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495U - 선물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선물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495U
KR20220002495U KR2020210001123U KR20210001123U KR20220002495U KR 20220002495 U KR20220002495 U KR 20220002495U KR 2020210001123 U KR2020210001123 U KR 2020210001123U KR 20210001123 U KR20210001123 U KR 20210001123U KR 20220002495 U KR20220002495 U KR 202200024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gift
roll
opening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정
장수빈
Original Assignee
장수빈
장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빈, 장미정 filed Critical 장수빈
Priority to KR2020210001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495U/ko
Publication of KR20220002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4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양측에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101)가 절첩 가능케 형성된 외장박스(10); 외장박스(10) 내부에 수납되되, 일측에 개폐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선물롤(202)을 수납 가능케 하고, 상면에는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배출되는 배출공(201)이 형성된 내장박스(20); 소정 크기의 상자형으로 되어 상기 내장박스(20) 상부에 안착되되, 배출공(201)을 통해 배출된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선물롤(202)을 당겨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고, 내부에는 음성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사운드모듈(301)이 구비된 사운드박스(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박스 내부에 롤 방식으로 선물이 내장된 내장박스를 구비하여 선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물 개봉의 재미를 더하고, 사용자가 직접 음성이나 음악을 녹음할 수 있는 사운드박스를 더 구비하여 선물과 함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물 개봉의 재미와 감동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물 포장용 상자{Gift wrapping box}
본 고안은 선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박스 내부에 롤 방식으로 선물이 내장된 내장박스를 구비하여 선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선물 개봉의 재미를 더하고, 사용자가 직접 음성이나 음악을 녹음할 수 있는 사운드박스를 더 구비하여 선물과 함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한 선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물 포장용 상자는 내용물인 선물을 외부 충격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가치가 높아 보이게 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따라서 종래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가벼우면서도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표면이 다양한 문양으로 인쇄, 코팅된 마분지로 제조되되,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용물이 담기는 함체와, 그 함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단지 선물을 포장하는 기능만 있을 뿐 그 외 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선물 포장용 상자를 이용해 선물의 가치를 높아 보이게 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더 큰 감사와 감동을 전할 수 있도록 선물 포장용 박스를 이용해 선물을 포장할 때 그 내부에 선물과 더불어, 손편지나, 펼치면 멜로디가 출력되는 멜로디 카드에 축하 메시지를 적어서 동봉하기도 하지만, 멜로디 카드의 경우에는 제조회사에서 미리 입력해 놓은 멜로디가 출력될 뿐만 아니라, 선물을 포장하는 사람이 멜로디 카드를 구입하는 과정에서는 멜로디 카드에 어떤 멜로디가 입력되어 있는지 알 수 없는 단점도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3192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장박스 내부에 롤 방식으로 선물이 내장된 내장박스를 구비하여 선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한 선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음성이나 음악을 녹음할 수 있는 사운드박스를 더 구비하여 선물과 함께 소리로 축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한 선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장박스의 덮개를 개방하면 내장박스가 자동으로 상승하게 한 선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장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선물롤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한 선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양측에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101)가 절첩 가능케 형성된 외장박스(10);
상기 외장박스(10) 내부에 수납되되, 일측에 개폐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선물롤(202)을 수납 가능케 하고, 상면에는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배출되는 배출공(201)이 형성된 내장박스(20);
소정 크기의 상자형으로 되어 상기 내장박스(20) 상부에 안착되되, 배출공(201)을 통해 배출된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선물롤(202)을 당겨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고, 내부에는 음성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사운드모듈(301)이 구비된 사운드박스(3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물롤(202)은 투명한 필름으로 형성되되, 내용물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부(20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운드모듈(301)은,
음성이 녹음되어 사운드 데이터로 변환되는 입력부(301a);
상기 입력부(301a)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01b);
상기 메모리부(301b)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부(301c);
상기 입력부(301a)와 출력부(301c)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1d);
상기 입력부(301a), 메모리부(301b), 출력부(301c), 제어부(301d)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30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운드모듈(301)은,
조도감지센서를 더 구비하여 외장박스(10)의 덮개(101) 개폐에 따른 조도 변화에 따라 음성 신호의 출력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상기 내장박스(20)가 승강하게 하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외장박스(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어 내장박스(20)가 승강 가능케 투입되는 승강가이드(401);
일단부가 덮개(101)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내장박스(20)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대칭으로 형성된 연결부재(402);
상기 외장박스(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부재(402)를 안내하는 안내부(403); 를 더 구비하여 외장박스(10)의 양측 덮개(101)를 개폐하여 내장박스(20)가 승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101)는 연결부재(402)의 일단부가 배출되는 통공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402)는 1 내지 3㎝의 폭을 가진 끈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상기 선물롤(202)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내장박스(20)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며, 선물롤(202)의 내측 단부가 고정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선물롤(202)이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봉(501);
상기 내장박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봉(50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2);
상기 내장박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50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503);
상기 구동모터(5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504);
상기 선물롤(202)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되되, 고탄성 소재로 되어 권취봉(501)이 회전하면서 선물롤(202)이 풀릴 때 선물롤(202)이 수직으로 기립하게 하는 기립부재(5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장박스 내부에 롤 방식으로 선물이 내장된 내장박스를 구비하여 선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내용물인 선물을 외부 충격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선물의 가치가 높아 보이게 하는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선물 개봉의 재미까지 더함으로써 상품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음성이나 음악을 녹음할 수 있는 사운드박스를 더 구비하여 선물과 함께 음성으로 축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더 큰 감사와 감동을 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박스의 덮개를 개방하면 내장박스가 자동으로 상승하게 함으로써 선물 개봉의 재미와 감동을 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장박스의 내부에 수납된 선물롤이 자동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선물 개봉의 재미와 감동이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장식물이 내장된 외장박스(10) 내부에 롤 방식으로 선물이 내장된 내장박스(20)를 구비하여 선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외장박스(10), 내장박스(20), 사운드박스(30)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박스(10)는 표면이 다양한 문양으로 인쇄, 코팅된 마분지를 이용해 소정 크기의 함체로 형성되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내장박스(20)와 사운드박스(30)의 수납이 가능케 되고, 개구부 양측에는 절첩 가능한 덮개(101)가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덮개(101)를 통해 개구부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케 된다.
상기 내장박스(20)는 마분지를 이용해 소정 크기의 함체로 되어 외장박스(10) 내부에 수납되되, 일측에 개폐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선물롤(202)이 수납 가능케 되며, 상면에는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배출되는 배출공(201)이 형성됨으로써 롤 형태로 권취된 선물롤(202)을 배출공(201)으로 연속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장박스(20)는 외장박스(10)의 내부 공간보다 현저히 작은 부피의 크기로 형성되어 내장박스(20)를 외장박스(10)의 내부에 투입하였을 때, 외장박스(10)의 내면과 내장박스(20)의 외면 간에 공간부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상기 공간부에는 선물 상자에 선물을 포장할 때 사용되는 통상의 완충재나 충진재를 넣어 외장박스(10)의 가운데에서 내장박스(2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면서 내장박스(2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공간부에 생화, 조화 또는 각종 장식물을 충진함으로써 미감을 배가시킴과 동시에 선물의 가치를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선물롤(202)은 투명한 필름으로 형성되되, 내용물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켓부(202a)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 포켓부(202a)에 얇고 유연성 있는 지폐, 상품권, 티켓, 쿠폰 등과 같은 선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롤 형태로 돌돌 말아 권취한 후 내장박스(20)에 수납하고, 선물롤(202)의 일단부를 내장박스(2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공(201)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배출공(201)을 통해 배출된 선물롤(202)의 일단부를 외측으로 당기면 내장박스(20) 내의 선물롤(202)이 풀리면서 배출공(201)을 통해 연속 배출된다.
상기 사운드박스(30)는 표면이 다양한 문양으로 인쇄, 코팅된 마분지를 이용해 소정 크기의 상자형으로 되어 내장박스(20) 상부에 안착되되, 배출공(201)을 통해 배출된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고정됨으로써 사운드박스(30)를 잡아 당기면 내장박스(20) 내부에 수납된 선물롤(202)이 풀리면서 외부로 연속 배출 가능케 된다.
또한, 사운드박스(30)는 음성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사운드모듈(301)이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사운드모듈(301)은 입력부(301a), 메모리부(301b), 출력부(301c), 제어부(301d), 제1전원부(301e)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301a)는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이나 음악, 음향이 녹음되어 사운드 데이터로 변환되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소자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입력부(301a)는 통상의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01b)는 입력부(301a)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예로서 메모리부(301b)는 통상의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01c)는 메모리부(301b)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하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소자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출력부(301c)는 통상의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1d)는 입력부(301a)와 동작부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어부(301d)는 사운드박스(30)의 외표면에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운드박스(3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버튼이 구비되어 동작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방식으로 입력부(301a)나 출력부(301c)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전원부(301e)는 입력부(301a), 메모리부(301b), 출력부(301c), 제어부(301d)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한다.
일 예로서 제1전원부(301e)는 통상의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모듈(301)을 이용해 선물을 전하는 사람의 음성 축하 메시지나,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들려주고 싶은 음악 등을 원하는 대로 녹음하여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더 큰 감사와 감동을 전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운드모듈(301)은 조도감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운드모듈(301)에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를 더 구비함으로써 외장박스(10) 내부에 사운드박스(30)가 위치한 상태에서 외장박스(10)의 덮개(101)를 열어 조도가 높아지면 음성 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게 하고, 외장박스(10)의 덮개(101)를 덮어 조도가 낮아지면 음성 신호의 출력이 자동으로 정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치않는 제어부(301d)의 동작으로 인해 음싱 신호가 계속적으로 출력되면서 제1전원부(301e)의 전원이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소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내장박스(20)가 승강하게 하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외장박스(10)의 덮개(101)가 개폐됨에 따라 내장박스(20)가 승강하도록 승강가이드(401), 연결부재(402), 안내부(403)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가이드(401)는 외장박스(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되, 내장박스(2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되어 소정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승강가이드(401)의 내부에 내장박스(20)가 승강 가능케 투입된다.
이때, 내장박스(20)의 승강이 원활하도록 내장박스(20)의 외면과 승강가이드(401)의 내면 간에는 유격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402)는 일단부가 덮개(101)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내장박스(20)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대칭으로 형성된다.
즉, 외장박스(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서 절첩 가능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각 덮개(101)에 연결부재(402)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각 연결부재(402)의 타단부는 내장박스(20)의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02)는 유연성이 있으며 1 내지 3㎝의 폭을 가진 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 덮개(101)에는 끈으로 된 연결부재(402)를 덮개(101)에 쉽게 고정할 있도록 연결부재(402)가 통과하는 관통공(101a)을 더 구비함으로써 각 덮개(101)의 관통공(101a)을 통과하는 연결부재(402)를 각각 엮어 고정하거나, 고정 후 서로 엮어 리본 모양으로 묶어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403)는 외장박스(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부재(402)를 안내한다.
안내부(403)는 연결부재(402)의 원활한 안내를 위해 승강가이드(401)의 외벽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안내부(403)는, 연결부재(402)가 소정 폭을 가진 끈 형태로 되는 경우, 연결부재(402)를 안내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되어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박스(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절첩 가능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각 덮개(101)를 개방하면 외장박스(10)의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덮개(101)의 개방 각도에 따라 덮개(101)에 일단부가 고정된 연결부재(402)가 바깥쪽으로 당겨지고, 그로 인해 연결부재(402)의 타단부가 고정된 내장박스(20)가 승강가이드(401)에서 상승하며 배출된다.
반면, 각 덮개(101)를 덮으면 연결부재(402)가 느슨해지면서 내장박스(20)는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하면서 승강가이드(401)의 내부로 투입된다.
따라서, 선물을 개봉할 때 내장박스(20)가 자동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통해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재미와 감동을 더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고안의 선물 포장용 상자는 선물롤(202)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은 내장박스(20)에 수납된 선물롤(202)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권취봉(501), 구동모터(502), 제어패널(503), 제2전원부(504), 기립부재(505)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봉(501)은 내장박스(20)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며, 선물롤(202)의 내측 단부가 고정되어 권취봉(5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선물롤(202)이 권취봉(501)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502)는 권취봉(5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내장박스(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패널(503)은 내장박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5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패널(503)은 구동모터(502)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내장박스(20)의 외표면에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부(504)는 내장박스(20)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바닥에 설치되어 구동모터(50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예로서 제2전원부(504)는 통상의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립부재(505)는 고탄성 소재로 되어 선물롤(20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되, 탄성에 의해 권취봉(501)에 감기거나 풀리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권취봉(501)에서 풀리면 탄성에 의해 일자형으로 펴지도록 한다.
따라서,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권취봉(501)에 고정되어 권취봉(501)에 권취된 상태이고, 선물롤(202)의 타단부가 내장박스(20)의 배출공(201)을 통해 일부 배출된 상태에서 제어패널(503)을 이용해 구동모터(502)를 구동시켜 선물롤(202)이 풀리는 방향으로 권취봉(501)을 회전시키면, 선물롤(202)의 일부가 내장박스(20)에서 자동으로 배출된다.
또한, 내장박스(20)에서 선물롤(202)의 일부가 자동 배출될 때, 선물롤(202)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 기립부재(505)의 탄성력에 의해 내장박스(20)의 외부로 배출된 기립부재(505)가 수직으로 기립하면서 내장박스(20)의 외부로 배출된 선물롤(202)의 일부가 기립부재(505)의 기립력에 의해 함께 기립함에 따라
선물롤(202)의 포켓부(202a)에 수납된 선물이 펼쳐지면서 선물을 받는 사람이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선물을 받는 사람에게 더 큰 재미와 감동을 선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일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선물 10: 외장박스
101: 덮개 101a: 관통공
20: 내장박스 201: 배출공
202: 선물롤 202a: 포켓부
30: 사운드박스 301: 사운드모듈
301a: 입력부 301b: 메모리부
301c: 출력부 301d: 제어부
301e: 제1전원부 401: 승강가이드
402: 연결부재 403: 안내부
501: 권취봉 502: 구동모터
503: 제어패널 504: 제2전원부
505: 기립부재

Claims (5)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양측에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101)가 절첩 가능케 형성된 외장박스(10);
    상기 외장박스(10) 내부에 수납되되, 일측에 개폐부를 구비하여 내부에 선물롤(202)을 수납 가능케 하고, 상면에는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배출되는 배출공(201)이 형성된 내장박스(20);
    소정 크기의 상자형으로 되어 상기 내장박스(20) 상부에 안착되되, 배출공(201)을 통해 배출된 선물롤(20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선물롤(202)을 당겨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고, 내부에는 음성 녹음과 재생이 가능한 사운드모듈(301)이 구비된 사운드박스(30); 를 포함하는 선물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박스(20)가 승강하게 하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물 포장용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외장박스(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어 내장박스(20)가 승강 가능케 투입되는 승강가이드(401);
    일단부가 덮개(101)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내장박스(20)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대칭으로 형성된 연결부재(402);
    상기 외장박스(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연결부재(402)를 안내하는 안내부(403); 를 더 구비하여 외장박스(10)의 양측 덮개(101)를 개폐하여 내장박스(20)가 승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물 포장용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물롤(202)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물 포장용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내장박스(20)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며, 선물롤(202)의 내측 단부가 고정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선물롤(202)이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봉(501);
    상기 내장박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봉(50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2);
    상기 내장박스(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모터(50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503);
    상기 구동모터(5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504);
    상기 선물롤(202)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되되, 고탄성 소재로 되어 권취봉(501)이 회전하면서 선물롤(202)이 풀릴 때 선물롤(202)이 수직으로 기립하게 하는 기립부재(5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물 포장용 상자.
KR2020210001123U 2021-04-09 2021-04-09 선물 포장용 상자 KR202200024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23U KR20220002495U (ko) 2021-04-09 2021-04-09 선물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123U KR20220002495U (ko) 2021-04-09 2021-04-09 선물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95U true KR20220002495U (ko) 2022-10-18

Family

ID=8379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123U KR20220002495U (ko) 2021-04-09 2021-04-09 선물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49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192U (ko) 1997-09-23 1999-04-15 장병훈 팬시용품의 메모리형 녹음/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192U (ko) 1997-09-23 1999-04-15 장병훈 팬시용품의 메모리형 녹음/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093B2 (en) Electronic greeting cards
ES2796109T3 (es) Recipiente con mecanismo de apertura y cierre personalizable del embalaje interno
US5245171A (en) Mailing article with audible message generator
US8374878B2 (en) Audio envelopes
US8448360B2 (en) Flap sensor activated greeting cards
ES2742519T3 (es) Recipiente con mecanismo de cierre mejorado
US8176663B2 (en) Electronic greeting cards and novelties with moveable elements and manual electronic circuit activation
US7356154B1 (en) Audio player activated by greeting card retraction
EP2251208A2 (en) Microphone airflow sensor for greeting card
JP6659728B2 (ja) カスタムサウンドボックス
JP7360602B2 (ja) 立体効果のある発音・発光機能付きギフトボックス
KR20220002495U (ko) 선물 포장용 상자
CN111056125A (zh) 立体发声发光礼盒
ATE424734T1 (de) Cigarettenpapierspender
CN211336901U (zh) 一种可升降包装盒
CN109720732B (zh) 一种礼盒及其制作工艺
CN208045067U (zh) 一种新型多媒体宣传册
US20020139693A1 (en) Foo-foo box
CN213083736U (zh) 抽拉式包装礼盒
KR20120076813A (ko) 멜로디 기능이 있는 캔
CN216121929U (zh) 一种无线充电器
KR200176059Y1 (ko) 멜로디 기능이 있는 캔
JP2007091461A (ja) 重なっているゴミ袋
JP2007076737A (ja) 蓋の連結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ルゴール、電報、カード類、玩具及び書類
KR200260985Y1 (ko) 녹음재생장치가 내장된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