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99U - 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 Google Patents

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99U
KR20220001899U KR2020210000275U KR20210000275U KR20220001899U KR 20220001899 U KR20220001899 U KR 20220001899U KR 2020210000275 U KR2020210000275 U KR 2020210000275U KR 20210000275 U KR20210000275 U KR 20210000275U KR 20220001899 U KR20220001899 U KR 202200018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ashes
eco
biodegradable
arboret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재순
Original Assignee
윤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순 filed Critical 윤재순
Priority to KR2020210000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899U/en
Publication of KR20220001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9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8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적이면서 생분해가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유골함을 제작함으로써 유골을 유골함에 수납한 후 토양에 매립 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생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유골의 자연 분해 및 흡수를 돕고, 토양 및 수목 성장에도 도움을 주며 특히 중공의 몸체 외관에 구비되는 장식 무늬층은 꽃 무늬 등 일반 인쇄 형식으로 덮개 상면의 덮개판에 귑되는 장식 무늬층은 사용자의 필요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종교 문양으로서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자의 형상이 친환경적인 잉크로 인쇄된 종교 상징 점착 스티커나 개인적인 영정 인물 사진 등으로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장식층을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degradable ossuary that uses eco-friendly and biodegradable materials to produce an ossuary so that the ashes can be biodegradab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en the ashes are stored in the ossuary and buried in the soil. It helps absorption and helps the soil and trees grow. In particular, the decorative pattern layer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hollow body is in a general printing format such as a flower pattern. As a religious pattern that can be formed through It relates to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an arboretum.

Description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본 고안은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an arboretum,

좀 더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면서 생분해가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유골함을 제작함으로써 유골을 유골함에 수납한 후 토양에 매립 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생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생분해가 가능한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유골의 자연 분해 및 흡수를 돕고, 토양 및 수목 성장에도 도움을 주며 특히 중공의 몸체 외관에 구비되는 장식 무늬층은 꽃 무늬 등 일반 인쇄 형식으로 덮개 상면의 덮개판에 구비되는 장식 무늬층은 사용자의 필요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종교 문양으로서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자의 형상이 친환경적인 잉크로 인쇄되어 고인의 명복을 종교적으로 기원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종교 상징 점착 스티커나 개인적인 영정 인물 사진 등으로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장식층을 형성함으로써 종교적 상징이 인쇄된 유골함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지 아니고도 경건하고 심미적인 입체적 재질감의 고품격 장식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biodegradable ossuary that uses eco-friendly and biodegradable materials to produce an ashes so that the ashes can be biodegradab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en the ashes are stored in the ashes and buried in the soil. It helps decomposition and absorption, and also helps soil and tree growth. In particular, the decorative pattern layer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hollow body is in a general printing format such as a flower pattern. As a religious pattern that can be attached and formed with a religious symbol, a religious symbol adhesive sticker designed to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deceased religiously by printing a cross symbolizing Christianity or a swastika symbolizing Buddhism in an eco-friendly ink. By forming a decorative layer using a sticker printed on, etc.,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alize the high-quality decorative effect of a three-dimensional material that is reverent and aesthetic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an ossuary with a religious symbol printed on it. It's about the ashes.

수목장(樹木葬)은 주로 화장에 의해 처리된 미세한 골분을 부패가 용이한 상자 또는 보자기로 감싸 참나무를 비롯한 각종 나무의 주변에 묻거나 그 위에 나무 또는 꽃을 심는 산골형 수목장(Ash Tree, Scattering at Tree)을 실시하는 장묘문화로서, 스위스ㆍ독일ㆍ뉴질랜드ㆍ영국ㆍ 본 등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근자에 우리나라에서 각광받아 널리 보급되고 있는 자연 장(葬)의 형태로서, 납골당, 묘지등에 비해 가격이 월등히 저렴하고 넓은 활용공간과 시각적으로도 자연미와 품격이 높아 많은 장례를 수목장으로 하고 있다.Ash Tree, Scattering at Ash Tree, Scattering at ash Tree, Scattering at Tree) is a funeral culture that is implemented in Switzerland, Germany, New Zealand, England, and Bonn, and it is a form of natural funeral that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in Korea and is widely distributed. Many funerals are held at the arboretum due to its low cost, wide space, and high visual quality and natural beauty.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종래의 수목장(樹木葬)은, 화장한 골분을 마사토와 섞어 수목의 주변에 뿌리거나, 일정한 깊이의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골분을 묻는 방법을 주로 실시하였으나, 이는 골분이 토양에 완전히 흡수되거나 분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골분이 토양과 완전히 흡수되거나 분해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혐오감을 주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골분이 바람에 날리거나 내리는 비 또는 흐르는 물에 의해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arboretum (樹木葬) usually carried out mainly carried out the method of mixing cremated bone powder with masa soil and sprinkling it around the tree, or digging a hole of a certain depth and burying the bone powder therei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absorbed or decompo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one powder is not completely absorbed or decomposed with the soil, so that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giving a disgust, or the bone powder exposed to the outside is blown down by the wind or rain or flowing water.

상기와 같은 수목장은 유골을 보관하는 유골함 역시 자연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의 분골함은 분골(유골)을 장기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나 석재로 만들어져 사용되어 왔다.In the above-mentioned arboretum, it is desirable that the ossuary for storing the ashes is also naturally decomposed, and the conventional burial box has been used made of porcelain or stone for the purpose of long-term preservation of the ashes.

그러나 자연장인 수목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수목이나 화초, 잔디 주변에 묻는 장묘법으로 자연장을 할 경우에는 한지, 나무 등 분해 가능한 천연소재 용기를 사용해야 하나 종래의 자기나 석재 재질 분골함은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내구성이 약해 충격에 쉽게 파손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경제적이지 못함은 몰론 자연을 훼손하고 수목의 성장을 저래하는 제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natural burial by burying cremated remains of cremated bone powder around trees, flowers, and grass, natural arborists must use decomposable natural materials containers such as Korean paper and wood. There are difficulties, the durability is weak, so it is easily damaged by impact,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not economical.

따라서 자연장 증가에 따라 천연소재로 만든 것이나 자연적으로 분해가 가능한 것 또는 수분에 의해 형태가 자연발생으로 허물어지거나 분해되어 친환경적이면서도 유족들이 선호하는 경제적인 재질로 형성되어 분골함의 분골이 땅속에서 분해되어 수목과 토양에 자연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인에 대한 추모에 소홀함이 없게 하는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natural growth, those made of natural materials, those that are naturally decomposable, or those that are naturally decomposed or decomposed by moisture, are formed into eco-friendly and economical materials preferred by the bereaved fami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an arboretum that can be absorbed naturally into trees and soil while not neglecting the memory of the deceased.

종래의 선행기술들을 소개한 문헌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자연 분해의 어려움이나 경제성 등의 제반 문제점들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Documents introducing the prior art are as follows, and these prior art also have various problems in common, such as difficulty in natural decomposition or economic feasibility.

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2311호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62311

(수목장례용 분골함, 등록일자 2007년09월20일)(Bungol box for tree funeral, registration date September 20, 2007)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4326호Document 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Gazette Registration No. 20-0384326

(한지(韓紙) 납골함, 등록일자 2005년05월06일) (Korean paper ossuary, registration date May 06, 2005)

이에 본 출원인은 장례용품 개발업에 장기간 종사하면서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유골함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및 보완하고자 장기간 동안 동종업에 종사하면서 연구한 결과 빠른 시일 내 생분해가 이루어져 인체, 토양, 수목에 해를 끼치지 않고 경제적인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funeral products for a long time and as a result of research while engaged in the same industry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fundamentally solve and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ashes of the prior art, biodegradation occurs in a short time, causing harm to the human body, soil, and trees. This resulted in the completion of this economical design.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은 제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As described above, the biodegradable ossuary for an arboretu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various problems,

자연 분해 되지 않는 종래 기술의 유골함을 지양하여,By avoiding the ashes of the prior art that do not decompose naturally,

생분해성 펄프 재질의 지료(紙料)로 형성된 지관을 형성함으로써 공기나 수분이 바로 침투할 수 있으며 안은 골분을 담을 수 있도록 얇으면서도 가볍고 튼튼하며 깨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재질 구성과 형태적으로 안정되게 용기를 성형하는 기술성, 우수한 밀봉성의 복합 상승 효과를 구현하되,By forming a paper tube made of biodegradable pulp material, air or moisture can directly penetrate, and the inside is thin, light, strong, and unbreakable to contain bone powder. Realizes a composite synergistic effect of molding technology and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필요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종교 문양으로서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자의 형상이 친환경적인 잉크로 인쇄되어 고인의 명복을 종교적으로 기원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종교 상징 점착 스티커나 개인적인 영정 인물 사진 등으로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장식층을 형성함으로써, As a religious pattern that can b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need, the cross symbolizing Christianity or the swastika symbolizing Buddhism is printed with eco-friendly ink to make religious prayers for the well-being of the deceased. By forming a decorative layer using stickers printed with portraits of portraits, etc.,

자연 분해의 문제점 및 장식성이 떨어지는 제반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결하여 에 요구되는 수목장용 유골함의 종합 용도 요구 특성을 종합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게 하여야 하는 종합적 기술 과제를 본 고안에 해결한 것이다.This invention solves a comprehensive technical problem that must be able to comprehensively satis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use of the ossuary for the arboretum by solving the problems of natural decomposition and all the problems of poor decorativeness at onc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에 있어서, I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the arboretum,

친환경 생분해성 재질의 펄프 지료로 유골분을 담을 수 있게끔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지관 몸체(10)와 몸체 상단을 덮어서 밀폐하는 항온, 항습, 탈취 기능의 속 뚜껑(30)과 덮개(20)로 유골함을 구성하되, 상기 원통형 지관 몸체(10)와 외측 둘레면 일측으로 꽃 무늬 등 일반 인쇄 형식으로 장식 무늬층을 형성하고, 덮개(20) 상면의 덮개판(22)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종교 문양을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자의 형상이 친환경 잉크로 인쇄된 점착 스티커 형식으로 각각 형성하는 장식무늬층(40)이 형성되어 유골함 외 표면을 마무리하는 구성의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 hollow cylindrical paper tube body (10) with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part to contain ashes powder with an eco-friendly biodegradable pulp material, and an inner lid (30) and a cover (20) with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and deodorization functions that cover and seal the upper part of the body ), but a decorative pattern layer is formed in a general printing format such as a flower pattern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ranch body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over plate 2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 has the user's needs. A decorative pattern layer 40 is formed, each forming a religious pattern that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formed in the form of an adhesive sticker printed with eco-friendly ink, in which the shape of a cross symbolizing Christianity or a swastika symbolizing Buddhism is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ssuar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an arboretum.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은, As such, the eco-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the arboretu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친환경적이면서 생분해가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유골함을 제작함으로써 유유골을 유골함에 수납한 후 토양에 매립 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생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골의 자연 분해 및 흡수를 돕고, 토양 및 수목 성장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By manufacturing the ashes using eco-friendly and biodegradable materials, when the ashes are stored in the ashes and buried in the soi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iodegradation can occur, helping the natural decomposition and absorption of the ashes and helping the soil and tree growth will give

또한 지관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또 제작이 용이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a paper tube, the cost is reduced,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so it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또한 스티커 형식으로 각각 형성하는 소정의 문자, 도형, 모양 등의 종교적 상징이 인쇄된 장식 무늬 층은 종교적 상징이 인쇄된 유골함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지 아니고도 표현이 자유로워 경건하고 심미적인 입체적 재질감의 고품격 장식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효과를 구현한다. In addition, the decorative pattern layer printed with religious symbols such as letters, figures, and shapes, each formed in the form of a sticker, is free to express without individually having an ossuary with religious symbols printed on i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decorative effect at the same time, thereby realizing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ffect.

특히 본 고안은 표면에 외관이 미려한 각종 장식 인쇄층이 형성됨으로써 불교와 천주교·기독교용과 같은 종교용 제품과 장례식용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사용의 편리성으로 용도에 맞춰 엄숙하면서도 고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하우징 몸체가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서 은은한 장식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with various decorative printed layers with beautiful appearance on the surface, so that religious products such as Buddhism, Catholicism, and Christianity, and products for funerals are selectively configured for the convenience of use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It can create an atmosphere, and the housing body is transparent or opaque, so that a subtle decorative lighting effect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교별 장식 무늬 스티커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반 장식 무늬가 적용된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 장식 무늬 스티커 도시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odegradable ossuary for an arboretu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iodegradable ossuary for an arboret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corative pattern sticker for each reli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 state to which a general decorative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decorative pattern sti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은,The eco-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the arboretum of the present invention,

친환경 생분해성 재질의 펄프 지료로 유골분을 담을 수 있게끔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지관 몸체(10)와 몸체 상단을 덮어서 밀폐하는 항온, 항습, 탈취 기능의 속 뚜껑(30)과 덮개(20)로 유골함을 구성하되,A hollow cylindrical paper tube body (10) with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part to contain ashes powder with an eco-friendly biodegradable pulp material, and an inner lid (30) and a cover (20) with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and deodorization functions that cover and seal the upper part of the body ) to construct an ossuary,

상기 원통형 지관 몸체(10)와 외측 둘레면 일측으로 꽃 무늬 등 일반 인쇄 형식으로 장식 무늬층을 형성하고, 덮개(20) 상면의 덮개판(22)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종교 문양을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자의 형상이 친환경 잉크로 인쇄된 점착 스티커 형식으로 각각 형성하는 장식무늬층(40)이 형성되어 유골함 외 표면을 마무리하는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A decorative pattern layer is formed in a general printing format such as a flower pattern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ranch tube body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cover plate 2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 eco-friendly arboretum that finishes the surface of the ossuary by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layer 40 that forms each religious pattern in the form of an adhesive sticker printed with eco-friendly ink, in which the cross symbolizing Christianity or the swastika symbolizing Buddhism is printed It relates to a biodegradable ossuary for

친환경적이면서 생분해가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유골함을 제작함으로써 유골을 유골함에 수납한 후 토양에 매립 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생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골의 자연 분해 및 흡수를 돕고, 토양 및 수목 성장에도 도움을 주게 되며, 특히 스티커 형식으로 각각 형성하는 소정의 문자, 도형, 모양 등의 종교적 상징이 인쇄된 장식 무늬 층(40)은 종교적 상징이 인쇄된 유골함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지 아니고도 표현이 자유로워 경건하고 심미적인 입체적 재질감의 고품격 장식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효과를 구현한다. By manufacturing the ashes using eco-friendly and biodegradable materials, when the ashes are stored in the ashes and buried in the soil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iodegradation can occur, helping the natural decomposition and absorption of the ashes and helping the soil and tree growth. In particular, the decorative pattern layer 40 printed with religious symbols such as predetermined characters, figures, shapes, etc., each formed in a sticker format, is free to express without individually having an ossuary with religious symbols printed on it. It can realize the high-quality decorative effect of aesthetic three-dimensional material at the same time, thereby realizing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ffect.

상기한 본 고안 유골함의 몸체(10)는 펄프 재질로 성형된 원통형의 지관으로서 상기 덮개(20)는 속뚜껑(30)과 같이 환상의 동심원을 이루어 형성된다.The body 10 of the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paper tube molded from a pulp material, and the cover 20 is formed in an annular concentric circle like the inner lid 30 .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 1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종교적 상징이 인쇄된 장식 무늬 층(40)은 종교적 상징이 인쇄되어 고인의 명복을 종교적으로 기원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유골함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개인적인 영정 인물 사진 등으로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장식층을 형성하는 구현예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And Figures 1 to 3 show a decorative pattern layer 40 printed with a religious symbol that is proposed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ligious symbol is printed to show the ossuary designed to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deceased religiously. , Figures 4 to 5 show an embodiment of forming a decorative layer using a sticker printed with a personal portrait portrait, etc., respectively.

본 고안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100)의 뼈대를 이루는 상기 몸체(10)와 이를 덮는 덮개(20)는 생분해성 펄프 재질의 지료(紙料)로 형성된 지관을 형성함으로써 가볍고 튼튼하며 깨지지 않게 되며, 따라서 재질 구성과 형태적으로 안정되게 용기를 성형하는 기술성, 우수한 밀봉성의 복합 상승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The body 10 constituting the framework of the eco-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100 for the arboretu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ver 20 covering it are light, strong, and unbreakable by forming a paper tube made of biodegradable pulp material. Therefore, a composite synergistic effect is realized in terms of material composition and morphological stability of forming a container, and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특히 상기 펄프 지료를 닥 펄프의 전통 한지 구성에다 황토, 숯, 옥 등의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 기능성 미분말을 혼합하여 한지 지료에 기능성 광물질이 혼합된 성분 간에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조성의 혼합 지료로 형성된 지관을 사용하여 유골함을 형성하게 되면, 사후 물성변화 없이도 펄프 재질 혼합 지료에 의한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납골함 용기의 구성이 가능하고 방충, 방습, 탈취, 항균 기능으로 결로 현상이나 세균번식, 악취를 예방하여 유골이 변하지 않고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납골함 용도 요구 특성을 충족하면서도 전통한지와 같은 자연스럽고 심미적인 입체적 재질감의 고품격 장식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bove-mentioned pulp stock is mix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composition of Doc pulp and fine powders with far-infrared radiation and anion emitting functions such as loess, charcoal, and jade are mixed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state between the ingredients mixed with functional minerals in the Korean paper stock. If the ossuary is formed using the formed paper tub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light and durable ossuary container using the pulp material mixed stock without changing the physical properties after the fact. Thus,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high-quality decorative effect of natural and aesthetic three-dimensional texture like traditional Korean paper while meeting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use of the ossuary, which allows the ashes to be kept clean and unchanged.

특히 본 고안은 황토나 기능성 물질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내수성이 보강되게끔 지료로서 닥펄프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닥펄프 섬유 사이로 기능성 광물질 분말이 치밀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수분에 강하면서도 결합성이 배가되며 연속되는 혼합 기공을 형성하여 원적외선 방사면적과 이온 발생면적이 극대화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uses duck pulp as a stock material to enhance water resistance while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loess or functional materials. The far-infrared radiation area and ion generation area are maximized by forming continuous mixed pores.

따라서 본 고안 지관 형태 유골함은 펄프 재질에 다공성을 부여함에도 불구하고 지함의 강도와 인장력, 탄력성이 유지되어 파열되지 않으면서 공기는 투과하되 물은 투과하지 않게 하는 통기성이 있으며 항균, 소취, 방충 기능으로 세균의 번식을 예방함과 동시에 항온항습효과로 최적의 함수량을 유지하는 복합 상승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Therefore, the paper tube type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eathable, allowing air to permeate but not water, without rupture, as the strength, tensile strength and elasticity of the box are maintained despite imparting porosity to the pulp material. It realizes a complex synergistic effect that prevents the growth of bacteria and maintains the optimal water content through th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effect.

또한 본 고안은 시트를 대체하여 지관을 사용할 수 있는데 지관을 반원으로 절단한 다음 금형몰드에 투입하여 가압 성형하거나 또는 지관 전체를 금형몰드에 투입하여 가압하는 방식 모두 채택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per tube can be used instead of a sheet, and either the paper tube is cut into a semicircle and then put into a mold for press-molding, or the entire paper tube is put into the mold and pressurized.

상기 중공의 몸체(10) 상단을 덮어서 밀폐하는 항온, 항습, 탈취 기능의 속 뚜껑(30)도 펄프 지료에 황토, 숯, 옥 등의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 기능성 미분말을 혼합한 혼합 지료로 형성하게 되면 황토의 점성에 의한 질기고 부드러운 질감, 한지 고유의 질감에 각 기능성 원료 물질간 포섭력이 한데 어우러지는 점성과 결속성의 결합에 의한 형태적 안정성의 표면의 조직이 매끄럽고 부드러우면서 수분에 강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 방충, 방습, 탈취, 항균 기능으로 The inner lid 30 with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and deodorization function, which covers and seals the upper end of the hollow body 10, is also formed with a mixed material mixed with a pulp material with far-infrared radiation and anion emitting functional fine powder such as loess, charcoal, and jade. The texture of the surface is smooth, soft, and resistant to moisture, with a tough and soft texture due to the viscosity of loess, and the morphological stability due to the combination of viscosity and cohesion that harmonizes the inclusion force between each functional raw material in the unique texture of Korean paper with insect repellent, moisture proof, deodorizing and antibacterial functions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이나 세균번식, 악취 발생 등이 없이 유골There is no dew condensation, bacterial propagation, or bad odor caused by internal and external temperature differences.

을 변하지 않고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to keep it clean and unchanging.

본 고안은 펄프 재료와 친환경 접착수지를 이용한 지기(紙器)로서 화려한 외관의 시각적인 장식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 납골함에 비해 가볍고 내구성도 뛰어나서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고 대량생산에 의하여 생산성이 좋고 원가도 저렴하며 자연친화적인 물질 또는 재생 재료로 형성되므로서 자연에 방치할 경우 스스로 분해 소멸되어 환경 공해 발생의 문제점이 없이 자원 절약이 가능하며 제품의 고급화와 부가가치가 크게 향상되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수목장용 유골함의 용도 요구 특성을 모두 갖추게 되어 종래의 전통적 납골함과 차별화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material using pulp material and eco-friendly adhesive resin, and it can realize the visual decorative effect of a splendid appearance. Since it is made of inexpensive and eco-friendly materials or recycled materials, it decomposes and disappears on its own if left in nature, so resources can be saved without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t has all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the use of the ossuary, which has the effect of being differentiated from the conventional burial box.

특히 본 발명은 원료가 자연의 자정력(自淨力)이 있으며 용해성있는 환경친화적 물질이므로 자연분해되고 흙으로 환원되어 2차오염에 의한 환경공해없이 폐기 처분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인 장묘법으로서 수목장(자연장)에 특히유효하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w material has natural self-cleaning power and is a soluble,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it is naturally decomposed and reduced to soil, so that it can be disposed of without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secondary pollution. )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 유골함 표면의 장식 코팅층을 인쇄 형성하는 독성이 없는 수성 에멀젼형의 잉크에 선택적으로 피톤치드의 항균성 방향제를 첨가하면 양호하게 결합 도포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고 지속적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아로마 테라피 방향효과로 불쾌한 냄새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데 방향제는 방향기능 이외에 자체적으로 항균효과와 방충효과가 있으며 원칙적으로 별도의 항균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천연향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택적으로 한가지나 두 가지 이상의 향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nd when the antibacterial fragrance of phytoncide is selectively added to the non-toxic aqueous emulsion type ink that forms the decorative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ossuar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inting, the aromatherapy fragrance that naturally and continuously emits the fragrance in a well-coated state As an effect, it is possible to remove unpleasant odors. In addition to the fragrance function, the air freshener has antibacterial and insect repellent effects on its own.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fragrances.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으로 화장 후 남은 유골을 미쇄하게 분쇄한 분골을 분골함에 보관시킨 상태에서 수목장 등과 같은 토양 매립형태로 분골함을 묻게 되면, 일정기간이 지난 후 분골과 더불어 자연 분해가 진행되어 자연스럽게 흙으로 돌아갈 수 있어 자연 분해 후에도 토양 오염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데,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종교 문양으로서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자나 연꽃모양의 문양이나 당초 문양 등과 같은 각종 장식문양이 친환경적인 잉크로 인쇄되어 고인의 명복을 종교적으로 기원할 수 있도록 고안된 종교 상징 점착 스티커나 개인적인 영정 인물 사진 등으로 인쇄된 스티커를 이용하여 장식층을 형성함으로써 종교적 상징이 인쇄된 유골함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지 아니고도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Therefore, if the burial box is buried in a soil burial form such as an arboretum in a state in which the ashes of the remains after cremation are finely pulverized in the eco-friendly biodegradable ashes box for the arboretum formed as described above, a certain period of time is saved. After the passage, natural decomposition along with the bones can return to the soil, so soil contamination does not occur even after natural decomposition. Various decorative patterns such as the swastika, lotus, and arabesque patterns that symbolize It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used without individually having an ossuary with religious symbols printed on it by forming a decorative layer using it.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bu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ecause various substitu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100: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
10 지관 몸체 11: 테두리
20:덮개 21:덮개 몸체
2:덮개판
30:속뚜껑
40:장식 무늬층
100: biodegradable ossuary for arboretum
10 branch body 11: rim
20: cover 21: cover body
2: Cover plate
30: inner lid
40: decorative pattern layer

Claims (2)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에 있어서, 친환경 생분해성 재질의 펄프 지료로 유골분을 담을 수 있게끔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지관 몸체(10)와 몸체 상단을 덮어서 밀폐하는 항온, 항습, 탈취 기능의 속 뚜껑(30)과 덮개(20)로 유골함을 구성하되, 상기 원통형 지관 몸체(10)와 외측 둘레면 일측으로 꽃 무늬 등 일반 인쇄 형식으로 장식 무늬층을 형성하고, 덮개(20) 상면의 덮개판(22)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종교 문양을 기독교를 상징하는 십자가나 불교를 상징하는 만자의 형상이 친환경 잉크로 인쇄된 점착 스티커 형식으로 각각 형성하는 장식무늬층(40)이 형성되어 유골함 외 표면을 마무리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iodegradable ashes box for an arboretum, a hollow cylindrical branch body 10 with an opening formed at the top to contain ashes powder with an eco-friendly biodegradable pulp stock, and a constant temperature, constant humidity, and deodorization that cover and seal the top of the body The ossuary is configured with a functional inner lid 30 and a cover 20, but a decorative pattern layer is formed in a general printing format such as a flower pattern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branch body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 On the cover plate 22, a religious pattern that can be selectively attached and 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s formed in the form of an adhesive sticker in which the shape of a cross symbolizing Christianity or a swastika symbolizing Buddhism is printed with eco-friendly ink, respectively. Eco-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arboretum,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layer 40 is formed to finish the outer surface of the u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지료를 닥 펄프의 전통 한지 구성에다 황토, 숯, 옥 등의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 기능성 미분말을 혼합하여 한지 지료에 기능성 광물질이 혼합된 성분 간에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조성의 혼합 지료로 형성된 지관을 사용하여 유골함을 형성하여 펄프 재질 혼합 지료에 의한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유골함에 방충, 방습, 탈취, 항균 기능으로 결로 현상이나 세균번식, 악취를 예방하여 유골이 변하지 않고 깨끗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적인 수목장용 생분해식 유골함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p stock is mix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paper composition of Doc pulp and fine powder with far-infrared radiation and anion emission functionalities such as loess, charcoal, and jade to maintain a stable bonding state between the ingredients mixed with functional minerals in the Korean paper stock The ashes box is formed using a paper tube made of mixed materials of the composition, and the ashes are kept clean and unchanging by preventing dew condensation, bacterial propagation, and bad odors with insect repellent, moisture-proof, deodorizing and antibacterial functions in a light and durable ashes box made of pulp material mixed stock. Eco-friendly biodegradable ossuary for arboretu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stored
KR2020210000275U 2021-01-27 2021-01-27 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KR2022000189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75U KR20220001899U (en) 2021-01-27 2021-01-27 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75U KR20220001899U (en) 2021-01-27 2021-01-27 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99U true KR20220001899U (en) 2022-08-03

Family

ID=8280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75U KR20220001899U (en) 2021-01-27 2021-01-27 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899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7447A1 (en) * 2021-02-12 2022-08-18 Tracy M. Sallah Funeral products and proced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57447A1 (en) * 2021-02-12 2022-08-18 Tracy M. Sallah Funeral products and proced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9623A1 (en) Degradable urn
KR20220001899U (en) A eco friendly cinerary urn for woodland burial
US20050232959A1 (en) Item with decorative voids
JP3193921U (en) Pet memorial planter
KR100943385B1 (en) Multiple function funeral urn
KR20120101960A (en) Familly charnel case
ITAN20120062A1 (en) CONSTRUCTION OF SAFETY CONTAINERS AND DEADLY REMAINS (FUNERARY BONES, BARE, URNS AND INTERNAL AND EXTERNAL ACCESSORIES TYPE OF LIFTING HANDLES, PADDING, SAILS, ETC.) IN POLYMERIC MATERIAL OF VEGETABLE AND ANIMAL ORIGIN FOR INJECTION, THE TUMULAZI
KR200384453Y1 (en) A sarira casket
KR100557864B1 (en) Decoration implement with an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20011B1 (en) A charnel jar
KR20120083732A (en) Charnel case having ventilation and humidit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29466Y1 (en) Cinerary urn
KR200399690Y1 (en) the jade funeral urn with holes for ventilation
JP3130622U (en) Bamboo fence
KR102333513B1 (en) Wastebasket
KR102350872B1 (en) Biodegradable Natural Cypress Ocher and Illight Charcoal Paper for Uniquene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07167522U (en) A kind of incense box
KR20120006009U (en) Biodegradable possible cinerary urn
KR200383226Y1 (en) a ceramics funeral urn improving ventilation
KR200297402Y1 (en) Airtight indoor garden
JP3060827U (en) Bath aids for water purification and physiological improvement and their equivalents
JP3065655U (en) Flowerpot combined container
ES233070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cinerary urns
KR200442649Y1 (en) A cinerary urn
KR200380182Y1 (en) A skeletal remains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