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89U - 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 - Google Patents

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89U
KR20220001889U KR2020210000265U KR20210000265U KR20220001889U KR 20220001889 U KR20220001889 U KR 20220001889U KR 2020210000265 U KR2020210000265 U KR 2020210000265U KR 20210000265 U KR20210000265 U KR 20210000265U KR 20220001889 U KR20220001889 U KR 202200018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ware
holder
magnet
present
cook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환
김유빈
김하린
황세원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210000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889U/en
Publication of KR20220001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8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자석을 이용한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는, 자석이 내장된 조리도구 및 조리도구 거치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는,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이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A cookware holder set using a magnet is provided. The cooking tool holder set may include a cooking tool and a cooking tool holder having a built-in magnet.
The cooking tool holder may have a groov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handle of the cooking tool. Accordingly, the handle portion of the cooking tool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oking tool holder.

Description

자석을 이용한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s

본 고안은 자석을 이용한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조리도구 및 조리도구 거치대를 포함하는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ware holder set using a magn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ware holder set including a cookware and a cookware holder that are easily detachable using a magnet.

국내 주방용품 시장의 한 해 규모는 약 3조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쿡웨어와 조리도구, 테이블웨어, 밀폐용기등 가정용 주방용품 시장의 규모이며, 여기에 김치냉장고나 전기밥솥 같은 주방용 가전이 합쳐지면 약 10조 원 가량으로 시장 규모가 늘어날 수 있다. The annual size of the domestic kitchenware market is estimated at more than 3 trillion won. This is the size of the home kitchen appliance market, such as cookware, cooking tools, tableware, and airtight containers, and if kitchen appliances such as kimchi refrigerators and rice cookers are combined, the market size can increase to about 10 trillion won.

주방용품의 종류로 구분한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주방가전이 56%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 13%와 12%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쿡웨어와 밀폐용기 및 물병이 뒤를 있고 있다. 세라믹 쿡웨어나 테이블웨어도 각각 6%씩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고, 도마와 칼, 영업용 주방기기들은 각각 3% 크기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Looking at the market size divided by type of kitchen appliances, kitchen appliances form the largest market with 56%, followed by cookware and airtight containers and water bottles, which account for 13% and 12% of the market, respectively. Ceramic cookware and tableware each account for 6% of the market, while cutting boards, knives, and commercial kitchen appliances each account for 3% of the market.

국내 주방용품 시장에는 국내 업체들이 직접 제조, 판매하는 제품들과 수입 유통업체들이 판매하는 해외 브랜드들이 혼재되어 있다.In the domestic kitchenware market, there is a mix of products manufactured and sold by domestic companies and overseas brands sold by import distributors.

조리도구의 경우에는 국산 브랜드 점유율이 약 45%로 해외 브랜드보다 적었지만, 밀폐용기는 국산 브랜드 점유율이 65%로 나타나는 등 제품 분야별로 다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In the case of cookware, the share of domestic brands was about 45%, which was less than that of foreign brands, but for airtight containers, domestic brands accounted for 65%, showing different market share by product field.

전체적인 주방용품 시장에서, 국내 브랜드 53%, 해외 브랜드 47% 정도로 현재까지는 국내 브랜드 점유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고가 프리미엄 시장은 해외 브랜드 제품들이 장악하고 있고, 국내 브랜드 제품들은 중저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In the overall kitchenware market, domestic brands accounted for 53% and foreign brands 47%. However, most of the mid- to high-end premium market is dominated by foreign brand products, while domestic brand products dominate the mid-to-low-end market.

최근 소수의 주방가구 업체들이 수입 브랜드들로 채워져 있는 프리미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한 사례가 있지만, 주방용품의 경우, 아직까지 뚜렷한 사례가 없다. Recently, there have been cases where a small number of kitchen furniture makers have successfully entered the premium market filled with imported brands.

국내 주방용품 업체들의 국내외 시장 비중의 경우, 브랜드마다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국내 시장 55%, 해외 시장 45%로 내수 시장에서 올리는 매출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case of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share of domestic kitchenware maker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brands, overall, the proportion of sales generated in the domestic market is higher at 55% in the domestic market and 45% in the overseas market.

유통 채널로는 직영점을 통한 직접 판매와 도소매점, 슈퍼마켓, 대형할인점, 백화점 등의 오프라인 판매와 더불어 인터넷 쇼핑몰, 홈쇼핑 등의 무점포판매 등이 있다.Distribution channels include direct sales through directly-managed stores, offline sales at wholesale and retail stores, supermarkets, large discount stores, and department stores, as well as non-store sales such as Internet shopping malls and home shopping.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조리도구의 탈부착이 용이한 자석을 이용한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ware holder set using a magnet tha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cookware.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밀착력이 향상된 자석을 이용한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ware holder set using a magnet with improved adhesion.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리도구의 물기가 조리도구 거치대의 밑부분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자석을 이용한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ware holder set using a magnet that prevents the water of the cookware from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cookware holder.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ware holder s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는, 조리도구 및 상기 조리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자석이 내장된 조리도구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kware holder set may include a cookware holder and a cookware holder in which a magnet to which the cookware is detachable is built-i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의 형상과 동일한 홈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kware holder may include a groov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at least one cookware.

본 고안을 통해 만들어진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의 경우, 조리도구 거치대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조리도구를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도구의 목 부분에 자석을 내장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 및 각도로 상기 조리도구를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의 하단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조리도구로부터 물기가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의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okware holder set mad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war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a magnet built into the cookware holder. In addition, by embedding a magnet in the neck of the cooking tool, the cooking too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t a convenient position and angle for a user to use. In addition, by forming a groove in the lower end of the cookware holder,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from falling from the cookware to the bottom of the cookware holde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의 실제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의 실제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olde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ctual photograph of a cookware holde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ctual photograph of a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s.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nfiguration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in a sense including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의 평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view of a cookwa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리도구 거치대의 구조가 설명된다.1 to 3, the structure of the cookware holder is describ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리도구 거치대는, 후술되는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이 거치될 수 있는 홈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oking utensil holder may have at least one groove in which a handle portion of a cooking utensil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unted.

그리고,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의 홈에 자석이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후술되는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이,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와 자석의 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magnet may be embedded in the groove of the cooking tool holder. Accordingly, the handle portion of the cookwa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attached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cookware holder and the magn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의 밑바닥 면은 실리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가 위치하는 곳에 실질적으로 흔들림 없이 고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ware holder may use a silicone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have the effect of being fixed substantially without shaking at the place where the cooking tool holder is loc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의 하단부에 원형 형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조리도구에 물기가 있는 경우,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 밑으로 물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cookware holder may have a circular groove. Accordingly, when there is water in the cookwa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falling under the cooker holder.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술된 조리도구의 구조가 설명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cooking utensil will be describ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에, 자석이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가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에 자석의 인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agnet may be embedded in the handle portion of the cooking tool.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of the cooking tool may be attached to the cooking tool holder by the attractive force of the magn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의 목 부분에 자석이 내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조리도구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 및 각도로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로부터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agnet may be built in the neck portion of the cookware. Accordingly, the cookware can be easily attached from the cooker holder at a position and angle convenient for a user to use.

도 5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holde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도구가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cookware is disposed on the cookware hold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의 목 부분에 자석이 내장된 경우,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방향이 위쪽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에 부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magnet is built in the neck of the cookware, it may be attached to the cookware holder so that the handle of the cookware is positioned upwar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이 자석이 내장된 경우,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방향이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과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의 홈이 밀착된 구조로 부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handle portion of the cooking tool has a magnet built-in, it may be attached such that the handle of the cooking tool is positioned downward, and the handle portion of the cooking tool and the groove of the cooking tool holder are in close contact. It can be attached to a structured structure.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의 실제 사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도구의 실제 사진이다.6 is an actual photograph of a cooking utensil holde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actual photograph of a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조리도구 및;
상기 조리도구가 탈부착 가능한 자석이 내장된 조리도구 거치대를 포함하는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
cookware and;
The cookware comprises a cookware holder with a built-in detachable magnet
Cookware holder set.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도구 거치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조리도구의 손잡이 부분의 형상과 동일한 홈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도구 거치대 세트.
According to claim 1,
The cookware holder set includes a groov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at least one cookware holder.
KR2020210000265U 2021-01-26 2021-01-26 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 KR2022000188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65U KR20220001889U (en) 2021-01-26 2021-01-26 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65U KR20220001889U (en) 2021-01-26 2021-01-26 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89U true KR20220001889U (en) 2022-08-02

Family

ID=8280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65U KR20220001889U (en) 2021-01-26 2021-01-26 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88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USD497781S1 (en) Spoon rest
USD876181S1 (en) Cooking skewer
USD899175S1 (en) Cooking appliances and utensils
KR20220001889U (en) cookware holder set using magnet
TWI598066B (en) Drink can holder
USD517378S1 (en) Espresso spoon, salad spoon and salad server fork
USD527228S1 (en) Vertical utensil rest
US20140008315A1 (en) Holder for cookware and cooking utensils
USD527220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for cooking and heating of food
USD556502S1 (en) Kitchen appliance for cooking foods
USD533024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 for cooking and heating of food
CN215686648U (en) Cooking utensil
WO2017149795A1 (en) Side dish compartment tray
WO2008125602A1 (en) Tray for food and drinks
US20220265072A1 (en) Food server with detachable pockets
KR20080005789U (en) Packing container
KR200414332Y1 (en) Cutlery pedestal
JP3070766U (en) Cupboard with counter
CN105996844B (en) Combined chopping board
KR200288139Y1 (en) A Double sided Electronic Grill
KR200206881Y1 (en) Image expression in base of solid for receptacle
CN204561665U (en) A kind of overall service plate
USD554937S1 (en) Kitchen utensil for cooking and heating of food
KR20130006920U (en) change lad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