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673U - Bracelet-type accessory - Google Patents

Bracelet-type access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673U
KR20220002673U KR2020210001387U KR20210001387U KR20220002673U KR 20220002673 U KR20220002673 U KR 20220002673U KR 2020210001387 U KR2020210001387 U KR 2020210001387U KR 20210001387 U KR20210001387 U KR 20210001387U KR 20220002673 U KR20220002673 U KR 202200026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let
fastening part
type accessory
ring
sli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미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티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티나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티나
Priority to KR2020210001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673U/en
Publication of KR20220002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7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팔찌형 액세서리가 개시된다. 팔찌형 액세서리는, 일단부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체결부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호 체결시 폐곡선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을 포함하고, 상기 참은,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고리, 및 상기 고리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와 접촉하여 상기 참의 위치를 제한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bracelet-type accessory is disclosed. The bracelet-type accessory has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end, a second fasten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closed curve is formed when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mutually fastened. a body, and It includes at least one charm that is detachably formed on the body, said true, The ring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ne end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ti-slip member for limiting the position of the charm in contact with the body.

Description

팔찌형 액세서리{BRACELET-TYPE ACCESSORY}Bracelet-Type Accessories {BRACELET-TYPE ACCESSORY}

아래의 실시예들은 팔찌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팔찌 몸체에 보석류 비롯한 참을 쉽게 교체하고 부가할 수 있는 팔찌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bracelet-type access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celet-type accessory that can be easily replaced and added to a bracelet body including jewelry.

일반적으로 팔찌라 함은 손목에 채워서 모양을 내기 위한 장신구의 일종으로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팔찌의 종류로는 모양으로 보면 사슬 모양의 체인형, 고리 모양의 링형, 경첩을 부가한 힌지형, 하트형을 사슬에 연결한 러브형, 팔목에 꼭 끼는 고리 모양인 슬레이브형, 및 몸체가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링에 장식을 부가한 뱅글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팔찌는 보석류가 부착되지 않고 심플한 원형 링 형상을 갖는 디자인과, 원형 링에 별도의 보석류가 안착되는 난집이 원형 링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디자인이 통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In general, a bracelet is a type of ornament for filling the wrist to give a shape, and is formed of a precious metal material such as gold, silver, and platinum. In terms of shape, the types of bracelets are chain-shaped chain type, ring-shaped ring type, hinge type with a hinge, love type with heart-shaped chain connected, slave type with a ring shape that fits snugly on the wrist, and body type. It consists of a ring shape as a whole, and it is divided into a bangle type with decorations added to the ring. In addition, this type of bracelet is generally well known for a design having a simple circular ring shape without any jewelry attached thereto, and a design in which a separate piece of jewelry is mounted on the circular ring and integrally attached to a circular ring.

상기 전통적인 디자인의 뱅글 팔찌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각기 다른 디자인으로 제작하고, 소비자에게 구매 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제작 및 유통 시스템은 다양한 디자인을 원하는 소비자의 취향을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으로부터 소비자가 뱅글 팔찌에 본인 취향에 맞는 보석류 및 참을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는 뱅글 팔찌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The bangle bracelets of the traditional design are individually manufactured in different designs to satisfy the various tastes of consumers, and are distributed in the market in a form that allows consumers to select them at the purchase stage. Thes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have limitations in satisfying the tastes of consumers who want various designs. From these limitations, the need for a bangle bracelet in which consumers can freely add jewelry and charms to their taste was derived.

전술한 배경기술은 고안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designer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present application.

실시예의 목적은, 뱅글 팔찌에 심미감을 더하는 보석류를 비롯한 참을 사용자가 취향에 맞게 교체하고 추가할 수 있는 팔찌형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bracelet-type accessory that can be replaced and added by a patient user to suit his or her taste, including jewelry that adds a sense of aesthetics to a bangle bracelet.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액세서리를 개시한다. 팔찌형 액세서리는, 일단부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체결부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호 체결시 폐곡선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을 포함하고, 상기 참은,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고리, 및 상기 고리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와 접촉하여 상기 참의 위치를 제한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Disclosed is a bracelet-type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racelet-type accessory has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end, a second fasten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closed curve is formed when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mutually fastened. a body, and It includes at least one charm that is detachably formed on the body, said true, The ring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ne end portion, and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nti-slip member for limiting the position of the charm in contact with the body.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의 내주면 둘레 중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anti-slip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팔목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anti-slip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on the user's wrist when the user wears it.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고리의 내경과 상기 몸체의 외경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thickness of the anti-slip member may be formed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거나, 적어도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부분이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body may have a hollow pipe shape, or at least a portion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may be hollow.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단면이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body may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체결부의 외경은 상기 제1체결부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peripheral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몸체와의 연결부에 단차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몸체가 연속된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have a step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ody, so that whe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he body may form a continuous outer surfac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팔찌형 액세서리는 심미감을 더하는 보석류를 사용자가 취향에 맞게 교체하고 추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bracelet-type accessory may replace and add jewelry that adds a sense of aesthetics to the user's taste.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액세서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bracelet-type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액세서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참과 팔찌 몸체가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elet-type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top plan view of a ch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arm and the bracelet body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and detailed descriptions with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액세서리(1)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액세서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참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참과 팔찌 몸체가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 몸체의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bracelet-type accesso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elet-type access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lan view of a ch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harm and a bracelet body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bracele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fastened.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팔찌형 액세서리(1)는 몸체(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bracelet-type accessor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 and at least one charm 20 .

몸체(10)는 원이나 타원 형상과 같은 폐곡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폐곡선의 길이는 사용자의 손목의 둘레 정도로 형성되고, 대략 10cm 내지 20c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몸체(10)의 폐곡선은 사용자의 각기 다른 신체 조건에 맞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0 forms a closed curve such as a circle or an oval shape. Here, the length of the closed curve is formed about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wrist,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about 10 cm to about 20 cm. However, the closed curve of the body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to suit different body conditions of the user.

몸체(10)는 일단부에 제1체결부(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체결부(11)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12)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몸체(10)의 제1체결부(11)와 제2체결부(12)를 상호 체결시킴으로써 손목이나 발목에 간편하게 착용 가능하다. 또한, 후술하는 참(20)을 몸체(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제1체결부(11)와 제2체결부(12)를 분리할 수도 있다.The body 10 has a first fastening part 11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2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 at the other end. The user can easily wear it on the wrist or ankle by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part 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of the body 10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1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may be separated so that the charm 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10 .

참(20)은 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참(20)은 큐빅, 다이아몬드, 진주 등의 보석을 포함한 보석류를 몸체(10)에 부착하여 장식미를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참(20)이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사용자는 기호에 맞게 몸체(10)에 다양한 종류의 참(20)을 여러 개 구비할 수 있다.The charm 20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10, and at least one or more may be provided. The charm 20 serves to add decorative beauty by attaching jewelry including gems such as cubic, diamond, and pearl to the body 10 . Although it is shown that one charm 20 is provided in the drawing, a user may have a plurality of various types of charms 20 on the body 10 according to his or her preference.

몸체(10)는 일단부에 제1체결부(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체결부(11)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12)가 형성되어, 제1체결부(11)와 제2체결부(12)가 상호 체결시 폐곡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몸체(10)는 자체 탄성력을 지닌 금속으로 형성되어, 폐곡선으로 상호 체결된 상태를 상시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착용을 위해 일단부와 타단부를 잡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체결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The body 10 has a first fastening part 11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fastening part 12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11 is formed.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form a closed curve when mutually fastening. Here, the body 10 is formed of a metal having its own elastic force, and while always maintaining the mutually fastened state in a closed curve, the user holds one end and the other end for wearing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to release the fastening state. can do.

몸체(10)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됨으로써 무게를 낮추어 사용자가 부담 없이 착용 가능하며, 중공부에 제1체결부(11)를 형성하여 일단의 제1체결부(11)와 타단의 제2체결부(12)가 상호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제1체결부(11)가 형성된 부분에만 중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ody 10 may have a hollow pipe shape. The body 10 has a hollow inside, so that the weight is lower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without burden. The parts 1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hollow may be formed only in the portion where at leas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 is formed.

여기서, 몸체(10)의 단면은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몸체(10)는 타원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참(20)이 몸체(10)에 부착되었을 때 몸체(1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Here,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10 has an elliptical shape. Since the body 10 has an oval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rm 20 from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0 when it is attached to the body 10 .

몸체(10)의 일단에는 제1체결부(11)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1)는 제2체결부(12)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제1체결부(11)는 몸체(10)의 전체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일 부분에만 중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몸체(10)의 타단에는 제2체결부(12)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12)의 외주면 직경(D12)은 제1체결부(11)의 내주면 직경(D11)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2체결부(12)는 제1체결부(11)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체결부(12)는 몸체(10)와의 연결부에 단차(121)가 형성되어서, 제2체결부(12)가 제1체결부(11) 내부로 삽입 및 체결되었을 때 몸체(10)가 연속된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체결부(12)의 단차(121)는 제1체결부(11)의 테두리면(111)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지만, 제1체결부(11)의 테두리면(111)에 자석이 부착되어 제2체결부(12)와 자성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A first fastening part 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0 . The first fastening part 11 is formed as a hollow in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can be insert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 may have a hollow formed in the entire body 10, a hollow may be formed only in a portion. 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D 12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2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D 11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1 . That is,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may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 . Here,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has a step 121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body 10, so that when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11, the body 10 ) may form a continuous outer surface. Here, the step 121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dge surface 111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1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magnet may be attached to the edge surface 111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1 to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12 by magnetism.

도 2를 참조하여, 참(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참(20)은 고리(21)와 미끄럼방지부재(22)를 포함한다. 또한, 참(20)은 보석류(24)가 안착되는 안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tru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to FIG. 2 , the charm 20 includes a ring 21 and an anti-slip member 22 . In addition, the charm 2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23 on which the jewelry 24 is mounted.

고리(21)는 몸체(10)의 일단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몸체(10)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리(21)는 단면이 원이나 타원 형상을 갖고, 중공에 몸체(10)의 일단부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ring 21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body 10 so that one end of the body 10 can pass. For example, the ring 21 may have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and a space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body 1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hollow.

또한, 고리(21)는 상면에 보석류(24)가 안착되는 안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3)와 보석류(24)는 접착제 또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3)의 형상은 보석류(24)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안착부(23)를 생략하고 보석류(24)가 고리(21)에 부착되는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21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23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the jewelry 24 is seated. The seating part 23 and the jewelry 24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or a separate fixing member. Here, the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23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jewelry 24 , and the seating portion 23 may be omitted and the jewelry 24 may be formed in a shape attached to the ring 21 . have.

미끄럼방지부재(22)는 고리(21)의 내주면 하단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재(22)는 고리(21)의 내주면 하단 일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미끄럼방지부재(22)는 고리(21)의 내주면에 접착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재(22)는 사용자가 팔찌형 액세서리를 착용하였을 때 고리(21)의 내주면에서 사용자의 팔목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즉, 미끄럼방지부재(22)는 팔목에 가까운 방향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팔찌형 액세서리를 바라보았을 때 미끄럼방지부재(22)가 몸체(10)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으로도 깔끔하고 미려한 느낌을 줄 수 있다.The non-slip member 2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21 . For example, the non-slip member 22 may have a polyhedral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21 . At this time, the non-slip member 22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21 with an adhesive. 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22 is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user's wris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21 when the user wears a bracelet-type accessory. That is, the non-slip member 22 is provided to be loc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wrist, so that when the user looks at the bracelet-type accessory, the non-slip member 22 is hidden by the body 10 so that it is not seen, so that it looks neat and beautiful. can give

미끄럼방지부재(22)는 몸체(10)가 고리(21)의 중공에 삽입되었을 때 몸체(10)와 접촉하여 참(20)의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미끄럼방지부재(22)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표면이 마찰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재(22)는 원래의 형상을 상시 유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고, 몸체(10)가 고리(21)의 중공을 통과할 때 몸체(10)에 밀려서 변형이 되더라도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고리(21)를 몸체(10)의 외주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방지부재(22)는 탄성력을 갖고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non-slip member 22 contacts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ring 21 to limit and fix the position of the charm 20 . To this end, the non-slip member 22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the surfac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rictional force. The non-slip member 22 ha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always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nd even if it is deformed by being pushed by the body 10 when the body 10 passes through the hollow of the ring 21,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ring ( 21) may be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 For example, the non-slip member 22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nd increasing frictional force.

또한, 미끄럼방지부재(22)의 두께(T22)는 고리(21)의 내경(D21)과 몸체(10)의 외경(D10)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끄럼방지부재(22)는 몸체(10)가 고리(21)의 중공에 삽입되었을 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리(21)를 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미끄럼방지부재(22)의 두께(T22)가 고리(21)의 내경(D21)과 몸체(10)의 외경(D10) 사이의 간격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미끄럼방지부재(22)는 몸체(10)에 의해 압축되게 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몸체(10)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따라서, 참(20)은 몸체(10)의 일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참(2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미끄럼방지부재(22)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몸체(10)와 참(20)의 고정이 해제되고, 참(20)이 몸체(10)의 타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ckness (T 22 ) of the non-slip member 2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diameter (D 21 ) of the ring 21 and the outer diameter (D 10 ) of the body 10 . Referring to FIG. 3 , the non-slip member 22 may fix the ring 21 to the body 10 by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ring 21 . That is, since the thickness (T 22 ) of the non-slip member 22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diameter (D 21 ) of the ring 21 and the outer diameter (D 10 ) of the body 10, the non-slip member (22) is compressed by the body 10, and pushes the body 10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cordingly, the charm 20 may be fixed to a portion of the body 10 . On the contrary, when the position of the charm 20 is to be moved, the non-slip member 22 is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fixing of the body 10 and the charm 20 is released, and the charm 20 is the body ( It can be moved to other parts of 10).

또한, 미끄럼방지부재(22)는 몸체(10)가 접촉되는 부분에 몸체(10)가 안착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미끄럼방지부재(22)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on-slip member 22 may be formed with a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body 10 is se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body 10 is in contact. The non-slip member 22 may stably support the body 10 by forming a groove.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팔찌형 액세서리(1)는 미끄럼방지부재(22)를 포함하여 보석류(24)를 포함한 고리(21)를 팔찌 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고 자유롭게 보석류를 팔찌에 추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bracelet-type accessory 1 includes an anti-slip member 22 to fix the ring 21 including the jewelry 24 to the bracelet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nd freely use the jewelry. can be added to the bracelet.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 팔찌형 액세서리
10 몸체
11 제1체결부
111 테두리면
12 제2체결부
121 단차
20 참
21 고리
22 미끄럼방지부
23 안착부
24 보석류
1 Bracelet-type accessory
10 body
11 1st fastening part
111 border
12 Second fastening part
121 step
20 true
21 rings
22 Non-slip part
23 seat
24 jewelry

Claims (8)

일단부에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1체결부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상호 체결시 폐곡선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
를 포함하고,
상기 참은,
상기 일단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고리; 및
상기 고리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와 접촉하여 상기 참의 위치를 제한하는 미끄럼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팔찌형 액세서리.
a body having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end, a second fastening part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at the other end, and forming a closed curve when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mutually fastened; and
at least one charm detachably formed on the body;
including,
said true,
a ring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ne end; and
an anti-slip member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charm;
A bracelet-type accessory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의 내주면 둘레 중 일부에 구비되는 팔찌형 액세서리.
According to claim 1,
The non-slip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 bracelet-type accessory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팔목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팔찌형 액세서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nti-slip member is a bracelet-type accessory provided to be positioned on the user's wrist when worn by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재의 두께는 상기 고리의 내경과 상기 몸체의 외경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팔찌형 액세서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hickness of the non-slip memb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ring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bracelet-type access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갖거나, 적어도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된 부분이 중공으로 형성되는 팔찌형 액세서리.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has a hollow pipe shape,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in a hollow bracelet-type accessor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단면이 타원형 형상을 갖는 팔찌형 액세서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ody is a bracelet-type accessory having an oval cross-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의 외경은 상기 제1체결부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팔찌형 액세서리.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a bracelet-type accessory that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ner peripheral diameter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몸체와의 연결부에 단차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몸체가 연속된 외면을 형성하는 팔찌형 액세서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fastening part has a step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body, so that when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part, the body forms a continuous outer surface.
KR2020210001387U 2021-04-30 2021-04-30 Bracelet-type accessory KR2022000267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87U KR20220002673U (en) 2021-04-30 2021-04-30 Bracelet-type access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87U KR20220002673U (en) 2021-04-30 2021-04-30 Bracelet-type access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73U true KR20220002673U (en) 2022-11-08

Family

ID=8404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87U KR20220002673U (en) 2021-04-30 2021-04-30 Bracelet-type access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67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6386B1 (en) Jewelry devic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piece
US20080273162A1 (en) Eyeglass hanging charm holder
US20150282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ccessories to jewelry
US20180199680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System
JP5857033B2 (en) Detachable jewelry base
US20160174670A1 (en) Interchangeable wafer rings
KR200474073Y1 (en) Accessary of a position control and changing decoration
KR20220002673U (en) Bracelet-type accessory
US20200146405A1 (en) Modular jewelry system
KR20120035660A (en) Structure fixing precious stones for a personalornaments
KR20150098550A (en) Accessory
TWM536872U (en) Circular ornament
CN111050592B (en) Jewelry for holding replaceable ornaments
KR200476048Y1 (en) A rosary ring with floating jewel
US8820116B2 (en) Accessory having decorative coin ornaments and connectors
KR101604653B1 (en) connecting apparatus of accessories
JP7386495B2 (en) shoes
JP2005528153A (en) Jewelery designed to change its appearance
KR101967202B1 (en) knotted accessories with design scalability
JP3246677U (en) Jewelry, jewelry sets, and jewelry assembly kits
JPWO2006051910A1 (en) Decorative body, necklace with composite body and composite decorative body
KR101959518B1 (en) Combination type accessory with knot accessories
KR20110043915A (en) Ring
KR200489064Y1 (en) Connecting device for Accessory
KR101973714B1 (en) Floating 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