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750U -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750U
KR20220002750U KR2020227000055U KR20227000055U KR20220002750U KR 20220002750 U KR20220002750 U KR 20220002750U KR 2020227000055 U KR2020227000055 U KR 2020227000055U KR 20227000055 U KR20227000055 U KR 20227000055U KR 20220002750 U KR20220002750 U KR 202200027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flat
soil reinforcement
soil
obtus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7000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피. 테일러
Original Assignee
더 테일러 아이피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테일러 아이피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더 테일러 아이피 그룹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02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보강토(MSB) 구조물에 사용을 위한 토양 보강 요소 및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평활한 금속 스트립은 코일로부터 인발된 스톡으로 제조된 토양 보강 요소로 제조되고, 스트립 표면의 표면은 냉간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조작된다. 조작된 표면은 보강토(MSB) 구조물을 수반하는 흙 형태에 매립될 때 인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루부와 골부로 구성되도록 최적화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및 제조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완전히 합체되어 있는 2020년 9월 3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74,127호에 관한 것이고, 이를 우선권 주장한다.
공개를 위해 선택된 도면
도 5.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냉간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보강토(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MSE) 구조의 지반 개선을 위한 개선된 금속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구성, 사용 및 제조에 관한 것이다.
토양 함유물(soil inclusions)을 사용하여 건설되는 흙막이 구조물(earth retaining structures)은 치밀화된 뒷채움재(backfill)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되고, 보강토(MSE) 구조물로서 분류되는 지반 개선의 형태이다.
MSE 구조물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옹벽(retaining wall) 시스템, 흙 제방, 교량 하부구조를 지지하는 교대(bridge abutments), 물을 보유하는 댐, 구조 플레이트 교차점용 면벽(headwalls), 광업용 분쇄기 지지 구조물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SE 구조물의 건설은 원하는 구조물 높이가 달성될 때까지 규칙적인 간격 두께로 치밀화된 뒷채움재 및 토양 보강재를 배치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이다. 토양 보강 요소는 일반적으로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길이이고 수평 및 수직 방향의 모두에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된다.
토양 보강 요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토양 보강재는 스트립 또는 연속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립은 그리드를 형성하도록 제조된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토양 보강 요소는 토양 보강 프로파일이 평면형 또는 이중 평면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양 보강재는 그 길이를 따라 상이한 표면 구성, 패턴 및 프로파일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토양 보강 요소는 외장(facing) 요소를 갖거나 갖지 않고 제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토양 보강 요소는 일반적으로 제방의 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지만 장애물을 우회하기 위해 다른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비연속적 토양 보강 요소의 경우, 인접한 요소는 이격되어 있고 통상적으로 동일한 수평 평면 내에 있다. 치밀화된 뒷채움재와 조합하여 토양 보강재는 복합 구조물을 형성한다. 치밀화된 뒷채움재는 압축력에 저항하고, 반면 토양 보강재는 인장력에 저항하려고 시도한다.
토양 보강 요소가 외장 요소에 부착되는 경우, 외장은 콘크리트, 목재, 강철, 용접된 와이어 메시 또는 이들의 유사물일 수 있다. 토양 보강 요소의 근접 단부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외장에 부착된다. 외장 요소는 MSE 구조물, 제방 또는 흙막이 구조물의 외부 표면을 형성한다. 외장 요소는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흙 형태로 반죽될(battered) 수 있다. 외장 요소는 토양 보강 요소의 연속적인 행과 열 사이의 토양 보강의 근접 단부에서 뒷채움재의 침식을 방지한다. 외장 요소는 또한 장식용 베니어판으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실용신안에 설명된 실시예 및 방법은 금속 스트립으로 제조된 토양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 스트립 토양 보강재는 평활하거나 융기된 크로스 리브(cross ribs)를 갖는 표면을 갖고 제조된 그리드를 형성하도록 제조되는 표면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속 스트립은 또한 힘이 인가됨에 따라 스트립이 연장되도록 사인곡선 프로파일로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행하게도, 돌출부 또는 융기된 크로스 리브와 같은 개질된 표면을 이용하는 금속 스트립 토양 보강재의 경우, 표면 돌출부 또는 융기된 크로스 리브는 항상 열간 압연 프로세스로서 알려져 있는 원자재 가열된 스톡으로부터 제조 프로세스의 최종 단계 중에 형성된다.
열간 압연은 관련된 금속 합금에 기초하여 850℃ 내지 1200℃일 수도 있는 특정 재료의 재결정 온도 초과의 온도에서 발생하는 금속 가공 프로세스이다. 열간 압연 금속 가공 프로세스 동안 재료의 입자는 냉각 중에 변형되고 재결정된다. 열간 압연 금속 가공 프로세스는 금속이 결정이 대략 동일한 길이인 미세구조를 유지하고 금속이 가공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열간 압연을 위한 출발 재료는 통상적으로 슬래브(slabs), 괴철(blooms) 및 빌렛(billets)으로서 분류될 수도 있는 큰 금속 단편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금속 단편은 이어서 높은 온도 및 압력 하에서 압착 및 개질된다. 초기 주조-성형 작업이 연속적인 경우, 주조 재료는 미리 정의된 온도에서 열간 압연기 내로 직접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그 유리 전이 온도(tg)에 근접한 금속 재료는 일련의 고압(및 고온) 롤러로 전후로 처리되어 스트립, 라운드, 앵글, 채널 등과 같은 최종 제품 형상을 생성하고, 이들은 이어서 특수하게 구성된 냉각 장치 내에서 냉각된다. 열간 압연된 요소의 표면은 종래 알려진 콘크리트 철근(열간 압연에 의해 형성됨) 상의 리브와 같은 융기된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융기된 리브는 재료가 여전히 원래 빌렛 온도 또는 그 부근에 있는 동안 최종 압연 프로세스로서 요소 상에 배치되어 미세구조가 쉽게 조작되게 한다.
열간 압연에서 융기된 리브의 배치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크기의 요소를 생산하기 위해 특수 유압 롤러의 세트를 필요로 한다. 특수 핫 롤러(hot roller)가 요구되기 때문에, 종래의 요소의 두께, 폭, 구성은 핫 롤러에 의해 제한되고, 따라서 핫 롤러가 소비자에 의해 구매될 수 있는 크기에 있어 제한된다. 특수 핫 롤러가 요구되기 때문에, 큰 열 질량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한 제조자의 수, 및 제조 시설의 유형도 또한 제한된다.
금속의 표면을 조작할 수 있는 종래의 금속 가공 프로세스는 다이 성형(die forming)이라 지칭된다. 금속 다이 성형은 임의의 초기 금속 합금 재료의 유리 전이(tg)보다 훨씬 낮은 저온 온도(예를 들어, 실온)에서 금속 형상을 조작하기 위해 압력 및 다이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이다.
다이 성형 프로세스는 통상적으로 정합하는 수형 및 암형 다이에 의해 이루어진다. 일 프로세스에서, 금속은 원하는 단부 패턴의 상보적인 인상(impressions)을 포함하는 수형 및 암형 다이 사이를 통과한다. 금속이 압력 하에서 차가울 때 금속 내에 패턴이 형성된다. 이는 스트립, 플레이트 및 바아와 같은 상이한 금속 스톡을 사용하여 제조를 허용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는 또한, 표면 또는 에지 상에 배치된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육각형 또는 임의의 원하는 패턴과 같은 상이한 단면의 바아의 사용을 허용한다.
불행하게도, 열간 압연에 의해 형성된 토양 보강 구조물을 포함하는 토양 보강재의 현재 구조는 원하는 바와 같이 인장력에 저항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아 계산 및 정량화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고, 생산에 비용이 많이 들고 위험하며 열간 압연을 위한 열 요건 및 열간 압연에 대한 특수 요건에 운송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 인식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양태를 제공하고,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및 향상된 제조 방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결과적으로 개선된 보강토(MSE)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보강토(MSE) 구조물에 사용을 위한 토양 보강 요소 및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평활한 금속 스트립은 코일로부터 인발된 스톡으로 제조된 토양 보강 요소로 제조되고, 스트립 표면의 표면은 냉간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조작된다. 조작된 표면은 보강토(MSE) 구조물을 수반하는 흙 형태에 매립될 때 인발(pullout)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루부와 골부로 구성되도록 최적화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서, 본 고안은 금속 요소가 냉간 압연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상이한 폭 및 두께 및 상이한 표면 및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토양 보강 요소로 조작될 수 있는 제조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 인식된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토양 보강 요소의 인발 저항은 일반적으로 인가된 힘의 방향에 수직인 프로파일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수동 저항에 의한 토양 보강 요소와 토양의 계면을 따라 발생하는 마찰 저항의 함수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수동 프로파일의 구성 및 배향은 요소에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 인발 저항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하다고 결정되었다.
토양 보강재는 흙 덩어리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설계된다. 토양 보강재는 파열에 저항하고 흙 덩어리로부터의 인발에 저항하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종래, 종래의 토양 보강 요소의 파열 저항은 금속 특성과 단면적의 함수이고 쉽게 계산된다. 하나의 이러한 인발 시험 방법은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사양 D6706, 토양의 토목 인발 저항 측정을 위한 표준 시험 방법에 의해 지배된다. 불행하게도, 본 출원인은 토양 보강 요소의 인발 저항이 계산하기에 더 복잡하고 요소의 표면적 및 형상의 함수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 결과,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실험실 시험을 통해 토양 보강재의 예상 인발 저항을 계산하는 것으로 결정하였고 그 결과 ASTM D6706 시험의 금속 토양 보강재의 인발 저항이 본 명세서에서 수정된 바와 같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본 고안의 유리한 양태는, 실험실 인발 시험을 통해 최대화되고 검증된 토양 보강 요소의 인발 능력을 증가시키고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의 일 단부 및 패널 앵커를 고정하기 위한 외장 요소를 갖는 보강토(MSE) 구조물로 조립될 수 있는, 그에 적용된 표면 릴리프(reliefs) 또는 수동 돌출부 또는 마루부 및 골부, 및/또는 에지 릴리프 또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는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금속 형상의 사용을 허용하는 토양 보강 요소를 제조하는 경제적인 방법을 안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스톡으로부터 제조되는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여기서 모든 표면은 평활하고, 스트립의 표면은 2개의 프로파일 다이의 대향 표면들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킴으로써 냉간 성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조작되고, 프로파일 다이 위치는 스트립이 압력 하에서 프로파일 다이 사이를 통과하도록 조정 가능하고, 반면 압력과 조합된 프로파일 다이 표면 구성은 인발 저항을 최적화하는 스트립의 표면을 따라 프로파일을 냉간 성형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금속 토양 보강 요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고, 금속은 탄소강 합금,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구리 합금 및 청동 합금 중 하나이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및 제조의 방법이 제공되고, 스트립의 근접 단부는 관통 보어를 갖고 수동 표면 프로파일 간격, 및 인장 하에서 인발에 저항하는 인발 시험에 의해 최적화되고 검증된 기하학 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평탄한 스트립으로 구성된 스톡으로부터 제조된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상부, 하부 및 측면 표면은 평활하고, 스트립의 상부 표면은 마루부와 골부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횡방향 리브의 세트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마루부 및 골부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표면 사이에서 이격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마루부 및 골부는 스트립의 표면을 따른 이격에 기초하여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고, 마루부 및 골부가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고, 마루부와 골부의 다음 세트 사이의 거리는 다양하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코일형 금속을 사용하여 개선된 토양 보강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풀림 받침대 상에 코일을 배치하는 단계; 직선화 스테이션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단계; 펀치 스테이션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단계; 프로파일링 스테이션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단계; 재단기(guillotine)를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단계; 완성된 스트립을 스택에 배치하는 단계; 스트립의 완성된 스택을 밴딩(band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로세스의 순서는 적응적이고 부분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보강토(MSE) 시스템 및 보강토 시스템을 건설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표면을 따른 냉간 성형된 프로파일링된 마루부 및 골부로 제조된 금속 스트립 및 근접 단부에 있는 관통 보어로 구성된 토양 보강 요소; 흙 구조물의 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토양 보강부의 근접 단부를 수용하는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서로로부터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연결 플레이트를 갖고, 각각의 연결 플레이트는 수평으로 배치된 관통 보어를 형성하는 외장 앵커; 및 토양 보강재를 외장 앵커에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수평으로 배치된 관통 보어 및 연결 요소의 중앙 개구를 통해 연장 가능한 결합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관통 보어, 중앙 개구 및 결합 디바이스의 조합은 요소가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합된 연결 요소와 토양 보강 요소는 수평 평면에서 선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보강토(MSE)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스트립으로 구성된 스톡 부재로서, 스트립 상의 모든 표면은 평활하고, 스트립의 표면은 스트립 상에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2개의 프로파일 다이의 대향 표면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킴으로써 냉간 성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조작되는, 스톡 부재를 포함하고; 저항 프로파일은 제1 측면 및 대향 제2 측면을 갖는 스트립의 제1 측면 상에 있고, 스트립의 각각의 적어도 제1 평탄한 섹션과 제2 평탄한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평탄한 섹션의 각각은 공통 평면을 따라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마루부 부재의 대향 측면 상의 제1 평탄한 측면 및 제2 평탄한 측면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 둔각 내측각을 정의하고; 제1 평탄한 섹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마루부의 제1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1 둔각이 정의되고, 제2 평탄한 섹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마루부의 제2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2 둔각이 정의되고; 제1 둔각 및 제2 둔각은 160 내지 140도이고, 제1 및 제2 평탄한 측면 사이의 둔각 내측각은 120 내지 100도이고; 여기서 저항 프로파일은 그 사용 중에 보강토(MSE) 구조물로부터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의 인발 저항을 최적화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스트립 상의 적어도 제2 마루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 마루부 부재 및 제2 마루부 부재는 그 사이에 제1 및 제2 평탄한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스트립 상에서 이격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적어도 제1 및 제2 마루부 부재는 모두 공통 평면에 대해 스트립의 제1 측면 상에 또는 스트립의 대향 측면들 상에 중 어느 하나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제1 및 제2 평탄한 섹션의 길이는 각각의 제1 및 제2 마루부 부재 사이에서 균일하고 불균일한 것 중 하나이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냉간 성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조작되는 스톡 부재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철 합금,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및 청동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이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가 제공되고, 스트립의 근접 단부는 관통 보어를 갖는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보강토(MSE)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시스템은 적어도 평탄한 표면을 따른 복수의 마루부 및 근접 단부에 관통 보어를 갖는 냉간 성형된 프로파일링된 저항 프로파일로 제조된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외장 패널 요소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근접 단부 및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조정 가능하게 수용하는 결합 디바이스를 갖는 외장 패널 앵커를 갖는 외장 패널 요소;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를 외장 패널 앵커에 고정하기 위해 근접 단부 및 외장 패널 앵커를 통해 연장하는 결합 디바이스로서, 조합된 결합 디바이스 및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공통 평면을 따라 선회 가능한, 결합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보강토(MSE)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시스템은 각각의 평탄한 표면을 따라 복수의 냉간 성형 프로파일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스트립 상의 모든 표면은 평활하고, 스트립의 표면은 스트립 상에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2개의 프로파일 다이의 대향 표면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킴으로써 냉간 성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냉간 성형 프로파일을 형성하게 조작되고; 저항 프로파일은 스트립의 제1 측면 상에 복수의 마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마루부는 제1 평탄한 측면 및 대향 제2 평탄한 측면을 갖고, 스트립의 각각의 적어도 제1 평탄한 섹션과 제2 평탄한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고; 제1 및 제2 평탄한 섹션의 각각은 공통 평면을 따라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마루부 부재의 대향 측면 상의 제1 평탄한 측면 및 제2 평탄한 측면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 둔각 내측각을 정의하고; 제1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마루부의 제1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1 둔각이 정의되고, 제2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마루부의 대응하는 제2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2 둔각이 정의되고; 제1 둔각 및 제2 둔각은 160 내지 140도이고, 제1 및 제2 평탄한 측면 사이의 둔각 내측각은 120 내지 100도이고; 여기서 저항 프로파일은 그 사용 중에 보강토(MSE) 구조물로부터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의 인발 저항을 최적화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보강토(MSE)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시스템은 각각의 외장 패널 요소의 각각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하고 복수의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각각의 근접 단부를 조정 가능하게 수용하고 각각의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고정하는 대응 결합 디바이스를 각각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앵커를 각각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요소; 및 베이스 레벨 및 마감 지반면에 대해 복수의 외장 패널 요소를 따른 복수의 토양 리프트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복수의 토양 리프트는 대응하는 일련의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로 보강토(MSE) 구조물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보강토(MSE)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각각의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복수의 마루부 내에, 적어도 제1 마루부 부재 및 제2 마루부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제1 및 제2 마루부 부재는 모두 공통 평면에 대해 스트립의 제1 측면 상에 또는 스트립의 대향 측면들 상에 중 어느 하나에 있고; 또는 복수의 스트립의 각각의 스트립의 제1 및 제2 평탄한 섹션의 길이는 각각의 제1 및 제2 마루부 부재 사이에서 균일하고 불균일한 것 중 하나이고; 또는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철 합금,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및 청동 합금 중 하나로부터 각각 선택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코일형 금속을 사용하여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a. 코일형 금속을 풀림 받침대 상에 배치하고 코일형 금속을 스트립으로서 푸는 단계; b. 제1 직선화 스테이션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켜 초기에 직선화된 스트립을 형성하는 단계; c. 초기에 직선화된 스트립을 냉간 프레싱 프로파일링 스테이션을 통해 통과시키고 스트립의 표면을 따라 적어도 복수의 냉간 성형된 마루부로 구성된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단계로서; 냉간 프레싱 프로파일링 스테이션은,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단계 동안 스트립의 표면을 따라 각각의 마루부와 골부 사이에 최종 직선화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각각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고정 염료와 가동 염료를 포함하는,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단계; d. 펀치 스테이션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단계; e. 재단기를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고 스트립을 미리 결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f. 완성된 스트립을 스택에 배치하는 단계; 및 g. 스트립의 완성된 스택을 밴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코일형 금속을 사용하여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저항 프로파일은 스트립 상의 복수의 냉간 성형된 마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마루부는 제1 평탄한 측면 및 대향 제2 평탄한 측면을 갖고, 스트립의 각각의 적어도 제1 평탄한 섹션과 제2 평탄한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고; 제1 및 제2 평탄한 섹션의 각각은 최종 직선화된 부분 상의 공통 평면을 따라 연장하고; 마루부 부재의 대향 측면 상의 제1 평탄한 측면 및 제2 평탄한 측면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 둔각 내측각을 정의하고; 제1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마루부의 제1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1 둔각이 정의되고, 제2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마루부의 대응하는 제2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2 둔각이 정의되고; 제1 둔각 및 제2 둔각은 160 내지 140도이고, 제1 및 제2 평탄한 측면 사이의 둔각 내측각은 120 내지 100도이고; 여기서 저항 프로파일은 그 사용 중에 보강토(MSE) 구조물로부터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의 인발 저항을 최적화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다른 양태, 특징 및 장점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숙독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a는 상부 및 하부에 있고 그 상부 표면에 마루부 및 골부에서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정의된 수동 프로파일을 따라 에지를 따라(도 1은 계산을 위한 그 분석 요소를 나타냄) 평활한 표면을 포함하는 평탄한 금속 스트립인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실시예의 예시적인 펀칭 전단 모델 계산을 제공하고 있다.
도 2b는 도 2a의 예시적인 경면 대칭 프로파일로서, 마루부 및 골부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수동 프로파일은 힘의 방향에 대해 단일 요소 상에서 경면 대칭 이미징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간 성형된 금속 스트립의 대안적인 등각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
도 4a는 스트립 코일 또는 직선화된 피드 바아 스톡을 사용하여 냉간 성형에 적응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도 4b는 스트립 코일로부터 제거시에 초기 직선화를 갖는 이전에 제공된 바아 스트립의 원하는 수동 프로파일로의 굴곡 및 최종 직선화의 예시적인 냉간 프레스 성형 단계를 제공한다.
도 5는 그에 조립된 패널 앵커를 갖는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예시적인 등각 조립도이다.
도 6은 제1 리프트 또는 제1 드리프트 레벨의 대안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장 요소 또는 패널 요소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보강토(MSE) 구조물의 등각 예시도이다.
도 7은 흙막이 구조물을 형성하는 배면토(retained fill) 부분에 대해 베이스 레벨 상에 복수의 외장 패널 요소를 갖는 하나 이상의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보강토(MSE) 구조물의 다른 등각 예시도이다.
도 8은 향상된 인장 저항을 위한 복수의 리프트 또는 드리프트 레벨을 갖는 보강토(MSE) 구조물에서 외장 패널 요소 및 복수의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 예시도이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가능하다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 또는 단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다. 도면은 단순화된 형태이며 정확한 축척은 아니다. 단어 '결합' 및 유사한 용어는 반드시 직접 및 즉각 연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중간 요소 또는 디바이스를 통한 연결을 또한 포함한다. 단지 편의와 명료함을 위해, 방향(상/하 등) 또는 운동(전/후 등) 용어가 도면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및 유사한 방향성 용어는 임의의 방식으로 범주를 한정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가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용될 수도 있고, 상세한 설명은 한정의 개념으로 취해져서는 안 되며, 요소는 그에 요구되는 기입된 설명의 요건 없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와 상이하게 위치되거나 달리 언급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는 방식으로, 다양한 동작이 다수의 개별 동작으로서 차례로 설명될 수도 있지만, 설명의 순서는 이들 동작이 순서 의존성이라는 것을 암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 도 1 내지 도 8을 집합적으로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3은 상부 및 하부에 있고 그 상부 표면에 마루부 및 골부에서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정의된 수동 프로파일을 따라 에지를 따라(도 1은 계산을 위한 그 예시적인 분석 요소를 나타냄) 평활한 표면을 포함하는 평탄한 금속 스트립인 보강토(SME) 구조물을 위한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8, 및 도 1 내지 도 3에 더 직접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평탄한 표면에 의해 분리된 마루부와 골부를 포함하고 측면 표면을 볼 때 본질적으로 서로의 경면 대칭 이미지이고 다이 성형을 사용하여 저온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마루부 및 골부 프로파일의 간격 및 형상은 최적화되고, 아래의 기하학적 요건을 사용하여 검증되고 인발 시험의 방법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시험될 수도 있다. 표면 프로파일은 설명될 바와 같이 프로파일링된 다이를 사용하여 냉간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는 코일 상에 포함된 스톡 재료를 사용하여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를 제조하는 추가적인 경제적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여기에 고안된 바와 같은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인발 저항의 분석이고, 일반적으로 인가된 힘의 방향에 수직인 프로파일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수동 저항에 의한 인장시에 토양 보강 요소와 토양의 계면을 따라 발생하는 마찰 저항의 함수이다. 따라서, 여기에 고안된 수동 프로파일의 구성 및 배향은 요소에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 인발 저항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하다.
토양에 포함된 요소가 하중을 받아 토양 내로 밀릴 때, 토양은 표면을 따라 붕괴된다(fail). 붕괴 표면(failure surface)으로서 또한 알려진 표면은 토양의 마찰각의 함수이다. 붕괴 표면은 45 + φ2의 각도로 전파된다. 여기서 φ(파이)는 토양의 내부 마찰각이다. 토양 내에 배치되고 하중을 받는 요소는 힘이 토양의 강도를 초과할 때만 이동할 수 있다. 토양 붕괴가 발생할 때, 수동 요소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붕괴 방향으로 토양 내로 펀칭한다.
구역-I(ABC)(I)에 의해 정의된 요소 전방의 토양의 쐐기는 구역-II(II)에 의해 정의된 주변 토양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동해야 한다. 각도 알파(α)는 토양의 내부 마찰각의 함수이다. 각도 베타(β)는 인가된 힘과 주변 토양의 치밀화 밀도 뿐만 아니라 토양의 다일러턴시(dilatancy) 특성의 함수이다. 각도 알파(α)와 베타(β)는 45도 각도에 토양의 내부 마찰각의 1/2를 더한 것과 상관된다. 구역-II(II)는 구역 AD 위에 있다(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장 중에, 구역-II 및 구역-III(III)가 방해받지 않고 전파되는 것이 허용될수록, 토양 보강 요소의 인발 저항이 더 높아진다. 붕괴 표면은 구역 II, III의 외부 프로파일을 따르고, 보강토(MSE) 구조물에 적합하게 위치되고 조립될 때 이동에 대한 상당한 저항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동 프로파일이 도 2a, 도 2b에 도시되어 있고 도 3a 내지 도 3c는 삼각형 프로파일을 갖고, 여기서 예각 프로파일 각도 세타(θ)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4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도이다(대향 예각 프로파일 각도 세타(θ) 사이의 상보적 둔각에 대해)(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따라서, 상보적 둔각은 160도(180-20도) 내지 136도(180-44도), 더 바람직하게는 140도(180도-40도) 내지 150도(180도-30도)이다. 이들 각도의 범위는 통상적으로 보강토(MSE) 구조물에서 뒷채움재로서 사용되는 토양에 대한 내부 마찰각의 범위이다. 프로파일이 이 각도로 한정될 때, 구역-II가 완전히 발달할 수 있고, 토양 보강 요소의 인발 저항이 최적화된다. 다른 각도가 가능하고 인발 시험을 사용하여 특정 토양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인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2a의 수동 저항 삼각형 요소가 반복되고 대안적으로 하부 표면에 경면 대칭되고 붕괴 표면의 간섭 또는 중첩을 제한하는 거리에서 이격된다. 이 배열은 그 사이의 평탄한 부분이 동일한 평면 내에 있도록 허용하여 예각과 둔각이 힘의 어느 방향에서든(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는 이미지에 대해 좌측으로 힘의 방향을 도시하고 있지만, 보유력은 우측으로 직접 대향 방향에 있음) 확실하게 여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즉시 계산될 수도 있다. 그 결과, A(예를 들어, 도 2a에서)에서 밑변 각도를 갖는 2개의 대향하는 이등변 꼭지점-변 사이에서 계산된 가상의 이등변 삼각형에서, 2개의 대향 예각 프로파일 각도 세타(θ)가 있고 둔각 내측각이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도일 수도 있도록 나머지 둔각 내측각(ACA)(도 2a)이 계산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180 내부 도-(2×예각 프로파일 각도 세타(θ)).
부가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를 더 참조하면, 복수의 각각의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80, 80B, 80C)가 제공된다. 프로파일 요소(8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둔각(82, 82) 사이에 정의된 내측 둔각(83, 83) 등에 의해 분리된 평탄한 부분(81, 81)으로부터 둔각(82, 82)을 형성하는 수동 프로파일 사이를 이격하는 규칙적인 평탄한 부분(81, 81)이 있도록 반전되고 규칙적으로 이격된 수동 프로파일을 갖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프로파일 요소(80B)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둔각(평탄한 부분(81)에 대해)(82A, 82A) 및 내측 둔각(83A)(둔각(82A) 사이에 정의됨)을 각각 갖는 2개의 상이한 평탄한 부분(81(더 긴 부분), 81A(더 짧은 부분))에 의해 반전되고 이격된 수동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프로파일 요소(80C)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측 둔각(83C)만큼 이격된 각각의 둔각(82C, 82C)을 갖는 단지 하나의 측면에만 규칙적이고 균일한 평탄한 부분(81, 81) 및 이격된 수동 프로파일 요소가 제공된다.
언급된 마루부 및 골부는 최적화되고 냉간 성형 방법에 의해 금속 스트립을 따라 간헐적으로 이격되며 표면을 볼 때 본질적으로 서로의 경면 대칭 이미지라는 것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본 개념은 본 출원인의 고안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대안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부가적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서 대안적인 저온 스트립 코일(초기에) 또는 제공된 저온 바아 스톡(초기에)을 사용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프로세스는 언급된 단계를 포함하고, 1. 풀린 받침대에 상에 배치된; 2. 풀기, 슬릿팅 및 스트립 공급 및 직선화 스테이션을 통과한; 3. 펀치 스테이션을 통과한; 4. 프로파일링 스테이션 또는 5. 대안적으로 비틀림 및 프로파일링 스테이션을 통해 선택적 유도 가열 스테이션으로 통과된; 6. 재단기에서 소정 길이로 절단된; 7. 선택적으로 관통 구멍을 갖고 펀칭된; 8. 이어서 스택에 배치된; 9. 밴딩되어 운송된 코일형 금속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안의 프로세스는 더 일반적인 가열 없이 제공되고 냉간 성형으로서 언급된다.
부가적으로, 표면 프로파일링 및 추가 직선화가 제공되는 도 4b를 참조하면, 초기에 직선화된 스톡 평탄화된 바아(50)(저온)가 다이의 세트에 제공되고, 상부 다이(40A)는 평탄한 섹션 사이에 이격된 원하는 프로파일을 갖고 하부 다이(40B)를 보완한다(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음 단계에서, 다이가 압축되고 프로파일은 바아에서 냉간 성형되고 이어서 고정 베드(40)를 따라 펀치 및 전단 스테이션(42)으로 공급되어 단부에 제공된 관통 구멍을 갖고, 바아는 결정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성형된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80)(또는 80B 또는 80C 등)를 제공하는 원하는 생산 길이로 절단되고, 스택 및 밴드 및 다발화 단계가 언급되고(도 4a, 도 4b를 조합함), 언급된 바와 같이 상대 스테이션 및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이동되어 동작될 수도 있고 여전히 동일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제, 부가적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립된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1)는 보강 토양 스트립 요소(80) 및 패널 외장 요소(108) 내에 보유되도록 성형된 패널 앵커(90)가 제공된다. 패널 앵커(90) 및 요소(80) 내의 관통 구멍(91)은 조합된 보강토(MSE) 구조물을 갖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 중에 나사(72), 와셔(73, 73) 및 너트(71)로 조립 및 고정을 제공한다.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토(MSE) 구조물(10)은 베이스 레벨(109)에 대해 푸터(footer) 또는 레벨링 패드(101) 상에 통상적으로 지지되는 상이한 높이 및 형상의 보강 패널 외장 요소(108)를 포함하고,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 조립체(1)는 원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토양의 두께를 갖는 각각의 리프트 또는 드리프트(106)에서 패널 외장 요소(108)에 고정되고, 원하는 마감 지반면(finish grade)(102)에 대해 교통 장벽(105)을 갖는 있는 도로(110) 및 모멘트 슬랩(moment slap)(104)으로 덮인다. 하나의 대안 실시예(도 7)에서, 각각의 현장 요건에 기초하는 배면토(111)가 있다.
단지 몇개의 실시예만이 상기에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고안자는 이들을 본 출원 내에 포함하도록 의도한다. 명세서는 본 출원에서 명시적으로 그리고 본질적으로 설명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정 기술 해결책을 설명한다. 본 개시내용은 실시예를 설명하고, 청구범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예측 가능할 수도 있는 이들 실시예의 임의의 수정 또는 대안 또는 일반화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고안자는 단어 '수단'을 사용하거나 단어 '~하기 위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는 이들 청구항이 단지 35 USC 112 하에서 해석되도록 의도한다. 더욱이, 이들 제한이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포함되지 않으면, 명세서로부터의 어떠한 제한도 임의의 청구항에 독해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수치 값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경우, 값은 20%만큼 증가 또는 감소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몇몇 상이한 범위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X도 +/-20%의 각도는 본 개시내용 내에 있고 여전히 본 출원의 교시 내에 있는 것으로서 이해됨). 설명된 논리적 개념이 사용되는 경우, 반대되는 논리적 개념도 또한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이들 정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고안의 범주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들의 등가물의 범주 내에 있으면 본 개시내용의 수정 및 변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4)

  1. 보강토(MSE)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이며,
    스트립으로 구성된 스톡 부재로서, 상기 스트립 상의 모든 표면은 평활하고, 스트립의 표면은 상기 스트립 상에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2개의 프로파일 다이의 대향 표면들을 통해 상기 스트립을 통과시킴으로써 냉간 성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조작되는, 스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 프로파일은 제1 측면 및 대향 제2 측면을 갖는 상기 스트립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있고, 상기 스트립의 각각의 적어도 제1 평탄한 섹션과 제2 평탄한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루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의 각각은 공통 평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루부 부재의 대향 측면들 상의 제1 평탄한 측면 및 제2 평탄한 측면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 둔각 내측각을 정의하고;
    상기 제1 평탄한 섹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마루부의 상기 제1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1 둔각이 정의되고,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마루부의 상기 제2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2 둔각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둔각 및 상기 제2 둔각은 160 내지 140도이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측면 사이의 상기 둔각 내측각은 120 내지 100도이고; 여기서 상기 저항 프로파일은 그 사용 중에 상기 보강토(MSE) 구조물로부터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의 인발 저항을 최적화하는,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상의 적어도 제2 마루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루부 부재 및 상기 제2 마루부 부재는 그 사이에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섹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스트립 상에서 이격되어 있는,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마루부 부재는 모두 상기 공통 평면에 대해 상기 스트립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또는 상기 스트립의 대향 측면들 상에 중 어느 하나에 있는,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의 길이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마루부 부재 사이에서 균일하고 불균일한 것 중 하나인,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 성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조작되는 상기 스톡 부재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철 합금,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및 청동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인,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6. 제5항에 있어서,
    스트립의 근접 단부는 관통 보어를 갖는,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7. 보강토(MSE)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적어도 평탄한 표면을 따른 복수의 마루부 및 근접 단부에 관통 보어를 갖는 냉간 성형된 프로파일링된 저항 프로파일로 제조된 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
    외장 패널 요소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상기 근접 단부 및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조정 가능하게 수용하는 결합 디바이스를 갖는 외장 패널 앵커를 갖는 외장 패널 요소;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를 상기 외장 패널 앵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근접 단부 및 상기 외장 패널 앵커를 통해 연장하는 결합 디바이스로서, 조합된 결합 디바이스 및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공통 평면을 따라 선회 가능한, 결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평탄한 표면을 따라 복수의 상기 냉간 성형 프로파일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 상의 모든 표면은 평활하고, 스트립의 표면은 상기 스트립 상에 상기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2개의 프로파일 다이의 대향 표면들을 통해 상기 스트립을 통과시킴으로써 냉간 성형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상기 냉간 성형 프로파일을 형성하게 조작되고;
    상기 저항 프로파일은 상기 스트립의 제1 측면 상에 상기 복수의 마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마루부는 제1 평탄한 측면 및 대향 제2 평탄한 측면을 갖고, 상기 스트립의 각각의 적어도 제1 평탄한 섹션과 제2 평탄한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의 각각은 상기 공통 평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루부 부재의 대향 측면들 상의 제1 평탄한 측면 및 제2 평탄한 측면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 둔각 내측각을 정의하고;
    상기 제1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상기 마루부의 상기 제1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1 둔각이 정의되고,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상기 마루부의 상기 대응하는 제2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2 둔각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둔각 및 상기 제2 둔각은 160 내지 140도이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측면 사이의 상기 둔각 내측각은 120 내지 100도이고; 여기서 상기 저항 프로파일은 그 사용 중에 상기 보강토(MSE) 구조물로부터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의 인발 저항을 최적화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외장 패널 요소의 각각의 후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의 각각의 상기 근접 단부를 조정 가능하게 수용하고 각각의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고정하는 대응 결합 디바이스를 각각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앵커를 각각 갖는 복수의 외장 패널 요소;
    베이스 레벨 및 마감 지반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외장 패널 요소를 따른 복수의 토양 리프트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토양 리프트는 대응하는 일련의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로 상기 보강토(MSE) 구조물에 고정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상기 복수의 마루부 내에, 적어도 제1 마루부 부재 및 제2 마루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제1 및 상기 제2 마루부 부재는 모두 상기 공통 평면에 대해 상기 스트립의 상기 제1 측면 상에 또는 상기 스트립의 대향 측면들 상에 중 어느 하나에 있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트립의 각각의 상기 스트립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의 길이는 각각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마루부 부재 사이에서 균일하고 불균일한 것 중 하나인,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철 합금, 알루미늄 합금, 구리 합금 및 청동 합금 중 하나로부터 각각 선택되는, 시스템.
  13. 코일형 금속을 사용하여 스트립 토양 보강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a. 코일형 금속을 풀림 받침대 상에 배치하고 코일형 금속을 스트립으로서 푸는 단계;
    b. 제1 직선화 스테이션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켜 초기에 직선화된 스트립을 형성하는 단계;
    c. 초기에 직선화된 스트립을 냉간 프레싱 프로파일링 스테이션을 통해 통과시키고 상기 스트립의 표면을 따라 적어도 복수의 냉간 성형된 마루부로 구성된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단계로서;
    상기 냉간 프레싱 프로파일링 스테이션은, 상기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단계 동안 상기 스트립의 상기 표면을 따라 각각의 상기 마루부와 골부 사이에 최종 직선화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각각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고정 염료와 가동 염료를 포함하는, 저항 프로파일을 부여하는 단계;
    d. 펀치 스테이션을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단계;
    e. 재단기를 통해 스트립을 통과시키고 상기 스트립을 미리 결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f. 완성된 스트립을 스택에 배치하는 단계; 및
    g. 스트립의 완성된 스택을 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프로파일은 상기 스트립 상의 상기 복수의 상기 냉간 성형된 마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마루부는 제1 평탄한 측면 및 대향 제2 평탄한 측면을 갖고, 상기 스트립의 각각의 적어도 제1 평탄한 섹션과 제2 평탄한 섹션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의 각각은 상기 최종 직선화된 부분 상의 공통 평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마루부 부재의 대향 측면들 상의 제1 평탄한 측면 및 제2 평탄한 측면은 동일한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 둔각 내측각을 정의하고;
    상기 제1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상기 마루부의 상기 제1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1 둔각이 정의되고, 상기 제2 평탄한 섹션에 대해 각각의 상기 마루부의 상기 대응하는 제2 평탄한 측면으로부터 제2 둔각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둔각 및 상기 제2 둔각은 160 내지 140도이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평탄한 측면 사이의 상기 둔각 내측각은 120 내지 100도이고; 여기서 상기 저항 프로파일은 그 사용 중에 상기 보강토(MSE) 구조물로부터 상기 스트립 토양 보강 부재의 인발 저항을 최적화하는, 방법.
KR2020227000055U 2020-09-03 2021-09-03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및 제조 방법 KR2022000275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74127P 2020-09-03 2020-09-03
US63/074,127 2020-09-03
PCT/US2021/049169 WO2022051686A1 (en) 2020-09-03 2021-09-03 Improved strip soil reinforc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50U true KR20220002750U (ko) 2022-11-21

Family

ID=8035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7000055U KR20220002750U (ko) 2020-09-03 2021-09-03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64895A1 (ko)
KR (1) KR20220002750U (ko)
WO (1) WO2022051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9151B2 (en) 2020-04-23 2022-12-06 The Taylor Ip Group Llc Connector for soil reinforc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5983A5 (ko) * 1969-08-14 1971-05-14 Vidal Henri
FR2325778A1 (fr) * 1975-09-26 1977-04-22 Vidal Henri Armature pour ouvrage en terre armee
GB8517152D0 (en) * 1985-07-05 1985-08-14 Vidal H Metal strip
WO1995011351A1 (en) * 1993-10-22 1995-04-27 Societe Civile Des Brevets Henri Vidal Strip for use in stabilised earth structures
KR100519734B1 (ko) * 2002-12-23 2005-10-11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건설용 스트립형의 보강메시 및 이를 이용한 토체구조물
US7270502B2 (en) * 2005-01-19 2007-09-18 Richard Brown Stabilized earth structure reinforcing elements
FR2922234B1 (fr) * 2008-03-04 2017-12-22 Terre Armee Int Bande de stabilisation souple destinee a etre utilisee dans des ouvrages en sol renforce
US8079782B1 (en) * 2008-05-16 2011-12-20 Hilfiker William K Semi-extensible steel soil reinforcements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mbankments
US9011048B2 (en) * 2008-05-16 2015-04-21 William K. Hilfiker Method for constructing a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en embankment using semi-extensible steel soil reinforcements
FR2959761B1 (fr) * 2010-05-07 2013-06-28 Terre Armee Int Etancheite continue pour ouvrage de genie civil
US8579551B2 (en) * 2011-01-17 2013-11-12 Mark Sanders MSE anchor system
FR2973401B1 (fr) * 2011-03-30 2014-05-16 Terre Armee Int Ouvrages en sol renforce
US20130136544A1 (en) * 2011-11-30 2013-05-30 EarthTec International LLC Mechanical earth stabilizing system including reinforcing members with enhanced soil shear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1686A1 (en) 2022-03-10
US20220064895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8841B2 (ja) 補強土構造に用いるストリップ
KR840000199B1 (ko) I-빔구조
TW491919B (en) Metal sheet piling
US3953953A (en)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and reinforced composite incorporating same
US5267816A (en) Geogrids
KR20220002750U (ko) 개선된 스트립 토양 보강재 및 제조 방법
AU782975B2 (en) A reinforcing cage for an armoured concrete element
EP0418104B1 (en) Geogrids
Mäkeläinen et al. The longitudinal shear behaviour of a new steel sheeting profile for composite floor slabs
US20120291386A1 (en) Metal Profile Member To Be Used As A Formwork Assisting In The Construction of Metal/Concrete Flooring
US20210332549A1 (en) Soil reinforc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bedi et al. Plate reinforced concrete beams: experimental work
PL79278B1 (ko)
WO1995022668A1 (en) Honeycomb structure having stiffening rib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GB2411183A (en) Bar for reinforced concrete
US20060166027A1 (en) Impact resistant composite metal structure
US20150135629A1 (en) Grip reinforcing ba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GB2306526A (en) Floor decking
WO2015069094A1 (ru) Арматура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армирования каменной кладки
JP2003247298A (ja) 穴付き形鋼
EP2043797B1 (en) Method for bending a sheet pile wall
CN218405865U (zh) 保温免拆模板
US3994150A (en) Method of making improved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AU744148B2 (en) Reinforcing steel
EP2268869B1 (en) Profiled steel d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