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035U - Stackable cage - Google Patents

Stackable c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035U
KR20220002035U KR2020210000463U KR20210000463U KR20220002035U KR 20220002035 U KR20220002035 U KR 20220002035U KR 2020210000463 U KR2020210000463 U KR 2020210000463U KR 20210000463 U KR20210000463 U KR 20210000463U KR 20220002035 U KR20220002035 U KR 202200020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ember
unit
housing
stack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7210Y1 (en
Inventor
송영민
Original Assignee
송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민 filed Critical 송영민
Priority to KR2020210000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10Y1/en
Publication of KR20220002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3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1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층형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파충류, 절지류, 양서류 또는 곤충류 등과 같은 소형 또는 중형 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적층형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c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cage in which an environment capable of breeding small or medium-sized animals such as reptiles, arthropods, amphibians or insects is created.

Description

적층형 케이지{STACKABLE CAGE}Stackable Cage {STACKABLE CAGE}

본 고안은 적층형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파충류, 절지류, 양서류 또는 곤충류 등과 같은 소형 또는 중형 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적층형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c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ayer cage in which an environment capable of breeding small or medium-sized animals such as reptiles, arthropods, amphibians or insects is created.

일반적으로 개방된 공간에서 사육되는 정온 동물과 달리 파충류, 절지류, 양서류 또는 곤충류 등과 같은 소중형의 변온 동물은 체온 유지를 위해 온도 조절이 가능한 케이지에서 사육되고 있다.Unlike normal-temperature animals that are generally raised in open spaces, small-sized cold-blooded animals such as reptiles, arthropods, amphibians or insects are bred in a temperature-controlled cage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최근에는 적은 공간 내 사육 개체수를 늘리기 위해 소위 렉사라고 불리는 적층형 케이지에서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breeding populations in a small space, breeding is carried out in stacked cages called so-called Rexars.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106호(발행일자 2020. 05. 2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적층형 케이지는 제작시 정해진 적층수에 맞춰 제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확장 용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20-0001106 (issued on May 29, 2020), the conventional laminated cage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s determined during manufacturing,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ase of expansion is poor. hav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벨크로 테이프로 상호 고정이 가능한 적층형 케이지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벨크로 테이프는 케이지를 단순 고정하는 수단에 불과할 뿐 이를 통해 종래의 적층형 케이지 대비 개선된 효과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ior art provides a laminated cage that can be mutually fixed with Velcro tape, but the Velcro tape is only a means for simply fixing the cage. not providing enough.

한편, 지금까지 시중에 소개된 대부분의 적층형 케이지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케이지 내부에서 사육되는 동물에 대한 보호가 미흡한 경우가 많다.On the other hand, since most of the stacked cages introduced on the market so far are manufactured at a relatively low price, protection for animals raised inside the cage is often insufficient.

예를 들어,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된 사육박스(104)는 별도의 커버가 없는 상태로 모듈(100)에 수납되는데, 동물이 상기 모듈(100)의 내측 천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사육박스(104)를 꺼낼 경우 상기 모듈(100)과 상기 사육박스(10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동물이 끼어 다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eeding box 104 disclosed in the prior art is accommodated in the module 100 without a separate cover. If you take out the module 100 and the breeding box 104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animal is caught in the problem may occur.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해 파충류, 절지류, 양서류 또는 곤충류 등과 같은 이색 동물이 소개되고, 이에 따라 이색 동물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사육 시도가 늘어남에 따라 케이지 내부에서 사육되는 동물에 대한 보호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면서 적층형 케이지의 이점을 취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Recently, exotic animals such as reptiles, arthropods, amphibians, or insects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various media, and as the public interest in exotic animals and attempts to breed them increase, it provides sufficient protection for animals raised inside cages.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age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stacked cage while doing so.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1106호(발행일자 2020. 05. 29)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20-0001106 (issued on May 29, 2020)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적층 수에 따라 스택 단위를 적층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확장 용이성이 개선된 적층형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Under this technical backgrou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cked cage with improved ease of expansion as stacking units can be stack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cks desired by a user.

특히, 본 고안은 복수의 스택 단위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경우, 복수의 스택 단위의 조립만으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부터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적층형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stack units are stacked in an upward direction,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from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sition to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upper side only by assembling the plurality of stack uni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d cage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assemble.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택 단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단위는 전후방 방향으로 가이드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모듈 단위 내 사육되는 동물에 대한 관리가 용이한 적층형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 cage in which at least one module unit provided in the stack unit can easily manage animals raised in the module unit through a guided sliding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모듈 단위가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택 단위를 포함하는 적층형 케이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cked cage including a stack unit provided so that at least one module unit is slidably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여기서, 상기 모듈 단위는 상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단차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 형성된 상기 단차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중 일부는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Here, the module unit has an open top shape, and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tep bent inwardly formed thereon, and a cover seated on the step formed in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some of the covers are As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it may be automatically open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택 단위는 상기 모듈 단위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열 공급부; 및 상기 열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 단위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ck unit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partitioning a space in which the module unit is installed; a vertical frame install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and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 heat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frame and supplying thermal energy in at least one direction selected from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sliding guide positioned below the heat supply unit and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to guide sliding movement of the module uni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여기서, 상기 스택 단위는 상부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의 하부에 상기 스택 단위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열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stack unit may be provided to be stackable in an upper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stack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 supply unit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ack unit located relatively lower.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스택 단위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부터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at least one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and a plurality of stack units are stacked in an upward direction. In this case, when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sition to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upper side.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전방 방향을 커버하는 전방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후방 방향을 커버하는 후방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ay include a front cover that covers a relatively forward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rear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n a relatively rearward direction.

이 때,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over may be automatically open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의 내측 또는 하부에 제1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 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단차의 내측 또는 상부에 제2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irst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below the front cover,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above the step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magnetic member is provided. ,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may have the same polarity.

이에 따라,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상기 제2 자성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방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over may be automatically open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이 경우, 상기 후방 커버의 내측 또는 하부에 제3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자성 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단차의 내측 또는 상부에 제4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자성 부재 및 상기 제4 자성 부재는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성 부재와 상기 제2 자성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전방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후방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a third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below the rear cover, and a fourth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above the step differenc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magnetic member is provided, The third magnetic member and the fourth magnetic member have different polarities, so that when the front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the rear cove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can be kept fixed on the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의 하부에 제1 탄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first elastic member is provided under the front cover, and as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can

이 경우, 상기 후방 커버의 하부에 상기 후방 커버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의 단차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전방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경우 상기 후방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front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by provid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housing or the housing under the rear cover, the front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The rear cover may remain fixed to the hous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적층 수에 따라 스택 단위를 적층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확장 용이성이 개선된 적층형 케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possible to stack stack uni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acking desired by a user, a stacked cage with improved ease of expansion may be provided.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스택 단위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경우, 복수의 스택 단위의 조립만으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부터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 전원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stack units are stacked in an upward direction,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from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sition to the stack unit located at the upper side only by assembling the plurality of stack units. It has the advantage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assemble it by supplying it.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택 단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 단위는 전후방 방향으로 가이드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모듈 단위 내 사육되는 동물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module unit provided in the stack unit facilitates management of animals raised in the module unit through guided sliding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 때, 상기 하우징 내 형성된 상기 단차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중 일부는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cover that is seated on the step formed in the housing and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is automatically opened as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user's cumbersome operation.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지에 포함된 스택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가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에 마련된 모듈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로부터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에 마련된 모듈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기 모듈 단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상기 모듈 단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듈 단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듈 단위의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ck unit included in a stacked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
FIG.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cked form of the stack units shown in FIG. 1 .
FIG. 4 is a side view of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
5 and 6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ule unit provided in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
7 and 8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module unit slides in a forward direction from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
9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ule unit provided in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
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module unit shown in FIG. 9 .
11 is a side view of the module unit shown in FIG. 9 .
12 is a side view of the modul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ide view of the modul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고안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certain terms are defined herein for convenience. Unless defined otherwise herein,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all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lso, unless the context specifically dict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term in the singular includes its plural form as well, and a term in the plural form also includes its singular form.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acked cag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지에 포함된 스택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의 상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가 적층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의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ck unit included in a stacked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of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and FIG. It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cked unit,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케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단위(140)가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택 단위(100)를 포함한다.1 to 4 , the stacked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 unit 100 in which at least one module unit 140 is slidably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구체적으로, 상기 스택 단위(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단위(140)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프레임(130)과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12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tack unit 100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30 defining a space in which at least one module unit 140 is installed, a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120).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내측으로는 상기 모듈 단위(140)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34)가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34)는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전방측 프레임(130a)과 후방측 프레임(130b)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수평 프레임(130)은 소정의 간격을 따라 상기 전방측 프레임(130a)과 상기 후방측 프레임(130b)을 연결하는 서브 프레임(130c)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34)는 상기 서브 프레임(130c)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iding guide 134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dule unit 140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inside the horizontal frame 130 . The sliding guide 134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the front frame 130a and the rear frame 130b of the horizontal frame 130 . If necessary, the horizontal frame 130 includes a sub-frame 130c that connects the front frame 130a and the rear frame 130b alo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liding guide 134 includes: It may be installed on the sub-frame 130c.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34)가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전방측 프레임(130a)과 후방측 프레임(130b) 사이에 마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that the sliding guide 134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frame 130a and the rear frame 130b of the horizontal frame 130 .

한편,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내측으로는 열 공급부(132)가 설치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a heat supply unit 13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frame 130 to supply thermal energy in at least one direction sele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

상기 열 공급부(132)는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적으로 열을 발산하는 것이 가능한 수단으로서 마련될 수 있으며, 필름 또는 금속 호일 형태로서 마련될 수 있다.The heat supply unit 132 may be provided as a means capable of dissipating heat by itself by receiving power,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ilm or a metal foil.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의 하부에는 상기 스택 단위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열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적층형 케이지(10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공급된 전원을 설정된 온도 조건에 따라 상기 열 공급부(132)로 분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A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stack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 supply unit may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tacked cage 10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operate to distribute the supplied power to the heat supply unit 132 according to a set temperature condition. have.

상기 제어부(110)가 설정된 온도 조건에 따라 전원을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스택 단위(100)의 임의의 위치에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스택 단위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모듈 단위(140)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모듈 단위(140)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하여금 정확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tack unit 100 so that the controller 110 can distribute power according to a set temperature condition. Preferably, as the temperature sensor is provided in at least one module unit 140 provided in the stack unit, information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odule unit 14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0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 110) to enable accurate temperature control.

만약 복수의 스택 단위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대적으로 하부(즉,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족하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가 마련된 스택 단위의 상부로 적층되는 스택 단위에는 별도로 열 제어부(110)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If a plurality of stack units are stacked in an upward direction, it is sufficient that the control unit 110 is provided below the stack unit positioned at a relatively lower (ie, lowermost) portion. Accordingly, a separate thermal control unit 110 is not required for a stack unit stacked on top of the stack unit in which the control unit 110 is provided.

이 경우, 상대적으로 하부(즉, 최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복수의 스택 단위에 마련된 상기 모듈 단위(140)의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odule unit 140 provided in a plurality of stack units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110 provided under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ie, lowermost portion) of the stack unit.

복수의 스택 단위가 안정적인 상호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상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돌출부(131)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하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홈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A protrusion 131 is provid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0 to enable stable stacking of a plurality of stack units, and at least on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provid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20 . A groove portion 133 having a shape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상기 수평 프레임(130)이 사각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돌출부(131)는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사측 모서리의 상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홈부(133)는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사측 모서리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frame 130 has a quadrangular shape, the protrusions 131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bove the four corners of the horizontal frame 130 , and the grooves 133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It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120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our corners (130).

이에 따라, 복수의 스택 단위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경우,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의 상기 수평 프레임(130)에 마련된 상기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의 상기 수직 프레임(120)에 마련된 상기 홈부(133)에 삽입됨으로써 두 스택 단위가 체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stack units are stacked in the upper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 The two stack units may be faste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33 provided in 120 .

한편, 상기 돌출부(131)와 상기 홈부(133)는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택 단위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경우, 상기 돌출부(131)가 상기 홈부(133)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부터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trusion 131 and the groove 133 may be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stack units are stacked in an upward direction, when the protrusion part 13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groove part 133 , the stack positioned relatively upper from the stack unit positioned lower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unit.

상기 돌출부(131)와 상기 홈부(133)가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10)가 설치된 상기 스택 단위에서는 상기 제어부(110)와 상기 돌출부(131) 사이에 전원 공급 케이블 등과 같은 전원 연결 수단에 의한 전기적인 연결이 성립되며, 상기 돌출부(131)와 상기 홈부(133)는 각각 전기적 도통이 가능한 커넥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protrusion 131 and the groove 133 to be electrically conductive, in the stack unit in which the controller 110 is installed, a power supply such as a power supply cable is provided between the controller 110 and the protrusion 131 . Electrical connection is established by the connection means, and the protrusion 131 and the groove 133 may be implemented in a connector method capable of electrical conduction, respectively.

또한, 동일한 스택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홈부(133)와 상기 수직 프레임(12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상부에 마련된 상기 돌출부(131) 사이에 전원 공급 케이블 등과 같은 전원 연결 수단에 의한 전기적인 연결이 성립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same stack unit, the groove portion 133 provided under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protrusion portion 13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nstalled above the vertical frame 120 . An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established between them by a power connection means such as a power supply cable.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131)와 상기 홈부(133)의 전기적인 도통 방식에 의해 복수의 스택 단위의 상부 방향으로의 적층만으로 상기 스택 단위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열 공급부(132)의 동작이 하나의 제어부(110)만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only by stacking a plurality of stack units in the upper direction by the electrical conduction method between the protrusion part 131 and the groove part 133, the power supply to the stack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 supply unit 132 are one. to be controlled only by the control unit 110 of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에 마련된 모듈 단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스택 단위로부터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5 and 6 are sid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odule unit provided in the stack unit shown in FIG. 1, and FIGS. 7 and 8 are the module units sli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stack unit shown in FIG. It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 단위(140)는 상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단차가 형성된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141) 내 형성된 상기 단차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141)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143)를 포함한다.5 to 8 , the module unit 140 has an open top shape, and is seated on the housing 141 having a step bent inwardly formed thereon and the step difference formed in the housing 141 . and a cover 14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41 .

또한, 상기 하우징(141)의 상부 외측면으로는 상기 모듈 단위(140)의 전방 방향으로부터 후방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된 안착 부재(142)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 부재(142)는 상기 수평 프레임(130)에 마련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34)에 안착되어 상기 모듈 단위(1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며, 상기 모듈 단위(14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이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member 142 extending from the front direction to the rear direction of the module unit 140 is provid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41 . The seating member 142 is seated on the sliding guide 134 provided in the horizontal frame 130 to suppor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module unit 140 , and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of the module unit 140 is not changed. can prevent it

상기 하우징(141)의 외측면으로는 복수의 개구부(14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4)를 통해 상기 하우징(141)의 내외부 사이에 공기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41)의 상부를 상기 커버(143)로 폐쇄하여 밀폐시키더라도 상기 개구부(144)를 통해 원활한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다.A plurality of openings 144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41 . An air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141 through the opening 144 . Accordingly, eve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41 is closed and sealed with the cover 143 , air can flow smoothly through the opening 144 .

한편, 상기 커버(143)는 상기 하우징(141)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전방 방향을 커버하는 전방 커버(143a)와 상기 하우징(141)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후방 방향을 커버하는 후방 커버(143b)로 분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143 includes a front cover 143a covering a relatively front direction among the upper portions of the housing 141 and a rear cover 143b covering a relatively rear direction among the upper portions of the housing 141 . can be divided.

이 때, 상기 모듈 단위(140)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143a)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module unit 140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over 143a may be automatically opened.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단위(140)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전방 커버(143a)의 전방(A)은 상기 하우징(141)으로부터 밀착이 해제되어야 하며, 상기 후방 커버(143b)의 전방(B)은 상기 전방 커버(143a)의 개방과 무관하게 상기 하우징(141)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9 , when the module unit 140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A of the front cover 143a must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41, and the The front B of the rear cover 143b should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41 regardless of the opening of the front cover 143a.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기 모듈 단위의 정면도이며,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상기 모듈 단위의 측면도이다.FIG. 10 is a front view of the module unit shown in FIG. 9 ,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module unit shown in FIG. 10 .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방 커버(143a)의 내측 또는 하부에 제1 자성 부재(143c)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141)의 단차(141b)의 내측 또는 상부에 제2 자성 부재(141a)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는 상기 전방 커버(143a)의 전방 방향에 위치한다.10 and 11 , a first magnetic member 143c is provided inside or below the front cover 143a, and the housing 141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is provided. ),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may be provided inside or above the step 141b. Preferably,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is position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front cover 143a.

이 때,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와 상기 제2 자성 부재(141a)는 동일한 극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와 상기 제2 자성 부재(141a)가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서로 밀어내는 자기력(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have the same polarity, when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they push each other It can generate a magnetic force (repulsive force).

이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143a)의 상부에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와 상기 제2 자성 부재(141a)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보다 큰 중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전방 커버(143a)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들림으로써 상기 하우징(141)의 전방 방향에 대한 개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gravity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is not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43a, the front cover 143a is An opening opera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housing 141 may be performed by being lifted by the magnetic force.

즉, 상기 모듈 단위(140)가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하부에 완전히 위치한 경우, 상기 수평 프레임(130)과 상기 모듈 단위(140)가 상기 전방 커버(143a)가 들리지 않을 정도로 밀접하게 위치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143a)는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와 상기 제2 자성 부재(141a)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더라도 들릴 수 없다.That is, when the module unit 140 is completely locat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module unit 140 are located so close that the front cover 143a is not heard. Accordingly, the front cover 143a cannot be lifted even if a repuls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그러나, 상기 모듈 단위(140)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143a)가 더 이상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하부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전방 커버(143a)의 상부에 가해지는 중력이 존재하지 않는 바, 상기 전방 커버(143a)는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와 상기 제2 자성 부재(141a)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에 의해 들릴 수 있다.However, as the module unit 140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front cover 143a is no longer locat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30 , it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over 143a. Since gravity does not exist, the front cover 143a may be lifted by a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이 때, 만약 상기 모듈 단위(140)가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하부에 완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모듈 단위(140)와 상기 수평 프레임(13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클 경우, 상기 수평 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전방 커버(143a)에 중력이 가해지기 어렵거나, 상기 이격 공간 내 상기 전방 커버(143a)가 일부 들린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module unit 140 and the horizontal frame 130 is large in a state where the module unit 140 is completely position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30 , the horizontal frame 130 . ),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gravity to the front cover 143a, or the front cover 143a may exist in a partially lifted state in the separation space.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단위(140)가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하부에 완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 커버(143a)에 마련된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5 자성 부재(130d)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5 자성 부재(130d)는 상기 제2 자성 부재(141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와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2 ,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provided on the front cover 143a in a state in which the module unit 140 is completely position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30 . The fifth magnetic member 130d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fifth magnetic member 130d may have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as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다만, 상기 제5 자성 부재(130d)의 자기력은 상기 제2 자성 부재(141a)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듈 단위(140)가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하부에 완전히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모듈 단위(140)와 상기 수평 프레임(130) 사이에 이격 공간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제5 자성 부재(130d)와 상기 제1 자성 부재(143c) 사이에 발생하는 강한 척력에 의해 상기 전방 커버(143a)가 상기 단차(141b)에 접촉한 상태로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magnetic force of the fifth magnetic member 130d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magnetic member 141a, the module unit 140 is completely position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30 in a state where the module unit ( Even if there is a separation space between 140 and the horizontal frame 130, the front cover 143a is the step difference due to the strong repulsive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fth magnetic member 130d and the first magnetic member 143c. It can exist in a state in contact with (141b).

한편, 상기 모듈 단위(140)가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상기 후방 커버(143b)에 의해 상기 단차(141b)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전방 커버(143a)의 후방으로부터 중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전방 커버(143a)는 서서히 닫힐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ule unit 140 slides in the rear direction, gravity is applied from the rear of the front cover 143a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step 141b by the rear cover 143b. The front cover 143a may be gradually closed.

상술한 바와 같은, 상호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복수의 자성 부재에 의한 상기 전방 커버(143a)의 개폐 동작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방 커버(143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즉, 상기 후방 커버(143b))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후방 커버(143b)의 내측 또는 하부에 제3 자성 부재(143d)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자성 부재(143d)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140)의 단차(141b)의 내측 또는 상부에 제4 자성 부재(141c)가 구비되며, 이 때, 상기 제3 자성 부재(143d)와 상기 제4 자성 부재(141c)는 상이한 극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3 자성 부재(143d)와 상기 제4 자성 부재(141c)가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서로 끌어당기는 자기력(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despite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front cover 143a by the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having the same polarity as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portion (ie, the rear cover 143b) except for the front cover 143a is stable. For support, a third magnetic member 143d is provided inside or below the rear cover 143b, and a step 141b of the housing 14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third magnetic member 143d is provided. ) is provided with a fourth magnetic member 141c on the inner side or upper side, in this case, the third magnetic member 143d and the fourth magnetic member 141c have different polarities, so that the third magnetic member 143d ) and the fourth magnetic member 141c may generate a magnetic force (attractive force) that attracts each other when they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2를 참조하면, 상호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복수의 자성 부재에 의한 상기 전방 커버(143a)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대신,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전방 커버(143a)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stead of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cover 143a by a plurality of magnetic members having the same polarity, an elastic member is us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cover 143a. action can be made.

이를 위해, 상기 전방 커버(143a)의 하부에 제1 탄성 부재(143e)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 단위(140)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143a)가 상기 제1 탄성 부재(143e)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a first elastic member 143e is provided under the front cover 143a, and as the module unit 140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over 143a moves to the first elastic member ( 143e) can be automatically ope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 때, 상기 하우징(141)의 단차(141b)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143e)의 하부가 일부 수용될 수 있는 홈부(141d)가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a groove portion 141d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43e can be partially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in the step 141b of the housing 141 .

이 경우에도, 상기 전방 커버(143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즉, 상기 후방 커버(143b))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후방 커버(143b)의 하부에 상기 후방 커버(143b)와 상기 하우징(141) 또는 상기 하우징(141)의 단차(141b)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143f)가 구비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rear cover 143b and the housing 141 are placed under the rear cover 143b for stable support of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the front cover 143a (ie, the rear cover 143b). Alternatively, a fixing member 143f for fixing the step 141b of the housing 141 may be provid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143f)가 소정의 돌출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하우징(141)의 단차(141b)에는 상기 고정 부재(143f)의 돌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홈부(141e)가 마련될 수 있다.12 , when the fixing member 143f has a predetermined protrusion shape, a groov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fixing member 143f is formed in the step 141b of the housing 141 . (141e) may be provided.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적어도 하나의 모듈 단위가 전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스택 단위를 포함하는 적층형 케이지로서,
상기 모듈 단위는,
상부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상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단차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 형성된 상기 단차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중 일부는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적층형 케이지.
As a stacked cage including a stack unit provided so that at least one module unit is slid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module unit is
a housing having an open top shape and formed with a step bent inwardly on the top; and
a cover seated on the step formed in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ncluding,
Some of the covers are automatically opened as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stacked c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단위는,
상기 모듈 단위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열 에너지를 공급하는 열 공급부; 및
상기 열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모듈 단위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를 포함하는,
적층형 케이지.
According to claim 1,
The stack unit is
a horizontal frame dividing a space in which the module unit is installed;
a vertical frame install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and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 heat supply unit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frame and supplying thermal energy in at least one direction selected from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 sliding guide positioned under the heat supply unit and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to guide sliding movement of the module unit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containing,
stacked c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단위는 상부 방향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의 하부에 상기 스택 단위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열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는,
적층형 케이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ck unit is provided to be stackable in the upper direc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stack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 supply unit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ack unit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stacked c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홈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스택 단위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될 경우,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부터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택 단위로 전원이 공급되는,
적층형 케이지.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When a plurality of stack units are stacked in the upper direc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stack unit positioned at a relatively lower position to the stack unit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by inserting the protrusion into the groove portion,
stacked c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전방 방향을 커버하는 전방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후방 방향을 커버하는 후방 커버;
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적층형 케이지.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is
a front cover covering a relatively forward direction among the upper portions of the housing; and
a rear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n a relatively rearward direction;
including,
As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stacked c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의 내측 또는 하부에 제1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 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단차의 내측 또는 상부에 제2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 부재 및 상기 제2 자성 부재는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적층형 케이지.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below the front cover,
A second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above the step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magnetic member is provided,
The first magnetic member and the second magnetic member have the same polarity,
stacked c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의 내측 또는 하부에 제3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자성 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단차의 내측 또는 상부에 제4 자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자성 부재 및 상기 제4 자성 부재는 상이한 극성을 가지는,
적층형 케이지.
7. The method of claim 6,
A third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below the rear cover,
A fourth magne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above the step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third magnetic member is provided,
wherein the third magnetic member and the fourth magnetic member have different polarities;
stacked c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의 하부에 제1 탄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 단위가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방 커버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는,
적층형 케이지.
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elastic member is provided under the front cover,
As the module unit slid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over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stacked c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의 하부에 상기 후방 커버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의 단차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된,
적층형 케이지.
9. The method of claim 8,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rear cover and the housing or the housing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ar cover,
stacked cage.
KR2020210000463U 2021-02-10 2021-02-10 Stackable cage KR2004972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63U KR200497210Y1 (en) 2021-02-10 2021-02-10 Stackable c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63U KR200497210Y1 (en) 2021-02-10 2021-02-10 Stackable c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35U true KR20220002035U (en) 2022-08-17
KR200497210Y1 KR200497210Y1 (en) 2023-08-30

Family

ID=8306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63U KR200497210Y1 (en) 2021-02-10 2021-02-10 Stackable c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10Y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295Y1 (en) * 2005-08-10 2005-10-20 최흥용 Charnel case of drawer type to easily drawing out
KR20060125104A (en)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Drawer type refrigerator
KR100759752B1 (en) * 2006-05-29 2007-09-20 홍순업 Open close apparatus of door
KR20120003227U (en) * 2010-11-01 2012-05-09 박금례 A Multistage Flowerpot
KR20200001106U (en) 2018-11-21 2020-05-29 조형찬 Modular Reptile Rack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104A (en) * 2005-06-01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Drawer type refrigerator
KR200399295Y1 (en) * 2005-08-10 2005-10-20 최흥용 Charnel case of drawer type to easily drawing out
KR100759752B1 (en) * 2006-05-29 2007-09-20 홍순업 Open close apparatus of door
KR20120003227U (en) * 2010-11-01 2012-05-09 박금례 A Multistage Flowerpot
KR20200001106U (en) 2018-11-21 2020-05-29 조형찬 Modular Reptile Rac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10Y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6626B1 (en) Modular cage
US20200032555A1 (en) Self-aligning modular latch
CN200941127Y (en) Voice coil motor type focal actuator
US20050135060A1 (en) Fan assembly for installing and removing fans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US995559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US9736959B2 (en) Cable management systems
JPH02232854A (en) Optical disc cartridge handler having passive cartridge retaining assembly
KR200497210Y1 (en) Stackable cage
CN104007787B (en) Electronic device
JP2024502761A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s
JP2939184B2 (en) Ornamental incubators for small animals such as rodents
US8555302B2 (en) Disc cartridge for a plurality of discs
US5219090A (en) Holder provided with two compartments and a cover arrangement
US20210378122A1 (en) Mount cage for disk drive
KR102352266B1 (en) Apartment Typed Farm Apparatus For Reptile
CN108551132B (en) Desktop line box that line lid can be accomodate
JP2019060507A (en) grill
KR200379934Y1 (en) a beehive for beekeeping
CN216098586U (en) Jig tool
CN218587962U (en) Primary and secondary frame and intermediate layer beehive
US11044894B2 (en) Terrarium and related method of use
JP2024064645A (en) Pollination beehives
CN112984937B (en) Storage box and refrigerator
JP6837704B2 (en) Duct member
JP2000133372A (en) Opening/closing structure of plug insertion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