지가 없는 다른 실시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술의 실시례들에 대한 설명이 총망라된 것이거나 본 기술을 위에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문맥상 허용하는 경우, 단수 또는 복수 용어는 각각 복수 또는 단수 용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결합 아암을 사용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례는 보다 적은(예를 들면, 한 개의) 또는 보다 많은(예를 들면, 세 개의) 결합 아암을 포함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본 기술의 특정 실시례 및 본 기술에 대한 예가 예시의 목적으로 위에 설명되어 있지만,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계들이 주어진 순서로 제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례는 단계들을 다른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례는 또한 추가 실시례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또는"이라는 단어가 두 개 이상의 항목의 목록과 관련하여 다른 항목과 배타적인 한 개의 항목만을 의미하도록 명시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그러한 목록에서 "또는"의 사용은 (a) 상기 목록의 임의의 한 개의 항목, (b) 상기 목록의 모든 항목, 또는 (c) 상기 목록의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보다 많은 수의 동일한 특징 및/또는 추가 유형의 다른 특징이 배제되지 않도록 적어도 기술된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도처에 사용되어 있다. 또한 특정 실시례가 예시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만, 본 기술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기술의 특정 실시례와 관련된 장점이 이러한 실시례의 맥락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례도 이러한 장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본 기술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례가 반드시 이러한 장점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 및 관련 기술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다른 실시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3)

  1.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기구로부터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비스듬히 뻗어 나온 제2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더 멀리 있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a) 상기 제2 구역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아암과 인접하고, 그리고 (b)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과 인접하여,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이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구역이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결합 아암 아래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병진이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에 더 가까운 제3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결합 아암의 제1 부분이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3 구역이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보다 환자의 치경에 더 가까이 있는 상기 결합 아암의 제2 부분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이 제1 결합 아암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제2 결합 아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이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한 근심과 원심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에 저항하도록 상기 제1 구역의 제1 측면이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인접하고 상기 제1 구역의 제2 측면이 상기 제2 결합 아암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제2 구역보다 상기 고정기구에 더 가까운 제3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아암이 제1 결합 아암이고 상기 고정 부재가 제2 결합 아암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3 구역이 상기 제2 단부 부분의 제2 구역에 걸쳐서 뻗어 있는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의 각각의 구역보다 환자의 치아의 뿌리에 더 가까이 있는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의 각각의 구역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구역이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 아암과 상기 제2 결합 아암의 아래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은 상기 결합 아암의 제1 부분이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제2 구역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쪽으로 뻗어 있는 제3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역은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3 구역의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중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상기 제1 부분보다 환자의 치아의 뿌리에 더 가까이 있는 상기 결합 아암의 제2 부분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에 뻗어 있는 제4 구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다리부와 상기 제2 다리부, 상기 제2 구역, 그리고 상기 제4 구역이 함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1.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나온 아암으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고정기구에 있는 제1 단부 부분과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고정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은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인접한 제1 쇼울더 구역과 제2 쇼울더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아암;
    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a) 상기 연장부는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수단과 인접하고, 그리고 (b) 상기 제1 쇼울더 구역과 상기 제2 쇼울더 구역은 상기 결합 수단의 근심 측면 및 원심 측면과 각각 인접하여,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 및/또는 병진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구역이 대체로 교합-치경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가 환자의 치아의 설측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가 환자의 치아의 협측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복수의 아암 중의 하나이고, 상기 복수의 아암의 각각은 각각의 제1 쇼울더 구역과 제2 쇼울더 구역을 가진 각각의 제2 단부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이 한 개의 단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이 서로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이 연속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가 아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아암이 초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 상기 아암, 또는 상기 고정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가 니티놀, 스테인리스 강, 베타-티타늄, 코발트 크롬, 다른 금속 합금, 폴리머, 세라믹,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22. 제11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상기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탄성가압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가압 구역은 원위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환자의 치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회전력 및/또는 세로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23. 치열 교정 기기로서,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고정기구; 그리고
    상기 고정기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기구로부터 멀어지게 뻗어 나온 연결기로서, 상기 연결기는 부착 부분 및 상기 연결기의 길이방향의 축을 따라서 상기 고정기구와 상기 부착 부분 사이에 배치된 탄성가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분은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치열 교정 브래킷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은 (a) 상기 기기가 환자의 입에 설치될 때 대체로 교합치경 크기(occlusogingival dimension)를 따라서 뻗어 있는 베이스, 그리고 (b) 상기 베이스로부터 비스듬히 멀어지게 뻗어 있는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베이스의 길이를 따라서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중간 위치에 가까운 근위 구역과 상기 중간 위치에서 먼 원위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연결기;
    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환자의 치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착 부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을 때, (a) 상기 아암은 대체로 근심-원심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의 결합 아암과 인접하고, 그리고 (b) 상기 근위 구역과 상기 원위 구역의 각각은 상기 결합 아암의 일부분과 인접하여, 상기 연결기가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 교정 기기.

KR1020217038969A 2019-05-02 2020-05-02 치열 교정 기기 KR202200035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42391P 2019-05-02 2019-05-02
US62/842,391 2019-05-02
US202062956290P 2020-01-01 2020-01-01
US62/956,290 2020-01-01
PCT/US2020/070017 WO2020223745A1 (en) 2019-05-02 2020-05-02 Orthodontic appli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587A true KR20220003587A (ko) 2022-01-10

Family

ID=7109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969A KR20220003587A (ko) 2019-05-02 2020-05-02 치열 교정 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20200390524A1 (ko)
EP (1) EP3962402A1 (ko)
JP (1) JP2022531393A (ko)
KR (1) KR20220003587A (ko)
CN (1) CN114072094A (ko)
AU (1) AU2020265831A1 (ko)
CA (1) CA3136462A1 (ko)
MX (1) MX2021013134A (ko)
WO (1) WO20202237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4200B1 (en) 2012-10-30 2019-05-22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rthodontic appliance with snap fitted, non-sliding archwire
BR112018011378B1 (pt) 2015-12-06 2021-09-08 Brius Technologies, Inc. Aparelhos ortodônticos para reposicionamento de dentes
WO2018102588A1 (en) 2016-12-02 2018-06-07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bracket placement
CN115024842A (zh) 2017-01-31 2022-09-09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混合正畸弓丝
US11612458B1 (en) 2017-03-31 2023-03-28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tongue preconditioning in preparation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US11058517B2 (en) 2017-04-21 2021-07-13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non-sliding orthodontic appliances, and registration systems for use thereof
US20200275996A1 (en) 2019-03-01 2020-09-03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bonding trays with bite turbo and orthodontic auxiliary integration
CN114080197A (zh) 2019-05-02 2022-02-22 布瑞斯技术有限公司 牙科矫正器及相关制造方法
CN114727853A (zh) 2019-10-31 2022-07-08 斯威夫特健康系统有限公司 间接正畸粘合系统和方法
CN116075279A (zh) 2020-06-11 2023-05-05 斯威夫特健康系统公司 具有非滑动弓形件的正畸矫正器
US11490995B2 (en) 2021-03-25 2022-11-08 Brius Technologies, Inc. Orthodontic treatment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WO2022236287A1 (en) * 2021-05-04 2022-11-10 Brius Technologies, Inc.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WO2022246420A1 (en) 2021-05-19 2022-11-24 Brius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king an orthodontic bracket
WO2023033870A1 (en) 2021-09-03 2023-03-09 Swift Health Systems Inc. Method of administering adhesive to bond orthodontic brackets
EP4395689A2 (en) * 2021-09-03 2024-07-10 Swift Health Systems Inc. Non-sliding archform directly bonded to a patient's teeth
RU209387U1 (ru) * 2021-10-05 2022-03-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нструмент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WO2023081737A1 (en) * 2021-11-03 2023-05-11 Brius Technologies, Inc.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WO2023250526A1 (en) 2022-06-24 2023-12-28 Brius Technologies, Inc.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2207A (en) * 1964-05-06 1966-07-26 Peter C Kesling Orthodontic torquing arch wire lock
US3936938A (en) * 1974-05-17 1976-02-10 Aledyne Corporation Orthodontic spring appliance and spring clip therefor
WO2003075782A1 (de) * 2002-03-13 2003-09-18 Christoph Von Mandach Verfahren zum anbringen von kieferorthopädischen befestigungsteilen
US7621743B2 (en) * 2002-11-26 2009-11-24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Orthodontic bracket
US7585171B2 (en) * 2006-05-04 2009-09-08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ry ligating cover
DE112009000857T5 (de) * 2008-04-09 2011-05-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int Paul Linguale orthodontische Vorrichtung mit entfernbarem Teilstück
AU2009238317B2 (en) * 2008-11-14 2011-10-06 Ormco Corporation Surface treated polycrystalline ceramic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550814B1 (en) * 2012-08-16 2013-10-08 Monte Collins Multi-component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US9895206B2 (en) * 2014-10-03 2018-02-20 Mohammad Izadi Adjustable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using a microstructured shape memory polymer surface with reversible dry adhesion
EP3267925A1 (en) * 2015-03-13 2018-01-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rch member
US20180049847A1 (en) * 2015-03-13 2018-0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rch member
ES2688104T3 (es) * 2015-03-25 2018-10-30 Ormco Corporation Aparato ortodóncico con alineadores termoformados
US20160367340A1 (en) * 2015-06-19 2016-12-22 Ormco Corporation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correcting malpositioned teeth
ITUB20155409A1 (it) * 2015-11-10 2017-05-10 Luigi Cursio Sistema ortodontico con filo ad arco accoppiabile ad un elemento
BR112018011378B1 (pt) * 2015-12-06 2021-09-08 Brius Technologies, Inc. Aparelhos ortodônticos para reposicionamento de dentes
US9770310B2 (en) * 2016-02-25 2017-09-26 Pbd, Patent & Business Development Ag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KR20180107481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자가 결찰식 치열교정 브래킷 조립체
CN116075279A (zh) * 2020-06-11 2023-05-05 斯威夫特健康系统公司 具有非滑动弓形件的正畸矫正器
US20220287804A1 (en) * 2021-03-12 2022-09-15 Swift Health Systems Inc. Indirect orthodontic bonding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1393A (ja) 2022-07-06
AU2020265831A1 (en) 2021-11-04
MX2021013134A (es) 2022-01-24
WO2020223745A9 (en) 2020-12-10
US20220226076A1 (en) 2022-07-21
US20210007830A1 (en) 2021-01-14
US20220226077A1 (en) 2022-07-21
CN114072094A (zh) 2022-02-18
EP3962402A1 (en) 2022-03-09
US20200390524A1 (en) 2020-12-17
WO2020223745A1 (en) 2020-11-05
CA3136462A1 (en)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6077A1 (en)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11058518B2 (en) Dental appliances, systems and methods
US20210353389A1 (en)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20220133438A1 (en) Dental applian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30404715A1 (en)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impacted teeth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30414326A1 (en) Devices for treating teeth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20240093891A (ko) 치아 재위치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8376A (ko) 아치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용 기구
US20030207224A1 (en) Patient specific bite positioner
US20120129117A1 (en) Orthodontic teeth positioning appliances
KR20170127481A (ko) 아치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용 기구
JP2011517603A (ja) 取り外し可能な部分を備えた舌側歯科矯正装具
US20120028221A1 (en) Dental Splint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20030198912A1 (en) Thin, polymeric orthodontic appliance with headgear channels
US20240074836A1 (en) Devices for treating teeth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1155990A2 (en) Hybrid orthodontic device an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