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120U -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 Google Patents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120U
KR20220002120U KR2020210000602U KR20210000602U KR20220002120U KR 20220002120 U KR20220002120 U KR 20220002120U KR 2020210000602 U KR2020210000602 U KR 2020210000602U KR 20210000602 U KR20210000602 U KR 20210000602U KR 20220002120 U KR20220002120 U KR 202200021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upled
inner space
smartphone hol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예은
권민지
홍민지
김성범
Original Assignee
정예은
권민지
홍민지
김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예은, 권민지, 홍민지, 김성범 filed Critical 정예은
Priority to KR2020210000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120U/en
Publication of KR20220002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2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물건을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탄성을 구비한 일 부위가 접히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하부면이 전자기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받침부; 및 받침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본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받침부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외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와 결합되고 내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며, 몸체와 뚜껑의 결합으로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소정의 물건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to form a space inside 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an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having an inner space so that a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folded by external pressure and having a lower surfac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and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the main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has an inner space, and has an outer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crew threaded body and a lid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re provid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is sealed by the coupling of the body and the li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item.

Description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 {ATTACHABLE SMARTPHONE CRADLE}Attachable Smartphone Cradle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본 고안은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물건을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킬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that forms a space inside 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and allows a predetermined object to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will be.

스마트폰 가입자(사용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스마트폰과 관련된 액세서리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고,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부착시키거나, 또는, 스마트폰의 본체 자체에 부착시키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일명, 그립톡)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As the number of smartphone subscribers (users) increases explosively, the accessory market related to smartphones is also growing significantly. Demand for a smartphone holder (aka Grip Talk) is also increasing.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 높이가 가변하면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용이하게 파지하게 하여 손잡이용으로 이용되거나 스마트폰을 지지하여 스마트폰 자체의 거치가 가능하게 하는 액세서리이다.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a smartphone or smartphone protective case and has a variable protrusion height, allowing the user to easily grip the smartphone to be used as a handle or to support the smartphone to support the smartphone itself. It is an accessory that enables the mounting of

다만, 종래기술의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기와 같은 기능의 구현에만 한정되어 있을 뿐이어서, 수납 등과 같은 기능의 구현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the attachment type smartphone holder of the prior art is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bove functions, there is a limit to the implementation of functions such as storag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물건을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form a space inside 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an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탄성을 구비한 일 부위가 접히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하부면이 전자기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외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내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와 상기 뚜껑의 결합으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소정의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so that a portion having elasticity by external pressure is folde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and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has an inner space and has an outer surfac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body having a male thread formed along a body, and a lid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inn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is sealed by the coupling of the body and the li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obj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possibl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금속체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may include a metal body formed of metal.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금속체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체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include a magnet body that provides a magnetic force to the metal body.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탄성을 구비하고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 접히거나 외부로 펴지면서 부피가 가변하는 부피가변체, 및 상기 부피가변체와 결합하여 상기 부피가변체를 지지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has elasticity and is folded into the inner space or unfolded to the outside by external pressure, and the volume is variable, and the volumetric body is combined with the deformable body. and a support bod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부피가변체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variable body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효과는,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수납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implements a storage function,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본체부의 뚜껑과 몸체가 결합되는 경우, 뚜껑과 몸체가 나사결합 및 자기력 결합에 의한 2중 결합으로 결합력이 증대되어, 본체부 내부 공간의 밀폐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lid and the body of the body part are coupled, the coupling force is increased by the double coupling between the lid and the body by screw coupling and magnetic force coupling, so that the sealing func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can be improved. will be.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정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vie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phone holder.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3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전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일 부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상방에서 관측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하방에서 관측된 분해사시도이다.Her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ire smartphone holder, and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bserved from the top of the smartphone holder,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bserved from the bottom of the smartphone holder.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탄성을 구비한 일 부위가 접히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하부면이 전자기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받침부(200); 및 받침부(200)의 상부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본체부(100);를 포함한다.1 to 6, the smart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pace so that a portion with elasticity is folded by external pressure, and a support part (with a lower surfac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and a main body portion 10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unit 200 ,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space.

그리고, 본체부(100)는, 받침부(200)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외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110)와, 몸체(110)와 결합되고 내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 뚜껑(1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몸체(110)와 뚜껑(120)의 결합으로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소정의 물건의 수납이 가능하다.And, the body part 100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00 and has an inner space, the body 110 having external thread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body 110 and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around the circumference. A lid 120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along the direction may be provid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art 100 is seal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110 and the lid 120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item.

여기서,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smart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몸체(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몸체(11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위인 연장부위(112)가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하부에는 몸체(110)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부피가변체(210)와 결합되는 결합부위(1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extension portion 112 , which is a portion form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body 1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10 ,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 can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13 coupled to the volume-variable body 210 of the body portion 100 .

상기와 같은 몸체(110)의 형상에 대응되어 뚜껑(120)도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120)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금속체(12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120)은 2개의 부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뚜껑(120)의 상부는 내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120)의 하부는 금속체(121)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금속체(121)는 뚜껑(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dy 110 as described above, the lid 120 may als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id 120 may include a metal body 121 formed of metal. Specifically, the lid 120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upper part of the lid 120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on the inner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lid 120 is a metal body 121 . is formed, and such a metal body 12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id 120 .

또한, 몸체(110)는, 금속체(121)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체(11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석체(111)는 몸체(110)의 연장부위(112)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석체(111)가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110)의 연장부위(112)와 결합되거나, 입자 형태의 자석물질이 몸체(110)의 연장부위(112)의 상부면 표면에 도포된 후 경화되는 방식으로 자석체(11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110 may include a magnet body 111 that provides a magnetic force to the metal body 121 . Specifically, the magnet body 1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12 of the body 110 , and the magnet body 1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ng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112 of the body 110 and The magnet body 111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a magnetic material in the form of a particl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12 of the body 110 and then cured.

상기와 같이 뚜껑(120)이 금속체(121)를 구비하고 몸체(110)가 자석체(111)를 구비함으로써, 뚜껑(120)이 몸체(110)에 결합되는 경우, 뚜껑(120)과 몸체(110)는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자기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2중 결합력이 제공되어 뚜껑(120)과 몸체(110)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력에 의해 뚜껑(120)이 열리는 방향으로 뚜껑(120)이 회전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id 120 includes the metal body 121 and the body 110 includes the magnet body 111 , when the lid 120 is coupled to the body 110 , the lid 120 and the body 110 is screwed and coupled by magnetic force at the same time, a double coupling force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id 120 and the body 110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d 120 from rota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120 is opened by the magnetic forc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체부(100)의 몸체(110) 내부 공간(홈의 형상)에 소정의 물건(무선 이어폰, 끈, 핀 등)을 수납한 후 뚜껑(120)으로 내부 공간을 밀폐시킴으로써, 본체부(100)에 소정의 물건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object (wireless earphone, string, pin, etc.)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haped of the groove) of the body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n the inner space is sealed with the lid 120 . By doing so, a predetermined object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

자기력의 용이한 제공을 위하여 금속체(121)는 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뚜껑(120)에 금속체(121)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뚜껑(120) 전체가 철 등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뚜껑(120)와 자석체(111) 간 자기력에 의한 결합이 형성될 수도 있다. 금속체(121)만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금속체(121)를 제외한 뚜껑(120)의 나머지 부위인 뚜껑(120)의 상부는 합성수지 등 자기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asily provide a magnetic force, the metal body 121 may include iron.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metal body 121 is coupled to the lid 120 , the entire lid 120 is formed of metal including iron, and the lid 120 and the magnet body ( 111), a coupling may be formed by magnetic force between them. When only the metal body 121 is formed of metal,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20 , which is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id 120 excluding the metal body 121 ,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affected by magnetic force, such as synthetic resin.

또한, 금속체(121)에는 자기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금속체(121)의 자기력 극성과 자석체(111)의 자기력 극성이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체(121)도 자기력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금속체(121)와 자석체(111)의 자기력에 의한 결합력이 증대되고, 상기와 같은 금속체(121)와 자석체(111)의 2중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Also, the metal body 121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and in this case, the polarity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etal body 121 and the polarity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body 111 may be reversed. Since the metal body 121 also has a magnetic force, the coupling force due to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metal body 121 and the magnet body 111 is increased, and the double coupling force between the metal body 121 and the magnet body 111 as described above is increased. can be increased

받침부(200)는, 탄성을 구비하고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 접히거나 외부로 펴지면서 부피가 가변하는 부피가변체(210), 및 부피가변체(210)와 결합하여 부피가변체(210)를 지지하고 전자기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지지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200 has elasticity and is a volume-variable body 210, which is folded into the inner space or unfolded to the outside by external pressure, and is combined with the volume-variable body 210, and the volume-variable body (210). It may include a support 220 that supports the 210 and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부피가변체의 상부(211)가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부피가변체(210)의 측부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부피가변체의 하부(212)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art 211 of the volumetric body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may have an internal space, and the side portions of the volumetric body 210 are formed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lower part 212 of the volumetric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an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가압하는 경우, 부피가변체의 상부(211)가 눌리면서 부피가변체(210)의 다단 부위에서 접힘이 발생하고 부피가변체의 상부(211)가 부피가변체(210)의 내부 공간으로 함몰되면서 부피가변체(210)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본체부(100)가 전자기기의 일면에 근접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main body part 100, the upper 211 of the bulky body is pressed and folding occurs at the multi-stage portion of the bulky body 210, and the upper part 211 of the bulky body is increased in volume. As the volume of the deformable body 210 is reduced while being depress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variable body 210 , the main body 100 may be fixedly close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그리고,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일면에 근접 고정된 본체부(100)를 당기는 경우, 부피가변체(210)의 다단 부위의 접힘이 해제되면서 함몰되었던 부피가변체의 상부(211)가 돌출되고, 이에 따라, 본체부(100)가 전자기기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And, 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part 100 fixed close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upper part 211 of the bulky body that was depressed while the folding of the multi-stage portion of the volumetric body 210 is released protrudes, and thus Accordingly, the main body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와 같은 부피가변체(210)의 작동을 위해, 부피가변체(210)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부피가변체(210)는 탄성을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함몰과 돌출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부피가변체(210)의 소재가 실리콘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피가변체(210)가 천연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For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volume body 210 as described above, the volumetric body 21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In this case, the volume-variable body 210 can be easily depressed and protruded as described above by being provided with elasticity. However, the material of the variable-volume body 210 is not limited to silicon, and it is natural that the volume-variable body 210 may be formed of natural rubb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부피가변체(210)와 결합되는 지지체(220)는 하부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층에 의해 지지체(220)의 하부면과 전자기기의 일면이 접착 결합되어,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전자기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220 coupled to the volumetric body 210 may have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220 and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re adhesively bonded by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smartphone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t can be stably fixed to the electronic device.

부피가변체(210)는 외부의 공기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부피가변체(210)의 벽체 일 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공(213)을 구비할 수 있다. 통기공(213)에 의해 부피가변체(210)의 내부 공간과 외부는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부피가변체(210)의 형상 변화에 따라 통기공(213)을 통해 공기의 유출입이 수행될 수 있다. 통기공(213)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volume-variable body 210 may include a vent hole 213 formed through a portion of the wall of the volume-variable body 210 so that external air can flow in and out. The internal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variable volume body 210 may be connected by the vent hole 213, and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through the vent hole 213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variable volume body 210 as described above. can The ventilation holes 213 may be formed in plurality.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받침부(200)의 형상 변화가 용이하며, 부피가변체(210)의 다단 부위의 단면이 곡선을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부피가변체(210)의 형상 변화에도 부피가변체(210)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다.The shape change of the support part 200 is easy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multi-stage portion of the volumetric body 210 has a curve, the volume can be changed even when the shape change of the volumetric body 210 is repeatedly performed. Durability of the variable body 210 may be maintained.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부 110 : 몸체
111 : 자석체 112 : 연장부위
113 : 결합부위 120 : 뚜껑
121 : 금속체 200 : 받침부
210 : 부피가변체 211 : 부피가변체의 상부
212 : 부피가변체의 하부 213 : 통기공
220 : 지지체
100: body part 110: body
111: magnet body 112: extension part
113: coupling portion 120: lid
121: metal body 200: support part
210: volume-variable body 211: upper portion of the volume-variable body
212: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volume body 213: ventilation hole
220: support

Claims (5)

외부의 압력에 의해 탄성을 구비한 일 부위가 접히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하부면이 전자기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부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 공간의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받침부와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외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내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와 상기 뚜껑의 결합으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어 소정의 물건의 수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
a support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so that a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folded by external pressure and having a lower surfac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t includes 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has an internal space, and is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space;
The body portion includes a bod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id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ttachment-type smartphon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by the combination of the body and the lid,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s sealed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i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금속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d is an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tal body formed of met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금속체에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석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is an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gnet body that provides a magnetic force to the metal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탄성을 구비하고 외부의 압력에 의해 내부 공간으로 접히거나 외부로 펴지면서 부피가 가변하는 부피가변체, 및
상기 부피가변체와 결합하여 상기 부피가변체를 지지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일면에 부착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A volume-variable body having elasticity and having a variable volume while being folded into the inner space or unfolded to the outside by external pressure, and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with the bulky body to support the volumetric body and to include a support body that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피가변체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스마트폰 거치대.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volume-variable body is an attachable smartphon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KR2020210000602U 2021-02-23 2021-02-23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KR2022000212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02U KR20220002120U (en) 2021-02-23 2021-02-23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02U KR20220002120U (en) 2021-02-23 2021-02-23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20U true KR20220002120U (en) 2022-08-30

Family

ID=8306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02U KR20220002120U (en) 2021-02-23 2021-02-23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12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762B1 (en) * 2022-11-10 2023-03-23 이종수 Accesso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762B1 (en) * 2022-11-10 2023-03-23 이종수 Accesso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11841110B1 (en) 2022-11-10 2023-12-12 Jong Su Lee Accesso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8357C (en) Extending socket for portable media player
US10196182B2 (en) Container with bottom cap
US20150122852A1 (en) Portable suppor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7041885A (en) Protection case for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D919963S1 (en) Magnet phone grip for electronic devices
KR20220002120U (en) Attachable smartphone cradle
US20140028636A1 (en) Multi-function stylus
US20140193025A1 (en)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US7724534B2 (en) Strap holding structure
JP6381651B2 (en) Waterproof plug for mobile devices
US9530550B2 (en) Remote control kit
US7649732B2 (en) Strap holding structure
US20200389548A1 (en) Finger handle for a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
CN213009546U (en) Compression bag valve structure and compression bag thereof
KR200484442Y1 (en) Ring Accessories for mobile divice
US20100164907A1 (en)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7178435A (en) Discharge container
CN206741225U (en) Intelligent watch
CN213169293U (en) Valve structure of compression bag
US9906258B1 (en) Anti-drop mobile phone cover with buoyancy
CN206712888U (en) A kind of finger ring, which is buckled, protects shell integrated mobile phone shell
US20100223755A1 (en) Hinge sleev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s
US7121302B2 (en) Air tap assembly
US8275426B2 (en) Button control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JP6307339B2 (en) Dischar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