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100A - 고정 검출부를 구비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고정 검출부를 구비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100A
KR20220003100A KR1020217039844A KR20217039844A KR20220003100A KR 20220003100 A KR20220003100 A KR 20220003100A KR 1020217039844 A KR1020217039844 A KR 1020217039844A KR 20217039844 A KR20217039844 A KR 20217039844A KR 20220003100 A KR20220003100 A KR 20220003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member
connector
fluid line
switch
lin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티. 이그나착
르네 쉰들러
토마스 에이. 푸보겔
Original Assignee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404,551 external-priority patent/US11199282B2/en
Application filed by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filed Critical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03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는 원격 고정 검출 기능을 제공하고, 따라서 초기 조립, 후속 품질 검사, 및 자동화된, 로봇화된 그리고/또는 자율적인 후속 서비스 기술에 대해서 설치된다. 유체 라인 커넥터는, 몸체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부재, 및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유체 유동을 위한 통로를 갖는다. RFID 태그는 RFID 인터로게이터(interrogator)와 통신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부재(들)는, 액추에이터 부재(들)가 작동될 때, 스위치(들)의 상태를 변경한다. 스위치(들)는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고정 검출부를 구비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
본 출원은 2017년 8월 11일자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 출원 제62/544,057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2018년 8월 13일자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102,256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 라인들을 함께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조립체 부재의 적절하고 완전한 결합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 특히 신속한 연결 기능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차량 응용분야에서 유체 라인들을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 가지 예는 전기 비이클 자동차의 냉각수 유체 라인이다. 초기 조립 및 검사 및 후속 서비스를 위해, 커넥터 조립체의 부재들 간에 적절하고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커넥터 조립체의 설계 및 구성에 시각적 측정이 때때로 사용된다. 예는, 완전한 결합 시 폐쇄될 수 있는 2차 래치, 및 결합을 관찰하기 위해 커넥터 조립체의 부재들 중 하나에 프레임된 윈도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정 및 이와 유사한 다른 측정은 커넥터 조립체의 부재들 간에 적절하고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립자, 검사자 또는 서비스자에 의한 물리적 상호 작용 및 관찰을 필요로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는 몸체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액추에이터 부재,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통로를 갖는다. RFID 태그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된다. 액추에이터 부재는 몸체부의 통로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액추에이터 부재는, 다른 커넥터가 유체 라인 커넥터에 삽입될 때 작동된다. 스위치는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부재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스위치는 다른 커넥터가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 삽입될 때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한다(즉,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또는 반대로).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는 몸체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리테이너, 액추에이터 부재,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통로를 갖는다. 개구는 몸체부에 존재하고, 통로로 이어진다. RFID 태그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된다. 리테이너는 개구를 통해 안팎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부재는 리테이너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액추에이터 부재는, 리테이너가 개구를 통해 이동될 때 그리고 리테이너가 액추에이터 부재에 접촉될 때 작동된다. 스위치는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부재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해 충돌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는 몸체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리테이너, 제1 액추에이터 부재, 제1 스위치, 제2 액추에이터 부재,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통로를 갖는다. RFID 태그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된다. 리테이너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된다. 리테이너는, 다른 커넥터가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 삽입될 때 다른 커넥터의 슬롯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 부재는 몸체부의 통로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 중에, 제1 액추에이터 부재와 다른 커넥터로부터의 접촉이 제1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킨다. 제1 스위치는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1 스위치는 제1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한다. 제2 액추에이터 부재는 리테이너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된다. 리테이너가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 액추에이터 부재와의 리테이너로부터의 접촉은 제2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킨다. 제2 스위치는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제2 스위치는 제2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제2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는 몸체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리테이너, 액추에이터 부재,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는 통로를 갖는다. RFID 태그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된다. 리테이너는 몸체부에 의해 지지된다. 액추에이터 부재는 리테이너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액추에이터 부재는,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횡방향으로 리테이너의 이동 시 작동된다. 스위치는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부재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스위치의 상태를 변경한다.
도 1은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의 유체 라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유체 라인 커넥터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체 라인 커넥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의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커넥터가 조립된 도 5의 유체 라인 커넥터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유체 라인 커넥터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유체 라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유체 라인 커넥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 부재 및 스위치의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유체 라인 커넥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의 일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의 여러 실시형태가 본 설명에 상세히 설명된다. 커넥터 및 조립체는, 고정 부위에서 조립자, 검사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어느 정도 수준의 물리적 상호 작용 및 관찰을 필요로 했던 과거의 2차 래치 및 윈도우에 대한 필요성 없이, 커넥터들 사이의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대신, 본 설명의 커넥터 및 조립체에는, 커넥터의 직접적인 고정 부위의 원격에 위치된 디바이스를 통해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이 검출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며, 이 디바이스는 검출을 위해서 고정 부위와 물리적으로 반드시 접촉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및 조립체는, 예를 들어, 자동차 생산의 고급 제조 시설에서 찾을 수 있는, 자동화, 로봇화 그리고/또는 자율적인 초기 조립, 후속 품질 검사 및 후속 서비스 기술에 대해서 설치된다. 따라서 커넥터 및 조립체는, 근접한 전원 공급 장치를 쉽게 이용 가능하지 않고, 즉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와 같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유용할 수 있다. 본 설명은 전기 비이클 자동차의 냉각수 유체 라인과 같은 자동차 유체 라인과 관련하여 커넥터 및 조립체를 제시하지만, 커넥터 및 조립체는 더 넓은 응용분야를 가지며, 항공기 유체 라인, 해양 유체 라인, 농업용 유체 라인 뿐만 아니라 다른 유체 라인에서의 사용에 적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완전한 고정"이라는 문구 및 이의 문법적 변형음 유체 라인 커넥터를 통해 유밀 조인트가 확립되는 고정 상태를 가리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반경방향, 축방향 및 원주방향이라는 용어와 이의 문법적 변형은 유체 라인 커넥터의 통로의 전반적으로 원형인 형상에 대한 방향들을 가리킨다.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는, 일부 경우에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가 사용되는 응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디자인, 구성 및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10)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10)는 유체 라인 커넥터(12) 및 또 다른 별개의 개별 커넥터(14)를 포함한다. 유체 라인 커넥터(12)는 커넥터(14)와의 준비된 연결 및 연결해제 동작을 위한 신속한 연결 기능을 갖고, 자동차 유체 라인들을 함께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2)는 암형 커넥터이고, 커넥터(14)는 수형 커넥터(종종 스피것(spigot)으로 지칭됨)이다. 유체 라인 커넥터(12)는 설치 시 제1 단부(16)에서 커넥터(14)의 삽입을 수용하고, 제2 단부(18)에서 유체 라인에 커플링된다. 유체 라인 커넥터(12)는 도면에서 엘보우 및 L자형 구성을 갖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일직선의 인라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14)는, 많은 가능성 중에서, 차량 배터리 트레이 또는 열 교환기와 같은 더 큰 구성요소의 일체형 그리고 어느 정도 모놀리식인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유체 라인의 일체형 그리고 어느 정도 모놀리식인 부분일 수 있다. 특히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14)는 이의 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20)를 갖고, 제1 플랜지(2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마찬가지로 커넥터의 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22)를 갖는다. 제1 및 제2 플랜지(20, 22)는 커넥터(14) 주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넥터(14)는 외측 표면(24)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2)는, 몸체부(26), O-링(28), 인서트(30),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칩(32), 스위치(34), 및 액추에이터 부재(36)를 포함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2)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그리고/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26)는, 유체 라인 커넥터(12)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몸체부의 구조체 내에 정의된 통로(38)를 갖는다. 몸체부(26)는 또한, RFID 칩(32)의 수용 및 배치를 위한 격실(40)을 갖는다. 격실(40)은 통로(38)로부터 분리된 공간이다. 제거 가능한 커버(42)는, 격실(40)을 폐쇄하고 그 안에 있는 RFID 칩(32)을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26)는, 조립체에서 몸체부(26) 내에 액추에이터 부재(36)를 위치시키고 안착시키기 위한 패스 쓰루(pass-through)(44)를 더 갖는다. 액추에이터 부재(36)가 몸체부(26)로부터 제거되면(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38)와 격실(40)은 통로(38) 및 격실(40)의 양쪽에 개방된 패스 쓰루(44)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O-링(28)은, 아마도 도 4에 의해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38) 내에 수용되고,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 사이에서 밀봉부를 형성한다. 인서트(30)는 또한, 통로(38) 내에 수용되고, 커넥터(14)와 유체 라인 커넥터(12)가 함께 고정될 때 커넥터(14)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도면의 실시예에서, 인서트(30)는 한 쌍의 탱(tang)(46)을 가지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중첩 깊이로 유체 라인 커넥터(12) 안에 커넥터(14)를 삽입할 때 제1 플랜지(20)를 캡처하는 후크 단부(48)를 구비한다. 인서트(30)는, 탱(46)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제1 링 구조체(50) 및 제2 링 구조체(52)를 포함한다. 제2 링 구조체(52)의 대향 측부 상의 프레스-다운(54)은, 유체 라인 커넥터(12)로부터 커넥터(14)를 분해하기 위해 캡처된 제1 플랜지(20)를 해제하도록 압착될 수 있다.
RFID 칩(32)은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 사이의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의 검출을 보조한다. RFID 칩(32)은 RFID 인터로게이터(interrogator)(56)와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송수신한다. RFID 인터로게이터(56)는, RF 신호(60)로 응답하는 RFID 칩(32)에 인터로게이팅 신호(interrogating signal)(58)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RFID 기술을 사용하여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 검출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조 시설에서, RFID 인터로게이터(56)는 조립, 검사 및/또는 설치 생산 라인 중간에 배치될 수 있고,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10) 및 더 큰 애플리케이션이 고정 구역을 통해 운반될 때 RFID 인터로게이터(56)가 RFID 칩(32)과 상호 통신하려고 하는 인터로게이션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조 시설에 따라, RFID 인터로게이터(56)는 RFID 인터로게이터(56)로부터 수 미터에 걸쳐 있는 인터로게이션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설정에서, RFID 인터로게이터(56)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RF 신호(60)는 RFID 인터로게이터(56)에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되는 정보는,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 사이의 고정 상태의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라인 커넥터(12) 및 커넥터(14)가 완전한 고정을 나타낼 때, RF 신호(60)는 ON 신호의 형태로 완전히 고정된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56)에 전달할 수 있다. RFID 인터로게이터(56)는 이어서 전달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전달되는 정보는 또한, 일련 번호,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RFID 칩(32)은 몸체부(26)에 의해 지지된다. RFID 칩(32)과 몸체부(26) 사이의 지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RFID 칩(32)은 격실(40) 내에 존재하고, 설치 시 커버(42)에 의해 보호된다. 이 위치에서, RFID 칩(32)은 통로(38)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 유동에 대한 노출로부터 차폐되고 특정 응용분야에 따라 외부 오염원으로 부터 차폐된다. RFID 칩(32)은 RF 신호를 교환(즉, 송신 및 수신)하는 안테나(62)를 갖고, 다른 가능한 기능 중에서, 데이터 및 정보를 저장하는 집적 회로(IC)(64)를 갖는다.
스위치(34)는, RFID 칩(32)을 활성화하여 RFID 인터로게이터(56)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RFID 칩(32)을 비활성화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불능화하기 위해서, RFID 칩(32)과 상호 작용한다. 또한, 상호 작용은, 다른 방식으로 RFID 칩(32)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면에 의해 제시된 실시형태에서, 스위치(34)는, 안테나(62)가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불능화하도록 RFID 칩(32)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스위치(34)는, 일부 경우에 스위치가 상호 작용하는 RFID 칩 및 수반되는 커넥터의 설계 및 구성에 따라,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설계, 구성 및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4)는 기계적, 전기적 및 자기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34)는 RFID 칩(32)에 장착된 버튼(66)의 형태이다. 도 4에 의해 가장 잘 입증된 바와 같이, 버튼(66)은, RFID 칩(32)과 액추에이터 부재(36) 사이에, 그리고 패스 쓰루(44)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버튼(66)은 충돌되어 물리적으로 눌려질 때, RFID 칩(32)에 대한 전기적 결합으로 인해, 안테나(62)를 활성화하여 안테나가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버튼(66)의 단일 누름 및 해제가 RFID 칩(32)을 활성화할 수 있거나, 유지된 충돌 및 누름이 충돌 및 누름이 지속되는 기간 동안 RFID 칩(32)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역으로, 버튼(66)의 단일 누름 및 해제는 RFID 칩(32)을 비활성화할 수 있거나, 유지된 충돌 및 누름의 부재는 충돌 및 누름이 결여된 기간 동안 RFID 칩(3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위치(34)는 다른 수단에 의해 RFID 칩(32)을 활성화하고 비활성화하도록 프롬프트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형태는 접촉 기반 스위치 대신에 비접촉 스위치를 사용하여 프롬프팅을 수행한다. 리드 스위치(68)는 유체 라인 커넥터(12)의 몸체부(26)에 의해 지지되고, 자기 부재(70)은 커넥터(1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가 완전히 고정되면, 리드 스위치(68)와 자기 부재(70) 사이의 근접성은 RFID 칩(32)의 활성화를 프롬프트한다. 역으로, 보다 덜한 리드 스위치(68)와 자기 부재(70)의 서로에 대한 완전한 고정 및 그에 따른 원격성은 RFID 칩(32)을 비활성화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 부재(36)는 제공될 필요가 없다.
액추에이터 부재(36)는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 사이의 완전한 고정 동작 중에 그리고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접촉을 수용하고, 이에 의해 스위치(34)의 충돌을 촉진한다. 액추에이터 부재(36)는, 일부 경우에 스위치(34) 및 수반되는 커넥터의 설계 및 구성에 따라,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설계, 구성 및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 부재(36)는 커넥터(14)와 RFID 칩(32) 사이의 상호관계를 제공하기 위해 통로(38)와 스위치(34) 사이에 걸쳐 있다. 액추에이터 부재(36)는 유체 라인 커넥터(12)의 몸체부(26) 내에서 지지되고, 패스 쓰루(44)에 위치되고 안착된다. 이의 위치에서, 액추에이터 부재(36)는 통로(38)에 있는 일 단부 및 스위치(34)에 있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의 실시형태에서, 액추에이터 부재(36)는 캠(cam) 부재(72)의 형태이다. 캠 부재(72)는 단일 피스(one-piece)이고, 베이스 부분(74) 및 베이스 부분(74)으로부터 달려 있는 한 쌍의 프롱 부분(76)을 구비하는 U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베이스 부분(74)은, 스위치(34)에 존재하고 스위치(34)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제1 작동 표면(78)을 갖는다. 그리고 프롱 부분(76) 각각은, 유체 라인 커넥터(12) 안으로 삽입된 후 커넥터(14)와의 접촉을 위해 통로(38)에 존재하는 제2 작동 표면(80)을 갖는다. 제2 작동 표면(80)은, 커넥터(14)와 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캠 부재(72)의 수반된 변위를 유도하기 위해 커넥터(14)의 축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10)가 사용 중일 때, RFID 기술을 통해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이 검출될 수 있다. 유체 라인 커넥터(12) 및 커넥터(14)는, 커넥터(14)가 제1 단부(16)에서 몸체부(26) 안으로 삽입될 때, 합쳐진다. 제1 플랜지(20)는 캠 부재(72)와 접하게 되어 캠 부재(72)를 위쪽으로(도면의 배향에 대해) 버튼(66)을 향해 변위시킨다. 제1 플랜지(20)는 캠 부재(72)의 제2 작동 표면(80)과의 표면 대 표면 접촉을 형성한다. 캠 부재(72)는 위쪽으로 가압되어 제1 작동 표면(78)과 버튼(66)의 대향 표면 사이의 표면 대 표면 접촉을 통해 버튼(66)과 충돌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플랜지(20)는 캠 부재(72)와의 접촉을 유지하고, 따라서 캠 부재(72)는 완전한 고정에서 버튼(66)과의 충돌을 유지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2)는 단일 RFID 칩보다 더 많은 칩을 포함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제1 RFID 칩(32)에 더하여 제2 RFID 칩(33)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1 RFID 칩(32)과 같이, 제2 RFID 칩(33)은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 사이의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의 검출을 보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RFID 칩(32, 33) 모두는 RFID 인터로게이터(56)와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가 완전한 고정을 나타낼 때, 제1 RFID 칩(32)은 완전히 고정된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56)에 전달할 수 있다. 역으로, 유체 라인 커넥터(12)와 커넥터(14)가 함께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경우, 제2 RFID 칩(33)은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이러한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56)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완전한 고정에서, 제2 RFID 칩(33)은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56)에 전달하지 않으며; 함께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경우, 제1 RFID 칩(32)은 완전히 고정된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56)에 전달하지 않는다. 이전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RFID 칩(32, 33)은 일련 번호, 설치 위치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RFID 칩(32)이 완전히 고정된 정보를 전달할지, 또는 제2 RFID 칩(33)이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는지 여부는 부분적으로 스위치(34)에 의해 관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스위치(34)는 제1 및 제2 RFID 칩(32, 33) 모두와 상호작용하고, 제1 및 제2 RFID 칩(32, 33) 모두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호작용 및 정보의 전달은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4)는 충돌된 때, 제1 RFID 칩(32)을 활성화하여 완전히 고정된 정보를 전달하게 할 수 있고, 스위치(34)는 충돌되지 않은 때, 제2 RFID 칩(33)을 활성화하여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게 할 수 있다. 스위치(34)의 충돌, 및 충돌의 부재는 제1 RFID 칩(32) 또는 제2 RFID 칩(33)을 비활성화하고 불능화할 수 있다.
이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110)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제시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형태와 몇 가지 유사점을 가지며, 유사점은 도 5 내지 도 11의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110)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 및 또 다른 별개의 개별 커넥터(114)를 포함한다. 유체 라인(112)은 커넥터(114)와의 준비된 연결 및 연결해제 동작을 위한 신속한 연결 기능을 갖고, 다른 응용분야에서 다른 유체 라인들뿐만 아니라, 자동차 유체 라인들을 함께 결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12)는 암형 커넥터이고, 커넥터(114)는 수형 커넥터(종종 스피것으로 지칭됨)이다. 유체 라인 커넥터(112)는 도 7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 바와 같이 커넥터(114)의 삽입을 수용한다. 유체 라인 커넥터(112)는 도면에서 엘보우 및 L자형 구성을 갖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일직선의 인라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114)는, 많은 가능성 중에서, 차량 배터리 트레이 또는 열 교환기와 같은 더 큰 구성요소의 일체형 그리고 어느 정도 모놀리식인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유체 라인의 일체형 그리고 어느 정도 모놀리식인 부분일 수 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114)는 확장부(115), 및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삽입되는 커넥터(114)의 일 단부에 위치된 슬롯(117)을 갖는다. 확장부(115)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유체 라인 커넥터(112)의 액추에이터 부재와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디자인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확장부(115)는 커넥터(114)의 삽입되는 단부에 걸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넥터의 주변 몸체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슬롯(117)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유체 라인 커넥터(112)의 리테이너의 삽입을 수용한다. 슬롯(117)은 커넥터(114) 둘레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커넥터(114)는 램프(119)를 갖는다. 램프(ramp)(119)는 커넥터(114)에서 증가되는 직경을 나타낸다. 커넥터(114)는, 확장부(115) 및 슬롯(117)이 유체 라인 커넥터(112)에 수용되기 전에, 유체 라인 커넥터(112)에 수용되는 램프(119)와 함께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즉, 도 6의 방향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삽입된다.
도 5 내지 도 11에 의해 제시된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12)는 몸체부(126), 리테이너(129),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132), 하나 또는 두 개의 스위치(134, 135), 및 하나 또는 두 개의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를 포함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12)는 더 많거나 더 적거나, 그리고/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5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몸체부(126)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몸체부의 구조체 내에 정의된 통로(138)를 갖는다. 또한, 몸체부(126)는 RFID 태그(132)의 수용 및 배치를 위한 격실을 갖는다. 제거 가능한 커버(142)는 격실을 닫고 그 안에 있는 RFID 태그(132)를 둘러싸기 위해 제공된다(격실과 커버는 도 5 및 도 7에만 도시되나, 도 8 및 도 9의 묘사는 RFID 태그(132)를 수용하기 위한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 또한, 비록 도 5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되나, 인서트 조립체(143)가 유체 라인 커넥터(112)의 내부 및 통로(138) 내에 제공되고 지지될 수 있다. 그 설계 및 구성에 따라, 인서트 조립체(143)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와 커넥터(114) 사이의 끼워맞춤, 수용 및/또는 밀봉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 조립체(143)는 O-링(145) 및 캐리어(147)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26)는, 리테이너(129)와 협력하여 유체 라인 커넥터(112)의 신속한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을 갖는다. 다시 도 5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개구(149) 및 제2 개구(151)가 몸체부 벽의 대향 측부들 상에 정의되고, 이를 통해 전체에 연장되고 통로(138)로 이어진다. 벽의 외부에는, 리테이너(129)가 슬롯(117)에 수용되기 위해 이동될 때 리테이너(129)를 일시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제1 리세스(153) 및 제2 리세스(155)가 있다. 플랜지(157)는 몸체부 벽의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고, 리테이너(129)가 슬롯(117)에 수용될 때, 리테이너(129)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129)의 섹션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또한, 몸체부(126)는 액추에이터 부재(들)(136, 137)의 조립 및 설치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구조체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체의 정확한 설계 및 구성은 변할 수 있고, 유체 라인 커넥터(112)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부재(들) 및 스위치(들)의 설계 및 구성에 의존될 수 있다. 도면에 의해 제시되는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이제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소켓(159) 및 제2 소켓(161)이 몸체부(126) 내에 존재한다. 제1 소켓(159)은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를 수용하고 유지하며, 이 실시형태에서 슬롯 구조의 형태이다. 제1 소켓(159)은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를 위치시키기 위해 통로(138)의 입구(163)에 위치되고, 입구(163)에 근접한 몸체부 벽 내에 정의된다.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를 완전히 수용하기 위해, 제1 소켓(159)의 축방향 깊이는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한 방식으로, 제1 소켓(159)의 반경방향 폭은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의 폭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1 소켓(159)의 축방향 깊이는, 입구(163)에서 통로(138)의 축선과 대체로 정렬된다. 도면은,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를 수용하고 제1 소켓(159)을 제공하기 위한 몸체부 벽의 확대된 구조체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확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용은 몸체부(126)에 더 밀착되고 통합될 수 있다.
이제 특히 도 9를 참조하면, 제2 소켓(161)은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를 수용하고 유지하며, 이 실시형태에서 슬롯 구조의 형태이다. 제2 소켓(161)은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를 위치시키기 위해 통로(138)의 외부에, 그리고 몸체부의 벽의 측부에 위치된다.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를 완전히 수용하기 위해, 제2 소켓(161)의 반경방향 깊이는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소켓(161)의 축방향 폭은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폭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2 소켓(161)의 반경방향 깊이는, 입구(163)에서 통로(138)의 반경과 대체로 정렬된다. 도면은,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를 수용하고 제2 소켓(161)을 제공하기 위한 몸체부 벽의 측부로부터 돌출된 확대된 구조체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확대된 구조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수용은 몸체부(126)에 더 밀착되고 통합될 수 있다. 도 9에서, 베이스 벽(165) 및 베이스 벽(165)으로부터 달려 있는 한 쌍의 측부 벽(167)은 함께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유체 라인 커넥터(112)가 사용될 때 외부 구성요소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대해 보호하는 것을 돕는다.
리테이너(129)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의 신속한 연결 기능을 제공하도록 몸체부(126)와 상호작용하여, 커넥터(114)가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쉽게 삽입되고 내부에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또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 이로부터 해제 및 제거될 수 있다. 리테이너(129)는 설계 및 구성이 다양할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형태에서 리테이너(129)는 내측으로 바이어스된 단일 피스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 스프링이다. 리테이너(129)는 제1 레그(leg)(169), 제2 레그(171), 및 레그들 사이에 걸쳐 있는 브릿지(bridge)(173)를 갖는다. 제1 및 제2 레그(169, 171)는 형상 및 사이즈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리테이너(129)의 제1 사용 위치가 도 5, 도 8 및 도 9에 제시된다. 제1 사용 위치에서, 리테이너(129)는, 제1 및 제2 레그(169, 171)가 제1 및 제2 개구(149, 151)를 통해 이동된 상태에서 몸체부(126)에 의해 지지된다. 제1 및 제2 레그(169, 171)는 통로(138) 내에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커넥터(114)는 제1 사용 위치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삽입되지 않았다. 리테이너(129)의 제2 사용 위치는 도면에서 구체적인 묘사가 결여된다. 제2 사용 위치에서, 커넥터(114)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삽입되고, 램프(119)는 제1 및 제2 레그(169, 171)와 맞물린다. 맞물림은 제1 및 제2 레그(169, 171)가 서로로부터 멀어지게(즉, 반경방향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하고, 브릿지(173)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레그(169)의 말단 푸트(foot)(173)(도 9)는 제1 리세스(153) 내에 안착되고, 마찬가지로 제2 레그(171)의 말단 푸트(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는 제2 리세스(155) 내에 안착된다. 커넥터(114)의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리테이너(129)는, 리테이너(129)가 슬롯(117) 내에 수용되는 제3 사용 위치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 레그(169, 171)는 램프(119) 위로 지탱되고, 다시 제1 사용 위치의 위치로 스냅될 수 있지만, 이제 슬롯(117) 내에 수용된다. 제1 및 제2 레그(169, 171)는 제1 및 제2 개구(149, 151)를 통해 각각 이동된다. 슬롯(117) 안으로의 제1 및 제2 레그(169, 171)의 수용은 유체 라인 커넥터(112)와 커넥터(114)를 함께 고정한다. 제1과 제2와 제3 사용 위치 사이의 리테이너(129)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이고, 커넥터(114)의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삽입 방향(179)(도 5)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리테이너(129)를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리테이너의 움직임은 반경 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 또는 위아래이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RFID 태그(132)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와 커넥터(114) 사이의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의 검출을 보조한다. RFID 태그(132)는 RFID 인터로게이터 또는 리더(156)(도 7)와 통신한다. RFID 인터로게이터(156)는 RFID 태그(132)에 인터로게이팅 신호(158)를 전송하며, 태그는 이어서 RFID 인터로게이터(156)와 통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RFID 기술을 사용하여 적절하고 완전한 고정 검출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조 시설에서, RFID 인터로게이터(156)는 조립, 검사 및/또는 설치 생산 라인 중간에 배치될 수 있고,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110) 및 더 큰 애플리케이션이 고정 구역을 통해 운반될 때, RFID 인터로게이터(156)가 RFID 태그(132)와 상호 통신하려고 하는 인터로게이션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제조 시설에 따라, RFID 인터로게이터(156)는 RFID 인터로게이터(156)로부터 수 미터에 걸쳐 있는 인터로게이션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설정에서, RFID 인터로게이터(156)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다.
RFID 태그(132)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수동형 RFID 태그 유형이지만, 능동형 RFID 태그와 같은 다른 유형일 수 있다. RFID 태그(132)로부터 수신되는 통신은 다양한 데이터 및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156)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달되는 정보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와 커넥터(114) 사이의 고정 상태의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라인 커넥터(112) 및 커넥터(114)가 완전한 고정을 나타낼 때, RFID 태그(132)는 ON 신호의 형태로 완전히 고정된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156)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역으로, 유체 라인 커넥터(112) 및 커넥터(114)가 완전한 고정이 결여된 경우, RFID 태그(132)는 OFF 신호의 형태로 완전히 고정되지 않은 정보를 RFID 인터로게이터(156)에 전달할 수 있다. RFID 인터로게이터(156)는 이어서 전달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전달되는 정보는 또한, 부재 일련 번호, 설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라인 커넥터(112)가 두 개의 스위치(134, 135) 및 두 개의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를 구비하는 실시형태에서, RFID 태그(132)는 스위치(134, 135)의 충돌 또는 비충돌에 기반하여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 각각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132)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할 수 있다: i)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 둘 다 작동을 결여하고, 따라서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 둘 다 개방 상태에 있음, ii)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가 작동이 결여되어 제1 스위치(134)가 개방 상태에 있고,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는 작동되어, 따라서 제2 스위치(135)가 폐쇄 상태에 있음, iii)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가 작동되어, 따라서 제1 스위치(134)가 폐쇄 상태에 있고,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는 작동이 결여되어, 따라서 제2 스위치(135)가 개방 상태에 있음, 및/또는 iv)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 모두가 작동되고, 따라서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가 모두 폐쇄 상태에 있음.
RFID 태그(132)는 몸체부(126)에 의해 지지된다. RFID 태그(132)와 몸체부(126) 사이의 지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RFID 태그(132)는 몸체부의 격실 내에 존재하고, 설치 시 커버(142)에 의해 보호된다. 이 위치에서, RFID 태그(132)는 통로(138)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 유동에 대한 노출로부터 차폐되고 특정 응용분야에 따라 외부 오염원으로 부터 차폐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132)는 안테나(162)를 갖고, 다른 가능한 기능 중에서, 데이터 및 정보를 저장하는 집적 회로(IC)(164)를 갖는다. 안테나(162) 및 IC(164)는 RFID 태그(132)의 기판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는 둘 다 제공되는 경우, 직렬 배열로 RFID 태그(132)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11의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12)는 단일 RFID 태그보다 더 많은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의 실시형태에 대한 대안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12)는 다음을 구비할 수 있다: i) 제1 스위치(134) 및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만, ii) 제2 스위치(135)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만, 또는 iii)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 모두 및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 모두. 세 번째[iii)] 대안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숙련된 기술자는 도면의 유체 라인 커넥터(112)로부터 다른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첫 번째[i)] 및 두 번째[ii)] 대안을 쉽게 착상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에 의한 스위치(134, 135)의 충돌 또는 비충돌에 기반하여 RFID 태그(132)에 자신의 상태를 전달하기 위해 RFID 태그(132)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전기적 결합은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로부터 RFID 태그(132)까지 이어지는 와이어(175)의 형태일 수 있다. 배선은 직렬 배열을 설정할 수 있다. 와이어(175)의 실시예에서, 와이어(175)는, 다른 가능성 중에서, 몸체부(126)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거나, 몸체부의 벽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는, 일부 경우에 스위치가 상호작용하는 RFID 태그 및 수반되는 액추에이터 부재의 설계 및 구성에 따라,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서로에 대해, 그리고 스위치(134, 135)가 모두 존재하는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는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는 버튼(166)의 형태이다. 특정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해 충돌되고 물리적으로 눌려지면, 버튼(166)은 폐쇄 상태에 있다. 특정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해 충돌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눌려지지 않으면, 버튼(166)은 개방 상태에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와 커넥터(114) 사이의 완전한 고정 동작 중에 그리고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접촉을 수용하고, 이에 의해 작동되고, 이어서 각각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를 충돌시켜 스위치를 폐쇄시킨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는, 일부 경우에 특정한 스위치 및 커넥터의 설계 및 구성에 따라,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다양한 설계, 구성 및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서로에 대해, 그리고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 모두가 존재하는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는 상이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형태에서, 그리고 이제 도 5,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커넥터(114)의 축방향 삽입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는 통로(138)의 입구(163)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는 옆으로 돌려진 V자 형상과 유사하다. 조립 시,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의 길이방향 연장부(177)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커넥터(114)의 삽입 방향(179)과 대체로 일렬로 배열된다. 길이방향 연장부(177)는 입구(163)에서 통로(138)의 축선과 대체로 정렬된다.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는 베이스(181) 및 베이스(181)로부터 달려 있는 부품(183)을 갖는다. 베이스(181)는 제1 스위치(134)를 지지하고, 몸체부(126)의 제1 소켓(159) 내에 삽입되고 수용된다. 부품(183)은,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가 커넥터(114)로부터의 접촉을 수용할 때, 원호형 경로(185)를 통해 베이스(181)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부품(183)은, 아마도 도 5에 의해 가장 잘 입증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14)의 삽입 전에 통로(138) 내에 부분적으로 현수되어, 이러한 삽입 시에, 커넥터의 확장부(115)가 부품(183)과 접촉될 수 있다. 부품(183)은 정지되어 있을 때 그리고 확장부(115)로부터의 접촉이 결여되었을 때, 이러한 연장되고 현수된 위치에 남아 있다. 이것은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의 비작동 상태 및 이에 대응하여 제1 스위치(134)의 개방 상태를 구성한다. 부품(183)은 접촉되면, 다음으로 베이스(181)를 향해 이동되고, 제1 스위치(134)와 충돌된다. 이것은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의 작동 상태 및 이에 대응하여 제1 스위치(134)의 폐쇄 상태를 구성한다.
일 측부에서, 부품(183)은, 통로(138)와 그리고 커넥터(114)와의 전반적인 대면을 유지하는 외측 작동 표면(187)을 갖는다. 이의 반대 측부에서, 부품(183)은, 제1 스위치(134)와의 전반적인 대면을 유지하는 내측 작동 표면(189)을 갖는다. 돌출부(191)는, 제1 스위치(134)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위해 내측 작동 표면(189)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부품(183)은 근위 단부(193) 및 원위 단부(195)를 갖고, 근위 단부를 중심으로 부품(183)이 베이스(181)에 대해 구부러진다. 근위 단부(193)는 힌지의 역할을 하고, 원위 단부(195)는 부품(183)의 자유 말단 단부를 구성한다.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의 경우, 힌지의 축선(197)은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커넥터(114)의 삽입 방향(179)과 전반적으로 직교하는 배열로 놓여 있고, 마찬가지로, 입구(163)에서 전반적으로 통로(138)의 축선에 직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는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와 유사한 설계 및 구성을 갖는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는 리테이너(129)의 적절한 위치 및 그에 수반되는 슬롯(117) 내의 레그(169, 171)의 수용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는 통로(138)의 외부에 있고 몸체부의 벽 측부에 위치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액추에이터 부재는 몸체부(126)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외부에 있을 필요는 없다. 이의 위치 때문에, 그리고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와 달리,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길이방향 연장부(177)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커넥터(114)의 삽입 방향(179)에 전반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길이방향 연장부(177)는 입구(163)에서 통로(138)의 축선에 전반적으로 직교한다.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베이스(181)는 제2 스위치(135)를 지지하며, 몸체부(126)의 제2 소켓(161)에 삽입되고 수용된다. 부품(183)은, 리테이너(129)가 제1 및 제3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말단 푸트(173)가 하강하여 존재하는 경로와 교차하는 위치에 부품의 원위 단부(195)가 있는 상태로, 몸체부의 외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말단 푸트(173)는, 레그(169, 171)가 슬롯(117) 내에서 이동될 때 부품(183)과 접촉될 수 있고, 따라서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말단 푸트(173)로부터의 접촉을 통한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작동은 도 9에서 설명된다. 부품(183)은 정지되어 있을 때 그리고 말단 푸트(173)로부터의 접촉이 결여되었을 때, 부품의 연장된 위치에 남아 있다. 이것은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비작동 상태 및 이에 대응하여 제2 스위치(135)의 개방 상태를 구성한다. 부품(183)은, 리테이너(129)가 제2 사용 위치에 있을 때 말단 푸트(173)로부터의 접촉을 결여한다. 말단 푸트(173)에 의해 접촉될 때, 부품(183)은 베이스(181)를 향해 이동되고 제2 스위치(135)와 충돌한다. 이는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작동 상태 및 이에 대응하여 제2 스위치(135)의 폐쇄 상태를 구성한다.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7)의 경우, 힌지의 축선(197)은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커넥터(114)의 삽입 방향(179)과 전반적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마찬가지로, 입구(163)에서 전반적으로 통로(138)의 축선과 정렬된다.
스위치(134, 135) 두 개와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 두 개의 사용을 채용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의 실시형태는 완전한 고정의 향상된 결정을 제공하고 위음성 검출 판독을 억제한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제1 막대 개략도(200)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커넥터(114)의 특정 축방향 삽입 깊이에서 제1 스위치(134)의 상태를 나타내고, 제2 막대 개략도(202)는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의 커넥터(114)의 동일한 축방향 삽입 깊이에서 제2 스위치(135)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서, 제1 및 제2 막대 개략도(200, 202)는, 커넥터(114)가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삽입될 때, 커넥터(114)의 대응되는 축방향 섹션의 표현의 역할을 하도록, 커넥터(114) 옆에서 커넥터(114)의 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커넥터(114)의 제1 축방향 삽입 깊이(204)를 따라, 제1 스위치(134)는 개방 상태에 있어야 한다.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커넥터(114)의 제1 축방향 삽입 깊이(206)를 따라, 제2 스위치(135)는 폐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축방향 삽입 깊이(208)를 따라, 제1 스위치(134)는 폐쇄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축방향 삽입 깊이(208)에서, 리테이너(129)는 이제 램프(119)와 맞물리게 된다. 제2 축방향 삽입 깊이(210)를 따라, 제2 스위치(135)는 개방 상태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도, 램프(119)는 제2 축방향 삽입 깊이(210)에서 리테이너(129)와 맞물린다. 마지막으로, 제3 축방향 삽입 깊이(212)를 따라, 제1 스위치(134)는 폐쇄 상태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제3 축방향 삽입 깊이(214)를 따라, 제2 스위치(135) 또한 폐쇄 상태에 있어야 한다. 제3 축방향 삽입 깊이(212, 214)에서, 제1 및 제2 레그(169, 171)는 슬롯(117)에 수용되고, 유체 라인 커넥터(112)와 커넥터(114)는 함께 완전히 고정된다. 또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가 작동되어 제3 축방향 삽입 깊이(212, 214)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에 충돌된다. 유체 라인 커넥터(112) 안으로 커넥터(114)의 삽입 운동에 걸쳐,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스위치(134)는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되고, 제2 스위치(135)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갔다가, 다시 폐쇄 상태로 돌아간다. 제2 스위치(135)는, 어떤 의미에서는, 순간 스위치와 같은 역할을 한다. 더욱이, 제1 스위치(134)가 제2 축방향 삽입 깊이(208)에서 처음 폐쇄 상태(또는 적어도 폐쇄 상태에 있을 수 있음)에 들어갈 때 제2 스위치(135)는 동시에 제2 축방향 깊이(210)에서 개방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위음성 검출 판독이 억제된다. 달리 말하면, 제1 또는 제2 스위치(134, 135)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축방향 삽입 깊이(212, 214)까지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5 내지 도 11의 실시형태에 대해 추가적인 대안이 가능하다. 하나의 대안에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 부재(136, 137)로부터의 충돌은 제1 및 제2 스위치(134, 135) 각각의 상태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충돌을 통해 스위치를 초기 개방 상태로부터 후속 폐쇄 상태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역으로, 충돌을 통해 스위치를 초기 폐쇄 상태로부터 후속 개방 상태로 이동시킨다. 다른 대안에서, 제1 스위치(134)는 그 자체가 커넥터(114)로부터의 접촉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제1 액추에이터 부재(136)는 제1 스위치(134)를 통한 접촉에 의해 간접적으로 작용되고 간접적으로 이동된다.
전술된 설명은 본 발명의 정의가 아니고,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이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들)에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또한, 전술된 설명에 포함된 진술은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며, 용어 또는 문구가 위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된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또는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 및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예 및 수정예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다른 실시형태, 변경예 및 수정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예를 들어", "예" 및 "~와 같은" 및 동사 "포함하는", "가지는", "구비하는" 및 이들의 다른 동사 형태는 각각,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또는 기타 항목의 목록과 함께 사용될 때, 이러한 목록이 다른 추가 구성 요소 또는 항목을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하며, 개방형으로 해석될 것이다. 다른 용어는, 다른 해석을 필요로 하는 맥락에서 사용되지 않는 한, 가장 광범위한 합리적인 의미를 사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5)

  1. 통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상기 몸체부의 상기 통로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부재;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 그 상태를 변경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다른 커넥터로부터의 접촉이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상기 작동 부재에 의해서 충돌되며, 상기 스위치의 상태는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스위치가 충돌될 때 폐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 인접한 상기 몸체부에 소켓이 위치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상기 소켓에 수용되어 그 안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이 없을 때에는 작동되지 않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스위치의 상태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통로 내에 존재하는 외측 작동 표면을 갖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다른 커넥터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외측 작동 표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베이스를 갖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고, 상기 길이방향 연장부는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전반적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달려 있는 부품을 갖고, 상기 부품은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는 도중에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힌지 연결된 근위 단부 및 자유롭게 종료되는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부품을 가지며, 상기 부품은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는 도중에 상기 근위 단부를 중심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힌지 단부를 구비하는 부품을 갖고, 상기 힌지 단부는 축선을 가지며,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는 도중에 상기 부품이 이동되며, 상기 축선은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의 방향에 전반적으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상기 스위치와 전반적으로 대면하는 내측 작동 표면을 갖고, 상기 내측 작동 표면은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면, 상기 스위치와 표면 대 표면 충돌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횡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시에 작동되는 제2 액추에이터 부재; 및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해 충돌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5. 제1항에 기재된 유체 라인 커넥터;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의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RFID 인터로게이터; 및
    상기 다른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다른 커넥터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와의 표면-대-표면 접촉을 만드는 확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
  16. 통로를 갖고, 개구가 존재하여 상기 통로로 이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상기 몸체부의 상기 개구를 통해 이동 가능한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개구를 통한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시 및 상기 리테이너로부터의 접촉시에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부재; 및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해 충돌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와의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 전에 작동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다른 커넥터의 램프가 상기 리테이너와 맞물릴 때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작동되지 않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다른 커넥터의 슬롯 내에 수용될 때, 상기 리테이너는 연속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에 접촉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소켓이 존재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상기 소켓에 수용되어 그 안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외측 작동 표면을 갖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개구를 통한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외측 작동 표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베이스를 갖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스위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고, 상기 길이방향 연장부는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달려 있는 부품을 갖고, 상기 부품은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는 도중에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힌지 연결된 근위 단부 및 자유롭게 종료되는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부품을 가지며, 상기 부품은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는 도중에 상기 근위 단부를 중심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힌지 단부를 구비하는 부품을 갖고, 상기 힌지 단부는 축선을 가지며,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는 도중에 상기 부품이 이동되며, 상기 축선은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의 방향에 전반적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는 상기 스위치와 전반적으로 대면하는 내측 작동 표면을 갖고, 상기 내측 작동 표면은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되면 상기 스위치와 표면 대 표면 충돌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통로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 작동되며, 상기 다른 커넥터로부터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액추에이터 부재; 및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에 의해 충돌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한 쌍의 레그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레그 중 하나는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29. 제16항에 기재된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의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RFID 인터로게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
  30. 통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 상기 다른 커넥터의 슬롯에 수용 가능한 리테이너;
    상기 몸체부의 상기 통로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시에 상기 다른 커넥터로부터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제1 액추에이터 부재;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상태가 변경되는 제1 스위치;
    상기 리테이너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상기 다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횡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시 상기 리테이너로부터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액추에이터 부재; 및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상태가 변경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부재는 작동시에 상기 제1 스위치를 충돌시키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는 작동시에 상기 제2 스위치를 충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부재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달려 있는 부품을 갖고, 상기 부품은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부재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될 때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부재는 제1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부재는 제2 길이방향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길이방향 연장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 전반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34. 제30항에 기재된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의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조립체.
  35. 통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
    상기 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유체 라인 커넥터 안으로의 다른 커넥터의 삽입 방향에 횡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시에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부재; 및
    상기 RFID 태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 부재가 작동될 때 상태가 변경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KR1020217039844A 2019-05-06 2020-05-06 고정 검출부를 구비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 KR202200031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04,551 US11199282B2 (en) 2017-08-11 2019-05-06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6/404,551 2019-05-06
PCT/US2020/031574 WO2020227346A1 (en) 2019-05-06 2020-05-06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100A true KR20220003100A (ko) 2022-01-07

Family

ID=7305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844A KR20220003100A (ko) 2019-05-06 2020-05-06 고정 검출부를 구비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966482A4 (ko)
JP (1) JP2022531476A (ko)
KR (1) KR20220003100A (ko)
CN (1) CN113795697A (ko)
BR (1) BR112021022268A2 (ko)
CA (1) CA3138710A1 (ko)
MX (1) MX2021013213A (ko)
WO (1) WO202022734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4681A (en) * 1994-06-03 1997-02-18 Dover Corporation Coupler identification systems
US20040036273A1 (en) * 2002-08-20 2004-02-26 Mcclary Charles R.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tegrity of interconnections
DE102004006795A1 (de) * 2004-02-11 2005-09-08 Faller, Alexander Prüfbare Verbindung
DE102005029061A1 (de) * 2005-06-23 2007-01-04 Rasmussen Gmbh Kupplung zum Verbinden einer ersten Leitung mit einer zweiten Leitung
FR2887955B1 (fr) 2005-06-30 2008-12-12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elements tubulaires pour le transport de fluides
FR2890149B1 (fr) * 2005-09-01 2009-01-09 Hutchinson Sa Systeme pour detecter l'etat d'une connexion entre un embout tubulaire rigide et une connectique de raccordement etanche d'une extremite d'un tuyau sur cet embout
FR2977628B1 (fr) * 2011-07-08 2015-07-03 Premium Protector Protecteur avec rfid
FR3007818B1 (fr) * 2013-06-28 2015-12-18 Sartorius Stedim Biotech Connecteur fluidique avec serrage de tube integre.
WO2019033109A1 (en) * 2017-08-11 2019-02-14 Norma U.S. Holding Llc CONNECTOR AND FLUID CONDUIT ASSEMBLY WITH FASTENING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1022268A2 (pt) 2021-12-28
CA3138710A1 (en) 2020-11-12
CN113795697A (zh) 2021-12-14
MX2021013213A (es) 2022-01-04
EP3966482A1 (en) 2022-03-16
EP3966482A4 (en) 2023-05-10
WO2020227346A1 (en) 2020-11-12
JP2022531476A (ja)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9282B2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0975993B2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20200074260A1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US11306857B2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EP4118371B1 (en) Quick connector with transmitter
AU2016296495B2 (en) Sterile fluid connection
US20220010907A1 (en) Transmitter for quick connector
KR20220003100A (ko) 고정 검출부를 구비하는 유체 라인 커넥터 및 조립체
RU2818606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истем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текучих сред с распознаванием крепления
CN111094825B (zh) 流体管线连接器和具有固定检测的组件
JP4264325B2 (ja) 接続構造或いは締結構造
WO2021087201A1 (en) Fluid line connector and assembly with securement detection
RU2811768C1 (ru)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истем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контролем соединения
JP2024514583A (ja) 流体ラインコネクタおよび固定検出付きアセンブリ
JPWO2020227346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