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746U -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746U
KR20220001746U KR2020210000035U KR20210000035U KR20220001746U KR 20220001746 U KR20220001746 U KR 20220001746U KR 2020210000035 U KR2020210000035 U KR 2020210000035U KR 20210000035 U KR20210000035 U KR 20210000035U KR 20220001746 U KR20220001746 U KR 202200017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eat
rotating
footres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엽
Original Assignee
한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엽 filed Critical 한동엽
Priority to KR2020210000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746U/ko
Publication of KR202200017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기존 좌변기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여러 가지 연결 부속품이나 전자제품이 전혀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 사용자가 서 있는 자세에서 발로 좌변기의 좌대를 올리고 내리는 장치로서, 좌변기의 좌대에 전체 장치를 고정 할 수 있는 본체고정부재; 멈춤판에 의해서 장치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제1원통; 및, 멈춤판과 회전축의 날개가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이 있는 제2원통; 회전축과 날개가 제2원통안에서 회전하며 제1원통의 멈춤판에 닿을 수 있는 회전부; 와 사용자의 발로 연결로드의 일면과 발판을 지지할 수 있는 페달부;를 포함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Easy Up}
본 발명은 좌변기 좌대의 수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 가정이나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좌변기의 좌대를 좀 더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 있는 자세에서 상기 좌대를 사용자의 발로 올림 또는 내림시키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숙박시설, 공중화장실에는 사용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남녀공용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인 좌변기는 좌대와 커버로 구성되어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좌대와 커버를 개방
(올림)하거나 폐쇄(내림)하며 사용하고 있다.
남성이 소변을 보거나 좌변기 청소를 위해서 좌변기 좌대와 커버를 올릴 때, 사용자는 손으로 이를 잡고 개방하여야 한다.
또한 좌대가 개방된 상황에서 여성이 좌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좌대를 잡고 폐쇄하여야 한다.
이때, 좌변기 좌대와 좌변기에 있는 세균이 손으로 직접 옮겨가 질병감염의 위험이 높아질 뿐만아니라, 좌대와 손의 직접 접촉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그리고 좌변기를 개폐하기 위해서 허리를 구부릴 때 허리의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출원들이 있었다.
문헌 1에서는,
좌변기 중간 덮개 개폐장치는 페달을 밟음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
여 중간 덮개를 상부쪽으로 열고 페달에서 발을 떼면 자중에 의해 중간 덮개가 하부쪽으로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중간 덮개 개폐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고안은 좌변기에 소변을 볼 때 페달을 발로 밟음으로써 간편하게 좌변기 중간 덮개를 올릴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중간덮개가 75°∼ 80°의 각도로 열림으로 인해서 사용시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문헌 2에서는,
좌변기 본체에 고정 설치한 브래킷과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를 받고, 양측이 좌변기 커버와 결합하며, 양측에 풀리를 구비한 회전축과 풀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및 커버의 자동 개폐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고안은 버튼조작으로 쉽게 좌대와 커버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작동부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좌변기와 주변부에 여러 기계장치를 설치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문헌 3에서는,
유체에 의하여 신축가능한 제1 유체주머니를 포함하여 변좌를 상승시키는 승강기와 유체에 의하여 신축가능한 제2 유체주머니를 포함하여 승강기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기 및 유체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승강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공급기와 승강기를 연결하는 호스로 구성된 좌변기 변좌 자동 승하강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고안은 기존 좌변기에 설치가 비교적 용이하고 전자장비가 없는 장점이 있지만, 변좌의 상승각도가 90도 이내에 있을 때 자동 하강이 용이하고 유체주머니의 파손이 쉬운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72209호(1998.10.26. 공개)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4309호(2019.02.12. 공개)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98595호(2020.04.0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좌변기 좌대를 손으로 개폐하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불쾌감없이 좌변기 좌대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변기의 좌대와 함께 좌변기 커버를 함께 회전 개방할 수 있으며, 좌변기 좌대를 폐쇄할 때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충격을 가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동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좌변기 좌대에 고정 설치한 본체고정부재와; 상기 본체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멈춤판이 두곳에 설치되어 있는 제1원통과; 상기 제1원통을 끼워 고정하고, 회전부의 회전축과 날개가 수직으로 정확히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이 있는 제2원통과; 상기 제2원통의 슬롯에 회전축과 날개가 끼워지고, 날개와 회전체 사이에 간극이 있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가진 ‘ㄱ’자 형태로 휘어진 연결로드의 일단이 발판과 연결되는 페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고정부재는 좌변기 좌대의 측면에 끼워지는 ‘U’자 형태의 바(bar)로서 사용자가 좌대에 앉았을 때 피부에 닿지 않도록 좌대 측면 아래쪽에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대의 형태에 따라 본체고정부재의 형태를 변형하여 고정할 수 있고, 좌측과 우측에 스크류 홀이 있어 볼트로 본체를 좌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원통에 위치한 두 곳의 멈춤판은 제1원통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본체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내재하도록 하고, 두 곳의 멈춤판은 두 곳 사이에 공간을 두며 가상의 선을 그엇을 때 서로 90도 내외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 날개의 일측이 제1원통의 멈춤판들 사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다만, 멈춤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기능에 큰 차이는 없으나, 멈춤판을 설치함으로써 페달부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원통은 회전부의 회전축과 날개가 수직으로 정확하게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을 가진 원통의 형태로 만들 수 있고, 슬롯의 두께는 회전부의 날개와 회전체 사이의 간격보다 미세하게 얇아서 회전부의 축과 날개가 슬롯을 통과한 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회전체, 회전축, 날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회전축의 좌우에 제1원통의 직경을 넘지 않는 크기의 날개를 여러개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제1원통의 멈춤판에 닿아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날개는 두 개를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며, 날개는 회전축의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체와 날개 사이에 제2원통의 슬롯 두께 보다 미세하게 넓은 간극을 두도록 구성하고, 회전부의 축과 날개가 제2원통의 슬롯을 통과한 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페달부는 회전부에 고정하고 연결로드와 발판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로드는 발을 밀어넣어 발판을 밟을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휘어지게하고, 연결로드의 일단은 회전부에 연결하고 타단은 발판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페달부는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좌변기의 좌대를 올리고 내리며, 좌대가 좌변기 본체와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좌대를 내릴 때, 발판에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90도 이상으로 젖혀져 세워져 있던 좌대는 90도 미만의 각도에서 자중으로 하강하고, ‘ㄱ’자 형태로 휘어진 로드 부분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발등에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좌대를 올릴 때, ‘ㄱ’자 형태로 휘어진 로드 부분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여 좌대를 90도 이상으로 젖혀 세울 수 있다. 다만, 발등에 지지되는 로드 부분은 ‘ㄱ’자 형태 외에도 발등에 지지되는 여러 형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좌대가 90도 이상 회전하며 세워짐에 따라 제2원통에 끼워진 회전부가 페달부의 자중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좌대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은 지면 쪽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좌대가 좌변기 본체로 회전하여 내려 올 때도 회전부는 페달부의 자중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좌대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이 지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제1원통, 제2원통, 회전부는 원형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회전이 가능한 다른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좌변기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복잡한 장비나 전자장비가 전혀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로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을 사용하여 좌변기의 좌대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 손의 접촉을 배제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부가 페달부의 자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에 쉽게 발을 넣어 신속하게 좌대를 올리고 내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좌대의 회전 속도와 강도를 발로 제어함으로써 좌대가 좌변기 본체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와 도 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수동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체 고정부재 및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원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원통의 사시도이다.
도 5a 와 도 5b는 회전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각 구성 상호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페달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귀속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좌변기(60)의 좌대(52)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나사 결합관계나 접착제 등 통상의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는 본체고정부재(12)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고정부재(12)는, 좌변기 좌대의 측면 아래쪽에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에 스크류홀을 형성할 수 있고, 볼트나 접착제로 본체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고정부재(12)에는 회전부 날개(32)의 일측이 2개의 멈춤판(16) 사이에서만 회전하며 움직일 수 있도록 두 개의 멈춤판(16)이 90도 내외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제1원통(14)의 밑면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지며, 제1원통(14)의 형태는 원기둥 모양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 때, 멈춤판(16)을 설치하지 않거나 다른 개수의 멈춤판을 설치하여도 좌대(52)를 올리고 내리는 기능에는 차이가 없으나, 회전체(40)의 회전반경을 알맞게 제한함으로써 페달부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2원통(20)은 제1원통(14)의 직경보다 커서 제1원통(14)을 안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회전부의 회전축(30)과 날개(32)가 수직으로 정확하게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을 가진 형태로 만들 수 있고, 슬롯의 두께는 회전부의 날개(32)와 회전체(40) 사이의 간극보다 미세하게 얇아서 회전부의 회전축(30)과 날개(32)가 슬롯을 통과한 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2원통(20)의 형태는 원기둥모양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부는 회전체(40)의 상단 중앙에 회전축(30)이 있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의 날개(32)가 있고, 날개(32)는 회전축(30)의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체(40)와 날개(32)사이에 제2원통(20)의 슬롯 두께이상의 간극이 있도록 구성한다. 다만, 날개(32)의 개수는 한 개부터 여러개로 구성할 수 있으나 회전반경과 회전부와 제2원통(20)의 결합견고성을 고려하여 두 개가 바람직하며, 회전부의 형태는 회전축(30)과 날개(32)가 제2원통(20)의 슬롯을 통과하여 회전가능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회전부에 고정되는 페달부는 연결로드(42)와 발판(50)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로드의 일단은 회전체(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발판(50)과 연결하며, 연결로드(42)는 발판(50)과 연결되기 전에 ‘ㄱ’자 형태로 휘어지도록 할 수 있다. ‘ㄱ’자 형태로 휘어진 연결로드는 발로 발판을 눌러 좌대(52)를 내릴 때 좌대(52)의 자중으로 인해 연결로드(42)도 함께 하강하며 휘어진 연결로드(42) 부분이 사용자의 발등에서 지지되거나, 발로 휘어진 연결로드(42) 부분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여 좌대(52)를 세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발등에 지지되는 연결로드(42) 부분은 ‘ㄱ’자 형태 외에도 발등에 지지되는 여러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좌대(52)가 90도 이상으로 세워져있는 상황에서, 발판(50)에서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본체고정부재(12)와 연결되어 있는 좌대(52)가 하강하면서 본 장치 전체가 함께 하강할 것이고, 발판(50)의 자중으로 인해 제2원통(20)에 끼워진 회전체(40)는 좌대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판은 지면을 향할 것이다. 또한 좌대(52)가 좌변기(60)의 본체에 눕혀져있는 상황에서, 발판(50)에 발을 위치시키고 상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연결로드(42)의 휘어진 부분이 발등으로 지지되며 좌대(52)와 본 장치 전체가 함께 상승할 것이고, 발판(50)의 자중으로 인해 제2원통(20)에 끼워진 회전체(40)가 좌대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판은 지면을 향할 것이다.
10:볼트, 12:본체고정부재, 14:제1원통, 16:멈춤판, 20:제2원통, 30:회전축, 32:날개, 40:회전체, 42:연결로드, 50:발판, 52:좌대, 60:좌변기

Claims (8)

  1. 좌변기 좌대에 고정 설치한 본체고정부재와;

    상기 본체고정부재에 고정되고, 멈춤판이 두 곳에 설치되어 있는 제1원통과;

    상기 제1원통을 끼워 고정하고, 회전부의 회전축과 날개가 수직으로 정확히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이 있는 제2원통과;

    상기 제2원통의 슬롯에 회전축과 날개가 끼워지고, 날개와 회전체 사이에 간극이 있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고, 사용자의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가진 ‘ㄱ’자 형태로 휘어진 연결로드의 일단이 발판과 연결되는 페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고정부재는 좌변기 좌대의 측면에 끼워지는 ‘U’자 형태의 바(bar)이고, 좌측과 우측에 스크류 홀이 있어 볼트로 좌대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에 위치한 두 곳의 멈춤판은 원통의 내주면에 이어지며, 멈춤판은 가상의 선을 그엇을 때 서로 90도 내외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 날개의 일측이 제1원통의 멈춤판들 사이에서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통은 회전부의 회전축과 날개가 수직으로 정확하게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을 가진 원통의 형태이고, 슬롯의 두께는 회전부의 날개와 회전체 사이의 간격보다 미세하게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체, 회전축, 날개로 이루어져 있고, 회전축의 좌우에 날개 두개가 있으며, 회전축의 직경과 두 날개 가로 길이의 합은 제1원통의 직경을 넘지 않고, 두 날개는 회전축의 상단에 위치하여 회전체와 날개 사이에 제2원통의 슬롯 두께 보다 미세하게 넓은 간극이 있으며, 두 날개가 제2원통 안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는 회전부에 연결되며 연결로드와 발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연결로드는 발을 밀어넣어 발판을 밟을 수 있도록 ‘ㄱ’자 형태로 휘어지고, 연결로드의 일단은 회전부에 타단은 발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의 발판을 발로 밟아 좌대를 내릴 때 로드가 ‘ㄱ’자 형태로 휘어진 부분이 사용자의 발등에서 지지되어 좌변기 좌대가 좌변기 본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토록하고, 좌대를 올릴 때 사용자의 발등이 로드의 휘어진 부분을 지지하여 좌대를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8. 제 1항, 제 2항, 제 3항 및 제 4항 내지 제 5항 에 있어서,

    좌대가 90도 이상 회전하며 세워짐에 따라 제2원통에 끼워진 회전부가 페달부의 자중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좌대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은 지면쪽으로 회전하고, 좌대가 좌변기 본체로 회전하며 내려올 때도 회전부는 페달부의 자중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좌대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발판이 지면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KR2020210000035U 2021-01-06 2021-01-06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KR202200017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35U KR20220001746U (ko) 2021-01-06 2021-01-06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035U KR20220001746U (ko) 2021-01-06 2021-01-06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46U true KR20220001746U (ko) 2022-07-13

Family

ID=8239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035U KR20220001746U (ko) 2021-01-06 2021-01-06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7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29B1 (ko) 2023-11-23 2024-03-25 박성우 변기 커버 및 시트 무소음 닫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29B1 (ko) 2023-11-23 2024-03-25 박성우 변기 커버 및 시트 무소음 닫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597B1 (ko) 화장실의 사용자 상체 받침 장치
US4168552A (en) Adjustable toilet seat
US20150322658A1 (en) Combined toilet device
US8819873B2 (en) Ergonomic toilet seat positioning device
WO2007136699A2 (en) Adaptation to an assistive device
US5852833A (en) Toilet seat lifting device having his and her foot pedal
WO2003003895A1 (en) Toilet seat raising and lowering lift device
KR20220001746U (ko) 좌변기 좌대 수동 개폐장치
US8707473B2 (en) Apparatus to assist squatting on toilets
US20100050328A1 (en) Heigh-adjustable toilet seat with splashguard
US7316037B2 (en) Seat lifter
MX2007005268A (es) Dispositivo para elevar y hacer descender un asiento para retrete.
WO2014008552A1 (en) An apparatus to assist squatting on toilets
US20100125947A1 (en) Leg lifting apparatus
EP0864288A1 (en) Toilet with incorporated platform for the feet with height adjusting possibilities
US7281277B1 (en) Foot operated toilet seat lifter
WO2004098480A1 (en) Calf rest for patient chair
KR102633217B1 (ko) 양변기용 안전 손잡이 조립체
KR200339469Y1 (ko) 자동열림 변기카바
EP2356929A2 (en) Toilet seat raising apparatus
US20040172744A1 (en) Toilet seat lifter
US6098215A (en) Toilet seat lifting device
US20240099525A1 (en) Toilet Seat Lifting and Lowering Apparatus
CN218960610U (zh) 一种坐便椅
KR200301713Y1 (ko) 장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