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957U -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 Google Patents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957U
KR20220001957U KR2020210000362U KR20210000362U KR20220001957U KR 20220001957 U KR20220001957 U KR 20220001957U KR 2020210000362 U KR2020210000362 U KR 2020210000362U KR 20210000362 U KR20210000362 U KR 20210000362U KR 20220001957 U KR20220001957 U KR 202200019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ag
bag body
pres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최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훈 filed Critical 최용훈
Priority to KR2020210000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957U/ko
Publication of KR202200019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45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ble elements which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가방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가방 본체에 수납하는 물품의 크기에 맞게 상기 내부 공간을 필요한 크기로 구획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수단과, 상기 파티션 수단이 가방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어 다양한 부피의 독립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Functional bag with repositionable partition}
본 고안은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 내부에서 위치조절이 용이한 파티션을 이용함으로써, 가방 내부공간을 복수개로 쉽게 분할할 수 있어 다양한 부피의 독립된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성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대체로 하나의 큰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작은 보조공간이 가방의 내부나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데, 작은 보조공간에는 작은 물건들을 수납하는 용도 외에는 사용하지 않아 불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큰 공간에는 여러 물건들이 뒤섞이는 단점이 있어서 사용 시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가방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방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칸막이가 형성된 경우도 있으나, 종래의 칸막이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칸막이로 구분된 내부 공간의 크기보다 작은 물품의 수납만 가능하였고, 칸막이로 구분된 공간에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가방에 수납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제20-2013-0006490호 “접이식 칸막이가 마련된 여행용 가방”에서는 별도의 접이 부재에 의해 여행용 가방 내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하여 물품별로 독립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구획공간이 접이식 칸막이에 의하여 구획되므로, 공간의 분할이 고정적이라는 단점이 있었고,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가방 내부 공간을 유연하게 구분하여 사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3-000649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가방 내부 공간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분할하여 물품을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품의 크기, 상태에 따라 가방의 보조공간을 통해 수납이 가능하고 가방의 배면을 통해 이동 시 캐리어에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가방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가방 본체에 수납하는 물품의 크기에 맞게 상기 내부 공간을 필요한 크기로 구획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수단과, 상기 파티션 수단을 가방 본체에 탈착하기 위한 탈착 수단을 포함하는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파티션 수단은 가방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과, 상기 파티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방 본체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파티션이 가방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위치조절이 가능케 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파티션 수단이 가방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가방 본체의 내벽에 수용되는 금속재질의 판재와, 상기 파티션 수단의 연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판재와 자력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방 본체의 배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캐리어 손잡이를 끼워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부에는 지퍼에 의해 확장가능한 확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통풍이 원활할 수 있도록 매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방 본체의 타측부 또는 외면의 일부분에는 매쉬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보조 수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의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에 의하면, 가방 내부 공간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분할하여 물품의 크기에 맞게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품의 크기, 상태에 따라 가방의 보조공간을 통해 수납이 가능하고 가방의 이동 시 캐리어에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개방한 상태로 내부 공간을 보인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개방한 상태로 내부 공간을 보인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서 파티션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기능성 가방에서 확장부, 보조 수납부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기능성 가방에서 개방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개방한 상태로 내부 공간을 보인 내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개방한 상태로 내부 공간을 보인 내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파티션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100)에 관한 것으로, 크게, 가방 본체(110), 개폐수단(120), 파티션 수단 및 탈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방 본체(110)는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가방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의 가방(10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가방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방 본체(110)에는 하나의 큰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면에는 가방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120)이 형성된다.
통상, 가방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120)은 가방 본체(110)의 상면에 형성하는 절개부와, 절제부의 형태에 따라 부착되는 지퍼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퍼는 가방 본체(110)의 상면에 양방향 혹은 한방향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퍼를 통해 가방 본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가방 본체(110)에 수납하는 물품의 크기에 맞게 상기 내부 공간을 필요한 크기로 구획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수단이 포함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가방의 내부 공간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분할하여 물품을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파티션 수단은 가방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130)과, 상기 파티션(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방 본체(11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파티션(130)이 가방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위치조절이 가능케 하는 연결부재(13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파티션(130)은 가방 내부에서 칸막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재(132)는 상기 파티션(130)을 가방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32)는 상기 파티션(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방 본체(110)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천(직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132)는 타단이 가방 본체(110)의 내측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 4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파티션(130)은 연결부재(132)의 길이만큼 가방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파티션 수단을 가방 본체에 탈착하기 위한 탈착 수단이 포함되는데, 상기 탈착 수단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130)과 가방 본체(110)의 양측면에 설치된 자석(14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파티션(130)과 가방 본체(110)의 양측면에 자석(144)이 설치됨으로써, 평상시에는 자석(144)을 서로 붙여놓아 가방의 내부 공간을 크게 사용하다가, 파티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파티션(130)을 가방의 중심부로 당기면 자석(144)이 떨어지면서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티션(130)이 가방의 내부 공간에서 칸막이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부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파티션(130)이 가방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 상기 부착수단은 가방 본체(110)의 내벽에 수용되는 금속재질의 판재(142)와, 상기 파티션 수단의 연결부재(132)에 구비되어 상기 판재(142)와 자력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자석(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재(142)는 가방 본체(110)의 내벽에 수용되되, 상기 파티션(130)의 이동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파티션(130)을 가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하여 가방 내부 공간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파티션(130)을 이동시키면 가방의 내부 공간을 3개로 구획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금속재질의 판재(142)는 가방 본체(110)의 전면과 배면에 구비되어야 하며, 최소한 상기 연결부재(132)의 길이만큼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자석(140)은 상기 연결부재(132)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판재(142)와 부착되어야 하며, 이 경우 상기 자석(140)은 연결부재(132)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자석(140)과 판재(142)의 부착에 의해 상기 파티션(130)이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자석(14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자석(140)은 판재(142)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4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파티션(130)의 위치조절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예컨대, 가방에 큰 물품을 넣거나 칸막이가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파티션(130)을 가방의 양측에 붙여놓을 수 있고, 가방 내부 공간을 분할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파티션(130)을 중심부로 밀어 3개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고안은 상기 파티션(130)이 자력에 의해 가방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파티션(130)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파티션(1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가방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파티션(130)으로 구획되는 공간의 부피를 수납물품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자유롭게 분할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납물품을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기능성 가방에서 확장부, 보조 수납부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기능성 가방에서 개방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한편, 본 고안의 가방은 내부 공간의 활용 뿐 아니라, 외부공간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방 본체(110)의 일측부에는 지퍼(152)에 의해 확장가능한 확장부(15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확장부(150)는 통풍이 원활할 수 있도록 매쉬 재질(154)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상기 지퍼(152)를 열어서 확장부(150)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하며, 매쉬 재질로 이루어진 확장부(150)는 통풍이 원활하므로 예를 들어, 젖은 옷이나 수건 등 가방 본체에 다른 물건과 같이 넣기 어려우면서 통풍이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기가 좋다.
또한, 상기 가방 본체(110)의 타측부 또는 외면의 일부분에는 매쉬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보조 수납부(160)(1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납부(160)(164)는 개방형 보조 수납부(160)와 고정형 보조 수납부(16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방형 보조 수납부(160)는 일측에 버클(161)(162)이 설치되어, 상기 버클에 의해 가방의 외면에서 착탈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버클(161)(162)을 푼 후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방형 보조 수납부(160)의 측부에는 물통 수납공간이 위치하는데, 상기 물통 수납공간에는 자석이 부착된 마그네틱 보틀 포켓(도시안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보틀 포켓은 내부 파티션과 같은 원리의 자석 포켓으로서, 자력을 이용하여 가방의 앞 면에 물통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의 탈착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형 보조 수납부(164)는 상부에 끈(163)이 구비되어, 예컨대 손목 스트랩 등을 상기 끈(163)에 건 후 고정형 보조 수납부(164)에 넣어서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방 본체의 배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112)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112)에 캐리어 손잡이(10)를 끼워 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방을 들고 이동할 필요없이 캐리어의 손잡이(10)에 상기 개구부(112)를 끼우면 캐리어에 얹은 상태로 가방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 고안자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100: 가방 110: 가방 본체
120: 개폐수단 130: 파티션
132: 연결부재 140: 자석
142: 판재 144: 자석
150: 확장부 152: 지퍼
160: 개방형 보조 수납부 164: 고정형 보조 수납부

Claims (5)

  1.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가방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폐수단;
    상기 가방 본체에 수납하는 물품의 크기에 맞게 상기 내부 공간을 필요한 크기로 구획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수단; 및
    상기 파티션 수단을 가방 본체에 탈착하기 위한 탈착 수단;
    을 포함하는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수단은 가방 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과, 상기 파티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가방 본체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파티션이 가방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위치조절이 가능케 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수단이 가방 본체의 내벽에 부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착수단은 가방 본체의 내벽에 수용되는 금속재질의 판재와, 상기 파티션 수단의 연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판재와 자력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의 배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에 캐리어 손잡이를 끼워 거치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의 일측부에는 지퍼에 의해 확장가능한 확장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통풍이 원활할 수 있도록 매쉬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방 본체의 타측부 또는 외면의 일부분에는 매쉬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보조 수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KR2020210000362U 2021-02-03 2021-02-03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KR202200019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62U KR20220001957U (ko) 2021-02-03 2021-02-03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62U KR20220001957U (ko) 2021-02-03 2021-02-03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57U true KR20220001957U (ko) 2022-08-10

Family

ID=8280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62U KR20220001957U (ko) 2021-02-03 2021-02-03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95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490U (ko) 2012-05-02 2013-11-12 김석환 우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490U (ko) 2012-05-02 2013-11-12 김석환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5103B2 (en) Modular game case
US11751651B2 (en) Configurable bag
US7607535B2 (en) Clothes container with an extendable clothes hanging system
US20050077135A1 (en) Concealable stretch panel for carrying loose items on luggage and the like
EP2597989B1 (en) Expandable soft-sided jewelry organizer with secured display compartments
US7140479B2 (en) Luggage bag having a removable garment bag
US8651353B2 (en) Gym locker organizer backpack
US10729215B2 (en) Compressible container for backpacking and method thereof
US10611017B1 (en) Storage bag with enhanced interior visibility
US20070089954A1 (en) Suitcase with drawers
US20140131412A1 (en) Reconfigurable Bags and Insert Kits
US10231522B2 (en) Luggage folding shelf
US6073738A (en) Article of luggage having divider for opposing sections
US10463124B2 (en) Backpack
KR20220001957U (ko) 위치조절식 파티션을 구비한 기능성 가방
KR102106857B1 (ko) 내부 칸막이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
KR200490721Y1 (ko) 가방
KR20120122488A (ko) 분리가 가능한 물품수납부를 구비한 여행용 가방
JP5740219B2 (ja) 拡張式仕切、および該仕切を用いたかばん
KR200198513Y1 (ko) 다용도 멜빵가방
US20100006616A1 (en) Paintball pod harness with internal pouch
KR20180000609U (ko) 가방용 파티션커버
US20100181444A1 (en) Hanging organizer
KR102353419B1 (ko) 여행 가방
KR200227038Y1 (ko) 낚시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