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47U -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 Google Patents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47U
KR20220002047U KR2020210000479U KR20210000479U KR20220002047U KR 20220002047 U KR20220002047 U KR 20220002047U KR 2020210000479 U KR2020210000479 U KR 2020210000479U KR 20210000479 U KR20210000479 U KR 20210000479U KR 20220002047 U KR20220002047 U KR 202200020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hape
pad
shape maintain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중
Original Assignee
김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중 filed Critical 김혁중
Priority to KR2020210000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047U/ko
Publication of KR20220002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패드 본체(10)와;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에 결합된 형상 유지 바 (bar) (12)와;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쫄대 (sliding channel) (14)를 포함하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형상 유지 바 (bar)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상기 쫄대(14)는 마스크 상단과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고,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Description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Shape-adjusting pad for anti-fog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탈부착할 수 있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크와 안경을 같이 착용할 경우, 안경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 차단, 먼지 차단, 기타 유해물 차단 등의 목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일상화 되었으며,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보내게 되었다.
그런데, 안경을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면 안경에 김이 서리는 문제점이 있다. 안경에 김이 서리게 되면, 시야가 가려져서 불편하고, 공사 등 작업시에는 안전에 위험을 초래한다.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를 코 아래로 내려서 착용하면 바이러스, 먼지 등의 유해물 차단 효율성이 떨어진다.
종래기술 1: 원웨이 밸브가 부착된 마스크 (선행08)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스크에 원웨이 밸브를 장착한 구조가 제안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3435호 (공고일자 2011년11월 14일) 참고.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마스크라고 하기엔 크기가 너무 크고 편하게 착용하기에 부담감이 있는 구조물이 부착되어있다. 둘째, 일반적인 마스크들과 달리 복잡한 구조물들이 많이 부착되어있어 가격이 일반 마스크들보다 월등히 높다. 셋째, 일회용 마스크가 선호되고 있는 가운데 해당 마스크는 번거롭게 청소하고, 세척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 2: 김서림 방지용 접착 패드 (선행03)
김서림이 발생하는 주 원인은 마스크 상부가 코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기 때문이다. 그 들뜬 틈새로 코나 입에서 날숨이 새어나오면서 안경에 김서림을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상부와 코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는 접착 패드를 부착한 마스크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4043호 (공개일자2020년10월07일) 참고.
이러한 접착 패드는 양면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마스크의 외부 상단에 접착된 후, 마스크의 내부 상단으로 접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방지 패드가 마스크 착용자의 코나 입에서 나오는 날숨을 차단한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자의 코나 입에서 나오는 날숨이 마스크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마스크 상부로 배출된 김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접착 패드가 여전히 얼굴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마스크 착용자마다 얼굴과 코의 형상이 다르므로, 규격화된 방지 패드로는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어렵다.
둘째, 접착 패드는 일회용이므로 사용자는 이를 사용하는데 높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상기 접착 패드가 일단 마스크에 부착되면, 분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회용 마스크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마스크가 폐기될 때, 상기 접착 패드도 함께 폐기된다.
종래기술 3: 철사가 삽입된 마스크 (선행09)
마스크와 얼굴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마스크 상단에 철사를 삽입한 구조가 제안되었다. 철사는 착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8217호 (공개일자2016년06월15일) 참고.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철사 등을 이용하더라도 마스크와 얼굴을 완전히 밀착시키기는 어렵다. 마스크의 주재료인 펄프 또는 섬유는 피부에 달라붙는 성질 (점착성)이 없다. 철사를 구부려 착용자의 코 형상을 따라 마스크를 변형하더라도 여전히 피부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막기는 어렵다. 따라서,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고, 이 틈을 통해 날숨이 안경 방향으로 방출된다.
둘째, 철사가 마스크에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일회용 마스크를 한번 사용하고 버리면, 철사 구조물도 같이 버려지므로, 철사 구조물의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철사 구조물과 마스크가 하나로 결합된 일체형 마스크 제조 단가를 높이고, 환경 폐기물 처리 비용을 상승시킨다.
종래기술 4: 김서림 방지 스프레이 (선행13)
김서림 방지 스프레이를 안경에 도포하는 방안도 제안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7971호 (공고일: 2015년02월25일) 참고.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물이나 천으로 안경 렌즈를 닦으면, 김서림 방지 기능이 사라진다. 따라서, 안경에 무언가가 묻거나 지저분해도 닦을 수 없거나, 다시 스프레이스를 도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방지제가 도포되었다 하더라도, 안경이 코나 입에서 발생하는 날숨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안경 렌즈에 물방울이 맺히는 문제가 있다. 이는 통상의 김서림 방지 스프레이가 친수성 물질로 만들어진 탓에 물방울이 맺히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3435호 (공고일자 2011년11월 14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14043호 (공개일자2020년10월07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8217호 (공개일자2016년06월15일) 한국등록특허 제10-1497971호 (공고일: 2015년02월25일)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와 안경을 동시에 착용할 경우,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 본체(10)와;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에 결합된 형상 유지 바 (bar) (12)와;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쫄대 (sliding channel) (14)를 포함하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형상 유지 바 (bar)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상기 쫄대(14)는 마스크 상단과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고,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
상기 패드 본체(10)의 내부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상 유지 바 (bar)는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의 철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쫄대(14)에는 절개부 (16)가 형성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는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바이러스 차단 목적으로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높은 바이러스 차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이러스와 세균들이 마스크와 얼굴 사이 틈을 통해 새어나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중 보건 환경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두 사람이 모두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1.5%라는 확률로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는 1.5% 확률이더라도 그 1.5%의 인구가 전국민에게 바이러스를 급속히 전파시킬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이러한 바이러스 전파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 공사 현장 등에서 먼지나 유해물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안경 김서림에 따른 사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즉, 안경에 김이 서려서 시야 확보가 어려워서 유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 된 상황에서, 김서림 방지에 따른 생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안경 김서림은 안경 착용자가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데 상당한 불편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운전을 하거나, 횡단보도를 지나거나, 컴퓨터 작업을 하는 등의 일상 생활에서 김서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영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패드는 구조가 단순하여 생산 단가가 낮다. 종래기술 1로 제시된 원웨이 밸브 마스크는 구조가 복잡하고 생산 단가가 비싸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높은 밀착력을 얻기 위해 높은 가격을 지불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조사 대상자 30명 중 27명이 "가격이 더 비싸지만 김 서림 방지 기능이 있는 일회용 마스크를 굳이 매번 돈을 더 지불하고 구매하지 않는다."라고 답하였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는 마스크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굳이 비싸고 복잡한 구조의 마스크를 여러개 구입하는 대신, 저렴하고 단순한 일회용 마스크를 여러개를 구입하고 마스크만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종래기술 2로 제시된 김서림 방지용 접착 패드는 재사용이 불가하므로 경제성이 낮다. 종래기술 3으로 제시된 철사가 삽입된 마스크 역시 마스크 내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므로, 재사용이 불가하고 경제성이 낮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는 사용이 간편하다.마스크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맞추어 마스크 상단부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다.반면, 종래기술 4로 제시된 김서림 방지 스프레이는 사용이 번거롭다.
도1는 종래기술 1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다.
도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다.
도3은 종래기술 3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4에 도시된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패드가 마스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패드가 결합된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100)를 도시한다. 도 5는 도4에 도시된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패드가 마스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패드가 결합된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4-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100)는 패드 본체(10)와;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에 결합된 형상 유지 바 (bar) (12)와;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쫄대 (sliding channel) (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쫄대(14)에는 절개부 (16)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패드 본체(10)
패드 본체(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피부와 접촉하는 패드 본체(10)의 내부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 본체(10) 자체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섬유, 부직포, 펄프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섬유나 펄프에 비해, 실리콘은 피부에 대한 점착력이 높아서 마스크 상단과 얼굴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형상 유지 바 (bar) (12)
형상 유지 바 (bar)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진다. 금속은 철사, 구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금속은 플라스틱, 실리콘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손으로 쉽게 구부릴 수 있고,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금속이나 비금속도 형상 유지 바 (bar)로 사용될 수 있다.
형상 유지 바 (bar)는 1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로 형성하는 경우, 금속 또는 비금속을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바 (bar)를 갖는 경우, 각각의 바 (bar)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재질을 조합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4-7에서는 패드 본체(10)에 3개의 형상 유지 바 (bar)가 가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때, 3개의 형상 유지 바 (bar)는 모두 철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플라스틱 바, 구리선, 철사선이 조합된 것일 수도 있다.
형상 유지 바 (bar)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형상 유지 바 (bar)는 패드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고, 내부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외부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쫄대 (sliding channel) (14)
쫄대(14)는 마스크 상단과 슬라이딩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또는 비금속은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재질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수지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으로 쫄대를 형성할 수 있다. 두 종류 이상의 재질을 조합하여 쫄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쫄대의 내부 표면은 피부와 접촉하므로, 실리콘 등의 접착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쫄대(14)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하부가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쫄대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홈으로 마스크 상단이 슬라이딩 결합되면, 쫄대(14)의 자체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홈이 맞물리면서 마스크가 쫄대에 고정된다.
홈의 세로방향 절단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고,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절개부 (16)
절개부(16)는 쫄대(14)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6)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100)가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가능하도록 한다. 도7 참고. 절개부(16)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100: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10: 패드 본체
12: 형상 유지 바 (bar)
14: 쫄대 (sliding channel)
16: 절개부
30: 마스크

Claims (4)

1. 패드 본체(10)와,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에 결합된 형상 유지 바 (bar) (12)와,
상기 가로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 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쫄대 (sliding channel) (14)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 유지 바 (bar)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상기 쫄대(14)는 마스크 상단과 슬라이딩 결합 가능하고,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으로 형상을 변형 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10)의 내부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 바 (bar)는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의 철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쫄대(14)에 형성된 절개부 (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KR2020210000479U 2021-02-15 2021-02-15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KR202200020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79U KR20220002047U (ko) 2021-02-15 2021-02-15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79U KR20220002047U (ko) 2021-02-15 2021-02-15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47U true KR20220002047U (ko) 2022-08-23

Family

ID=8306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79U KR20220002047U (ko) 2021-02-15 2021-02-15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047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435B1 (ko) 2009-10-12 2011-11-14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김서림방지마스크
KR101497971B1 (ko) 2013-10-24 2015-03-06 함병수 분사 후 닦지 않아도 되는 김서림 방지제
KR20160068217A (ko) 2014-12-05 2016-06-15 임지민 김서림 방지 및 발음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된 마스크
KR20200114043A (ko)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화림에프포 김서림 방지패드가 부착된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435B1 (ko) 2009-10-12 2011-11-14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김서림방지마스크
KR101497971B1 (ko) 2013-10-24 2015-03-06 함병수 분사 후 닦지 않아도 되는 김서림 방지제
KR20160068217A (ko) 2014-12-05 2016-06-15 임지민 김서림 방지 및 발음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된 마스크
KR20200114043A (ko)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화림에프포 김서림 방지패드가 부착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982B2 (en) Vapor barrier attachment for eyewear
KR102273386B1 (ko)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KR20180134694A (ko) 마우스피스형 마스크
WO2005000410A1 (en) Breathing device for filtering and conditioning inhaled air
KR20150035891A (ko) 마스크용 입김 누출 차단장치
KR101582353B1 (ko) 자유변형에 의한 형상유지 마스크
KR20180063722A (ko) 김 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10106186A (ko) 논슬립수단이 구비된 마스크
KR20220002047U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형상 유지 패드
KR102307508B1 (ko) 마스크용 김서림방지 테이프
CN212325458U (zh) 一种全面罩
JP5971823B1 (ja) ゴーグル汚損防止シート
KR102212607B1 (ko) 필터교체형 마스크
US20080010726A1 (en) Disposable Deflector Eyepiece
JP2013533058A5 (ko)
KR200199305Y1 (ko) 눈 보호대가 구비된 마스크
CN212814394U (zh) 一种面罩
KR102640597B1 (ko) 페이스 쉴드
KR102444763B1 (ko) 입김배출패드가 구비된 김서림 방지형 방진 마스크
KR102574967B1 (ko) 김서림 방지구
US20230019757A1 (en) Anti-fog mask
KR102273387B1 (ko) 흘러내림방지 기능을 갖는 마스크
JP2018159147A (ja) マスク用具
KR20210002255U (ko) 비말 차단 항균 마스크 패치
KR20210115159A (ko) 탈착 고정클립을 구비한 필터부재 교체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