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982A -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982A
KR20220002982A KR1020217037866A KR20217037866A KR20220002982A KR 20220002982 A KR20220002982 A KR 20220002982A KR 1020217037866 A KR1020217037866 A KR 1020217037866A KR 20217037866 A KR20217037866 A KR 20217037866A KR 20220002982 A KR20220002982 A KR 20220002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elastic element
aerosol
generating device
ope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메이슨
네이든 리엘
마르코 플레브니크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2000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본체(102), 폐쇄부(106), 및 탄성 요소(114)를 갖는다. 본체(102)는 에어로졸 기재(148)가 통과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개구(104)를 갖는다. 폐쇄부(106)는 개구(104)를 덮는 폐쇄 위치와 개구(104)가 폐쇄부(106)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개구(104)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편향시키도록 그리고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편향시키도록 배치된다. 폐쇄부(106)의 제1 위치 범위는, 제2 위치 범위보다, 폐쇄 위치에 더 근접한다. 폐쇄부(106)의 제2 위치 범위는, 제1 위치 범위보다, 개방 위치에 더 근접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가, 폐쇄부(106)와 협력하여,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위치와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방향(D)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탄성 요소(114)는,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폐쇄부(106)에 대해서 본체(102)를 향하는 및/또는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D)에 대해서 횡방향인 제2 방향(E)으로 변형되어 편향을 제공하도록 배향된다.

Description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본 개시 내용은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쇄부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특히, 독립적이고 저온일 수 있는 휴대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한 장치는, 담배 또는 다른 적합한 물질을, 연소시키지 않고, 전도, 대류 및/또는 복사에 의해서 가열하여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통상적인 담배 제품, 예를 들어 시가렛, 시가, 시가릴로 및 권연(rolling tobacco)의 흡연을 중단하고자 하는 습관성 흡연자를 돕기 위한 보조 기구로서 위험이 감소 또는 위험이 개선된 장치(기화기로도 알려짐)의 인기 및 사용이 지난 몇년 동안 빠르게 성장해 왔다. 통상의 담배 제품에서 담배를 태우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에어로졸 기재를 가열 또는 교반하여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 및/또는 증기를 생성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이용 가능하다.
위험이 감소 또는 위험이 개선된 장치의 하나의 유형은, 가열 기재 에어로졸 생성 장치 또는 비-연소 가열 장치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고체 에어로졸 기재, 일반적으로는 습한 잎 담배를 통상적으로 150℃ 내지 3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 및/또는 증기를 생성한다. 에어로졸 기재를 태우거나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하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성분은 포함하지만, 태우는 것 및 연소의 독성 및 발암성 부산물은 포함하지 않는, 에어로졸 및/또는 증기를 방출한다. 또한, 에어로졸 기재, 예를 들어 담배의 가열에 의해서 생성된 에어로졸 및 증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태우는 것 및 연소로부터 초래되는 탄 맛 또는 쓴 맛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에어로졸 기재가, 연기 및/또는 증기가 사용자의 입맛에 더 맞게 하기 위해서 통상의 담배 제품의 담배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설탕 또는 다른 첨가제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이 불편할 수 있고, 필요한 구성 요소가 사용자-친화적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을 위해서 에어로졸 기재가 제공되는 장치의 영역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커버는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서 빈번히 움직여지므로 사용자-친화적이지 않은 커버는 바람직하지 않다.
EP 3003073 B1은 세장형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 또는 다른 향 첨가 증기 전달 시스템용 컨테이너를 설명한다. 그러한 컨테이너는, 폐쇄 위치에서 삽입체 내의 제1 개구부 및 보조 개구부를 덮도록 본체에 피벗 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를 갖는다.
CN 206687163 U는, 케이싱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버 본체를 포함하는, 저온 흡연 물품을 설명한다. 전력 공급 회로를 활성화 또는 전도하기 위한 트리거 스위치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의 공보 모두에서, 덮개는 단순하고, 덮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 내용의 양태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제1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공되고, 그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기재가 통과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
폐쇄부가 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개구가 폐쇄부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개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폐쇄부; 및
폐쇄부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그리고 폐쇄부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로서, 폐쇄부의 제1 위치 범위는 제2 위치 범위보다 폐쇄 위치에 더 근접하고 폐쇄부의 제2 위치 범위는 제1 위치 범위보다 개방 위치에 더 근접하며,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는, 폐쇄부와 협력하여, 폐쇄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위치와 폐쇄부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탄성 요소는, 제1 단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폐쇄부에 대해서 본체를 향하는 및/또는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되어 편향을 제공하도록 배향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개시된 배치에 의해서, 탄성 요소가 폐쇄부를 개방 및 폐쇄 위치 모두로 편향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케이싱을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리 변형되도록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폐쇄부와 상호 작용할 때, 탄성 부재는 일반적으로 폐쇄부를 사용자의 손을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리 강제하는 경향을 갖는다. 이는 폐쇄부의 느낌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불량한 제조 공차 또는 기타로부터 초래되는 폐쇄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자유로운 이동을 상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위치 범위는 제2 위치 범위에 인접하거나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폐쇄부가 제1 위치 범위에 있을 때,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개방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폐쇄부가 제2 위치 범위에 있을 때, 개방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의 각각에서 안정적이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제1 단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저지하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고/되거나 탄성 요소는, 제1 단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개방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저지하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스프링,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스프링, 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이고, 예를 들어, 스프링, 비틀림 스프링 또는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개구의 축과 정렬된 방향으로 및/또는 에어로졸 기재가 수용될 수 있는 방향과 정렬된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의 제1 단부가 폐쇄부에 부착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의 제2 단부가 본체에 부착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탄성 요소의 제1 단부 및/또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와 상호 작용하는 구성요소는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안내부는 원호-형상의 안내 또는 선형 경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부를 따른 탄성 요소의 제1 단부의 이동 방향은 본체에 대해서 접선적이다.
선택적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폐쇄부의 이동 방향은 본체에 대해서 접선적이다.
선택적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폐쇄부의 이동 방향은 본체의, 예를 들어 본체를 향하는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제1 단부를 안내부의 측면을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측면은 폐쇄부로부터 가장 먼 또는 가장 가까운 측면이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를 본체로부터 멀리 폐쇄부를 향해서 강제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를 폐쇄부로부터 멀리 본체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에 있을 때, 최대로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있을 때, 최대로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활주되어 활성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활성화 위치까지 더 이동될 수 있고, 탄성 요소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까지 이동할 때,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3 위치에서 폐쇄부는 활성화 위치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는 변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폐쇄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이다.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향한다.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폐쇄부의 활주 방향과 동일하고, 활성화 위치는 폐쇄 위치에 비해서 개방 위치를 넘어서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활성화 안내부를 포함하고, 활성화 안내부를 따라서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제1 단부의 추가적인 이동이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안내부 및 활성화 안내부의 각각이 이들이 서로 인접하는 접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접합부는 개방 위치와 관련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서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활성화 검출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폐쇄부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 상태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폐쇄부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개방 검출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검출기 및/또는 개방 검출기 중 적어도 하나가 누름-버튼, 인텍싱 코그(indexing cog), 전기 접촉부, 홀(Hall) 효과 센서, 광학 센서, 스위치, 편위 센서(deflection sensor), 스트레인 게이지, 유도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이다.
선택적으로, 변형되도록 배향된 탄성 요소는 압축되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변형되도록 배향된 탄성 요소는 연장되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장치가 제2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제2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다. 폐쇄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 폐쇄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 또는 활성화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활성화 위치는 활성화 위치와 다른 위치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또는 활성화 위치로부터 복수의 상이한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폐쇄부는 개방 위치와 복수의 활성화 개방 위치 사이에서, 폐쇄 위치와 복수의 폐쇄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및/또는 활성화 위치와 복수의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제2 활성화 위치 및/또는 복수의 활성화 위치 중 하나에 도달하도록 활주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본체를 향한다.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폐쇄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폐쇄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이다.
선택적으로, 장치는 복수의 활성화 위치의 각각에 대해서 상이한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제2 활성화 위치 및/또는 복수의 활성화 위치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멀리 편향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폐쇄부를 제2 활성화 위치 및/또는 복수의 활성화 위치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폐쇄부를 제2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제2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활성화 위치, 제2 활성화 위치, 및/또는 복수의 활성화 위치 중 둘 이상을 위한 상이한 편향력이 존재하도록, 탄성 요소가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는 제1 구성요소에 장착되고 탄성 요소의 제2 단부는 제2 구성요소에 장착되며, 제1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제2 구성요소에 의해서 형성된 체적부 내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구성요소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함께 피팅(fit)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1 구성요소 주위에서 함께 피팅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는 제1 구성요소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내에 피팅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의 제2 단부는 제2 구성요소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내에 피팅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2 구성요소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폐쇄부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1 구성요소의 돌출부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부는 원호-형상의 안내 또는 선형 경로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탄성 요소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를 안내부의 측면을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되고; 그러한 측면은 폐쇄부로부터 가장 먼 또는 가장 가까운 측면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요소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가 직접적으로 본체로부터 멀리 폐쇄부를 향해서 강제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폐쇄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요소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 이동할 때,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구성요소의 돌출부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센서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제1 부분의 구성요소가, 폐쇄부가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활성화 검출기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 내용의 제2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그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기재가 통과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
폐쇄부가 개구를 덮는 폐쇄 위치와 개구가 폐쇄부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개구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폐쇄부; 및
폐쇄부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그리고 폐쇄부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로서, 폐쇄부의 제1 위치 범위는 제2 위치 범위보다 폐쇄 위치에 더 근접하고 폐쇄부의 제2 위치 범위는 제1 위치 범위보다 개방 위치에 더 근접하는, 탄성 요소를 포함하고, 방법은:
탄성 요소의 제1 단부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폐쇄부는, 제1 단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폐쇄 위치와 제1 단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탄성 요소는, 제1 단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폐쇄부에 대해서 본체를 향하는 및/또는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제1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변형되어 편향을 제공하도록 배향된다.
전술한 양태의 각각이 전술한 다른 양태에 대해서 언급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본원에서 설명된 및/또는 도시된 임의의 신규한 양태 또는 특징까지 확장된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적인 특징은 다른 독립 청구항 및 종속 청구항에 의해서 특징지어 진다.
"기구", "장치", "프로세서, "모듈" 및 기타의 단어의 이용은 특정적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이러한 특징이, 컴퓨터 또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과 같은 개별적인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지만, 이들은 또한 다른 적합한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하드-와이어드 회로 또는 회로들, 예를 들어 집적 회로를 이용하여, 그리고 임베딩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포함하는"라는 용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 이루어진"을 의미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를 포함하는 본 문헌의 기재 내용을 해석할 때, 그러한 용어에 의해서 시작되는 특징부 또는 특징부들 이외의 다른 특징부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포함한다("comprise" 및 "comprises")"와 같은 관련 용어가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명사 이후의 "(들)"은 명사의 복수 및/또는 단수 형태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는 미스트, 안개 또는 연기와 같은, 공기 또는 가스 내에 분산된 입자 시스템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에어로졸화(aerosolise)"("에어로졸화(aerosolize)")는 에어로졸로 만들고/만들거나 에어로졸로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로졸/에어로졸화의 의미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휘발, 원자화(atomise) 및 증기화의 각각과 일치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에어로졸은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증기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어로졸은 또한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증기화된 입자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포함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폐쇄부의 분해도이다.
도 3의 (a)는, 폐쇄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3의 (b)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3의 (c)는, 폐쇄부가,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3의 (d)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1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다른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 중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배치를 도시한다.
도 5는 폐쇄부의 제1 실시형태의 부분을 형성하는 탄성 요소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폐쇄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의 (a)는, 폐쇄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7의 (b)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7의 (c)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7의 (d)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2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다른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8은 폐쇄부의 제3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폐쇄부의 분해도이다.
도 10의 (a)는, 폐쇄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4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0의 (b)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4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0의 (c)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4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0의 (d)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4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다른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 내용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폐쇄부의 분해도이다.
도 12의 (a)는, 폐쇄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5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2의 (b)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5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2의 (c)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5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2의 (d)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5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다른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 내용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폐쇄부의 분해도이다.
도 14의 (a)는, 폐쇄부가 폐쇄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6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4의 (b)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6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4의 (c)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6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4의 (d)는, 폐쇄부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의 제6 실시형태의 측면으로부터의 다른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폐쇄부를 위한 폐쇄부 부착 메커니즘의 도면이다.
도 15의 (b)는 폐쇄부를 위한 다른 폐쇄부 부착 메커니즘의 도면이다.
도 16은 폐쇄부의 여러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센서의 도면이다.
도 1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8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9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다양한 조립 스테이지의 폐쇄부의 제9 실시형태의 폐쇄부의 분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여러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본체(102)를 포함한다. 본체(102)는 설명된 구성요소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 피팅하기 위한 크기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될 수 있다. 본체(102)는 임의의 적합한 물질, 또는 사실상 물질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상단부를 향해서 도시된, 폐쇄부(106)에 근접한 단부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1 단부가, 편의상,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단부 또는 상부 단부로서 설명된다. 도 1의 하단부를 향해서 도시된, 폐쇄부(106)로부터 먼 단부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2 단부가, 편의상,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기부 또는 하부 단부로서 설명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단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하단부까지의 이동은, 편의상, 하향으로서 설명되는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하단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단부까지의 이동은, 편의상, 상향으로서 설명된다. 사용 중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제1 단부를 아래쪽으로 및/또는 사용자의 입에 대해서 원위의 위치로 그리고 제2 단부를 위쪽으로 및/또는 사용자의 입에 대해서 근위의 위치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배향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1 단부를 향해서 위치된 가열 챔버(108)를 포함한다. 가열 챔버(108)의 일 단부에, 본체(102)를 통한 개구(104)가 제공되고; 개구(104)는 본체(102)의 외측으로부터 가열 챔버(108)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에어로졸 기재가 개구(104)를 통해서 가열 챔버(108) 내로 배치된다.
가열 챔버(108)가 본체(102)에 근접하는 개구(104)에서, 가열 챔버(108)를 제 위치에 장착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이격 요소, 예를 들어 와셔가 제공된다. 이격 요소는 가열 챔버(108)로부터 본체로의 열 전도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공기 간극이 가열 챔버(108)를 달리 둘러싸고, 그에 따라, 이격 요소를 통하지 않는, 가열 챔버(108)로부터 본체(102)로의 열 전달이 또한 감소된다.
가열 챔버(108)의 단열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가열 챔버(108)는 또한 절연체(미도시)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체는 섬유질 또는 발포체 물질, 예를 들어 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체는, 공동을 사이에 포함하는, 포개진 관들 또는 컵들의 쌍을 포함한다. 공동은 단열 물질, 예를 들어 섬유, 발포체, 겔 또는 (예를 들어, 저압의) 가스로 채워질 수 있고/있거나, 공동이 진공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진공은 큰 단열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얇은 두께를 필요로 한다.
개구(104)는 일반적으로, 축(A-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개구이다. 임의의 형상의 개구가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삼각형 개구가 사용될 수 있고, 축(A-A)이 개구(104)의 중심을 통과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축(A-A)은 개구(104)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예를 들어, 개구(104)가 놓이는 평면)에 수직인 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개구(104)를 향해서 관찰할 때 보이는 것과 같이, 2D 형상, 일반적으로 원이 개구(104)의 둘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2D 형상은, 개구(104)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 상에 놓인다.
가열 챔버(108)는 일반적으로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는 가열 챔버(108)를 형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이고, 얇은 측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딥 드로잉 프로세스는 성형 다이 내로 강제하기 위해서 펀치 툴로 시트 금속 블랭크를 프레스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련의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펀치 툴들 및 다이들을 이용함으로써, 일 단부에서 기부를 가지고 관을 가로지르는 거리보다 깊은 관(이는, "딥 드로잉"이라는 용어의 유래가 되는, 너비보다 상대적으로 긴 관이다)을 가지는, 관형 구조물이 형성된다. 유사하게,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기부는 초기 시트 금속 블랭크와 동일한 두께이다. 원래의 시트 금속 블랭크의 테두리를 관형 벽의 대향 단부에서 외측으로 기부까지 연장되게 함으로써(즉, 관 및 기부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많은 블랭크 내의 물질로 시작한다), 플랜지가 관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컷팅, 벤딩, 롤링, 스웨이징(swaging)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별도의 단계에서, 플랜지가 그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딥 드로잉에 의해서 형성된 가열 챔버(108)는, 딥 드로잉 프로세스 중에 형성된 개구(104)를 초래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적어도, 폐쇄부가 개구(104)를 차단하고 그에 따라 물질이 가열 챔버(108)에 진입할 수 없는 폐쇄 위치와, 개구(104)가 덮이지 않아 가열 챔버(108)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폐쇄부(106)를 포함한다. 폐쇄부(106)는 외부 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커버(1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의 외부에 제공되고 그에 의해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폐쇄부(106)가 이동할 때, 변형되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114)를 포함하고; 안내부(120)를 포함하며, 그러한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배치된다.
폐쇄부(106)는 일반적으로 본체(102)에 대해서 활주함으로써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활주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폐쇄부(106)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회전은 임의의 평면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회전은 개구(104)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거나 개구(104)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에 수직 또는 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는 스프링,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이다. 스프링이 이완 위치로부터 멀리 변형될 때, 스프링은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 및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에 의해서 형성된 축을 따라서 압축력 또는 연장력(extensive force)을 인가한다. 스프링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은 변형에 따라 달라지고, 이완 위치로부터의 변형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인가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폐쇄부(106)와 상호 작용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2 단부(118)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예를 들어 회전하도록,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가 본체(102)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와 제2 단부(118)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그리고 그에 따라 탄성 요소(114)가 변형되어 탄성 요소(114)가 제1 단부(116)에 힘을 인가하도록, 안내부(120)가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압축되는 탄성 요소(114)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변위되는 것을 저지한다.
제2 단부(118)는 일반적으로, 본체(102)에 장착되는 폐쇄부(106)의 구성요소에 부착된다. 제2 단부(118)의 장착은 힘을 인가하고, 이러한 힘은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과 균형을 이루며, 그에 따라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단부(118)는 본체(102)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고정되는 한편 제1 단부(116)는 본체(102)에 대해서 이동한다.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모두가 "안정적인" 위치가 되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되고; 예를 들어,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폐쇄부(106)에는 0의 합력(net force)이 작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의 각각에서, 탄성 요소(114)는 실질적으로 이완된 위치에 있고, 그에 따라 탄성 요소(114)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 또는 제2 단부(118)에 힘을 인가하지 않거나, 무시할 수 있는 힘만을 인가한다. 일반적으로, 폐쇄부가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는 변형된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고; 여기에서 폐쇄부가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는 힘을 인가하고;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은 안내부(120)의 벽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과 균형을 이룬다. 다시 말해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는 안정적인 평형을 이루는 위치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문턱값 힘이 필요하다. 문턱값 힘이, 우발적인 접촉(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머니 내에서의 이동)으로 인해서 폐쇄부(106)가 어느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그러나 위치들 사이의 이동을 어렵게 할 정도로 너무 크지는 않도록, 탄성 요소(114)가 일반적으로 배치된다. 폐쇄부를 안정적인 위치 중 어느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문턱값 힘의 일반적인 값은 0.1 N 내지 10 N의 범위, 예를 들어 3 N이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도 아니고 제2 위치도 아닌, 안내부(120) 상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 단부(116)에 합력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제1 단부(116)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하나를 향해서 편향되고 그에 상응하여 폐쇄부(106)는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중 하나를 향해서 편향된다. 제1 단부(116)가 편향되는 방향은 제1 단부(116) 및 제2 단부(118)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지고, 그에 따라 제1 단부(116)가 제2 단부(118)의 "좌측"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는, 제1 단부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힘을 인가하고; 제1 단부(116)가 제2 단부(118)의 "우측"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는, 제1 단부(116)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힘을 인가한다.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단부(116)가 제2 단부(118)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그리고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이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편향시키는 그리고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탄성 요소가 배치된다. 제1 위치 범위는, 제2 위치 범위가 폐쇄 위치에 대해서 위치되는 것보다, 폐쇄 위치에 더 근접한다. 유사하게, 제2 위치 범위는, 제1 위치 범위가 개방 위치에 대해서 위치되는 것보다, 개방 위치에 더 근접한다.
일반적으로, 제1 위치 범위가 제2 위치 범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된다. 그에 따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폐쇄부의 모든 위치(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위치)에서, 폐쇄부(106)는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된다. 더 구체적으로, 탄성 요소(114)가 폐쇄부(106)에 합력을 인가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제1 위치 범위와 제2 위치 범위 사이에서 불안정한 평형으로 위치되는 부분의 위치(또는 영역)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가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것과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것 사이에서 변화되는 이동의 부분에서 발생된다. 불안정한 평형의 영역은, 임의의 방향을 따른 작은 변위가 폐쇄부를 불안정한 평형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곳이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불안정한 평형 영역이 가능한 한 작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된다.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폐쇄부(106)의 실질적으로 각각의 위치에서, 탄성 요소(114)의 변형의 성분 및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성분이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이 되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된다.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힘의 성분이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의 각각으로부터 멀어지는 이동을 저지하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된다. 탄성 요소(114)의 변형의 성분 및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성분이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이 되도록, 탄성 요소(114)가 추가적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힘의 성분은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안내부(120)의 측면에 대해서 강제하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의 변형의 성분 및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성분은 폐쇄부(106)에 대해서 본체(102)를 향해서 및/또는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향하는 방향이다. 이러한 힘은,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의 측면, 일반적으로 상단 측면에 대해서 프레스되어 유지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즐거운 폐쇄부(106)의 매끄러운 활주 이동을 초래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임의의 배향에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위쪽" 및 "아래쪽"으로 설명되는 변형 및/또는 힘의 성분은: 개구(104)의 축을 따른, 개구(104)에 의해서 규정되는 평면에 수직 또는 횡방향인,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에 수직 또는 횡방향인, 폐쇄부(106)에 대해서 본체(102)를 향하는/그로부터 멀어지는,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주 축을 따른, 개구(104)를 통한 물질의 수용 방향인, 변형 및/또는 힘의 성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위치 범위 및 제2 위치 범위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크기이고,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위치 범위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와 안내부(120)의 중심 지점 사이에 있는 위치 범위이고, 제2 위치 범위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의 중심 지점과 제2 위치 사이에 있는 위치 범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위치 범위 및 제2 위치 범위는 상이한 크기이고, 예를 들어 탄성 요소(114)는,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가 안내부(120)의 일 단부에 더 가깝도록, 예를 들어 제2 위치보다 제1 위치에 더 가깝도록(예를 들어, 안내부(120)의 제1 단부의 거의 "아래쪽에" 그리고 약간 "우측")에 ,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제2 위치 범위는 제1 위치 범위보다 크고, 탄성 요소(114)가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기 전에, 폐쇄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작은 이동만이 요구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와 제1 단부(11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편향력이 다르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된다. 따라서,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개방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다르다. 이는, 예를 들어, 탄성 요소의 제2 단부(118)를 안내부(120)의 타 단부보다 안내부(120)의 일 단부에 더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내부(120)는 선형적이다. 일반적으로,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 범위를 통해서 이동할 때 점점 더 압축되도록 탄성 요소(114)가 배치되고, 그리고 그에 따라, 선형 안내부의 경우에,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 범위를 통해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크기가 증가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안내부(120)는 원호-형상이고, 그에 따라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를 따라서 제1 위치 범위를 통해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의 변형의 증가 속도(rate of increase)가 감소된다(그리고 그에 따라 인가되는 힘의 크기의 증가 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의 이러한 원호-형상의 안내부는, 폐쇄부(106)의 제1 위치 범위를 통한 폐쇄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이동 중에 약간 증가되는(그러나, 선형 안내부보다 작은) 인가 힘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내부(120)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 범위 및/또는 제2 위치 범위를 통해서 이동할 때, 일정한 크기의 힘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에 가해지도록 배치된 원호이다. 더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내부(120)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와 제2 단부(118) 사이의 거리가 안내부를 따른 제1 단부(116)의 이동 전체를 통해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배치되고;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의 변형이 여전히 변화되는데, 이는 탄성 요소(114)의 변형의 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된다(그리고 편향 방향이 변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안내부(120)는, 탄성 요소의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 범위 및/또는 제2 위치 범위를 통해서 이동할 때, 감소되는 힘이 탄성 요소의 제1 단부(116)에 가해지도록 배치된다. 이는, 예를 들어,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가 압축되도록 그리고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 범위를 통해서 이동될 때 탄성 요소(114)의 압축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탄성 요소(114) 및 안내부(120)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방향이 변화되고; 평형 지점에서, 폐쇄 위치의 방향으로 또는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힘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고, 예를 들어 힘은 "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성분이 없는 "위쪽" 방향이다. (평형 지점의 폐쇄측에 대한) 평형 지점 전에,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편향력은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평형 지점의 개방측에 대한) 평형 지점 후에,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편향력은 폐쇄부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평형 지점이 안내부(120) 상의 단일 지점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실제로, 제1 단부를 평형 지점에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울 것이고, 그에 따라 제1 위치 범위 및 제2 위치 범위는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또한,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폐쇄부(106)의 관성은 탄성 요소의 제1 단부(116)를 평형 위치를 넘어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멈출 가능성이 적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폐쇄부(106)는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의 이동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방향을 따른 이동,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의 방향에 횡방향, 및/또는 폐쇄부(106)에 대한 본체(102)를 향한 이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활성화 위치를 가지지 않고; 일반적으로, 폐쇄부(106)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 이동할 때,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가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되도록, 배치된다.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및/또는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변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는, 개방 위치로부터 활성화 위치로의 이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과 상이한 방향으로 발생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제1 단부(11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제1 단부를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상이할 수 있고, 제3 위치는, 폐쇄부(106)가 활성화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단부(116)의 위치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인 스프링의 변형 방향에 주로 횡방향인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 및 예를 들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인 스프링의 변형 방향으로 실질적인 성분을 갖는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이동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비교적 작은 성분에 대해서 작용하는 힘,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힘을 필요로 하고, 그러한 힘의 대부분은 안내부(120)의 측면에 의해서 저지되는 한편,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비례적으로 더 큰 힘의 성분에 대해서 작용하는 힘을 필요로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는 주로 회전되고, 제1 단부(116)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는 주로 압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폐쇄부를 활성화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제2 탄성 요소(미도시)가 배치된다. 제2 탄성 요소는 탄성 요소(114)와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거나, 상이한 변형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화 위치는 일시적 위치이고, 여기에서 폐쇄부(106)를 활성화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연속적인 힘,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힘이 요구된다. 탄성 요소(114) 또는 제2 탄성 요소의 편향력은,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활성화 위치는 또한 안정적인 위치이고, 예를 들어 폐쇄부(106)는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의 제3 위치 범위로부터 편향시키는, 그리고 폐쇄부(106)를 활성화 위치를 향해서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의 제4 위치 범위로부터 편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3 위치 범위는 제4 위치 범위보다 개방 위치에 더 근접하고, 제4 위치 범위는 제3 위치 범위보다 활성화 위치에 더 근접한다. 일반적으로, 제4 위치 범위는 제3 위치 범위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고, 예를 들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활성화 위치에서 함몰부 내로 피팅되도록 그리고 함몰부 내에 있지 않는 임의의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단부(116)가 활성화 위치 "내로 클릭(click into)"되고 "그 외부로 클릭"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10)를 더 포함하고, 그러한 배터리는, 가열 챔버(108)를 가열하는 가열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1 실시형태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폐쇄부(106)의 외부 커버(112)는 가드(122)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가드(122)는, 외부 커버(112)와 함께, 개구(104)를 덮도록 배치된다. 외부 커버(112)는, 폐쇄부(106)와 상호 작용하는 사용자 체험을 개선하기 위해서, 촉각적 요소, 예를 들어 버튼 또는 유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커버(112) 및 가드(122) 모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조립될 때, 본체(102)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가드(122)는 폐쇄부(106)의 내부 위치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는 수단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커버(112)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폐쇄부(106)의 내부 구성요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가드(122)는 가드(122) 상에 위치된 가드 개구(124)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가드(122)가 폐쇄부(106)의 내부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개구 커버(126)가 개구(104) 내에 피팅되도록 배치되고, 커버 개구(128)의 축이 개구(104)의 축(A-A)과 일치된다. 개구 커버(126)는, 폐쇄부를 본체(102) 상에 위치시키도록, 그에 따라 폐쇄 위치에서, 폐쇄부(106)가 커버 개구(128) 및 개구(104)를 덮도록 배치된다.
개구 커버(126)는 채널(130)을 포함하고, 그러한 채널을 통해서 본체(102) 내의 폐쇄부(106)의 구성요소가 본체(102) 외부의 폐쇄부(106)의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안내부(120)는, 본체(102)에 고정된 안내부 구성요소(132) 내에 위치된다. 고정 수단은 스냅 핏(snap fit), 접착제, 나사, 핀,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 요소(132)는 장착 지점(134)을 더 포함하고, 그러한 장착 지점에는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가 부착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제2 단부(118)를 본체(102)에 대한 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장착 지점(134)은 제2 단부(118)를 본체(102)에 대한 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장착 지점(134)은 돌출부이고, 그 주위에 제2 단부(118)가 배치된다. 돌출부의 축은 탄성 요소(114)의 변형 방향에 수직이고, 그에 따라 제2 단부(118)는 사용 중에 돌출부로부터 멀리 이동되지 않으나, 제2 단부(118)는 분해 또는 세정을 위해서 돌출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안내부(120)는 일반적으로, 안내부 구성요소(132)의 양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안내부 섹션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대한 물질에 의해서 둘러싸인 2개의 안내부 섹션을 포함한다. 2개의 안내부 섹션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컷-아웃이 있다. 그에 따라, 이동 핀(136)이 안내부 섹션의 각각을 통해서 배치될 수 있고; 이동 핀(136)은 또한 안내부 구성요소(132)의 하나 이상의 측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이동 핀(136)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이동 핀(136)에 부착되거나 이동 핀(136)과 함께 이동하는 구성요소에 부착되고;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단부(116)는 이동 핀(136)에 의해서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배치된다. 이동 핀(136)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안내부(120)를 따른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의 이동에 관한 이하의 언급은 안내부(120)를 따른 이동 핀(136)의 이동을 또한 나타내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이다.
이동 핀(136)은 안내부(120)의 제1 단부와 안내부(120)의 제2 단부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동 핀(136)은 안내부(120)의 "상단" 및 "하단" 측면에서 안내부 요소(132)에 접경되도록 더 배치되고, 그에 따라 채널(130)을 통한 이동 핀(136)의 이동이 저지되고 - 그에 의해서 이동 핀(136)이 안내부(120)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폐쇄부는 링키지(138)를 더 포함하고, 링키지는 폐쇄부(106)의 외부 요소, 예를 들어 가드(22) 및 외부 커버(112)를 폐쇄부(106)의 내부 요소, 예를 들어 이동 핀(136) 및 안내부 섹션(132)에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링키지(138)는, 링키지(138)를 가드(122)에 연결하도록 배치된 가드 부착부(1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가드 부착부(142)는 개구 및 핀을 포함하고, 핀은 가드 부착부(142)의 개구를 통해서 그리고 가드 개구(124)를 통해서 삽입되어 가드(122)를 링키지(138)에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드 부착부(142)는 나사, 접착제,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링키지(138)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안내부 부착부(140)를 또한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의 안내부 부착부(140)는 이동 핀(136)에 피팅되도록 배치된 홀을 포함한다. 이동 핀(136)은 안내부(120)를 통해서 그리고 안내부 부착부(140)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드(122)의 이동을 링키지(138)의 이동으로 그리고 그에 의해서 안내부(120)를 따른 이동 핀(136)의 이동으로 유도한다.
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외부 커버(112) 상에 가해지는 힘은 가드(122)에 가해지는 힘을 초래하고, 그에 따라 이동 핀(136)에 가해지는 힘 및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에 가해지는 힘을 초래한다.
링키지(138)의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링키지(138)의 크기가 결정된다.
폐쇄부(106)를 조립하기 위해서, 링키지(138)는 가드 부착부(142)를 이용하여 가드(122)에 연결된다. 이어서, 링키지(138)는 개구 커버 요소(126)의 채널(130)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안내부 부착부(140)의 위치는 안내부 구성요소(132)의 안내부(120)의 위치와 일치된다. 이어서, 이동 핀(136)은 제1 안내부 섹션을 통해서, 안내부 부착부(140)를 통해서 그리고 제2 안내부 섹션을 통해서 삽입된다. 이동 핀(136)은 안내부(120)의 측면에 접경되고, 그에 따라 링키지(138)가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을 통해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이동 핀(136)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고,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는 장착 지점(134)에 부착된다. 가드(122)는 링키지(138)를 통해서 이동 핀(136)에, 그리고 그에 따라 탄성 요소의 제1 단부(116)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폐쇄부(106)의 외부 커버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탄성 요소의 제1 단부(116)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폐쇄부(106)는 개구의 본체(102) 내로 배치되고 예를 들어 스냅 핏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폐쇄부(106)가 각각의 위치에 있을 때의 폐쇄부(106)의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폐쇄 위치에서의 폐쇄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폐쇄부(10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개구(104)를 덮는다.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가 폐쇄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폐쇄부(106)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배치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 탄성 요소(114)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탄성 요소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를 따라서 제1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탄성 요소(114)는 축과 일직선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인가하고, 그러한 압축력은 탄성 요소의 제1 단부(116)와 제2 단부(118)를 결합시킨다. 압축력의 성분이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는,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저항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개방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폐쇄부(106)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배치된다.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 있을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제1 단부(116)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초기에,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서 더 멀리 이동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위치로부터 멀리 제2 위치를 향해서 이동되고;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평형 지점을 지나서 이동하면, 제1 단부(116)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변화되고,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활성화 위치에서의 폐쇄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전부가 아닌,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부(106)는 활성화 위치에 도달하도록 더 이동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폐쇄부(106)는, 바람직하게는 안내부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배치된 지정된 활성화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에 의해서, 활성화 위치에 도달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를 향해서 이동될 수 있게 배치된다. 폐쇄부(106)가 본체(102)를 향해서 이동될 때, 이동 핀(136)은 폐쇄부(106) 또는 본체에 위치된 활성화 검출기(146)를 향해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이동 핀(136)은,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누름 버튼인, 활성화 검출기(146)에 의해서 형성된 센서 안내부(144)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이동 핀(136)이 센서 안내부(144)를 따라서 이동할 때, 누름 버튼이 눌린다. 누름 버튼의 누름은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고, 이는, 예를 들어, 가열기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활성화 위치에서의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활성화 검출기(146)의 누름이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폐쇄부(106)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제2 단부(118)를 중심으로 피벗되는 선형 압축 스프링을 이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실시형태에서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그리고 폐쇄부(106)에 인가되는 힘을 도시한다. 탄성 요소(114)가 비틀림 스프링인 제1 실시형태에서, 유사한 힘이 이러한 예에서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그리고 폐쇄부(106) 상으로 인가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에 따라, 도 5는, 반드시 비틀림 스프링일 필요는 없는 탄성 요소(114)를 갖는 장치의 일반화를 나타낸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일부 실시형태는 활성화 위치를 가지지 않는다. 그러한 실시형태에서, 폐쇄부(106)는, 예를 들어 직선형 또는 곡선형 경로를 따라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원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편향된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활주시킬 때, 사용자를 위한 매끄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제공되는 편향은 이동 핀(136)이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되게 하여, 안내부(120)의 상부 연부를 향해서 편향되게 한다. 안내부(120)를 따른 이동 핀(136)의 이동이 매끄럽고 방해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안내부(120)가 이동 핀(136)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간극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는,탄성 부재(114)의 편향으로 인해서, 폐쇄부(106)는, 편향력에 대해서 작용하는 것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작은 정도의 횡방향 이동으로 기분 좋은 활주 느낌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물질이 가열 챔버(134)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폐쇄 위치에서 시작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힘을 외부 커버(112)에 인가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방향으로 개방 방향(A)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개방 힘을 (예를 들어, 도 5의 (a) 내지 (c)에서 우측으로) 폐쇄부의 외부 커버(112)에 인가한다. 개방 힘은 초기에,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저지되고, 그에 따라 폐쇄부(106)가 제1 위치 범위를 넘어서 이동하기 전에 사용자가 폐쇄부(106)를 해제하는 경우에, 폐쇄부(106)는 폐쇄 위치로 복귀한다.
사용자가 개방 힘을 폐쇄부(106)에 인가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서 제1 방향(D)으로 이동하고, 결국 제1 단부(116)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 지점에 도달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평형 지점을 통과하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은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1 방향(D)으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는 제2 방향(E)으로 변형된다. 제2 방향 및/또는 제2 방향(E)의 성분은 제1 방향(D)에 횡방향이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수평으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는 수직으로 변형된다.
제2 방향(E)이 제1 방향(D)에 전적으로 횡방향이 아닐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방향(D)이 제1 방향(D)의 성분에 횡방향일 수 있고 제1 방향(E)의 성분과 정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의 이동 방향인 제1 방향(D)은,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인 개방 방향(A)과 동일하다.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폐쇄부(106)는 안내부(120)의 단부와 만나고, 이는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에어로졸 기재(148)를 개구(104)를 통해서 가열 챔버(108) 내로 삽입한다. 더 구체적으로, 에어로졸 기재(148)의 제1 단부가 가열 챔버(108)의 삽입 방향(B)으로 삽입되는 한편, 에어로졸 기재(148)의 제2 단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에서 유지되고 그에 의해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활성화 위치를 갖는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기재(148)가 가열 챔버(108)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폐쇄부(106)를 활성화 방향(C)으로 활성화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폐쇄부(10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폐쇄부(106)가 본체(102)를 향해서 이동될 때, 이동 핀(136)은 센서 안내부(144)를 따라서 이동하고 활성화 검출기(146)의 누름 버튼을 누른다. 누름 버튼의 누름은 활성화 신호를 동작시키고, 활성화 신호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기의 동작을 초래한다. 가열기는 가열 챔버(108)를 가열하고 그에 의해서 에어로졸 기재(148)를 가열한다. 에어로졸 기재(148)의 가열은 증기를 생성하고, 이어서 사용자는 에어로졸 기재(148)의 노출 단부를 통해서 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활성화 위치가 없는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가열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른 제어 수단을 동작시키고,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상에 배치된 버튼을 누른다.
탄성 요소(114)는 제1 이동 핀(136)을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는 작용을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폐쇄부(106)를 활성화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 커버(112) 상에서 압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에어로졸 기재(148)가 충분히 가열되면, 사용자는 폐쇄부(106)로부터 압력을 제거할 수 있다.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이 이동 핀을 센서 안내부(144)를 따라서 활성화 검출기(146)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누름 버튼이 상승된다. 이들은 비활성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거나, 활성화 신호의 송신을 중단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열기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증기를 흡입하는 동안,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켜 가열기를 턴 온 및 턴 오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외부 커버(112)를 반복적으로 누르고 해제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는, 장치(1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전체 가열 사이클 동안 폐쇄부(106)를 제3 위치에서 유지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또는, 제3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예에서, 버튼을 아래로 눌러 유지하거나 다른 활성화 수단을 계속적으로 트리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 대신, 장치(100)는, 폐쇄부(106)가 단순히 제3 위치에 진입하였다는 것(또는 버튼 또는 다른 수단이 트리거링되었다는 것) 또는 전체 가열 사이클 시간 미만의 기간 동안 그 곳에서 유지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이러한 것의 검출 시에 전체 가열 사이클이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사용자의 손의 미세 제어가 필요 없게 하고, 경험이 없는 사용자가 너무 오랫 동안 가열기를 온으로 유지하고 에어로졸 기재(148)를 과열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기재(148)를 모두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는 에어로졸 기재(148)를 가열 챔버(108)로부터 제거하고 에어로졸 기재(148)를 폐기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도 5의 (a) 내지 (c)에서 좌측으로) 폐쇄 힘을 폐쇄부(106)의 외부 커버(112)에 인가한다. 폐쇄 힘은 초기에,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저지되고, 그에 따라 폐쇄부(106)가 상당히 이동되기 전에 사용자가 폐쇄부(106)를 해제하는 경우에, 폐쇄부(106)는 개방 위치로 복귀된다.
사용자가 폐쇄 힘을 폐쇄부(106)의 외부 커버(112)에 계속 인가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결국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 지점에 도달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평형 지점을 통과하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은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넓은 의미에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폐쇄부(106)의 이동에 대해서 전술한 이동의 반대이다.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예를 들어 백 또는 포켓 내에 수납될 수 있고, 폐쇄부(106)는 가열 챔버(108) 내로의 물질의 진입을 방지한다.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고, 그에 따라 다른 물체와의 우발적인 접촉으로 인해서 폐쇄부(106)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실시형태
도 6을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2 실시형태의 링키지(138)가 제1 실시형태의 링키지와 상이하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 링키지(138)는 주 본체 섹션, 링키지(138)의 본체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지부(prong)(162), 및 링키지(138)의 본체의 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드 부착부(142)를 포함한다. 링키지(138)의 본체 및 링키지(138)의 가지부(162)가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링키지(138)의 크기가 결정된다.
링키지(138)는 제1 핀(150), 제2 핀(154) 및 제3 핀(158); 그리고 제1 핀 홀(152), 제2 핀 홀(156), 및 제3 핀 홀(160)을 더 포함한다. 제1 핀(150)은 제1 핀 홀(152) 내로 피팅되도록 배치되고, 제2 핀(154)은 제2 핀 홀(156) 내로 피팅되도록 배치되며, 제3 핀(158)은 제3 핀 홀(160) 내로 피팅되도록 배치된다. 제1 핀 홀(152) 및 제2 핀 홀(156)은 링키지(138)의 주 본체 상에 배치되고; 제3 핀 홀(160)은 링키지(138)의 가지부(162) 상에 배치된다.
가드 부착부(142)는 가드(122)를 링키지(138)에 부착하도록 배치된다.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차이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가드 부착부(142)는, 가드(122) 내로 밀려 들어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스냅 핏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가드 개구는 없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드 부착부(142)는 나사, 접착제,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제1 핀(150) 및 제2 핀(154)은, 안내부(1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제1 핀(150) 및 제2 핀(154)은 안내부 내에 편안하게 피팅되도록 배치되고, 이는, 링키지(138)가 안내부 구성요소(132) 내에 고정될 때, 폐쇄부(106)의 바람직하지 못한 덜컹거림을 방지한다.
링키지(138)는 안내부 구성요소(132)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배치되고, 가지부(162)는 본체(102) 내에 위치되고 외부 커버(112)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한다. 링키지(138)가 안내부 구성요소(132)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링키지(138)의 주 본체는 2개의 안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제1 핀(150)은 제1 안내부 섹션을 통해서, 제1 핀 홀(152)을 통해서, 그리고 이어서 제2 안내부 섹션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핀(154)은 제1 안내부 섹션을 통해서, 제2 핀 홀(156)을 통해서 그리고 이어서 제2 안내부 섹션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링키지(138)는 안내부 구성요소(120) 내에 고정되고, 외부 커버(112)의 이동은, 가드(122)를 통해서, 안내부(120)를 따른 제1 핀(150) 및 제2 핀(154)의 이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에 반대된다(또는 그에 의해서 도움을 받는다).
제2 실시형태의 폐쇄부(106)를 조립하기 위해서, 안내부 구성요소(132)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 내에 배치된다. 링키지(138)는 가드 부착부(142)를 이용하여 가드(122)에 연결된다. 이어서, 링키지(138)는 개구 커버 요소(126)의 채널(130)을 통과하고, 그에 따라 제1 핀 홀(152) 및 제2 핀 홀(156)은 제2 실시형태의 안내부 구성요소(132)의 안내부(120)와 일치된다. 이어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3 핀 홀(160)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제1 핀(150), 제2 핀(154), 및 제3 핀(158)은 제1, 제2, 및 제3 핀 홀(152, 156, 160) 내에 각각 배치된다. 핀(150, 154, 158)은, 안내부(120)의 연부와 중첩되도록 그리고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을 통한 링키지(138)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안내부(120)로부터 연장된다. 가드(122)는 링키지(138)의 제3 핀(158)을 통해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폐쇄부(106)의 외부 커버(11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형태의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도 7의 (a)), 개방 위치(도 7의 (b)), 및 활성화 위치(도 7의 (c) 및 도 7의 (d))에서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3 핀(158)을 통해서 폐쇄부(106)와 상호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이동할 때, 제1 핀(150) 및 제2 핀(154)이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한다. 제1 핀(150) 및 제2 핀(154)이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링키지(138)의 가지부(162)는 활성화 검출기(146)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폐쇄부(106)가 눌려서 활성화 위치에 도달할 때, 활성화 검출기(146)를 눌러 활성화 신호를 동작시키도록 가지부(162)가 배치된다.
제3 실시형태
도 8을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링키지(138)가, 채널(130)을 통해서, 개구(104)로부터 가장 먼 가드(122)의 단부 부근에 부착되도록 배치된 가드 부착부(142)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제3 실시형태의 가드 부착부(142)는 또한 가드(122)의 상당한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어 견고한 연결을 보장한다.
가드 부착부(1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 외부에 있는 가드(122)에 부착될 수 있도록, 채널(130)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가드 부착부(122)가 개구(104)로부터 가장 먼 가드(122)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가드 부착부(142)는 개구(104)로부터 오프셋되는 한편, 외부 커버(112)는 개구(104) 위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오프셋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분리부(164)를 포함할 수 있게 하고; 분리부(164)는 개구(104)를 채널(13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한다. 분리부(164)는 물질이 채널(130)을 통해서 가열 챔버(108)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리부(164)는 일반적으로 본체(102) 및/또는 가열 챔버(108)의 일체형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가열 챔버(108)의 형성은 딥 드로잉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개구(104)는 드로잉 다이에 의해서 원래 편평한 시트의 변형에 의해서 형성되고; 그에 따라 분리부(164)는 원래의 시트의 일부이고 그에 따라 가열 챔버(108)에 일체이다.
제4 실시형태
도 9을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4 실시형태의 링키지(138)의 가지부(162)가 링키지(161)의 주 본체에 수직이 아니라는 것을 제외하고,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가지부(162)는 그 대신 개구(104)를 향해서 각도를 형성한다. 이는,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지 않거나 안내부(120)를 연장시키지 않고, 제3 실시형태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분리부를 이용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가지부(162)와 링키지(138)의 주 본체 사이의 교차 위치(가지부(162)의 "근위" 단부)는 제2 실시형태와 비교할 때 변경되나, 각각의 위치 내의 가지부(162)의 "원위" 단부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제4 실시형태의 다른 차이는, 개구 커버(126)가 커버 부착 메커니즘(166)을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4 실시형태의 다른 차이는, 안내부 구성요소(132)가, 각각의 구성요소를 서로에 대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개구 커버(126)의 커버 부착 메커니즘(166)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 안내부 구성요소(132)의 주 본체로부터의 연장부(168)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버 부착 메커니즘(166) 및 연장부(168)의 각각은 돌출부 및 간극을 포함하고, 커버 부착 메커니즘(166)의 돌출부는 연장부(168)의 간극 내로 피팅되도록 배치된다.
도 10의 (a) 내지 (d)를 참조하면, 제4 실시형태는,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동작되도록 배치되는 개방 검출기(17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개방 검출기(170)는,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폐쇄부(106)에 의해서 눌리는 촉각적 스위치이다. 동작 시에,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폐쇄부(106)는 개방 검출기(170)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그에 따라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 촉각적 스위치가 노출되고 상승된다. 개방 검출기(170)는, 예를 들어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때, 노출되고/되거나 폐쇄부(106)의 이동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태 신호를 개시하도록 배치된다. 개방 검출기가 다른 유형의 센서, 예를 들어 도 16a 내지 도 16d에서 설명된 센서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5 실시형태
도 11을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5 실시형태의 개구 커버(126)가 비교적 넓은 채널(130)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제5 실시형태의 다른 차이는, 링키지(138)의 가드 부착부(142)가, 가드(122)의 채널(130)을 따라서 통과하도록 그리고 스냅 핏 메커니즘을 통해서 가드(122)의 기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된 연장된 가지부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폐쇄 위치에서, 가드 부착부(142)는 개구(104)를 덮고, 개방 위치에서 가드 부착부(142)가 오프셋되어 개구(104)를 노출시킨다.
제5 실시형태의 다른 차이는, 제5 실시형태의 링키지(138)가, 링키지(138)의 제1 홀(174) 및 제2 홀(178) 내로 피팅되도록 배치된 제1 핀(172) 및 제2 핀(176)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5 실시형태의 다른 차이는, 안내부 요소(132)가 제2 안내부(180) 및 제3 안내부(182)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제3 안내부(182)는, 제2 안내부(180) 내로 삽입된 구성요소가 제2 안내부(180)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안내부(180)의 제2 단부까지(여기에서, 제2 안내부(180)의 제2 단부는 제3 안내부(182)의 제1 단부와 일치된다), 그리고 이어서 제3 안내부(182)의 제1 단부로부터 제3 안내부(182)의 제2 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안내부(180)에 연결된다. 제3 안내부(182)는 활성화 안내부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제3 단부가 제3 안내부(182)의 제2 단부에 있을 때, 폐쇄부(106)는 활성화 위치에 있는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링키지(138)가 안내부 구성요소(132) 내로 삽입될 때 제2 안내부(180)와 정렬되도록 배치된 제2 핀(176)에 부착될 수 있게 배치된다. 제2 핀(176)은 안내부의 안내부 구성요소(132)를 통해서 그리고 제2 홀(178)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게 배치된다. 제2 핀(176)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안내부(180) 및 제3 안내부(182)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5 실시형태에서, 폐쇄 위치에서,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킨다. (제2 핀(176)에 부착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제2 안내부(180)의 제1 단부에서 유지된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개방 위치에서, (제2 핀(176)에 부착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제3 안내부(182)의 제1 단부와 일치되는 제2 안내부(180)의 제2 단부에서 유지된다.
도 12의 (c) 및 도 12의 (d)를 참조하면, 활성화 위치에서, (제2 핀(176)에 부착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3 안내부(182)의 제2 단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탄성 요소(114)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제3 안내부(182)의 제2 단부로부터 멀리 제3 안내부(182)의 제1 단부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요소(114)는, 폐쇄부(106)를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다.
활성화 위치에서, 활성화 검출기(146)는, 외부 커버(112)를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눌리는 가드 부착부(142)에 의해서 눌리고,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3 안내부(182)의 제2 단부에 위치된다.
제6 실시형태
도 13을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6 실시형태의 링키지(138)의 가드 부착부(142)가, 링키지(138)의 연장된 가지부 상에 위치된 개구(184)를 통해서 피팅되도록 배치된 나사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5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가드 메커니즘은, 내부에 나사가 수용되는 상응 나사산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차이는, 제6 실시형태가, 링키지(138)의 내측에 피팅되도록 배치된 중간 구성요소(186)를 더 포함한다는 것이다. 중간 구성요소(186)는, 일반적으로 안내부 요소(132) 내에 위치된 상응 홀 센서와 상호 작용하는 자석 형태인, 개방 검출기(170)를 포함한다. 중간 구성요소(186)는, 중간 구성요소(186)가 링키지(138) 내로 삽입될 때, 중간 구성요소(186)의 제1 홀(188)이 링키지(138)의 제1 홀(174)과 정렬되도록 그리고 중간 구성요소(186)의 제2 홀(190)이 링키지(138)의 제2 홀(178)과 정렬되도록 배치된 제1 홀(188) 및 제2 홀(190)을 포함한다. 활성화 검출기(146)를 포함하기 위한 중간 구성요소(186)의 이용은, 활성화 검출기(146)의 비교적 단순한 제거 및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상이한 제품 모델들을 위해서, 상이한 센서들을 이용하는 유사한 폐쇄부들의 제조를 단순화한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제6 실시형태에서, 개방 위치에서, 중간 구성요소(186)는, 개방 검출기(170)가 상태 신호를 개시하는 위치에 있도록, 배치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응 홀 센서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중간 구성요소(186) 내에 위치된 자석을 포함한다.
도 14의 (d)를 참조하면, 활성화 위치에서, 중간 구성요소(186)는 활성화 검출기(146)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촉각적 스위치를 누르는 중간 구성요소(186)의 부분을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폐쇄부(106)의 외부 요소, 예를 들어 외부 커버(112)가,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을 통과하는 링키지(138)를 통해서, 폐쇄부(106)의 내부 요소, 예를 들어 탄성 요소(114)에 부착된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링키지(138)는 스냅 핏을 포함하고, 링키지(138)의 기부(192)가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의 기부에 접경되도록 배치되어 기부가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을 통해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채널(130)을 통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 내로의 링키지(138)의 기부(192)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기부(192)가 일반적으로 테이퍼링되고 기부(192) 및/또는 개구 커버(126)는 일반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스냅 핏 배치에서, 링키지(138)는 채널(130)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반면, 채널(130)을 통한 이동은 저지된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링키지(138)는 고정된 배치(pinned arrangement)을 포함하고, 링키지(138)는 폐쇄부(106)의 내부 구성요소에 고정된다. 그러한 고정은 일반적으로 간섭 핏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링키지(138)의 기부는 유사한 그리고 일반적으로 약간 더 작은 직경의 홀 내로 밀어 넣어 진다. 고정된 배치에서, 링키지(138)는, 링키지(138)가 고정된 내부 구성요소와 협력하여,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고, 폐쇄부(106)의 내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폐쇄부(106)의 제2 실시형태의 제1 핀(150) 및/또는 제2 핀(154)일 수 있다.
또한, 핏 배치가, 스냅 핏 및 고정 핏 배치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제2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링키지(138)를 채널(130) 내에 고정하기 위해서 핀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였고, 여기에서 핀은 안내부(120)의 측면과 접경되어 링키지가 본체(102)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자기적 및/또는 접착적 연결이 사용된다.
유사한 메커니즘이 또한 가드 부착부(142)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홀 및/또는 안내부 중 임의의 것 내에 핀 중 임의의 핀을 피팅하기 위해서(예를 들어, 제1 핀(150)을 안내부(120) 내에 피팅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면, 활성화 검출기(146) 및/또는 개방 검출기(170)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센서가 도시되어 있다.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센서의 접촉 및/또는 이동에 의해서 작동된다. 특히, 센서는 이하 중 하나 이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촉각적 스위치, 회전식 인코더, 직접 전기 접촉 센서 및/또는 비접촉(즉, 거리 감지), 특히 이하 중 임의의 하나 이상 중에서 선택된 센서: 광검출기(예를 들어, 광다이오드, 광 의존 저항기 센서, 광트랜지스터, 솔라리스터, 광전지 및/또는 볼로미터), 적외선 센서, 가속도계, 유도 센서 또는 자석 센서(예를 들어, 홀 효과 센서). 활성화 검출기(146) 및 개방 검출기(170)가 별도의 센서들일 수 있거나 동일 센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 가능 스위치가 폐쇄 위치, 개방 위치 및 활성화 위치와 관련된 3개의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활성화 검출기(146) 및/또는 개방 검출기(170)는 폐쇄부(106)의 위치 및/또는 폐쇄부(106)가 소정 위치에 있었던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폐쇄부(106)가 활성화 위치에 얼마나 오래 동안 있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위치에서의) 특정 기간 후에, 도달시 송신된 신호와 다른 신호가 개시될 수 있다. 예로서, 활성화 검출기(146)는, 폐쇄부(106)의 도달을 검출하도록 그리고 도달 시에 제1 가열 신호를 개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활성화 검출기(146)는, 폐쇄부(106)가 초의 기간, 예를 들어 1.5초의 기간 동안 활성화 위치에 있었을 때를 검출하도록, 그리고 감소된 열과 관련된 제2 가열 신호를 개시하도록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화 검출기(146)는, 폐쇄부(106)가 특정 기간 동안 활성화 위치에 있고 난 후에만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우발적인 또는 무의식적인 가열기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특징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센서의 하위 세트를 고려하면, 순서대로 다음과 같은 것이 도시되어 있다:
· 회전 인코더; 폐쇄부(106)의 이동은 기어를 회전시키고, 그에 의해서 기어의 각속도는 폐쇄부(106)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회전 인코더가 사용되는 경우에, 활성화 위치는 일반적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 방향으로 개방 위치를 넘어서 위치된다. 이는,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단일 회전 인코더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 직접적인 접촉; 직접적인 전기 접촉부가 위치의 하나 이상에 배치된다. 접촉부에서 검출된 전류는, 폐쇄부가 그 위치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 촉각적 스위치; 촉각적 스위치는, 폐쇄부가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있을 때, 눌린다. 예를 들어, 록커 스위치(rocker switch)를 이용할 때, 개방 위치, 폐쇄 위치 및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106)가 단일 촉각적 스위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 자석/홀 효과 센서; 자석 및 상응 홀 효과 센서가 폐쇄부(106) 상에 그리고 위치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다.
· LDR(광 의존적 저항기); LDR이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LDR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폐쇄부(106)에 의해서 덮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폐쇄부(106)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LDR은, 개방 위치에서 덮이지 않도록, 폐쇄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덮이도록, 그리고 활성화 위치에서 완전히 덮히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단일 LDR을 이용하여 폐쇄부(106)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예를 들어, 그에 따라 LDR이 활성화 위치에서 덮이지 않고 폐쇄 위치에서 완전히 덮인다)이 이해될 것이다.
· 가속도계; 폐쇄부(106)의 이동이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결정되고; 이동이 폐쇄부(106)의 개방, 폐쇄로 인한 것인지, 또는 활성화 위치로 이동된 것으로 인한 것인지의 여부가 가속도의 특징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편향은 덮개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를 향해서 가속되게 하나, 활성화 위치를 향해서는 가속되게 하지 않는다.
· IR 이동 센서; 폐쇄부(106)에 의해서 반사된 적외선 광의 양은 폐쇄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 유도 센서; 폐쇄부(106)의 위치는, 폐쇄부(106)의 구성요소 및/또는 본체(102)에서 유도된 전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서 결정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활성화 검출기(146) 또는 개방 센서(180)에 의해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서 동작되는 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폐쇄부(106)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동작시킨다. 동작되는 일반적인 구성요소는: 가열기; 상태 표시부; 배터리 표시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제7 실시형태
도 17을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7 실시형태는 폐쇄된 활성화 안내부(194)를 포함하고,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와 제2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폐쇄된 활성화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요소(114)는, 폐쇄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106)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배치되고, 그에 따라 제2 활성화 위치는 일시적 위치이다. 폐쇄부(106)를 제2 활성화 위치의 제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힘이 필요하고, 힘의 제거는 탄성 요소(114)가 작용하여 폐쇄부(106)를 제2 활성화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일부 예에서, 별도의 탄성 부재(미도시)가 제공되어 폐쇄부(106)를 제2 활성화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폐쇄부(106)를 제2 활성화 위치 내로 강제하는데 필요한 힘을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활성화 위치는 안정적인 위치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함몰부 내로 피팅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단부(116)는 제2 활성화 위치 "내로 클릭" 또는 "그 외부로 클릭"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폐쇄부(106)가 제2 활성화 위치로 이동할 때 및/또는 제2 활성화 위치에서의 폐쇄부(106)의 존재가 검출된 때, 제2 활성화 신호 또는 폐쇄된 활성화 위치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검출은 일반적으로, 활성화 검출기(146)를 참조하여 또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센서의 유형 중 하나일 수 있는 제2 활성화 검출기(미도시)를 이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활성화 센서는, 활성화 검출기(146) 및/또는 개방 검출기(170)와 동일한 센서이다.
제2 활성화 신호 또는 폐쇄된 활성화 위치 신호는 (제1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활성화 신호로서 앞서서 지칭된) 개방 활성화 신호와 상이하다. 개방 활성화 신호는, 개구(104)가 덮이지 않는 동안 개시되고, 예를 들어 가열기를 동작시키며; 제2 활성화 신호는 개구가 덮여 있는 동안 개시되고, 예를 들어 배터리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거나 감소된 전력으로 가열기를 이용하여 챔버를 예열할 수 있다.
사용 시에, 제2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폐쇄부(106)에 힘을 인가하여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제1 위치로부터 멀리 폐쇄된 활성화 안내부(194)를 따라서, 폐쇄된 활성화 위치에 있는 폐쇄부(106)와 관련된 제4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탄성 요소(114)를 변형시키고,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저지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4 위치, 예를 들어 폐쇄된 활성화 안내부(194)의 단부에 도달하면, 폐쇄된 활성화 검출기가 동작되고 제2 활성화 신호가 개시된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배터리 레벨을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폐쇄부(106)로부터 힘을 제거하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은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제4 위치로부터 폐쇄된 활성화 안내부(194)를 따라서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그에 상응하여 폐쇄부(106)는 폐쇄된 활성화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제8 실시형태
도 18을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로부터 제1 개방 활성화 위치 및 제2 개방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8 실시형태는 제1 개방 활성화 안내부(196)를 포함하고,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와 제1 개방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제1 개방 활성화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와 제2 개방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제1 개방 활성화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를 향해서 그리고 폐쇄 위치를 향해서 이동될 때, 제1 개방 활성화 안내부(196)를 따라서 이동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폐쇄부가 개방 위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를 향해서 그리고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제2 개방 활성화 안내부(196)를 따라서 이동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1 또는 제2 개방 활성화 위치로의 폐쇄부(106)의 이동 및/또는 제1 또는 제2 개방 활성화 위치에서의 폐쇄부(106)의 존재가 검출된 때, 제1 또는 제2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검출은 일반적으로, 활성화 검출기(146)를 참조하여 또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센서의 유형 중 하나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방 활성화 센서(미도시)를 이용한다.
제1 개방 활성화 신호는 제2 개방 활성화 신호와 상이하다. 예로서, 제1 개방 활성화 신호 및 제2 개방 활성화 신호의 각각은 상이한 전력들에서 가열기를 동작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각각의 개방 활성화 신호가 상이한 유형의 에어로졸 기재들에 적합할 수 있다. 제1 개방 활성화 신호 및 제2 개방 활성화 신호의 각각이 다른 동작, 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의 체크, 가열기 온도의 체크, 또는 사용 시간의 모니터링을 각각 개시할 수 있다.
사용 시에, 사용자는 힘을 폐쇄부(106)에 인가하여, 폐쇄부를 본체를 향해서, 폐쇄 위치를 향해서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시킨다.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개방 활성화 안내부(196) 또는 제2 개방 활성화 안내부(198)를 따라서 제2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탄성 요소(114)를 변형시키고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저지된다(저항의 정도는 탄성 요소(114)가 따라서 이동하는 안내부에 따라 달라진다). 탄성 요소(118)의 제1 단부(116)가 개방 활성화 안내부(196, 198)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도달하면, 활성화 센서가 동작되고 활성화 신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활성화 신호는, 제1 단부가 어떠한 개방 활성화 안내부(196, 198)를 따라서 이동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사용자가 폐쇄부(106)로부터 힘을 제거하면, 탄성 요소(114)에 의해서 인가되는 힘은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선택된 개방 활성화 안내부의 단부로부터 멀리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그에 상응하여 폐쇄부(106)는 선택된 개방 활성화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더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활성화 위치가 임의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각각의 활성화 위치의 이동이 탄성 요소(114) 및/또는 각각의 탄성 요소에 의해서 조절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로서, 개방 위치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임의의 복수의 상이한 활성화 위치들이 있을 수 있고, 복수의 활성화 위치 중 제1 개방 활성화 위치는, 폐쇄부(106)를 개방 위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도달되고, 제2 개방 활성화 위치는, 폐쇄부를 개방 위치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도달된다. 유사하게, 복수의 폐쇄된 활성화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활성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탄성 요소(114)를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 요소(114)의 변형의 크기 및 방향은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다르고; 그에 따라 각각의 활성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이한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더 많은 전력 집중적인 동작에 더 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가열기의 동작을 위한 활성화 위치에 접근하는 것은 배터리 레벨을 체크하기 위한 활성화 위치에 접근하는 것보다 더 큰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폐쇄부(106)는 활성화 위치로부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1 및 제2 활성화 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폐쇄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제1 활성화 위치로 그리고 제1 활성화 위치로부터 제2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개방 위치와 제1 활성화 위치 그리고 제1 활성화 위치와 제2 활성화 위치 사이의 이동 방향들이 상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폐쇄부(106)는, 예를 들어, 제1 활성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본체(102)를 향해서 이동될 수 있고, 이어서 제2 활성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 본체(102)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9 실시형태
도 19를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9 실시형태의 활성화 검출기(146)가 제3 실시형태와 상이하다는 것; 제9 실시형태의 활성화 검출기(146)가 링키지(138)에 의해서 눌린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실시형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동일하다. 더 구체적으로, 제9 실시형태의 가드 부착부(142)는, 사용자가 폐쇄부(106)의 외부 커버(112)를 누를 때, 활성화 검출기(146)를 누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링키지(138)는, 폐쇄부(106)가 조립되면,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00)를 포함하고;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링키지는 4개의 돌출부(200)를 포함한다. 돌출부(200)는 제1 실시형태의 이동 핀(136)을 대체하고, 폐쇄부(106)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를 줄인다.
또한, 제9 실시형태의 안내부 구성요소(132)는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 및 제2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2)을 포함하고; 2개의 구성요소는 함께 피팅되어 안내부 요소(132)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이는 2개의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 및 132-2)이 링키지(138) 주위에 피팅될 수 있게 하여 단순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폐쇄부(106)의 제9 실시형태의 구성요소 및 폐쇄부(106)의 제9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의 (a)는 링키지(138) 및 자석(202)을 도시하고; 자석(202)은 링키지(138) 내로 피팅되도록 그리고 폐쇄부(106)의 구성 중에 탄성 요소(114)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도 20의 (b)는, 자석(202)이 링키지(138) 내로 삽입된, 링키지(138)를 도시한다. 도 20의 (b)는, 링키지(138)의 일체형 이동 핀(200)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배치된 복수의 핀 베어링(204)을 더 도시하고; 핀 베어링(204)은 안내부(120)를 따른 링키지(138)의 매끄러운 이동을 보장한다.
도 20의 (c)는, 핀 베어링(204)이 일체형 이동 핀(200) 상에 장착된, 링키지(138)를 도시한다. 도 20의 (c)는 탄성 요소(114)를 더 도시한다.
링키지(138)는 일체형 제1 단부 홀더(206)를 포함하고;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단부 홀더(206)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내에 피팅되는 크기를 갖는다.
도 20의 (d) 및 도 20의 (e)는 제1 단부 홀더(206) 내로 삽입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도시한다. 실제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단부 홀더(206)의 축(B-B)에 수직으로 제1 단부 홀더(206)를 향해서 직접적으로 이동되고;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제1 단부 홀더의 홀과 정렬되면, 즉 제1 단부(116)가 축(B-B) 상에 위치되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단부 홀더(206)의 축(B-B)을 따라서 이동된다.
도 20의 (f)는 조립된 링키지를 도시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단부 홀더(206) 내에서 유지되는 것에 의해서 링키지(138)에 장착되고; 탄성 요소(114)는,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가 홀더 내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자석(202)에 의해서 유지되는 것에 의해서 링키지(138) 내에서 추가적으로 보유된다.
도 21의 (a) 및 (b)를 참조하면, 링키지는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 내로 삽입되고; 구체적으로 링키지(138)의 일 측면 상의 돌출부(200)가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 상의 안내부 섹션 내로 삽입된다.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은 제2 단부 홀더(208)를 포함하고;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는 제2 단부 홀더(208)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내에 피팅되는 크기를 갖는다. 구성 중에,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는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의 제2 단부 홀더(208) 내로 삽입된다.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링키지(138)에 장착되고;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는 제1 안내부 구성요소(132-1)에 장착되며; 그에 따라, 안내부 구성요소(132)의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는 돌출부(200)에 의해서 링키지(138)가 제1 안내부 구성요소(132-1)에 대해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가 변형된다.
도 22의 (a) 및 (b)는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 상에 피팅된 제2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2)을 도시한다. 제1 및 제2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 132-2) 및 링키지(138)는, 제2 안내부 요소(132-2)가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에 피팅될 때, 링키지(138)의 돌출부(200)가 제1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1) 및 제2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2)의 안내부 섹션 내에 위치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링키지(138)는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된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제1 및 제2 안내부 구성요소(132-2)는 간섭 핏, 스냅 핏, 및/또는 접착 수단, 예를 들어 나사 또는 화학적 접착제를 이용하여 함께 고정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안내부 구성요소 부분(132)이 링키지(138) 주위에 조립되면, 개구 커버(126)가 링키지(138)와 안내부 요소(132) 사이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개구 커버(126)의 채널(130)과 정렬된 링키지(138)의 본체, 및 커버 개구(128)가 개구(104)와 중첩될 때까지 링키지(138)를 따라서 이동되는 개구 커버(126)를 포함한다.
이어서, 외부 커버(112)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링키지(138)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어서, 구성된 폐쇄부(10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 내로 배치된다.
사용 시에, 외부 커버(112)에 힘을 가하는 사용자는 힘을 링키지(138)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여 폐쇄부(106)를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시킬 때, 링키지의 돌출부(200)는,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안내부 요소의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된다. 개방 위치에서, (개구(104)에 대해서 원위적인) 원위 돌출부(200)는 안내부 요소(132)의 안내부(120)의 단부에 접경된다.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폐쇄부(106)의 외부 커버(112) 상에 하향 압력을 인가하고, 이는 링키지(138)의 근위 돌출부(200)가 센서 안내부(144)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초래하고; 이는, 링키지가, 안내부(120)의 연부에 의해서 제 위치에서 유지되는 원위 돌출부(200)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한다. 근위 돌출부(200)가 센서 안내부(144)를 따라서 이동할 때, 링키지의 가드 부착부(142)는 활성화 검출기(146)를 누르고, 이는 활성화 신호를 개시한다.
정의 및 대안적인 실시형태
전술한 설명을 통해 상이한 실시형태의 많은 특징이 상호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방식으로 서로 조합되는 상이한 실시형태로부터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실시형태로 확장된다.
구체적인 설명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할 때 압축되는 탄성 요소(114)의 이용을 주로 고려하였지만;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할 때, 탄성 요소(114)가 또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연장력은, 제1 단부(116)를 제1 위치 범위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해서 그리고 제2 위치 범위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서 복귀시키도록, 그에 따라 폐쇄부(106)가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유사하게 배치된다. 압축 배치와 대조적으로, 연장 배치의 이용은 일반적으로, 본체(102)에 더 근접한 안내부(120)의 측면을 향해서 강제되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를 유도한다. 압축 배치에서 폐쇄부(106)는 일반적으로 폐쇄부(106)를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손에 대해서 강제되는 반면, 연장 배치에서 폐쇄부(106)는 일반적으로 폐쇄부(106)를 이동시키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멀리 강제된다.
구체적인 설명이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는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주로 고려하였지만, 제1 단부(116)가 또한,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는 다른 요소에 부착될 수 있거나 그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고려되는 실시형태의 하위 세트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실시형태를 고려하면,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지 않고, 그 대신,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는 핀(150, 154)을 포함하는 링키지(138)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지는 않지만, 이는,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착으로 인해서,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한다. 또한, 제1 단부(116)가 안내부(120)의 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지만, 핀(150 및 154)이 안내부(120)의 측면과 접촉되고, 탄성 요소(114)의 힘이 그에 따라 안내부(120)의 측면에 간접적으로 전달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증기(vapour)"(또는 "증기(vapor)")라는 용어는, (i) 액체가 충분한 정도의 열의 작용에 의해 자연적으로 변환된 형태; 또는 (ii) 대기 중에 부유되고 흐린 스팀/연기로 보일 수 있는 액체/수분의 입자; 또는 (iii) 가스처럼 공간을 차지하지만, 그 임계 온도 미만에서, 압력만에 의해서 액화될 수 있는 유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와 일관되게, "증발시킨다"(또는 "기화시키다")라는 용어는, (i) 증기로 변하거나 증기로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 및 (ii) 입자가 물리적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즉, 액체 또는 고체로부터 기체 상태로)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이라는 용어는 미스트, 안개 또는 연기와 같은, 공기 또는 가스 내에 분산된 입자 시스템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에어로졸화하다"("에어로졸화하다")는 에어로졸로 만들고/만들거나 에어로졸로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로졸/에어로졸화의 의미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휘발화, 원자화 및 증기화의 각각과 일치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에어로졸은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증기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일관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어로졸은 또한 원자화된, 휘발된 또는 증기화된 입자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미스트 또는 액적을 포함한다.

Claims (65)

  1.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서,
    에어로졸 기재(148)가 통과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개구(104)를 가지는 본체(102);
    폐쇄부(106)가 상기 개구(104)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개구(104)가 상기 폐쇄부(106)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구(104)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폐쇄부(106); 및
    상기 폐쇄부(106)를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폐쇄부(106)를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114)로서, 상기 폐쇄부의 제1 위치 범위는 상기 제2 위치 범위보다 상기 폐쇄 위치에 더 근접하고 상기 폐쇄부(106)의 제2 위치 범위는 상기 제1 위치 범위보다 상기 개방 위치에 더 근접하며,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상기 폐쇄부(106)와 협력하여,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위치와 상기 폐쇄부(10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폐쇄부(106)에 대해서 상기 본체(102)를 향하는 및/또는 상기 본체(102)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방향(D)에 대해서 횡방향인 제2 방향(E)으로 변형되어 편향을 제공하도록 배향되는, 탄성 요소(1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범위가 상기 제2 위치 범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제1 위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제2 위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폐쇄 위치 및 상기 개방 위치의 각각에서 안정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스프링, 바람직하게는 비틀림 스프링, 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개구(104)에 의해서 형성된 평면을 벗어나는 방향; 상기 개구(104)의 축(A-A)과 정렬된 방향;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 기재(148)가 수용되는 방향(B)과 정렬되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1.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폐쇄부(106)에 부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가 상기 본체(102)에 부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20)는 원호-형상의 안내 또는 선형 경로를 가지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20)를 따른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의 이동 방향이 상기 본체(102)에 대해서 접선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상기 안내부(120)의 측면을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면은 상기 폐쇄부(106)로부터 가장 먼 또는 그에 가장 가까운 측면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직접적으로 상기 폐쇄부(106)를 향해서 상기 본체(102)로부터 멀리 강제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직접적으로 상기 폐쇄부(106)로부터 멀리 상기 본체(102)를 향해서 강제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의 상기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이 상기 본체(102)에 대해서 접선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의 상기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이 상기 본체(102)의 방향이고,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2)를 향하는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에 있을 때, 최대로 변형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으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있을 때, 최대로 변형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활성화 위치에 도달하도록 활주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때, 변형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장치(100)가 추가적인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에 도달하도록 활주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본체(102)를 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에 횡방향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각각의 활성화 위치에 대해서 상이한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폐쇄부(106)를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를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추가적인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7. 제28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활성화 위치 및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의 각각으로부터 멀리 편향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위치 및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의 각각에 대한 상이한 편향력이 존재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39. 제28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복수의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1. 제2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활성화 위치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활성화 위치로부터 복수의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3. 제28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복수의 추가적인 활성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5. 제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폐쇄부(106)가 활성화 위치에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탄성 요소(114)의 변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활성화 안내부(19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안내부를 따라서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의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의 추가적인 이동이 수행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8. 제13항을 인용할 때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20) 및 상기 활성화 안내부(194)의 각각이 이들이 서로 인접하는 접합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접합부는 개방 위치와 관련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화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이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상기 폐쇄부(106)의 이동 방향에 횡방향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0.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화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이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향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1. 제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활성화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추가적인 이동 방향이,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활주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활성화 위치는 상기 폐쇄 위치에 비해서 상기 개방 위치를 넘어서 위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2. 제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활성화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서, 상기 폐쇄부(106)의 위치 및/또는 상기 폐쇄부(106)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활성화 검출기(146)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검출기(146)는, 누름-버튼, 인텍싱 코그, 전기 접촉부, 홀 효과 센서, 광학 센서, 스위치, 편위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유도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에 도달한 때 상태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서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상기 폐쇄부(106)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배치된 개방 검출기(17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검출기(170)는 누름-버튼, 인텍싱 코그, 전기 접촉부, 홀 효과 센서, 광학 센서, 스위치, 편위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유도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6. 제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되도록 배향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압축되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1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7. 제1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되도록 배향된 상기 탄성 요소(114)는, 연장되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1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8. 제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제1 구성요소(138)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 요소의 제2 단부(118)는 제2 구성요소(132)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구성요소(138)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구성요소(132)에 의해서 형성된 체적부 내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132)는 제1 부분(132-1) 및 제2 부분(13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32-1) 및 상기 제2 부분(132-2)은 함께 피팅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32-1) 및 상기 제2 부분(132-2)은 상기 제1 구성요소(138) 주위에서 함께 피팅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61. 제58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는 상기 제1 구성요소(138)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내에 피팅되도록 배치되고/배치되거나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2 단부(118)는 상기 제2 구성요소(132)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 내에 피팅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62. 제13항을 인용할 때 제58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요소(132)는 상기 안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제1 구성요소(138)의 돌출부(200)가 상기 안내부(120)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63. 제58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제1 구성요소(138)의 돌출부(200)가 센서 안내부(144)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64. 제59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106)가 상기 개방 위치와 활성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제1 부분(132-1)의 구성요소가 상기 활성화 검출기(146)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65.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기재(148)가 통과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로 수용될 수 있게 하는 개구(104)를 가지는 본체(102);
    폐쇄부(106)가 개구(104)를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개구(104)가 상기 폐쇄부(106)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차단되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개구(104)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폐쇄부(106); 및
    상기 폐쇄부(106)를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제1 위치 범위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폐쇄부(106)를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제2 위치 범위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도록 배치된 탄성 요소(114)로서, 상기 폐쇄부(106)의 상기 제1 위치 범위는 상기 제2 위치 범위보다 상기 폐쇄 위치에 더 근접하고 상기 폐쇄부(106)의 상기 제2 위치 범위는 상기 제1 위치 범위보다 상기 개방 위치에 더 근접하는, 탄성 요소를 가지고,
    상기 방법은: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방향(D)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폐쇄부(106)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요소(114)는, 상기 탄성 요소(114)의 제1 단부(116)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폐쇄부(106)에 대해서 상기 본체(102)를 향하는 및/또는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방향(D)에 대해서 횡방향인 제2 방향(E)으로 변형되어 편향을 제공하도록 배향되는, 방법.
KR1020217037866A 2019-05-03 2020-04-30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02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2662.9 2019-05-03
EP19172662 2019-05-03
EP19192164.2 2019-08-16
EP19192164 2019-08-16
PCT/EP2020/062065 WO2020225102A1 (en) 2019-05-03 2020-04-30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clo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982A true KR20220002982A (ko) 2022-01-07

Family

ID=7305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866A KR20220002982A (ko) 2019-05-03 2020-04-30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42247A1 (ko)
EP (1) EP3962300A1 (ko)
JP (1) JP2022530258A (ko)
KR (1) KR20220002982A (ko)
CN (1) CN113766843A (ko)
CA (1) CA3137376A1 (ko)
TW (1) TWI728795B (ko)
WO (1) WO2020225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2250A1 (en) * 2019-05-03 2022-05-12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Closure
KR20220041865A (ko) * 2019-08-08 2022-04-01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단단한 편향 소자를 구비한 클로저를 가진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KR20240055757A (ko) * 2021-08-26 2024-04-29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사용자의 손의 검출에 따라 케이싱 접근이 가능한 휴대용 장치
GB2615571A (en) * 2022-02-11 2023-08-16 Nicoventures Trading Ltd Case
WO2023174749A1 (en) * 2022-03-14 2023-09-21 Jt International S.A.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a sliding mechanism
EP4260731A1 (en) 2022-04-12 2023-10-18 JT International SA Stretchable oven closure for a smoking device
WO2023203037A1 (en) 2022-04-20 2023-10-26 Jt International Sa Heated tobacco device with closure device of its oven
WO2023214081A1 (en) * 2022-05-06 2023-11-0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083575A1 (en) * 2022-10-19 2024-04-25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EP4374719A1 (en) * 2022-11-25 2024-05-29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ning an aerosol generation chamber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8869B2 (en) * 2009-03-06 2013-04-16 Simplehuman, Llc Receptacle with motion dampers for lid and air filtration device
UA114953C2 (uk) * 2013-03-15 2017-08-28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що генерує аерозоль, зі змінним мундштуком-ковпачком
GB2514893B (en) 2013-06-04 2017-12-06 Nicoventures Holdings Ltd Container
US10980273B2 (en) * 2013-11-12 2021-04-20 VMR Products, LLC Vaporizer, charger and methods of use
US20160366947A1 (en) *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US20150257451A1 (en) * 2014-03-13 2015-09-17 Terry Brannon Vapor device with switch assembly
US20150272211A1 (en) * 2014-03-25 2015-10-01 Chanseol Chung Electronic cigarette cover
US9943112B2 (en) * 2014-05-28 2018-04-17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having a bottle configured for storing the tobacco oil
CN109965360A (zh) * 2014-07-24 2019-07-05 尼科创业控股有限公司 用于保持和再充电电子雾气供应系统的包及其操作方法
GB2535239A (en) * 2015-02-13 2016-08-17 Nerudia Ltd System and apparatus
CN112656038B (zh) * 2015-03-27 2024-05-28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可重复密封的气溶胶生成制品
CN105077596B (zh) * 2015-07-30 2017-03-22 深圳市劲嘉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开关封闭式雾化器的电子雾化装置及电子模拟烟
CN205199822U (zh) * 2015-09-22 2016-05-04 深圳市杰仕博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雾化器的电池装置
US20170117654A1 (en) * 2015-10-27 2017-04-27 Dennis Cruz Electronic cigarette connector
KR20180099685A (ko) * 2015-12-31 2018-09-05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다중 부분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GB201605102D0 (en) *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WO2017167513A1 (en) * 2016-03-31 2017-10-05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separate capsule and vaporizing unit
WO2017182976A1 (en) * 2016-04-22 2017-10-26 Resolve Digital Health Inc. An inha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6509991B (zh) * 2016-10-18 2018-11-13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滑动式开盖装置
CN106490686A (zh) * 2016-11-23 2017-03-15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雾生成器、电子烟及可拆卸安装的雾化装置
CN206687163U (zh) * 2017-03-20 2017-12-01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低温烘烤烟具
CN206808665U (zh) * 2017-03-27 2017-12-29 深圳市艾维普思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盒盖防晃动结构及电子烟
CN106901404A (zh) * 2017-04-24 2017-06-30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滑盖启动式双向加热低温烘烤烟具
US10285444B2 (en) * 2017-04-27 2019-05-14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ceramic wicking element
US10368579B2 (en) * 2017-05-01 2019-08-06 Yongjie James Xu Microvaporizer quick-release mechanism
TWI778054B (zh) * 2017-05-02 2022-09-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盒子之氣溶膠產生系統
CN207411489U (zh) * 2017-10-26 2018-05-29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具有翻盖机构的加热不燃型电子烟具
CN207383538U (zh) * 2017-11-06 2018-05-22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一种滑盖机构及电子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42247A1 (en) 2022-05-12
TW202100035A (zh) 2021-01-01
JP2022530258A (ja) 2022-06-28
EP3962300A1 (en) 2022-03-09
TWI728795B (zh) 2021-05-21
CN113766843A (zh) 2021-12-07
CA3137376A1 (en) 2020-11-12
WO2020225102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2982A (ko)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002983A (ko) 폐쇄부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20287362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Closure with Rigid Biasing Element
TWI772788B (zh) 具有帶檢測器的可移動關閉件之氣溶膠產生裝置
US4921420A (en) Child resistant disposable lighter
US20180332895A1 (en) Atomizing device, smoking article having same, and control method of atomizing device
WO2017085486A1 (en) Dispenser
KR20170076703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2002552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3979858B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tilted heating chamber
EA043136B1 (ru)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меющее крышку с жестким смещающим элементом
EP4142528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EP4009819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EP4374719A1 (en)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 method of opening an aerosol generation chamber thereof
KR20240005253A (ko) 연무량 조절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WO2022097064A1 (en) Medical inhaler activatable by means of breath
RO201200050U1 (ro) Dispozitiv electronic pentru vaporiz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