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371A -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371A
KR20220003371A KR1020200081084A KR20200081084A KR20220003371A KR 20220003371 A KR20220003371 A KR 20220003371A KR 1020200081084 A KR1020200081084 A KR 1020200081084A KR 20200081084 A KR20200081084 A KR 20200081084A KR 20220003371 A KR20220003371 A KR 2022000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traffic
terminals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08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3371A/ko
Publication of KR2022000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의 원격 유닛의 상태 정보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는 트래픽 추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는,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원격 유닛 선정부;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말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raffic per building to expand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물별 트래픽 추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5G 상용화 후 5G 가입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5G 커버리지 확장을 위해 통신 장비 증설이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실외에 통신 장비 증설이 진행되고 있고, 전체 트래픽의 약 70%가 발생하는 실내에서는 통신 장비 증설이 미진하여 안정적으로 5G 통신이 이루어 지지 않아 LTE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통신 사업자는 사용자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LTE 트래픽 과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5G 인빌딩 통신 장비(중계기 또는 펨토셀) 증설을 시도하고 있다. 모든 건물에 대해 순차적으로 통신 장비를 증설하는 것보다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건물을 우선 선정하여 통신 장비를 증설할 경우 사용자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면서 비용은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신 장비를 증설할 건물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건물별로 트래픽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현재 LTE 트래픽은 기지국을 구성하는 디지털 유닛(DU:digital unit)에서 각각의 채널 포트별로만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즉 디지털 유닛의 각 채널 포트에 연결되는 원격 유닛(RU:remote unit) 단위로만 트래픽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도심지의 경우 단일 RU가 중계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N개의 건물에 신호를 분배하므로 RU 단위의 트래픽만으로는 N개의 건물 중 어느 건물에서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지 파악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증설이 필요한 건물 선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는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RU를 기준으로 현장 직원의 직관에 의해 증설이 필요한 건물을 선정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 직원의 경우 일반적으로 순환 근무를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지국의 원격 유닛의 상태 정보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는 트래픽 추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는,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원격 유닛 선정부;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말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각 건물의 위치 정보로서 각 건물의 중심 좌표를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각 건물별로 건물의 중심 좌표와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중심 좌표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선정부는, 상기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 및 시간대와 동일한 과거의 복수의 날짜 및 시간대에서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유닛 선정부는, 상기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의 포트별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는, 원격 유닛에 연결된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소정 값 이상으로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이 증가한 경우, 해당 중계기가 설치된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기초로 헤비 트래픽 사용자의 유무를 결정하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중 상기 선정된 단말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는,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원격 유닛 선정부;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말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매칭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각 단말별로, 각 건물에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각 건물별로 산출하고 그 합이 가장 큰 건물을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건물에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미포함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건물이 결정된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일치하는 다른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각 다른 단말별로, 상기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세기 차이의 역수의 합을 산출한 후, 그 합이 가장 큰 다른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을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건물에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미포함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건물이 결정된 다른 단말들 중 일치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가장 많은 다른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을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선정부는, 상기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 및 시간대와 동일한 과거의 복수의 날짜 및 시간대에서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추정 장치에서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방법은,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추정 장치에서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방법은,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매칭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어,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건물에 통신 장비를 증설하여 이동통신가입자의 무선 품질을 개선할 수 있고, 통신 장비 증설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건물이 많은 사용자 단말에 의한 것인지 헤비 트래픽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여 통신 장비 증설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트래픽 추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래픽 추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개수에 따른 다운링크 트래픽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트래픽 추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양에 따른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추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추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비 트래픽 사용자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트래픽 추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별 트래픽 추정 시스템은, 디지털 유닛(DU:Digital Unit)(110), 원격 유닛(RU:Remote Unit)(120), 중계기(130), 사용자 단말(140) 및 트래픽 추정 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유닛(110) 및 상기 원격 유닛(120)은 기지국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지털 유닛(110) 및 상기 원격 유닛(120)은 각각 원거리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하나의 디지털 유닛(110)에 복수의 원격 유닛(120)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디지털 유닛(110)은, 사용자 단말(140)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반의 시그널링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백홀(Backhaul)을 통해 이동통신망과 연결되며 프론트홀을 통해 복수의 원격 유닛(120)과 연결된다.
상기 원격 유닛(120)은, 상기 디지털 유닛(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역으로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유닛(110)로 제공하는 장비로서, 프론트홀을 통해 상기 디지털 유닛(110)과 연결된다.
상기 중계기(130)는, 상기 원격 유닛(120)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 유닛(120)의 셀 커버리지를 확대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원격 유닛(120)에는 복수의 중계기(130)가 연결된다. 상기 중계기(130)는 원격 유닛(120)과 광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의 경우 중계기(130)들이 서로 다른 건물들에 설치된다.
사용자 단말(140)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통신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장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40)은,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주변에서 수집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의 정보, 현재 접속 중인 셀의 식별정보(예, 셀 ID) 그리고 수집 시간을 함께 트래픽 추정 장치(150)로 전송하거나, 또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셀 식별정보만을 수집 시간과 함께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 또는 와이파이(Wi-Fi) 기반의 위치 정보, 또는 기지국 기반 위치 정보 중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셀 식별정보와는 별도의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정보(예, MAC 주소)와 신호세기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40)은 신호세기가 높은 상위 n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정보 및 신호세기 정보를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40)은, 중계기(130), 원격 유닛(120) 및 디지털 유닛(110)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정보들을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15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또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정보들을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15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140)은 상기 정보들을 측정 및 수집하여 전송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건물별 위치 좌표를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유닛(110)의 포트들의 모니터링 결과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별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복수의 원격 유닛(120) 중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120)을 선정하고, 선정된 원격 유닛(120)이 커버하는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디지털 유닛(110)의 포트들의 모니터링 결과와, 복수의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원격 유닛(120) 중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120)을 선정하고, 선정된 원격 유닛(120)이 커버하는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트래픽 추정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저장부(210), 단말 정보 수신부(220), 원격 유닛 선정부(230), 단말 선정부(240) 및 트래픽 추정부(25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동작할 수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210)는, 건물별 위치 좌표와,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건물별 위치 좌표는, 건물의 중심에 대한 좌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부(210)는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들에 대해서만 위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각 건물별로 해당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정보(예, MAC 주소)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210)는, 또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정보, 액세스 포인트 정보, 현재 접속 중인 셀의 식별정보(예, 셀 ID) 및 수집 시간을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사용자 단말은 위치 정보 없이 액세스 포인트 정보, 현재 접속 중인 셀의 식별정보 및 수집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유닛 선정부(230)는, 복수의 원격 유닛(120)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한다. 상기 원격 유닛 선정부(230)는, 디지털 유닛(110)의 포트들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가 발생한 포트, 즉 원격 유닛(120)을 선정한다. 과부하의 기준은 시간당 트래픽 처리량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선정부(240)는, 상기 원격 유닛 선정부(230)에서 선정한 원격 유닛(12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선정부(240)는, 상기 저장부(21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셀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120)의 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셀 식별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 선정부(240)는,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에 해당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12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하거나,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를 포함한 과거 동일 날짜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단말 선정부(240)는, 과부하가 발생한 시간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전후 시간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하거나,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요일을 포함한 과거 동일 요일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들(140)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상기 단말 선정부(240)에서 선정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위치 정보와, 건물별 위치 좌표를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단말들(140)의 위치 정보와 건물별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각 건물별로 각 건물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140)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사용자 단말들(140)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한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상기 추출된 각 사용자 단말(140)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건물별 위치 좌표를 비교하여, 각 사용자 단말(140)들을 각 사용자 단말(140)과 가장 가까운 건물에 매칭한다. 이와 같이 각 건물에 사용자 단말들(140)을 매칭하면, 각 건물별로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가 정해진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각 건물의 트래픽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개수에 따른 다운링크 트래픽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E:User Equipment)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다운링크 트래픽이 비례하여 증가하고,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감소할수록 다운링크 트래픽 역시 비례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건물의 트래픽으로 추정하는 것은 타당하다.
또는,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상기 단말 선정부(240)에서 선정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단말들(140)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매칭하여, 각 건물별로 각 사용자 단말(140)의 점수를 산정하고, 점수가 가장 높은 건물에 각 사용자 단말(140)이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방식으로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각 건물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140)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사용자 단말들(140)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각 건물별로 각 사용자 단말(140)의 점수를 산정하는 데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140)별로, 각 건물에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각 건물별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가 10개이고, 그 중 5개의 식별정보가 건물 A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에 매칭되며, 나머지 중 3개의 식별정보가 건물 B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에 매칭되는 경우, 건물 A에 매칭된 상기 5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예,
Figure pat00001
)의 합을 건물 A에 대한 제1사용자 단말의 점수이고, 건물 B에 매칭된 상기 3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건물 B에 대한 제1사용자 단말의 점수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건물에 대한 제1사용자 단말의 점수가 산정된 후, 점수가 가장 높음 건물이 해당 제1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건물로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 사용자 단말(140)은, 8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정보와 신호세기를 수집한다. 8개의 액세스 포인트 중, 4개의 액세스 포인트(410)는 건물 A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고, 1개의 액세스 포인트(420)는 건물 B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며, 나머지 3개의 액세스 포인트(430)는 어느 건물에도 매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건물 A에 대한 해당 A 사용자 단말(140)의 점수는 상기 4개의 액세스 포인트(410)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이고, 건물 B에 대한 해당 A 사용자 단말(140)의 점수는 상기 1개의 액세스 포인트(430)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이다. 건물 A에 대한 접수와 건물 B에 대한 점수 중 가장 큰 점수의 건물이 해당 A 사용자 단말(140)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각 건물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 사용자 단말(140)에 대해서는, 건물들에 매칭된 다른 사용자 단말(140)들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비교하여, 건물을 매칭할 수 있다. 즉, 각 건물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 사용자 단말(140)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정보와 가장 많이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수집한 다른 사용자 단말(140)과 동일한 건물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B 사용자 단말(140)은, 8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정보와 신호세기를 수집한다. 8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어느 건물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와도 매칭되지 않는다. 다만, 3개의 액세스 포인트(510)는 A 사용자 단말(140)이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와 일치하고, 나머지는 어느 사용자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A 사용자 단말(140)은 도 4에서 건물 A에 매칭되었으므로, B 사용자 단말(140)도 건물 A에 위치한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각 건물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 사용자 단말(140)에 대해, 건물들에 매칭된 다른 사용자 단말들(140)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비교하여, 건물을 매칭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일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수집한 다른 사용자 단말 각각과 일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각 다른 사용자 단말별로 계산하고, 그 합이 가장 큰 다른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건물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실시예에서, B 사용자 단말이 A 사용자 단말과 3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일치하고 C 사용자 단말과 2개의 액세스 포인트가 일치하는 경우, B 사용자 단말이 수집한 3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과, B 사용자 단말이 수집한 2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비교하여, 이 중 3개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이 더 큰 경우, B 사용자 단말은 A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건물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트래픽 추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한 본 실시예의 트래픽 추정 장치(150)에서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의 구성요소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 및 동작을 모두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한 본 실시예의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610)를 더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각 건물별로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추정하여 트래픽 양을 추정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건물에 매칭되는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가 적으면 해당 건물의 트래픽 양은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가 적음에도 트래픽 양이 많이 발생하는 건물이 있을 수 있다. 이는 트래픽을 많이 사용하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Heavy traffic user)의 단말이 존재할 때이다. 상기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610)는 이러한 헤비 트래픽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610)는, 각 중계기(130)의 신호 증폭을 위해 사용되는 증폭기의 온도와 송신부의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트래픽의 양과,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와 전송 전력은 비례하는 상관 관계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양에 따른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7의 (a)는 트래픽 양과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b)는 트래픽 양과 중계기의 전송 전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a)에서 왼쪽 Y 축은 트래픽 양, 오른쪽 Y 축은 증폭기 온도를 나타내고, 막대 그래프는 3개의 중계기의 총 트래픽 양, 각 꺽은선 그래프는 각 중계기별 증폭기 온도를 나타낸다. 도 7의 (b)에서 왼쪽 Y 축은 트래픽 양, 오른쪽 Y 축은 중계기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고, 막대 그래프는 3개의 중계기의 총 트래픽 양, 각 꺽은선 그래프는 각 중계기별 증폭기의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의 양과,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와 전송 전력은 비례하는 상관 관계가 있다.
상기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610)는, 각 건물에 설치된 중계기(130)의 증폭기의 온도와 송신부의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특정 건물에 설치된 중계기(130)의 증폭기 온도와 전송 전력이 소정 값 이상 증가하는 경우, 상기 트래픽 추정 장치(150)에서 해당 특정 건물에 매칭한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가 상기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의 증가 폭에 비례한 값이 아니면, 해당 특정 건물에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610)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가 있는 건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관리자는 해당 건물의 트래픽 양이나 사용자 단말(140)들의 접속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중계기 증설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추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위치 정보, 현재 접속 중인 셀의 식별정보(예, 셀 ID) 및 수집 시간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단계 S802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복수의 원격 유닛(120)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한다.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디지털 유닛(110)의 포트들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가 발생한 포트, 즉 원격 유닛(120)을 선정한다. 과부하의 기준은 시간당 트래픽 처리량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선정한 원격 유닛(12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단계 S801에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셀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120)의 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셀 식별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한다. 바람직하게,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에 해당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12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하거나,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를 포함한 과거 동일 날짜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할 수도 있다.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시간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전후 시간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하거나,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요일을 포함한 과거 동일 요일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들(140)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선정될 수 있다.
단계 S804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선정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위치 정보와, 건물별 위치 좌표를 비교하여, 각 건물별로 각 건물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140)의 개수를 산정한다. 구체적으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선정된 각 사용자 단말(140)의 위치 정보와 상기 건물별 위치 좌표를 비교하여, 각 사용자 단말(140)들을 각 사용자 단말(140)과 가장 가까운 건물에 매칭한다. 이와 같이 각 건물에 사용자 단말들(140)을 매칭하면, 각 건물별로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가 정해진다.
단계 S805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단계 S804에서 정해진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건물의 트래픽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의 트래픽으로 결정함으로써, 해당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추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1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해당 사용자 단말(140)이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AP) 정보, 현재 접속 중인 셀의 식별정보(예, 셀 ID) 및 수집 시간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정보와 신호세기를 포함한다.
단계 S902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복수의 원격 유닛(120)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한다.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디지털 유닛(110)의 포트들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가 발생한 포트, 즉 원격 유닛(120)을 선정한다. 과부하의 기준은 시간당 트래픽 처리량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선정한 원격 유닛(12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한다. 구체적으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단계 S901에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셀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120)의 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셀 식별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들(140)을 선정한다.
단계 S904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선정된 사용자 단말들(140)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매칭하여, 각 건물별로 각 사용자 단말(140)의 점수를 산정하고, 점수가 가장 높은 건물에 각 사용자 단말(140)이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방식으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각 건물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140)의 개수를 산정한다.
상기 트래픽 추정부(250)는, 각 건물별로 각 사용자 단말(140)의 점수를 산정하는 데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140)별로, 각 건물에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각 건물별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단말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가 10개이고, 그 중 5개의 식별정보가 건물 A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에 매칭되며, 나머지 중 3개의 식별정보가 건물 B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에 매칭되는 경우, 건물 A에 매칭된 상기 5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예,
Figure pat00002
)의 합을 건물 A에 대한 제1사용자 단말의 점수이고, 건물 B에 매칭된 상기 3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건물 B에 대한 제1사용자 단말의 점수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건물에 대한 제1사용자 단말의 점수가 산정된 후, 점수가 가장 높음 건물이 해당 제1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건물로 결정된다.
또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각 건물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 사용자 단말(140)에 대해서는, 건물들에 매칭된 다른 사용자 단말(140)들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비교하여, 건물을 매칭할 수 있다. 즉, 각 건물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 사용자 단말(140)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정보와 가장 많이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수집한 다른 사용자 단말(140)과 동일한 건물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각 건물의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매칭되지 않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 사용자 단말(140)에 대해, 건물들에 매칭된 다른 사용자 단말들(140)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와 비교하여, 건물을 매칭하는데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일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수집한 다른 사용자 단말 각각과 일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각 다른 사용자 단말별로 계산하고, 그 합이 가장 큰 다른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건물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905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상기 단계 S904에서 정해진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건물의 트래픽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물의 트래픽으로 결정함으로써, 해당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비 트래픽 사용자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01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중계기(130)의 신호 증폭을 위해 사용되는 증폭기의 온도와 송신부의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한다.
단계 S1002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중계기(130)의 증폭기 온도와 전송 전력이 소정 값 이상 증가하는지 확인한다.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이 소정 값 이상 증가하는 경우, 단계 S1003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해당 중계기(130)가 설치된 건물에 매칭된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가 소정 값 이하인지 확인한다. 건물에 매칭된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는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에 대해서만 건물별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정했지만, 과부하에 상관 없이 모든 원격 유닛에 대해 건물별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를 정할 수 있다.
단계 S1003에서 확인한 결과, 사용자 단말(140)의 개수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 단계 S1004에서,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해당 건물에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트래픽 추정 장치(150)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가 있는 건물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관리자는 해당 건물의 트래픽 양이나 사용자 단말(140)들의 접속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중계기 증설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디지털 유닛
120 : 원격 유닛
130 : 중계기
140 : 사용자 단말
150 : 트래픽 추정 장치
210 : 저장부
220 : 단말 정보 수신부
230 : 원격 유닛 선정부
240 : 단말 선정부
250 : 트래픽 추정부
610 :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

Claims (24)

  1.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에 있어서,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원격 유닛 선정부;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말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부를 포함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건물의 위치 정보로서 각 건물의 중심 좌표를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각 건물별로 건물의 중심 좌표와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중심 좌표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선정부는,
    상기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 및 시간대와 동일한 과거의 복수의 날짜 및 시간대에서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유닛 선정부는,
    상기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의 포트별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원격 유닛에 연결된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소정 값 이상으로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이 증가한 경우, 해당 중계기가 설치된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기초로 헤비 트래픽 사용자의 유무를 결정하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중 상기 선정된 단말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7.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에 있어서,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원격 유닛 선정부;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말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매칭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트래픽 추정부를 포함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각 단말별로, 각 건물에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각 건물별로 산출하고 그 합이 가장 큰 건물을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건물에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미포함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건물이 결정된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일치하는 다른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각 다른 단말별로, 상기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세기 차이의 역수의 합을 산출한 후, 그 합이 가장 큰 다른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을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추정부는,
    건물에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미포함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건물이 결정된 다른 단말들 중 일치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가장 많은 다른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을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선정부는,
    상기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 및 시간대와 동일한 과거의 복수의 날짜 및 시간대에서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원격 유닛에 연결된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소정 값 이상으로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이 증가한 경우, 해당 중계기가 설치된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기초로 헤비 트래픽 사용자의 유무를 결정하는 헤비 트래픽 사용자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추정 장치.
  13. 트래픽 추정 장치에서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각 건물의 위치 정보로서 각 건물의 중심 좌표를 저장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각 건물별로 건물의 중심 좌표와 각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중심 좌표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 및 시간대와 동일한 과거의 복수의 날짜 및 시간대에서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디지털 유닛의 포트별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원격 유닛에 연결된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소정 값 이상으로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이 증가한 경우, 해당 중계기가 설치된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기초로 헤비 트래픽 사용자의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 중 상기 선정된 단말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각 건물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트래픽 추정 장치에서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의 복수의 원격 유닛 중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원격 유닛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단말들에서 수집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식별정보와 상기 건물별 액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매칭하여 각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단말의 개수에 기초하여 각 건물의 트래픽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각 단말별로, 각 건물에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신호세기의 절대값의 역수의 합을 각 건물별로 산출하고 그 합이 가장 큰 건물을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건물에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미포함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건물이 결정된 다른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일치하는 다른 단말을 확인하고, 확인된 각 다른 단말별로, 상기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세기 차이의 역수의 합을 산출한 후, 그 합이 가장 큰 다른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을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건물에 매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미포함하는 단말에 대해서는,
    건물이 결정된 다른 단말들 중 일치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가장 많은 다른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을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건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한 날짜 및 시간대와 동일한 과거의 복수의 날짜 및 시간대에서 상기 선정된 원격 유닛에 접속한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원격 유닛에 연결된 중계기의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을 모니터링하여 소정 값 이상으로 증폭기 온도 및 전송 전력이 증가한 경우, 해당 중계기가 설치된 건물에 위치하는 단말의 개수를 기초로 헤비 트래픽 사용자의 유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0081084A 2020-07-01 2020-07-01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03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84A KR20220003371A (ko) 2020-07-01 2020-07-01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84A KR20220003371A (ko) 2020-07-01 2020-07-01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71A true KR20220003371A (ko) 2022-01-10

Family

ID=7934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84A KR20220003371A (ko) 2020-07-01 2020-07-01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33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800B2 (en)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le access points
US9585031B2 (en) Method to guide the placement of new small cell
US8688029B2 (en) Radio access network integrated set-top device
EP329733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741515B (zh) 一种基于LoRa技术的网关与终端自组网数据传输方法
JP6423452B2 (ja) 少なくとも2つのユーザ装置の間の地理的距離を推定する又は地理的距離の範囲を推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ユーザ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H104233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編成パラメータ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WO2012163162A1 (zh) 一种空闲频谱的获取方法和设备
US1051706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th distributed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20100136985A1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area shaping method performed by specified base station
EP2330850A1 (en) Handover control
US10257759B2 (en) Load balancing among wireless access points
US20180365977A1 (en) Data collection system
US20180310243A1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170219682A1 (en) Positioning system
US202303888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metrics in a wireless network with multiple access points
EP3363225B1 (en) A network entity and a method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relay
EP2442486A1 (en) Data collection for estimating the coverage of individual access points
JP6953505B2 (ja) 通信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US10805829B2 (en) BLE-based location services in high density deployments
KR20220003371A (ko) 통신 장비 증설을 위해 건물별 트래픽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919805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448000B2 (ja) サーバ装置、センサ装置、及びデータ表示方法
KR101697289B1 (ko) Sdn 기반의 다중 무선 네트워크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118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基地局、無線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