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434A -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434A
KR20220003434A KR1020200122600A KR20200122600A KR20220003434A KR 20220003434 A KR20220003434 A KR 20220003434A KR 1020200122600 A KR1020200122600 A KR 1020200122600A KR 20200122600 A KR20200122600 A KR 20200122600A KR 20220003434 A KR20220003434 A KR 20220003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keyboard
buttons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숙
Original Assignee
윤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숙 filed Critical 윤경숙
Priority to KR102020012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434A/ko
Publication of KR2022000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Description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the automatic method of changing letter input mode or letter input method in electronic device}
문자입력방식
참고로, 본 발명은, 특히, 스마트폰 등에 내재된 가상 키보드에서 문자입력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임을 미리 밝힌다.
종래에는
문자입력모드가 변경되려면, 문자입력모드만을 변경시키는 신호가 발생되어야만 문자입력모드가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영문소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caps lock"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었고,
영문대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소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역시나 "caps lock"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었고,
한글입력모드에서 영문입력모드로 변경되려면, 역시나 "한영"버튼이 조작되어야만 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수단항 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2]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3]
제2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 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또는 입력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4]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5]
제4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제1 소정의 영역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6]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문자입력 모드가
상기에서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7]
제5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 " 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8]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9]
제8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제1 소정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수단항 10]
제9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인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자동으로 문자모드를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도1: 본원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관계도.
도2: 영문 소문자 모드.
도3: 영문 대문자 모드.
도4: 한글 2벌식 자판.
도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
도10: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
도11: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2(도9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큼)
도12: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2.(도10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큼)
도14: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영문 대문자가 크게 표시됨)
도17: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좌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
도22: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의 좌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대문자 배정된 키보드.
도45: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한글이, 하측의 좌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하측의 우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배정된 키보드.(도17에 비하여 영문 대문자가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임)
도59: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에는 영문 대문자가, 하측에는 영문 소문자가 배정된 키보드.(도10에 비하여,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바탕색도 흰색)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
====================================
용어의 설명
.
.
용어1..'버튼'
물리적 버튼과 가상 버튼를 모두 포함하는 버튼임.
상기 ‘가상 버튼’은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버튼과 공중에 나타나는 홀로그램 버튼을 포함함.
(‘버튼’을 ‘영역’이라고도 할 수 있다. 버튼끼리 구분을 할 수 있듯이, 영역끼리도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용어2..'문자버튼'
입력될 수 있는 문자가 배정된 버튼으로써, 문자가 입력될 수 있게 하는 버튼이다.
참고로, 문자버튼에도 입력될 수 있는 문자 외의 어떠한 기능을 배정하여, 바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기능 버튼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다.
용어3..'기능버튼'
문자버튼 외의 버튼으로써, 문자를 입력하게 하는 기능외의 기능이 배정된 버튼이다.
예를 들어, 쉬프트 버튼, 삭제 버튼, 엔터 버튼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이 있다.( 본원에서는 도면들 각각에 표시된 F1~F8과 같은 버튼들 이다.)
참고로, 기능 버튼에도 입력될 수 있는 문자를 배정하여 문자버튼의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할 수는 있다.
용어3..'문자체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한글', '영문 소문자', '영문 대문자'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으며,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는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으로 이루어진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는 26개의 영어 소문자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는 26개의 영어 대문자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숫자'라는 문자체계는 0~9라는 10개의 숫자로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고,
'기호'라는 문자체계는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문자가 아닌 문장부호,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 기호들로 이루어지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특수문자' 문자체계라고 할 수도 있다.)
그래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 각각은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26개의 영어 소문자 각각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26개의 영어 대문자 각각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0~9라는 10개의 숫자 각각은 '숫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할 수 있고,
문장부호,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 기호들 각각은 '기호'라는 문자체계에 속한(=포함된) 문자라고 고 할 수 있다.
용어4..버튼 디자인
5..‘버튼 디자인’
버튼의 디자인에는 버튼 테두리 디자인, 버튼의 바탕 디자인, 또는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디자인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버튼 테두리 디자인'에는 버튼테두리의 색깔, 문양, 두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의 바탕 디자인'에는 버튼의 바탕 색깔, 버튼의 바탕 문양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디자인'에는표시된 문자의 색깔, 문자크기, 문자체가 포함될 수 있다.
버튼디자인은
버튼의 바탕 색깔, 버튼의 문양(예: 버튼의 바탕 또는 버튼 테두리 또는 버튼 주변의 문양),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체,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색깔 등으로 어떠한 버튼이 (다른 버튼과 디자인이 다른지 비교 대상이 되는) 다른 버튼과 구별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버튼의 문양'에 대하여 예를 들어 조금 더 보충 설명하자면,
버튼의 바탕 색깔은 동일하여도 버튼의 문양이 다르면 '버튼 디자인'이 다른 것이다.
문양의 종류의 예에 빗살무늬, 격자무늬, 꽃무늬 등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버튼의 바탕 색깔과 버튼에 표시된 (인식되는) 문자가 같아도(예: 진한 글자체의 'b'와 이탤릭체의 'b' 처럼 문자체가 다르더라도 똑같이 영문 소문자 'b'라고 인식되더라도),
버튼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체가 다르면(예: 진한 글자체의 'b'와 이탤릭체의 'b' 처럼 글자체가 다르면) '버튼 디자인'이 다른 것이다.
용어의 설명 끝.
====================================
====================================
본원에서 기술을 함축적인 문구로 나타내보자면 다음의 함축적문구들과 같다.
[함축적문구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면,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 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먼저,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문구 중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참고로,
"문자버튼"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겠지만, 문자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이며, "문자버튼"과 "기능버튼"에 대해서 앞의 "용어의 설명" 부분에 설명되어 있다.)
종래의 99.999%의 키보드에도 문자가 배정된 문자버튼은 복수 개가 있다. 사실상 당연한 말이라서 더 이상 설명할 필요도 없지만 굳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9와 같은 스마트폰 가상 키보드에 크게 영문 소문자인 a~z와 영문 대문자인 A~Z가 배정된 26개의 문자버튼과 F1~F8과 같은 8개의 기능버튼이 있다.
도9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의 키보드는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데
도2의 키보드와 같은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에도,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기는 한데,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도2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뒤에서 설명할 것인데 미지 조금 말하자면,
도2 또는 도9와 같은 상태에서
각각의 문자버튼을
탭하여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고,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영문 대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7의 키보드도 26개의 문자버튼과 F1~F8과 같은 8개의 기능버튼이 있다.
도17 키보드의 각각의 문자버튼에는 한글 자소 1개씩과 영문 소문자 1개씩과 영문 대문자 1개씩이 배정되어 있다.
참고:
1..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는 점선이 있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영역을 나누는 점선과 같은 선분을 생략할 수도 있다.
2..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으로 하여,
회색으로 된 영역이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다른 영역과 차별화되게 하면서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한 문자버튼 내의 영역을 차별화하면서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을
(도59처럼) 생략할 수도 있다.
3..도9, 도17과 같은 도면번호 8번 이상의 대부분의 도면 상의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는, 그 어느 한 문자버튼 내에 배정되어 있는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크게 또는 굵게 표시하여,
크게 또는 굵게 표시된 문자가 그 어느 한 문자가 배정된 그 문자버튼 에 배정된 다른 문자들과 차별화되게하여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였는데,
이는 본원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도 있으므로,
실제 본원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때에는
문자버튼들 각각의 내부에 있는 어느 한 문자를 차별화하는 디자인을
생략할 수도 있다.
어쨌든 바로 상기 참고의 1, 2, 3번처럼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누는 선분 또는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두드러지게 보이게하는 디자인 또는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포함한
(총괄적인,)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생략할 수 있다.
물론,
(총괄적인,) 동일한 문자버튼 내의 복수 개의 문자 중 어느 하나의 문자 두드러지게 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본원에서 소개하지 않는 다양한 행태로 창조해 낼 수 있다.
이제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2, 도9 또는 도17과 같은 스마트폰 가상 키보드에 26개의 문자버튼이 있는데,
예를 들어,
본원의 기술은 26개의 문자버튼 중 10개의 문자버튼만을 대상으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하였다.
하지만, 실시예에서는 26개 문자버튼에 대해서는 그 전부를 대상으로 설명하겠다.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라고
그렇게 표현한 또 다른 이유도 설명하자면,
일반적인 스마트폰 가상자판처럼
"."버튼, "@"버튼과 같은 '기호'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자버튼이 있거나(예를 들어, 도9 또는 도17에서,,, F6버튼이 "."버튼이고, F7버튼이 "@"버튼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문자버튼들이 있는 영역 외의 상측에 1개의 행으로 0~9라는 10개의 숫자가 배정된 '숫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자버튼들도 있을때(도면 생략),
본원의 기술이,
문자버튼들인 26개의 문자버튼만에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도 그렇게 표현하였다.
이제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말 그대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벌어지는 말하겠다는 뜻이다.
이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9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 키보드의 각 문자버튼에도,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기는 한데,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도2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도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원 전체에 있어서,
도2와 같은, 영문 소문자 모드 같이 보이는 키보드에 본원의 기술이 적용된 실시 예에서는
도9와 같이 영문 대문자도 배정되어 있기는 한데, (영문 대문자가) 표시만 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7의 문자버튼들 각각에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와
"한글"이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다.
이제
"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9 또는 도2의 키보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영문 소문자'는,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도9 참조) 또는 중앙(도2 참조)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또는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소문자 모드에서처럼)
(해당 문자버튼을)
하여 입력하고,
즉, 이라는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고,
'영문 대문자'는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 또는 도9의 키보드에서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
'영문 소문자'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도9 참조) 또는 중앙(도2 참조)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또는
폰트가 가장 크거나 폰트가 두꺼운 폰트거나 버튼 내부의 표시된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 등인 이유로
어떠한 문자버튼 내에 표시된 2개 이상의 문자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므로)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하여 입력하고,
즉, 이라는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고,
'영문 대문자'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에 표시되어 있거나 또는 표시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일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7의 키보드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한글과 영문 소문자와 영문 대문자가 1개씩 배정되어 있을 때,
'한글'은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2벌식 키보드에서처럼)
(해당 문자버튼을)
하여 입력하고,
즉, 이라는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고,
'영문 소문자'는,
(한글이 표시된 하측 부분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즉,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고,
'영문 대문자'는
(한글이 표시된 하측 부분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문자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즉,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고,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의 키보드에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이 있을 때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ㄱ"은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상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을)
하여 입력하고,
즉, 이라는 (가장 빠르고 쉬워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하고,
'영문 소문자'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영문 대문자'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하는 "R"은,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 내부의 하측의 우측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한글'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일 수 있다.
이제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
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17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되어 있는
'한글'은, (도4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2벌식 키보드에서처럼) 하여 입력하고,
'영문 소문자'는, 좌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하여 입력하고,
'영문 대문자'는,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고 했는데,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의 뜻이다.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고,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1가지의) 문자체계을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방법이 적용 안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
결국은
탭 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2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정도의 뜻이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의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인
좌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2가지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정도의 뜻이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또는 도9의 문자버튼들에 각각에 배정되어 있는
'영문 소문자'는,
(종래의 일반적인 쿼티 키보드에서처럼)
하여 입력하고,
'영문 대문자'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고 했는데,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문구는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을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의 뜻이다.
아무 방향으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은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고,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에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이라는 문구는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1가지의 문자입력방법으로 구성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정도의 뜻이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 또는 도9의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라는 1가지 문자입력방법으로 구성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정도의 뜻이된다.
이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17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있는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정도의 뜻이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7의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면
정도의 뜻이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또는 도9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있는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정도의 뜻이다.
더 상세한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2 또는 도9의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면
정도의 뜻이다.
그런데, 앞에서 설명을 하지 않은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이 문구는 필수적인 문구는 아니다.
그래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이라는 것은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를 제2 소정의 문자체계로 규정한다는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정도의 뜻이다.
------------------------------------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되지 않는 (1가지의) 문자체계을 제1 소정의 문자체계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상기의 도17을 인용한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방법이 적용된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없는 문자체계
또는
탭 방법이 적용되지 않은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없는 문자체계
결국은
탭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 문자체계가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이제
"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그 문구에 대한 것은 함축적문구2을 통하여 설명하겠다.
함축적문구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2]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었던 문자입력방법으로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이제
"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상기 문구는 함축적문구1에도 있는 문구로서 함축적문구1 설명에서 이미 설명하였다.
그리고, 함축적문구1의 설명의 거의 마지막 부분까지해서
함축적문구1의 문구 중
"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이라는 문구까지 설명하였다.
그때에 더 상세한 실시예로써
도17의 "ㄱ,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었고,
도2 또는 도9의 "r, R"이 모두 배정된 버튼에 대해 터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와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라는
"서로 다른 2개의 문자체계 중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는 것을 예로 들었었다.
그런 후에 다음의 함축적인 문구와 같이 될 수 있다.
이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었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
이라는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17의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었던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된다(또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함축적문장1에서 설명하기를
도17의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은
좌측으로 드래그 또는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2가지 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였던,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었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또는 도9의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이었던 "탭"이라는 문자입력방법으로 변경된다(또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함축적문장1에서 설명하기를
도2, 또는 도9의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영문 대문자 'R'이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은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1가지 방법으로 구성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하나였던,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방법이었었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3]
제2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 인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입력될 수 있는(또는 입력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 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탭" 방법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인 우측으로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또는 입력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또는 도9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탭" 방법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인 아무 방향으로나 드래그라는 문자입력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또는 입력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4]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5을 통하여 설명하겠다. 함축적문구5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5]
제4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영역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 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22와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10과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1, 도12를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11, 도12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는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9, 도10과 동일한데 (도9=도11, 도10=도12),
도11과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보다 크고,
하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보다 적다,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1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12와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2, 도3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는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도11=도2, 도12=도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 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도2의 키보드에서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2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도3과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도2와 같은 종래의 영문 소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디자인에서 도3과 같은 종래의 영문 대문자 모드처럼 보이는 키보드 디자인으로 변경되면,
문자입력모드가 자동으로 (영문 소문자모드에서 영문 대문자모드로) 변경되는 것과 동일하게 해석(또는 간주)될 수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함축적 문구가 생산될 수 있다.
[함축적문구6]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면,
문자입력 모드가
상기에서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그런데,
"문자입력 모드가
상기에서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이라는 문구 앞에 있는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 가 입력되면,"
이라는 문구들은
상기 함추적문구6의 대부분인데
함축적문구1의 문구와 공통문구라서 설명을 생략하겠으며,
"문자입력 모드가
상기에서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이라는 문구에 대한 설명은
함축적문구5에서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하였었다.
그래도 다시 한번 상기의 함축적문구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 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문자입력 모드가
상기에서 입력된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의 문자입력 모드로 변경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7]
제5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 인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 에 표시될 수 있는 (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 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도22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이라는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의 우측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도10과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이라는 1개의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2, 도3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는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도11=도2, 도12=도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 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도2의 키보드에서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2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에 표시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도3과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이라는 1개의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이라는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8]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함축적문구에 대해서는
함축적문구9를 통하여 설명하겠다. 함축적문구9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9]
제8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제1 소정의 디자인이었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도17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도22 또는 도45와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 디자인이었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22는 도17에 비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도 서로 바뀐 것이다.
도45는 도17에 비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만 서로 바뀐 것이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도10 또는 도14와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 디자인이었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10와 도14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10은 도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도 서로 바뀐 것이다.
도14는 도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만 서로 바뀐 것이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11, 도12를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11, 도12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는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9, 도10과 동일한데 (도9=도11, 도10=도12),
도11과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보다 크고,
하측의 영역이 도9와 도10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보다 적다,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1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도12와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 디자인이었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2, 도3을 인용하여 설명할 것인데,
도2, 도3에서의
각 문자버튼으로의 문자의 배정 상태는
바로 상기에서 설명에서 인용한 도11, 도12와 동일한데 (도11=도2, 도12=도3),
도2와 도3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커진 결과이고,
..하측의 영역은, 도11와 도12의 각 문자버튼 내의 하측의 영역이 극한으로 적어진 결과라고 간주 할 수도 있다,
도2의 키보드에서
도9키보드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R"가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2의 키보드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가 속한 문자체계인 영문 대문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대문자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도3과 같이
제1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이었던 각 문자버튼 내의 상측의 영역 디자인이었던 해당 영역의 바탕색이 회색인 디자인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
.
.
.
.
.
.
.
이제 또 다른 함축적문구에 대하여 알아보자.
[함축적문구10]
제9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 인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 으로 표시될 수 있는 (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상기 함축적 문구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의 함축적 문구는 다음과 같이 상세한 문구로 변환될 수 있다.
도17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의 디자인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이라는 바탕색이 회색으로 표시되었던
"한글"이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한글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도22 또는 도45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의 디자인이라는 제2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의 우측이라는 영역의 디자인인 바탕색이 흰색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22와 도45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22는 도17에 비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도 서로 바뀐 것이다.
도45는 도17에 비하여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만 서로 바뀐 것이다.
.
.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
도9의 키보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는,
각 문자버튼의 "상측"의 영역의 디자인이라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인 바탕색이 회색으로 표시되었던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영문 소문자 문자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된 후에는
도10과 또는 도14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인 "R"이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인 "R"이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 영역의 디자인이라는 1개의 제2 소정의 영역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인 각 문자버튼의 하측의 디자인인 바탕색이 흰색이라는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도10와 도14의 차이점에 대해 설며하자면,
도10은 도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면서,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도 서로 바뀐 것이다.
도14는 도9에 비하여
영문 소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이 서로 바뀌지는 않으면서,
한글이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과 영문 대문자라는 문자체계가 표시된 영역의 색깔만 서로 바뀐 것이다.
.
.
.
.
.
.
.
.
.
.
도1(a)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기기의 블럭도이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기기는, 터치스크린(110), 기능블럭(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통신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전술한 터치 버튼들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하는 터치 버튼이 터치되는데 이용되는 수단이다.
기능블럭(120)은 전자기기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1) 전자기기가 모바일폰이라면, 기능블럭(120)은 이동전화 기능을 수행하고, 2) 전자기기가 모바일 컴퓨터라면, 기능블럭(120)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고, 3) 전자기기가 모바일 멀티미디어 재생기라면, 기능블럭(120)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4) 전자기기가 일반적인 노트북 또는 PC라면 기능블럭(120)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전자기기의 기능 수행 및 전술한 터치 버튼들로 구성되는 GUI 화면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고,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기능블럭(120)에 의한 기능 수행을 제어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버튼들로 구성된 GUI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표시된 터치 버튼들을 이용되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자 입력, 객체 조정 및 기능 실행 등을 수행한다.
통신부(150)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1(a)의 부호의 설명************
110 : 터치스크린
120 : 기능블럭
130 : 제어부
140 : 저장부
150 : 통신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 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1(b)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정보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컴퓨터 장치’는 데스크탑PC, 랩탑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 보다는 더 빠른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 또는 외장 하드디스크 또는 외장 SSD와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용어의 설명은 본 기술 내용과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원 전체의 내용을 짧은 문장으로 언급 하기 위함이므로, 기술적 사상은 용어의 설명에서 설명된 단어 또는 문구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단항을 포함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떠한 사항에 한정하여 설명하거나 정의한 것들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그러한 설명 기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

Claims (10)

  1.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배정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입력되는 문자입력방법이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 으로 입력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입력되었던 문자입력방법인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또는 입력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
    제1 소정의 영역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6. 컴퓨터 장치에서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에 대하여,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배정되어 있고,
    상기 "서로 다른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을 입력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입력방법이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입력방법 중 어느 하나의 문자입력방법으로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문자체계"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 도출된, 1가지 이상의 문자체계가 포함된 제2 소정의 문자체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면,

    문자입력 모드가
    상기에서 입력된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의 입력모드로 변경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영역 " 에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인 제2 소정의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또는 1항의 대부분의 내용을 포함시켜서 독립항으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 표시된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의 디자인이
    제1 소정의 디자인 으로 변경될 수 있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키보드 상의 복수의 문자버튼들 중 복수의 문자버튼들 각각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제1 소정의 디자인"으로 표시되었던 어느 문자체계에 속한 (1개 이상의) 문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문자체계에 속한 어느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
    상기 "입력된 어느 문자가 속한 문자체계"에 속한 문자들이 표시되었던 영역의 디자인인 제2 소정의 디자인 중의 어느 하나의 디자인으로 표시될 수 있는(또는 표시되는)
    키보드 시스템이 운용되는 방법.
KR1020200122600A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003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00A KR20220003434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229 2020-07-01
KR1020200122600A KR20220003434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229 Division 2020-07-01 2020-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434A true KR20220003434A (ko) 2022-01-10

Family

ID=78698115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36A KR20220003436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00A KR20220003434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35A KR20220003435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23A KR102322211B1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10055323A KR20220003447A (ko) 2020-07-01 2021-04-28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20167390A KR20230010607A (ko) 2020-07-01 2022-12-05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36A KR20220003436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35A KR20220003435A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00122623A KR102322211B1 (ko) 2020-07-01 2020-09-22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10055323A KR20220003447A (ko) 2020-07-01 2021-04-28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1020220167390A KR20230010607A (ko) 2020-07-01 2022-12-05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220003436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8312A (ko) * 2010-11-29 201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284771B1 (ko) * 2011-09-21 2013-07-17 김호성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47413A (ko) * 2013-10-24 2015-05-04 윤경숙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US9836443B2 (en) * 2015-02-27 2017-12-05 Lenovo (Singapore) Pte. Ltd. Changing text input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607A (ko) 2023-01-19
KR20220003435A (ko) 2022-01-10
KR20220003436A (ko) 2022-01-10
KR102322211B9 (ko) 2022-07-04
KR20220003447A (ko) 2022-01-10
KR102322211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569B2 (en) Software key labeling on software keyboards
US20100100854A1 (en) Gesture operation input system
EP1960860A1 (en) Smart soft keyboard
US201703514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 recognition linguistic resource management
US10885286B2 (en) Simultaneous and real time translation and language switching across a set of features
EP3241105B1 (en) Suggestion selection during continuous gesture input
KR20220003434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039487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118013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039486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060046392A (ko)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KR20150131662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CN109284012A (zh) 一种古彝文语言输入控制系统及方法、信息数据处理终端
KR20130065965A (ko) 가상 키보드의 외관을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5736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KR102098683B1 (ko) 터치 키패드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170112838A (ko) 한글 복모음이 완성형으로 배정된 키보드
US11526215B2 (en) Reducing keystrokes required for inputting characters of Indic languages
KR102441624B1 (ko) 글자를 성분 단위로 수정하는 방법
Essl Mobile phones as programming platforms
KR20230135890A (ko) 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05719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10012993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입력시 직전에 입력된 문자가 무엇인지 알려주기 위한 방법
KR20240046139A (ko) 가상자판의 모드 디자인 및 한글자판에도 고정 쌍자음 모드가 존재하는 것
KR20200123757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