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77A - 도어 특히 세탁물 처리용 가전제품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특히 세탁물 처리용 가전제품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77A
KR20220002377A KR1020217037061A KR20217037061A KR20220002377A KR 20220002377 A KR20220002377 A KR 20220002377A KR 1020217037061 A KR1020217037061 A KR 1020217037061A KR 20217037061 A KR20217037061 A KR 20217037061A KR 20220002377 A KR20220002377 A KR 2022000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 position
self
opening
closing
h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파노 로치텔리
비토 마시
마르코 마우쎄리
Original Assignee
엘레트로테크니카 롤드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레트로테크니카 롤드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엘레트로테크니카 롤드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2000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세탁기 특히 상부 투입부가 있는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유사 가전제품 등의 가전제품의 도어, 해치 및/또는 유사 구성요소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1000)로서, 상기 장치는 가전제품의 고정부 및 해치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1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 2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 및 그 반대로의 이동에 따른 전환가능한 개폐 요소(110)를 포함하는 개폐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특히 세탁물 처리용 가전제품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또는 유사 가전제품과 같은 가전제품 분야에 속한다. 특히, 본 발명은 탑 로딩 방식 (상부 투입형)의 세탁기 및/또는 건조기 분야에 유리하게 적용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상술한 유형의 가전제품의 해치, 도어 등을 위한 폐쇄 및 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해치가 폐쇄되어 있는지 혹은 해치가 부재 상태이거나 올바른 위치에 있지 않은지 여부를 알아내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확인 또는 전기적 허가가 있는 경우에만 가전제품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의 수행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전술한 유형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폐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이 장착된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세탁기, 특히 상부 투입형 세탁기 및/또는 유사 가전제품과 같은 가전제품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폐쇄 및 개방 장치 및/또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가전제품의 케이싱(덮개)에 통상 적용되는 실질적인 폐쇄 (및 개방) 조립체, 및 가전제품 자체의 해치에 일반적으로 고정되는 기준요소를 포함한다. 가장 일반적인 해결책에 따르면, 폐쇄 및 개방 조립체는 제1 개방 위치와 제2 폐쇄 위치 사이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에 따라 전환할 수 있는 폐쇄 요소 또는 래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요소는 해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요소와 맞물리고 따라서 해치 자체의 폐쇄 및 잠금을 보장하는 한편, 반대로 래치가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 기준요소가 맞물리지 않으므로 래치가 개방될 수 있다.
전기 기준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폐쇄장치 및/또는 시스템도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기 기준이 없을 경우 가전제품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억제되거나 제한된다. 상기의 전기 기준은 래치가 해치상의 기준부재와 맞물리는 폐쇄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자동으로 생성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공지된 유형의 폐쇄장치 혹은 시스템의 기능에 대해서도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한다.
도 10 내지 도 13에서 참조 번호(1000)은 폐쇄 조립체(100) (예컨대, 가전제품의 케이싱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및 동일한 가전제품의 해치에 일반적으로 고정되고 공동(캐비티)(201)을 가진 기준요소 혹은 기준부재(200)를 포함하는 폐쇄 시스템을 정의한다. 폐쇄 조립체는 공동(201)과 맞물리지 않는 제1 엔드-스톱 위치와 반대로 공동(201)과 맞물리는 제2 엔드-스톱 위치 사이의 이동 (하기의 설명 참조)을 통해 전환가능한 폐쇄 및 개방 요소(110) (실질적으로 래치)를 더 포함하며, 이때 공동(201) 내에 래치(110)가 맞물린 상태에서, 해치의 개방은 래치(110)와 기준부재(200) 사이의 상호 대비에 의해 방지된다.
금속판 형태의 전기접점(801)도 래치(110)에 고정되며, 여기서 조립체(100)는 전기 단자(701)가 구비된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래치의 개방 위치(도 10)에서 폐쇄 위치(도 13)로의 이동은 단자(701)에 대한 접점(801)의 재배치를 초래하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회로의 폐쇄시 확인 또는 전기적 허가를 생성한다..
전기적 허가는 또한 가전제품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데 이용되며, 이때 예를 들어 래치 또는 슬라이더가 폐쇄 위치에 있고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전기적 허가가 존재하는 경우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수 있으며, 반대로 래치 또는 슬라이더(110)가 개방 위치에 있고 따라서 전기적 허가가 부재하는 경우 세척 사이클이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서로 다른 관점(구성 및 조작의 단순성, 우수한 신뢰성, 제조 및/또는 설치 비용의 감소)에서 이해할 수 있지만, 공지된 유형의 폐쇄장치 및/또는 시스템에는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결점들이 존재한다.
첫번째 결점은 "폐쇄 위치에 있는 래치 또는 슬라이더(110)"의 전기 기준과 이에 상응하는 전기적 허가가 해치의 실제 위치와 관계없이 따라서 기준부재의 맞물림 여부에 관계없이 생성된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폐쇄 위치의 래치 또는 슬라이더(110)"에 대한 확인은 "폐쇄 위치의 해치"에 대한 확인이 아니며, "래치 또는 커서에 의해 결합된 기준부재(200)"는 훨씬 적다. 결과적으로, 어떤 이유로, 예를 들어 래치(110)가 폐쇄 위치로 전환되고 해치가 개방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기준부재(200)가 실제로는 래치(110)에 맞물린 상태가 아니면, 어떤 경우에서 생성된 전기적 허가는 가전제품의 기능성을 활성화시키며 이는, 경우에 따라, 예컨대 세척 사이클이 활성화되는 것과 같은 심각한 위험이 있다.
또다른 결점 또는 불만은, 해치가 폐쇄 위치에 있고 기준부재(200)가 래치(110)와 맞물린 상태에서 (따라서 해치가 래치(110)에 의해 실제로 잠긴 상태에서), 해치의 강제 개방후, 예를 들어, 기준부재(200)가 파괴되는 경우, 전기적 허가가 수정되지 않는다는 점이며 (래치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젼환되지 않으므로), 계속 진행되면 세척 사이클이 중단되지 않아 이경우에도 예컨대 액체 누수로 인한 심각한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앞서 요약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따른 폐쇄장치 및/또는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문제들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폐쇄 위치에 있는 해치의 존재를 실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폐쇄 및 개방 장치 및/또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슬라이더 혹은 래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및 해치 상의 기준부재가 슬라이더 혹은 래치와 실제로 맞물리는 경우에만 전기적 허가를 생성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해치 상의 기준부재가 래치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어 "해치 폐쇄 및 잠김"의 전기적 허가가 전기적 "불허"로 전환되고, 결과적으로 가전제품의 기능이 저지 (아직 진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잠금 (이미 진행 중인 경우), 예를 들어, 세척 사이클이 금지 또는 잠금 처리되는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및 개방 장치 및/또는 시스템은 시장의 요구, 수용된 크기 및 전체 부피와 양립할 수 있는 제조 비용을 특징으로 하고, 비용 감소와 더불어 간단한 방법에 따라 공지된 유형의 가전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전제품의 실질적인 변형을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전 설정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잠금 래치와 더불어, 래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해치에 기준부재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의 여부 및 이에 따라 해치의 실제 폐쇄 위치를 검증하도록 구성된 허가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안전 법규를 준수하여 기능 및 신뢰성 요구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일반적인 생각에 기초한다.
위와 같은 고려사항 뿐만 아니라 선행 기술에 따른 폐쐐 및 개방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서 발견된 문제점 및/또는 결점 측면에서, 제1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히 상부 투입부가 구비된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유사 가전제품 등의 가전제품의 도어, 해치 및/또는 유사 구성요소의 폐쇄 및 개방 장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가전제품의 고정부와 해치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제1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 2 엔드-스톱 위치로의 이동 및 그 반대로의 이동에 의해 전환가능한 개폐 요소가 포함된 개폐 조립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장치는 이의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의 이동 및 그 반대로의 이동에 의해 전환가능한 허가 요소를 포함하며, 이때의 상기 개폐 요소는, 제1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엔드-스톱 위치로의 이동 중에 상기 허가 요소를 이의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 드레그하며, 또한 상기 허가 요소는 상술한 이의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엔드-스톱 위치 사이의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의 허가 요소의 잠금 처리는 상기 폐쇄 요소가 제2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반대로 상기 허가 요소가 제2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긴 상태일 때, 상기 개폐 요소는 허가 요소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개폐 요소와 허가 요소 사이에 개재된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엔드-스톱 위치로 상기 개폐 요소가 이동하면, 상기 개폐 요소에 의해 탄성 수단에 부여되는 추력이 생기고 또한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허가 요소에 부여되는 추력이 생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 제2 위치를 향한 상기 개폐 요소의 이동은 상기 탄성 수단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 저항에 대항하여 발생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긴 상태에서 및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허가 요소의 잠금 해제에 따라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상기 허가 요소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의 상기 허가 요소의 자동 이동은 상기 탄성 수단의 탄성 응답에 의해 생성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를 향하는 이동은 상기 개폐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으로 인해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서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로의 상기 개폐 요소의 이동은 상기 개폐 요소에 의해 상기 탄성 수단에 부여되는 추력 및 상기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허가 요소에 부여되는 추력을 초래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를 향한 상기 개폐 요소의 이동은, 상기 개폐 요소에 의해 가해지는 드래그 동작으로 인해, 먼저 상기 허가 요소에 대해 발생한 다음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결과를 낳는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가전제품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회로를 포함하며, 회로의 폐쇄는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가전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상기 개폐 요소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긴 상태에서만 전기적으로 폐쇄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장치는 상기 폐쇄 요소 및/또는 허가 요소에 고정된 복수의 접촉 요소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개폐 요소가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상기 허가 요소가 상기 제3 자체 위치에 잠금 상태일 때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회로는 이 회로의 단자와 상기 접촉 소자 사이의 상호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폐쇄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유사 가전제품과 같은 가전제품의 도어, 해치 및/또는 유사 구성요소를 개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하나의 가전제품의 해치 및/또는 고정부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된 기준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의 구현예들 중 하나에 따른 개폐 장치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부재에는 공동이 한정되고 또한 상기 개폐 요소는 상기 공동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단부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부재에는 상기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의 이동시 상기 허가 요소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허가 요소를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금 처리하도록 구성된 결합 요소가 한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해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전제품은 제1 개방 위치와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해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가전제품은 본 발명의 구현예들 중 하나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부재는 상기 가전제품의 해치 또는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가전제품의 고정부 혹은 가전제품의 해치에 각각 고정되며, 또한 상기 기준부재 및 장치가 상호 연계적으로 위치함으로써, 상기 해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기준부재가 상기 제2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폐 요소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상기 허가 요소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가능한 추가적인 구현예들은 청구범위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 및/또는 이에 상응하거나 동등한 구성 부품이 동일한 참조 번호로 정의되는 도면에서 도시된 가능성 있는 구현예들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다음과 같이 더욱 명확해진다. 어떤 경우에서도 본 발명이 하기에 기술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반대로,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명백한 것으로서 후술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의 모든 변형 및/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때의 폐쇄 요소와 허가 요소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치 및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이때의 폐쇄 요소 및 허가 요소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치 및 시스템의 평면도 및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의 폐쇄 요소 및 허가 요소는 각각 상이한 위치에 있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 부분 단면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유사 가전제품과 같은 가전제품 분야, 특히 상부 투입부가 있는 세탁기에 적용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전제품 분야 특히 세탁기에 사용할 수 있는 특정 응용분야와 관련하여 하기와 같이 기술된다.
여떤 경우에서든 본 발명의 가능한 응용분야는 하기의 기술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신뢰성 있으며, 간편하고, 안전하며, 법적 규정을 준수하는 해치의 개폐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서 편리하게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9의 참조부호(1000)는 전체로서의 개폐 시스템을 가리키며, 이는 가전제품의 강성부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폐쇄 조립체(100)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장치의 해치(20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기준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부재는 또한 래치(110)의 단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공동(캐비티)(201)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공동(201) 및 래치(110)의 단부 각각의 단면 (래치(110)의 이동 방향에 대한)은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도시된 바와 같은) 및/또는 유사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10)는 조립체(100)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되는 제1 엔드-스톱 위치 (도 1 및 도 4)에서 상기 조립체(100)로부터 반대로 돌출되는 제2 엔드-스톱 위치 (도 3 및 도 7 내지 도 9)로 이동가능하다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방법에 따라). 따라서, 해치(2000)가 페쇄 위치일 때 및 이에 따라 기준부재(200)가 조립체(100)의 전면에 위치할 경우 (래치(110)의 이동 궤적 상에서), 제1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엔드-스톱 위치로 래치(110)가 이동함에 따른 전환 동작의 결과로서, 공동(201)이 래치나 슬라이더(110)의 단부와 맞물리게 되고 이 결과로 해치가 폐쇄 위치에서 잠금 처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립체(100)는 또한 제2 슬라이더(300)를 더 포함하고, 이는 하기의 설명에 근거하여 명확해지는 이유 때문에 슬라이더 혹은 허가 요소(300)라고도 정의된다. 이 슬라이더(300)는, 조립체(100)에 슬라이더가 수용되는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 (도 1, 도 4 및 도 5)와 반대로 슬라이더가 조립체(100)로부터 돌출되는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 (도 3, 도 8 및 도 9) 사이에서, 래치(110)와 평행한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의 특징은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와 제2 엔드-스톱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시 슬라이더(300)가 래치(1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3 자체 중간 위치 (도 2 및 도 7)에 정지 고정될 수 있고, 반대로, 슬라이더(300)가 상기의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금 상태일 경우, 제2 엔드-스톱 및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도면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한 제2 엔드-스톱 및 폐쇄 위치에서 제2 엔드-스톱 및 개방 위치로 (도면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더(300)의 제3 엔드-스톱 위치에서의 잠금 상태는 하기의 방법에 따라 기준부재(200)와의 간섭에 따라 발생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슬라이더(300)는 래치(110)에 의해, 특히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드래그된다. 또한 래치(110)에 의해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드래그될 때 슬라이더(300)가 실제로 상기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도달하는지 아니면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금 상태인지 (정지 상태인지)의 여부는 해치(2000) 및 이에 상응하는 기준부재(200)의 위치에 의존한다. 특히, 해치(2000)가 폐쇄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도 8 및 도 9) 따라서 기준부재(200)가 래치(110)와 맞물리게 되는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슬라이더(300)는 래치(110)가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래치(110)에 의해 드래그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300)는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반대로, 해치(2000)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따라서 기준부재(200)가 래치(110)와 맞물리는 위치에 있는 경우, 래치(110)가 제2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및 래치(110)가 제2 엔드-스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슬라이더(300)는 기준부재(200)와 접하고 따라서 기준부재(200)에 의해 잠금 처리된다. 해치(2000)가 래치(110)에 의해 잠긴 상태에서, 해치(2000)가 개방 위치로 강제 전환되는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기준부재(200)의 파손을 야기한다. 이 경우 (도 8 및 도 9), 슬라이더(300)는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스트로크한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래치(110)와 슬라이더(300)의 전환 방법에 대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00)는 웜 나사(501)가 키 조작되는 회전축 상에 전기 모터(500)를 포함한다. 또한, 래치(110)는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단부(1102) (전술한 바에 따른 맞물림 공동(201))로부터 연장하는 포크부(1101)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회전 방향으로 나사(501)가 회전함으로써 제1 이동 방향으로 래치(110)가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제1 회전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나사(501)가 회전함으로써 래치(110)가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더욱더, 결합 단부(1102)와 대향하는 래치(110)의 단부(1103)는 나선형 스프링(600)의 제1 단부가 맞물린 결합핀(1104)를 한정한다. 슬라이더(300)는 또한 (결합) 단부(301)로부터 연장하여 나선형 스프링(600)의 제2 단부가 맞물리는 결합핀(304)을 한정하는 형상부(302)를 더 포함한다. 래치(110)와 슬라이더(300) 양측은 지지체(400)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상기 지지체(400)에 의해 한정된 가이드를 이용하여 이동시 안내된다. 이의 종합적인 목적에 대해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엔드-스톱 위치 (도 10)에서 제2 엔드-스톱 위치 (도 12)로의 래치(110)의 이동 (나사(501)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따라서, 도면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 결과, 핀(304) 및/또는 핀(304)이 연장되는 슬라이더(300)의 각각의 벽(305) 상에 있는 나선형 스프링(600)에 의해 부여되는 추력, 및 결론적으로는 슬라이더(300) 상의 스프링(600)에 의해 부여되는 추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라이더(600)는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 (도 10)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 (도 12)로 래치(110)에 의해 이동식으로 드래그된다. 그러므로 또다시 도 4,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상황들을 참조하면 (해치(2000)가 개방되거나, 또는 기준부재(200)가 조립체(100) 상에 위치하지 않거나 혹은 기준부재(200)가 파손된 경우 등 어느 경우에서나), 이와 같은 상황에서 래치(110)는 제2 엔드-스톱 위치(도 8, 도 9, 도 12)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더(300)는 또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드래그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해치(2000)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도 6, 도 7, 도 10, 도 11 및 도 13) 따라서 기준부재(200)가 조립체(100)에 위치하며 공동(201)이 래치(110) 단부(1102)와 맞물리기에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엔드-스톱 위치 쪽으로 래치(110)가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300)는 기준부재(200)와 접하며 따라서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있는 기준부재(200)에 의해 정지된다 (도 12); 특히, 슬라이더(300)가 기준부재(200) (혹은 해치(2000))에 대해 부딪치는 경우, 래치(110)는 기준부재(200)와 맞물리는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실질적으로 도달할 때까지 계속 이동하며, 이 경우 기준부재(200)에 대한 슬라이더(300)의 충격 순간부터 추가적인 래치(110)의 이동은 스프링(600) 압축을 초래하며 따라서 탄성적으로 부하가 가해진다.
이에 의해, 공동(201)이 래치(110)와 맞물리고 따라서 해치가 폐쇄 위치에서 잠금 상태일 때, 해치(2000)가 강제 개방되며 따라서 기준부재(200)가 래치(11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거나 또는 기준부재(200)가 파손된다고 가정하면 (도 8 및 도 9), 슬라이더(300)는 기준부재(200)에 의해 잠금 상태였던 제3 자체 중간 위치로부터 특히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스프링(600)의 추력에 의해 자동으로 추가 이동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10 내지 도 16은 또한 조립체(100)가 기판(700)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로 도시하며, 이때 제어 유닛 (도시되지 않으나 가전제품의 다양한 부품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이 가전제품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실행가능하게 하거나 저해하는 것에 기초하거나 또는 이러한 제어 유닛이 부재하는 조건에서, 동일한 수의 전기 기준이나 허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기 회로들의 단자들이 상기의 기판으로부터 인출된다. 이를 위해 래치(110)와 슬라이더(300)는 각각 전기접점(801 및 802)을 전달하며, 이들은 상기 래치(110) 및 슬라이더(300)에 의해 각각 이동 드래그되고, 또한 래치(110)와 슬라이더(300)가 취한 위치에 따라 단자(701)에 대해 재배치된다.
특히,
a) 래치(110)와 슬라이더(300)가 각각의 제1 엔드-스톱 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딩 접점(802)만 해당 전기 회로를 폐쇄하는 반면 슬라이딩 접점(801)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회로는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전기 기준은 가전제품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저지하고. 특히 세척 사이클의 개시를 방지하는 것 등이다;
b) 래치(110)와 슬라이더(300)가 각각의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딩 전기접점(801) (래치(110)에 의해 전달됨) 및 전기접점(802) (슬라이더(300)에 의해 전달됨) 각각이 해당 회로를 폐쇄하며, 이때 전기 기준은 가전제품의 기능 중 상술한 적어도 일부를 또다시 저지하고. 특히 세척 사이클의 개시를 방지하는 것 등이다:
c) 래치(110)와 슬라이더(300)가 각각 제2 엔드-스톱 위치 및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있고 또한 래치(110)와 슬라이더(300)가 각각 제2 엔드-스톱 위치 및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슬라이딩 접점(801)이 해당 전기 회로를 폐쇄하는 한편 슬라이딩 접점(802)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회로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전기 기준 (여기서는 전기적 허가)은 가전제품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실행가능하게 하고 특히 세척 사이클의 개시를 허용하는 것 등이다.
그러므로, 세척 사이클의 개시가 먼저 모터(500)의 작동을 야기한 다음 래치(110) 및 슬라이더(300)의 위치 지정이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상기의 항목 c)에 따른 전기적 허가의 경우에만 세척 사이클이 실제로 개시되며 반면에 상기의 항목 a) 및 b)에 따른 전기 기준의 경우 세척 사이클이 개시되지 않거나 혹은 이미 진행 중이라면 이를 중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현예에 관한 앞서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는 결과가 달성되고 또한 선행 기술에서 발견된 단점들이 극복되거나 적어도 제한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개폐 장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폐쇄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서 발견된 문제들이 극복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될 수 있게 하고;
해치가 폐쇄 위치에 실제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나 래치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및 해치의 기준부재가 슬라이더나 래치와 맞물린 상태일 때만 전기적 허가를 생성할 수 있고;
해치 상의 기준부재가 래치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시 이를 "해치 폐쇄 및 잠김"의 전기적 허가에서 전기적 "불허"로, 따라서 가전제품의 기능 저지 (아직 진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잠금 (이미 진행중인 경우), 예를 들어, 세척 사이클의 금지나 잠금으로 전환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시장의 요구, 포함된 크기 및 전체 부피에 부합하는 제조 비용을 특징으로 하며, 비용을 억제하고 가전제품의 실질적인 변형이 필요하지 않은 형태로 간단한 방법에 따라 공지 유형의 가전제품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해졌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고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대로, 하기에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들의 모든 변형 및/또는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고 명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해치(2000) 및/또는 상응하는 기준부재(200)의 감지센서와 조합하여 사용되거나 이를 탑재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00)는 본 발명은 리드(reed) 스위치형 또는 광학형 감지센서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는 해치(2000) 및/또는 기준부재(200)의 존재 여부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 스위치형 센서에는 해치(2000) 및/또는 기준부재(200)에 고정될 자기소자 및 상술한 회로의 추가 접점에 연결된 가요성 스트립으로 구성된 판독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해치 및 기준부재(200)가 폐쇄 위치에 있고 또한 기준부재(200)가 손상없이 원형 그대로인 경우, 판독기는 가요성 스트립을 해당 회로에 접근시켜 이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자기소자의 존재를 감지하고 이에 추가로 전기적 허가를 생성한다. 이 경우, 가전제품의 기능들, 구체적으로 세척 사이클은 상기 항목 c)에 따른 1차 전기적 허가 및 리드 스위치에 의해 생성된 추가의 전기적 허가의 경우에만 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사이클의 개시는, 부적절한 방식으로 생성된 항목 c)에 따른 전기적 허가가 매우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라도 (해치 개방 및/또는 기준부재(200)가 결여되거나 손상된 경우), 리드 스위치에 의해 생성된 추가의 전기적 허가에 종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5)

  1. 특히 상부 투입부가 있는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 유사 가전제품과 같은 가전제품의 도어, 해치 및/또는 유사 구성요소를 개폐하는 장치(1000)로서, 상기 장치는: 가전제품의 고정부와 해치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 1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엔드-스톱 위치로 및 그 반대로 이동하여 전환되도록 구성된 개폐 요소(110)를 포함하는 개폐 조립체(100)를 포함하고,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및 그 반대로 이동하여 전환되도록 구성된 허가 요소(300)를 포함하는 것;
    상기 개폐 요소(110)는,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에서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허가 요소(300)를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 드래그하는 것; 및
    상기 허가 요소(300)는, 상기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상기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1 자체 및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 사이의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잠금 처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상기 허가 요소(300)의 잠금은 상기 제2 폐쇄 위치를 향한 상기 폐쇄 요소(1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반대로,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잠긴 상태인 경우, 상기 개폐 요소(110)는 상기 허가 요소(300)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립체(100)는 상기 개폐 요소(110)와 상기 허가 요소(300) 사이에 개재된 탄성 수단(600)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개폐 요소(110)가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에서 제2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한 결과, 상기 개폐 요소에 의해 상기 탄성 수단(600)에 부여되는 추력 및 상기 탄성 수단(600)에 의해 상기 허가 요소(300)에 부여되는 추력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잠긴 상태일 때, 상기 제2 위치를 향한 상기 개폐 요소(110)의 이동은 탄성 수단(600)에 의해 부여된 탄성 저항에 대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잠긴 상태이고 상기 개폐 요소(110)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허가 요소(300)의 잠금 해제의 결과,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상기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6. 제5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 요소(300)의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상기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의 자동 이동은 상기 탄성 수단(600)의 탄성 응답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요소(110)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를 향한 상기 개폐 요소(110)의 이동 결과,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개폐 요소(110)에 의해 드래그되고 따라서 상기 허가 요소(300)가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8. 제7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스톱 위치에서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로의 상기 개폐 요소(110)의 이동 결과, 상기 개폐 요소(110)에 의해 상기 탄성 수단(600)에 부여되는 추력 및 상기 탄성 수단(600)에 의해 상기 허가 요소(300)에 부여되는 추력이 초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요소(110)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엔드-스톱 위치를 향한 상기 개폐 요소(110)의 이동은 상기 허가 요소(300)에 대해 먼저 발생하고 그 결과로서,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개폐 요소(110)에 의해 드래그되고 따라서 상기 허가 요소(300)는 상기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0)는 상기 가전제품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회로를 포함하며, 이 전기 회로의 폐쇄시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가전제품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상기 개폐 요소(110)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잠긴 상태일 때만 전기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는 복수의 단자(701)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1000)는 상기 폐쇄 요소(110) 및/또는 상기 허가 요소(300)에 고정된 복수의 접촉소자(801, 802)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개폐 요소(110)가 상기 제2 엔드-스톱 위치에 있고 또한 상기 허가 요소(300)가 상기 제3 자체 위치에서 잠긴 상태일 때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의 단자(701)와 상기 접촉소자(801, 802) 사이의 상호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00).
  12. 특히 식기 세척기 및 유사 가전제품과 같은 가전제품의 도어, 해치 및/또는 유사 구성요소를 개폐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하나의 가전제품의 하나의 해치(2000) 및/또는 고정부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된 기준부재(200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폐 장치(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200)는 공동(201)을 한정하고, 또한 상기 개폐 요소(110)는 상기 공동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단부(1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200)는, 상기 제1 자체 엔드-스톱 위치에서 상기 제2 자체 엔드-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허가 요소(300)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허가 요소(300)를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 잠금 처리하도록 구성된 맞물림 요소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적어도 하나의 해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와 같은 가전제품으로서,
    상기 가전제품은 제1 개방 위치와 제2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해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제품은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부재(200)는 상기 가전제품의 상기 해치(2000) 혹은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장치(1000)는 상기 가전제품의 고정부 혹은 상기 가전제품의 해치에 각각 고정되며, 또한
    상기 기준부재(200)와 장치(1000)는 상호 연계하여 위치하고, 따라서 상기 해치(2000)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때 상기 기준부재는 상기 제2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폐 요소(110)와 맞물리고 또한 상기 제3 자체 중간 위치에서 상기 허가 요소(30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
KR1020217037061A 2019-04-19 2020-04-17 도어 특히 세탁물 처리용 가전제품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KR202200023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1900006178 2019-04-19
IT102019000006178 2019-04-19
PCT/IB2020/053658 WO2020212930A1 (en) 2019-04-19 2020-04-17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in particular a door for a household appliance for treating laund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77A true KR20220002377A (ko) 2022-01-06

Family

ID=6738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7061A KR20220002377A (ko) 2019-04-19 2020-04-17 도어 특히 세탁물 처리용 가전제품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56515A1 (ko)
KR (1) KR20220002377A (ko)
WO (1) WO2020212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888B1 (en) * 2019-10-15 2023-11-22 Bitron S.p.A. Improved door locking device
IT202000025843A1 (it) * 2020-10-30 2022-04-30 Elettrotecnica Rold Srl Dispositivo per la chiusura e apertura e/o il blocco e lo sblocco di sportelli, in particolare di sportelli di elettrodomestici quali lavabiancheria o simili
IT202000026906A1 (it) * 2020-11-11 2022-05-11 Bitron Spa Sistema blocco-porta modulare.
DE102021210865A1 (de) 2021-09-28 2023-03-30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8918A1 (en) * 2015-11-25 2017-06-01 Montajes Electrónicos Dorcas, S.L. Electric unlocking system
IT201600127447A1 (it) * 2016-12-16 2018-06-16 Bitron Spa Elettrodomestico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prevenire l’uscita di panni e relativo dispositivo di sicurezza.
IT201600130683A1 (it) * 2016-12-23 2018-06-23 Illinois Tool Works Blocco-porta con un cursore di rilevamento gancio con sicurezza addizion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2930A1 (en) 2020-10-22
EP3956515A1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2377A (ko) 도어 특히 세탁물 처리용 가전제품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US6082787A (en)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the door of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CN111910395B (zh) 用于家用电器的门锁
US10914026B2 (en) Door lock for home appliance with hook sensing mechanism
EP1619287A1 (en) Household appliance, namely a machine for washing and/or drying laundry, with a door block/release device that can be actuated electrically
US9528298B2 (en) Appliance latch with uni-directional actuator
US10876735B2 (en) Locking device for a door of a domestic appliance
EP3541984B1 (en) Door-lock with a hook detection slider with additional security
KR20080081151A (ko) 특히 가전 제품에서 도어 록의 잠금 및/또는 잠금 해제를위한 회로 장치
US6743986B2 (en) Door lock
EP3714093B1 (en)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panels, in particular panels of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the like
EP0808935B1 (en) Washing machine with instant-action door interlock arrangement
CN108368666B (zh) 具有复位元件的家用器具
US9217217B2 (en) Door-locking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arrangement comprising a door-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EP3808888B1 (en) Improved door locking device
US20220136283A1 (en)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and/or for locking and unlocking doors, in particular doors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or the like
WO2021229456A1 (en) A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hatches, in particular hatches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or the like
EP3679212A1 (en)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hatches, in particular hatches of domestic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or the like
US11293130B2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exit of cloths and related safety device
EP4240928A1 (en)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hatches, in particular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or the like
US11952802B2 (en) Door-locking device with improved safety module
WO2022097025A1 (en)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hatches, in particular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or the like
KR20090014288A (ko) 조리 기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
KR100558979B1 (ko) 스위칭 자물쇠
WO2024028787A1 (en) Space-saving device with automatic opening func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dishwasher d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